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247A -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247A
KR20080100247A KR1020087021872A KR20087021872A KR20080100247A KR 20080100247 A KR20080100247 A KR 20080100247A KR 1020087021872 A KR1020087021872 A KR 1020087021872A KR 20087021872 A KR20087021872 A KR 20087021872A KR 20080100247 A KR20080100247 A KR 2008010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ommand
detection
air conditioner
indoor units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550B1 (ko
Inventor
야스아끼 미야바
도오루 구보
히사시 스미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드레스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더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는, 시리얼 번호의 제1의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하고, 당해 검출 명령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 제1의 자릿수 1개 전인 제2의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즉, 시리얼 번호의 최초 자릿수로 복귀되는 일없이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에 관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할 때에, 실내기(21 내지 24)에 있어서의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더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 실외기, 실내기, 리모콘, 통신 라인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AIR CONDITIONER AND ADDRESS SETTING METHOD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실내기에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실내기에 대해 1대의 실외기가 제어를 행하는 경우, 각 실내기에 대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복수의 실내기에 대해 1대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종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외기 혹은 리모콘이 각 실내기에 고유의 시리얼 번호를 자릿수마다 요구하고, 실내기는 요구된 자릿수의 숫자를 응답하여 시리얼 번호를 검출하고, 당해 시리얼 번호를 갖는 실내기에 어드레스 설정을 행하고 있었다.
어드레스 설정 도중에, 예를 들어 노이즈, 링잉(ringing) 등에 의해 시리얼 번호의 소정의 자릿수를 요구하는 명령을 실내기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고, 어드레스 설정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게 되면, 최초 자릿수로 복귀되어 시리얼 번호를 다시 검출함으로써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하고 있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에 관한 기술은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노이즈에 의한 수신 이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펄스 신호의 전체 시간과 low 시간을 검출하여, 각각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시작 비트 신호를 검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19644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5729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7446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81592호 공보
그러나, 종래 공기 조화기에서는 어드레스 설정 도중에, 예를 들어 노이즈, 링잉 등의 신호의 혼란에 의한 수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최초 자릿수로 복귀되어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호의 혼란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 도중에 같은 수신 이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드레스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어드레스 설정을 더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1 실시 형태는, 1개의 제어부(10, 30)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통신 라인(40, 50)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용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운전 제어가 행해지는 공기 조화기(100)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의 자릿수 1개분을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상기 자릿수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소정 순서로 송신하여 상기 식별 번호를 검출하는 식별 번호 검출부(11a)와,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식별 번호를 갖는 상기 실내기에 상기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부(11b)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검출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검출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번호의 상기 자릿수를 포함하는 응답의 송신을,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행하는 송수신부(212a, 212b)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1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同報)로 송신하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로 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식별 번호의 동일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1 검출 명령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3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설정 변경부(11c)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이며,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후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5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가 상기 소정 순서의 최초의 상기 자릿수이며, 또한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만, 상기 설정 변경부는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후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6 실시 형태는 제3 내지 제5 실시 형태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은, 1개의 제어부(10, 30)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통신 라인(40, 50)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용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운전 제어가 행해지는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의 자릿수 1개분을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상기 자릿수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소정 순서로 송신하여 상기 식별 번호를 검출하는 식별 번호 검출부(11a)와,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1개의 식별 번호를 갖는 상기 실내기에 상기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부(11b)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검출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검출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번호의 상기 자릿수를 포함하는 응답의 송신을,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행하는 송수신부(212a, 212b)를 구비하고, (a) 상기 식별 번호의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1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과, (b)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로 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상기 스텝 (a)는, 상기 식별 번호의 동일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1 검출 명령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스텝 (b)는, 상기 소정의 횟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하여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3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c-1) 상기 스텝 (a) 및 상기 스텝 (b) 사이에서 실행되고,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더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4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c-2) 상기 스텝 (a) 및 스텝 (b) 사이에서 실행되고,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가 상기 소정 순서의 최초의 상기 자릿수이며, 또한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만,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더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5 실시 형태는 제3 또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상기 스텝 (c-1) 또는 상기 스텝 (c-2)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1 실시 형태 또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기에 있어서의 검출 명령의 수신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2 실시 형태 또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기의 무응답에 대응하여 동일한 검출 명령을 송신하여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행하므로,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기가 검출 명령을 인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을 더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4 실시 형태 또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기가 검출 명령을 인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더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5 실시 형태 또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제6 실시 형태 또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작 비트 신호의 노이즈, 링잉에 의존하는 검출 명령의 수신 이상을 회피하여 어드레스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실외기, 실내기의 내부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는 정상적인 어드레스 설정에 있어서 실외기의 검출 명령과 실내기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문제가 발생한 경우의 어드레스 설정에 있어서 실외기의 검출 명령과 실내기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검출 명령의 신호(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도를 도1에 도시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00)는 1대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와, 리모콘(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10)와 각 실내기(21 내지 24)는 통신 라인(40)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리모콘(30) 과 각 실내기(21 내지 24)는 통신 라인(50)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외기(10)는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의 각각에 대해 압축기나 팬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 운전에 앞서 자동적으로 각 실내기에 대해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리모콘(30)도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의 각각에 대해 풍향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 운전에 앞서 자동적으로 각 실내기에 대해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리모콘(30) 및 실외기(10)가 행하는 어드레스 설정의 설명은 중복되기 때문에,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0)가 어드레스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도1의 실외기(10)와 실내기(21)의 내부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외기(10)는 CPU(11)와, 기록부(13)와, 송신부(12a)와, 수신부(12b)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21)는 CPU(211)와, 기록부(213)와, 송신부(212a)와, 수신부(212b)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부(13, 213)에는 실외기나 각 실내기 각각의 제조시에 부여되는 고유의 시리얼 번호(식별 번호)나 통신을 위해 설정되는 통신용 어드레스 등이 저장된다.
CPU(11)는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와, 어드레스 설정부(11b)와, 설정 변경부(11c)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CPU(11)는 물리적으로 이들 구성 요소로 구분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들이 담당하는 기능을 CPU(11) 전체가 감당해도 좋다. 시 리얼 번호 검출부(11a)는 시리얼 번호의 소정의 자릿수 1개분을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자릿수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소정 순서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하여 시리얼 번호를 검출한다. 어드레스 설정부(11b)는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에 의해 검출된 시리얼 번호를 갖는 실내기에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설정 변경부(11c)는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또한, 검출 명령을 검출하는 방법의 변경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211)는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로부터 수신부(212b)를 통해 검출 명령을 수신하면, 검출 명령에 대응하는 시리얼 번호의 자릿수를 송신부(212a)를 통해 응답한다. 또한, 설정 변경부(11c)로부터 수신부(212b)를 통해 변경 명령을 수신하면,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한다.
계속해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각 실내기(21 내지 24)에 부여된 시리얼 번호는 4자릿수로 이루어지고, 그 시리얼 번호를 작은 순서대로 검출하여, 각각에 통신용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3은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시의 CPU(11, 211)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4, 도5는 실외기(10)의 검출 명령 및 실내기(21 내지 24)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정상 동작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 동작이고, 도5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어드레스 설정의 동작이다.
우선,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기(10)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또한, 실내기(21, 22)의 시리얼 번호는 각각 1354, 2468로 하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 실내기(23, 24)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검출 명령을 수신한 실내기(21, 22)는 각각 자기의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응답한다. 실외기(10)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실내기(21, 22)로부터의 응답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로 결정한다.
다음에, 실외기(10)는 검출해야 할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인 것을 지정한 후,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2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22)에 동보로 송신한다.
검출 명령을 수신한 실내기(21, 22) 중, 실내기(22)는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이 아니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고, 실내기(21)만이 3을 응답한다. 실외기(10)는 검출해야 할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2번째 자릿수를 3으로 결정한다.
다음에, 실외기(10)는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3인 것을 지정한 후,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3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22)에 동보로 송신하고, 이후, 같은 동작에 의해 실내기(21)의 시리얼 번호 1354를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실외기(10)는 검출한 시리얼 번호 1354를 갖는 실내기(21)에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상기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CPU(11, 211)는 도3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을 실행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는 요구하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를 나타내는 N을 1로 초기화하고, 후술하는 반복 횟수(M)를 0으로 초기화한다. 또한,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라 함은, N = 1일 때 시리얼 번호의 4째 자릿수, N = 2일 때 시리얼 번호의 3째 자릿수, N = 3일 때 시리얼 번호의 2째 자릿수, N = 4일 때 시리얼 번호의 1째 자릿수를 각각 의미한다.
스텝 S2에서, 시리얼 번호 검출부(11a)는, 이미 결정한 시리얼 번호의 N-1 번째 이하의 자릿수를 지정한 후,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N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단, N = 1인 경우, 검출해야 할 시리얼 번호에 대한 정보는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자릿수의 지정은 행하지 않는다.
스텝 S3에서,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4)로부터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N번째 자릿수의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이 있었던 경우는, 스텝 S4에서,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N번째 자릿수를 실내기(21 내지 24)로부터의 응답 중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한다.
스텝 S5에서, 요구하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에 1을 가산하여 갱신하고, 후술하는 반복 횟수(M)를 0으로 초기화한다.
스텝 S6에서, 요구하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가 4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4보다도 작을 때에는 스텝 S2로 복귀되고, 스텝 S2 내지 S7을 거쳐 시리얼 번호의 다음 자릿수를 결정한다. 4보다도 클 때에는 시리얼 번 호의 모든 자릿수를 결정한 것으로 하여, 스텝 S7에서 어드레스 설정부(11b)는 검출한 시리얼 번호를 갖는 실내기에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스텝 S8에서, 모든 실내기(21 내지 24)에 통신용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모든 실내기(21 내지 24)에 통신용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통상 운전을 개시한다. 모든 실내기(21 내지 24)에 통신용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로 복귀되어 다시 시리얼 번호를 검출한다. 또한, 이미 통신용 어드레스가 설정된 실내기는 시리얼 번호를 회신하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가 정상 동작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의 동작이다[파선 1로 둘러싸인 처리]. 그러나, 예를 들어 스텝 S2에서 실외기(10)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명령의 신호가 노이즈, 링잉 등에 의해 혼란해지면, 실내기(21 내지 24)는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고, 따라서 정상적인 응답을 실외기(10)에 송신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데이터)를 도6의 (a)에 예시한다. 검출 명령은 데이터 비트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와, 시작 비트 신호 후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CPU(211)는 신호의 상승으로부터 하강까지의 폭을 검출하고, 기준값과 비교하여 시작 비트 신호를 검출한다. 그러나, 도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신호를 구성하는 시작 비트 신호에 노이즈나 링잉 등이 발생하면, CPU(211)는 시작 비트 신호를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없어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검출 명령의 신호의 혼란에 기인한 어드레스 설정의 문제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4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1, 22)의 시리얼 번호는 각각 1354, 2468로 하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 실내기(23, 24)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실내기(21 내지 24) 중 실내기(22)가 상기 신호의 혼란에 의해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우선, 실외기(10)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검출 명령을 수신한 실내기(21, 22)는, 각각 자기의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응답한다. 실외기(10)는 검출해야 할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를 실내기(21, 22)에 의한 응답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로 결정한다.
다음에,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인 것을 지정한 후,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2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22)에 동보로 송신한다.
검출 명령을 수신한 실내기(21)는 3을 응답한다. 한편, 노이즈에 의해 실내기(22)가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으면, 예를 들어 CPU(211)는 실외기(10)가 최초 자릿수에 대한 응답을 계속 대기하고 있다고 오판단하여, 송신 완료된 자릿수 2를 다시 회신한다. 그러면, 실외기(10)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2번째 자릿수를 실내기(21, 22)에 의한 응답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2로 결정한다.
다음에,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2인 것을 지정한 후,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 3번째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22)에 동보로 송신한다.
그러나, 시리얼 번호의 최초가 12인 실내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후 실내기(21, 22)는 응답하지 않는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 동작에 의해 어드레스 설정이 중단된 경우,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도3에 나타내는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 동작[파선 2로 둘러싸인 처리]을 실행한다.
스텝 S3에서 판단한 결과, 응답이 없는 경우는 스텝 S9에서 반복 횟수(M)에 1을 가산하여 갱신한다.
스텝 S10에서, 반복 횟수(M)가 예를 들어, 8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 횟수(M)가 8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로 복귀된다. 예를 들어, 도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검출 명령의 신호의 혼란으로 일시적으로 모든 실내기(21 내지 24)가 검출 명령을 완전히 인식하지 않고 그로 인해 응답이 없는 경우, 동일한 처리(스텝 S2)를 소정의 횟수(여기서는 8회) 이하에서 반복함으로써 신속하게 정상 동작[파선 1로 둘러싸인 처리]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도5에 나타내는 문제 동작에 의해 응답이 없는 경우는, 상기 처리에서는 해결하지 않는다.
스텝 S10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 횟수(M)가 8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즉, 8회의 모든 검출 명령에 대한 응답이 없을 때에, 스텝 S11에서, 요구하는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에 1을 감산하여 갱신하고, 반복 횟수(M)를 0으로 초기화한 후, 후술하는 스텝 S12를 거쳐 스텝 S2로 복귀된다. 스텝 S2에서, 시리얼 번호의 1개 전의 자릿수를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한다.
즉, 예를 들어 잘못된 응답에 기인하는 어드레스 설정의 문제에 대해서는, 최초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하는 것은 아니고,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한다. 따라서, 어드레스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스텝 S12에서, 설정 변경부(11c)는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에 동보로 송신하여, 스텝 S2로 복귀된다. CPU(211)는 계속적인 노이즈, 링잉 등에 의해 혼란해진 검출 명령을 더 확실하게 정상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이하와 같이 변경한다.
즉,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킨다. 예를 들어, 신호의 상승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포함되는 신호의 액티브 기간을 검출하여,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시작 비트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노이즈, 링잉 등에 의한 검출 명령의 오인식을 억제할 수 있어 더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어드레스 설정 도중에, 검출 명령의 오인식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시리얼 번호의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여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실행하기 때문에 노이즈, 링잉 등이 발생해도 정상적으로 검출 명령을 인식하기 쉬워져 더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은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다.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이 시장에 있어서 실적이 있는 경우, 통상 당해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안일하게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8회의 모든 검출 명령에 대한 실내기(21 내지 24)로부터의 응답이 없을 때에,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지 않고 시리얼 번호의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하고, 시리얼 번호의 최초 자릿수까지 복귀되어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할 때에만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 동작을 도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어드레스 설정 동작과 다른 점은, 스텝 S11과 스텝 S12 사이에서 스텝 S13이 실행되는 점이다.
스텝 S11에서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에 1을 감산하여 갱신하고, 스텝 S13에서 시리얼 번호의 좌측으로부터의 자릿수 위치(N)가 1인지 여 부를 판단한다.
스텝 S13에서 판단한 결과, 1이 아니면 스텝 S2로 복귀되고, 1이면 스텝 S12를 거쳐 스텝 S2로 복귀된다.
즉, 예를 들어 돌발적인 검출 명령의 신호의 혼란에 의해 일시적으로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 불량이 발생한 경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일없이 1개 전의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정상적으로 다시 할 수 있고, 계속적인 검출 명령의 신호의 혼란에 의해 계속적으로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검출 명령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 불량이 발생한 경우는, 최초 자릿수로부터 어드레스 설정을 다시 할 때에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여 확실하게 어드레스 설정의 재시도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리얼 번호의 자릿수를 10진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2진법이라도 상관없다. 즉, 실외기는 실내기의 시리얼 번호를 비트마다 요구하는 실시 형태라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해야 할 시리얼 번호를 좌측으로부터 1번째 자릿수로부터 1자릿수씩 순서대로 요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오른쪽에서 1번째 자릿수로부터라도 좋고, 도중 자릿수로부터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자릿수씩 검출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 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4)

1개의 제어부(10, 30)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통신 라인(40, 50)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용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운전 제어가 행해지는 공기 조화기(100)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의 자릿수 1개분을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상기 자릿수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소정 순서로 송신하여 상기 식별 번호를 검출하는 식별 번호 검출부(11a)와,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식별 번호를 갖는 상기 실내기에 상기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부(11b)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검출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검출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번호의 상기 자릿수를 포함하는 응답의 송신을,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행하는 송수신부(212a, 212b)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1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로 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식별 번호의 동일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1 검출 명령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설정 변경부(11c)를 더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제3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후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가 상기 소정 순서의 최초의 상기 자릿수이며, 또한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만, 상기 설정 변경부는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고, 그 후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인 공기 조화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인 공기 조화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인 공기 조화기.
1개의 제어부(10, 30)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통신 라인(40, 50)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통신용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운전 제어가 행해지는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에 고유의 식별 번호의 자릿수 1개분을 요구하는 검출 명령을, 상기 자릿수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소정 순서로 송신하여 상기 식별 번호를 검출하는 식별 번호 검출부(11a)와,
상기 식별 번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1개의 식별 번호를 갖는 상기 실내기에 상기 통신용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어드레스 설정부(11b)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검출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의 수신과, 상기 검출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 번호의 상기 자릿수를 포함하는 응답의 송신을,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행하는 송수신부(212a, 212b)를 구비하고,
(a) 상기 식별 번호의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1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과,
(b)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로 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a)는, 상기 식별 번호의 동일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1 검출 명령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스텝 (b)는, 상기 소정의 횟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소정 순서를 기초로 한 상기 제1의 상기 자릿수 1개 전인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를 요구하는 상기 제2 검출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인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c-1) 상기 스텝 (a) 및 상기 스텝 (b) 사이에서 실행되고,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더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c-2) 상기 스텝 (a) 및 스텝 (b) 사이에서 실행되고, 상기 제2의 상기 자릿수가 상기 소정 순서의 최초의 상기 자릿수이며, 또한 모든 상기 제1 검출 명령에 대한 상기 응답이 없을 때에만,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을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실내기에 동보로 송신하는 스텝을 더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c-1)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인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c-2)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변경이라 함은, 상기 검출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비트 신호의 존재 여부의 기준으로 되는 액티브 기간의 폭을 검출할 때의 시간적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인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KR1020087021872A 2006-03-09 2007-03-07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KR100990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4434 2006-03-09
JP2006064434A JP3979436B1 (ja) 2006-03-09 2006-03-09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247A true KR20080100247A (ko) 2008-11-14
KR100990550B1 KR100990550B1 (ko) 2010-10-29

Family

ID=3847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872A KR100990550B1 (ko) 2006-03-09 2007-03-07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3745B2 (ko)
EP (1) EP1992884B1 (ko)
JP (1) JP3979436B1 (ko)
KR (1) KR100990550B1 (ko)
CN (1) CN101395429B (ko)
AU (1) AU2007223202C1 (ko)
ES (1) ES2558704T3 (ko)
WO (1) WO20071025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394A1 (de) 2016-07-09 2018-01-11 Audi Ag 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019B1 (ko) * 2008-01-28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5260072B2 (ja) * 2008-02-08 2013-08-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およびアドレス設定方法
EP2237484B1 (en) * 2009-02-04 2014-12-17 Lg Electronics Inc.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32928B1 (ko) 2011-06-10 2013-02-13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자동통신 주소할당 방법
JP5382169B1 (ja) * 2012-07-06 2014-0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管理システム
CN103615789B (zh) * 2013-12-13 2015-12-09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基于室内机编组的空调集中控制方法及多联机空调系统
CN105940425B (zh) 2014-01-28 2020-11-24 株式会社派契特科宁斯 电力控制系统、方法及信息传达能力控制系统、方法
CN105737329B (zh) * 2016-02-01 2019-07-12 深圳创维空调科技有限公司 空调设备的地址分配方法及装置
CH713392A1 (de) * 2017-01-30 2018-07-31 Clean Air Entpr Ag Steuerelektronik für mehrere Elektrofilter.
CN110296503B (zh) * 2019-05-10 2021-04-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自动分配地址的方法、空调系统
CN111077813B (zh) * 2019-09-26 2021-04-27 深圳市东深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大坝安全监测数据自动采集系统及方法
CN111397161B (zh) * 2020-03-16 2022-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内机编号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319B2 (ja) * 1988-02-17 1995-05-01 ニッタン株式会社 端末器
NL9100354A (nl) * 1991-02-27 1992-09-16 Philips Nv Systeem voor het instellen van omgevingsparameters.
JP2692467B2 (ja) * 1991-12-09 1997-12-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の電力供給装置
JP2650542B2 (ja) * 1991-12-16 1997-09-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3113422B2 (ja) * 1992-11-11 2000-11-2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自動設定方式
JP3022013B2 (ja) 1992-12-14 2000-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遠隔制御装置
SG69967A1 (en) * 1993-04-28 2000-01-25 Daikin Ind Ltd Driving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2667950B2 (ja) * 1993-09-20 1997-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そのアドレス設定方法
US5853123A (en) * 1994-10-19 1998-12-29 Daikin Industries, Lt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air conditioner
CN1106541C (zh) * 1995-11-17 2003-04-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JP3379357B2 (ja) 1995-11-17 2003-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機
JP2801577B2 (ja) 1996-03-12 1998-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装置
JP3136130B2 (ja) 1998-06-23 2001-02-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小型汎用エンジンのマフラ
JP3230494B2 (ja) 1998-09-03 2001-11-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JP3206595B2 (ja) * 1999-09-27 2001-09-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伝送装置
JP3674840B2 (ja) * 2000-11-28 2005-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スタ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2349B1 (ko) * 2001-10-15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셋팅방법
EP1302728B1 (en) * 2001-10-15 2006-04-1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183433B2 (ja) 2001-11-30 2008-1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設置場所名伝送方式空調装置、空調装置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空調装置アドレス設定プログラム
EP1536572A1 (en) * 2003-11-26 2005-06-01 ADS Enterprises NZ Lt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KR100633666B1 (ko) * 2004-02-25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40851B1 (ko) * 2004-12-0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394A1 (de) 2016-07-09 2018-01-11 Audi Ag 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23202B2 (en) 2010-08-19
AU2007223202C1 (en) 2015-11-26
US8063745B2 (en) 2011-11-22
EP1992884A4 (en) 2013-10-30
JP2007240084A (ja) 2007-09-20
US20090118867A1 (en) 2009-05-07
WO2007102542A1 (ja) 2007-09-13
AU2007223202A1 (en) 2007-09-13
ES2558704T3 (es) 2016-02-08
CN101395429A (zh) 2009-03-25
EP1992884B1 (en) 2015-10-28
JP3979436B1 (ja) 2007-09-19
EP1992884A1 (en) 2008-11-19
KR100990550B1 (ko) 2010-10-29
CN101395429B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50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설정 방법
US2003008579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ctiva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KR920010852B1 (ko) 근거리 통신망에서 결함이 있는 국의 국소화 방법
US8799520B2 (en) Controller area network (CAN) bus device wherein excusive identifiers of the station is used to both detect for errors and determine whether message is relevant to the station
US20170034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nd semiautomated configuration of facility automation and control equipment
US115441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6161188A (ja) 空気調和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617331B2 (en) System and method of double address detection
KR100916665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323239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誤り制御防止方式
JP2008286461A (ja) 空気調和機
JP2008096080A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JP2007218449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CN1059613A (zh) 防灾监控系统和防灾监控方法
JP2007003083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設定方法
JP2007043680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H0715769A (ja) 空気調和機のグループ制御アドレス設定装置
JPH0721287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受信装置
JPH05244170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7193587A (ja) 通信システム
JPH04119035A (ja) データ転送装置
JPH0563714A (ja) 設定ミス端末の検出可能なマルチドロツプ伝送システム
JP2008121947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JPH03283861A (ja) メッセージ転送試験方法
JPH09154185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衝突回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