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088A -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088A
KR20080114088A KR1020070063316A KR20070063316A KR20080114088A KR 20080114088 A KR20080114088 A KR 20080114088A KR 1020070063316 A KR1020070063316 A KR 1020070063316A KR 20070063316 A KR20070063316 A KR 20070063316A KR 20080114088 A KR20080114088 A KR 20080114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sewing machine
actuator
bracket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558B1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558B1/ko
Priority to CN2008101261037A priority patent/CN101333737B/zh
Publication of KR2008011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봉기의 헤드부 일측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액추에이터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된 직선운동 안내부; 상기 제 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어 제 1액추에이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상에 전후 슬라이딩되는 회동 브라켓트부; 상기 회동 브라켓트부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제 2액추에이터부의 작동과 연동되어 재봉실을 사절 및 홀딩하는 윗실사절 및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절수단이 복수의 지지수단을 통해 재봉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절 작업을 행하므로, 재봉실의 사절 과정에서 상기 사절수단에 진동이나 유동의 발생이 감소되어 사절수단의 기능이 충분히 구현되고, 윗실과 아랫실을 개별적인 사절 기구에 의해서 사절함으로써, 사절 작업의 정확도를 높임과 아울러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되며, 사절된 윗실의 잔사를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후속되는 재봉작업시 피봉제물 하부에서의 새집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재봉기, 침판, 사절, 액추에이터, LM 가이드

Description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Apparatus for upper thread cutting and holding of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가 설치된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일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에 있어서 윗실 사절 및 홀딩부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윗실 사절 및 홀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a 및 13b는 도 9에 도시된 윗실 사절 및 홀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20 : 고정 프레임
30 : 아암 상승장치 40 : 헤드부
50 : 재봉물 고정부재 52 : 침판
60 : 몸체 62,84 : 액추에이터
68 : 고정 브라켓트 70 : 가이드 브라켓트
74 : LM 가이드 76 : 이동블록
80 : 이동 브라켓트 82 : 걸쇠
91 : 고정메스 92 : 홀더
93 : 홀더 스프링 94 : 이동메스
95 : 메스 스프링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기는 상하 왕복 운동을 하면서 윗실을 공급하는 재봉 바늘과, 상기 재봉 바늘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밑실을 공급하는 가마와, 재봉 작업동안 재봉물이 파지되고 안내되는 옷감 누름부재(일명, 노루발)을 포함하며, 상기 옷감 누름부재는 상기 재봉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바늘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한 재봉기는 상기 옷감 누름부재에 재봉물이 고정되고, 상기 재봉 바늘이 재봉물을 통과하여 상하 운동을 하면서 윗실을 공급하고, 상기 재봉 바늘과 침판 하부의 가마가 상호 작용하여 재봉 작업이 진행된다.
한편, 재봉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속되는 재봉실을 절단하는 이른 바, 사절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재봉 바늘과 가마 사이에 구비된 침판(도 2의 52 참조)의 하부에서 윗실과 아랫실을 동시에 사절함에 따라 재봉실의 사절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재봉실이 두꺼운 경우에는 사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사절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사절수단과 재봉기를 연결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재봉실의 사절 과정에서 상기 사절수단에 진동이나 유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절수단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판 하부에서 윗실과 아랫실을 동시에 사절함으로써, 윗실의 잔사가 길게 형성되는 바, 이 경우 다음 재봉을 할 때 상기 잔사가 피봉제물의 하부에서 밑실과 서로 엉키는 현상(일명, 새집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윗실과 아랫실을 개별적인 사절 장치를 통해서 사절하므로써 사절 작업의 정확도를 높임과 아울러, 사절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윗실과 아랫실을 개별적으로 사절하므로써 윗실의 잔사량을 줄이고, 윗실의 잔사를 홀딩하는 것에 의해 피봉제물 하부에서의 새집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봉기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절 작업을 행함에 따라 사절 작업시, 진동이나 유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기의 헤드부 일측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액추에이터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된 직선운동 안내부; 상기 제 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어 제 1액추에이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상에 전후 슬라이딩되는 회동 브라켓트부; 상기 회동 브라켓트부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액추에이터 부; 및 상기 제 2액추에이터부의 작동과 연동되어 재봉실을 사절 및 홀딩하는 윗실사절 및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 일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 브라켓트부는, 'ㄴ'자형 단면을 갖는 고정 브라켓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트의 일단부에 연결된 이동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윗실을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윗실을 사절하는 고정메스 및 이동메스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의 저면에 부착된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를 타고 전후 이동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윗실사절 및 홀딩부는, 일단부에 절개면을 구비한 고정메스와, 상기 고정메스의 상면에 연결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면에 연결된 홀더스프링과, 일단부에 절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메스의 저면에 연결된 이동메스와, 상기 이동메스의 저면에 연결된 메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스프링의 일단부에는 재봉실이 인입되 는 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가 설치된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재봉 대상물이 올려지는 테이블(10)의 양 측단에 지지포스트(22)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지지포스트(22) 사이에 사각 강관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20)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10)의 상면 양측에는 타원형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홀(12)은 테이블(10) 하방의 Y축(재봉기의 전후 방향) 이송수단(미도시)의 움직임을 테이블(10) 상측의 재봉물 고정부재(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헤드부(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40)는 상기 재봉물 고정부재(50)에 고정된 재봉 대상물을 재봉하며, 헤드부(40)와 상기 고정프레임(20) 사이에는 헤드부(4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아암상승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후방에는 상기 헤드부(40) 내의 상축(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한 상축구동모터(38)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가 설치된 재봉기에있어서, 상기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의 헤드부(40) 일측에 몸체(6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몸체(60)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Z'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 하단부에 타원 형상을 갖는 연결공(60a)(60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볼트(60c)를 통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40)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60)의 일측면에 제 1액추에이터부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 1액추에이터부는 체결볼트(64)가 액추에이터(62)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6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액추에이터(62)의 선단부 플런저(62a)는 연결편(62b)을 통해 후술하는 고정 브라켓트(68)에 연결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트(68)가 상기 제 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고정 브라켓트(68)는 정면에서 보아 'ㄴ'자형 단면을 갖고, 일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68a)에 상기 연결편(62b)이 체결볼트(66) 및 너트(66a)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1쌍의 연결공(68b)에 후술하는 이동 브라켓트(8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몸체(60)의 타측면에 직선운동 안내부가 결합되며,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70)의 저면에 LM 가이드(74)가 고정 부착되며, 이동블록(76)이 상기 LM 가이드(74)의 외면을 타고 직선운동이 가능하게끔 LM 가이드(74)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 브라켓트(80)가 상기 고정 브라켓트(68)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고정 브라켓트(68)와 함께 전후 이동되어지되, 상기 이동 브라켓트(80)는 일단부에 형성된 1쌍의 연결공(80b)이 상기 고정 브라켓트(68)의 연결공(68b)에 핀(미도시)결합되고, 내면 중앙부에 형성된 1쌍의 연결공(80a)에 후술하는 고정메스(91)가 연 결되며, 타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80c)에 후술하는 제 2액추에이터부의 플런저(84a)가 관통한다.
또한, 상기 이동 브라켓트(80)의 상기 연결공(80b)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좌우 각 1쌍의 연결공(80d)에 상기 이동블록(76)의 양단부가 핀(미도시)결합된다.
상기 제 2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이동 브라켓트(80)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력을 발생시키며, 'ㄷ'자형 단면을 갖는 걸쇠(82)가 상기 이동 브라켓트(80)의 상면에 재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84)의 플런저(84a)가 상기 이동브라켓트(80)의 연장부(80c)를 관통하여 상기 걸쇠(8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이동브라켓트(80)상에 상기 제 2액추에이터부의 작동과 연동되어 재봉실을 사절 및 홀딩하기 위한 윗실사절 및 홀딩부(9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윗실사절 및 홀딩부(90)는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좌우 양측에 연결공(91a)이 형성된 고정메스(91)가 상기 연결공(91a)을 통해 상기 이동 브라켓트(80a)의 연결공에 핀(미도시)결합되고, 고정메스(91)의 타단부에 대략 'ㄱ'자 형상의 절개면(91b)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메스(91)의 내면 일측에 타원형 장공(91c)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공(91c)의 일측에 대소 2개의 연결공(91d)(9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메스(91)의 상면에는 상기 윗실을 후술하는 홀더스프링(93)의 실홈(93b)과의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홀더(92)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홀더(92)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쇠(82)의 양 내측면과 접촉하는 작동레버(92a)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홀더(92)의 내면 일측에 동일 직경을 갖는 1쌍의 연결공(92b)(92b- 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92b)(92b-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타원형 장공(9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92)의 상면에 홀더스프링(93)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홀더스프링(93)은 내면 중앙부에 연결공(93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93a)을 사이에 두고 실홈(93b)과, 연결공(93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메스(91)의 저면에 이동메스(94)가 연결되어지되, 상기 이동메스(94)는 일단부에 절개면(94a)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대소 1쌍의 연결공(94b)(94c)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94b)(94c)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다 큰 직경의 연결공(94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메스(94)의 저면에 메스스프링(95)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메스스프링(95)은 내면 중앙부에 연결공(95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95a) 일측에 보다 작은 직경의 연결공(9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96)의 일단부가 상기 메스스프링(95), 이동메스(94), 고정메스(91), 홀더(92), 그리고 홀더스프링(93)의 연결공(95a;94b;91d;92b;93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압착 고정되고, 다른 연결핀(97)의 일단부가 상기 이동메스(94)의 연결공(94c), 상기 고정메스(91)의 장공(91c), 그리고 상기 홀더(92)의 연결공(92b-1)을 관통하여 압착 고정되며, 또 다른 연결핀(98)의 일단부가 상기 메스스프링(95)의 연결공(95b), 상기 이동메스(94)의 연결공(94d), 상기 고정메스의 연결공(91c), 상기 홀더(92)의 장공(92), 상기 홀더스프링(93)의 연결공(93c)를 관통하여 압착 고정되고, 도 8 중 미설명 부호 64a, 72a는 와셔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재봉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속되는 재봉실 특히, 윗실 사절 작업을 행하고자 할 경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62)의 작동에 따라 플런저(62a)가 전,후진을 반복하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68)와 이동 브라켓트 (80) 또한 전,후진을 반복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76)이 상기 LM 가이드(74)의 양 측면을 타고 전후 슬라이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액추에이터(84)의 작동에 따라 플런저(84a)가 전,후진을 반복하면서 상기 걸쇠(82)가 작동레버(92a)를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도 12 및 도 13a,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실(미도시)은 상기 홀더스프링(93)의 실홈(93b)을 통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쇠(82)가 작동레버(92a)를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홀더(92)와 이동메스(94)가 상기 연결핀(96)을 힌지축으로 하여 좌우 소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메스(94)가 상기 고정메스(91)와의 사이에서 양 절개면(91b)(94a)을 통해 전술한 침판(52)의 상부에서 윗실을 사절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92)는 사절된 윗실의 잔사를 낚아 채어 홀딩하며, 이때, 상기 홀더스프링(93)과 메스스프링(95)은 상기 고정메스(91)에 고정되어 좌우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하여 윗실 사절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양 액추에이터(62)(84)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윗실사절 및 홀딩부(90)를 전술한 재봉 바늘의 후부에 대기 시키며, 아랫실 사절 작업은 상기 침판(52)의 하부에서 별도의 사절기구(미도시)를 통해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몸체(60)와, 가이드 브라켓트(70)는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40)와, 상기 몸체(6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68)와 이동 브라켓트(80)의 이동에 따른 사절수단의 진동이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판(52)의 상부에서 윗실 사절 및 홀딩작업을 행함에 따라 재봉실의 사절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사절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절수단이 몸체와, 가이드 브라켓트와 같은 복수의 지지수단을 통해 재봉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절 작업을 행하므로, 재봉실의 사절 과정에서 상기 사절수단에 진동이나 유동의 발생이 감소되어 사절수단의 기능이 충분히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윗실과 아랫실을 개별적인 사절 기구에 의해서 사절함으로써, 사절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절된 윗실의 잔사를 홀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후속되는 재봉작업시 피봉제물 하부에서의 새집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재봉기의 헤드부 일측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액추에이터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결합된 직선운동 안내부;
    상기 제 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어 제 1액추에이터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상에 전후 슬라이딩되는 회동 브라켓트부;
    상기 회동 브라켓트부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제 2액추에이터부의 작동과 연동되어 재봉실을 사절 및 홀딩하는 윗실사절 및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 일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라켓트부는,
    'ㄴ'자형 단면을 갖는 고정 브라켓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트의 일단부에 연결된 이동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을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윗실을 사절하는 고정메스 및 이동메스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의 저면에 부착된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를 타고 전후 이동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사절 및 홀딩부는,
    일단부에 절개면을 구비한 고정메스와, 상기 고정메스의 상면에 연결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면에 연결된 홀더스프링과, 일단부에 절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메스의 저면에 연결된 이동메스와, 상기 이동메스의 저면에 연결된 메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스프링의 일단부에는 재봉실이 인입되는 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KR1020070063316A 2007-06-26 2007-06-26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KR10136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16A KR101364558B1 (ko) 2007-06-26 2007-06-26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CN2008101261037A CN101333737B (zh) 2007-06-26 2008-06-26 缝纫机的上线断线及夹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16A KR101364558B1 (ko) 2007-06-26 2007-06-26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088A true KR20080114088A (ko) 2008-12-31
KR101364558B1 KR101364558B1 (ko) 2014-02-18

Family

ID=401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16A KR101364558B1 (ko) 2007-06-26 2007-06-26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4558B1 (ko)
CN (1) CN10133373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949A (ko) * 2017-05-05 2018-11-14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KR101975898B1 (ko) * 2017-11-30 2019-05-07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71B1 (ko) * 2019-09-30 2020-06-09 김기선 컴퓨터 박음질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13114U1 (de) * 1983-05-04 1983-09-29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klemmvorrichtung fuer den nadelfaden
JP2711084B2 (ja) * 1992-04-16 1998-02-10 岩瀬プリンス株式会社 ミシン装置における上糸切断装置
JP4510991B2 (ja) * 2000-04-25 2010-07-28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JP4530526B2 (ja) * 2000-12-07 2010-08-25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JP2002346266A (ja) * 2001-05-23 2002-12-03 Juki Corp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030018236A (ko) * 2001-08-27 2003-03-06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 실 절단 장치
JP4138355B2 (ja) * 2002-04-02 2008-08-2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949A (ko) * 2017-05-05 2018-11-14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KR101975898B1 (ko) * 2017-11-30 2019-05-07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3737B (zh) 2012-05-23
KR101364558B1 (ko) 2014-02-18
CN101333737A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716B (zh) Sewing machine yarn breaking device
US20090071384A1 (en) Embroidery frame support device
JP5115226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1364558B1 (ko)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KR101165461B1 (ko) 재봉기
US20120272883A1 (en) Heat Cutting Device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7244773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の送り装置
JP4940799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100989741B1 (ko) 단추 구멍 사뜨기 재봉틀
JP6027920B2 (ja) 鳩目ミシン用糸切りアセンブリ
JP2013070915A (ja) ミシン
JP2004049917A (ja) 目穴型ボタン穴用ミシン
JP2000254370A (ja) パイピングを付けられたポケット開口の製作のための縫製設備
JP4507273B2 (ja) ミシンのワイパー装置
JP2008167897A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JP2008279184A (ja) ミシンの刺繍枠装置
JP5231051B2 (ja) 刺しゅう縫機能付きミシンの刺しゅう枠取付装置
JP2009166188A (ja) 放電加工機
JP5318357B2 (ja) 電動式ミシン
JP7481893B2 (ja) ミシン
CN217459844U (zh) 罗拉车自动剪线装置
JP7438016B2 (ja) ミシン
JP4689312B2 (ja) ミシン
CN219930441U (zh) 一种带松线组件的勾线装置及缝纫机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