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04U - 부분 보온용 접시 - Google Patents

부분 보온용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504U
KR20090010504U KR2020080004799U KR20080004799U KR20090010504U KR 20090010504 U KR20090010504 U KR 20090010504U KR 2020080004799 U KR2020080004799 U KR 2020080004799U KR 20080004799 U KR20080004799 U KR 20080004799U KR 20090010504 U KR20090010504 U KR 200900105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od
space
room temperature
w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360Y1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옥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란 filed Critical 김옥란
Priority to KR202008000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음식물을 서로 섞이지 아니하게 담으면서도, 일부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보온 접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에는 수증기로 보온음식물을 가온하는 보온공간과, 상온음식물을 담는 다수의 상온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된다.
또한, 보온공간은 접시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면에 따라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중앙벽에 의하여서 구획되고, 상온공간은 중앙벽과 접시몸체의 테두리면에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분할벽으로 구획된다.
이로써, 보온이 유지되는 보온공간과 상온이 유지되는 상온공간이 하나의 접시 위에 구획됨으로 보온음식물과 함께 섭취되는 상온음식물이 한 번에 담길 수 있어 조감을 좋게 하며, 식사시간 동안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각 음식물의 고유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온, 접시

Description

부분 보온용 접시{dish for keeping warm partially}
본 고안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접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음식물을 서로 섞이지 아니하게 담으면서도, 일부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보온 접시에 관한 것이다.
접시는 가장자리가 음식물이 담기는 바닥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널리 사용되는 식기이다. 식문화권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담기 위하여 복수의 접시가 사용되는데, 접시에 담기는 음식물은 상온에서 섭취되는 음식물과 수육, 보쌈 등과 같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데워진 상태에서 섭취되는 음식물로 나눠 볼 수 있다. 이때, 데워진 음식물이 접시에 담긴 경우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외기 온도와 열 교환되어 음식물이 식음으로써 맛이 떨어지므로, 식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음식물의 보온을 유지시킬 방안이 고안되었다.
일예로 실용공개번호 96-16304호(수육보온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연료가 타면서 그 열이 물그릇(2)을 가열하고, 물그릇에 담겨 있던 물이 데워지면 수증기가 발생하는데, 그 수증기가 수육재치판(1)을 가열하여 수육을 데 우도록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수육보온기”를 사용하는 경우 고체연료의 연소시간 동안 지속적인 보온 또는 가온이 가능하지만, 수육채치판 전체가 보온되므로 한 가지 음식물에 대한 전용 접시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데워진 음식물과 같이 섭취되는 반찬 등 상온에서 섭취되는 음식물은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따뜻한 온도로 데워진 상태에서 섭취되는 보쌈 고기와, 이 보쌈 고기와 함께 섭취되는 야채, 김치 등의 반찬이 함께 있는 음식의 경우에는 반찬을 담을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지 못하며, 별도로 사용된 접시는 따로 설거지하는 등 뒷 처리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음식점을 운영하는 측면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음식물을 보기 좋게 하여, 고객의 식욕을 자극함에 따라 타 경쟁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하는 전시성 측면과, 식사가 이루어진 후 설거지 등의 운영에 드는 관리의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접시에 여러 음식물이 서로 섞이지 아니하게 담아내어 보기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중 일부 음식물은 식사 시간 동안 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동일 접시에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음식물이 담길 수 있도록 고열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간접 가열하여 보온하는 공간과, 나머지 음식물은 상온을 유지하는 공간을 한 접시에 형성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고열 수증기를 발생시키기는 용기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보온되는 음식물의 온도를 사용자의 기호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차려진 상에서 조감시 음식물을 돋보이게 하면서, 고열 수증기를 발생시키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이 구비될 공간을 확보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수증기로 보온음식물을 가온하는 보온공간과, 상온음식물을 담는 다수의 상온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보온공간은 접시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면에 따라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중앙벽에 의하여서 구획되고, 상기 상온공간은 상기 중앙벽과 상기 접시몸체의 테두리면에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분할벽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에 따르면, 보온이 유지되는 보온공간과 상온이 유지되는 상온공간이 하나의 접시 위에 구획됨으로 보온음식물과 함께 섭취되는 상온음식물이 한 번에 담길 수 있어 조감을 좋게 하며, 식사시간 동안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각 음식물의 고유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을 한 접시 위에 구획되게 담을 수 있으므로, 음식상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분량의 음식물이 한눈에 띄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물통을 가열하여 발생시킨 고열 수증기로 보온음식물이 간접 가열되어 보온되면서, 고열 수증기는 중앙벽에 의하여 상온공간으로부터 차단됨에 따라 상온공간에 담긴 상온음식물은 상온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관통공 내부에 물통을 안치하여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게 구성하거나, 물이 담긴 물그릇을 관통공 상부에 얹혀 음식물을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접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체판에 형성되는 증기구멍은 어느 한 부분으로 편중되게 형성함에 따 라 보온공간에서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사용자의 기호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지다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부분 보온용 접시가 다른 식기들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부분 보온용 접시에 담긴 음식물을 돋보이게 하며, 보온공간의 하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이 놓일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인 부분 보온용 접시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는 통일하여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에는 수증기로 보온되어야 하는 대상 음식물(이하 보온음식물이라 함)을 간접 가열하여 보온케 하는 보온공간(W)과, 상온에서 섭취되는 대상 음식물(이하 상온음식물이라 함)을 담는 상온공간(C)이 구획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대략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바닥면(11)과, 이 바닥면에서 비스듬 한 경사를 가지며 연장형성되어 테두리면(12)을 가지는 접시몸체(10)에, 보온공간(W)은 바닥면(11)에 형성되는 관통공(13) 위에 형성되고, 상온공간(C)은 테두리면(12)을 구획하는 복수의 분할벽(15)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때, 분할벽의 수는 실시자의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예로, 도 2는 분할벽(15)이 6개 도시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공간(W)에는 하부에서 올라오는 수증기로 음식물을 덥히기 위하여, 관통공(13)의 내부에 걸림턱(13a)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3a)에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증기구멍(21)이 형성된 체판(20)이 설치된다. 즉, 체판(20) 위에 담겨지는 보온음식물은 수증기로 가온됨으로써, 식사 시간 동안 섭취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온공간(W)과 상온공간(C)을 구획하기 위하여, 관통공(13)의 내측면에 따라 상부로 중앙벽(14)이 연장형성된다.
이 경우, 바닥면(11)은 체판(20)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은 중앙벽(14)의 내벽으로 이루어지는 보온공간(W)이 형성됨으로써, 많은 양의 보온음식물을 한 번에 담아 보온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차려지는 보온음식물의 양이 많을 때 요긴한 것이다.
또한, 상온공간(C)은 전술된 바와 같이 중앙벽(14)에 의하여 보온공간(W)과 구획됨으로써, 보온공간을 통과한 고열의 수증기가 중앙벽의 내측을 타고 상부로 곧장 빠져나가므로, 중앙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온공간은 가온되지 아니한다.
한편, 전술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체판(20)과 걸림턱(13a) 사이에는 외주면이 걸림턱(13a)에 의하여 걸리는 물통(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물통에는 식사시간 동안 보온공간에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이 담겨지며, 물통의 아래에는 물통에 담긴 물을 덥히는 가열수단(H)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열수단(H)은 고체연료를 연소시키는 화로 또는 알코올 램프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물통과 걸림턱 사이에는 체판에서 추가로 부어지는 물이 물통 아래로 새지 못하도록 기밀하며, 물통에서 접시몸체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고무 패킹(도시 생략)이 개재될 수 있다.
이로써, 적어도 식사 시간 동안 화력을 유지하는 가열수단에 의하여 물통의 물이 덥혀지며, 물통에서 발생하는 고열 수증기가 체판의 증기구멍을 통하여 상승하므로, 체판 위에 담겨지는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식사시간 동안 섭취하기 적당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통(30)이 더 구비되는 경우, 접시몸체(10)의 하부에는 가열수단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다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다리 사이로 전술된 가열수단을 물통의 하부로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지지다리는 삼발이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온공간(C)은 전술된 바와 같이 중앙벽(14)에 의하여 보온공간(W)과 구획되면서, 접시몸체(10)의 바닥면(11)과 테두리면(12)에서 상부로 형성되는 적어 도 하나 이상의 분할벽에 의하여 다수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온공간은 분할벽에 의하여 복수로 형성되어, 각 상온공간 내에는 서로 다른 음식물이 담기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에 보온음식물과 함께 섭취되는 상온음식물을 다양하게 담을 수 있으므로 음식물이 보기 좋게 전시된다. 또한, 다양한 음식물을 하나의 접시에 담을 수 있어, 사용되는 접시의 수가 줄게 됨에 따라 설거지 등의 관리가 편해지는 것이다. 또한, 중앙벽에 상온공간의 온도가 상승하지 아니하므로, 상온공간에 담기는 상온음식물은 섭취하기 용이한 상온으로 유지된다.
또한, 물통의 물은 짧은 시간에 수증기를 발생할 정도로 가열되기 위하여 미리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은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 수단으로 수증기가 발생되기 전까지는 가열된 상태에서 차려지는 보온음식물의 자체 온도로 고유의 맛을 유지하게 되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흘러 보온음식물의 온도가 떨어질 즈음에는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데워 맛을 유지하게 된다.
더하여, 수육 등 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데워지는 물에 정종, 레몬 등이 첨가되면 수증기와 함께 향기가 발산되어 고기 특유의 냄새가 제거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체판(20)에 형성되는 증기구멍(21)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체판의 일부분에는 작은 크기로, 타부분은 큰 크기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체판의 일부면에 편중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로써, 체판 위에 놓이는 보온음식물이 보온됨에 있어서 증기구멍이 크게 형성된 부분 또는 증기구멍이 편중되게 형성된 부분은 보온효과가 크며, 증기구멍이 작게 형성된 부분 또는 증기구멍이 성기게 형성된 부분은 보온효과가 작게 되므로, 보온음식물의 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에는 전술된 접시몸체, 체판이 구비되되, 물통은 가열수단(H′)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다리에 삽입되어, 이 물통의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체판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시간 사용으로 물통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지지다리 사이에서 가열수단(H′)을 빼고 상부의 물통에 물을 보충한 다음 다시 체판의 아래로 위치시키면 되므로 물 보충이 간편해진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 초기에 물통에 적은 양의 물을 채워 빨리 데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의 기타 기능,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 중 전술된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와 중복되어 생략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에는 중앙벽(14)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고리부(51)가 형성된 물그릇(50)과, 이 물그릇(50)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52)에 안치되는 체판(20)이 구비된다.
물그릇(50)의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고리부(51)로 중앙벽(14)에 걸림으로써 안치되며, 이 물그릇에 담긴 물이 전술된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수증기가 발생된다.
또한, 물그릇(50)의 내측면에는 돌출턱(52)이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이 돌출턱(52)에는 다수의 증기구멍(21)이 형성된 체판(20)이 안치된다.
이 경우, 체판은 물그릇 내부에 형성된 돌출턱에 의하여 안치되므로, 관통공(13)의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접시몸체의 구조가 간단해져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물그릇의 배누에 형성되는 돌출턱의 위치를 달리 형성하여 보온음식물이 담기는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보온음식물의 돋보이게 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설명 외에 제3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1″)의 기능,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분 보온용 접시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보온용 접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접시 10 : 접시몸체
11 : 바닥면 12 : 테두리면
13 : 관통공 13a : 걸림턱
14,14′ : 중앙벽 15 : 분할벽
20 : 체판 21 : 증기구멍
30 : 물통 40 : 지지다리
50 : 물그릇 51 : 걸림고리부
52 : 돌출턱 W : 보온공간
C : 상온공간 H,H′ : 가열수단

Claims (7)

  1. 수증기로 보온음식물을 가온하는 보온공간(W)과, 상온음식물을 담는 다수의 상온공간(C)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2. 제1항에서,
    상기 보온공간(W)은 접시몸체(10)의 바닥면(11)에 형성되는 관통공(13)의 내측면에 따라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중앙벽(14)에 의하여서 구획되고,
    상기 상온공간(C)은 상기 중앙벽(14)과 상기 접시몸체의 테두리면(12)에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분할벽(15)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3. 제2항에서, 상기 보온공간(W)에는
    상기 수증기가 통과되도록 증기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3)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3a)에 안치되는 체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4. 제3항에서,
    상기 체판(20)과 걸림턱(13a) 사이에는 외주면이 상기 걸림턱(13a)에 걸리는 물통(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5. 제2항에서, 상기 보온공간(W)에는
    외측에 걸림고리부(51)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벽(14)의 상단에 안치되는 물그릇(50)과, 상기 물그릇(50)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52)에 안치되는 체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체판(20)에는 상기 수증기가 통과되는 증기구멍(21)이 일부면에 편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접시몸체(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보온용 접시.
KR2020080004799U 2008-04-11 2008-04-11 부분 보온용 접시 KR200448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99U KR200448360Y1 (ko) 2008-04-11 2008-04-11 부분 보온용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99U KR200448360Y1 (ko) 2008-04-11 2008-04-11 부분 보온용 접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504U true KR20090010504U (ko) 2009-10-15
KR200448360Y1 KR200448360Y1 (ko) 2010-04-07

Family

ID=4155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99U KR200448360Y1 (ko) 2008-04-11 2008-04-11 부분 보온용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4604A (zh) * 2013-11-29 2014-02-19 无锡睿网科技有限公司 多功能保温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13B1 (ko) * 2014-11-25 2015-08-25 김학수 부분 보온용 접시
KR101610247B1 (ko) * 2014-11-25 2016-04-07 김학수 부분 보온용 접시
KR101737608B1 (ko) 2015-04-23 2017-05-19 이은선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3774U (ko) 1986-01-09 1987-07-20
JPS6342272U (ko) * 1986-09-06 1988-03-19
US4989419A (en) * 1990-06-08 1991-02-05 Branello Industries, Inc. Chill-retention food service tray
KR20030013079A (ko) * 2001-08-07 2003-02-14 황익현 얼음 내재용 공간이 마련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4604A (zh) * 2013-11-29 2014-02-19 无锡睿网科技有限公司 多功能保温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360Y1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360Y1 (ko) 부분 보온용 접시
KR101566266B1 (ko) 구이기구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US20100230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food
KR102261778B1 (ko) 확장 사용이 가능한 가열장치
KR20150069457A (ko) 반찜기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101174869B1 (ko) 기름배출 조정을 위한 이중불판
KR200450880Y1 (ko) 조립식 조리 기구
KR101304222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보온조리용기
KR200439220Y1 (ko) 불판 열을 이용한 가온 용기
KR200441724Y1 (ko) 다용도 요리기.
KR101610247B1 (ko) 부분 보온용 접시
KR101043790B1 (ko) 구이기
JP5255354B2 (ja) 保温用食器
KR101546913B1 (ko) 부분 보온용 접시
CN214017117U (zh) 一种高效蒸蛋装置
TWM463098U (zh) 鍋具結構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