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656B1 -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 Google Patents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656B1
KR100642656B1 KR1020047016870A KR20047016870A KR100642656B1 KR 100642656 B1 KR100642656 B1 KR 100642656B1 KR 1020047016870 A KR1020047016870 A KR 1020047016870A KR 20047016870 A KR20047016870 A KR 20047016870A KR 100642656 B1 KR100642656 B1 KR 10064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eel
hot
cooling
cooling water
stee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136A (ko
Inventor
아키오 후지바야시
마사토 사사키
요시미치 히노
아츠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0573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26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67Quenching devices for spray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21B45/0281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removing coo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56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characterised by the quenching agents
    • C21D1/60Aqueous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압연후에 반송롤로 반송되는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면냉각수단과,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을 냉각하기 위한 하면냉각수단을 구비하며, 동시에 이들 냉각수단들은, 각각 열연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와, 상기 방호부재에 대하여 상기 열연강대와 반대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헤더와, 상기 냉각수 헤더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열연강대면에 거의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또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그 노즐 선단이 방호부재의 열연강대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상기 열연강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균일하게 급속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 제조라인{ COOL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LINE FOR HOT ROLLED STEEL BAND}
본 발명은,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이를 이용한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대는, 가열로에 있어서 슬래브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된 슬래브(slab)를 조(粗)압연기에서 소정 두께의 조바(sheet bar)로 압연하며, 조바를 복수의 압연스탠드로 이루어지는 사상압연기에서 소정 두께의 강대(steel strip)로 압연하고, 압연후의 강대를 런아웃테이블(run-out table) 상에서 냉각장치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반송하며, 코일러(coiler)로 권취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런아웃테이블이란, 사상압연기의 하류측에 설치된 열연강대의 반송장치로서, 강대는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송롤에 의해서 반송된다.
종래의 런아웃테이블상의 냉각장치는, 강대의 안정한 반송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도1a,1b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1a는 외관도, 도1b는 도1a의 측면도이다. 강대(9)의 상면냉각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롤(7)의 직상에 강대(9)의 폭방향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설치된 원관 라미나 냉각노즐 (laminar flow cooling nozzle in cylindrical pipe;31)로부터 원관 라미나 냉각수(32)를 주수(注水)하여, 수압으로 강대(9)가 반송라인상에서 밀어붙여지지 않도록 행해진다. 한편, 강대(9)의 하면냉각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롤(7) 사이에 설치된 스프레이노즐(33)에 의하여 냉각수(34)를 간헐적으로 강대(9)에 분사하여 행해진다.
최근, 열연강대에는,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나, 저탄소 당량(當量)에서도 강도가 높은 것 등이 요망되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강대조직의 세립화가 유효하며, 열간압연후에 강대를 보다 급속하게 냉각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극저탄소강과 같이 탄소당량이 낮은 강에서는, 압연후의 오스테나이트립은 재결정에 의해서 조대화하기 쉬우므로, 강대를 200℃/s를 넘는 냉각속도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급속냉각을 행하기 위하여, 특개소 62-259610호 공보에는, 반송롤 사이에 가이드를 겸한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냉각수 분사판을 설치하고, 상기 구멍을 노즐로 하여 강대에 각도를 바꾸어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는 하면냉각장치에 의하여, 강대하면의 냉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개소 62-25961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1)열연강대는, 그 선단이 사상압연기를 나와 권취기에 이르기까지는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런아웃테이블상을 상하 진동하면서 반송된다. 상기 기술에서 이러한 장력이 없는 강대를 냉각하면, 상기 상하 진동이 조장되 기 때문에, 충분하게 냉각수량을 늘릴 수 없으며, 예컨대 판두께 3mm의 강대를 200℃/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2)상기 기술에서는, 강대의 상하면을 균등한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없다.
3)상기 기술은, 1000L/minㆍm2 전후의 수량(水量)밀도에 의한 냉각을 전제로 한 기술이지만, 예컨대 판두께 3mm 정도의 강대에 대하여 200℃/s 를 넘도록 한 냉각속도로 냉각하기 위해서는 더욱 큰 수량밀도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냉각장치에 의하여 수량밀도를 크게 하면, 강대의 폭방향중심부근에서는, 도2a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후의 냉각수가 냉각수분사판과 강대의 좁은 간격에 체류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냉각수의 유속이 저하하여 소정의 냉각능력을 얻을 수 없다. 한편, 강대의 폭방향 단부 부근에서는, 냉각수는 단부로부터 흘러 떨어지므로 체류함이 없이 소정의 냉각능력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대의 폭방향의 온도분포는, 양단부에서 목표온도가 얻어지고, 중앙부에서 목표온도보다 높게 되는 역V자형의 분포가 되어, 폭방향으로 균일한 냉각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냉각수분사판과 강대와의 거리를 떨어뜨린 경우,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대의 폭방향 중심부근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체류는 억제되며, 소정의 냉각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냉각후의 냉각수는 강대의 폭방향 중심부근으로부터 폭방향 단부를 향하여 대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폭방향 단부 부근에서는 냉각수류가 교란되어 냉각능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대의 폭방향의 온도분포는, 양단부에서 목표온도보다 높고, 중앙부에서 목표온도가 얻어지는 정V자형의 분포가 되어, 폭방향으로 균일한 냉각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또, 가이드를 겸한 냉각수분사판과 강대와의 거리를 적절히 한다 하여도, 냉각후의 강대의 폭방향의 온도분포는, 도2b의 역V자형과 도3b의 정V자형을 서로 더한 M자형의 분포가 되어, 폭방향으로 균일한 냉각을 행할 수 없게 되었다.
4)상기 기술과 같이, 냉각수분사판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노즐로 하여 강대에 각도를 바꾸어 냉각수를 분사시키면, 냉각수가 강대 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가 노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그 때문에, 강대에 대하여 경사지게 분사된 냉각수는, 강대까지의 거리가 크게 되고, 유속의 감쇠(減衰)가 커서 강대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없게 된다. 또한,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분사후의 냉각수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강대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냉각을 행하는 것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고, 동시에 균일하게 급속냉각할 수 있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이를 이용한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열간압연후에 반송롤로 반송되는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 고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면냉각수단과,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을 냉각하기 위한 하면냉각수단을 구비하며, 동시에 상면냉각수단 및 하면냉각수단은, 각각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와, 방호부재에 대하여 열연강대와 반대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헤더와, 냉각수 헤더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거의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또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그 노즐 선단이 상기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상기 열연강대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의 런아웃테이블에 설치하면, 열연강대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균일하게 급속냉각된 열연강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1a,1b는, 종래의 런아웃테이블상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2b는, 각각, 특개소 62-259610호 공보에 기재된 냉각장치로 냉각할 때의 냉각수의 거동 및 강대의 폭방향의 온도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a,3b는 각각, 도2a,2b에 있어서 냉각장치의 냉각수분사판과 강대와의 거리를 크게 한 때의 냉각수의 거동 및 강대의 폭방향의 목표온도와의 온도차를 모식 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a,5b는,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a,6b는, 각각, 주상의 라미나류, 비(非)라미나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7a,7b,7c,7d는, 각 방호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a,8b는, 도7a와 같은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을 형성한 평판 방호부재로 하여 배치한 냉각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 분사노즐의 위치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 분사노즐의 위치관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a,11b는, 반송중의 강대 선단의 거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상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분사노즐의 위치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비교예인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강대 폭방향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가 설치된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상기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은, 슬래브를 조바(2)로 압연하는 조압연기(1), 조바(2)를 소정의 판두께의 열연강대로 압연하는 복수의 압연스탠드로 이루어진 사상압연기(3), 사상압연된 열연강대(9)를 반송롤(7)에 의하여 반송하는 런아웃테이블(5), 반송된 열연강대(9)를 권취하는 권취기(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런아웃테이블(5)에는, 사상압연기(3)의 직후에, 열연강대(9)를 급속냉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또, 그 하류측에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냉각장치(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a에,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5b에 도5a의 냉각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는, 열연강대(9)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열연강대(9)의 하면을 냉각하는 하면냉각수단(4a)과, 열연강대(9)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열연강대(9)의 상면을 냉각하는 상면냉각수단(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냉각수단(4a,4b)은, 각각 열연강대(9)의 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강대면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상의 방호부재(10)(하면방호부재 10a, 상면방호부재 10b)와, 각 방호부재(10a, 10b)에 대하여 각각 열연강대(9)와 반대측에 배치된 냉각수헤더(12)(하면냉각수헤더 12a, 상면냉각수헤더 1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냉각수헤더(12a,12b)에는, 런아웃테이블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냉각수 분사노즐(15)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 분사노즐(15)은, 그 노즐 선단이 각 방호부재(10)의 열연강대(9)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열연강대(9)로부터 더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방호부재(10)에는 냉각수통과용의 복수의 냉각수통과공(11)이 형성되어 있고, 각 냉각수분사노즐(15)은, 이 냉각수통과공(11)을 통하여 강대면에 거의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연강대(9)의 상면측에는,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롤(7)에 거의 대향하여 2개의 가이드롤(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14)에 의하여, 열연강대(9)는 보다 안정하게 반송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14)은, 반송롤(7)에 거의 대향한 열연강대(9)의 상면측 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송롤(7)에 거의 대향하는 모든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면냉각수단(4b)의 상면방호부재(10b)는, 가이드롤(14)의 설치개소를 제외하고, 강대면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하면냉각수단(4a)의 하면방호부재(10a)는, 런아웃테이블의 길이방향에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반송롤(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면냉각수헤더(12a)에 설치되는 냉각수분사노즐(15)도, 각 반송롤(7)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도5a에서는, 하면냉각수헤더(12a)도 각 반송롤(7)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반송롤(7)의 아래쪽을 통하여 복수의 반송롤(7)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각 반송롤(7) 사이에 있어서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런아웃테이블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하면냉각수헤더(12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분할하여 냉각수헤더(12)를 설치하면, 열연강대(9)의 냉각을 세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경우는, 예컨대 강대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강대의 냉각개시점에 대응시켜서 최초로 사용하는 냉각수헤더(12)의 위치를 세밀하게 변경함에 의하여, 강대(9)의 냉각개시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경우는, 여러가지의 강대폭에 대응하여, 냉각수헤더(12)를 선택할 수 있어,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상면냉각수헤더(12b)에 관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면냉각수헤더(12b)는, 열연강대(9)를 개재하여 하면냉각수헤더(12a)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하여 설치됨으로써, 상하의 냉각의 밸런스가 쉽게 얻어지고고, 상하면의 냉각을 개시하는 헤더위치를 조정하기 쉬우며, 열연강대(9)를 그 상하로부터 받는 수압에 의해서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하 각 냉각수헤더(12)에 돌출하여 설치된 상면냉각수단(4b)의 각 냉각수분사노즐(15)과 하면냉각수단(4a)의 각 냉각수 분사노즐(15)과는, 열연강대(9)를 개재하여 거의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하의 냉각이나 수압의 밸런스를 얻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냉각수분사노즐(15)은, 각 냉각수헤더(12)로부터 돌출하여, 강대면에 거의 수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냉각수헤더(12)의 노즐설치면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대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에는, 냉각수분사노즐(15)은 냉각수헤더(12)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여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특개소 62-259610호 공보에 기재된 냉각장치와 같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가 분출후의 냉각수의 영향을 받는 것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각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강대에 충돌하는 냉각수의 유속이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냉각의 균일화가 꾀해진다.
냉각수분사노즐(15)에는, 일반적으로 라미나노즐(laminar nozzle)이 사용된다. 라미나노즐의 냉각수분사구는 원관형(cylindrical)이므로, 분사한 수류가 분산되지 않고 주상(柱狀;cylindrical)의 라미나류가 되어 강대(9)에 충돌한다. 여기서, 주상의 라미나류란 주로 층류 흐름이지만, 다소의 혹 모양의 난류(tubulent flow) 상태가 있어도 좋다.
도6a, 6b에 각각, 주상의 라미나류, 비(非)라미나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주상의 라미나류의 경우는, 수류가 분산하지 않고 강대에 도달하므로 냉각효율이 좋고, 200℃/s를 초과하도록 한 급속냉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비라미나류의 경우는, 노즐을 강대에 근접시켜도, 노즐로부터 분사된 냉각수의 유속이 강대와 노즐과의 사이에 체류하는 냉각수에 의해서 감쇠되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낮다.
종래의 냉각장치에 있어서도, 강대상면의 냉각에는 라미나냉각노즐이 사용되고 있지만, 강대 전면(全面)에 냉각수를 낙하시켜서 강대면을 냉각수로 덮고, 주로 막 비등(膜 沸騰;film boiling)에 의한 냉각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속도는 높아야 100℃/s 정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분사노즐에 라미나노즐을 사용하는 점에서는 종래의 냉각장치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약 2500L/minㆍm2 이상의 수량밀도로 대량의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강대전체를 냉각수로 덮음과 동시에, 노즐로부터 분사된 냉각수가 강대에 직접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판두께 3mm 정도의 강대를 200℃/s를 초과하는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냉각속도는 강대의 판두께에 의존하며, 판두께가 얇을 수록 빨라지지만, 수량밀도 등의 냉각조건이 일정한 경우는, (판두께)×(냉각속도)는 거의 일정하다고 하는 관계가 있다. 따라서, 판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예컨대 수량밀도를 증가함에 의해서, 원하는 냉각속도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수분사노즐의 분사구경은 1~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구경이 1mm보다 작으면 주상의 라미나류가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 의한 냉각에서는 충돌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즐출구에서의 유속이 결정되어 있어, 분사구경을 크게 하면 그만큼 수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수량을 증가하여도 냉각능은 어느 정도에서 포화하므로, 분사구경은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술한 냉각수헤더와 강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호부재는, 강대를 안정하게 반송시키는 역할과, 냉각수헤더나 냉각수분사노즐을 강대와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방호부재에 형성된 냉각수관통공은, 냉각수의 분출공으로서의 역할과, 분출후의 냉각수의 배수공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냉각수통과공을 형성한 방호부재로서는, 도7a와 같은 슬릿모양의 구멍을 형성한 평판, 도7b와 같은 복수의 봉을 병렬로 배치한 것, 도7c와 같은 격자상의 것, 도7d와 같은 액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7b, 7c, 7d의 방호부재는, 강대와 접촉하는 부분이 적어, 접촉면압이 높게 되어 강대에 눌러붙하거나, 강대에 압입마크(indentation flaw)를 부여하기 쉽다. 그 때문에, 냉각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필요최소한의 냉각수통과공을 가지는 도7a와 같은 슬릿모양의 구멍을 형성한 평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방호부재로 함에 의해서, 강대에 흠을 부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7a와 같은 평판의 방호부재를 사용한 경우, 그 판두께는 강대의 강도, 강성 등을 고려하면 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두께가 5mm 미만에서는, 반송되는 강대와의 충돌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거나 한다.
도8a,8b에 도7a와 같은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로 하여 배치한 냉각수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8a는 하면냉각수단의 평면도, 도8b는 상면냉각수단도 포함한 도8a의 A-A단면도이다.
방호부재(10)에 있는 각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에는, 복수의 냉각수반사노즐(15)이 설치되고, 여기로부터 라미나류(13)의 냉각수가 분사된다.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의 개구부는, 분사후의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큰 편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크면 강대(9)의 선단이 충돌하기 쉽고, 또한 구멍 에지와 접촉하여 눌러붙거나 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한개의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의 개구부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0개 정도의 냉각수분사노즐(15)이 직선상으로 수납되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에는, 직선상으로 나란한 복수의 노 즐을 복수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냉각수통과공(11)이 슬릿모양일 필요는 없고,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이 다수를 점한다면 충분하다. 일부에 슬릿모양이 아닌 냉각수통과공(11)이 있어도 냉각수를 통과시킬 때에 문제는 없다. 특히, 폭방향중앙부와 양단부에서는, 배치상의 이유로부터 냉각수통과공(11)을 슬릿모양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은, 배수(排水)를 냉각장치 바깥으로 배출하기 쉽기 하기 위하여, 그 길이방향이 강대(9)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길이방향이 강대(9)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면, 배수의 흐름을 교란하거나, 강대(9)의 선단이 구멍에 충돌하여 강대(9)나 냉각수통과공(11)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길이방향이 강대(9)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면, 배수의 흐름이 스무스해지지 않는다. 또,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모양의 냉각수통과공(11)은 런아웃테이블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동시에 냉각수통과공(11)의 길이방향이 강대(9)의 반송방향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배수를 냉각장치의 바깥으로 보다 스무스하게 배출시키는 데에 더욱 바람직하다.
도9에,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분사노즐의 위치관계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상기 예에서는, 방호부재(10a)의 두께가 얇고, 냉각수분사노즐(15)의 선단(16)이 방호부재(10a)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10a,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분사노즐의 위치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예에서는, 방호부재(10a)의 두께가 두껍고, 냉각수분사노즐(15)의 선단(16)이 방호부재(10a)의 냉각수통과공(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하면냉각수단에서는,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 강대(9)의 강대면과의 거리 Xa, 방호부재(10a)의 상면과 강대면과의 거리 Ya, 방호부재(10a)의 하면과 냉각수헤더(12a)와의 거리 Za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필요한 냉각속도가 얻어지도록, 강대에 충돌시키는 냉각수의 라미나류(13)의 충돌속도 및 냉각수분사노즐(15)의 피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이 충돌속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 강대면과의 거리 Xa가, 냉각수분사노즐(15)의 분사 구경(口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때,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 강대면과의 거리 Xa를 10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강대(9)를 냉각한 후의 냉각수가 강대(9)와 방호부재(10a)의 사이로부터 유출할 때, 냉각수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라미나류(13)가 강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해하는데, 특히 거리 Xa가 100mm를 초과하면, 냉각수의 라미나류(13)의 유속 감쇠가 현저하게 되기 때문에, 냉각수의 걍대로의 충돌이 더욱 방해되기 쉬워져, 강(强)냉각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은, 방호부재(10a)의 강대(9)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강대(9)로부터 더 먼 위치에 설치된다. 즉, 냉각수분사노즐(16)과 강대면과의 거리 Xa는, 다음에 설명하는 방호부재(10a)의 상면과 강대면 과의 거리 Ya보다도 큰 값이 되도록 결정된다.
방호부재(10a)의 상면과 강대면과의 거리(Ya)는, 강대(9)를 방호부재(10a)의 상면에 안정하게 반송시킨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결정된다. 방호부재(10a)의 위치가 낮은 경우,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되는 강대(9)의 선단은 아래로 구부러져 반송롤(7)에 충돌하여 위쪽으로 튀어오르고, 강대(9)의 진행과 동시에 강대(9)의 선단의 상하진동이 조장되어 안정한 반송이 해쳐질 우려가 있다. 최악의 경우,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대(9)가 여러 번 구부러져 주행 불능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Ya가 50mm를 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한편, Ya가 10mm 미만이면, 강대(9)가 늘 방호부재(10a)에 접촉하여, 강대에 긁힘 흠(scratching)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구부러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Ya는 10~50mm가 바람직하다.
방호부재(10a)의 하면과 냉각수헤더(12a)와의 거리 Za는, 냉각수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된 냉각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을 구성하므로, 보다 큰 편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크면 냉각수헤더(12a)로부터 돌출시킨 냉각수분사노즐(15)를 극단적으로 길게 하지 않으면 않게 된다. 한편, 냉각수분사노즐(15)에 사용하는 원관 라미나노즐의 직관부(直管部)의 길이에 대한 냉각수분사구경의 비는 5~20이 바람직하며, 20보다 크면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냉각수의 공급압력을 증가하지 않으면 않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5 미만으로 하면 분사되는 냉각수가 도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라미나류로 되어 버려, 충분한 냉각능력을 얻을 수 없다. 여기서, 거리 Za는, 방호부재(10a)의 냉각수통과공(11)을 통하여 배출되는 냉각수량을 고려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결정된다. 냉각수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되어 강대(9)를 냉각한 냉각수는, 방호부재(10a)와의 간격(거리 Ya)을 흘러서, ①방호부재(10a)와 강대(9)와의 간격의 폭방향 양단부, ②방호부재(10a)와 반송롤(7)과의 간격, ③방호부재(10a)에 형성된 냉각수통과공(11), 의 3개의 경로로부터 배출된다. 이 중, 방호부재(10a)와 반송롤(7)과의 간격은, 강대(9)의 선단이 이 간격에 접하지 않도록 통상은 예컨대 1mm 이하로 설정되므로, ②의 경로에 의하여 배출되는 냉각수량은 작다. 한편, ①의 경로로부터 배출하는 냉각수량이 많으면, 폭방향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폭방향 양단부로 향하는 흐름이 강해지고, 도3b에 도시된 정V자형의 폭방향 온도분포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로 향하는 흐름을 가능한한 적게 억제하기 위하여, 방호부재(10a)에 냉각수통과공(11)을 형성하여, 냉각수를 ③의 경로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각수통과공(11)의 면적을 결정하고, 그 면적으로부터 냉각수통과공(11)을 통하여 배출되는 냉각수량, 즉 냉각수헤더(12a)로 낙하하는 냉각수량을 구하고, 방호부재(10a)의 하면과 냉각수헤더(12a)와의 거리 Za가 결정된다. 또, 냉각수헤더(12a)에 낙하한 냉각수는, 냉각수헤더(12a)와 반송롤(7)과의 간격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도, 냉각수의 배출이 지체되면, 냉각수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라미나류(13)를 방해하여, 강대의 냉각에 폭방향의 불균일이 발생하므로, 충분한 간격을 취하여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12에, 상면냉각수단의 방호부재와 냉각수헤더와 냉각수분사노즐과의 위치관계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냉각수분사노즐선단(16)과 강대(9)의 강대면과의 거리 Xb, 방호부재(10b)의 하면과 강대면과의 거리 Yb, 방호부재(10b)의 상면과 냉각수헤더(12b)와의 거리 Zb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상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 강대면과의 거리 Xb는, 상술한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거리 Xa에 상당한다. 다만, 상면냉각수단의 경우는, 강대(9) 상에 냉각수가 체류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가이드롤(14)의 수나 설치위치, 방호부재(10b)의 하면과 강대면과의 거리 Yb, 방호부재(10b)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때,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 강대면과의 거리 Xb는, 하면냉각수단의 거리 Xa와 동일하게 1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방호부재(10b)의 하면과 강대면과의 거리 Yb는, 상술한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거리 Ya에 상당하고, 하면냉각수단의 경우와 동일하게 10~50mm가 바람직하다.
방호부재(10b)의 상면과 냉각수헤더(12a)와의 거리 Zb는, 하면냉각수단에 있어서의 거리 Za에 상당하지만, 추가적으로 가이드롤(14)의 수와 설치위치, 가이드롤(14)와 강대(9)와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 방호부재(10b)의 냉각수통과공(11)의 면적도 마찬가지로, 가이드롤(14)의 수와 설치위치, 가이드롤(14)과 강대(9)와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분사노즐(15)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16)이 방호부재(10b)의 냉각수통과공(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하면냉각수단의 경우, 강대(9)에 분사된 냉각수는, 중력에 의하여 방호부재 (10a)의 냉각수통과공(11)을 통하여 낙하하지만, 상면냉각수단의 경우는, 분사된 냉각수의 태반이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강대(9)와 방호부재(10b)와의 간격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는 냉각수는, 방호부재(10b)의 하면측으로부터 냉각수통과공(11)을 통과하여 방호부재(10b)와 냉각수헤더(12b)와의 사이 공간으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냉각수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하는 냉각수류가, 방호부재(10b)의 상방 공간을 폭방향 양단부로 흐르는 배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 하는 데는, 냉각수분사노즐(15)의 선단(16)을 냉각수통과공(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면냉각수단의 경우도, 배수량에 따라서는 냉각수헤더(12a)와 방호부재(10a)와의 사이를 폭방향 양단부로 흐르는 배수류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냉각수분사노즐(15)은, 그 선단(16)이 방호부재(10a)의 냉각수통과공(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14)은, 강대(9)의 선단이 걸리거나 강대(9)의 도중에 루프(ioop)가 생기는 것과 같은 반송상의 문제가 아니라면, 반송되는 열연강대(9)의 상면에 강대표면과의 사이에 약 5mm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반송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루프가 생기지 않도록 가이드롤(14)과 강대(9)와의 간격을 더욱 넓히고, 강대 선단 및 후단을 냉각수단의 바깥으로 내보내도록 한다. 가이드롤(14)과 강대(9)와의 간격을 넓힘에 따라서 배수성이 나빠지게 될 때는, 냉각수단의 입측 및 출측 및 중간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핀치롤을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강대(9)를 집어내서, 냉각수단중으 로 도입하거나 또는 냉각수단의 바깥으로 내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에 의하면, 방호부재나 가이드롤에 의하여 안정한 강대의 반송을 유지하면서, 상하면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냉각수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열연강대를 강냉각할 수 있다. 또한, 강대면에 분사된 냉각수를 적절하게 배출하고, 그 흐름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열연강대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폭방향으로도 균일하게 강냉각이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열연강대 제조라인의 런아웃테이블상에 설치하면, 냉각속도 200℃/s를 초과할 수 있도록 한 급속냉각으로 강대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고, 재질변동이나 형상불량이 적은 가공성이 우수한 열연강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설치한 도14에 나타낸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을 사용하여, 판두께 30mm, 판폭 1000m의 탄소강의 조바를 7기(機)의 압연스탠드로 이루어진 사상압연기에 의하여 반송속도 700mpm, 사상온도 850℃에서, 판두께 3mm의 강대로 압연후, 그 강대를 냉각속도 약 700℃/s로 약 550℃까지 냉각하고, 그 후 권취온도가 500℃가 되도록 종래의 냉각장치(8)를 사용하여 냉각하였다. 또, 냉각속도 약 700℃/s인 때의 수량밀도는 7500L/minㆍm2이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냉각수단(4a)은, 길이방향으로 500mm 피치로 설치된 직경 300mm의 복수의 반송롤(7)과, 이 반송롤(7) 사이에, 반송되는 열연강대(9)에 근접한 위치에, 열연강대(9)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두께 25mm의 평판의 하면방호부재(10a)와, 하면방호부재(10a)에 형성된 냉각수통과용의 복수의 냉각수통과공(11)과, 노즐 선단을 방호부재 상면보다 아래에 배치한 구경 5mm의 냉각수분사노즐(15)과, 냉각수분사노즐(15)이 돌출하여 설치된 하면냉각수헤더(12a)를 구비하고 있다.
하면냉각수헤더(12a)는, 각 반송롤 사이에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면냉각수헤더(12a)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분사노즐(15)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분사노즐(15)에는 라미나노즐이 사용되고 있다.
강대면과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의 거리 Xa를 25mm, 강대면과 하면방호부재(10a)의 상면과의 거리 Ya를 10mm, 하면방호부재(10a)와 냉각수헤더(12a)와의 거리 Za를 30mm로 하였다.
상면냉각수단(4b)는, 반송롤(7)에 대향하는 위치에, 강대(9)로부터 5mm의 간격을 두어 설치된 3개의 가이드롤(14)과, 반송되는 열연강대(9)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 열연강대(9)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판두께 25mm의 평판의 상면방호부재(10b)와, 이 상면방호부재(10b)에 형성된 냉각수통과용의 복수의 냉각수통과공(11)과, 노즐 선단을 방호부재 하면보다 위에 배치한 구경 5mm의 냉각수분사노즐(15)과, 냉각수분사노즐(15)이 돌출하여 설치된 상면냉각수헤더(12b)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냉각수헤더(12b)는, 하면냉각수단의 냉각헤더(12a)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상면냉각수헤더(12b)에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분사노즐(15)이 폭방향으로 30mm 간격, 길이방향으로 30m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분사노즐(15)로는 라미나노즐이 사용되고 있다.
강대면과 냉각수분사노즐 선단(16)과의 거리 Xb를 30mm, 강대면과 하면방호부재(10b)의 상면과의 거리 Yb를 15mm, 하면방호부재(10b)와 상면냉각수헤더(12b)와의 거리 Zb를 30mm로 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도15에 도시한 냉각장치를 열연강대의 제조라인에 설치하여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비교예에 사용된 냉각장치에서는, 냉각수분사노즐이 냉각수헤더(22) 내에 메워넣어져 장착되어, 노즐 선단이 냉각수헤더(22)의 표면에 위치하는 외에는, 도13의 본 발명 냉각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강대면과 냉각수분사노즐 선단과의 거리 X를 60mm, 강대면과 방호부재(20)과의 거리 Y를 20mm, 방호부재(20)와 냉각수헤더(22)과의 거리 Z를 15mm로 하였다.
도16에, 강대 폭방향의 온도분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로 냉각한 경우는, 강대 폭방향의 온도분포가 ±20℃ 정도로서, 폭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냉각이 수행되었다. 이 때, 열연강대의 강도의 폭방향 변동은 20MPa이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강대 폭방향의 온도분포가 ±50℃ 이상이고, 폭방향으로 정V자형의 온도분포가 얻어졌다. 또한, 강대폭 양단부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형상이 교란되어 권취를 정상적으로 행할 수가 없었다. 더욱이, 열연강대의 강도의 폭방향 변동은 80MPa이었다.
또, 비교예에 사용한 냉각장치의 방호부재를 강대에 접근시키면, 강대 폭방향으로 역V자형의 온도분포가 얻어졌다.

Claims (24)

  1. 열간압연후에 반송롤로 반송되는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면냉각수단과,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을 냉각하기 위한 하면냉각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면냉각수단 및 하면냉각수단은, 각각,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와,
    상기 방호부재에 대하여 상기 열연강대와 반대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헤더(header)와,
    상기 냉각수 헤더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그 노즐 선단이 방호부재의 냉각수 통과공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와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의 한 쌍, 및 상기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과 상기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열연강대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과의 거리가,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와 대향하는 판면과의 거리가,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을 가지고, 상기 슬릿모양 냉각수 통과공의 장축방향이 열연강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져있고, 동시에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 중 하나를 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분사노즐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을 가지고, 상기 슬릿모양 냉각수 통과공의 장축방향이 열연강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져있고, 동시에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 중 하나를 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분사노즐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롤이,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있는 반송롤에 대향한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측 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12. 제1항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를 냉각하는 공정을 가지는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3.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와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의 한 쌍, 및 상기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과 상기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분사노즐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열연강대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과의 거리가 100mm 이하이며,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와 대향하는 판면과의 거리가 10~50mm이고,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이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의 장축방향이 열연강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져있고, 동시에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중 하나를 통하여 복수의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출되며,
    가이드롤이,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있는 반송롤에 대향한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측 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청구범위 제1항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를 냉각하는 공정을 가지는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냉각을, 수량밀도 2500L/minㆍm2 이상의 주상(柱狀;cylindrical) 라미나류(laminar flow)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냉각을, 수량밀도 2500L/minㆍm2 이상의 주상 라미나류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6. 청구범위 제1항의 열연강대 냉각장치가, 런아웃테이블(run-out table)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제조라인.
  17.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와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의 한 쌍, 및 상기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과 상기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분사노즐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열연강대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과의 거리가 100mm 이하이며,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와 대향하는 판면과의 거리가 10~50mm이고,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이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의 장축방향이 열연강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져있고, 동시에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중 하나를 통하여 복수의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출되며,
    가이드롤이,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있는 반송롤에 대향한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측 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청구범위 제1항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가, 런아웃테이블에 설치된 열연강대의 제조라인.
  18. 열간압연후에 반송롤로 반송되는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면냉각수단과,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을 냉각하기 위한 하면냉각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면냉각수단 및 하면냉각수단은, 각각,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와,
    상기 방호부재에 대하여 상기 열연강대와 반대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헤더와,
    상기 냉각수 헤더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그 노즐 선단이 상기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상기 열연강대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호부재는,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을 가지고,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의 장축방향이 열연강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져있고, 동시에 상기 슬릿모양의 냉각수 통과공 중 하나를 통하여 복수의 냉각수 분사노즐에 의하여 냉각수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19. 열간압연후에 반송롤로 반송되는 열연강대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면냉각수단과,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강대의 하면을 냉각하기 위한 하면냉각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상면냉각수단 및 하면냉각수단은, 각각,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통과공이 형성된 방호부재와,
    상기 방호부재에 대하여 상기 열연강대와 반대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냉각수 헤더(header)와,
    상기 냉각수 헤더에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열연강대의 강대면에 수직하게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냉각수 분사노즐은, 그 노즐 선단이 상기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에 대향하는 면보다도 상기 열연강대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그 노즐 선단과 열연강대의 강대면과의 거리가 냉각후의 냉각수의 흐름을 고려하여 필요한 충돌속도를 확보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와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헤더의 한 쌍, 및 상기 상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과 상기 하면냉각수단의 냉각수 분사노즐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열연강대를 개재하여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냉각수 분사노즐 선단과의 거리가,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열연강대의 강대면과, 방호부재의 상기 열연강대와 대향하는 판면과의 거리가,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가이드롤이, 열연강대의 하면측에 있는 반송롤에 대향한 상기 열연강대의 상면측 위치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24.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열연강대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열간압연후의 열연강대를 냉각하는 공정을 가지는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KR1020047016870A 2002-08-08 2002-08-08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KR100642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8113 WO2004014577A1 (ja) 2002-08-08 2002-08-08 熱延鋼帯の冷却装置、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ラ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136A KR20040102136A (ko) 2004-12-03
KR100642656B1 true KR100642656B1 (ko) 2006-11-03

Family

ID=3705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870A KR100642656B1 (ko) 2002-08-08 2002-08-08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23631B2 (ko)
EP (1) EP1527829B1 (ko)
KR (1) KR100642656B1 (ko)
DE (1) DE60229562D1 (ko)
WO (1) WO2004014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6906A1 (ja) * 2005-08-30 2007-03-08 Jfe Steel Corporation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4876783B2 (ja) * 2005-08-30 2012-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4876781B2 (ja) * 2005-08-30 2012-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4876782B2 (ja) * 2005-08-30 2012-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熱間圧延設備および熱間圧延方法
JP4774887B2 (ja) * 2005-09-27 2011-09-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製造方法
EP1938911A1 (en) * 2006-12-27 2008-07-02 VAI Industries (UK)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cooling
DE102007010375A1 (de) 2007-01-25 2008-07-31 Sms Demag Ag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Metallbandes
CN101594945B (zh) * 2007-01-25 2015-08-12 Sms西马格股份公司 用于冷却金属带材的装置
BE1017462A3 (fr) * 2007-02-09 2008-10-07 Ct Rech Metallurgiques Asbl Dispositif et procede de refroidissement de cylindres de laminage en regime hautement turbulent.
JP4876960B2 (ja) * 2007-02-20 2012-0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EP2014379A1 (en) * 2007-06-04 2009-01-14 ArcelorMittal France Rolling mill with cooling device and rolling process
DE102007055475A1 (de) * 2007-06-27 2009-01-08 Sms Demag Ag Kühlvorrichtung zum Kühlen eines Metallbandes
PL2100673T3 (pl) 2008-03-14 2011-06-30 Arcelormittal France Sposób i urządzenie do nadmuchiwania gazu na przemieszczającą się taśmę
KR101291832B1 (ko) * 2008-07-16 2013-07-3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열강판의 냉각 설비 및 냉각 방법
KR101062064B1 (ko) 2008-10-28 2011-09-02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재용 냉각장치
JP5614040B2 (ja) * 2009-03-25 2014-10-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JP4678069B1 (ja) 2009-03-30 2011-04-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の冷却装置
JP5573837B2 (ja) * 2009-06-30 2014-08-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の冷却装置、冷却方法、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674646B2 (ja) * 2009-06-30 2011-04-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4678448B2 (ja) * 2009-07-15 2011-04-2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KR101395509B1 (ko) * 2009-11-24 2014-05-1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CN101993995B (zh) * 2010-11-26 2012-05-30 首钢总公司 超高强度带钢水淬冷却方法及装置
KR101376565B1 (ko) * 2011-12-15 2014-04-02 (주)포스코 연속 소둔라인 급냉대의 스트립 온도제어 방법 및 장치
DE102012223848A1 (de) 2012-12-19 2014-06-26 Sms Siema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von Walzgut
JP5825250B2 (ja) 2012-12-25 2015-12-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EP2783766A1 (de) 2013-03-25 2014-10-01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Kühlstrecke mit unterem Spritzbalken
CN103567238B (zh) * 2013-11-07 2015-08-26 杨海西 钢板冷却装置
JP6094722B2 (ja) * 2014-11-28 2017-03-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急冷焼入れ装置
WO2017115110A1 (en) 2015-12-30 2017-07-06 Arcelormittal Process and device for cooling a metal substrate
EP3395463B1 (de) * 2017-04-26 2019-12-2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Kühlung eines walzguts
BE1025125B1 (fr) * 2017-09-04 2018-10-31 Centre de Recherches Métallurgiques asbl-Centrum voor Research in de Metallurgie vzw Essuyeur sans contact et installation industrielle comportant un tel essuyeur
DE102017127470A1 (de) * 2017-11-21 2019-05-23 Sms Group Gmbh Kühlbalken und Kühlprozess mit variabler Abkühlrate für Stahlbleche
DE102018109579A1 (de) * 2018-04-20 2019-10-24 Schwartz Gmbh Temperiervorrichtung zur partiellen Kühlung eines Bauteils
KR102281549B1 (ko) * 2018-12-19 2021-07-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변형 억제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및 변형 억제방법
DE102019106730A1 (de) * 2019-03-18 2020-01-02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Kühlung von flachem Walzgut ohne Nachlaufen des Headers
BE1028607B1 (de) * 2022-01-24 2022-04-06 Univ Linyi Schutzvorrichtung für ultraschnellkühlzone nach walzen von warmgewalztem bandstah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9853A (en) * 1967-08-29 1969-11-25 Jones & Laughlin Steel Corp Hot rolling of light gauge strip
US3756869A (en) * 1970-09-03 1973-09-04 Bethlehem Steel Corp Method of hardening steel plates
US3856281A (en) * 1971-07-17 1974-12-24 Centro Speriment Metallurg Device for cooling hot rolled metallic strips
US4047985A (en) * 1976-02-09 1977-09-13 Wean Unit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mmetrically cooling heated workpieces
EP0060732A3 (en) * 1981-03-18 1983-03-23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lso known as Kobe Steel Ltd. Controlled cooling apparatus for a wire rod
JPS57156830A (en) * 1981-03-24 1982-09-28 Kawasaki Steel Corp Cooling method for rolling material
ATE19709T1 (de) 1982-10-20 1986-05-15 Asea Jumet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elbstheilfaehigen kondensators.
JPS6052009U (ja) * 1983-09-12 1985-04-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鋼板冷却噴射装置
JPS6070126A (ja) * 1983-09-27 1985-04-20 Nippon Kokan Kk <Nkk> 金属板の下面冷却装置
US4497180A (en) * 1984-03-29 1985-02-05 National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eful in cooling hot strip
JPS62259610A (ja) 1986-04-30 1987-11-12 Kobe Steel Ltd 鋼板下面の冷却装置
NL9001462A (nl) 1990-06-27 1992-01-16 Hoogovens Groep Bv Koelsysteem voor het koelen van een bewegende metaalband.
JPH04238618A (ja) * 1991-01-07 1992-08-26 Nippon Steel Corp 鋼板下面冷却装置
JPH0631634A (ja) 1992-07-16 1994-02-08 Rohm Co Ltd 微粉末の除去方法
JPH08281556A (ja) 1995-04-14 1996-10-29 Fukuyama Kyodo Kiko Kk 薄板研掃装置
JPH08309662A (ja) 1995-05-16 1996-11-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のメッキ前処理設備
JPH091460A (ja) 1995-06-19 1997-01-07 Ito Kiko Kk ショット除去装置
JPH09155743A (ja) 1995-12-11 1997-06-17 Fuji Seisakusho:Kk 被加工物に付着した研掃材の除去方法
JP4164982B2 (ja) 2000-03-01 2008-10-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と、その冷却方法
JP4120129B2 (ja) 2000-03-01 2008-07-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と、その冷却方法
JP3562423B2 (ja) * 2000-03-01 2004-09-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と、その冷却方法
EP1210993B2 (en) 2000-03-01 2016-07-06 JFE Ste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hot rolled steel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ot rolled steel band
JP3642031B2 (ja) 2001-02-15 2005-04-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60271A1 (en) 2006-03-23
EP1527829B1 (en) 2008-10-22
US7779661B2 (en) 2010-08-24
EP1527829A1 (en) 2005-05-04
EP1527829A4 (en) 2006-02-15
US7523631B2 (en) 2009-04-28
US20090211670A1 (en) 2009-08-27
WO2004014577A1 (ja) 2004-02-19
KR20040102136A (ko) 2004-12-03
DE60229562D1 (de)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656B1 (ko) 열연강대의 냉각장치,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및 열연강대의제조라인
TWI460031B (zh) 熱軋鋼板之冷卻裝置
JP4586791B2 (ja) 熱延鋼帯の冷却方法
JP4449991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及び方法
WO2007055403A1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TW544342B (en) Cooling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line for hot rolled steel strip
KR101052453B1 (ko) 열연강대의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TW201107052A (en) Cooling system, cooling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heet
TW201107054A (en) System for coo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heet
JP3770216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延鋼帯製造ライン
JP5515483B2 (ja) 厚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WO2007037095A1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製造方法
JP3642031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
EP2979769B1 (en) Thick steel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EP1889671B1 (en) Cooling apparatus for hot rolled steel strip,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rolled steel strip, and production line for hot rolled steel strip
TWI446975B (zh) 鋼板之冷卻裝置、熱軋鋼板之製造裝置以及鋼板之製造方法
JP4518117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518107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15073995A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
JPH1058026A (ja) 高温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347781B2 (ja) 熱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H08206724A (ja) スケール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