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388A -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388A
KR20080086388A KR1020080026216A KR20080026216A KR20080086388A KR 20080086388 A KR20080086388 A KR 20080086388A KR 1020080026216 A KR1020080026216 A KR 1020080026216A KR 20080026216 A KR20080026216 A KR 20080026216A KR 20080086388 A KR20080086388 A KR 2008008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pport rod
winding shaft
roller blin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멜프 한젠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8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3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자유 단부가 인장 로드와 연결되는 블라인드 차양부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가 풀리고 감길 때 상기 인장 로드를 안내하기 위해, 힌지 링크를 통해 상기 인장 로드와 연결되는 지지 로드가 제공된다.
인장 로드, 지지 로드, 스프링 모터, 가이드 레일

Description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SIDE WINDOW ROLLER BLIND WITH HINGED PULL ROD AND RECTANGULAR SUPPORT ROD}
본 발명은 케이블 구동기를 포함하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서, 요즘은 블라인드 차양부(shade)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들을 최대한 숨기는 추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된, 윈도우의 직사각형 부분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들이 가이드- 또는 지지 로드들로 대체되어야 한다. 롤러 블라인드가 풀리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 로드들이 블라인드 차양부의 자유 에지에 장착되는 인장 로드를 지지한다. 이로써, 지지 로드들은 2 개의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즉, 인장 로드가 윈도우 상에 유지되게 상기 인장 로드를 가이드 하는 것과, 블라인드 차양부가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풀려 팽팽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추력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지지 로드(들)의 자유 상단부에 고정되는 인장 로드가 지지 로드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블라인드 차양부에 균일하게 분배하므로, 상기 블라인드 차양부가 모든 영역에서 주름 없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특히, 블라인드 차양부 내에 사선 주름이 생기면 보기에 좋지 않다. 이것은 지지 로드와 인장 로드 간의 연결부가 가지는 각도가, 블라인드 차양부가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풀릴 때 차양부의 형태로 인해 취하고자 하는 각도에 대해 오프셋되면 생길 수 있다.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도 공지된 조치에서의 문제점이다. 원추형 와인드 샤프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롤러 블라인드와 연결되어서만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선 주름이 생기지 않고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와 연결해서도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새로운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를 얻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의해 해결된다.
차량용 새로운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윈도우 하부 에지의 아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한다. 와인딩 샤프트에는 블라인드 차양부의 하나의 에지가 고정되고, 상기 블라인드 차양부는 측면 윈도우에 상응하는 윤곽을 가진다.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이격된 다른 에지에는 인장 로드가 고정된다. 도어 바디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가 종방향으로 이동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 로드는 바디로부터 윈도우 하부 에지 위로 연장된다. 지지 로드는 링크를 통해 인장 로드와 연결된다. 인장 로드는 인장 상태에 따라 지지 로드에 대해 블라인드 차양부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윈도우 하부 에지 아래에 배치되는 가이드 장치를 이용해서, 지지 로드는 주어진 각도로, 예컨대 윈도우 하부 에지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수직으로 안내된다.
구동 장치는, 적어도 와인딩 샤프트를, 블라인드 차양부가 와인딩 샤프트로 와인딩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한다.
새로운 장치에 의해, 특히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원추형 와인딩 샤프 트와 연결되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는, 윈도우 상부 에지가 윈도우 하부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지 않고, 블라인드 차양부의 감김 상태에서도 인장 로드가 윈도우 하부 에지에 대해 가능한 평행하게 진행해서 가능한 적게 눈에 띄게 해야 하는 경우 더 필요하다. 상기 방식의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형태에서, 인장 로드는 롤러 블라인드가 풀릴 때 선회운동을 한다. 지지 로드들과 인장 로드 사이에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더 큰 인장력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선회 운동이 흡수될 수 있다.
2 개의 지지 로드들이 사용되면, 상기 지지 로드들이 필요에 따라 상이한 유효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어 바디의 내부에는 가이드 장치가 전체 이동 길이에 걸쳐, 또는 일부, 즉 상부 영역에만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행정에 걸쳐 가이드 장치가 연장되면, 도어 내에서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측면 꺽임이 일어날 가능성이 제거된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장치는, 지지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인장- 또는 압축 수단을 더 간단하게 링크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비대칭 힘의 도입으로 인해, 상기 인장- 또는 압력 수단들으로부터 측면 힘이 항상 자연히 생기기 때문이다.
하나의 지지 로드만을 사용하면, 상기 지지 로드가 원형이 아닌 형태, 예컨대 직사각형 횡단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지지 로드는, 가이드 장치 내로 토크를 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반대로 보면, 인장 로드가 지지 로드와 함께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선회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공지된 조치들이 고려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수동 작동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와인딩 샤프트가 스프링 모터에 의해 블라인드 차양부의 감김 방향으로 작동된다. 전기 시스템도 고려될 수 있는데, 와인딩 샤프트 또는 지지 로드(들)이 선택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운동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작동 위치에서 블라인드 차양부가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다른 부재가 스프링 모터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하기 설명에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관점들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당업자는 설명되지 않는 다른 세부 사항을 설명을 보충한다는 점에서 도면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당연히, 일련의 변형이 가능하다.
하기 도면이 꼭 척도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 세부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영역들이 크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이 의도적으로 간단화되고, 실시예에서 경우에 따라 주어지는 모든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용어들, 상부 및 하부, 또는 전방 및 후방은 표준 조립 위치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차량의 전문 용어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선 주름 없이 팽팽하게 유지되고 와인딩 샤프트와 연결해서도 사용 가능한, 새로운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달성된다.
도 1에는 승용차의 뒷좌석 영역이 도시된다. 도면은 좌측 내부면과 좌우 대칭인(mirror symmetric) 우측 내부면을 바라본 것이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우측 차체 측면에 대한 설명이 좌측 차량 측면에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도면은 간단하게 도시되며, 예컨대 보강부 및 고정 수단과 같은 차체 내부 구조가 도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이들의 도시가 본 발명의 이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시된 차체 부분(1)은 루프(2)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로부터, 측면으로 C-칼럼(3)이 도시되지 않은 바닥 그룹 방향으로 아래로 연장된다. 상응하는 C-칼럼이 차량의 도시되지 않은 측면에도 있을 것이다. C-칼럼(3)은 라이닝(lining)(4)을 가지는 내부면에 제공된다.
루프(2)는 후부 에지에서 리어 윈도우(5)로 이행하고, 상기 리어 윈도우는 상부 면에서 윈도우 상부 에지(6)에 의해 제한된다. 서로 좌우 대칭으로 연장하는측면 에지들 중, 코너 영역(8)에서 윈도우 상부 에지(6)로 이행하는 부분(7)만이 도시된다.
리어 윈도우(5)의 폭은 상부 에지(6)의 영역에서보다 차체의 벨트 라인의 높이에서 더 크다. C-칼럼(3) 전방에 간격을 두고 B-칼럼(9)이 위치하고, 상기 B-칼럼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후방 우측의 측면 도어(11)가 힌지방식으로 연결된다. 우측 후방의 측면 도어(11)는 윈도우 부분(12)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부분은 수직 연장부(13)에 의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부분(14) 및 거의 삼각형인 부분(15)으로 분리된다.
내부 공간에는 후방 시트면(16) 및 후방 시트 등받침(seat back)(17)을 포함하는 후방 시트(15)도 포함된다. 후방 시트면(17)은 바닥 그룹(18) 상에 놓인다.
후방 시트 등받침(17)의 후방 상부 에지와 리어 윈도우(5) 사이에 리어 윈도우 선반(19)이 연장된다.
리어 윈도우(5)에는 리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1)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 블라인드 중 블라인드 차양부(shade)(22)만이 도 1에 도시된다. 측면 윈도우들(12)의 경우에는 다른 롤러 블라인드들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사각형 윈도우 부분(14) 내에는 블라인드 차양부(22)가, 그리고 삼각형의 부분(15) 내에는 블라인드 차양부(24)가 배치된다.
도 1의 측면 도어가 도 2에 확대 도시된다. 내부 라이닝은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의 구조를 볼 수 있도록 파단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시되었듯이, 윈도우 부분의 하부면은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는 도시되지 않은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가 측면 도어(11)의 바디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는 블라인드 차양부(29)를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 차양부는 에지로 와인딩 샤프트(31)에 고정된다. 와인딩 샤프트(31)는 윈도우 하부 에지(28)의 아래에서 도어의 바디 내에 베어링 저널들(32 및 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를 위한 베어링 블록들은 편의상 도시되지 않는다.
블라인드 차양부(29)는 충분한 차양 작용을 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블라인드 차양부(29)의 윤곽은 윈도우 부분(14)의 크 기에 대략 상응한다. 블라인드 차양부(29)의 자유 단부에 인장 로드(34)가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김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인장 로드(34)용 가이드 장치로서는, 지지 로드(35)가 제공된다. 지지 로드(35)는 꺽임이 충분히 방지되게 인장 로드(34)를 지지하고 운동시킬 수 있는 횡단면이 직사각인 직선 바이다. 지지 로드(35)의 넓은 면은 윈도우의 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지지 로드(35)의 상단부는 힌지 링크(36)를 통해 인장 로드(34)와 내인장성 및 내압축성으로 연결된다. 힌지 링크(36)에는 지지 로드(35) 내에 포함되는 보어(37)가 포함되고, 상기 보어는 인장 로드(34) 내의 보어(38)과 일렬로 놓인다. 상기 2 개의 보어들을 통해 예컨대 리벳 형태의 볼트(39)가 안내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2 개의 부품들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힌지 링크가 생성되고, 그 축은 인장된 블라인드 차양부(29)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수직으로 놓인다. 인장 로드(34)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블라인드 차양부(29) 내에서 힌지 링크(36)의 좌측 및 우측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하도록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사선 주름을 수반하게 되는 블라인드 차양부(29) 내의 한 측면의 인장이 방지된다.
지지 로드(35)가 가이드 레일(40) 내에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도어 바디 내에 지지되고 윈도우 하부 에지(28) 위로 연장하지않는다.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지지 로드(35)가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슬라이딩 안내된다. 지지 로드(35)의 길이는 하기 기능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도어 바디 내에서 가이드 레이들(40)이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으로만 연장할 필요는 없다; 가이드 레일은 도어의 진행에 따르기 위해, 예컨대 차량 축선에 대해 평행한 축선에 따라 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듯이, 가이드 레일(40)이 언더 컷된 가이드 홈(41)을 포함한다. 홈의 프로파일은 직사각형 홈 챔버(42) 및 직사각의 홈 슬롯(43)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 슬롯의 폭은 홈 챔버(42)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써 언더컷된 구조가 얻어진다.
홈 챔버(42)의 직경은 그 안에 안내되는 지지 로드(35)의 횡단면에 상응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지지 로드(35)의 하단부와 클립(45)이 연결되고, 상기 클립은 슬롯(43)을 통해 외부로 돌출한다.
지지 로드(35)는 고유 스프링 모터(46)에 의해 풀린 위치로 예비 인장된다. 스프링 모터들(46)는 윈도우 하부 에지(28)의 바로 아래에 놓인다. 도 2에는 모터가 와인딩 샤프트(31) 아래에 도시된다. 행정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 설명에서 제시된다.
스프링 모터(46)의 내부 구성은 도 4의 분해도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스프링 모터(46)는 외부 스프링 단부(49) 및 내부 스프링 단부(51)를 가지는 판 스프링으로서 구현되는 나선 스프링(48)을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 모터(46)는 덮개(53)를 가지는 스프링 모터 하우징(52)을 포함한다. 하우징(52)은 컵 형태로 설계되고, 실린더형 하우징 벽(54)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실린더형 내부 공간(55)을 원주 방향으로 제한한다. 하우징 벽(54)에는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부(56)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외부 스프링 단부(59)가 개구(57)와 포지티브 결합 방식으로 맞물린다. 벽(54)에는 측면 벽(58)이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측면 벽은 벽(54)의 외주면(59)을 지나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다.
덮개(53)는 벽(58)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도시되지 않은 후크 수단에 의해 벽(54)과 맞물리거나 고정된다. 벽(58) 또는 덮개(53)의 중심을 통해, 축(63)을 위한 지지 보어(61, 62)가 연장된다. 축(63)은 실린더형 부분(64) 및 나사 부분(65)으로 구성된다. 실린더형 부분(64)은, 내부 스프링 단부(51)의 개구(57)와의 맞물림을 위해 배치되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즈(nose)(66)를 지지한다. 도시되지 않은 보호- 또는 지지링은 하우징(52)을 축의 부분(64) 상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게 한다. 나사 부분(65)은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도어 바디 내의 콘솔 상에 축(63)을 나사 결합한다.
하우징(52)은 외부 방향으로 그 위에 높인 덮개(53)와 함께 외주면(59)으로 형성되는 실린더형 외주면 및 바닥을 가지는 플랜지 풀리(flanged pulley)를 형성한다. 상기 외주면에는 직물 테이프로서 구현되는 인장 밴드(67)의 하나의 단부가 고정된다. 밴드(67)의 다른 단부는 예컨대 리벳(68)에 의해 클립(45)과 연결된다.
끝으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는 또한 기어 모터 장치(7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모터 장치는 출력 기어(71)를 통해 기어(72)를 구동하고, 상기 기어는 와인딩 샤프트(31)와 동축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의 기능은 하기와 같다:
감긴 상태에서, 블라인드 차양부(29)는 인장 로드(34)의 상부 면 또는 상부 에지가 윈도우 하부 에지(28)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될 정도로 와인딩 샤프트(31)에 감긴다. 상기 위치에서 지지 로드(35)는 그 최대 삽입 깊이를 가진다. 이것은 인장 밴드(67)가 스프링 모터(46)에 의해 최대로 풀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어 모터(70)의 자동 록킹 작용은, 스프링 모터(46)가 블라인드 차양부(29)를 와인딩 샤프트(31)로부터 푸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70)가 스위칭 오프되어 있으면,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는 도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를 풀고자 하면, 사용자는 기어 모터(70)를 상응하게 작동시킨다. 이로써, 와인딩 샤프트(31)는 블라인드 차양부(29)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블라인드 차양부(29)가 와인딩 샤프트(31)로부터 풀리는 정도에 따라, 스프링 모터(46)는 지지 로드(35)를 통해 인장 로드(34)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한 이유는, 스프링 모터(46)가 인장 밴드(67)를 통해, 지지 로드(35)의 하단부를 윈도우 하부 에지(28) 방향으로,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이동시키려고 하기 때문이다.
블라인드 차양부(29)가 완전히 풀리면, 즉 인장 로드(34)가 윈도우 상부 에지에 닿으면, 여기서는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닌, 적합한 제어 장치에 의해 기어 모터(70)가 정지된다. 이로써, 스프링 모터(46)가 지지 로드(35)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는데, 왜냐하면 비신축성 블라인드 차양부(29)가 제동된 와인딩 샤프트(31)에 의해 블라인드 차양부(29)의 추가 이동을 정지시키기 때문이다.
상부 위치에서, 인장 밴드(67)가 스프링 모터(46)의 스프링 모터 하우징(52) 상으로 최대로 감긴다. 최상부 위치에서는, 인장력이 인장 밴드(67) 내에 유지되도록, 지지 로드(35)의 하단부가 스프링 모터(46)의 아래에서 상응하는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5)를 감기 위해, 기어 모터(70)가 반대 회전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로써, 와인딩 샤프트(31)는 블라인드 차양부(29)의 와인딩 방향으로 회전된다. 블라인드 차양부(29)가 비신축성이기 때문에, 상응하는 힘이 인장 로드(34)로 전달되고 거기서부터 지지 로드(35)로 전달되고, 상기 지지 로드는 가이드 레일들(40) 내로 점점 더 깊게 삽입된다. 따라서, 하강 운동시 인장 밴드(67)가 스프링 모터(46)에 의해 풀린다. 스프링 모터(46) 내부에서 예비 인장이 어떻게 가능한지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될 필요가 없다.
인장 밴드의 사용은, 층들이 서로 중첩되게 정렬되어 와인딩되는 장점을 갖는다. 케이블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케이블의 층들이 서로 중첩되게 놓이면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손상될 위험이 어느 정도 있다.
가이드 레일(40)과 연결되는 지지 로드(35)의 편평한 에지의 횡단면 형태는 지지 로드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스윙시에도 인장 로드(34)는, 지지 로드(35)에 의해 명백히 정해진 그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5에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지고,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2와의 실질적인 차이점은, 2 개의 지지 로드들(35a 및 35b)이 사용되는 것이다. 각각의 지지 로드(35a 및 35b)는 고유 힌지 링크(36a 또는 36b)를 통해 인장 로드(34)와 연결된다. 링크들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실시되고 인장 로드(34)를 따라 서로 이격된다.
와인딩 샤프트(31)는 약간 원추형이고, 샤프트의 두꺼운 단부는 도어의 전면 측의 옆에, 즉 도면에서 좌측에 놓인다. 블라인드 차양부(29)는 상응하는 윤곽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와인딩 샤프트(31)에서, 인장 로드(34)는 롤러 블라인드가 풀리면 원호를 따라 운동한다.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 인장 로드(34)가 윈도우 상부 에지로의 이동하는 도중에는, 도 1에서 우측에 있는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한다. 도 5에 도시되듯이, 풀림 운동의 종료시에 인장 로드(34)는 윈도우 상부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놓이고, 상기 윈도우 상부 에지는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차량의 후방 방향으로 윈도우의 높이가 감소하는 각도로 연장된다.
인장 로드(34)의 공간적 선회 운동은 지지 로드들(35a, 35b)에 대한 인장 로드(34)의 선회 운동을 일으킨다. 링크들(36a 및 37b)에 의해, 상기 선회 운동이 한편으로는 예컨대 지지 로드들(35a 및 35b)과, 다른 한편으로는 인장 로드(34) 사이에 나타날 수 있는 힘을 방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가능한 에러 없이 감기고 풀리기 위해서, 가이드 레일들(40a 및 40b)을 조금 비스듬하게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롤러 블라인드가 완전히 감기면 해당 힌지 링크(36a, 36b)의 힌지 축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롤러 블라인드가 풀리면 각각의 지 지 로드들(35a, 35b)의 종축들이 교차하도록, 직선 지지 로드들(35a 및 35b)의 종축들은 배치된다.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자유 단부가 인장 로드와 연결되는 블라인드 차양부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가 풀리고 감길 때 인장 로드의 안내를 위해, 힌지 링크를 통해 인장 로드와 연결되는 지지 로드가 제공된다.
도 1은 승용차의 후방 영역이고,
도 2는 내부 라이닝이 파단된 상태의 후방 우측 측면 윈도우의 개략도이고,
도 3에는 도 2의 롤러 블라인드의 지지 로드와 인장 로드 사이의 연결부의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스프링 모터의 부분 사시도이고, 및
도 5는 원추형 와인딩 샤프트 및 2 개의 지지 로드들을 포함하는, 풀린 상태의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개략도이다.

Claims (18)

  1. 윈도우 하부 에지(28) 및 윈도우 상부 에지를 가지는 측면 윈도우(14)를 포함하는 차량(1)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인딩 샤프트(31),
    상기 측면 윈도우(14)에 상응하는 윤곽을 가지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에 고정되는 에지 및 상기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이격되는 에지를 가지는 블라인드 차양부(29),
    상기 와인딩 샤프트(31)로부터 이격되는 에지에 고정되는 인장 로드(34),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35),
    상기 인장 로드(34)를 각각의 상기 지지 로드(35)와 연결하는 링크(36),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주어진 각도로 상기 지지 로드(35)를 수직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 로드(35)용 가이드 장치(40), 및
    적어도, 상기 와인딩 샤프트(31)를 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구동 장치(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6)는 힌지 링크이고, 상기 링크의 축이 상기 윈도우(14)의 평면 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동일한 지지 로드들(35)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 로드들 각각이 링크(36)를 통해 상기 인장 로드(34)와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들(35)이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35)용 가이드 장치(40)가 가이드 레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홈(41)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35)가 가이드 홈(41)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35)가 원형이 아닌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 로드(35)가 할당 배치된 선형 작동 부재(67)에 의해 적어도 미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67)에 스프링 모터(46)가 할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67)에 전기 기어 모터가 할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에 스프링 모터가 할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에 전기 기어 모터(70)가 할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모터(46)가 회전 작용 스프링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35)가 판 스프링 형태의 나선 스프링(48)을 능동 소자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35)가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적어도 거의 직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7. 윈도우 하부 에지(28) 및 윈도우 상부 에지를 가지는 측면 윈도우(14)를 포함하는 차량(1)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인딩 샤프트(31),
    상기 측면 윈도우(14)에 상응하는 윤곽을 가지고, 상기 와인딩 샤프트(31)에 고정되는 에지 및 상기 와인딩 샤프트로부터 이격되는 에지를 가지는 블라인드 차양부(29),
    상기 와인딩 샤프트(31)로부터 이격되는 에지에 고정되는 인장 로드(34),
    원형이 아닌 횡단면을 가지고 상부 에지가 상기 인장 로드(34)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35),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에 대해 주어진 각도로 상기 지지 로드(35)를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하부 에지(28)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 로드(35)용 가이드 장치(40), 및
    적어도, 상기 와인딩 샤프트(31)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구동 장치(46)를 포함하는 차량용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8. 제 17 항, 및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측면 윈 도우 롤러 블라인드.
KR1020080026216A 2007-03-21 2008-03-21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KR20080086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4099 2007-03-21
DE102007014099.3 2007-03-21
DE102007016154A DE102007016154A1 (de) 2007-03-21 2007-04-02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DE102007016154.0 2007-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388A true KR20080086388A (ko) 2008-09-25

Family

ID=397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216A KR20080086388A (ko) 2007-03-21 2008-03-21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96058B2 (ko)
JP (1) JP4981728B2 (ko)
KR (1) KR20080086388A (ko)
CN (1) CN101269620B (ko)
DE (1) DE102007016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8638A1 (en) * 2005-09-28 2007-03-29 Puskarz Mitchell M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WO2008037785A1 (de) * 2006-09-29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Fahrzeugrollo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DE202007015541U1 (de) * 2007-03-14 2008-02-07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eilantrieb
US9162553B2 (en) * 2009-08-18 2015-10-20 Joe Robert Benites Shade device for car side window
TW201139173A (en) * 2010-05-06 2011-11-16 Macauto Ind Co Ltd Semi-automatic type sunshade curtain device
US20120186759A1 (en) * 2011-01-25 2012-07-26 Paul Lin Sunshade Assembly for a Side Window of a Vehicle
US20120193934A1 (en) * 2011-01-28 2012-08-02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Assembly Having a Buffer Unit
TW201235545A (en) * 2011-02-16 2012-09-01 Macauto Ind Co Ltd Semi-automatic shading curtain
TWI574859B (zh) * 2013-07-23 2017-03-21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device
JP6629049B2 (ja)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CN105691156B (zh) * 2016-03-14 2017-12-05 上海世德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车窗卷帘的驱动设备及其使用方法
DE102016208896B4 (de) * 2016-05-23 2021-10-07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US10661638B2 (en) * 2016-06-24 2020-05-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hade arrangement for vehicle
DE102016111658B4 (de) * 2016-06-24 2022-07-21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220006886A (ko) * 2020-07-09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커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278A (en) * 1903-08-21 1906-01-16 Curtain Supply Co Curtain-fixture.
US1012239A (en) * 1910-12-24 1911-12-19 Theodore F Bourne Wind-shield.
US1575695A (en) * 1924-05-14 1926-03-09 Victor Talking Machine Co Spring motor
US1944454A (en) * 1933-02-06 1934-01-23 Park Thomas Pneumatic curtain control for motor cars
US2465853A (en) * 1948-06-10 1949-03-29 Jr Simon E Dalton Bathtub with contained shower curtain
US3180401A (en) * 1962-03-02 1965-04-27 Thomas F Gambon Shade
JPH0427686Y2 (ko) * 1987-05-23 1992-07-03
FR2646203B1 (fr) * 1989-04-19 1991-07-26 Farnier & Penin Store a enrouleur motorise
US5076633A (en) * 1991-02-11 1991-12-31 Hsu Chi Hsueh Automatic sun screen for motor vehicles
DE4244757C2 (de) * 1992-12-07 2001-04-26 Baumeister & Ostler Gmbh Co Sonnenschutzrollo für Kraftfahrzeuge
JP3291193B2 (ja) * 1996-01-12 2002-06-10 シュウ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被覆装置
FR2750158B1 (fr) * 1996-06-20 1998-11-27 Farnier Et Penin Snc Store a enrouleur a rattrapage conique
JPH11173002A (ja) * 1997-12-16 1999-06-29 Chuo Spring Co Ltd キャビンの窓開閉装置のバランサー
DE19806736C2 (de) 1998-02-18 2003-06-05 Bos Gmbh Schutz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6047762A (en) * 1998-03-20 2000-04-11 Prince Corporation Shade control for a vehicle window
DE19826537B4 (de) 1998-06-15 2007-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urch einen mechanischen Antrieb verlagerbares Rollo
US6276430B1 (en) * 2000-01-28 2001-08-21 J. H. Wu Sunshade curtain device
DE10005970A1 (de) 2000-02-09 2001-08-23 Bos Gmbh Seitenfensterrollo
US6942002B1 (en) * 2000-03-20 2005-09-13 Kevin M. Williams Privacy screens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DE10040624A1 (de) * 2000-08-16 2002-03-07 Bos Gmbh Fahrzeug mit Sonnenschutzrollo im Dach
DE10066230B4 (de) * 2000-11-22 2006-06-2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variabler Abschattungswirkung
DE20112948U1 (de) * 2001-07-27 2001-10-25 Bos Gmbh Sichtschutz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
DE10151872B4 (de) * 2001-10-24 2007-10-04 Bos Gmbh & Co. Kg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4331B4 (de) * 2002-02-01 2005-10-27 Bos Gmbh & Co. Kg Rolloartige Anordnung mit längsgeteilter Wickelwelle
JP2003341360A (ja) * 2002-05-30 2003-12-03 Kazumi Mitsuhiro 巻き取り式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DE20309690U1 (de) * 2003-06-24 2003-09-11 Kuhlemann Horst Sonnenschutzrollo,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fenster
US6983786B2 (en) * 2003-09-24 2006-01-10 Ing-Wen Chen Height-adjustable car curtain
DE10354233A1 (de) * 2003-11-19 2005-06-3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Konturteil
DE102004024682A1 (de) * 2004-05-19 2005-12-15 Bos Gmbh & Co. Kg Rollo mit Spiralfederantrieb
DE102004030262B3 (de) * 2004-06-23 2006-04-27 Bos Gmbh & Co. Kg Rollo mit konischer Wickelwelle
DE102004036075B3 (de) * 2004-07-24 2006-02-16 Bos Gmbh & Co. Kg Anordnung für Seitenfensterrollo
DE202004014652U1 (de) * 2004-09-14 2006-03-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tür mit einem Fensterheber
US7228884B2 (en) * 2004-09-28 2007-06-12 Ing-Wen Chen Rear window car curtain
DE102004049167A1 (de) * 2004-10-08 2006-04-20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DE102005036318A1 (de) * 2005-07-29 2007-02-01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glatten Schubgliedern
KR100819407B1 (ko) * 2006-01-06 2008-04-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용 차양장치
DE202006011248U1 (de) * 2006-07-19 2006-09-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Fahrzeugtür
DE102006040317A1 (de) * 2006-08-29 2008-03-2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60518A (ja) 2008-10-30
US7896058B2 (en) 2011-03-01
CN101269620A (zh) 2008-09-24
CN101269620B (zh) 2011-10-05
JP4981728B2 (ja) 2012-07-25
US20080230190A1 (en) 2008-09-25
DE102007016154A1 (de)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6388A (ko) 힌지 연결된 인장 로드 및 직각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KR20080084705A (ko) 케이블 구동기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US8919419B2 (en) Counterbalanced motorized shade roll system and method
KR100837094B1 (ko) 왜곡 보상형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US7581775B2 (en) Side window roller blind
KR20080028781A (ko) 스프링 모터와 저감된 구동력을 갖는 롤업 차양 구동부
KR20010078789A (ko) 후방 창의 롤-업식 블라인드
JP2001239829A (ja) 側面窓ロールブラインド
EP1794012A1 (de)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04014652U1 (de) Fahrzeugtür mit einem Fensterheber
KR20180019222A (ko) 차량의 2 부분 측면 윈도우 구성을 위한 차양 장치
KR20170072934A (ko) 자동차 창문용 차양 장치
DE202007012954U1 (de) Sonnenrollomechanismus
WO2006063565A1 (de)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US20080315615A1 (en) Electric side-window roll-up shade
DE10215322A1 (de) Sonnenschutz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DE102007031256A1 (de) Fensterrollo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Fahrzeugtür
JP5207397B2 (ja) カーテン開閉装置
DE102004013451A1 (de) Fensterrollo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5038430A1 (de) Mitnehmer für Seil-Fensterheber sowie Seil-Fensterheberanordnung
WO2015129629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