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684A -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684A
KR20090091684A KR1020090075857A KR20090075857A KR20090091684A KR 20090091684 A KR20090091684 A KR 20090091684A KR 1020090075857 A KR1020090075857 A KR 1020090075857A KR 20090075857 A KR20090075857 A KR 20090075857A KR 20090091684 A KR20090091684 A KR 2009009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moving object
user terminal
lo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모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9007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1684A/ko
Publication of KR2009009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63F13/573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using trajectories of game objects, e.g. of a golf ball according to the point of imp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 및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표지를 상기 이동체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게임 중에 로케이터를 통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한 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게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슈팅 게임, 로케이터, 레이더 표시창, 이동체, 대상체

Description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ONLINE GAME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관련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게임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컴퓨터 게임은 단순한 줄거리의 아케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게임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은 다중 사용자(multi-user) 온라인 게임이라는 새로운 게임 분야를 탄생시킴으로써 게임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온라인 게임은 원격지에 있는 불특정의 사람들이 공간적인 제약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어서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상 3차원 공간에서 표적에 대한 공격을 행하는 슈팅 게임은 표적을 격추시키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 해소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 및 음향 효과로 인해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슈팅 게임은, 화면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 이동만 가능한 플레이어 전투기가 화면의 상측에 위치한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키는 고전적인 슈팅 게임에서부터, 플레이어 전투기가 전후 좌우로 이동하거나 공중 회전하면서 2가지 이상의 무기를 발사하여 적 전투기를 격추시키는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되어 왔다. 최근의 온라인 슈팅 게임은 미사일, 폭탄, 총알 등의 무기 아이템이 다양하고 3차원 공간에서 상대방의 전투기와 대전하는 등 게임의 난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슈팅 게임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는 게임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임 플레이어가 슈팅 게임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은,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 및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표지를 상기 이동체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표지가 길어지고 상기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표지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상기 이동체의 적군과 아군을 포함하며, 상기 표지 표시 단계 는 상기 적군에 대응하는 표지와 상기 아군에 대응하는 표지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 표시 단계는 상기 이동체와 소정 범위의 거리에 있는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 표시 단계는, 3차원 공간에 위치한 상기 대상체를 기준면으로 투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투사된 대상체를 향하도록 상기 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및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대상체를 소정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지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하며, 상기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심벌의 수효가 많아지고 상기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심벌의 수효가 적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게임 클라이언트를 전송하여 설치하는 제1 서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상호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하며, 상기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표지를 상기 이동체 주변에 표시한다.
상기 대상체는 상기 이동체의 적군 또는 아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적군에 대응하는 표지와 상기 아군에 대응하는 표지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동체와 소정 범위의 거리에 있는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3차원 공간에 위치한 상기 대상체를 기준면으로 투사하고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투사된 대상체를 향하도록 상기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동체 및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이동체 및 상기 대상체를 소정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종하는 이동체와 다른 사용자가 조종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따라 대상체 의 위치를 지시하는 로케이터를 이동체 주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 중에 대상체의 위치를 한 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게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그리고 복수의 게임 서버(140)를 포함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 시스템(100)과 교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도시하지 않음),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도시하지 않음) 및 게임 클라이언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웹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서버(110)에 접근하여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게임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게임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게임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는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를 실행시킨다.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며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아온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일 경우 새로운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를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채널 리스트 서버(120)에 접속하여 채널 리스트 서버(120)가 제공하는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한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서버(140)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받고 이에 기초한 게임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웹 서버(110)는 온라인 슈팅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게임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처리 및 게임 시작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110)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에 접 속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게임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인 경우에는 신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업데이트 한다. 물론, 게임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110)가 아닌 전용 다운로드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온라인 슈팅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이들(110, 120, 140)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 채널 관련 정보, 게임방 관련 정보, 사용자 정보 및 게임 정보 등이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는 게임의 버전, 게임 서버(14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등과 같이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관련 정보는 채널 리스트와 각 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 및 현재 접속한 사용자 수, 그리고 각 채널에 현재 어느 사용자가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게임방 관련 정보는 각 채널별로 개설된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에 어느 사용자가 입장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별명, 아바타, 계급, 전적,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게임 머니 등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현재 어느 게임 서버(140)에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사용자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한다. 게임 정보는 게임에서 사용되는 전투기와 전투기의 체력 및 능력치, 아이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1에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30)만을 도시하였으나 기억되는 정보에 따라 각각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게임 채널 리스트를 게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각 채널별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수와 각 채널별 최대 접속 가능 사용자 수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게임 서버(140)는 채널 관리 모듈(142), 정보 전송 모듈(144) 및 게임 진행 모듈(146)을 포함하며, 게임 클라이언트와 교신하여 사용자들이 온라인 슈팅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 관리 모듈(142)은 사용자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알려 데이터베이스(130)가 사용자 접속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해당 게임 서버(140)에 개설되어 있는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의 현재 상태, 즉 게임방의 정원 중에서 몇 명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게임방은 슈팅 게임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사이버 공간을 의미하며, 하나의 게임 서버(140)에 대응하는 하나의 게임 채널은 복수의 게임방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게임방을 만들거나 게임방에 참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 관리 모듈(142)은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반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관리 모듈(142)이 게임 서버(14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게임 서버(140)의 채널 관리 모듈(410)과 채널 리스트 서 버(120)를 모아 하나의 채널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 모듈(144)은 게임 클라이언트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해당 게임 채널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사용자 정보 중 일부,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자, 아바타, 계급을 우선 제공하고 나머지 상세 정보는 별도로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 모듈(144)은 사용자들이 서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채팅 데이터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진행 모듈(146)은 사용자가 게임방에 입장하여 게임 시작 요청을 하면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게임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정 방식에 따라 온라인 슈팅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이 종료되면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게임의 승부 또는 순위에 따른 보상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게임 서버(140)가 3개의 모듈(410, 144, 14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의 모듈은 기능적으로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임 서버(140)는 3개 대신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게임을 실행한다(S310). 그러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복수의 게임 채널 및 복수의 게임방을 제공하고(S320), 사용자는 게임 채널 및 게임방에 입장한다(S330). 게임 채널은 계급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계급에 맞는 채널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채널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퀘스트 채널, 계급에 무관하게 입장할 수 있는 자유 채널 및 게임 플레이어 중 최종 생존자가 승리를 하는 서바이벌 채널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게임방에 입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 게임방을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입장을 기다릴 수 있다. 게임방을 생성한 사용자는 방장이 된다.
방장은 게임방에 참가할 수 있는 최대 게임 인원수, 게임 맵, 게임 타입 등의 게임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S340),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는 게임 타입이 팀전인 경우 어느 팀에 속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방장은 특정 게임 맵을 선택하거나 랜덤 맵을 선택할 수 있다. 게임 맵에 따라서 지형물의 배치가 달라지며, 전투기를 공격하는 대공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게임 타입은 게임방에 참가한 각 사용자가 개별적인 전투를 벌이는 개인전 및 2:2, 3:3 등과 같이 팀을 이루어 상대 팀과 전투를 벌이는 팀전을 포함한다.
방장이 게임 시작 버튼을 눌러 게임 시작을 요청하면(S350)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선택된 맵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S360), 각 사용자는 게임을 수행한다(S370).
각 사용자 단말기(300)는 게임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으며 게임을 수행한다. 게임 데이터는 각 게임 플레이어의 전투기의 위치 정보 및 체력 정보 등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게임 시스템(100)과도 소정의 게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게임이 시작되면 도 4와 같은 게임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화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게임 화면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는 전투기(410)가 표시되고,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450)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면 게임 화면에 표시된다. 이하, 게임 화면의 중앙부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를 이동체(410)라 하고,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전투기를 대상체(450)라 한다. 대상체(450)는 적군 전투기 및 아군 전투기를 포함한다.
이동체(410)는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 비행을 하며, 총알 또는 미사일 등의 공격 아이템(도시하지 않음)을 발사하여 게임 화면에 나타난 대상체(450) 중에서 적군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혀 이를 격추시킨다. 이동체(410) 위에는 공격 아이템이 발사되는 곳을 가리키는 크로스헤어(415)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크로스헤어(415)를 적군 전투기에 조준하여 공격 아이템을 발사함으로써 적군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게임 화면 좌측 하단에는 레이더 표시창(420)이 표시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은 이동체(410)를 중심으로 원으로 표시되며, 레이더 표시창(420) 내부에 있는 점선의 각도는 현재 게임 화면에 나타나는 시야각에 해당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에는 이동체(410) 및 대상체(450)가 표시된다. 3차원 공간에 위치한 대상체(450)는 이동체(410)가 위치한 수평면으로 투사되며, 투사된 대상체(450)가 이동체(41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으면 레이더 표시창(420)에 표시된다.
레이더 표시창(420)의 중앙에는 이동체(410)가 삼각형으로 표시되며, 그 주위로 위치한 대상체(450)가 마름모로 표시된다. 이때 삼각형의 상부 꼭지점의 방향은 이동체(410)의 크로스헤어(415)가 지시하는 방향과 같다. 레이더 표시창(420)에는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는 대상체(450), 즉 시야각 내에 있는 대상체(450)뿐만 아니라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대상체도 표시되어 이동체(410)와 대상체(450)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 표시창(420)을 게임 화면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등 임의의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레이더 표시창(420)에 표시되는 이동체(410) 및 대상체(450)의 형태도 각각 삼각형 및 마름모와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임 화면에는 하늘, 지면, 적군 기지, 산, 강, 건물과 같은 고정 지형물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이동체(410)에 장착되어 있는 무기 및 장착할 수 있는 무기, 아이템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이동체(410)의 체력, 비행 속도 등을 나타내는 계기판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게임 화면에 나타나지 않은 대상체의 방향 및 거리를 나타내는 표지(標識), 일명 로케이터(locator)를 이동체(410) 주위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로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 화면에 로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대상체(450)의 위치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510). 물론 이 사용자 단말기(300)도 해당 이동체(410)의 위치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서도 로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이동체(410)의 위치 정보와 대상체(45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410)를 기준으로 대상체(450)의 방향을 산출하고, 이동체(410)와 대상체(45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S520).
산출된 대상체(450)의 방향을 참조하여 대상체(450)가 이동체(410)의 시야각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S530) 시야각 내에 없으면 로케이터의 방향 및 길이를 결정하고(S540), 시야각 내에 있으면 로케이터를 표시하지 않고 동작을 되돌린다.
3차원 공간에 위치한 대상체(450)를 이동체(410)가 위치한 수직면으로 투사하고 이동체(410)로부터 투사된 대상체(450)를 향하도록 로케이터의 방향을 결정한다. 즉, 로케이터는 한쪽이 이동체(410)를 둘러싼 원 궤도 또는 타원 궤도 위에 위치하고 반대쪽이 투사된 대상체(450)를 가리키도록 위치한다. 로케이터의 길이는 이동체(410)와 대상체(45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그 한 예로서 로케이터의 길이는 이동체(410)와 대상체(45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이동체(410)와 대상체(450)가 비행을 함에 따라 이동체(410)와 대상체(450)의 거리가 변하게 되며, 이동체(410)와 대상체(450)의 거리가 멀어지면 로케이터의 길이는 길 어지고, 거리가 가까워지면 짧아진다.
이와 같이 로케이터의 방향 및 길이가 결정되면 해당 로케이터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고(S550), 동작을 되돌린다. 로케이터는 대상체(450)마다 개별적으로 표시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게임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로케이터의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케이터를 표시한 게임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로케이터(431a-434a)는 두 빗변의 길이가 긴 이등변 삼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로케이터(431a-434a)는 삼각형 이외에도 사각형, 둥근 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로케이터(431a-434a)는 레이더 표시창(420)에 나타난 대상체(451-454)에 각각 대응된다. 레이더 표시창(420)과 로케이터(431a-434a)를 참고하면, 대상체(451-454)는 이동체(410)의 후방에 위치하며, 대상체(451, 454)는 이동체(410)가 위치한 수평면보다 아래에, 대상체(452)는 이 수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대상체(453)는 이 수평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로케이터(431a-434a)의 길이는 이동체(410)와 대상체(451-454)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길이가 가장 짧은 로케이터(431a)가 지시하는 대상체(451)가 이동체(4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고, 길이가 가장 긴 로케이터(433a)가 지시하는 대상체(453)가 이동체(410)와 가장 먼 거리에 있다.
로케이터(431a-434a)는 적군 전투기와 아군 전투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대상체(451-453)와 대상체(454)는 서로 다른 무리의 전투기를 나타내며, 이에 각각 대응하는 로케이터(431a-433a)와 로케이터(434a)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된다. 예를 들면 적군 전투기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아군 전투기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체(451-454)가 적군 전투기인지 아군 전투기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적군과 아군을 색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로케이터 내부에 빗금이나 무늬를 넣는 등 적군과 아군의 로케이터 모양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적군과 아군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로케이터(431b-434b)는 복수의 심벌, 예를 들면, 복수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이더 표시창(420)에 나타난 대상체(451-454)에 각각 대응된다. 레이더 표시창(420)과 로케이터(431b-434b)를 참고하면, 도 6과 마찬가지로, 대상체(451-454)는 이동체(410)의 후방에 위치하며, 대상체(451, 454)는 이동체(410)가 위치한 수평면보다 아래에, 대상체(452)는 이 수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대상체(453)는 이 수평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이동체(410)와 대상체(451-454)의 거리에 따라 로케이터(431b-434b)를 이루는 삼각형의 수효가 달라진다. 일정한 거리마다 하나의 삼각형이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로케이터(431b-434b)의 길이를 표현할 수 있다. 거리가 멀면 삼각형의 수효는 상대적으로 많고, 거리가 가까우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삼각형의 수효가 가장 적은 로케이터(431b)가 지시하는 대상체(451)가 이동체(4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고, 삼각형의 수효가 가장 많은 로케이터(433b)가 지시하는 대상체(453)가 이동체(410)와 가장 먼 거리에 있다.
로케이터(431b-434b)의 심벌은 삼각형 이외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거리를 나타내는 심벌의 수효도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체(451-454)의 방향과 거리를 나타내는 로케이터(431a-434a, 431b-434b)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상체(451-454)가 가까이 있는지 혹은 멀리 있는지 그리고 어느 방향에 있는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로케이터(431a-434a, 431b-434b)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대상체(451-454)가 멀어지는지 혹은 가까워지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는 대상체(450)에 대하여 로케이터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임 화면에 나타나 있는 대상체(450)에 대하여도 필요에 따라 로케이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시야각 내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레이더 표시창(420)에 나타난 모든 대상체에 대하여 로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동체(410)로부터 소정 범위의 거리에 있는 대상체에 대하여만 로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300)가 처리하는 정보의 양을 줄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 부담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군 전투기에 대하여는 로케이터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로케이터로 표시되는 것은 대상체뿐만 아니라 지상의 대공포나 기타 게임 상의 캐릭터일 수도 있다.
한편, 로케이터와 유사하게, 이동체(410)가 적군 전투기로부터 공격을 받아 데미지를 입을 때 이동체(410) 주위에 데미지 효과(damage effect)를 표시함으로써 공격을 가한 적군 전투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데미지 효과는 대략 60° 정도의 범위로 표시할 수 있으며 데미지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방향이 적군 전투기의 방향이 된다. 이러한 데미지 효과에 의하면 공격이 가능한 거리에 있는 적군 전투기로부터 데미지를 입을 때 이 적군 전투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표시된 로케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키고, 적군 전투기로부터 자신의 전투기를 방어하도록 조종하면서 게임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승부가 결정이 되면(S380) 게임이 종료된다(S390). 게임은 소정 시간 내에 더 많은 적군 전투기를 격추시킨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하거나 소정 수효의 전투기를 먼저 격추시킨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할 수 있으며, 이때 전투기는 격추되더라도 다시 전투에 참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최종 생존자 또는 최종 생존자가 남아 있는 팀이 승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투기는 일단 격추되면 다시 전투에 참가할 수 없다. 또한 격추되는 대수에 따라 승부를 결정하지 않고 상대방 전투기에 데미지를 입힌 것을 점수로 환산하여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게임 플레이어(또는 팀)가 승리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전투기는 데미지를 입더라도 격추되지 않는다. 단판 승부가 아닌 3판 2선승제와 같은 방식으로 승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승부 결정 방식은 방장이 게임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게임이 종료되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각 사용자/팀이 격추한 전투기 대수 또는 각 사용자/팀이 획득한 점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팀의 순위를 결정하 고 각 사용자/팀에게 순위에 따른 경험치 및 게임 머니를 부여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전적, 경험치, 게임 머니 등의 정보를 갱신한 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지금까지 로케이터의 방향 및 길이를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임 서버에서 이들을 계산하고 각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로케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케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표시하는 방법은 온라인 슈팅 게임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슈팅 게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체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조종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장치에 의하여 조종되며, 게임 장치에서 해당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로케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로케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표시하는 방법은 비행 슈팅 게임뿐만 아니라 사람 또는 로봇 등이 등장하는 1인칭 슈팅 게임(first person shooting, FPS)이나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real time simulation, RTS),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액션 게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3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2차원 공간에서 수행되는 게임에서도 로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더 표시창을 표시할 필요가 없으며 로케이터로만 대상체의 방향과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온라인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 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슈팅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화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 화면에 로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케이터를 표시한 게임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게임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채널 리스트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140: 게임 서버, 142: 채널 관리 모듈,
144: 정보 전송 모듈, 146: 게임 진행 모듈,
410: 이동체, 415: 크로스헤어,
420: 레이더 표시창, 431a-434a, 431b-434b: 로케이터,
450-454: 대상체

Claims (1)

  1. 제1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기와 게임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이동체를 게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이동체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종되는 대상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대상체를 수평면으로 투사하여 상기 수평면으로 투사된 대상체와 상기 이동체를 소정 형태로 상기 게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대상체를 수직면으로 투사하여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수직면으로 투사된 대상체를 향하는 표지를 상기 이동체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표지가 길어지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대상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표지가 짧아지는
    온라인 게임 방법.
KR1020090075857A 2009-08-17 2009-08-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1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57A KR20090091684A (ko) 2009-08-17 2009-08-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57A KR20090091684A (ko) 2009-08-17 2009-08-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84A Division KR101003288B1 (ko) 2007-05-18 2007-05-18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684A true KR20090091684A (ko) 2009-08-28

Family

ID=4120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57A KR20090091684A (ko) 2009-08-17 2009-08-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16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0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hooting game
KR100900689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6661275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JP5989621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003283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Wolf BattleZone and th e Origins of First-Person Shooting Games
JP4363595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CN117101139A (zh) 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0904843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003288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N111111165A (zh) 虚拟道具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4114825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40295941A1 (en) Game system, server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7128170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ゲームサーバ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14225393A (zh) 游戏资源的获取方法、装置、介质、设备和程序产品
KR20090091684A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6100958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JP5993529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KR20200126628A (ko) 실시간 전략전투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648354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JP6220089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