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703A - 열선 무선 송신기 - Google Patents

열선 무선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703A
KR20080085703A KR1020080022924A KR20080022924A KR20080085703A KR 20080085703 A KR20080085703 A KR 20080085703A KR 1020080022924 A KR1020080022924 A KR 1020080022924A KR 20080022924 A KR20080022924 A KR 20080022924A KR 20080085703 A KR20080085703 A KR 2008008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s
extens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479B1 (ko
Inventor
이치로 토요다
타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무선 송신기(10)에서 제어 유닛(14)은, 임의의 시구간에서 조명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생성하고 전송하며, 제2 작동 신호가 전송된 후에,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조명 기구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확장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상기 무선 송신기에 따르면, 사람들이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동시에 감지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조명 기구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열선 무선 송신기, 조명 장치

Description

열선 무선 송신기{HEAT RAY WIRELESS TRANSMITTER}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방사된 열선(heat ray)을 감지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객체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단이나 복도와 같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장소에 설치된 조명 기구(lighting fixture)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에 적용하기 위해 적합한 열선 무선 송신기(heat ray wireless transmitter)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조명 장치는 감지 영역에서 존재하는 사람들을 감지하고, 그것으로부터 획득한 감지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미리 설정된 (무선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기로부터 조명기구로 전송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제어하였다. 조명 장치의 이런 유형은 통신 신뢰도가 매우 높은 장점을 가짐으로써, 제어 신호를 확실하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통신 회선을 통해 모든 송신기와 모든 조명 기구를 서로에게 연결하기 위한 공사(construction work)를 요구하는 문제를 안고 있음으로써, 지나친 노동력과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단순한 무선 통신(radio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에 의해 송신기로부터 조명기 구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조명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조명 장치는, 장치에 관계된 통신 회선을 통한 송신기와 조명기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공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과 노동을 줄이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조명장치를 위한 무선통신 방법과 같이, 적외선 등을 사용하는 통신 외에 전파(radio wave)를 사용하는 조명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No. 2006-93049 참조). 전파를 사용한 통신은, 안테나의 성능에 의해 지향성 (directivity)과 관련된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벽과 같은 블록 스크린을 통한 통과가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상기 기술된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송신기들이, 집 등에서, 사람들에 대한 감지 영역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장소 상에 빈번히 설치된다.그리고, 상기 감지 영역들을 세팅하는 것에서 자유도(degree of freedom)가 강화된다. 그리고 나서 사람들의 움직임 후에 복수의 조명 기구들이 연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그런 방식으로, 다른 장소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람들은, 때때로 서로 다른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동시에 감지된다. 그런 경우에, 조명 장치는 다음의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조명기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들이 각 무선 송신기들로부터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각 제어 신호들은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에서 서로 간섭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수신기가 제어신호의 도 착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조명 기구를 작동시킬 수 없는 환경을 초래하게 된다.
게다가, 조명장치는, 사람들의 그런 움직임들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송신기들로부터 조명기구의 작동시간(turning-on time)을 각각 연장하기 위한 확장 신호들(extension signals)을 전송한다. 제어 신호들이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로부터 동시에 전송될 때, 그 밖에 상기 확장 신호들이 동시 구간(same time interval)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각 확장 신호들은 수신기에서 서로 간섭하게 된다. 그 결과, 조명 장치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확장 신호들의 도착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조명 기구를 작동시킬 수 없는 환경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었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에, 수신기가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확장 신호도 확실히 알아차리고, 조명 기구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신기는 임의의 시구간(random time interval)에서 제어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고 전송하며, 두 번째 제어신호(제2 제어신호)가 전송된 후에, 첫 번째 제어 신호(제1 제어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상기 제어 객체의 가동시간(drive time)을 연장하기 위한 확장신호(extension signal)를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신기는, 각각의 제어 신호 및 확장 신호와 같이, 표준 부호들(normal codes)의 제어 신호 및 확장 신호의 각각의 시간길이(time length)보다 짧은 시간길이에서 단축화 부호(shortened code)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 무선 송신기에 따르면, 사람들이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동시에 감지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무선 송신기들은 수신기에서 작동신호들이 서로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수신기에서 확장 신호들이 서로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제어 객체들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질 것이다.
예로써,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는 각 방들, 복도 등에 설치된 제어 객체로서, 복수의 조명 기구들을 제어하는 조명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무선 송신기(10)이다. 무선 송신기(10)들은 복수의 장소들에 설치된다. 무선 송신기(10)들의 각각의 감지 영역(sensing region)들에서 사람들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자마자, 무선 송신기(10)들은 조명 기구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turning-on signal)들과, 상기 조명 기구의 작동 시간(turning-on time)을 각각 연장하기 위한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들을 적외선 등을 사용한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기(20)로 전송함으로써, 조명 기구들을 제어한다.
주목할 것은 도 1은,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런 설치 방식의 경우에, 예를 들면, 사람이 거실(Living room) 및 식당 겸용의 부엌(combined dining room-kitchen)(이하, "LDK"라 함)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집 밖으로 갈 때, 복도 상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10a)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한다. 그런 방법으로, 무선 송신기(10a)는 상기 LDK의 조명 기구를 작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매끄럽게 입구의 조명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신호 및 확장 신호를 전송한다. 게다가, 예를 들면, 도 1에서, 집 밖으로부터 입구로 들어온 사람이 상기 LDK로 이동할 때, 입구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10b)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한다. 그런 방식으로, 상기 무선 송신기(10b)는 입구의 조명 기구를 작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매끄럽게 상기 LDK의 조명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신호 및 확장 신호를 전송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송신기(10)들은, 작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1); 사람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감지하는 휴먼 센서(human sensor)(12); 주위의 명도를 감지하는 명도 센서(lightness sensor)(13); 작동 신호(turning-on signal) 및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control unit)(14); 제어 유닛(14)에 의해 생성되는 작동 신호 및 확장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스위치(15);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s ; LEDs)(16)을 포함한다.
전원장치(11)는 예로써, 배터리로 구성된다. 이 전원장치(11)는 관련된 무선 송신기(10)에 작동 전력을 공급한다.
휴먼 센서(12)는 예로써, 초전기적 요소(pyroelectric element) 등으로 구성된다. 휴먼 센서(12)는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감지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감지한다. 휴먼 센서(12)에 의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될 때, 그로 인해 생성된 감지 신호(sensing signal)는 제어 유닛(14)으로 공급된다.
명도 센서(13)는, 예로써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등으로 구성된다. 명도 센서(13)는 주위의 명도를 감지한다. 명도 센서(1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낮은 명도가 감지될 때, 그로 인해 생성된 감지 신호는 제어 유닛(14)으로 공급된다.
제어 유닛(14)은 예로써,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 유닛(14)은 휴먼 센서(12)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게다가, 작동 신호를 전송한 후에, 제어 유닛(14)은 휴먼 센서(12)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거나, 또는 상기 휴먼 센서(12) 및 명도 센서(13)로부터 개별적으로 공급된 감지 신호들에 근거하여 확장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조명 장치가 주위의 명도에 상관없이 사람이 존재할 때 조명 기구의 작동을 지속하기 위한 경우에는, 제어 유닛(14)은 오직 휴먼 센서(12)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만 근거하여 확장 신호를 생성한다. 게다가, 조명장치는 주위의 명도가 밤과 같이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낮고, 사람이 존재할 때에 오직 조명 기구의 작동을 지속하기 위한 경우, 제어 유닛(14)은 휴먼 센서(12) 및 명도 센서(13)로부터 개별적으로 공급된 감지 신호들에 근거하여 확장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유닛(14)은 생성된 작동 신호 와 확장 신호를 스위치(15)에 공급한다.
스위치(15)는 예로써,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요소로 구성된다. 스위치(15)는 상기 제어 유닛(14)에 의해 생성된 작동 신호와 확장 신호에 근거하여 적외선 LED들(16)을 켜지도록 작동한다.
적외선 LED들(16)은, 상기 제어 유닛(14)에 의해 생성된 작동 및 확장 신호들에 근거하는 스위치(15)의 작동에 따라 적외선을 방출한다. 그런 방식으로, 적외선 LED들(16)은 그런 작동 신호들 및 그런 확장 신호들을 전송한다. 적외선 LED들(16)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작동 신호들 및 각각의 확장 신호들은, 적외선 통신에 의해 수신기(20)에 도달하고, 그로 인해 조명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어 유닛(14)에 의해 작동 신호 및 확장 신호를 생성한다. 그런 방식으로,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10)에 의해, 사람들이 동시에 감지되는 장소의 경우에 있어서라도, 무선 송신기들(10)이 수신기(20)에서 서로 간에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작동 신호들을 보호하며, 수신기(20)에서 서로 간에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확장 신호들을 보호한다.
특히, 무선 송신기(10)는 제어 유닛(14)에 의해 작동 신호들과 같은 두 개의 신호들을 계속적으로 생성하고 전송한다. 이 때에, 무선 송신기(10)는 예를 들면, 30 ms(milliseconds)에서 200ms와 같은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서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제2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의 시구간(time interval)을 임의적적으로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람들이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시에 감지되는 장소의 경우를 고려한다. 이런 경우에, 도 3에서 점선 부분(a)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은 휴먼 센서(12)들에 의해 동시에 사람들을 각각 감지한다. 이어서,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은 상기 제어 유닛(14)에 의해 제1 작동 신호들을 동시에 생성한다. 이어서,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은 예로써, 적외선 센서들(16)로부터 동시에 8ms의 시간 길이 동안 상기 작동 신호들을 전송한다. 그 후에, 두 개중의 하나인 무선 송신기(10a)는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80ms 경과 후에, 제어 유닛(14)에 의해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적외선 센서들(16)을 통해, 무선 송신기(10a)는 제1 작동 신호와 함께 연속적으로 제2 작동 신호를 전송한다. 그 동안, 무선 송신기(10b)는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100ms 경과 후에, 제어 유닛(14)에 의해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적외선 센서들(16)을 통해, 무선 송신기(10b)는 제1 작동 신호와 함께 연속적으로 제2 작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 수신기(20)는, 비록 수신기(20)가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작동 신호들을 인지할 수 없더라도,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2 작동 신호들을 확실하게 수신하고 인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20)는 제1 작동 신호들에 대한 처리를 취소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작동 신호들에 근거한 조명 기구들을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도 3의 점선 부분(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은, 그 밖에 예로써, 5초에서 5.5초와 같은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서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확장 신호의 전송으로의 시구간을 임의적 으로 변경한다.
그런 방식으로, 수신기(20)는 무선 송신기들(10a 및 10b)로부터 개별적으로 전송된 확장 신호들을 확실하게 수신하고, 인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기(20)는 이러한 확장 신호들에 근거하여 조명 기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확장 신호의 전송으로의 시구간은, 무선 송신기들(10)의 각각에서 설정가능한 조명 기구들의 최단 작동 가동시간(shortest turning-on drive time)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 기구들의 설정가능한 최단 작동 가동시간이 10 초(s)일 때, 무선 송신기(10)는 약 5 ~ 5.5초에서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확장 신호의 전송으로의 시구간을 설정한다. 그런 방식으로, 수신기(20)는, 비록 수신기(20)가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제1 확장 신호를 인지할 수 없더라도,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제2 확장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고 인지할 수 있다.
그런 방식으로,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임의의 시구간에서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게다가,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제1 작동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확장 신호를 전송한다. 그런 방식으로, 무선 송신기(10)는 비록 무선 송신기(10)가 제1 작동신호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제2 작동 신호와 확장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확실하게 통신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각각의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시간 길이가 8 ms인 것을 전제로 하는 도 3을 참조하는 설명을 통해, 각각의 작동 신호들과 확장 신호들 은, 그것들의 각각이 표준 부호(normal code)일 때,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80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48 비트로 구성된 신호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표준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 신호의 시간 길이가 길기 때문에, 비록 무선 송신기들(10)의 각각이 임의의 시구간들에서 이러한 신호들을 전송할지라도, 작동 신호들 사이에서의 오버랩(overlap)과 확장 신호들 사이에서의 오버랩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예로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전송된 신호들이 다른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신호들과 오버랩될 수 없도록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므로, 예를 들면, 160ms 또는 그 이상과 같은 한 신호의 시간길이가 두 배 이상 큰 시간에서 이런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1 작동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될 때, 제2 작동 신호들에 의해 조명 기구들이 작동할 때까지 타임 래그(time lag; 시간의 지체)들은 커지며,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각각의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과 같이, 시간 길이가 표준 부호의 시간길이보다 짧은 예를 들면, 대략 8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5비트로 구성된 신호인 단축화 부호(shortened c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들(10)의 각각은 단축화 부호를 사용한다. 그런 방식으로, 무선 송신기들(10)은 작동신호들 사이의 오버랩과 확장신호들 사이의 오버랩을 발생하지 못하도록 한 다. 게다가, 예로써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전송된 신호들이 다른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신호들과 오버랩될 수 없도록, 단지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적어도 16ms에서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방식으로, 제1 작동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무선 송신기들(10)은 제2 작동 신호들에 의해 상기 조명 기구들을 작동시킬 때까지 타임 래그들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한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무선 송신기들(10)은 단축화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두 개의 작동 신호들 사이에서 시구간의 패턴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각 무선 송신기들(10)이, 예로써 도 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준 부호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련된 신호들이 다른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신호들과 오버랩될 수 없도록,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작동신호의 시간 길이에서 제1 작동 신호들의 하강 에지(falling edge)들로부터 제2 작동 신호들의 상승 에지(rising dege)들로의 시구간(T)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의 전송의 끝까지, 적어도 240ms(=80 ms × 3)의 시간을 요구한다. 여기서, 만일 사람의 존재가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에 의해 감지되는 때로부터 조명기구가 작동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가 300ms 이하이면, 실제적인 사용상에서 어떤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수신기(20)에 의해 작동 신호가 수신될 때부터 조명기구가 작동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는 대략 100ms이다. 그러므로, 각 무선 송신기들(10)에서, 사람의 존재가 휴먼 센서(12)에 의해 감지될 때부터 적외선 LED들(16)이 빛을 방출하는 때까지의 허용되는 타임 래그는 대략 200ms가 된다. 그러므로, 표준 부호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실은, 각 무선 송신기들(10)이 임의의 시구간에서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송신기들(10)은 상기 단축화 부호들을 사용함으로써 두 개의 작동 신호들 사이에서 시구간의 패턴들의 수를 증가시킨다. 특히,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각각의 시간 길이가 8ms일 때, 예로써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00ms의 허용된 시간 이내에서 최대로 12 패턴들을 갖는 시구간에서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무선 송신기들(10)은 단지, 시구간의 12 패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무선 송신기들(10)은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들(10)은, 사람의 존재가 휴먼 센서(12)에 의해 감지될 때부터 적외선 LED들(16)이 빛을 방출할 때까지 허용된 타임 래그에 대한 응답으로, 각각의 시간 길이가 가능한 한 짧은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을 전송한다. 그런 방식으로, 무선 송신기들(10)은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이것은 상기 패턴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무선 송신기들(10)을 동시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선 송신기들(10)은 휴먼 센서(12)들에 의해 감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큰 범 위(large extent)로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자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들(10)의 각각은, 휴먼 센서(12)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임의의 시구간에서, 제어 유닛(14)에 의해 두 개의 작동 신호들을 생성하고 전송한다. 게다가 제2 작동 신호를 전송한 후에, 무선 송신기(10)는, 제1 작동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휴먼 센서(12)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확장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그런 방식으로, 사람들이 복수의 무선 송신기들(10)에 의해 동시에 감지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무선 송신기들(10)은 수신기(20)에서 서로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작동 신호들을 지킬 수 있고, 수신기(20)에서 서로 간섭하는 것으로부터 확장 신호들을 지킬 수 있으며, 조명 기구들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에서, 제어 유닛(14)은 관련된 상기 무선 송신기(10)에서 설정가능한 조명 기구들의 최단 작동 가동 시간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작동 시간의 전송으로부터 확장 신호의 전송까지의 시구간(time interval)을 결정한다. 그런 방식으로, 수신기(20)는, 비록 수신기(20)가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제1 확장 신호를 인지할 수 없더라도, 상기 무선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제2 확장 신호를 확실히 수신하고 인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에서, 제어 유닛(14)은, 제어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과 같이, 시간 길이가 표준 부호들의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단축화 부호들을 전송한다. 그런 방식으로, 무선 송신기들(10)은 작동 신호들 간의 오버랩과, 확장 신호들 간의 오버랩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한다. 그런 방식으로 제1 작동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무선 송신기들(10)은, 큰 범위로 제2 작동 신호들에 의해 조명 기구들을 작동시킬 때까지의 타임 래그들 줄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에서, 제어 유닛(14)은, 사람의 존재가 휴먼 센서(12)에 의해 감지될 때부터 작동 신호들이 전송될 때까지 허용된 타임 래그에 대한 응답으로,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시간 길이를 결정한다. 그런 방식으로,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두 개의 작동신호들 사이에서 시구간의 패턴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무선 송신기들(10)은 임의의 시구간에서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유닛(14)에 의한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과 같이, 시간 길이가 표준 부호들(normal codes)의 작동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단축화 부호들(shortened codes)을 전송한다. 오직 그런 작동들에 의해서라도, 무선 송신기들(10)은 작동 신호들 간의 오버랩과, 확장 신호들 간의 오버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게 한다. 제1 작동 신호들이 서로 오버랩되는 장소의 경우에서라도, 상기 무선 송신기들(10)은 제2 작동 신호들에 의해 조명 기구들을 작동시킬 때까지 타임 래그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앞서 기술된 구현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앞서 기술된 일실시 예와 다른 구현들을 사용한 경우에서라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설계등에 대한 응답으로 다양한 변경들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특정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무선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 신호들과 확장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간의 일부분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차트.
도 4는 표준 부호의 작동 신호와 확장 신호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두개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표준부호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간의 일부분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단축화 부호의 작동 신호 및 확장 신호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단축화 부호들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간의 일부분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제1 작동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제2 작동 신호의 상승 에지로의 시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표준 부호들의 작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간의 일부분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두 개의 작동 신호 사이에서 시구간의 패턴들의 수가 증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두 개의 무선 송신기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단축화 부호들의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의 일부분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

Claims (5)

  1.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제어 객체로 전송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 방사된 열선(heat ray)을 감지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감지하는 휴먼 센서; 및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임의의 시구간(time interval)에서 상기 제어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 두 개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전송하며,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제어 신호의 출력으로부터 임의의 시구간에서 상기 제어 객체의 가동 시간(drive time)을 연장하기 위한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객체의 최단(最短) 가동 시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전송으로부터 상기 확장 신호의 전송까지의 상기 시구간을 결정하며,
    상기 가동 시간은 상기 열선 무선 송신기에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들 및 상기 확장 신호들과 같이, 시간 길이가 표준 부호들(normal codes)의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들 및 확장 신호들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단축화 부호(shortened cod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사람의 존재가 상기 휴먼 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부터 상기 제어 신호들이 전송될 때까지 허용된 타임 래그(time lag)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어 신호들 및 상기 확장신호들의 각각의 상기 시간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
  5.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제어 객체로 전송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 방사된 열선(heat ray)을 감지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감지하는 휴먼 센서; 및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휴먼 센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객체의 가동 시간(drive time)을 연장하기 위한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를 생성하고 전송하 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확장 신호와 같이, 시간 길이가 표준 부호들(normal codes)의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 및 확장 신호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단축화 부호(shortened cod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무선 송신기.
KR1020080022924A 2007-03-19 2008-03-12 열선 무선 송신기 KR100975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1379A JP4995607B2 (ja) 2007-03-19 2007-03-19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
JPJP-P-2007-00071379 2007-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703A true KR20080085703A (ko) 2008-09-24
KR100975479B1 KR100975479B1 (ko) 2010-08-11

Family

ID=3990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924A KR100975479B1 (ko) 2007-03-19 2008-03-12 열선 무선 송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95607B2 (ko)
KR (1) KR100975479B1 (ko)
CN (1) CN101272649B (ko)
TW (1) TWI3761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37A (ko) 2021-06-29 2023-01-0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3193B2 (ja) * 2011-02-22 2015-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JP2012195168A (ja) * 2011-03-16 2012-10-11 Panasonic Corp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985A (ja) * 1996-08-27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H1070775A (ja) 1996-08-27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3809700B2 (ja) 1997-05-15 2006-08-16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JP3748666B2 (ja) * 1997-05-29 2006-02-22 セコム株式会社 警備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送信装置
CN2490757Y (zh) * 2001-07-20 2002-05-08 王永才 人体感应计时电子开关
JP2006093049A (ja) * 2004-09-27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37A (ko) 2021-06-29 2023-01-0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479B1 (ko) 2010-08-11
TWI376108B (en) 2012-11-01
CN101272649A (zh) 2008-09-24
JP2008236238A (ja) 2008-10-02
TW200901640A (en) 2009-01-01
CN101272649B (zh) 2013-10-09
JP4995607B2 (ja)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4936B2 (en) Interactive appliances, appliance systems and appliance control methods, and controls therefor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100975479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KR20180024405A (ko) 지능형 인체감지를 통한 전기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JPH10125477A (ja) 照明制御装置
KR100581541B1 (ko) 램프자동제어시스템
KR200408566Y1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JP6028971B2 (ja) 無線通信機能を備えた人検出装置及びその人検出装置と照明制御装置を備え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2022538043A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JP6183738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50033777A (ko)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JP2000164368A (ja) 照明装置
JP5681949B2 (ja)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JP4940100B2 (ja) リモコン式照明システム
JP6032412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409022Y1 (ko) 램프자동제어시스템
JP2010056616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07087839A (ja) 照明装置
JP5246928B2 (ja) 防犯照明システム
JP5672605B2 (ja)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JP5246929B2 (ja) 防犯照明システム
JPH01318989A (ja) 人体検知スイッチ装置
JP2010033812A (ja) 防犯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