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967A -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967A
KR20080034967A KR1020087004610A KR20087004610A KR20080034967A KR 20080034967 A KR20080034967 A KR 20080034967A KR 1020087004610 A KR1020087004610 A KR 1020087004610A KR 20087004610 A KR20087004610 A KR 20087004610A KR 20080034967 A KR20080034967 A KR 2008003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nozzle
plate
steel plat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357B1 (ko
Inventor
나오키 나카타
타카시 쿠로키
아키오 후지바야시
쇼고 토미타
šœ이치 니시다
나오토 히라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설비 보전성이 좋고, 다량의 냉각수를 강판 하면에 공급하는 경우의 배수성이 우수하고, 효율이 좋은 냉각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행하여 고 냉각 속도를 실현하는 강판의 냉각 설비 및 품질이 높은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강판(10)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호판(34)과, 강판(10)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보호판(34)과 보호판(34)의 사이에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형성된 노즐열을 구비하고, 노즐열에는 판폭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36) 상에 각각 동수의 원관 노즐(32)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원관 노즐(32)의 상단은 보호판(34)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냉각 설비, 배수성, 설비 보전성

Description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COOLING FACILITY AND PRODUCTION METHOD OF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간압연에 의해 강판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서는, 압연 온도를 제어하는 데에 냉각수를 공급하거나, 공냉(空冷)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높은 냉각 속도를 얻어 조직을 미세화하여, 강판의 강도를 높이는 기술의 개발이 성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냉각수를 공급하여 열강판을 냉각하는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59610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것은,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 롤러(14) 사이에 에이프런(apron)을 겸한 헤더(51)를 설치하고, 헤더(51) 상면에 다수의 구멍, 소위 다공(多孔) 노즐(52)을 형성하고, 여기서 봉 형상의 냉각수(53)를 강판(10) 하면에 공급하는 기술이다. 비교적 다량의 냉각수를 강판에 공급함으로써, 높은 냉각 속도가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를 공급하여 강판을 냉각하는 다른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63669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것은, 노즐을 허니콤(honeycomb) 형상으로 배치하여, 효율이 좋은 냉각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5961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63669호에 기재된 기술은, 설비 보전성, 냉각수를 강판 하면에 공급한 후의 배수성(排水性), 나아가서는 냉각의 균일성에 있어서 큰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59610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냉각 설비(50)의 헤더(51)가 테이블 롤러(14) 사이의 에이프런을 겸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10)이 진입해 온 경우에는 헤더(51)에 부딪혀, 헤더(51)를 파손한다는 문제가 있다. 헤더(51)가 파손하여 노즐(52) 구멍이 막히거나, 변형되거나 하면, 냉각의 균일성이 현저히 손상되기 때문에, 이 기술을 오랜 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헤더(에이프런)(51)를 빈번히 교체하는 등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설비 보전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또한, 냉각수(53)는 강판(10)에 공급된 후에 낙하하면, 헤더(에이프런)(51) 상에 괴어 수막(水膜;54)을 만든다. 에이프런이 되는 헤더(51) 상면에 뚫은 구멍이 그대로 노즐(52)이 되고 있기 때문에, 새로이 공급된 냉각수는 이 수막(54)을 뚫고 강판(10) 하면에 공급되지 않으면 안 되지만, 냉각수 양을 늘리려고 하면 할수록 수막(54)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냉각의 효율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각수가 헤더(에이프런)(51)의 단부와 테이블 롤러(14)와의 사이의 좁은 틈 사이를 통해서 밖에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이 배수가 새로이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한 냉각을 저해하여, 냉각수를 효율 좋게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63669호에 기재된 기술에 대해서도, 그것을 열간압연 라인에서 강판의 하면을 냉각할 때에 이용하면,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 이 진입해 온 경우에 노즐에 부딪혀, 노즐을 파손한다는 문제가 있다. 노즐 사이에 보호판을 설치함으로써, 강판의 선단이 노즐에 충돌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될 수 있지만, 노즐이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도 폭 방향으로도 1/2 피치 씩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서, 노즐끼리의 간격이 너무 좁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판을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피(被)냉각재가 노즐에 충돌할 걱정이 없는 프로세스에서 밖에 이용할 수 없고, 열간압연 라인에서의 강판의 냉각에 이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설비 보전성이 좋고, 다량의 냉각수를 강판 하면에 공급하는 경우의 배수성이 우수하고, 효율이 좋은 냉각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행하여 고(高) 냉각 속도를 실현하는, 강판의 냉각 설비 및 품질이 높은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 설치되는 강판의 냉각 설비로서, 반송되는 강판의 하방에 있어서,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배치된 복수의 보호판과, 강판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보호판과 보호판의 사이에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설치된 노즐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열에는 강판의 판폭(板幅)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 상에 각각 동수(同數)의 관(管) 형상 노즐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은 상기 보호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설비.
[2] 상기 관 형상 노즐을 부착한 헤더는,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軸心)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설비.
[3]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은,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설비.
[4] 상기 관 형상 노즐은 원관(圓管) 노즐이고, 노즐의 내경은 3∼8mm이며, 분사 속도는 1∼1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설비.
[5] 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서 강판을 냉각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되는 강판의 하방에 있어서,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복수의 보호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강판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보호판과 보호판의 사이에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노즐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열에는 강판의 판폭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 상에 각각 동수의 관 형상 노즐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을 상기 보호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6] 상기 관 형상 노즐을 부착한 헤더를,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강판의 제조 방법.
[7]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을,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강판의 제조 방법.
[8] 상기 관 형상 노즐은 원관 노즐이고, 노즐의 내경은 3∼8mm이며, 분사 속도는 1∼1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강판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관 형상 노즐이 보호판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이 진입해 온 경우라도, 관 형상 노즐의 손상이 방지되어, 설비 보전성이 좋음과 아울러, 소정의 배열로 관 형상 노즐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량의 냉각수를 강판 하면에 공급한 경우라도, 관 형상 노즐끼리의 틈 사이로부터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어, 배수성이 우수하다. 그 결과, 효율이 좋은 냉각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행하여 높은 냉각 속도를 실현하고, 품질이 높은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한 관 형상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봉 형상 냉각수이다. 여기서, 봉 형상 냉각수(기둥 형상 분류(噴流) 냉각수라고도 함)란, 원 형상(타원이나 다각의 형상도 포함함)의 노즐 분출구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봉 형상 냉각수는, 스프레이 형상의 분류가 아니고, 노즐 분출구로부터 강판에 충돌하기까지 그 수류의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유지되는, 연속성이 있고 직진성이 있는 수류의 냉각수를 말한다.
도1 은 박(薄)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의 개략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각 설비의 설명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더의 노즐 배치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4 는 다른 노즐 배치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5 는 다른 노즐 배치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6 은 다른 노즐 배치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7 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강판
11 : 가열로
12 : 열간압연기열
13 :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
14 : 테이블 롤러
14a : 테이블 롤러의 축심
20 : 상면 냉각 설비
30 : 하면 냉각 설비
31 : 헤더
32 : 노즐
33 : 냉각수
34 : 보호판
35 : 보호판
36 : 가상선
50 : 하면 냉각 설비
51 : 헤더
52 : 분출구(노즐)
53 : 냉각수
54 : 수막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을 박강판의 열간압연 열연(熱延) 라인에 있어서,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에서의 강판의 냉각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기술한다.
도1 은, 본 발명이 이용되는 박강판의 열간압연 열연 라인의 개략을 나타낸 도이다. 부호(11)은 가열로, 부호(12)는 조(粗)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로 이루어지는 열간압연기열(列), 부호(13)은 런 아웃 테이블이고, 런 아웃 테이블(13)의 상방에는, 강판(10)의 상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면 냉각 설비(20)가 강판(10)의 반송 방향(이하, 단순히 반송 방향이라고 함)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런 아웃 테이블(13)의 하방에는, 테이블 롤러(14)의 틈 사이로부터 강판(10) 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면 냉각 설비(30)가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열간압연 열연 라인에 있어서는, 가열로(11)로부터 추출된 슬래브가 열간압연기열(12)에 의해 조(粗)압연과 마무리 압연되어, 소정의 마무리 온도에서 소정의 마무리 판두께가 된 후, 런 아웃 테이블(13)에 반송되고, 상면 냉각 설비(20)와 하면 냉각 설비(30)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된다.
그리고,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면 냉각 설비(30)를 나타낸 도이고, 도3 은, 그 하면 냉각 설비(30)의 노즐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냉각 설비(30)는, 헤더(31)와,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헤더(31)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보호판(34)과, 인접하는 보호판(34)끼리의 사이에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헤더(31)에 설치된 노즐열(여기서는 2열)을 구비하고, 노즐열에는 판폭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도3 중의 파선)(36) 상에 각각 동수(여기서는 각 1개)의 원관 노즐(3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봉 형상의 냉각수를 분사하는 원관 노즐(32)의 상단(선단)은, 보호판(34)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이고, 그리고 테이블 롤러(14)의 축심(14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원관 노즐(32)을 부착한 헤더(31)는, 테이블 롤러(14)의 축심(14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원관 노즐(32)의 내경은 3∼8mm로, 분사 속도는 1∼10m/s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보호판(34)의 간격은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면 냉각 설비(30)에 있어서는, 강판(10) 하면에 봉 형 상 냉각수(33)를 공급하는 원관 노즐(32)이 보호판(34)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이 진입해 온 경우라도, 원관 노즐(32)의 손상이 방지되어, 설비 보전성이 좋다. 그 때문에, 원관 노즐(32)이 양호한 상태인 채로 장기간에 걸쳐서 냉각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보수 등을 행하는 일이 없이 강판의 온도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배열로 원관 노즐(3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량의 냉각수(33)를 강판(10) 하면에 공급한 경우라도, 원관 노즐(32)끼리의 틈 사이로부터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어, 배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헤더(31)가 테이블 롤러(14)의 축심(14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헤더(31)와 테이블 롤러(14)의 사이에서 냉각수의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어, 냉각수가 한층 원활하게 배수된다. 이에 따라, 헤더(31) 상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일이 없어, 원관 노즐(32) 선단의 분출구가 수몰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강판(10) 하면에는 항상 기세 있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효율이 좋은 냉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원관 노즐(32)의 선단이 테이블 롤러(14)의 축심(14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원관 노즐(32)의 선단이 강판(10)의 하면으로부터 너무 떨어지면, 낙하 냉각수의 영향도 있어, 강판(10) 하면에 기세 있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높은 분사압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원관 노즐(32)의 내경을 3∼8mm로 하고 있는 것은, 내경이 3mm보다 작으면, 노즐 막힘이 빈번히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 외에, 분류(jet flow)가 가늘기 때문에 낙하 냉각수의 간섭에 의해 강판(10) 하면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생겨서 냉각 능력이 저하하기 때문이고, 내경이 8mm보다 크면, 노즐의 간격을 넓혀서, 분사 속도를 어느 정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판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이 커지는 데다가 냉각 능력도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관 노즐(32)로부터의 분사 속도를 1∼10m/s로 하고 있는 것은, 분사 속도가 1m/s 미만이면, 냉각수가 강판(10)에 부딪히는 기세가 약하여, 충분한 냉각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이고, 분사 속도가 10m/s를 넘으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분수 분출 높이가 되어, 설비 주변으로의 냉각수의 비산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면 냉각 설비(20)는, 원관 노즐 등을 구비한 공지의 냉각 설비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와 같은 하면 냉각 설비(30)를 이용하여, 런 아웃 테이블(13) 상에서 강판(10)의 냉각을 행함으로써, 설비 보전성과 배수성이 우수하고, 효율이 좋은 냉각을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행하여 고 냉각 속도를 실현하고, 품질이 높은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면 냉각 설비(30)의 노즐로 원관 노즐(32)을 이용하고 있지만, 각관(角管) 노즐 등의 다른 관 형상 노즐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보호판(34)과 원관 노즐(32)의 배치는, 도3 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접하는 보호판(34)의 사이에 노즐열을 3열 배치하고, 가상선(36) 상에 각각 1개의 원관 노즐(32)이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5, 도6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즐열을 반송 방향으로 2분할하고, 그 사이 에 판폭 방향의 보호판(35)을 지나가게 한 배치로 해도 좋다.
또한, 박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후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1 에 개략을 나타낸 박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 있어서 런 아웃 테이블(13)에서의 강판의 냉각을 행했다. 그때, 마무리 온도는 880℃, 마무리 판두께는 4mm로 하고, 런 아웃 테이블(13)에서 550℃까지의 냉각을 행했다.
본 발명예로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하면 냉각 설비(30)를 이용하여 강판의 하면에 봉 형상의 냉각수를 공급했다. 여기서, 보호판(34)에는 두께 22mm의 강판을 이용하고, 원관 노즐(32)의 내경은 6mm로 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 롤러(14) 사이에 에이프런을 겸한 헤더(51)를 설치한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59610호에 기재된 냉각 설비(50)를 이용하여 강판(10)의 하면에 봉 형상의 냉각수를 공급했다.
또한, 본 발명예, 비교예 모두, 강판 하면에 공급하는 냉각수의 유량 밀도는 2㎥/㎡min, 노즐 분출구와 강판(10) 하면과의 거리는 150mm로 했다. 또한, 강판(10) 상면에 대해서도, 모두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유량 밀도 1㎥/㎡min의 봉 형상 냉각수를 공급했다.
본 발명예와 비교예에 대해서, 설비 보전성과 냉각수의 배수성, 냉각 능력의 비교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생산성이나 품질의 저하가 나타난 경우를 ×, 그렇지 않은 경우를 ○로 했다.
노즐 설비의 파손 냉각수 분출구의 수몰 냉각 속도 길이 방향 온도 불균일 폭 방향 온도 불균일 재질 강도 편차
비교예 다공판 ×있음 ×있음 20℃/s ×30℃ ×30℃ ×대
본 발명예 원관 ○없음 ○없음 30℃/s ○10℃ ○10℃ ○소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이 진입해 온 경우에, 에이프런을 겸하는 헤더 상면에 충돌하여, 설비를 파손하는 일이 있었다. 그에 따라, 헤더(51) 상면이 움푹 들어가거나, 분출구(52)가 변형하거나 하여, 냉각수(53)의 분사 방향이 균등하지 않게 되어, 판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이 30℃나 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설비 파손 개소를 수리하기 위한 비용이 드는 데다가, 조업을 정지시켜서 생산성이 저하하는 일도 많았다.
또한, 강판(10) 하면에 공급된 후의 냉각수가 헤더(51)와 테이블 롤러(14) 사이의 좁은 틈 사이로부터 밖에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헤더(에이프런)(51) 상에 괴어 수막(54)을 형성하고, 분출구(52)로부터 분사하는 냉각수(53)는 수막(54)에 의해 기세가 쇠약해지고 나서 강판(10) 하면에 도달하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냉각은 행해지지 않고, 상면의 냉각과 합쳤을 때의 냉각 속도는, 20℃/s로 낮았다.
이 수막(54)은, 강판(10)의 선단부가 통과하는 시점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선단부가 통과한 후, 잠시 지나고 나서 형성됐다. 따라서, 강판(10)의 선단부만이 잘 식어, 수막(54)이 형성된 후에 냉각되는 정상부(定常部)와의 온도 차이가 30℃나 있었다.
이와 같이, 온도 불균일이 커졌기 때문에, 인장 강도 등의 재질 강도의 편차가 큰 강판(최대 강도와 최소 강도의 차이:3kgf/㎟ 이상)이 되어 버렸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예에서는, 선단이 하방으로 휜 강판이 진입해 온 경우라도, 보호판(34)에 부딪힐 뿐이고, 강판(10)이 더욱 하방으로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관 노즐(32) 등의 설비가 파손하는 일은 없었다. 그에 따라, 원관 노즐(32)이 양호한 상태인 채로 냉각을 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설비 보수 등을 행하는 일이 없이 판폭 방향의 온도 불균일의 발생을 10℃ 이내로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조업을 정지시키는 일도 없었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소정의 배열로 원관 노즐(32)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헤더(31)가 테이블 롤러(14)의 축심(14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원관 노즐(32)끼리의 틈 사이로부터 원활하게 배수됨과 아울러, 헤더(31)와 테이블 롤러(14)의 사이에서 흐름이 저해되는 일도 없었다. 이에 따라, 헤더(31) 상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일이 없고, 원관 노즐(32) 선단의 분출구가 수몰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강판(10) 하면에는 항상 기세 있는 봉 형상 냉각수(33)가 공급되어, 효율이 좋은 냉각을 행할 수 있고, 상면의 냉각과 합쳤을 때의 냉각 속도는 30℃/s로까지 향상했다. 또한, 강판의 선단 통과로부터 말단 통과까지 항상 동일한 상태로 냉각수가 공급됐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온도 불균일은 10℃로 작아졌다.
이와 같이, 강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모두 온도 불균일을 극히 작게 억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인장 강도 등의 재질 강도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어(최대 강도와 최소 강도의 차이:1kgf/㎟ 이하), 고품질인 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8)

  1. 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 설치되는 강판의 냉각 설비로서, 반송되는 강판의 하방에 있어서,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배치된 복수의 보호판과, 강판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보호판과 보호판의 사이에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형성된 노즐열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열에는 강판의 판폭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 상에 각각 동수(同數)의 관 형상 노즐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은 상기 보호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강판의 냉각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을 부착한 헤더는, 상기 테이블 롤러의 축심(軸心)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강판의 냉각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은,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강판의 냉각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은 원관 노즐이고, 노즐의 내경은 3∼8mm이며, 분사 속도 는 1∼10m/s인 강판의 냉각 설비.
  5. 강판의 열간압연 라인에서 강판을 제조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되는 강판의 하방에 있어서,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복수의 보호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강판의 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보호판과 보호판의 사이에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비스듬히 나아가면서 노즐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열에는 강판의 판폭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그린 가상선 상에 각각 동수의 관 형상 노즐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을 상기 보호판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을 부착한 헤더를, 상기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의 상단을,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축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노즐은 원관 노즐이고, 노즐의 내경은 3∼8mm이며, 분사 속도 는 1∼10m/s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87004610A 2005-09-27 2006-08-29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KR100935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8997A JP4774887B2 (ja) 2005-09-27 2005-09-27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製造方法
JPJP-P-2005-00278997 200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967A true KR20080034967A (ko) 2008-04-22
KR100935357B1 KR100935357B1 (ko) 2010-01-06

Family

ID=3789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610A KR100935357B1 (ko) 2005-09-27 2006-08-29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0092B1 (ko)
JP (1) JP4774887B2 (ko)
KR (1) KR100935357B1 (ko)
CN (1) CN101253010B (ko)
WO (1) WO20070370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7315A (zh) * 2012-05-31 2013-12-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板形的acc流量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2105B (zh) * 2008-09-27 2013-09-11 苏州扬子江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彩色涂层钢板涂膜烘烤后的冷却系统
KR101337714B1 (ko) * 2009-06-30 2013-12-0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2759935A (zh) * 2011-04-25 2012-10-31 蔺桃 一种新型冷却控制方法
EP2783766A1 (de) * 2013-03-25 2014-10-01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Kühlstrecke mit unterem Spritzbalken
KR101326031B1 (ko) 2013-06-18 2013-11-07 한국기계연구원 스월을 형성하는 노즐 모듈
CN103935679B (zh) * 2014-04-30 2016-08-17 嘉兴鸿利机械有限公司 输送装置
CN105855305B (zh) * 2016-05-26 2018-06-15 钢研晟华科技股份有限公司 机架间冷却装备和热心轧制工艺
CN107447089B (zh) * 2016-05-31 2019-06-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喷嘴可连续均匀高密度布置的冷却喷箱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805U (ja) * 1982-05-13 1983-11-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高温鋼板の冷却装置
JPS60166413A (ja) * 1984-02-10 1985-08-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材への樹脂の含浸方法
JPS60166413U (ja) * 1984-04-04 1985-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鋼板下面冷却装置
JPS62259610A (ja) 1986-04-30 1987-11-12 Kobe Steel Ltd 鋼板下面の冷却装置
JPH0480604A (ja) * 1990-07-23 1992-03-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走査型トンネル顕微鏡及びこれを含むスルーホールメッキ検査装置
JPH0810432Y2 (ja) * 1990-11-17 1996-03-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温鋼板の下面冷却装置
JP2892492B2 (ja) * 1990-11-30 1999-05-17 川崎製鉄株式会社 熱間圧延鋼板用下部冷却装置
JPH06304626A (ja) * 1993-04-20 1994-11-01 Kawasaki Steel Corp 冷却ノズルの配列決定方法
JP2898873B2 (ja) * 1994-01-31 1999-06-02 川崎製鉄株式会社 高温金属板の下面冷却装置
CN2261898Y (zh) * 1996-07-05 1997-09-10 鞍山钢铁公司 中厚板控制冷却装置
JP4080604B2 (ja) * 1998-07-27 2008-04-23 三菱樹脂株式会社 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0642656B1 (ko) * 2002-08-08 2006-11-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CN1304133C (zh) * 2002-08-08 2007-03-14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热轧钢带的冷却装置、热轧钢带的制造方法以及热轧钢带的生产线
JP4200816B2 (ja) * 2003-05-19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車載情報再生装置及びその記憶情報再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7315A (zh) * 2012-05-31 2013-12-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板形的acc流量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7095A1 (ja) 2007-04-05
CN101253010B (zh) 2010-06-16
KR100935357B1 (ko) 2010-01-06
JP4774887B2 (ja) 2011-09-14
EP1930092B1 (en) 2015-08-12
EP1930092A4 (en) 2011-12-07
EP1930092A1 (en) 2008-06-11
CN101253010A (zh) 2008-08-27
JP2007090355A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357B1 (ko) 강판의 냉각 설비 및 제조 방법
KR100973691B1 (ko) 강판의 냉각 설비 및 냉각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강판의 열간 압연 설비 및 열간 압연 방법
KR100973692B1 (ko) 강판의 열간압연 설비 및 열간압연 방법
KR20090101369A (ko) 열연 강대의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219195B1 (ko) 후강판의 제조 장치
JP5515483B2 (ja) 厚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4853224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4905051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2007090428A (ja) 鋼板の熱間圧延設備および熱間圧延方法
JP5720714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JP4800245B2 (ja) 鋼片のスケール除去装置
JP4876783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5597916B2 (ja) 鋼材の冷却設備
JP5515440B2 (ja) 厚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その冷却方法
JP3617448B2 (ja) 鋼板の水切り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76331A (ko) 바히터 보호장치
JP5556087B2 (ja) 熱延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6108041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
JPH10263667A (ja) 高温鋼板の冷却装置及び高温鋼板の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