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81A -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81A
KR20090002181A KR1020070060736A KR20070060736A KR20090002181A KR 20090002181 A KR20090002181 A KR 20090002181A KR 1020070060736 A KR1020070060736 A KR 1020070060736A KR 20070060736 A KR20070060736 A KR 20070060736A KR 20090002181 A KR20090002181 A KR 2009000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game
maneuver
moving object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283B1 (ko
Inventor
서정모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6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283B1/ko
Priority to JP2008159856A priority patent/JP2009000521A/ja
Publication of KR2009000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특수 기동 선택키가 입력되면 이동체 주변에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수 기동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수 기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게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수 기동을 이용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슈팅 게임, 특수 기동, 특수 기동 아이콘, 이동체

Description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ONLINE GAME METHOD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화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특수 기동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한 게임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게임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채널 리스트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140: 게임 서버, 142: 채널 관리 모듈,
414: 정보 전송 모듈, 146: 게임 진행 모듈,
300: 사용자 단말기, 410: 이동체,
415: 크로스헤어, 420: 레이더 표시창,
450: 대상체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관련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게임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컴퓨터 게임은 단순한 줄거리의 아케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게임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은 다중 사용자(multi-user) 온라인 게임이라는 새로운 게임 분야를 탄생시킴으로써 게임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온라인 게임은 원격지에 있는 불특정의 사람들이 공간적인 제약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어서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상 3차원 공간에서 표적에 대한 공격을 행하는 슈팅 게임은 표적을 격추시키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 해소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 및 음향 효과로 인해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슈팅 게임은, 화면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 이동만 가능한 플레이어 전투기가 화면의 상측에 위치한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키는 고전적인 슈팅 게임에서부터, 플레이어 전투기가 전후 좌우로 이동하거나 공중 회전하면서 2가지 이상의 무기를 발사하여 적 전투기를 격추시키는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되어 왔다. 최근의 온라인 슈팅 게임은 미사일, 폭탄, 총알 등의 무기 아이템이 다양하고 3차원 공간에서 상대방의 전투기와 대전하는 등 게임의 난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슈팅 게임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는 게임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임 플레이어가 슈팅 게임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은,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특수 기동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체 주변에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기동 수행 단계는 이미지 효과를 표시하거나 효과음을 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은 일정량 이상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량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 표시 단계는 상기 특수 기동 에너지가 상기 일정량 이상 충전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일정량 미만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게이지는 각 특수 기동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특수 기동 게이지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체의 회피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이동체의 상하좌우에 표시되며 상기 상하좌우의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하좌우 방향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게임 클라이언트를 전송하여 설치하는 제1 서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상호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 기동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체 주변에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수 기동을 수행한다.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면서 이미지 효과가 표시되거나 효과음이 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은 일정량 이상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량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특수 기동 에너지가 상기 일정량 이상 충전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일정량 미만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게이지는 각 특수 기동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특수 기동 게이지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체의 회피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이동체의 상하좌우에 표시되며 상기 상하좌우의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하좌우 방향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그리고 복수의 게임 서 버(140)를 포함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 시스템(100)과 교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도시하지 않음), 마우스(도시하지 않음), 조이스틱(joy stick,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조이패드(joy pad, 도시하지 않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내의 전투기 등을 조종하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도시하지 않음),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도시하지 않음) 및 게임 클라이언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웹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서버(110)에 접근하여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게임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게임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게임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는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를 실행시킨다.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며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아온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일 경우 새로운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를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채널 리스트 서버(120)에 접속하여 채널 리스트 서버(120)가 제공하는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한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서버(140)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받고 이에 기초한 게임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웹 서버(110)는 온라인 슈팅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게임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처리 및 게임 시작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110)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게임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인 경우에는 신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업데이트 한다. 물론, 게임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110)가 아닌 전용 다운로드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온라인 슈팅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이들(110, 120, 140)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 채널 관련 정보, 게임방 관련 정보, 사용자 정보 및 게임 정보 등이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는 게임의 버전, 게임 서버(14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등과 같이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관련 정보는 채널 리스트와 각 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 및 현재 접속한 사용자 수, 그리고 각 채널에 현재 어느 사용자가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게임방 관련 정보는 각 채널별로 개설된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에 어느 사용자가 입장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별명, 아바타, 계급, 전적,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게임 머니 등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현재 어느 게임 서버(140)에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사용자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한다. 게임 정보는 게임에서 사용되는 전투기와 전투기의 체력 및 능력치, 아이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1에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30)만을 도시하였으나 기억되는 정보에 따라 각각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게임 채널 리스트를 게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각 채널별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수와 각 채널별 최대 접속 가능 사용자 수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게임 서버(140)는 채널 관리 모듈(142), 정보 전송 모듈(144) 및 게임 진행 모듈(146)을 포함하며, 게임 클라이언트와 교신하여 사용자들이 온라인 슈팅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 관리 모듈(142)은 사용자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알려 데이터베이스(130)가 사용자 접속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해당 게임 서버(140)에 개설되어 있는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의 현재 상태, 즉 게임방의 정원 중에서 몇 명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게임방은 슈팅 게임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사이버 공간을 의미하며, 하나의 게임 서버(140)에 대응하는 하나의 게임 채널은 복수의 게임방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게임방을 만들거나 게임방에 참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 관리 모듈(142)은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반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관리 모듈(142)이 게임 서버(14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게임 서버(140)의 채널 관리 모듈(142)과 채널 리스트 서버(120)를 모아 하나의 채널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 모듈(144)은 게임 클라이언트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해당 게임 채널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사용자 정보 중 일부,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자, 아바타, 계급을 우선 제공하고 나머지 상세 정보는 별도로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 모듈(414)은 사용자들이 서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채팅 데이터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진행 모듈(146)은 사용자가 게임방에 입장하여 게임 시작 요청을 하면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 하여 게임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정 방식에 따라 온라인 슈팅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이 종료되면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게임의 승부 또는 순위에 따른 보상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게임 서버(140)가 3개의 모듈(142, 144, 14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의 모듈은 기능적으로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임 서버(140)는 3개 대신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게임을 실행한다(S310). 그러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복수의 게임 채널 및 복수의 게임방을 제공하고(S320), 사용자는 게임 채널 및 게임방에 입장한다(S330). 게임 채널은 계급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계급에 맞는 채널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채널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퀘스트 채널, 계급에 무관하게 입장할 수 있는 자유 채널 및 게임 플레이어 중 최종 생존자가 승리를 하는 서바이벌 채널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게임방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 게임방을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입장을 기다릴 수 있다. 게임방을 생성한 사용자는 방장이 된다.
방장은 게임방에 참가할 수 있는 최대 게임 인원수, 게임 맵, 게임 타입 등의 게임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S340),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는 게임 타입이 팀전인 경우 어느 팀에 속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방장은 특정 게임 맵을 선택하거나 랜덤 맵을 선택할 수 있다. 게임 맵에 따라서 지형지물의 배치가 달라지며, 전투기를 공격하는 대공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게임 타입은 게임방에 참가한 각 사용자가 개별적인 전투를 벌이는 개인전 및 2:2, 3:3 등과 같이 팀을 이루어 상대 팀과 전투를 벌이는 팀전을 포함한다.
방장이 게임 시작 버튼을 눌러 게임 시작을 요청하면(S350)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선택된 맵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S360), 각 사용자는 게임을 수행한다(S370).
각 사용자 단말기(300)는 게임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으며 게임을 수행한다. 게임 데이터는 각 게임 플레이어의 전투기의 위치 정보 및 체력 정보 등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게임 시스템(100)과도 소정의 게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어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내의 전투기를 조종할 것인지를 게임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입력 장치에 따라 조종 모드는 키보드 모드, 마우스 모드, 조이스틱 모드, 그리고 조이패드 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키보드 모드에서는 키보드의 방향키를 누름에 따라, 마우스 모드에서는 마우스를 이동함에 따라, 조이스틱 모드에서는 조이스틱의 방향에 따라, 그리고 조이패드 모드에서는 패드의 방향키를 누름에 따라 전투기가 해당 방향 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키보드 모드 이외의 조종 모드에서도 게임 내의 특정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키를 게임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다.
게임이 시작되면 도 4와 같은 게임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화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게임 화면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는 전투기(410)가 표시되고,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450)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면 게임 화면에 표시된다. 이하, 게임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를 이동체(410)라 하고,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를 대상체(450)라 한다. 대상체(450)는 적군 전투기 및 아군 전투기를 포함한다.
이동체(410)는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 비행을 하며, 총알 또는 미사일 등의 공격 아이템(도시하지 않음)을 발사하여 게임 화면에 나타난 대상체(450) 중에서 적군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혀 이를 격추시킨다. 이동체(410) 위에는 공격 아이템이 발사되는 곳을 가리키는 크로스헤어(415)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크로스헤어(415)를 적군 전투기에 조준하여 공격 아이템을 발사함으로써 적군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게임 화면 좌측 하단에는 레이더 표시창(420)이 표시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은 이동체(410)를 중심으로 원으로 표시되며, 레이더 표시창(420) 내부에 있는 점선의 각도는 현재 게임 화면에 나타나는 시야각에 해당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에는 이동체(410) 및 대상체(450)가 소정 형태로 표시된다. 3차원 공간에 위치한 대상체(450)는 이동체(410)가 위치한 수평면으로 투사되며, 투사된 대상체(450)가 이동체(41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으면 레이더 표시창(420)에 표시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의 중앙에는 이동체(410)가 삼각형으로 표시되며, 그 주위로 위치한 대상체(450)가 마름모로 표시된다. 이때 삼각형의 상부 꼭지점의 방향은 이동체(410)의 크로스헤어(415)가 지시하는 방향과 같다. 레이더 표시창(420)에는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는 대상체(450), 즉 시야각 내에 있는 대상체(450)뿐만 아니라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대상체도 표시되어 이동체(410)와 대상체(450)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 표시창(420)을 게임 화면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등 임의의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레이더 표시창(420)에 표시되는 이동체(410) 및 대상체(450)의 형태도 각각 삼각형 및 마름모와 다르게 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임 화면에는 하늘, 지면, 적군 기지, 산, 강, 건물과 같은 고정 지형지물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이동체(410)에 장착되어 있는 무기 및 장착할 수 있는 무기, 아이템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이동체(410)의 체력, 비행 속도 등을 나타내는 계기판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체(41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통상적인 비행과 달리 전투 수행 중 특수 기동을 이용하여 이동체(410)를 특별한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특수 기동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한 게임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이동체(410)가 수행할 수 있는 특수 기동은 '스플릿S', '임멜만턴', '배럴롤', '루프', '브레이크턴', '호버링', '자동타겟' 등을 포함한다. 물론 도 5에 도시한 특수 기동 이외에도 다양한 특수 기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특수 기동 아이콘의 모양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다를 수 있으며, 특수 기동 명칭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임멜만턴은 이동체(410)의 기수를 크게 위로 올려 180° 선회하는 기술이며, 대표적인 비행 기술이다. 스플릿S는 임멜만턴과 반대로 이동체(410)의 기수를 크게 아래로 내려 180° 선회하는 기술이고, 임멜만턴과 섞어서 사용하면 적의 예측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배럴롤은 우측 배럴롤과 좌측 배럴롤이 있으며 빠르게 앞으로 튀어나가 이동체(41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루프는 크게 360° 회전하는 기술로 뒤에서 쫓아오는 적군 전투기의 뒤를 이동체(410)가 반대로 쫓으려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브레이크턴은 이동체(410)를 급격하게 180° 회전시키는 기술로 이동체(410)의 뒤를 쫓아오는 적군 전투기를 향해 이동체(410)의 기수를 돌리려 할 때 유용한 기술이다. 호버링은 일정 시간 이동체(410)를 공중에 체공시키는 기술로서 이동체(410)의 뒤를 쫓아오는 적군 전투기를 앞지르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동타겟은 일정 시간 동안 이동체(410)에서 가장 가까운 적군 전투기를 자 동으로 찾아 크로스헤어(415)로 조준해주는 기동으로서 초보자에게 도움이 된다.
이러한 특수 기동을 적절히 이용하면 적군 전투기의 공격을 쉽게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유리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적군 전투기를 쉽게 공격할 수 있게 된다.
조종 모드가 키보드 모드인 경우와 마우스 모드, 조이스틱 모드 및 조이패드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다.
먼저 키보드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특수 기동 선택키(예를 들어 W 키)를 누른 후 누른 채로 있으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수 기동 아이콘이 이동체(410)의 상하좌우에 표시되고 특수 기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특수 기동 선택키에서 손을 놓으면 특수 기동 아이콘이 게임 화면에서 사라지고 특수 기동 상태에서 벗어나 일반 비행 상태가 된다.
이동체(410)의 상하좌우에 표시된 특수 기동 아이콘은 키보드의 방향키에 각각 대응되며, 예를 들어 도 6에는 방향키(↑,↓,←,→)가 각각 루프기동, 호버링, 좌측 배럴롤, 우측 배럴롤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특수 기동이 각 방향키에 대응하도록 게임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수 기동 선택키도 자신이 원하는 키로 설정할 수 있다.
특수 기동 선택키를 누른 채 어느 한 방향키를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특수 기동이 발동하게 된다. 특수 기동이 발동하면서 해당 특수 기동 아이콘이 커졌다 작아지도록 표시되거나 짙은 색상으로 표시되는 등의 이미지 효과가 게임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특수 기동이 발음되거나 효과음이 날 수도 있다. 이에 따 라 사용자는 특수 기동이 발동하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특수 기동 선택키를 누를 때마다 토글 방식으로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라지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방향키를 누르면 해당 특수 기동이 발동하게 되나 일정 기간 방향키를 누르지 않으면 특수 기동 아이콘이 게임 화면에서 사라지고 특수 기동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 특수 기동 선택키를 누르지 않고 소정의 키를 특수 기동에 대응시켜 소정 키를 누름과 동시에 특수 기동이 발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우스 모드, 조이스틱 모드, 조이패드 모드인 경우에는 키보드의 특정 키들이 이동체(410)의 상하좌우에 대응하는 특수 기동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한 특정 키를 누름에 따라 해당 특수 기동이 발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체(410)의 상하좌우에 대응하는 특수 기동(도 6에서 루프기동, 호버링, 좌측 배럴롤, 우측 배럴롤)에 키보드의 W, S, A, D 키가 각각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한 특정 키가 눌려지면 전체 특수 기동 아이콘이 짧게 표시된 후 해당 특수 기동이 발동한다. 이와 달리 앞서 설명한 것처럼 특수 기동 이미지 효과가 게임 화면에 표시되거나 해당 특수 기동이 발음될 수도 있으며, 선택된 특정 키에 대응하는 특수 기동 아이콘만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특수 기동은 일정량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어 수행되며, 일정량 이상의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되어 있어야 특수 기동이 수행될 수 있다. 특수 기동 에너지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충전될 수 있으며, 특수 기동 에너지 아이템을 획득함에 따라 소정 량의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될 수 있다.
각 특수 기동에 개별적인 특수 기동 게이지가 대응되어 각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특수 기동 게이지에서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특수 기동 게이지만 구비되어 임의의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이로부터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될 수도 있다. 특수 기동을 수행할 때 필요한 일정량의 에너지도 각 특수 기동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특수 기동 게이지는 게임 화면에 별도로 표시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특수 기동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 기동 선택키 또는 특정 키를 누를 때 특수 기동 게이지에 일정량의 에너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특수 기동 아이콘을 흐리게 또는 투명하게 표시하고, 특수 기동 게이지에 일정량 이상의 에너지가 충전되어 있으면 해당 특수 기동 아이콘을 진하게 또는 밝게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특수 기동의 사용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특수 기동이 수행되는 동안에 이동체(410)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데미지를 입지 않을 확률, 소위 회피율이 높아진다. 특수 기동은 소정 시간 동안 일정한 방식으로 이동체(410)가 움직이므로 적이 특수 기동을 예상하고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동안 공격을 하면 무방비 상태로 공격을 당하게 된다. 따라서 특수 기동이 사용되는 도중에는 적이 공격하는 미사일이나 기관포 등 적의 무기로부터의 명중 확률을 통상 시보다 낮게 하여 이점을 준다.
특수 기동의 종류 및/또는 사용자의 계급에 따라 회피율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 퀘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특수 기동의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특수 기동의 레벨에 따라 회피율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러한 특수 기동을 이용하여 적군 전투기로부터 자신의 전투기를 방어하고, 장착된 무기를 이용하여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키도록 조종하면서 게임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승부가 결정이 되면(S380) 게임이 종료된다(S390). 게임은 소정 시간 내에 더 많은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킨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하거나 소정 수효의 전투기를 먼저 격추시킨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할 수 있으며, 이때 전투기는 격추되더라도 다시 전투에 참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최종 생존자 또는 최종 생존자가 남아 있는 팀이 승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투기는 일단 격추되면 다시 전투에 참가할 수 없다. 또한 격추되는 대수에 따라 승부를 결정하지 않고 상대방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힌 것을 점수로 환산하여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전투기는 데미지를 입더라도 격추되지 않는다. 단판 승부가 아닌 3판 2선승제와 같은 방식으로 승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승부 결정 방식은 방장이 게임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게임이 종료되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각 사용자/팀이 격추한 전투기 대수 또는 각 사용자/팀이 획득한 점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팀의 순위를 결정하고 각 사용자/팀에게 순위에 따른 경험치 및 게임 머니를 부여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전적, 경험치, 게임 머니 등의 정보를 갱신한 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수 기동 아이콘을 이동체 주위에 표시하는 방법은 온라인 슈팅 게임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슈팅 게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장치에 의하여 조종된다.
또한 특수 기동 아이콘을 이동체 주위에 표시하는 방법은 비행 슈팅 게임뿐만 아니라 사람 또는 로봇 등이 등장하는 1인칭 슈팅 게임(first person shooting, FPS)이나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real time simulation, RTS),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액션 게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3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2차원 공간에서 수행되는 게임에서도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온라인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기동 아이콘을 이동체 주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수 기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게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수 기동을 이용함으로써 적군 전투기의 공격을 쉽게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유리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적군 전투기를 쉽게 공격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특수 기동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체 주변에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수행 단계는 이미지 효과를 표시하거나 효과음을 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은 일정량 이상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량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 표시 단계는 상기 특수 기동 에너지가 상기 일정량 이상 충전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일정량 미만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게이지는 각 특수 기동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특수 기동 게이지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는 온라인 게임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체의 회피율이 높아지는 온라인 게임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이동체의 상하좌우에 표시되며 상기 상하좌우의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하좌우 방향키에 각각 대응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8.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9.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게임 클라이언트를 전송하여 설치하는 제1 서 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상호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 기동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체 주변에 특수 기동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수 기동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면서 이미지 효과가 표시되거나 효과음이 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1. 제9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은 일정량 이상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특수 기동 게이지에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량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특수 기동 에너지가 상기 일정량 이상 충전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 일정량 미만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3. 제11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게이지는 각 특수 기동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특수 기동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특수 기동 게이지의 특수 기동 에너지가 소비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4. 제9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체의 회피율이 높아지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5. 제9항에서,
    상기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기 이동체의 상하좌우에 표시되며 상기 상하좌우의 특수 기동 아이콘은 상하좌우 방향키에 각각 대응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1020070060736A 2007-06-20 2007-06-20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00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36A KR101003283B1 (ko) 2007-06-20 2007-06-20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2008159856A JP2009000521A (ja) 2007-06-20 2008-06-19 オンラインゲーム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736A KR101003283B1 (ko) 2007-06-20 2007-06-20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81A true KR20090002181A (ko) 2009-01-09
KR101003283B1 KR101003283B1 (ko) 2010-12-21

Family

ID=4031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736A KR101003283B1 (ko) 2007-06-20 2007-06-20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00521A (ko)
KR (1) KR101003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473A (ko)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카드 게임 진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2488B2 (en) 2013-10-25 2019-02-19 Kakao Corp. Channel-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laying contents
KR101919349B1 (ko) * 2014-04-04 2018-11-19 가부시키가이샤 코로프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JP6560908B2 (ja) * 2015-06-01 2019-08-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061869B2 (ja) * 2017-12-12 2022-05-02 株式会社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ゲーム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58A (ja) * 1997-01-30 1998-10-13 Sega Enterp Ltd 画像処理装置
JP3426105B2 (ja) * 1997-04-25 2003-07-14 任天堂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ゲーム用記憶媒体
JPH11179048A (ja) * 1997-12-24 1999-07-06 Jale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309274A (ja) * 1998-04-29 1999-11-09 Sega Enterp Ltd ゲーム機
JP4072703B2 (ja) * 1998-10-08 2008-04-09 株式会社セガ ゲーム装置
JP2000284879A (ja) * 1999-01-29 2000-10-13 Square Co Ltd 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におけるコマンド入力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018126A (ja) * 2000-07-10 2002-01-22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2119762A (ja) * 2000-10-16 2002-04-23 Koei:Kk キャラクタ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02268803A (ja) * 2001-03-09 2002-09-20 Ergo Soft Corp 文字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文字入力装置
JP3839354B2 (ja) * 2002-06-03 2006-11-01 株式会社Snkプレイモア ゲーム機
JP4545543B2 (ja) * 2004-05-07 2010-09-15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3866750B2 (ja) * 2005-03-23 2007-01-1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473A (ko)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카드 게임 진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게임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0521A (ja) 2009-01-08
KR101003283B1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0761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
US10456680B2 (en) Determining play of the game based on gameplay events
JP5234716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5989621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661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non-core features by external users in an asynchronous game
KR101377010B1 (ko) 다중조준점 적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US101832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platform multiplayer videogames
US9028311B2 (en) Target game incorporating strategy elements
CN110548288A (zh) 虚拟对象的受击提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H11244533A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WO2022121503A1 (zh) 预购道具的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1003283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US9517405B1 (en) Facilitating content access across online games
WO2022095672A1 (zh) 画面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202983A (zh) 虚拟环境中的道具使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904843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US9480915B2 (en) Game system, server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24500277A (ja) 照準マークの表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03288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226765B1 (ko) 온라인 슈팅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21613B1 (ko) 온라인 3인칭 슈팅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126628A (ko) 실시간 전략전투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Nadkarni et al. Thunder Force-First Person Shooting FPS Game
KR20090091684A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Tóth Sorcerer's Strug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06

Effective date: 201011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