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042A -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 Google Patents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042A
KR20080059042A KR1020070126754A KR20070126754A KR20080059042A KR 20080059042 A KR20080059042 A KR 20080059042A KR 1020070126754 A KR1020070126754 A KR 1020070126754A KR 20070126754 A KR20070126754 A KR 20070126754A KR 20080059042 A KR20080059042 A KR 2008005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ell
exposure
colum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520B1 (ko
Inventor
다카시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5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283Mask effects on the imaging process
    • G03F7/70291Addressable masks, e.g. spatial light modulators [SLMs],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s] 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ttern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66Multiple exposures, e.g. combination of fine and coarse exposures, double patterning or multiple exposures for printing a single fe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491Information management, e.g. software; Active and passive control, e.g. details of controlling exposure processes or exposure tool monitoring processes
    • G03F7/70508Data handling in all parts of the microlithographic apparatus, e.g. handling pattern data for addressable masks or data transfer to or from different components within the exposur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노광 데이터 작성을 고속화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
노광 장치(1)의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제어부(10))는 노광을 위하여 사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으로 제1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묘화 데이터 메모리(11)를 구비한다. 제1 데이터가,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를, 셀마다의 정보의 분해능 단위(셀의 1/n 단위)로 변환된 상태의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셀 사이즈 메모리(13)를 구비한다. 제2 데이터가, 셀마다 칼럼 방향의 정렬을 로우 방향으로 재정렬한 제3 데이터가, 칼럼마다 버스트 전송되어 얻어진 제4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인 노광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노광 데이터 메모리(17)를 구비한다. 셀은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을 행하는 DMD(33)의 셀이다.
Figure P1020070126754
노광 데이터, 셀, 메모리, 비트맵, DMD, 묘화 데이, 묘화 데이터 메모리, 정보의 분해능, 셀 사이즈 메모리, 래스터 데이터, 노광 데이터 메모리,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Description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EXPOSURE DATA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노광 데이터의 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의 이차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노광 데이터의 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DMD 등의 이차원 표시 소자를 사용한 다중 노광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DMD 등의 이차원 표시 소자를 사용한 다중 노광 장치에서, 이차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노광 데이터는, 비트맵 등의 묘화 데이터와 이차원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셀의 번호에 대응하는 셀 좌표에 기초하여 작성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5046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장치 등 DMD 등의 이차원 표시 소자를 사용한 다중 노광 장치에서의 노광 데이터의 작성 시 셀 좌표는 셀 좌표 테이블로부터 독출되는데, 이 독출은 셀마다 행해지기 때문에 셀 좌표 테이블과의 액세스 횟수가 노광 데이터 작성의 고속화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광 데이터 작성을 고속화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의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는, 노광을 위하여 사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으로 제1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묘화 데이터 메모리와, 제1 데이터가,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를, 셀마다의 정보의 분해능 단위로 변환된 상태의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셀 사이즈 메모리와, 제2 데이터가, 셀마다 칼럼 방향의 정렬을 로우 방향으로 재정렬한 제3 데이터가, 칼럼마다 버스트 전송되어 얻어진 제4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인 노광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노광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며, 셀은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을 행하는 DMD의 셀이다.
바람직하게는, 셀의 번호에 대응한 셀 좌표의 변환 테이블을 기록하는 셀 좌표 테이블을 더 구비하며, 제3 데이터의 칼럼마다의 버스트 전송 시, 제3 데이터는 셀 좌표 테이블에 액세스하여 얻어지는 버스트 전송되는 칼럼의 선두 셀의 셀 좌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칼럼마다 독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 좌표 테이블은 SRAM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데이터를 기록하는 DRAM을 더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광 데이터 작성을 고속화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중 노광 장치(1)는 제어부(10) 및 장치 헤드부(30)를 구비한다. 제어부(10)는 묘화 데이터(벡터 데이터, CAD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 데이터(래스터 데이터)를 작성하는 묘화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장치 헤드부(30)는 DMD(33)와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DMD(33)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제어부(31)를 갖는다(도 1, 도 2 참조).
제어부(10)는 제1∼제5 단계의 순서로 묘화 데이터를 DMD(33)를 구동하기 위한 노광 데이터로 변환하여 노광 데이터 메모리(17)에 기록한다.
제어부(10)는 묘화 데이터 메모리(11), 셀 사이즈 메모리(13), 셀 좌표 테이블(15), 전환 메모리(16) 및 노광 데이터 메모리(17)의 4개의 메모리를 갖는다.
묘화 데이터 메모리(11)는 CAD 데이터인 묘화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한 상태에서 기록한다(제1 데이터). 셀 사이즈 메모리(13)는 비트맵 데이터(제1 데이터)를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가 1/n 셀 단위로 변환된 상태(제2 데이터)에서 기록한다. 셀 좌표 테이블(15)은 셀 번호에 대응한 셀 좌표(버스트 전송의 대상이 되는 열(칼럼)의 선두 셀에 대응하는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의 변환 테이블을 기록하는 SRAM이다.
전환 메모리(16)는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가 1/n 셀 단위로 변환된 데이터(제2 데이터)를 재정렬한 전환 데이터(제3 데이터)를 기록하는 DRAM이다.
노광 데이터 메모리(17)는 비트맵 형식의 노광 데이터(제4 데이터)를 기록한다.
제1 단계에서, DMD(33)에 의해 조사되는 묘화 영역에 대응하는 묘화 데이터(DMD(33)의 크기만큼의 묘화 데이터)가 묘화 데이터의 표현 단위(예컨대 1μm 단위)인 비트맵 데이터(제1 데이터)로 변환되어 묘화 데이터 메모리(11)에 저장된다.
제2 단계에서, 묘화 데이터 메모리(11)에 저장된 비트맵 데이터(제1 데이터)의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가 묘화 데이터 단위에서 DMD(33)의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셀의 1/n 단위(셀마다의 정보의 분해능 단위)로 변환되어 셀 사이즈 메모리(13)에 기록된다(제2 데이터, 도 3, 도 5 참조). 분해능(n)은 셀 사이즈(Lc)보다 큰 정수로서, 셀 사이즈 메모리(13)의 칼럼 사이즈(통상 바이트 단위)의 정수배이다. 셀 분할수(n)가 셀 사이즈(Lc)보다 큰 것은 색 정보를 잃지 않기 위함이며, 정수배로 하는 것은 재정렬 후의 셀 피치의 정보가 칼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셀 사이즈가 10이고(Lc=10), 셀 분할수가 16인(n=16)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MD(33)의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셀의 칼럼 방향의 수(C)(1024개 또는 이보다 조금 많은 수)와 셀 분할수(n)의 곱의 개수만큼의 데이 터가 칼럼 방향으로 정렬되고,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가 작성된다. 예컨대, 제1 데이터가 1μm 단위, 셀 사이즈가 10μm, n=16인 경우, 칼럼 방향으로 정렬된 10개의 제1 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서 16개의 칼럼 방향으로 정렬된 데이터로서 확장된다.
제2 단계에서는 전술한 칼럼 단위의 변환 처리가 모든 열(칼럼)에 대하여 행해진다. 단, 로우 방향의 데이터 단위에 대해서는 묘화 데이터 단위인 채 변환되지 않는다. 제2 데이터는 로우 방향으로 DMD(33)의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셀의 로우 방향의 수 R개(768개, 또는 이보다 조금 많은 수), 칼럼 방향으로 C×n개만큼 정렬되는 배열을 갖는다(도 6 참조).
셀 사이즈 변환 전의 제1 데이터에서 칼럼 방향의 좌표(y 좌표)(y1)에 대응하는, 셀 사이즈 변환 후의 제2 데이터에서의 칼럼 방향의 좌표(y 좌표)(y2)는 y2=y1÷Lc×n으로 표시된다.
제3 단계에서, 셀 사이즈 메모리(13)에 저장되며, 칼럼 방향에 대해서는 1/n 셀 단위로 정렬된 비트맵 데이터(제2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1열(1칼럼)분의 셀 수(C)의 데이터가 독출되고, 셀 분할수(n)마다(셀 단위로) 칼럼 방향의 정렬이 로우 방향으로 재정렬된 전환 데이터(제3 데이터)가 작성된다(도 4, 도 7 참조). 즉, 하나의 셀 내의 비트가 로우 방향으로 정렬되고, 각 셀의 k번째의 비트가 동일한 열로 정렬된다(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 도 4는 n=4인 경우의 셀 재정렬을 나타낸다.
이 재정렬된 제3 데이터는 전환 메모리(16)에 기입된다. 제3 데이터는 1칼 럼분의 데이터로서 로우 방향으로 n개, 칼럼 방향으로 C개 정렬되는 배열을 가지며, 모든 칼럼분의 데이터로서 로우 방향으로 n×R개, 칼럼 방향으로 C개 정렬되는 배열을 갖는다(도 7 참조).
DMD(33)의 첫 번째 열의 셀 좌표(x)에 대응하는 비트(로우 방향으로 n개의 비트를 갖는 블록의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Arx1)는 Arx1=x×n으로 표시되며, 셀 좌표(y)에 대응하는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Ary1)는 Ary1=Arx1+y2=(x+y÷Lc)×n으로 표시된다.
DMD(33)의 m번째 열의 셀 좌표(x)에 대응하는 비트(로우 방향으로 n개의 비트를 갖는 블록의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Arxm)는 Arxm={x+Lc×(m-1)}×n으로 표시되며, 셀 좌표(y)에 대응하는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Arym)는 Arym=Arxm+y2={x+y÷Lc+Lc×(m-1)}×n으로 표시된다. m은 1 이상 R 이하의 정수이다.
제4 단계에서, 셀 좌표 테이블(15)에 액세스되며, 버스트 전송의 대상이 되는 열(칼럼)의 선두 셀에 대응하는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가 셀 좌표 테이블(15)로부터 독출된다.
제5 단계에서, 독출된 로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선두 셀에 대응한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1열(1칼럼)분의 비트맵 데이터가 노광 데이터 메모리(17)로 버스트 전송되어 기록된다.
예컨대, m번째 열의 데이터(제3 데이터)를 버스터 전송하는 경우에는, 선두 셀에 대응한 선두 비트의 로우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로우 어드레스(Arxm)가 셀 좌표 테이블(15)로부터 독출되고, 제3 데이터 중에서 로우 어드레스(Arxm)에 대응한 선두 비트의 선두 셀을 포함하는 열의 비트맵 데이터(m번째 열의 데이터)가 노광 데이터 메모리(17)로 버스트 전송된다.
제3∼제5 단계는 모든 열(로우: 768열)에 대하여 반복 수행되며, 이에 따라 DMD(33)를 통하여 표시되는 1화면분의 노광 데이터(DMD(33)를 구성하는 셀 각각에 대응한 비트맵 데이터를 갖는 제4 데이터)가 작성되어 노광 데이터 메모리(17)에 기록된다. 따라서, 제4 단계에서 행해지는 셀 좌표 테이블(15)에의 액세스는 열의 수(768열)만으로 충분하므로 노광 데이터 작성 시에 셀마다 비트 독출을 행하는 경우의 액세스 횟수(1024×768회)에 비하여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액세스 횟수의 삭감은 노광 데이터 작성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다중 노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중 노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셀 사이즈 변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셀 재정렬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셀 사이즈 변환(제1 데이터에서 제2 데이터로)을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제2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다중 노광 장치, 10…제어부,
11…묘화 데이터 메모리, 13…셀 사이즈 메모리,
15…셀 좌표 테이블, 16…전환 메모리,
17…노광 데이터 메모리, 30…장치 헤드부,
31…디바이스 제어부, 33…DMD

Claims (4)

  1. 노광을 위하여 사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으로 제1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묘화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제1 데이터가, 칼럼 방향의 데이터 단위를, 셀마다의 정보의 분해능 단위로 변환된 상태의 제2 데이터를 기록하는 셀 사이즈 메모리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상기 셀마다 상기 칼럼 방향의 정렬을 로우 방향으로 재정렬한 제3 데이터가, 칼럼마다 버스트 전송되어 얻어진 제4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인 노광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노광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셀은 상기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광을 행하는 DMD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에서의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번호에 대응한 셀 좌표의 변환 테이블을 기록하는 셀 좌표 테이블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칼럼마다의 버스트 전송 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셀 좌표 테이블에 액세스하여 얻어지는 상기 버스트 전송되는 칼럼의 선두 셀의 셀 좌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칼럼마다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좌표 테이블은 S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를 기록하는 DRAM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KR1020070126754A 2006-12-22 2007-12-07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KR101428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5480A JP5001638B2 (ja) 2006-12-22 2006-12-22 露光データ作成装置
JPJP-P-2006-00345480 2006-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042A true KR20080059042A (ko) 2008-06-26
KR101428520B1 KR101428520B1 (ko) 2014-08-08

Family

ID=3954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754A KR101428520B1 (ko) 2006-12-22 2007-12-07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79153B2 (ko)
JP (1) JP5001638B2 (ko)
KR (1) KR101428520B1 (ko)
CN (1) CN101206408B (ko)
TW (1) TWI405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422B2 (en) * 2008-10-27 2016-04-26 Autodesk, Inc. Spatially-aware projection pen display
JP5731864B2 (ja) * 2011-03-18 2015-06-1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描画データの補正装置および描画装置
CN102736449B (zh) * 2012-06-08 2014-10-15 合肥芯硕半导体有限公司 直写式光刻系统中倾斜扫描的图像数据压缩方法
CN102736447B (zh) * 2012-06-08 2014-08-27 合肥芯硕半导体有限公司 直写式光刻系统中图像数据串的压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180A (ja) * 1996-06-04 1997-12-16 Asahi Optical Co Ltd スケーリング補正機能を持つレーザ描画装置
US6100915A (en) * 1996-08-28 2000-08-0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aser drawing apparatus
CN1161711C (zh) * 1998-04-20 2004-08-11 新采国际股份有限公司 应用于多重曝光的曝光数据存储器结构及其多重曝光处理方法
JP5144863B2 (ja) * 2001-06-29 2013-02-13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多重露光描画方法及び多重露光描画装置
JP4728536B2 (ja) * 2001-07-05 2011-07-20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多重露光描画方法及び多重露光描画装置
JP4320694B2 (ja) 2001-08-08 2009-08-26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多重露光描画装置および多重露光式描画方法
JP2004184921A (ja) * 2002-12-06 2004-07-02 Fuji Photo Film Co Ltd 露光装置
JP2004200351A (ja) * 2002-12-18 2004-07-15 Hitachi Ltd 露光装置及び露光方法
JP4203649B2 (ja) * 2003-09-05 2009-01-0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多重露光描画方法及び多重露光描画装置
JP4601482B2 (ja) * 2004-07-29 2010-12-2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描画装置および描画方法
JP2006093294A (ja) * 2004-09-22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描画装置および描画装置の制御方法
JP2006264319A (ja) * 2005-02-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格納方法および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フレーム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データ取得方法および装置、描画方法および装置
US7403265B2 (en) * 2005-03-30 2008-07-22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tilizing data filtering
US7707538B2 (en) * 2007-06-15 2010-04-27 Brion Technologies, Inc. Multivariable solver for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58153A (ja) 2008-07-10
US20080154923A1 (en) 2008-06-26
KR101428520B1 (ko) 2014-08-08
JP5001638B2 (ja) 2012-08-15
US7979153B2 (en) 2011-07-12
CN101206408A (zh) 2008-06-25
CN101206408B (zh) 2011-05-18
TWI405042B (zh) 2013-08-11
TW200830061A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4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rotation of data printed by a matrix printer
US5319603A (en)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AM blocks and SAM blocks
CN101276152A (zh) 绘图装置
EP0279693A2 (en) Multi-plane video ram
GB2095441A (en) A method of storing data and a store therefor
US4445115A (en) Display control unit having means for symbolic representation of graphical symbols
KR20080059042A (ko) 노광 데이터 작성 장치
JPS61103189A (ja) デ−タ転送方法
US603154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885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S6227538B2 (ko)
JP2006146860A (ja) データ転置装置および方法
KR100297716B1 (ko) 높은멀티비트자유도의반도체메모리장치
JPH11306343A (ja) 2次元データ回転処理装置
JP2708841B2 (ja) ビットマップメモリの書き込み方法
JPH0581940B2 (ko)
JPS6125192B2 (ko)
JPS6271990A (ja) 画像情報記憶方法
JP2633251B2 (ja) 画像メモリ素子
JPS58176685A (ja) 表示装置
JPS5828586B2 (ja) カンジナドノモジヒヨウジセイギヨホウシキ
JP2006244094A (ja) データ書き込み装置及び方法、データ読み出し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10034420A (ko) 이미지 데이터 블록을 이미지 라인으로 변환시키기 위한방법 및 장치
JP2005165678A (ja) メモリアクセス方法、及びメモリアクセス装置
JPS592078A (ja) 画像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