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905A -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905A
KR20080108905A KR1020080052836A KR20080052836A KR20080108905A KR 20080108905 A KR20080108905 A KR 20080108905A KR 1020080052836 A KR1020080052836 A KR 1020080052836A KR 20080052836 A KR20080052836 A KR 20080052836A KR 20080108905 A KR20080108905 A KR 200801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ions
contact portion
operating lev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685B1 (ko
Inventor
마코토 아사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원점위치에서 아래방향으로 압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원점위치에서 좌우의 2개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케이스(100)에 유지되는 조작레버(200)와, 조작레버(20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300)와, 조작레버(200)의 요동각도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400)과,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압하부재(5O0)와, 압하부재(500)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스위치(600)와, 요동 조작된 조작레버(200)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점복귀수단(700)을 구비한다.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을 압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조작형 입력장치{COMBINED-OPERATION TYP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동시에, 상기 원점위치에서 압하 조작 가능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로서는, 조작레버의 원점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이동 또는 아래방향으로의 압하 조작이동에 따라서, 해당 조작레버에 장착된 가동접점부가 이동되고, 케이스의 내부벽면에 형성된 4개의 고정접점부 중 2개의 고정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각각 출력하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국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49925호 공보
그러나,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의 압하 조작에 의해, 가동접점부가 2개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될 뿐이기 때문에, 그 압하 조작의 조작감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수단을 편입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지만, 압하 조작검출용인 상기 고정접점부를 대신해서 상기 스위치수단을 편입하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서 압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원점위치에서 상기 압하이동방향으로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유지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각도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쪽의 일단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부재와,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압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압하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압하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의해, 해당 조작레버의 일단부면에 압하되면,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하여,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고,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시키도록 한 것에 의해,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상기 압하부재가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쪽의 일단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압하스위치가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 피압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압하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이동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하는 반면에, 해당 압하부재와 상기 압하스위치를 상기 직교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일단부면 및 압하부재의 조작레버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따라서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가,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2개의 요동방향쪽에서 접촉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에서 유지하는 탄성체인 2개의 원점복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가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한쪽의 원점복귀수단이 상기 조작레버에 압압되고,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다른 쪽의 원점복귀수단이 상기 조작레버에 압압되고,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2개의 원점복귀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조작레버의 2개의 요동방향쪽에 각각 배치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분을 상기 압하부재 및 압하스위치의 수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상기 압하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원점복귀수단이,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조작레버의 2개의 요동방향쪽에 배설되는 2개의 코일부와, 이 코일부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각각 2개의 암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2개의 암부가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해당 조작레버의 양쪽 단부에 각각 압압됨으로써, 상기 2개의 코일부가 각각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레버가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해당 조작레버의 일단부가 한쪽의 상기 암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코일부가 압축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해당 조작레버의 타단부가 다른 쪽의 상기 암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쪽의 코일부가 압축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대 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가,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압하이동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유지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를 부가해서 구비하는 경우, 상기 2개의 암부가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양쪽 단부에 각각 압압됨으로써, 상기 2개의 코일부가 각각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가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상기 로터의 일단부가 한쪽의 상기 암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코일부가 압축되고, 상기 로터 및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상기 로터의 타단부가 다른 쪽의 상기 암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쪽의 코일부가 압축되고, 상기 로터 및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상기 2개의 원점복귀수단은, 2개의 코일부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별도의 암부가 연결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원점복귀수단은, 상기 로터의 양쪽 단부에 2개의 요동방향쪽에서 접촉하고, 해당 로터를 원점위치에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가, 요동 조작된 상기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인 원점복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원점복귀수단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일부에 접촉하는 2개의 제 1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원점복귀수단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나머지의 부분에 접촉하는 2개의 제 2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가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상기 원점복귀수단이 다른 쪽의 제 1의 접촉부와 한쪽의 제 2의 접촉부와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상기 원점복귀수단이 한쪽의 제 1의 접촉부와 다른 쪽의 제 2의 접촉부와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원점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원점복귀수단은, 상기 제 1, 제 2의 접촉부의 사이에서 유지될 뿐이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 내에 큰 수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도,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가, 상기 조작레버가 압하이동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로터에는, 상기 나머지의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점복귀수단을 수용하는 수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오목부의 길이 치수의 양쪽 단부면이 상기 2개의 제 1의 접촉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오목부에 상기 원점복귀수단을 수용시킴으로써, 해당 원점복귀수단의 편입이 간단해진다.
상기 압하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접점부와, 정상부분이 상기 피압하부로 되어 있으며 또한 둘레가장자리부분이 한쪽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접점부는, 상기 압하부재의 압하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정상부분이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하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가동접점부가 복원되며,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압하 조작된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한쪽의 고정접점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가동접점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가, 상기 가동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쪽 및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를 실장용 기판 위에 세트한 상태에서, 해당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에 땜납을 유입하는 것만으로, 한쪽 및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를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쪽,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도 또한,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함으로써,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실장용 기판 위에 고착하는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 다.
혹은, 상기 압하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둘레가장자리부분이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에 덮여지고 또한 둘레가장자리부분이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는, 해당 제 2의 정상부분이 상기 피압하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압하부재에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제 1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압하부재에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되어서 상기 제 1의 정상부분이 상기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하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압하 조작된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 1의 고정접점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제 1의 가동접점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제 2의 고정접점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제 2의 가동접점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제 3의 고정접점부가,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의 제 1, 제 2 및 제 3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를 실장용 기판 위에 세트한 상태에서, 해당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에 땜납을 유입하는 것만으로, 제 1, 제 2 및 제 3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를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도 또한,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함으로써,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실장용 기판 위에 고착하는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조작레버에 형성되는 도전브러시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전브러시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도전브러시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전브러시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접점부가, 도전브러시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케이스의 복수의 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 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를 실장용 기판 위에 세트한 상태에서, 해당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에 땜납을 유입하는 것만으로, 접점부의 타단부를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점부의 타단부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접속용 오목부도 또한,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함으로써,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실장용 기판 위에 고착하는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전하는 프레임 그라운드를 부가해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고,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이동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하는 반면에, 해당 압하부재와 상기 압하스위치를 상기 직교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하스위치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압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동일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압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일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4는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및 위치검출수단의 접점의 노출부분을 도시한 케이스의 모식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f)가 A-A단면도, 도 6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 압하부재 본체 및 압하스위치를 도시한 모식적 단면도로서, (a)가 압하스위치의 압하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가 압하스위치의 제1 단계의 압하상태를 도시한 도면, (c)가 압하스위치의 제2 단계의 압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 게재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디지털카메라에 실장되는 입력장치로서, 케이스(100)와, 원점위치에서 아래방향을 향해서 2단계의 압하이동 가능(즉, 셔터조작 가능)하게 또한, 상기 원점위치에서 압하이동방향으로 교차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가능(즉, 줌조작 가능)하게 케이스(100)에 유지되는 조작레버(200)와, 이 조작레버(20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300)와, 조작레버(200)의 요동각도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400)과,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압하부재(500)와, 압하부재(500)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스위치(600)와, 요동 조작된 조작레버(200)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점복귀수단(700)과,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프레임 그라운드(8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10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성형품이다. 이 케이스(100)는,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인 판형상의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일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저벽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스위치수용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양쪽 단부 위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벽부(14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양쪽 경사부 위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경사벽부(15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정상부분 위에 형성된 원호벽부(160)와, 로터(300)를 조작레버(200)와 동일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70)를 가지고 있다.
저벽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상의 저판부(121)와, 이 저판부(121)의 양쪽 단부에 연속하는 대략 삼각기둥형상의 2개의 산부(山部)(122)를 가지고 있다.
산부(122)의 정상부분에는, 대략 원호형상의 오목부이며 또한 원점복귀수 단(700)의 코일부(7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 1의 코일수용오목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산부(122)의 하부면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아래쪽 걸림편(係止片)(830)을 거는 아래쪽 걸림부(1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래쪽 걸림부(122b)는, 산부(122)의 하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걸림볼록부를 가진다.
경사벽부(150)의 외부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걸림편(820)을 거는 위쪽 걸림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위쪽 걸림부(151)는, 경사벽부(1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걸림볼록부를 가진다.
측벽부(140)는, 저벽부(120)의 산부(122)와 경사벽부(150)에 연속되어 있다. 이 측벽부(140)의 높이 치수는, 저벽부(120) 및 경사벽부(150)의 높이 치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가이드부(170)는, 측벽부(140), 경사벽부(150) 및 원호벽부(16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가이드면(171)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스위치수용부(130)의 위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면(171)과의 사이에서 로터(300)를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대략 반원기둥형상의 가이드볼록부(172)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볼록부(172)의 하부면과, 스위치수용부(130)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공간은, 원점복귀수단(700)의 제 1의 암부(720)의 중간부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으로 되어 있다.
스위치수용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산부(122)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뒤집어 놓은 「凹」자 형상의 돌기부(131)와, 이 돌기부(131)의 2개의 모서리부의 안쪽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형상의 2개의 제 1의 지지부(132)와, 저판부(121)의 양쪽 단부와 2개의 산부(122)와의 접속부의 안쪽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형상의 2개의 제 2의 지지부(133)와,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오목형상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도면에 1개 나타냄)와, 스위치수용부(130)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접점재치부(135)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131)의 2개의 모서리부에는, 2개의 고정암(131a)이 볼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암(131a)은, 제 1의 코일수용오목부(122a)의 위쪽에 위치하는 대략 삼각기둥체이다. 고정암(131)의 내부면은 움푹 들어가 있으며,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의 위쪽의 2개의 모서리부를 각각 위치결정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암(131a)의 외부면은, 제 1의 코일수용오목부(122a)에 수용된 원점복귀수단(700)의 코일부(710)로부터 연신하는 제 1의 암(720)을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 고정암(131a)은, 조작레버(200)의 이탈방지부(212a)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작레버(200)의 요동의 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돌기부(131)의 양쪽 단부의 외부면에는, 2개의 제 1의 코일수용오목부(122a)에 연속하는 2개의 대략 원호형상의 제 2의 코일수용오목부(13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의 코일수용오목부(131b)는, 원점복귀수단(700)의 코일부(710)의 다른 부분을 수용유지한다.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면 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지지하는 오목부가 각각 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는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레버(20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의 축부(210)와, 이 축부(2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조작암(220)과, 이 조작암(22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축부(210)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에 연속하는 2개의 가이드돌기부(230)와, 조작암(220)의 상부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조작볼록부(240)를 가지고 있다.
축부(210)는, 로터(300)의 장착오목부(3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대략 각기둥형상의 장착부(211)와, 이 장착부(211)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압하부(212)와, 장착부(211) 및 압하부(212)의 두께방향의 일면에 형성된 4개의 돌기부(213)를 가지고 있다.
압하부(212)는, 장착부(211)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부위이며 또한 해당 장착부(211)보다도 폭넓은 이탈방지부(212a)와, 이 이탈방지부(212a)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대략 반원형상의 압하부 본체(212b)를 가진다.
이탈방지부(212a)는, 해당 상단부쪽의 양쪽 모서리부가 외부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이 이탈방지부(212a)의 양쪽 모서리부가 로터(300)의 하부면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레버(200)의 위쪽으로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진다.
압하부 본체(212b)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은, 정면에서 봐서 2개의 대략 직각 삼각형의 예각을 서로 연결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다. 또, 압하부 본체(212b)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즉, 압하 조작방향쪽의 일단부면)에는, 도 5(f)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두께방향의 타단부면에서 일단부면에 걸쳐서 점차 저감하는 경사면(212b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12b1)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재(500)의 압압부재 본체(510)에 접촉한다. 즉, 경사면(212b1)이,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에 따라서, 압압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하고,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경사면(212b1)의 압압 부재 본체(510)에 접촉하는 부분이 조작레버(200)의 요동의 지점(支點)이 된다.
조작암(220)의 양쪽 단부의 상부면은, 조작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또, 2개의 가이드돌기부(230)의 폭 치수 및 축부(210)의 장착부(211)의 폭 치수의 합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경사벽부(150)의 내부면의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돌기부(230)의 외부면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 시에, 케이스(100)의 경사벽부(150)의 내부면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로터(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호형상의 부재이다. 이 로터(300)의 폭방향의 일면의 중앙부분에는, 조작레버(200)의 장착부(2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장착오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300)의 폭방향의 다른 면에는,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의 본체부(721)의 2개의 장착구멍에 용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300)의 양쪽 단부에는, 원점복귀수단(700)의 2개의 제 2의 암(730)을 압압할 때에, 해당 제 2의 암(730)을 거는 2개의 걸림암(320)이 형성되어 있다.
원점복귀수단(7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코일부(710)와, 이 2개의 코일부(710)의 일단부 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 1의 암부(720)와, 2개의 코일부(710)의 타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 1의 암부(720)의 양쪽 단부와 대략 V자 형상으로 각각 교차하는 2개의 제 2의 암부(730)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710)는, 케이스(100)의 제 1, 제 2의 코일수용오목부(122a, 131b) 및 압하부재(500)의 제 3의 수용오목부(521)에 수용유지된다.
제 1의 암부(720)의 양쪽 단부는, 2개의 고정암(131a)의 외부면에 안내된다. 또, 제 1의 암부(720)의 중간부분은, 가이드볼록부(172)의 하부면과, 스위치수용부(130)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원점복귀수단(700)이 케이스(100)에 수용된다.
2개의 제 2의 암부(73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00)의 양쪽 단부의 걸림암(320)의 안쪽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원점복귀수단(700)이 로터(300)를 원점위치에서 지지한다.
압하부재(500)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부재 본체(510)와, 이 압하부재 본체(510)가 내부에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프레임(520)을 가지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다.
압하부재 본체(510)는, 프레임(5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판형상의 축지지부(511)와, 이 축지지부(511)의 선단부에 형성된 단면을 보면 대략 구형상의 헤드부(512)를 가지고 있다.
헤드부(512)는,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압하부재 본체(510)가 조작레버(200)를 지지한다. 즉, 조작레버(200)는, 원점복귀수단(700)의 2개의 제 2의 암부(730) 및 압하부재 본체(510)에 지지됨으로써,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상태인 원점위치에서 유지된다.
또, 헤드부(512)는, 경사면(212b1)에 압하됨으로써, 압하스위치(600)을 향해서 이동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축지지부(511)는, 헤드부(512)가 경사면(212b1)에 압하됨으로써, 탄성 변형 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탄성 변형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520)의 4개의 모서리부는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어 있다. 위쪽의 2개의 모서리부가 2개의 고정암(131a)에 각각 위치결정고정된다. 아래쪽의 2개의 모서리부는 2개의 산부(122)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부(512)가 조작레버(200)의 압하부(212)의 경사면(212b1)에 접촉하고, 대향 배치된다.
프레임(520)의 상단부는, 봉상체(棒狀體)로서, 압하이동하는 조작레버(200)의 압하부(212)와의 간섭을 피하고 있다. 프레임(520)의 하단부는, 해당 중앙부분에 축지지부(511)가 형성되는 판상체(板狀體)이다.
또,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의 외부면의 중간부분에는, 2개의 제 1, 제 2의 코일수용오목부(122a, 131b)에 연속하는 2개의 대략 원호형상의 제 3의 수용오목부(5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는,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되고, 해당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서,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유리를 방지하고 있다.
제 3의 수용오목부(521)는, 원점복귀수단(700)의 코일부(710)의 다른 부분을 수용유지한다.
압하스위치(60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매설된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와, 제 1의 고정접점부(610)에 접촉하는 제 1의 가동접점부(640)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에 덮여지고 또한 제 2의 고정접점부(620)에 접촉하는 제 2의 가동접점부(650)를 가지고 있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일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해당 선단부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의 중앙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노출된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타단부는,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한다.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는, 해당 일단부가 한쪽의 제 1의 지지부(132)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 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는, 해당 일단부가 다른 쪽의 제 2의 지지부(133)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는, 해당 일단부가 접점재치부(135)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제 1의 가동접점부(6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돔형상의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와, 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바깥둘레가장자리부분에 180˚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를 가지고 있다. 이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에 끼인다. 이 상태에서,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 위에 세트되고,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두 갈래 형상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제 2의 가동접점부(6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돔형상의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와, 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바깥둘레가장자리부분에 90˚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가지고 있다.
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오목부에 끼인다. 이것에 의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중 2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에 각각 접촉된 다. 또,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정상부분이 조작레버(200)의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즉,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해서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대향 배치된다. 즉, 제 2의 접점부 본체(651)는, 해당 정상부분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되는 피압하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되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및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탄성 변형되고,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또한,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압하되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제 2의 접점부 본체(651) 및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탄성 변형되고,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를 개재해서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압하스위치(600)의 제2 단계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위치검출수단(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의 베이스부(110)에 매설되는 접점부(411, 412, 413)와, 이 접점부(411, 412, 413)에 선택 적으로 접촉하는 브러시(420)를 가지고 있다.
접점부(411)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접점부(412)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한쪽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접점부(413)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다른 쪽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브러시(420)는, 대략 원호형상의 도전부재로서, 로터(300)에 장착되는 본체부(421)와, 이 본체부(421)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속하는 2개의 접촉암(422)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421)는, 2개의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로터(30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에 용착되도록 되어 있다.
접촉암(422)은 선단부가 반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접촉암(422)의 선단부가, 로터(300)의 요동에 따라서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 위를 슬라이딩하고, 접점부(411, 412, 413)의 일단부 위을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그라운드 프레임(800)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프레임(8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인 판형상 의 베이스판 (810)과, 이 베이스판(810)의 정상부분의 양쪽 측면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위쪽 걸림편(820)과, 베이스판(810)의 하단부의 위쪽 걸림편(820)의 아래쪽 위치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아래쪽 걸림편(830)과, 베이스판(8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벽판(840)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판(810)은, 조작레버(200)의 4개의 돌기부(213),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에 각각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판(810)이, 조작레버(200), 로터(300),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를, 케이스(100)와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위쪽 걸림편(820)은, 위쪽 걸림부(151)의 오목부에 끼이는 직사각형상의 판체(板體)와, 이 판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해당 위쪽 걸림부(151)의 걸림볼록부를 거는 걸림구멍을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위쪽 걸림편(820)의 판체의 길이 치수는, 위쪽 걸림부(151)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구멍이 상기 걸림볼록부를 건 상태에서, 상기 판체의 선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다른 면쪽으로 돌출된다.
아래쪽 걸림편(830)은 위쪽 걸림편(820)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위쪽 걸림편(820) 및 아래쪽 걸림편(830)의 상기 선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카메라의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납땜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베이스부(110) 및 위쪽 걸림편(820)에서 수용하고, 위쪽 걸림편(820) 및 아래쪽 걸림편(830)을 통해서 상기 접지패턴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측벽판(840)은, 측벽부(14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벽판(840)이, 측벽부(140) 위의 저벽부(120)와 경사벽부(150)와의 사이의 개구를 가로막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00)의 각 부를 수지성형하는 데에 있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및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를 인서트 성형한다.
이때,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두 갈래 형상인 일단부의 선단부를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의 중앙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각각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를 한쪽의 제 1의 지지부(132)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를 다른 쪽의 제 2의 지지부(133)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를 접점재치부(135)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또, 접점부(411)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접점부(412)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한쪽으로 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접점부(413)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다른 쪽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그 후,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를, 케이스(100)의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3의 지지부(134)에 각각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 위에 세트되고,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두 갈래 형상의 일단부에 접촉된다.
그 후,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스위치수용부(130)의 2개의 제 1, 제 2의 지지부(132, 133)의 오목부에 각각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2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에 각각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2의 가동접점부(650)가 제 1의 가동접점부(640)에 덮여진다.
그 후,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의 위쪽의 2개의 모서리부를, 2개의 고정암(131)의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동시에, 아래쪽의 2개의 모서리부를 2개의 산부(122)의 사이에 끼워 유지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가 2개의 고정암(131) 및 산부(122)의 사이에서 위치결정고정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에 대향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가,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와,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그 후, 원점복귀수단(700)의 2개의 코일부(710)를, 케이스(100)의 2개의 제1, 제 2의 코일수용오목부(122a, 131b) 및 압하부재(500)의 2개의 제 3의 수용오목부(521)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이것과 동시에, 원점복귀수단(700)의 제1의 암부(720)가 케이스(100)의 2개의 고정암(131)에 의해 안내되고, 가이드볼록부(172)의 하부면과 스위치수용부(130)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그 후, 브러시(420)가 장착된 로터(300)를, 케이스(100)의 가이드부(17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브러시(420)가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에 접촉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의 장착부(211)를, 로터(300)의 장착오목부(31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접촉된다.
그 후,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걸림편(820)을, 케이스(100)의 위쪽 걸림부(151)에 걸리게 하는 동시에,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아래쪽 걸림편(830)을, 케이스(100)의 아래쪽 걸림부(122b)에 걸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그라운드(800)와 케이스(100)와의 사이에서, 조작레버(200), 로터(300),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 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유지된다.
그 후,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를 디지털카메라의 도시하지 않은 실장용 기판의 전극패턴에,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다른 전극패턴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걸림편(820) 및 아래쪽 걸림편(830)의 선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납땜접속한다.
이하,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사용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작레버(200)를, 도 1(c)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에서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2)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에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확대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로터(300)의 일단부가, 원점복귀수단(700)의 한쪽의 제 2의 암부(730)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코일부(710)가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한쪽의 코일부(71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의 일단부가 한쪽의 제 2의 암부(730)에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를, 원점위치에서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 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3)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에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축소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로터(300)의 타단부가, 원점복귀수단(700)의 다른 쪽의 제 2의 암부(730)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쪽의 코일부(710)가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다른 쪽의 코일부(71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의 타단부가 다른 쪽의 제 2의 암부(730)에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위치에서 압하 조작되면, 해당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축지지부(511)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한다. 그리고,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제 2의 접점본체(651)의 정상부분을 압하한다.
그러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및 제 2의 접점부 본체(651)가 탄성 변형되고,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 (620)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도통하고, 신호가 디지털카메라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1 단계의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디지털카메라의 오토포커스 기능이 작동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제 2의 접점 본체(651),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및 축지지부(511)가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을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압하 조작되면, 해당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를 압하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축지지부(511)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된다.
그러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의 정상부분이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을 개재해서 헤드부(512)에 압하된다. 이것에 의해,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제 2의 접점부 본체(651) 및 제 1의 접점부 본체(641)가 탄성 변형되고, 제 2의 접점부 본체(651)의 정상부분이 제 1의 접점부 본체(641)를 개재해서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의 노출부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및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가 도통하고, 그 신호가 디지털카메라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2 단계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즉,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셔터 스위치가 온으로 됨).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제 1의 접점 본체(641), 제 2의 접점 본 체(651),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 및 축지지부(511)가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을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200)를 압하 조작하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40) 또는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를 압하해서 탄성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하부재(500)가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압하스위치(600)가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을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압하부재(500)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조작레버(200)와 압하부재(500)를 상하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는 반면에, 압하부재(500)와 압하스위치(600)를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점복귀수단(700)으로서, 2개의 코일부(710)와, 제 1, 제 2의 암부(720, 730)를 가진 것을 이용하여, 코일부(710) 및 제 2의 암부(730)를 조작레버(200)의 양쪽에 배설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케이스(100)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을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의 수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서 발생 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측면도, (d)가 개략적 저면도, 도 8은 동일장치의 프레임그랜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도 9는 동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의 노출부분을 도시한 케이스의 모식도, 도 11은 동일장치의 도 7의 B-B단면도이다.
여기에 게재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케이스(100'), 조작레버(200'), 로터(300'),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및 원점복귀수단(700')의 형상인 점과 접지단자(900)를 부가해서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예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 이 상이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이한 부재의 부호에 대해서는, '를 부여해서 실시예 1과 구별한다.
케이스(100')는,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인 판형상의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일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저벽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스위치수용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양쪽 단부 위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벽부(14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양쪽 경사부 위 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경사벽부(15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정상부분 위에 형성된 원호벽부(160')와, 로터(300)를 조작레버(200)와 동일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7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2개의 경사벽부(150')의 아래쪽 위치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접촉부(180')를 가지고 있다.
저벽부(120')는,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일면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의 저판부(121')와, 이 제 1의 저판부(121')의 양쪽 단부에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2의 저판부(122')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저판부(122')의 하부면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아래쪽 걸림편(830)을 거는 아래쪽 걸림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의 저판부(122')의 단차부에는,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의 아래쪽 모서리부의 형상에 맞춰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래쪽 걸림부(122a')는, 제 2의 저판부(122')의 하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중심부에 걸림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경사벽부(150')의 외부면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걸림편(820)을 거는 위쪽 걸림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위쪽 걸림부(151')는, 경사벽부(1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중심부에 걸림볼록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벽부(140')는, 저벽부(120')의 제 2의 저판부(122')와 경사벽부(150')에 연속되어 있다. 이 측벽부(140')의 외부면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측벽 판(840)이 끼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수용부(13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수용부(130')와 돌기부(131')의 형상이 다르다.
돌기부(131')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부위로서, 2개의 사이드원호부(131a')와, 이 사이드원호부(131a')의 사이의 중앙원호부(131b')를 가지고 있다.
사이드원호부(131a')의 높이 치수는, 저벽부(120'), 측벽부(140') 및 경사벽부(150')의 높이 치수보다도 각각 낮게 되어 있다. 또, 사이드원호부(131a')의 내부면은,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의 단부의 외부면의 형상에 맞춰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중앙원호부(131b')의 높이 치수는, 사이드원호부(131a')의 높이 치수의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다. 이 중앙원호부(131b')의 양쪽 단부는,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의 단부의 외부면의 형상에 맞춰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70')는, 측벽부(140'), 경사벽부(150') 및 원호벽부(16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제 1의 가이드면(171')과, 돌출부(131')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 1의 가이드면(171')과의 사이에서 로터(300')를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대략 반원호형상의 제 2의 가이드면(172')을 가지고 있다.
접촉부(180')는 대략 원호형상의 볼록부이다. 이 접촉부(180')가,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단부면의 일부에 접촉되는 제 2의 접촉부에 상당한다.
로터(3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00)와 동일한 원호형상의 부재이다. 이 로터(300')의 폭방향의 일면의 중앙부분에는, 조작레버(200')의 장착 부(211')의 노치부(211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장착오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300')의 폭방향의 다른 면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오목부(310')에 연통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수용오목부(320')와, 이 수용오목부(32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통하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대략 원호형상의 가이드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오목부(320')는, 원점복귀수단(700')을 수용하는 홈이다. 이 수용오목부(32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이, 원점복귀수단(700')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나머지의 부분에 접촉되는 제 1의 접촉부에 상당한다.
상기 가이드오목부는, 케이스(100')의 접촉부(180')가 조작레버(200')의 2개의 요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홈이다. 즉, 접촉부(180')는,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의 요동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오목부 내를 이동해서 수용오목부(320') 내에 침입하고, 원점복귀수단(700')의 상기 단부면의 일부를 압압한다.
또, 로터(300')의 상기 다른 면에는,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의 본체부(421')의 2개의 장착구멍에 용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원점복귀수단(70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호형상의 코일스프링이다. 이 원점복귀수단(700')이, 로터(300')의 수용오목부(320')에 수용되고, 2개의 접촉부(180')의 사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원점복귀수단(700')이 2 개의 접촉부(180')의 사이에서 유지됨으로써, 로터(300')가 원점위치에서 유지된다.
조작레버(20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210')의 장착부(211')의 형상이 조작레버(200)와 다르다. 이 장착부(211')는, 두께방향의 다른 면에 대략 직사각형상의 노치부(211a')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노치부(211a')의 길이 치수는, 장착오목부(310')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 노치부(211a')는, 장착오목부(310') 및 스위치수용부(130')의 사이드원호부(131a')의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인다. 노치부(211a')의 아래쪽 가장자리부분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수용부(130')의 중앙원호부(131b')에 아래쪽으로 위치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노치부(211a')의 아래쪽 가장자리부분이 조작레버(200)의 위쪽으로의 이탈방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압하부재(500')는, 프레임(520')의 형상이 압하부재(50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가, 중앙원호부(131b')의 경사면, 2개의 사이드원호부(131a')의 내부면 및 저벽부(120')의 제 2의 저판부(122')의 단차부의 경사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프레임(520')이 케이스(100')의 스위치수용부(130')에 끼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도,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되고, 해당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서,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유리를 방지하고 있다.
위치검출수단(400')은, 브러시(420')의 형상이 위치검출수단(400)과 다르다. 브러시(420')는, 브러시(420)보다도 긴 대략 원호형상의 부위이다. 접촉암(422')의 선단부는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접지단자(900)는 베이스부(110)에 매설되는 금속판이다. 이 접지단자(90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3개의 피뢰침부(910)와, 베이스부(110)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납땜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00')의 각 부를 수지성형하는 데에 있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 및 접지단자(900)를 인서트 성형한다.
이때, 접지단자(900)의 피뢰침부(910)를 베이스부(1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시키고, 해당 그라운드 접속부를 베이스부(110)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또한,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스위치수용부(130')에 수용한다.
그 후,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을, 케이스(100')의 스위치수용부(13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에 대향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가,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와,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그리고, 원점복귀수단(700')을 로터(300')의 수용오목부(320')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수용오목부(32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이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의 일부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로터(300')의 2개의 가이드오목부에, 케이스(100')의 2개의 접촉부(180')를 위치맞춤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로터(300')가 케이스(100')의 가이드부(170')에 끼이고, 2개의 접촉부(180')가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의 나머지의 부분에 접촉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의 노치부(211a')를, 로터(300')의 장착오목부(310') 및 케이스(100')의 스위치수용부(130')의 사이드원호부(131a')의 사이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 후, 프레임 그라운드(800)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케이스(100')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그라운드(800)와 케이스(100')와의 사이에서 상기 각 구성부재가 유지된다.
그 후,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를 디지털카메라의 도시하지 않은 실장용 기판의 전극패턴에,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다른 전극패턴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아래쪽 걸림편(820, 830)의 선단부 및 접지단자(900)의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하,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사용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작레버(200')를,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를 향해서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확대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한쪽의 접촉부(180')가, 로터(300')의 한쪽의 가이드오목부로부터 수용오목부(320') 내로 이동되고,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면의 일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원점복귀수단(700')이 한쪽의 접촉부(180')와 수용오목부(320')의 다른 쪽의 단부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원점복귀수단(700')의 부세력에 의해, 수용오목부(320')의 다른 쪽의 단부면이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를,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3')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를 향해서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축소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다른 쪽의 접촉부(180')가, 로터(300')의 다른 쪽의 가이드오목부로부터 수용오목부(320') 내로 이동되고,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면의 일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원점복귀수단(700')이 다른 쪽의 접촉부(180')와 수용오목부(320')의 한쪽의 단부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원점복귀수단(700')의 부세력에 의해, 수용오목부(320')의 한쪽의 단부면이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 및 로터(3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조작레버(200')가 압하 조작방법 및 압하 조작 시의 각 부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200')를 압하 조작하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40) 또는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를 압하해서 탄성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압하 조작의 조작감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하부재(500')가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압하스위치(600)가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을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압하부재(500')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조작레버(200')와 압하부재(500')를 상하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는 반면에, 압하부재(500')와 압하스위치(600')를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점복귀수단(700')이 로터(300')의 수용오목부(32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0')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을,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가 형성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C-C단면도, (c)가 (b)의 일부확대도, 도 14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f)가 D-D단면도, 도 15는 동일장치의 로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도 16은 동일장치의 압하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도 17은 동일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동일장치의 다른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를 도시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E-E단면도, (c)가 (b)의 일부확대도이다.
여기에 게재한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케이스(100"), 조작레버(200"), 로터(300"), 위치검출수단(400")의 브러시(420"), 압하부재(500"), 압하스위치(600")의 고정접점부 및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형상인 점과, 2개의 원점복귀수단(700")을 구비하는 점과, 접지단자(900)를 부가해서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예 1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 이 상이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이한 부재의 부호에 대해서는, "를 부여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구별한다.
케이스(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분이 둥글게 된 대략 5각형인 판형상의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일면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저벽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스위치수용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스위치수용 부(13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양쪽 경사부 위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경사벽부(150")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정상부분 위에 형성된 원호벽부(160")와, 로터(300)를 조작레버(200)와 동일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7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110")의 두께방향의 다른 면에는,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케이스(100") 밖으로 돌출시키는 8개의 접속용 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용 오목부(111")는, 케이스(100")가 디지털카메라의 실장용 기판 위에 세트된 상태에서, 해당 실장용 기판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에 땜납을 유입함으로써,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케이스(100")를 상기 실장용 기판에 기계적으로 강고하게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저벽부(120")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체이다.
스프링수용부(140")는, 저벽부(120")의 단부에 연속하는 대략 직육면체의 각 기둥부(141")와, 이 각기둥부(141")에 형성되고, 원점복귀수단(700")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수용부 본체(142")를 가진다.
수용부 본체(142")의 상단부의 중앙부분에는 개구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본체(142")의 바닥면에는, 개구부(142a")에 통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가이드홈(14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2b")은 로터(300")의 걸이부(330")를 요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수용부 본체(142")의 상단부의 개구부(142a")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은, 로터(300")의 양쪽 단부면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수용부 본체(142")의 상기 양쪽 가장자리부분이 로터(300")의 소정이상의 요동을 방지하는 정지부로 되어 있다.
스위치수용부(130")는, 스위치수용부(130)와 돌기부(131")의 형상이 다르다.
돌기부(131")는, 저벽부(120")와,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형성된 대략 사각의 프레임형상체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170")는, 원호벽부(16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상의 가이드면(171")과, 돌기부(131')의 정상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면(171")과의 사이에서 로터(300")를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대략 반원기둥형상의 가이드볼록부(172")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볼록부(172")의 두께방향의 타단부는, 위치검출수단(600")의 브러시(420")의 링부(421b") 및 로터(300")의 판부(34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웨이브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다.
원점복귀수단(700")은, 도 12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수용부(140")의 수용부 본체(142")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이다.
로터(300")는, 도 12, 도 15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호형상의 부재이다. 이 로터(300")의 폭방향의 일면의 중앙부분에는, 조작레버(200")의 장착부(2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이는 장착오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300")의 폭방향의 다른 면에는, 위치검출수단(600")의 브러시(420")를 수용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수용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오목부(320") 상단부의 중앙부분에는, 브러시(420")의 압입판(421a")이 압입되는 압입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오목부(320")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브러시(420")의 링부(421b")가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로터(300")의 양쪽 단부에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연신하는 2개의 걸이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부(330")는, 스프링수용부(140")의 개구부(142a")로부터 가이드홈(142b")으로 들어가, 원점복귀수단(70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300")가 원점위치에서 유지된다.
로터(300")의 양쪽 단부의 단부면은,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의 수용부 본체(142")의 상기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300")의 하단부에는, 수용오목부(320")로부터 돌출한 브러시(420")의 링부(421b")를 안내하는 대략 반원형의 판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레버(200")는, 도 12, 도 14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부(211")의 배면의 형상인 점 및 압하부(212")의 배면부가 장착부(211")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점에서, 조작레버(200)와 다르다.
압하부재(500")는, 도 12,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20")의 형상이 압하부재(50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의 외부면이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의 본체부의 내부벽면의 형상에 대응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즉, 프레임(520')이 케이스(100')의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의 사이에 끼이며,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도,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되고, 해당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서,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의 유리를 방지하고 있다.
위치검출수단(400")은, 접점부(411", 412", 413")의 형상 및 브러시(420")의 형상이 위치검출수단(400)과 다르다.
접점부(411")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노출한다. 접점부(411")의 타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그 한쪽이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다. 그 다른 쪽이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되고, 한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점부(412")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한쪽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되고, 한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점부(413")는, 해당 일단부가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다른쪽으로부터 노출되고, 해당 타단부가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타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브러시(420")는, 도 12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00")에 장착되는 본체부(421")와, 이 본체부(421")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속하는 2개의 접촉암(422")을 가진다.
본체부(421")는, 상단부에 볼록형상의 압입판(421a")이, 하단부에 링부(421b")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판(421a")은, 로터(300)의 압입부(321")에 압입되고, 이것에 의해 브러시(420")가 수용오목부(320") 내에서 유지된다.
접촉암(422")의 선단부는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압하스위치(6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매설된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형상이, 압하스위치(600)와 다르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일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해당 선단부가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의 중앙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노출된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타단부는,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하고, 저벽부(12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는 한쪽의 제 1의 지지부(132")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한다.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타단부는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하고, 한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는, 다른 쪽의 제 2의 지지부(133")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한다.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타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그 한쪽이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되고, 저벽부(12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다른 쪽이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는 접점재치부(135")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노출한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그 한쪽은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하고, 다른 쪽의 스프링수용부(140")를 따라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 다른 쪽은 케이스(100")의 베이스부(1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한다.
프레임 그라운드(8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아래쪽 걸림편(830")이 베이스판(810")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과, 베이 스판(810")의 양쪽 단부에 2개의 접속암(840")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프레임 그라운드(800)와 다르다.
한쪽의 아래쪽 걸림편(830")은,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타단부에 걸리게 된다. 다른 쪽의 아래쪽 걸림편(830")은,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한쪽의 타단부에 걸리게 된다.
접속암(840")은 상기 실장용 기판의 도시하지 않은 접지패턴에 납땜접속된다. 이 접속암(840")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납땜접속 시에, 땜납 용해의 열이 접속암(840")의 선단부에 모이도록 하기 위한 노치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단자(900)는 베이스부(110)에 매설되는 금속판이다. 이 접지단자(90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3개의 피뢰침부(910)와, 베이스부(110)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납땜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그라운드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00')의 각 부를 수지성형하는 데에 있어서,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제 3의 고정접점부(630"),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 및 접지단자(900)를 인서트 성형한다. 또한,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되어 있다.
이때, 접점부(411")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접점부(411")의 두 갈래 형상인 타단부의 한쪽을 베이스부(110") 의 일단부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다른 쪽을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킨다. 접점부(412")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한쪽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일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킨다. 접점부(413")의 일단부를 베이스부(110)의 상기 일면의 접점부(411)의 다른 쪽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타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킨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두 갈래 형상인 일단부의 선단부를 스위치수용부(130")의 접점재치부(135")의 중앙부분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각각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킨다.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를 한쪽의 제 1의 지지부(132")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시키고, 해당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킨다.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일단부를 다른 쪽의 제 2의 지지부(133")의 오목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시키고, 해당 두 갈래 형상의 타단부를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각각 돌출시킨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일단부를 접점재치부(135")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노출시킨다.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두 갈래 형상인 타단부의 한쪽을 베이스부(110")의 하단부의 접속용 오목부(111")로부터 돌출시키고, 해당 다른 쪽을 베이스부(1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시킨다.
접지단자(900)의 피뢰침부(910)를 베이스부(1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시키 고, 해당 그라운드 접속부를 베이스부(110")의 다른 면으로부터 노출시킨다.
그 후, 압하스위치(600")의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스위치수용부(130")에 수용한다.
그리고, 압하부재(500")의 프레임(520")을, 케이스(100")의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의 사이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에 대향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가, 2개의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 위에 재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가동접점부(640")의 2개의 제 1의 다리부(642") 및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4개의 제 2의 다리부(652")가 프레임(520")의 양쪽 단부와, 제 1, 제 2, 제 3의 지지부(132", 133", 13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그리고, 2개의 원점복귀수단(700")을 케이스(100")의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에 수용시킨다.
그 후, 로터(300")를, 케이스(100")의 가이드부(170")에 끼운다. 그러면, 로터(300")의 2개의 걸이부(330")가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의 개구부(142a")로부터 가이드홈(142b")으로 들어가, 해당 스프링수용부(140") 내의 2개의 원점복귀수단(700")에 접촉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를, 로터(300")의 장착오목부(310")에 끼운다. 그러면, 조작레버(200")의 경사면(212b1")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에 접촉된다.
그 후,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2개의 위쪽 걸림편(820")을, 케이스(100")의 2개의 위쪽 걸림부(151")에 걸리게 하는 동시에,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2개의 아래쪽 걸림편(830")을, 케이스(100")의 저벽부(120")로부터 노출한 제 1의 고정접점부(610")의 타단부 및 다른 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의 한쪽의 타단부에 걸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그라운드(800")와 케이스(100")와의 사이에서 상기 각 구성부재가 유지된다.
그 후,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를 디지털카메라의 실장용 기판 위에 세트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8개의 접속용 오목부(111")와 실장용 기판과의 사이의 공간에 땜납을 유입하고,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전극패턴에,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다른 전극패턴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00")가 실장용 기판 위에 고착된다.
그리고, 프레임 그라운드(800")의 위쪽, 아래쪽 걸림편(820, 830)의 선단부, 접속암(840") 및 접지단자(900)의 그라운드 접속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의 접지패턴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하,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사용방법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작레버(200")를, 한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한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를 향해서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확대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로터(300")의 한쪽의 걸이부(330")가 한쪽의 스프링수용부(140")의 가이드홈(142b")을 따라서, 해당 스프링수용부(140") 내에 침입하고, 한쪽의 원점복귀수단(700")을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원점복귀수단(700')이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원점복귀수단(70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레버(200")를,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조작하면, 로터(300")가 조작레버(200")와 함께, 상기 다른 쪽의 요동방향으로 요동된다.
그러면, 브러시(420")의 2개의 접촉암(422")이, 접점부(411", 413")에 각각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디지털카메라를 향해서 신호가 출력되고, 해당 카메라의 줌 축소기능이 작동된다.
이때, 로터(300")의 다른 쪽의 걸이부(330")가 다른 쪽의 스프링수용부(140")의 가이드홈(142b")을 따라서, 해당 스프링수용부(140") 내에 침입하고, 다른 쪽의 원점복귀수단(700")을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원점복귀수단(700')이 압축된다.
그 후, 조작레버(200")가 개방되면, 원점복귀수단(700')의 부세력에 의해, 로터(300")가 다른 쪽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되밀린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200) 가 원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조작레버(200")가 압하 조작방법 및 압하 조작 시의 각 부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의한 경우, 조작레버(200")를 압하 조작하면, 압하부재(500")의 헤드부(512")가 압하스위치(600")를 향해서 이동되고, 해당 압하스위치(600")의 제 2의 가동접점부(640") 또는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640", 650")를 압하해서 탄성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압하 조작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하부재(500")가 조작레버(2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압하스위치(600")가 제 2의 가동접점부(650")의 정상부분을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압하부재(500")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조작레버(200")와 압하부재(500")를 상하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는 반면에, 압하부재(500")와 압하스위치(600")를 케이스(100")의 두께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원점복귀수단(700")이 케이스(100')의 양쪽 단부의 2개의 스프링수용부(140")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0')의 하단부의 중앙부분을, 압하부재(500") 및 압하스위치(6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에, 압하스위치(60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높이의 증대 및 장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위치검출수단(400")의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 및 압하스위치(600)의 제 1의 고정접점부(610"), 한쪽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상기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하는 동시에, 케이스(100")의 접속용 오목부(111")를 상기 실장용 기판에 납땜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상기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실장용 기판 위에 고착하는 고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 100', 100")는, 각 구성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케이스(100")의 접속용 오목부(111")에 대해서는, 전자기기의 실장용 기판과의 사이에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접속용 오목부의 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프레임 그라운드(800, 800")에 대해서는, 형성하는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그라운드(800, 800") 대신에 케이스(100, 100', 100")에 장착 가능한 덮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지단자(900)에 대해서도 형성하는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조작레버(200, 200")에 대해서는, 압하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압하이동방향으로 교차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가능한 이상 어떠한 설계 변경을 실행해도 무방하다.
압하부재(500, 500', 500")에 대해서는,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쪽의 일단부면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부면에 압하됨으로써, 상기 압 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하도록 되어 있는 한 어떠한 설계 변경을 실행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압하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한 가이드홈에 해당 케이스의 두께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이동부재를 이용하고,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부면에 압하됨으로써,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하도록 해도 된다.
경사면(212b1, 212b1', 212b1")에 대해서는, 조작레버(200, 200")의 압하부 (512, 512")(즉, 압하 조작방향쪽의 일단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압하부재의 조작레버 대향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 조작방향쪽의 일단부 및 압하부재의 조작레버 대향면의 쌍방에 상기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 조작방향쪽의 일단부 및 압하부재의 조작레버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이 대략 구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기 압하부재를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로터(300, 300', 300")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터(300)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조작레버(200)의 양쪽 단부에 2개의 걸이부를 형성하고, 해당 걸이부가 2개의 제 2의 암부(730)에 접촉되도록 하면 된다. 로터(300')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수용오목부(320') 대신에 조작레버(200')의 장착부(211')에 원점복귀수단(70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일부에 접촉하는 제 1의 접촉부를 형성하면 된다. 로터(300")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조작레버(200)의 양쪽 단부에 2개의 걸이 부를 형성하고, 해당 걸이부가 2개의 원점복귀수단(700")에 접촉되도록 하면 된다.
수용오목부(320')에 대해서는, 케이스(100')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촉부(180')를 로터(300')에 형성한다. 또, 상기 가이드오목부에 대해서는, 원점복귀수단(700')의 두께방향의 일부를 수용오목부(320')에 수용시키고, 해당 수용오목부(320')로부터 노출된 나머지의 부분에 접촉부(180')를 접촉시키도록 하면, 생략 가능하다.
원점복귀수단(700, 700', 700")에 대해서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점복귀수단(700)은, 제 1의 암부(720)를 절단하여, 2개의 부재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의 암부(720)는 상기 케이스에 걸리게 한다. 원점복귀수단(700', 700")에 대해서는, 코일스프링 대신에, 그 이외의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 수지 등의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위치검출수단(400, 400', 400")에 대해서는, 3개의 접점과, 브러시를 가지는 구성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서, 베이스부(110, 110', 100")에 상기 접점부 대신에 저항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브러시를 슬라이딩시키는 가변저항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동작하는 자기스위치 등의 근접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를 6개 이상 가지고, 상기 브러시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3개 이상의 입력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점부(411", 412", 413")의 형상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부(411", 412", 413")의 타단부를, 실장용 기판에 따라서 연신시키고, 이 선단부를 해당 실장용 기판에 접촉하도록 절곡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점은, 접점부(411, 412, 413) 및 접점부(411', 412', 413')도 동일하다.
압하스위치(600, 600")에 대해서는, 상기 압하부재의 압하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인 이상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 압하스위치(600, 600")는,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620, 630, 620", 630")와, 제 1의 가동접점부(640, 640")를 가지는 1단계만의 압하스위치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압하스위치는, 4개 이상의 고정접점부와, 3개 이상의 가동접점부를 가진 3단계 이상의 압하스위치로 할 수도 있다.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를, 실장용 기판을 따라서 연신하고, 이 선단부를 해당 실장용 기판에 접촉하도록 절곡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점은, 제 1의 고정접점부(610), 2개의 제 2의 고정접점부(620) 및 제 3의 고정접점부(630)의 타단부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2의 고정접점부는, 2개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1개이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는, 디지털카메라에 탑재되는 것으 로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전자기기에 탑재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압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동일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압하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일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4는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및 위치검출수단의 접점의 노출 부분을 도시한 케이스의 모식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f)가 A-A단면도;
도 6은 동일장치의 조작레버, 압하부재 본체 및 압하스위치를 도시한 모식적 단면도로서, (a)가 압하스위치의 압하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가 압하스위치의 제1 단계의 압하상태를 도시한 도면, (c)가 압하스위치의 제2 단계의 압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개략적 정면도, (b)가 개략적 배면도, (c)가 개략적 측면도, (d)가 개략적 저면도;
도 8은 동일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
도 9는 동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의 노출부분을 도시한 케이스의 모식도;
도 11은 동일장치의 도 7의 B-B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동일장치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가 형성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C-C단면도, (c)가 (b)의 일부확대도;
도 14는 동일장치의 조작레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f)가 D-D단면도;
도 15는 동일장치의 로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도 16은 동일장치의 압하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배면도, (c)가 측면도, (d)가 평면도, (e)가 저면도;
도 17은 동일장치의 프레임 그라운드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a)는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조작레버가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동일장치의 별도의 압하스위치의 고정접점부, 위치검출수단의 접점 및 접지단자를 도시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가 정면도, (b)가 E-E단면도, (c)가 (b)의 일부확대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설명>
100, 100', 100": 케이스 200, 200', 200": 조작레버
212b, 212b', 212b": 압하부 본체
212b1, 212b1', 212b1": 경사면(압하이동방향쪽의 일단부면)
300, 300', 300": 로터 400, 400', 400": 위치검출수단
411, 411', 411": 접점부 412, 412', 412": 접점부
413, 413', 413": 접점부 420, 420', 420": 브러시
500, 500', 500": 압하부재 512, 512', 512": 헤드부
600, 600": 압하스위치 610, 610": 제 1의 고정접점부
620, 620": 제 2의 고정접점부 630, 630": 제 3의 고정접점부
640, 640": 제 1의 가동접점부 650, 650": 제 2의 가동접점부
700, 700', 700": 원점복귀수단 710, 710": 코일부
720, 730: 제 1, 제 2의 암부(암부) 800, 800": 프레임 그라운드

Claims (19)

  1. 조작레버가, 원점위치에서 압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원점위치에서 압하이동방향으로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요동방향을 향해서 요동 가능하게 케이스에 유지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각도에 따라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쪽의 일단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부재와,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이동방향 및 요동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압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압하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압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압하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의 일단부면에 압하됨으로써,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해당 압하스위치의 피압하부를 압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일단부면 및 압하부재의 조작레버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압하부재를 상기 압하스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대해서 2개의 요동방향쪽에서 접촉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에서 유지하는 탄성체인 2개의 원점복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점복귀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조작레버의 2개의 요동방향쪽에 배설되는 2개의 코일부와, 이 코일부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각각 2개의 암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의 암부가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해당 조작레버의 양쪽 단부에 각각 압압됨으로써, 상기 2개의 코일부가 각각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압하이동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유지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암부가 상기 조작레버의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양쪽 단부에 각각 압압됨으로써, 상기 2개의 코일부가 각각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점복귀수단은, 2개의 코일부로부터 각각 연신하는 별도의 암부가 연결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압하이동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원점복귀수단은, 상기 로터의 양쪽 단부에 2개의 요동방향쪽에서 접촉하고, 해당 로터를 원점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요동 조작된 상기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인 원점복귀수단을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원점복귀수단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일부에 접촉하는 2개의 제 1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원점복귀수단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면의 나머지의 부분에 접촉하는 2개의 제 2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가 압하이동방향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로터를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터에는, 상기 나머지의 부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점복귀수단을 수용하는 수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오목부의 길이 치수의 양쪽 단부면이 상기 2개의 제 1의 접촉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접점부와, 정상부분이 상기 피압하부로 되어 있으며 또한 둘레가장가지부분이 한쪽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이 가동접점부는, 상기 압하부재의 압하에 의해 탄성 변형하고, 상기 정상부분이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부와, 둘레가장자리부분이 제 1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제 1의 가동접점부와, 이 제 1의 가동접점부에 덮여지고 또한 둘레가장자리부분이 제 2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는 대략 돔형상의 제 2의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 2의 가동접점부는, 해당 제 2의 정상부분이 상기 피압하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압하부재에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의 제 1의 정상부분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압하부재에 상기 제 2의 정상부분이 압하되면,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탄성 변형해서 상기 제 1의 정상부분이 상기 제 3의 고정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의 압하에 의해 상기 제 1, 제2의 가동접점부가 개방되면, 상기 압하부재 및 상기 제 1, 제 2의 가동접점부가 복원되고, 해당 조작레버를 원점위치를 향해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조작레버에 형성되는 도전브러시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전브러시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5. 제 5항, 제 7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도전브러시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전브러시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대전(帶電)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방전하는 프레임 그라운드를 부가해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한쪽의 고정접점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가동접점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는, 상기 가동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쪽 및 다른 쪽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제 1의 고정접점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제 1의 가동접점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제 2의 고정접점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고, 제 2의 가동접점부의 둘 레가장자리부분에 접촉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제 3의 고정접점부는, 상기 제 1의 가동접점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제 1, 제 2 및 제 3의 고정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19.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점부는, 도전브러시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일단부와, 외부접속용에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복수의 접점부의 타단부가 돌출되는 부분에는, 땜납을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KR1020080052836A 2007-06-11 2008-06-05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KR101435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3873A JP4531793B2 (ja) 2007-06-11 2007-06-11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JP-P-2007-00153873 2007-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905A true KR20080108905A (ko) 2008-12-16
KR101435685B1 KR101435685B1 (ko) 2014-09-01

Family

ID=3971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36A KR101435685B1 (ko) 2007-06-11 2008-06-05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94441B2 (ko)
EP (1) EP2003670B1 (ko)
JP (1) JP4531793B2 (ko)
KR (1) KR101435685B1 (ko)
CN (1) CN101325134B (ko)
CA (1) CA2629690C (ko)
TW (1) TWI4017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0932B (zh) * 2017-08-31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地组件、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DE102018125599A1 (de) * 2018-10-16 2020-04-16 Innogy Se Leistungsmodul einer Ladestation,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Leistungsmoduls sowie Ladestation mit einem Leistungsmodul
JP7340490B2 (ja) *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CN115602477B (zh) * 2022-12-14 2023-03-28 惠州市正牌科电有限公司 一种新型三挡开关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047A (en) * 1958-03-24 1960-06-14 Essex Wire Corp Electric switch
JPH07114103B2 (ja) 1989-04-14 1995-12-06 株式会社東芝 含浸型陰極構体
JPH051125U (ja) * 1991-06-21 1993-0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FR2733085B1 (fr) * 1995-04-12 1997-05-30 Itt Composants Instr Commutateur electrique comportant un organe commun d'actionnement de deux contacts electriques mobiles
JP3617134B2 (ja) 1995-08-23 2005-0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操作型電子部品
EP0847069B1 (en) * 1995-08-23 2004-0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JP3274068B2 (ja) 1996-08-01 2002-04-15 東光電気株式会社 位相判定回路
JPH10112244A (ja) * 1996-10-03 1998-04-28 Hosiden Corp 中点自動復帰式ロータリスイッチ
JP3911774B2 (ja) * 1997-07-16 2007-05-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0331569A (ja) * 1999-05-19 2000-11-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複合スイッチ
JP4333332B2 (ja) * 2003-11-11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
JP4213019B2 (ja) * 2003-11-17 2009-0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5243546A (ja) * 2004-02-27 2005-09-08 Mitsumi Electric Co Ltd 多段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4426884B2 (ja) * 2004-03-18 2010-03-03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3814279B2 (ja) * 2004-04-23 2006-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TWI264747B (en) * 2005-01-20 2006-10-21 Darfon Electronics Corp Input apparatus and key structure and elastic mechanism thereof
JP4635774B2 (ja) * 2005-08-03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4338722B2 (ja) 2006-08-28 2009-10-07 ホシデン株式会社 入力装置
JP4315983B2 (ja) * 2007-01-19 2009-08-1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JP4886816B2 (ja) * 2009-06-02 2012-02-2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3670B1 (en) 2015-09-23
US7994441B2 (en) 2011-08-09
CA2629690A1 (en) 2008-12-11
JP4531793B2 (ja) 2010-08-25
EP2003670A2 (en) 2008-12-17
US20080308401A1 (en) 2008-12-18
TWI401718B (zh) 2013-07-11
CA2629690C (en) 2015-12-08
KR101435685B1 (ko) 2014-09-01
JP2008305750A (ja) 2008-12-18
CN101325134B (zh) 2012-09-19
EP2003670A3 (en) 2013-04-03
CN101325134A (zh) 2008-12-17
TW200849302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1860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EP1928008A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JP201409939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6586690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switched via two movable contacts
JP4521450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20080108905A (ko)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KR890001357B1 (ko) 다련(多連)스위치
US670357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JP6622628B2 (ja) 入力装置
JP2017157552A (ja) スイッチ
JP537602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2142229A (ja) スイッチ装置
JP542889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JP4332543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JP4619879B2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715258B1 (ko)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JP382746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40086805A (ko) 스위치 장치
JP572273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