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58B1 -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58B1
KR101715258B1 KR1020150076507A KR20150076507A KR101715258B1 KR 101715258 B1 KR101715258 B1 KR 101715258B1 KR 1020150076507 A KR1020150076507 A KR 1020150076507A KR 20150076507 A KR20150076507 A KR 20150076507A KR 101715258 B1 KR101715258 B1 KR 10171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ontact portion
double
tact switch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99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5007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의 일종인 택트 스위치에 삽입되는 스템에 있어서, 몸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하여 조립성이 뛰어난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면형 스템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된 머리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와 동일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룬다.

Description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DOUBLE SIDED TYPE STEM AND TACT SWITCH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푸시 스위치의 일종인 택트 스위치에 삽입되는 스템에 있어서, 몸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하여 조립성이 뛰어난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양면형 스템은, 푸시 스위치의 일종인 택트 스위치에 적용되어 컨택부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흔히 단자의 접촉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버튼과 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버튼의 가압 동작 시 단자와 접촉을 이루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템과 관련한 종래기술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스템뿐만 아니라 택트 스위치 역시 다양한 종래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한 스템 및 택트 스위치와 관련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595043호 (2006년06월22일) [푸시버튼 스위치](종래기술1)에는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93509호 (2010년11월04일) [솔더링 플럭스 프리 택트 스위치](종래기술2)에는 택트스위치를 키패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마운팅하는 과정에서, 솔더링 플럭스가 합성수지재 케이스의 단자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솔더링 플럭스 프리 택트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아울러 등록특허 제10-1301980호 (2013년08월26일) [택트 스위치](종래기술3)에는 외부로 부터 접점으로의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방수 특성을 갖고, 나아가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솔더링 공정 시에 역류되는 플럭스나 용융 땜납으로 인한 스템의 동작 불량이 초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택트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 내지 3에 제시된 기술들은 내부에 구비된 스템이 각기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조립 시 상측과 하측을 구별하여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정위치'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제한을 가지며, 이는 양산성 측면에서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477695호 (2014년12월23일) [다방향 택트 스위치](종래기술4)에는 하나의 스위치 구조물을 통해 다수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것을 제시하고 있을 뿐, 종래기술4에는 상기한 조립성 문제가 여전히 잔존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템은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현상에 의해 스템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수축현상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피가 큰 쪽으로 수축정도가 몰리는 경향을 띈다. 따라서 형태가 덩어리지는 형태로 수축이 일어나 제품 규격의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스템에서는 살빼기홈을 구비하여 수축 정도가 비교적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나아가 수축 정도를 최소화 하고 있다. 그러나 살빼기홈의 구비는 결과적으로 이물질(미세사출입자, 먼지 등)의 끼임 문제를 야기하고, 살빼기홈 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버튼 동작 시 살빼기홈 외부로 이탈하여 이중동작을 일으키는 등의 오작동을 유발한다. 이를 막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세척 및 건조과정 등을 통해 살빼기홈 내부의 이물을 최대한 제거하고 있는데, 스템의 살빼기홈 내부에 잔존하는 미세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한 '뛰어난 조립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두텁부를 구비하여 살빼기홈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템의 균형적 축소' 및 '스템 축소의 최소화'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이러한 양면형 스템을 구비한 택트 스위치를 제시하여, 조립성이 탁월하고, 동작 성능이 뛰어나며, 추가로 단자부가 구비되어 있는 컨택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된 머리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와 동일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몸체는 중심으로부터 좌우 및 상하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둘 모두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을 이루는 두텁부가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는
하우징, 내측 중심에 접촉부를 갖는 버튼부재, 상기 양면형 스템에 의해 가압되고 돔(Dome) 형태를 갖는 컨택부 및 상기 컨택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택부의 양단에 접촉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컨택부 하부 중앙에 상기 컨택부와 이격되게 구비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높이는 상기 컨택부의 단부와 상기 컨택부의 중심과의 높이 차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몸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하여 조립성이 뛰어나고,
또한 두텁부를 구비하여 살빼기홈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템의 균형적 축소' 및 '스템 축소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양면형 스템을 구비한 택트 스위치를 제시하여, 조립성이 탁월하고, 동작 성능이 뛰어나며, 추가로 단자부가 구비되어 있는 컨택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택트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양면형 스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 및 5는 종래의 스템과 양면형 스템의 비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 및 택트 스위치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택트 스위치(T)에 삽입되는 스템(S)에 있어서, 몸체(1)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40) 내에 삽입할 때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하여 조립성이 뛰어난 양면형 스템(S)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T)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S)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T)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 중 택트 스위치(T)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통해 본 택트 스위치(T)의 외관을 살펴보면, 하우징(40), 이 하우징(40)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부재(50) 및 단자부(80)의 노출된 부분 등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40) 내부 구성까지 확인하기 위해 도 2 분해사시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T)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택트 스위치(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을 비롯하여 내측 중심에 접촉부(51)를 갖는 버튼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40) 및 버튼부재(50)는 상기한 바 있는 구성으로, 그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고, 접촉부(51)의 경우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하부에 구비된 양면형 스템(S)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버튼부재(50)의 중심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50)의 하부에는 밀폐부재(60)가 구비되어 양면형 스템(S)을 포함하는 버튼부재(50)의 하부 구성이 침습되거나, 버튼부재(50)의 하부 구성이 구비된 하우징(40) 내측으로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양면형 스템(S)을 도 2에서 확인 가능한데,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및 도 4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택트 스위치(T)는 양면형 스템(S) 하부에 구비된 컨택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부(70)는 양면형 스템(S) 하부에 구비되어 양면형 스템(S)에 의해 가압되고, 그 가압 여부에 따라 단자의 접촉 상태를 변경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 컨택부(70)는 상향 돌출된 돔(Dome)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컨택부(70)는 판스프링과 같은 대전체이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형태가 변형되고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택트 스위치(T)는 컨택부(70)의 하부에 구비된 단자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80)는 컨택부(70)의 양단에 접촉하는 제1단자(81) 및 컨택부(70) 하부 중앙에 컨택부(70)와 이격되게 구비된 제2단자(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버튼부재(50)의 누름동작으로 인해 양면형 스템(S)이 하강하면 컨택부(70)의 중심을 눌러 하향 돌출된 돔(Dome) 형태로 변하게 되고, 이 경우 컨택부(70)는 제1단자(81)와 접촉이 해제되어 제2단자(82)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버튼부재(50)의 가압이 해제되면 다시 상향 돌출된 돔(Dome) 형태로 변하여 제1단자(81)와의 접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단자(82)와의 접촉이 해제되게 된다.
아울러 제1단자(81) 및 제2단자(82)의 구성을 On/Off 선택, A노드 및 B노드의 선택, 통전/절전의 선택 등 용도에 따라 회로를 달리 구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르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핵심인 양면형 스템(S)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양면형 스템(S)의 상측 평면도, 하측 평면도(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스템(Sp)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비교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양면형 스템(S)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S)은 몸체(1), 이 몸체(1)의 상부에 돌출 구비된 머리부(2) 및 몸체(1)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고, 머리부(2)와 동일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몸체(1)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는 중심으로부터 좌우 및 상하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의 실시에서는 이러한 몸체(1)를 디스크(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평판, 구체, 원통, 다면체 등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형태를 선택해도 무방하다. 다만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예를 들면 평판, 다면체) 몸체(1)와 하우징(40) 내벽 간의 마찰이 생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설계 규격의 정밀성을 요하게 되고, 또한 사출 성형에 따른 공차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볼 때, 디스크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머리부(2)는 몸체(1)의 상부로 돌출된 구성으로 버튼부재(50)의 접촉부(51)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인데,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부재(50)를 누르면 버튼부재(50)는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버튼부재(50)의 접촉부(51)가 머리부(2)를 가압하여 양면형 스템(S)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액추에이터(3)는 몸체(1)의 하측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컨택부(70)를 가압하는 구성인데,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부재(50)를 누르면 상기 과정처럼 양면형 스템(S)이 하강하게 되고 액추에이터(3)가 컨택부(70)를 가압한다. 특히 컨택부(70)는 상향 돌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도면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3)는 컨택부(70)의 중심을 가압하기 때문에 자체 탄성을 갖는 컨택부(70)의 중심이 하강하여 하향 돌출 돔 형태로 형태가 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컨택부(70)는 제2단자(82)와 접촉하게 되며, 제1단자(81)에서 이격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동작 특성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S)은 몸체(1)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데, 이러한 특징 상, 머리부(2)와 액추에이터(3)는 동일 형상을 갖고, 그 기능상 명명을 달리 했으나 실제로는 동일한 구성인 것을 도면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두텁부(10)의 실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에 따른 본 발명인 양면형 스템(S)은 몸체(1)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을 이루는 두텁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텁부(10)는 몸체(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총 4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수는 주요 특징이 아닌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양면형 스템(S)의 무게중심이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 배치를 이루면 그만인 것이다.
아울러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템(Sp)과 본 발명인 양면형 스템(S)의 구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도이다.
도 4를 통해 양면형 스템(S)의 장점을 설명하면, 먼저 도 4 [A] 및 도 4 [B]에 도시된 종래의 스템(Sp)에는 살빼기홈(R)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스템(Sp)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건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축현상에 의해 스템(Sp)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수축현상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피가 큰 쪽으로 수축정도가 몰리는 경향을 띈다. 따라서 형태가 덩어리지는 형태로 수축이 일어나 제품 규격의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스템(Sp)에서는 살빼기홈(R)을 구비하여 수축 정도가 비교적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나아가 수축 정도를 최소화 하고 있다. 그러나 살빼기홈(R)의 구비는 결과적으로 이물질(미세사출입자, 먼지 등)의 끼임 문제를 야기하고, 살빼기홈(R) 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버튼 동작 시 살빼기홈(R) 외부로 이탈하여 이중동작을 일으키는 등의 오작동을 유발한다. 이를 막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세척 및 건조과정 등을 통해 살빼기홈(R) 내부의 이물을 최대한 제거하고 있는데, 스템(Sp)의 살빼기홈(R) 내부에 잔존하는 미세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도 4 [C] 및 도 4 [D]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S)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양면형 스템(S)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양면에 두텁부(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두텁부(10)를 통해 균형적인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역시 수축정도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두텁부(10)의 실시를 통해 양면형 스템(S)은 살빼기홈(R)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작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끼임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스템(Sp)과 본 양면형 스템(S)의 헤드부의 차이에 대한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스템(S)의 장점을 설명하면,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양면형 스템(S)의 수평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양면형 스템(S)이 기울어지게 된다. 또는 버튼부재(50)의 가압 시 정위치(버튼부재(50)의 중심)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약간 어긋난 위치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역시 양면형 스템(S)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양면형 스템(S)은 머리부(2)가 액추에이터(3)와 동일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하 대칭구조를 갖기 때문에 쉽게 정위치로 복원되어 누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 [C], [D]에 도시된 종래의 스템(Sp)은 머리부(2p)의 크기가 액추에이터(3p)에 비해 커서 수평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또는 버튼부재(50)의 가압 시 정위치(버튼부재(50)의 중심)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약간 어긋난 위치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기울어진 스템(Sp)이 정위치로 쉽게 복원되지 않아 오작동을 유발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통해 몇 가지 추가적인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T)에 있어서, 양면형 스템(S)의 액추에이터의 높이(h3)는 택트 스위치(T)의 컨택부(70)의 단부와 중심 간의 높이 차이(h7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액추에이터의 높이(h3)를 컨택부(70)의 단부와 중심 간의 높이 차이(h70)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 누름 동작 시 액추에이터(3)가 컨택부(70)를 가압하여 컨택부(70)를 반전시킬 때(상향 돔 형태에서 하향 돔 형태로 변형), 컨택부(70)의 양 단부가 양면형 스템(S)의 몸체(1)부에 의해 뭉개져 컨택부(70)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높이(h3)는 컨택부(70)의 단부와 중심 간의 높이 차이(h7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치의 에를 들면, 액추에이터의 높이(h3)는 약 0.47mm, 컨택부(70)의 높이 차는 약 0.3mm 정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과 버튼부재(50), 하우징(40)과 양면형 스템(S)은 상호 일정 유격을 갖되, 이 유격은 버튼부재(50)를 하우징(40)의 일 측에 완전 밀착하고, 양면형 스템(S)을 하우징(40)의 타 측에 완전 밀착하였을 때, 머리부(2)와 접촉부(51)와의 중첩부위(w3)가 접촉부(51)의 폭(w4)의 2/3이상이 되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이러한 실시를 도시하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40)과 버튼부재(50) 간의 유격을 제1유격(w1)으로 명명하고, 하우징(40)과 양면형 스템(S) 간의 유격을 제2유격(w2)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유격(w1) 및 제2유격(w2)은 사출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T)에 있어서, 접촉된 구성 간의 마찰에 의해 누름 및 누름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호 밀착된 구성의 마모 등에 의한 제품 수명 단축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제1유격(w1) 및 제2유격(w2)의 도입으로 인해 버튼부재(50)의 접촉부(51)가 양면형 스템(S)의 머리부(2)를 가압할 때 정위치가 보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도 6은 버튼부재(50)가 하우징(40)의 좌측에 밀착하고, 양면형 스템(S)이 하우징(40)의 오른쪽에 밀착한 상태를 가정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는 버튼부재(50)의 접촉부(51)와 양면형 스템(S)의 머리부(2)의 위치가 최대한 어긋난 것으로, 이 때 도 6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머리부(2)와 접촉부(51)와의 중첩부위(w3)가 접촉부(51)의 폭(w4)의 2/3 이상이 되게끔 하여, 누름 동작에 여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은 제1유격(w1) 및 제2유격(w2)의 크기, 접촉부(51)의 폭(w4), 머리부(2)의 폭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양면형 스템(S)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T)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양면형 스템
1: 몸체 10: 두텁부
2: 머리부 3: 액추에이터
Sp: 스템(종래) R: 살빼기홈
T: 택트 스위치 40: 하우징
50: 버튼부재 51: 접촉부
60: 밀폐부재 70: 컨택부
80: 단자부 81, 82: 제1 및 제2단자

Claims (7)

  1.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된 머리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와 동일 형상을 갖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며,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둘 모두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을 이루는 두텁부가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심으로부터 좌우 및 상하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양면형 스템;
    하우징;
    내측 중심에 접촉부를 갖는 버튼부재;
    상기 양면형 스템에 의해 가압되고 돔(Dome) 형태를 갖는 컨택부; 및
    상기 컨택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택부의 양단에 접촉하는 제1단자 및 상기 컨택부 하부 중앙에 상기 컨택부와 이격되게 구비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택트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높이는 상기 컨택부의 단부와 상기 컨택부의 중심과의 높이 차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는 상호 제1유격을 갖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양면형 스템은 상호 제2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격 및 제2유격은
    상기 버튼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완전 밀착하고, 상기 양면형 스템을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완전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촉부와의 중첩부위가 상기 접촉부의 폭의 2/3이상 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KR1020150076507A 2015-05-29 2015-05-29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KR10171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07A KR101715258B1 (ko) 2015-05-29 2015-05-29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07A KR101715258B1 (ko) 2015-05-29 2015-05-29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99A KR20160140199A (ko) 2016-12-07
KR101715258B1 true KR101715258B1 (ko) 2017-03-10

Family

ID=5757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507A KR101715258B1 (ko) 2015-05-29 2015-05-29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74U (ja) * 1991-10-02 1993-04-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中間接続端子
KR970011113U (ko) * 1995-08-24 1997-03-29 푸시 버튼 스위치의 버튼구조
KR200169591Y1 (ko) * 1997-05-19 2000-02-01 구자홍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99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837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7250581B2 (en) Push-on switch
US7812270B2 (en) Multi-directional detect switch
US642391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both depressing direction and tilting direction
KR101715258B1 (ko)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US20100230267A1 (en) Push switch
EP1037226B1 (en) Push switch
JP2005174788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N101604590B (zh) 一种键盘按键及具有该键盘按键的键盘
KR20080108905A (ko)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JP2007128731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200235266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136941B2 (ja) 押圧スイッチ
CA2255982C (en) Molded electrical switch
KR100406937B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CN215118712U (zh) 一种超薄型轻触开关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KR200266646Y1 (ko) 초소형 누름 버튼스위치
JP4663567B2 (ja)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50795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40100889A (ko) 카드 커넥터
KR20034643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