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418A -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418A
KR20080039418A KR1020087003612A KR20087003612A KR20080039418A KR 20080039418 A KR20080039418 A KR 20080039418A KR 1020087003612 A KR1020087003612 A KR 1020087003612A KR 20087003612 A KR20087003612 A KR 20087003612A KR 20080039418 A KR20080039418 A KR 2008003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ed
grain
impregnation
solvent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도요쿠라
토모유끼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구라리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리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리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4Coffee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1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 A23L27/215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containing amino acids heated in the presence of reducing sugars, e.g. Maillard's non-enzymatic brown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23L7/1975Cook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충분한 농도를 얻을 수 있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곡물(현미(1))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S10)과, 상기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LQ1)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1b)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S20)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용매(LQ2)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S30)을 포함한다. 상기 배전공정에서 곡물은 그 내부 전체가 수분이 흡수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탄화코팅(1a)이 곡물의 표면에 형성되고, 그 후 곡물 내부가 탄화된다.
배전, roast, 곡물, 음료, 추출액, 배전곡물 가공물

Description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ROASTED GRAIN EXTRACT AND METHOD FOR PRODUCING PROCESSED ROASTED GRAIN PRODUCT}
본 발명은 배전(焙煎)(roasted)된 곡물로부터 배전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제조하는 방법과, 배전된 곡물을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배전곡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일본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주식이다. 특히, 현미는 건강식으로서도 유익하다. 따라서, 현미를 가공한 식품도 넓게 보급되고 있다. 구워진 쌀(배전미)은 이러한 가공식품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배전미로는 검게될 때까지 구워진 현미를 언급한다. 이 배전미는 "검게 구워진 쌀"이라고도 불리며, 오랫동안 민간약품으로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배전미를 음료로 만들려고 하는 시도는 예전부터 이루어져왔다. 예를 들어, 배전미를 매우 작은 입자로 분쇄하여 음료의 기초물(base)로 하고, 이 기초물을 뜨거운 물에 용해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또한, 발아현미와 추출수(抽出水)를 접촉시켜 발아현미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도 고안되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9847호).
그러나, 음료의 기초물을 뜨거운 물에 용해시키는 방법은 음료의 기초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남게 되며, 이 음료의 잔여 기초물이 최종 음료를 혼탁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히 발아현미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충분한 농도를 갖는 음료를 만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맛을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발아현미 자체의 맛을 즐길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분한 농도를 얻을 수 있는 배전곡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현함과 더불어, 상기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에 적합한 배전곡물 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현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번째 발명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번째 발명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용매를 함침시켜 곡물 내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상기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함침 및 배전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번째 발명은, 배전곡물 가공물에 용매를 접촉시키고,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로부터 배전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배전곡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네번째 발명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가공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A는 배전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배전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표면에 탄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의 쌀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쌀 내부의 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C는 쌀 내부의 전체가 탄화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D는 배전이 종료된 상태의 쌀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트레이에 배전된 쌀(이하 배전미)들이 넓게 펼쳐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B는 함침액이 부어진 배전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C는 함침액에 의해 배전미가 갈라져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함침중인 배전미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B는 배전미가 함침에 의해 미세하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C는 배전미가 함침으로 인해 개방이 더 진행된 것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D는 함침에 의해 완전히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 다.
도 6A는 배전미와 용매가 혼합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6B는 배전미와 용매의 혼합물을 여과포(filter fabric)를 통과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흡광도에 의해 농도 비교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A는 용매 속에 곡물을 넣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B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10C는 배전성분이 용매로 추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a : 탄화코팅
1b: 쌀 내부
1c : 쌀의 중심부
10 : 배전장치
11 : 하우징
12 : 배전가마
13 : 버너
14 : 회전축
15 : 구멍
21 : 트레이
22 : 플라스틱 랩(plastic wrap)
31 : 용기
32 : 여과포
33 : 다른 용기
41 : 용기
41' : 뚜껑
42 : 히터
43 : 온도계
LQ1 : 함침액
LQ2 : 용매
본 발명의 세부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것에 의해 적어도 이하에 기재된 사항들은 명확해질 것이다.
즉,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焙煎)(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 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배전된 곡물이 함침공정을 통해 갈라져 개방된다. 그리고, 쌀 내부의 배전성분이 함침액의 함침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충분한 농도의 배전곡물 추출액이 추출공정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배전공정에서, 곡물은 내부 전체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가열되고, 탄화코팅이 곡물의 표면에 형성되며, 그 후에 곡물의 내부가 탄화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곡물의 내부가 탄화될 때, 곡물 표면의 탄화코팅에 의해 수분의 증발과 산소의 공급이 억제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곡물의 내부는 찜 상태로 탄화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공정에서, 배전된 곡물은 그의 함침허용량에 상당하는 양의 함침액에 담가진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곡물이 갈라져 개방될 때, 함침액의 대부분이 곡물의 내부에 함침된다. 즉, 드립(drip)(유출분)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추출액이 추출공정에서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추출공정에서는, 갈라져 개방된 곡물과 용매가 같은 용기에 넣어져 혼합되고, 배전된 성분이 용매 내로 추출된 후, 배전성분을 함유한 용매가 상기 혼합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농도의 추출액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 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이 추출공정 이전에 수행된다.
이 제조방법에 따르면, 추출공정 이전에 함침액제거공정이 수행되므로,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추출공정이 원격지에서 수행될 때, 갈라져 개방된 곡물을 쉽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액제거공정에 있어서, 곡물에 보유된 함침액은 함침액이 동결되어 있는 동안 제거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함침액을 곡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전성분이 고농도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추출공정에 있어서, 함침액이 제거된 곡물과 용매는 같은 용기에 넣어져 혼합되며, 배전성분이 용매 내로 추출된 후, 배전성분을 함유한 용매가 혼합물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농도의 추출액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추출공정에 있어서, 물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이 제조방법에 따르면, 취급이 용이한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추출공정에 있어서, 온도가 50℃ 이상 80℃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배전성분에 함유된 맛이 좋은(savory) 성분의 손실없이 양산에 적합한 시간 내에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추출공정에 있어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또한, 알코올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코올을 포함하는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용매를 함침시켜 곡물 내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상기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함침 및 배전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역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곡물이 갈라져서 개방되는 동안 배전성분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곡물의 운반과 같은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물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취급이 용이한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온도가 20℃ 이상 85℃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음료에 적합한 농도로 배전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온도가 40℃ 이상 85℃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전성분에 있는 맛이 좋은(savory) 성분의 손실없이 양산에 적합한 시간 내에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또한, 알코올이 용매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코올을 포함하는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배전공정에 있어서, 현미가 곡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배전된 현미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중 배전공정에 있어서, 보리와 밀 중 어느 하나가 곡물로 이용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전된 보리 또는 밀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전곡물 가공물에 용매를 접촉시키고,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로부터 배전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배전곡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도 실현할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격지에서도 배전곡물 추출액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가공물의 제조방법 또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급이 용이하며, 추출액이 쉽게 제조될 수 있는 배전곡물 가공물을 얻을 수 있다.
제1실시예
이하, 배전곡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제1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焙煎)(roasting)하는 배전공정(S10)과, 상기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S20)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고 이로써 곡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S30)을 포함한다. 배전될 곡물로서, 쌀(1)(현미, 도 2A 참조)이 이용된다. 이하에서, 각 공정들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배전공정(S10)>
먼저, 배전공정이 설명된다. 이 배전공정에서는 쌀(1)이 입상인 상태로 배전된다. 즉, 쌀(1)이 파열되거나 쌀(1) 내부에 공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전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배전공정은 배전장치(10)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도 2A는 배전장치(10)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배전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전장치(10)는 하우징(11)과, 이 하우 징(11) 내에 배치된 배전가마(12)와,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상기 배전가마(12)의 하측에 배치된 버너(13)를 구비한다. 상기 배전가마(1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단면(종단면)인 원통형 부재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배전가마(12)의 측면들은 장측 직경(L1)이 0.56m이고, 단측 직경(L2)이 0.4m이다. 또한, 배전가마(12)의 폭(W)(서로 대향된 양측면 사이의 간격)은 0.86m 이다. 상기 배전가마(12)는 예컨대 금속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배전가마(12)에는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14)이 부착된다. 상기 회전축(14)은 배전가마(12)의 원통형상의 중심을 따라 진행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14)의 양단부는 배전가마(12)의 타원형 양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4)에는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 즉 배전가마(1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15)들이 형성되며, 배전가마(12)의 내부 공간은 상기 구멍(15)들을 통해 회전축(14)의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배전장치(10)에서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배전가마(12)가 회전함으로써 배전가마(12) 내에 투입된 쌀(1)이 배전된다. 이 때, 배전가마(12)의 종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타원의 장축(길이 L1을 갖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위치될 때 배전가마(12)의 하측에 모여있던 쌀(1)은 배전가마(12)가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한계를 넘어서면, 쌀(1)이 눈사태처럼 떨어진다. 이 때, 낙하하는 쌀(1)은 다른 쌀(1) 위로 굴러떨어지게 되므로 쌀(1)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쌀(1)은 입상을 유지하고, 전체적으로 골고루 뒤섞여 균일하게 가열된다. 또한, 상기 배전장치(10)에서 배전가마(12)의 온도는 버너(13)의 열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대략 220℃~280℃ 까지 상승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이 굴뚝구멍(요리용 화로에서 연기가 배출되는 튜브)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배전가마(12)의 쌀(1)이 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배전된 입상의 쌀을 배전미(1)라고도 말한다.
이러한 배전공정에서, 먼저 물흡수단계를 수행하여 쌀(1)의 내부에 물을 충분히 함유시킨다. 쌀은 배전 전에 물을 흡수하도록 되어, 쌀(1) 안에 존재하는 전분이 젤라틴화된 후 탄화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물흡수단계에서는, 쌀(1)이 상온(약 20℃)의 물에 20~30초 동안 침지된다. 여기서, 물흡수단계에 요구되는 시간은 예컨대 물의 온도 또는 쌀(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침지시간은 쌀(1)의 중심까지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지의 관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침지시간은 포화 흡수 시간 이상이라면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쌀(1)에 물을 흡수시키면 가열단계를 수행한다. 이 가열단계에서는, 물을 흡수한 쌀(1)을 가열함으로써 탄화코팅이 쌀(1) 표면에 형성되고, 그 후에 쌀(1)의 내부가 탄화된다. 이를 위해, 배전가마(12)의 온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예를 들어, 약 1시간경과시까지 대략 190℃의 온도로 천천히 증가시킨다. 그리고나서, 약 195℃에서 200℃ 정도(연속배전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50초동안 배전을 수행한다. 그 후, 온도를 약 210℃에서 215℃ 정도로 상승시키고, 배전을 종료한다.
표1은 배전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배전동안 배전가마(12)의 회전속도는 공정1에서 18rpm으로 설정되고, 공정2 이후에서부터는 36rpm으로 설정된다.
공정 경과시간(분) 배전가마 온도(℃)
1 30 135
2 60 185
3 70 195
4 75 197
5 90 200
6 105 198
7 120 203
8 140 208
9 150 213
10 157 213~216
상기 배전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쌀(1)은 중심까지 탄화(검게 탐)되어 배전미로 된다. 여기서, 도 3A는 표면에 탄화코팅(1a)이 형성된 상태의 쌀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쌀(1)의 내부(1b)에 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C는 쌀(1) 내부(1b)의 전체가 탄화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D는 배전이 종료된 상태의 쌀(1)(즉, 배전미)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 도면들은 배전과정에서 적절히 샘플링한 쌀(1)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든 도면에서, 확대율은 100배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재된 조건들 하에서 배전을 수행함으로써 탄화코팅(1a)이 쌀(1)의 표면에 먼저 형성되고(도 3A), 그리고나서 쌀(1)의 내부(1b)가 탄화되며(도 3B 내지 도 3C), 그 후에 쌀의 중심부(1C)가 탄화된다(도 3D). 이러한 과정을 겪게 되면, 쌀은 그의 상태가 다음과 같이 변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면에 탄화코팅(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화코팅(1a)이 쌀의 내부(1b)로 산소와 수분이 침투되고, 쌀 내부(1b)에서 수분이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 같다. 따라서, 쌀 내부(1b)가 배전에 의해 가열될 때, 쌀의 내부(1b)에 함유된 수분 또한 가열된다. 그러나, 가열된 수분은 탄화코팅(1a)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해받는다. 따라서, 쌀의 내부(1b)에 함유된 수분이 조금씩 배출되지만, 상당량의 수분이 쌀 내부(1b)에 남아서 전분을 젤라틴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요컨대, 탄화코팅(1a)이 표면에 형성된 후에 쌀의 내부(1b)가 삶아지게 된다. 그 이후에도 가열이 여전히 진행되므로 쌀의 내부(1b)의 수분이 점차적으로 배출되고, 따라서 쌀 내부(1b)가 탄화된다. 즉, 쌀 내부(1b)는 져진 상태로 된다. 이 때, 젤라틴화된 전분이 쌀 내부(1b)에서 탄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배전미(1)의 배전성분은 젤라틴화된 전분과 미네랄에 기인하는 다량의 맛을 좋게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함침공정(S20)>
다음으로 함침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 4A 내지 도 4C는 함칭공정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즉, 도 4A는 트레이(21)에 배전미(1)들이 넓게 펼쳐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B는 배전미(1)에 함침액(LQ1)이 부어진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C는 함침에 의해 배전미(1)가 갈라져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 함침공정은 트레이(21)로서 깊이가 얕은 용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함침공정에서는, 먼저 트레이(21)에 소정량의 배전미(1)가 놓여지고,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그 표면을 편평히 고른다. 시험에서는 1㎏의 배전미(1)가 사용되었다.
배전미(1)가 트레이(21)에 놓여진 다음,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량의 함침액(LQ1)을 트레이(21)에 붓는다. 이 실시예에서, 함침액(LQ1)으로서 상온(약 20℃)의 물이 부어진다. 이 때, 부어지는 물의 양은 배전미(1)의 함침허용량과 동일한 양이 될 수 있다. 이는 배전미(1)가 물을 충분히 함침하여 부어진 대부분의 물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드립(drip)(유출분)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함침된 상태의 배전미(1)를 취급하기가 쉬워지고, 따라서 고농도의 추출액이 뒤에 이행되는 추출공정(S30)에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배전공정(S10)에서 배전된 배전미(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물의 양은 배전미의 무게의 1.6배이다. 이러한 견지에 근거하여, 배전미(1)의 무게의 1.6배에 해당하는 1.6L의 물이 부어진다.
물을 부은 후에, 트레이(21)의 개구부를 플라스틱랩(22) 등으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막고, 쌀이 플라스틱랩(22) 등으로 덮여진 채로 놓아둔다. 따라서, 쌀의 내부(1b)에 물이 함침된다. 쌀을 약 2시간 동안 놓아두면, 배전미(1)가 갈라지기 시작한다. 이 때, 쌀을 주걱 등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혼합하고, 그 표면을 고르게 편다. 이 작업 후 약 2시간정도 경과하면(즉,물을 부은 후 4시간이 경과하면), 배전미(1)들은 거의 대부분이 배전미 내부(1b)로의 물의 함침으로 인한 팽창에 의해 갈라져 개방된다(도 4C참조). 이 상태에 이르면, 함침공정이 종료된다.
여기서, 물의 함침에 의해 배전미가 어떻게 갈라져 개방되는지는 차차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함침중인 배전미(1)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B는 배전미(1)가 함침에 의해 미세하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C는 배전미(1)가 함침으로 인해 개방이 더 진행된 것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D는 함침에 의해 완전히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편의상 도 5B에 도시된 상태는 "미세개방상태"로 명하며, 도 5C에 도시된 상태는 "중간개방상태"로 명하며, 도 5D에 도시된 상태는 "완전개방상태"로 명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A의 사진의 확대율은 100배이며, 도 5B 내지 도 5D의 사진의 확대율은 20배이다. 또한, 도 5B 내지 도 5D에서 부호 LI 로 표시된 모양은 천정 조명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배전미(1)와는 무관하다.
물이 부어진 직후의 상태에서는, 물이 예를 들어 도 5A에 부호 CR1으로 표시된 균열(crack)로부터 쌀 내부(1b)로 침투하고나서, 부호 CR2 내지 CR4로 표시된 조직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쌀의 중심부(1c)로 침투한다. 도 5A와 도 3C, 도 3D,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쌀 내부(1b)의 조직들은 배전미(1)가 검게 태워졌기 때문에 그 모양을 잃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쌀의 중심부(1c)로 물이 원활하게 침투한다고 생각된다. 쌀의 내부(1B)에 있는 조직은 침투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한다. 이 때, 탄화코팅(1a)은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따라서 쌀 내부(1b) 조직이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쌀 내부(1b)의 조직이 팽창하려는 힘이 더 강하기 때문에 탄화코팅(1a)의 균열이 넓어지고, 배전미(1)가 미세개방상태로 된다. 그리고나서, 쌀 내부(1b)의 조직이 더 팽창하면, 탄화코팅(1a)의 몇군데에서 균열이 더 커지고, 배전미(1)는 중간개방상태(도 5C)로 되며, 최종적으로 완전개방상태(도 5D)로 된다. 쌀이 상기 완전개방상태로 되면, 쌀 내부(1b)의 조직은 충분히 물이 흡수되었고, 따라서 쌀 내부(1b)의 조직에 고착된 배전성분이 쉽게 분리되는 상태로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함침액(LQ1)으로서 상온 상태의 수도물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배전미(1)를 완전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로하는 시간은 함침액(LQ1)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즉, 함침액(LQ1)의 온도가 높을수록 배전미(1)가 빨리 개방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하 이 점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표 2는 함침액(LQ1)의 온도를 변화시켜 개방시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도 물이 함침액(LQ1)으로 사용되었다.
샘플 물 온도(℃) 균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완전개방시간
1-1 20(상온) 약 2시간 약 4시간
1-2 70~85 약 15분 약 1시간
1-3 95 NG NG
이 측정결과로부터, 함침액(LQ1)으로서 물을 사용했을 때, 물의 온도는 상온(20℃) 내지 85℃ 범위(샘플 1-1과 1-2)에서 선택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배전미(1)가 95℃(샘플 1-3)에서 개방되지 않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예컨대 그 표면의 탄화코팅(1a)에 함유된 지방질이 응고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상온에서 85℃ 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온도가 높을수록 완전개방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처리 효율의 관점에서 높은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함침공정은 쌀 내부(1b)의 조직을 충분히 팽창시킴으로써 배전성분을 쉽게 추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여기서, 추출온도가 변화되면, 추출된 액체의 농도(그리고 그에 따른 맛)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함침공정에서 이용하는 함침액(LQ1)의 온도는, 추출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액체, 즉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용매(배전곡물 추출액에 해당함)의 맛을 가미하여 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추출공정(S30)>
다음으로, 추출공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는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와 용매(LQ2)가 같은 용기(31)에 담아져 혼합된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6B는 배전미(1)와 용매(LQ2)의 혼합물을 여과포(32)(filter fabric)를 통과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 추출공정에서는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에 포함된 배전성분이 용매(LQ2) 속으로 추출되어 배전곡물 추출액이 얻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매(LQ2)로서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물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 400g에 대해 약 70℃~80℃의 온도로 조정된 물 1L(1000g)가 사용된다. 이 추출공정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와 물(용매 LQ2)이 같은 용기(31)에 넣어져 혼합된다. 이 때, 물의 온도가 감소되므로, 예를 들어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온도를 70℃~80℃로 유지한다. 그리고나서, 이 온도 범위를 약 30분동안 유지한 다음,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과포(32)를 사용하여 배전미(1)와 물의 혼합물로부터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다른 용기(33)에 분리시킨다. 이 때, 이러한 분리 과정동안 압착을 수행하여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짜낸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고농도의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물(배전곡물 추출액)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전곡물 추출액은 배전된 쌀 음료를 가공하기 위한 희석되지 않은 원액으로 이용된다. 즉, 이 배전곡물 추출액을 소정 농도로 희석시킴으로써 배전된 쌀 음료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배전곡물 추출액은 요리용 원료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추출온도, 즉 용매(LQ2)(예컨대 물)의 온도가 변하면, 추출액의 농도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용매(LQ2)의 다양한 온도에 대한 추출 시험이 실행되었다. 표 3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에서, 추출시간이 차이가 있는데, 이는 시험 시간의 사정에 의한 것이다. 즉, 설정된 농도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단시간에 시험이 종료되었다. 또한, 용매(LQ2)로서 물이 이용되었다.
샘플 물 온도(℃) 배전미의 양(g) 물의 양(g) 추출시간 농도
2-1 72~83 400 1000 30분 OK
2-2 59~63 400 1000 10분 OK
2-3 51~74 400 500 10분 OK
2-4 53~55 400 500 10분 OK
2-5 19~23 400 1000 2시간 30분 NG
2-6 20~23 400 500 2시간 30분 NG
이 결과로부터, 추출공정에서 용매(LQ2)의 온도가 큰 영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용매(LQ2)로 제공되는 물이 53℃ 이상이며 83℃ 이하(샘플 2-1 내지 샘플 2-4)를 갖는 한, 바람직한 농도를 갖는 추출액이 양산에 적합한 시간(2시간 30분 이내) 내에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는 양산에 적합한 시간 내에 충분한 농도를 얻을 수 없다.
<흡광도에 따른 추출액들 간의 농도 비교에 관하여>
상기 표 3의 시험결과에서는, 각 추출액의 농도가 육안으로 판정되었다. 이러한 경우, 기준이 불명확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흡광도에 근거하여 농도를 확인하는 시험이 수행되었다. 이 확인 시험에서는, 함침공정(S20)에 의해 얻어지는 함침상태의 배전미(1) 100g 과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물 300g 이 이용되었다. 보온기능을 가진 교반기(stirrer)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혼합물들을 30분 동안 (회전자 260rpm) 교반하고, 얻어진 추출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추출액은 10배 희석되었다. 도 7은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수직축은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수평축은 샘플이며, 이 샘플들 중 온도가 낮게 유지된 샘플들은 도면의 왼편에, 온도가 높게 유지된 샘플들은 도면의 오른편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샘플에 대하여, 흡광도 0.4 이상은 충분한 가시적 농도가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료로서 충분한 농도가 얻어진다. 이것으로부터 추출온도를 5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충분히 진한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이 결과는 표 3의 시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추출온도에 대한 고찰>
찬물로 만들어지는 커피의 경우에서와 같이 장시간동안 천천히 추출을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택하면, 상온에서도 바람직한 농도가 얻어질 수 있다(제3실시예 참조). 또한, 맛의 관점에서 때때로 추출 온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성의 맛을 좋게 하는 성분의 용출 온도에 기인하는 듯하다.
또한, 맛의 관점에서 추출 온도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추출 효율과 맛을 고려하여 추출 온도가 50℃ 이상이고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의 요약>
전술한 것과 같이, 제1실시예에서 고농도의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이 배전공정(S10)과, 함침공정(S20), 그리고 추출공정(S30)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함침공정(S20)으로부터 추출공정(S30)으로 이행하는 동안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1)를 다른 장소로 운반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배전미(1)는 함침액(LQ1)(예를 들어 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무겁다. 또한, 쌀이 함침액(LQ1)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저장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함침공정을 수행하는 공장과 추출공정을 수행하는 공장이 멀리 떨어진 경우에 현저해진다.
제2실시예는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추출공정 이전에 곡물(배전미)(1)에 포함된 함침액(LQ1)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 8은 제2실시예의 공정들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은, 곡물을 입상인 상태로 배전하는 배전공정(S110)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LQ1)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S120)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에 함유된 함침액(LQ1)을 동결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동결건조공정(S130)과, 용매(LQ2)를 함침액(LQ1)이 제거된 곡물과 접촉시켜 곡물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S140)을 포함한다. 또한, 함침액(LQ1)과 용매(LQ2)로서 물이 이용된다.
상기 배전공정(S110)은 제1실시예의 배전공정(S10)에 대응하고, 함침공정(S120)도 제1실시예의 함침공정(S20)에 대응하며, 추출공정(S140)도 제1실시예의 추출공정(S30)에 대응한다. 즉, 제2실시예는 동결건조공정(S130)이 수행되며, 수분이 제거된 배전미(1)와 물이 추출공정(S140)에서 혼합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주된 차이점인 동결건조공정(S130)에 대해 설명하며, 공통된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결건조공정(S130)>
동결건조공정은 함침공정(S120)에서 갈라져 개방된 곡물에 함유된 함침액(LQ1)이 제거되는 함침액제거공정의 일종으로, 곡물이 동결된 상태에서 곡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이 동결건조공정에서는 배전미(1)에 함유된 수분(함침액)(LQ1)이 동결된다. 그리고, 동결된 배전미(1)가 4.6mmHg (6.12hPa) 이하의 진공조건에 노출시켜 가열된다. 이에 따라, 얼음 결정들이 승화에 의해 수증기로 변화되어 제거된다. 이 경우, 순수하게 수분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초기 온도는 65℃ 로 설정되고, 공정의 최종 온도는 45℃ 로 설정되며, 수분은 18시간동안 제거된다. 따라서, 건조된 배전미 블록(도시하지 않음)이 얻어진다. 이 배전미 블록은 일종의 배전미 가공물(배전곡물 가공물)이며, 추출공정(S140)에서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 동결건조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배전미 블록의 무게는 그의 원래 무게의 약 1/3로 줄어든다. 또한, 수분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보존 수명도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배전미(1)를 취급하기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추출공정이 원격지에서 수행되더라도 배전미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동안 저장도 할 수 있다.
<추출공정(S140)>
다음으로 추출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추출공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 공정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추출공정에서는, 상기 동결건조공정에서 얻어진 배전미 블록(배전곡물 가공물)에 용매(LQ2)로서 물을 접촉시켜 배전미 블록으로부터 배전성분을 추출한다. 즉, 배전미 블록과 용매(LQ2)로서 제공된 물이 혼합되고, 여과포(32)를 이용하여 배전미블록과 물의 혼합물에서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물이 분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분한 농도를 갖는 배전미(1) 추출액(배전곡물 추출액)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추출공정(S140)에서도 온도와 물의 양에 관하여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제2실시예의 요약>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수분제거공정(동결건조공정)이 추출공정 이전에 수행되므로,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식품 가공 공장에서 추출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에 더하여, 가정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 동결건조공정에 의해 얻어진 곡물 가공물(배전미 블록)을 소량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정에서 상기 곡물 가공물로부터 배전곡물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로 조절된 물에 적당량의 배전미 블록을 넣고, 교반시킨 후, 커피 여과지 또는 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여과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배전미 음료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배전미 블록을 케이크의 풍미 성분과 같이 요리의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배전성분을 추출한 후 남은 찌꺼기도 요리를 위한 원료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 가공물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따라서 건강 식품으로도 유용하다.
제3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전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게 하는 공정(함침공정(S20, S120))과,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추출공정(S30, S140)이 분리 수행되었다. 이 경우, 갈라져 개방된 배전미를 운반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제3실시예는 이러한 점에 촛점을 맞추어, 배전성분의 추출이 배전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는 동안에 수행되도록 한다. 즉, 배전곡물을 용매(LQ2)에 함침시켜 곡물의 내부가 팽창하여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용매(LQ2)를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그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함침 및 추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제3실시예의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은, 곡물을 입상인 상태로 배전하는 배전공정(S210)과, 배전곡물이 갈라져 개방되게 하면서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함침 및 추출 공정(S220)과, 배전곡물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배전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분리시키는 여과공정(S230)을 포함한다. 배전될 곡물은 쌀(1)(현미)이 이용된다.
상기 공정들 중 배전공정(S21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배전공정(S10, S110)에 대응한다. 그리고, 여과공정(S23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추출공정(S30, S140)에서 수행된 공정과 유사하다. 즉, 제3실시예는 함침 및 추출 공정(S220)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함침 및 추출 공정(S220)이 설명되며, 공통된 특징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함침 및 추출 공정(S220)>
이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는, 배전공정(S210)에서 배전된 곡물이 용매(LQ2)로 함침되어 갈라져 개방되고, 이 갈라져 개방된 곡물에 함유된 배전성분을 용매(LQ2)로 추출한다. 여기서, 도 10A는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용매(LQ2) 속에 소정량의 곡물(배전미(1))을 넣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B는 곡물을 용매(LQ2) 속에 넣은 다음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10C는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고 배전성분이 용매(LQ2) 내로 추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배전될 곡물은 쌀(1)(현미)이며, 용매(LQ2)는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물이다.
이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는, 먼저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기와 같은 우수한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41)가 히터(42) 상에 놓여지며, 용매(LQ2)(물)가 상기 용기(41) 속에 부어져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다. 용기(41) 속의 용매(LQ2)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량의 배전미(1)(곡물)을 용기(41) 속에 넣고, 완전히 교반한다. 그 후, 용기를 뚜껑(41')으로 덮고,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전미(1)가 갈라져 개방되고 배전성분이 용매(LQ2) 속으로 추출될 때까지 상기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히터(42)는 온도계(43)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적절하게 제어된다.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배전미(1)가 갈라져 개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탄화코팅(1a)이 배전미(1)의 표면에 형성되고 쌀 내부(1b)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이 전분의 젤라틴화 이후에 형성된 점에 기인하다. 이것은, 배전미(1)가 갈라져 개방되지 않으면 탄화코팅(1a)에 부착된 배전성분만 용매(LQ2) 속으로 추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분의 젤라틴화에 의해 생성되는 맛을 좋게 하는 성분들이 쌀 내부(1b)에 갖혀진다. 그 결과, 용매(LQ2)로서 기능하는 물은 색이 입혀져도 맛을 좋게 하는 성분은 부족하다. 따라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은 배전미(1)가 갈라져 개방되고 쌀 내부(1b)의 배전성분이 용매(LQ2) 내로 충분히 추출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표 4는 용매(LQ2)의 여러가지 온도에 대해 수행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샘플 물 온도(℃) 배전미(g) 물의 양(g) 추출시간 농도 콤멘트
3-1 95~98 400 1000 2시간30분 OK 전혀 갈라져 개방되지 않음
3-2 89~91 400 1000 2시간30분 OK 10% 갈라져 개방됨
3-3 83~85 400 1000 2시간30분 OK 50% 갈라져 개방됨
3-4 69~71 400 1000 2시간30분 OK 80% 갈라져 개방됨
3-5 59~61 400 1000 2시간30분 OK 60% 갈라져 개방됨
3-6 49~51 400 1000 2시간30분 OK 30% 갈라져 개방됨
3-7 40~42 400 1000 2시간30분 OK 20% 갈라져 개방됨
3-8 20~23 400 970 24시간 OK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
이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것이 발견되었다. 물의 온도가 95℃ 이상(샘플 3-1)일 때에는, 추출 후 물(추출액)이 색을 갖더라도 배전미(1)는 전혀 갈라지거나 개방되지 않았다. 따라서, 얻어진 추출액은 쓴맛이 강하고 풍미가 없는 맛을 낸다. 또한, 이 추출액은 매우 혼탁하다. 물 온도가 약 90℃(샘플 3-2)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적은 양(약 10%)이 갈라져 개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얻어진 추출액은 쓴 맛이 강하고, 이상한 맛도 났다. 이 경우에도 흐림이 눈에 띄었다.
물의 온도가 약 85℃(샘플 3-3)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거의 절반(약 50%)이 갈라져 개방되었으며, 얻어진 추출액의 흐림은 샘플 3-2의 경우보다 다소 약한 느낌이 있지만 작아졌다. 또한, 추출액은 배전으로 인한 쓴맛과 좋은 맛을 가지고 있었다. 물의 온도가 70℃(샘플 3-4)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대부분(약 80%)가 갈라져 개방되었다. 얻어진 추출액은 다소 진했다. 또한, 추출액은 맛이 풍부했고, 쓴맛이 강했다. 그러나, 쓴맛은 불쾌하지 않았다. 또한, 풍미가 남아있으며 좋은 맛을 가지고 있었다. 물 온도가 약 60℃(샘플 3-5)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절반보다 조금 많은 양(약 60%)이 갈라져 개방되었고, 얻어진 추출액은 샘플 3-4와 유사하였다. 물 온도가 약 50℃(샘플 3-6)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약 30%가 갈라져 개방되었다. 얻어진 추출액은 끈적이는 상태는 없고, 그맛은 전술한 샘플들보다 약했다. 또한, 추출액은 쓴 맛이 났다. 그러나, 쓴 맛은 불쾌하지 않았다. 또한, 풍미가 남아 있으며 좋은 맛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물 온도가 약 40℃(샘플 3-7)로 설정되었을 때, 배전미(1)의 약 20% 정도가 갈라져 개방되었다. 얻어진 추출액은 끈적이는 상태는 없고, 그 맛은 전술한 샘플 3-6보다도 약했으며, 약간 쓴 맛이 났다. 추출액의 진하기는 그대로 마실 때 맛있다고 느끼는 정도였다. 따라서, 추출시간을 2시간 30분으로 제한할 때, 음료에 적합한 농도를 얻는데 필요로 하는 물 온도는 적어도 40℃ 이다.
그리고, 상온(샘플 3-8)에서 추출이 수행될 때, 배전미(1)의 거의 대부분이 4시간 후에 갈라져 개방되었다. 그리고, 혼합물을 거의 하루동안 방치한 다음 여과하였고, 추출액의 색이 85℃에서의 추출액에 의해 얻어진 색보다 옅지만 얻어진 추출액의 흐름은 적었다. 추출액의 농도는 그대로 배전미 음료로서 추출액을 마실 수 있는 정도였으며, 좋은 맛이 났다. 이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맛이 좋은 성분들이 균형되게 추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제3실시예의 요약>
전술한 것과 같이, 제3실시예에서 배전성분은 함침 및 추출 공정(S220)에서 배전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는 동안 추출되므로,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운반과 같은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양산에 적합한 추출시간(예를 들어 2시간 30분 이내)에 음료에 적합한 농도를 갖는 추출액을 얻는 관점으로부터, 용매(LQ2)의 온도가 40℃ 내지 8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범위로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배전성분에서 맛을 좋게 하는 성분을 손실하지 않고 양산에 적합한 시간 내에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료에 적합한 농도의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관점에서 용매(LQ2)의 온도는 20℃ 내지 85℃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배전된 곡물로부터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주로 논의되었으며, 상세한 설명도 배전곡물 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들과 이들 배전곡물 가공물들로부터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대한 설명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은 물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개량될 수 있으며 기능적인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배전될 곡물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 곡물로서 쌀(1)(현미)이 이용되었으며, 배전미는 이 쌀을 배전함으로써 얻어졌다. 그러나, 배전 대상 곡물은 쌀(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밀이 사용될 수 있다. 표 5는 밀의 배전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공정 경과시간(분) 배전가마 온도(℃)
11 15 75
2 60 190
3 110 204
4 120 210
상기 배전조건 하에서 배전이 수행될 때, 밀(이하 "배전밀"이라고도 함)의 내부가 완전히 검게 구워진다. 그리고, 이 배전밀이 물이 함침되었을 때, 배전밀은 시간은 걸리지만 배전미(1)의 경우와 같이 갈라져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추출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배전밀의 추출액이 얻어질 수 있었다. 얻어진 추출액은 배전미(1)의 추출액의 농도와 동등한 농도를 가졌다. 또한, 추출액의 흐림은 배전미(1)의 흐림보다 작았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배전밀에서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전된 추출액이 밀에서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리에서도 배전된 추출액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즉, 배전된 보리 또는 밀에서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쌀(1)과 밀에서 배전된 추출액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배전 조건등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다른 곡물에서도 배전된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함침액과 추출액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 함침공정(S20, S120)에서 배전미(1)에 함침되는 함침액(LQ1)과, 추출공정(S30, S140) 또는 함침 및 추출 공정(S220)에서 이용되는 용매(LQ2)로서 물이 이용되었다. 이와 같으로서 물이 이용될 때, 각 공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추출액을 취급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러나, 함침액(LQ1)과 용매(LQ2)가 물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함침액(LQ1)과 용매(LQ2)가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특히, 용매(LQ2)가 순수한 알코올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전곡물의 알코올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알코올은 물보다 더 높은 배전성분을 추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물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농도의 추출액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온도가 상온에서 약 50℃ 범위일 때 충분히 고농도의 추출액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함침액 제거 공정에 관하여>
전술한 두번째 실시예에서, 함침액 제거 공정으로서 동결건조공정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 함침액 제거 공정에서 곡물에 함유된 함침액이 제거될 수 있는 한 다른 건조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풍건조가 이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동결건조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배전성분의 손실없이 오직 함침액만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배전공정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 배전장치(10)로 배전을 수행함으로써 곡물의 표면에 먼저 탄화코팅(1a)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 쌀, 즉 곡물의 내부(1b)가 탄화되었다. 이러한 단계들을 통해 배전을 수행하는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전에 설명한 것과 같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배전 조건은 1개만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온도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교반조건 등을 설정하면, 배전 과정이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실시되더라도 유사한 배전곡물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반대로, 배전가마(12)의 온도, 배전가마(12)의 회전속도, 배전시간 등이 부적절하게 설정되면, 상기 배전장치(10)를 이용하더라도 배전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배전시에 배전 조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배전곡물 추출액과 배전곡물 음료 등을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焙煎)(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공정에서, 곡물은 내부 전체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가열되고, 탄화코팅이 곡물의 표면에 형성되며, 그 후에 곡물의 내부가 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공정에서, 배전된 곡물은 그의 함침허용량에 상당하는 양의 함침액에 담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갈라져 개방된 곡물과 용매가 같은 용 기에 넣어져 혼합되고, 배전된 성분이 용매 내로 추출된 후, 배전성분을 함유한 용매가 상기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 이전에,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제거공정에서, 곡물에 보유된 함침액은 함침액이 동결되어 있는 동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함침액이 제거된 곡물과 용매는 같은 용기에 넣어져 혼합되며, 배전성분이 용매 내로 추출된 후, 배전성분을 함유한 용매가 혼합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물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온도가 50℃ 이상 80℃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공정에서 알코올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2.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용매를 함침시켜 곡물 내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의 내부가 상기 용매와 접촉되도록 하여 곡물 내부에 존재하는 배전성분을 추출하는 함침 및 배전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 있어서, 물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 온도가 20℃ 이상 85℃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 온도가 40℃ 이상 85℃ 이하로 조정된 물이 용매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및 추출 공정에서, 알코올이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공정에서, 현미가 곡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공정에서, 보리와 밀 중 어느 하나가 곡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20. 배전곡물 가공물에 용매를 접촉시키고,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로부터 배전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배전곡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전곡물 가공물은,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21. 곡물을 입상(粒狀)인 상태로 배전(roasting)하는 배전공정과;
    배전된 곡물에 함침액을 함침시켜 곡물 내부를 팽창시키고 곡물이 갈라져 개방되도록 하는 함침공정과;
    상기 갈라져 개방된 곡물이 보유하고 있는 함침액을 제거하는 함침액제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곡물 가공물의 제조방법.
KR1020087003612A 2005-07-15 2006-07-12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제조방법 KR20080039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7554A JP2007020471A (ja) 2005-07-15 2005-07-15 焙煎穀物抽出液の製造方法、及び、焙煎穀物加工物の製造方法
JPJP-P-2005-00207554 2005-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418A true KR20080039418A (ko) 2008-05-07

Family

ID=3766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612A KR20080039418A (ko) 2005-07-15 2006-07-12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04321A1 (ko)
EP (1) EP1908356A4 (ko)
JP (1) JP2007020471A (ko)
KR (1) KR20080039418A (ko)
CN (1) CN101222854A (ko)
TW (1) TW200721990A (ko)
WO (1) WO20070107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12B1 (ko) * 2009-08-31 2012-05-08 정지원 곡물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물 추출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0426B2 (ja) * 2007-05-02 2010-12-01 正治 杉原 米を原料としたコーヒー飲料代用品及び醤油代用品の製造方法
JP4822360B2 (ja) * 2007-09-19 2011-11-24 日本製粉株式会社 焼減率を指標としたオーブンによる焙煎小麦の製造方法
JP4651723B2 (ja) * 2009-04-14 2011-03-16 宗節 金城 炒り玄米飲料並びに粥状製品とその製造方法
CN102379441A (zh) * 2010-09-03 2012-03-21 天津市恒安食品有限公司 花生糙米乳饮料及其生产工艺
WO2023118341A1 (en) 2021-12-22 2023-06-2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Low sugar-based food compositions with roasted ingredi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502472A (en) * 1915-02-16 1915-10-14 John Leonard Kellog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Beverage Extracts.
US2408260A (en) * 1942-09-21 1946-09-24 John L Kellogg & Co Process for making coffee extracts
US3656315A (en) * 1966-11-25 1972-04-18 Struthers Scientific Int Corp Coffee freeze concentration apparatus
JPS5564792A (en) * 1978-11-06 1980-05-15 Haruo Kajitani Preparation of "sake" from unpolished rice
US4226891A (en) * 1978-11-30 1980-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eatment of Robusta coffee
AU544564B2 (en) * 1980-08-09 1985-06-06 Sato Shokuhin Kogyo Kabushiki Kaisha Extracting beverages using cyclodextrin
JPS5830022B2 (ja) * 1981-02-07 1983-06-27 株式会社 冨士システム 調理玄米の乾燥法
US4494314A (en) * 1983-11-28 1985-01-22 Gell Jr Harold A Coffee roaster
KR900005693B1 (ko) * 1988-02-09 1990-08-06 롯데제과 주식회사 숭늉 엑기스의 제조방법
JPH03143376A (ja) * 1989-10-26 1991-06-18 Hasu Prod:Kk 玄米含有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09123B1 (ko) * 1993-02-15 1995-08-14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전자식 배전반의 전동기 보호를 위한 디지탈 계전방법
JP3796362B2 (ja) * 1998-10-15 2006-07-12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穀類茶飲料の製造方法
JP2003219847A (ja) * 2002-01-31 2003-08-05 Asahi Soft Drinks Co Ltd 発芽玄米の抽出液を含有する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35061B2 (ja) * 2002-01-31 2008-08-20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入り焙煎飲料の製造方法
JP4032382B2 (ja) * 2002-07-22 2008-01-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麦茶飲料および麦茶抽出液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12B1 (ko) * 2009-08-31 2012-05-08 정지원 곡물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물 추출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4321A1 (en) 2009-04-23
CN101222854A (zh) 2008-07-16
JP2007020471A (ja) 2007-02-01
TW200721990A (en) 2007-06-16
EP1908356A1 (en) 2008-04-09
WO2007010792A1 (ja) 2007-01-25
EP1908356A4 (en)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418A (ko) 배전곡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배전곡물 가공물의제조방법
JP2022166210A (ja) 焙煎挽きコーヒー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32220A (ko) 원두 냉동식 커피 제조방법
CN104206624A (zh) 一种果仁南酸枣糕的制作工艺
CN103734398A (zh) 马齿苋袋泡茶及其制备方法
US20070034093A1 (en) Cooking utensil for enhancing or modifying food flavors
JP4179480B2 (ja) 飲料の調味料用又はパン若しくは製菓品のデコレーション用味付乾燥果実片の製造方法
KR20000059739A (ko) 즉석 숭늉차의 제조방법
KR20170061539A (ko) 팝핑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US5238700A (en) Fruit tea process and product
US245996A (en) Wobthy
WO2023243608A1 (ja) コーヒー焙煎豆中の不快臭成分の低減方法
KR101882590B1 (ko) 코어-쉘 구조의 와인 커피 원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4468A (ko)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가공방법 및 그러한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JP5144638B2 (ja) 風味バランスと飲みやすさを備えた生茶葉抽出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Baladhiya et al. Effect of Different Drying Techniques on Quality Attributes of Ready to Reconstitute (RTR) Coffee Mix
JP4090338B2 (ja) 味付乾燥果実片を用いた、飲料の調味料
KR20230063701A (ko) 활성탄을 이용하여 벤조피렌이 저감된 포션커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포션커피
JP2009136295A (ja) 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
RU238559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кофейного напитка &#34;одинцовский&#34;
RU236921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нстант-порошка для цикорно-персикового напитка
CN117397788A (zh) 一种易开口瓜蒌籽的负压入味炒制方法
RU240820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скорцонерно-апельсинового напитка (варианты)
RU236818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цикорно-персикового напитка
RU236920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нстант-порошка для цикорно-персикового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