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581A -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581A
KR20080059581A KR1020087009629A KR20087009629A KR20080059581A KR 20080059581 A KR20080059581 A KR 20080059581A KR 1020087009629 A KR1020087009629 A KR 1020087009629A KR 20087009629 A KR20087009629 A KR 20087009629A KR 20080059581 A KR20080059581 A KR 2008005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food
intestinal flora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로 무라시마
히로야 엔도
유코 바바
히로푸미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은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것으로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장내 세균, 특히 비피더스균과 유산균 모두를 증식시켜 장내 플로라를 개선할 수 있다.
플로라, 1-케스토스, 비피더스균, 유산균

Description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FLORA}
본 출원은 선행하는 일본국 특허출원인 특허출원 제2005-298252호(출원일: 2005년 10월 13일)에 기초한 것으로, 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바, 그 개시 내용 전체는 참조로서 여기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인간 등의 장 내(腸內) 플로라(flora)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와 같은 기능이 부여된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장 내에는 100 종류를 넘는 세균이 공생하고 있고, 복잡한 플로라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플로라를 구성하는 세균 중,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또는 락토바실러스 속에서 대표되는 유산균은, 인간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비피더스균이나 유산균이 우세한 장내 플로라로 되는 것이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유익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피더스균에 관하여, 현재까지 비피더스균을 인간의 장 내에서 약 10 배 정도 증식시키는 물질로서 올리고당이나 유산균체 등의 물질이 알려져 있다.
비피더스균이 인간의 장 내 플로라에 109 ~ 1010 CFU/g 존재하는 우세균(優勢菌)임에 반하여, 유산균은 105 ~ 106 CFU/g으로 비피더스균에 비해 대략 1만 분의 1 이다. 이 때문에, 유산균을 장 내에서 증식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 증식시킨다 하더라도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유산균의 장관 면역(腸管免疫)의 부활 효과 등에 관한 지식의 축적에 의해(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5-13242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7-228536호 공보 및 국제공개 W099/10476호(특표 2001-513990호 공보) 참조), 장 내 플로라에서의 비율이 적어도,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것에 의한 인간에의 유익한 효과를 종래에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기대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인간의 장관 내에서 유산균을 증식시킬 수 있는 물질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인간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피더스균과 유산균 모두를 증식시키는 것이 보다 적절하기 때문에,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킬 수 있는 물질이 요망되고 있다.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물질로는, 시험관 내 또는 동물의 장 내에서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82364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5-1536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6-125771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7-26786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의 증식 효과는 시험관 내 또는 배양 플레이트 상에서의 장내 세균의 생육 시험, 또는 동물에의 섭취시험에 의한 것으로, 인간에 의한 섭취시험에서 인간의 장 내의 유산균을 실제로 증식시킨 예는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확인된 바 없다.
한편, 1-케스토스는 자당 분자의 프룩토스 1위치에 새로운 프룩토스가 β-2, 1 결합된 3당류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치아를 우식시키지 않는 것으로 생체 내의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고,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의 특이적 생육 촉진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져 있는바, 1-케스토스는 이 프락토올리고당의 한 성분이다(WO97/021718(일본국 특허 제3459264호 공보)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피더스균 및 유산균은 자화 가능(資化可能)하나, 다른 많은 장내 세균은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1-케스토스를 인간에 직접 섭취시키고, 분변 중의 플로라를 상세하게 검토하여, 1-케스토스를 섭취시키는 것에 의해 비피더스균의 증식에 더하여 유산균도 증식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1-케스토스의 섭취에 의한 효과가 분변 중의 유산균 수가 일정한 값 이상인 인간에게서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장내 세균, 특히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모두 증식시켜, 장내 플로라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은,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증식제는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것으로서,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은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증식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은 1-케스토스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에서 제공되는 양의 1-케스토스와 유산균의 생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1-케스토스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 투여 또는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유동물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스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성분인 1-케스토스를 의약품 또는 음식품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이 경구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섭취자에게 유익한 작용을 하는 장내 세균을 증식시켜 그 장내 플로라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및 유산균 증식제를 인간이 경구섭취함으로써, 인간의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킴과 동시에, 장 내에 공생하고 있거나 또는 경구섭취한 유산균을 증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인간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할 수 있다.
1- 케스토스
1-케스토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당 분자의 프룩토스 1위치에 새로운 프룩토스가 β-2, 1 결합된 3당류로 분류되는 올리고당이다. 본 발명에서의 1-케스토스로서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소정의 원료를 준비해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1-케스토스의 제조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바, 예컨대, W097/021718(일본국 특허 제345926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1-케스토스를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 방법에 의해 순도 98% 이상의 1-케스토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스는 짧은 사슬 프락토올리고당 혼합물(성분으로서, 1-케스토스 35%, 니스토스 55% 및 프락토푸라노실니스토스 10%(모두 중량 기준)를 포함한)인 「메이올리고 P」(상품명; 메이지제과주식회사 제)로 제공되는 시판의 1-케스토스 함유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유산균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산균은 장내 세균으로서 장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지만, 예컨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및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세균일 수 있다. 유산균은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장 내 등에서 얻어진 샘플을 배양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1-케스토스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의 유산균은 그의 생균체 상태이다. 여기서 생균체라 함은, 경구 섭취에 의해 인간 등 섭취자의 장 내까지 산 채로 도달하는 균체를 의미하는바, 예컨대, 동결건조 균체, 습 균체, 또는 배양액 등 다양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및 유산균 증식제에 사용하는 경우, 유산균의 생균체는 동결건조 균체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산균은, 바람직하기는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유산균이다.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유산균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바실러스·뮤코사에(Lactobacillus mucosae), 락토바실러스·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아리조넨시스(Lactobacillus arizonensis), 락토바실러스·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카세이(Lactobacillus caseii), 락토바실러스·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델브룩키이(Lactobacillus delbruckii), 락토바실러스·아라비노서스(Lactobacillus arabinosus), 락토바실러스·코우카시쿠스(Lactobacillus caucasicus), 락토바실러스·라이슈마니(Lactobacillus leishmanni), 락토바실러스·뮤시쿠스(Lactobacillus musicus), 락토바실러스·서모필러스(Lactobacillus themophilus), 락토바실러스·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및 락토바실러스·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속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트렙토코커스·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크레모리스(Streptococcus cremoris), 류코노스톡·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페디오코커스·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엔테로코커스·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락토코커스·락티스(Lactococcus lactis), 엔테로코커스·히라에(Enterococcus hirae), 및 엔테로코커스·파에시움(Enterococcus faecium) 등을 들 수 있다.
장 내의 유산균 수는 관용되는 방법으로 정량할 수 있다. 예컨대, 당해 유산균 수는 피검사자의 분변을 채취해서 光岡의 방법(光岡知足 著 「장내 균의 세계」, 叢業社, 東京, p53-65)에 따라 정량할 수 있다. 또한, 장 내의 비피더스균의 수도 마찬가지로 해서 정량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은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은 유효성분 섭취자의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킴과 동시에, 장 내에 공생하고 있거나 또는 경구섭취한 유산균을 증식시킬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나 있듯이, 1-케스토스를 인간에 섭취시켰더니 실제로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 속의 유산균이 증가되었다(실시예 1). 이 효과는 섭취시킨 1-케스토스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35 중량% 정도여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실제로 확인하였다(실시예 2). 이와 같이, 1-케스토스는 섭취자의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킴과 동시에, 장 내의 유산균을 증식시킬 수 있음이 실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유효성분은 장내 플로라의 개선이 요망되는 사람에 대해 장 내의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의 증가를 촉진해서 장 내에서 유익한 작용을 하는 세균을 증식시키고, 그 결과, 장내 플로라의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이미 식품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의 일부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있으므로, 포유동물(예컨대, 인간,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원숭이 등. 바람직하기는 인간)에 대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케스토스를 함유한 조성물의 효과는 분변 중의 유산균 수가 일정 수 이상(106 CFU/g 이상)인 인간에게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것도 확인되었다(실시예 1). 이와 같이 장내 플로라의 개선효과는 장 내의 유산균 수가 일정량 이상인 경우에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장 내의 유산균 수가 적다고 판단된 경우(예컨대, 분변 중의 유산균 수가 적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및 유산균 증식제에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포함시켜 이를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장내 플로라 개선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또는 유산균 증식제는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1-케스토스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 투여 또는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유동물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데에 최소한으로 필요한 유효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장내 플로라 개선방법에서 1-케스토스와 함께 유산균의 생균체도 투여 또는 섭취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인간에게 장내 유산균 양이 분변의 측정치로서 106 CFU/g 이상이 되도록 유산균의 생균체를 1-케스토스의 전 또는 동시에 투여 또는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장내 플로라」란, 장 내(예컨대, 소장의 끝에서부터 대장에 걸쳐)에 존재하는 비피더스균이나 유산균 등과 같은 유용균, 웰슈균 등과 같은 유해균,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중간의 균(日和見菌)으로 형성되는 장 내의 세균 군 상태를 말한다.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는 편식, 과식, 과음, 약물 섭취, 스트레스, 과로, 세균 오염, 질병, 노화 등에 의해 무너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예컨대 유해균 등이 증식해서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증가하여 변비나 설사의 원인이 되는 외에, 면역력을 저하시키거나 노화를 촉진하고, 또는 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활 습관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장내 플로라의 개선」이란, 인간의 건강을 유지, 개선하는데 유익한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 또는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를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기는, 장내 플로라의 개선은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나 음식품을 섭취하는 대상이 인간인 경우, 그 인간은 정상인이어도 환자이어도 좋지만, 특히 당뇨병자에게서 대표되는 변비증상 등의 장의 부조(不調)에 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실시예).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태양에 의하면, 「장내 플로라의 개선」은 장의 부조 개선, 보다 바람직하기는 당뇨병자에게서 대표되는 변비 증상 등의 장의 부조의 개선을 의미할 수 있다.
조성물 또는 음식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이란, 소망하는 제품 형태에 따라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도 좋음은 물론이고, 병용가능한 다른 보조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1-케스토스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등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주로 경구적으로 투여 또는 섭취할 수 있고, 또한 의약품 또는 음식품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경구섭취(또는 투여)용의 형태로는, 음식품, 과립제, 산제, 정제(당의정을 포함), 환제, 캡슐제, 드링크제, 시럽제, 유제, 현탁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섭취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방법으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더불어 제제화할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부형제, 결합제, 첨가제, 향료, 완충제, 증점제, 착색제, 안정제, 유화제, 분산제, 현탁화제, 붕괴제, 활택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탄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설탕, 락토스, 펙틴,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트라간트,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저융점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의 의미는, 유산균 증식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유산균 증식제는 의약품 또는 음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유산균 증식제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병용가능한 다른 보조성분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성분(예컨대, 비타민 C, 비타민 E, 타우린), 항생물질, 글리코겐, 아미노산류, 펩티드류, 미네랄류(예컨대, 아연, 철, 동, 망간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섭취 형태 중 정제와 같은 경구 고형제는 아래와 같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유효성분에, 예컨대 부형제(예컨대, 유당, 백설탕, 전분, 만니톨), 붕괴제(예컨대, 탄산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결합제(예컨대, α화 전분, 아라비아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활택제(예컨대, 탈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를 첨가해서 압축 성형하고, 다음에 필요에 따라, 맛의 마스킹, 장용성 또는 지속성의 목적을 위해 관용되는 방법으로 코팅함으로써 경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코팅제로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의약품에의 적용뿐 아니라, 식품에의 적용도 의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은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을 유효량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유효성분을 유효량 포함하여 이루어진」이란, 개개의 음식품을 통상적으로 먹는 양으로 섭취한 결과, 유효성분으로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양으로 유효성분을 함유한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에는 본 발명에서의 유효성분을 그대로 음식품에 배합한 것;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증식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및 1-케스토스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에서 제공되는 양의 1-케스토스와 유산균의 생균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은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에 안정제 등 관용되는 첨가성분을 가하여 음식품으로 조제한 것, 각종 단백질, 당류, 지방, 미량원소, 비타민류 등을 그들에 더 배합해서 조제한 것, 액상, 반액체상 또는 고체상으로 한 것, 페이스트 형상으로 한 것, 또는 일반 음식품에 첨가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음식품」은 의약 이외의 것으로서, 포유동물이 섭취 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그 형태도 액상, 반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 때문에 음식품에는, 예컨대 음료의 형태도 포함된다. 음식품은 또한, 서플리먼트와 같은 영양 보조식품의 정제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음식품」에는,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 식품, 질병 리스크 저감 표시를 붙인 식품, 또는 병자용 식품과 같이 분류된 것도 포함된다. 그리고 「음식품」이라는 용어는,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료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보건용 식품이라 함은, 장내 플로라의 유지 또는 개선 등을 목적으로 식품의 제조 또는 판매 등을 하는 경우에, 보건상의 관점에서 각 국가에서 법상 어떤 제한을 받을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식품은, 식품이 질병 리스크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표시한 식품, 즉 질병 리스크 저감 표시를 붙인 식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질병 리스크 저감 표시라 함은 질병 리스크를 줄일 가능성이 있는 식품의 표시로서, FAO/WHO 합동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위원회)가 정하는 규격에 기해 또는 그 규격을 참고로 해서 정해진 표시 또는 인정된 표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은 장내 플로라의 개선 작용을 가진다. 이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식품,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서플리먼트(예컨대,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류, 비타민 K 등의 비타민류를 1종 이상 함유한 식품)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상기 작용에 기초하여 기능을 겸비한 음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장내 플로라의 개선에 이용되는 음식품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기능이 표시된 음식품이 제공된다. 여기서 음식품에 부착되는 기능 표시는, 예컨대, 제품의 본체, 용기, 포장, 설명서, 첨부문서, 또는 선전물 중 어느 하나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의 구체적인 예로는, 우유, 유제품 음료, 아이스크림, 치즈,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 쥬스, 청량음료수, 기능성 음료, 알코올 음료 등의 각종 음료; 된장, 요구르트, 유산균, 발효음료, 절임 등의 발효물; 밥류 등의 탄수화물 함유 식품; 수산물 익힘 제품 등의 익힘 제품; 레토르트 제품; 스프; 콩 제품; 쿠키 등의 양과자류, 만두나 양갱 등의 화과자류, 캔디류, 검류, 푸딩 등의 냉과나 빙과 등의 각종 과자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음식품의 처방 설계에 이용되는 당류, 향료, 과즙, 식품 첨가제, 안정제 등을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음식품의 제조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의 제조기술을 참조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은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고, 공지의 의약품 제조기술에 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을 제조하여도 좋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제조 항목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담체나 제제용 첨가제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경구제의 란에 기재된 담체나 제조용 첨가제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능 이외의 기능을 발휘하는 다른 성분 또는 다른 기능성 식품과 조합하여 다기능성 음식품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음식품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수용자, 수용자의 연령 및 체중, 장내 플로라의 상태, 투여시간, 제형, 식품형태, 투여방법, 약제의 조합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의 유효성분을 경구투여 또는 경구섭취 하는 경우, 1-케스토스의 중량 환산으로, 성인 1명의 1일 당 섭취량이 0.01 ~ 50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3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2Og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하루 1회 또는 수회의 투여 단위(또는 섭취 단위)로 나누어 투여 또는 섭취할 수 있다. 1-케스토스의 섭취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50g 이하가 바람직하나, 완하작용(緩下作用)의 개인차를 감안하면 3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완하작용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이 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성인의 체중을 60kg로 가정해서 체중 60kg의 성인 1명 1일 당 유효성분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으로서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투여 또는 섭취하는 대상의 체중 등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시 환산하여 최적의 투여 또는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1-케스토스를 조성물 전량에 대해 적어도 1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35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에의 1-케스토스의 첨가량은 음식품 전량에 대해 최소 1 중량% 이지만, 음식품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당해 첨가량은 1 ~ 90 중량% 이고, 1 ~ 50 중량% 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케스토스에 더해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유산균의 생균체가 동결건조 균체인 경우, 그 첨가량은 성인 1명 1일 당 섭취량이 0.01 ~ l0g의 범위로 되도록 한 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3g의 범위로 되도록 한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유산균의 생균체가 동결건조 균체인 경우의 그 첨가량은 0.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음식품의 경우 그 첨가량은 0.0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결과, 특히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인간 분변 중의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의 증식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의 결과, 특히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인간 분변 중의 비피더스균의 증식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의 결과, 특히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인간 분변 중의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의 증식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의 결과, 특히 본 발명의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인간 분변 중의 비피더스균의 증식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케스토스를 섭취한 인간 장 내에서의 유산균 증식효과
시험에 제공되는 공시 조성물로서, 1-케스토스 99.4%, 아세설팜칼륨 0.15%, 수크랄로스 0.32%, 및 스위트니스 인핸서 ME-2208T(상품명; 필메닛히사 제) 0.13%(모두 중량 기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시험은 연령 20세에서 70세의 경미한 당뇨병 환자 남녀 7명을 피험자로 하고, 공시 조성물을 1일에 10g씩 2개월간 경구섭취시킴으로써 행하였다. 그리고, 섭취 개시 직전(0월째), 섭취 개시 2개월 후(2월째), 및 섭취 종료 후 1개월(3개월째)에 각 사람의 분변 샘플을 각각 채취하고, 光岡의 방법(光岡知足箸 「장내 균의 세계」, 叢業社, 도쿄, p53 - 65)에 따라 각 샘플 중의 유산균 수를 정량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해서, 각 샘플 중의 비피더스균 수도 정량하였다.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았다.
7명의 피험자 중 5명에서 106 CFU/g분변 이상의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을 검출할 수 있어서, 이들 5명에 대한 1-케스토스 섭취에 의한 유산균 수 및 비피더스균 수의 변화를 이들 도면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5명 중 4명에서 1-케스토스의 섭취에 의해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이 증가하였다. 그 균수의 평균치는 섭취 전 106.1 CFU/g분변에서 섭취 후 107.1 CFU/g분변으로 약 10배 정도 증가하였다. 증가한 유산균을 16SrRNA 서열분석에 의해 동정하였더니, 락토바실러스·뮤코사에, 락토바실러스·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락티스,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펜토서스, 락토바실러스·아리조넨시스 등이었다. 또한, 5명 전원에게서 비피더스균이 증가하였고, 그 평균치는 섭취 전 109.7 CFU/g분변에서 섭취 후 1010.5 CFU/g분변으로 약 7배 정도 증가하였다.
실시예 2:
공시 조성물로서 1-케스토스 35%, 니스토스 55%, 및 프락토푸라노실니스토스 10%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메이올리고P(상품명; 메이지제과 제)를 이용하였다.
시험은 연령 19세에서 41세의 건강한 여성 7명을 피험자로 하고, 공시 조성물을 1일에 3g(1-케스토스 중량 환산으로 1.05g)씩 2개월간 경구섭취시킴으로써 행하였다. 그리고, 섭취 개시 직전(0주간째), 섭취 개시 2주일 후(2주간째), 및 섭취 종료 후 2주간(4주간째)에 각 사람의 분변 샘플을 각각 채취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 샘플 중의 유산균 수 및 비피더스균 수를 정량하였다.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았다.
결과는, 7명 피험자의 분변 중의 1-케스토스 섭취에 의한 유산균 수 및 비피더스균 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 결과, 7명 중 4명에서 1-케스토스 섭취에 의해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이 증가하였다. 그 분변 중 균 수의 평균치는 섭취 전 102.9 CFU/g에서 섭취 후 104.2 CFU/g으로 약 20배 정도 증가하였다(한편, 검출 한계 이하는 0으로 계산하였다). 증가하지 않은 사람도 3명 있었지만 많이 감소한 것은 아니었고, 증가한 4명에서는 전원 10배 이상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증가한 유산균을 16SrRNA 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였더니, 락토바실러스·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카세이 또는 락토바실러스·파라카세이 등이었고, 엔테로코커스·파에시움, 페디오코커스·펜토사세우스의 증가도 확인되었다. 또한 7명 중 6명에서 비피더스균이 증가하였고, 그 평균치는 섭취 전 109.8 CFU/g에서 섭취 후 1010.1 CFU/g으로 약 2배 증가하였다.

Claims (26)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가 그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에서 제공되도록 배합되어 이루어진 조성물.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를 1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의 개선이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킴으로써 행해지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성물.
1-케스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유산균 증식제.
제8항에 있어서,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산균 증식제.
제8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유산균 증식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식품.
1-케스토스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에서 제공되는 양의 1-케스토스와, 유산균의 생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식품.
제11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를 1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식품.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의 개선에 이용되는 음식품.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기능이 표시된 음식품.
1-케스토스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 투여하거나 또는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유동물의 장내 플로라를 개선하는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이 1-케스토스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인 방법.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와 함께 유산균의 생균체도 투여 또는 섭취하는 방법.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에게, 장내 유산균 양이 분변의 측정치로 106 CFU/g 이상이 되도록, 유산균의 생균체를 1-케스토스 전 또는 동시에 투여 또는 섭취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의 개선이 장 내에서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 및 필요에 따라 유산균의 생균체를 음식품의 형태로 섭취하는 방법.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스의 용도.
제21항에 있어서, 1-케스토스를 그 양 환산으로 성인 1인 1일 당 0.01 ~ 50g의 범위에서 제공하는 용도.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이용하는 용도.
제23항에 있어서, 장내 유산균 양이 분변의 측정치로 106 CFU/g 이상이 되도록 필요에 따라 유산균의 생균체를 더 사용하는 용도.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의 개선이 장내에서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을 동시에 증식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용도.
제2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이 음식품의 형태인 용도.
KR1020087009629A 2005-10-13 2006-10-11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KR20080059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8252 2005-10-13
JPJP-P-2005-00298252 2005-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81A true KR20080059581A (ko) 2008-06-30

Family

ID=3794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629A KR20080059581A (ko) 2005-10-13 2006-10-11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42304A1 (ko)
EP (1) EP1946760A4 (ko)
JP (1) JPWO2007043563A1 (ko)
KR (1) KR20080059581A (ko)
CN (1) CN101304751A (ko)
CA (1) CA2628035A1 (ko)
WO (1) WO20070435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629B1 (ko) * 2012-04-23 2014-04-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리조넨시스 bcnu 920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487446B1 (ko) * 2013-08-30 2015-01-2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내산성, 내담즙성, 유해세균 억제능력 및 장관의 흡착능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뮤코세 lm1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026878A1 (ja) * 2005-09-01 2009-03-12 明治製菓株式会社 1−ケストースを含んでなるチューインガム
KR101833249B1 (ko) 2010-02-22 2018-02-28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상피세포간 접착 증강제 및 이것을 이용한 알러지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제
CN102239963B (zh) * 2010-05-12 2015-04-08 青岛东海药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猪、鸡养殖的制剂
JP2014068599A (ja) * 2012-09-28 2014-04-21 Morikawa Kenkodo Kk 乳酸菌増殖促進作用を有する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JP6245487B2 (ja) * 2015-08-12 2017-12-13 ヤヱガキ醗酵技研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58174A1 (en) * 2015-09-29 2017-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ion for maintaining loctobacillus dominance
MX2018002533A (es) 2015-09-29 2018-06-27 Kimberly Clark Co Composicion sinergica para el mantenimiento de un equilibrio saludable de la microflora.
CN109069521A (zh) * 2016-03-14 2018-12-21 物产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粪杆菌属细菌增殖剂
US20190091248A1 (en) * 2016-03-14 2019-03-28 B Food Science Co., Ltd. Agent for increasing intestinal butyric acid and proliferation agent for butyric acid-producing bacteria
CN112739369A (zh) * 2018-09-20 2021-04-30 Nrl制药公司 子宫内菌群改善用剂和组合物、及子宫内菌群被改善或正常化了的状态的判定方法
JP6842072B2 (ja) * 2019-03-07 2021-03-17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エガセラ属細菌の菌数抑制剤
CN111134324A (zh) * 2020-03-09 2020-05-12 青海仁一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和平衡肠道微生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461751A (zh) * 2021-07-15 2021-10-01 量子高科(广东)生物有限公司 一种高蔗果三糖含量低聚果糖及其应用
WO2023145624A1 (ja) * 2022-01-27 2023-08-03 京セラ株式会社 腸内情報推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834B2 (ja) * 1982-05-19 1984-12-27 明治製菓株式会社 ビフイズス菌増殖促進物質
JPS60133852A (ja) * 1983-12-23 1985-07-17 Zenkoku Shokubutsu Tanpaku Shokuhin Kyodo Kumiai 新規な納豆製品
JPH02249493A (ja) * 1989-03-24 1990-10-05 Hokuren Federation Of Agricult Coop:The ケストースの精製方法
JP2823640B2 (ja) 1990-03-13 1998-11-11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腸内フローラ改善物質
JPH0515366A (ja) 1991-07-11 1993-01-26 Morinaga Milk Ind Co Ltd 乳酸菌およびビフイズス菌の増殖促進剤
JPH05132425A (ja) 1991-10-23 1993-05-28 Yakult Honsha Co Ltd 自己免疫疾患の予防・治療剤
JPH06125771A (ja) 1992-10-21 1994-05-10 Kanebo Ltd 乳酸菌増殖剤およびその製法
US5641759A (en) * 1993-05-26 1997-06-24 Purdue Research Foundation Animal husbandry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for
JP4112021B2 (ja) 1994-02-16 2008-07-02 明治乳業株式会社 乳酸菌を用いた免疫賦活剤
JP3501415B2 (ja) 1994-03-30 2004-03-02 雪印乳業株式会社 ビフィズス菌および乳酸菌増殖促進剤
US5843922A (en) * 1994-07-29 1998-12-01 Fuisz Technologies Ltd.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and products therefrom
JP3512523B2 (ja) * 1995-06-22 2004-03-29 明治製菓株式会社 餡製品
JP3257929B2 (ja) * 1995-06-23 2002-02-18 明治製菓株式会社 機能性低カロリー甘味料
JP3499969B2 (ja) * 1995-06-23 2004-02-23 明治製菓株式会社 結晶ケストース含有砂糖甘味料
JP3752275B2 (ja) * 1995-08-31 2006-03-08 明治製菓株式会社 結晶ケストース含有チョコレート
JPH0975035A (ja) * 1995-09-12 1997-03-25 Meiji Seika Kaisha Ltd 機能性錠菓及び粉末飲料
AU1110097A (en) 1995-12-11 1997-07-03 Meiji Seika Kabushiki Kaisha Crystalline 1-kestos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WO1997034004A1 (fr) * 1996-03-11 1997-09-18 Meiji Seika Kaisha, Ltd. β-FRUCTOFURANNOSIDASE ET SON GENE, PROCEDE D'ISOLEMENT DU GENE DE β-FRUCTOFURANNOSIDASE, SYSTEME POUR LA PRODUCTION DE β-FRUCTOFURANNOSIDASE, ET VARIANT DE β-FRUCTOFURANNOSIDASE
JP3655965B2 (ja) * 1996-06-13 2005-06-02 明治製菓株式会社 結晶ケストース含有キャンデー
HU228046B1 (en) 1997-08-21 2013-03-28 New Zealand Dairy Board Immunity enhancing lactic acid bacteria
JP2005298252A (ja) 2004-04-09 2005-10-27 Hitachi Cable Ltd 化合物半導体単結晶の製造装置
JP4669235B2 (ja) * 2004-04-21 2011-04-13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腸内環境下ビフィズス菌増殖剤
JP4162147B2 (ja) * 2005-04-21 2008-10-08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アレルギー抑制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629B1 (ko) * 2012-04-23 2014-04-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리조넨시스 bcnu 920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487446B1 (ko) * 2013-08-30 2015-01-2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내산성, 내담즙성, 유해세균 억제능력 및 장관의 흡착능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뮤코세 lm1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4751A (zh) 2008-11-12
EP1946760A4 (en) 2009-07-22
WO2007043563A1 (ja) 2007-04-19
JPWO2007043563A1 (ja) 2009-04-16
EP1946760A1 (en) 2008-07-23
CA2628035A1 (en) 2007-04-19
US20090142304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581A (ko) 장내 플로라 개선용 조성물
JP5889191B2 (ja) 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としての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菌株
ES2647922T3 (es) Agente anti-obesidad, alimento o bebida anti-obesidad, agente que mejora la tolerancia a la glucosa, y alimento o bebida para mejorar la tolerancia a la glucosa
EP1384483A1 (en) Probiotics f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disease (IBS) through improvement of gut neuromuscular function
KR20110104557A (ko) 프로바이오틱 및 프리바이오틱 성분 및 무기 염을 락토페린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JP4391971B2 (ja) 腸内環境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組成物
KR20150118084A (ko)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및 방법
US11045509B2 (en) Tributyrin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AU2008310961B2 (en) Probiotics for use in relieving symptom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20180129945A (ko) 제지방 체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비피더스균
AU201131429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ugmenting kidney function
US20210244777A1 (en)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and composition including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TWI745454B (zh) 抑制腸道內乳桿菌屬乳酸菌減少用之組成物
WO2023176951A1 (ja) Collinsella属細菌の増殖制御用組成物及びその利用
WO2024043298A1 (ja) 腸内細菌叢改善用組成物
WO2007123236A1 (ja) ハンセン病発症予防作用のある菌体含有組成物
JP2024512621A (ja) 乳酸菌の生理活性効果増強用組成物
JP2019187264A (ja) 糖代謝異常の予防および改善用組成物
JP2019156814A (ja) セロトニン産生促進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