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777A -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777A
KR20150033777A KR20130112625A KR20130112625A KR20150033777A KR 20150033777 A KR20150033777 A KR 20150033777A KR 20130112625 A KR20130112625 A KR 20130112625A KR 20130112625 A KR20130112625 A KR 20130112625A KR 20150033777 A KR20150033777 A KR 2015003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illumination
le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텔
Priority to KR2013011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777A/ko
Publication of KR2015003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파라미터가 지정한 밝기로 점등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주변에서 소리 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생물체 또는 무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입력된 파라미터가 지정한 밝기로 소등시키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생물체의 움직임과 생물체의 움직임과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주변의 조도 검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접속하고 센서부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면 다단계 레벨의 조도값 중 저장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조도값으로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등 제어부;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된 상용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센서등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조명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레벨의 동작전원을 출력하며 구성된 모든 기능부에 해당 필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부 및 컨버터부에 접속하고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엘이디 조명부를 포함하는특징에 의하여 무생물체의 접근을 검출하고 최소 전력으로 우범지대를 안전지대로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LED sensor light of turn on with sensing inanimate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파라미터가 지정한 밝기로 점등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주변에서 소리 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생물체 또는 무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입력된 파라미터가 지정한 밝기로 소등시키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어두운 주변을 밝게 비추어 사람 또는 작업자가 현장 주변을 쉽고 빠르게 확인하도록 비추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점등하는 온(on) 상태 또는 소등하는 오프(off) 상태로 직접(수동)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명장치는 사람의 활동과 이동이 비교적 많은 작업장, 생활공간, 도로 등을 포함하여 사람의 활동과 이동이 비교적 적거나 안전을 위하여 밝게 조명할 필요가 있는 현관, 복도, 계단 등 그리고 공사현장, 위험한 장소, 주의를 필요로 하는 장소 등에 설치되어 주변을 밝게 조명한다.
조명장치의 온 오프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에는 타이머(timer)를 사용하는 방식과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sensing, detecting)하는 방식이 있고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방식을 센서조명등 또는 센서전등이라고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센서조명등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05213호(2000.09.21.)에 의한 “인체감지 조명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센서조명등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감지수단(1), 소리감지수단(2), 조도감지수단(3), 제어수단(4), 조명등 구동수단(5), 조명등(6), 전원수단(7), 조작수단(8)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제어수단(4)이 조도감지수단(3)으로부터 주변조도가 일정레벨 이하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감시중인 인체감지수단(1)과 소리감지수단(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가 검출되어 입력되는 경우 조명등 구동수단(5)을 제어한다.
조명등 구동수단(5)은 전원수단(7)을 구동하여 조명등(6)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또한, 조명등(6)을 점등 상태로 제어하여 주변을 조명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인체감지수단과 소리감지수단만을 구비하므로 생물체의 접근 및 이동을 검출할 수 있으나 무생물체의 이동 및 접근은 검출하지 못하므로 무생물체의 이동, 접근에 의하여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조명등을 단순히 점등과 소등 상태로만 제어하므로 조명등이 설치된 주변의 현장 운영조건을 반영하여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05213호 (2000년 09월 21일) “인체감지 조명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무생물체의 이동 또는 접근 상태를 검출하고 적은 소모전력으로 해당 주변을 조명하는 무생물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생물체, 생물체의 움직임과 소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검출되면 동작하여 해당 주변을 조명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점등상태의 조도값과 소등상태의 조도값을 사용자가 입력한 파라미터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고 완전한 소등 상태가 아닌 최소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물체의 유무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물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최소의 밝기로 현장을 조명하고 움직임이 검출되면 밝게 조명하므로 방범에 취약한 우범가능 지역을 안전지대로 개선시키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은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조명하는 센서조명등에 있어서, 무생물체의 움직임과 생물체의 움직임과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주변의 조도 검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접속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면 다단계 레벨의 조도값 중 저장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조도값으로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등 제어부;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된 상용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센서등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레벨의 동작전원을 출력하며 구성된 모든 기능부에 해당 필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 접속하고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엘이디 조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고 제 1 파라미너와 제 2 의 파라미터, 조명유지 시간값, 운용 소프트웨어, 운용데이터를 와이파이 방식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센서등제어부에 출력하는 무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에 10.525 GHz 또는 24 GHz의 무선주파수 신호를 방사하고 주변의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 분석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도플러 센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센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 조도값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등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의 조도값으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상기 컨버터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부는 이동통신용 스마트폰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접속하여 상기 파라미터와 운용 소프트웨어와 운용데이터가 포함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은 센서부, 센서등 제어부, 컨버터부, 엘이디 조명부, 무선부가 포함되고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부로부터 제 1 파라미터와 제 2의 파라미터, 조명유지 시간값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주변 조도값을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조도값을 분석하며 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적외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적외선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명유지 시간동안 제 1 파라미터 값으로 조명되도록 점등하는 점등루틴을 운용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조명유지 시간의 계수를 시작하고 상기제 1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 31 과정;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가 완료되어 계수값이 상기 조명유지 시간값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 32 과정;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값이 조명유지 시간값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고 소리신호가 검출되거나 무생물체 또는 적외선이 검출되면 상기 계수값을 0의 값인 초기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31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 33 과정;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값이 조명유지 시간값을 경과한 것을고 판단되면 저장된 상기 제 2 파리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조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하는 제 34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적외선을 발산하지 않는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 상태를 검출하고 소모전력이 적은 엘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주변을 조명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생물체, 생물체의 움직임과 소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 해당 주변을 소모전력이 적은 엘이디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점등상태의 조도값과 소등상태의 조도값을 입력된 파라미터값에 의하여 조절하므로 현장의 운용조건 또는 사용자의 운용조건을 반영시켜 조명하고 최소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이동 가능한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소의 밝기로 현장을 조명하여 물체의 유무를 분간하고 움직임이 검출되면 신속하게 밝은 조명으로 전환시키므로 방범에 취약한 우범가능 지역을 안전지대로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센서조명등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센서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운용방법의 점등루틴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센서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100)은 센서부(110), 센서등 제어부(120), 컨버터부(130), 엘이디 조명부(140), 무선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센서부(110)는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과 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을 검출하며 주변에서 소정 레벨 이상으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주변의 조도 또는 밝기가 설정된 소정레벨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센서등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센서부(110)는 도플러센서(112), 소리센서(114), 적외선센서(116), 조도센서(11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센서부(110)를 구성하는 각 센서가 검출하는 해당 신호의 레벨은 센서등 제어부(1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증폭되거나 조절될 수 있고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플러센서(112)는 센서등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센서등 제어부(1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10.525 GHz 또는 24 GHz의 무선주파수 신호를 주변에 방사하고 주변의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므로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 여부를 검출한다.
10.525 GHz 또는 24 GHz의 무선주파수 신호 또는 알에프(RF) 신호를 주변에 방사하고 주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레이다 기술의 응용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러한 센서를 도플러 센서라고 한다.
도플러센서(112)가 검출하는 움직임의 대상 물체는 무생물체와 생물체가 모두 포함된다. 즉, 도플러센서(112)는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시에 생물체의 움직임도 검출할 수 있다.
생물체는 자체적으로 적외선을 발산하고 별도로 구비된 적외선 센서(116)를 이용하여 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은 열선이라고도 하며 열을 발생하는 생물체 및 무생물체는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무생물체는 열을 발산하지 않는 것으로, 생물체는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도플러센서(112)는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적외선센서(116)는 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플러센서(112)는 무생물체인 문(door)의 열림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소리센서(114)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audio) 신호가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센서등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적외선 센서(116)는 센서등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변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또는 열선이 설정된 소정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지를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센서등 제어부(120)에 전달(통보)한다.
조도센서(118)는 센서등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주변의 밝기 또는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의 값을 센서등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센서부(110)에는 이외에도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을 검출하는 알려진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센서등 제어부(120)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100)을 구성하는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센서부(110)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면 엘이디 조명부(140)를 저장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으로 조명하도록 제어한다.
센서등 제어부(120)는 무선부(150)를 통하여 제1 파라미터 값, 제2 파라미터 값, 조명유지시간 값, 운용을 위한 각종 제어명령과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한다.
제1 파라미터 값은 엘이디 조명부(140)가 점등(on) 상태로 설정되어 조명하는 레벨을 지정하는 값으로, 사용자는 다단계로 설정된 조명 레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 1 파라미터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제1 파라미터 값은 일 례로, 엘이디 조명부(140)가 조명할 수 있는 최대 밝기의 100%, 90%, 80%, 70%, 60%, 50% 등과 같이 다단계로 설정된 다수 조명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이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고, 센서등 제어부(120)는 점등(on) 상태로 전환하여야 하는 경우 저장되어 설정된 제 1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엘이디 조명부(140)가 해당 레벨로 조명하도록 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컨버터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 1 파라미터 값은 밝기의 조도를 조절하는 값이다.
제 2 파라미터 값은 엘이디 조명부(140)가 소등 상태로 설정된 경우의 밝기를 지정하는 값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다단계로 설정된 조명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제 2 파라미터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제 2 파라미터 값은 일 례로 조명부(140)가 조명할 수 있는 최대 밝기의 10%, 20%, 30%, 40% 등과 같이 다단계로 설정된 다수 조명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이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고, 센서등 제어부(120)는 소등(off) 상태로 전환하여야 하는 경우 저장되어 설정된 제 2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엘이디 조명부(140)가 해당 레벨로 조명하도록 해당 조명제어신호를 컨버터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 2 파라미터값은 어두운 상태를 조절하는 값이며 최소의 전력을 소모하면서 주변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제 1 파라미터 값과 제 2 파라미터 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입력 저장되어 설정되거나 또는 입력되지 않고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조명유지시간 값 또는 점등유지시간 값은 점등상태를 유지시키는 시간으로 15초 내지 25초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고 15초로 설정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즉, 무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점등한 상태로부터 약 15초 이면 움직이는 물체가 무엇인지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필요에 의하여 15초 내지 25초 범위를 초과하여 가감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컨버터부(130)는 상용전원인 교류(AC)를 입력하고 센서등 제어부(120)의 해당 조명제어신호에 의하여 다단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벨의 동작전원이 출력되며 출력된 동작전원은 엘이디 조명부(140)에 입력된다.
한편, 컨버터부(130)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100)을 구성하는 각 기능부에 해당 동작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엘이디 조명부(140)는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것으로 와트(watt) 급 발광소자인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엘이디 조명부(140)에 구비되는 와트급 엘이디는 하나 이상의 다수이며 직렬연결 또는 병렬연결 또는 직렬과 병렬 연결 방식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엘이디 조명부(140)는 컨버터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전원에 의하여 조명하므로, 제 1 또는 제 2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으로 주변을 조명한다.
무선부(15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휴대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접속하여 통신하므로 제 1 및 제 2 파라미터 값, 조명 유지시간 값, 운용 소프트웨어, 운용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은 응용 프로그램인 앱(APP)을 설치하여 무선부(150)와 무선접속할 수 있고, 센서등 제어부(120)에서도 동일한 앱(APP)을 설치하여 스마트폰과 통신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운용방법의 점등루틴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부, 센서등 제어부, 컨버터부, 엘이디 조명부, 무선부가 포함되고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접속된 무선부로부터 제 1 파라미터 값과 제 2 파라미터 값과 조명유지 시간값이 포함되는 각종 운용 프로그램, 운용 데이터, 제어명령 등을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센서부를 감시하여 주변의 조도값을 분석한다(S1100).
센서등 제어부는 조도값을 분석한 결과 조명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200).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조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부를 감시하여 1 차로 무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 확인한다(S1300).
한편,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무생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2 차로 적외선을 발산하는 생물체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S1400).
센서등 제어부는 무생물체 또는 생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검출될 때까지 계속 반복하며, 무생물체 또는 생물체가 검출되면 점등루틴을 운용한다(S1500).
센서등 제어부는 점등루틴이 운용되면 시간의 계수를 시작한다(S1501).
계수되는 시간은 15초 내지 25초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이 될 수 있으며 15 초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전기 에너지의 낭비 억제를 위하여 비교적 바람직하다.
센서등 제어부는 제 1 파라미터의 레벨에 의한 조도로 엘이디 조명부가 조명되도록 해당 조명제어신호를 컨버터부에 출력하고, 엘이디 조명부는 점등되어 제 1 파라미터로 설정된 값에 의하여 결정되는 조도로 주변을 조명한다(S1502).
여기서 제 1 파라미터 값이 저장 설정되어 있으면 제 1 파라미터 값에 의하여 지정되는 조도로 엘이디 조명부가 점등되므로 엘이디 조명부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조도 값의 100 % 보다 작은 레벨의 조도 값으로 조명한다.
그리고 제 1 파라미터 값이 저장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엘이디 조명부는 단순하게 점등되어 출력할 수 있는 출력의 조도 100 %로 조명한다.
센서등 제어부는 계수값을 확인하여 조명유지 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의 계수가 완료 또는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503).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계수된 값이 조명유지시간으로 설정된 범위를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센서부를 감시하여 소리 신호가 검출되는지(S1504)를 확인하고 또한, 무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거나 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한다(S1505).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조명유지시간의 계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서 소리신호가 검출되거나 무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계수값을 0의 값으로 설정 또는 초기화(N=0) 시키고(S1506) 루틴의 초기 단계로 궤환(feedback)하여 계수를 다시 시작한다.
한편,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계수된 값이 조명유지시간으로 설정된 범위를 경과 또는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 2 파라미터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507).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제 2 파라미터 값이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버터부에 제 2 파라미터 값에 해당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엘이디 조명부가 점등되도록 한 후 제 2 단계(S1200)로 궤환한다(S1508).
이때, 제 2 파라미터에 의한 조도는 밝지는 않지만 주변에 물체가 있는지를 분간할 정도이면 된다.
그리고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제 2 파라미터 값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엘이디 조명부를 완전하게 소등(off)한 후 제 2 단계(S1200)로 궤환한다(S1509).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생물체 및 무생물체의 접근 또는 이동을 검출하므로 무단침입을 방지하는 경계용, 방범용 등으로 응용할 수 있고 군용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로봇 등과 같은 무인장치, 무동력 장치의 접근, 이동, 침입을 검출할 수 있으며 기타 자동화 시설에도 응용할 수 있다.
한편, 1 차로 무생물체의 접근 및 이동을 검출하고 2 차로 생물체의 접근 및 이동을 검출하며, 무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접근 및 이동을 검출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 이내에 소리 또는 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점등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별도로 점등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소등 상태를 선택에 의하여 물체의 유무 또는 이동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조명하고 움직임 또는 소리 등을 검출하는 경우 밝게 조명하므로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110 : 센서부 112 : 도플러 센서
114 : 소리 센서 116 : 적외선 센서
118 : 조도 센서 120 : 센서등 제어부
130 : 컨버터부 140 : 엘이디 조명부

Claims (7)

  1.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조명하는 센서조명등에 있어서,
    무생물체의 움직임과 생물체의 움직임과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주변의 조도 검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접속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검출된 신호가 입력되면 다단계 레벨의 조도값 중 저장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조도값으로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등 제어부;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고 입력된 상용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상기 센서등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레벨의 동작전원을 출력하며 구성된 모든 기능부에 해당 필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 접속하고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엘이디 조명부; 를 포함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고 제 1 파라미터값과 제 2 파라미터값, 조명유지 시간값, 운용 소프트웨어, 운용데이터를 와이파이 방식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센서등제어부에 출력하는 무선부; 를 더 포함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에 10.525 GHz 또는 24 GHz의 무선주파수 신호를 방사하고 주변의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 분석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도플러 센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센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접속하며 주변 조도값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를 포함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의 조도값으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상기 컨버터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이동통신용 스마트폰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접속하여 상기 파라미터와 운용 소프트웨어와 운용데이터가 포함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6. 센서부, 센서등 제어부, 컨버터부, 엘이디 조명부, 무선부가 포함되고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부로부터 제 1 파라미터와 제 2의 파라미터, 조명유지 시간값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주변 조도값을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주변 조도값을 분석하며 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적외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무생물체의 움직임 또는 적외선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명유지 시간동안 제 1 파라미터 값으로 조명되도록 점등하는 점등루틴을 운용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조명유지 시간의 계수를 시작하고 상기제 1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조명하도록 제어하는 제 31 과정;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가 완료되어 계수값이 상기 조명유지 시간값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 32 과정;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값이 조명유지 시간값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고 소리신호가 검출되거나 무생물체 또는 적외선이 검출되면 상기 계수값을 0의 값인 초기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31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 33 과정; 및
    상기 센서등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계수값이 조명유지 시간값을 경과한 것을고 판단되면 저장된 상기 제 2 파리미터 값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엘이디 조명부가 조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하는 제 34 과정; 을 포함하는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의 운용방법.
KR20130112625A 2013-09-23 2013-09-23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KR2015003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25A KR20150033777A (ko) 2013-09-23 2013-09-23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25A KR20150033777A (ko) 2013-09-23 2013-09-23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77A true KR20150033777A (ko) 2015-04-02

Family

ID=5303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625A KR20150033777A (ko) 2013-09-23 2013-09-23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350B1 (ko) * 2018-08-29 2019-02-18 기민전자주식회사 분산형 센서 연계 조명 자가 제어시스템
KR102199099B1 (ko) * 2020-06-29 2021-01-06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모션센서를 내장한 디밍 절전형 led 방폭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350B1 (ko) * 2018-08-29 2019-02-18 기민전자주식회사 분산형 센서 연계 조명 자가 제어시스템
KR102199099B1 (ko) * 2020-06-29 2021-01-06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모션센서를 내장한 디밍 절전형 led 방폭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0394B2 (en) Lighting system to facilitate remote modification of a light fixture modifiable operating parameter
JP6014291B2 (ja) 領域における検知
US9532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trolling LED lighting
EP1966624A1 (en) User interface with position awareness
US11700681B2 (en) Self-test procedure for a control device
US10045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based activation of an occupancy sensor wireless transceiver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KR20150033777A (ko) 무생물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엘이디 센서조명등 및 그 운용방법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10125477A (ja) 照明制御装置
KR100975479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EP332070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20230044169A1 (en) Lighting apparatus with microwave induction
CN110945967A (zh) 用于确定自动照明操作的占用的设备、系统和方法
US11943857B2 (en) Controller for restricting control of a lighting unit in a ligh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KR20120019571A (ko) 조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바닥 센서
KR101673801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9473A (ko) 센서등 무선 자율 그룹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 자율제어 센서등 장치
KR101750626B1 (ko) 조명 시스템
KR20120136218A (ko)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1794755B1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제스처 입력방법
KR101239657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JP6653448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