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043A -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043A
KR20080031043A KR1020087002608A KR20087002608A KR20080031043A KR 20080031043 A KR20080031043 A KR 20080031043A KR 1020087002608 A KR1020087002608 A KR 1020087002608A KR 20087002608 A KR20087002608 A KR 20087002608A KR 20080031043 A KR20080031043 A KR 20080031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ommunication hole
sealed
en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638B1 (ko
Inventor
아키라 야마자키
요시미 오타키
다다오 고사카
아키히코 사사가와
Original Assignee
에치고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고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치고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23L3/1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with packages in intercommunicating chambers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is circul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23B9/025Preserving by heating with use of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4Coating with a protective layer;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18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4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8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liquids o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제조 도중에 용기내의 물이 넘쳐흐르거나 구멍뚫기 지그가 용기내에 낙하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또한 품질 얼룩짐을 일으키지 않고 가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이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 (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고, 이 용기 봉입식품(A)을, 증기 유입부(5)와 증기 배출부(6)를 구비한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가계 용체(7)내에 수증기를 유입하게 하는 것과 함께, 이 수증기를 상기 증기 배출부(6)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처리한 후, 상기 1차 필름(4)의 위로부터 상기 연통구멍(3)을 덮도록 하여 2차 필름(8)을 부착한다.

Description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FOOD ENCLOSED IN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팩에 담긴 밥 등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에 담긴 밥 등의 용기 봉입식품은, 용기에 한 끼분의 쌀을 넣어 가열처리(완전조리 혹은 반조리)하여, 용기를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서 완성한다.
그런데, 출원인은, 지금까지 식품에 고압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테마로 한 여러 가지의 특허 출원을 하였지만, 이 고압처리는 기본적으로 정수압에 의한 고압처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고압처리에 있어서는 피처리물을 수몰(水沒)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미리 밀봉 포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압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미리 식품을 넣은 용기를 필름으로 봉해 막아 두는 것은,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때에 용기내에 잡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거나, 용기내의 물 등이 넘쳐흐르지 않게 되거나 하므로 매우 유효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미리 용기를 밀봉해 버리면, 밀봉 후에 가열처리를 필요로 하는 식품의 경우에는 밀봉용기내에서 가열에 의한 증기가 발생하여, 내압이 높아져 파열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밀봉 용기에 증기가 새는 구멍을 형성하 고 나서 가열처리를 실시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32965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식품을 수납한 용기를 필름으로 봉하여 막은 후, 이 필림에 위쪽으로부터 구멍뚫기 지그로 새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때에 구멍뚫기 지그가 필름을 아래쪽으로 꽉 누르기 때문에, 용기내의 물이 넘쳐흐르거나, 구멍뚫기 지그가 용기내에 낙하할 위험성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 봉입식품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살균 및 조리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가열 가압기가 이용된다. 이 가열 가압기에는 안전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소정의 압력에 이르면 안전밸브가 열려, 과잉인 수증기를 놓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가열 가압기내가 설정압력에 이를 때까지는 안전밸브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가열 가압기내에서의 증기의 유동성이 나쁘고, 가열하고 처음은 가열원(예를 들면, 풍로)에 가장 가까운 가열 가압기내의 바닥부로부터 전열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가열 가압기내의 상부와의 온도차가 심하고, 가열 가압기의 하부에 배치된 것과 상부에 배치된 것에서는, 품질에 얼룩짐(가열 얼룩짐)을 일으켜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감안하여, 제조 도중에서 용기내의 물이 넘쳐흐르거나 구멍뚫기 지그가 용기내에 낙하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또한 품질 얼룩짐을 일으키지 않고 가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획기적인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이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 (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고, 이 용기 봉입식품(A)을, 증기 유입부(5)와 증기 배출부(6)를 구비한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가열 용체(7)내에 수증기를 유입하게 함과 함께, 이 수증기를 상기 증기 배출부(6)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처리한 후, 상기 1차 필름(4)의 위로부터 상기 연통구멍(3)을 덮도록 하여 2차 필름(8)을 부착(止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처리에 있어서,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의 수증기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열 용체(7)내의 가열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버체(9)로 가린 상기 용기 봉입식품(A)을 상기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이 커버체(9)를 향하여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버체(9)로 가린 상기 용기 봉입식품(A)을 상기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이 커버체(9)를 향하여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배지붕(9A)을 갖는 상기 커버체(9)로 상기 용기 봉입식품(A)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필름(4)에, U자형상 혹은 V자형상 또는 X자형상의 절개부분 (3)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3)을 상기 연통구멍(3)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필름(4)에, U형상 혹은 V자형상 혹은 X자형상의 절개부분(3)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3)을 상기 연통구멍(3)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구멍(3)은, 절단구에 의해 1차 필름(4)에 상기 절개부분(3)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거나 혹은, 절개부분(3)을 형성한 후, 이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구멍(3)은, 절단구에 의해 1차 필름(4)에 상기 절개부분(3)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거나 혹은, 절개부분(3)을 형성한 후, 이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 기재의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연통구멍이 형성된 1차 필름으로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봉하여 막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구멍뚫기 지그가 필름을 아래쪽으로 꽉 누름으로써 용기내의 물이 넘쳐흐르거나 구멍뚫기 지그가 용기내에 낙하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는 데다가, 제조라인의 이송장치의 동작속도를 고속화하여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고, 게다가, 안전밸브를 구비한 기존의 가열 가압기를 이용하여 가열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증기 유입부와 증기 배출부를 구비한 가열 용체를 이용하여 증기 유입부로부터 수증기를 가열 용체내에 유입하면서, 이 수증기를 증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을 가열처리하므로, 가열 용체내에서는 수증기가 양호하게 유동하여 어느 영역에서도 온도차가 생기기 어렵고 대략 균일한 온도로 유지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용기 봉입식품을 가열 용체내에 다량으로 수납하여 가열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이더라도, 각 용기 봉입식품은 대략 균일한 온도에서 가열처리되게 되므로, 품질에 얼룩짐(가열 얼룩짐)이 없는 제품을 다수 제조 가능해지는 등, 지극히 실용성이 우수한 획기적인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 용체내로의 수증기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가열처리 온도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고, 또한, 수증기의 유량 조정에 의해 가열 용체내를 상압 이상으로 가압하고, 기존의 가열 가압기와 같이 10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처리도 가능한 것 등, 한층 실용성이 우수한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3,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 봉입식품을 커버체로 덮고, 이 커버체를 향해 수증기를 유입하여 가열처리하므로, 가열처리에서 발생하는 물(드레인)은 커버체에 부착되기 쉽고, 이 커버체에 부착된 드레인은 커버체를 타고 흘러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드레인이 1차 필름의 연통구멍으로부터 용기내에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한층 실용성이 우수한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구배지붕 부착의 커버체로 용기 봉입식품을 덮기 때문에, 용기 봉입식품의 1차 커버로 한층 드레인이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구배지붕의 물구배를, 이 구배지붕의 내면에 부착된 드레인이 이 내면을 따라서 타고 떨어지도록 구배 설정함으로써, 구배지붕의 내면에 부착된 드레인이 확실히 1차 커버 위에 낙하하지 않는 구조를 간단하고 쉽게 설계 실현 가능해지므로, 드레인이 1차 필름의 연통구멍으로부터 용기내에 한층 침입하기 어려운 극히 실용성이 우수한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6, 7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1차 필름에 원형이나 각형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절단편이 남는 절개부분을 형성하여 이것을 연통구멍으로 했으므로, 절단편의 존재에 의해서 연통구멍이 항상 크게 개방된 상태는 되지 않기 때문에, 1차 필름상에 부착된 물(드레인)이 연통구멍으로부터 침입하기 어렵게 되고, 게다가, 단순히 절개부분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이 연통구멍은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제작 용이한 것 등 한층 실용성이 우수한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8, 9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절개부분의 절단편이 위를 향해 올려지기 때문에, 가열처리에 있어서 1차 필름상에 발생하는 물(드레인)이 이 위를 향하는 절단편에 의해서 절개부분에의 침입이 차단되게 되므로, 이 절개부분(연통구멍)으로부터 용기내에 드레인이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한층 실용성이 우수한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또한, 청구항 10 내지 1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식품이 전분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에,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에 의해서 호화도(湖化度)가 향상한 맛있는 전분 식품이 완성되게 되고, 게다가,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보다 1회의 고압처리로 다량의 식품을 처리 가능해지므로, 생산 효율이 향상하게 되는 등, 한층 실용성이 우수한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한다.
즉, 종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이 식품을 넣은 용기를 필름으로 봉하여 막은 다음에 필름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연통구멍(3)이 형성된 1차 필름(4)으로 식품(1) 들어 있는 용기(2)를 봉하여 막기 때문에, 구멍뚫기 지그가 필름을 아래쪽으로 꽉 누름으로써 용기내의 물이 넘쳐흐르거나, 구멍뚫기 지그가 용기내에 낙하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또한, 이 종류의 용기 봉입식품(A)의 일반적인 제조라인에서는, 용기를 벨트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지만, 이때, 용기내에 제조라인중의 먼지나 이물이나 공중 부유균 등이 혼입되는 경우가 있거나, 이송장치의 반동에 의해 용기내의 물이 넘쳐 흘러버리는 경우가 있거나,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작속도를 늦추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용기 (2)를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두는 것에 의해, 용기(2)내로의 먼지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고, 이송장치의 동작속도를 빨리 해도 용기(2)내의 물 등이 넘쳐 흐르지 않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용기 봉입식품(A)을, 증기 유입부(5)와 증기 배출부(6)를 구비한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가열 용체(7)내에 수증기를 유입하게 함과 함께, 이 수증기를 상기 증기 배출부(6)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처리하고, 용기(2)내의 식품(1)을 조리 혹은 반조리(소비자가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조리가 완료되는 조리상태)한다.
즉, 가열 용체내가 소정의 압력에 이르면 증기방출 안전밸브를 구비한 기존의 가열 가압기를 이용하여 가열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증기 유입부(5)로부터 수증기를 가열 용체(7)내에 유입하면서, 이 수증기를 증기 배출부(6)로부터 항상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처리하므로, 이 가열 용체(7)내에서의 수증기의 유동성이 좋고, 따라서 가열 초기라도 가열 용체(7)내에서는 온도차가 생기기 어렵고, 가열 용체(7)내는 어느 영역에서도 대략 균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 용체(7)내에 다량으로 수납하여 가열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이더라도, 각 용기 봉입식품(A)은 대략 균일한 온도에서 가열처리되게 되어, 품질에 얼룩짐(가열 얼룩짐)이 없는 제품을 다수 제조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 가열됨으로써 용기(2)내에서는 증기가 발생하여 내압이 높아지지만, 이 증기는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 밖으로 도망치므로, 용기 봉입식품 (A)이 가열중에 파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가열처리는,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의 증기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열 용체(7)내의 가열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가열 가압기에 있어서는, 가열온도는 안전밸브가 작동하는 압력(안전밸브인 추의 무게나 스프링이나 나사)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의해서 정해진다. 그 때문에, 이 안전밸브의 작동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추나 스프링이나 나사를 하나 하나 조리용도·목적에 맞추어 조정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증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의 유량을 많이 하면 할수록 가열 용체(7)내의 내압이 높아져 높은 온도에서의 가열처리가 가능해지고,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에는 수증기의 유량을 줄이면 좋은 등, 이 온도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론, 수증기의 유량조정에 의해 가열 용체(7)내를 상압 이상으로 가압하고, 기존의 가열 가압기와 같이 10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처리도 가능하고, 다양한 조리용도·목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열처리에 있어서, 수증기가 용기 봉입식품(A)과 열교환을 실시하면, 응축하여 물(드레인)이 되어, 용기 봉입식품(A)이 젖어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 물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용기 봉입식품(A)을 커버체(9)로 가리고, 이 커버체(9)를 향하여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체(9)에 드레인이 부착되고 용기 봉입식품(A)에는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용기(2)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예를 들면, 구배지붕(9A)을 갖는 상기 커버체(9)로 상기 용기 봉입식품(A)을 덮도록 하면, 용기 봉입식품(A)의 1차 커버(4)에 한층 드레인이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또한 구배지붕(9A)의 물구배를, 이 구배지붕(9A)의 내면에 부착된 드레인이 이 내면을 따라서 타고 떨어지도록 구배 설정함으로써, 구배지붕(9A)의 내면에 부착된 드레인이 확실히 1차 커버(4)상에 낙하하지 않는 구조를 간단하고 쉽게 설계 실현 가능해지므로, 드레인이 1차 필름(4)의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 한층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1차 필름(4)에, U형상 혹은 V형상 또는 X자형상의 절개부분(3)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3)을 상기 연통구멍(3)으로 하고, 이 연통구멍(3)인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도,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이 하향으로 1차 필름(4)의 안쪽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하면, 이 절단편(3A)을 타고 물이 용기(2)내에 침입하기 쉽지만, 절단편 (3A)이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이 있으면, 이 위를 향하는 절단편(3A)에 의해서 물이 절개부분(3)에 흘러들려고 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절개부분(3)으로부터 용기(2)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가열처리 종료 후, 상기 1차 필름(4)의 위로부터 상기 연통구멍(3)을 덮도록 하여 2차 필름(8)을 부착함으로써, 제품 완성이 된다.
또한, 이 완성에 있어서는, 용기(2)내를 가스 치환하거나 혹은 탈산 소재를 함께 봉입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때, 상기 연통구멍(3)을 가스의 도입구멍·배출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스 치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탈산소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탈산소제를 1차 필름(4)과 2차 필름(8)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봉입함으로써, 탈산소제를 잘못 먹는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식품(1)이 전분을 포함하는 것이었던 경우, 미리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1)을 용기(2)내에 넣고, 이 식품(1)이 들어 있는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하면, 고압처리에 의한 압력 이력이 식품(1)에 남고, 그 후에 상기 가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호화도가 향상한 맛있는 전분 식품이 완성되게 된다 (자세한 것은, 일본특허 제 3420521호, 일본특허공개 2000-152756호 참조.).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서 나타낸 일본 특허공개 2000-32965호에서는, 미리 용기에 쌀과 물을 넣고 봉하여 막은 다음 고압처리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이 방법의 경우는 용기마다 고압처리기내에 투입하는 형편상, 1회의 고압처리의 처리량{용기 봉입식품(A)을 고압처리장치내에 한 번에 투입할 수 있는 양}이 그다지 많지 않다. 이 점, 미리 식품(1)에 고압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용기(2)내에 넣고 봉하여 막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압처리장치내에 용기(2)를 투입하지 않는 만큼 다량의 식품(1)을 투입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1회의 고압처리에 의한 처리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생산 효율이 향상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부 개구형의 바닥이 얇은 용기(2)내에 식품(1)으로서의 쌀{이하, 쌀(1)이라 칭한다.}과 물을 넣고, 이 용기(2)의 상부 개구 둘레가장자리부 전체둘레에 필름을 시일 부착하여 말봉한 팩에 담긴 밥(용기 봉입식품(A))을 나타내고 있고,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로 가열 가능하게 한 팩에 담긴 밥의 제조방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쌀(1)과 적당량의 물을 넣은 용기(2)를,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4)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A)으로 한다. 한편, 물의 '적당량'이란, 소비자가 용기 봉입식품(A)을 개봉할 때에, 물이 조심성 없이 용기(2) 밖으로 유출하는 등 취급성에 지장이 되지 않는 수량(水量)이고, 또한 용기(2)내에, 가열 조리에 있어서 쌀(1)이 물을 빨아들여 팽창하는 여유를 일으키는 양으로, 쌀(1)의 밥이 다 지어짐이 양호해지는 양을 말한다.
1차 필름(4)은, 미리 연통구멍(3)을 뚫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1차 필름(4)의 2개소에 U자형상의 절개부분(3)을 형성하여 이 각각의 절개부분(3)을 상기 연통구멍(3)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연통구멍(3)인 절개부분(3)은, 본 실시예에서는 1차 필름(4)의 하부로부터 절단구를 위로 움직임으로써 절단 형성하고, 동시에 이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고, 이 절단편(3A)이 1차 필름(4)의 아래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은, 후술하는 가열처리에 있어서 용기 봉입식품(A)과 수증기가 열교환을 실시하면 응축하여 물(드레인)이 되지만, 용기 봉입식품(A)에 부착된 이 드레인이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즉, 1차 필름(4) 위를 흐르는 물방울이, 절개부분(3)을 차단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위를 향한 절단편(3A)에 닿는 것에 의해서 연통구멍(3)을 피하도록 유로가 변경되고,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 물방울이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구성이다.
한편, 이 연통구멍(3)은, 1차 필름(4)에 V자형상 혹은 X자형상의 절개부분 (3)을 형성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그 외의 형상의 연통구멍(3)을 형성하여도 좋지만, 둥근 구멍이나 각진 구멍과 같이 항상 개방하는 구멍이 아니라, 절단편 (3A)을 갖고 이 절단편(3A)에 의해 연통구멍(3)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하 여, 연통구멍(3)으로부터 물을 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편(3A)의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은, 절개부분(3)의 형성과 동시에 실시하지 않아도, 절개부분을 형성한 다음에 실시해도 좋다. 또한, 1차 필름(4)의 위쪽으로부터 절단구를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절개부분(3)을 절단 형성하고, 그 후, 이 절개부분(3)의 절단편(3A)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해도 좋다.
한편, 쌀(1)(곡류)에 미리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가열처리를 실시하면, 호화도가 높아져, 맛있어지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이 경우,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용기(2)에 쌀(1)을 채워 이 용기(2)마다 처리 용체(장치) 내에 수납하여 고압처리를 실시하는 것보다, 용기(2)에 채우기 전에 미리 쌀(1)만을 처리 용체내에 수납하는 편이 쌀(1)을 다량으로 수납할 수 있어, 1회의 고압처리에 있어서의 쌀(1)의 처리량이 많아지고, 그 후 용기(2)에 채우도록 하는 편이 생산효율이 향상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용기 봉입식품(A)을, 증기 유입부(5)와 증기 배출부(6)를 구비한 가열 용체(7)내에 배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가열 용체(7)내에 1.0기압 (절대압) 이상의 수증기를 유입시킴과 함께, 이 수증기를 상기 증기 배출부(6)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A)을 가열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가열 용체(7)에 대해 설명하면, 소정의 기체 압력을 유지 할 수 있는 내압성과 함께 단열성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내부 아래쪽에 용기 봉입식품(A)을 얹어놓기 위한 선반용 판자(7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가열 용체(7) 및 선반용 판자(7A)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로서 내식성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이 가열 용체(7)의 하부에 상기 증기 유입부(5)를 설치하고 가열 용체(7)의 상부에 증기 배출부(6)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하부의 증기 유입부(5)로부터, 수증기가 가열 용체(7)내에 유입하면 가열 용체(7)내가 가열됨과 함께, 이 가열 용체(7)내에 유입한 수증기는 자연스럽게 상부의 증기 배출부(6)로부터 유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이 가열 용체(7)에 대한 증기 유입부(5)와 증기 배출부(6)와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용체(7)내를 상압 이상으로 유지하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 자세한 것은, 증기 유입부(5)의 증기 유입구의 입구지름을, 증기 배출부(6)의 증기 배출구의 입구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설정하고, 이 입구지름의 차이에 의한 수증기의 유입량과 배출량의 차이(수증기의 유입량 쪽이 배출량보다 많은 것)에 의해서 가열 용체(7)내를 상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증기 배출부(6) 부근에 온도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의 증기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조리 용도·목적 등에 따라 상기 가열 용체(7)내의 가열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봉입식품(A)을 커버체(9)로 덮고, 이 커버체(9)를 향하여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리한다.
더욱 자세한 것은, 커버체(9)는, 가로로 긴 통형 케이스형상으로 하고, 이 커버체(9)내에 가로로부터 복수의 용기 봉입식품(A)을 슬라이드 수납할 수 있는 데다가, 이 커버체(9)를 가열 용체(7)내의 선반용 판자(7A)상에 다단 다열(多列) 축적 상태로 배치하여 가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커버체(9)는, 예를 들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제로 하고, 이 커버체(9)를 통하여 용기 봉입식품(A)이 양호하게 가열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커버체(9)를 이용한 것에 의해, 가열 용체(7)내에서의 용기 봉입식품(A)의 배치 및 정리가 용이하게 되고, 이 배치작업의 로봇 등에 의한 자동화도 가능해져서 작업성이나 양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이 통형의 커버체(9)는, 중간 정도보다 아래쪽 부분이 단면 상자형이며, 중간 정도보다 위쪽 부분이, 하부보다 넓은 폭으로서 단면 맞배지붕형{구배지붕(9A)}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커버체(9)의 중간 정도 부분의 폭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단차 부분(9B)에 용기(2) 주위의 테두리부(2A)를 얹어놓고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커버체(9)의 구배지붕(9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물구배각도 θ를, tanθ = 1/100∼1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 구배지붕(9A)의 설정 구배는, 구배지붕(9A)의 내면에 부착된 물이 수직 낙하하지 않고, 이 구배지붕(9A)의 내면을 타고 흘러 떨어지게 되는 구배이다. 즉, 이 설정 구배에 의해, 상기 증기 유입부(5)로부터 커버체(9)를 향하여 유입하는 수증기가 커버체(9)에 대해 열교환을 실시하면 이 커버체(9)에 응축한 물(드레인)이 부착되지만, 이때, 구배지붕(9A)의 내면에 드레인이 부착되어도, 1차 필름 (4)상에 드레인이 낙하하여 상기 연통구멍(3)으로부터 유입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tanθ = 1(45°) 이상에서는, 이 구배지붕(9A)의 내부공간이 너무 넓어져서, 가열 용체(7)내에의 이 커버체(9)의 수납(배치)효율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가열처리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품화에 있어서의 전조리(前調理)를 실시하고 있다.
이 전조리는, 미리 완성되어져(다 지어져) 있는 밥을 가정의 전자레인지 등으로 재가열하는 상품으로 하거나, 반(半)완성의 밥을 가정용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하여 다 지어지게 하는 상품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2가지의 조리를 선택한다. 즉, 전자와 같은 제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 가열처리에 의해서 식품(1){쌀(1)}을 완성(다 지어진) 상태로까지 조리하고, 후자와 같은 제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 가열처리에 의해서 식품(1){쌀(1)}을 반완성 상태로까지 조리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연통구멍(3)을 폐색하지 않고 가열처리를 실시하고, 이 연통구멍(3)을 가열처리를 실시할 때의 증기 방출 구멍으로서 기능시켜, 가열처리중에 용기 봉입식품(A)의 식품 포장체(1)의 내압이 상승하여 파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가열처리는, 증기 유입부(5)로부터의 수증기의 유입량을 조정함으로써, 10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리목적이나 살균목적 등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가열 용체(7)내를 일정한 압력으로 설정, 유지(보존)할 수 있으므로, 식품(1){본 실시예에서는 쌀(1)}에 등방적(等方的)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때, 열원의 수증기가 식품(1)에 대해서 등방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식품(1)이 균등하게 얼룩짐 없이 가열되게 된다.
특히, 가압하에서는 식품(1)중의 함유 수분이 비등하지 않기 때문에, 이 식품(1)중의 수분이 증발하는 일 없이, 식품(1)(식재)의 수분량이나 중량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가열처리할 수 있고, 식품(1)중의 향기 성분도 외압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증발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이 가열처리 후, 상기 1차 필름(4)의 위로부터 상기 연통구멍(3)을 덮도록 하여 2차 필름(8)을 부착한다.
더욱 자세한 것은, 2차 필름(8)은, 1차 필름(4)과 대략 동일 형상의 것을 채용하여, 1차 필름(4) 외표면(상면)측의 둘레가장자리부 전체둘레에 2차 필름(8)의 이면(하면)측의 둘레가장자리부 전체둘레를 시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이 2차 필름(8)을 부착하기 전에,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2)내의 공기를 가스 치환하거나, 혹은 탈산소제(도시 생략)를 봉입한다.
가스 치환을 실시하는 경우는, 상기 연통구멍(3)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1차 필름(4)의 2개소에 연통구멍(3)을 설치했기 때문에, 한 쪽의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에 가스를 유입하고, 이때 다른 쪽의 연통구멍(3)으로부터 용기(2)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면, 효율적으로 가스 치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탈산소제를 봉입하는 경우는, 1차 필름(4)의 외표면과 2차 필름(8)의 이면(내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탈산소제를 봉입할 수 있다. 즉, 이 2매의 필름(4, 8)사이의 공극과 상기 용기(2)의 내부가 상기 연통구멍(3)을 통하여 연통 상태가 되며, 이 연통구멍(3)을 통하여 탈산소 기능이 완수해지도록 설치함과 함께, 이 공극에 탈산소제를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하지 않고 봉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2차 필름(8)을 용기(2)로부터 벗기면{용기(2)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하면}, 이 2차 필름(8)과 함께 상기 1차 필름(4)도 용기(2)로부터 벗겨지게 되도록 2차 필름(8)의 1차 필름(4)에의 시일 부착 강도를 설정 구성한다.
이 팩에 담긴 밥과 같은 용기 봉입식품(A)의 경우, 탈산소제를 밥에 뿌려 먹는 분말이라 착각하여 밥에 뿌려 먹을 가능성이 있지만(탈산소재의 알맹이가 깨소금과 비슷하기 때문에, 특히 밥에 있는 경우에는 잘못 먹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1차 필름(4)과 2차 필름(8)의 사이에 탈산소제를 봉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기(2)를 개방하려고 하여 2차 필름(8)을 벗겨도 2차 필름(8)이 1차 필름(4)으로부터 벗겨지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는 탈산소제를 꺼내지 못하여, 이 탈산소제를 잘못 먹을 가능성이 현저하게 저감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당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용기 봉입식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용기 봉입식품을 커버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가열처리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용기 봉입식품에 2차 필름을 부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용기 봉입식품의 완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식품 2 : 용기
3 : 연통구멍(절개부분) 3A : 절단편
4 : 1차 필름 5 : 증기 유입부
6 : 증기 배출부 7 : 가열 용체
8 : 2차 필름 9 : 커버체
9A : 구배지붕 A : 용기 봉입식품

Claims (15)

  1.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고, 이 용기 봉입식품을, 증기 유입부와 증기 배출부를 구비한 가열 용체내에 배치하고, 상기 증기 유입부로부터 가열 용체내에 수증기를 유입하게 함과 함께, 이 수증기를 상기 증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면서 용기 봉입식품을 가열처리한 후, 상기 1차 필름의 위로부터 상기 연통구멍을 덮도록 하여 2차 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에서, 상기 증기 유입부로부터의 수증기 유입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열 용체내의 가열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체로 가린 상기 용기 봉입식품을 상기 가열 용체내에 배치하고, 이 커버체를 향하여 상기 증기 유입부로부터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체로 가린 상기 용기 봉입식품을 상기 가열 용체내에 배치하고, 이 커버체를 향하여 상기 증기 유입부로부터 수증기를 유입시켜 가열처 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구배지붕을 갖는 상기 커버체로 상기 용기 봉입식품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름에, U자형상 혹은 V자형상 또는 X자형상의 절개부분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름에, U형상 혹은 V형상 또는 X형상의 절개부분을 형성하여 이 절개부분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은, 절단구에 의해 1차 필름에 상기 절개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절개부분의 절단편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거나 혹은, 절개부분을 형성한 후, 이 절개부분의 절단편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은, 절단구에 의해 1차 필름에 상기 절개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절개부분의 절단편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거 나 혹은, 절개부분을 형성한 후, 이 절개부분의 절단편에 위를 향해 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1000기압 이상의 고압처리를 실시한 식품을 용기내에 넣고,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연통구멍을 뚫어 설치한 1차 필름으로 봉하여 막아 용기 봉입식품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87002608A 2005-07-25 2005-12-20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KR101006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4657 2005-07-25
JP2005214657A JP4607695B2 (ja) 2005-07-25 2005-07-25 容器封入食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043A true KR20080031043A (ko) 2008-04-07
KR101006638B1 KR101006638B1 (ko) 2011-01-10

Family

ID=3768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608A KR101006638B1 (ko) 2005-07-25 2005-12-20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33334A1 (ko)
JP (1) JP4607695B2 (ko)
KR (1) KR101006638B1 (ko)
CN (1) CN101227839B (ko)
WO (1) WO20070131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324A (ko) * 2017-09-22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214B2 (ja) 2007-02-08 2010-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状態検知装置
US8679419B2 (en) * 2008-06-09 2014-03-25 Becton Dickinson France Sterile packing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is packing
JP5627233B2 (ja) * 2009-12-28 2014-11-19 テーブルマーク株式会社 無菌包装食品の製造方法
JP5639027B2 (ja) * 2011-10-03 2014-12-10 株式会社日阪製作所 食品の包装方法
JP6203340B1 (ja) * 2016-07-26 2017-09-27 フジフーズ株式会社 食品包装容器の二重シール密封方法および食品包装容器
WO2021117865A1 (ja) * 2019-12-11 2021-06-17 株式会社クラレ 殺菌処理用の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015A (en) * 1980-12-31 1985-06-11 Campbell Soup Company Phased aseptic sterilization and packaging process and system
JPS62128786U (ko) * 1986-02-05 1987-08-14
JPH0817684B2 (ja) * 1987-04-10 1996-02-2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保存食品の製造法
JP2000032965A (ja) * 1998-07-18 2000-02-02 Echigo Seika Co Ltd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JP3881782B2 (ja) * 1998-07-18 2007-02-14 越後製菓株式会社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JP4029024B2 (ja) * 2002-10-22 2008-01-09 株式会社ミツカングループ本社 固形具材入り食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324A (ko) * 2017-09-22 2020-05-27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3193A1 (ja) 2007-02-01
CN101227839A (zh) 2008-07-23
CN101227839B (zh) 2011-11-02
JP2007028949A (ja) 2007-02-08
JP4607695B2 (ja) 2011-01-05
US20100233334A1 (en) 2010-09-16
KR101006638B1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38B1 (ko)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AU2007350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JP2007028949A5 (ko)
CN1108102C (zh) 用微波烹调和真空包装贝类的方法和装置
EP1867583A1 (en) Bag body for microwave oven and heating/pressuring cooking method using the bag body
DK147908B (da) Emballage til aseptisk indpakning af vandholdige produkter
KR101867630B1 (ko) 식품 살균 장치 및 식품 살균 방법
TW201908205A (zh) 無菌罐裝的製程方法及無菌罐裝系統
JP4138861B1 (ja) 誘導加熱調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食品および無菌包装食品の製造方法
JP2000191056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およびこれに包装された食品
IE980632A1 (en) Production of preserved food
JP5792454B2 (ja) 無菌包装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無菌包装食品の製造装置
JP3881782B2 (ja)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JP2000032965A (ja)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EP24742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food product
CN211459780U (zh) 一种方便食品
US2010002850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septic Packaged Pasta Product Storable at Room Temperature
EP3508032B1 (en) A fermentation unit
JPH0622711A (ja) 無菌パック米飯の製造法
JP4762386B2 (ja) 袋入り無菌米飯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並びに無菌米飯包装体
JPH09207972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多分割包装体
JP2020059515A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78455A (ja) 卵焼成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6149339A (ja) 具材を包んだ食品の冷却方法
JPH08214802A (ja) 米飯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