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964A - 가변 용량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964A
KR20080106964A KR1020087024335A KR20087024335A KR20080106964A KR 20080106964 A KR20080106964 A KR 20080106964A KR 1020087024335 A KR1020087024335 A KR 1020087024335A KR 20087024335 A KR20087024335 A KR 20087024335A KR 20080106964 A KR20080106964 A KR 2008010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ilting
rotation
tilting member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꼬또 가와무라
마사까즈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가변 용량 압축기는 회전축(1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의 로터(21)와, 회전축(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경사 가능하게 장착된 틸팅 부재로서의 경사판(24)과, 경사판(24)의 상사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로터(21)와 경사판(24)을 연결하여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경사판(24)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40)와, 로터(21)와 경사판(24) 사이에 있어서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설치되어 경사판(24)의 회전축(10)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부(60)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7024335
가변 용량 압축기, 로터, 회전축, 경사판, 연결 기구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가변 용량 압축기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와, 회전축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과, 로터와 경사판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로터로부터 경사판으로 회전 토크를 전달하면서 경사판의 경사각의 변화를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한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는 경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 스트로크를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4-068756호 공보에 개시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연결 기구는 로터로부터 경사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와, 경사판으로부터 로터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로터의 돌기와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돌기와, 로터의 돌기의 기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면은 경사판의 돌기의 선단부를 미끄럼 이동 가이드함으로써 경사판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경사판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수압한다. 로터의 돌기는 경사판의 돌기를 삽입하여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갖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의 돌기와 경사판의 돌기가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어, 로터의 회전이 경사판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172417호 공보에 개시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연결 기구는 로터로부터 경사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경사판으로부터 로터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양 아암과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와, 로터의 아암과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힌지 핀과, 경사판의 아암과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힌지 핀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 기구에서는 중간 링크와, 로터 및 경사판이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의 회전 토크가 경사판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경사판에 작용하는 피스톤으로부터의 축방향 하중은 양 힌지 핀에 의해 받아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0-176658호 공보에 개시되는 압축기의 연결 기구는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172417호 공보의 연결 기구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16 내지 도18은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4-068756호 공보에 유사한 가변 용량 압축기의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의 연결 기구는 로터(103)로부터 경사판(101)을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104)과, 경사판(101)으로부터 로터(103)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102)과, 로터의 아암(104)의 기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면(10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면(105)은 경사판의 아암(102)의 선단부를 미끄럼 이동 가이드함으로써 경사판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경사판(101)에 작용하는 피스톤으로부터의 압축 반력(축방향 하중)(Fp)을 수압한다. 로터의 아암(104)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의 아암(102)을 삽입하여 끼움 지지하는 슬릿(106)을 가진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의 아암(104)과 경사판의 아암(102)이 회전 방향(R)으로 중첩되어, 로터(103)의 회전이 경사판(101)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피스톤으로부터 경사판(101)으로 가해지는 압축 반력(Fp)은, 경사판(101)의 상사점(TDC)과 하사점(BDC)을 통과하는 선 C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는 가해지지 않고(도13, 도14 참조), 상사점보다도 약간 회전 방향(R) 전방으로 최대 압축 반력(Fp)이 가해진다. 그로 인해, 경사판(101)에는 그 상사점(TDC)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으로 최대 압축 반력(Fp)이 가해져, 이에 의해 경사판(101)에는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사점(TDC)보다도 약간 회전 방향(R) 전방으로 최대 압축 반력(Fp)이 가해지는 이유는, 각 피스톤에 가해지는 압축 반력이 각 피스톤의 상사점(즉, 압축 행정에 있어서 압축 행정 종점)의 직전에 최대가 되어 피압축 냉매가 토출되는 것에 의한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도16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101)의 아암(102)을 로터(103)의 아암(104)에 끼움 지지하고 있으므로, 압축 반력(Fp)에 의해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지면, 도14와 같이 상사점(TDC)과 하사점(BDC)을 통과하는 선 C에 대해 경사판(101)이 기울어져 버려, 경사판(101)의 아암(102)의 2개의 코너부(K, K)가 각각 로터(103)의 아암(104)의 내측면으로 파고들어가 버린다. 즉, 슬릿(106) 내에서 비틀림이 발생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비틀림이 발생하면, 경사판(101)의 경사각을 변경할 때에 과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되어, 경사판(101)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큰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회전 전달을 하는 동시에 경사판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로, 비틀림이 일어나기 어려운 가변 용량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어스펙트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며, 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경사 가능하게 설치된 틸팅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의 상사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를 연결하여, 회전 방향을 향한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틸팅 부재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틸팅 부재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어스펙트에 따르면,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전방측에 설치된 틸팅 가이드부에서 틸팅 부재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받아낼 수 있다. 즉, 연결 기구가 위치하는 상사점 대응 위치보다도 회전 방향 전방측으로 치우쳐서 압축 반력이 가해져도, 틸팅 가이드부에서 이 치우친 압축 반력을 받아낼 수 있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아져 연결 기구에 발생하는 비틀림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틸팅 부재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해져 제어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연결 기구의 수명도 연장된다.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 기구와 반대 위치가 되는 상기 틸팅 부재의 하사점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상사점측으로 치우치기 쉬운 무게 중심을 하사점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로터 및 경사판의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중량 밸런스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틸팅 부재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틸팅 가이드부의 구조가 간소해진다.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틸팅 부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연결 기구에서 전달하는 회전 토크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틸팅 부재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해져 제어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연결 기구의 수명도 연장된다.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회전 전달 보조부는 회전 부재와 틸팅 부재 사이에 있어서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후방측에 설치되어, 틸팅 부재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회전 전달 보조부는 회전 부재의 회전을 틸팅 부재로 전달하는 부수 기능도 갖게 된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에서 전달하는 회전 토크가 작아진다. 또한, 틸팅 가이드부가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전방측에 설치되는 한편, 회전 전달 보조부가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 부재 및 틸팅 부재의 중량 밸런스가 더욱 양호해진다. 또한, 회전축을 중앙으로 하여, 틸팅 가이드부와 연결 기구와 회전 전달 보조부에 의해 삼각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틸팅 가이드부와 연결 기구와 회전 전달 보조부의 3점 지지에 의해, 회전 부재에 대해 틸팅 부재를 지지할 수 있어, 틸팅 부재의 지지 상태가 안정된다.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회전 부재 및 틸팅 부재의 중량 밸런스가 더욱 양호해진다.
상기 틸팅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회전 부재 및 틸팅 부재의 중량 밸런스가 더욱 양호해진다.
상기 틸팅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경면 대칭(mirror symmetry)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또한 회전 부재 및 틸팅 부재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게다가 대칭 형상이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틸팅 부재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회전 전달 보조부의 구조가 간소해진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양 아암과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1 힌지 핀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2 힌지 핀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 및 또는 상기 틸팅 부재는 회전 방향을 따르는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을 사이에 두고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을 사이에 두고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과, 상기 양 아암의 슬릿 내에 삽입되어 상기 양 아암과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1 힌지 핀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2 힌지 핀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아암과 회전 방향을 향해 중첩되는 아암과, 상기 양 아암의 한쪽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과, 상기 양 아암의 다른 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된 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이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라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을 갖고,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이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인 것으로 인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 또는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의 기단부에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틸팅 부재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받아내는 동시에 상기 틸팅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의 일부 파단부를 갖는 전체부.
도2는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회전축과 로터와 경사판을 조립한 어셈블리의 개략 단면도.
도3은 상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경사판이 최대 경사각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상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경사판이 중간 경사각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상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경사판이 최소 경사각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상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7은 도6 중 VII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8은 도6 중 VII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9는 도6 중 IX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10은 도6 중 X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11은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로터의 사시도.
도12는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로터의 측면도.
도13은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경사판의 사시도.
도14는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경사판의 측면도.
도15는 회전축의 축심에 대한 어셈블리의 무게 중심 위치의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본 실시 형태와, 틸팅 가이드부 및 회전 전달 보조부를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16은 일 종래예의 가변 용량 압축기의 회전축과 로터와 경사판을 조립한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17은 도16의 약 중의 XVII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18은 도17에 있어서 큰 압축 반력이 가해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1은 가변 용량 압축기의 일부 파단부를 포함하는 전체도, 도2는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회전축과 로터와 경사판을 조립한 어셈블리의 개략 단면도, 도3은 상기 어셈블리의 경사판의 최대 경사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상기 어셈블리의 경사판의 중간 경사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5는 상기 어셈블리의 경사판의 최소 경사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용량 압축기(1)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실린더 보어(3)를 갖는 실린더 블럭(2)과, 상기 실린더 블럭(2)의 전단부면에 접합되어 상기 실린더 블럭(2)과의 사이에 크랭크실(5)을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4)과, 실린더 블럭(2)의 후단부면에 밸브 플레이트(9)를 통해 접합되어 흡입실(7) 및 토출실(8)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6)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실린더 블럭(2)과 프론트 하우징(4)과 리어 하우징(6)은 복수의 관통 볼트에 의해 체 결 고정된다.
밸브 플레이트(9)는 실린더 보어(3)와 흡입실(7)을 연통하는 흡입 구멍(11)과, 실린더 보어(3)와 토출실(8)을 연통하는 토출 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플레이트(9)의 실린더 블럭(2)측에는 흡입 구멍(11)을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기구가 설치되고, 한편 밸브 플레이트(9)의 리어 하우징(6)측에는 토출 구멍(12)을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럭(2) 및 프론트 하우징(4)의 중심의 지지 구멍(19, 20)에는 베어링(17, 18)을 통해 회전축(10)이 축지지되어, 이 회전축(10)이 크랭크실(5)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크랭크실(5) 내에는 상기 회전축(10)에 고정 설치된 「회전 부재」로서의 로터(21)와, 회전축(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틸팅 부재」로서의 경사판(24)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24)은 그 중앙의 관통 구멍에 회전축(10)이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축(10)에 장착됨으로써, 회전축(10)의 축심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동시에 축심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사판(24)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허브(25)와, 이 통 형상의 허브(25)에 고착된 원판 형상의 경사판 본체(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3)에는 피스톤(29)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이 피스톤(29)은 반구 형상의 한 쌍의 피스톤 슈(30, 30)를 통해 경사판(24)의 외주부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부재로서의 로터(21)와, 틸팅 부재로서의 경사판(24) 사이에는 연결 기 구(40)가 개재되어 있고, 이 연결 기구(40)에 의해 로터(21)의 회전 토크를 경사판(24)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10)이 회전하면 이 회전축(10)과 일체로 로터(21)가 회전하고, 이 로터(21)의 회전이 연결 기구(40)를 통해 경사판(24)으로 전달된다. 경사판(24)의 회전은 한 쌍의 피스톤 슈(30, 30)에 의해 피스톤(29)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3) 내를 왕복 운동한다. 이 피스톤(29)의 왕복 운동에 의해 흡입실(7) 내의 냉매가 밸브 플레이트(9)의 흡입 구멍(11)을 통해 실린더 보어(3) 내에 흡입된 후 압축되어, 밸브 플레이트(9)의 토출 구멍(12)을 통해 토출실(8)로 토출된다.
상기 연결 기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면서도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한다. 연결 기구(40)에 의해 변경 가이드되는 경사판(24)의 경사각은 슬리브(22)가 리턴 스프링(51)에 저항하여 실린더 블럭(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커지고(도3 참조), 반대로 슬리브(22)가 실린더 블럭(2)측으로 근접 이동하면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작아진다(도5 참조).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최대인 상태에서 회전축(10)을 회전시키면, 피스톤(29)은 최대 스트로크로 피스톤 연동하여 압축기(1)의 토출량이 최대가 된다. 반대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최소인 상태에서 회전축(10)을 회전시키면, 피스톤(29)은 최소 스트로크로 피스톤 운동하여 압축기(1)의 토출량이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경사판(24)의 경사각을 변동 시킴으로써 피스톤(29)의 피스톤 스트로크를 변경하여, 압축기(1)의 냉매 토출량을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10)의 직교면에 대한 경사판(24)의 경사각이 45°정도에서 피스톤이 최대 스트로크가 되고, 0 °정도에서 최소 스트로크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판(24)에는 슬리브(22)를 통해 회전축(10)을 따르는 축방향의 양쪽으로부터 리턴 스프링(51, 52)의 압박력이 부여되어 있고, 회전 정지 시에는 이들 압박력이 균형잡히는 위치에서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안정된다. 본 예에서는, 회전 정지 시에는 최대 경사각(도3)과 최소 경사각(도5)의 중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경사판(24)이 안정된다.
(토출 용량의 제어)
이 가변 용량 압축기(1)에서는 토출 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피스톤(29)의 후방면측의 크랭크실압(Pc)과 피스톤(29)의 전방면측의 흡입실압(Ps)의 차압(압력 밸런스)을 조정하여 경사판(24)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압력 제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제어 기구는 크랭크실(5)과 흡입실(7)을 연통하는 추기(bleed air) 통로(도시하지 않음)와, 크랭크실(5)과 토출실(8)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도시하지 않음)와, 이 급기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급기 통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 밸브(33)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33)로 급기 통로를 개방하면 급기 통로를 통해 토출실(8)의 냉매가 크랭크실(5)로 유입되어 크랭크실압(Pc)이 상승하고, 이에 의해 크랭크실압(Pc)과 흡입실압(Ps)의 압력 밸런스에 의해 경사판(24)의 회전축(10)의 직교면에 대한 경사각이 작아진다. 그 결과, 피스톤 스트로크가 작아져 토출량이 감소된다. 반 대로, 제어 밸브(33)로 급기 통로를 폐쇄하면 추기 통로를 통해 크랭크실(5)의 냉매가 흡입실(7)로 서서히 빠져나감으로써 크랭크실압(Pc)이 저하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실압(Pc)과 흡입실압(Ps)의 압력 밸런스에 의해 경사판(24)의 경사각이 커진다. 그 결과, 피스톤 스트로크가 커져 토출량이 증가된다.
(연결 구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21)와 경사판(24)은 상술한 연결 기구(40) 외에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다음에 도6 내지 도14를 참조하면서 로터(21)와 경사판(24)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가변 용량 압축기(1)의 회전축(10)과 로터(21)와 경사판(24)을 조립한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7은 도6 중 VII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8은 도6 중 VIII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9는 도6 중 IX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10은 도6 중 X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 도11은 로터의 사시도, 도12는 로터의 측면도, 도13은 경사판의 사시도, 도14는 경사판의 측면도이다.
(연결 기구)
우선, 도6을 참조하면서 연결 기구(40)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 기구(40)는 로터(21)로부터 경사판(24)을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41)과, 경사판(24)으로부터 로터(21)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43)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의 아암(41)은 축방향[회전 방향(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1s)을 갖고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경사판의 아암(43)이 마찬가지로 축방향[회전 방향(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3s)을 갖고 두 갈래 형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41s, 43s)에 중간 링크(45)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양 아암(21, 24)에 중간 링크(45)가 끼움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방향(R)을 따르는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로터(21)의 회전이 경사판(24)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링크(45)의 일단부와 로터의 아암(41)이 제1 힌지 핀(46)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 링크(45)의 타단부와 경사판의 아암(43)이 제2 힌지 핀(47)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힌지 핀(46, 47)에 의한 힌지 구조에 의해,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24)의 틸팅이 가이드된다.
이와 같은 연결 기구(40)에 의해 연결 기구(40)가 있는 위치가 경사판(24)의 상사점(TDC)에 대응하고, 회전축(10)을 사이에 두고 연결 기구(40)의 반대측이 경사판(24)의 하사점(BDC)에 대응하게 된다.
압축기(1)의 작동 시에는, 연결 기구(40)는 로터(21)로부터 경사판(24)으로 회전 토크(Ft)를 전달하는 동시에, 피스톤(29)으로부터의 압축 반력(Fp)에 의해 경사판(24)으로부터 로터(21)로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을 받는다. 또한, 압축기(1)의 작동 시에는 최대 압축 반력(Fp)이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으로 어긋나므로, 이 어긋남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를 연결 기구(40)가 받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연결 기구(4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Ft) 및 축방향 하중 및 비틀림 모멘트를, 후술하는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의해 경감시킴으로써,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7 내지 도14를 참조하면서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대해 설명한다.
(틸팅 가이드부 및 회전 전달 보조부)
상술한 연결 기구(40)의 회전 방향(R) 전방측이고 또한 연결 기구(40)보다도 하사점(BDC)측에는 연결 기구(40)와 이격하여 틸팅 가이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기구(40)의 회전 방향(R) 후방측이고 또한 연결 기구(40)보다도 하사점(BDC)측에는 연결 기구(40)에 이격하여 회전 전달 보조부(70)가 설치되어 있다.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로터(2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사점(TDC)과 하사점(BDC)의 대략 중간점에 있다. 이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서로 회전축(10)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에 위치하여, 서로 경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틸팅 가이드부(60)는 로터(21) 및 경사판(24)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로서의 돌기부(61, 6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 전달 보조부(70)도 로터(21) 및 경사판(24)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로서의 돌기부(71, 7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틸팅 가이드부(60)도, 회전 전달 보조부(70)도 로터(21)로부터 돌출 설치된 돌기부(61, 71)에 경사면(61a, 71a)을 구비한다. 경사면(61a, 71a)은 경사판(24)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돌기부(63, 73)의 선단부의 이동 궤적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사판(24)의 경사각을 연결 기구(40)의 가이드에 의해 변경하면, 어떠한 경사각에 있어서도 경사판(24)의 돌기부(63, 73)가 로터의 돌기부(61, 71) 의 경사면(61a, 71a)으로 미끄럼 이동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3 내지 도5 참조). 또한, 모든 경사면(61a, 71a)도, 상사점(TDC)측으로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들 틸팅 가이드부(6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모두 연결 기구(40)의 틸팅 가이드를 보조하도록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틸팅 가이드부(6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연결 기구(40)의 틸팅 가이드를 보조함으로써, 경사판(24)이 어떠한 경사각에 있어도 연결 기구(40)에 가해지는 축방향 하중을 분산하고 있다.
또한,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로터의 돌기부(71)가 경사판의 돌기부(73)보다 회전 방향(R) 후방측에 배치됨으로써, 로터(21)의 회전 토크를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보조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그로 인해, 종래 구조에서는 연결 기구(40)로만 담당하고 있던 회전 토크 전달을, 회전 전달 보조부(70)가 분담하여, 연결 기구(4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저감시키고 있다(도9 참조).
한편, 틸팅 가이드부(60)는 로터의 돌기부(61)가 경사판의 돌기부(63)보다 회전 방향(R) 전방측에 배치됨으로써, 로터(21)의 회전 토크를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기능은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틸팅 가이드부(60)는 상사점 위치가 되는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있으므로,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가해지는 최대 압축 반력(Fp)을 받고, 이에 의해 종래 구조에서는 연결 기구(40)에 가해져 있던 비틀림 모멘트를 저감시키고 있다(도7 참조).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4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 및 비틀림 모멘트를,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의해 경감시킴으 로써, 연결 기구(40)로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연결 기구(40)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방지하여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40)에 추가하여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를 부가한 것에 의해,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를 구비하지 않은 구조에 비해 중량 밸런스가 향상된다. 도15는 회전축(10)의 축심(10s)에 대한 어셈블리의 무게 중심 위치의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그래프 중, 실선이 본 실시 형태의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점선이 비교예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의 어셈블리로부터 틸팅 가이드부(60) 및 회전 전달 보조부(70)를 제거한 비교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24)의 경사 각도를 변경해도 본 실시 형태의 어셈블리의 무게 중심 위치가 회전축(10)의 축심(10s)에 근접해 있어, 중량 밸런스가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효과」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열거한다.
우선 첫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회전축(1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로서의 로터(21)와, 회전축(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축(10)에 대해 경사 가능하게 설치된 틸팅 부재로서의 경사판(24)과, 경사판(24)의 상사점(TDC)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로터(21)와 경사판(24)을 연결하고, 회전 방향(R)을 향한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경사판(24)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40)와, 로 터(21)와 경사판(24) 사이에 있어서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설치되어, 경사판(24)의 회전축(10)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부(60)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설치된 틸팅 가이드부(60)에서 경사판(24)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Fp)을 받아낼 수 있다. 즉, 연결 기구(40)가 위치하는 상사점(TDC) 대응 위치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으로 치우쳐서 압축 반력(Fp)이 가해져도, 이 치우친 압축 반력(Fp)을 틸팅 가이드부(60)에서 받아낼 수 있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40)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아져 연결 기구(40)에 발생하는 비틀림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해져 제어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연결 기구(40)의 수명도 연장된다.
둘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틸팅 가이드부(60)가 연결 기구(40)보다도 하사점(BDC)측에 설치되어 있다.
틸팅 가이드부(60)가 연결 기구(40)보다도 하사점(BDC)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사점(TDC)측으로 치우치기 쉬운 무게 중심을 하사점(BDC)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로터(21) 및 경사판(24)의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셋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틸팅 가이드부(60)는 상사점(TDC)과 하사점(BDC)의 대략 중간점에 있다. 그로 인해, 중량 밸런스가 더욱 향상된다.
넷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틸팅 가이드부(60)는 로터(21) 및 경사판(24)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61, 63)이다. 그로 인해, 틸팅 가이드부의 구조가 간소해진다.
다섯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로터(21)와 경사판(24) 사이에 설치되어,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70)를 더 구비한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40)에서 전달하는 회전 토크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이 원활해져 제어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연결 기구(40)의 수명도 연장된다.
여섯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로터(21)와 경사판(24) 사이에 있어서 회전 방향(R) 후방측에 설치되어,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70)를 더 구비한다.
즉,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로터(21)와 경사판(24) 사이에 있어서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후방측에 설치되고 또한 경사판(24)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부수 기능도 갖게 된다. 그로 인해, 연결 기구(40)에서 전달하는 회전 토크가 작아진다. 또한, 회전 전달 보조부(70)가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 기구(40)보다도 회전 방향(R) 전방측에 설치된 틸팅 가이드부(60)와 중량 밸런스가 취해진다. 이에 의해, 로터(21) 및 경사판(24)의 중량 밸런스가 더 양호해진다.
또한, 틸팅 가이드부(60)와 연결 기구(4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의해, 회전축(10)을 중앙으로 하여 삼각형이 형성되게 된다. 즉, 경사판(24)이 로터(21)에 대해, 틸팅 가이드부(60)와 연결 기구(4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에 의해 3점 지지됨으로써 경사판(24)의 지지 상태가 안정된다.
일곱번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상사점(TDC)과 하사점(BDC)의 대략 중간점에 있다. 그로 인해, 또한 로터(21) 및 경사판(24)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여덟번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틸팅 가이드부(6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회전축(10)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로터(21) 및 경사판(24)의 중량 밸런스가 더욱 양호해진다.
아홉번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틸팅 가이드부(60)와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회전축(10)을 사이에 두고 경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로터(21) 및 경사판(24)의 중량 밸런스가 더욱 양호해진다. 게다가 대칭 형상이므로, 제조가 용이해진다.
열번째로, 본 실시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1)는, 회전 전달 보조부(70)는 로터(21) 및 경사판(24)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71, 73)이다. 그로 인해, 회전 전달 보조부(70)의 구조가 간소해진다.
열한번째로, 연결 기구(40)는 로터(21)로부터 경사판(24)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41s)을 이격하여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41)과, 경사판(24)으로부터 로터(21)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43s)을 이격하여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43)과, 양 아암(41, 43)의 슬릿(41s, 43s) 내에 삽입되어 양 아암(41, 43)과 회전 방향(R)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45)와, 로터(21)의 아암(41)과 중간 링크(45)를 연결하는 제1 힌지 핀(46)과, 경사판(24)의 아암(43)과 중간 링 크(45)를 연결하는 제2 힌지 핀(4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 기구(40)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기구(40)는 회전 방향(R)을 따르는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여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경사판(24)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것이면,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중간 링크(45)이며, 이 중간 링크(45)에 로터(21) 및 또는 경사판(24)이 끼움 지지되는 구조라도 좋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10-176658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172417호 공보 등이 이 구조에 상당한다.
또한, 연결 기구는 로터(21)로부터 경사판(24)을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경사판(24)으로부터 로터(21)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로터의 아암과 회전 방향(R)을 향해 중첩되는 아암과, 양 아암의 한쪽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과, 양 아암의 다른 쪽에 고정되고 또한 긴 구멍에 삽입된 핀을 구비하고, 로터의 아암이 경사판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경사판의 아암이 로터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인 구조라도 좋다.
또한, 연결 기구는, 도16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03)로부터 경사판(101)을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104)과, 경사판(101)으로부터 로터(103)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102)을 갖고, 로터의 아암(104)이 경사판의 아암(102)을 미끄 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106)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경사판의 아암(102)이 로터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인 것으로 인해, 로터의 아암(104)과 경사판의 아암(102)이 회전 방향(R)으로 충접되는 것이고, 또한 로터의 아암(104) 또는 경사판의 아암(102)의 기단부에 경사판의 아암(102) 또는 로터의 아암(104)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경사판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받아내는 동시에 경사판(101)의 회전축(10)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면(10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연결 기구는 회전 방향(R)을 따르는 끼움 지지 구조를 구비하여 로터(21)의 회전을 경사판(24)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경사판(24)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것이면, 그 밖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판(24)은 대략 구 형상의 슬리브를 통해 회전축(1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경사판(24)은 슬리브를 통하지 않고 직접 회전축(10)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와쉬식 경사판을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워블식 경사판을 사용해도 좋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은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경사 가능하게 설치된 틸팅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의 상사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를 연결하여, 회전 방향을 향한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틸팅 부재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틸팅 부재의 틸팅을 가이드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 기구와 반대 위치로 되는 상기 틸팅 부재의 하사점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틸팅 부재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상기 틸팅 부재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틸팅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보다도 회전 방향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팅 부재의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회전 전달 보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보조부는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틸팅 부재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양 아암과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1 힌지 핀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2 힌지 핀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틸팅 부재는 회전 방향을 따르는 끼움 지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을 사이에 두고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슬릿을 사이에 두고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과, 상기 양 아암의 슬릿 내에 삽입되어 상기 양 아암과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중간 링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1 힌지 핀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과 상기 중간 링크를 연결하는 제2 힌지 핀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 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회전 방향을 향해 중첩되는 아암과, 상기 양 아암의 한쪽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과, 상기 양 아암의 다른 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된 삽입 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이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상기 틸팅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 설치된 아암을 갖고,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이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이거나,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슬릿을 구비한 두 갈래 형상의 것으로 인해,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과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이 회전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 또는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의 기단부에 상기 틸팅 부재의 아암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아암의 선단부 와 접촉하여, 상기 틸팅 부재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받아내는 동시에 상기 틸팅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의 변경을 가이드하는 틸팅 가이드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KR1020087024335A 2006-04-07 2007-04-05 가변 용량 압축기 KR20080106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6520A JP4976731B2 (ja) 2006-04-07 2006-04-07 可変容量圧縮機
JPJP-P-2006-106520 2006-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964A true KR20080106964A (ko) 2008-12-09

Family

ID=3858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335A KR20080106964A (ko) 2006-04-07 2007-04-05 가변 용량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2483B2 (ko)
EP (1) EP2014918A1 (ko)
JP (1) JP4976731B2 (ko)
KR (1) KR20080106964A (ko)
CN (1) CN101421515B (ko)
WO (1) WO2007116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2670B2 (ja) * 2008-07-18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圧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関節駆動ユニット
US8196506B2 (en) * 2009-08-17 2012-06-12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stroke compressor design
JP5579144B2 (ja) * 2011-09-22 2014-08-27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5999622B2 (ja) * 2012-02-06 2016-09-28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013768B2 (ja) * 2012-04-25 2016-10-2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6063150B2 (ja) * 2012-05-28 2017-01-18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047307B2 (ja) * 2012-05-28 2016-12-2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WO2015037636A1 (ja) * 2013-09-11 2015-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171875B2 (ja) * 2013-11-13 2017-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16102418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6102417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CN104454453A (zh) * 2014-12-11 2015-03-25 无锡双鸟科技股份有限公司 压缩机斜盘机构
KR20180019382A (ko) * 2016-08-16 2018-0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JP2018031364A (ja) * 2016-08-26 2018-03-01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US10443662B2 (en) * 2016-09-01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ly coupled system with variable lever arm for torque coupling and decoupling between input and output
KR20200080821A (ko) * 2018-12-27 2020-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837A (en) * 1981-09-28 1984-01-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axial piston machine
US4674957A (en) * 1984-12-22 1987-06-2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ontrol mechanism for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6166845A (ja) * 1992-11-30 1994-06-14 Pentel Kk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H08189464A (ja) * 1994-11-11 1996-07-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CN1136389C (zh) * 1996-09-13 2004-01-28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制作所 可变容量压缩机
JPH10176658A (ja) 1996-12-17 1998-06-30 Zexel Corp 可変揺動板式圧縮機
JPH10246181A (ja) * 1997-02-28 1998-09-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H11280645A (ja) * 1998-03-27 1999-10-15 Sanden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100352877B1 (ko) * 2000-06-12 2002-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KR100714088B1 (ko) * 2001-02-16 2007-05-02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
JP2003021055A (ja) 2001-07-11 2003-01-2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3172417A (ja) 2001-12-04 2003-06-20 Sanden Corp リンク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可変容量型圧縮機
KR100759423B1 (ko) * 2001-12-12 2007-09-17 한라공조주식회사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4068756A (ja) * 2002-08-08 2004-03-04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
JP4062265B2 (ja) * 2004-02-24 2008-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US20070220859A1 (en) * 2004-04-12 2007-09-27 Calsonic Kansei Corporation Link Mechanism an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6936A1 (ja) 2007-10-18
CN101421515B (zh) 2011-08-03
EP2014918A1 (en) 2009-01-14
US8152483B2 (en) 2012-04-10
JP2007278199A (ja) 2007-10-25
JP4976731B2 (ja) 2012-07-18
CN101421515A (zh) 2009-04-29
US20090178552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6964A (ko) 가변 용량 압축기
US6139283A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7972118B2 (e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KR100318772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4794274B2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1304102A (ja) 可変容量圧縮機
KR100282042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2007278200A (ja) 可変容量圧縮機
US6276904B1 (en) Variable capacity refrigerant compressor having an inclination limiting means to interrupt compressive forces on a hinge mechanism
EP2063121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171875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4451323B2 (ja) リン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変容量圧縮機
JP2713759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16151188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629174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6052016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399386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斜板の貫通孔の形成方法
KR101757337B1 (ko)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과 사판의 연결구조
KR100734805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H089433Y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の斜板
JPH02283874A (ja)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2004044550A (ja) 斜板型圧縮機
JP2008240692A (ja) 可変容量圧縮機
JPH0814158A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WO2006095565A1 (ja) 可変容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