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565A -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오등록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오등록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565A
KR20080110565A KR1020080112442A KR20080112442A KR20080110565A KR 20080110565 A KR20080110565 A KR 20080110565A KR 1020080112442 A KR1020080112442 A KR 1020080112442A KR 20080112442 A KR20080112442 A KR 20080112442A KR 20080110565 A KR20080110565 A KR 2008011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mage
correction
les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689B1 (ko
Inventor
히로끼 데즈까
요시유끼 아끼바
히로끼 기따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22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a photoconductive drum o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좌표값을 변환하는 좌표 변환 수단;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계조 레벨을 변환하는 계조 변환 수단; 및 상기 계조 레벨 수단에 의해 상기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계조 레벨을 변환하는 계조 변환 수단; 및 상기 화상의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계조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대상 화소와 부주사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의 계조 레벨을 비교하여,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화상의 색을 고려하여 구별할 수 있다.
색화상, 좌표값, 오등록 보정, 계조 레벨, 화상의 색

Description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오등록 보정 방법{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RRECTING MISREGISTRATION THEREIN}
본 발명은 복수 색의 현상 수단 및 이 현상 수단에 의해 형성된 복수 색의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수단을 갖는, 특히 소위 탠덤(tandem) 방식의 컬러 화상 형상 장치라고 칭해지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고속의 화상 형성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색의 수와 동일한 수의 현상기 및 감광 드럼을 가지며 상이한 색들의 화상이 화상 반송 벨트 또는 기록 매체 상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되는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오등록(misregistration)을 일으키는 여러 단점들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단점들에 대해 다양한 대응책들이 제안되고 있다.
단점들 중 하나는 편향 주사 장치의 렌즈의 불균일성 또는 탑재 위치 어긋남, 또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한 편향 주사 장치의 탑재 위치 어긋남이다. 이러한 경우에, 주사선에는 기울기 또는 굴곡이 나타난다. 기울기 또는 굴곡은 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색들마다의 그들의 차이는 오등록을 일으킨다.
이러한 오등록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2-116394호는, 편향 주사 장치의 조립 단계에 있어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주사선의 굴곡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다음에 렌즈를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주사선의 굴곡을 보정한 후에, 접착제로 렌즈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3-241131호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편향 주사 장치를 탑재하는 단계에서, 주사선의 기울기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다음에 편향 주사 장치를 기계적으로 기울임으로써 주사선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이들을 탑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4-170755호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주사 라인의 기울기 및 굴곡을 측정하고, 이러한 기울기 및 굴곡이 상쇄되도록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화상 데이터의 전기적 처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조정 부재 또는 조립 단계에서의 조정 단계를 불필요하게 하여,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3-241131호 및 제2004-170755호에 기술된 방법들에 비교하여 더욱 저렴한 오등록의 보정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등록의 전기적인 보정은 1화소 단위의 화소에 대한 오등록 보정 또는 1화소 미만의 화소에 대한 오등록 보정(이후에 1화소 미만의 보정으로 지칭됨)으로서 분류된다. 1화소 단위의 보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및 굴곡에 대한 보정량에 따라, 화소를 1화소 단위로 부(sub) 주사 방향으로 오프셋(offset)함으로써 실행된다. 1화소 미만의 보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화상 데이터의 계조 레벨을 부 주사 방향의 전후의 화소들에서 조정함으로 써 실행된다. 이러한 1화소 미만의 보정은 1화소 단위의 보정에서의 오프셋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부자연스러운 단차를 해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상을 평활화한다.
또한,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6-297633호는 1화소 미만의 보정에 의해 야기된, 전술한 오등록에 대한 전기적 보정의 결점으로서의 미세 화상의 농도 불균일에 대한 대응책을 개시하고 있다. 미세 화상에서의 이러한 농도 불균일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상측부는 임의의 계조레벨을 갖는 세선인 입력 화상을 나타낸다. 이 입력 화상에 대한 오등록의 보정은 도 9의 중간 부분에 도시된 화상에 하측부에 도시된 토너 농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입력 화상은 일정한 계조 레벨을 갖는 반면, 오등록의 보정 후의 출력 화상은 불균일한 농도를 갖는 세선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의 계조값과 실제의 화상 농도 사이의 비례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립 화소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러한 세선들에 의해 형성된 미세 화상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영향이 농도 불균일로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미세 화상에서의 이러한 농도 불균일에 대한 대응책들 중 하나는 미세 화상에 대해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상을 2치화(binarize)하여, 2치화된 화상을 미리 저장된 평활화 판정 패턴과 비교하고, 2치화된 화상이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실행하지 않고, 2치화된 화상이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실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방법들은 이하의 결점과 연관된다. 오등록에 대한 대응책들 중 하나인 오등록에 대한 전기적 보정에 있어서, 다양한 미세 화상들에서 농도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미세 화상에 대해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 농도 불균일을 피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지라도, 메모리 용량을 고려하면, 평활화 판정 패턴들에 따라 농도 불균일을 생기게 하는 모든 미세 화상들을 저장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또한 농도 불균일의 정도는 화상의 세선에 따라 다르다. 종래의 대응책은 화상의 세선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오히려 농도 불균일을 더욱 현저하게 만드는 보정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출력 화상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적인 오등록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화상의 세선을 고려하여 1화소 미만의 보정을 행해야 할 화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이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색의 화상들을 순서대로 전사하는 전사부, 화소 단위로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의 오등록량에 기초하여 화상의 좌표값을 변환하는 제1 변환부, 1화소 미만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의 오등록량에 기초하여 화상의 계조를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대상 화소에 대해 제2 변환부에 의한 1화소 미만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대상 화소 주위의 화소들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구성과, 그에 따른 효과들은 첨부하는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비용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출력 화상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전기적인 오등록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1화소 미만의 보정을 행해야 할 화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의 전자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전 잠상들의 형성에 관한 회로 블록도이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는 화상 형성부(401)와 화상 처리부(402)가 제공된다. 화상 처리부(402)는, 어떤 화상 형성부(401)가 기록 매체에 대해 화상 형성을 실행하는가에 기초하여, 비트맵 화상 정보를 준비한다.
도 2는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중간 전사체(28)를 채용하 는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전자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401)의 기능들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401)는 화상 처리부(402)에 의해 결정된 노광 시간에 따라 노광 광을 활성화하여 정전 잠상들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정전 잠상들을 현상하여 단색 토너 화상들을 취득하고, 이 단색 토너 화상들을 중첩하여 다색 토너 화상을 취득하며, 그 다음에 다색 토너 화상들을 기록 매체(11)로 전사하고, 다색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정착한다.
대전 수단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각의 스테이션들에 제공되고, 이들 각각은 대전기들(23Y, 23M, 23C, 23K)이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스테이션들의 각각은 감광 부재들(22Y, 22M, 22C, 22K)을 대전시키고, 주입 대전기들에는 각각 슬리브들(23YS, 23MS, 23CS, 23KS)이 구비된다.
감광 부재들(22Y, 22M, 22C, 22K) 각각은 알루미늄 실린더 상의 유기 광 전도층을 피복하여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의 구동 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이 구동 모터는 화상 형성 동작에서 감광 부재들(22Y, 22M, 22C, 22K)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광 수단은 스캐너부(24Y, 24M, 24C, 24K)로부터의 노광 광을 감광 부재들(22Y, 22M, 22C, 22K)에 조사하여, 그들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수단은 각각의 스테이션들에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 랙(K)의 색들의 정전 잠상의 현상을 실행하기 위한 4개의 현상기들(26Y, 26M, 26C, 26K)을 포함하며, 현상기들에는 슬리브들(26YS, 26MS, 26CS, 26KS)이 설치되어 있다. 각 현상기는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단색 토너 화상들을 감광성 부재들(22)로부터 중간 전사체(28)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은 중간 전사체(2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감광성 부재들(22) 및 그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1차 전사 롤러들(27Y, 27M, 27C, 27K)의 회전을 따라 단색 토너 화상들의 전사를 실행한다. 1차 전사 롤러들(27)에 적당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감광성 부재들(22)의 회전 속도와 중간 전사체(28)의 회전 속도 사이에 차를 제공함으로써 단색 토너 화상들을 중간 전사체(28)로 전사한다. 이러한 전사 동작을 1차 전사라 칭한다.
전사 수단은 각 스테이션들의 단색 토너 화상들을 중간 전사체(28) 상으로 중첩시키고, 그 중첩된 다색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28)의 회전에 의해 2차 전사 롤러(29)로 전송하고, 또한 기록 매체를 급지 트레이(21)로부터 2차 전사 롤러(29)로 반송하고, 다색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28)로부터 기록 매체(11)로 전사한다. 2차 전사 롤러(29)에 적당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토너 화상은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전사 동작을 2차 전사라 칭한다. 2차 전사 롤러(29)는 다색 토너 화상의 기록 매체(11)로의 전사 중에 기록 매체(11)와 접촉하고 있는 위치(29a)에 유지되지만, 인쇄 처리 후에는 위치(29b)로 분리된다.
정착 수단은, 기록 매체(11)에 전사된 다색 토너 화상을 용융 정착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11)를 가열시키는 정착 롤러(32) 및 기록 매체(11)를 정착 롤 러(32)에 누르는 가압 롤러(33)가 구비된다. 정착 롤러(32) 및 가압 롤러(33)는 중공(hollow)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각각 히터들(34, 35)이 내장되어 있다. 정착 장치(31)는 그 위에 다색 토너를 가진 기록 매체(11)를 정착 롤러(32) 및 가압 롤러(33)에 의해 반송하며,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를 기록 매체(11)에 정착시킨다.
토너 정착 후의 기록 매체(11)는 도시되지 않은 배출 롤러들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배출 트레이 상에 배출되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된다.
클리닝 수단(30)은 중간 전사체(28) 상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며, 4색 토너 화상의 기록 매체(11)로의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28) 상에 남아있는 사용된 토너는 클리너 용기에 모아진다.
등록 검지 센서(41)는 중간 전사체(28)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중간 전사체(28) 상에 등록 검지용 패치(64)를 형성하여, 패치의 검지 타이밍으로부터 각 색의 오등록량이 결정된다. 도 3은 이러한 검지의 예를 도시하며, 주사 방향을 따라 3개의 등록 검지 센서들(41a, 41b, 41c)이 제공되며, C, M, Y, K 색들의 등록 검지용 패치들(64)은 각각의 센서 하부를 통과한다.
도 3에 도시된 주사 방향을 따라, 좌측, 중앙, 및 우측의 3개 위치에서의 오등록 검지에 의해 주사선의 기울기와 굴곡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일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는 오직 2개의 위치들, 즉 좌측과 우측에만 등록 검지 센서들(41)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는 오직 기울기의 크기만을 알 수 있게 한다. 등록 검지 센서의 구조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등록 검지 센서는 LED 등의 적외 발광 소자(51),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52), 수집된 광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IC, 및 이들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홀더로 구성된다. 수광 소자(52)는 토너 패치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를 검출한다. 도 4는 정반사 광을 수취하는 구조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고, 검출을 위해 난반사된 광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소자(51)와 수광 소자(52)를 결합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렌즈 등의 광학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주사선에서의 오등록을 설명한다. 이상적인 주사선(30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동작은 감광 부재(22)의 회전 방향에 수직하게 실행된다. 기울기와 굴곡을 갖는 실제적인 주사선(3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부재(22)의 위치 정밀도나 직경의 어긋남, 및 각 색들의 스캐너부(24)에서의 광학 시스템의 위치 정밀도의 어긋남으로부터 기인한다. 주사선의 이러한 기울기 및 굴곡의 크기는 각각의 C, M, Y 및 K의 화상 스테이션들에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모든 색들의 토너 화상들을 중간 전사체(28)로 전사함으로써 형성된 화상에서 오등록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 주사 방향(X-방향)을 따라서, 인쇄 영역에서의 주사 개시 포인트 A를 기준점으로 하여, 복수의 포인트들에서(B, C, 및 D), 이상적인 주사선(301)과 실제적인 주사선(302)의 부 주사 방향에서의 에러량을 측정하고, 이 에러량을 측정 포인트들(Pa와 Pb 사이의 영역 1, Pb와 Pc 사이의 영역 2, Pc와 Pd 사이의 영역 3) 사이의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이 포인트들을 연결한 직선들(Lab, Lbc, Lcd)에 의해 주사선의 기울기를 근사화한다. 따라서, 포인트들 사이의 에러량의 차(영역 1에 대해서는 m1, 영역 2에 대해서는 m2-m1, 영역 3에 대해서는 m3-m2)가 양수이면, 해당 영역의 주사선은 우측 위로 기울어지고, 차가 음수이면, 주사선은 우측 아래로 기울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처리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생성 수단(404)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로부터 인쇄 처리에 이용하기 위해 구성된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화소마다, RGB 데이터 및 각 화소의 데이터 속성들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색변한 수단(405)은 RGB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401)의 토너들의 색들과 일치하는 CMYK 데이터로 변환하고, CMYK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비트맵 메모리(406)에 저장한다. 비트맵 메모리(406)는 인쇄 처리에 이용되는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1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페이지 메모리, 또는 복수의 라인들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밴드 메모리로 구성된다.
오등록 보정 수단(408C, 408M, 408Y, 408K)은 주사선의 기울기 및 굴곡에 의해 야기된 오등록의 보정을 실행한다. 그 처리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오등록을 보정한 비트맵 화상은 전사 버퍼들(414C, 414M, 414Y, 414K)을 통해 전송되고, PWM(펄스 폭 변조) 수단(415C, 415M, 415Y, 415K)에 의해 스캐너 부(24C, 24M, 24Y, 24K)의 노광 시간들로 변환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오등록 보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주요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1) 오등록 프로파일 정보(413C, 413M, 413Y, 413K)를 오등록량 기억 수단(403)에 저장한다;
(2) 오등록 프로파일 정보(413C, 413M, 413Y, 413K) 및 엔진 프로파일 정보(412)에 기초하여, 오등록 보정량 계산 수단(407C, 407M, 407Y, 407K)은 각 화소의 각 색마다 보정량을 계산한다;
(3) 계산된 각 화소의 보정량에 기초하여, 오등록 보정 수단(408C, 408M, 408Y, 408K)은 비트맵 데이터에 대한 보정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계들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1)에서, 오등록 프로파일 정보(413)를 화상 형성부(401)에 내장된 오등록량 기억 수단(403)에 저장한다. 프로파일의 형식은 예를 들어 각 색마다 복수의 포인트에서 측정된, 실제적인 주사선(302)과 이상적인 주사선(301) 사이의 부 주사 방향의 에러량이다. 도 10의 표는 오등록량 기억 수단(403)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프로파일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사선의 기울기 및 굴곡 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식을 가정할 수도 있다.
오등록량 기억 수단(403)에 저장되어질 오등록 프로파일 정보(413)는 여러가지 방법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제1 방법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이러한 에러량을 측정하고 획득하는 것이다. 제2 방법으로서는, 위에서 설명된 등록 검지 센서(41)를 이용하여 중간 전사체(28) 상에 형성된 등록 검지용 패치를 검출함으로써 에러량을 취득하는 것이다. 제3 방법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등록 측정용 차트를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출력한 후, 예를 들어 시판 되는 화상 스캐너에 의해, 화상을 전자 정보로 변환하여, 그 정보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취득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기록 매체(11) 상에 형성된 오등록 측정용 패치(65)를 도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선(66) 상에 C, M, Y 및 K 컬러 패치들이 정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화상들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들은 주사선(66)으로부터 어긋난다. 전자 정보로부터 에러량을 측정함으로써 프로파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오등록량 기억 수단(403)에 저장된 오등록 프로파일 정보(413)에 기초하여 오등록 보정량 계산 수단(407)은 오등록을 상쇄시키기 위한 보정량을 계산하여 그 보정량을 오등록 보정 수단(408)으로 출력한다. 주 주사 방향의 좌표 데이터를 x(도트), 부 주사 방향의 오등록 보정량을 Δy(도트), 및 화상 형성 해상도를 r(dpi)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영역들에 대한 계산을 이하에 나타낸다:
영역 1:Δy1 = x×(m1/L1)
영역 2:Δy2 = m1/r + (x-(L1/r))×((m2-m1)/(L2-L1))
영역 3:Δy3 = m2/r + (x-(L2/r))×((m3-m2)/(L3-L2))
여기서, L1, L2 및 L3은 인쇄 시작 위치로부터 영역 1, 영역 2, 및 영역 3의 우측단까지의 주 주사 방향으로의 거리(㎜)들이고, m1, m2 및 m3은 영역 1, 영역 2, 및 영역 3의 우측단에서의 이상적인 주사선(301)과 실제적인 주사선(302) 사이의 에러량이다.
각 영역의 기울기는 측정 포인트들에서의 편차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전체 영역에 있어서 각 화소의 노광 단위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의 ys는 이하의 식으로부터 결정된다:
Δys = x×(m1/L1) (0≤x<L1);
Δys = m1/r + (x-(L1/r))×((m2-m1)/(L2-L1)), (L1≤x<L1+L2); 및
Δys = m2/r + (x-(L2/r))×((m3-m2)/(L3-L2)), (L1+L2≤x<L1+L2+L3).
이 방식으로 ys를 결정한 후에, ys가 화상 형성 해상도 내의 정수 도트에 도달하는 x값이 결정되고, 그 x값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좌표 변환 수단(802)의 판독 위치를 변경한다.
엔진 프로파일 기억 수단(412)에 저장된 엔진 프로파일 정보는 용지 사이즈에 있어서 기준점으로부터의 오프셋 양 정보, 각 색에 대한 주사 빔의 주사 방향 정보, 및 기록 매체 반송 속도를 포함한다. 도 12는 엔진 프로파일의 예 및 노광 프로파일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이한 방향들로 주사를 실행하는 경우에, 주사 방향에 따라 보정량에 부호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도 12의 오등록량은 순 주사 방향일 때는 네거티브값으로서, 역 주사 방향일 때는 포지티브값으로서 취급된다.
인쇄가 상이한 속도로 실행되는 경우, 그에 따라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이 통상의 화상 형성 속도의 1/2로 실행되는 경우, 스캐닝 속도는 변경되지 않고, 2회의 스캐닝 동작 중 1회에서 화상 출력을 실행하고, 나머지 1회에서는 실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보정량은 통상의 화상 형성 속도의 보정량의 1/2이 되어야 한다. 또한, 용지 사이즈에 따라, 보정량은 용지 사이즈에 대응하는 영역의 프로파일 데이터로 계산되어야 한다.
단계 (3)에서는,그렇게 보정된 각 화소에 대한 보정량에 기초하여, 오등록 보정 수단(408)이 비트맵 데이터의 보정을 수행한다. 오등록 보정 수단(408)은 좌표 변환 수단(802), 라인 버퍼(803), 평활화 판정 수단(806), 계조 변환 수단(807) 및 하프톤 처리 수단(808)으로 구성된다.
라인 버퍼(803)는 라인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이며, 비트맵 메모리(406)로부터의 보정량의 정보를 라인 단위로 저장한다.
좌표 변환 수단(802)은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좌표 위치 데이터와, 오등록 보정량 계산 수단(407)로부터 획득된 보정량 Δy에 기초하여, 라인 버퍼(803)의 보정량 Δy의 정수 부분의 보정, 즉 화소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고, 그리하여 출력 화상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이제, 좌표 변환 수단(802)에서의 보정 처리를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좌표 변환 수단(802)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근사된 주사선의 오등록 정보로부터 판정될 수 있는 오등록 보정량 Δy의 정수값에 따라서, 비트맵 메모리(406)에 저장된 부주사 방향(Y-방향)으로 화상 데이터의 좌표를 오프셋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의 n번째 라인의 데이터를 재구성할 경우, 도 6의 (a)의 영역 (1)에서의 주주사 좌표 위치 X에서는, 오등록 보정량 Δy가 0보다 크거나 같지만 1보다는 작으므로, 비트맵 메모리로부터 n번째 라인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도 6의 (a)의 영역 (2)에서는, 오등록 보정량 Δy는 1보다 크거나 같지만 2보다는 작으므로, 1-라인 오프셋된 비트맵 화상, 즉 비트맵 메모리로부터 (n+1)번째 라인의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좌표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a)의 영역 (3)에서는 (n+2)번째 라인의 데이터를 그리고 영역 (4)에서는 (n+3)번째 라인의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좌표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 화상 데이터의 재구성을 행한다. 출력 화상 데이터는 상기 설명된 방법으로 재구성된다. 도 6의 (c)는 화상 담지 부재를 좌표 변환 수단(802)에 의해 화소 단위로 오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 데이터로 노광시킴으로써 형성된 화상을 도시한다. 앞에서는, 비트맵 메모리(406)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 화소 단위로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라인 버퍼(803)에 화상 데이터를 기입할 시에, 화소 단위로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트맵 메모리(406)로부터 한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라인 버퍼(803)에 그 화상 데이터를 기입할 시에, 도 6의 (a)에 도시된 영역들 (1) 내지 (5)에 따라서, 데이터 기입 라인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제,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계조 변환 수단(807)에 의해 수행되는 1화소 미만의 오등록 보정, 즉 오등록 보정량 Δy의 소수점 부분에 대한 오등록 보정을 설명한다. 오등록에 대한 소수점 부분의 보정은 부주사 방향의 전후 화소의 계조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7a는 우측 상향으로의 기울기를 갖는 주사선의 기울기 오등록을 도시한다. 도 7b는 계조 보정(계조 변환) 전의 수평 라인의 비트맵 화상을 도시하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주사선의 기울기에 의해 야기된 오등록을 상쇄하기 위한 도 7b의 보정 비트맵 화상을 도시한다. 도 7c에 도시된 보정 화상을 실현하기 위해, 부주사 방향의 전후 화소의 계조 레벨을 조정한다. 도 7d는 오등록 보정량 Δy와 계조 변환용 보정 계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하며, k는 부주사 방향으로의 화소 단위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오등록 보정량 Δy의 정수 부분(소수 부분은 버림)이다. β와 α는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보정 계수들로서, 오등록 보정량 Δy의 소수 부분에 기초한, 부주사 방향의 전후 화소들 간의 계조 레벨의 분배율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β = Δy - k
α = 1 - β
여기서, α는 선행 화소의 분배율이고, β은 후행 화소의 분배율이다.
도 7e는 도 7d의 계조 변환 테이블에 도시된 계수들에 따라서, 부주사 방향의 전후 화소들의 계조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계조 보정한 후(계조 변환 후)의 비트맵 화상을 도시한다. 도 7f는 계조 변환 후의 비트맵 화상의 화상 담지 부재 상의 노광된 화상을 도시하며, 그 노광 화상은 주주사 라인의 기울기를 상쇄하여 수평한 직선을 제공한다.
그러나, 미세 화상에서는, 1화소 미만의 보정은 화질의 고려하여,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부주사 방향의 전후 화소들 간의 계조 레벨의 분배율을 다음과 같이 일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β = 0, 그리고
α = 1
도 8a는 도 7d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러한 경우의 보정 계수들을 도시한다. 도 8b는 도 7e에 대응하는 비트맵 화상을 도시하며, 도 8c는 도 7f에 대응하는 화상 담지 부재 상에서의 노광 화상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화상들은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의 미세 화상에 대한 것이다.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 및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은 평활화 판정 수단(806)에 의해 판정되며, 판정 방법은 이후에 설명할 것이다. 그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되지 않은 계조 변환 테이블 선택 수단이, 사용될 계조 변환 테이블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하프톤 처리 수단(808)이 하프톤 처리를 수행하고, 그렇게 처리된 화상 데이터가 전사 버퍼(414)를 통해 펄스폭 변조(PWM) 수단(415)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평활화 판정 수단(806)에 의해 수행되는 판정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도 13a1 내지 도 13a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선들에 의해 형성된 미세 화상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화질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b1 내지 도 13b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립 세선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하는 것이 화질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에 설명되는 판정 방법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쉽게 구별하도록 한다.
도 14는 1화소(주주사 방향) × 20화소(부주사 방향)의 화상에 의해 형성된 패치(71)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C0은 각 화소의 시안색만의 계조 레벨을 나타낸 다. 참조부호 C1은 대상 화소와 그보다 위의 화소와의 계조 레벨의 차분의 2치화 절대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1은 그 차분의 절대값이 128 이상인 경우, "1"로 취해진다. 참조부호 C2는 대상 화소와 그보다 아래의 화소와의 계조 레벨의 차분의 2치화 절대값을 나타내며, C1에서와 같이, 차분의 절대값이 128 이상인 경우, "1"로 취해진다. 참조부호 C3는 C1과 C2의 "OR" 값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C4는 윈도우 필터(73) 내에 있는 C3 = 1의 화소수를 나타낸다. C4가 5 이상일 경우, 대상 화소는 미세 화상의 일부로 판정되어,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립 세선을 구성하는 화소가 항상 C4 ≤ 4를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립 세선과 미세 화상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자신은 계조 레벨 255를, 보다 위의 화소에서는 계조 레벨 0을, 보다 아래의 화소에서는 계조 레벨 0을 갖는, 도 14에 도시된 대상 화소(72)에 있어서, C1 = 1, C2 = 0, C3 = 1이 획득된다. 또한, 1화소(주주사 방향)×13화소(부주사 방향)의 윈도우 필터(73)가 C3 = 1인 6개의 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C4 = 6이다. 따라서, C4 ≥ 5인 대상 화소(72)는 미세 화상의 일부로서 판정된다. 마젠타 계조값 M0, 옐로우 계조 Y0, 블랙 계조 K0에 대해서도 시안색과 유사한 처리를 수행한다. C2 및 C3에서, 화상을 2치화하기 위한 임계값은 128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구별하기 위한 임계값도 C4 ≥ 5인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화상 품질면에서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정 방법은, 소형이며 범용성의 윈도우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농도 불균일의 단점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미세 화상을 커버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농도 불균일의 단점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화상 패턴을 준비하여 그러한 패턴을 비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적인 오동작 보정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구별하기 위해, 이차원 윈도우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처리들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차원 윈도우 필터를 이용한 판정 방법에서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라인들을 포함하는 화상을 고립 세선으로 판정하고, 1화상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도 13b1 내지 도 13b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고립 세선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하는 것이 화질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라인들로 구성된 화상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하지 않는 것이 화질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후에 설명될 이차원 윈도우 필터에 의한 판정 방법은,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라인들을 포함하는 화상을 고려하여,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쉽게 구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평활화 판정 수단(806)에서의 판정 방법을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세선을 포함하는 화상에 이차원 윈도우 필터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대상 화소(75)에 대해서는, 1화소(주주사 방향)×13화소(부주사 방향)의 윈도우 필터(73) 및 9화소(주주사 방향)×1화소(부주사 방향)의 윈도우 필터(76)를 적용하고 있다.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윈도우 필터(73)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다.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윈도우 필터(76)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이후에 설명한다.
도 17b는, 9화소(주주사 방향)×1화소(부주사 방향)의 윈도우 필터(76)를 포함하는, 16화소(주주사 방향)×1화소(부주사 방향)의 화상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74)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C0는 각 화소의 시안색의 계조 레벨만을 도시한다. 참조부호 C5는 대상 화소와 우측에 인접한 화소와의 계조 레벨의 차분의 2치화 절대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5는 차분의 절대값이 128 이상인 경우, "1"로 취해진다. 참조부호 C6은 대상 화소와 좌측에 인접한 화소와의 계조 레벨의 차분의 2치화 절대값을 나타내며, C5에서와 같이, 그 차분 2치화 절대값이 128 이상인 경우, "1"로 취해진다. 참조부호 C7은 C5와 C6의 "OR" 값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C8은 윈도우 필터(76) 내에서 C7 = 1인 화소수를 나타낸다. C8이 3 이상인 경우, 대상 화소는 주사 방향을 따라 짧은 세선을 포함하는 화상의 일부로서 판정되며,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방향을 따라 긴 고립 세선이 항상 조건 C8 ≤ 2를 만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립 세선과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세선을 포함하는 화상이 쉽게 구별될 수 있다.
자신은 계조 레벨 255를, 우측 인접 화소에서는 계조 레벨 255를, 그리고 좌측 인저 화소에서는 계조 레벨 0을 갖는, 도 17b에 도시된 대상 화소(75)에서, C5 = 0, C6 = 1 및 C7 = 1이 획득된다. 또한, 9화소(주주사 방향)×1화소(부주사 방향)의 윈도우 필터(76)이 C7 = 1인 4개의 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C8 = 4이다. 따라서, C8 ≥ 3인 대상 화소(75)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세선들을 구성하는 화소의 일부로서 판정된다. 마젠타 계조값 M0, 옐로우 계조값 Y0, 블랙 계조값 K0에 대해서도, 시안색과 유사한 처리를 수행한다. C5 및 C6에서, 화상을 2치화하기 위한 임계값이 128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고립 세선과 주사 방향에 따라서 복수의 짧은 세선을 포함하는 화상을 구별하기 위한 임계값은 C8 ≥ 3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화질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두개의 윈도우 필터, 즉,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윈도우 필터(73) 및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윈도우 필터(76)로 두번의 판정을 수행한다. 그 윈도우 필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음"이라고 판정된 대상 화소에 대해서는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윈도우 필터 둘 모두에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함"이라고 판정된 대상 화소에 대해서는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판정 방법은, 소형이며, 범용성인 이 차원 윈도우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일차원의 윈도우 필터에 의해서는 적절하게 판정될 수 없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짧은 세선들을 포함하는 화상에 대해서도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오동작 보정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판정하는 방법을, 색의 차수(order number)를 고려하여 설명한다. 다른 처리들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색의 차수는 1차색이 몇회 혼합되었는지를 의미한다. 즉, 상세하게는, 아직 혼합되지 않는 원색(C, M, K) 각각은 1차색이다. 2차색은 어느 하나의 1차색에 다른 1차색을 혼합한 색이다. 그리고, 3차색은 어느 하나의 1차색과 어느 하나의 2차색을 혼합한 색이다.
미세 화상의 농도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1차색의 미세 화상에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고차색의 미세 화상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1화소 단위의 오등록 보정에서, 라인 오프셋 경계는 색마다 다르므로, 오등록량이 그 경계에서 불연속이 되어 버리며, 그러한 불연속은 고차색의 화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평활화 판정 수단(806)의 판정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도 19는 1화소(주주사 방향)× 20화소(부주사 방향)의 화상으로 형성 된 패치(71)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C0는 시안색의 계조 레벨, 참조부호 M0은 마젠타 색의 계조 레벨, 참조부호 Y0은 옐로우 색의 계조 레벨, 참조부호 K0은 블랙 색의 계조 레벨이다. 참조부호 N0는 대상 화소의 색의 차수를 나타내며, 1차색의 대상 화소에 대해서는 N = 1, 2차색에 대해서는 N = 2, 3차색에 대해서는 N = 3, 4차색에 대해서는 N = 4, 무색 상태에 대해서는 N0 = 0이 된다.
N ≤ 1인 경우에, C1 내지 C4, M1 내지 M4, Y1 내지 Y4 및 K1 내지 K4는 제1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된다. N ≥ 2의 경우에, 조건은 C1 = C2 = C3 = 0, M1 = M2 = M3 = 0, Y1 = Y2 = Y3 = 0, K1 = K2 = K3 = 0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차색의 미세 화상에 대해서만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활화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시에 색차를 고려함으로써, 전기적인 오등록 보정시에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화상의 색을 고려하여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에 대한 판정을 다른 색들에 대해서 다른 판정 조건들을 사용하여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 외의 처리들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세 화상의 농도 불균일은 화생 색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화상 의 광도 레벨과 크게 관련되며, 농도 불균일은 어두운 색으로 형성된 미세 화상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화상과 배경의 기록 매체 간의 광도 차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단일의 토너 색의 100% 솔리드(solid) 화상은, 시안의 경우 약45, 마젠타의 경우 약 50, 옐로우의 경우 약 85, 블랙의 경우 25의 광도이므로, 이 화상들은 (1) 블랙, (2) 시안, (3) 마젠타, (4)옐로우의 내림 차순으로 점점 어두워진다.
다음 조건들은 화상의 색에 따라 변경된다:
화상을 2치화하기 위한 임계값;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 간의 임계값; 및
윈도우 필터의 사이즈.
도 20은 각 색에 대해 설정된 조건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화상 2치화 임계값은 시안, 마젠타, 블랙 색에서 약 65의 광도 레벨을 제공하는 계조 레벨로 선택된다. 100% 솔리드 화상에서도 광도 85를 나타내는 옐로우 화상은,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해야 할 화상으로 취급된다.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 간의 임계값을 변경하고, 윈도우 필터의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 간의 경계를 변경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화상을 거시적으로 볼 때, 경계에서의 화상의 밝기가 색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화상이 더 밝은 색에서 더 세밀하고, 덜 밝은 색에서 덜 세밀한 위치에 경계가 선택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활화 판정 수단의 각 색에 대한 판정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전기적인 오등록 보정시, 1화소 미만의 등록 보정을 행할 화상과 그러한 보정을 행하지 않을 화상을 간단한 방식으로, 화상의 색을 고려하여,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 청구항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또는 응용을 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의 컬러 화상 형상 장치의 정전 잠상의 형성에 관한 회로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등록 검지용 패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등록 검지용 센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오등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 (b) 및 (c)는 제1 실시예에서 오등록에 대한 화소 단위의 보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도 7e, 및 도 7f는 제1 실시예에서 오등록에 대해 1화소 미만의 보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1 실시예에서 오등록에 대해 1화소 미만의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9는 종래 예에서 세선(fine line)의 농도 불균일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 오등록량 기억 수단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실시예에서 오등록 측정용 차트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예에서 엔진 프로파일과 노광 프로파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
도 13a1, 도 13a2, 도 13a3, 도 13a4, 도 13a5, 도 13a6, 도 13b1, 도 13b2, 및 도 13b3은 각각 제1 실시예에서 미세 화상과 고립 세선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14는 제1 실시예에서 평활화 판정 수단의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1 실시예에서 평활화 판정 수단의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제2 실시예에서 주사 방향으로 짧은 복수의 세선으로 구성된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17a와 도 17b는 제2 실시예에서 평활화 판정 수단의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2 실시예에서 평활화 판정 수단의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3 실시예에서 평활화 판정 수단의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4 실시예에서 각 색들마다 설정된 조건들의 예를 나타내는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화상 형성부
402: 화상 처리부
28: 중간 전사체
11: 기록 매체
23Y, 23M, 23C, 23K: 대전기들
22Y, 22M, 22C, 22K: 감광 부재들
24Y, 24M, 24C, 24K: 스캐너부
26Y, 26M, 26C, 26K: 현상기들
27Y, 27M, 27C, 27K: 1차 전사 롤러들
29: 2차 전사 롤러

Claims (10)

  1.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색의 화상들을 순서대로 전사하는 전사부;
    화소 단위로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화상의 오등록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좌표값을 변환하는 제1 변환부;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화상의 오등록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계조를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대상 화소에 대해 상기 제2 변환부에 의한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상기 대상 화소 주위의 화소들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부는 복수의 계조 변환 테이블 및 계조 변환시에 사용될 계조 변환 테이블을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계조 변환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는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무효화시키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대상 화소와 부주사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 간의 계조 레벨의 차분을 계산하고, 상기 계조 레벨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을 2치화하고,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2치화된 화상에서 각 계조 레벨의 화소수를 측정하고, 상기 화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외의 화상들에 대해서는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주주사 방향의 1화소와 부주사 방향의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정의된 영역인 컬러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대상 화소와 주주사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 간의 계조 레벨의 차분을 계산하고, 상기 계조 레벨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을 2치화하고, 상기 대상 화소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2치화된 화상에서 각 계조 레벨의 화소수를 측정하고, 상기 화소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외의 화상들에 대해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주주사 방향으로의 복수의 화소와 부주사 방향으로의 하나의 화소에 의해 정의된 영역인 컬러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상기 대상 화소의 색의 차수(color order)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대상 화소가 고차수의 색을 갖는 경우에,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1화소 미만의 단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의 판정 조건을 각 색마다 설정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의 상기 판정 조건은 화상을 2치화하기 위한 임계값, 1화소 미만의 단 위의 오등록 보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화소수에 대한 임계값, 및 대상 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 영역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112442A 2005-06-24 2008-11-12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KR100910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184947 2005-06-24
JP2005184947A JP4817727B2 (ja) 2005-06-24 2005-06-24 カラー画像形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963A Division KR20060135556A (ko) 2005-06-24 2006-06-23 컬러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565A true KR20080110565A (ko) 2008-12-18
KR100910689B1 KR100910689B1 (ko) 2009-08-04

Family

ID=369686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963A KR20060135556A (ko) 2005-06-24 2006-06-23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112442A KR100910689B1 (ko) 2005-06-24 2008-11-12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963A KR20060135556A (ko) 2005-06-24 2006-06-23 컬러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8971B2 (ko)
EP (1) EP1736835B1 (ko)
JP (1) JP4817727B2 (ko)
KR (2) KR20060135556A (ko)
CN (1) CN1885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775A (ja) * 2005-11-16 2007-06-07 Kyocera Mita Corp 露光画像入力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
US8270049B2 (en) 2006-08-01 2012-09-18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 resolution characterization of spatial variance of color separation misregistration
US7894109B2 (en) 2006-08-01 2011-02-22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spatial variance of color separation misregistration
US8274717B2 (en) 2006-08-01 2012-09-2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color separation misregistration
US7826095B2 (en) 2007-01-16 2010-11-02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olor separation misregistration utilizing frequency-shifted halftone patterns that form a moiré pattern
US8228559B2 (en) 2007-05-21 2012-07-2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color separation misregistration utilizing a broadband multi-channel scanning module
JP2009012323A (ja) * 2007-07-05 2009-01-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9945A (ja) * 2007-08-08 2009-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966787B2 (ja) * 2007-08-27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補正方法
JP5080948B2 (ja) * 2007-11-22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42205B2 (ja) * 2008-01-07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88824B2 (ja) * 2008-02-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1429B2 (ja) * 2008-10-24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54740B2 (ja) * 2008-10-24 201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254739B2 (ja) 2008-10-24 201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10388B2 (ja) * 2009-08-27 2013-10-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質調整にかかるパターン画像の検出方法
JP5623063B2 (ja) * 2009-11-16 2014-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11074110A1 (ja) * 2009-12-18 2011-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15453B2 (ja) * 2010-01-28 201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716278B1 (ko) * 2010-09-14 2017-03-2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인쇄제어단말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JP2012218177A (ja) 2011-04-04 2012-1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74256B2 (ja) * 2011-09-09 2016-03-02 株式会社リコー 光源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28509B2 (ja) * 2013-02-01 2015-06-0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6335013B2 (ja) * 2014-04-30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2623B2 (ja) * 2014-06-05 2018-05-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164A (ja) * 1984-12-28 1986-07-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00081743A (ja) * 1998-09-04 2000-03-2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58707A (ja) * 1998-11-30 2000-06-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08466B2 (ja) * 2000-02-29 2005-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60422A (ja) 2000-03-17 2001-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16394A (ja) 2000-10-04 2002-04-19 Canon Inc レーザー書込ユニット
JP2002135586A (ja) 2000-10-24 2002-05-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印刷装置及び方法
JP2002247611A (ja) * 2001-02-16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判別回路、画質補正装置、画像判別方法、画質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41131A (ja) 2002-02-22 2003-08-27 Canon Inc 偏向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70755A (ja) 2002-11-21 2004-06-17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075561B2 (en) * 2003-05-29 2006-07-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color misregistration correction method
DE10343319A1 (de) * 2003-09-10 2005-04-14 Minebea Co.,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Wellenteils für ein hydrodynamisches Lager
JP4612859B2 (ja) 2005-04-15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44217B2 (en) * 2005-04-15 2008-03-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689B1 (ko) 2009-08-04
US20060290767A1 (en) 2006-12-28
KR20060135556A (ko) 2006-12-29
EP1736835B1 (en) 2016-03-09
CN1885189B (zh) 2010-06-23
US7598971B2 (en) 2009-10-06
JP4817727B2 (ja) 2011-11-16
JP2007003896A (ja) 2007-01-11
CN1885189A (zh) 2006-12-27
EP1736835A1 (en)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689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JP485048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28882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4322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ensity variation in correcting misregistration
JP200730055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67319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61285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28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3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shift correction method thereof
JP2007163679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0434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9829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042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3283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200802206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保存方法
JP200905670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01517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21597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00197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