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041A -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 - Google Patents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041A
KR20080032041A KR1020077030479A KR20077030479A KR20080032041A KR 20080032041 A KR20080032041 A KR 20080032041A KR 1020077030479 A KR1020077030479 A KR 1020077030479A KR 20077030479 A KR20077030479 A KR 20077030479A KR 20080032041 A KR20080032041 A KR 2008003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piping member
resin composition
pip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456B1 (ko
Inventor
히데히로 고로기
스에요시 스에토메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7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 65~90 질량부와 (b) 평균입자직경 1~10㎛의 탈크 10~25 질량부와 (c)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에틸렌·부텐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 성분 1~10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이 (a)~(c)를 용융혼련한 후의 MFR이 0.01~2.00g/10min인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이다.
배관부재

Description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PIPING MEMBER, PIPING MEMBER MOLDED BY USING SAME, AND MULTILAYER PIPING MEMBER}
본 발명은, 60℃ 이상의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라인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압출성형법으로 제조되는 파이프나,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되는 이음매, 플랜지, 밸브, 및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의 배관부재에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팽창계수가 낮음으로써, 특히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라인에서 사용하는데 있어 열팽창에 따른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伸長)이 억제되고, 장기간의 크리프(creep) 특성이 양호하며, 자외선 열화가 적음으로써 배관부재의 장기(長期) 수명이 뛰어나고, 또한 융착성이 좋기 때문에 융착시공한 접합부분의 품질이 양호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강성, 내열성 또는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는 각종 공장, 의료분야, 건축분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는 고온 영역에서의 산/알칼리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가격도 저가이기 때문에, 공업분야에서의 고온 약액배관이나 급탕용 배관에 적합하여, 이후 그 보급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를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라인에 사용하였을 경우, 통상의 프로필렌계 수지의 선팽창계수는 12×10-5~15×10-5/℃ 정도이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파이프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파이프를 고정시공하여 60℃ 이상의 고온의 유체를 흘렸을 때, 열팽창에 따른 파이프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해 사행(蛇行) 현상이 일어나고, 파이프에 커다란 비틀림응력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장기 수명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이음매나 밸브와의 접속부분에 비틀림이 발생함으로써, 유체의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 파이프의 일정 간격에 ㄷ자형 유로(신축곡관(伸縮曲管))를 설치하여 파이프의 팽창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나, 신축관(伸縮管)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때문에 설비 공간을 크게 차지해야 하여 배관에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 자체의 열팽창을 줄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열팽창을 억제시키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프로필렌계 수지에 무기충전재를 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100부와 에틸렌프로필렌고무 20~50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에, 탈크 0~20부와 위스커(whisker) 2.5~20부로 이루어지는 무기질의 충전제가 배합된 고무변성 폴리프로 필렌 수지재가 있었다(일본공개특허 소63-57653호 공보). 이 수지재는 주로 범퍼 등의 자동차 부품용도로 이용되는 것으로,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선팽창계수가 낮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강성과 내열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처리한 탈크를 이용하여 무기충전재를 고충전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와 표면처리 탈크 30~4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표면처리 탈크가 탈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 0.1~5 중량부와 고급 지방산 금속염 0.1~5 중량부에 의해 표면처리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이 있었다(일본특허공개 2000-256519호 공보). 이 수지조성물은 자동차용 부품을 비롯한 각종 공업제품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찌꺼기의 발생이 적고 분산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들은, 조성물 안에 무기충전재를 배합하면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일단 유추할 수 있지만, 무기충전재가 첨가된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배관부재에 필요한 특성이 고려된 기술은 지금까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 종래기술을 그대로 배관부재 용도로 이용하였다고 해도, 무기충전재를 첨가한 것만으로는 배관부재로서의 특성을 만족할 수 없어, 그대로는 배관부재용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배관부재로서 중요한 요소인 크리프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되고 있지 않다. 크리프 특성은 인장강도나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등의 단기적인 시험으로부터는 고찰할 수 없는 것이며, 장기간의 크리프 특성이 좋지 않은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배관부재로서 적용할 수 없 다.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로서는, 23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005~5g/10min의 범위에 있고, 시차 주사형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흡열곡선의 최대 피크 위치의 온도가 128~172℃의 범위에 있으며, 밀도가 898~917kg/m3의 범위에 있고, 탄소원자수 4~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이끌어진 구성단위의 함유비율이 0~6 몰%의 범위에 있고, 200℃에서 성형한 프레스 시트 시험편의 굽힘탄성율이 800~2,600MPa의 범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제 파이프가 있었다(일본특허공개 평10-195264). 이 파이프는 무기충전재나 그 밖의 선팽창계수를 억제하는 첨가제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특정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에 있어서, 무기충전재나 다른 선팽창계수를 억제하는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조성으로부터 선팽창계수가 적어도 견적으로도 12×10-5/℃ 정도인 것이 추측되기 때문에, 파이프를 고정시공하여 고온의 유체를 흘렸을 때, 열팽창에 따른 파이프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해 사행현상이 발생하고, 파이프에 커다란 비틀림응력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장기 수명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단순히 무기충전제를 첨가한 것만으로는, 파이프 성형에 있어서, 드로우다운(drawdown)이 커서 성형이 불가능하거나, 가령 파이프 성형이 가능하다고 해도 내열성이 불충분하여 파이프의 수명이 짧거나, 배관부재로서 충분한 인장탄성율을 얻을 수 없고 파손되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가 가지는 결점을 극복하고, 선팽창계수가 낮음으로써, 특히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라인에서의 사용에서 열팽창에 따른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억제되고, 또한 장기간의 크리프 특성이 양호하며, 자외선 열화가 적음으로써, 배관부재의 장기 수명이 뛰어나고, 또한 융착성이 좋기 때문에 융착 시공한 접합부분의 품질이 양호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바람직한 성질을 가지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배관부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세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프로필렌 수지와 탈크와 고무 성분을 필수로 한 배합계의 수지조성물로 성형한 배관부재에서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배관부재에 있어서,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 65~90 질량부와, (b) 평균입경 1~10㎛의 탈크 10~25 질량부와 (c)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에틸렌·부텐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 성분 1~10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이 (a)~(c)를 용융혼련한 후의 MFR이 0.01~2.00g/10min인 것을 제1 특징으로 하고, 더욱이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며, 선팽창계수가 5×10-5/℃~8×10-5/℃인 것을 제3 특징으로 하고,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Mw/Mn)가 3~12인 것을 제4 특징으로 하며, 95℃의 분위기하에서 3.5MPa의 인장하중을 가한 크리프 특성에 있어서,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1000시간 이상인 것을 제5 특징으로 하고, 더욱이 탈크 표면처리제, 중금속 불활성화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합부재인 것을 제7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다층배관부재인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고온의 유체에 의한 리얼 플로우 테스트의 설명도이다.
도 2는 고온의 유체에 의한 리얼 플로우 테스트를 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2: H형 강철
3: 고정부재 4: 고정지그
5: 금형 온도조절기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서 사용하는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는, 에틸렌 함유량 1 질량% 이하의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이며, 통상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라고 불린다. 프로필렌 수지에는, 그 밖에도 랜덤형 프로필렌 수지, 블록형 프로필렌 수지가 있는데,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는 랜덤형 프로필렌 수지에 비하여 선팽창계수를 줄일 수 있고, 블록형 프로필렌 수지에 비하여 크리프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열팽창에 따른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억제되어, 배관부재의 장기 수명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의 중합방법이나 중합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량 분포(Mw/Mn)는 3~1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8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성형한 파이프의 내면 조도(粗度)를 줄인다는 점에서 3 이상이 좋고, 크리프 특성,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12 이하가 좋다.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의 배합비율은 65~90 질량부이다. 이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65 질량부 이상일 필요가 있고, 열팽창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9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서 사용하는 (b) 탈크는 평균입경 1~10㎛이다. 이는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 등의 성형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평균입경이 1㎛ 이상일 필요가 있으며, 열팽창특성이나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평균입경이 1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b) 탈크의 배합비율은 10~25 질량부이다. 이는 선팽창계수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관부재(특히, 파이프)가 열팽창에 따른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을 억제함으로써, 배관부재에 커다란 비틀림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내약품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융착강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며 배관부재의 양호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25 질량부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서 사용하는 (c) 고무 성분은,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에틸렌·부텐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것들을 복수 조합하여 배합하여도 된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에 대해서는 수소첨가한 것도 포함되며,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배관부재로 하였을 때 내약품성이나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수소부가율은 10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고무 성분들은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 매트릭스 안에 미세분산됨으로써 높은 충격흡수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는, 다른 고무 성분에 비하여 적은 배합량으로 높은 충격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배분량이 적기 때문에, 고무 성분의 배합으로 손상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크리프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초고분자 타입이면,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크리프 특성의 저하를 거의 없앨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c) 고무 성분의 배합비율은 1~10 질량부이다. 이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1 질량부 이상일 필요가 있고, 장기간의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는 내후제로서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안정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들을 조합하여 배합하여도 된다. 탈크 등의 무기충전재를 프로필렌 수지에 배합하면 쉽게 자외선 열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배관부재를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후제를 배합함으로써 자외선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등을 들 수 있으며,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와의 길항(拮抗)효과가 없는 것, 또한 고온의 유체가 접할 때 프로필렌 수지로부터의 용출이 적다는 등의 이유 때문에, 내후제로서 특히 벤조페논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후제는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에 대하여 0.2~1.0 질량부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는, 탈크 표면처리제 또는 중금속 불활성화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들을 조합하여 배합하여도 좋다. 이는 탈크가 내후제를 흡수함으로써 내후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고 생각되어, 탈크가 내후제를 흡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탈크 표면처리제 또는 중금속 불활성화제를 배합함으로써, 자외선 열화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현되어 배관부재의 내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탈크 표면처리제로서는 유기 실란 화합물이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중금속 불활성화제로서는 히드라진계, 아민산 유도체, 벤조트리아졸계 등을 들 수 있다. 적은 배합량으로도 효과가 있으며 저가라는 이유 때문에, 특히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는, 그 밖에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활제, 핵제, 안료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배합한 후, 용융혼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축압출기나 이축압출기, 니더(kneader) 등을 이용함으로써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이라고 함)는, 0.01~2.00g/10min일 필요가 있고, 0.10~0.60g/10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양호한 생산성을 얻기 위하여 MFR은 0.01g/10min 이상이 좋고, 파이프 성형에서의 드로우 다운을 억제하여 양호한 스트레스 크랙성을 얻기 위하여 MFR은 2.00g/10min 이하가 좋다. 한편, MFR은 JIS K7210에 준거하여, 시험온도 230℃, 시험하중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크리프 특성은, 95℃의 분위기하에서 3.5MPa의 인장하중을 가한 조건하에서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1000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밸브나 파이프라는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에 대하여, 내압이 걸린 상태에서 고온의 유체를 흘린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95℃의 분위기하에서 3.5MPa의 인장하중을 가한 조건하에서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1000시간 이상이라는 것은 테스트 피스에 대한 시험조건이며, 이것이 배관부재, 특히 파이프에 대하여 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인장하중 3.5MPa와 동등한 인장하중이 가해지는 파이프 내압을 가압함으로써 시험을 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 내압은 파이프의 외경과 두께, 및 인장하중 3.5MPa로부터 식 (1)로 나타내는 Naday 공식에 의해 환산할 수 있다.
파이프 내압=(2×파이프 두께×인장하중)/(파이프 외경-파이프 두께)…(1)
예를 들어, 두께 3.0mm, 외경 32mm인 파이프이면, 식 (1)로부터 파이프 내압 0.7MPa가 구해진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선팽창계수는 5×10-5~8×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성형한 배관부재(특히, 파이프)를 고정시공하여 고온의 유체를 흘렸을 때, 열팽창에 따른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해 사행현상이 일어남으로써, 배관부내에 커다란 비틀림응력이 발생하여 파이프가 열화하여 배관부재의 장기 수명이 손상되거나, 파이프와 이음매나 밸브 등과의 접속부분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유체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다층배관부재이어도 좋다. 층의 수나 각 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의 층은 선 팽창계수가 8×10-5/℃보다 큰 수지인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내층(접액층)이 선팽창계수 15×10-5/℃의 올레핀계 수지이며, 외층이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인 2층 파이프로 한 다층배관부재인 경우, 외층이 선팽창계수가 낮은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임으로써 2층 파이프의 선팽창계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내층에서는 올레핀계 수지로서의 내약품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내층의 수지는 내약품성 외에도 용출성이 양호한 수지이면, 금속이온의 용출을 피하는 용도로서 특히 반도체 제조공장의 배관에 바람직하다. 한편,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은, 내층, 외층, 중간층 중 어디에 설치하여도 되고, 여러 층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의 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ABS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등의 불소수지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는 파이프, 다층파이프,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이음매, 플랜지, 밸브,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 및 다층성형으로 제조되는 이음매, 플랜지, 밸브,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성형하여 그 성능을 아래에 나타내는 시험방법으로 평가하고,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외층에 가지는 2층 파이프의 성능에 대해서는 아래에 나타내는 (1) 선팽창계수 측정과 (8) 용출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선팽창계수 측정시험
JIS K 7197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로부터 두께 5.0mm, 폭 5.0mm, 길이 10.0mm의 선팽창 측정용 시험편을 잘라내고, 23~100℃의 범위에서 선팽창계수 측정시험을 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시험
JIS K 7113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로부터 1호형 시험편에 상당하는 두께 3.1mm, 폭 10.0mm, 길이 175.0mm의 인장시험편을 잘라내고, 23±1℃의 분위기 안에서 인장시험을 하고,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율을 측정하였다.
(3) 노치 아이조드(notched Izod) 충격시험
JIS K 7110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로부터 시험편 타입 4에 상당하는 두께 3.1mm, 폭 12.5mm, 길이 63.0mm, 노치깊이 2.5mm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시험편을 잘라내고, 23±1℃의 분위기 안에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4) 크리프 시험
DIN 8087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 1000mm에 대하여 95±1℃ 내압 0.7MPa(파이프 두께 3.0mm, 외경 32mm, 인장하중으로 3.5MPa에 상당하는 파이 프 내압을 식 (1)의 Naday 공식으로부터 산출)를 가하여,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파이프 내압=(2×파이프 두께×인장하중)/(파이프 외경-파이프 두께)…(1)
(5) 융착시험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 500mm 끼리를 버트 융착기(butt fusion machine)를 이용하여 맞대어 접합하고, 맞댄 부분이 중심이 되도록 시험편을 작성하여 인장시험을 하였다. 융착시험의 합격판정은, 이 인장시험 결과와 (2)의 인장시험에서의 2% 비틀림시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여, 2% 비틀림시의 인장강도 이상이면 융착강도를 합격으로 하고(표 1에서는 ○로 표시), 2% 비틀림시의 인장강도 미만이면 융착강도를 불합격(표 1에서는 ×로 표시)이라고 하였다. 한편, 상기 합격 판정은 DVS 2205에 의한 PP 파이프 시공시의 허용비틀림율은 2% 이하라는 규정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6) 내후성 시험
상기 인장시험편을 이용하여, 크세논 아크 광원의 야외노출 시험장치(웨더 메터)에 의해, 조사(照射) 시간 600시간(조사 에너지 135,000kJ/m2, 야외노출 6개월에 상당)으로 강제열화 시험을 하였다. 그 후 인장연신율을 측정하고, 조사 0시간의 인장연신율(500%)로부터의 변화를 유지율로서 계산하였다. 이 유지율이 높을수록, 내후성이 뛰어나게 된다.
(7) 고온의 유체에 의한 리얼 플로우 테스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외경 63mm, 두께 6mm, 길이 4000mm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1)를 4500mm의 H형 강철(2) 위에 놓고, 양끝을 고정부재(3)로 고정하고, 파이프 끝으로부터 파이프 길이의 3분의 1의 위치를 고정지그(4)로 고정하며, 파이프를 물로 가득 채운 후, 금형 온도조절기(5)(MCJ, 일본 마츠이세이사쿠쇼 제품)를 이용하여 90℃의 뜨거운 물을 파이프 안으로 흘려, 그대로 1시간이 경화한 후의 파이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8) 용출시험
파이프 1000mm의 한쪽 끝에 프로필렌 수지제 캡을 융착하고, 그것을 금유(禁油) 처리한다. 그 후, 파이프 안에 초순수를 넣어 남은 공간을 질소 가스로 채우고, 파이프의 다른 한 쪽끝을 사란 시트(Saran sheet)로 밀봉한 후, 80℃ 항온수조에 넣어 24시간 보유한다. 그 후, 파이프를 꺼내어 파이프 안에 넣은 초순수의 Mg 이온 농도를 원자흡광 분석장치로 측정하였다.
먼저, 서로 다른 배합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으프에 대하여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로서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5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이하, 수첨 SBR이라고 함)(H1062, 아사히카세이 케이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고, 이축압출기로 혼련하고 펠릿화하여, MFR이 0.5g/10min인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서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조성물을 단축압 출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20℃에서 두께 3.0mm, 외경 32mm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이프로부터 각종 시험용 시료를 제작하여, 선팽창계수 측정시험, 인장시험, 노치 아이조드 충격시험, 크리프 시험, 융착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0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이하, EPR이라고 함) 10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12, MFR 0.5) 7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90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5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80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6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6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1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5 질량부, 평균입경 80㎛의 마이카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5 질량부, 평군입경 3㎛의 탄산칼 슘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블록형 프로필렌 수지(MFR 0.5, B701WB, 미츠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7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랜덤형 프로필렌 수지(MFR 0.5, B221WA, 미츠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7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 각종 배합비율의 조성물과 그 물성 및 그것으로 제조한 파이프의 평가시험결과
Figure 112007093670804-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3은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인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에 탈크와 고무 성분이 배합되어 있음으로써, 파이프의 선팽창계수가 8×10-5/℃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팽창계수가 8×10-5/℃ 이하인 파이프이면, 고온의 유체가 흐를 때 열팽창에 의한 파이프의 신장으로 사행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파이프에 실리는 응력비틀림이 적어지기 때문에, 비틀림에 의한 파이프의 열화나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크리프 특성이 700시간으로 실시예 1이나 2와 비교하여 약간 낮지만, 배관부재로서는 사용가능하며, 내압이 가해지지 않는 용도라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이나 2에서는 크리프 특성이 1000 시간 이상이기 때문에, 내압이 실린 상태에서 고온의 유체를 흘린 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이 실시예 3보다 크리프 특성이 좋은 것은 분자량 분포(Mw/Mn)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따라서 분자량 분포(Mw/Mn)는 3~1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4~8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융착시공한 접합부분의 품질은 파이프 부분과 거의 동등하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는 수지제 파이프로서의 균형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탈크의 배합량이 적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실시예 1보다 6할 정도 커지고, 비교예 3은 탈크의 배합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융착성이 손상되어 필요한 융착강도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2는 고무 성분이 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실시예 1의 4할 정도로 작은데다가 필요한 융착강도도 얻을 수 없었고, 비교예 4는 고무 성분의 배합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크리프 특성이 손상되어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실시예 1의 2할 정도로 짧았다. 이에 의해, 선팽창계수가 낮고, 장기간의 크리프 특성이 뛰어나며, 융착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에 탈크와 고무 성분을 필수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고무 성분이 배합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실시 예 1과 2에서는 거의 같은 정도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향상되어 있지만, 고무 성분의 양은 실시예 1이 수첨 SBR 5 질량부인데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EPR 10 질량부로, 수첨 SBR은 절반이기 때문에, 수첨 SBR을 이용하면 다른 고무 성분에 비하여 적은 양으로 높은 충격흡수효과를 발휘한다. 고무 성분의 배합량이 적음으로써, 고무 성분의 배합으로 손상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크리프 특성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크나 고무 성분은, 배합량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어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어,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 65~90 질량부에 대하여, 탈크는 10~25 질량부, 고무 성분은 1~10 질량부의 범위내일 필요가 있다.
또한, 비교예 5는 탈크를 배합하지 않고 무기 필러로서 마이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인장탄성율이 너무 커져 고온의 유체가 흘렀을 때 발생하는 파이프의 응력비틀림이 커지고, 파이프의 장기 수명이 손상되었다. 비교예 6은 탈크를 배합하지 않고 무기 필러로서 탄산 칼슘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실시예 1보다 4할 정도 커지고, 크리프 특성도 손상되었다. 이에 의해, 탈크 이외의 무기 필러를 이용하여도 배관부재의 장기 수명이 열화하기 때문에, 탈크가 필수성분으로서 필요하다.
또한, 비교예 7은 블록형 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크리프 특성이 손상되고,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실시예 1의 1할 이하(2% 정도)로 짧아져 파이프의 장기 수명이 손상되었다. 비교예 8은 랜덤형 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실시예 1보다 3할 정도 커졌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 용되는 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 즉,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일 필요가 있으며,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이면, 배관재료로서 크리프 특성이 좋고, 열팽창에 의한 배관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억제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실시예 1에 탈크 표면처리제, 중금속 불활성화제를 배합하여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이프에 대하여 내후성 시험 평가를 하였다.
(실시예 4)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4.6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AM-340, 닛산페로카가쿠사 제품) 0.4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4.3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AM-340, 닛산페로카가쿠사 제품) 0.4 질량부, 중금속 불활성화제(ZS-91, 아덴카고교사 제품) 0.3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4.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AM-340, 닛산페로카가쿠사 제품) 0.4 질량부, 탈크 표면처리제(MK-600, 아지노모토(일본등록상표) 파인테크노사 제품) 0.1 질량부를 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이프를 성형하고,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 각종 배합비율의 조성물과 그것으로 제조한 파이프의 내후성 시험결과
Figure 112007093670804-PCT00002
표 2로부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4, 5, 6은, 자외선 흡수제나 중금 속 불활성화제, 탈크 표면처리제가 배합되어 있음으로써 내후성이 향상된다. 특히, 자외선 흡수제와, 중금속 불활성화제나 탈크 표면처리제를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내후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광안정제를 이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를 배합하면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에 중금속 불활성화제나 탈크 표면처리제를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내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내후성이 향상됨으로써 배관부재를 옥외에서 사용하여도 자외선 열화가 일어나는 것이 억제되어, 장기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에 배합하는 탈크의 배합량을 바꾸어 파이프를 성형하고, 고온의 유체를 흘렸을 때의 파이프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하여 고온의 유체에 의한 리얼 플로우 테스트를 하였다. 시험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는 선팽창계수가 6.5×10-5/℃이고, 비교예 1은 선팽창계수가 10.2×10-5/℃이다. 도 2로부터 비교예 1의 파이프 상태가 크게 사행되어 있는데 대하여, 실시예 1의 파이프 상태는 약간 구부러져 있는 정도이고,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크게 사행현상이 일어남으로써 배관부재에 커다란 비틀림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예를 들어 파이프 배관의 도중에 설치된 고정지그에서 비틀림 응력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열화나, 파이프와 이음매나 밸브 등과의 접속부분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유체의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배관 부재의 장기 수명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배관부재로서 사용하기에는 선팽창계수가 5×10-5/℃~8×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실시예 1 및 하기에 나타내는 실시예 7의 파이프에 대하여 용출시험 평가를 하였다.
(실시예 7)
내층이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100 질량부의 수지조성물이고, 외층이 호모형 프로필렌 수지(Mw/Mn=5, MFR 0.5) 75 질량부, 탈크(평균입경 4.6㎛, P-4, 니혼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0 질량부, 수첨 SBR(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5 질량부를 배합한 수지조성물이 되도록, 단축 이층압출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20℃에서 내층의 두께가 1.0mm인 두께 3.0mm, 외경 32mm의 2층 파이프를 성형하고, 선팽창 측정시험과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 각종 배합비율의 조성물과 그것으로 제조한 파이프의 용출성 및 선팽창계수
Figure 112007093670804-PCT00003
표 3으로부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7은, 약액이 접하는 파이프의 내층에 탈크를 포함하지 않는 프로필렌 수지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Mg 이온의 용출량이 적다. 또한, 선팽창계수에 대해서는, 실시예 7의 내층에 사용된 수지조성물의 선팽창계수는 12×10-5/℃인데, 외층이 프로필렌 수지에 탈크와 고무 성분이 배합되어 있음으로써, 파이프의 선팽창계수가 실시예 1 정도로 억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7의 파이프는, 내층의 낮은 용출성과 외층의 낮은 선팽창계수를 양립할 수 있어, 금속이온의 용출을 피하는 용도로서 특히 반도체 제조공장의 배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성형으로 제작한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출성형에서 제작한 이음매, 플랜지, 밸브,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의 다른 배관부재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배관부재는, 아래와 같은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1) 본 발명의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선팽창계수를 낮추어, 장기간의 크리프 특성이 좋고, 융착성이 좋은 배관부재를 얻을 수 있다.
(2) 선팽창계수가 5×10-5/℃~8×10-5/℃이기 때문에, 고온의 유체가 흐를 때의 열팽창에 의한 배관부재(특히, 파이프)의 신장으로 인해 사행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배관에 신축곡관이나 신축관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3) 선팽창계수가 낮기 때문에, 고온의 유체가 흐를 때 배관부재에 가해지는 응력비틀림을 줄여, 비틀림에 의한 파이프의 열화나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파이프의 장기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4)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를 배합함으로써 내후성을 향상시켜, 배관부재를 옥외에서 사용하여도 자외선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5) 탈크 표면처리제, 중금속 불활성화제를 자외선 흡수제, 광안저제와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내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배관부재를 옥외에서 사용하여도 자외선 열화를 억제하여 파이프의 장기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6) 95℃ 분위기하에서 3.5MPa의 인장하중을 가한 크리프 특성에 있어서,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1000 시간 이상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내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고온의 유체를 흘린 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함으로써, 선팽창계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층의 수지조성물에 의한 내약품성이나 저용출성을 구비한 다층배관부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8)

  1.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 65~90 질량부와, (b) 평균입경 1~10㎛의 탈크 10~25 질량부와, (c)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에틸렌·부텐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 성분 1~10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이 (a)~(c)를 용융혼련한 후의 MFR이 0.01~2.0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선팽창계수가 5×10-5/℃~8×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프로필렌 수지 단독중합체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Mw/Mn)가 3~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95℃의 분위기 하에서 3.5MPa의 인장하중을 가한 크리프 특성에 있어서,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1000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탈크 표면처리제, 중금속 불활성화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배관부재.
KR1020077030479A 2005-07-01 2006-06-30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 KR101321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3672 2005-07-01
JPJP-P-2005-00193672 2005-07-01
JPJP-P-2005-00200715 2005-07-08
JP2005200715A JP5201784B2 (ja) 2005-07-01 2005-07-08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PCT/JP2006/313520 WO2007004706A1 (ja) 2005-07-01 2006-06-30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041A true KR20080032041A (ko) 2008-04-14
KR101321456B1 KR101321456B1 (ko) 2013-10-25

Family

ID=3760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479A KR101321456B1 (ko) 2005-07-01 2006-06-30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58340B2 (ko)
EP (1) EP1900770B1 (ko)
JP (1) JP5201784B2 (ko)
KR (1) KR101321456B1 (ko)
DE (1) DE602006018609D1 (ko)
TW (1) TW200710147A (ko)
WO (1) WO2007004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3250B (zh) * 2005-07-01 2012-06-13 旭有机材工业株式会社 配管部件用丙烯类树脂组合物、使用该组合物成形的配管部件以及多层配管部件
JP5241111B2 (ja) * 2007-02-16 2013-07-1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
US8778471B2 (en) * 2010-02-08 2014-07-15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18021206A1 (ja) 2016-07-26 2018-02-01 日油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EP3856836A1 (en) * 2018-09-24 2021-08-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blends and composites for flexible pipes
US11673380B2 (en) 2019-09-30 2023-06-13 Sekisui Chemical Co., Ltd. Multilayer tub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289A (en) * 1979-07-31 1981-03-07 Furukawa Electric Co Ltd Adiabatic pipe and its manufacture
JPS6038449A (ja) * 1983-08-11 1985-02-28 Tounen Sekiyu Kagaku Kk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S637932A (ja) * 1986-06-28 1988-01-13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S6357653A (ja) 1986-08-28 1988-03-12 Mitsubishi Motors Corp ゴム変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材
JPH0241343A (ja) * 1988-07-29 1990-02-09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3177709B2 (ja) 1991-02-15 2001-06-1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3241746B2 (ja) 1991-04-04 2001-12-25 三井化学株式会社 タルク入り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98092A (ja) 1991-10-09 1993-04-20 Mitsui Toatsu Chem Inc 引張破断伸び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69836A (ja) 1992-06-23 1994-01-1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
JPH06179785A (ja) 1992-12-15 1994-06-2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
JPH0733919A (ja) 1993-07-16 1995-02-03 Nippon Steel Chem Co Ltd タルク含有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7138421A (ja) 1993-11-18 1995-05-30 Asahi Chem Ind Co Ltd 中空型物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US6087429A (en) * 1993-11-24 2000-07-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3539514B2 (ja) 1994-03-30 2004-07-0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自動車用モール成形体
JP2839840B2 (ja) * 1994-08-19 1998-12-16 昭和電工株式会社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6162887A (en) * 1996-07-31 2000-12-19 Japan Polyolefins Co., Ltd. Highly crystalline polypropylene
JPH10195264A (ja) 1997-01-09 1998-07-28 Mitsui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製パイプ
EP1004603B1 (en) * 1997-08-15 2003-01-15 Chisso Corporation Polydisperse propylene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1165390A (ja) * 1997-12-04 1999-06-22 Nippon Polychem Kk オレフィン系複合樹脂積層シート
JP3990805B2 (ja) * 1997-12-25 2007-10-17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複合樹脂積層シート
EP0926195A1 (en) * 1997-12-26 1999-06-30 Japan Polychem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DE19857292A1 (de) * 1998-12-11 2000-06-15 Targor Gmbh Talkumverstärkte Polypropylen-Formmasse mit hoher Schlagzähigkeit
CN1330685A (zh) 1998-12-15 2002-01-0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聚烯烃树脂组合物、制备聚烯烃树脂配混料的方法、聚烯烃树脂产品、挡风雨条及其制造方法
JP2000256519A (ja) 1999-03-05 2000-09-19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1324079A (ja) * 2000-05-17 2001-11-22 Mitsui Chemicals Inc 管接合部の固定用チューブおよび固定方法
EP1361250B1 (en) * 2000-11-10 2006-10-04 Japan Polychem Corporation Moldability modifier for polypropylen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2146151A (ja) * 2000-11-15 2002-05-22 Sumitomo Chem Co Ltd パイプ成形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パイプの製造方法
JP2002295741A (ja) * 2001-03-29 2002-10-09 Asahi Kasei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パイプ材料
JP3873708B2 (ja) * 2001-10-26 2007-01-24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SG120908A1 (en) * 2002-01-24 2006-04-26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2004149651A (ja) * 2002-10-30 2004-05-27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JP2004315715A (ja) 2003-04-18 2004-11-11 Toyo Ink Mfg Co Ltd 塩素含有水に耐性を有する着色樹脂組成物及び水道用パイプ
JP4736435B2 (ja) * 2005-01-14 2011-07-27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20080031734A (ko) * 2005-06-24 2008-04-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작용화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접착제 조성물
JP5241111B2 (ja) * 2007-02-16 2013-07-1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
US8263701B2 (en) * 2007-02-28 2012-09-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8340B2 (en) 2011-11-15
EP1900770A1 (en) 2008-03-19
WO2007004706A1 (ja) 2007-01-11
JP5201784B2 (ja) 2013-06-05
DE602006018609D1 (de) 2011-01-13
TW200710147A (en) 2007-03-16
KR101321456B1 (ko) 2013-10-25
US20090082513A1 (en) 2009-03-26
EP1900770A4 (en) 2009-11-04
JP2007039474A (ja) 2007-02-15
EP1900770B1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56B1 (ko) 배관부재용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여성형한 배관부재 및 다층배관부재
JP5642124B2 (ja)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CA2535503C (en) Heat shrinkable laminated covering
US8778471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EP2110409B1 (en) Piping member formed by using 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2020157609A (ja) 立体造形装置用樹脂成形材料および立体造形装置用フィラメント
WO2018235961A1 (ja) ゴム粒子含有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151223A1 (en) Pipeline member for ultrapure water and polyethylene-based resin composition for pipeline member for ultrapure water
US20200362121A1 (en) Polyolefin pressure pipe resin
JP3330315B2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60123914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6194394A (ja) ホース
JP6838439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4302554B2 (ja) 1−ブテン系重合体組成物からなる水配管設備
KR100553636B1 (ko) 1-부텐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배관 설비
JPWO2020175290A1 (ja) チューブ及び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22007369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S64415B2 (ko)
JPH112141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H0959452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10101892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