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076A - 줌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076A
KR20080106076A KR1020080050573A KR20080050573A KR20080106076A KR 20080106076 A KR20080106076 A KR 20080106076A KR 1020080050573 A KR1020080050573 A KR 1020080050573A KR 20080050573 A KR20080050573 A KR 20080050573A KR 20080106076 A KR20080106076 A KR 2008010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sitive
lens group
negative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7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negative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02B15/143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350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 시스템은 음(negative)의 제1렌즈군, 양(positive)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렌즈군 각각은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줌동작을 행한다.
제1렌즈군은 음의 렌즈요소(lens element, 이하 "렌즈"로 표기),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를 포함한다.
제2렌즈군은 양의 렌즈,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포함한다. 상측의 양의 렌즈와 음의 렌즈의 합성 굴절력은 음의 값을 가지며, 이들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3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포함하며, 이들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줌 렌즈 시스템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1
f2G는 양의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내며;
f21은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 초점거리, 구면수차, 왜곡수차, 곡률반경, 굴절률, 아베수

Description

줌 렌즈 시스템{ZOOM LENS SYSTEM}
본 발명은 CCD 또는 CMOS 등과 같은 촬상소자 상에 결상되도록 하는 촬상렌즈 시스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줌 렌즈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최근, CCDs 및 CMOSs 등과 같은 촬상소자의 화소의 소형화 및 CCDs의 고감도가 더 발전하기 위해, 작은 F값을 갖는 고성능 렌즈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초점거리단에서 약 2.8 내지 3.5의 F값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느린 줌 렌즈 시스템이 주류를 이룬다.
상기 종래의 줌 렌즈 시스템의 예는 일본 특개 2001-318311호, 2003-015035호, 2005-70696호 및 2005-70697호 공보, 일본 특허 3652179호 및 3709148호 공보, 특개 2006-12641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F값이 작아지면, 구면수차보정 및 여타의 수차보정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수차보정을 위해, 렌즈엘레먼트의 수를 크게 늘리고, 렌즈군의 수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줌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는 실제로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음(negative)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이하, 음의 제1렌즈군), 양(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이하,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이하, 양의 제3렌즈군)으로 구성되는 3개의 렌즈군의 줌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며, 특징은 아래와 같다:
각 렌즈 군에서의 렌즈 요소(lens element, 이하 "렌즈"로 표기) 구성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단초점거리단에서의 F값은 충분히 작으며;
전체 줌 렌즈 시스템은 소형이며;
고화소에 대응가능한 고광학성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제1렌즈군,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을 포함하는 줌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각각의 음의 제1렌즈군,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은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줌동작을 행한다.
음의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를 포함한다.
양의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포함한다. 상측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의 합성굴절력은 음의 값이며, 이들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양의 제3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음의 렌즈를 포함하며, 이들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줌 렌즈 시스템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2
f2G는 양의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21은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3
R21O은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물체측 표면의 근축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21I는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상측 표면의 근축곡률반경을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4
f22 -23(<0)은 양의 제2렌즈군의 접합렌즈(상측 양의 렌즈와 음의 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21은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5
nd21은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6
n1GA .V.은 음의 제1렌즈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굴절률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7
fc는 rc /|ndp - ndn| 로 정의되고;
rc는 양의 제3렌즈군의 접합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ndp는 양의 제3렌즈군의 양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dn은 양의 제3렌즈군의 음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f3G는 양의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줌 렌즈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8
vdp는 양의 제3렌즈군의 양의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를 나타내고;
vdn은 양의 제3렌즈군의 음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아래의 특징을 갖는 3개의 렌즈군(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제1렌즈군,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의 줌 렌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렌즈 군에서의 렌즈구성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단초점거리단에서의 F값은 대략 2 정도로 충분히 작으며;
전체 줌 렌즈 시스템은 소형이며;
고화소에 대응가능한 고광학성능을 구비한다.
도13의 간이이동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제1렌즈군(10), 조리개(S), 양의 제2렌즈군(20) 및 양의 제3렌즈군(30)을 포함한다.
단초점거리단(W)으로부터 장초점거리단(T)까지의 줌동작에 있어서, 음의 제1렌즈군(10)은 상 쪽으로 먼저 이동하고, 그 후 물체 쪽으로 이동하며, 양의 제2렌즈군(20)은 물체 쪽으로만 이동하고, 양의 제3렌즈군(30)은 상 쪽으로만 이동한다; 음의 제1렌즈군(10)과 양의 제2렌즈군(2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양의 제2렌즈군(20)과 양의 제3렌즈군(30)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I는 촬상면을 나타내며; 디지털카메라에서 필터류는 상기 촬상면(I)의 바로 직전에 구비된다.
조리개(S)는 양의 제2렌즈군(20)과 함께 이동하여 줌동작을 행한다.
포커싱은 양의 제3렌즈군(30)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방법으로, 양의 제2렌즈군(20)과 양의 제3렌즈군(30) 사이에 조리개(S)가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1, 5 및 9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실시예 각각에서 나타나듯이, 음의 제1렌즈군(10)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11), 음의 렌즈(12) 및 양의 렌즈(13)를 포함한다.
양의 제2렌즈군(20)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21), 양의 렌즈(22) 및 음의 렌즈(23)을 포함한다. 양의 렌즈(22) 및 음의 렌즈(23)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양의 제3렌즈군(30)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31) 및 음의 렌즈(32)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CG는 촬상소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글래스를 나타낸다.
단초점거리단에서 대략 2.8 내지 3.5의 F값을 갖는 종래의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제1렌즈군이 예를 들어 두 개의 렌즈, 즉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제1렌즈군을 통해 축상광속을 취집(collecting)하여 구면수차 및 왜곡수차 보정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인 작은 F값 설정에 수반해서, 제1렌즈군 에 의해 취집된 축상광속의 직경이 커진다. 따라서, 1개의 음의 렌즈에 의해 광속을 급격하게 굴절시키기 위한 시도가 행해지는 경우, 특히 구면수차가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또한, 발산성분을 부담하기 위해 상기 음의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단초점거리단에서 발생하는 음의 왜곡수차 또한 증가한다.
음의 렌즈와 양의 렌즈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더라도, 구면수차의 거리감도는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의 제1렌즈군(10)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의 3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음의 굴절력이 2개의 렌즈에 거쳐 분배된다. 결과적으로, 축상광속의 다발이 취집되며, 구면수차보정이 이루어지고, 왜곡수차 보정이 가능해진다.
양의 제2렌즈군(20)에 관해, 일반적으로 큰 구면수차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에서 발생한다.
대략 2.8 내지 3.5의 F값을 갖는 종래의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제2렌즈군은 트리플렛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상기 트리플렛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가지거나 또는, 양의 렌즈,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를 가지는 구성이고, 특히 구면수차보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수차보정은 어렵게 되며,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작은 F값 설정을 수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의 제2렌즈군(20) 전체의 굴절력; 및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특히 구면수차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군이 포커싱 렌즈군인 경우, 포커싱시 주변의 광량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포커싱 렌즈군의 직경이 커진다. 또한, 기계적인 구조는 보다 복잡해지고 거대해 진다. 그러므로, 제3렌즈군(30)을 포커싱 렌즈군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작은 F값을 갖는 고속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포커싱이 수행될 때 수차변화(특히 상면만곡 및 배율색수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차보정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제3렌즈군은 1개의 양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보다는 서로 접합된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건(1)은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에 대한 양의 제2렌즈군(20)의 전체초점거리의 비를 상술한다.
굴절력을 양의 제2렌즈군(20)에 거쳐 적절하게 분배함으로써, 조건(1)이 만족되며, 양호한 수차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굴절력이 조건(1)의 상한을 초과하면, 특히 구면수차는 보정부족 상태가 되며, 구면수차의 보정이 수행될 수 없다. 대구경화를 고려하는 경우, 적절한 구면수차보정이 필요하다.
양의 제2렌즈군(20)의 전체 굴절력이 조건(1)의 상한을 초과하면, 3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양의 제2렌즈군(20)에서의 수차보정은 어렵게 되며; 단초점거리단부터 장초점거리단까지 줌동작시에 수차변동 특히 코마수차는 보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작은 F값을 갖는 대구경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 서,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에서 구면수차가 크게 발생한다.
구면수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에 의해 조건(2)를 만족하기 위한 샤프팩터를 상술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09
값이 조건(2)의 상한 또는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양의 제2렌즈군(20)에서 발생하는 구면수차는 충분히 보정될 수 없다.
조건(3)은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에 대한 양의 제2렌즈군(20)의 상측 양의 렌즈와 음의 렌즈의 합성초점거리(음의 굴절력)의 비를 상술한다.
접합렌즈의 음의 굴절력이 조건(3)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양의 제2렌즈군(20)에서 발생하는 수차를 보정하는 양의 제2렌즈군(20)의 음의 발산성분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구면수차는 보정부족 상태이다.
접합렌즈의 음의 굴절력이 조건(3)의 하한을 초과하는 경우, 양의 제2렌즈군(20)의 음의 발산성분은 매우 강해진다. 결과적으로 구면수차는 과잉보정 된다.
조건(4)는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상술한다.
대구경 렌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구면수차의 보정에 있어서,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유리재가 조건(4)의 하한을 초과하는 경우, 양의 제2렌즈군(20)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곡률반경은 매우 작게 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구면수차는 보정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조건(5)는 음의 제1렌즈군(10)을 구성하는 렌즈의 굴절률의 평균치를 상술한다. 음의 제1렌즈군(10)의 유리재의 굴절률이 조건(5)의 하한을 초과하는 경우, 특히 왜곡수차는 보정될 수 없다.
조건(6)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며 서로 접합된 양의 렌즈와 음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양의 제3렌즈군(30)과 관련이 있다.
접합 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이 조건(6)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특히 단초점거리단에서 축상 색수차 및 배율색수차는 보정부족이다. 접합 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이 조건(6)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축상 색수차 및 배율색수차는 과잉보정이다.
조건(7)은 서로 접합된 양의 렌즈(31)와 음의 렌즈(32)로 구성되는 양의 제3렌즈군(30)의 아베수를 상술한다.
양의 제3렌즈군(30)의 양의 렌즈와 음의 렌즈의 아베수의 차이가 조건(7)의 하한을 초과하면, 특히 장초점거리단 측의 포커싱시 수차변동(특히 배율색수차)이 발생한다.
이하 구체적인 수치실시예를 설명한다.
구면수차에 의해 나타난 색수차도(축상 색수차)에서, 실선과 두 종류의 점선은 각기 d선, g선 및 c선에 대한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배율색수차도에서, 두 종류의 점선은 각기 g선 및 c선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내며; 반면, 기저축으로서의 d선은 세로좌표와 일치한다.
비점수차도에서, S는 사지탈(sagittal)상을 나타내며, M은 메리디오 날(meridional)상을 나타낸다.
표에서, FNo.는 F값, f는 전체 줌 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 W는 반화각(°), fB는 백포커스 거리, r은 곡률반경, d는 렌즈두께 또는 렌즈간격(렌즈군), Nd는 d선의 굴절률 및 v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거리(d), F값(FNo), 초점거리(f), 반화각(W) 및 백포커스 거리(fB)는 단초점거리단, 중초점거리 및 장초점거리단의 순서로 표시된다.
상기 내용에 덧붙여, 광축에 대한 회전대칭 비구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0
c는 비구면 정점의 곡률(1/r);
y는 광축으로부터의 거리;
K는 원추계수;
A4는 4차 비구면 계수;
A6는 6차 비구면 계수;
A8는 8차 비구면 계수; 및
A10는 10차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구성을 나타낸다. 도2A 내지 2D는 도1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3A 내지 3D는 도1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중초점거리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4A 내지 4D는 도1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표1은 제1실시예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다.
음의 제1렌즈군(10)(제1면 내지 6면)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11), 음의 렌즈(12) 및 양의 렌즈(13)를 포함한다.
양의 제2렌즈군(20)(제7면 내지 11면)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21), 양의 렌즈(22) 및 음의 렌즈(23)를 포함한다. 상측의 양의 렌즈(22)와 음의 렌즈(23)은 서로 접합되어 접합렌즈를 구성한다.
양의 제3렌즈군(30)(제12면 내지 14면)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31)와 음의 렌즈(32)로 구성되며 상기 양의 렌즈(31) 및 음의 렌즈(32)는 서로 접합된다.
CG는 커버글래스(제15면 및 16면)를 의미한다.
조리개(S)는 양의 제2렌즈군(20)(제7면)의 (물체측) 전방에 0.90 제공된다.
[표1]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1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2
* 표시는 광축에 대한 회전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
비구면 데이터(표시되지 않은 비구면계수는 0(0.00)이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3
[제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구성을 나타낸다. 도6A 내지 6D는 도5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7A 내지 7D는 도5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중초점거리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8A 내지 8D는 도5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표2은 제2실시예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기본 렌즈구성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조리개(S)는 양의 제2렌즈군(20)(제7면)의 (물체측) 전방에 0.90 제공된다.
[표2]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4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5
* 표시는 광축에 대한 회전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
비구면 데이터(표시되지 않은 비구면계수는 0(0.00)이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6
[제3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구성을 나타낸다. 도10A 내지 10D는 도9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11A 내지 11D는 도9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중초점거리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도12A 내지 12D는 도9에서 도시된 렌즈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발생을 나타낸다.
표3은 제3실시예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다.
제3실시예의 기본 렌즈구성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조리개(S)는 양의 제2렌즈군(20)(제7면)의 (물체측) 전방에 0.90 제공된다.
[표3]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7
* 표시는 광축에 대한 회전대칭 비구면을 나타낸다.
비구면 데이터(표시되지 않은 비구면계수는 0(0.00)이다.):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8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각 조건별 수치값은 표4에 기재되어 있다.
[표4]
Figure 112008038790795-PAT00019
표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조건(1) 내지 (7)을 만족한다. 또한, 수차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러 가지 수차를 적절하게 보정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아래의 특징을 갖는 3개의 렌즈군(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제1렌즈군,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의 줌 렌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렌즈 군에서의 렌즈구성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단초점거리단에서의 F값은 대략 2 정도로 충분히 작으며;
전체 줌 렌즈 시스템은 소형이며;
고화소에 대응가능한 고광학성능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가시적인 변경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수정은 본 발명 청구항의 범위 및 목적 내의 범위에서 가능하다. 상기 기재된 모든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며, 도면은 아래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2A, 2B, 2C 및 2D는 도1에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3A, 3B, 3C 및 3D는 도1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중간초점거리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4A, 4B, 4C 및 4D는 도1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 구성도을 나타낸다.
도6A, 6B, 6C 및 6D는 도5에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7A, 7B, 7C 및 7D는 도5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중간초점거리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8A, 8B, 8C 및 8D는 도5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줌 렌즈 시스템의 렌즈 구성도을 나타낸다.
도10A, 10B, 10C 및 10D는 도9에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단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11A, 11B, 11C 및 11D는 도9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중간초점거리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12A, 12B, 12C 및 12D는 도9에서 도시된 렌즈 구성에 있어서 장초점거리단에서의 수차 발생을 나타낸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간이이동도를 나타낸다.

Claims (7)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제1렌즈군, 양의 제2렌즈군 및 양의 제3렌즈군을 포함하는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의 제1렌즈군, 상기 양의 제2렌즈군 및 상기 양의 제3렌즈군 각각은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줌동작을 행하고;
    상기 음의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렌즈, 음의 렌즈 및 양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양의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양의 렌즈와 상기 음의 렌즈의 합성 굴절력은 음의 값을 가지고, 상기 상측 양의 렌즈와 상기 음의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양의 제3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렌즈 및 음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양의 렌즈와 상기 음의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있고;
    f2G는 상기 양의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내며, f21은 상기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낼 때,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R21O은 상기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물체측 표면의 근축곡률반경을 나타내고, R21I는 상기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상측 표면의 근축곡률반경을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f22 -23(<0)은 상기 양의 제2렌즈군의 접합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나타내고, f21은 상기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nd21은 상기 양의 제2렌즈군 중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양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n1GA .V.은 상기 음의 제1렌즈군을 구성하는 상기 렌즈의 굴절률의 평균치를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4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fc는 rc /|ndp - ndn| 로 정의되고, rc는 양의 제3렌즈군의 접합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며, ndp는 양의 제3렌즈군의 양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dn은 양의 제3렌즈군의 음의 렌즈의 d선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f3G는 양의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vdp는 상기 양의 제3렌즈군의 상기 양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내고, vdn은 상기 양의 제3렌즈군의 상기 음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낼 때, 하기 조건식:
    Figure 112008038790795-PAT0002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KR1020080050573A 2007-05-30 2008-05-30 줌 렌즈 시스템 KR20080106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2992A JP5058679B2 (ja) 2007-05-30 2007-05-30 ズームレンズ系
JPJP-P-2007-00142992 200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076A true KR20080106076A (ko) 2008-12-04

Family

ID=400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573A KR20080106076A (ko) 2007-05-30 2008-05-30 줌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8953B2 (ko)
JP (1) JP5058679B2 (ko)
KR (1) KR20080106076A (ko)
CN (1) CN101315459B (ko)
TW (1) TW2009148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8000B2 (ja) * 2009-02-02 2014-05-1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高変倍ズームレンズ系
JP5325021B2 (ja) * 2009-05-20 2013-10-23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2011028238A (ja) * 2009-06-30 2011-02-10 Hoya Corp ズームレンズ系
KR101660839B1 (ko) 2009-09-09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5653165B2 (ja) * 2009-12-22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6643113B2 (ja) * 2016-01-28 2020-02-12 ナンチャン オー−フィルム オプティカル−エレクトロニック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TWI636279B (zh) * 2017-08-18 2018-09-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光學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369801B1 (ko) 2017-08-21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CN111856729A (zh) * 2020-08-20 2020-10-30 江西特莱斯光学有限公司 一种广角镜头及包含该镜头的摄像设备
CN114859634A (zh) * 2021-02-04 2022-08-05 深圳铭栋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转向投影镜头的光路结构组件
CN112904543A (zh) * 2021-03-24 2021-06-04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一种变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964A (en) * 1996-03-20 1998-11-10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perspirant stick composition
JP3652179B2 (ja) 1999-08-31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6498687B1 (en) * 1999-10-06 2002-12-24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156775B2 (ja) 2000-05-09 2008-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光学系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2267930A (ja) * 2001-03-08 2002-09-18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
JP3709148B2 (ja) * 2001-03-19 2005-10-1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4147786B2 (ja) 2001-04-23 2008-09-10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US7106520B2 (en) * 2003-05-06 2006-09-12 Pentax Corporation Wide-angle zoom lens system
US7206138B2 (en) * 2003-08-28 2007-04-17 Olympus Corporation Zoom lens, and electronic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2005070697A (ja) 2003-08-28 2005-03-17 Olympus Corp 3群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4503957B2 (ja) 2003-08-28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3群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2005077770A (ja) * 2003-09-01 2005-03-24 Pentax Corp 変倍光学系
JP4374224B2 (ja) * 2003-09-16 2009-12-02 Hoya株式会社 広角を包括するズームレンズ系
JP2006126418A (ja) 2004-10-28 2006-05-18 Nidec Copal Corp ズームレンズ
JP4777022B2 (ja) * 2005-08-30 2011-09-21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4751732B2 (ja) * 2006-02-10 2011-08-17 Hoya株式会社 望遠ズームレンズ系
JP4890090B2 (ja) * 2006-05-10 2012-03-07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58679B2 (ja) 2012-10-24
CN101315459A (zh) 2008-12-03
US7538953B2 (en) 2009-05-26
TW200914867A (en) 2009-04-01
CN101315459B (zh) 2011-11-16
JP2008298924A (ja) 2008-12-11
US20080297914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9148B2 (ja) ズームレンズ系
KR20080106076A (ko) 줌 렌즈 시스템
JP5455572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070109892A (ko) 줌렌즈계
JP4950608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495654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5893959B2 (ja) ズームレンズ
JP5774055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7146588A (ja) ズームレンズ系、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7223755A (ja) 撮像光学系
CN107688226B (zh) 变焦镜头
JP2009086416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6745430B2 (ja)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
JP2007164157A (ja)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08039838A (ja)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09251433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708734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RU2602406C2 (ru) Вариообъектив,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ообъектива
JP4240950B2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627186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1164517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838899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585796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86619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6716215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