KR20090016570A -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570A
KR20090016570A KR1020087029500A KR20087029500A KR20090016570A KR 20090016570 A KR20090016570 A KR 20090016570A KR 1020087029500 A KR1020087029500 A KR 1020087029500A KR 20087029500 A KR20087029500 A KR 20087029500A KR 20090016570 A KR20090016570 A KR 2009001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dye composition
weight
japanese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697B1 (ko
Inventor
겐조 고이케
아츠코 에바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91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37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8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37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9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27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8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37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9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2785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의 조합, (B) (b1)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염, (b2) 아황산 또는 그 염 중 어느 일방, (C)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pH 8 ∼ 11 의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성분 (B) 의 종류를 선택 함으로써 염모 후에 얻어지는 색상을 조정하는 방법.

Description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ONE-PACK 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염색되는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일제식(一劑式)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돌류, 인돌린류 등의 멜라닌 전구체를 사용한 공기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3 참조). 그러나, 이들 염모제는 염색되는 색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멜라닌 전구체뿐만 아니라 커플러를 병용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평8-32618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5175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2038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pH 8 ∼ 11 의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의 조합
(B) (b1)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염, (b2) 아황산 또는 그 염 중 어느 일방
(C) 알칼리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성분 (B) 로서, (b1), (b2) 중 어느 일방을 선택함으로써 염모 후에 얻어지는 색상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은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염색되는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전구체를 사용한 공기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멜라닌 전구체로서 특정한 2 종류를 병용함과 함께, 특정한 2 종의 산화 방지제 중 어느 일방, 및 알칼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성분 (A) 의 멜라닌 전구체로서,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을 병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을 자연스러운 색조로 염색할 수 있고, 또 염색되는 색을 조정할 수 있다.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의 몰비는 50 : 50 ∼ 999 : 1, 나아가서는 80 : 20 ∼ 99 : 1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5,6-디히드록시인돌 및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은 역상 HPLC 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성분 (A) 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염색성, 안정성의 면에서, 합계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5 ∼ 5 중량%, 나아가서는 0.1 ∼ 2 중량% 가 바람직하다.
성분 (B) 의 산화 방지제로는 (b1)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염, (b2) 아황산 또는 그 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아스코르브산염, 아황산염으로는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b1) 를 사용한 경우, 붉은 빛을 띤 갈색이 얻어지고, (b2) 를 사용한 경우, 푸른 빛을 띤 거뭇한 회색이 얻어진다.
성분 (B) 의 함유량은 염색성 및 색조 제어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1 ∼ 5 중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2 중량%, 나아가서는 0.1 ∼ 1 중량% 가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알칼리제로는, 통상 염모제에 사용되는 것, 예를 들어 암모니아수 ;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 ; 부틸아민, 벤질아민 등의 알킬 또는 아르알킬아민류 ;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류 ;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류 ; 및 탄산구아니딘이나 아미노산류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염색력의 면에서 모노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알칼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함유량은 염색성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1 ∼ 20 중량%, 나아가서는 0.1 ∼ 1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사용성, 도포성, 점착성의 면에서, 증점 폴리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증점 폴리머는 비이온성, 이온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비이온성 증점 폴리머로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다이셀 화학 공업사 : SE-850, 나가세 산업 : 셀로사이즈 HECQP52000H),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예를 들어, 다이셀 화학 공업사 : CMC 다이셀 12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히드록시프로필스테아릴에테르히드록시프로필술폰산나트륨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139호의 제조예 1 에 기재된 화합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신에츠 화학사 : 메톨로즈 60SH-10000), 구아검 (예를 들어,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 파이버론 S), 풀루란 (예를 들어, 하야시바라 주식회사 : 풀루란 PI-20), 히드록시프로필키토산 (예를 들어,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 키토피르마 HV-10), 키토산·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예를 들어, 유니온·카바이드사 : 카이토마 PC) 등의 다당형 폴리머 ; 그 밖에 폴리비닐피롤리돈 (BASF 사 : Luviskol K-12, K-30, PVP K-120), 폴리비닐알코올 (닛폰 합성 화학사 : 고세놀 EG-40), 비닐알코올/비닐아민 코폴리머 (에어 프로덕트사 : VA-120-HCl), 고중합도 폴리에틸렌글리콜 (닛폰 유니온·카바이드사 : 폴리옥스 WSRN-60K)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의 증점 폴리머로는 카라기닌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온사 : 소아기나 LX22, ML210), 산탄검 (예를 들어,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 에코검 T), 웰란검 (예를 들어, 산쇼 주식회사 : K1C376, K1A96), 히드록시프로필산탄검 (예를 들어,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 라볼검 EX) 등의 다당형 폴리머 ; 그 밖에 폴리아크릴산 (Noveon 사 : 카르보폴 941, 981),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Noveon 사 : 카르보폴 ETD2020), 저급 알킬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의 말단 불포화 디엔 화합물에 의한 부분 가교 폴리머의 가수 분해물 또는 그 모노알킬에스테르 (ISP 사 : 스타빌리제 06, 스타빌리제 QM)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의 증점 폴리머로는 폴리머 사슬의 측사슬에 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을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 예를 들어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라이온사 : 레오가드 G, 동 GP, 유니온 카바이드사 : 폴리머 JR-125, 동 JR-400, 동 JR-30M, 동 LR-400, 동 LR-30M,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컬사 : 셀 코트 H-100, 동 L-200),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 (예를 들어, 로디아사 : 재규어 C-13S, 동 C-17,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 라볼검 CG-M, 동 CG-M7, 동 CG-M8M) 등의 다당형 폴리머 ; 그 밖의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카르곤사 : 마코트 100, 동 280, 동 295, 동 550), 4 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ISP·재팬사 : 가후코트 734, 동 755, 동 755N)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다당형 증점 폴리머, 나아가서는 셀룰로오스 골격 또는 산탄검 골격을 갖는 천연 고분자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점 폴리머의 함유량은 사용성, 도포성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5 ∼ 10 중량%, 나아가서는 0.1 ∼ 7 중량%, 나아가서는 0.1 ∼ 5 중량%, 나아가서는 0.1 ∼ 3 중량%, 나아가서는 0.2 ∼ 3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 도포성, 액이 잘 흘러내리지 않는 점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는 100 ∼ 8000mPa·s, 나아가서는 300 ∼ 5000mPa·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의 점도는 25℃, B 형 회전 점도계로 6rpm 으로 1 분간 회전시킨 후의 값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염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방향족 알코올을 함유시킬 수 있다. 방향족 알코올로는 벤질옥시에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γ-페닐프로필알코올, 계피알코올, 아니스알코올, p-메틸벤질알코올, α,α-디메틸페네틸알코올, α-페닐에탄올,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벤질옥시에탄올, 벤질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알코올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알코올의 함유량은 염색성의 향상, 도포성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1 ∼ 10 중량%, 나아가서는 0.5 ∼ 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발포성이나 도포성 향상의 면에서, 추가로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그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아니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고급 지방산 자당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또는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사카라이드계 계면 활성제, 알킬아민옥사이드, 알킬아미드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다음의 일반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8083124718-PCT00001
〔식 중, m 및 n 은 합계 7 ∼ 25, 바람직하게는 7 ∼ 20, 나아가서는 9 ∼ 11 이 되는 수를 나타내고, x 는 중량 평균으로 6 ∼ 16, 바람직하게는 6 ∼ 12, 나아가서는 8 ∼ 10 의 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제 2 급 알코올의 폴리에톡시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닛폰 쇼쿠바이사 : 소프타놀 90, 일반식 (2) 에 있어서 m+n = 9 ∼ 11, x = 9) 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사용성이나 도포성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1 ∼ 5 중량%, 나아가서는 0.5 ∼ 3 중량% 가 바람직하다.
아니온 계면 활성제로는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황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술폰 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형 계면 활성제, 인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술포숙신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음의 일반식 (2)
Figure 112008083124718-PCT00002
〔식 중, R 은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소수 8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 는 0 또는 양의 정수를 나타내며, M 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에 있어서 a = 0 인 황산염 30 ∼ 70 중량%, a = 1 인 황산염 14 ∼ 27 중량%, a = 2 인 황산염 5 ∼ 20 중량% 를 함유하고, 또한 a = 0 ∼ 2 인 황산염의 합계가 전체 황산염의 75 중량% 이상인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는 에어졸의 형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토출액의 기포를 크리미하고 또한 안정적인 것으로 하는 데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는 토출액을 크리미하고 또한 안정적인 기포로 하는 점에서,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 a 의 분포가, a = 0 이 30 ∼ 70 중량%, a = 1 이 14 ∼ 27 중량%, a = 2 가 5 ∼ 20 중량% 인 것이 사용되는데, a = 0 이 35 ∼ 65 중량%, a = 1 이 14 ∼ 24 중량%, a = 2 가 7 ∼ 18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a = 0 이 50 ∼ 60 중량%, a = 1 이 15 ∼ 20 중량%, a = 2 가 8 ∼ 14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 성분 중의 a = 0 ∼ 2 인 황산염의 비율은 동일한 관점에서 75 중량% 이상으로 되는데, 전체 황산염의 75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중의 M 은 양호한 기포 발생의 관점에서 나트륨 또는 암모늄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 감촉의 관점에서 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1)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 (1) 라우릴에테르황산암모늄염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 ROH 에 대하여 0.85 ∼ 1.35 배 몰의 산화에틸렌을 부가시켜 얻어진 알코올에톡시레이트를, 0.95 ∼ 1.0 당량의 SO3 을 이용하여 황산화한 후, 수산화나트륨 또는 암모니아로 중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니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크리미하고 또한 안정적인 기포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5 ∼ 20 중량%, 나아가서는 1 ∼ 15 중량% 가 바람직하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로는 이미다졸린 개환형 제 4 급 암모늄염, 모노 긴사슬 알킬 제 4 급 암모늄염, 디 긴사슬 알킬 제 4 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모노 또는 디 긴사슬 알킬형 카티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83124718-PCT00003
〔식 중, Z1 은 탄소수 12 ∼ 2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Z2 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 12 ∼ 28 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A- 는 할로겐화물 이온을 나타낸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로는 긴사슬 알킬기 (일반식 (3) 중의 Z1, 또는 Z1 및 Z2) 의 탄소수가 12 ∼ 22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염,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염,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염, 도데실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염, 디알킬(C12-18)디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반식 (3) 중의 A- 로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디 긴사슬 알킬형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안정성 및 감촉의 면에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5 ∼ 5 중량%, 나아가서는 0.1 ∼ 1 중량% 가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이미다졸린계, 카르보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또는 아미드술포베타인계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의 합계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1 ∼ 30 중량%, 나아가서는 0.5 ∼ 1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성분 (A) 이외의 염료를 함유시킬 필요는 없으나, 추가로 통상 염모제에 사용되고 있는 직접 염료를 함유시켜도 된다.
직접 염료로는 산성 염료, 니트로 염료, 분산 염료, 염기성 염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42139호에 기재된 직접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염료로는 청색 1 호, 자색 401 호, 흑색 401 호, 오렌지색 205 호, 적색 227 호, 적색 106호, 황색 203 호, 산성 오렌지 3 등을 들 수 있고, 니트로 염료로는 2-니트로파라페닐렌디아민, 2-아미노-6-클로로-4-니트로페놀, 3-니트로-p-히드록시에틸아미노페놀, 4-니트로오르토페닐렌디아민, 4-아미노-3-니트로페놀, 4-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3-니트로페놀, HC 청 2, HC 오렌지 1, HC 적 1, HC 황 2, HC 황 4, HC 황 5, HC 적 3, N,N-비스-(2-히드록시에틸)-2-니트로파라페닐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고, 분산 염료로는 분산 자색 1, 분산 청 1, 분산 흑 9 등을 들 수 있고, 염기성 염료로는 염기성 청 99, 염기성 갈색 16, 염기성 갈색 17, 염기성 적 76, 염기성 적 51, 염기성 황 57, 염기성 황 87, 염기성 오렌지 3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산성 염료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붉은 빛이 적은 흑 ∼ 회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점에서, 흑색 401 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 직접 염료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01 ∼ 5 중량%, 나아가서는 0.01 ∼ 3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도포성 및 기포질의 향상의 면에서, 추가로 탄소수 12 ∼ 24 의 직사슬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르알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직사슬 지방족 알코올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1 ∼ 10 중량% 가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1 ∼ 7 중량%, 나아가서는 0.5 ∼ 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기포의 질감, 기포의 미끄럼감, 세정시의 푸석함 저감, 건조시의 매끄러움의 면에서 실리콘류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류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1) 디메틸폴리실록산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CH3)3SiO-[(CH3)2SiO]b-Si(CH3)3
〔식 중, b 는 3 ∼ 20000 의 수를 나타낸다〕
(2) 아미노 변성 실리콘
각종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나, 평균 분자량이 약 3000 ∼ 100000 인, 아모디메티콘 (Amodimethico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또는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Aminopropyl Dimethicone) 의 명칭으로 INCI 사전 (미국,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0판 중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수성 유탁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판품으로는 SM 8704C (토오레·다우코닝사), DC 929 (다우코닝사), KT 1989 (GE 토시바사) 등을 들 수 있다. N 함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1 ∼ 1 중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0.3 중량% 가 바람직하다.
(3) 그 밖의 실리콘류
상기 이외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콕시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고리형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류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고,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01 ∼ 10 중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5 ∼ 6 중량%, 나아가서는 0.3 ∼ 3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다른 컨디셔닝제로서 유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유제로는 스쿠알렌,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시클로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 피마자유, 카카오유, 밍크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등의 글리세리드류 ; 밀랍, 경랍, 라놀린, 카르나우바납 등의 왁스류 ;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라우르산헥실, 락트산세틸,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올레산올레일, 2-에틸헥산산헥사데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트리데실 등의 에스테르류 ;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야자유 지방산, 이소스테아릴산, 이소팔미트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 불포화 또는 분기사슬의 고급 알코올 ; 그 밖에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제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고, 그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중의 0.2 ∼ 2 중량%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3 ∼ 1.8 중량%, 나아가서는 0.5 ∼ 1.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염모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수성 매체, 안정화제, 완충제, 향료, 감촉 향상제, 킬레이트제, 가용화제, 방부제 등을 목적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성분 (A) 의 멜라닌 전구체는 염기성 조건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멜라닌 색소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의 pH 는 8 ∼ 11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9 ∼ 11 의 범위로 조정한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반복 사용해도 염색력을 유지하고, 또 염색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에어졸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졸형의 형태로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에어졸 원액으로서 분사제와 함께 내압 용기 (에어졸 캔 등) 에 충전시키면 된다.
분사제로는, 일반적으로 에어졸 제품에 사용되는 압축 가스, 액화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압축 가스로는 질소 가스, 탄산 가스, 아르곤 가스 등을, 액화 가스로는 액화 석유 가스, 탄소수 3 ∼ 5 의 휘발성 탄화수소,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분사제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고, 적당한 분사 속도를 얻기 위해서 원액 및 분사제로 이루어지는 전체 조성 중에 0.5 ∼ 20 중량%, 나아가서는 3 ∼ 15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충전 후의 에어졸 캔의 내압이 0.3 ∼ 0.5㎫ (25℃)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충전시에는 클린치와 동시에 탈기를 실시하여, 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탈기 조작은 내용물의 안정화의 면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48㎪ 이하의 압력에서 탈기 조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실온에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드라이어에 의해 열과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염색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원액을 조제하고, 이 원액을 에어졸용 상용성 병 (도쿄 고분자사) 에 채워 클린치한 후, 원액 : 가스비 = 90 : 10 (중량비) 이 되도록 분사제로서 0.35㎫ 의 액화 석유 가스와 디메틸에테르의 혼합물 (혼합 중량비 = 90 : 10) 을 충전시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병기한다.
·염색성 (△E) :
중국인 여성의 건조한 백발의 머리카락 다발 약 1g 에, 각 에어졸형 염모제 조성물 1g 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5 분간 방치하고 샴푸하여 수세하였다. 이 염색 조작을 3 회 반복하여 백발의 염색성 (△E, 미놀타 CR300) 및 색상을 평가하였다.
상기 염색 조작에 의해, 백발 머리카락 다발은 실시예 1 에서는 약간 붉은 빛을 띤 갈색으로 물들고, 실시예 2 에서는 약간 푸른 빛을 띤 거뭇한 회색으로 물들었다. 비교예 1 은 거뭇한 회색으로 물들고, 색상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보존 안정성 :
각 에어졸형 염모제 조성물을 에어졸 용기에 충전시키고, 40℃ 에서 1 개월간 보존한 후의 조성물의 외관, 토출 성능 및 염모성을 제조 직후의 것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두 외관, 토출 성능 및 염색성에 변화는 거의 없었다.
원료 원액 처방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1
(A) 5,6=디히드록시인돌 0 0 0.3
5,6-디히드록시인돌, 5,6-디히드록실인돌-2-카르복실산 혼합물 (몰비 90 : 10) 0.3 0.3 0
(B) 아스코르브산 0.3 0 0.3
아황산나트륨 0 0.3 0
(C) 모노에탄올아민 0.5 0.5 0.5
기 타 히드록시프로필산탄검 (라볼검 EX,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0.3 0.3 0.3
95 용량% 에탄올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소프탄올 90, 닛폰 쇼쿠바이사) 1.5 1.5 1.5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시트르산 적량 적량 적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PH 10 10 10
25℃ 에서의 점도 (mPa·s) 400 400 400
평 가 3 회의 염색성 (△E) 40 40 40
보존 안전성 양호 양호 양호
색조 갈색계 청색계 회색
실시예 3 ∼ 4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원액을 조제하고, 이 원액을 에어졸용 상용성 병 (도쿄 고분자사) 에 채워 클린치한 후, 원액 : 분사제비 = 90 : 10 (중량비) 이 되도록 분사제로서 0.44㎫ 의 LPG 를 충전시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한 각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에 대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저온 (5℃) 에서의 브러쉬 상에서의 도포성, 또한 고온 (40℃) 에서의 도포성을 평가하였다. 또, 상온 (25℃) 에서의 도포, 5 분 방치, 샴푸, 수세를 하여 머리카락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평가법>
·저온 도포성 :
5℃ 에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를 토출시키고, 기포 상태로 나오는 것을 「양호」로 하고, 그 이외의 것을「불량」으로 하였다.
·고온 도포성 :
1g 의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를 토출시키고, 중국인 여성의 백발 트레스 1g 에 도포한 후, 40℃ 에서 5 분간 방치하여, 액 흘러내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양호」로 하고, 액 흘러내림이 발생한 것을 「불량」으로 하였다.
·처리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 :
패널리스트 5 명이 평가하여, 감촉 양호로 한 인원수가 3 명 이상인 경우「양호」, 2 ∼ 1 명인 경우「보통」, 0 명인 경우에는「불량」으로 하였다.
원료 원액 처방 (중량%)
실시예 3 실시예 4
(A) 5,6-디히드록시인돌,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 혼합물 (몰비 9 : 1) 0.3 0.3
(B) 아스코르브산 0.3 0.3
(C) 모노에탄올아민 0.5 0.5
기 타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0.1 0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0 0.1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소프탄올 90, 닛폰 쇼쿠바이사) 1.5 1.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로사이즈 HECQP52000H. 나가세 산업) 0.7 0
히드록시프로필산탄검 (라볼검 EX,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0 0.7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시트르산 적량 적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pH 10 10
25℃ 에서의 점도 (mPa·s) 800 1500
평 가 저온 도포성 양호 양호
고온 도포성 양호 양호
처리 후의 촉감 양호 양호
1) 발포성 불량
2) 액 흘러내림에 의한 불량
실시예 5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원액을 조제하고, 이 원액을 에어졸용 상용성 병 (도쿄 고분자사) 에 채워 클린치한 후, 원액 : 가스비 = 90 : 10 (중량비) 이 되도록 분사제로서 0.35㎫ 의 액화 석유 가스와 디메틸에테르의 혼합물 (혼합 중량비 = 88.5 : 11.5) 을 충전시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모를 실시한 결과, 기포질, 저온시의 발포성, 토출액의 스밈 용이성 및 염색성은 모두 양호하였다.
원료 원액 처방(중량%)
실시예 5
(A) 5,6-디히드록시인돌,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 혼합물 (몰비 90 : 10) 0.3
(B) 아스코르브산 0.3
(C) 모노에탄올아민 0.5
기 타 라우릴황산나트륨 (카오 : 에마루 2F-HP)* 0.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카오 : 에마루 270J)* 0.5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소프탄올 90, 닛폰 쇼쿠바이사) 1.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로사이즈 HECQP52000H. 나가세 산업) 0.7
스테아릴알코올 0.1
95용량% 에탄올 1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pH 10
25℃ 에서의 점도 (mPa·s) 2000
평 가 기포질 양호
저온시의 발포성 양호
제의 스밈 용이성 양호
염색성 양호
* : 양자의 혼합물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 수의 분포는 일반식 (2) 중,
a = 0 : 57 중량%, a = 1 : 16 중량%, a = 2 : 10 중량%, a = 3 이상, : 17 중량%
a = 0 ∼ 2 의 합계 : 83 중량%
실시예 6 ∼ 7
표 4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원액을 조제하고, 이 원액을 에어졸용 상용성 병 (도쿄 고분자사) 에 채워 클린치한 후, 원액 : 가스비 = 95 : 5 (중량비) 가 되도록 분사제로서 0.5㎫ 의 질소 가스를 충전시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한 각 염모제에 대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염색성과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법>
·염색성 (△E) : 중국인 여성의 건조한 백발 트리스 약 1g 에, 각 에어졸형 염모제 조성물 1g 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5 분간 방치한 후, 샴푸하고 수세하였다. 이 염색 조작을 3 회 반복한 후, 모발을 측정 (미놀타 CR300) 함으로써 백발의 염색성을 평가하였다.
원료 원액 처방 (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A) 5,6-디히드록시인돌,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 혼합물 (몰비 9 : 1) 0.3 0.3
(B) 아스코르브산 0.3 0.3
(C) 모노에탄올아민 0.5 0.5
기 타 벤질옥시에탄올 0.3 0
벤질알코올 0 0.2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소프탄올 90, 닛폰 쇼쿠바이사) 1.5 1.5
히드록시프로필산탄검 (라볼검 EX,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0.8 0.8
95 용량% 에탄올 6 6
저점도 디메티콘-고중합 디메티콘-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혼합물(CF1046, 토오레·다우코닝사) 0.1 0.1
1,3-부틸렌글리콜 1 1
48 용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pH 10 10
25℃ 에서의 점도 (mPa·s) 2500 2500
염색성 (△E) 3 회의 염색성 44 43
실시예 8 ∼ 9
표 5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원액 (젤 타입) 을 조제하고, 이 원액을 에어졸용 상용성 병 (도쿄 고분자사) 에 채워 클린치한 후, 분사제로서 0.5㎫ 의 질소 가스를 충전시켜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에어졸형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염색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병기한다.
·염색성 (△E) :
중국인 여성의 건조한 백발 트리스 약 1g 에, 각 에어졸형 염모제 조성물 1g 을 도포하고, 실온에서 5 분간 방치하고 샴푸하여 수세하였다. 이 염색 조작을 3 회 반복하여 백발의 염색성 (△E, 미놀타 CR300) 을 평가하였다.
상기 염색 조작에 의해, 백발 머리카락 다발은 실시예 8 에서는 회색으로 물들고, 실시예 9 에서는 갈색 ∼ 회색으로 물들었다.
원료 원액 처방 (중량%)
실시예 8 실시예 9
(A) 5,6-디히드록시인돌,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 혼합물 (몰비 90 : 100) 0.3 0.3
(B) 아스코르브산 0.3 0.3
(C) 모노에탄올아민 0.5 0.5
기 타 흑색 401 호 (키시카세이사) 0.17 0.05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소프탄올 90, 닛폰 쇼쿠바이사) 1.5 1.5
히드록시프로필산탄검 (라볼검 EX,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사) 1.25 1.25
벤질알코올 0.3 0.3
디메티콘-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혼합물 (CF1046, 토오레·다우코닝사) 0.1 0.1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시트르산 적량 적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pH 9 9
25℃ 에서의 점도 (mPa·s) 10000 10000
3 회의 염색성 (△E) 48 45

Claims (11)

  1. 다음의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pH 8 ∼ 11 의 일제식 (一劑式) 염모제 조성물.
    (A)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의 조합
    (B) (b1)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염, (b2) 아황산 또는 그 염 중 어느 일방
    (C) 알칼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총 함유량이, 0.01 ∼ 5 중량% 인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알칼리제로서 모노에탄올아민을 함유하고, pH 가 9 ∼ 11 인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에 있어서의 5,6-디히드록시인돌과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의 몰비가 50 : 50 ∼ 999 : 1 인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증점 폴리머를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향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음의 일반식 (2)
    Figure 112008083124718-PCT00004
    〔식 중, R 은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소수 8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 는 0 또는 정의 정수를 나타내며, M 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에 있어서 a = 0 인 황산염 30 ∼ 70 중량%, a = 1 인 황산염 14 ∼ 27 중량%, a = 2 인 황산염 5 ∼ 20 중량% 를 함유하고, 또한 a = 0 ∼ 2 인 황산염의 합계가 전체 황산염의 75 중량% 이상인 황산염형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모노 또는 디 긴사슬 알킬형 카티온 계면 활성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83124718-PCT00005
    〔식 중, Z1 은 탄소수 12 ∼ 2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Z2 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 12 ∼ 28 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A- 는 할로겐화물 이온을 나타낸다〕
    를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직접 염료를 함유하는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의 성분 (B) 로서, (b1), (b2) 중 어느 일방을 선택함으로써 염모 후에 얻어지는 색상을 조정하는 방법.
KR1020087029500A 2006-06-07 2007-06-07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KR101441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9010 2006-06-07
JP2006159148A JP5363702B2 (ja) 2006-06-07 2006-06-07 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JP-P-2006-159129 2006-06-07
JP2006158943A JP5363701B2 (ja) 2006-06-07 2006-06-07 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JP-P-2006-159148 2006-06-07
JPJP-P-2006-158942 2006-06-07
JP2006159010A JP5252784B2 (ja) 2006-06-07 2006-06-07 エアゾール型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2006158942A JP5363700B2 (ja) 2006-06-07 2006-06-07 エアゾール型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2006159129A JP5252785B2 (ja) 2006-06-07 2006-06-07 エアゾール型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JP-P-2006-158943 2006-06-07
PCT/JP2007/000614 WO2007141920A1 (ja) 2006-06-07 2007-06-07 一剤式染毛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70A true KR20090016570A (ko) 2009-02-16
KR101441697B1 KR101441697B1 (ko) 2014-09-17

Family

ID=3880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500A KR101441697B1 (ko) 2006-06-07 2007-06-07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7863B2 (ko)
EP (1) EP2030606B1 (ko)
KR (1) KR101441697B1 (ko)
TW (1) TWI386229B (ko)
WO (1) WO2007141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595B1 (fr) * 2009-02-27 2011-04-22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lorant d'oxydation et le 3-phenyl-1-propanol,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JP6077732B2 (ja) * 2009-08-21 2017-02-08 花王株式会社 染毛方法
EP2520274A1 (en) * 2011-05-02 2012-11-07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FR2980702B1 (fr) * 2011-09-29 2013-09-13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 compose iridoide non glycosyle et un nucleophile particulier, procede de coloration, et dipositif
FR2980706A1 (fr) * 2011-09-29 2013-04-05 Oreal Composition de coloration comprenant un compose iridoide glycosyle et un nucleophileparticulier, procede de coloration et dispositifs
DE102013217206A1 (de) * 2013-08-28 2015-03-05 Henkel Ag & Co. Kgaa "Blondiermittel mit Polymeren"
US9237993B2 (en) 2014-01-24 2016-01-19 Combe Incorporated Gradual haircolo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889080B2 (en) 2015-05-07 2018-02-13 Celeb LLC Color depositing shampoo
US10245221B2 (en) 2015-05-07 2019-04-02 Celeb LLC Stabilized color depositing shampoo
JP7243018B2 (ja) * 2017-09-14 2023-03-22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型毛髪化粧品
SG11202004607PA (en) * 2017-11-20 2020-06-29 Kao Corp Hair cosmetic
EP3714869B1 (en) * 2017-11-20 2022-09-28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comprising a specific ratio of dihydroxy-indol/indoline derivative, dimethylsilicone and amino-modified silicone
JP7093291B2 (ja) * 2017-11-20 2022-06-29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TW202038897A (zh) * 2018-12-20 2020-11-0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組合物
CN110575402A (zh) * 2019-11-05 2019-12-17 四川大学 一种人造黑色素彩色染发剂
JP7478536B2 (ja) * 2019-12-25 2024-05-07 花王株式会社 毛髪の染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90158A1 (fr) 1977-05-10 1978-12-08 Oreal Compositions liquides de colorants de la famille des indoles destinees a la teinture des cheveux
JPS57192310A (en) * 1981-05-20 1982-11-26 Kao Corp Hair dyeing agent composition
LU86474A1 (fr) 1986-06-16 1988-01-20 Oreal Composition tinctoriale pour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sous forme de mousse,a base de 5,6-dihydroxyindole
LU87128A1 (fr) 1988-02-08 1989-09-20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es fib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du 5,6-dihydroxyindole et au moins une paraphenylenediamine disubstituee sur l'un des groupements amino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CA1333690C (en) * 1988-05-12 1994-12-27 Thomas Matthew Schultz Process for dyeing hair by the sequential treatment with metal ion containing composition and dye composition containing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E69219710T2 (de) 1991-02-15 1998-01-22 Shiseido Co Ltd Saures haarfärbemittel
JPH0832618A (ja)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音声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音声メール交換装置
US5704949A (en) 1996-02-16 1998-01-06 Clairol Incorporat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hair dye product containing 5,6-dihydroxyindole
JP3663030B2 (ja) 1997-06-25 2005-06-22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HUP0102869A2 (hu) * 1998-06-23 2002-02-28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Keratin szálak színezésére szolgáló festőanyag
JP4488125B2 (ja) 1999-06-30 2010-06-23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EP1254650B1 (en) 2001-04-23 2007-07-18 Kao Corporation Hair dye composition
JP4886117B2 (ja) 2001-04-23 2012-02-29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染毛剤組成物
DE10120915A1 (de) 2001-04-27 2001-11-15 Henkel Kgaa Verfahren zur oxidativen Färbung keratinischer Fasern
JP4812195B2 (ja) 2001-08-07 2011-11-09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CN1599590A (zh) 2001-08-30 2005-03-23 有限会社野野川商事 毛发处理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3201222A (ja) * 2001-12-28 2003-07-18 Arimino Kagaku Kk 酸化染毛剤組成物および該酸化染毛剤組成物を使用した染毛方法
EP1366752A1 (en) 2002-05-28 2003-12-03 Kao Corporation Hair dye composition
DE10240758A1 (de) 2002-08-30 2004-03-11 Henkel Kgaa Neue Farbstoffkombination
DE10260834A1 (de) * 2002-12-23 2004-07-01 Henkel Kgaa Neue Kupplerkomponenten
DE10260835A1 (de) * 2002-12-23 2004-07-01 Henkel Kgaa Neue Färbemittel
KR100665342B1 (ko) 2004-11-04 2007-01-09 동성제약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산화형 염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0606A1 (en) 2009-03-04
KR101441697B1 (ko) 2014-09-17
US7857863B2 (en) 2010-12-28
WO2007141920A1 (ja) 2007-12-13
EP2030606B1 (en) 2017-03-29
US20100170048A1 (en) 2010-07-08
TWI386229B (zh) 2013-02-21
EP2030606A4 (en) 2014-01-22
TW200808370A (en) 200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570A (ko)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KR20090016572A (ko) 일제식 염모제 조성물
KR101117028B1 (ko) 염모용 조성물
EP2033625B1 (en) One-part hair dye composition
HU224431B1 (hu) Amfifil, nemionos polimert tartalmazó, keratintartalmú rostok festésére való oxidációs festékkészítmény és alkalmazása
JPH11199454A (ja) 2液式酸化染毛剤及び2液式脱色剤
KR20160064132A (ko) 분말염모제 조성물
EP3685820B1 (en) Liquid hair dye composition
JP5363702B2 (ja) 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H09255541A (ja) 脱色・染毛用組成物
JP5363701B2 (ja) 一剤式染毛剤組成物
JP2002097121A (ja) 酸化染毛剤組成物
JP2003081791A (ja) 酸化剤組成物、毛髪染色剤又は毛髪脱色剤
JP3992404B2 (ja) 泡状染毛剤組成物
JPH11199448A (ja) 毛髪化粧料
JP2018188397A (ja) 染毛剤組成物
CN117100624A (zh) 染发料组合物
KR19990072471A (ko) 2제제혼합식화장재료
JP2001240520A (ja) 染毛剤組成物
JP2002255757A (ja) 2剤型染毛用組成物
JP2002154939A (ja) 染毛用組成物
JP2021091612A (ja) 染毛剤組成物
JP2019064949A (ja) 染毛用第1剤組成物
RU2772277C2 (ru)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GB2590099A (en) Agent for oxidative lightening and bleaching of the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