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503A -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503A
KR20080062503A KR1020060138412A KR20060138412A KR20080062503A KR 20080062503 A KR20080062503 A KR 20080062503A KR 1020060138412 A KR1020060138412 A KR 1020060138412A KR 20060138412 A KR20060138412 A KR 20060138412A KR 20080062503 A KR20080062503 A KR 2008006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weight
parts
flame retard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967B1 (ko
Inventor
정혁진
임종철
이상화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67B1/ko
Priority to CNA2007800487398A priority patent/CN101583669A/zh
Priority to JP2009543958A priority patent/JP5160563B2/ja
Priority to PCT/KR2007/006967 priority patent/WO2008082202A1/en
Priority to TW096151464A priority patent/TWI371467B/zh
Publication of KR2008006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67B1/ko
Priority to US12/478,867 priority patent/US20090239975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LCD 배면광 부품에 사용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5 중량부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티탄 5∼50 중량부, 유기 실록산 중합체 0.1∼10 중량부,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산화티탄, 유기 실록산 중합체,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난연성, 내광성

Description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Flame Retardancy and Light Stabili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산화티탄, 유기 실록산 공중합체,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어 충격강도와 내열도의 저하 없이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높은 내열성, 투명성 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무 자동화(Office Automation) 기기, 전기/전자 부품, 건축자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전기/전자 부품 분야에서도, LCD(Liquid Crystalline Display) 배면광 부품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높은 광반사율, 내광성, 색고착성 등이 요구되며, 특히 텔레비젼, 모니터, 노트북과 같은 제품의 슬림화 및 박막화로 인하여 높은 유동성이 요구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LCD의 배면광 부품으로 사용할 경우, 배면광 손실을 최소화하여 반사시키기 위해 수지를 고백색으로 착색하여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lame)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수지를 고백색으로 착색하기 위한 백색 안료로서는 공기 중에서 굴절률이 가장 큰 수치를 나타내는 이산화티탄(TiO2)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할로겐계 난연제와 안티몬 화합물 또는 인계 화합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연소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인체 유해성의 문제 때문에 할로겐계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은 수지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인계 화합물 중에서 난연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은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이나, 이를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난연제가 성형 중에 성형물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침적되는 이른바 "쥬싱(juic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내열도와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 현재 가장 보편적인 것은 술폰산 금속염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백색으로 착색하기 위해 다량의 이산화티탄을 사용하게 되면 난 연성이 저하되고, 고온에서 수지를 분해하여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2853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이산화티탄,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복합고무, 할로겐계 및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번호 제5,837,757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이산화티탄,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조성물들의 경우, 광원과 장기간 접촉시 할로겐계 및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가 수지조성물의 분해를 가속화시켜 황변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광반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광반사성은 일명 내광성이라고도 한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한 특허인 미국특허번호 제6,664,313호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이산화티탄, 실리카,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는 실리카가 난연제로 사용되어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저하시키고, 사출품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검토한 결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에 이산화티탄, 유기 실록산 중합체,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게 되면 수지의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 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LCD 배면광 부품에 사용될 수 있도록 우수한 난연성 및 내광성을 갖는 새로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 충격강도, 작업성 및 외관 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면서 난연성과 내광성도 우수한 LCD 배면광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LCD 배면광 부품에 사용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5 중량부와 (B) 열가소성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이산화티탄 5∼50 중량부, (D) 유기 실록산 중합체 0.1∼10 중량부, 및 (E)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 (A)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1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C5의 알킬렌, C1-C5의 알킬리덴, C5-C6의 시클로알킬리덴, -S- 또는 -SO2-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디페놀의 구체예로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 람직한 것은 비스페놀-A라고도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인 것을 들 수 있으며, 15,000∼8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로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전량에 대하여 0.05∼2 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로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으며, 또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호모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 존재 하에 중합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B)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 (B)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고, 반응이 진행되는 초기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을 첨가하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 공정과 동일하게 유지하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으며 랜덤, 블록, 세그멘티드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x, y는 각각 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타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에서 x, y의 비율은 2 : 98에서 98 : 2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 50에서 95 : 5의 비율을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에서 98 : 2의 비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o-클로로 페놀 용매에서 25℃로 측정시 고유점도[η]가 0.36∼1.60 범위인 것을 들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52∼1.25의 범위에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고유점도가 0.36 미만이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유점도가 1.60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B)는 기초수지를 구성하며, 각각 60∼95 중량부 및 5∼40 중량부로 사용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난연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C) 이산화티탄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은 일반적인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조방법, 입경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은 무기표면처리제 또는 유기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표면처리제로는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 이산화규소(실리카, SiO2), 지르코니아(이산화지르콘, ZrO2),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산화아연, 운모 등이 있다.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표면처리제는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2 중량부 이하로 사용된다.
상기 유기표면처리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펜타에리트 리톨 등이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표면처리제는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0.3 중량부 이하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알루미나(Al2O3)가 2 중량부 이하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은 이산화규소, 이산화지르콘,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운모 등의 무기표면처리제나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펜타에리트리톨와 같은 유기표면처리제로 더 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C)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에서는 광반사성이 저하되며, 50 중량부 초과에서는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D) 유기 실록산 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인 유기 실록산 중합체(D)는 하기의 화학식 3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8의 알킬기, C6∼C36의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를 나타내며, 반복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n은 1≤n<10,000 범위의 정수이다.
상기 유기 실록산 중합체(D)의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폴리(디페닐)실록산,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티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가 있다.
(E)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E)는 종래에도 이용가능한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성분 수지와 함께 혼합하여 압출시킬 때, 수지 내에서 섬유상 망상(fibrillar network)을 형성하여 연소시에 수지의 용융 점도를 저하시키고 수축율을 증가시켜서 수지의 적하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공지 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7∼71 kg/㎠의 압력과 0∼200℃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20∼100℃의 조건에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 등의 자유 라디칼 형성 촉매가 들어있는 수성 매질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멀젼(emulsion) 상태 또는 분말(powder)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에멀전 상태의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 전체 수지 조성물 내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상태라 하더라도 전체 수지 조성물 내에 적절히 분산되어 섬유상 망상을 형성할 수 있으면, 분말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입자 크기가 0.05∼1,000 ㎛이고, 비중이 1.2∼2.3 g/㎤ 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자외선안정제,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되는 첨가제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위한 자외선안정제는 하기의 화학식 4, 5, 6으로 표시되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4
상기 식에서 R2는 C1∼C10의 알킬기 또는 등의 알킬치환 페닐기를 나타내며, n은 1 또는 2인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5
상기 식에서 R3는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C1∼C15의 알킬치환 페닐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6
상기 식에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C1∼C18의 알킬 그룹, C2∼C6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 그룹, C1∼C12의 알콕시 그룹 또는 벤질 그룹을 나타내며, R5는 수소원자나 메틸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 형광증백제인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stilbene-bisbenzoxazole derivative)는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의 예로는 4-(벤조옥사졸-2-일)-4'-(5-메틸벤조옥사졸-2-일)스틸벤[4-(benzoxazole-2-yl)-4'-(5-methylbenzoxazol-2-yl)stilbene] 또는 4,4'-비스(벤조옥사졸-2-일)스틸벤[4,4'-bis(benzoxazole-2-yl)stilben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므로 내광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의 사출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면서 작업성의 저하가 없으므로 액정디스플레이(LCD)용 배면광 부품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C) 이산화티탄; (D) 유기 실록산 중합체; 및 (E)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g/mol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로서 일본 테이진(Teijin)사의 PANLITE L-1250WP를 사용하였다.
(B)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 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의 화학식 2에서 x, y의 비율이 92 : 8 이고, 고유점도[η]가 0.83인 대한민국 코오롱(Kolon)사의 NOPLA KE-931을 사용하였다.
(B-1)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는 고유점도[η]가 0.9인 제품을 사용하였다.
(B-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는 고유점도[η]가 1.6인 대한민국 애니켐(Anychem)사의 ANYPET 1100을 사용하였다.
(C) 이산화티탄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이산화티탄은 미국 Dupont사의 TI-PURE R-106을 사용하였다.
(D) 유기 실록산 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난연제로 사용된 유기 실록산 중합체(D)는 GE-Toshiba 실리콘사의 TSF-433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오일을 사용하였다.
(D-1) 비스페놀-A 유도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비스페놀-A 유도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D-1)는 일본 다이하치사의 CR-741을 사용하였다.
(D-2) 레조시놀 유도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레조시놀 유도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D-2)는 일본 다이하치사의 PX-200을 사용하였다.
(D-3) 술폰산 금속염계 난연제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술폰산 금속염계 난연제(D-3)는 미국 3M사의 FR-2025를 사용하였다.
(E)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미국 Dupont사의 테프론(상품명) 7AJ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실시예 1∼7
각 구성성분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L/D=35, Φ=45mm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 후, 사출온도 280∼300℃에서 물성 측정 및 난연도 평가를 위한 시편을 10 oz 사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ASTM 규격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난연도 : UL-94 규정에 준하여 2.0 mm 두께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2)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 1/8" 시편에 대하여 ASTM D256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3) Vicat 연화온도 : ASTM D1525 규격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4) 내광성 : ASTM G53 규격의 UV-Condensation machine을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 전후에 대하여 Minolta 3600D CIE Lab. 색차계로 황색도(Yellow Index)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7
비교실시예 1은 구성성분(B)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난연도, 충격강도 및 내열도는 양호하나 내광성 저하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실시예 2, 3은 실시예 1과 같은 조성물에서 폴리에스테르성분 (B) 대신에 각각 성분 (B-1), (B-2)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비해 비교실시예 2의 경우 난연도, 내광성은 양호하나 충격강도 저하가 현저하고, 비교실시예 3의 경우 충격강도는 양호하나 난연도 저하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실시예 4, 5, 6은 실시예 1과 같은 조성물에서 난연제 성분 (D) 대신에 각각 성분(D-1), (D-2), (D-3)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비해 비교실시예 4, 5는 난연도, 충격강도, 내열도 및 내광성 저하가 현저하며 비교실시예 6은 내열도는 양호하나 난연도, 충격강도 및 내광성 저하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실시예 7은 성분 (A)와 (B)를 본 발명의 범위 밖의 조성으로 사용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비교실시예 7은 난연도, 충격강도 저하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표면 개질된 이산화티탄, 유기 실록산 중합체 및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정한 범위로 첨가하면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나 본 발명의 범위 밖의 조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난연성, IZOD 충격강도 및 내열도의 저하 없이 자외선 조사 후의 색상변화가 적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열성, 충격강도, 작업성 및 외관 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면서 난연성과 내광성도 우수한 LCD 배면광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A)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5 중량부;
    (B)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5∼40 중량부;
    (C) 이산화티탄 5∼50 중량부;
    (D)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는 유기 실록산 중합체 0.1∼10 중량부; 및
    [화학식 3]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8
    (상기 식에서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8의 알킬기, C6∼C36의 아릴기 또는 알킬치환 아릴기를 나타내며, 반복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n은 1≤n<10,000 범위의 정수임)
    (E)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6098413049-PAT00009
    (상기의 화학식 2에서 x, y는 각각 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단위를 나타내는 정수 x, y의 mol% 비율이 2 : 98에서 98 : 2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C)은 무기표면처리제 또는 유기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 프로판(TMP),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유기표면처리제를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이산화지르콘,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산화아연, 운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된 무기표면처리제를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산화알루미늄으로 처리되며, 이산화규소, 이산화지르콘,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운모의 무기표면처리제나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펜타에리트리톨의 유기표면처리제로 더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록산 중합체(D)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폴리(디페닐)실록산,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공중합체, 및 디메티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안정제,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염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기초수지 구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펠렛.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액정디스플레이 배면광 부품.
KR1020060138412A 2006-12-29 2006-12-29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6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412A KR100869967B1 (ko) 2006-12-29 2006-12-29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A2007800487398A CN101583669A (zh) 2006-12-29 2007-12-28 具有良好阻燃性和光稳定性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
JP2009543958A JP5160563B2 (ja) 2006-12-29 2007-12-28 難燃性及び耐光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PCT/KR2007/006967 WO2008082202A1 (en) 2006-12-29 2007-12-28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flame retardancy and light stability
TW096151464A TWI371467B (en) 2006-12-29 2007-12-31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flame retardancy and light stability
US12/478,867 US20090239975A1 (en) 2006-12-29 2009-06-05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Flame Retardancy and Light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412A KR100869967B1 (ko) 2006-12-29 2006-12-29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503A true KR20080062503A (ko) 2008-07-03
KR100869967B1 KR100869967B1 (ko) 2008-11-24

Family

ID=3958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412A KR100869967B1 (ko) 2006-12-29 2006-12-29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39975A1 (ko)
JP (1) JP5160563B2 (ko)
KR (1) KR100869967B1 (ko)
CN (1) CN101583669A (ko)
TW (1) TWI371467B (ko)
WO (1) WO200808220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1854A1 (en) 2010-12-29 2012-07-0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cy
US8501848B2 (en) 2009-12-17 2013-08-06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flame retardant film, flame retardant film includ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lame retardant film
US8653179B2 (en) 2008-05-15 2014-02-18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light st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WO2014092412A1 (ko) * 2012-12-11 2014-06-19 제일모직 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50061480A (ko) * 2013-11-27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17B1 (ko) 2008-12-19 2013-06-21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65337B1 (ko) * 2008-12-19 2011-09-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369052B2 (ja) * 2010-02-01 2013-12-18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02140237B (zh) * 2010-02-01 2014-09-24 出光兴产株式会社 聚碳酸酯树脂组合物
US9228082B2 (en) * 2012-03-28 2016-01-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etherimide polycarbonate blends
TWI523759B (zh) * 2012-07-18 2016-03-01 厚生股份有限公司 醫療用可透濕之防火布料及其製造方法
CN109135200B (zh) * 2013-01-10 2021-11-09 三菱工程塑料株式会社 聚对苯二甲酸丁二酯类树脂组合物和成型体
KR20150107458A (ko) 2014-03-14 2015-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29974A (ko) 2015-04-30 2016-11-10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1978701B (zh) * 2020-08-31 2023-05-23 辽宁科技大学 一种导电聚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552668A (zh) * 2020-10-21 2021-03-2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长期稳定的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932813B2 (en) * 2021-05-20 2024-03-19 University Of Connecticut Electrochromic material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2543A (ko) * 1953-10-16
DE1007996B (de) * 1955-03-26 1957-05-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US2999846A (en) * 1956-11-30 1961-09-12 Schnell Herman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US4335032A (en) * 1980-12-31 1982-06-1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resin impact modified with polyolefins and containing polyorganosiloxane fluids
US4452968A (en) * 1981-11-30 1984-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nthesis of polycarbonate from dialkyl carbonate and bisphenol diester
US5116905A (en) * 1983-08-30 1992-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resin mixtures
US5391648A (en) * 1990-07-24 1995-02-21 Mitsubishi Rayon Co., Ltd. Polyorganosiloxane graft copolymers
EP0520186B1 (en) * 1991-05-28 1997-12-17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US5837757A (en) * 1996-06-18 1998-11-1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5902539A (en) * 1996-12-06 1999-05-11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making PEN/PET blends and transparent articles therefrom
US6063844A (en) * 1998-04-02 2000-05-16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rubber-modified graft copolymer resin blends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JP3432434B2 (ja) * 1998-11-12 2003-08-04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DE19946323A1 (de) * 1999-09-28 2001-03-29 Bayer Ag Polymerblends enthaltend modifizierte Polyester
JP2001207084A (ja) * 1999-11-16 2001-07-31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塗布材
US20020005563A1 (en) * 2000-07-12 2002-01-17 Tzi-Hsiung Shu Fuse structure and application thereof for a CMOS sensor
JP3871307B2 (ja) 2000-12-21 2007-01-2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DE60109120T2 (de) * 2000-12-21 2005-12-29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nd Formteile davon
WO2003004566A1 (en) * 2001-07-05 2003-01-16 Kaneka Corporatio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4473114B2 (ja) * 2002-04-26 2010-06-02 株式会社カネカ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4115609A (ja) * 2002-09-25 2004-04-1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20040260035A1 (en) * 2003-06-11 2004-12-23 Issam Dairanieh Crystallizable thermoplastic resins and dendrimers with improved fabrication characteristics
EP1882718B1 (en) * 2005-05-19 2011-03-16 Teijin Chemicals,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20070072960A1 (en) * 2005-09-28 2007-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82265B1 (ko) * 2005-12-30 2007-12-04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05089B1 (ko) * 2008-05-15 2009-06-3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광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101065337B1 (ko) * 2008-12-19 2011-09-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3179B2 (en) 2008-05-15 2014-02-18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light st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US8501848B2 (en) 2009-12-17 2013-08-06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flame retardant film, flame retardant film includ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lame retardant film
EP2471854A1 (en) 2010-12-29 2012-07-0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cy
US8642688B2 (en) 2010-12-29 2014-02-0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O2014092412A1 (ko) * 2012-12-11 2014-06-19 제일모직 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534336B1 (ko) * 2012-12-11 2015-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50061480A (ko) * 2013-11-27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2202A1 (en) 2008-07-10
TWI371467B (en) 2012-09-01
CN101583669A (zh) 2009-11-18
JP2010514890A (ja) 2010-05-06
TW200838936A (en) 2008-10-01
KR100869967B1 (ko) 2008-11-24
JP5160563B2 (ja) 2013-03-13
US20090239975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967B1 (ko) 난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782265B1 (ko)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05089B1 (ko) 내광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101065337B1 (ko)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534336B1 (ko) 내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400825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20170037240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hock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JP2011099030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からなる押し出し成形品
KR101543267B1 (ko) 난연성이 우수한 광확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228497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277717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3563711B2 (ja) 反射板
JP4570205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228497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1084692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7002075A (ja) 光反射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フィルム
JP200617663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100705907B1 (ko)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066930B1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09138173A (ja) 光反射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