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186A - 물품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186A
KR20080044186A KR1020070116041A KR20070116041A KR20080044186A KR 20080044186 A KR20080044186 A KR 20080044186A KR 1020070116041 A KR1020070116041 A KR 1020070116041A KR 20070116041 A KR20070116041 A KR 20070116041A KR 20080044186 A KR20080044186 A KR 2008004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torage
container
storage container
articl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루 요시다
요시타카 이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4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 general scheme of a conveying path within a fact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비용을 억제하면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대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체를 순환 반송하는 지지체 반송 수단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6)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하고 내리기 위한 용기 반송 수단이 설치되고, 물품 수납 용기의 저면에 형성한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한 위치 결정체(49)가, 용기 지지 부재(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상승시킴에 따라 탑재 지지하고, 또한 탑재 지지한 물품 수납 용기 C를 하강시킴에 따라 용기 지지 부재(6)에 전달하도록 승강 조작되는 상태에서,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용기 반송 수단은, 상승 상태에 있는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 프레임, 지지체, 반송 수단, 위치 결정, 삽입공, 걸어맞춤공

Description

물품 수납 장치{ARTICL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을 가지는 물품 수납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품 수납 장치로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는 무단(無端)형의 회동 체인에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를 간격을 두고 세로열 상태에서 배열하여 수평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또한, 대략 수평 자세를 유지하도록 물품 수납 용기를 지지하여 순환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용기 반송 수단이, 건물의 천정부 등에 지지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체 및 물품 수납 용기를 상방 측으로부터 협지하고 매달아서 지지하여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재(移載)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품 수납 용기를 어느 하나의 용기 지지 부재에 입고시킬 때는, 물품 수납 용기를 입고해야 할 용기 지지 부재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을 순환 반송시킨 후에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해 입출고 위치 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 상에 물품 수납 용기를 지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를 출고할 때는, 출고 대상이 되는 물품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을 순환 반송시키고,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를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해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이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직접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시키거나 꺼내는 입출고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0-75309호 공보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물품 수납 장치가, 예를 들면 반도체 공장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용기를 수납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용기에서는, 그 저면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부분에, 입구 측일수록 폭이 넓게 되는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물품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의 탑재면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는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가 구비되고,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를 수평 방향의 위치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223552호 참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상기 용기 반송 수단에서의 이동체 지지용 레일은 건물의 천정부 등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반도체 공장에 설치 되는 것에는,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은, 반도체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복수개의 처리부에서의 물품 반출입부에 대해서도 반출입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고, 상기 물품 수납 용기에 의한 반송 대상 부분에 대한 반송 작용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되게 된다.
이에 비해, 지지 부재 반송 수단에 의해 순환 반송하는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는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는, 입출고 위치로 반송시켜서 상기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해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를 입출고할 때에, 용기 반송 수단에 대한 반송용의 적정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약간 어긋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기 지지 부재가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행하기에 적합한 자세에 대하여 조금 경사진 자세로 되거나, 회동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기인하여 체인 길이 방향으로 위치가 약간 어긋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이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직접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시키거나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치 어긋남에 기인한 반송 미스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물품 수납 장치에 대하여도, 용기 지지 부재를 입출고 위치에 반송시킬 때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물품 수납 장치에서의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의 구성을 고정밀도의 위치 관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와 같이 고정밀도의 위치 관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설비 전체적으로 고비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를 세로열 형으로 순환 반송하는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의 구성을 비교적 위치 정밀도가 낮고, 저비용으로 하여 고비용을 억제하도록 하면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비용을 억제하면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물품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특징 구성은,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을 가지는 물품 수납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가지는 탑재면을 가지고,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는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를 순환 무단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지지 부재 반송 수단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 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하고 내리기 위한 용기 반송 수단과,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한 위치 결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체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승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하고, 상기 하강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탑재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이, 상승 위치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의하면, 물품 수납 용기의 저면에 형성한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한 위치 결정체가,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체는,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상승시킴에 따라 탑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탑재 지지하고 있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그 하강에 따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전달하도록 승강 조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이 상승 상태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은,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직접 물품 수납 용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상승 상태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전달하게 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물품 수납 용기를 물품 수납 장치에 입고할 때는, 물품 수납 용기를 입고해야 할 용기 지지 부재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을 순환 반송시키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체를 상승시켜서, 그 상승 상태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에 용기 반송 수단이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시킨 후에, 위치 결정체를 하강시킴으로써 물품 수납 용기를 용기 지지 부재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수납 용기를 물품 수납 장치로부터 출고할 때는, 출고되는 물품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 부재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을 순환 반송시키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체를 상승시킨다. 상기 위치 결정체가 상승하면, 그 위치 결정체가 용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 상태에 있는 위치 결정체로부터 용기 반송 수단이 물품 수납 용기를 받음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를 순환 반송하는 지지 부재 반송 수단을 비교적 위치 정밀도가 낮고 저비용으로 구성한 경우라도, 용기 반송 수단은, 항상 상기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받고, 또한, 전달하게 되므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한 반송 미스 등을 일으킬 우려가 없고, 용기 반송 수단으로부터의 물품 수납 용기의 전달을 양호하게 행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특징 구성에 의하면, 고비용을 억제하면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물품 수납 장치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 각각은, 입구 측 폭이 넓게 되는 형상을 가지는 점에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걸어맞춤공에,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물품 수납 용기가, 적정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을 경우, 걸어맞춤공과 대응하는 돌기와 맞닿음에 의해 물품 수납 용기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이, 장공(長孔)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걸어맞춤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맞추기 위해, 물품 수납 용기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이 장공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걸어맞춤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공을 공용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물품 수납 장치는, 천정에 지지된 지지체를 통하여,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반송 수단이 두상(頭上)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 반송 경로에 가까운 위치에서 물품 수납 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 장치를 바닥 상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바닥의 영역을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물품 수납 장치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반송 수단이 두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물품 수납 장치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기 반송 수단이 상방으로부터, 용기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비용을 억제하면서,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한 용기 반송 수단에 의한 입출고용의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물품 수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린 룸인 반도체 공장 내에, 반도체 기판에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처리부(1)가 2열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각 처리부(1)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상태로 형성되고, 또한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한 한쌍의 탑재대(1a)를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처리부(1) 각각의 탑재대(1a)를 동일한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또한, 열끼리 탑재대(1a)를 서로 마주 보게 한 상태에서 배열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처리부(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을, 그 양측의 처리부(1)의 보수 및 유지 작업을 행하기 위한 보수 및 유지 공간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에 대해서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처리부(1)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 C를 차례로 반송하기 위한 용기 반송 수단으로서의 물품 반송 장치 H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한 반송 경로에서 인접하는 처리부(1) 사이에서 반도체 기판을 처리하는 처리량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물품 수납 용기 C를 일시적으로 수납해 두기 위한 복수개(이 실시예에서는 5개)의 물품 수납 장치 S가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한 반송 경로의 도중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 반송 장치 H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열로 설치한 복수개의 처리부(1)의 상방을 돌아다니도록 천정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환형의 안내 레일(3)과, 그 안내 레일(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체로서의 물품 반송차(4)와, 그 물품 반송차(4)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파지부(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품 파지부(5)는, 반송 대상이 되는 물품 수납 용기 C의 상부 측의 피파지부 Ca를 파지하여 매단 상태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와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부(1)의 탑재대(1a)로부터 물품 수납 용기 C를 파지하여 물품 파지부(5)를 상승시키는 상승 조작, 안내 레일(3)을 따라 물품 반송차(4)를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및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파지하고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하강시키는 하강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처리부(1)에 차례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물품 반송차(4)는,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와이어(7)을 감거나 또는 풀어서 물품 파지부(5)를 승강시켜서, 물품 수납 용기 C를 파지한 물품 파지부(5)를 상승시켜서 물품 수납 장치 S의 물품 수납 트레이(6)나 처리부(1)의 탑재대(1a)로부터 물품 수납 용기 C를 들어올리거나, 물품 수납 용기 C를 파지한 물품 파지부(5)를 하강시켜서 물품 수납 장치 S의 물품 수납 트레이(6)(용기 지지 부재)나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 H에서의 안내 레일(3)은, 상기 복수개의 처리부(1)의 탑재대(1a) 및 상기 복수개의 물품 수납 장치 S의 출고구(9)의 상방을 돌아다니는 외측 순환 부분(3a)과, 상기 복수개의 물품 수 납 장치 S의 입고구(8)의 상방을 돌아다니는 내측 순환 부분(3b)을 이중의 환형으로 구비하여 구성되며, 물품 반송차(4)가 외측 순환 부분(3a)으로부터 내측 순환 부분(3b)에 이동하거나, 내측 순환 부분(3b)으로부터 외측 순환 부분(3a)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부분(3c)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2대의 물품 반송차(4)가 상기 안내 레일(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 물품 수납 장치 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장치 S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상태로 형성되고, 가늘고 긴 지지체로서의 복수개의 매달린 볼트(10)에 의해 천정으로부터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다. 물품 수납 장치 S의 길이 방향은 처리부(1)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다. 물품 수납 장치 S의 하방과 바닥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매달인 볼트(1O)는, 철, 강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라도 되고,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매달린 볼트(1O)의 단면은,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늘고 긴」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의 5배, 더 나아가서는, 10배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 물품 수납 장치 S와 그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5,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물품 수납 장치 S의 프레임 F는, 내부에 대략 직육면체형의 물품 수납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수평 방향을 따른 상부 프레임(11)과, 수평 방향을 따르는 하부 프레임(12)과, 이들 프레임(11, 12)을 접속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접속 프레임(13)이 각각, 긴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복수개의 접속 프레임(13)이, 상부 프레임(11)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에 연결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12)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2)에 연결되고, 이들 하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1)을 접속 프레임(13)에 접속하여 구성된 좌우 한쌍의 측면 프레임(14, 15)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2), 상부 프레임(11), 접속 프레임(13), 및 연결 프레임(16) 각각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이며, 또한 4개의 면 부분의 각각에 입구부보다 안쪽부가 폭이 넓은 걸어맞춤홈(17)(결합홈이라고도 함)을 구비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당면(21)과, 이 접당면에 대해서 90° 각도로 연장되는 접당면(22)를 구비한 접속구(18)가, 하부 프레임체(12)가 접속 프레임(13)의 연결 부분, 상부 프레임(11)과 접속 프레임(13)의 연결 부분, 하부 프레임(12)과 연결 프레임(16)의 연결 부분, 및 상부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6)의 연결 부분에서 걸어맞춤홈(17)에 걸어맞추어져서 이탈 방지 되는 체결구(19)에 의해, 인접하는 프레임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 상부 프레임(11), 접속 프레임(13), 및 연결 프레임(16)은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사이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인 폭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 설명하면, 하부 프레임(12), 상부 프레임(11), 접속 프레임(13), 및 연결 프레임(16) 각각이, 알루미늄 압출재인 알루미늄 프레임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알루미늄 프레임재는, 종단면에서 볼 때(즉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이고, 또한 4개의 면 부분의 각각에 입구부보다 안쪽부가 큰 폭이 되는 걸어맞춤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의 단면의, 걸어맞춤홈(71)을 포함한 단면 형상은, 모두 동일하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 FC(도 8의 (B))를 가지고, 상기 단면 형상은 이 중심선 FC에 대해서 회전 대칭형이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홈(71)의 상기 입구는 설정 두께 D를 가지고, 인접하는 2개의 걸어맞춤홈 사이의 최단 거리 W는, 상기 설정 두께 D보다 크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걸어맞춤홈 사이의 최단 거리 W는, 프레임의 한 변의 길이 L의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프레임에는, 통형의 복수개의 구멍 TB가,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TB 중 하나는, 상기 중심선 F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멍 TB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각각의 모서리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걸어맞춤홈(7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2개의 구멍 T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멍 TB에 의해, 프레임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속구(18)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접당면(20), 그 1개의 접당면(20)에 직교하는 다른 접당면(21), 및, 이들 접당면(20, 21)에 걸쳐서 설치되는 보강용 리브(22)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각 접당면(20, 21)에는 체결용 볼트(23)가 관통하는 볼트 삽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구(18)의 상기 각 접당면(20, 21)을, 접속 대상이 되는 각 프레임의 직교하는 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볼트(23)와 너트 부재(25)의 체결에 의해 프레임끼리 접속한다. 즉, 하부 프레임(12)과 접속 프레임(13)의 연결 부분, 상부 프레임(11)과 접속 프레임(13)의 연결 부분, 하부 프레임(12)과 연결 프레임(16)의 연결 부분, 및 상부 프레임(11)과 연결 프레임(16)의 연결 부분 전부에, 접속구(18)를, 인접하는 프레임에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홈(17)에 걸어맞추어져서 이탈 방지되는 체결구로서의 볼트(23) 및 너트 부재(25)에 의해 인접하는 프레임 각각에 연결함으로써, 각 프레임끼리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는 상부 프레임(11)과 접속 프레임(13)의 연결을 나타내고, 상기 각 접당면(20, 21)을 상부 프레임(11) 및 접속 프레임(13) 각각의 직교하는 면에 맞닿게 하여, 상부 프레임(11) 및 접속 프레임(13) 각각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홈(17) 내의 폭이 넓은 안쪽부에, 이탈 방지되는 상태에서 너트 부재(25)를 위치시켜 두고, 볼트 삽통공(24)을 통하여 볼트(23)를 관통시켜서 너트 부재(25) 사이에서 체결하여 알루미늄 프레임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1)과 접속 프레임(13)을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에, 하부 프레임(12)을 매달아서 지지하는 가늘고 긴 지지체로서의 매달린 볼트(1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도 6 및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에서의 매달린 볼트(10)의 장착 위치(이 실시예에서는, 합계 10개의 매달린 볼트가 구비된다)에 대응하는 부분에, 매달린 볼트(1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크기 의 삽통공(27)이 형성되고, 이 삽통공(27)을 관통한 상태에서 매달린 볼트(10)가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매달린 볼트(10)의 상단부는 브라켓(28)을 통하여 천정부 T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는 브라켓(29)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브라켓(29)는, 하부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이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가로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라켓(29)의 상부면(29a)에, 매달린 볼트(10)의 하단부를 관통시켜서 상하 양측으로부터 너트(30)로 체결함으로써 고정한다. 한편, 브라켓(29)의 하부면(29b)을 하부 프레임(12)의 상부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18)의 연결과 마찬가지로, 볼트(23) 및 너트 부재(25)로 이루어지는 체결구(19)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체결구(19)는 하부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4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고, 브라켓(29)과 물품 수납 장치 S의 하중을 받게 되는 하부 프레임(12)의 연결 부분에서의 지지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형성된 삽통공(27)을 관통하는 매달린 볼트(10)에 의해, 하부 프레임(12)을 매달아서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달린 볼트(10)를 물품 수납 장치 S의 좌우 방향의 치수 내로 억제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외형 치수를 가능한 작게 할 수 있고, 거기에 더하여, 물품 수납 장치 S의 하중은 하부 프레임(12)을 통하여 복수개의 매달린 볼트(10)에 의해 지지되므로, 예를 들 면 상부 프레임(11)과 접속 프레임(13)의 접속 부분 등에서는 큰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장치 S는, 상기 프레임 F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형의 물품 수납용 공간을 나누도록 프레임 F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케이싱(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케이싱(31) 내에, 수평 방향으로 길며, 가로로 긴 순환 경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는 좌우 한쌍의 무단(無端) 회동 체인(32)을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에 지지된 상태에서, 무단 회동 체인(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세로열 상태에서 순환 반송하는 지지체 반송 수단 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지지체 반송 수단 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무단 회동 체인(32)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동용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에 걸쳐서 감겨지고, 좌우의 구동용 스프로킷(33)은 공통의 구동축(35)을 순환용 모터 M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하여,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이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 스프로킷은 지지축(3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구동축(35)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가 구비되어 있다.
각 물품 수납 트레이(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을 따른 바 닥판부(6a), 그 바닥판부(6a)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한쌍의 측판부(6b) 및, 바닥판부(6a)의 반송 방향 일측 부분에 위치하는 후면부(6c)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또한, 반송 방향 타측 부분에 한쌍의 측판부(6b) 사이에 걸쳐서 가설되는 상태에서 폭이 좁은 유지부(6d)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물품 수납 트레이(6)는, 한쌍의 측판부(6b)의 반송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또한 상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축지지부(36)가 형성되어, 이 축지지부(36)와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 사이에서 측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V자형의 연결체(37)가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체(37)는, 무단 회동 체인(32)에 대해서 지지핀(38)을 통하여 축으로 지지 연결되고, 물품 수납 트레이(6)에 대해서 축지지부(36)에서의 가로축심 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핀(38)에는 전동 롤러(39)가 구비되어 있고, 무단 회동 체인(32)의 직선 경로 부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 전동 롤러(39)가 걸어맞춤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40)은, 복수개의 접속 프레임(13) 사이에 걸쳐서 무단 회동 체인(32)의 직선 경로를 따르도록 가설 지지된 지지용 프레임(4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 경로 부분에서는 지지핀(38), 즉 무단 회동 체인(32)과 연결체(37)의 연결 부분이 상하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의 반송 경로를 따라 순환 반송될 때, 이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자세를 대략 수평 자세로 유지하 도록 안내하는 자세 안내용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각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좌우 양측부에 물품 수납 트레이(6)와 상기 가로축심 X 주위에서 일체로 회동하도록, 선단부에 가이드 롤러(42)를 지지한 롤러 지지암(43)이 연결되고,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의 좌우 방향의 양 횡측 부분에는, 상기 각 가이드 롤러(42)를 걸어맞춤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4)이 무단 회동 체인(32)의 반송 경로를 대략 따르도록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각 롤러 지지암(43)은,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수평 자세일 때, 수직 자세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 경사 자세가 되도록 설치되고, 좌우의 가이드 레일(44)은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의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순환 반송될 때,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 지지하는 수평 자세를 유지하도록 자세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가이드 롤러(42)가 상기 각 가이드 레일(44)로 안내됨으로써, 좌우의 무단 회동 체인(32)이 원호형으로 회동하더라도 물품 수납 트레이(6)가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 지지한 채 수평 자세를 유지하도록 자세 안내된다. 그리고, 도 9의 45는,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좌우 방향에서의 흔들림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가이드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장치 S의 케이싱(31)의 상부면에는,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해 물품 수납 트레이(6)에 물품 수납 용기 C를 입고하기 위한 입고구(8)와,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해 물품 수납 트레이(6)로부터 물품 수납 용기 C를 출고하기 위한 출고구(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수납 용기 C의 저면에는, 입구 측일수록 폭이 넓은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물품 수납 트레이(6)의 탑재면으로서의 바닥판부(6a)에는,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에 걸어맞추어지는 3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은 입구 측일수록 큰 폭으로 형성되며, 반대로 말하면 안쪽일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추어질 때 중심으로부터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어도 경사면에 의해 걸어맞춤 안내되고, 3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47)가 각각 대응하는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에 안쪽까지 걸어맞추어지면, 물품 수납 용기 C와 물품 수납 트레이(6) 사이에서의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항상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위치가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물품 수납 용기 C와 물품 수납 트레이(6) 사이에서 상대 위치는 양호한 정밀도로 규제할 수 있지만, 무단 회동 체인(32)을 회동시켜서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상기 입고구(8)에 대응하는 입고용 회동 위치나 상기 출고구(9)에 대응하는 출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가이드 롤러(42)와 상기 가이드 레일(44) 사이에서의 반동이나 물품 수납 용기 C의 하중의 편중 등에 기인하여,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자세가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한 입출고 작업에 알맞은 적정 자세에 대하여 위치가 약간 어긋날 우려가 있다. 상기 입고구(8)에 대응하는 입고 용 회동 위치 및 상기 출고구(9)에 대응하는 출고용 회동 위치가,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해 입출고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그래서, 이 물품 수납 장치 S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 H에 의한 입출고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물품 수납 용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물품 수납 용기 C의 저면에 형성한 입구 측일수록 폭이 넓은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48)를 구비한 위치 결정체(49)가,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트레이(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상승시킴에 수반하여 탑재 지지하고, 또한 탑재 지지한 물품 수납 용기 C를 하강시킴에 수반하여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트레이(6)에 전달하도록 승강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물품 반송 장치 H가, 상승 상태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49)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 C를 싣고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이, 장공(長孔)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걸어맞춤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물품 수납 트레이(6) 사이에서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설치되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을, 위치 결정체(49)가 작용하는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과 겸용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물품 수납 용기 C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출고 위치로서의 상기 입고용 회동 위치 및 상기 출고용 회동 위치의 각각에 위치 결정용 조작 기구 B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용 조작 기구 B는 각각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중 상기 입고용 회동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고, 상기 출고용 회동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수납 트레이(6)의 바닥판부(6a)에는, 그 중앙 부분에 대략 삼각형의 삽통공(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통공(50)의 삼각형의 각 모서리부 부근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용 조작 기구 B는,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닥판부(6a)에 형성된 삽통공(5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위치 결정체(49)와, 그 위치 결정체(49)를 물품 수납 트레이(6)의 바닥판부(6a)의 하방 측에 퇴피하는 퇴피 위치와 물품 수납 트레이(6)의 바닥판부(6a)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상승 위치에 걸쳐 승강 조작 가능한 전동식 승강 기구(5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쪽의 지지용 프레임(41)에 걸쳐서 한쌍의 장착용 프레임(52)이 가설 연결되어 있고, 이들 한쌍의 장착용 프레임(52)에 걸쳐서 받침대(53)가 가설 연결되고, 전동식 승강 기구(51)는 이 받침대(53)에 고정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식 승강 기구(51)는, 프레임 F에 대해서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위치 결정체(49)가 상승 위치에 조작되 어 있을 때의 위치 결정체(49)의 위치는,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위치에 관계없이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되게 된다.
상기 위치 결정체(49)는, 그 외형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삽통공(50)보다 약간 작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삼각형의 각 모서리부 부근에 각각 합계 3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식 승강 기구(51)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전동 모터와 나사 이송 기구를 내장하고 있고, 위치 결정체(49)를 상기 퇴피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에 걸쳐서 설정량만큼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식 승강 기구(51)를 조작하여, 위치 결정체(49)가 퇴피 위치로 조작되면, 위치 결정체(49)를 물품 수납 트레이(6)의 바닥판부(6a)의 하방 측에 퇴피하게 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체(49)가 상승 위치로 조작되면, 물품 수납 트레이(6)의 바닥판부(6a)보다 상방으로 위치하여 물품 수납 트레이(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체(49)는, 퇴피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를 향하여 상승 조작되면, 물품 수납 트레이(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상승시킴에 수반하여 탑재 지지하게 되지만, 이 때도,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46)과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47)의 걸어맞춤과 마찬가지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출 때 중심으로부터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어도 경사면에 의해 걸어맞춤 안내되어 3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48) 각각이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공(46)에 안쪽까지 걸어맞추어지면, 물품 수납 용기 C와 위치 결정체(49) 사이에서의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항상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위치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체(49)에 의해 탑재 지지하고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물품 반송 장치 H가 파지하여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 H로부터 물품 수납 용기 C를 받을 때는, 도 11 및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체(49)를 상승 위치로 조작해 두고, 그 상승 위치에 있는 위치 결정체(49)에 의해 물품 반송 장치 H로부터 물품 수납 용기 C를 받고, 그 후 위치 결정체(49)를 하강시켜서 물품 수납 용기 C를 물품 수납 트레이(6)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식 승강 기구(51) 근방에는, 위치 결정체(49)가 퇴피 위치 및 상승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위치 검출용 피검출판(54A)이 위치 결정체(49)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받침대(5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피검출판(54A)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하한 위치를 검출하는 하한 위치 검출부(54B) 및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상한 위치 검출부(54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부(6a)의 하면 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피검출판(56)의 존재를 검출함으로써,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투과광식의 위치 검출 센서(55)가 설치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용기 C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반사광식의 물품 존재 여부 센서(57)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 H의 운전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58)와, 물품 수납 장치 S의 운전을 제어하는 수납 제어부(59)를 설치하고, 이들 주 제어부(58)와 수납 제어부(59) 사이에서 제어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주 제어부(58) 및 상기 수납 제어부(59) 각각의 제어 내용, 및, 물품 반송 장치 H와 물품 수납 장치 S의 동작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각 물품 수납 용기 C에는, 로트 넘버 등의 용기 식별 정보를 소정 범위로 송신하는 IC 태그(즉, RFID 태그)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수납 장치 S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고구(8)의 하방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트레이(6)에 새로 탑재된 물품 수납 용기 C의 IC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용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물품 수납 트레이(6) 각각에는, 각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식별하기 위한 트레이 식별 정보(예를 들면, 트레이 넘버)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IC 태그 등을 사용하여 사전에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 제어부(59)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의 검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순환 이동시키는 순환 경로에서의 위치와 복수개의 물품 수납 트레이(6)의 트레이 식별 정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수신기(60)의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 수납 용기 C가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트레이(6)의 트레이 식별 정보와 그 물품 수납 트레이(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의 용기 식별 정보의 대응 관계, 및 물품 수납 용기 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의 트레이 식별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 제어부(59)는, 위치 검출 장치(5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결정체(49)의 위치를 관리하여 전동식 승강 기구(5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58)는, 처리부(1)의 운전을 제어하는 처리부 측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신된 용기 반출 명령을 수신하면, 그 용기 반출 명령에 대응하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수납해야 할 물품 수납 장치 S의 수납 제어부(59)에 입고 명령을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 반송차(4)를 상기 용기 반출 명령이 명령된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에까지 이동시켜서 그 목표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탑재대(1a) 상의 물품 수납 용기 C를 물품 파지부(5)에 의해 파지하여 당겨올리고, 이어서, 물품 반송차(4)를, 물품 수납 용기 C를 수납해야 할 물품 수납 장치 S의 입고구(8)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물품 반송 장치 H를 제어한다.
수납 제어부(59)는, 주 제어부(58)로부터, 아무 명령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입고구(8)에 가장 가까운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위치를 판별하여, 그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로부터 입고구(8)에 이르는 경로가 짧은 쪽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무단 회동 체인(32)을 회전시키고,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순환용 모터 M를 제어하는 빈 트레이 호출 처리를 실행하고, 그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입고용 회동 위치로 위치시키고, 또한, 그 입고용 회동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위치 결정용 조작 기구에서의 위치 결정체(49)를 상승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대기한다.
또한, 수납 제어부(59)는, 주 제어부(58)로부터 송신된 입고 명령을 수신하면,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입고용 회동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입고 허가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58)에 송신한다. 주 제어부(58)는, 수납 제어부(59)로부터의 상기 입고 허가 정보를 수신하면, 물품 파지부(5)에 파지하고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입고용 회동 위치에 따라서 상승 상태에 있는 위치 결정체(49)에 대해서 물품 수납 용기 C를 내려서 이재(移載)한다.
또한, 수납 제어부(59)는, 물품 수납 용기 C가 입고용 회동 위치에 따라서 위치 결정체(49)에 대하여 이재되고, 물품 존재 여부 센서에 의해 물품 수납 용기 C의 존재가 확인되면, 위치 결정체(49)를 하강시킨다. 그 위치 결정체(49)의 하강 조작에 의해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트레이(6)에 물품 수납 용기 C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에 새로 물품 수납 용기 C가 탑재되어, 상기 수신기(60)가 그 물품 수납 용기 C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납 제어부(59)는, 그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물품 수납 트레이(6)의 트레이 식별 정보와 거기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의 용기 식별 정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한다.
또한, 주 제어부(58)는, 처리부 측 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용기 반입 명령 및 반입하는 물품 수납 용기 C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식별 정보의 물품 수납 용기 C를 수납하고 있는 물품 수납 장치 S의 수납 제어부(59)에 출고 명령 및 출고하는 물품 수납 용기 C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물품 반송차(4)를 물 품 수납 장치 S의 출고구(9)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 목표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다.
수납 제어부(59)는, 주 제어부(58)로부터 송신된 출고 명령 및 출고해야 할 물품 수납 용기 C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식별 정보의 물품 수납 용기 C를 탑재하고 있는 물품 수납 트레이(6)의 위치를 판별하여, 그 물품 수납 트레이(6)로부터 출고구(9)에 이르는 경로가 짧은 쪽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무단 회동 체인(32)을 회전시키고, 그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출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순환용 모터 M를 제어하는 출고 트레이 호출 처리를 실행하여, 그 물품 수납 트레이(6)를 출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시킨다. 또한, 출고용 회동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위치 결정용 조작 기구 B에서의 위치 결정체(49)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여, 물품 수납 트레이(6)에 탑재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상승시킴에 수반하여 위치 결정체(49)에 의해 탑재 지지한다. 그리고, 출고해야 할 물품 수납 용기 C가 출고구(9)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출고 허가 정보를 송신한다.
주 제어부(58)는, 수납 제어부(59)로부터 송신된 상기 출고 허가 정보를 수신하면, 위치 결정체(49)에 의해 탑재 지지되어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물품 파지부(5)에 파지하여 당겨올린다. 이어서, 물품 반송차(4)를 상기 용기 반입 명령이 송신된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에까지 이동시켜서 그 목표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물품 파지부(5)에 파지하고 있는 물품 수납 용기 C를 처리부(1)의 탑재대(1a)에 탑재한다.
그리고, 수납 제어부(59)는, 빈 상태의 물품 수납 트레이(6)가 입고용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 제어부(58)로부터의 입고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빈 트레이 호출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입고 허가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58)에 송신한다. 또한, 수납 제어부(59)는, 상기 출고 명령 및 상기 입고 명령이 모두 송신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빈 트레이 호출 처리의 실행중에 상기 출고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출고 트레이 호출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이, 장공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걸어맞춤공에 의해 구성되는 것, 즉, 지지체로서의 물품 수납 트레이와 물품 수납 용기 C와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물품 수납 용기 C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위치 결정체(49)에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걸어맞추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는 별도로, 상기 위치 결정체(49)에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추어지는 전용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을, 물품 수납 용기 C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품 수납 장치 S를 현수체(懸垂體)로서의 복수개의 매달린 볼트(10)에 의해 천정으로부터 매달아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 바닥면에 세워져서 설치된 각부(脚部)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벽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벽부에 지지시킨 돌출체에 탑재 지지하는 지지 구성이라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체를 가로축심 주위에서 회동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순환 이동 경로에서 세로열 상태에서 순환 반송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체를 세로축심 주위에서 회동하는 수평 방향을 따른 순환 이동 경로에서 세로열 상태에서 순환 반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출고 위치로서, 상기 입고구(8)에 대응하는 입고용 회동 위치 및 상기 출고구(9)에 대응하는 출고용 회동 위치를 1개씩 설치하였으나, 입고용 회동 위치나 출고용 회동 위치를 복수개 설치하도록 구성하거나, 입고구와 출고구를 겸용하는 입출고구에 대응하는 입출고 위치를 1개 또는 복수개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5) 물품 파지부(5)를 물품 반송차(4)에 대해서 승강하는 장치는, 물품 반송차(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지부와 케이블로 연동 연결된, 그 자체는 공지된 권취체와, 물품 반송차(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권취체와 연동 연결되고, 이것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위치 결정체」라는 표현은, 대상물의 위치를 필요할 때에 수정하는 요소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이 표현은, 2개의 위치 결정체(49) 양쪽을 다 의미할 수 있고, 또한, 2개의 위치 결정체(49) 각각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은 물품 수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물품 수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물품 수납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체 반송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프레임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프레임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물품 수납 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0은 물품 수납 트레이의 지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위치 결정체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위치 결정체 설치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3은 위치 결정체 설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위치 결정체에 의한 위치 규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입출고 작업을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6: 지지체
46: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
47: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
48: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
49: 위치 결정체
A: 지지체 반송 수단
C: 물품 수납 용기
H: 용기 반송 수단

Claims (5)

  1.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을 포함하는 물품 수납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포함하는 탑재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 지지하는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용기 지지 부재를 순환 무단(無端)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지지 부재 반송 수단과,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하거나 내리기 위한 용기 반송 수단과,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 돌기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체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체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승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탑재하고, 상기 하강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탑재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상기 입출고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지지 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용기 반송 수단은, 상승 위치에 있는 상기 위치 결정체에 대해서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장치는 상기 물품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복수개의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 각각은, 입구 측일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걸어맞춤공과 상기 위치 보정용 걸어맞춤공이, 장공(長孔)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걸어맞춤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 장치는, 천정에 지지된 지지체를 통하여,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물품 수납 장치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 장치.
KR1020070116041A 2006-11-15 2007-11-14 물품 수납 장치 KR20080044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9401 2006-11-15
JP2006309401A JP2008120586A (ja) 2006-11-15 2006-11-15 物品収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86A true KR20080044186A (ko) 2008-05-20

Family

ID=3931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041A KR20080044186A (ko) 2006-11-15 2007-11-14 물품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135551A1 (ko)
JP (1) JP2008120586A (ko)
KR (1) KR20080044186A (ko)
CN (1) CN101181954A (ko)
DE (1) DE102007054013A1 (ko)
IE (1) IE20070815A1 (ko)
NL (1) NL2001005C2 (ko)
SG (1) SG143154A1 (ko)
TW (1) TW2008335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493A (ko) * 2009-05-18 2012-05-31 크로씽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컨테이너 보관 시스템
US9842756B2 (en) 2009-05-18 2017-12-12 Brooks Automation, Inc.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1558B2 (ja) * 2008-12-02 2013-01-3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WO2010135205A2 (en) 2009-05-18 2010-11-25 Crossing Automation, Inc.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s
JP2011029550A (ja) * 2009-07-29 2011-02-10 Muratec Automation Co Ltd 搬送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
JP2011035022A (ja) * 2009-07-30 2011-02-17 Murata Machinery Ltd 天井搬送車
JP5648983B2 (ja) * 2010-11-04 2015-01-07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CN102060163B (zh) * 2010-11-17 2012-08-08 湖州德能物流设备有限公司 托盘链式输送机多层多通道先进先出货架
US9385019B2 (en) 2012-06-21 2016-07-05 Globalfoundries Inc. Overhead substrate handling and storage system
CN105540126B (zh) * 2016-01-08 2017-10-24 江苏海阳化纤有限公司 一种自动型化工储料桶移动装置
KR20200003104A (ko) * 2017-06-06 2020-01-0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층간 반송 시스템 및 층간 반송 방법
GB201900653D0 (en) * 2019-01-17 2019-03-06 Ocado Innovation Ltd RFID tags
CN111792316A (zh) * 2019-04-08 2020-10-20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转运装置及其应用的电子元件作业设备
CN113023564A (zh) * 2021-03-29 2021-06-25 中核能源科技有限公司 环形吊车
CN117022974B (zh) * 2023-10-09 2023-12-19 山西迎才物流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间用超长件储存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541A (en) * 1969-02-03 1975-01-21 George H Taft Intermodal unitized cargo control system
US3754632A (en) * 1970-11-09 1973-08-28 Clark Equipment Co Pallet storage system
US4010840A (en) * 1974-05-31 1977-03-08 General Battery Corporation Automatic air leak testing apparatus for multiple chambered containers
JPS6075309A (ja) * 1983-09-30 1985-04-27 Nitto Electric Ind Co Ltd ポリキナゾロン系重合体薄膜の製造方法
US4877121A (en) * 1986-10-30 1989-10-31 Okamura Corporation Vertical excursion accommodation apparatus
JP2983163B2 (ja) * 1995-12-27 1999-11-29 株式会社しなのエレクトロニクス Icハンドラ
US6073342A (en) * 1996-11-27 2000-06-13 Fuji Machine Mfg., Co., Ltd. Circuit-substrate-related-operation performing system
JP4168724B2 (ja) * 2002-10-15 2008-10-22 神鋼電機株式会社 ロードポート
US7360985B2 (en) * 2002-12-30 2008-04-22 Tdk Corporation Wafer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lean box stopping mechanism
JP3981885B2 (ja) * 2003-05-20 2007-09-2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US7101138B2 (en) * 2003-12-03 2006-09-05 Brooks Automation, Inc. Extractor/buffer
US7168905B1 (en) * 2005-08-01 2007-01-30 Worthwhile Products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493A (ko) * 2009-05-18 2012-05-31 크로씽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컨테이너 보관 시스템
US9842756B2 (en) 2009-05-18 2017-12-12 Brooks Automation, Inc.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5551A1 (en) 2008-06-12
NL2001005A1 (nl) 2008-05-27
DE102007054013A1 (de) 2008-05-21
TW200833575A (en) 2008-08-16
NL2001005C2 (nl) 2012-06-07
JP2008120586A (ja) 2008-05-29
IE20070815A1 (en) 2008-08-20
CN101181954A (zh) 2008-05-21
SG143154A1 (en) 200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4186A (ko) 물품 수납 장치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0679938B1 (ko) 천정 주행차 시스템
EP1626012B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CN110831873B (zh) 搬运系统以及搬运方法
KR20100136497A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560019B1 (ko) 물품 보관 설비
WO2019181241A1 (ja) ストッカシステム
KR20120108962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
US20080217268A1 (en) Frame system for an article storage apparatus
KR20080044185A (ko) 물품 수납 장치용 프레임 시스템
KR20170057847A (ko) 물품 반송 설비
WO2010064520A1 (ja) 物品搬送装置
JP2011001149A (ja) 保管庫
KR20210106549A (ko) 보관 시스템
KR20230161461A (ko) 반송차
KR100364316B1 (ko) 작업물 용기의 무인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작업물 용기의전달방법
JP4626812B2 (ja) 物品搬送設備
US11932488B2 (en)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JP3483016B2 (ja) 物品保管装置
US20240182244A1 (en)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KR102637694B1 (ko) 주행차 시스템
JP5157787B2 (ja) 搬送システム
JP2023119730A (ja) 保管棚及び搬送車システム
JP6197753B2 (ja) 物品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