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898B1 -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 Google Patents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898B1
KR101975898B1 KR1020170162426A KR20170162426A KR101975898B1 KR 101975898 B1 KR101975898 B1 KR 101975898B1 KR 1020170162426 A KR1020170162426 A KR 1020170162426A KR 20170162426 A KR20170162426 A KR 20170162426A KR 101975898 B1 KR101975898 B1 KR 10197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ire
cloth
sewing machine
wi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주)제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주)제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16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봉제천 상에 열선을 봉착시키기 위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며, 피봉제천이 안착 고정되는 천고정틀과, 상기 천고정틀 상측의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며, 상기 천고정틀에 고정된 피봉제천에 열선을 봉착시키는 열선재봉기와, 상기 열선재봉기에 구비되며, 열선 봉착이 완료되면 열선을 홀딩하여 절단하는 사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선을 자동으로 배선함과 동시에 재봉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Rarge area sew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wiring and putting hot wires}
본 발명은 히팅자켓 등에 내장되는 열선을 자동으로 배선함과 동시에 재봉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열을 위한 열선이 배선되어 내장되는 다양한 전열제품들이 알려져 있으며, 일 예로 반도체 또는 LCD 제조라인 등에서 사용되는 히팅자켓이 알려져 있다.
상기 히팅자켓은 반도체 또는 LCD 제조라인의 배출관 외측에 부착되어 배출관을 가열함으로써 배출관 내부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히팅자켓을 통하여 배출관의 온도저하로 인한 배출가스의 고착을 예방함으로써 배출관의 압력상승 및 그에 따른 배기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팅자켓은 통상적으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를 통해 피복에 열선을 다양한 형태로 재봉함으로써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러한 히팅자켓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열제품의 제조를 위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가 등록특허 제10-1138771호, 공개특허 제10-2011-0045735호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개시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는 재봉기는 고정된 상태에서 피봉제천을 고정하는 재봉틀이 전후좌우로 이동이 제어되는 구성인 바, 설치면적 대비 대면적의 재봉물을 재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재봉틀이 클램프를 통해 단순히 피봉제천을 고정시키는 구성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봉체전을 재봉이 용이한 형태로 펼쳐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선을 봉착하는 구성만을 가지고 있어 작업자가 열선의 끝부분을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함과 함께, 봉착완료시 작업자가 열선을 일일이 절단시켜야 하는 등 작업공정의 불편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138771호 : 열선 봉착용 재봉기 공개특허 제10-2011-0045735호 : 열선 봉착용 재봉틀 및 이를 이용하는 열선 꼬임방지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선재봉기와 천고정틀 각각의 이동 제어를 통하여 설치면적 대비 대면적의 재봉물을 효율적으로 재봉할 수 있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봉제천을 고정하는 천고정틀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봉제천을 재봉이 용이한 평평한 형태로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선을 홀딩하고 절단하는 수단 및 피봉제천의 재단라인 표시수단을 통하여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피봉제천 상에 열선을 봉착시키기 위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며, 피봉제천이 안착 고정되는 천고정틀과, 상기 천고정틀 상측의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며, 상기 천고정틀에 고정된 피봉제천에 열선을 봉착시키는 열선재봉기와, 상기 열선재봉기에 구비되며, 열선 봉착이 완료되면 열선을 홀딩하여 절단하는 사절수단을 포함하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천고정틀은, 전후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 피봉제천이 안착되면, 피봉제천의 전후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전후방 천홀더와, 상기 피봉제천을 가압한 전방 천홀더를 전방쪽으로 당겨 피봉제천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인장시키는 천드래거와, 상기 전후방 천홀더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봉제천이 인장된 상태에서 피봉제천의 좌우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방 천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절수단은, 상기 열선재봉기의 열선공급대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열선공급대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승강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방에는 홀딩실린더의 전후진에 따라 회동되면서 열선을 붙잡는 한쌍의 홀딩아암이 구비된 열선홀더와, 상기 열선홀더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방에는 커팅실린더의 전후진에 따라 회동되면서 열선을 절단하는 한쌍의 커팅아암이 구비된 열선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재봉기에 구비되며, 상기 천고정틀에 고정된 피봉제천에 재단라인을 표시하는 라인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에 의하면,
열선재봉기와 천고정틀 각각의 이동 제어를 통하여 설치면적 대비 대면적의 재봉물을 효율적으로 재봉할 수 있고, 피봉제천을 재봉이 용이한 평평한 형태로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공정시 열선을 자동으로 홀딩하고 절단할 수 있으며, 봉착완료후 피봉제천의 재단라인 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장점들을 통하여 열선 봉착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를 전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천고정틀을 전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천고정틀의 전방 천홀더 및 천드래거의 작동을 순서대로 일 예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열선재봉기를 전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절수단을 전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사절수단의 열선홀더에 대한 구성 및 작동을 일 예시한 도면,
도 9는 사절수단의 열선커터에 대한 구성 및 작동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10, 이하, “재봉장치”라 약칭함.)는 프레임부(100)와, 천고정틀(200)과, 열선재봉기(300)와, 사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부(100)는 재봉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물들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서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주프레임(120)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것처럼 지주프레임(120)을 따라 열선재봉기(3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열선재봉기(300)의 좌우방향 이동 및 재봉이 가능하도록 중간에 위치된 지주프레임(120)을 경계로 그 전방쪽에 일정폭으로 개구된 오프닝부(1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천고정틀(200)은 열선 봉착의 대상물인 피봉제천(C)이 안착 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천고정틀(200)은 전방 천홀더(210), 후방 천홀더(220),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 천드래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는 전후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는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의 좌우 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에 따라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는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는 그 사이에 피봉제천(C)이 안착되면, 피봉제천(C)의 전후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는 상호간에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며,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틀바디(211, 221)와, 상기 틀바디(211, 221)에 형성되는 고정대(212, 222)와, 상기 틀바디(211, 22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가압대(213, 223)와, 상기 틀바디(211, 221)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회동가압대(213, 223)와 결합되는 회동실린더(214, 224)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회동가압대(213, 223)는 상기 회동실린더(214, 224)의 작동에 따라 상하 회동이 이루어지는데,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피봉제천(C)의 전후 테두리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대(212, 222)와 밀착됨으로써, 고정대(212, 222)와의 사이에서 피봉제천(C)의 전후 테두리부분를 고정시키며,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그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는 그 사이에 안착된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는 상기 전방 천홀더(210)와 후방 천홀더(220)의 좌우에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호간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틀바디(231)와, 상기 틀바디(231)에 형성되는 고정대(232)와, 상기 틀바디(23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가압대(233)와, 상기 회동가압대(233)와 결합되면서 틀바디(231)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실린더(23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일하게 회동가압대(233)는 회동실린더(234)의 작동에 따라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부분을 가압하여 고정대(232)와 밀착됨으로써, 고정대(232)와의 사이에서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부분을 고정시키며,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천드래거(240)는 피봉제천(C)을 가압한 상태인 상기 전방 천홀더(210)를 전방쪽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천드래거(240)에 의해 전방 천홀더(210)가 당겨지게 되면, 피봉제천(C)이 인장되면서 열선 봉착이 용이하도록 피봉제천(C)이 평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천드래거(240)는 상기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의 틀바디(231) 전단과 연결되는 드래거바디(241)와, 상기 드래거바디(241)에 고정되면서 상기 전방 천홀더(210)의 틀바디(211)와 결합되어 전방 천홀더(210)를 당겨줄 수 있는 드랙실린더(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천고정틀(200)은 전방 천홀더(210), 후방 천홀더(220),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로 이루어진 사각틀 내에 피봉제천(C)이 놓여지면, 후방 천홀더(220)가 먼저 피봉제천(C)의 후방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전방 천홀더(210)가 피봉제천(C) 전방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이후 천드래거(240)에 의해 전방 천홀더(210)가 전방쪽으로 당겨지며, 그에 따라 피봉제천(C)이 인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렇게 피봉제천(C)이 인장되어 평평하게 펼쳐지게 되면, 이어서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가 작동되어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피봉제천(C)을 열선 봉착이 용이한 최적의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피봉제천(C)을 고정시키는 천고정틀(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선(W)의 봉착공정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좌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2)이 설치되고, 상기 천고정틀(200)의 좌우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25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선재봉기(300)는 상기 천고정틀(200)에 고정된 피봉제천(C)에 열선(W)을 봉착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열선재봉기(300)는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바늘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켜 열선(W)을 피봉제천(C)에 재봉하는 재봉헤드(310)와, 열선(W)이 권취되어 있는 보빈으로부터 열선을 풀어내어 제공하는 열선제공부(320)와, 상기 재봉헤드(310)의 바늘 하부에서 제공된 열선(W)을 바늘의 양쪽으로 공급하는 열선공급대(330)를 포함한다.
상기 열선재봉기(300)의 구성은 열선제공부(320)가 재봉헤드(310)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 외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며, 열선(W)이 공급되면서 봉착이 이루어지는 세부적인 작동은 선행문헌들(등록특허 제10-1138771호, 공개특허 제10-2011-0045735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선행문헌들을 참조함으로써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열선재봉기(300)는 상기 지주프레임(12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선(W)의 봉착공정시 상기 천고정틀(200)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어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천고정틀(200)의 전후방향 이동과 열선재봉기(300)의 좌우방향 이동의 제어를 통하여 열선(W)을 원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봉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절수단(400)은 상기 열선재봉기(300)에 의한 열선(W) 봉착이 완료되면, 열선(W)을 홀딩 및 절단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사절수단(400)은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열선재봉기(300)에 결합되어 설치가 되며, 승강블록(410)과, 이동블록(420)과, 열선홀더(430)와, 열선커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410)은 열선재봉기(300)의 열선공급대(330)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록(420)은 상기 승강블록(410)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열선공급대(330)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열선홀더(430)는 상기 이동블럭(4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열선커터(440)는 열선홀더(430)의 하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열선홀더(430)와 열선커터(440)는 이동블록(420)의 전후진 이동시 함께 전후진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선홀더(430)는 열선(W)을 붙잡기 위한 것으로서,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홀더몸체(431)의 내부에 홀딩실린더(432)가 구비되고, 홀더몸체(431)의 전방에는 한쌍의 홀딩아암(433)이 좌우 양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한쌍의 홀딩아암(433)에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홀더몸체(431)에 힌지 결합된 아암엘보(434)가 고정되며, 상기 아암엘보(434)는 홀딩실린더(432)의 로드(435)에 각각 링크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열선홀더(430)는, 도 8의 (a)에 일 예시된 것처럼, 홀딩실린더(432)의 작동에 따라 로드(435)가 전진되면 아암엘보(434)를 통해 로드(435)에 링크 연결된 한쌍의 홀딩아암(433)이 회동되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열선(W)이 위치될 수 있고, 이렇게 열선(W)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 8의 (b)에 일 예시된 것처럼, 로드(435)가 후진되면 벌어졌던 한쌍의 홀딩아암(433)이 반대로 회동되어 상호간에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열선(W)을 붙잡게 된다.
상기 열선커터(440)는 상기 열선홀더(430)가 열선(W)을 붙잡은 상태에서 열선(W)을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열선커터(440)는 커터몸체(441)의 내부에 커팅실린더(442)가 구비되고, 커터몸체(441)의 전방에는 상호간에 대향되는 쪽으로 커팅날(443a)이 형성된 한쌍의 커팅아암(443)이 좌우 양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한쌍의 커팅아암(443)에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커터몸체(441)에 힌지 결합된 아암엘보(444)가 고정되며, 상기 아암엘보(444)는 커팅실린더(442)의 로드(445)에 각각 링크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열선커터(440)는, 도 9의 (a)에 일 예시된 것처럼, 커팅실린더(442)의 작동에 따라 로드(445)가 전진되면 아암엘보(444)를 통해 로드(445)에 링크 연결된 한쌍의 커팅아암(443)이 회동되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열선(W)이 위치될 수 있고, 이렇게 열선(W)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 9의 (b)에 일 예시된 것처럼, 로드(445)가 후진되면 벌어졌던 한쌍의 커팅아암(443)이 반대로 회동되어 상호간에 커팅날(443a)이 교차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열선(W)을 절단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재봉장치(100)는 작업자가 장치의 가동이나 정지 등 수동조작 입력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작동버튼 등이 당연히 구비될 수 있음과 함께, 프로그램된 제어로직에 따라 상기한 천고정틀(200)의 전후 이동, 열선재봉기(300)의 좌우이동 및 재봉동작, 사절수단(400)의 작동 등 각각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도면 미도시)이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재봉장치(10)의 작동 및 재봉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열선제공부(320)에서 열선(W)이 열선공급대(330)로 공급되게끔 열선재봉기(300)가 세팅된 상태에서, 천고정틀(200)에 재봉대상물인 피봉제천(C)을 고정시킨다.
상기 피봉제천(C)의 고정은, 피봉제천(C)이 놓여지면 먼저 후방 천홀더(220)가 작동하여 피봉제천(C)의 후방 테두리를 가압한 후, 이어서 전방 천홀더(210)가 작동하여 피봉제천(C)의 전방 테두리를 가압한다.
이렇게 피봉제천(C)의 전후방쪽이 가압된 상태에서 천드래거(240)가 작동하여 전방 천홀더(210)를 전방쪽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피봉제천(C)은 전후방향으로 인장되면서 구겨지는 부분없이 평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천드래거(240)에 의해 피봉제천(C)이 인장되어 펼쳐진 후,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가 작동하여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피봉제천(C)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전후좌우가 가압됨으로써,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피봉제천(C)에 대한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피봉제천(C)의 고정이 완료되면, 천고정틀(200)과 열선재봉기(300)가 프로그램된 제어로직에 따라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즉 천고정틀(200)은 후방으로 이동이 제어됨과 함께 열선재봉기(3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열선(W)이 피봉제천(C)에 소망하는 형상으로 배선됨과 동시에 재봉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천고정틀(200)과 열선재봉기(300)가 각각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연계되어 제어되는 구성이므로, 천고정틀만을 전후좌우로 제어하는 구성에 비하여 재봉장치(10)의 설치면적 대비 천고정틀(200)의 크기를 최대화함으로써 대면적의 피봉제천(C) 또는 여러개의 피봉제천을 동시에 재봉할 수 있도록 재봉장치를 구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재봉이송시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천고정틀(200)과 열선재봉기(300)의 작동제어를 통해 열선(W)의 재봉작업이 완료되면, 이어서 사절수단(400)이 작동되어 피봉제천(C)에 재봉된 열선(W)을 열선재봉기(3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먼저, 승강블록(410)이 하강한 후, 이동블럭(420)이 열선공급대(330)를 향해 전진 작동되며, 그에 따라 봉착된 부분과 이어지는 열선공급대(330) 하측의 열선(W)이 열선홀더(430)의 홀딩아암(433)과 열선커터(440)의 커팅아암(443)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먼저 열선홀더(430)의 홀딩실린더(432)가 작동되어 한쌍의 홀딩아암(433)이 상호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열선(W)을 붙잡게 된다.
이어서, 열선커터(440)의 커팅실린더(442)가 작동되어 한쌍의 커팅아암(443)이 상호 교차됨으로써 열선홀더(430)에 붙잡힌 열선(W)의 하측을 절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봉제천(C)에 봉착된 열선(W)의 끝부분이 열선재봉기(300)의 열선(W)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피봉제천(C)에 대한 열선(W)의 봉착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의 재봉장치는 천고정틀과 열선재봉기의 이동이 각각 제어되는 구성이므로 설치면적 대비하여 대면적의 재봉물을 효율적으로 재봉할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고, 천고정틀에 의해 피봉제천이 재봉에 적합한 형태로 간편하게 고정 세팅됨과 함께 사절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열선의 절단 및 홀딩이 이루어지는 바, 종래기술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열선 봉착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프레임부 110: 베이스프레임
120: 지주프레임 200: 천고정틀
210: 전방 천홀더 220: 후방 천홀더
230: 측방 천홀더 240: 천드래거
300: 열선재봉기 400: 사절수단
410: 승강블록 420: 이동블록
430: 열선홀더 440: 열선커터
500: 라인표시수단

Claims (4)

  1. 피봉제천(C) 상에 열선(W)을 봉착시키기 위한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로서,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서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주프레임(12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하기 열선재봉기(300)의 좌우방향 이동 및 재봉이 가능하도록 지주프레임(120)을 경계로 그 전방쪽에 일정폭으로 개구된 오프닝부(111)가 형성된 프레임부(10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며, 피봉제천(C)이 안착 고정되는 천고정틀(200);
    상기 지주프레임(12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선(W)의 봉착공정시 상기 천고정틀(200)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천고정틀(200)에 고정된 상기 피봉제천(C)에 열선(W)을 봉착시키는 열선재봉기(300);
    상기 열선재봉기(300)에 구비되며, 열선(W)의 봉착공정이 완료되면 열선(W)을 홀딩하여 절단하는 사절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사절수단(400)은,
    상기 열선재봉기(300)의 열선공급대(330)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410)과, 상기 열선공급대(330)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승강블록(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블록(420)과, 상기 이동블록(4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방에는 홀딩실린더(432)의 전후진에 따라 회동되면서 열선(W)을 붙잡는 한쌍의 홀딩아암(433)이 구비된 열선홀더(430)와, 상기 열선홀더(430)의 하부에 고정되며, 전방에는 커팅실린더(442)의 전후진에 따라 회동되면서 열선(W)을 절단하는 한쌍의 커팅아암(443)이 구비된 열선커터(440)를 포함하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고정틀은(200),
    전후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 피봉제천(C)이 안착되면, 피봉제천(C)의 전후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전후방 천홀더(210, 220);
    상기 피봉제천(C)을 가압한 전방 천홀더(210)를 전방쪽으로 당겨 피봉제천(C)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인장시키는 천드래거(240);
    상기 전후방 천홀더(210, 220)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봉제천(C)이 인장된 상태에서 피봉제천(C)의 좌우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측방 천홀더(230)를 포함하는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162426A 2017-11-30 2017-11-30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KR10197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26A KR101975898B1 (ko) 2017-11-30 2017-11-30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26A KR101975898B1 (ko) 2017-11-30 2017-11-30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98B1 true KR101975898B1 (ko) 2019-05-07

Family

ID=6665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26A KR101975898B1 (ko) 2017-11-30 2017-11-30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71B1 (ko) * 2019-09-30 2020-06-09 김기선 컴퓨터 박음질 가공 장치
KR102326271B1 (ko) * 2020-05-27 2021-11-15 태평양물산주식회사 재봉용 원단 고정 장치
WO2023214611A1 (ko) * 2022-05-06 2023-11-0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20240005319A (ko) 2022-07-05 2024-01-12 김지훈 재봉기 및 재봉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77B1 (ko) * 2007-05-08 2008-04-02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자수기 및 천 펼침 방법
KR20080114088A (ko) * 2007-06-26 2008-12-31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JP2009195299A (ja) * 2008-02-19 2009-09-03 Nakanihon Juki Kk テープ縫付け装置および生地への印付け装置
KR20110017583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썬스타 미싱용 봉제틀 교환장치
KR20110045735A (ko)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틀 및 이를 이용하는 열선 꼬임방지 방법
KR101138771B1 (ko) 2009-08-14 2012-04-2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77B1 (ko) * 2007-05-08 2008-04-02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자수기 및 천 펼침 방법
KR20080114088A (ko) * 2007-06-26 2008-12-31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의 윗실 사절 및 홀딩장치
JP2009195299A (ja) * 2008-02-19 2009-09-03 Nakanihon Juki Kk テープ縫付け装置および生地への印付け装置
KR20110017583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썬스타 미싱용 봉제틀 교환장치
KR101138771B1 (ko) 2009-08-14 2012-04-2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기
KR20110045735A (ko)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썬스타 열선 봉착용 재봉틀 및 이를 이용하는 열선 꼬임방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671B1 (ko) * 2019-09-30 2020-06-09 김기선 컴퓨터 박음질 가공 장치
KR102326271B1 (ko) * 2020-05-27 2021-11-15 태평양물산주식회사 재봉용 원단 고정 장치
WO2023214611A1 (ko) * 2022-05-06 2023-11-09 김환욱 컨베이어형 재봉물 투입모듈을 구비하는 재봉장치
KR20240005319A (ko) 2022-07-05 2024-01-12 김지훈 재봉기 및 재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898B1 (ko) 대면적 열선 봉착용 재봉장치
JP4291926B2 (ja) パイピングを付けられたポケット開口の製作のための裁縫設備
CN112831933B (zh) 一种用于缝纫的底线自动断开方法及其缝纫机
JP4292507B2 (ja) 自動ニット用前立て縫いミシン
JP2017000300A (ja) クランプ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ミシン
CN201962489U (zh) 手动缝伞机
JP2753973B2 (ja) 被縫製物張架枠
CN112703283A (zh) 能够缝制线材的缝纫机及线切割装置
JP2011125387A (ja) ミシン
JP2013022042A (ja) 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
CN210657465U (zh) 一种加宽眉头不断开打折拉筒
JP3781183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4467487B2 (ja) ミシンの布端切断装置
JPS6124035B2 (ko)
JP2005130900A (ja) 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その布押え具
KR101801778B1 (ko) 실 흡입 고정 장치
JP2011125386A (ja) ミシン
JP2017099821A (ja) ループ片縫製システム
JP3646910B2 (ja) 畳縫着装置
JP2003236281A (ja) ミシン
US2025598A (en) Rib-tip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JPH0424045A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CN218232784U (zh) 可回缝的缝纫机
KR102508901B1 (ko) 총합송 재봉기용 속 노루발
JP2002273083A (ja) ミシン用折曲げテー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