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11A -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 - Google Patents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711A
KR20090007711A KR1020087025329A KR20087025329A KR20090007711A KR 20090007711 A KR20090007711 A KR 20090007711A KR 1020087025329 A KR1020087025329 A KR 1020087025329A KR 20087025329 A KR20087025329 A KR 20087025329A KR 20090007711 A KR20090007711 A KR 2009000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mass
ink composition
parts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966B1 (ko
Inventor
아키히코 마츠야마
다모츠 아루가
나오야 모로호시
도루 오시마
히로시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17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71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26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9000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40Ink-set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inkjet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과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잉크 매체 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며, 표면 장력이 25℃에서 20∼35 mN/m이고, 상기 기록 매체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며,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고, 접촉시간 4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l/m2 미만이다.

Description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INK MEDIA SET, INK COMPOSITION,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RECORDED MATTER}
본 발명은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잉크 조성물 및 잉크 매체 세트와 잉크 젯 기록 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매체 세트를 이용하는 잉크 기록물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특히 소음이 적고 가동 비용이 낮다는 이점 때문에 인기를 모았고 보통지에 인쇄 가능한 컬러 프린트도 괄목할 정도로 시장에 보급되어 왔다. 그러나, 화상의 착색 재현성, 내마모성, 내광성, 내가스성, 내수성, 화상의 건조성, 문자 번짐(페더링), 색경계에서의 번짐(컬러 블리드), 베타부 농도 불균일(비딩), 양면 인쇄성 및 토출 안정성을 비롯한 모든 필요한 특성을 만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각각의 용도의 우선되는 특징에 따라 잉크 조성물 및 기록 매체를 선택한다.
잉크젯 기록을 위한 잉크 조성물은 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에 착색제와 눈막힘 방지의 목적에서 글리세린과 같은 습윤제를 혼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착색제는 주로 선명한 발색를 얻을 수 있는 수용성 염료이다.
그러나, 염료는 내광성, 내가스성 및 내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통지에 있어서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품질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 흡수층을 갖는 잉크젯 전용 기록지를 사용하여 이러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품질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우수한 내광성, 내가스성 및 내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관점에서수년간 안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안료는 염료에 비하여 발색성이 떨어진다. 그 이유는 안료 내부에서 빛의 다중 반사에 의하여 다른 파장 및 위상의 빛이 간섭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의 착색제로서 안료를 이용하는 경우, 보통지에 있어서의 채도의 저하 및 잉크젯 전용 기록지에 있어서의 광택도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료 입자의 미세화에 의하여 채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안료 입자 상에 중합체 코팅에 의하여 광택도를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지만, 여전히 염료와의 발색성의 차는 존재한다.
또한, 보통지와 같은 흡수성이 높은 용지 및 잉크젯 전용 기록 용지가 잉크젯 기록을 위한 기록 매체로서 이용되며, 이러한 용지는 일반적으로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 에서 35 m1/m2를 넘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40 m1/m2를 넘는다.
이와 같이 흡수성이 높은 보통지는 얇고 저가라는 이점이 있지만, 잉크 조성 물의 착색 성분이 종이의 내부에 침투하기 쉬워 표면에 남는 착색 성분의 양이 적어지므로 발색성이 나쁘고 가라앉은 인상의 화상이 되어 버린다. 잉크젯 전용 기록지의 흡수성은 표면에 무기 안료 또는 흡수성 중합체의 층을 설치함으로써 부여될 수 있으므로, 표면 부근에 착색 성분이 잔류하고 높은 발색성을 얻을 수 있으나, 잉크젯 전용 기록 용지는 보통지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지고 종이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 표면에 수용층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중합체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필름은,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 에서 2 m1/m2 미만이며 접촉 시간 400 ms에서 3 m1/m2 미만이다.
기록 매체로서 중합체 필름은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스퍼(이하에서는 자주 "스퍼 얼룩"이라 함)에 의한 오프셋 얼룩 및 잉크 탈락, 비딩 및 적층시 이면 번짐과 같은 문제가 종종 발생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 표면 코트지를 예시할 수 있다. 표면 코트지는 일반적으로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시간 100 ms에서 2∼35 m1/m2이며 접촉 시간 400 ms에서 3∼40 m1/m2이다. 표면 코트지는 기록 매체로서 오프셋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와 같은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두께가 얇고 가격도 보통지와 큰 차이는 없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 착색제가 안료인 수성 잉크젯 잉크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착색제가 표면에 잔류 하기 때문에 발색성이 우수하고 광택도가 높은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착색제가 수성 염료인 경우, 착색제가 표면에 남아있지 않고 수분 또는 수성 용매와 함께 표면 코팅층의 공극을 통해서 기재(셀룰로오스)로 이동하므로, 밀도가 낮고 흐릿한 발색이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안료 잉크를 이용하면, 고발색 화상을 얻을 수 있지만, 잉크 조성물의 건조가 느리기 때문에 스퍼 오염, 비딩 및 적층시 이면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잉크 조성물의 건조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강알카리성 잉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제안으로서는, 취급상의 위험이 있어, 중성지로서는 정착성이 대폭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비쳐 보이기 쉬워 양면 기록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불용성의 유기 용매를 액매로서 함유하는 유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기록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안으로서는, 정착성에는 우수하지만, 유기 용매의 악취 및 안전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업적인 용도로만 제한되므로, 사무실 및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 같은 상황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또는 저표면장력의 계면활성제를 다량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이러한 제안의 잉크 조성물의 건조 속도는 종래의 잉크 조성물에 비하여 인쇄 후의 건조 속도가 우수할 수 있지만,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기록 장치로부터 나온 인쇄물을 곧 손으로 잡으면 손이 더러워지거나 또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페더링이 현저할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 왁스형 고체인 잉크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토출시시켜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인쇄 문자의 두드러짐을 야기하여 인쇄된 문자의 전이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며 및/또는 수 매의 인쇄물을 쌓아 방치하면 종이끼리가 달라 붙는다. 또한, 잉크조성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게 된다.
문자 인쇄 후에 기록지를 가열하는 건조 촉진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그러나, 이 제안으로서는, 가열 롤러 및 온풍 발생기와 같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커져 사무실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염료를 베이스로 하는 착색제는 안료를 베이스로 하는 착색제와 비교하여 발색성이 우수하지만, 내광성, 내가스성 및 내수성이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떨어지므로 보통지에 있어서는 허용할 수 있는 품질에 이르지 못한다.
내광성, 내가스성 및 내수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착색제를 이용하여 중합체 미립자 내에 염료를 용해 또는 포함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5 내지 8 참조). 이들 제안에서 염료는 주로 수불용성이며, 염료의 고발색성을 유지하면서 내수성 및 내가스성은 안료와 동등하다. 그러나, 이들 제안은 보통지 또는 잉크젯 전용 기록지 상의 기록에 한정되고,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 구체적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에서 4 m1/m2 미만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5 m1/m2 미만인 것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비딩이 발생하고 건조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염료를 베이스로 한 착색제를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도포하는 경우의 건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염료를 중합체 에멀션에 포함시키고 수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높게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9 참조). 그러나, 이 제안으로서는, 점도가 높아 잉크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높아지고 건조가 촉진되므로 흡수성이 높은 기록지에는 유효할 수 있지만,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보통지 및 잉크젯 전용 기록지뿐만 아니라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잉크젯 기록용 기록 매체는 보통지 및 잉크젯 전용 기록지와 유사한 높은 잉크 흡수성을 보이며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일반적으로 접촉 시간 100 ms에서 15 m1/m2 를 넘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20 m1/m2 를 넘는 것에 해당한다. 이렇게 양호한 흡수성을 갖는 보통지는 얇고 저가여서 유리하지만, 잉크의 색 성분이 종이로 침투하므로 비쳐 보이고 표면에 발색 성분의 양이 적어지므로 발색성이 불량하고 화상이 칙칙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 생한다. 다른 한편, 전용 기록지는 표면에 수분 흡수성 중합체 또는 무기 안료 층을 배치함으로써 흡수성이 제공되므로, 발색 성분이 표면 주위에 남아 고도의 발생성이 유도될 수 있지만, 잉크젯 전용 기록지는 보통지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지고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잉크 조성물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4 m1/m2 미만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7 m1/m2 미만인 정도로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로서는, 표면에 수용층이 없는 중합체 필름이 이러한 기록 매체로서 예시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 중합체 필름은 잉크를 거의 흡수할 수 없으므로 스퍼 얼룩으로 인한 오프셋 얼룩 및 잉크 누락, 비딩 및 적층시 이면 번짐과 같은 문제가 종종 발생하므로 실용적이지 못하다.
잉크 조성물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4∼15 m1/m2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7∼20 m1/m2인 정도로 상기 개시한 기록 매체 중에서 잉크 흡수성이 중간 정도인 기록 매체로서는, 오프셋 인쇄 및 그라비아 인쇄와 같은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표면 코트지가 예시된다. 이들 기록 매체는 얇고 가격도 보통지의 가격과 별 차이 없다. 이들 기록 매체에서는 잉크의 건조가 느리므로 스퍼 얼룩, 비딩 및 적층시 이면 번짐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일어난다.
수성 잉크젯 잉크를 사용하여 이들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용해 상태에서 수용성 염료와 같은 착색제가 표면에 남지 않고 수분 및 수성 용매와 함 께 표면에 있는 코팅층의 공극을 통하여 기판(셀룰로오스)으로 이동하므로 심각한 비딩 및 비쳐 보임, 낮은 밀도 및 칙칙한 착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안료와 같은 착색제가 분산 상태에 있는 경우, 이러한 착색제는 표면에 잔류하므로 수용성 염료에 비하여 발색성이 우수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불량한 발색성이 안료만큼 개선될 수 없으므로 발색성이 불만족스러운 화상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 지용성 염료 및 분산 염료와 같은 수불용성 염료를 분산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착색제가 표면에 잔류할 수 있어 종종 선명한 착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수불용성 염료가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대하여 가장 적당하다고 고려된다. 그러나, 수불용성 염료는 잉크 중의 유기 용매내로 용해되어 잉크 비히클내로 일부 용해되며, 이 용해 상태의 염료가 염료에 고유한 선명한 발색의 원인이다. 따라서, 염료의 용해 함량이 과도할 경우, 수용성 염료와 마찬가지로 비딩 및 비쳐 보임의 발생, 저밀도 및 칙칙한 발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개시한 건조성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액체 매질로서 수불용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오일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기록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제안은 유기 용매의 악취 및 안정성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여 사무실 및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 곤란하므로 정착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인 용도가 제한된다.
염료의 내광성, 내가스성 및 내수성의 개선을 위하여, 중합체 미립자내에 염료를 용해 또는 포함시킨 착색제가 특허 문헌 5∼8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0에는 무기 안료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제안에 의하 면, 안료와 동등한 내수성 및 내가스성을 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그 용도는 보통지나 잉크젯 전용 기록지 상의 기록에 한정되므로, 본 발명과 같은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의 비딩 및 건조성과 같은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과 같이 아트지 및 인쇄 용지와 같은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안료 잉크 또는 염료를 중합체로 코팅한 착색 중합체 미립자 잉크를 인쇄하는 것이 특허 문헌 11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착색제가 잉크 비히클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며 미립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잉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착색제를 부분적으로 용해함으로써 발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JP-A) 63-2996호
특허 문헌 2 JP-A 60-34992호
특허 문헌 3 JP-A 02-18710호
특허 문헌 4 JP-A 2003-72059호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JP-B) 7-268260호
특허 문헌 6 JP-B 3817813호
특허 문헌 7 JP-B 3839894호
특허 문헌 8 JP-B 2977817호
특허 문헌 9 JP-A 2005-306899호
특허 문헌 10 JP-A 2006-307165호
특허 문헌 11 JP-A 2006-206666호
본 발명은 업계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개시한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보통지 또는 잉크젯 전용지뿐만 아니라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 및 잉크 조성물, 상기 잉크 매체 세트를 이용한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개시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즉, 특정 잉크 조성물과 특정 기록 매체를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보통지 또는 잉크젯 전용지뿐만 아니라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지견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상기 지견에 기초하는 것으로, 상기 개시된 과제들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1> 잉크 조성물과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잉크 매체 세트로서,
상기 잉크 조성물이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며, 표면 장력이 25℃에서 20∼35 mN/m이며,
상기 기록 매체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며, 동적주사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고, 접촉시간 4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l/m2 미만인 잉크 매체 세트.
<2> 잉크 조성물의 점도가 25℃에서 5∼50 mPaㆍs인 <1>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3> 염료가 지용성 염료 및 분산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인 <1> 또는 <2>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4> 무기 안료 입자가 이산화티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및 실리카 입자 중 하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5> 염료 및 무기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6> 염료 및 무기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경이 5∼200 nm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7> 수용성 용매가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3-메틸-1,3-부탄디올 중 적어도 하나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8> 탄소수 8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및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
<9> 잉크 조성물 및 상기 잉크 조성물을 부착시켜 인쇄를 행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잉크 매체 세트로서,
상기 잉크 조성물이 유기 용매, 물 및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착색제가 물 및 유기 용매에 분산 상태 및 용해 상태로 존재하며,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여과로 분리한 후 용해 상태의 착색제의 양이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총량에 대하여 10% 이하이고,
상기 기록 매체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며,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4∼15 m1/m2이며, 접촉 시간 4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7∼20 ml/m2인 잉크 매체 세트.
<10> 유기 용매, 물 및 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제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물 및 유기 용매에 분산 상태 및 용해 상태로 존재하며,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여과로 분리한 후 용해 상태의 착색제의 양이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총량에 대하여 10% 이하인 잉크 조성물.
<11>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용기 중에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
<12>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상기 잉크 조성물의 토출을 통하여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방법.
<13> 자극이, 열, 압력, 진동 및 빛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2>에 따른 잉크젯 기록 방법.
<14>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상기 잉크 조성물의 토출을 통하여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5> 자극이, 열, 압력, 진동 및 빛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4>에 따른 잉크젯 기록 방법.
<16>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포함하는 잉크 기록물.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는 잉크 조성물 및 기록 매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고 25℃에서의 표면 장력이 20∼35 mN/m이며, 상기 기록 매체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한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l/m2 이상 35 m1/m2 미만, 접촉 시간 400 ms에서의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1/m2 미만이다.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는 채도가 높고 양호한 색조를 갖는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염료를 이용함으로써, 보통지나 전용 기록지에 있어서 안료에 비교하여 발색성이 좋은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무기 안료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발색성이 한층 더 높은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중합체에 포함시킴으로써, 내가스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의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1/m2 미만과 같이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수성 염료 잉크와 같은 화상의 가라앉음이 없이 안료 잉크에 비하여 발색성이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가 제공된다.
더욱이,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대하여 건조가 느리고, 착색제의 정착에 시간이 소모되는 점에 대하여도, 잉크 조성물의 25℃에서의 표면 장력을 20∼35 mN/m으로 조절함으로써 비딩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고도로 정밀하고 품질이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유기 용매, 물 및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 매체 세트 및 잉크 조성물이 부착되어 인쇄를 행하는 기록 매체로 인하여, 착색제는 물 및 유기 용매 중에 분산된 상태 및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며, 한외 여과(이의 분자량 한계치는 50,000임)로 분리 후 용해된 상태에서의 착색제의 양은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하이고, 기록 매체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고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한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4∼15 ml/m2, 접촉 시간 4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7∼20 m1/m2이며, 번짐 또는 비쳐 보임 없이 지지체 또는 매체 상에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은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해당 잉크 조성물을 토출시켜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은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에 인쇄함으로써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해당 잉크 조성물을 토출시켜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수단을 갖는 것에 의해, 채도가 높고 양호한 색조의 고품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에 의하여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통지나 잉크젯 전용지뿐만 아니라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 및 상기 잉크 매체 세트를 이용한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잉크 조성물을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를 탑재하는 직렬형 잉크젯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장착하기 전의 잉크 카트리지를 예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기록 헤드와 일체화된 기록 유닛을 예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열 정착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가열 수단과 인쇄 부분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가용성 함량의 측정 및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기 용매 및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이고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착색제는 물 및 유기 용매에 분산된 상태 및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고 분산된 상태에서 착색제의 양은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여과에 의한 분리 후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하이며,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갖는 기록 매체에 상기 잉크 조성물을 도포할 경우 지지체(매체)에서의 번짐 또는 비쳐 보임이 없이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이 얻어질 수 있고, 잉크 조성물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은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4∼15 m1/m2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7∼20 m1/m2이다.
본 발명과 같이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지용성 염료 및 분산 염료와 같은 수용성 염료는 수용성 염료 및 안료보다 발색성이 우수할 수 있다. 수불용성 염료는 잉크 중의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가용성 함량이 잉크 중의 착색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3%일 경우, 분산 또는 비쳐 보임의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용해된 염료의 고유의 선명한 발색으로 인하여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착색제의 가용분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의 선택이 중요하며, 과도한 용출을 막는 본 발명에 적합한 유기 용매의 예에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콜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및 탄소수 8 이상의 폴리올이 포함된다.
또한, 수불용성 염료는 보통지 및 전용 기록지에서도 수용성 염료에 비하여 선명한 발생성을 갖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내수성이 안료 수준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내광성 및 내가스성도 염료를 중합체에 포함시키거나 무기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입자 상태로 함으로써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잉크 조성물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에서 4∼15 m1/m2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7∼20 m1/m2인 정도로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더라도, 수성 염료 잉크와 같이 번짐, 비쳐 보임 또는 화상의 가라앉음 없이 안료 잉크에 비하여 채도가 높은 색조가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조성물, 잉크 매체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및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대하여 건조가 느리고 착색제의 정착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에 대하여도, 잉크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20∼35 mN/m으로 조절함으로써 비딩을 억제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도를 25℃에서 5∼30 mPaㆍs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페더링 또는 비딩이 없 는 잉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딩"이란 잉크젯 기록시에 기록 매체 표면에 토출된 잉크 액적이 후속 잉크 액적이 도달할 때까지 기록 매체 표면에 잔류하여 후속 잉크 방울과 혼합되어 잉크내 착색제의 일부가 덩어리져서 밀도 불균일이 발생할 때까지 기록 매체 상에 완전히 흡수될 수 없는 밀도 불균일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최근의 일반적인 프린터에서 상기 접촉 시간이 느리더라도 100 ms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기록 매체로 흡수된 잉크의 양과 관계가 있는데, 예컨대, 그린 화상부의 경우, 비딩의 정도는 옐로우(Y) 또는 시안(C) 잉크가 토출된 때로부터 C 또는 Y 잉크가 토출될 때까지의 사이에 기록 매체에 흡수 또는 전달되는 Y 또는 C 잉크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 분산 상태와 용해 상태는 입경 5 nm를 경계로 구별된다. 이러한 경계선은, 5 nm의 입경이 분자량 50,000 정도의 유기물에 대략 해당하고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하는 착색제가 드문 것으로부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분산 상태와 용해 상태를 나누는 방법은 종래의 여과 장치 또는 원심 분리 장치, 더 바람직하게는 한외 여과 장치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 여과로 분리한 용해 상태의 착색제의 함량이 착색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3%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용성 착색제의 함량이 전체 착색제를 기준으로 하여 10%보다 많으면, 잉크비히클에 용해된 착색제가 기록 매체에 인쇄 후 비히클의 침투에 따라 이동하므로 화상 번짐(페더링) 및/또는 이면 인쇄(비쳐 보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은 기록 매체와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며 잉크 조성물의 기록 매체에의 전이량이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4∼15 m1/m2이고 접촉시간 400 ms에서 7∼20 m1/m2인 경우 현저히 나타난다. 가용성 착색제의 함량이 전체 착색제를 기준으로 하여 3%∼10%일 경우, 이면 인쇄(비쳐 보임)는 상기 개시한 기록 매체 상에서 잘 발생하지 않지만 화상 번짐(페더링)은 허용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용성 착색제의 함량이 전체 착색제의 3%인 경우, 상기 개시한 기록 매체 상에 화상 번짐(페더링)도 이면 인쇄(비쳐 보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착색제는 용해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더 우수한 발색성을 보이며, 착색제의 0.5% 이상이 용해 상태로 있으면 거의 분산 상태로 있더라도, 충분히 선명한 발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용성 착색제의 함량이 전체 착색제를 기준으로 하여 0.5%보다 적으면 상기 기록 매체와 조합되어 허용 가능한 범위내일지라도 칙칙한 발색이 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가용성 착색제의 함량을 상기 개시한 범위로 하기 위하여, 중합체와 배합함으로써 착색제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합체의 함량을 적절하게 증감시키거나 또는 염료와 적당한 밀착성을 갖는 중합체종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2종 또는 3종의 유기 용매를 조합하여 용해능, 수분 보유능, 침투성 등의 관점에서 착색제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잉크 매체 세트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는 잉크 조성물, 기록 매체 및 기타 임의의 성분을 포함한다.
잉크 조성물은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며 표면 장력이 25℃에서 25∼35 mN/m이다.
기록 매체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에서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고 접촉 시간 400 ms에서 3 m1/m2 이상 40 m1/m2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매체 세트는 잉크 조성물 및 기록 매체를 포함하므로 보통지 또는 잉크젯 전용 기록지뿐만 아니라 잉크 흡수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잉크 조성물
잉크 조성물은 적어도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함유하며, 또한 습윤제와 같은 기타 임의 성분을 함유한다.
잉크 조성물은 표면 장력이 25℃에서 25∼35 mN/m, 바람직하게는 24∼30 mN/m이다. 20∼35 mN/m 범위의 표면 장력은 비딩의 발생을 억제하고 정밀성이 높고 품질이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 매체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표면 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표면 장력은 25℃에서 백금 플레이트 및 표면 장력 측정기(Kyowa Interface Science Co., CBVP-Z)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5∼50 mPaㆍs이다. 점도가 5 mPaㆍs 미만이면 잉크 액적이 기록 매체 상에서 너무 광범위하게 번져 비딩 또는 컬러 블리드가 발생할 수 있고 점도가 50 mPaㆍs를 넘으면 잉크 액적이 작아져 일부 노즐이 잉크 액적을 토출할 수 없어 불규칙한 화상이 생성될 수 있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는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가 중합체 미립자에 포함되어 있는 것, 무기 안료 입자가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중합체 미립자에 포함되어 있는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200 nm, 더 바람직하게는 50∼150 nm이다. 부피 평균 입경이 5 nm 미만이면 분산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입자가 응고되고 이에 따라 점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200 nm를 넘으면 입자가 석출되어 나올 수 있다.
염료
염료는 중합체 미립자에 흡착되거나 또는 중합체 미립자에 포함될 수 있는 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흡착성 및 포함성이 더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수불용성 염료 및 지용성 염료와 분산 염료 중 하나이다. "수불용성"이란 염료가 20℃에서 100 질량부의 물에 10 질량부 이상의 양으로 용해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예컨대 옐로우 지용성 염료, 오렌지 지용성 염료, 레 드 지용성 염료, 바이올렛 지용성 염료, 블루 지용성 염료, 그린 지용성 염료, 블랙 지용성 염료가 있다.
옐로우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Yellow 5, C.I. Solvent Yellow 6, C.I. Solvent Yellow 14, C.I. Solvent Yellow 16, C.I. Solvent Yellow 21, C.I. Solvent Yellow 29, C.I. Solvent Yellow 33, C.I. Solvent Yellow 93, C.I. Solvent Yellow 114, C.I. Solvent Yellow 151 및 C.I. Solvent Yellow 157이 있다.
오렌지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Orange 2, C.I. Solvent Orange 7, C.I. Solvent Orange 55, 및 C.I. Solvent Orange 60이 있다.
레드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Red 1, C.I. Solvent Red 3, C.I. Solvent Red 8, C.I. Solvent Red 18, C.I. Solvent Red 23, C.I. Solvent Red 24, C.I. Solvent Red 27, C.I. Solvent Red 43, C.I. Solvent Red 48, C.I. Solvent Red 49, C.I. Solvent Red 51, C.I. Solvent Red 52, C.I. Solvent Red 109, C.I. Solvent Red 111, C.I. Solvent Red 122, C.I. Solvent Red 125, C.I. Solvent Red 127, C.I. Solvent Red 130, C.I. Solvent Red 132, C.I. Solvent Red 135, C.I. Solvent Red 145, C.I. Solvent Red 146, C.I. Solvent Red 149, C.I. Solvent Red 150, C.I. Solvent Red 151, C.I. Solvent Red 155, C.I. Solvent Red 168, C.I. Solvent Red 176, C.I. Solvent Red 179, C.I. Solvent Red 180, C.I. Solvent Red 181, C.I. Solvent Red 195, C.I. Solvent Red 207, C.I. Solvent Red 218, C.I. Solvent Red 225, C.I. Solvent Red 233이 있다.
바이올렛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Violet 13, C.I. Solvent Violet 31, C.I. Solvent Violet 36, C.I. Solvent Violet 37, C.I. Solvent Violet 57, C.I. Solvent Violet 59가 있다.
블루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Blue 14, C.I. Solvent Blue 25, C.I. Solvent Blue 35, C.I. Solvent Blue 36, C.I. Solvent Blue 38, C.I. Solvent Blue 44, C.I. Solvent Blue 63, C.I. Solvent Blue 67, C.I. Solvent Blue 70, C.I. Solvent Blue 78, C.I. Solvent Blue 83, C.I. Solvent Blue 87, C.I. Solvent Blue 94, C.I. Solvent Blue 104, C.I. Solvent Blue 105, C.I. Solvent Blue 132, C.I. Solvent Blue 136이 있다.
그린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Blue 3, C.I. Solvent Blue 5, C.I. Solvent Blue 7, C.I. Solvent Blue 20, C.I. Solvent Blue 28이 있다.
블랙 지용성 염료의 예로는 C.I. Solvent Black 3 및 C.I. Solvent Black 27이 있다.
옐로우 분산 염료의 예로는 C.I. Disperse Yellow 54, C.I. Disperse Yellow 64, C.I. Disperse Yellow 114, C.I. Disperse Yellow 160이 있다.
오렌지 분산 염료의 예로는 C.I. Disperse Orange 30이 있다.
레드 분산 염료의 예로는 C.I. Disperse Red 22, C.I. Disperse Red 60, C.I. Disperse Red 73, C.I. Disperse Red 177, C.I. Disperse Red 356이 있다.
바이올렛 분산 염료의 예로는 C.I. Disperse Violet 57이 있다.
블루 분산 염료의 예로는 C.I. Disperse Blue 56, C.I. Disperse Blue 60, C.I. Disperse Blue 73, C.I. Disperse Blue 106, C.I. Disperse Blue 165가 있다.
염료는 각종 수용성 염료로부터 수불용성 염료로 처리된 수불용성 염료일 수 있다. 수용성 염료의 불용화 방법은 음이온성 염료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결합시키는 것과 같이 이온 착체의 형성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 입자
무기 안료 입자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이산화티탄 입자, 알루미나 입자, 실리카 입자, 산화철 입자, 수산화철 입자 및 산화주석 입자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이산화티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및 실리카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 입자의 형상은 종횡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 입자의 색깔은 투명 또는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 입자의 일차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OO 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50 nm이다.
중합체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중합체는 종래의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올레핀계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중합체 미립자가 수분산액 매질 중에 안정하게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가 바 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로는 다가 카르복실산류 및 다가 알콜류로부터 제조된 것들이 있다. 다가 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에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펜산,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4-술포프탈산, 4-술포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 5-(4-술포페녹시)이소프탈산 및 술포테레프탈산이 포함된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에는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및 도데칸 디카르복실산이 포함된다.
기타 다가 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방향족 옥시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이 있다.
다가 알콜류에 예로는 지방족 다가 알콜이 있다. 지방족 다가 알콜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트리시클로데칸디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크실렌 글리콜, 오르토크실렌 글리콜, 1,4-페닐렌 글리콜, 비스페놀 A 및 락톤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기타 다가 알콜의 예로는 지환족 다가 알콜류 및 방향족 다가 알콜류가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류 및 이소시아네이트류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것들이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예로는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류 및 이소시아네이트류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수지가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류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노나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안아톰에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렌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 트리이소시아 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기타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황-함유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술피드계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술폰계 이소시아네이트, 술포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술폰산 아미드 및 황-함유 복소환 화합물이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류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올, 방향족 폴리올, 및 유기산과 지방족 폴리올 및 방향족 폴리올의 폴리올 1 이상의 축합 반응 생성물이 있다.
지방족 폴리올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1,2-메틸글리코시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크실리톨, 알리톨, 만니톨, 도데시톨, 이디톨, 글리콜, 이노시톨, 헥산트리올, 트리글리세로오스, 디글리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시아누레이트, 시클로부탄디올, 시클로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헵탄디올, 시클로옥탄디올, 폴리락톤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히드록시프로필 시클로헥산올, 디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헥산트리올, 말티톨 및 락티톨이 포함된다.
방향족 폴리올의 예에는 디히드록시나프탈렌, 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록시나프탈렌, 디히드록시벤젠, 벤젠트리올, 피페닐테트라올, 피로가올, (히드 록시나프틸)피로갈롤, 트리히드록시페난트렌,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크실릴렌 글리콜 및 디(2-히드록시에톡시)벤젠이 포함된다.
유기산과 폴리올의 축합 반응 생성물에서 유기산의 예에는 옥살산, 글루타민산, 아디프산, 아세트산, 이소프탈산, 살리실산 및 피로멜리트산이 포함된다.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기타 화합물의 예로는 할로겐화 폴리올, 상기 폴리올과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옥 사이드의 첨가 반응 생성물, 알킬렌 폴리아민과 알킬렌 옥사이드의 첨가 반응 생성물, 2,2-디메틸올 락테이트, 2,2-디메틸올 프로피오네이트, 2,2-디메틸올 부타네이트, 2,2-디메틸올 발레레이트, 3,4-디아미노부탄 술폰산, 3,6-디아미노-2-톨루엔술폰산, 및 이들 화합물의 카프로락톤 변성 생성물, 폴리아미노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 및 α-아미노산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닐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하에 개시되는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것들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이 있다.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예에는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p-클로르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이 포함된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 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아크릴레이트, 3-(메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운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펜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크릴레이트, 3-(메틸)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노닐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예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이 포함된다.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N-치환된 말레이미드, 무수말레산,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케톤,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이들 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두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미립자는 표면에 이온성 기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수분산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온성 기의 예에는 설폰산기, 카르복실산기, 황산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및 포스핀산기가 포함되며, 또한 이들 기의 알칼리 금속염기, 암모늄염기 및 제1급 내지 제3급 아민기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기, 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기,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기 및 술폰산의 암모늄염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기 및 술폰산의 암모늄염기가 수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온성 기의 도입은 수지 합성시에 이온성 기를 갖는 단량체를 첨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온성 기의 염으로는 암모늄계 이온, Li, Na, K, Mg, Ca, Cu, Fe 등을 들수 있다. 이들 중에서, Li, K 또는 Na가 가스가 발생되지 않고 침착물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중합체 미립자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착색제에 친수성 중합체를 코팅하는 것에 의한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에멀션화에 의하여 수중 분산될 수 있다.
염료 또는 무기 안료 입자를 중합체로 코팅하여 미립자를 생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계면침적법 및 계면중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잉크에 적당한 계면침적법은 구체적으로 상전이 유화법 또는 산침적법일 수 있다.
상전이 유화법에서는, 중합체 및 수불용성 염료를 물과의 상용성이 작고 물 보다 비점이 낮은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고 중합체를 친수화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유기 용매를 증류함으로써 수성 상으로 전이시킨다.
산침적법에서는, 중합체 및 수불용성 염료를 수성 매질에 분산시키고 산을 첨가하여 중합체를 소수화함으로써 중합체를 수불용성 염료 입자에 단단히 흡착시키고 수세 후 상기 중합체에 염기를 도포하여 다시 친수화시킴으로써 수성 매질에 분산시킨다.
구체적으로, 산침적법은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카르복실기와 같은 산성 기를 중화하는 것으로 중합체를 친수화하고 상기 친수화된 중합체를 수성 매질에 용해하고 거기에 안료를 첨가하여 습윤시킨 다음 고속으로 교반할 수 있는 균질화기, 비드밀 및 볼밀과 같은 볼을 이용한 밀링 분산기, 전단력에 의한 롤밀과 같은 혼련 분산기 또는 초음파 분산기로 혼합물을 처리하여 안료 입자를 중합체에 감싸인 상태로 수성 매질에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리튬과 같은 무기 화합물 또는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과 같은 유기 아민일 수 있다.
분산 보조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 계면활성제의 양은 인쇄 품질 및 내수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소량일 필요가 있다.
얻어지는 분산체에 산을 첨가하여 카르복실산 등을 산화하여 중합체를 수불용화시킴으로써, 중합체는 안료 입자에 침적되어 더 강하게 흡착된다. 이 단계에서, 안료 입자는 페이스트와 같은 상태로 수성 매질의 바닥에 침강한다.
산은 예컨대 무기산 또는 유기산일 수 있으며, 예컨대 무기산은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일 수 있고, 예컨대 유기산은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일 수 있다. 산 침적 후 pH는 2∼6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산의 양은 산이 중합체의 특성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 여과, 가압 여과 또는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중화하고 페이스트와 물을 분리할 수 있다. 중화된 페이스트는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여 수성 매질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다시 친수화된다. 염기성 물질은 상기 개시한 무기염 또는 유기 아민일 수 있다.
계면중합법 중에서도 유화 중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탈이온수와 같은 불활성 용매내에서 실시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염, 과붕산염 또는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레독스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과황산염의 예에는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암모늄이 포함된다. 과붕산염의 예에는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및 과붕산암모늄이 포함된다.
레독스 중합 개시제에서 과산화물의 예에는 상기 개시한 과황산염 및 과붕산염이 포함된다. 레독스 중합에서 환원제의 예에는 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황화제1철이 포함된다.
유화 중합법에서 반응 온도는 반응물 및 용매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이다.
유화 중합법에서 반응 시간은 반응물 및 용매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20 시간이다.
유화 중합법에서 반응이 완료된 후, 유화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유액은 중화와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중의 염료의 함량은 중합체 미립자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8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20∼60 질량%이다. 상기 함량이 10 질량% 미만인 경우 잉크 기록물의 채도 및/또는 화상 밀도가 불충분할 수 있고, 상기 함량이 8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의 저장 안정성이 손상될 수 있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중의 무기 안료 입자의 함량은 중합체 미립자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6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0 질량%이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고형분 함량은 잉크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4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5∼20 질량%이다.
수용성 용매
수용성 용매는 액체 매질로서 물을 사용하는 잉크 조성물의 건조를 방지하고 분산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의도된다.
수용성 용매의 예로는 다가 알콜, 다가 알콜 알킬에테르, 다가 알콜 아릴에테르,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 아미드, 아민, 황-함유 화합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콜의 예에는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에탄,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1,2,6-헥산트리올, 1,2,4-부탄트리올, 1,2,3-부탄트리올, 페트리올 등이 포함된다.
다가 알콜 알킬 에테르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다가 알콜 아릴에테르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질소-함유 복소환 화합물의 예에는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히드록시에틸-2-피롤리돈, 1,3-디메틸 이미다졸디온, ε-카프로락탐, γ-부티로락톤 등이 포함된다.
아미드의 예에는 포름아미드, N-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이 포함된다.
아민의 예에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이 포함된다.
황-함유 화합물의 예에는 디메틸 설폭시드, 설폴란, 티오디에탄올 등이 포함 된다.
이들 중에서, 용해도 및 수분 증발에 의하여 잘못된 주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저장 안정성과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1,5-펜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3-메틸-1,3-부탄디올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용매는 단당류 및 다당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당류의 예로는 단당류, 이당류, 삼당류 및 사당류와 같은 올리고당류가 있다.
단당류의 구체적인 예에는 글루코스, 만노즈, 프룩토즈, 리보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즈, 갈락토즈, 말토즈, 셀로비오스, 락토즈, 스크로즈, 트레할로스, 몰트 트리오즈 등이 포함된다.
다당류는 광의의 당을 의미하며 α-시클로덱스트린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당은 당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당의 유도체의 예에는 환원당, 산화당, 아미노산 또는 당의 티오산이 있다.
환원당의 예로는 당알콜이 있다. 당알콜은 이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당 알콜의 구체적인 예에는 말티톨 및 소르비톨이 포함된다.
HOCH2(CHOH)nCH2OH
상기 화학식에서, n은 2∼5의 정수이다.
산화당의 예에는 알돈단 및 우론산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당 알콜이 바 람직하다.
수용성 용매의 함량은 잉크 조성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0∼50 질량%이다. 상기 함량이 10 질량% 미만일 경우, 토출된 잉크 액적이 비직선 방향으로 비상하거나 또는 잉크가 노즐내에서 건조되기 쉬우므로 점도 증가로 인하여 잉크가 토출될 수 없고, 상기 함량이 50 질량%를 초과할 경우 잉크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고형분 함량에 대한 수용성 용매의 비율(수용성 용매의 질량/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내의 고형분의 질량)은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안정성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 습윤제의 함량이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고형분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낮을 경우, 잉크는 노즐의 메니스커스 주위의 수분 증발을 촉진하여 분사 결함이 일어날 수 있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고형분 함량에 대한 수용성 용매의 비율(수용성 용매의 질량/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내의 고형분의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0.25∼25, 더 바람직하게는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이다.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고형분 함량에 대한 수용성 용매의 비율이 상기 범위내에 있을 경우, 잉크 조성물은 건조 특성, 저장 특성 및 신뢰성 면에서 매우 우수할 수 있다.
습윤제
잉크 조성물에 습윤제를 첨가할 경우, 표면 장력이 감소하고,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에 도포되는 잉크 액적의 침투가 촉진되어, 결과적으로 페더링 및/또는 컬러 블리드가 완화될 수 있다.
습윤제는 표면 장력을 20∼35 mN/m 범위로 조절하도록 적응되는 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염료 및 수용성 용매의 화학종과 조합하여 분산성을 손상하지 않는 계면활성제가 적합할 수 있다.
습윤제의 종류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술페이트 및 불소-함유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폴리올, 글리콜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미드, 아세틸렌 글리콜 및 불소-함유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아세틸렌 글리콜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3,6-디메틸-4-옥틴-3,6-디올, 3,5-디메틸-1-헥신-3-올 등이 있다.
아세틸렌 글리콜 계면활성제는 시판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의 예에는 Surfynol 104, 82, 465, 485 및 TG (미국 Air Products Co.사 제조)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Surfynol 465, 104 및 TG가 양호한 인쇄 품질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퍼플루오로알킬 술폰산염, 퍼플루오로알킬 카르 복실산염, 퍼플루오로알킬 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킬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퍼플루오로알킬베타인, 퍼플루오로알킬아민 옥시드 및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함유 계면활성제는 시판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의 예에는 Surflon S-111, S-112, S-113, S121, S131, S132, S-141, S-145(Asahi Glass Co., Ltd사 제조), Fullard FC-93, FC-95, FC-98, FC-129, FC-135, FC-170 C, FC-430, FC-431(Sumitomo 3M Ltd사 제조), Megafac F-470, F1405, F-474(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사 제조, Zonyl TBS, FSP, FSA, FSN-100, FSN, FSO-100, FSO, FS-300, UR(DuPont사 제조), FT-110, FT-250, FT-251, FT-400S(Neos Co사 제조)가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하의 화학식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2는 탄소수 6∼14의 분지될 수 있는 알킬기이고, M2는 알칼리 금속, 4급 암모늄, 4급 포스포늄 및 알칸올아민 중 하나이며, m은 3∼12의 정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탄소수 5∼16의 분지될 수 있는 알킬기이고, M3 는 알칼리 금속, 4급 암모늄, 4급 포스포늄 및 알칸올아민 중 하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탄소수 6∼14의 분지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이고, k는 5∼2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5는 탄소수 6∼14의 분지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이고, l은 5∼2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5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6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14의 탄화수소기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0 이하의 정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7
상기 화학식 (7)에서,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4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8
상기 화학식 (8)에서, Rf1은 하기 화학식 (9)-1 또는 (9)-2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09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0
습윤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화합물 및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과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이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8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및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탄소수 8 미만의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 침투 특성이 불충분하고 기록 매체가 오염되며 기록 매체 상에서 잉크 조성물의 도달이 불충분하여 픽셀의 채워짐이 손상되므로 인쇄 품질 또는 화상 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탄소수 8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로는 바람직하게는 2-에틸-1,3-헥산디올(용해도: 25℃에서 4.2%),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용해도: 25℃에서 2.0%) 등이 있다.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와 같은 다가 알콜 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와 같은 다가 알콜 아릴 에테르가 포함된다.
습윤제의 함량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은 잉크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 질량%이다.
기타 성분
기타 성분으로는 예컨대 pH 조절제, 방부방미제, 킬레이트화제, 부식방지제, 항응고제,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수용성 적외선 흡수제 등이 있다.
pH 조절제
pH 조절제는 잉크 조성물을 알칼리성으로 유지함으로써 분산 상태를 안정시켜 토출을 안정화한다. 잉크 조성물의 pH가 11 이상일 경우, 잉크젯 헤드 또는 잉크 공급 유닛을 용해시키는 정도가 커지므로 열화, 누출 또는 잉크의 토출 불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부 pH 조절제는 분산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혼합 및 분산 단계 후에 수용성 용매, 습윤제 등과 함께 첨가하기보다는 염료와 분산제를 혼합하여 물에 분산 시키는 단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절제는 예컨대 알콜 아민, 알칼리성 금속 수산화물, 암모늄 수산화물, 포스포늄 수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 탄산염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콜 아민의 예에는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디올이 포함되며,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예에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이 포함되고, 암모늄 수산화물의 예에는 수산화암모늄 및 4급 수산화암모늄이 포함되며, 포스포늄 스산화물의 에에는 4급 수산화포스포늄이 포함되고,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예에는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이 포함된다.
방부방미제
방부방미제의 예에는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소르브산나트륨, 2-피리딘티올-1-옥사이드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및 펜타클로로페놀나트륨이 포함된다.
킬레이트제
킬레이트제의 예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나트륨,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나트륨,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나트륨 및 우라밀디아세트산나트륨이 포함된다.
부식방지제
방청제의 예에는 산성 아황산염, 티오황산나트륨, 티오디글리콜산암모늄, 디아질산이소프로필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지트레이트 및 아질산디시클로헥실암모늄이 포함된다.
코게이션 방지제
잉크 조성물에 코게이션 방지제를 혼입시킴으로써 코게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코게이션이란, 히터에 전류를 흘려 잉크 조성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가열된 잉크 조성물로부터 야기되는 압력의 작용에 의하여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서멀식 헤드에 있어서의 고유한 문제이며, 잉크 조성물의 성분이 가열시에 성분 변화를 일으켜 히터에 변질물이 부착되는 현상을 말한다. 코게이션이 유도될 경우, 히터에 의한 가열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토출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최악의 경우 잉크 조성물의 토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코게이션 방지제의 예에는 폴리인산, 폴리아미노 카르복실산, 알돈산, 히드록시카르복실산, 폴리올 인산에스테르, 이들 화합물의 염, 아미노기를 갖는 산 또는 염, 및 메틸기 또는 메틸렌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암모늄염이 포함된다.
기록 매체
기록 매체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있는 코팅층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포함한다.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은 접촉 시간 100 ms에서 2 m1/m2 이상 35 m1/m2 미만, 바람직하게는 2.5∼15 m1/m2이다.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100 ms에서 2 m1/m2 미만일 경우, 비딩이 일어나기 쉬울 수 있고 35 m1/m2 초과일 경우 기록 잉크 도트가 의도하는 직 경에 비하여 너무 작을 수 있다.
동적 주사 흡액계에 의한 측정으로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은 접촉 시간 4OO ms에서 3 m1/m2 이상 40 m1/m2 미만, 바람직하게는 3.5∼25 m1/m2이다.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접촉 시간 400 ms에서 3 m1/m2 미만일 경우, 불충분한 건조 특성으로 인하여 스퍼흔이 생성되기 쉽고 40 m1/m2 초과일 경우 화상부의 광택이 건조후 낮을 수 있다.
상기 동적 주사 흡액계(DSA, Japan TAPPI Journal, 48권, 1994년 5월, 88∼92 페이지, Shigenori Kuga)는 매우 단시간에 흡수된 액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동적 주사 흡액계는, 흡액의 속도를 모세관 중앙 메니스커스의 이동으로부터 직독하고, 시료를 원반 형상으로 하여, 이 위에 흡액 헤드를 나선형으로 주사하며, 미리 설정한 패턴에 따라 주사 속도를 자동적으로 변화시켜, 시료당 필요한 수의 측정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흡액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한다. 종이 시료에의 액체 공급 헤드는 Teflon® 관을 통해 모세관에 접속되며, 모세관내 메니스커스의 위치는 광학 센서로 자동적으로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적 주사 흡액계(K350 시리즈 D형, Kyowaseiko Co사 제조)를 이용하여 물의 전이량을 측정하였다. 접촉 시간 100 ms 및 400 ms에서의 전이량은 각각 소정 접촉 시간의 근린 접촉 시간에 있어서의 전이량의 측정치로부터 보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지지체
지지체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목재 섬유계 종 이, 및 목재 또는 합성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와 같은 시트형 물질이 포함된다.
종이는 종래의 것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목재 펄프 또는 폐지 펄프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목재 펄프의 예에는 활엽수 craft pulp (LBKP), 침엽수 craft pulp(NBKP), LBSB, GP 및 TMP가 포함된다.
헌 종이 펄프의 원료는 재단 법인 헌 종이 재생 촉진 센터의 헌 종이 표준 규격표에 열거된 바와 같은 고품질 백색지, 괴백지, 크림백지, 카드지, 특백지, 속백지, 모조지, 백색지, 켄트지, 백아트지, 특상품지 조각, 고품질지 조각, 신문 및 잡지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보 관련 분야에 사용되는 예컨대 비코팅 컴퓨터 용지, 감열지 및 감압지와 같은 프린터 용지; PPC 용지와 같은 OA 헌 종이; 아트지, 코팅지, 미세코팅지 및 매트지와 같은 코팅지; 상질지, 컬러 상질지, 노트지, 편지지, 포장지, 장식지, 속질지, 신문 용지, 광고지, 수퍼마켓 등에서 사용되는 포장지, 모조지, 순백롤지 및 밀크 카튼지와 같은 비코팅지; 화학 펄프 함유지 및 고수율 펄프 함유지와 같은 헌 종이 및 헌 보드지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헌 종이 펄프는 일반적으로 이하의 4 단계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다.
(1) 펄프화는 헌 종이를 펄프 제조기에서 기계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섬유형으로 풀어 섬유로부터 인쇄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2) 제진은 헌 종이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스크리닝, 클리닝 등에 의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3) 잉크 제거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섬유로부터 제거된 인쇄 잉크를 부 유법 또는 세정법으로 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이다.
(4) 표백은 산화 작용이나 환원 작용을 이용하여 섬유의 백색도를 개선시키는 단계이다.
헌 종이 펄프를 혼합하는 경우 전체 펄프 함량에 대한 헌 종이 펄프의 혼합비율은 기록 후의 가능한 말림에 대한 대책을 고려하면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지지체에 사용되는 내부 첨가제는 예컨대 백색 안료로서 종래 공지의 안료를 포함한다. 백색 안료는 예컨대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카올린, 크레이,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새틴 화이트, 규산알루미늄, 규조토,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합성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리토폰,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백색 무기 안료; 스티렌계 플라스틱 안료, 아크릴계 플라스틱 안료, 폴리에틸렌, 마이크로 캡슐, 요소 수지 및 멜라민 수지와 같은 유기 안료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 제조에 사용되는 내부 사이즈제는 예컨대 중성지 제조에 사용되는 중성 로진계 사이즈제, 알케닐 무수 호박산(ASA), 알킬케텐 이량체(AKD), 석유 수지계 사이즈제를 포함한다. 이들 제제 중에서도, 중성 로진 사이즈제 또는 알케닐 무수 호박산이 특히 바람직이다. 알킬케텐 이량체는 사이징 효과가 높기 때문에 소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록 용지(매체) 표면에 대한 마찰 계수가 감소되어 미끄러지기 쉽게 되는 경우 잉크젯 기록시의 종이 반송의 점에서 그 사용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코팅층
코팅층은 안료, 바인더, 및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와 같은 임의의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안료는 무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를 병용한 것 등일 수 있다.
무기 안료의 예에는 카올린, 탈크,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아황산칼슘, 비정질 실리카, 티탄화이트, 탄산마그네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및 클로라이트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카올린은 광택 발현성이 우수하고 오프셋 인쇄용 용지의 재질에 가까운 재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카올린의 구체적인 예로는 탈아민화 카올린, 소성 카올린 및 표면 개질에 의하여 가공된 카올린이 있다.
카올린의 함량은 입경 2 μm 이하의 비율이 80 질량% 이상인 입도 분포를 갖는 카올린이 카올린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질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올린의 함량은 결합제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0 질량부 미만일 경우, 충분한 광택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카올린의 유동성 및 특히 고전단력하에서의 증점성을 고려하여 9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는 수용성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입자,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체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에틸렌 입자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안료의 함량은 상기 코팅층의 안료 전체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는 광택 발현성이 우수하고 그 비중이 무기 안료와 비교해서 비교적 작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광택이 우수하며 표면 코팅성이 양호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유기 안료의 함량이 2 질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효과는 얻어지지 않으며, 유기 안료의 함량이 20 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액의 유동성이 악화하여 코팅 조업성의 저하로 이어져 비용면에서 경제적이지 않다.
유기 안료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중실형, 중공형, 도우넛형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광택 발현성, 표면 코팅성 및 코팅액의 유동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공극율이 40% 이상인 중공형이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의 평균 입경은 광택 발현성, 표면 코팅성 및 코팅액의 유동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0.2∼3.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수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수성 중합체는 예컨대 수용성 중합체, 수분산성 중합체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폴리비닐 알콜, 음이온 변성 폴리비닐 알콜, 양이온 변성 폴리비닐 알콜, 아세탈 변성 폴리 비닐 알콜과 같은 폴리비닐 알콜의 변성물;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4급화한 비닐 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과 메타크릴아미드 프로필 염화트리메틸암모늄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변성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의 변성물; 폴리에스테르, 폴리 아크릴산(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변성물, 및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의 공중합체와 같은 합성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산화 전분, 인산에스테르화전분, 자가변성전분, 양이온화전분, 또는 각종 변성 전분,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소다, 및 알긴산소다가 포함된다. 상기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잉크 흡수성의 관점에서, 폴리비닐 알콜, 양이온 변성 폴리비닐 알콜, 아세탈 변성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수분산성 중합체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이의 예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아세트산비닐(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및 실리콘/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수분산성 수지는 가교결합제 또는 자기가교성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결합제는 메틸올 멜라민, 메틸올 우레아, 메틸올 히드록시프로필렌 우레아, 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자기가교성 공중합체의 예로는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있다.
수성 중합체의 함량은 안료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100 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50 질량부이다. 수성 중합체의 양은 기록 매체의 흡액 특성이 원하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결정된다.
잉크 조성물 중의 염료가 수분산성일 경우, 용도에 따라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을 코팅층에 배합할 수 있다.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은 수용성 잉크 중 직접 염료나 산성 염료의 설폰산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불용인 염을 형성하는 1급 내지 3급 아민, 4급 암모늄염의 단량체, 소중합체 및 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급 내지 3급 아민과 4급 암모늄염의 소중합체 또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은 예컨대 디메틸아민/에피클로르드린 중축합물, 디메틸아민/암모니아/에피클로르히드린 축합물, 폴리(메타크릴산트리메틸아미노에틸/황산메틸), 디알릴아민염산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디알릴아민염산염/이산화황), 폴리아릴아민염산염, 폴리(아릴아민염산염/디아릴아민염산염), 아크릴아미드/디아릴아민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민 공중합체, 디시안디아미드, 디시안디아미드/염화암모늄/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폴리알킬렌폴리아민/디시안디아미드암모늄염 축합물,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디알릴메틸아민염산염, 폴리(디 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산화황),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디알릴아민염산염 유도체), 아크릴아미드/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염/아크릴아미드/디알릴아민염산염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및 아크릴아민 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이민 유도체, 및 폴리에틸렌 이민 알킬렌옥사이드 변성물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과 다른 고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과 다른 고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을 병용하면 화상 밀도가 개선되고 페더링이 감소될 수 있다.
저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중축합물 또는 폴리알릴아민 히드로클로리드이고, 고분자량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로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있다.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을 콜로이드 적정법(폴리비닐황산칼륨 및 톨루이딘 블루 사용)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3∼8 meq/g이다. 이 범위의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은 상기 개시된 바람직한 건조 부착량 범위를 유도할 수 있다.
콜로이드 적정법에 의한 양이온 당량의 측정에서, pH 조정 없이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을 건조 고형분 기준으로 0.1 질량%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다.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의 건조 부착량은 0.3∼2.0 g/m2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의 건조 부착량이 0.3 g/m2 미만이면, 화상 밀도를 충분히 개선시킬 수 없거나 페더링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를 코팅층에 첨가하는 경우, 화상의 내수성이 개선될 수 있고, 화상 밀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블리딩이 완화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활성제의 예로는 고급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 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고급 지방족 아민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아미드 에틸렌 옥사이 드부가물, 유지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톨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즈의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콜의 알킬에테르 및 알칸올 아민의 지방산 아미드가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콜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단당이 포함된다.
상기 개시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수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의 일부를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부틸렌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로 치환한 것들일 수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에서 알키렌 옥사이드의 치환율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 활성제의 HLB(친수/친지 균형비)는 4∼15가 바람직하고, 7∼13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개시한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0 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부이다.
상기 코팅층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임의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은 알루미나 분말, pH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또는 기타 첨가제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을 지지체 상에 코팅층액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액의 함침 또는 도포 방법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코팅은 예컨대 종래의 사이즈 프레스, 게이트롤 사이즈 프레스, 필름 트랜스퍼 사이즈 프레스, 블레이드 코터, 로드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커튼 코터와 같은 각종 유형의 코터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종래의 사이즈 프레스, 게이트롤 사이즈 프레스 또는 필름 트랜스퍼 사이즈 프레스를 이용하여 코팅액을 함침 또는 부착시킨다. 이들 중에서, 기계 상에서 마감처리하는 방법이 경제적으로 적합하다.
상기 코팅액의 부착량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고형분으로서 0.5∼20 g/m2가 바람직하고, 1∼15 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코팅은 함침 또는 코팅 후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다. 건조 온도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100∼250℃가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는 지지체의 이면에 이면층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지지체와 이면층 사이에 다른 층이 형성되거나 또는 코팅층 상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층은 다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기록용 잉크를 용기 중에 수용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 그 밖의 부재 등이 제공된다.
용기는 소정 목적에 따라 그 형상, 치수, 구조, 재질 등을 제한 없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용기는 예컨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수지 필름 등으로 형성된 잉크 주머니를 갖는 용기일 수 있다.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젯 기록 방법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적어도 잉크 토출 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그 밖의 수단, 예컨대, 자극 발생 수단 및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은 적어도 잉크 토출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그 밖의 단계, 예컨대, 자극 발생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의해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잉크 토출 단계는 잉크 토출 수단에 의해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기한 그 밖의 단계도 또한 상기한 그 밖의 수단에 의해 적합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 방법 및 잉크젯 기록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겠지만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일부일뿐이지 어떤 식으로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잉크 조성물을 수용한 기록액 수용부를 갖춘 잉크 카트리지를 탑재한 직렬형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구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이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구부는, 양측의 측판(1 및 2) 사이에 주 지지 가이드 로드(3) 및 종 지지 가이드 로드(4)를 대략 수평인 위치 관계로 가로걸쳐 놓고, 주 지지 가이드 로드(3) 및 종 지지 가이드 로드(4)에 의하여 캐리지 유닛(5)을 주 주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캐리지 유닛(5)에는 각각 옐로우(Y) 잉크, 마젠타(M) 잉크, 시안(C) 잉크 및 블랙(Bk) 잉크를 각각 토출하는 4개의 잉크젯 헤드(6)를 그 토출면(6a)을 아래쪽으로 해서 탑재한다. 캐리지 유닛(5)의 잉크젯 헤드(6)의 상측에는 4개의 헤드(6)에 각각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4개의 잉크 카트리지(7y, 7m, 7c, 7k)를 탈착가능하게 탑재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7)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2는 기록 장치에 탑재하기 전의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잉크 카트리지의 정면 단면도이다.
잉크 카트리지(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1)내에 소정 색의 잉크를 흡수시킨 잉크 흡수체(42)를 수용한다. 카트리지 본체(41)는, 케이스(43)의 상부 개구에 상부 덮개 부재(44)를 접착 또는 용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예컨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잉크 흡수체(42)는, 우레탄 탄성체 등과 같은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 본체(41) 내에 압축하여 삽입한 후 잉크를 흡수시키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41)의 케이스(43)는 하부에 기록 헤드(6)에 잉크를 공급하기위한 잉크 공급구(45)를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잉크 공급구(45) 내주면은 밀봉 링(46)과 맞도록 되어 있다. 상부 덮개 부재(44)에는 대기 개방구(47)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41)에는, 장전 또는 수송을 위한 잉크젯 카트리지의 취급시에 잉크 공급구(45)를 차단할 경우 또는 진공 포장동안 폭이 넓은 측벽에 압력을 가할 경우 장전 전에 케이스(43)가 압축 변형되어 내부의 잉크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캡 부재(50)가 장착된다.
대기 개방구(4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투과율이 100 ml/m2 이상인 필름형 밀봉 부재(55)를 상부 덮개 부재(44)에 점착하여 밀봉된다. 이 밀봉 부재(55)는 대기 개방구(47) 및 대기 개방구(47) 주위에 형성한 복수 라인의 홈(48)을 밀봉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대기 개방구(47)를 산소 투과율이 100 m1/m2 이상의 밀봉 부재(55)로 밀봉하는 것으로, 잉크 카트리지(7)를 투기성이 없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포장 부재를 이용하여 감압 상태로 포장함으로써, 잉크 흡수체(42)와 카트리지 본체(41) 사이의 공간 A(도 3 참조)에서 형성되어 존재하는 대기로 인하여 잉크 중에 공기가 용존하는 경우라도, 밀봉 부재(55)를 통해 잉크 중 의 공기가 카트리지 본체(41)와 진공도가 높은 카트리지 본체(41) 밖의 포장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잉크의 탈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채운 기록액 수용부과 기록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헤드부를 갖춘 기록 카트리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이 기록 유닛(30)은 직렬형이며, 잉크젯 헤드(6), 잉크젯 헤드(6)에 공급되는 잉크 조성물을 수용하는 잉크 탱크(41) 및 이 잉크 탱크(41)를 밀폐하기 위한 덮개 부재로 주요부가 구성된다. 잉크젯 헤드(6)에는,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32)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조성물은 잉크 탱크(41)로부터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잉크 공급관을 통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통 액실로 유도되며, 전극(31)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록 장치 본체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따라서 노즐(32)로부터 토출된다. 이러한 타입의 기록 유닛은 그 고유 구성상, 즉 열에너지를 구동의 동력원으로 하는 헤드에 적당한 구성으로 인하여 저렴히 제조될 수 있는 소위 서멀 방식 또는 버블 방식이라고 불린다.
본 발명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은 버블이나 서멀 방식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열소자에 대한 습윤능이 개선되므로 소량의 첨가량이라도 토출 안정성 및 주파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안전성도 높아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는, 직렬형 잉크젯 기록 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노즐을 지그재그 방식과 같이 임의로 배열하되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해상도와 동일하거나 수분의 1 정도의 밀도를 집정함으로써 노즐을 기록 매체의 폭 이상으로 배열한, 소위 라인 헤드를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PC 또는 디지털 카메라용의 출력 프린터뿐만 아니라 팩스, 스캐너, 전화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히터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잉크 조성물의 정착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열 정착 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 가열 정착 장치에 관해서는 복수의 라인형 잉크젯 헤드를 기록 장치 상에 배치 및 탑재한 구성으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5에서, 스퍼(74)는 얇은 기어형 형상의 수개의 금속 부재가 사이에 공간을 갖는 하나의 샤프트에 부착되고 반송 벨트(40)와 일치하게 기록 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품이다. 스퍼(74)는 리딩 에지가 프린터 커버와 같은 부재로 방해받지 않으며 기록 매체가 원활하게 배출되고 인쇄 및 반송 배출시 스퍼(74)의 배출 구동력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의 리어 에지를 밀어내도록 인쇄 및 반송시에 기록 매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스퍼(74)의 존재는 종이 걸림 및 이동 오류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반면 스퍼(74)가 기록 매체의 인쇄면과 접촉하여 여기서 회전하므로 잉크의 건조가 느릴 경우 스퍼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가열식 정착 장치(76)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로에 있어서의 기록 헤드(70B)에 대하여, 하류측으로 하여, 또한,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예컨대 할로겐 히터(84)와, 할로겐 히터(84)의 열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82)이 가열식 잉크 정착 장치(76)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용지 Pa)의 인쇄면이 비접촉 가열된다. 즉, 인쇄부를 표면에서 가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물과 같은 잉크 중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가열식 정착 장치(76)로서, 가열부로서 할로겐 히터(84), 할로겐 히터(84)로부터의 열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82), 할로겐 히터(84)와 반송로를 구획하는 가열부 차폐 부재(86) 및 히터(84)의 열이 기록 헤드(70B)에 도달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할로겐 히터(84)로부터의 기록 헤드(70B)를 단열시키는 단열 장치(7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제공된다.
잉크 기록물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 또는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기록된 잉크 기록물이다.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을 가진다.
상기 기록 매체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개시된 기록 매체와 유사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며, 25℃에서의 표면 장력이 20∼35 mN/m인 잉크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기록 매체는 지지체 및 해당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갖고,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한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며, 접촉 시간 400 ms 에서의 순수의 해당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1/m2 미만이어서, 잉크 흡수 성이 낮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도 채도가 높고 색조가 양호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컬러 인쇄에서 밝기(명도) 또는 선명함(채도)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잉크 기록물은 각종의 인쇄 내지 화상이 기록된 문헌 또는 기록 자료로서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체의 제조
3 종류의 중합체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합체 1
·스티렌-아크릴계 중합체(제품명: John krill586, 존슨폴리머사 제조, 질량 평균 분자량 = 4,600, 유리 전이 온도(Tg)= 60℃)
중합체 2
하기 나타낸 성분의 원료를 탈수관, 온도계, 질소 기체 도입관 및 교반기가 구비된 2L의 4목 플라스크에 충전시키고,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 가열하면서 탈수시켜 탈수 응축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하였다.
성분
Cardura E-1OP*(1) 10 질량부
아디프산 27 질량부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42 질량부
네오펜틸 글리콜 2 질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26 질량부
디부틸주석 디옥사이드 0.1 질량부
*(1) 물질명: 데칸산에폭시에스테르, 재팬 에폭시 레진 주식회사 제조
중합체 3
하기 나타낸 성분의 원료를 온도계, 질소 기체 도입관,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구빈된 4목 플라스크에 충전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3 시간 동안 가열시켜 반응시킨 후, 동일한 온도에서 5 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냉각되도록 방치한 후, 에틸렌디아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성분
메틸에틸케톤 90 질량부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13 질량부
폴리락톤디올 52 질량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5 질량부
밀 베이스의 제조
밀 베이스의 성분 (C-1)
Solvent blue-44*(1) 15 질량부
실리카 미립자*(2) 5 질량부
중합체 1 15 질량부
이온 교환수 65 질량부
*(1) 시안 유용성 염료, 클라리언트 재팬 주식회사 제조, Savinyl Cyan GLS)
*(2) 일본 아에로질 주식회사 제조, Aerosil-RX200
중합체 1에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염료 유용성 Solvent blue-44 및 실리카 미립자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충분히 습윤화시키며, 분산액은 직경 0.5 mm의 지르코니아 비드가 충전된 혼련 장치(Dyno-mill KDL A 타입, WAB사 제조)에 투입하고, 2,000 rpm에서 40분 동안 혼련하였다. 1 N HCl 3 질량부를 첨가하고, 생성된 밀 베이스와 함께 교반하고, 이에 탈이온수 400 질량부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혼합물을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염료 페이스트 및 물로 분리하며,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절차를 몇번 반복한 후, 염기성 화합물로서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1.0 질량부를 상기 페이스트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Dyno-mill KDL A 타입을 사용하여 재차 혼련하였다. 혼련된 생성물을 수집하고 입도 1 μm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C-1을 생성하였다.
Solvent Blue 70*(1) 15 질량부
알루미나 미립자*(2) 3 질량부
중합체 1 15 질량부
탈이온수 67 질량부
*(1) 시안 유용성 염료,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Oleosol Fast Blue ELN
*(2) 스미또모 케미칼사 제조, APK-G008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C-2를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C-3)의 성분
알루미나 미립자를 이산화티탄 미립자(이시하라 산교 가이샤 리미티드, PT-401M)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C3를 밀 베이스 C-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C-4)의 성분
안료 블루 15:3*(1) 15 질량부
분산제*(2) 5 질량부
탈이온수 80 질량부
*(1) 유기 안료, 다이니치세이카 칼러 앤 케미칼즈 매튜팩처링 컴파니 제조, ECB-301,
*(2)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2H25-O-(CH2CH2O)42-H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C-4를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K-1)의 성분
용매 Black 3*(1) 15 질량부
분산제*(2) 5 질량부
탈이온수 80 질량부
*(1) 오리엔트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유용성 염료, Oil Black 860
*(2)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2H25-O-(CH2CH2O)42-H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K-1을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Y-1)의 성분
Disperse Yellow 160*(1) 15 질량부
중합체 2 15 질량부
탈이온수 70 질량부
*(1) 아리모토 케미칼 컴파니, 분산 염료, Plast Yellow 8050
중합체 2에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염료 유용성 Solvent Red-49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충분히 습윤화시키며, 분산액은 직경 0.5 mm의 지르코니아 비드가 충전된 혼련 장치(Dyno-mill KDL A 타입, WAB사 제조)에 투입하고, 2,000 rpm에서 60분 동안 혼련하였다. 1 N HCl 3 질량부를 첨가하고, 생성된 밀 베이스와 함께 교반하고, 이에 탈이온수 400 질량부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혼합물을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염료 페이스트 및 물로 분리하며,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절차를 몇번 반복한 후, 염기성 화합물로서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1.0 질량부를 상기 페이스트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Dyno-mill KDL A 타입을 사용하여 재차 혼련하였다. 혼련된 생성물을 수집하고 입도 1 μm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Y-1을 생성하였다.
밀 베이스 성분(Y-2)
Disperse Yellow 160*(1) 15 질량부
알루미나 미립자*(2) 3 질량부
중합체 2 15 질량부
탈이온수 67 질량부
*(1) 아리모토 케미칼 컴파니, 분산 염료, Plast Yellow 8050
*(2) 스미또모 케미칼사 제조, APK-G008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Y-2을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밀 베이스 Y-2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M-2)의 성분
Solvent Red 218*(1) 16 질량부
실리카 미립자*(2) 8 질량부
중합체 2 16 질량부
탈이온수 60 질량부
*(1) 시안 유용성 염료,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Oleosol Fast Pink FB
*(2) 일본 아에로질 주식회사 제조, Aerosil-RX200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M-2를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밀 베이스 M-2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M-3)의 성분
Solvent Red 218*(1) 16 질량부
이산화티탄 미립자*(2) 4 질량부
중합체 2 16 질량부
탈이온수 64 질량부
*(1) 시안 유용성 염료,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Oleosol Fast Pink FB
*(2) 이시하라 산교 가이샤 리미티드, PT-401M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M-3를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기술된 밀 베이스 M-3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부피 평균 입경은 상기 밀 베이스에서 생성된 무기 안료 및 생성된 염료를 함유하는 중합체 안료와 관련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을 UPA 150(마이크로트랙 컴파니 제조)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밀 베이스(M-7)의 성분
Solvent Red 218*(1) 16 질량부
분산제*(2) 5 질량부
탈이온수 80 질량부
*(1) 시안 유용성 염료,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Oleosol Fast Pink FB
*(2) 하기 식으로 나타냄: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1
전술한 밀 베이스의 성분을 기초로 하여, 분산제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이에 유용성 염료를 첨가하고 잘 습윤화 시키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직경이 0.5 mm인 지르코니아 비드가 충전된 혼련 장치(Dyno-mill KDL A 타입, WAB사 제조) 내에서 혼련시키며, 2,000 rpm에서 60 분 동안 혼련시킨 후, 수집하고 공극이 1 μm인 필터를 사용하여 혼련된 재료를 여과함으로써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M-7을 생성하였다.
밀 베이스(M-8)의 성분
분산체를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M-8을 밀 베잉스 M-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C12H25-O-(CH2CH2O)42-H
밀 베이스(M-9)의 성분
Solvent Red 49*(1) 15 질량부
실리카 미립자*(2) 5 질량부
중합체 3 15 질량부
탈이온수 65 질량부
*(1) 오리엔트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유용성 염료, Oil Pink 312
*(2) 일본 아에로질 주식회사 제조, Aerosil-RX200
중합체 3에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염료 유용성 Solvent Red 49 및 실리카 미립자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충분히 습윤화시키며,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 M-9를 밀 베이스 Y-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 염료 무기 안료 입자 중합체 부피 평균 입경(nm)
C-1 Solvent Blue 44 실리카 스티렌-아크릴(중합체 1) 61
Y-2 Disperse Yellow 160 알루미나 폴리에스테르(중합체 2) 98
M-2 Solvent Red 218 실리카 폴리에스테르(중합체 2) 155
M-3 Solvent Red 218 이산화티탄 폴리우레탄(중합체 3) 124
M-6 Solvent Red 218 이산화티탄 폴리우레탄(중합체 3) 235
잉크 조성물 1의 제조
잉크 조성물 1의 성분
밀 베이스 C-1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1.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3-CH2COONa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글리세린, 1,3-부탄디올, 3-메틸-2,4-헵탄디올, 전술한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계면활성제 및 Proxel을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비히클을 제조하며, 상기 비히클을 밀 베이스(C-1)와 혼합하며, 혼합물을 평균 공극 크기가 1 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잉크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의 제조
잉크 조성물 2의 성분
밀 베이스 M-2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N-메틸-2-피롤리돈 18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9.9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2)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성물 3의 제조
잉크 조성물 3의 성분
밀 베이스 Y-2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8.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8H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잉크 조성물 3)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성물 4의 제조
잉크 조성물 4의 성분
밀 베이스 M-3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8.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8H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4)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5의 제조
잉크 조성물 5의 성분
밀 베이스 C-1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3-메틸-1,3-부탄디올 18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9.9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잉크 조성물 2)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6의 제조
잉크 조성물 6의 성분
밀 베이스 C-1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1,6-헥산디올 18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22.9 질량부
*(1)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잉크 조성물 6)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7의 제조
잉크 조성물 7의 성분
Direct Blue 199*(1) 9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3-메틸-1,3-부탄디올 18 질량부
FT-110*(2) 1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3) 0.1 질량부
탈이온수 60.9 질량부
*(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시안 염료, Irgasperse Jet Cyan RL
*(2)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3)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Direct Blue 199의 직접 염료, 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3-메틸-2,4-헵탄디올, FT-110 및 Proxel LV를 탈이온수에 용해킨 후, 상기 용액을 평균 공극이 0.5 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잉크 조성물 7)을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M-4)의 성분
Solvent Red 218*(1) 14 질량부
분산제*(2) 4 질량부
탈이온수 82 질량부
*(1)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마젠다 유용성 염료, Oleosol Fast Pink FB
*(2) 하기 식으로 나타냄: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2
상기 분산제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유용성 염료를 상기 용액에 혼합시키고 충분히 습윤화시키며, 상기 분산액을 직경 0.5 mm의 지르코니아 비드가 충전된 혼련 장치(Dyno-mill KDL A 타입, WAB사 제조)에 투입하고, 2,000 rpm에서 2 시간 동안 혼련하여 밀 베이스(M-4)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8의 제조
잉크 조성물 8의 성분
밀 베이스 M-4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8.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8H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8)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M-5)의 성분
Pigment Violet 19*(1) 14 질량부
분산제*(2) 4 질량부
탈이온수 82 질량부
*(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마젠다 안료, CROMOPHTAL Red 2020
*(2) 하기 식으로 나타냄: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3
밀 베이스 M-5를 밀 베이스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밀 베이스 M-5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성물 9의 제조
잉크 조성물 9의 성분
밀 베이스 M-5 50 질량부
글리세린 9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18.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8H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9)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성물 10의 제조
잉크 조성물 10의 성분
글리세린의 양을 9 질량부에서 13 질량부로 증가시키고, 1,3-부탄디올의 양을 18 질량부에서 26 질량부로 증가시키며, 탈이온수의 양을 18.9 질량부에서 6.9 질량부로 감소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10)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4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밀 베이스 M-3 50 질량부
글리세린 13 질량부
1,3-부탄디올 26 질량부
계면활성제*(1) 2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6.9 질량부
*(1) 하기 식으로 나타냄:
C13H27-O-(CH2CH2O)8H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조성물 11의 제조
잉크 조성물 11의 성분
밀 베이스 (M-6)의 성분
Solvent Red 218*(1) 16 질량부
이산화티탄 미립자*(2) 4 질량부
중합체 3 16 질량부
탈이온수 64 질량부
*(1) 다오카 케미칼사 제조, 마젠다 유용성 염료, Oleosol Fast Pink FB
*(2) 이시하라 산교 가이샤 리미티드, PT-401M
혼련 장치에서의 처리 시간을 20 분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염료 농도가 15 질량%인 밀 베이스(M-6)를 밀 베이스(C-1)와 동일한 방식으로 밀 베이스(M-6)로부터 제조하였다.
부피 평균 입경은 상기 밀 베이스에서 생성된 무기 안료 및 생성된 염료를 함유하는 중합체 안료와 관련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을 UPA 150(마이크로트랙 컴파니 제조)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잉크 조성물 4의 밀 베이스를 밀 베이스(M-6)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잉크 조성물 11)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조성물 12의 제조
잉크 조성물 12의 성분
3-메틸-1,3-부탄디올을 1,6-헥산디올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잉크 조성물 12를 잉크 조성물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3의 제조
밀 베이스 (M-7) 40 질량부
글리세린 12 질량부
1,5-펜탄디올 12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Softanol 7025*(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9 질량부
*(1) 계면활성제,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밀 베이스(M-7)을 제외한 전술한 성분을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비히클을 제조하며, 상기 비히클을 밀 베이스(M-7)와 충분히 혼합하며, 혼합물을 평균 공극 크기가 1 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4의 제조
밀 베이스 (M-8) 40 질량부
글리세린 24 질량부
Softanol 7025*(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4.9 질량부
*(1) 계면활성제,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5의 제조
밀 베이스 (M-8)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Proxel LV*(1) 0.1 질량부
탈이온수 33.9 질량부
*(1)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6의 제조
밀 베이스 (K-1)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트리에틸렌 글리콜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9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블랙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7의 제조
밀 베이스 (Y-1)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1,6-헥산디올 18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Softanol 7025*(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9 질량부
*(1) 계면활성제,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8의 제조
밀 베이스 (Y-1)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1,3-부탄디올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19의 제조
밀 베이스 (M-9)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18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0의 제조
밀 베이스 (M-9)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465*(1) 1 질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니씬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1의 제조
밀 베이스 (C-2)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N-메틸-2-피롤리돈 18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465*(1) 1 질량부
수산화리튬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니씬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2의 제조
밀 베이스 (C-3)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2-피롤리돈 18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465*(1) 1 질량부
트리에탄올 아민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니씬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3의 제조
밀 베이스 (C-3)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3-메틸-1,3-부탄디올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4의 제조
Direct Blue 199*(1) 6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N-메틸-2-피롤리돈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465*(2) 1 질량부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질량부
Proxel LV*(3) 0.1 질량부
탈이온수 66.7 질량부
*(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시안 염료, Irgasperse Jet Cyan RL
*(2) 니씬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계면활성제
*(3)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Direct Blue 199을 제외한 전술한 성분을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비히클을 제조하며, 상기 비히클을 Direct Blue 199와 충분히 혼합하며, 이어서 혼합물을 평균 공극 크기가 0.5 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를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5의 제조
밀 베이스 (M-7) 40 질량부
1,5-펜탄디올 24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7025*(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9 질량부
*(1) 계면활성제,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글리세린을 잉크 조성물 13의 성분으로부터 제거하고 1,5-펜탄디올을 24 질량부로 증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잉크젯 기록용 마젠다 잉크를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6의 제조
밀 베이스 (Y-1) 40 질량부
1,6-헥산디올 24 질량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 질량부
Surfinol 7025*(1) 1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9 질량부
*(1) 계면활성제,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글리세린을 잉크 조성물 13의 성분으로부터 제거하고 1,6-헥산디올을 24 질량부로 증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잉크젯 기록용 옐로우 잉크를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잉크 조성물 17의 잉크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 27의 제조
밀 베이스 (C-4) 40 질량부
글리세린 6 질량부
3-메틸-1,3-부탄디올 18 질량부
3-메틸-2,4-헵탄디올 2 질량부
FT-110*(1) 1 질량부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0.2 질량부
Proxel LV*(2) 0.1 질량부
탈이온수 32.7 질량부
*(1) 네오스 컴파니 리미티드,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2) 아베시아사, 방부/방미제
밀 베이스(C-2)를 밀 베이스(C-4)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잉크젯 기록용 시안 잉크를 전술한 잉크 조성물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잉크 조성물 23의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생성된 잉크 조성물 1∼27을 부피 평균 입경, 점도, 표면 장력, pH 및 가용 함량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i) 부피 평균 입경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을 탈이온수로 500배 희석한 후 부피 평균 입경을 UPA-EX 150(마이크로트랙 컴파니 제조)을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ⅱ) 점도
점도는 RC-500(도키 산교 컴파니 제조)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ⅲ) 표면 장력
표면 장력은 Model CBVP-Z(교와 인터페이스 사이언스 컴파니 제조)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ⅳ) pH
pH는 pH BOY-P2(신덴겐 일렉트린 메뉴팩처링 컴파니 제조)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v) 가용물 함량
잉크 내 컬러 물질에 대한 가용성 컬러 물질의 비율(%)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잉크 조성물 및 그 잉크 조성물의 여과액의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피크 파장에서의 이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여과 공정은 분산 입자와 가용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한외 여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계치가 50,000(전환 입도 5 nm에 해당)인 Biomax PXB050A50(밀리포어 컴파니 제조)을 한외여과 장치로서 사용하였다. U-3310(히타치 컴파니 제조)을 분광 광도계로서 사용하여 파장 200∼800 nm에서의 광학 스펌트럼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용물 함량은 하기와 같이 측정 및 산출된다. 우선, 흡수 스펙트럼 분포를 원액으로서의 잉크에 대해 측정한다. 잉크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이의 원액에서 매우 크며, 따라서 순수를 사용하여 500∼5,000배로 희석하며(희석 비율 Ka 기록), 희석된 잉크를 분광 광도계의 측정 셀에 투입한다. 순수를 비교 셀에 충전시키고, 상기 셀을 적어도 가시광 범위 340∼800 nm에서 샘플링 간격 5 nm 미만으로 스캐닝하여 도 7에서 마크 ■로 표시되는 원액의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취한다. 여과액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가능한 농도록 희석시키고, 희석 비율 Kb를 기록하며, 희석된 여과액을 잉크 원액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측정하여 도 7에서 마크 △로 표시되는 여과액의 분광 흡수 스펙트럼을 수득한다. 흡광도(abs)의 A, B 값을 원액 및 여과액의 흡수 피크 파장에서 수득한 후, 하기 식에 의해 가용 함량을 산출한다. 흡광도(abs)에서 2 이상이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대 피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용물 함량(%) = (Kb x B)/(Ka x A) x 100
도 7에서의 가용물 함량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가용물 함량(%) = (90 x 2.24)/(2000 x 1.74) x 100 = 5.8%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4
이송된 순수의 양은 평가용으로 사용되는 7종의 하기 기록 매체에 대해 측정하였다. 동적 주사 흡액계(K350 시리즈 D 타입, 교와세이코 컴파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록 매체
기록 매체 A: 오로라 코트, 평량 = 104.7 g/m2(니폰 제지 주식회사 제조), 기재: 펄프, 코팅층: 카올린, 탄산칼슘, 전분 및 결합제 수지(양면), 두께: 약 100 μm;
기록 매체 B: POD 광택 코트 100 g/m2 용지(오지 제지 주식회사 제조);
기록 매체 C: Superfine 전용지(세이코 엡손 주식회사 제조);
기록 매체 C': Superfine 용지(세이코 엡손 주식회사 제조), 기재, 펄프, 코팅층: 실리카, 알루미나, 전분 및 결합제 수지(한면), 두께: 약 120 μm;
기록 매체 D: Lumirror U10(토레이 주식회사 제조);
기록 매체 D': Lumirror U12(토레이 주식회사 제조), 기재: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코팅층: 없음, 두께: 약 125 μm ;
기록 매체 E: 스페이스 DX 매트지, 잉크젯용 매트 코트지(니폰 제지 주식회사 제조), 기재: 펄프, 코팅층: 카올린, 탄산칼슘, 전분 및 결합제 수지(양면), 두께: 약 60 μm.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5
상기 5종의 기록 매체 상의 이송된 잉크의 양(ml/m2)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5에 나타내었다. 동적 주사 흡액계(K350 시리즈 D 타입, 교와세이코 컴파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6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7
Ipsio G7570(리코 컴파니 제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잉크 및 7종의 전술한 기록 매체로부터 잉크 기록된 매체를 생성하였다. 화질 평가 항목 및 이의 평가 결과를 표 6∼10에 나타낸다.
(i) 번짐
인쇄된 이미지의 4 포인트 문자를 하기 기준에 따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A: 선명함, 잉크 번짐 없음
B: 약간의 번짐 있으나 허용가능한 수준임
C: 번짐
D: 판독하기 어려울 정도록 번짐
(ⅱ) 비쳐 보임(이면 배임)
화상 밀도는 반사/컬러 분광 광도 광농도계(reflective/color spectrophotometric densitometer)(엑스-라이트 컴파니 제조)를 이용하여 베타부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기록 매체 그 자체의 화상 밀도 측정값으로 감하여 비쳐 보임 밀도 값을 수득하며,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비쳐 보임 밀도의 허용 수준은 0.10 이하이다.
A: 비쳐 보임 밀도(STD) < 0.05
B: 0.05 ≤ STD < 0.10
C: 0.10 ≤ STD < 0.20
D: 0.20 ≤ STD
(ⅲ) 비딩(비균일성)
베타부의 밀도 비균일성 수준은 하기 기준에 따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A: 전체적으로 균일, 밀도 비균일성을 확인 불가함
B: 밀도 비균일성은 확인되나 허용가능함 수준임
C: 허용불가한 수준의 밀도 비균일성이 확인됨
D: 밀도 비균일성이 상당함
(ⅳ) 채도
표준 컬러에 대한 채도(옐로우: 91.34, 마젠다: 74.55, 시안: 62.82, 재팬 컬러 버전 2)에 대한 반사/컬러 분광 광도 광농도계의 채도 비율을 계산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B 이상의 허용가능한 수준이다.
A: 1.0 ≤ 비율
B: 0.8 ≤ 비율 < 1.0
C: 0.7 ≤ 비율 < 0.8
D: 비율 < 0.7
(v) 스퍼 얼룩
스퍼로 인한 베타부의 백그라운드 부분으로의 오프셋 얼룩 수준을 하기 기준에 따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3 이상의 허용가능한 수준이다.
등급 3: 오프셋 얼룩 없음
등급 2: 약간의 오프셋 얼룩 있음
등급 1: 명백한 오프셋 얼룩 있음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8
Figure 112008072090954-PCT00019
Figure 112008072090954-PCT00020
Figure 112008072090954-PCT00021
Figure 112008072090954-PCT00022
기록 매체 C', D'는 C, D와 동일하며, 평가 결과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잉크 매체 세트는 소정의 흡액성을 갖는 기록 매체와, 소정의 표면 장력을 갖는 잉크 조성물을 조합하여 고선명으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 잉크 기록물,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젯 기록 방법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젯 기록 방법은 잉크젯 기록 방식에 의한 각종 기록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 잉크젯 기록용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팩시밀리/복사기 복합기 등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잉크 조성물과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잉크 매체 세트로서,
    상기 잉크 조성물이 염료 및 무기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 수용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며, 표면 장력이 25℃에서 20∼35 mN/m이며,
    상기 기록 매체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면에 코팅층을 포함하며,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2 m1/m2 이상 35 m1/m2 미만이고, 접촉시간 400 ms에서 순수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3 m1/m2 이상 40 ml/m2 미만인 잉크 매체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잉크 조성물의 점도가 25℃에서 5∼50 mPaㆍs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염료가 지용성 염료 및 분산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안료 입자가 이산화티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및 실리카 입자 중 하나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료 및 무기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료 및 무기 안료 미립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미립자의 체적 평균 입경이 5∼200 nm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용매가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3-메틸-1,3-부탄디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잉크 매체 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수 8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및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 매체 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잉크조성물이 기록 매체에 부착되어 인쇄가 행해지고,
    상기 잉크 조성물이 유기 용매, 물 및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착색제가 물 및 유기 용매에 분산 상태 및 용해 상태로 존재하며,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여과로 분리한 후 용해 상태의 착색제의 양이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총량에 대하여 10% 이하이고,
    동적 주사 흡액계로 측정하여 접촉 시간 1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4∼15 m1/m2이며, 접촉 시간 400 ms에서의 잉크 조성물의 기록 매체로의 전이량이 7∼20 ml/m2인 잉크 매체 세트.
  10. 유기 용매, 물 및 착색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매체 세트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제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고, 물 및 유기 용매에 분산 상태 및 용해 상태로 존재하며, 분자량 한계가 50,000인 한외여과로 분리한 후 용해 상태의 착색제의 양이 잉크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총량에 대하여 10% 이하인 잉크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용기 중에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상기 잉크 조성물의 토출을 통하여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방법.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에 자극을 인가하여, 상기 잉크 조성물의 토출을 통하여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토출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4. 잉크 매체 세트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매체 세트의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포함하는 잉크 기록물.
KR1020087025329A 2006-12-27 2007-12-26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 KR101053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3228 2006-12-27
JP2006353228A JP4971784B2 (ja) 2006-12-27 2006-12-27 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記録物
JPJP-P-2007-071531 2007-03-19
JP2007071531A JP5152620B2 (ja) 2007-03-19 2007-03-19 インク組成物、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PCT/JP2007/075394 WO2008078841A1 (en) 2006-12-27 2007-12-26 Ink-media set, ink composition,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recorded ma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11A true KR20090007711A (ko) 2009-01-20
KR101053966B1 KR101053966B1 (ko) 2011-08-04

Family

ID=3956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329A KR101053966B1 (ko) 2006-12-27 2007-12-26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19544B2 (ko)
EP (1) EP2097270B1 (ko)
KR (1) KR101053966B1 (ko)
WO (1) WO2008078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748A (ko) * 2020-02-12 2021-08-20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탈취 및 항균 기능이 있는 부직포 잉크젯 출력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0696B2 (ja) * 2005-10-24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記録用インク、該インクを含むインクセット、及び該インク又はインクセットを用いた記録方法、記録装置と記録物、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20070197685A1 (en) 2006-01-18 2007-08-23 Tamotsu Aruga Recording ink as well as ink media set, ink cartridge, ink recorded matte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EP1994102B1 (en) * 2006-03-10 2011-12-28 Ricoh Company, Ltd. Recording ink,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621192B2 (ja) * 2008-09-05 2014-11-0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画像形成方法、及びインク記録物
JP5568900B2 (ja) * 2008-10-30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10173286A (ja) * 2009-02-02 2010-08-12 Ricoh Co Ltd 記録方法、インク、およびメディア
JP5167178B2 (ja) 2009-03-18 2013-03-21 株式会社リコー 強光沢バリアブル印刷用メディアおよび記録方法
JP5776141B2 (ja) 2009-06-23 2015-09-09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並びに、該インク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該インクを収容した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物
WO2011021591A1 (en) 2009-08-21 2011-02-2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ed matter
JP5593969B2 (ja) 2009-09-09 2014-09-2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インク、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835866B2 (ja) 2009-09-11 2015-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方法
JP2011063001A (ja) * 2009-09-18 2011-03-31 Fujifilm Corp 画像形成方法
JP5534160B2 (ja) 2009-12-03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装置、画像形成方法並びに画像形成物
US8622534B2 (en) * 2010-02-08 2014-01-07 Zamtec Ltd Method of minimizing kogation in thermal inkjet printheads
CN102781677B (zh) 2010-02-26 2014-07-09 株式会社理光 喷墨处理液、喷墨记录设备、喷墨记录方法和图像形成物
JP5672065B2 (ja) * 2010-03-02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記録物
JP5282747B2 (ja) 2010-03-05 2013-09-0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5990868B2 (ja) 2010-04-09 2016-09-1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法による膜の作製方法及び膜
US10632740B2 (en) 2010-04-23 2020-04-2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US8807731B2 (en) 2010-06-02 2014-08-19 Ricoh Company, Lt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kjet image forming method
US8722175B2 (en) 2010-06-29 2014-05-13 Ricoh Company, Ltd. Liquid composition,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matter
JP5601075B2 (ja) 2010-08-04 2014-10-0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記録物
JP5793840B2 (ja) 2010-08-19 2015-10-1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組成物、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5879875B2 (ja) 2010-09-30 2016-03-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
JP5552995B2 (ja) 2010-10-19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物
JP5737141B2 (ja) 2010-12-14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2140550A (ja) 2011-01-04 2012-07-26 Ricoh Co Ltd 紫外線硬化型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768394B2 (ja) 2011-02-10 2015-08-2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該インクセット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5655618B2 (ja) 2011-02-18 2015-01-21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処理液及び該処理液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5825126B2 (ja) 2011-03-14 2015-12-02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919901B2 (ja) 2011-03-15 2016-05-1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記録物
US8740374B2 (en) 2011-03-25 2014-06-03 Ricoh Company, Ltd.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ed matter
US8919945B2 (en) 2011-04-12 2014-12-30 Ricoh Company, Ltd. Inkjet ink, pigment dispersion, image forming metho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k cartridge, and print
JP5888589B2 (ja) 2011-06-28 2016-03-22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記録用メディア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51695B2 (ja) 2011-09-15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及び該画像形成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JP6031903B2 (ja) 2011-09-16 2016-11-2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757215B2 (ja) 2011-10-14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10883B2 (ja) 2011-12-14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
EP2614964B1 (en) 2012-01-10 2017-01-0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JP5957915B2 (ja) 2012-02-01 2016-07-27 株式会社リコー 洗浄液兼充填液、該洗浄液兼充填液を収容したカートリッジ、該洗浄液兼充填液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洗浄、充填、保管方法
JP6051531B2 (ja) 2012-02-01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51530B2 (ja) 2012-02-01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65607B2 (ja) 2012-02-03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US10434761B2 (en) 2012-03-05 2019-10-0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US9643403B2 (en)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Printing system
US9902147B2 (en) 2012-03-05 2018-02-27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9643400B2 (en)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Treatment of release layer
US10569534B2 (en) 2012-03-05 2020-02-25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JP2015514821A (ja) * 2012-03-05 2015-05-21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インクフィルム構築物
CN104271687B (zh) 2012-03-05 2016-11-02 兰达公司 油墨膜构造
US10642198B2 (en) 2012-03-05 2020-05-05 Landa Corporation Lt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and protonata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US9498946B2 (en) 2012-03-05 2016-11-22 Landa Corpor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r monitoring of a printing system
US10190012B2 (en) 2012-03-05 2019-01-29 Landa Corporation Ltd. Treatment of release layer and inkjet ink formulations
US9381736B2 (en) 2012-03-05 2016-07-05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CA2866204C (en) 2012-03-05 2020-04-14 Landa Corporation Ltd. Ink film constructions
CN104284850B (zh) 2012-03-15 2018-09-11 兰达公司 打印系统的环形柔性皮带
JP6051840B2 (ja) * 2012-03-19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記録物
JP2013231107A (ja) 2012-04-27 2013-11-1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記録方法
JP5939039B2 (ja) 2012-05-30 2016-06-22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US9056993B2 (en) 2012-07-10 2015-06-16 Ricoh Company, Ltd. Ink composition, inkjet record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JP5910372B2 (ja) 2012-07-11 2016-04-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
US9102841B2 (en) 2012-08-29 2015-08-11 Ricoh Company, Ltd. Yellow ink composition for inkjet recording, and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ed material
JP2014051625A (ja) 2012-09-07 2014-03-20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カイ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記録物
JP6281675B2 (ja) 2012-11-08 2018-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075075B2 (ja) 2013-01-23 2017-02-0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用インクと記録用メディアのセット
JP6269145B2 (ja) 2013-03-13 2018-01-31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該インクを用いた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記録物
GB201401173D0 (en) 2013-09-11 2014-03-12 Landa Corp Ltd Ink formulations and film constructions thereof
US9782993B2 (en) 2013-09-11 2017-10-10 Landa Corporation Ltd. Release layer treatment formulations
GB2536489B (en) 2015-03-20 2018-08-29 Landa Corporation Ltd Indirect printing system
GB2537813A (en) 2015-04-14 2016-11-02 Landa Corp Ltd Apparatus for threading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of a printing system
WO2017014747A1 (en) 2015-07-20 2017-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n-newtonian white inks
EP3265520B1 (en) 2015-07-20 2022-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hite inks
CN107636086B (zh) 2015-07-20 2021-04-0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白色墨水
GB201609463D0 (en) 2016-05-30 2016-07-13 Landa Labs 2012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article
DE112017002714T5 (de) 2016-05-30 2019-02-2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es Druckverfahren
JP7206268B2 (ja) 2017-10-19 2023-01-17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印刷システム用の無端可撓性ベルト
JP7225230B2 (ja) 2017-11-19 2023-02-20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
WO2019102297A1 (en) 2017-11-27 2019-05-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1707943B2 (en) 2017-12-06 2023-07-25 Landa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WO2019111223A1 (en) 2017-12-07 2019-06-13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and method
US11001080B2 (en) 2018-04-06 2021-05-1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of ejecting an aqueous ink having a certain dynamic surface tension
CN112399918B (zh) 2018-06-26 2023-01-31 兰达公司 数字印刷系统的中间传输构件
US10994528B1 (en) 2018-08-02 2021-05-04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ith flexi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WO2020075012A1 (en) 2018-10-08 2020-04-16 Landa Corporation Ltd.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printing systems and method
CN113272144B (zh) 2018-12-24 2023-04-04 兰达公司 数字印刷系统和方法
EP4066064A4 (en) 2019-11-25 2024-01-10 Landa Corp Ltd INK DRYING IN DIGITAL PRINTING WITH INFRARED RADIATION ABSORBED BY PARTICLES EMBEDDED WITHIN AN ITM
US11321028B2 (en) 2019-12-11 2022-05-03 Landa Corporation Ltd. Correcting registration errors in digital printing
JP2022007334A (ja) * 2020-06-26 2022-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捺染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862A (en) * 1979-10-17 1981-05-20 Seiko Epson Corp Ink for ink-jet recording
CH653688A5 (en) 1983-06-03 1986-01-15 Pentapharm Ag Pept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substrate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nzymes
US4855345A (en) 1986-06-19 1989-08-08 Ciba-Geigy Corporation Stabilizers for organic polymers
JPH0218710A (ja) 1988-07-05 1990-01-23 Hitachi Maxell Ltd 円盤状磁気記録媒体
JP3428742B2 (ja) * 1993-11-25 2003-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水性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ブリーディングの緩和方法
JP3821306B2 (ja) 1994-03-31 2006-09-13 東洋紡績株式会社 インク
JP3817813B2 (ja) 1997-03-04 2006-09-0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インク
JP3839894B2 (ja) * 1997-03-10 2006-11-01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液
JPH11277817A (ja) 1998-03-31 1999-10-12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2977817B1 (ja) 1998-10-13 1999-11-15 大塚化学株式会社 耐候性記録液
JP2000212487A (ja) * 1999-01-28 2000-08-02 Fujitsu Ltd インク、当該インクを収納するインクカ―トリッジ及び当該インクを使用する記録装置
JP2003072059A (ja) 2001-06-21 2003-03-12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複写機
JP2005306899A (ja) 2004-04-16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6206666A (ja) 2005-01-26 2006-08-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2006307165A (ja) 2005-04-01 2006-11-09 Toda Kogyo Corp 着色樹脂粒子、該着色樹脂粒子を含む水系分散体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または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
JP2007307885A (ja) * 2005-11-04 2007-11-29 Ricoh Co Ltd 画像処理方法、記録物、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及びイン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748A (ko) * 2020-02-12 2021-08-20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탈취 및 항균 기능이 있는 부직포 잉크젯 출력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966B1 (ko) 2011-08-04
EP2097270A4 (en) 2011-04-27
US20090043028A1 (en) 2009-02-12
WO2008078841A1 (en) 2008-07-03
EP2097270B1 (en) 2015-04-22
EP2097270A1 (en) 2009-09-09
US7919544B2 (en)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966B1 (ko) 잉크 매체 세트, 잉크 조성물,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기록물
JP4971784B2 (ja) 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記録物
KR100983850B1 (ko) 기록용 잉크, 잉크/매체 세트,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방법 및 잉크젯 기록 장치
JP607507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用インクと記録用メディアのセット
KR101493638B1 (ko) 잉크젯용 잉크, 잉크젯 기록 방법 및 잉크젯 기록 장치
EP2064068B1 (en) Ink-jet recording method
KR101015184B1 (ko) 기록 매체, 기록 매체-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및잉크젯 기록 장치
JP6292330B2 (ja)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セット
EP2766439B1 (en) Inkjet ink,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504440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276387A (ja) 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並びに前処理液カートリッ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2467262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ed matter
EP2007587A1 (en) Inkjet media,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ink-media set, and ink recorded matter
EP2408624B1 (en) Variable printing medium having high glossiness, and recording method
JP2008284874A (ja) 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並びに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152620B2 (ja) インク組成物、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JP2009066946A (ja) インク、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記録物
JP2008229965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これを用いた印刷方法、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インク
JP2018196952A (ja)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物の製造方法
JP2005144905A (ja) 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318898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15030788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