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369A - 신규 염 i - Google Patents

신규 염 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369A
KR20080031369A KR1020087002808A KR20087002808A KR20080031369A KR 20080031369 A KR20080031369 A KR 20080031369A KR 1020087002808 A KR1020087002808 A KR 1020087002808A KR 20087002808 A KR20087002808 A KR 20087002808A KR 20080031369 A KR20080031369 A KR 2008003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sease
salt
compound according
benzo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안 지오바니니
보-괴란 요셉슨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089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313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08003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5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dry powder inhaler [DPI], e.g. comprising micronized drug mixed with lactose carrie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68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nitrogen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e.g. clebopride, fentan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56Nitrogen atoms
    • C07D211/58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 상기 염 또는 용매화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치료요법에서의 상기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벤조에이트 염, 케모카인 수용체 1, CCR1,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기도 질환

Description

신규 염 I {NEW SALT I}
본 발명은 피페리딘 유도체의 염,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치료요법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케모카인 수용체 1 (CCR1)은 상이한 자가면역, 염증성, 증식성, 과증식성 및 면역-매개된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다발성 경화증 및 류마티스 관절염에 영향받는 조직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따라서, CCR1-매개된 사건을 본 발명의 염으로, 예를 들어 세포 활성화 및 이동에 의해 억제하는 것은 상기 상태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기대된다.
제약 제제의 제조에서, 활성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취급되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조 공정을 획득하기 위해 가공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활성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은 중요한 인자이다. 활성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는 활성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징 (예를 들어, 화학 조성, 밀도, 흡수성 및 용해도)의 임의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적절한 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활성 화합물이 폐 투여용 제제로,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흡입기, 예컨대 터부할러(터부할러)® 장치를 통해 혼입되는 경우, 활성 화합물이 용이하게 미 세화되어, 양호한 유동 특성을 갖고 고도의 미세 결정성 입자 분획 (즉, 활성 화합물 입자가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 직경을 갖는 분획)을 포함하는 분말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획은 폐로 깊이 운반될 수 있으므로, 활성 화합물이 더 빠르게 흡수되고 흡수가 증가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보 WO 03/051839에는 일반적으로 CCR1 길항제로서 활성을 갖는 특정 피페리디닐 유도체, 특히 화합물 4-({(2S)-3-[2-(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암모니오)-1-(4-클로로벤질)피페리딘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상기 화합물의 유일한 염은 그 염답게 무정형인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이며, 이는 폐 투여용 건조 분말 제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폐 투여용 건조 분말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는, 양호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화합물 4-({(2S)-3-[2-(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암모니오)-1-(4-클로로벤질)피페리딘의 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4-({(2S)-3-[2-(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암모니오)-1-(4-클로로벤질)피페리딘의 구조는 하기 나타낸다:
Figure 112008008609599-PCT00001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4-({(2S)-3-[2-(아세틸아미노)-5-히드록시페녹시]-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암모니오)-1-(4-클로로벤질)피페리딘의 벤조에이트 염 (이하,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벤조에이트 염"이라고 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벤조에이트 염의 용매화물 (수화물 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벤조에이트 염은 바람직하게는 무수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비-용매화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벤조에이트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은 결정성 특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결정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결정성,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결정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결정성이다. 결정화도는 통상적인 X선 회절분석법 기술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벤조에이트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은 50%, 60%, 70%, 80% 또는 90% 내지 95%, 96%, 97%, 98%, 99% 또는 100% 결정성이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고, 벤조에이트 염은 다형체라고 여겨지며, 두가지 형태가 지금까지 단리되고 특징화되었다.
한 다형체 (이하, 형태 A라고 함)는 적어도 하기 특징적인 X선 분말 회절 (XRPD) 피크 (°2θ로 표시함)를 나타낸다 (미국 약전의 X선 회절에 대한 개괄 장 (USP941)과 일치되는 오차의 경계 - 문헌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Convention. X-Ray Diffraction, General Test <941>. United States Pharmacopeia, 25th ed. Rockville, MD: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2002:2088-2089)] 참조):
(1) 6.1, 10.7 및 19.3, 또는
(2) 6.1, 12.2 및 14.1, 또는
(3) 6.1, 10.7, 12.2, 14.1, 18.1 및 19.3, 또는
(4) 6.1, 10.7, 12.2, 14.1, 15.7, 18.1 및 19.3, 또는
(5) 6.1, 10.7, 12.2, 14.1, 15.1 및 19.3, 또는
(6) 6.1, 10.7, 12.2, 14.1, 15.1, 15.7, 18.1 및 19.3, 또는
(7) 6.1, 10.7, 12.2, 14.1, 15.1, 15.7, 18.1, 19.3, 21.2 및 24.6.
형태 A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다른 물리적 형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도록 제조될 수 있다.
(i)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예컨대 극성 용매, 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가 포함됨)에 용해된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의 가열된 용액을
(ii)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예컨대 극성 용매, 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가 포함됨)에 용해된 벤조산의 가열된 용액과 접촉시켜 혼합물을 얻는 단계,
(iii) 혼합물을 주변 온도 (예를 들어, 20℃)로 냉각시켜,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의 형태 A의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v) 침전물을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다른 다형체 (이하, 형태 B라고 함)는 적어도 하기 특징적인 X선 분말 회절 (XRPD) 피크 (°2θ로 표시함)를 나타낸다 (미국 약전의 X선 회절에 대한 개괄 장 (USP941)과 일치되는 오차의 경계 - 문헌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Convention. X-Ray Diffraction, General Test <941>. United States Pharmacopeia, 25th ed. Rockville, MD: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2002:2088-2089)] 참조):
(1) 6.5, 9.3 및 10.5, 또는
(2) 6.5, 9.3, 17.6 및 17.8, 또는
(3) 6.5, 9.3, 10.5,12.0 및 12.4, 또는
(4)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및 17.8, 또는
(5) 6.5, 13.0 및 20.2, 또는
(6)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및 19.2, 또는
(7)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19.2, 20.2, 22.8 및 26.0, 또는
(8)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19.2, 20.2, 22.8, 24.2, 26.0 및 30.7.
형태 B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형태 A의 제어된 가열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예컨대 극성 용매, 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아세톤이 포함됨) 중에서 형태 A의 샘플 20 중량%를 용해시켜, 현탁액을 형성시키고, 현탁액을 주변 온도에서 (예를 들어, 20℃) 7일 이상 균질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러리 기술에 의해, 또는 형태 A 및 벤조산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가열된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용해시켜, 혼합물을 형성시키고, 혼합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형태 B의 결정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씨딩함으로써 다른 물리적 형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형태 A 또는 형태 B가 다른 물리적 형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존재하는 벤조에이트 염의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예를 들어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중량%가 그 물리적 형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표 1은 실온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벤조에이트 염의 형태 A 및 B에 대한 추가 결정학 데이타를 제공한다.
형태 A 형태 B
결정 시스템 단사 사방
기본 셀의 치수 및 각
a (Å) 10.82 ± 0.02 10.293 ± 0.002
b (Å) 10.064 ± 0.012 10.733 ± 0.002
c (Å) 14.65 ± 0.03 27.447 ± 0.008
α (°) 90.00 90.00
β (°) 97.86 ± 0.06 90.00
γ (°) 90.00 90.00
본 발명의 화합물은 CCR1 또는 MIP-1α 케모카인 수용체 활성의 조절인자로서 유용하다.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디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는 인간 CCR1 결합 분석 (예컨대, 본원 실시예 부분에 기재됨)에서 50 nM 미만의 IC50을 가지며, 자가면역, 염증성, 증식성 및 과증식성 질환 및 면역-매개된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상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호흡기: 기도의 폐쇄성 질환, 예를 들어 천식 {기관지성, 알레르기성, 내인성, 외인성, 운동-유도된, 약물-유도된 (아스피린 및 NSAID-유도된 천식 포함) 천식, 만성 또는 난치성 천식 (예를 들어, 만기 천식 및 기도 과반응성), 및 먼지-유도된 천식, 모든 중증도의 간헐적 및 지속적 천식, 및 기도 과반응의 다른 원인성 천식 포함};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예컨대 비가역성 COPD; 기관지염 (감염성 및 호산구성 기관지염 포함);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낭성 섬유증; 사르코이드증; 농부 폐 및 관련 질환; 과민성 폐렴; 폐 섬유증 {잠복성 섬유화 폐포염, 특발성 간질 폐렴, 항종양 치료요법 및 만성 감염 (결핵 및 아스페르길루스증 및 다른 진균 감염 포함)의 합병증인 섬유증 포함}; 폐 이식의 합병증; 폐 혈관계의 혈관 및 혈전 장애, 및 폐 고혈압; 기도의 염증성 및 분비성 상태와 관련된 만성 기침 및 의인성 기침의 치료를 비롯한 진해 활성; 건락성 비염, 비후성 비염, 화농성 비염, 건성 비염 및 약물성 비염 및 혈관운동성 비염을 비롯한 급성, 알레르기성, 아토피성 비염 및 만성 비염; 크룹 비염, 섬유소성 비염 및 가막성 비염을 비롯한 막성 비염, 및 선병성 비염; 신경성 비염 (고초열)을 비롯한 통년성 및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 코 폴립증; 감기를 비롯한 급성 바이러스 감염,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SARS 포함) 및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2. 골 및 관절: 예를 들어, 선천성 엉덩이 형성이상에 대한 1차 및 2차 관절염 (골관절염/골관절염과 관련된 또는 이를 포함함); 자궁경부 및 요부 척추염, 및 요통 및 경부통;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스틸(Still)병; 강직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및 미분화 척추 관절 병변을 비롯한 음성혈청반응 척추 관절 병변; 패혈성 관절염 및 다른 감염-관련 관절병증 및 골 장애, 예컨대 결핵 (포트(Pott)병 및 폰세트(Poncet) 증후군 포함); 급성 및 만성 결정-유도된 윤활막염 (요산염 통풍, 피로인산칼슘 침착 질환, 및 칼슘 인회석 관련 힘줄, 윤활낭 및 윤활막 염증 포함); 베체트병; 1차 및 2차 쇼그렌 증후군; 전신성 경화증 및 제한성 공피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혼합 결합조직 질환 및 미분화 결합조직 질환; 염증성 근육병증 (피부근육염 및 다발근육염 포함);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소아 관절염 (관절 분포 및 관련 증후군의 특발성 염증성 관절염 포함), 및 류마티스열 및 그의 전신성 합병증; 거대 세포 동맥염, 다카야수(Takayasu) 동맥염, 처크-스트라우스(Churg-Strauss) 증후군, 결절 다발동맥염, 미세 다발동맥염, 및 바이러스 감염, 과민성 반응, 저온글로불린 및 파라단백질과 관련된 혈관염을 비롯한 혈관염; 요통; 가족성 지중해 열, 무클-웰스(Muckle-Wells) 증후군 및 가족성 아일랜드인 열, 키쿠치(Kikuchi)병; 약물-유도된 관절통, 건염 및 근육병증; 및 라이터(Reiter)병;
3. 상해 [예를 들어 스포츠 상해]로 인한 근골격 장애 또는 질환의 통증 및 결합조직 재형성: 관절염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 또는 결정 관절병증), 다른 관절 질환 (예컨대, 추간판 변성 또는 턱관절 관절 변성), 골 재형성 질환 (예컨대, 골다공증, 파제트병 또는 골괴사), 다발연골염, 공피증, 혼합 결합조직 장애, 척추관절병증 또는 치주병 (예컨대, 치주염);
4. 피부: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또는 기타 습진성 피부염, 및 지연형 과민성 반응; 식물피부염 및 광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포진 피부염, 편평 태선, 경화성 위축성 태선, 괴저농피증, 피부 사르코이드증, 원반상 홍반성 루푸스, 천포창, 유사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혈관염, 홍반증, 피부 호산구증, 원형 탈모증, 남성형 대머리, 스위트(Sweet) 증후군, 웨버-크리스친(Weber-Christian) 증후군, 다형 홍반; 감염성 및 비감염성 연조직염; 지방층염; 피부성 림프종, 비-흑색종 피부암 및 다른 형성이상 병변; 약물-유도된 장애 (고정 약물 발진을 포함); 수포성 천포창; 포도막염 및 봄철 결막염;
5. 눈: 안검염; 통년성 및 봄철 알레르기 결막염을 비롯한 결막염; 홍채염; 앞 및 뒤 포도막염; 맥락막염; 자가면역; 망막에 영향을 주는 퇴행성 또는 염증성 장애; 교감신경성 안염을 비롯한 안염; 사르코이드증; 바이러스, 진균 및 세균을 비롯한 감염;
6. 위장관: 설염, 치은염, 치주염; 역류를 비롯한 식도염; 호산구성 위장염, 비만세포증, 크론병,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 포함), 직장염, 항문 소양증; 복강 질환, 과민성 장 증후군, 및 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효과를 미칠 수 있는 음식-관련 알레르기 (예를 들어, 편두통, 비염 또는 습진);
7. 복부: 자가면역, 알콜성 및 바이러스성 간염; 간의 섬유증 및 경화증; 담낭염; 급성 및 만성 췌장염;
8. 비뇨생식기: 간질 및 사구체신장염을 비롯한 신장염; 신장 증후군; 급성 및 만성 (간질) 방광염을 비롯한 방광염 및 허너 궤양; 급성 및 만성 요도염, 전립선염, 부고환염, 난소염 및 난관염; 음문-질염; 페로니병; 발기 부전 (남성 및 여성 모두);
9. 동종이식 거부: 예를 들어, 신장, 심장, 간, 폐, 골수, 피부 또는 각막 이식 후, 또는 혈액 수혈 후의 급성 및 만성 동종이식 거부; 또는 만성 이식편 대 숙주 질환;
10. CNS: 알쯔하이머병 및 CJD 및 nvCJD를 비롯한 다른 치매 장애; 아밀로이드증; 다발성 경화증 및 다른 탈수초성 증후군; 대뇌 아테롬성경화증 및 혈관염; 관자 동맥염; 중증근무력증; 내장 통증, 두통, 편두통, 삼차신경통, 비정형 안면 통증, 관절 및 골 통증, 암 및 종양 침윤으로부터 유발되는 통증, 당뇨병성, 헤르페스후 및 HIV-관련 신경병증을 비롯한 신경병성 통증 증후군을 비롯한 급성 및 만성 통증 (중추 또는 말초 원인의 급성, 간헐적 또는 지속적 통증); 신경사르코이드증; 악성, 감염성 또는 자가면역 프로세스의 중추 및 말초 신경계 합병증;
11.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애디슨병, 당뇨병, 특발성 혈소판감소자색반병, 호산구성 근막염, 과-IgE 증후군, 항인지질 증후군을 비롯한 기타 자가면역 및 알레르기 장애;
12. 염증성 또는 면역학적 성분에 의한 기타 장애 (후천 면역 결핍 증후군 (AIDS), 나병, 세자리 증후군 및 파라종양 증후군을 포함);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나병종 나병; I형 당뇨병, 신증후군;
13. 심혈관: 심장동맥 및 말초 순환에 영향을 주는 아테롬성경화증; 심장막염; 심근 사르코이드증을 비롯한 심근염, 염증성 및 자가면역 심근육병증; 허혈성 재관류 손상; 감염성 (예를 들어, 매독)을 비롯한 심내막염, 판막염 및 대동맥염; 혈관염; 정맥염을 비롯한 근위 및 말초 정맥 장애, 및 깊은 정맥 혈전증 및 정맥류성 정맥의 합병증을 비롯한 혈전증;
14. 종양학: 전립선, 유방, 폐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NSCLC)), 난소, 췌장, 장 및 결장, 위, 피부 및 뇌 종양, 편평 육종, 및 골수 (백혈병 포함) 및 림프증식성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악성 암, 예컨대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을 비롯한 통상적 암의 치료 (전이성 질환 및 종양 재발 및 파라종양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포함); 및
15. 위장관: 복강 질환, 직장염, 호산성 위장염, 비만세포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미세 대장염, 미정 대장염, 과민성 장 장애, 과민성 장 증후군, 비-염증성 설사, 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효과를 미칠 수 있는 음식-관련 알레르기, 예를 들어, 편두통, 비염 및 습진.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치료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에서, 용어 "치료"는 또한 달리 반대되는 구체적인 지시가 없는 한 "예방"도 포함한다. 용어 "치료의" 및 "치료상"은 상기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예방은 당해 질환 또는 상태의 이전 에피소드를 앓았거나 이와 달리 당해 질환 또는 상태의 위험이 증가된 것으로 여겨지는 대상체의 치료에 특히 적절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정 질환 또는 상태가 발병할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는 일반적으로 질환 또는 상태의 가족력이 있거나, 유전자 검사 또는 스크리닝에 의해 질환 또는 상태가 발병할 경향이 특히 있는 것으로 확인된 대상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기도 질환, 예를 들어 가역성 폐쇄성 기도 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기도 질환, 예를 들어 가역성 폐쇄성 기도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치료 용도를 위해, 투여되는 투여량은 물론 투여 방법, 원하는 치료 및 적응증 장애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0.001 mg/kg 내지 30 mg/k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조에이트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은 그 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벤조에이트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활성 성분)은 제약상 허용되는 아쥬반트,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것이다. 적합한 제약 제제의 통상적인 선택 및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 ["Pharmaceuticals -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s", M. E. Aulton, Churchill Livingstone, 1988]에 기재되어 있다.
투여 방법에 따라, 제약 조성물은 활성 성분 0.05 내지 99 중량%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8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70 중량%,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50 중량% (모든 중량 백분율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아쥬반트,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아쥬반트,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약 조성물은 크림제, 용액제, 현탁액제, 헵타플루오로알칸(HFA) 에어로졸 및 건조 분말 제제 (예를 들어, 터보할러(Turbuhaler)®라고 공지된 흡입기 장치의 제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예를 들어, 피부 또는 폐 및/또는 기도로)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정제, 캡슐제, 시럽제, 산제 또는 과립제의 형태로 경구 투여에 의해, 또는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에 의해, 또는 피하 투여에 의해, 또는 좌제의 형태로 직장 투여에 의해, 또는 경피적으로 전신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벤조에이트 염은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벤조에이트 염은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 투여된다. 흡입기는 단일 또는 다중 용량 흡입기일 수 있으며, 호흡에 의해 작동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일 수 있다.
흡입을 통해 투여시, 본 발명의 화합물 (즉, 벤조에이트 염)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0.1 ㎍ 내지 10000 ㎍, 0.1 내지 5000 ㎍, 0.1 내지 1000 ㎍, 0.1 내지 500 ㎍, 0.1 내지 200 ㎍, 0.1 내지 200 ㎍, 0.1 내지 100 ㎍, 0.1 내지 50 ㎍, 5 ㎍ 내지 5000 ㎍, 5 내지 1000 ㎍, 5 내지 500 ㎍, 5 내지 200 ㎍, 5 내지 100 ㎍, 5 내지 50 ㎍, 10 내지 5000 ㎍, 10 내지 1000 ㎍, 10 내지 500 ㎍, 10 내지 200 ㎍, 10 내지 100 ㎍, 10 내지 50 ㎍, 20 내지 5000 ㎍, 20 내지 1000 ㎍, 20 내지 500 ㎍, 20 내지 200 ㎍, 20 내지 100 ㎍, 20 내지 50 ㎍, 50 내지 5000 ㎍, 50 내지 1000 ㎍, 50 내지 500 ㎍, 50 내지 200 ㎍, 50 내지 100 ㎍, 100 내지 5000 ㎍, 100 내지 1000 ㎍, 또는 100 내지 500 ㎍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건조 분말 제제 및 가압된 HFA 에어로졸은 경구 또는 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흡입용으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미분된다. 미분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의 질량 중앙 직경을 가지며, 분산제, 예컨대 C8-C20 지방산 또는 그의 염 (예를 들어, 올레산), 담즙 염, 인지질, 알킬 사카라이드, 과불소화 또는 폴리에톡실화 계면활성제, 또는 다른 제약상 허용되는 분산제의 보조에 의해 분사제 혼합물에 현탁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성은 미분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담체 물질, 예를 들어 모노-, 디-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당 알코올, 또는 다른 폴리올과 혼합하는 것이다. 적합한 담체는 당, 예를 들어 락토스, 글루코스, 라피노스, 멜레지토스, 락티톨, 말티톨, 트레할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전분이다. 별법으로, 미분된 화합물은 다른 물질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분말 혼합물은 활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용량을 각각 함유하는 경질 젤라틴 캡슐로 분배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흡입 과정 중에 분해되는 구(sphere)로 미분된 분말을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상 분말은 다중용량 흡입기 (예를 들어, 투여 단위가 환자에 의해 흡입될 원하는 용량을 계량하는 터부할러®라고 공지된 흡입기)의 약물 저장소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활성 성분은 담체 물질과 함께 또는 담체 물질 없이 환자에게 전달된다.
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쥬반트 또는 담체, 예를 들어, 락토스, 사카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예를 들어,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아밀로펙틴; 셀룰로스 유도체; 결합제,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파라핀 등과 함께 혼합된 후 정제로 압축될 수 있다. 코팅정이 필요하다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코어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젤라틴, 활석 및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할 수 있는 농축 당 용액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정제는 쉽게 휘발하는 유기 용매에 용해된 적합한 중합체로 코팅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의 제조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혼합될 수 있다. 경질 젤라틴 캡슐은 상기 언급된 정제용 부형제를 사용하여 화합물의 과립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액체 또는 반고체 제제는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에탄올, 물,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 및 당을 함유하는 시럽제 또는 현탁액제, 예를 들어 용액제의 형태일 수 있다. 임의로, 상기 액체 제제는 착색제, 향미제, 증점제로서 사카린 및/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상태의 치료에 사용되는 다른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또는 제제가 하나 이상의 나열된 상태의 치료를 위해 다른 치료제 또는 치료제들과 조합된 제제로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조합 치료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예시적 실시예를 참고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형태 A)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2는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형태 B)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세화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형태 B) 및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 직경 (MMAD) 및 기하 표준 편차 (GSD)를 나타낸다. 오차 막내는 CI95 %이다.
도 4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세화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 아미드 벤조에이트 (형태 B) 및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의 미세 입자 분획 (FPF)을 나타낸다. 오차 막내는 CI95 %이다.
일반적인 방법
1H NMR 스펙트럼은 바리안 유티니 이노바(Varian Unity Inova) 400 MHz (소프트웨어: VNMR 6.1C 및 VNMRJ 1.1D; 프로브: 날로락(Nalorac) 5mm DG400-5AT) 또는 바리안 머큐리(Varian Mercury) VX 300 MHz (소프트웨어: VNMR 6.1C; 프로브: 바리안(Varian) 5mm AutoSW PFG) 기기 상에서 298K에서 기록하였다. 아세톤-d6 또는 디메틸술폭시드 (DMSO)-d6의 중심 피크를 내부 기준으로서 사용하였다.
LC/MS 분석을 위해 하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MS 기기: APCI 인터페이스(interface)가 장착된 아길런트 1100 시리즈
LC 기기: UV-검출기 VWD, 오토샘플러 ALS, binary 펌프 및 탈기제가 장착된 아길런트 1100 시리즈
LC-컬럼: 크로몰리스(Chromolith) 스피드 ROD, RP-C18, ø 4.6 x 50 mm
용리액: 용매 A: 물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1% TFA
조건
LC: 유동 2.5 ml/분; 구배 5 내지 95% B; 실행 시간 3.6 분; UV 220 nm
MS: 양성 검출; 모세관 전압 3 kV
실시예 1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1:1 염), 형태 A의 제조
(a)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WO 03/051839에 기재된 방법 또는 WO 01/98273에 개시된 바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 462 mg, 1.0 mmo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 벤조산 (244 mg, 2.0 mmol)의 고온 용액을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밀폐된 바이알에서 주변 온도 (20℃)로 냉각시켰다. 백색 침전물이 혼탁없이 형성되었다. 주변 온도에서 밤새 방치한 후, 얻어진 침전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60℃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506 mg, 86%). 상기 염은 미량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였다.
Figure 112008008609599-PCT00002
APCI-MS: m/z 462 [MH+]
1:1의 염기 대 산의 화학량론을 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표제 염의 추가량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b) 에틸 아세테이트 (75 ml) 중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 -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4.0 g, 8.65 mmol) 및 에틸 아세테이트 (75 ml) 중 벤조산 (1.16 g, 9.5 mmol)의 고온 용액을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주변 온도 (20℃)로 냉각시키면서, 상기 (a)에서 얻은 표제 염의 입자로 씨딩하고, 밀폐된 플라스크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60℃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4.41 g, 87%). 상기 염은 미량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2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1:1 염), 형태 B의 제조
(a) 실시예 1(b)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벤조에이트 염 (형태 A, 10 내지 15 mg)을 시차 주사 열량법 팬 (주름진 뚜껑이 있음)에 놓고, 5 K.min-1의 가열 속도로 155℃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였다. 염이 용융되면 (146.5℃의 개시 용융 온도를 사용된 조건하에 기록함), 용융된 샘플을 5 K.min-1의 속도로 주변 온도 (20℃)로 냉각시켰다. 그 후, 동일한 팬을 다시 5 K.min-1의 가열 속도로 151℃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고, 스캔은 148℃에서 10분의 기간에 걸쳐 등온을 기록하였다. 그 후, 팬을 주변 온도로 빠르게 냉각시켜, 결정을 형성시킨 후, X선 분말 회절 (XRPD)에 의해 이것이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형태 B)의 새로운 물리적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몇몇 무정형 벤조에이트 염이 공 정의 부산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b) 또한, 실시예 1(b)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벤조에이트 염 (형태 A)의 샘플의 20 중량%를 바이알에서 용매, 예컨대 메탄올 (>20 mg/ml), 에탄올 (>20 mg/ml), n-프로판올 (>20 mg/ml), 이소프로판올 (8.5 mg/ml) 또는 아세톤 (9.6 mg/ml) 중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a)에 기재된 형태 B 염을 제조하였다 (형태 A). 브래킷에서의 도면는 이들 용매 중 염의 추정된 용해도를 나타낸다. 그 후, 바이알을 밀봉하고, 현탁액을 주변 온도에서 (20℃) 자석을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교반 및 온도를 7일 이상의 기간 동안 유지한 후, 얻어진 물질의 샘플을 건조시키고, XRPD에 의해 시험하였다. XRPD는 형태 A가 형태 B로 완전히 변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 또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고온 2-프로판올 (190 ml) 중 실시예 1(b)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벤조에이트 염 (형태 A) (22.0g, 37.7mmol) 및 벤조산 (0.46 g, 3.8 mmol)을 용해시켜 적색 용액을 얻음으로써 상기 (a)에 기재된 형태 B 염을 제조하였다. 용액이 40℃로 냉각될 때까지 플라스크를 수조 상에서 40℃에서 로타베이포(Rotavapor) 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시켰으며, 이때 형태 B 염의 몇몇 결정으로 씨딩하였다. 수조를 천천히 주변 온도로 밤새 냉각시켰으며, 이때 플라스크를 회전시키고, 혼합물을 형태 B 염의 몇몇 결정으로 가끔 씨딩하였다. 형성된 분홍색 침전물을 흡인에 의해 단리하고, 2-프로판올 (2 x 50 ml)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100℃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염 (XRPD에 의해 확인함)을 옅은 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8.5 g, 84%). 상기 염은 미량의 2-프로판올을 함유하였 다.
Figure 112008008609599-PCT00003
1:1의 염기 대 산의 화학량론을 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3
X선 분말 회절 분석
일반적인 공정
X선 분말 회절 (XRPD) 분석은 표준 방법 (예를 들어, 문헌 [Giacovazzo et al., eds., Fundamentals of Crystall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Jenkins & Snyder, eds., Introduction to X-Ray Powder Diffractome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6); Bunn, ed., Chemical Crystallography, Clarendon Press, London (1948); and Klug & Alexander eds., X-Ray Diffraction Procedure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4)] 참조)에 따라 제조된 샘플 상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 기재된 형태 A 및 형태 B 염 (무수물 형태)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얻었다:
단색 CuKα 방사선 (45 kV 및 40 mA)을 사용하는 브래그-브렌타노 파라포커 싱(Bragg-Brentano parafocusing) 분말 X선 회절분석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1차 광학은 솔러(soller) 슬릿 및 자동 발산 슬릿을 함유하였다. 측정 중에 회전하는 0 배경 플레이트 상에서 플랫 샘플을 제조하였다. 2차 광학은 솔러 슬릿, 자동 항-산란 슬릿, 수용 슬릿 및 단색기를 함유하였다. 회절된 신호는 비례 크세논-충전된 검출기로 검출하였다. 회절 패턴은 분당 4°2θ의 비율로 0.016°2θ의 단계 크기로 연속 스캔 방식에서 2°≤ 2θ (세타) ≤ 40°으로 수집하였다. 원 데이타는 전자 장치에 의해 저장하였다. 평가는 원 회절 패턴 또는 평활화된 회절 패턴 상에서 수행하였다.
반사 방식에서 패널리티컬 엑스퍼트(Panalytical X'pert) PRO MPD θ-θ 회절분석기를 상기 언급된 측정에 사용하였다. 당업자는 분말 X선 회절분석기에 대한 기기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제공된 데이타와 비교되는 회절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다.
얻어진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시차 주사 열량법 (DSC)
표준 방법, 예를 들어 문헌 [Hohne, G. W. H. et al (1996),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pringer, Berlin]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Q1000 조정된 온도 시차 주사 열량계 (MTDSC)을 사용하여 분 당 5℃의 램프 속도로 "가열만" 방식으로 상승 온도에 대한 시험 샘플의 열량 반응을 조사하였다. 대략 2 내지 5 mg의 검정 샘플을 질소 분위기하에 덮개(주름 없음) 있는 알루미늄 컵에 놓았다.
DSC 개시 및 피크 온도가 샘플의 순도 및 기기 파라미터, 특히 온도 스캔 속도로 인해 변할 수 있다는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당업자는 통상적인 최적화/교정을 사용하여, 기기 파라미터를 시차 주사 열량계에 대해 설정할 수 있으며, 본원에 제공된 데이타와 비교되는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다.
무수 형태 A 염의 전형적인 샘플에 대한 융점은 146℃ ± 2℃ (개시)로 밝혀졌다.
무수 형태 B 염의 전형적인 샘플에 대한 융점은 154℃ ± 2℃ (개시)로 밝혀졌다.
실시예 5
흡수성 결정
실온 (25℃) 및 80% 상대 습도 (RH)에서의 검정 샘플의 중량 변화는 대칭 증기-흡수 분석기 SGA-100 (VTI 코포레이션)을 사용하여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흡착-탈착 등온을 기록함으로써 조사하였으며, 그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0.002%의 dm/dt 유발(trigger) 값으로 10% RH 단계에서 0 내지 90% RH의 단일 흡수/탈착 주기 (dm/dt = 시간에 따른 질량 변화 - 균형 안정성이 상기 값내에 있으면 다음 단계가 자동적으로 시작되나, 상기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6 시간의 각각 단계에 대한 디폴트 최대 시간이 있음). 대략 2 내지 10 mg의 검정 샘플을 샘플 홀더에 놓고, 상이한 상대 습도에 노출시켰다.
검정 샘플 80% RH에서의 물 흡수 (중량/중량%)
무수 형태 A < 2
무수 형태 B < 0.8
실시예 6
미세화 염의 탈응집 특성의 평가
방법
상기 스크리닝 연구는 무수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염, 형태 B (본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에서 "형태 B 염"이라 함)의 탈응집 특성에 대한 몇몇 추정을 제공하도록 의도되었다. 결과를 확립된 생성물 분말,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로부터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이는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5 ㎛ 미만의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형태 B 염을 미세화하였다. 풀미코트® 터부할러® 분말을 풀미코트® 터부할러®로부터 제거하였다.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는 작은 펠렛으로 구형화된 미세화 부데소니드 분말로 이루어진다. 형태 B 염의 미세화는 나선형 제트 밀에서 수행하였다. 제트 밀의 내부 고리 공간 내에는 나선형 분류가 있다. 미세 입자는 나선형 분류 구역을 통과하고 밀 바닥에서 사이클론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 밀의 배출 필터에 포획된 분획은 버렸다.
분말의 탈응집을 위해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 및 형태 B 염에 대해), 분말은 수직 구성요소 및 수평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L상 원통형 채널을 포함하는 단순 흡입기 장치로 충전된 스크레이프(scrape)였다.
터부할러® 마우스피스를 수평 구성요소의 말단으로 고정하여, 분말의 탈응집을 촉진하고, 시험될 분말을 수직 채널을 통해 채널의 벤드 (즉, L상 채널의 모 서리)에 두었다. 그 후, 기류 펄스 (하기 참조)는 채널의 수직 구성요소를 통해 기류를 활성화시켜, 벤드에 위치한 분말을 흡인하고, 그 후 공기-입자 혼합물을 실린더의 수평 구성요소를 통해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터부할러® 마우스피스를 통해 통과시킨다.
터부할러® 마우스피스를 남겨둔 후, 에어로졸 구름을 그의 공기역학 특성 및 미세 입자 분획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 충격기 입구 3306이 장착된 TSI 공기역학 입자 크기 측정기 (APS®)로 에어로졸을 이동시켰다. APS 설정은 임의의 기류에서의 용량의 회수, 이어서 입자에 기초하여 입자 상 입자의 계수 및 공기역학 분류 (약 0.3 내지 20 ㎛)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었다. 요약해서, USP 인후와 3306 충격기 입구 사이에 3-방향 함기 밸브 및 NGI 예비-분리기가 위치하였다. 또한, 시간 기록기-제어된 솔레노이드 밸브 (트리거(Triggor) 박스)를 통한 진공 공급원으로의 튜브는 T-이음새 방식으로 밸브와 예비-분리기 사이에 위치하였다. 그 후, 트리거 박스를 사용하여, 흡입기, USP 인후 및 예비-분리기를 통해 짧은 기류 펄스를 생성하였다. 공기 펄스의 종료 후, 함기 밸브를 연결하여, 예비-분리기 중 에어로졸 구름을 공기역학 평가를 위해 3306 충격기 입구를 통해 APS로 회수하였다.
60 lpm의 최대 기류로 0.4초 동안의 기류 펄스에 의해 각 용량을 회수한 후, APS 기기로 샘플링하였다. APS 소프트웨어의 샘플링 시간은 20초로 설정하였다. APS로부터의 결과 파라미터는 질량 중앙 공기역학 직경 (MMAD), 기하 표준 편차 (GSD) 및 용량 (미세 입자 용량 (FPD)이라 함)의 측정치였다 (입자 밀도 = 1을 사 용하여 질량 데이타로 전환된 입자 계수 데이타).
(제제 각각에 대한) 제1 용량을 두번 방출하고,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중량 용량의 평균값 ("계량 용량" 또는 로딩된 용량이라 함)을 (FPD)의 표준화에 사용하여, 미세 입자 분획 (FPF)의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므로, FPF는 2종의 분말 제제 (사용된 기기 설정에 대해) 간의 직접 비교에 사용될 수 있다. 미세 입자에 대한 한계는 7 ㎛의 공기역학 입자 크기로 설정하였다. 그 후, 7 및 5 용량을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 및 형태 B 염에 대한 APS로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미세 입자 분획은 계량 용량으로 나눈 FPD이며, 이는 다시 각 제제에 대한 2 측정치의 산술 평균이다.
결과는 도 3 (MMAD 및 GSD) 및 도 4 (FPF)에 플롯팅한다. MMAD 및 GSD 결과는 매우 작은 변이성 (작은 신뢰 구간)을 나타내며, 이들 두 파라미터에 대한 두가지 제제 간의 상이함은 매우 적고, 다소간 동등물로서 여겨질 수 있다.
FPF에 대해, 더 큰 변이성은 형태 B 염에 대해 얻었으며, 이는 분말이 충전 특성에 대해 최적화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FPF가 일반적으로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보다 형태 B 염에 대해 더 높으며, 이는 또한 형태 B 염에 대한 표준화된 FPF에 반영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결과 데이타. 용량 1 내지 7은 풀미코트® 터부할러® 데이타이다. 용량 8 내지 12는 형태 B 염 데이타이다. 표준화된 형태 B 염 FPF 값a은 평균 FPF 형태 B 염/평균 FPF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로서 계산한다.
용량 FPD/㎍ MMAD/㎛ GSD 계량 용량/mg FPF (FPD/계량 용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08 134 116 123 139 138 163 167 133 279 157 175 2.21 2.15 2.17 2.13 2.11 2.15 2.13 2.28 2.12 2.20 2.10 2.11 1.60 1.60 1.61 1.60 1.62 1.63 1.62 1.54 1.60 1.61 1.60 1.59 1.45 1.45 1.45 1.45 1.45 1.45 1.45 1.22 1.22 1.22 1.22 1.22 75 92 80 85 96 95 113 137 109 229 129 144
평균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 132 2.15 1.61 91
평균 형태 B 염 182 2.16 1.59 149
표준화된 형태 B 염 164 %a
Stdev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 18.1 0.03 0.01 12.5
Stdev 형태 B 염 56.2 0.08 0.03 46.1
CI95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 13.4 0.03 0.01 9.3
CI95 형태 B 염 49.3 0.07 0.02 40.4
상기 제공된 결과로부터, 형태 B 염 제제가 확립된 제품 제제 (풀미코트® 터부할러® 제제)와 매우 유사한 입자 크기 중간점 (MMAD) 및 입자 크기 분포 (GSD)를 나타낸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도로의 성공적인 약물 전달에 중요한 미세 입자로 분배된 분말의 분획 (미세 입자 분획)은 두가지 다른 분말에 대해 유사한 범위였으나, 형태 B 염에 대해서는 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얻은 데이타로부터 염 B-제제는 이로운 탈응집 특성을 나타낸다는 결론을 내린다.
인간 CCR1 결합 분석
재조합 인간 CCR1 (HEK-CCR1)을 안정하게 발현시키는 ECACC로부터의 HEK293 세포를 사용하여, CCR1을 함유하는 세포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막을 -70℃에서 저장하였다. 각 배치의 막 농도를 33 pM [125I] MIP-1α의 10% 특이적 결합으로 조절하였다.
결합 분석
박시트라신 (시그마(Sigma), Cat No B1025) 17500 단위/L이 첨가된, pH 7.4의 분석 완충액 (137 mM NaCl (머크(Merck), Cat No 1.06404), 5.7 mM 글루코스 (시그마, Cat No G5400), 2.7 mM KCl (시그마, Cat No P-9333), 0.36 mM NaH2PO4 x H2O (머크, Cat No 1.06346), 10 mM HEPES (시그마, Cat No H3375), 0.1% (w/v) 젤라틴 (시그마, Cat No G2625))에 희석된 HEK-CCR1 막 100 ㎕를 96 웰 필터 플레이트 (0.45 ㎛ 불투명 밀리포어(Millipore) cat no MHVB N4550)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10% DMSO을 함유하는 분석 완충액 중 화합물 12 ㎕를 첨가하여, 1x10-5.5 내지 1x10-9.5 M의 최종 화합물 농도를 얻었다. 10% DMSO으로 보충된 분석 완충액 중 10 nM 최종 농도의 냉각된 인간 재조합 MIP-1α (270-LD-050, R&D Systems, Oxford, UK) 12 ㎕를 비특이적 결합 대조군 (NSB)으로서 특정 웰 (화합물 비함유)에 포함시켰다. 10% DMSO를 함유하는 분석 완충액 12 ㎕를 특정 웰 (화합물 비함유)에 첨가하여, 최대 결합 (B0)을 검출하였다.
33 pM의 웰 중 최종 농도로 분석 완충액에 희석된 [125I] MIP-1α 12 ㎕를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그 후, 덮개 있는 플레이트를 1.5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웰을 진공 여과 (멀티스크린 레지스트 배큠 매니폴드 시스템, 밀리포어)에 의해 비우고, 분석 완충액 200 ㎕로 1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모든 웰에 섬광 유체 (옵티페이스(OptiPhase) "슈퍼믹스(Supermix)", 월락 오이(Wallac Oy), 터코(Turko), 핀란드) 50 ㎕를 첨가하였다. 월락 트릴럭스(Tri럭스) 1450 마이크로베타(MicroBeta) 계수기를 사용하여 결합된 [125I] MIP-1α를 측정하였다. 윈도우 설정: 저 5-고 1020, 1-분 계수/웰.
대체 백분율 및 IC50의 계산
하기 식을 사용하여 대체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대체 백분율 = 1- ((cpm 시험 - cpm NSB) / (cpm B0- cpm NSB))
상기 식에서,
cpm 시험 = 막 및 화합물 및 [125I] MIP-1α를 함유하는 복제(duplicate) 웰 cpm의 평균 cpm;
NSB = 막 및 MIP-1α 및 [125I] MIP-1α (비특이적 결합)를 함유하는 웰 cpm의 평균 cpm;
B0 = 막 및 분석 완충액 및 [125I] MIP-1α (최대 결합)를 함유하는 웰의 평균 cpm.
50% 대체 (IC50)를 생성시키는 화합물의 몰농도는 데이타를 4-파라미터 로지스틱 함수에 대응시키는 엑셀-기초 프로그램 XLfit (버전 2.0.9)을 사용하여 유도하였다.

Claims (13)

  1. N-{2-[((2S)-3-{[1-(4-클로로벤질)피페리딘-4-일]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옥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벤조에이트 또는 그의 용매화물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무수물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기 특징적인 X선 분말 회절 피크 (°2θ로 표시함)를 나타내는 화합물.
    (1) 6.1, 10.7 및 19.3, 또는
    (2) 6.1, 12.2 및 14.1, 또는
    (3) 6.1, 10.7, 12.2, 14.1, 18.1 및 19.3, 또는
    (4) 6.1, 10.7, 12.2, 14.1, 15.7, 18.1 및 19.3, 또는
    (5) 6.1, 10.7, 12.2, 14.1, 15.1 및 19.3, 또는
    (6) 6.1, 10.7, 12.2, 14.1, 15.1, 15.7, 18.1 및 19.3, 또는
    (7) 6.1, 10.7, 12.2, 14.1, 15.1, 15.7, 18.1, 19.3, 21.2 및 24.6.
  4. 제3항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5.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기 특징적인 X선 분말 회절 피크 (°2θ로 표시함)를 나타내는 화합물.
    (1) 6.5, 9.3 및 10.5, 또는
    (2) 6.5, 9.3, 17.6 및 17.8, 또는
    (3) 6.5, 9.3, 10.5, 12.0 및 12.4, 또는
    (4)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및 17.8, 또는
    (5) 6.5, 13.0 및 20.2, 또는
    (6)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및 19.2, 또는
    (7)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19.2, 20.2, 22.8 및 26.0, 또는
    (8) 6.5, 9.3, 10.5, 12.0, 12.4, 13.0, 13.6, 15.5, 17.6, 17.8, 19.2, 20.2, 22.8, 24.2, 26.0 및 30.7.
  6. 제5항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아쥬반트,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 건조 분말 흡입기에 조합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7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
  9. 치료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10. 케모카인 수용체 1 (CCR1) 활성의 조절이 유익한 인간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1.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천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3. 기도 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7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기도 질환의 치료 방법.
KR1020087002808A 2005-08-02 2006-07-31 신규 염 i KR20080031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1768 2005-08-02
SE0501768-6 2005-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369A true KR20080031369A (ko) 2008-04-08

Family

ID=3770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808A KR20080031369A (ko) 2005-08-02 2006-07-31 신규 염 i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148405B2 (ko)
EP (1) EP1912943A1 (ko)
JP (1) JP2009503064A (ko)
KR (1) KR20080031369A (ko)
CN (1) CN101238103A (ko)
AR (1) AR055365A1 (ko)
AU (1) AU2006276344B2 (ko)
BR (1) BRPI0614634A2 (ko)
CA (1) CA2617403A1 (ko)
EC (1) ECSP088219A (ko)
IL (1) IL188474A0 (ko)
MX (1) MX2008001113A (ko)
NO (1) NO20081080L (ko)
RU (1) RU2417220C2 (ko)
TW (1) TW200738634A (ko)
UY (1) UY29714A1 (ko)
WO (1) WO2007015666A1 (ko)
ZA (1) ZA200800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8948A1 (es) * 2000-06-20 2003-05-28 Astrazeneca Ab Compuestos novedosos
WO2008100202A1 (en) * 2007-02-14 2008-08-21 Astrazeneca Ab A 2-f luorobenzoate salt and a 2, 6-dif luorobenzoate salt of n-{5-chloro-2- [ ( (2s) -3-{ [1- (4-chlorobenzyl)piperidin-4- yl ] amino } - 2 - hydroxy- 2 -me t hylpr opyl ) oxy] - 4 - hydroxyphenyl } acetamide
GB0814729D0 (en) * 2008-08-12 2008-09-17 Argenta Discovery Ltd New comb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0440B (de) * 1962-02-14 1966-07-07 Sanol Arznei Schwarz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rivaten des 1-(o-Bromphenoxy)-2-hydroxy-3-amino-propans und deren Saeureadditionssalzen
US3577432A (en) * 1968-12-23 1971-05-04 Robins Co Inc A H 1-substituted-3-phenoxypyrrolidines
US4029801A (en) * 1970-09-03 1977-06-14 John Wyeth & Brother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hypertension
JPS5511670B1 (ko) 1971-07-13 1980-03-26
US4080328A (en) * 1971-07-13 1978-03-2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N-substituted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preparation thereof
US3994974A (en) * 1972-02-05 1976-11-30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α-Aminomethylbenzyl alcohol derivatives
US3755584A (en) * 1972-04-03 1973-08-28 Abbott Lab Tranquilizers
SE378109B (ko) 1972-05-19 1975-08-18 Bofors Ab
FR2190430A1 (en) 1972-06-29 1974-02-01 Ferlux N-aminomethylhydroxamic acids -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pre-pared by Mannich reaction
US3818017A (en) * 1973-01-04 1974-06-18 Janssen Pharmaceutica Nv 1-{8 1-(2-hydroxy-3-aryloxypropyl)-4-piperidyl{9 -2-benzimidazolinones and related compounds
US3894030A (en) * 1973-01-04 1975-07-08 Janssen Pharmaceutica Nv 1-{8 1-(2-Hydroxy-3-aryloxypropyl)-4-piperidyl{9 -2-benzimidazolinones and related compounds
US4166119A (en) * 1978-04-14 1979-08-28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Analgesic and tranquilizing spiro[dihydrobenzofuran]piperidines and pyrrolidines
WO1980000152A1 (en) * 1978-07-03 1980-02-07 Sandoz Ag 3-aminopropoxy-aryl derivates,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4264613A (en) * 1979-08-01 1981-04-28 Science Union Et Cie, Societe Francaise De Recherche Medicale Piperidylbenzimidazolinone compounds
FR2469411A1 (fr) * 1979-11-15 1981-05-22 Science Union & Cie Nouveaux derives de la piperidylbenzimidazolinone,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EP0095454A3 (de) 1982-05-13 1985-04-03 Gerot-Pharmazeutika Gesellschaft m.b.H. Neue kernsubstituierte Pyrogallol-Derivate
JPS59222484A (ja) 1983-06-02 1984-12-14 Kowa Co テトラヒドロナフチルカルボン酸フエニルエステル誘導体
GB8334494D0 (en) * 1983-12-24 1984-02-01 Tanabe Seiyaku Co Carbostyril derivatives
US5614533A (en) * 1987-03-13 1997-03-25 Bio-Mega/Boehringer Ingelheim Research, Inc. Substituted pipecolinic acid derivatives as HIV protease inhibitors
DE3723648A1 (de) 1987-07-17 1989-01-26 Sandoz Ag Indol-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arzneimittel
GR1001529B (el) 1990-09-07 1994-03-31 Elmuquimica Farm Sl Μέ?οδος για την λήψη νέων 21-εστέρων της 16-17-ακετάλης της πρ να-1,4-διενο-3,20-διόνης.
SE9003057D0 (sv) 1990-09-26 1990-09-26 Astra Ab New process
ES2027897A6 (es) 1991-01-24 1992-06-16 Espanola Prod Quimico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nuevos derivados de la difenilmetilpiperacina.
IL105716A0 (en) 1992-06-08 1993-09-22 Richter Gedeon Vegyeszet Aminopropanol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U662434B2 (en) 1992-08-07 1995-08-31 Sankyo Company Limited Peptides capable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HIV protease,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5576321A (en) * 1995-01-17 1996-11-19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having effects on serotonin-related systems
US5741789A (en) * 1995-01-17 1998-04-21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having effects on serotonin-related systems
US5789402A (en) * 1995-01-17 1998-08-04 Eli Lilly Company Compounds having effects on serotonin-related systems
US5627196A (en) * 1995-01-17 1997-05-06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having effects on serotonin-related systems
US5614523A (en) * 1995-01-17 1997-03-25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having effects on serotonin-related systems
GB9624482D0 (en) 1995-12-18 1997-01-15 Zeneca Phaema S A Chemical compounds
ZA9610738B (en) 1995-12-22 1997-06-24 Warner Lambert Co Subtype selective nmda receptor ligands and the use thereof
BR9707495A (pt) 1996-02-13 1999-07-27 Zeneca Ltd Derivado de quinazolina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processo para a produç o de um efeito antiangiogênico e/ou de redução de permeabilidade vascular em um animal de sangue quente
KR100489174B1 (ko) 1996-03-05 2005-09-30 제네카-파마 소시에떼아노님 4-아닐리노퀴나졸린유도체
GB9718972D0 (en) 1996-09-25 1997-11-12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DE19703131A1 (de) 1997-01-29 1998-07-30 Bayer Ag Verwendung von Chinoxalin in Dreier-Kombination mit Protease-Inhibitoren und Reverse Transkriptaseinhibitoren als Arzneimittel zur Behandlung von AIDS und/oder HIV-Infektionen
GB9714249D0 (en) 1997-07-08 1997-09-10 Angiogene Pharm Ltd Vascular damaging agents
IL125658A0 (en) 1997-08-18 1999-04-11 Hoffmann La Roche Ccr-3 receptor antagonists
WO1999025686A1 (en) 1997-11-18 1999-05-27 Teijin Limited Cyclic 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drugs
DE19755268A1 (de) 1997-12-12 1999-06-17 Merck Patent Gmbh Benzamidinderivate
FR2780057B1 (fr) 1998-06-18 2002-09-13 Sanofi Sa Phenoxypropanolamin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DE69938193D1 (de) * 1998-11-20 2008-04-03 Hoffmann La Roche Piperidin ccr-3 rezeptor-hemmer
CA2350730A1 (en) 1998-12-18 2000-06-22 George V. Delucca N-ureidoalkyl-piperidines as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 activity
EP1156807A4 (en) 1998-12-18 2002-04-03 Du Pont Pharm Co N-UREIDOALKYL-PIPERIDINES FOR USE AS MODULATORS OF THE ACTIVITY OF CHIMIOKIN RECEPTORS
GB9900334D0 (en) 1999-01-07 1999-02-24 Angiogene Pharm Ltd Tricylic vascular damaging agents
GB9900752D0 (en) 1999-01-15 1999-03-03 Angiogene Pharm Ltd Benzimidazole vascular damaging agents
SE9900833D0 (sv) 1999-03-09 1999-03-09 Astra Ab Novel combination
AU2942000A (en) 1999-03-11 2000-09-28 Banyu Pharmaceutical Co., Ltd. Novel piperidine derivatives
KR20010108394A (ko) 1999-03-26 2001-12-07 다비드 에 질레스 신규 화합물
GB9913083D0 (en) 1999-06-04 1999-08-04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DE60014361T2 (de) 1999-05-14 2006-02-02 Bristol-Myers Squibb Pharma Research Labs, Inc. Zyklische aminderivate und ihre verwendung
ES2165768B1 (es) * 1999-07-14 2003-04-01 Almirall Prodesfarma Sa Nuevos derivados de quinuclidina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SE9902987D0 (sv) 1999-08-24 1999-08-24 Astra Pharma Prod Novel compounds
FR2802533B1 (fr) 1999-12-17 2002-02-15 Sanofi Synthelabo Phenoxypropanolamin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6867220B2 (en) 1999-12-17 2005-03-15 Sanofi-Synthelabo Phenoxypropanolamines, method for produc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O5300399A1 (es) 2000-02-25 2003-07-31 Astrazeneca Ab Heterocicliocs que contienen nitrogeno, proceso para su preparacion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GB0011838D0 (en) 2000-05-17 2000-07-05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012260D0 (en) * 2000-05-19 2000-07-12 Astrazeneca Ab Novel composition
IL152682A0 (en) 2000-05-31 2003-06-24 Astrazeneca Ab Indole derivatives with vascular damaging activity
AR028947A1 (es) 2000-06-20 2003-05-28 Astrazeneca Ab Compuestos novedosos
AR028948A1 (es) * 2000-06-20 2003-05-28 Astrazeneca Ab Compuestos novedosos
US7005439B2 (en) * 2000-06-20 2006-02-28 Astrazeneca Ab Compounds
JP2004516238A (ja) 2000-06-21 2004-06-03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スクイブ・ファーマ・カンパニー ケモカイン受容体活性調節剤としてのn−ウレイドアルキル−ピペリジン
GB0015876D0 (en) 2000-06-28 2000-08-23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KR20030022264A (ko) 2000-07-07 2003-03-15 앤지오젠 파마슈티칼스 리미티드 신생 혈관 형성 억제제인 콜치놀 유도체
US20050277627A1 (en) 2000-07-07 2005-12-15 Arnould Jean C Colchinol derivatives as vascular damaging agents
IL154175A0 (en) 2000-08-05 2003-07-31 Glaxo Group Ltd 17. beta.-carbothioate 17. alpha-arylcarbonyloxyloxy androstane derivatives as anti-inflammatory agents
GB0021670D0 (en) * 2000-09-04 2000-10-18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GB0029562D0 (en) 2000-12-04 2001-01-1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GB2373186A (en) 2001-02-23 2002-09-18 Astrazeneca Ab Pharmaceutical combinations of a CCR3 antagonist and a compound which is usefulreatment of asthma, allergic disease or inflammation
AR035230A1 (es) 2001-03-19 2004-05-05 Astrazeneca Ab Compuestos de bencimidazol, proceso para su preparacion, composicion farmaceutica,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dicha composicion farmaceutica, y usos de estos compuestos para la elaboracion de medicamentos
GB0107228D0 (en) 2001-03-22 2001-05-16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WO2002076933A1 (en) 2001-03-22 2002-10-03 Glaxo Group Limited Formailide derivatives as beta2-adrenoreceptor agonists
SE0101038D0 (sv) * 2001-03-23 2001-03-23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GB0108046D0 (en) 2001-03-30 2001-05-23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A2445348A1 (en) 2001-04-27 2002-11-07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Novel benzylpiperidine compound
SE0104251D0 (sv) * 2001-12-14 2001-12-14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TW200303304A (en) * 2002-02-18 2003-09-01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A2534125A1 (en) * 2003-07-29 2005-02-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caments comprising pde iv inhibitors and an anticholinergic for treating respiratory disorders
SG137859A1 (en) * 2003-11-03 2007-12-28 Boehringer Ingelheim Int Method for producing tiotropium salts, tiotropium salts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the same
EP1912942A1 (en) * 2005-08-01 2008-04-23 AstraZeneca AB Novel piperidine derivatives as chemokine receptor modula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TW200734305A (en) * 2005-08-02 2007-09-16 Astrazeneca Ab New salt III
TW200738635A (en) * 2005-08-02 2007-10-16 Astrazeneca Ab New salt
JP2009506029A (ja) * 2005-08-26 2009-02-12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呼吸器疾患、特に慢性閉塞性肺疾患(copd)および喘息の処置に使用し得る化合物の組み合わせ
TW200744612A (en) * 2005-08-26 2007-12-16 Astrazeneca Ab New combination
TW200800895A (en) * 2005-11-02 2008-01-01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US20100041905A1 (en) * 2006-07-18 2010-02-18 Astrazeneca Ab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2-Acetylamino-Alkoxypheny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7220C2 (ru) 2011-04-27
UY29714A1 (es) 2007-02-28
CA2617403A1 (en) 2007-02-08
AU2006276344B2 (en) 2010-10-07
RU2008105972A (ru) 2009-09-10
AU2006276344A1 (en) 2007-02-08
MX2008001113A (es) 2008-03-11
US8148405B2 (en) 2012-04-03
IL188474A0 (en) 2008-04-13
BRPI0614634A2 (pt) 2011-04-12
US20080227817A1 (en) 2008-09-18
ZA200800515B (en) 2008-12-31
CN101238103A (zh) 2008-08-06
JP2009503064A (ja) 2009-01-29
EP1912943A1 (en) 2008-04-23
TW200738634A (en) 2007-10-16
WO2007015666A1 (en) 2007-02-08
ECSP088219A (es) 2008-03-26
AR055365A1 (es) 2007-08-22
NO20081080L (n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7748B2 (ja) (3−{[[3−(6−アミノ−2−ブトキシ−8−オキソ−7,8−ジヒドロ−9h−プリン−9−イル)プロピル](3−モルホリン−4−イルプロピル)アミノ]メチル}フェニル)酢酸メチル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および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JP5717727B2 (ja) 2−(4−((2−アミノ−4−メチル−6−(ペンチルアミノ)ピリミジン−5−イル)メチル)フェニル)酢酸4−(ジメチルアミノ)ブチルの二サッカリン塩、二フマル酸塩、二l−ヒドロキシ−2−ナフトエ酸塩および一安息香酸塩
US20220267299A1 (en) New crystalline forms of n-(3-(2-(2-hydroxyethoxy)-6-morpholinopyridin-4-yl)-4-methvlphenyl)-2 (trifluoromethyl)isonicotinamide as raf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JP5718286B2 (ja) (3r)−1−(2−メチルアラニル−d−トリプトフィル)−3−(フェニルメチル)−3−ピペリジンカルボン酸1,2,2−トリメチルヒドラジドの結晶形
KR20080032144A (ko) 신규 염 ⅱ
KR20080032135A (ko)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케모카인 수용체조절인자로서의 신규 피페리딘 유도체
KR20080031369A (ko) 신규 염 i
KR20080031370A (ko) 신규 염 ⅲ
JP2020502224A (ja) ヤヌスキナーゼ阻害剤の結晶形
WO2020021077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orphic form of robenacoxib
CN115463133A (zh) 一种药物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368527B1 (en) Palbociclib tosylate
EP3053927A1 (en) Novel polymorphs
TW202016104A (zh) 新型鹽
JP2021525230A (ja) 4−フェニルチアゾール誘導体の結晶形およびそ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