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64A -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 Google Patents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64A
KR20080067664A KR1020087011617A KR20087011617A KR20080067664A KR 20080067664 A KR20080067664 A KR 20080067664A KR 1020087011617 A KR1020087011617 A KR 1020087011617A KR 20087011617 A KR20087011617 A KR 20087011617A KR 20080067664 A KR20080067664 A KR 2008006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course
knit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854B1 (ko
Inventor
미츠노리 후지타
요시히데 하라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단측에서 편성이 시작되는 싱글 니트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의 말단 편물 조직으로서,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의 복수개의 코스는 모든 웨일로 니트시키지 않고 편성하고, 또한, 상기 셋업 영역에서는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며, 상기 제1종 편사로 셋업 영역에 외측으로의 컬을 발생시키지 않는 편성으로 하고 있는 한편, 상기 셋업 영역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에서는, 상기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상기 제1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로 한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한 코스를 조합시키고 있다.

Description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TERMINAL KNITTNG TEXTURE AND CLOTHING PROVIDED WITH THIS TERMINAL KNITTING TEXTURE}
본 발명은, 말단 편물 조직(terminal knitting texture)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탑 및 하부 속옷 등의 의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말단을 싱글 니트(single knit)로서 얇게 하여 외관으로 울지 않도록 하고 외측으로 감기는 것과 같은 컬(curl)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양말을 신는 입구 말단, 셔츠의 옷단 말단이나 소맷부리, 슈츠를 입는 입구나 다리 둘레 말단 등의 웰트(welt) 부분은, 단접기하여 주머니형으로 하고 있는 더블 웰트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말단의 두께가 두꺼워져, 연속하는 본체 부분(portion of the body)과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이것이 외측을 통해 외관으로 두드러져, 소위 "우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웰트 부분은 싱글 웰트 등으로서 될 수 있는 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얇게 하면, 외측으로 컬이 생겨 말려 올라가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더블 웰트로 하면 컬은 발생하기 힘들지만 단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는 한편, 싱글 웰트로 하면 단차는 발생하지 않지만 컬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싱글 웰트로 하여 말단을 얇게 하면서, 컬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요망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609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단접기하여 더블 웰트로 하지 않고, 탄성사를 짜 넣어 신축성을 갖게 한 더블 니트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 더블 니트 편직물에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열의 바늘(N1)과 B열의 바늘(N2)에 급실되는 실로 솔기의 앞면(knit stitch)(S1)과 솔기의 뒷면(purl stitch)(S2)에 루프(R)가 형성되기 때문에, 표리 양면의 장력의 밸런스가 취해져, 표측에 편직물이 말려 들어가는 컬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싱글 웰트의 경우, 주머니 편물로 편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편성 공정이 간단해지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더블 니트 편직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싱글 니트 편직물과 비교하면, 역시 두께가 두꺼워져, 말단에 단차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는 해소되고 있지 않다.
웰트 부분을 싱글 니트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로 하면, 편성 속도가 더블 니트와 비교하여 3배 정도 빠르게 되어 생산성을 올리는 이점이 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글 니트 편직물에서는 1열에 병렬하는 바늘(N3)에 급실된 실이 솔기의 앞면(S1)측에만 루프(R)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솔기의 앞면측에 편직물의 컬이 발생하여 외측으로 말려 올라가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4291호 공보(특허 문헌 2)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set up area)(2)은 니트와 미스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탄성사로 편성하고 있는 한편, 상기 셋업 영 역(2)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welt knitting area)(3)은 지사(ground yarn)로 편성한 복수개의 코스로 이루어지고, 이 복수개의 코스는 니트에 미스와 터크를 조합시켜, 이들 니트, 미스, 터크 위치를 솔기의 앞면과 솔기의 뒷면의 장력이 밸런스되도록 분산시켜 솔기의 앞면측에 컬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한 싱글 니트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의 말단 편물 조직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말단 편물 조직은, 싱글 니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웰트 니팅 영역(3)으로 솔기의 앞면과 솔기의 뒷면의 장력 밸런스가 취해지기 때문에, 솔기의 앞면측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셋업 영역(2)의 니트와 미스를 교대로 하는 코스를 탄성사로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의 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말단의 가장 끝에 있어서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2에서는, 말단 편물 조직을 싱글 니트로 하여 얇게 하면서 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또한, 말단에 있어서 신체에의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하여 피트감 또는 착용 시의 촉감을 높이는 점에 대해서는, 아직 개량의 여지가 남겨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60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429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싱글 니트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웰트부에 컬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적절한 체결감을 부여하여 신체에의 피트감을 높여, 촉감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는 말단 편물 조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말단측에서 편성이 시작되는 싱글 니트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의 말단 편물 조직으로서,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의 복수개의 코스는 모든 웨일(wale)에서 니트시키지 않고서 편성하고, 또한, 상기 셋업 영역에서는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single covering yarn)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며, 상기 제1종 편사로 셋업 영역에 외측으로의 컬을 발생시키지 않는 편성으로 하고 있는 한편,
상기 셋업 영역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에서는, 상기 제1종 편사로 편성하는 코스와, 상기 제1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로 한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한 코스를 조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 편물 조직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에서는, 어떤 웨일도 니트하지 않고 복수개의 코스를 하나의 편사로 연속하여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싱글 니트이기 때문에, 편사로서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를 이용하여도 두껍게 되지 않고 얇기를 유지할 수 있고, 컬 발생을 억제하면서, 알맞은 체결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셋업 영역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에서는, 상기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해지고 외측으로의 컬의 발생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종 편사뿐만 아니라, 상기 제1종 편사보다도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병설하는 것으로, 셋업 영역보다는 낮은 체결력으로서, 신체에의 압박감을 감소할 수 있어, 착용감이 더욱 좋은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웰트 니팅 영역의 코스 수는 상기 셋업 영역의 코스 수보다 많이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셋업 영역에서는, 짜기 시작 말단측의 복수개의 코스로 이루어지는 제1 셋업 부분과, 상기 제1 셋업 부분에 연속하는 복수개의 코스의 제2 셋업 부분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1 셋업 부분은 2∼3코스로 하고, 각 코스는 1웨일니트(wale knit), 2웨일미스(wale miss) 또는 1웨일니트, 3웨일미스를 반복하며, 니트 위치는 웨일 방향에서 전부 비켜놓여 있는 한편,
상기 제2 셋업 부분은 3∼6코스로 하고, 각 코스는 1웨일터크(wale tuck), 2웨일미스 또는 1웨일터크, 3웨일미스를 반복하여 편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짜기 시작 말단의 제1 셋업 부분은 2∼3코스로 하고, 각 코스를, 1웨일니트, 2웨일미스 또는 1웨일니트, 3웨일미스로서, 선침을 2개 또는 3개 두는 것으로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솔기의 앞면의 장력도 지나치게 높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니트 위치를 웨일 방향에서 전부 비켜놓여 있는 것에 의해 장력의 기울기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셋업 부분은 3∼6코스로 하고, 각 코스는 1웨일터크, 2웨일미스 또는 1웨일터크, 3웨일미스로 하며, 제1 셋업 부분과 동일하게, 선침을 2개 또는 3개 두는 것으로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웰트 니팅 영역은, 1웨일터크와 1∼3웨일미스를 반복하는 코스와,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로 이루어져, 상기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2∼3코스 연속한 후에 상기 터크와 미스의 코스를 1코스 개재시켜 편성하고,
상기 터크와 미스의 코스는 상기 제1종 편사를 이용하고,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는, 상기 제1종 편사의 탄성 코어사보다 가는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 또는/및 상기 제2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의 신축력을 갖는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웰트 니팅 영역은,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2∼3코스 연속하여 마련하는 것에 의해, 셋업 영역보다도 체결력을 저감할 수 있고, 압박감을 감소시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면, 촉감을 좋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인 편물(plain knitting) 조직에 의해 솔기의 앞면의 장력이 높아지더라도, 상기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는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하기 때문에, 외측으로의 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적절한 체결력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은 코스 수는 한정되지 않고, 의류의 기능이나 디자인에 따라 코스 수를 증감하여 웰트 니팅 영역의 길이를 조정하고 있지만, 상기 셋업 영역의 코스 수를 많게 하고, 예컨대, 20코스 이상, 또한 50코스 이상, 100코스∼300코스로 하여도 좋다.
상기 셋업 영역 및 웰트 니팅 영역에 이용하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의 싱글 커버링 얀으로서, 70 데시텍스(decitex)∼20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을 권취한 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의 굵기가 70 데시텍스 미만이면, 체결력이 지나치게 약하고 웰트부의 컬하고자 하는 힘에 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200 데시텍스를 넘으면, 셋업 영역과 웰트 니팅 영역의 밸런스를 취할 수 없고, 체결력이 지나치게 강하며, 착용감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의 굵기가 100 데시텍스∼160 데시텍스이다.
상기 웰트 니팅 영역의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인 편물 조직에 이용하는 편사로서, 상기 제1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의 신축력을 갖는 하기의 (1)∼(3) 편사를 1종 또는 복수종 이용하고 있다.
(1) 10 데시텍스∼4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을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
(2) 울리나일론(wooly nylon)
(3)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cuprammonium rayon)과 66나일론의 혼방사
외관이나 기능의 점에서, (1)의 제2종 편사만 이용하는 경우, (1)의 제2종 편사에 (2)의 울리나일론을 더한 실로서 이용하는 경우, (1)의 제2종 편사 대신에, (2)의 울리나일론이나 (3)의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66나일론의 혼방사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1)의 제2종 편사의 싱글 커버링 얀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의 굵기가 10 데시텍스 미만이면,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인 편물 조직을 형성하더라도 체결력이 지나치게 약하고 좋은 착용감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는 한편,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의 굵기가 40 데시텍스를 넘으면 아무리 파워가 약한 편사가 아니더라도, 체결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장착감이 나빠지거나, 솔기의 앞면의 장력이 대폭 증대하여 외측으로의 컬이 발생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의 굵기가 15 데시텍스∼25 데시텍스이다.
상기 (2)의 울리나일론을 이용하면 신장의 조정을 할 수 있고,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과의 밸런스 상에서 10∼80 데시텍스의 굵기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3)의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66나일론의 혼방사를 이용하면,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을 혼방하는 것으로 흡·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혼방사의 혼합 비율은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의 흡·방습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서 40∼90 데시텍스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편직물은 싱글 실린더에 의해 편성한 환편 직물(tubular knit fabri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짜서 세워진 싱글 니트의 원통형의 편직물은 팬츠, 양말, 셔츠 등의 길, 소매 등을 봉제없이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싱글 니트의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의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를 제공하고 있고, 특히, 이너 웨어나 양말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탑 의류로서는, 셔츠, 티셔츠, 탱크탑, 캐미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탑 의류의 옷단이나 소맷부리를 상기 말단 편물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로 하고 있다. 또한, 하부 의류로서는, 슈츠, 팬츠, 스판츠, 거들, 레그 웨어, 스타킹, 팬티스타킹, 양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하부 의류를 입는 입구나 옷단부 등을 상기 말단 편물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로 하고 있다.
이들 의류의 옷단, 소맷부리, 입는 입구를 상기 구성의 싱글 니트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로 하면, 얇게 되기 때문에 단차가 발생하기 어렵고, 얇은 부재의 아우터 웨어를 착용하더라도 이너 웨어의 말단이 외부로 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셋업 영역은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도 있고, 외측으로의 컬 발생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말단이 외측으로 말려 올라가는 일도 없다.
한편, 웰트 니팅 영역에서는, 신축력이 강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상기 제1종 편사보다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한 코스를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웰트 니팅 영역에 있어서도 적절한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해져 장착감을 향상시키고, 촉감도 좋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외측으로의 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의 복수개의 코스에 모든 웨일에서 니트시키지 않고 미스를 교대로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의 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셋업 영역을 편성함으로써, 외측으로의 컬 발생을 억제하면서, 적절한 체결력도 부여할 수 있어, 기분 좋은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셋업 영역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에,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상기 제1종 편사보다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한 코스를 조합함으로써, 웰트 니팅 영역에 있어서도 적절한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해지고, 촉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의 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통 형상 편직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물 조직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물 조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물 조직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물 조직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물 조직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의 팬츠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종래의 편물 조직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별도의 편물 조직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편물 조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 형상 편직물
2: 셋업 영역
3: 웰트 니팅 영역
4: 본체 니팅 영역
5: 더블 웰트 니팅 영역
1O-1∼1O-n: 바늘
11: 제1종 편사로 이루어지는 싱글 커버링 얀
12: 제2종 편사로 이루어지는 싱글 커버링 얀
13: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나일론의 혼방사
14: 제2종 편사에 울리나일론을 더한 실로 한 편사
20: 팬츠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싱글 실린더의 4인치의 4구 환편기로 편성한 편직물(1)를 도시한다. 도면 중, 상단이 짜기 시작단이 되고, 상단에서 셋업 영역(2), 웰트 니팅 영역(3), 본체 니팅 영역(4)을 연속시켜, 하단부에 더블 웰트 니팅 영역(5)을 마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셋업 영역(2), 웰트 니팅 영역(3)의 짜기 조직을 도시하고, 첫번째 열의 바늘(10-1)로부터 N번째 열의 바늘(10-n)의 아래에 도시하는 (○)는 바늘(10)에 급실하여 니트하고 있는 경우, (×)는 바늘에 급실하지 않고서 뛰어넘어 미스하고 있는 경우, (△)는 앞의 코스에서 니트한 바늘에 급실하여 터크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2)은 13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싱글 커버링 얀(11)을 실공급부로부터 연속 공급하여 제1 셋업 부분(2a)인 제1 코스(C1)로부터 제3 코스(C3)까지의 3코스와, 제2 셋업 부분(2b)인 제4 코스(C4)로부터 제9 코스(C9)까지의 6코스를 편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셋업 부분(2a)의 코스는 1웨일니트→ 2웨일미스→ 1웨일니트→ 2웨일미스를 반복하고 있다. 제2 셋업 부분(2b)의 코스는 1웨일터크→ 2웨일미스→ 1웨일터크→ 2웨일미스를 반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코스(C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열의 바늘(10-1)에 니트(○), 두, 세번째 열의 바늘(10-2, 10-3)은 미스(×), 네번째 열의 바늘(10-4)에 니트(○), 다섯, 여섯번째 열의 바늘(10-5, 10-6)은 미스가 되도록, 1웨일은 니트, 2웨일은 미스를 반복하고 있다.
제2 코스(C2), 제3 코스(C3)는 제1 코스(C1)와 동일하게 1니트, 2미스를 반복하고 있지만, 니트 위치는 제2 코스(C2)에서는 세번째 열의 바늘(10-3), 여섯번째 열의 바늘(10-6)의 위치로 하고, 제3 코스(C3)로서는 니트 위치는 두번째 열의 바늘(10-2), 다섯번째 열의 바늘(10-5), 여덟번째 열의 바늘(10-8)의 위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니트 위치는 웨일 방향에서 전부 상이시켜, 다른 코스는 미스하고 있는 위치로 니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셋업 영역(2)의 제1 셋업 부분(2a)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에서 1웨일니트, 2웨일미스를 반복, 제2 셋업 부분(2b)에 있어서, 하나의 코스에서 1웨일터크, 2웨일미스를 반복하여 편성하고 있다. 또한, 이 제1, 제2 셋업 부분(2a, 2b)으로 이루어지는 셋업 영역(2)에서는, 굵은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함으로써, 외측으로의 컬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니트 위치를 웨일 방향에서 전부 상이시켜, 다른 코스에서는 미스하고 있는 위치로 니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력의 기울기가 없고, 주위 방향 전체에 거의 균등의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셋업 영역(2)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3)의 코스 C10, C13, C17에서는, 13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를 하나의 실공급부로부터 공급하여 1웨일터크→ 1웨일미스→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여 편성하고 있다.
웰트 니팅 영역(3)의 다른 코스 C11, C12, C14, C15, C16, C18, C19, C20에서는 2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2)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약한 제2종 편사를 다른 실공급부로 부터 공급하여 모든 바늘로 니트하는 코스를 편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0 코스(C10)에서는 첫번째열의 바늘(10-1)은 터크(△), 두번째 열의 바늘(10-2)은 미스(×), 세번째열의 바늘(10-3)은 터크(△), 네번째 열의 바늘(10-4)은 미스(×)와 같이,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반복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1 코스(C11) 및 제12 코스(C12)에서는 모든 바늘(10-1∼10-n)에 니트(○)로 하여, 상기 신축력이 약한 싱글 커버링 얀(12)으로 편성하고 있다. 이 연속한 2코스의 후에, 제10 코스(C10)와 동일한 1웨일터크와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제13 코스(C13)를 개재시키고 있다. 이 후 또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3코스, 1웨일터크와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1코스라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의 길이는 소요의 길이로 하고 있다. 따라서, 웰트 니팅 영역(3)의 길이를 짧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반복 코스 수를 적게 하고, 보다 길게 하고 싶은 경우는 반복 코스 수를 길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웰트 니팅 영역(3)에서는, 신축력이 약한 제2종 편사(12)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 C11, C12의 2코스 연속하여 마련한 후에,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11)로 편성한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코스를 1코스 마련하여, 계속해서, 상기 제2종 편사(12)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3코스 연속시켜, 이하,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셋업 영역보다는 낮은 체결력으로서 신체에의 압박감을 감소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측으로의 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도 셋업 영역(2)과 동일하게 싱글 커버링 얀 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제2종의 편사만으로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촉감도 좋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은, 웰트 니팅 영역에 있어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3개 연속하는 부분으로, 중간의 코스는 제2종 편사(12)가 아닌,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나일론의 혼방사(13)를 이용하여 니트로 하고 있는 점이다.
즉, 웰트 니팅 영역(3)의 코스 C10, C13, C17에서는, 13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를 하나의 실공급부로부터 공급하여 1웨일터크→ 1웨일미스→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여 편성하고 있다.
또한, 코스 C11, C12, C14, C16, C18, C20에서는 2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2)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약한 제2종 편사를 다른 실공급부로부터 공급하여 모든 바늘로 니트하는 코스를 편성하고 있다.
또한, 코스 C15, C19에서는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66나일론의 혼방사(13)를 다른 실공급부로부터 공급하여 모든 바늘로 니트하는 코스를 1코스하여 편성하고 있다.
즉, 니트가 3코스 연속하는 영역에서 제2종 편사의 코스 사이에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혼방사의 코스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신축력이 약한 제2종 편사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 C11, C12의 2코스 연속하여 마련하고, 제2종 편사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14와 16) 및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혼방사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15)의 3코스를 연속하여 마련함으로써, 셋업 영역보다는 낮은 체결력으로서 신체에의 압박감을 감소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촉감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2∼3코스 연속시킨 후에,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한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코스를 1코스 개재시킴으로써, 적절한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외측으로의 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니트만이 3코스 연속하는 영역에서는 중간 코스를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혼방사로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방습성을 높일 수 있고, 피부에 밀착하는 말단부에 있어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4인치의 4구 환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하고,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서 13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11)을 이용하여,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서 2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의 편사(12)를 이용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짜기 멈춤 부분(2a)의 코스 수를 2코스, 제2 짜기 멈춤 부분(2b)의 코스 수를 3코스로 하고 있다.
웰트 니팅 영역(3)의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연속하는 코스의 수를 전부 3코스로 하고, 연속하는 3코스(C7, C8, C9)는 전부 제2종 편사로 편성하고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의 최초의 코스 C6 및 상기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3코스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코스 C10, C14는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하여, 1웨일터크, 3웨일미스를 반복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기분 좋은 장착감을 얻을 수 있으며, 촉감도 좋게 하고, 외측으로의 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에서는, 제3종 편사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연속한 3코스를 편성하고 있지만, 3코스의 중앙의 코스에,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과 66나일론의 혼방사로 편성한 코스를 개재시키면,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에 의한 흡·방습성을 높일 수 있어, 피부에 밀착시키는 말단 편물 조직 영역에 있어서 통풍이 되지 않아 답답하게 되는 일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7인치의 4구 환편기를 이용하여, 616개의 바늘 중, 1바늘 건너띄기로 308개의 바늘을 이용하여 멈춰 짜기로부터 웰트 짜기까지의 말단 편물 조직을 편성한다. 즉, 첫번째열의 바늘(10-1), 세번째열의 바늘(10-3), 다섯번째 열의 바늘(10-5), 일곱번째 열의 바늘(10-7)과 같이 바늘을 1개씩 건너뛰어 전체의 반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있다.
또한,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로서 156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 사에 7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11)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서 2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28 데시텍스의 66나일론사를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12)와, 상기 제2종 편사에 66 데시텍스의 울리나일론을 더한 실로 한 편사(14)를 이용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셋업 영역(2)의 제1 셋업 부분(2a)은 2코스로서 1웨일니트, 3웨일미스를 반복하는 편성으로 하고, 제2 셋업 부분(2b)은 3코스로서 1웨일터크, 3웨일미스를 반복하는 편성으로 하고 있다.
웰트 니팅 영역(3)에서는, 코스 C6, C8, C9, C11, C12, C14, C15는 상기 편사(14)를 이용하여 니트만으로 편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편사(14)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 C6를 편성한 후,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1코스를 상기 신축력이 강한 제1종 편사(11)로 편성하고, 또한, 편사(14)로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연속하는 2코스, 1웨일터크, 1웨일미스를 반복하는 1코스라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고, 기분좋은 장착감을 얻을 수 있으며, 촉감도 좋게 하여, 외측으로의 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통 형상 편직물(1)를 2개 이용하여 형성한 팬츠(20)를 도시한다. 팬츠(20)는 2개의 통 형상 편직물(1)를 병설하여, 가랑이부가 되는 상부의 인접 위치를 절개하여 재봉하고 있다. 이 팬츠(20)에서는 양측의 다리 둘레단을 싱글 웰트로 하여, 하단에 셋업 영역(2)이 위치하고, 상기 셋업 영역(2)에 웰트 니팅 영역이 연속하여, 그 상부에서 상단의 허리 위치까지 본체 니팅 영역(4)이고, 상단의 허리 부분이 더블 웰트 니팅 영역(5)이 된다.
상기 팬츠(20)에서는 다리 둘레단이 싱글 웰트가 되기 때문에, 다리 둘레단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외관으로 울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셋업 영역(2)을 굵은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11)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력이 있는 제1종 편사로 편성하고, 모든 웨일에서 니트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측에의 컬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적절한 체결력을 부여하여 기분 좋은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에서는,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성이 강한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상기 편사보다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 편성한 코스를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웰트 니팅 영역(3)에 있어서도 알맞은 체결력의 부여가 가능해지고, 장착감을 향상시키며, 촉감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외측으로의 컬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웰트 니팅 영역(3)에 제1종 편사보다도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서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혼방사로 편성한 코스도 조합하면, 흡·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웰트 니팅 영역(3)에 제1종 편사보다도 신축력이 약한 편사로서 울리나일론사를 조합시키면, 천의 감촉을 향상시키고, 장력, 외관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울리나일론 대신에, 적절하게, 동일한 효과를 갖는 실, 예컨대, 면혼방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팬츠(20)에 있어서의 허리 부분의 더블 웰트 니팅 영역(5)을 본 구성의 싱글 웰트로 하여도, 동일한 특징,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팬츠에 한정되지 않고, 통 형상 편직물에서 탑 내측의 소매를 형성하여, 그 소맷부리를 상기 싱글 니트에 의해 싱글 웰트로 한 말단 편물 조직으로 한 경우, 통 형상 편직물을 대직경으로서 셔츠의 길부를 형성하여 옷단을 상기 싱글 니트에 의해 싱글 웰트로 한 말단 편물 조직으로 한 경우, 팬티스타킹, 스타킹, 양말을 통 형상 편직물로 편성하여, 그 입는 입구를 상기 싱글 니트에 의해 싱글 웰트로 한 말단 편물 조직으로 한 경우 등의 어디에 있더라도, 소맷부리, 옷단, 입는 입구, 상기 팬츠의 다리 둘레단과 동일하게 얇고 외관으로 울지 않으며, 또한 외향의 컬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적절한 체결력도 부여하여 기분 좋은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말단측에서 편성이 시작되는 싱글 니트(single knit)로 이루어지는 싱글 웰트(single welt)의 말단 편물 조직(terminal knitting texture)으로서,
    편성이 시작되는 셋업 영역(set up area)의 복수개의 코스는 모든 웨일(wale)에서 니트시키지 않고 편성하고, 또한, 상기 셋업 영역에서는 굵은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single covering yarn)으로 이루어지는 제1종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며, 상기 제1종 편사로 셋업 영역에 외측으로의 컬(curl)을 발생시키지 않는 편성으로 하고 있는 한편,
    상기 셋업 영역에 연속하는 웰트 니팅 영역(welt knitting area)에서는, 상기 제1종 편사로 편성한 코스와, 상기 제1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로 한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한 코스를 조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 편물 조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 영역은, 편성이 시작되는 말단측의 복수개의 코스로 이루어지는 제1 셋업 부분과, 상기 제1 셋업 부분에 연속하는 복수개의 코스의 제2 셋업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셋업 부분은 2∼3코스로 하며, 각 코스는 1웨일니트(wale knit)와 2웨일미스(wale miss) 또는 1웨일니트와 3웨일미스를 반복하고, 니트 위치는 웨일 방향에서 전부 조금씩 비켜놓여 있는 한편,
    상기 제2 셋업 부분은 3∼6코스로 하고, 각 코스는 1웨일터크(wale tuck)와 2웨일미스 또는 1웨일터크와 3웨일미스를 반복하여 편성하고 있는 말단 편물 조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웰트 니팅 영역은, 1웨일터크와 1∼3웨일미스를 반복하는 코스와,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를 2∼3코스 연속한 후에 상기 터크와 미스의 코스를 1코스 개재시켜 편성하며,
    상기 터크와 미스의 코스는 상기 제1종 편사를 이용하고,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스는, 상기 제1종 편사의 탄성 코어사보다 가는 탄성 코어사를 구비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 또는/및 상기 제2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의 신축력을 갖는 편사를 이용하여 편성하고 있는 말단 편물 조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 영역 및 웰트 니팅 영역에 이용하는 상기 제1종 편사의 싱글 커버링 얀으로서, 70 데시텍스(decitex)∼20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을 권취한 실을 이용하고 있는 말단 편물 조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웰트 니팅 영역의 니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인 편물(plain knitting) 조직에 이용하는 편사로서, 상기 제1종 편사의 신축력 이하의 신축력을 갖는 하기의 (1)∼(3) 편사를 1종 또는 복수종 이용하고 있는 말단 편물 조직.
    (1) 10 데시텍스∼40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탄성 코어사에,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을 권취한 싱글 커버링 얀으로 이루어지는 제2종 편사
    (2) 울리나일론(wooly nylon)
    (3)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cuprammonium rayon)과 66나일론의 혼방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싱글 실린더에 의해 편성한 환편직물(tubular knit fabric)로 이루어지는 말단 편물 조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KR1020087011617A 2005-11-10 2006-11-01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KR10121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6753 2005-11-10
JP2005326753A JP4943693B2 (ja) 2005-11-10 2005-11-10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64A true KR20080067664A (ko) 2008-07-21
KR101213854B1 KR101213854B1 (ko) 2012-12-18

Family

ID=3802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617A KR101213854B1 (ko) 2005-11-10 2006-11-01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34923B2 (ko)
EP (1) EP1956125A4 (ko)
JP (1) JP4943693B2 (ko)
KR (1) KR101213854B1 (ko)
CN (1) CN101351586B (ko)
HK (1) HK1122846A1 (ko)
TW (1) TW200721994A (ko)
WO (1) WO2007055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7088B2 (ja) * 2009-06-05 2013-12-25 ニッティド株式会社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9297097B2 (en) * 2012-06-22 2016-03-29 Nike, Inc. Knit article of apparel and apparel printing system and method
FR2996860B1 (fr) 2012-10-16 2018-04-06 Hanes Operations Europe Sas Ebauche et article tricote tubulaire a bord de maintien en simple epaiss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rticle
US10368606B2 (en) * 2014-04-15 2019-08-06 Nike, Inc. Resilient knitted component with wave features
US9863070B2 (en) 2014-12-08 2018-01-09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ubular protective sleeve with curl resistant knit end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7400974B (zh) * 2017-07-12 2019-04-12 苏州华德纺织有限公司 一种防卷边汗布的生产方法
WO2019147794A1 (en) * 2018-01-29 2019-08-01 Bedgear, Llc Cooling material
BR112020027047A2 (pt) * 2018-07-02 2021-03-30 The Lycra Company Uk Limited Método para produzir uma estrutura de malha, estrutura de malha e artigo de fabricação
TW202035814A (zh) * 2019-03-27 2020-10-01 黛莉股份有限公司 具黏性織物結構及使用其製成的衣物
US20210071329A1 (en) * 2019-09-09 2021-03-11 Kayser-Roth Corporation Garment with knitted silicone yarns and manner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1857A (en) * 1935-07-15 1938-06-28 Phoenix Hosiery Company Hosiery
US2333870A (en) * 1936-02-05 1943-11-09 Hemphill Co Method of knitting
US2139606A (en) * 1936-12-04 1938-12-06 Scott & Williams Inc Knitted hosi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251531A (en) * 1939-10-05 1941-08-05 Interwoven Stocking Co Hosiery
US3237431A (en) * 1964-04-21 1966-03-01 Lawson Engineering Company Elastic top for hos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09492A (en) * 1976-09-13 1978-08-29 Burlington Industries, Inc. No roll stocking and method
DE3203028C2 (de) * 1982-01-29 1984-08-09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schenware
US4499742A (en) * 1982-03-04 1985-02-19 Crescent Hosiery Mills Crew sock with nonroll selvage top
US4551994A (en) * 1984-04-23 1985-11-12 Olympic Narrow Fabrics Company, Inc. Waistband fabric
JPH02308A (ja) * 1987-09-30 1990-01-05 Canon Inc X線マスク用支持体
JPH02308U (ko) * 1988-06-13 1990-01-05
JPH0765258B2 (ja) * 1990-07-17 1995-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
DE4317652C2 (de) * 1993-05-27 1995-04-27 Schlatterer Gmbh & Co Kg Max Endloses Flachband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392480B1 (ko) * 1995-04-10 2003-11-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사용한바인딩오프방법과,그방법으로바인딩오프된편성포
US5540063A (en) * 1995-05-15 1996-07-30 Allstate Hosiery Sales, Inc. Stocking
JP2002146609A (ja) * 2000-11-10 2002-05-22 Teruta Co Ltd ニットウェア
EP1241286B1 (en) * 2001-03-05 2003-05-02 Karin Co., Ltd Underwear
JP3470120B1 (ja) * 2002-10-01 2003-11-25 グンゼ株式会社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1994A (en) 2007-06-16
HK1122846A1 (en) 2009-05-29
US7634923B2 (en) 2009-12-22
TWI375527B (ko) 2012-11-01
JP2007131976A (ja) 2007-05-31
CN101351586B (zh) 2012-02-29
CN101351586A (zh) 2009-01-21
US20090044572A1 (en) 2009-02-19
WO2007055128A1 (ja) 2007-05-18
EP1956125A4 (en) 2014-11-05
JP4943693B2 (ja) 2012-05-30
KR101213854B1 (ko) 2012-12-18
EP1956125A1 (en)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854B1 (ko) 말단 편물 조직 및 그 말단 편물 조직을 구비한 의류
JP3470120B1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US20050115282A1 (en) Seamless knit garments
JP4299624B2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JPH07138850A (ja) 伸縮性二重丸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伸縮性二重丸編地
JP4734192B2 (ja) 衣類
JP4459377B2 (ja) 筒状編地
EP2208814B1 (en)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JP4054710B2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JP4843404B2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またはタイツからなる衣類
US6490890B1 (en) Panty, pantyhose or similar article
JP6701490B2 (ja) 下半身用衣類の製造方法
JP3599636B2 (ja) ビジネスシャツ
JP2004076209A (ja) 衣料
JP3923135B2 (ja) 二層構造シングル丸編地
JP5322874B2 (ja) 衣類
CN218832004U (zh) 一种双层结构裤筒及其连裤袜
CN220284353U (zh) 一种夹层布料
JP2004346434A (ja) タイツ
KR101883572B1 (ko) 다공성 무봉제 니트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니트 의류 원단
JP2024034129A (ja) 下半身用衣類
JP2009256846A (ja) 編成組織及び衣服
JP2008038264A (ja) 衣類
US20060117806A1 (en) Knit panty having a single layer waistband
JP2024040851A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