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58A -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58A
KR20090003258A KR1020087023255A KR20087023255A KR20090003258A KR 20090003258 A KR20090003258 A KR 20090003258A KR 1020087023255 A KR1020087023255 A KR 1020087023255A KR 20087023255 A KR20087023255 A KR 20087023255A KR 20090003258 A KR20090003258 A KR 2009000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emulsion composition
oil
fatty acid
water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도리 사까이
도시노리 이께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9000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상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감초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1 내지 50 %인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산 및 열에 대하여 안정적이며, 물에 가용이기 때문에, 감초 폴리페놀 등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효율적인 보급이 가능한 음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Description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LICORICE-DERIVED POLYPHENOL}
본 발명은, 건강 식품이나 보건 기능 식품(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등의 음식품, 또는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수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초는 생약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그 수추출물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글리시리진산)에는 항염증 작용, 항종양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우수한 약리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감초는 수크로오스의 약 200배의 단맛이 있기 때문에, 감미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감초 또는 감초 수추출 잔사로부터 유기 용매 등에 의해 추출되는 감초 소수성 성분은, 산화 방지 작용, 항균 작용, 효소 저해 작용, 항종양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 많은 유용한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감초 소수성 성분은 물 및 일반적인 오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며, 추출물의 상태에서는 고결(固結)되기 쉽고 착색되는 등, 불안정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에 유용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10 % 이상 함유하는 유지계 용제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이 감초 소수성 성분 함유 유지 조성물은 수계 대상물 등에 그대로 가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특허 문헌 2에는, 감초 소수성 후라보노이드와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용해시킨 것을 유화제 존재하에 수중유형 유화물로 제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단순히 수분산성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투명성이나 내산성은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에는, 감초 유성 추출물과 폴리글리세린라우르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감초 소수성 성분 함유 유지 조성물에 유화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농축유(濃縮乳)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 농축유는 투명성이 없는 유화물이기 때문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부적당하다고 생각된다.
특허 문헌 1: WO03/084556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2-20441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6233호 공보
특허 문헌 4: WO2005/011672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초 소수성 성분 함유 유지 조성물은 수계의 대상물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분산성이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내열성이나 내산성이 불충분하다는 등, 그 응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유형 유화 상태를 갖고 효율적인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계의 대상물에 감초 소수성 성분을 첨가하여도 대상물 본래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높은 징명성(澄明性)을 유지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한 성분 구성이 감초 소수성 성분의 불용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는 것, 이들을 사용하여 수용성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용성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상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감초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1 내지 50 %인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즉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감초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1 내지 50 %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 중량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6 이상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10이고, 지방산 잔기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추가로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median size)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상기 (6)에 있어서, 50 MPa 이상의 균질화 압력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부형제를 첨가한 후, 수분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건조 분말.
(9)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또는 상기 (8)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음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또는 동물용 사료.
(10) 상기 (9)에 있어서, 감초 폴리페놀의 함유량이 1 포장 단위당 10 내지 200 ㎎인 음료.
(11) 상기 (9)에 있어서, 글라브리딘의 함유량이 1 포장 단위당 1 내지 20 ㎎인 음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물에 난용해성의 감초 소수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정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물에 가용이며, 이것을 사용하여 감초 소수성 성분의 효율적인 보급이 가능한 높은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갖는 수계 대상물(식품, 음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동물용 사료 등)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내산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라고도 함)은,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감초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1 내지 50 %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수상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유래가 되는 감초로서는, 콩과 감초속(Glycyrrhiza속)의 식물, 예를 들면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 glabra), 글리시리자 우랄렌시스(G. uralensis), 글리시리자 인플라타(G. inflata), 글리시리자 유리카르파(G. eurycarpa), 글리시리자 아스페라(G. aspera)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리자 글라브라, 글리시리자 우랄렌시스, 글리시리자 인플라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리자 글라브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은,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의 추출물이다. 여기서 말하는 "주성분으로 하는"이란, 예를 들면 감초 소수성 추출물 중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 폴리페놀 성분인 것을 의미한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감초 또는 그 분말, 또는 이들의 수추출물 잔사로부터 유기 용매(예를 들면 에탄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등)로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유지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WO2003/084556(특허 문헌 1)이나 WO2005/011672(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용액으로서 얻는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감초의 근경부를 에탄올로 추출하고, 얻어진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에탄올 용액에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첨가한 후, 에탄올을 제거함으로써,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에는, 감초 폴리페놀 성분으로서 글리시쿠마린(glycycoumarin), 글리시롤(glycyrol), 글리시린(glycyr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글리코리콘(glicoricone), 글라브리딘(glabridin), 글라브렌(glabrene), 글라브롤(glabrol),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3'-hydroxyl-4'-O-methylglabridin), 4'-O-메틸글라브리딘(4'-O-methylglabridin), 글리우랄린 B(glyurallin B), 리코쿠마론(licocoumarone), 간카오닌 I(gancaonin I),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dehydroglyasperin D), 에치나틴(echinatin), 이소리코플라보놀(isolicoflavonol),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dehydroglyasperin C), 글리아스페린 B(glyasperin B),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glycyrrhisoflavanone), 루피와이테온(lupiwighteone), 글리아스페린 D(glyasperin D),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semilicoisoflavone B) 등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되지만, 이 중 글라브리딘, 글라브렌, 글라브롤,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4'-O-메틸글라브리딘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량이 중량비로 1 내지 50 %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감초 폴리페놀 성분의 정량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글라브리딘 환산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8 또는 10인 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트리글리세리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의 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탄소수 14 이상의 지방산 잔기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화제로서 사용한다. 탄소수 14 이상의 지방산 잔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올레산 등의 탄소수 14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지방산 잔기로서 갖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론 이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에스테르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글리세린모노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모노팔미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HLB는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중합도가 10인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감초 소수성 추출물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량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초 소수성 추출물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10 내지 100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첨가량이 50 중량부보다 적으면, 안정적인 수용성 조성물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상 성분으로서는, 물이나 다가 알코올,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서는, 액당 등의 당류,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이 예시된다. 유화 특성의 면에서는,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물을 수상 성분의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상 성분으로서 다가 알코올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시의 위생면에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상 성분의 함유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50 내지 99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이외의 다른 유지 성분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지 성분으로서는 유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옥수수유, 유채씨유, 하이 에루신산(high erucic acid) 유채씨유, 대두유, 올리브유, 홍화유, 면실유, 해바라기유, 미강유, 차조기유, 들깨유, 아마인유, 달맞이꽃유, 카카오지, 낙화생유, 팜유, 팜핵유 등의 식물유, 어유, 우지, 돈지, 유지, 난황유 등의 동물유, 또는 이들을 원료로서 분별, 수소 첨가, 에스테르 교환 등을 행한 유지, 또는 이들의 혼합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는, 기타 유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비타민 A, D, E, K, P 등의 지용성 비타민류, 코엔자임 Q(유비퀴논 및 유비퀴놀), 리포산, L-카르니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코엔자임 Q, 특히 코엔자임 Q10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엔자임 Q10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골지체, 마이크로솜, 페록시솜 또는 세포막 등에 국재하고, 전자 전달계의 구성 성분으로서 ATP 산생 부활, 생체 내에서의 항산화 작용, 막안정화에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생체의 기능 유지에 필요 불가결한 지용성 물질이며, 최근 건강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의약품 뿐만 아니라 건강 식품이나 보건 기능 식품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안정적으로 제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엔자임 Q10과 같은 유용성의 생리 활성 성분도 안정적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투명성이 높은 수용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는 유용성의 생리 활성 물질의 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제의 유화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코엔자임 Q10의 경우, 제제의 안정성 및 효과 효능의 면에서, 감초 폴리페놀의 함유량과 코엔자임 Q10의 함유량의 비로서 1:10 내지 10:1의 범위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이외에 유용성 향료, 정유, 착색료, 산화 방지제, 비중 조정제 등의 유용성 성분이나, 비타민 C 등의 수용성 비타민류, 유기산, L-카르니틴 등의 아미노산, 정미제로서의 각종 염류 등의 수용성 성분도 유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이면,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기 위한 유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유화기를 사용하는 기계식 유화법을 들 수 있다. 기계식 유화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TK 호모 믹서(도꾸주 기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필믹스(도꾸주 기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폴리트론(키네마티카 AG 제조), 히스코트론(가부시끼가이샤 마이크로테크ㆍ니티온 제조), 클레아믹스 W 모션(Mㆍ테크닉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의 고속 교반 유화기,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미즈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얼티마이저 시스템(가부시끼가이샤 스기노 머신 제조), 나노마이저(요시다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만톤고린형 균질기 등의 고압 유화기, 콜로이드밀, 초음파 균질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유화법 이외에도 막 유화법, 마이크로 채널 유화법, 자연 유화법, 전상 유화법, 겔 유화법, D상 유화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이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은 통상적으로 10 ㎚ 정도 이상이다.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은, 유화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된다. 균일한 분산 상태를 갖는 유화물의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은 대략 100 ㎛(100000 ㎚) 이하이다. 소위 통상적인 유화물은 입경 중간값이 0.1 내지 100 ㎛(100 내지 100000 ㎚)의 범위의 탁한 용액이다. 입경 중간값이 100 ㎚ 이하이면 유화물이어도 거의 투명한 용액이 되고, 50 ㎚ 미만인 경우에는 매우 높은 투명성을 갖는 용액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을 100 ㎚ 이하로 함으로써, 투명성을 갖는 용액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 안정성이나 내산성ㆍ내열성도 향상된다.
목적으로 하는 입경 중간값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유화 방법 중 고압 유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유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균질 화압력은 2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Pa 이상이다. 20 MPa 미만인 경우, 입경 중간값이 100 ㎚ 이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입경 분포가 날카로울수록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고압 유화 처리(균질화 압력 처리)를 10회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 유화기와 동등한 전단력을 제공하는 방법이면 다른 유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클레아믹스 W 모션이나 필믹스가 예시되고, 교반 속도와 교반 시간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입경 중간값을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소정량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기타 임의 성분인 유용성 성분을 통상적인 터빈형, 패들형 등의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온하고, 용해하여 유상부로 한다. 또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수상부에 첨가할 수도 있다. 이어서, 조정된 유상부에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행한다. 얻어진 예비 유화액은, 목적으로 하는 입경으로 조정하기 위해 고압 유화기로 유화 처리한다. 유화 처리 온도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물에 용해되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그대로 섭취하거나 또는 캡슐에 충전하여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대로 식품 등에 첨가하거나 물에 용해하여 제조함으로써, 유음료, 청량 음료, 영양 드링크, 미용 드링크 등의 음료, 추잉검, 초콜릿, 캔디, 젤리, 비스킷, 크래커 등의 과자류, 아이스크림, 빙과 등의 빙과류, 우동, 중화면, 스파게티, 즉석면 등의 국수류, 어묵, 원통형 어묵, 반달형 어묵 등의어 묵 식품, 드레싱, 마요네즈, 소스 등의 조미료, 빵, 햄, 스프, 각종 레토르트 식품, 각종 냉동 식품 등으로의 이용이 예시되며, 나아가서는 애완 동물 사료나 가축 사료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계에서의 투명성, 내산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청량 음료, 영양 드링크, 미용 드링크 등의 음료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품, 음료에는, 건강 식품, 보건 기능 식품(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덱스트린, 젖당 등의 당류,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아라비아검, 가티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한 후, 분무 건조나 동결 건조법 등의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 분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형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분말 전체 중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50 내지 90 중량% 정도이다. 부형제로서 당알코올류를 사용함으로써 건조 분말 중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형제로서 아라비아검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당알코올을 병용한 경우 감초 소수성 추출물/부형제량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얻어진 건조 분말은, 물에 용해함으로써 용이하게 감초 소수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 및 그 수용액은 그대로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식품 등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예시한 것과 동일한 식품, 음료, 동물용 사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은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상기 건조 분말을 식품 등에 첨가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음료인 경우 1 포장 단위(예를 들면 1개)당 감초 폴리페놀의 함유량이 10 내지 200 ㎎ 정도, 또는 글라브리딘의 함유량이 1 내지 20 ㎎ 정도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화ㆍ수용성 조성물의 입경 중간값>
실시예ㆍ비교예에 있어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또는 수용성 조성물의 입경 중간값은, LB-550(호리바 세이사꾸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화ㆍ수용성 조성물의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
실시예ㆍ비교예에 있어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또는 수용성 조성물에 물 또는 pH 3의 시트르산 수용액(표 중: "pH 3 물"로 표기)을 감초 폴리페놀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량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또는 시트르산 수용액의 양이 5000 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첨가 후 및 75 ℃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의 입경 중간값에 대하여 LB-5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아프간산 감초(G. glabra)의 근경부 1.0 Kg을 사용하여 에탄올 5.0 L에 의한 추출(45 ℃, 2 시간, 2회)을 행한 후, 감압 농축에 의해 농축액 0.45 L를 얻었다. 이어서, 이 농축액 0.3 L를 추가로 농축한 후, 활성탄 처리를 실시하여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에탄올 용액 123.6 g(감초 소수성 추출물 24.8 g 함유)을 얻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에탄올 용액 63.9 g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액터 M2; 리켄 비타민 가부시끼가이샤, 지방산 조성은 C8:C10=99:1) 18.8 g을 혼합하여 약 80 ℃로 보온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농축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감압 농축에 의해 얻어진 28.7 g을 흡인 여과하여 불용분을 여과 분별한 후, 불용분을 헥산으로 세정하고, 얻어진 회수 오일은 상기 여과액에 첨가하였다. 회수한 여과액 26.2 g에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액터 M2) 4.5 g을 첨가하여,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30.7 g(이 중, 감초 소수성 추출물 8.9 g을 함유)을 얻었다.
HPLC 분석
<HPLC 분석 샘플의 조정>
상기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g을 HPLC용 메탄올에 용해하고, 전량을 100 mL로 조정하였다.
<HPLC 조건>
칼럼: YMC, J'sphere ODS-H80, 4.6×250 ㎜
칼럼 온도: 40 ℃
이동상: A=20 mM 인산 수용액
B=아세토니트릴:메탄올(50:50=v/v)
구배: 이동상 A에 대하여, B의 비율을 분석 개시 20분까지 50 %로 일정하게 하고, 20분 이후 75분 후에 80 %가 되도록 일정 비율로 상승시켜, 75분 이후 80분까지 100 %로 일정하게 하고, 80분 이후 100분까지 50 %로 일정하게 하는 조건
유속: 1 mL/분
파장: UV 282 ㎚
샘플 주입량: 20 μL
<분석 결과>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g에 포함되는 각각의 함유량은 글라브렌(4.4 ㎎), 글라브리딘(30.0 ㎎), 글라브롤(6.0 ㎎), 4'-O -메틸글라브리딘(5.2 ㎎)이었다.
폴리페놀 분석
글라브리딘(와꼬 준야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표준 물질을 사용한 폴린-데니스법에 의한 폴리페놀 함량(후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의 측정을 행한 결과,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g 중의 폴리페놀의 총 함유량은 239.1 ㎎이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미쯔비시 가가꾸 푸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7D) 5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마찬가지로 수상부로서 물 94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수상부를 유상부에 혼합하면서 첨가한 후, 나노마이저 II(요시다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유화 압력 100 MPa로 10회 처리를 행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팔미트산에 스테르(미쯔비시 가가꾸 푸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P-8DS) 5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4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끼가이샤 J-0081)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8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3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끼가이샤; J-0381)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87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1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8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6)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J-0081) 2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7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 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다이요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Q-17S)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89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8)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5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4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화 압력 50 MPa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9)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5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4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화 압력을 20 MPa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 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0)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5.5 중량부, 코엔자임 Q10(가부시끼가이샤 가네카 제조) 0.1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3.4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1)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6 중량부, 코엔자임 Q10(가부시끼가이샤 가네카 제조) 0.2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2.8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 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르산에스테르(사까모또 야꾸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L-750) 10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마찬가지로 수상부로서, 물 85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수상부를 유상부에 혼합하면서 첨가한 후, 나노마이저 II(요시다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유화 압력 100 MPa로 10회 처리를 행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통합하였다.
Figure 112008066888200-PCT00001
(실시예 12)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5.5 중량부, 환원형 코엔자임 Q10(가부시끼가이샤 가네카 제조) 0.1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3.4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3)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6 중량부, 환원형 코엔자임 Q10(가부시끼가이샤 가네카 제조) 0.2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92.8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4)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J-0381)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글리세린(사카모또 야꾸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76.5 중량부, 물 8.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5)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J-0381)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액당(쇼와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뉴프럭토 R-30) 67.55 중량부, 물 17.4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6)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J-0381)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소르비톨(우에노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소르비톨 우에노) 72.86 중량부, 물 12.14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7)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0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J-0381) 20 중량부, 수상부로서 글리세린 56 중량부, 물 14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실시예 18)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산에스테르(J-0381) 10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마찬가지로, 수상부로서 글리세린 68 중량부, 물 17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수상부를 유상부에 첨가하고, 화학 교반기(chemistirrer)로 교반하였다.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여,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2에 통합하였다.
Figure 112008066888200-PCT00002
표 1,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산 및 열에 대해서도 매우 안정적인 유화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제조예 1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에탄올 용액 50 중량부(감초 소수성 추출물 10 중량부 함유)에 대하여,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르산에스테르 90 중량부를 첨가하고, 에탄올로 용해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여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조성물 15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용액 1 중량부에 대하여 pH 3의 시트르산 수용액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첨가 후 및 75 ℃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의 수용성 조성물의 입경 중간값에 대하여 LB-5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통합하였다.
Figure 112008066888200-PCT00003
(비교예 3)
표 4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1 중량부, 유화제로서 수크로오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DK 에스테르 SS) 5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마찬가지로 수상부로서, 물 94 중량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수상부를 유상부에 혼합하면서 첨가한 후, 나노마이저 II(요시다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유화 압력 100 MPa로 10회 처리를 행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였다(표 4). 이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하고자 하였지만, 물 및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면 유화가 깨져 분리되기 때문에, 유화 입경의 측정은 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표 4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3 중량부, 유화제로서 수크로오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DK 에스테르 SS)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87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였다(표 4). 이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하고자 하였지만,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물 및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면 유화가 깨져 분리되기 때문에, 유화 입경의 측정은 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5)
표 4에 나타낸 배합으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5 중량부, 유화제로서 수크로오스스테아르산에스테르(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DK 에스테르 SS) 10 중량부, 수상부로서 물 8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입경을 측정하였다(표 4). 이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산 및 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행하고자 하였지만,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물 및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면 유화가 깨져 분리되기 때문에, 유화 입경의 측정은 행할 수 없었다.
Figure 112008066888200-PCT00004
(실시예 19)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건조 분말을 이하의 처방으로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2 중량부, 유화제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M-7D) 3 중량부, 아라비아검(콜로이드 내추럴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인스탄트검 AA) 15 중량부, 물 18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또한, 균질기(키네마티카사 제조)를 사용하여 10000 rpm으로 10분간 동질화하였다. 이것을 분무 건조(니혼 부치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말 중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량은 2.4 %, 글라브리딘 함량은 0.3 %였다. 또한, 제조한 분말을 감초 폴리페놀이 0.024 %, 글라브리딘 함량이 0.003 %가 되도록 용해한 수용액은 투명하였으며, 그 입경은 160 ㎚였다.
(실시예 20)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건조 분말을 이하의 처방으로 제조하였다. 유상부로서 제조예 2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용액 6 중량부, 유화제로서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에스테르(미쯔비시 가가꾸 푸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7D) 1 중량부, 아라비아검(콜로이드 내추럴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인스탄트검 AA) 12 중량부, 에리트리톨(미쯔비시 가가꾸 푸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 중량부, 물 18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또한, 균질기(키네마티카사 제조)를 사용하여 10000 rpm으로 10분간 동질화하였다. 이것을 분무 건조(니혼 부치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여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말 중의 감초 폴리페놀 함유량은 7.2 %, 글라브리딘 함량은 0.9 %였다. 또한, 제조한 분말을 글라브리딘 함량이 0.003 %가 되도록 용해한 수용액은 투명하였다.
(실시예 21) 드링크제의 제조
감초 폴리페놀 함유 식품으로서, 하기의 처방에 따라 감초 폴리페놀 및 코엔자임 Q10 함유 청량 음료물을 제조하였다.
<처방>
설탕 10 중량부
시트르산(무수) 0.2 중량부
시트르산삼나트륨 0.02 중량부
물 87.28 중량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4 중량부
오렌지 플레이버 0.1 중량부
<제조 방법>
설탕, 시트르산, 시트르산삼나트륨을 물에 용해한 후, 이것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오렌지 플레이버를 첨가하였다. 또한, 수욕 중 내온 70 ℃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수냉하여 감초 폴리페놀 및 코엔자임 Q10 함유 청량 음료수를 얻었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048362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6-198909호를 기초로 하며,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Claims (11)

  1.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상기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감초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1 내지 50 %인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지방산 잔기로 구성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 중량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의 범위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6 이상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10이고, 지방산 잔기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 입자의 입경 중간값(median size)이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50 MPa 이상의 균질화 압력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부형제를 첨가한 후, 수분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건조 분말.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또는 제8항에 기재된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음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또는 동물용 사료.
  10. 제9항에 있어서, 감초 폴리페놀의 함유량이 1 포장 단위당 10 내지 200 ㎎인 음료.
  11. 제9항에 있어서, 글라브리딘(glabridin)의 함유량이 1 포장 단위당 1 내지 20 ㎎인 음료.
KR1020087023255A 2006-02-24 2007-02-23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20090003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8362 2006-02-24
JPJP-P-2006-00048362 2006-02-24
JP2006198909 2006-07-21
JPJP-P-2006-00198909 2006-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58A true KR20090003258A (ko) 2009-01-09

Family

ID=3843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255A KR20090003258A (ko) 2006-02-24 2007-02-23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08472A1 (ko)
JP (1) JPWO2007097412A1 (ko)
KR (1) KR20090003258A (ko)
CA (1) CA2643274A1 (ko)
MX (1) MX2008010901A (ko)
TW (1) TW200806306A (ko)
WO (1) WO20070974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74B1 (ko) * 2011-02-11 2013-08-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277A1 (ja) * 2007-08-22 2009-02-26 Kaneka Corporation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安定化方法
WO2009071286A1 (en) * 2007-12-05 2009-06-11 Dsm Ip Assets B.V. Pulverous formulation of a fat-soluble active ingredient
CH699449A2 (de) * 2008-08-27 2010-03-15 Mivital Ag Emulsionsvorkonzentrate sowie micellare Formulierungen enthaltend Glycerinfettsäureester.
US20120004200A1 (en) * 2008-12-23 2012-01-05 Galderma S.A.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water-sensitive active principle
CN103338748A (zh) * 2011-02-01 2013-10-02 株式会社钟化 含生理活性物质的水溶化制剂及其制造方法
JP6210878B2 (ja) * 2011-05-25 2017-10-11 株式会社明治 含浸複合油性菓子
CN103848841B (zh) * 2012-11-29 2016-01-20 陕西华泰生物精细化工有限公司 采用新技术从甘草废渣中提取高纯度光甘草定的方法
GB2518845A (en) * 2013-10-01 2015-04-08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CN103976892B (zh) * 2014-05-16 2016-08-31 吴江市英力达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光甘草定微乳液及其制备方法
ES2607715B1 (es) 2015-10-01 2018-01-17 Solutex Na, Lcc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y estabilización de emulsiones con omega-3 mediante redes cristalinas isométricas de derivados de celulosa
JP6873598B2 (ja) * 2015-12-22 2021-05-19 ロレアル 活性成分のための改善された局所送達系
ES2960296T3 (es) 2017-07-11 2024-03-04 Aquanova Ag Solubilizado con curcumina y boswelia y xantohumol
US11234930B2 (en) 2017-10-11 2022-02-01 Jesse Windrix Emulsified oils and blends
US10687541B2 (en) * 2017-10-11 2020-06-23 Jesse Windrix Emulsified oils and blends
WO2019187703A1 (ja) * 2018-03-30 2019-10-03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滴型の微細エマルション型化粧料
DK3820527T3 (da) 2018-07-11 2023-09-25 Aquanova Ag Xanthohumol-solubilisat
CN113068786A (zh) * 2021-04-09 2021-07-06 华南理工大学 一种精油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282783A1 (ru) * 2021-07-09 2023-01-1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нова Рус" Мицеллированный раствор актив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на основе экстракта лакрицы,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4433B2 (ja) * 1989-02-02 1998-09-03 丸善製薬株式会社 甘草疎水性フラボノイド製剤
JP4742289B2 (ja) * 2000-10-25 2011-08-10 大正製薬株式会社 生薬配合可溶化液体組成物
JP2003073298A (ja) * 2001-09-04 2003-03-12 Fumiharu Eguchi 免疫調整剤
KR20040111455A (ko) * 2002-04-04 2004-12-31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감초 소수성 성분 함유 유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8758743B2 (en) * 2003-01-17 2014-06-24 Taiyo Kagaku Co., Ltd. Compositions containing coenzyme Q10
TW200513194A (en) * 2003-07-31 2005-04-16 Kaneka Corp Fat and oil processe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amelioration of life-style related dise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74B1 (ko) * 2011-02-11 2013-08-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7412A1 (ja) 2007-08-30
MX2008010901A (es) 2008-11-12
US20090208472A1 (en) 2009-08-20
TW200806306A (en) 2008-02-01
CA2643274A1 (en) 2007-08-30
JPWO2007097412A1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258A (ko)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101449764B1 (ko) 감초 폴리페놀 제제
US6190680B1 (en) Oily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343002B2 (ja) 生理活性物質含有組成物
JP4685355B2 (ja) 甘草疎水性成分含有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25241B1 (ko) 리그난류 화합물 함유 o/w/o형 에멀션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06035900A1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乳化組成物
KR102445766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JP5199665B2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水溶性組成物及びその製法
WO2014188861A1 (ja) ユビキノール高含有ゲル状組成物
KR20170139028A (ko) 나노입자, 나노에멀젼 및 혼합 챔버 미분화에 의한 이의 형성
KR20060119706A (ko) 생활 습관병 예방ㆍ개선용의 유지 가공 조성물
US9919017B2 (e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containing water-solubilizing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0157168A (ja) 油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4375A (ko) 인삼 씨 오일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
JP2017186320A (ja) 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ソフトカプセル製剤
JP6941481B2 (ja) 植物抽出物を含む水溶化粉末
WO2020196557A1 (ja) 乳化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