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053A -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053A
KR20080068053A KR1020087011187A KR20087011187A KR20080068053A KR 20080068053 A KR20080068053 A KR 20080068053A KR 1020087011187 A KR1020087011187 A KR 1020087011187A KR 20087011187 A KR20087011187 A KR 20087011187A KR 20080068053 A KR20080068053 A KR 2008006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ud
elastic body
mou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478B1 (ko
Inventor
미쯔오 구즈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Publication of KR2008006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r the shape of the equilibration chamber, e.g. the equilibration chamber, surrounding the plastics spring or being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진동감쇠체(13)와 링상탄성체(14)로 구성하고, 진동감쇠체(13)를 차체프레임(11)에 부착 설치하고,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링상탄성체(14)를 끼워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차체프레임(11)이 하중을 받아내기 때문에 케이스(16)가 변형되지 않는다. 진동감쇠체(13)를 고강도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량 및 코스트의 저감 및 소형화가 도모된다. 링상탄성체(14)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링상탄성체(14)에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진동흡수 기능과 진동감쇠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충분한 진동 제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마운트, 액체봉입식마운트, 진동감쇠체, 링상탄성체, 씰 부재, 케이스, 감쇠판

Description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LIQUID SEALED MOUN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기계 등의 산업용 기계, 대형 트럭,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진동 방지용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특히 파워 쇼벨의 차체프레임과 캡(운전대)과의 사이 등에 사용되기 적합한 액체봉입식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파워 쇼벨, 호일로더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캡과 차체프레임과의 사이에 고무 마운트나 액체봉입식마운트 등의 마운트가 설치되어, 이들 마운트의 진동흡수기능과 진동감쇠기능에 의해 운전자의 쾌적한 주거성과 조작성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체프레임측으로부터의 진동의 유연성의 향상, 즉 마운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캡이 진동하는 경우에도 조기에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이 현재 마운트에 기대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주행체로서의 클로라 등의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차체프레임의 상방에 중량물인 캡과 엔진이 탑재하는 등으로 중심이 높고, 게다가 부정지(不整地)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작 미스나 사고가 생기는 경우에는 전도(顚倒)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마운트 에는 과도한 하중이 걸리고, 마운트를 구성하는 탄성체에 균열이 생기는 등으로 마운트가 정확하게 기능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마운트의 각 구성부품 특히 마운트의 중심부분에 설치되는 스터드와, 스터드 및 감쇠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대경화(大徑化)하거나 두껍게 하는 등으로 마운트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화에 의해 마운트의 중량이 매우 무겁게 되는 것 이외에 대형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올라가는 것 이외에 커다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가 한정된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다. 또한 강도를 확보한 채로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탄성체를 소형화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그 결과 진동흡수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한 마운트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진(防振)장치 소위 고무 마운트가 알려져 있으며, 상기 고무 마운트는 한 쌍의 방진고무(탄성체)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체는 설치 브라켓을 끼우는 것에 의해 예비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한 편의 탄성체는 스터드(볼트)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더욱 압축되고, 타방의 탄성체는 스터드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더욱 압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도시된 고무 마운트에 있어서는, 엔진의 진동부하 방향과 한 쌍의 탄성체의 예비압축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엔진의 진동부하에 대응하여 탄성체가 압축방향(신장방향) 및 신장방향(압축방향)으로 탄성변형함으로써 고무 마운트 자체의 내부감쇠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거나 감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건설기계의 차체프레임과 캡 사이에 사용되는 마운트로는 특허문헌 2 및 3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는, 건설기계의 캡 측에 고정된 스터드와 건설기계의 차체프레임 측에 고정된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 내에 봉입된 점성액에 잠기도록 스터드의 단부(端部)에 감쇠판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드에는 탄성체가 소부접착(燒付接着)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탄성체에 고정된 통상(筒狀)케이스를 케이스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액체봉입식마운트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터드의 축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체가 전단(剪斷)방향으로 변형하여 진동을 흡수함과 함께, 스터드의 단부에 설치된 감쇠판이 점성액 안을 이동하여 생기는 점성저항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캡의 측벽하면에 고정된 스터드와 건설기계의 차체프레임 측에 고정된 고강도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 내에 봉입된 점성액에 잠기도록 스터드의 단부에 감쇠판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3에는 특허문헌 2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와 동일하게 스터드의 축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체가 전단방향으로 변형하여 진동을 흡수함과 함께, 스터드의 단부에 설치된 감쇠판이 점성액 안을 이동하여 생기는 점성저항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2 및 3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탄성체의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함과 함께 감쇠판이 점성액 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진동흡수 기능 및 진동감쇠 기능을 겸비하여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무 마운트보다도 운전자의 쾌적성을 확보하는데 보다 적합하다.
특허문헌 1 : 특개평8-326811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평7-224883호 공보
특허문헌 3 : 특개평10-2617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도시한 고무 마운트에 따르면, 구성부품으로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체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압축에 대해 허용 가능한 하중이 큰 잇점은 있으나, 진동의 흡수·감쇠는 탄성체의 내부감쇠만 있기 때문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분한 스트로크를 얻기 어렵고, 또한 진동감쇠 기능도 적기 때문에 양호한 승차감을 얻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한정된 마운트 설치 스페이스에서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스터드를 대경화하는 한편 한 쌍의 탄성체를 소형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진동흡수 기능을 더욱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진동감쇠 기능은 충분히 얻을 수 있지만 판상(板狀)의 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가 캡의 하중을 탄성체를 통하여 흡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마운트의 강도는 탄성체와 하중을 받아내는 케이스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전도될 정도로 바깥방향으로 과대한 하중이 마운트에 걸리는 경우에는, 케이스의 변형을 생기게 하기도 하고 케이스에 균열이 생겨 점성액이 누설되는 가능성도 있는 반면, 또한 탄성체에는 전단방향으로 과도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탄성체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3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특허문헌 2에 도시된 액체봉입식마운트와 비교하여 케이스를 두껍게 하여 마운트의 고강도화를 도모하였으나, 케이스의 두꺼운 부위와 프레스 가공부의 2 종류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증가하고 하중과 코스트가 높아지는 한편, 마운트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어 소형의 건설기계에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흡수 기능 및 진동감쇠 기능을 구비하는 한편 충분한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소형화가 가능한 액체봉입식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일방측의 부재와 타방측의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부착 설치되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를 삽통(揷通)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타방측의 부재에 고정되는 플렌지 부재와, 상기 플렌지 부재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스터드의 타단이 들어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開口)단부측에 외주측이 고착되고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에 내주측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점성액이 봉입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가요성의 씰 부재와, 상기 스터드의 타단측에 고정되고 상기 점성액 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감쇠판과, 상기 일방측의 부재와 상기 플렌지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양방의 부재간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탄성체가 압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씰 부재가 상기 감쇠판이 바깥방향으로 이동시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부를 구비하여 바깥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플렌지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강성에 비하여 고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플렌지 부재가 압축방향 하중을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지지하는 것과 함께 상기 바깥방향 하중을 상기 씰 부재를 통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플렌지 부재가 상기 타방측 부재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플렌지 부재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2 탄성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스터드가 그 외주면에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씰 부재를 맞붙어 있는 상태에서 예비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에서, 상기 예비압축은 상기 탄성체와 상기 씰 부재를 상기 일방측의 부재 및 상기 감쇠판에 의해 상기 플렌지 부재쪽으로 압축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는, 상기 일방측의 부재가 건설기계에 있어서 캡의 저벽측부재이고 타방측의 부재가 건설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은, 일방측의 부재와 타방측의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스터드의 외주면에 접착에 의해서 씰 부재의 내주면을 고착하고, 상기 스터드에 감쇠판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스터드를 상기 감쇠판이 점성액 내에 잠기도록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씰 부재의 외주측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단부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타방측의 부재에 일체로 고정되는 플렌지 부재의 구멍에 상기 스터드를 삽통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플렌지 부재에 고착시키고, 링상탄성체를 상기 스터드에 삽통시켜 상기 플렌지 부재에 재치(載置)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스터드를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은, 상기 스터드가 외주면에 상기 씰 부재가 고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삽통되어 상기 감쇠판이 고정되는 것과 함께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점성액 내에 배치되는 감쇠판이 고정된 스터드를 일방측의 부재에 부착 설치하는 것과 함께 점성액이 봉입된 케이스를 플렌지 부재를 통하여 타방측에 부착 설치하고 일방측의 부재와 플렌지 부재와의 사이에 양방의 부재간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기 때문에, 양방의 부재간의 하중을 플렌지 부재를 통하여 타방측의 부재가 받아내는 것에 의하여, 케이스에는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으며, 케이스가 변형되거나 케이스에 균열이 생겨 점성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와 스터드를 고강도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량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를 일방측 부재와 플렌지 부재 사이에 설치하고 탄성체의 압축방향으로 양방의 부재간의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탄성체에는 전단방향의 하중이 걸리지 않고, 탄성체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다 하여도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에 의한 진동흡수기능과 감쇠판의 이동에 의한 진동감쇠기능을 겸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진동제어 성능확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탄성체가 압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고 씰 부재는 감쇠판이 바깥방향 이동시 접촉 가능한 스토퍼를 구비하여 바깥방향 하중을 지지하게 되기 때문에 압축방향 하중 및 바깥방향 하중의 쌍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타방측의 부재에 대하여 일방측 부재의 일정 이상의 과대한 경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플렌지 부재가 케이스의 강성에 비하여 고강성이기 때문에 과대한 하중을 받았다고 하여도 플렌지 부재는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플렌지 부재는 압축방향 하중을 탄성체를 통하여 지지함과 함께 바깥방향 하중을 씰부재를 통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쌍방향의 하중을 플렌지 부재가 받아내어 케이스에는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플렌지 부재가 타방측 부재의 일부로 되기 때문에 타방측 부재를 강도 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체봉입식마운트를 구성하는 부품을 적게 하고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중량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플렌지 부재 구멍의 내주면과 스터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2 탄성체를 배치하기 때문에 양방 부재 간의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하중을 제2 탄성체가 받아내어 양방 부재 간의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진동흡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스터드가 그 외주면에 슬리브를 포함하기 때문에 슬리브에 대하여 미리 씰부재를 고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탄성체 및 씰부재를 맞붙어 있는 상태에서 예비압축하기 때문에 예비압축된 탄성체 및 씰부재에 의해 고주파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탄성체 및 씰 부재의 예비압축은 탄성체 및 씰 부재를 일방측의 부재 및 감쇠판에 의해 플렌지 부재 쪽으로 압축시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 따르면, 일방측의 부재를 건설기계에 있어서 캡의 저벽측부재로 하고, 타방측의 부재를 건설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를 건설기계 등의 산업기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산업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을 강도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 조립방법에 따르면, 액체봉입식마운트를 상기 액체봉입식마운트를 구성하는 진동감쇠기능 부품을 조립하는 제1공정과, 진동감쇠 기능 부품을 타방측의 부재에 고착시켜 일방측의 부재와 플렌지 부재와의 사이에 액체봉입식마운트를 구성하는 진동흡수기능 부품을 부착 설치하는 제2공정을 통하여 일방측의 부재와 타방측의 부재 사이에 부착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식마운트 조립방법에 따르면, 스터드는 외주면에 씰부재가 고착되는 슬리브와 슬리브에 삽통되어 감쇠판이 고정되는 것과 함께 일방측 부재에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슬리브에 대하여 미리 씰부재를 고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대상물에 부착 설치된 상태의 액체봉입식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면에서 본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액체봉입식마운트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액체봉입식마운트를 구성하는 환상탄성체와 진동감쇠체를 분리시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감쇠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진동감쇠체에 있어서 씰 부재 단체(單體)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4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봉입식마운트(10)는 파워 쇼벨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주행체로서의 클로라 등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차체(미도시)의 차체프레임(11)(타방측의 부재)과, 이 차체프레임(11)의 도면에서 상방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탑승하는 캡(미도시)의 저벽측부재(12)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봉입식마운트(10)는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 상호간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봉입식마운트(10)는 진동감쇠기능을 갖는 진동감쇠체(13)(감쇠부)와 진동흡수기능을 갖는 고무제의 링상탄성체(14)(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감쇠체(13)는 차체프레임(11)에 고정볼트(15)를 통하여 부착되는 케이스(16)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6)는 판상의 강판을 프레스 가공 등 가공 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바닥을 포함하는 통(筒) 형상의 캡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6)의 개구 단부측에는 원주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환상 플렌지부(16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환상 플렌지부(16a)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5)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16b)이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6)의 내부(수용실)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체로 이루어진 점성액(17)이 봉입되어 있는 한편, 이 점성액(17) 안에는 볼트(18)(스터드)의 두부(18a)측(타단)에 고정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감쇠판(19)이 잠기도록 조립되어 있다.
볼트(18)의 두부(18a)와 볼트(18)로 형성된 숫나사부(18b)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20)와의 사이에는 볼트(18)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갖는 것과 함께 볼트(18)가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21)(스터드)가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21)의 도면에서 하단측에는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고무제 씰부재(22)의 내주측이 가황 접착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씰부재(22)는, 케이스(16)의 개구 단부측에 고정되는 것과 함께 케이스(16) 내부를 구획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씰부재(22)는 그 내주측으로부터 박육(薄肉)씰부(22a)를 통하여 일체로 육후(肉厚)씰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후씰부(22b)의 외주측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상의 립씰부(22c)가 육후씰부(22b)와 일체로 2단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씰부재(22)의 육후씰부(22b)의 도면에서 중상면에는 판부재(23)가 가황 접착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판부재(23)의 외주는 도2에 도시된 케이스(16)의 환상 플렌지부(16a)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판부재(23)에는 환상 플렌지부(16a)와 동일하게 볼트관통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부재(23)의 내주는 씰부재(22)의 박육씰부(22a)와 육후씰부(22b)와의 경계부분과 대략 동일한 반경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감쇠체(13)는 케이스(16), 점성액(17), 볼트(18), 감쇠판(19), 슬리브(21) 및 씰부재(22)를 조립한 것으로 즉, 상기의 조립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무제의 링상탄성체(14)는,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고, 차체프레임(11)으로부터의 하중과 저벽측부재(12)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과 함께 차체프레임(11) 및 저벽측부재(12) 상호간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
링상탄성체(14)의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a)의 내주측에는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슬리브(21)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링상탄성체(14)의 원주 방향 외주측에는 링상탄성체(14) 내주측의 육후부(14b)보다도 두께가 얇은 박육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육부(14a)는 링상탄성체(14)의 원주방향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얇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링상탄성체(14)의 내주측에는 제2 탄성체로서 통상탄성체(14d)가 육후부(14b)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상탄성체(14d)는 차체프레임(11)에 형성된 구멍(11a)의 내주와 슬리브(21)의 외주와의 간극에 끼워 맞추게끔 개재되어 있으며, 통상탄성체(14d)의 축방향 치수는 차체프레임(11)의 두께 치수와 대 략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저벽측부재(12)에는 구멍(12a)이 설치되며, 상기 구멍(12a)의 내경 치수는 볼트(18) 외주경 치수보다 약간 크고 슬리브(21) 외주경 치수보다는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되며, 이에 의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하는 스터드로서의 볼트(18) 및 슬리브(21)가 저벽측부재(12)에 대하여 너트(20)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조립방법 및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 사이에 끼워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6)의 개구 단부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점성액(17)을 케이스(16)의 내부에 소정의 양을 주입한다. 이어서, 볼트(18)에 볼트(18)의 숫나사부(18b)측에서 감쇠판(19)을 장착하고 상기 감쇠판(19)의 장착에 이어 씰부재(22)가 접착된 슬리브(21)를 장착한다. 그리고, 씰부재(22)의 외주측을 케이스(16) 개구 단부에 끼워 넣는다. 이때 육후씰부(22b) 외주에 설치된 립씰부(22c)가 원주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한 상태로 케이스(16)의 내주벽에 압착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6)에서 씰부재(22)가 용이하게 밖으로 빠지는 일은 없으며, 또한 케이스(16) 내의 점성액(17)이 외부로 누출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도4에 도시된 조립체로서의 진동감쇠체(13)의 조립이 완료된다.(제1 공정)
다음으로, 진동감쇠체(13)를 차체프레임(11)에 대하여 설치하는데 차체프레임(11)에 설치된 구멍의 도면에서 하방으로부터 볼트(18)가 구멍을 관통하도록 진 동감쇠체(13)를 대향시키고, 볼트(18)를 구멍에 대하여 관통시킨다. 그리고, 진동감쇠체(13)의 판부재(23)가 차체프레임(11)의 도면에서 하면에 접촉하는 곳에서 고정볼트(15)를 케이스(16)의 환상 플렌지부(16a)를 통하여 차체프레임(11)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진동감쇠체(13)를 차체프레임(11)의 하면에 부착 설치한다.
그리고, 차체프레임(11)의 도면에서 상방에서 링상탄성체(14)의 관통공(14a)을 진동감쇠체(13)의 볼트(18)에 마주보도록 향하게 하고, 볼트(18)의 외주면측의 슬리브(21)에 링상탄성체(14)를 장착한다. 이에 의하여 링상탄성체(14)의 통상탄성체(14d)가 차체프레임(11)에 설치된 구멍(11a)의 내주면과 슬리브(21)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개재되고, 링상탄성체(14)가 차체프레임(11)의 상면에 재치되어 링상탄성체(14)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후, 볼트(18)의 숫나사부(18b)에 저벽측부재(12)에 설치된 구멍(12a)을 관통시켜 저벽측부재(12)를 슬리브(21)의 도면에서 상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너트(20)를 볼트(18)의 숫나사부(18b)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볼트(18)의 저벽측부재(12)에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진동감쇠체(13) 및 링상탄성체(14)로 이루어진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렌지 부재는 차체프레임(11)(타방측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고,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차체프레임(11)이 플렌지 부재를 겸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와의 사이에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맞붙인 상태, 즉 차체프레임(11)에 의해 저벽측부재(12)를 정적으로 지지 시켜 캡의 하중을 지탱하는 상태(맞붙인 상태)에 있어서, 링상탄성체(14)와 씰부재(22)를 소정량 압축변형시켜 예비압축시켜 놓는 것도 가능하다.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를 예비압축하는 것은, 축방향 치수(도면에서 상하방향 치수)를 소정량 짧게 설정한 슬리브(21)를 사용하고 저벽측부재(12)와 감쇠판(19)과의 사이에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를 끼워 넣어도 좋고, 축방향 치수가 다른 슬리브(21)를 준비하는 것에 의해 링상탄성체(14)와 씰부재(22)의 압축변형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여러 특성을 갖는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씰부재(22)를 케이스(16)의 개구단부측에 끼워 넣는 것으로 고착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저벽측부재(12) 및 차체프레임(11)으로부터 액체봉입식마운트(10)에 전달되는 하중이 통상의 하중, 즉 건설기계가 전도될 염려가 없는 사용환경의 경우에는,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히는 링상탄성체(14)의 육후부가 탄성변형하는 변형범위에서 압축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링상탄성체(14)는 작은 용수철정수로 유연하게 진동을 흡수한다. 이와 동시에, 슬리브(21)를 통하여 감쇠판(19)이 점성액(17) 안을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감쇠판(19)의 이동에 의해 점성액(17)이 케이스(16)내를 유동한다. 따라서, 점성액(17)의 유동저항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씰부재(22)는 변형이 용이한 연질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박육씰부(22a)를 포함하는 것이 상호 작용하여 슬리브(21)와 판부재(23)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한편, 저벽측부재(12) 및 차체프레임(11)으로부터 액체봉입식마운트(10)로 전달되는 하중이 과대한 하중, 즉 건설기계가 전도될 정도로 운전대에 예상외의 부하가 발생하는 때의 하중(과대부하 하중)인 경우,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하는 링상탄성체(14)의 육후부(14b)가 통상의 변형범위를 벗어나 링상탄성체(14) 전체가 압축방향으로 강하게 탄성변형하여, 커다란 용수철정수로 저벽측부재(12)를 지지하고 차체프레임(11)에 대한 저벽측부재(12)의 일정 이상의 가라앉음(경사)을 방지한다. 또한, 저벽측부재(12)가 차체프레임(11)으로부터 크게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하중, 즉 바깥방향 하중이 부하되는 경우에도 씰부재(22)는 육후씰부(22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육후씰부(22b)가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토퍼로서의 기능과, 육후씰부(22b)에 감쇠판(19)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차체프레임(11)에 대하여 저벽측부재(12)의 일정 이상의 이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과대한 압축방향 하중과 바깥방향 하중이 액체봉입식마운트(10)에 전달된다 하여도 차체프레임(11)이 쌍방향의 하중을 받아내기 때문에 케이스(16)를 변형시키거나 파괴시킨다거나 하는 것은 없으며, 또한 감쇠판(19)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방향의 하중을 받았다 하여도 변형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저벽측부재(12)와 차체프레임(11)으부터의 하중 방향이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인 경우에도 차체프레임(11)에 설치된 구멍(11a)의 내주면과 슬리브(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통상탄성체(14d)에 의해 받아내기 때문에, 저벽측부 재(12)와 차체프레임(11)의 상대적인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엔진등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파미진동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진동흡수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맞붙인 상태에서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를 예비압축시킨 상태로 하여 두어도 좋고, 이 경우 액체봉입식마운트(10)에 고주파진동이 전달되면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는 동적 용수철정수가 낮게 억제된 예비압축 범위내의 탄성변형을 함과 함께, 감쇠판(19)의 씰부재(22)에 대한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감쇠판(19)과 씰부재(2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점성액(17)이 전혀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점성액(17)의 유동저항에 기인하는 감쇠의 발생을 억제하고, 따라서 고주파미진동의 저벽측부재(12)로의 전달이 억제되고, 액체봉입식마운트(10)는 저벽측부재(12)에 대하여 우수한 진동절연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체봉입식마운트(10)에 소정 이상의 대진폭진동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감쇠판(19)이 씰부재(22)와 이격되고, 감쇠판(19)의 상면으로 감쇠액(17)의 유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커다란 감쇠가 발생하고 대진폭진동을 단시간에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태양에 의한 액체봉입식마운트(10)에 따르면 진동감쇠체(13)를 차체프레임(11)에 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차체프레임(11) 및 저벽측부재(12)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과 함께 진동을 흡수하는 링상탄성체(14)를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하기 때문에, 차체프레임(11) 및 저벽측부재(12)로부터의 하중을 차체프레임(11)이 받아내는 케이스(16) 에는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으며, 케이스(16)가 변형되거나 케이스(16)에 균열이 생겨 점성액(17)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16)와 볼트(18) 등 부품을 고강도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량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형의 건설기계에도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링상탄성체(14)를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의 사이에 설치하고 링상탄성체(14)의 압축방향으로 차체프레임(11) 및 저벽측부재(12)로부터의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링상탄성체(14)에 전단방향의 하중이 걸리지 않고, 링상탄성체(14)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다 하여도 균열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링상탄성체(14)의 변형에 의한 진동흡수기능과 감쇠판(19)의 점성액(17) 내의 이동에 수반하는 진동감쇠기능을 겸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진동제어 성능확보가 가능하다.
게다가, 링상탄성체(14)는 압축방향 하중을 받아내고 씰부재(22)의 육후씰부(22b)는 바깥방향 하중을 받아내기 때문에 압축방향 하중 및 바깥방향 하중의 쌍방향 하중을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차체프레임(11)에 대한 저벽측부재(12)의 일정 이상의 과대한 경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렌지부재로서의 차체프레임(11)은 케이스(16)의 강성에 비하여 고강성이기 때문에 과대한 하중을 받았다고 하여도 차체프레임(11)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그 위에, 차체프레임(11)은 압축방향 하중을 링상탄성체(14)를 통하여 받아냄과 함께 바깥방향 하중을 씰부재(22)의 육후씰부(22b)를 통하여 받아내기 때문에 쌍방향의 하중을 차체프레임(11)이 받아내고 케이스(16)에는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플렌지부재를 차체프레임(11)의 일부로 하기 때문에 차체프레임(11)을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강도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적게 하고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중량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체프레임(11)의 구멍의 내주면과 슬리브(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2탄성체로서 통상탄성체(14d)를 배치하기 때문에 저벽측부재(12)와 차체프레임(11)과의 사이의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하중을 통상탄성체(14d)가 받아내고, 저벽측부재(12)와 차체프레임(11)과의 사이의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진동흡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볼트(18)는 그 외주면에 슬리브(21)를 포함하기 때문에 슬리브(21)에 대하여 미리 씰부재(22)를 고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를 액체봉입식마운트(10)가 맞붙어 있는 상태에서 예비압축하는 것에 의해 예비압축된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에 의해 고주파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저벽측부재(12)에 대한 고주파미진동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절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방측의 부재를 건설기계에 있어서 캡의 저벽측부재(12)로 하고, 타방측의 부재를 건설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11)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건설기계 등의 산업기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산업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11)을 강도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상기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하는 진동감쇠체(13)를 조립하는 제1공정과, 진동감쇠체(13)를 차체프레임(11)에 고착시켜 저벽측부재(12)와 차체프레임(11)과의 사이에 액체봉입식마운트(10)를 구성하는 링상탄성체(14)를 맞붙혀 설치하는 제2공정을 거쳐서 저벽측부재(12) 및 차체프레임(11)에 맞붙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동감쇠체(13)와 링상탄성체(14)를 별개로 설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저벽측부재(12)측에서의 하중 크기의 상이함과 운전자의 기호 등에 따라서 용수철 정수가 상이한 링상탄성체(14)로 변경하기도 하고 진동감쇠체(13)를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튜닝성과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5 및 도6을 기초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공통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만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스(16)의 개구단측에 형성된 환상플렌지(16a)의 기단측에는 케이스(16)의 내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한 환상철부(16c)가 프레스가공 등의 가압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부재(22)에는 씰부재(22)의 육후씰부(22b)의 외주측에는 환상철부(16c)와 대향하여 환상철부(16c)가 들어맞는 환상요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구비되었던 판부재(23)는 폐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한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추가하여 도5 및 도6에 도시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16)에 형성된 환상철부(16c)와 씰부재(22)에 형성된 환상요부(22d)를 요철결합시키기 때문에, 케이스(16)에 대한 씰부재(22)의 빠지지 못하게 하는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부재를 폐지시켰기 때문에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경량화가 도모됨과 함께 부품의 수효를 감소시켜 코스트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체로서 고무제 같은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제 탄성체를 대체하여 스터드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과 같이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렌지부재와 타방측의 부재가 동일물로 된 것, 즉 차체프레임(11)이 플렌지부재와 타방측의 부재를 겸하는 구조로 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프레임(11)과 플렌지부재를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다른 스터드를 볼트(18)와 슬리브(21)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터드로서는 일방측의 부재와 감쇠판을 연결하는 부재라면 그 구성부품,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 사이에 액체봉입식마운트(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상탄성체(14)를 끼워 설치하는 것을 도 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벽측부재(12)측 중량의 차이와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서 링상탄성체(14)와 독립의 다른 탄성체(고무제 탄성체와 코일스프링)를 끼워 설치하여 용수철정수를 조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상탄성체(14)의 박육부를 링상탄성체(14)의 외주측에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링상탄성체(14)의 내주측과 링상탄성체(14)의 외주측과 내주측과의 중간부분에 박육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요지는 차체프레임(11)과 저벽측부재(12)와의 접근에 대응하여 링상탄성체(14)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즉 링상탄성체(14)의 용수철정수가 크게 되도록 박육부를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상탄성체(14) 및 씰부재(22)가 고무제 재료로 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무제 재료 외에 엘라스토머 재와 금속스프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 감쇠를 갖는 것과 경량인 점 등에서 고무제와 엘라스토머재가 특히 바람직하다.
액체봉입식마운트는 파워 쇼벨 등의 건설기계 등에 있어서, 차체프레임과 캡(운전대)과의 사이에 장착되어 캡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Claims (12)

  1. 일방측의 부재와 타방측의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부착 설치되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를 삽통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타방측의 부재에 고정되는 플렌지 부재와,
    상기 플렌지 부재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스터드의 타단이 들어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단부측에 외주측이 고착되고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에 내주측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점성액이 봉입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가요성의 씰 부재와,
    상기 스터드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점성액 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감쇠판 및
    상기 일방측의 부재와 상기 플렌지 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양방의 부재간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방향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씰 부재는 상기 감쇠판이 바깥방향으로 이동시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부를 구비하여 바깥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강성에 비하여 고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 부재는 압축방향 하중을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지지하는 것과 함께 상기 바깥방향 하중을 상기 씰 부재를 통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 부재는 상기 타방측 부재의 일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 부재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스터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제2 탄성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그 외주면에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씰 부재를 맞붙어 있는 상태에서 예비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압축은 상기 탄성체와 상기 씰 부재를 상기 일방측의 부재 및 상기 감쇠판에 의해 상기 플렌지 부재 쪽으로 압축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의 부재가 건설기계에 있어서 캡의 저벽측부재이고 타방측의 부재가 건설기계에 있어서 차체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11. 일방측의 부재와 타방측의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각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스터드의 외주면에 접착에 의해서 씰 부재의 내주면을 고착하고, 상기 스터드에 감쇠판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스터드를 상기 감쇠판이 점성액 내에 잠기도록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씰 부재의 외주측을 상기 케이스의 개구단부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타방측의 부재에 일체로 고정되는 플렌지 부재의 구멍에 상기 스터드를 삽통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플렌지 부재에 고착시키고, 링상탄성체를 상기 스터드에 삽통시켜 상기 플렌지 부재에 재치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스터드를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외주면에 상기 씰 부재가 고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삽통되어 상기 감쇠판이 고정되는 것과 함께 상기 일방측의 부재에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조립방법.
KR1020087011187A 2005-11-15 2006-11-15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KR101329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0439 2005-11-15
JPJP-P-2005-00330439 2005-11-15
PCT/JP2006/322778 WO2007058222A1 (ja) 2005-11-15 2006-11-15 液体封入式マウント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053A true KR20080068053A (ko) 2008-07-22
KR101329478B1 KR101329478B1 (ko) 2013-11-20

Family

ID=3804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187A KR101329478B1 (ko) 2005-11-15 2006-11-15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14930A1 (ko)
EP (1) EP1950451B1 (ko)
JP (1) JP5016495B2 (ko)
KR (1) KR101329478B1 (ko)
CN (1) CN101310124B (ko)
DE (1) DE602006020478D1 (ko)
WO (1) WO2007058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9472A1 (en) * 2008-04-02 2009-11-26 Catanzarite David M Construction vehicle cab suspension mount
JP5421167B2 (ja) * 2010-03-25 2014-02-19 Ihi建機株式会社 キャブ支持構造
CN101839301A (zh) * 2010-05-27 2010-09-22 宁波奥赛减震系统有限公司 减震悬置
US8646760B2 (en) 2010-06-22 2014-0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hassis mounting system
JP5472025B2 (ja) * 2010-10-14 2014-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締結構造
GB2486499A (en) * 2010-12-17 2012-06-20 Perkinelmer Ltd Anti-vibration foot portions for spectroscopic instruments
CN102278413B (zh) * 2011-05-23 2012-11-28 南京航空航天大学 直升机旋翼液弹阻尼器及其工作方法
US10029744B2 (en) * 2013-03-14 2018-07-24 Hendrickson Usa, L.L.C. Vehicle cab suspension
JP6154243B2 (ja) * 2013-08-14 2017-06-28 山下ゴム株式会社 液封マウント
CN104421373B (zh) * 2013-08-30 2016-06-0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可调式橡胶减振器
CN105917135B (zh) * 2013-11-25 2018-07-17 洛德公司 阻尼流体装置、系统及方法
WO2015163473A1 (ja) * 2014-04-25 2015-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US20170305477A1 (en) * 2014-10-24 2017-10-26 Lord Corporation Damping flui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S2733952T3 (es) * 2015-12-15 2019-12-03 MTU Aero Engines AG Estructura de fijación
DE102016208942A1 (de) * 2016-05-24 2017-11-30 Robert Bosch Gmbh Pedalkraftsimulatoreinrichtung,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0355B1 (fr) * 1989-07-28 1994-01-28 Paulstra Gmbh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amortisseurs de vibrations
DE4131771A1 (de) * 1991-09-24 1993-04-01 Metzeler Gimetall Ag Elastisches motorlager
WO1993009302A1 (en) * 1991-11-06 1993-05-1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Resilient supporting device for operator cabin
DE4139048A1 (de) * 1991-11-27 1993-06-03 Metzeler Gimetall Ag Elastisches motorlager
JPH0628378U (ja) * 1992-09-08 1994-04-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ゴムマウント
JPH0662242U (ja) * 1993-02-10 1994-09-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ゴムマウント
US5845895A (en) * 1993-09-08 1998-12-08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Liquid sealed rubber mount
JP3084544B2 (ja) * 1993-10-28 2000-09-04 株式会社フコク 液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3526117B2 (ja) * 1994-11-07 2004-05-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サスペンション
JPH08326811A (ja) * 1995-06-01 1996-12-1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防振装置
JP3533509B2 (ja) * 1995-08-02 2004-05-31 株式会社フコク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3896555B2 (ja) * 1996-07-09 2007-03-22 株式会社フコク 液体封入式マウント
US6592109B2 (en) * 2000-07-31 2003-07-15 Toyo Tire & Rubber Co., Ltd. Liquid sealing type body mount
KR20030085718A (ko) * 2002-05-01 2003-11-07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KR20030085715A (ko) * 2002-05-01 2003-11-07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4633997B2 (ja) 2002-08-12 2011-02-16 日立建機株式会社 防振マウント
JP4339644B2 (ja) * 2003-07-31 2009-10-07 株式会社フコク 防振支持装置
JP2005170212A (ja) * 2003-12-10 2005-06-30 Fukoku Co Ltd 建設機械
US7111705B2 (en) * 2004-02-02 2006-09-26 Kurashiki Kako Co., Ltd. Vibration isolating mou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0451A1 (en) 2008-07-30
CN101310124B (zh) 2011-05-18
JP5016495B2 (ja) 2012-09-05
US20090014930A1 (en) 2009-01-15
JPWO2007058222A1 (ja) 2009-05-07
CN101310124A (zh) 2008-11-19
DE602006020478D1 (de) 2011-04-14
WO2007058222A1 (ja) 2007-05-24
KR101329478B1 (ko) 2013-11-20
EP1950451B1 (en) 2011-03-02
EP1950451A4 (en)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78B1 (ko)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US5775666A (en) Elastic mount having mounting bracket functioning as stop mechanis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045257B2 (ja) 防振装置
US20150276010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18155284A (ja) 防振装置
JP2008209003A (ja) 液体式防振サポート
WO2010137585A1 (ja) 防振装置
JP4491790B2 (ja) 防振連結ロッド
US20120248668A1 (en) Fluid-filled vibration-damping device of multidirectional vibration-damping type
JPH10252828A (ja) 防振支持装置
KR20030085718A (ko)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5210933B2 (ja) 液入り防振装置
JP2008051215A (ja) 防振装置
JP2007032745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7027245B2 (ja) 防振装置
JP3900057B2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2340080A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2537935Y2 (ja) 液体封入マウント構造
KR101162304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JP3767009B2 (ja) 粘性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6995012B2 (ja) 防振装置
JP2007016902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3871444B2 (ja) 液体封入式防振ゴム
JP2022129997A (ja) 防振マウント
JP3633716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