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608B1 -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 Google Patents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608B1
KR101737608B1 KR1020150057582A KR20150057582A KR101737608B1 KR 101737608 B1 KR101737608 B1 KR 101737608B1 KR 1020150057582 A KR1020150057582 A KR 1020150057582A KR 20150057582 A KR20150057582 A KR 20150057582A KR 101737608 B1 KR101737608 B1 KR 10173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dish
keeping function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504A (ko
Inventor
이은선
Original Assignee
이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선 filed Critical 이은선
Priority to KR102015005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6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7Table-war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는 교체가능한 다수의 반찬 소접시가 일체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메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유지되게 하여 초기 음식의 맛이 지속적으로 보존되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음식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열원 수용구; 중앙에 상기 받침대가 위치되며,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접시 플레이트; 상기 접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반찬 소접시; 상기 접시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받침대 내의 열원 수용구에 놓이며 중앙부가 관통된 보온체 수용구; 및 상기 보온체 수용구에 안착되는 보온체;를 포함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FUNCTIONAL DISH WITH HEAT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보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장자리에는 교체 가능한 다수의 반찬 소접시가 일체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메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유지되게 하여 초기 음식의 맛이 지속적으로 보존되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음식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은 그 종류에 따라 차게 먹을 때 제 맛이 나는 경우와 따뜻한 상태로 먹을 때 제 맛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 예컨대 생선회 등을 먹을 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 초기의 온도 상태가 변하여 음식물의 제 맛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보쌈 등과 같이 따뜻한 상태에서 섭취해야 더 맛있는 음식물인 경우에 그 보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열된 상태의 금속재의 보온 그릇에 음식물을 올려놓거나, 그릇을 가열하여 음식물의 따뜻한 상태가 지속 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온 방법은 넓은 면적의 보온 그릇 둘레에서 보온 그릇의 냉기 또는 열기가 대기 중으로 신속히 발산되어 효과가 미비하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온 전용 접시는 신선한 회와 같이 차가운 상태로 섭취해야 하는 음식물이나 보쌈과 같이 데워진 상태로 섭취해야 하는 음식물과 함께 섭취되는 반찬 등의 음식물은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따뜻한 온도로 데워진 상태에서 섭취되는 보쌈 고기와, 이 보쌈 고기와 함께 섭취되는 야채, 김치 등의 반찬이 함께 있는 음식의 경우에는 반찬을 별도의 접시에 담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음식점을 운영하는 측면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음식물을 보기 좋게 하여, 고객의 식욕을 자극함에 따라 타 경쟁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하는 전시성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796호(2007.02.13)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360호(2010.03.30)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 다수의 반찬 소접시가 분리가능하면서도 일체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메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유지되게 하여 초기 음식의 맛이 지속적으로 보존되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메뉴를 중심으로 음식물을 보기 좋게 하여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고, 고객의 식욕을 자극함에 따라 타 경쟁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하여 전시성 측면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메뉴 주변의 음식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기능성을 높이고, 주변 음식물을 리필하기 위하여 공간이 비어있더라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다른 소접시들이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열원 수용구; 중앙에 상기 받침대가 위치되며,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접시 플레이트; 상기 접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반찬 소접시; 상기 접시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받침대 내의 열원 수용구에 놓이며 중앙부가 관통된 보온체 수용구; 및 상기 보온체 수용구에 안착되는 보온체;를 포함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통형태로 형성되며,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원 수용구는 온열원 또는 냉열원이 위치되는 통형태의 메인 수용체, 및 상기 메인 수용체 외연의 등간격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살과 림(rim) 및 지지 레그(leg)로 구성되어 상기 보온체 수용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시 플레이트는 수용 구멍을 갖는 보어부(bore portion); 상기 보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어부의 외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원반 플레이트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안착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부 사이의 단면 형태는 상기 반찬 소접시의 하면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 수용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 수용구는 통형태로 형성되며 내벽면에는 상기 보온체가 일정 높이에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 또는 안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는 돌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열 유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접시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가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에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접시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보어부(bore portion)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의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 단턱부에 안착되는 안착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어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의 보어부의 상호 접촉면에는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의 보어부의 상호 접촉면 중 하나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홈과 다른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정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 각각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반구형 홈과 반구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 다수의 반찬 소접시가 분리가능하면서도 일체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메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유지되게 하여 초기 음식의 맛이 지속적으로 보존되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중심의 메인 메뉴를 주변의 음식물들을 보기 좋게 하여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고, 고객의 식욕을 자극함에 따라 타 경쟁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하여 전시성 측면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메인 메뉴 주변의 음식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기능성을 높이고, 주변 음식물을 리필하기 위해 공간이 비어있더라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다른 소접시들이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일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타측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일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타측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열원 수용구(200); 중앙에 상기 받침대(100)가 위치되며, 상기 받침대(100)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접시 플레이트(300); 상기 접시 플레이트(300) 둘레에 놓이는 복수의 반찬 소접시(400); 상기 접시 플레이트(300)를 통해 상기 받침대(100) 내의 열원 수용구(200) 위에 놓이며 중앙부가 관통된 보온체 수용구(500); 및 상기 상기 보온체 수용구(500) 내에 안착되는 보온체(60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전체적으로 통형태로 형성되며,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위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경우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몸체의 형태는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사각의 통 형태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회전수단을 통해 받침대와 접시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상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100)의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통구(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원 수용구(200)는 상기 받침대(100) 내측에 위치되어 후술할 보온체(600)에 놓여지는 보쌈 또는 회와 같은 음식물에 맞게 해당 음식물에 대한 보온을 유지하도록 온열원 또는 냉열원이 구비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열원 수용구(200)는 도면에 나타낸 일예에서는, 온열원 또는 냉열원이 위치되는 통형태의 메인 수용체(210), 및 상기 메인 수용체(210) 외연의 등간격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살과 림(rim) 및 지지 레그(leg)로 이루어져 보온체 수용구(500)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수용체(210)에는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보온체에 온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초와 같은 가열원이 위치될 수 있고, 보온체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얼음이나 시각적 효과까지 가미하기 위한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냉열원이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시 플레이트(300)는 수용 구멍을 갖는 보어부(bore portion)(310)와, 상기 보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어부(310)의 외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반 플레이트부(320), 및 상기 원반 플레이트부(32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안착턱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턱부(330)는 일정 간격을 갖고 다수 형성되는데, 안착턱부(320) 간의 단면 형태는 원반 플레이트부(320)에 놓이는 반찬 소접시(400)의 하면의 단면 형태로 대응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찬 소접시(400)가 원반 플레이트부(320)의 안착턱부(320)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반찬을 리필하기 위해 반찬 소접시가 없는 상태에서도 안착턱부(320)에 의해 다른 반찬 소접시들은 흐트러지지 않고 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반찬 소접시(400)는 접시 플레이트(300)의 원반 플레이트부(320)에 놓이는 것으로, 작은 접시 형태로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반찬 소접시 전체를 원반 플레이트부(320)에 놓을 때 그 원반 플레이트부(320)의 둘레 전체에 정렬되게 놓이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온체 수용구(500)는 중앙부가 관통되며 전체적으로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는 그릇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보온체 수용구(500)는 그 형상 자체가 원추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중앙의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큰 보온체가 그 내벽면에 안착될 수 있는데, 보온체(600)가 미리 설계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보온체 수용구(500)의 내측에는 보온체(600)가 일정 높이에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 또는 안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온체(600)는 열전도도가 좋은 재질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온체(600)는 시각적 효과 및 청결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대리석과 같은 원형의 돌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열 유통공(6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접시는 상기 받침대(100)와 상기 접시 플레이트(300)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가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에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접시 플레이트(300)의 보어부(310)가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의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 단턱부에 안착되는 안착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300)의 상호 접촉면에는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이 가이드 레일부재는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300)의 상호 접촉면 중 하나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홈과 다른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정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스토퍼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반구형 홈과 반구형 돌기가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 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반찬 소접시가 분리가능하면서도 일체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부에는 메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차갑게 또는 뜨겁게 유지되게 하여 초기 음식의 맛이 지속적으로 보존되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고, 중심의 메인 메뉴를 주변의 음식물들을 보기 좋게 하여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고, 고객의 식욕을 자극함에 따라 타 경쟁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도록 하여 전시성 측면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으며, 메인 메뉴 주변의 음식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기능성을 높이고, 주변 음식물을 리필하기 위해 공간이 비어있더라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다른 소접시들이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받침대
110: 공기 유통구
200: 열원 수용구
210: 메인 수용체
220: 지지체
300: 접시 플레이트
310: 보어부(bore portion)
320: 원반 플레이트부
330: 안착턱부
400: 반찬 소접시
500: 보온체 수용구
600: 보온체
610: 열 유통공

Claims (13)

  1.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열원 수용구;
    중앙에 상기 받침대가 위치되며,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평면상으로 구비되는 접시 플레이트;
    상기 접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반찬 소접시;
    상기 접시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받침대 내의 열원 수용구에 놓이며 중앙부가 관통된 보온체 수용구; 및
    상기 보온체 수용구에 안착되는 보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시 플레이트는
    수용 구멍을 갖는 보어부(bore portion);
    상기 보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어부의 외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원반 플레이트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안착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턱부 사이의 단면 형태는 상기 반찬 소접시의 하면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통형태로 형성되며,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수용구는
    온열원 또는 냉열원이 위치되는 통형태의 메인 수용체, 및
    상기 메인 수용체 외연의 등간격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살과 림(rim) 및 지지 레그(leg)로 구성되어 상기 보온체 수용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 수용구는 중앙부가 관통된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 수용구는 통형태로 형성되며 내벽면에는 상기 보온체가 일정 높이에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 또는 안착 돌기가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체는 돌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열 유통공이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접시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가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에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접시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보어부(bore portion)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의 내측 단턱부 또는 외측 단턱부에 안착되는 안착 단턱부를 갖고 형성되어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의 보어부의 상호 접촉면에는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와 접시 플레이트의 보어부의 상호 접촉면 중 하나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홈과 다른 접촉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정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에 각각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 반구형 홈과 반구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보온기능을 갖는 기능성 접시.
KR1020150057582A 2015-04-23 2015-04-23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KR10173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82A KR101737608B1 (ko) 2015-04-23 2015-04-23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82A KR101737608B1 (ko) 2015-04-23 2015-04-23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04A KR20160126504A (ko) 2016-11-02
KR101737608B1 true KR101737608B1 (ko) 2017-05-19

Family

ID=5751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82A KR101737608B1 (ko) 2015-04-23 2015-04-23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83B1 (ko) * 2016-12-23 2018-08-09 백금순 도광판부를 구비한 접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069A (ja) * 1999-02-03 2000-08-15 Nippon Suisan Kaisha Ltd 簡単に小分けできる食品用トレー
KR100557078B1 (ko) * 2003-11-0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48360Y1 (ko) * 2008-04-11 2010-04-07 김진하 부분 보온용 접시
KR200450595Y1 (ko) * 2009-10-16 2010-10-15 곽상현 다기능 회전식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96Y1 (ko) 2006-09-21 2007-02-20 정의갑 보온 및 보냉용 접시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069A (ja) * 1999-02-03 2000-08-15 Nippon Suisan Kaisha Ltd 簡単に小分けできる食品用トレー
KR100557078B1 (ko) * 2003-11-0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48360Y1 (ko) * 2008-04-11 2010-04-07 김진하 부분 보온용 접시
KR200450595Y1 (ko) * 2009-10-16 2010-10-15 곽상현 다기능 회전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04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336B1 (en) Temperature-storing cup/pot structure
US5290997A (en) Rotary electric stove for heating and warming food at a table
KR101737608B1 (ko) 보온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접시
KR20090120927A (ko) 음식물 보온용기
KR200448360Y1 (ko) 부분 보온용 접시
EP3295841B1 (en) Cooking device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30083170A (ko) 냉,온 축열되는 그릇 받침대 및 제조방법
KR102233279B1 (ko)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200440635Y1 (ko) 가열수단이 장착되는 그릇받침대
JP6197159B1 (ja) 卓上ガスコンロ用回転テーブル台
US6369367B1 (en) Cooking apparatus
JP3166486U (ja) 焼肉用鋳鉄鍋
CN104887021B (zh) 内置式沸水保温托盘
JP3125288U (ja) 保温膳
ES2613749T3 (es) Pastilla de salsa, pieza de carne con pastilla de salsa y elementos para la realización de un preparado de carne
KR101899757B1 (ko) 상하로 회전되는 구이판이 구비되는 구이장치
JP2010023888A (ja) 保温用食器
JPS5854030Y2 (ja) 加熱調理器
KR20160059058A (ko) 휴대용 보온기
JP2001292898A (ja) 湯浴保温調理器兼用加湿器
KR200409159Y1 (ko) 회전 테이블 조립체
ES2244041T3 (es) Combinado de servicio de mesa calentador e isotermico.
KR20210055925A (ko) 회전이용이 가능한 회전테이블 조립
JPH02383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