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865A -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865A
KR20080074865A KR1020087009607A KR20087009607A KR20080074865A KR 20080074865 A KR20080074865 A KR 20080074865A KR 1020087009607 A KR1020087009607 A KR 1020087009607A KR 20087009607 A KR20087009607 A KR 20087009607A KR 20080074865 A KR20080074865 A KR 2008007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holding
needle bed
knitt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다무라
다다시 아리모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7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commencing goods, e.g. with non-run ed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폭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편사를 전환함과 아울러 편사의 접합부를 편성포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 중의 편사를 전환용의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된 편사와 연결하여 편사를 접합하는 편사 연결수단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2개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는 편사 파지수단 및 편사 절단수단을 갖춘 횡편기에 있어서, 편사 연결수단에 의해 사용 중의 편사A와 전환용의 편사B를 연결하여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의 전후에 있어서 편사A와 편사B를 각각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고,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한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측의 편사A와 편사B의 각각을 절단함과 아울러, 편사B의 절단시에는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B의 단사가 되는 부분을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여 편성 도중에 편성포로부터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제거한다.

Description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METHOD FOR HANDLING JOINT OF KNITTING YARN}
본 발명은, 편성에 사용하고 있는 편사(編絲)에 다른 편사를 접합시켜 편사를 전환하는 편사 연결장치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에서, 연결된 편사의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면서 다색패턴(多色 pattern) 등을 편성하기 위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이나 보더 패턴(border pattern)을 편성할 때에, 횡편기에 설치한 노터(knotter)나 스플라이서(splicer) 등의 편사 연결장치에 의하여 편성 중의 편사에 성질이 다른 편사를 접합시켜서 색 등을 전환하는 편사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결된 편사를 사용하면, 하나의 급사구(給絲口)로 색 등의 성질이 다른 편사를 급사할 수 있다. 연결된 편사를 정확하게 전환하는 편성방법에 관하여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편사 가공수단을 구비한 횡편기에 의해 정확한 편성위치에서 편사의 성질을 전환할 수 있고, 전환위치까지 편성이 이루어진 후에 미리 정한 길이의 편사를 편성동작에 의해 인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서는, 편사연결을 하는 앞 또는 뒤로 편성폭 단부까지 편성한 후에 급사구를 정지하고, 연결된 편사를 접합부를 넘어서까지 인출하고, 편성에 사용하고 있었던 편사와 인출한 편사의 접합부를 넘어간 부분을 구속부재로 구속하고, 전환용의 편사로 편성을 계속함과 아울러 편성단과 구속부재의 사이에서 편사를 절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2816784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3-27660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편성폭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편사를 전환하여 전환위치까지 편성한 후에 편성동작에 의해 미리 정한 길이의 편사를 인출한다. 따라서 편사의 접합부를 편성포로부터 제거하고 싶은 경우에는 후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편성폭 단부(端部)에서 편사의 전환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편사절단장치가 니들베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인출된 편사 및 접합부를 니들베드 단부에서 절단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1편성 코스 내에서 편사를 전환하지 않는 가로줄무늬 모양에 관해서는 편성할 수 있지만, 1편성 코스 내에서 편사를 전환하는 예를 들면 인타샤 패턴의 경우에는, 절단 후의 단사(端絲)가 편성포의 겉에 드러나므로, 단사를 후공정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어서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폭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편사를 전환함과 아울러 편사의 접합부를 편성포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해결수단]
본 발명은, 사용 중의 편사를 전환용의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된 편사와 연결하여 편사를 접합하는 편사 연결수단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하는 적어도 2개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는 편사 파지수단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된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 절단수단을 갖춘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편사 연결수단에 의해 사용 중의 편사A와 전환용의 편사B를 연결하고,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의 전후에 있어서 편사A와 편사B를 각각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고,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한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측의 편사A와 편사B의 각각을 절단함과 아울러, 편사B의 절단시에는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B의 단사가 되는 부분을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여, 편성 도중에 편성포로부터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은, 이하의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편사 파지수단은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고,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쌍방에 의해,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니들베드의 편침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b)니들베드의 단부 또는 니들베드의 외측에 설치된 편사를 지지하는 편사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와 접합부의 사이에서 편사A를 지지하는 스텝,
c)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절단하는 스텝,
d)니들베드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1편사 파지부에 있어서, 파지를 해제하는 스텝,
e)급사구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2편사 파지부를 해제하는 스텝,
f)연결된 편사A와 편사B가 급사되는 상기 급사구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하는 스텝,
g)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쌍방에 의하여 편사B를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h)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B를 절단하는 스텝,
i)일단이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되고 타단이 편사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상기 제2편사 파지부에 의해 니들베드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니들베드의 외측에서 상기 파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편사 지지수단에 의한 지지도 해제하여, 상기 자투리를 제거하는 스텝.
또한 본 발명의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은, 이하의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편사 파지수단은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고,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쌍방에 의해,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니들베드의 편침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b)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절단하는 스텝,
c)니들베드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1편사 파지부에 있어서, 파지를 해제하는 스텝,
d)제2편사 파지부와 급사구 중의 적어도 일방을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하는 스텝,
e)제1편사 파지부에 의하여 편사B를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f)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제1편사 파지부와 접합부의 사이에서 편사B를 절단하는 스텝,
g)접합부를 포함하고, 일단이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되는 자투리를, 상기 제2편사 파지부로부터 파지를 해제하여 상기 자투리를 제거하는 스텝.
또한 본 발명은, 편사A의 단사와 편사B의 단사가 편성포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단사를 파지한 편사 파지수단을 편성폭 내로 이동한 후에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단사삽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사A의 편성종료와 편사B의 편성시작에 있어서 풀림방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성포로부터 제거한 상기 자투리를, 니들베드의 단부 또는 니들베드의 외측에 설치한 폐기장치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편사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 사용 중의 편사와 전환용의 편사를 접합부의 양측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편사 파지부(編絲 把持部)를 구비하는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여 편사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 후에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상기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면서 편성 중에 편성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편사 파지수단 및 편사 절단수단을 사용하므로, 편성폭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확한 편사의 전환 및 접합부의 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편성 중에 접합부가 제거되므로, 접합부를 제거하는 경우의 후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착용시에 접합부에 의한 위화감이 없는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된 편사를 니들베드의 편침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제1편사 파지부와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함과 아울러 편사 지지수단으로 지지한 후에 상기 2개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절단하고, 파지를 해제하고, 계속하여 급사구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한 후에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제1편사 파지부와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하고, 상기 2개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절단하기 때문에, 접합부의 위치를 정밀도 높게 산출하여 그 양측을 동시에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시키지 않아도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절단 후의 자투리를 편사 파지수단에 의해 니들베드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에 제거하기 때문에 니들베드 상에 자투리를 남기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된 편사를 니들베드의 편침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제1편사 파지부와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한 후에 상기 2개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절단하고, 제1편사 파지부의 파지를 해제하고, 계속하여 급사구와 제2편사 파지부 중의 적어도 일방을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한 후에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제1편사 파지부로 파지하고, 상기 2개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절단하기 때문에 편사를 지지하는 편사 지지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접합부의 양측에서 상기 연결된 편사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 후의 단사가 편성포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단사를 파지한 편사 파지수단을 편성폭 내로 이동한 후에 파지를 해제하여 단사를 삽입하기 때문에, 편성 후에 단사를 처리하는 후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 중의 편사의 편성종료와 전환용의 편사의 편성시작에 있어서 풀림방지를 하므로,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에 편사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하여 제거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니들베드 단부 또는 니들베드의 외측에 설치한 폐기장치로 폐기하기 때문에 자투리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관한 횡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1에 관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스텝이다.
도3은, 실시예2에 관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스텝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횡편기 2…통모양 편성포
3…콘(cone) 4, 5…편사
6…접합부 7…스플라이서(splicer)
8…급사구(給絲口) 9…제1편사 파지부
10…제2편사 파지부 11…편사 지지부
12…폐기장치 13…프레임
14…니들베드 15…캐리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로서, 편성폭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편사를 전환함과 아울러 편사의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을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본건 실시예1, 2에 관한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횡편기1에서는, 콘(cone)3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편사 중에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4 이외의 편사를 스플라이서7로 지지하고, 편사4가 급사구8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니들베드14의 편침을 사용하여 통모양 편성포2를 편사4와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되는 편사5를 스플라이서7에 의해 연결 접합하여 전환하면서 편성한다. 편성은 프레임13 상에 설치되는 니들베드14 상을 캐리지15가 도1의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니들베드14의 편침에 편사4를 급사하는 급사구8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예를 들면 캐리지15와 연동하여 니들베드14를 따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편사 파지수단인 제1편사 파 지부6과 제2편사 파지부10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별로 니들베드14를 따라 이동한다. 실시예1, 2에 있어서의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899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와 동일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편사 절단수단인 커터도, 마찬가지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니들베드14를 따라 이동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의 커터는,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899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그리퍼와 제2그리퍼의 동작에 따라 절단동작을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의 커터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동작과 무관하게 절단동작을 한다.
니들베드14의 외측의 프레임13 상에는 편사 지지수단인 편사 지지부11과 절단하여 제거한 자투리를 폐기하는 폐기장치12를 구비한다. 상기 편사 지지부11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483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편사 지지 절단장치의 훅(hook)과 동일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폐기장치12는 예를 들면 에어(air)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로서, 흡인한 자투리를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집진용기(集塵容器)에 모은다.
<실시예1>
도2는 실시예1에 관한 편사접합부6의 처리의 스텝을 나타낸다. S1∼S11은 스텝수를 나타내고, F와 b는 각각 앞 니들베드와 뒤 니들베드를 나 타내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통모양 편성포2는 앞 니들베드F의 편침으로 앞측 편성포를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로 편성하고, 뒤 니들베드B의 편침으로 뒤측 편성포를 플레인 스티치로 편성하며, 니들베드14의 단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편사4와 편사5에 관하여는 급사구8의 편사공급원 측에서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과 편사 지지부11과 폐기장치12는, 각 스텝에 있어서 특별히 작용하지 않을 경우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다.
스텝1에서는, 급사구8로부터 편사4를 니들베드14의 전후의 편침에 급사하여 통모양 편성포2를 편성한다.
스텝2에서는, 편사4로 통모양 편성포2의 앞측 편성포의 편성단까지 편성한 후, 뒤 니들베드B의 편침에서 턱(tuck)을 하여 풀림방지를 한다.
스텝3에서는, 급사구8을 니들베드14의 외측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에 급사구8은 계속되는 스텝4에 있어서 편사 지지부11이 편사4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한다. 또한 편사4는 급사구8이 이동하기 전에 스플라이서7에 의해 성질이 다른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된 편사5와 연결 접합된다.
스텝4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하여 스텝3에서 니들베드14의 편침과 급사구8의 사이에 걸친 연결된 편사4를, 니들베드14의 편침과 상기 접합부6의 사이에서 파지하고, 또한 상기 편사4를 프레임13 상에 설치된 편사 지지부11에 의해 상기 제2편사 파지부10과 상기 접합부6의 사이에서 지지한다. 도면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 10은 편성폭의 바깥쪽에서 편사4를 파지하고 있지만, 편성폭의 안쪽에서 파지하여도 좋다.
스텝5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사이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커터로 편사4를 절단한다. 편사4의 절단 후에 단사4a와 단사4b는 각각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해 파지된다.
스텝6에서는, 단사4a와 단사4b의 파지를 해제한다. 단사4a를 파지하는 위치가 편성폭의 바깥쪽인 경우, 편성종료 후에 단사가 편성포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제1편사 파지부9를 편성폭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단사4a의 파지를 해제한다. 단사4a를 파지하는 위치가 편성폭의 안쪽인 경우에는, 도3의 스텝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편사 파지부9를 이동시키지 않고 단사4a의 파지를 해제하면 된다. 제2편사 파지부10은 니들베드14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단사4b의 파지를 해제한다.
스텝7에서는, 급사구8을 니들베드14 위를 향하여 이동하여 접합부6을 포함하는 편사4 및 편사5를 인출한다. 인출에 의해 상기 접합부6은 급사구8과 편사 지지부11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스텝7 이후는 편사4로 편성한 통모양 편성포2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스텝8에서는, 인출된 편사5를 접합부6과 급사구8의 사이에서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해 파지한다.
스텝9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사이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상기 커터로 편사5를 절단한다. 편사5의 절단 후에 단 사5a와 단사5b는 각각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해 파지된다.
스텝10에서는, 제2편사 파지부10을 니들베드14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단사5b의 파지를 해제한다. 이 때, 단사5b와 접합부6과 단사4b를 포함하는 자투리는 편사 지지부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텝11에서는, 편사 지지부11에 의한 상기 자투리의 지지를 해제하여 폐기장치12로 상기 자투리를 폐기하고,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5의 단사5a를 파지한 제1편사 파지부9를 편성폭 안의 편성 시작 위치로 이동한 후에, 앞 니들베드F의 편침에 턱을 하여 풀림방지를 한 후에 편성을 계속한다.
실시예1에서는 프레임13 상에 설치된 편사 지지부11을 사용했지만,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과 동일한 제3편사 파지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1에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자투리의 편사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스텝3에 있어서 편사4와 편사5의 접합부6은 편사 지지부11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1에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자투리의 편사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스텝8에 있어서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한 편사5의 파지가 접합부6으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다음에 실시예2에 의한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상기 편사 지지부11을 사용하지 않은 예를 나타낸다. 도3은 본건 실시예에 관한 편사접합부6을 처리하는 스텝을 나타낸다.
스텝1과 스텝2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스텝3에서는, 급사구8을 니들베드14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편사4를 파지할 수 있는 길이까지 인출한다. 또한 편사4는 급사구8이 이동하기 전에 스플라이서7에 의해 성질의 다른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된 편사5와 연결 접합된다.
스텝4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하여 스텝3에서 니들베드14의 편침과 급사구8 사이에 걸친 연결된 편사2를, 니들베드14의 편침과 상기 접합부6의 사이에서 파지한다. 도면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 및 제2편사 파지부10이 편성폭의 안쪽에서 편사4를 파지하고 있지만, 편성폭의 바깥쪽에서 파지하여도 좋다.
스텝5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사이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커터로 편사4를 절단한다.
스텝6에서는, 단사4a의 파지를 해제한다. 단사4a를 파지하는 위치가 편성폭 안쪽인 경우에는, 제1편사 파지부9를 이동시키지 않고 단사4a의 파지를 해제하면 된다. 단사4a를 파지하는 위치가 편성폭의 바깥쪽인 경우에는, 도2의 스텝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종료 후에 단사가 편성포 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제1편사 파지부9를 편성폭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단사4a의 파지를 해제한다.
스텝7에서는, 급사구8을 니들베드14 위를 향하여 이동하여 접합부6을 포함하는 편사4 및 편사5를 인출한다.
스텝8에서는, 인출된 편사5를 접합부6과 급사구8의 사이에서 제1편사 파지부9에 의해 파지한다.
스텝9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사이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상기 커터로 편사5를 절단한다. 편사5의 절단 후에 단사5a는 제1편사 파지부9에 의해 파지된다. 이 때에 단사5b와 접합부6과 단사4b를 포함하는 자투리는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스텝10에서는, 제2편사 파지부10을 니들베드14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텝11에서는, 제2편사 파지부10에서의 상기 자투리의 파지를 해제하여 폐기장치12로 상기 자투리를 폐기하고,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5의 단사5a를 파지한 제1편사 파지부9를 편성폭 안쪽의 편성 시작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앞 니들베드F의 편침에 턱을 하여 풀림방지를 한 후에 편성을 계속한다.
실시예2에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자투리의 편사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스텝3에 있어서 인출되는 편사5와의 접합부6까지의 편사4의 편사 길이를,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쌍방에서 파지 가능한 최소한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2에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자투리의 편사 길이를 짧게 하 기 위해서는, 스텝8에 있어서 제1편사 파지부9에 의한 편사5의 파지는 접합부6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 후에 편성포에 남는 단사4a의 편사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각 스텝4에 있어서 제1편사 파지부9로 풀림방지한 위치의 가까운 곳에서 편사4를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 2에서는 편사의 전환이 통모양 편성포2의 편성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했지만, 통모양 편성포2의 편성폭의 도중에 이루어져도 되고, 이 경우 스텝2에서는 앞 니들베드F의 편성에 연속하여 뒤 니들베드B에서 임의의 스티치수를 편성한 후에 턱을 하여 풀림방지를 하고, 이후는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을 실행하면 된다.
실시예1, 2에서 편사4에서의 편성종료와 편사5에서의 편성시작에 있어서의 풀림방지는, 턱 이외에도 일본국 특허 제30993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매듭을 편성에 의하여 형성하여 풀림방지하는 편성방법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실시예1에서는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동작에 따라 절단 동작하는 커터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실시예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편사 파지부9와 제2편사 파지부10의 동작과 무관한 커터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1, 2에서 상기 자투리의 폐기에 있어서는, 편사 지지부11에 의한 지지를 해제한 후에 제2편사 파지부10에 의한 파지를 해제하도록 하여 도 좋고 동시에 해제하여도 좋다.
또한 폐기장치12는 에어를 내뿜어서 자투리를 집진용기로 송출(送出)하여도 좋다.

Claims (6)

  1. 사용 중의 편사(編絲)를 전환용의 복수의 편사로부터 선택된 편사와 연결하여 편사를 접합하는 편사 연결수단과,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把持)하는 적어도 2개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는 편사 파지수단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된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 절단수단을 갖춘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편사 연결수단에 의해 사용 중의 편사A와 전환용의 편사B를 연결하고,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의 전후에 있어서 편사A와 편사B를 각각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고,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한 편사A와 편사B의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측의 편사A와 편사B의 각각을 절단함과 아울러, 편사B의 절단시에는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B의 단사(端絲)가 되는 부분을 편사 파지수단으로 파지하여, 편성 도중에 편성포로부터 상기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스텝,
    a)편사 파지수단은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고,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 쌍방에 의해,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니들베드의 편침(編針)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b)니들베드의 단부(端部) 또는 니들베드의 외측에 설치된 편사를 지지하는 편사 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와 접합부의 사이에서 편사A를 지지하는 스텝,
    c)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절단하는 스텝,
    d)니들베드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1편사 파지부에 있어서, 파지를 해제하는 스텝,
    e)급사구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2편사 파지부를 해제하는 스텝,
    f)연결된 편사A와 편사B가 급사되는 상기 급사구를,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하는 스텝,
    g)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쌍방에 의하여 편사B를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h)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B를 절단하는 스텝,
    i)일단(一端)이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되고 타단(他端)이 편사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자투리를, 상기 제2편사 파지부에 의해 니들베드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니들베드의 외측에서 상기 파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편사 지지수단에 의한 지지도 해제하여, 상기 자투리를 제거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스텝,
    a)편사 파지수단은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를 구비하고,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 쌍방에 의해,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니들베드의 편침과 접합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b)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과 제2의 편사 파지부의 사이에서 편사연결 후의 편사A를 절단하는 스텝,
    c)니들베드측의 편사A의 단사를 파지하는 제1편사 파지부에 있어서, 파지를 해제하는 스텝,
    d)제2편사 파지부와 급사구 중의 적어도 일방을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여 접합부를 인출하는 스텝,
    e)제1편사 파지부에 의하여 편사B를 접합부와 급사구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스텝,
    f)편사 절단수단에 의하여 제1편사 파지부와 접합부의 사이에서 편사B를 절단하는 스텝,
    g)접합부를 포함하고 일단이 제2편사 파지부로 파지되는 자투리를, 상기 제2편사 파지부로부터 파지를 해제하여 상기 자투리를 제거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사A의 단사와 편사B의 단사가 편성포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단사를 파지한 편사 파지수단을 편성폭 내로 이동한 후에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단사삽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사A의 편성종료와 편사B의 편성시작에 있어서 풀림방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성포로부터 제거한 상기 자투리를, 니들베드의 단부 또는 니들베드의 외측에 설치한 폐기장치(廢棄裝置)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KR1020087009607A 2005-11-17 2006-11-07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KR20080074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3457 2005-11-17
JPJP-P-2005-00333457 2005-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865A true KR20080074865A (ko) 2008-08-13

Family

ID=3804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607A KR20080074865A (ko) 2005-11-17 2006-11-07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7058090A1 (ko)
KR (1) KR20080074865A (ko)
CN (1) CN101313097A (ko)
WO (1) WO2007058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000B2 (ja) * 2007-04-26 2013-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糸加工部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処理方法ならびにデザイン装置
WO2011018929A1 (ja) * 2009-08-12 2011-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EP3798340B1 (de) * 2019-09-26 2021-08-18 KARL MAYER STOLL R&D GmbH Verfahren zum fadeneinzug nach dem kettbaumwechsel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und kettenwirkmaschine mit einer funktion zum fadeneinzug nach dem kettbaumwechsel
CN114016204B (zh) * 2021-11-22 2022-07-22 江南大学 一种横编结头全自动处理连续编织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2264C2 (de) * 1987-04-10 1994-12-15 Stoll & Co 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Gewährleistung eines lagegenauen Wechselfadeneinsatzes in einer Wirk- oder Strickmaschine
JPH0450349A (ja) * 1990-06-11 1992-02-19 Amou Seni Kiki Kk 横編機に付設する耳糸の自動引き込み装置
JP2816784B2 (ja) * 1992-06-17 1998-10-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加工位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099304B2 (ja) * 1994-09-01 2000-10-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解れ止め方法
JP4015980B2 (ja) * 2003-09-19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8090A1 (ja) 2007-05-24
JPWO2007058090A1 (ja) 2009-04-30
CN101313097A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4696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および編地
KR20080074865A (ko) 편사접합부의 처리방법
JP2702100B2 (ja) 柄出し編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経編機
KR101498446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KR200490925Y1 (ko) 장갑 편성기
JP3541192B2 (ja) 端糸を処理するための編成方法
JP5057991B2 (ja) 横編機の編糸切断・保持方法および装置
KR10164874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TW504528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and for closing their toes
JP6153509B2 (ja) 編成方法
JP5057711B2 (ja) 靴下編機
SU579913A3 (ru) Овальна плоскофангова машина
KR10141402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JP2008261074A (ja) 編地の編成方法
ITBA20010009A1 (it) Impianto automatico e relativi procedimenti per l&#39;applicazione della fodera alla cintura del pantalone.
EP4332287A1 (en) End yarn processing device and end yarn processing method
CN114026279B (zh) 用于制造平脚裤的机器
EP0636729A3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osiery and knitting and sewing machines.
JPH0752701Y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セット装置
CN117626512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JPH07138852A (ja) 横編み機
JPS5947750B2 (ja) 横編メリヤス生地の糸抜き処理方法
JP2009209504A (ja) 筒状生地の生地端合わせ装置
JP2016106893A (ja) 方形状布類展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