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65A - 지엽류 집적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집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65A
KR20090005965A KR1020080053260A KR20080053260A KR20090005965A KR 20090005965 A KR20090005965 A KR 20090005965A KR 1020080053260 A KR1020080053260 A KR 1020080053260A KR 20080053260 A KR20080053260 A KR 20080053260A KR 20090005965 A KR20090005965 A KR 2009000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box
paper
reject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533B1 (ko
Inventor
아키히로 나그라
야스히로 나카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12Devices relieving the weight of the pile or permitting or effecting movement of the pile end support during piling
    • B65H31/18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 집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에 있어서, 지엽류를 외부로부터 반입하기 위한 반입부를 측벽에 갖고, 내부에 지엽류를 퇴적시켜 집적하기 위한 집적 박스와 반입부로부터 집적 박스내에 지엽류가 반입되어 왔을 때에 그 지엽류를 집적 박스내의 하부에 이끄는 것과 동시에, 지엽류가 집적 박스내에 퇴적되었을 때에, 퇴적된 지엽류 가운데의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누르는 스택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스택 가이드 부재는 복수 종류의 지엽류의 모두에 대해서 집적 박스내의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를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에 있어서, 종이 걸림 등의 장해를 억제해, 지엽류를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집적 장치{PAPER LEAF ACCUM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지엽류 집적 장치에 관한 자세하게는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 등에 있어서 입출금 등의 이용자와의 거래에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나 장표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엽류 취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 박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지엽류 집적 장치에서는 그 구조에 따라서는 집적 박스내에 이미 집적된 지엽류와 집적 박스내에 후속하여 새롭게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가 충돌해 지엽류가 접히거나, 종이 걸림 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장해는 특히 집적 박스에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접힌 자국이 있는 지엽류를 집적 박스내에 집적하는 경우가 현저했다.
거기서, 종래 상술한 장해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의 지엽류 집적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1에는 반송 방 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힌 자국이 있는 지엽류를 집적하는 경우에서도, 이러한 지엽류를 안정되게 집적,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지엽류 집적 분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탑재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예를 들면 지폐 취급 장치에는 환류용의 정상적인 지폐(이하, 리사이클 지폐라고도 부른다)를 금종마다 분류해 집적하고 또, 집적한 지폐를 분리하기 위한 지폐 집적 분리 장치(이른바 리사이클 박스)와 손상이 현저한 등, 환류에 부적당한 지폐(이하, 리젝트 지폐라고도 부른다)를 회수, 집적하기 위한 지폐 집적 장치(이른바 리젝트 박스)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리사이클 박스에서는 집적된 지폐를 안정되게 분리 반송하기 위해서 지폐의 집적시에는 집적 박스내에는 지폐가 정렬해 집적된다. 또한 근래에는, 리젝트 박스에 있어서도 리젝트 지폐를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서 리젝트 지폐를 정렬해 집적하는 상태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1개의 리젝트 박스에 복수 종류의 금종의 지폐, 즉,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폐를 혼재해 집적하는 경우가 많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6-2186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1개의 집적 박스내에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예를 들면, 지폐)를 혼재시켜 집적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즉, 1개의 집적 박스내에,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혼재시켜 집적하는 경우에는 집적 박스의 사이즈는 최대 사이즈의 지엽류를 집적 가능하도록 최대의 지엽류의 사이즈에 적합시켜 설계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집적 박스내에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가 집적되면 집적 박스의 측벽과 집적된 지엽류와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틈새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이 틈새에 예를 들면, 지엽류의 반송 방향의 선단부가 끼여 넣어진 경우에는 지엽류의 반송 방향의 후단부가 들어 올려지고 상술한 장해를 방지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에 있어서 종이 걸림 등의 장해를 억제해 지엽류를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를 외부로부터 반입하기 위한 반입부를 측벽에 갖고,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퇴적시켜 집적하기 위한 집적 박스와 상기 반입부로부터 상기 집적 박스내에 상기 지엽류가 반입되어 왔을 때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집적 박스내의 아래쪽에 이끄는 것과 동시에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집적 박스내에 퇴적되었을 때 상기 퇴적된 지엽류 가운데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스택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 종류의 모두에 대해서 상기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름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서는 집적 박스내에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퇴적시켜 집적하는 경우에 스택 가이드 부재가 집적 박스내에 퇴적된 상기 복수 종류의 지엽류의 모두에 대해서 집적 박스내의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름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먼저 설명한 집적 박스의 측벽과 집적된 지엽류의 사이의 틈새에 지엽류의 반송 방향의 선단부가 끼여 넣어지거나 집적 박스내의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엣지를 누르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집적 박스내에 퇴적된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반송 방향의 후단부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먼저 설명한 종이 걸림 등의 장해를 억제하고 지엽류를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할 수가 있다. 또한 지엽류에는, 지폐나 장표가 포함된다.
[적용예 2] 적용예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는 대략 구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 또는, 대략 긴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하여 상기 반입부에 반송되고,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집적 박 스내에 퇴적된 지엽류의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중심선 근방의 1점으로써, 상기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볼록부를 구비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서는 지엽류가 예를 들면,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어긋나 반입부에 반송되어 오거나 반송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 반입부에 반송되어 오거나 한 경우에, 스택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볼록부에 의해 집적 박스내에 퇴적된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중심선 근방의 1점으로써, 퇴적된 지엽류가 눌러진다. 따라서, 이 경우, 지엽류는 반송될 때의 힘에 의해, 상기 볼록부에 의해 눌려진 점을 중심으로 해 회전하고, 지엽류의 주변부의 일부가 집적 박스의 측벽과 충돌해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집적 박스의 측벽과 집적된 지엽류와의 사이에 후속해 집적되는 지엽류가 끼여 넣어지는 것 같은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2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송 방향은 상기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인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서는 지엽류의 반송 방향을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방향은 지엽류의 대략 긴 방향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적용예 2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엽류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어긋나 반입부에 반송되어 오거나 반송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 반입부에 반송되어 오거나 한 경우에 지엽류는 반역방향이 지엽류의 대략 긴 방향인 경우보다, 회전 모멘트가 커지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억압된 점을 중심으로 해 회 전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지엽류의 주변부의 일부가 집적 박스의 측벽과 충돌해 접촉하고 집적 박스의 측벽과 집적된 지엽류의 사이에, 후속해 집적되는 지엽류가 끼여 넣어질 것 같은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지엽류에 있어서의 접힌 자국은 지엽류의 짧은쪽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반송 방향을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지엽류의 접힘을 억제하고 지엽류를 집적 박스에 안정되게 반입할 수가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3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입부가 설치된 측벽으로부터 상기 볼록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복수 종류의 지엽류 가운데의 가장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미만인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 의해 집적 박스내에 집적된 상기 복수 종류의 지엽류 가운데 가장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를 확실히 누를 수가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집적 박스의 바닥판의 사이즈는 상기 복수 종류의 지엽류 가운데 가장 큰 지엽류의 사이즈보다 큰 소정 사이즈로 설정되어 있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 의해 지엽류가 반송 후방에 대해서 어느 정도 기운 상태로 반입되어 왔을 때에도 지엽류를 집적 박스내에 확실히 집적할 수가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집적 박스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상기 지엽류 집적 장치는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서는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 상기 바닥판 부재를 승강시킬 수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집적 박스내의 집적 공간의 용적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6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대략 판 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반입부보다 상부에 설치된 소정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엽류 집적 장치는 또한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반입된 지엽류를 상기 집적 박스내의 아래쪽에 이끌기 위한 가이드면과 수평면의 이루는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각도에 근거해 상기 각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구비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 의해, 반입구로부터 집적 박스내에 지엽류가 반입되어 왔을 때에 스택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과 반입된 지엽류의 선단부가 대략 일정한 각도로 접촉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반입된 지엽류를 안정되게 집적 박스내에 이끌어 퇴적시킬 수가 있다.
[적용예 8] 적용예 1 내지 7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또한 상기 반입부로부터 상기 집적 박스내에 반입된 상기 지엽류의 후단부를 상기 반입부보다 아래쪽의 상기 집적 박스내에 두드려 떨어뜨리는 두드림 부재를 구비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본 적용예에 의해, 반입부로부터 집적 박스내에 반입된 지엽류의 후단부를, 반입부보다 아래쪽의 집적 박스내에 확실히 두드려 떨어뜨릴 수가 있으므로, 이미 집적 박스내에 집적된 지엽류와 후속해 반입되는 지엽류와의 충돌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적용예 9] 적용예 1 내지 8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장치.
[적용예 10] 적용예 9 기재의 지엽류 취급 장치를 구비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본 발명은, 상술의 지엽류 집적 장치, 지엽류 취급 장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로서의 구성 외, 상술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구비하는 복사기나, 인쇄 장치 등의 발명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모양에 있어서, 앞서 나타낸 여러 가지의 부가적 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에 근거해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
B.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 :
C. 리젝트 박스 :
c1. 리젝트 박스의 구성 :
c2. 리젝트 박스의 동작 :
c3. 스택 가이드의 작용:
D. 변형예:
A.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은 은행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출금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 (101)과 카드 명세표 처리 장치 (102)와 통장 처리 장치 (103)이나, 이용자 조작부 (104)와 본체 제어 유니트 (105)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은 이용자와의 지폐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은 지폐 입출금구를 구비하고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금시에는,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는 감별되어 금종마다 분류되고, 후술하는 리사이클 박스나 리젝트 박스에 집적되어 보관된다. 또, 지폐 취급 장치 (101)은, 출금시에는 이용자가 지시한 금액분의 지폐를, 후술하는 리사이클 박스로부터 반복 반출하고 지폐 입출금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수수한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상당한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카드 명세표 처리 장치 (102)는 자기 스트라이프 카드(이른바 현금카드)로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거나 거래에 따라, 그 내용을 기록한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거나 한다. 상기 카드로 기록된 정보에는 예를 들면, 금융기관 번호, 과목, 이용자의 구좌 번호 등이 포함된다.
통장 처리 장치 (103)은 통장을 취급해 거래에 따라 통장에 기록된 마크 등의 독취나 인자 처리 등을 실시한다.
이용자 조작부 (104)는 이용자에의 입출금 거래 등을 위한 안내 표시 및, 입출금 거래 등을 위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이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디스플레이와 누르는 보턴 스윗치 등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본체 제어 유니트 (105)는, 내부에 CPU나 메모리 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고 있다. 본체 제어 유니트 (105)는 상술한 지폐 취급 장치 (101)이나 카드 명세표 처리 장치 (102)나, 통장 처리 장치 (103)이나, 이용자 조작부 (104)와 정보의 교환을 실시하고,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B.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지폐 취급 장치 (1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의 측단면도를 나타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취급 장치 (101)은 입금되고 보관된 지폐를 이후의 출금에 재이용하는 이른바 환류형의 장치인 것으로 했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을 입금되고 보관된 지폐를 이후의 출금에 재이용하지 않고 이른바 비환류형의 장치라고 해도 좋다. 지폐 취급 장치 (10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유니트 (110)과 금고부 (120)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부 유니트 (110)은 입구에 셔터 (112)를 가지는 입출금부 (111)과 지폐 반 송로 (113)과 지폐 판별부 (114)와 일시 보관고 (116)과 제어 유니트 (118)을 구비하고 있다.
입출금부 (111)은 이용자와의 지폐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입출금 박스나 각종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셔터 (11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에 구비되어진 이용자 조작부 (104)의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개폐한다. 또, 입출금부 (111)에는 지폐가 투입되었는지 아닌지 즉, 지폐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져 있다.
지폐 반송로 (113)은 지폐 취급 장치 (101)내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을 실시한다. 지폐 반송로 (113)은 도시는 생략 하고 있지만, 지폐를 협지 하도록 설치된 반송 벨트나 복수의 롤러나 복수의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지폐 반송로 (113)상에는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적절히 설치되어 있다. 또, 지폐 반송로 (113)의 각 분기부에는 예를 들면,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하는 지폐의 반송처를 새로 바꾸기 위한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반송 방향은 지폐의 짧은 쪽 방향인 것으로 했다.
지폐 판별부 (114)는 지폐 반송로 (113)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 판별부 (114)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입출금부 (111)으로부터 지폐 반송로 (113)에 반송된 각 지폐에 대해서 금종이나, 환류의 가부(지폐의 진위나, 손상 상 태)를 감별해,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들의 감별은, 지폐를 스캔해 구해지는 화상 데이터, 자기 특성, 자외선 등에 대한 광학 특성 등 여러 가지의 정보를 이용해 실 시할 수가 있다. 지폐의 감별을 행하기 위한 센서로서는 접촉형 센서, 반사형 센서, 투과형 센서, 칼라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여러 가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가 있다. 복수의 센서를 조합해 감별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일시 보관고 (116)은 입출금의 과정에서 반송중의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그리고, 일시 보관고 (116)은 반송된 순서에 지폐를 보관하고, 그 역의 순서로 지폐를 반복 반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의 주위에 휘감기는 벨트에 의해 지폐를 보관 유지하는 기구를 이용했다.
제어 유니트 (118)은 내부에 CPU나, 메모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고 있어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후술하는 리사이클 박스나, 리젝트 박스를 포함한 지폐 취급 장치 (101)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 유니트 (118)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에 구비되어진 본체 제어 유니트 (105)와의 정보의 교환도 실시한다.
금고부 (120)은 두꺼운 판의 금속으로 덮여 견고하게 구성되고 있다. 금고부 (120)에는 환류에 적절한, 즉, 출금에 사용할 수 있는 정상적인 지폐를 집적해 보관하기 위한 3개의 리사이클 박스 (140a, 140b, 140c)와 손상이 현저한, 위권인 것 등 환류나 거래에 부적당한 지폐(이하, 리젝트 지폐라고 부른다)를 집적해 보관하기 위한 1개의 리젝트 박스 (130)이 구비되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사이클 박스 (140a)는 만 엔권을 보관하기 위한 만엔고이고, 리사이클 박스 (140b)는, 5 천엔권을 보관하기 위한 5천엔고이고, 리사이클 박스 (140c)는 천 엔권을 보관하기 위한 천엔고인 것으로 했다. 지폐 취급 장치 (101)에 또 2 천엔권을 보관하기 위한 2천엔고를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 (101)은 일본 지폐를 취급하는 것으로 했지만, 외국 지폐를 취급하도록 해도 괜찮다.
리젝트 박스 (130)은 금종이 달라,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리젝트 지폐를 혼재 퇴적시켜 집적하는 장치이다. 리젝트 박스 (13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엽류 집적 장치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 (101)은 1개의 리젝트 박스 (130)을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량의 리젝트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리젝트 박스 (130)을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하, 리젝트 박스 (130)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C. 리젝트 박스:
C1. 리젝트 박스의 구성:
도 3은, 리젝트 박스 (13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리젝트 박스 (130)의 측단면도를 나타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젝트 박스 (130)은, 반입구 (130i)와 반송 롤러 (131)과 핀치롤러 (132, 133)과 시트 롤러 (134)와 스택 가이드 (135)와 센서 (136)과 집적 박스 (137)을 구비하고 있다.
집적 박스 (137)은 리젝트 지폐 (10)을 퇴적시켜 집적하기 위한 것이고,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구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도 4(a) 참조). 이 구형의 사이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하는 최대의 리젝트 지폐 (10)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집적 박스 (137)은 반입부 (137ri)를 가지는 제1의 측벽 (137r)과 제1의 측벽 (137r)과 대향하는 제2의 측벽 (137f)와 후 술하는 제3의 측벽 (137s1)과 제3의 측벽 (137s1)과 대향하는 제4의 측벽 (137s2)와 리젝트 지폐 (10)이 퇴적되는 마루판이 되는 승강판 (137b)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또 승강판 (137b)는 후술 하는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 (131)의 회전축 (131a)와 핀치롤러 (133) 및 시트 롤러 (134)의 회전축 (133a)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기어가 설치되고 있고 반송 롤러 (131)과 핀치 롤러 (133) 및 시트 롤러 (134)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반송 롤러 (131)은 리젝트 지폐 (10)의 반입시에, 도중에 나타낸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핀치롤러 (132)는 반송 롤러 (131)과 접촉하고, 반송 롤러 (13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또, 핀치롤러 (133)은 리젝트 지폐 (10)의 반입시에, 도중에 나타낸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시트 롤러 (134)는 핀치 롤러 (133)과 연동해 회전한다. 시트 롤러 (134)는 탄성체를 브러쉬 형상에 배치한 롤러이고, 집적 박스 (137)내에 리젝트 지폐 (10)이 집적되었을 때에 리젝트 지폐 (10)의 후단부를 집적 박스 (137)내의 하부에 두드려 떨어뜨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트 롤러 (13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두드림 부재에 상당한다.
스택 가이드 (135)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고, 반입부 (137ri)보다 상부에 설치된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롤러 (131)의 회전축 (131a)를 스택 가이드 (135)의 요동 축으로 한다.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에는 볼록부 (135d)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집적 박스 (137)내에 리젝트 지폐 (10)이 집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승강판 (137b)가 승강기구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에 설치된 볼록부 (135d)는, 스택 가이드 (135)의 자중에 의해, 승강판 (137b)의 상면과 접촉한다. 또, 집적 박스 (137)내에 리젝트 지폐 (10)이 퇴적되고 있을 때는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에 설치된 볼록부 (135d)는 스택 가이드 (135)의 자중에 의해 승강판 (137b)상에 퇴적되고 있는 리젝트 지폐 (10)의 표면과 접촉하고 리젝트 지폐 (10)을 수직 아래쪽에 누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볼록부 (135d)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또, 스택 가이드 (135)의 가이드면 (135g)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면 (135g)와 수평면(승강판 (137b)의 상면, 혹은, 승강판 (137b)상에 퇴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는 스택 가이드 (135)의 볼록부 (135d)가 승강판 (137b)의 상면, 혹은, 승강판 (137b)상에 퇴적된 리젝트 지폐 (10)과 접촉하고 있을 때 수평면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는 승강판 (137b)의 상면이나 리젝트 지폐 (10)을 누르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에 있어서 볼록부 (135d)는 볼록부 (135d)와 제1의 측벽 (137r)의 거리 (L)이 최소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된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리젝트 지폐 (10) 가운데 가장 작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을 확실히 누를 수가 있다.
센서 (136)은 스택 가이드 (135)의 가이드면 (135g)와 수평면의 이루는 각 도(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136)으로서 발광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했다. 센서 (136)으로서 다른 센서를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리젝트 박스 (130)은 집적 박스 (137)의 승강판 (137b)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로서 구동 벨트 (138b)나, 구동 롤러 (138a1, 138a2)나, 롤러 (138r1, 138 r2)나, 구동 롤러 (138a1, 138a2)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구동 모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C2. 리젝트 박스의 동작:
리젝트 박스 (130)의 각종 롤러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 (101)의 제어 유니트 (118)에 의해 제어된다.
반입구 (130i)로부터 반입된 리젝트 지폐는 반송 롤러 (131)과 핀치 롤러 (132, 133)에 의해 협지되고 반송 롤러 (131)과 핀치롤러 (132)와 핀치 롤러 (133)의 회전력에 의해 반입부 (137ri)로부터 집적 박스 (137)내에 반입된다. 그리고, 이 리젝트 지폐 (10)의 적어도 선단부가 스택 가이드 (135)의 가이드면 (135g)에 접촉하면 리젝트 지폐 (10)은 가이드면 (135g)를 따라 집적 박스 (137)내의 아래쪽에 이끌려 내던져진다. 그리고, 이 리젝트 지폐 (10)은 반입될 때의 힘에 의해, 스택 가이드 (135)의 볼록부 (135d)와 이미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 (리젝트 지폐 (10)이 아직 집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승강판 (137b))과의 사이에 미끄러져 들어가, 스택 가이드 (135)의 볼록부 (135d)에 의해, 도중에 나타낸 접촉점 (P)로 수직 아래쪽에 눌러져 집적 박스 (137)내에 퇴적된다.
이 때, 리젝트 지폐 (10)의 후단부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롤러 (134)에 의해, 집적 박스 (137)내의 하부에 두드려 떨어뜨려진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이미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과 후속 해 반입되는 리젝트 지폐 (10)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승강판 (137b)는 먼저 설명한 승강기구에 의해, 스택 가이드 (135)의 가이드면 (135g)와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θ가 일정하게 되는 위치(높이)에 이동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스택 가이드 (135)의 가이드면 (135g)와 반입부 (137ri)로부터 반입되거나 리젝트 지폐 (10)의 선단부가 대략 일정한 각도θ로 접촉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입되거나 리젝트 지폐 (10)을 안정되게 집적 공간내에 이끌 수가 있다.
C3. 스택 가이드의 작용:
도 4는, 리젝트 박스 (130)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 (135)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에 리젝트 박스 (130)을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도 4(a)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먼저 설명한 각종 롤러 등은 그려져 있지 않다. 또, 도 4(a)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를 위로부터 본 형상을 구형 형상으로 했지만,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또, 도 4(b),(c)에는 각각, 최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본 실시예에서는, 만엔권) 및 최소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본 실시예에서는, 천엔권)의 평면도를 나타냈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길이는 WLmax이고, 짧은쪽 방향의 길이는 WSmax이다. 또,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소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길이는 WLmin이고, 짧은쪽 방향의 길이는 WSmin이다. 그리고,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집적 박스 (137)의 긴 방향의 길이 (WL)은 최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길이 WLmax보다 길고, 집적 박스 (137)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WS)는, 최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WSmax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최대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이 반송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기울어 반입되어 온 경우에서도 리젝트 지폐 (10)을 집적 박스 (137)내에 확실히 집적할 수가 있다.
또,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택 가이드 (135)에 있어서, 볼록부 (135d)는 리젝트 지폐 (10)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중심선 근방,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리젝트 지폐 (10)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를 수 있도록 스택 가이드 (135)의 도시한 긴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리젝트 지폐 (10)이 반송 방향에 대해서 거의 기우는 경우 없이, 스택 가이드 (135)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반송되어 왔을 때에는 리젝트 지폐 (10)은 돌출부 (135d)에 의해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눌러지고 집적 박스 (137)내에 도중에 상태 (10s1)로 나타난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 대해서 기울지 않는 상태로 집적된다.
또, 리젝트 지폐 (10)이 반송 방향에 대해서 우측(도의 상측)으로 어긋나 반송되어 온 경우에는 리젝트 지폐 (10)은 볼록부 (135d)에 의해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송 방향에 대해서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억압된다. 또, 먼저 설명한 것처럼,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는, 리젝트 지폐 (10)을 누르지 않기 때문에, 반입되어 오거나 리젝트 지폐 (10)과 스택 가이드 (135)의하면 (135s)와의 마찰 저항은 거의 없다. 따라서, 리젝트 지폐 (10)은 회전 모멘트에 의해 접촉점 (P)를 중심으로 해 왼쪽 주위에 회전해, 집적 박스 (137)내에, 도안에 상태 (10s2)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집적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리젝트 지폐 (10)은 리젝트 지폐 (10)의 주변부의 일부가 제2의 측벽 (137f) 및 제3의 측벽 (137s1)에 접촉한 상태로 집적된다.
또, 리젝트 지폐 (10)이 반송 방향에 대해서 좌측(도의 하측)으로 어긋나 반송되어 온 경우에는 리젝트 지폐 (10)은 볼록부 (135d)에 의해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반송 방향에 대해서 오른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눌러진다. 또,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는 리젝트 지폐 (10)을 누르지 않기 때문에 반입되어 오거나 리젝트 지폐 (10)과 스택 가이드 (135)의 하면 (135s)와의 마찰 저항은 거의 없다. 따라서, 리젝트 지폐 (10)은 회전 모멘트에 의해 접촉점 (P)를 중심으로 해 우회전으로 회전하고, 집적 박스 (137)내에, 도안에 상태 (10s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집적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리젝트 지폐 (10)은, 리젝트 지폐 (10)의 주변부의 일부가, 제2의 측벽 (137f) 및 제4의 측벽 (137s2)에 접촉한 상태로 집적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젝트 지폐 (10)을 집적 박스 (137)내에서 적극적으로 회전시켜 집적 박스 (137)의 측벽과 집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과의 사이 에 후속해 집적되는 리젝트 지폐 (10)이 끼여 넣어지는 것 같은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리젝트 박스 (130)에 의하면 스택 가이드 (135)가 집적 박스 (137)내에 퇴적된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리젝트 지폐 (10)의 모두에 대해서 집적 박스 (137)내의 최상에 위치하는 리젝트 지폐 (10)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를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집적 박스 (137)의 측벽과 집적된 리젝트 지폐 (10)과의 사이의 틈새에 리젝트 지폐 (10)의 반송 방향의 선단부가 끼여 넣어지거나 집적 박스 (137)내의 최상에 위치하는 리젝트 지폐 (10)의 엣지를 누르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집적 박스 (137)내에 퇴적된 최상에 위치하는 리젝트 지폐 (10)의 반송 방향의 후단부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리젝트 지폐 (10)의 종이 걸림 등의 장해를 억제해, 리젝트 지폐 (10)을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할 수가 있다.
D.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 무엇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다양한 모양에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D1. 변형예1:
도 5는, 변형예로서의 리젝트 박스 (130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리젝트 박스 (130A)의 옆단면도를 나타냈다. 리젝트 박스 (130A)는 스택 가이드 (135A)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 (135)의 구조와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박스 (130)과 같다.
즉, 본 변형 예의 리젝트 박스 (130A)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A)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 (135)에 구비되어진 볼록부 (135d) 대신에, 리젝트 지폐 (10)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누름 롤러 (135r)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누름 롤러 (135r)는 리젝트 박스 (130A)의 하면 (135s)로부터 하부로 돌출하고있어 이 누름 롤러 (135r)에 의해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을 누를 수 있다. 또한 누름 롤러 (135r)로부터 제1의 측벽 (137r)까지의 거리 (La)는, 도 4(c)에 나타낸 최소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WSmin) 미만이다.
본 변형 예의 리젝트 박스 (130A)에 의해도,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박스 (130)과 동일하게 1개의 집적 박스 (137)내에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리젝트 지폐 (10)을 집적 경우에, 리젝트 지폐 (10)이 접히거나, 종이 걸림 등의 장해를 억제해, 리젝트 지폐 (10)을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의 리젝트 박스 (130)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에 설치된 볼록부 (135d)의 수를 1개로 하고, 또, 상기 변형 예의 리젝트 박스 (130A)에서는 스택 가이드 (135A)에 설치된 누름 롤러 (135r)의 수를 1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 (135d)나 누름 롤러 (135r)의 수를 복수로 해도 좋다.
D2. 변형예2:
도 6은, 다른 변형예로서의 리젝트 박스 (130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리젝트 박스 (130b)의 측단면도를 나타냈다. 리젝트 박스 (130b)는 스 택 가이드 (135b)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 (135)의 구조와 다르고 있는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박스 (130)과 동일하다.
그리고, 스택 가이드 (135b)의 하면 (135s)에 의해 집적 박스 (137)내에 집적되거나 리젝트 지폐 (10)을 누른다. 또한 스택 가이드 (135b)의 하면 (135s)의 엣지 (135se)로부터 제1의 측벽 (137r)까지의 거리 (Lb)는 도 4(c)에 나타낸 최소 사이즈의 리젝트 지폐 (10)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WSmin) 미만이다.
본 변형 예의 리젝트 박스 (130b)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박스 (130)과 동일하게 1개의 집적 박스 (137)내에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리젝트 지폐 (10)을 집적하는 경우에, 리젝트 지폐 (10)이 접히거나, 종이 걸림등의 장해를 억제하고, 리젝트 지폐 (10)을 안정되게 퇴적시켜 집적할 수가 있다.
D3. 변형예3: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 (101) 및 리젝트 박스 (130)에 있어서, 리젝트 지폐 (10)의 짧은쪽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리젝트 박스 (130)에 있어서 스택 가이드 (135)의 볼록부 (135d)로부터 제1의 측벽 (137r)까지의 거리 (L)을, 도 4(c)에 나타낸 최소의 리젝트 지폐 (10)의 긴 방향의 길이 (WLmin) 미만으로 하면 좋다.
D4. 변형예4: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박스 (130)은 시트 롤러 (134)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을 구비하지 않게 해도 괜찮다. 다만, 시트 롤러 (13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집적 박스 (137)내에 반입되어 오거나 리젝트 지폐 (10)의 후단부를 확실히 두드려 떨어뜨릴 수가 있다.
D5. 변형예5: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박스 (130)에 있어서 스택 가이드 (135)의 요동축을 반송 롤러 (131)의 회전축 (131a)로 했지만, 스택 가이드 (135)의 요동축을 반송 롤러 (131)의 회전축 (131a)와는 별개에 설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D6. 변형예6: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지폐 취급 장치 (101),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예를 들면, 복사기나 인쇄 장치에 적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지폐 취급 장치 (1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리젝트 박스 (13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리젝트 박스 (130)에 있어서의 스택 가이드 (135)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리젝트 박스 (130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변형예로서의 리젝트 박스 (130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0···리젝트 지폐
140a, 140b, 140c···리사이클박스
P···접촉점

Claims (10)

  1. 서로 사이즈가 다른 복수 종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를 외부로부터 반입하기 위한 반입부를 측벽에 갖고, 상기 지엽류를 내부에 퇴적시켜 집적하기 위한 집적 박스와,
    상기 반입부로부터 상기 집적 박스내에 상기 지엽류가 반입되어 왔을 때에,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집적 박스내의 아래쪽에 이끄는 것과 동시에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집적 박스내에 퇴적되었을 때에 상기 퇴적된 지엽류 가운데의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스택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 종류의 모두에 대해서 상기 최상에 위치 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수직 아래쪽에 누름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2. 청구항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는 대략 구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 또는 대략 긴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서 상기 반입부에 반송되고,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집적 박스내에 퇴적된 지엽류의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중심선 근방의 1점으로 상기 최상에 위치하는 지엽류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3. 청구항 2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송 방향은 상기 지엽류의 대략 짧은쪽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4. 청구항 3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입부가 설치된 측벽으로부터 상기 돌출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복수종류의 지엽류 가운데의 가장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의 짧은쪽 방향의 길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5. 청구항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집적 박스의 바닥판의 사이즈는 상기 복수 종류의 지엽류 가운데의 가장 큰 지엽류의 사이즈보다 큰 소정 사이즈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6. 청구항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집적 박스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엽류 집적 장치는 또 상기 바닥판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7. 청구항 6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는 대략 판 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반입부보다 상부에 설치된 소정의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엽류 집적 장치는 또 상기 스택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반입된 지엽류를 상기 집적 박스내의 아래쪽에 이끌기 위한 가이드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각도에 근거해 상기 각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8. 청구항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로서,
    상기 반입부로부터 상기 집적 박스내에 반입된 상기 지엽류의 후단부를 상기 반입부보다 아래쪽의 상기 집적 박스내에 두드려 떨어뜨리는 두드림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집적 장치.
  9.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청구항 1 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0.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청구항 9기재의 지엽류 집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080053260A 2007-07-09 2008-06-05 지엽류 집적 장치 KR100984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9895 2007-07-09
JP2007179895A JP4966117B2 (ja) 2007-07-09 2007-07-09 紙葉類集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65A true KR20090005965A (ko) 2009-01-14
KR100984533B1 KR100984533B1 (ko) 2010-10-01

Family

ID=3987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260A KR100984533B1 (ko) 2007-07-09 2008-06-05 지엽류 집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0165B2 (ko)
EP (1) EP2014593A3 (ko)
JP (1) JP4966117B2 (ko)
KR (1) KR100984533B1 (ko)
CN (1) CN101342999B (ko)
TW (1) TW200911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691A (ko) * 2010-06-03 2011-12-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WO2017171312A1 (ko) * 2016-03-31 2017-10-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917B1 (ko) * 2006-06-30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DE102006031535A1 (de) * 2006-07-07 2008-01-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behälter für Wertdokumente
US20100029374A1 (en) * 2008-08-04 2010-02-04 Glory Ltd., A Corporation Of Japan Automatic dealing machine and automatic dealing system
JP5421032B2 (ja) * 2009-08-31 2014-02-19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FR2961417A1 (fr) * 2010-06-17 2011-12-23 Solystic Dispositif d'empilage d'objets plats sur chant, son procede de pilotage, et machine de tri postal equipee d'au moins un tel dispositif
FR2984772B1 (fr) * 2011-12-22 2014-02-14 Solystic Dispositif et procede d'empilage et de chargement automatique d'objets plats sur chant dans un bac multi-compartiments, machine de tri postal et procede de tri postal
JP5783164B2 (ja) 2012-03-02 2015-09-24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396190B1 (ko) 2012-04-27 2014-05-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택가이드
CN104272354B (zh) * 2012-10-03 2017-03-15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纸页类蓄积装置
US8987626B2 (en) * 2012-10-24 2015-03-24 Pitney Bowes Inc. Anti-abrasion assembly for mailpiece stacking assembly
CN104044950B (zh) * 2014-04-11 2017-05-1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张类集积装置
CN104036588A (zh) * 2014-05-23 2014-09-10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识别纸币币种的现金自动交易装置
JP6259725B2 (ja) * 2014-06-25 2018-01-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分離集積装置
CN104103123B (zh) * 2014-07-03 2016-06-29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升降接钞台
WO2016093826A1 (en) * 2014-12-10 2016-06-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Stacking tab device
CN104573700B (zh) * 2015-02-04 2017-12-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褶皱票据鉴别方法及装置
CN104794807A (zh)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CN104943948B (zh) * 2015-05-13 2017-04-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回收箱
US9754436B1 (en) * 2016-07-19 2017-09-05 Masterwork Automodules Technology Corp., Ltd. Banknote cash unit
JP2018081373A (ja) * 2016-11-14 2018-05-2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収納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機
CN107117485B (zh) * 2017-05-17 2019-05-21 深圳市伟铂瑞信科技有限公司 片状物料带自动叠放收集装置
DE102017115203A1 (de) * 2017-07-07 2019-01-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einem Aufnahmebereich zum Aufnehmen von Wertscheinen
CN110288764B (zh) * 2018-03-13 2021-06-0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集积分离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CN112519324B (zh) * 2020-12-01 2022-06-17 浙江省邮电印刷股份有限公司 一种信封纸袋糊盒机
KR102621273B1 (ko) * 2021-12-27 2024-01-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부의 매체 스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4415A (en) * 1972-07-27 1974-06-04 Burroughs Corp Device for aiding the stacking of documents
US4019730A (en) * 1975-06-05 1977-04-26 Pitney-Bowes, Inc. Envelope stacking system
DE2757849A1 (de) * 1977-12-23 1979-06-28 Agfa Gevaert Ag Einrichtung zum sammeln und stapeln von fotografischen papierbildern
US5064185A (en) * 1989-01-18 1991-11-12 Bell & Howell Phillipsbur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nd stacking articles
JPH02239059A (ja) * 1989-03-10 1990-09-21 Hitachi Ltd 紙葉類堆積装置
FR2674837B1 (fr) * 1991-04-04 1993-07-30 Darchis Pierre Dispositif pour la formation d'une pile d'objets plats, notamment d'enveloppes de courrier.
US5372360A (en) * 1991-06-07 1994-12-13 Bell & Howell Phillipsburg Company Apparatus for stacking sheet-like articles
JP2680755B2 (ja) 1991-09-03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の集積装置
IT1256775B (it) * 1992-01-22 1995-12-15 Vincenzo Priolo Dispositivo raccoglitore per oggetti postali
JPH0811655B2 (ja) * 1993-06-11 1996-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集積機構
JP3336210B2 (ja) * 1996-02-29 2002-10-2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3189665B2 (ja) * 1996-03-08 2001-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集積装置
KR100550578B1 (ko) 1998-03-17 2006-06-20 엘지엔시스(주) 현금 자동 지급기의 지폐 이송 장치
US6161830A (en) * 1999-09-08 2000-12-19 Pitney Bow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mixed mail
JP4160362B2 (ja) * 2002-10-30 2008-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集積装置および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2005263446A (ja) 2004-03-19 2005-09-2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羽根車
JP4178132B2 (ja) 2004-07-07 2008-11-1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分離装置
JP4495645B2 (ja) * 2005-07-19 2010-07-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691A (ko) * 2010-06-03 2011-12-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WO2017171312A1 (ko) * 2016-03-31 2017-10-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US10861274B2 (en) 2016-03-31 2020-12-08 Hyosung TNS Inc. Multi-denomination banknote cassette including variable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0165B2 (en) 2010-12-14
EP2014593A2 (en) 2009-01-14
US20090014946A1 (en) 2009-01-15
CN101342999A (zh) 2009-01-14
JP2009012968A (ja) 2009-01-22
TWI352058B (ko) 2011-11-11
JP4966117B2 (ja) 2012-07-04
TW200911668A (en) 2009-03-16
KR100984533B1 (ko) 2010-10-01
CN101342999B (zh) 2014-10-08
EP2014593A3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33B1 (ko) 지엽류 집적 장치
JP53400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877124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037950B1 (ko) 지엽류 취급장치 및 방법, 현금거래장치, 컴퓨터프로그램을수록한 기억매체
JP5072517B2 (ja) 紙葉類集積装置、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CN104044950A (zh) 一种纸张类集积装置
JP6591787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40139639A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402555B2 (ja) 紙葉類繰出し収納庫
JP2016062235A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628481B1 (ko) 매체 저장부
JP6259725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3931165B2 (ja) 紙葉類取扱装置
US20220335768A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JP2022084246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206170B2 (ja) 小束処理装置
KR20170112336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CN110832555A (zh) 介质处理装置和自动交易装置
KR20170112342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JPH08335282A (ja) 券類取出し装置
JPS63201888A (ja) 現金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