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324A -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324A
KR20200058324A KR1020197031872A KR20197031872A KR20200058324A KR 20200058324 A KR20200058324 A KR 20200058324A KR 1020197031872 A KR1020197031872 A KR 1020197031872A KR 20197031872 A KR20197031872 A KR 20197031872A KR 20200058324 A KR20200058324 A KR 2020005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film material
vent hol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672B1 (ko
Inventor
류이치 쓰쓰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5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4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053Preserving by heating with gas or liquid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4/0056Preserving by heating with gas or liquid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6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B31/028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losed by a lid sealed to the upper rim of the container, e.g. tray-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7Perforating strips of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 내에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하는 수용 공정과,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막아서 상기 식품을 완전히 밀봉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 의한다.

Description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17-18280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반찬류 등의 식품이 포장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 식품에는, 식품공장 등에서 조리·가공된 식품이 성형 용기 내에 수용되고, 이 용기에 탑 시트나 뚜껑을 덮은 상태로 유통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포장 식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밀봉된 것이 아니므로, 외기(外氣)가 용기 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들 포장 식품의 보존 가능한 기간은 대강 1∼2일로 매우 짧고, 즉, 이와 같은 포장 식품은 오래가지 않아, 폐기 손실률이 대단히 높다(제품 수율이 나쁨)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와 같은 포장 식품으로서, 성형 용기가 히트 실링되는 등 완전히 밀봉되어 보존 가능 기간을 연장시킨 포장 식품이 유통하도록 되고 있다. 이 중에는, 냉장 보존함으로써 보존 가능 기간이 2주일을 넘는 것도 있다.
그러나, 히트 실링 등으로 용기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침입을 막는 것은 가능해도, 성형 용기의 내부는 완전 무균의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유통 과정에 있어서 환경이 변화함으로써 용기 내의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은 충분히 고려된다. 그러므로, 보존 가능 기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식품공장에서의 작업 환경을 될 수 있는 한 무균 상태에 가깝게 하도록, 청정도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식품을 용기에 수용한 상태로 가열 살균한 후, 클린 룸(무균실) 내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커버체로 밀폐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특허문헌 1), 예를 들면, 조리·가공된 식품을 취급하는 작업 환경의 청정도는, NASA 규격 클린 룸의 10000레벨 혹은 1000레벨이라는 하이레벨까지 관리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클린 룸을 도입하는 경우, 공기조절 설비의 설치나 그 유지관리에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출원인은, 가열 살균한 식품을 용기 본체에 수용하고, 또한 이 용기 본체를 기체(氣體) 투과성 필름으로 피복하고, 상기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 내부를 양압(陽壓)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기체 투과성 필름 상에 기밀성 필름을 적층하고, 용기 내부를 밀봉 상태로 하는 식품의 포장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2).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양압 상태로 된 용기의 기체 투과성 필름 상에 기밀성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에 세균이나 먼지류가 가까워지기 어려우므로, 클린 룸을 도입하지 않더라도 살균 처리 후의 식품에 세균을 부착시키지 않고 밀폐 포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9-993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3-079093호 공보
본 발명은, 세균 오염을 억제하여 품질 유지 기한이 가능한 한 긴 포장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 내에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하는 수용 공정과,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살균하는 살균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막아서 상기 식품을 완전히 밀봉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로서의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용기는 용기 본체와,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정은, 식품을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하고, 이 용기 본체를 상기 커버체로 피복하는 피복 공정과, 상기 용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뚫는 천공(穿孔) 공정을 포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의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살균 공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탈기(脫氣)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에 가열된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식품을 상기 가열된 증기로 살균하는 증기 살균 공정을 포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로서의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증기 살균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용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냉각시키는 진공 냉각 공정을 더 포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로서의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진공 냉각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 상기 용기 내에 제균(除菌)된 가스를 충전하는 가스 치환 공정을 포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이 살균되고 나서, 이 용기가 완전히 밀봉될 때까지의 사이에, 식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통하는 것만으로 외계와 유통할 뿐이므로, 상기 용기 내에 세균 등이 침입할 기회가 대폭으로 저감된다. 따라서, 클린 룸과 같은 대규모인 설비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용기 내에 세균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유통 기한 혹은 소비 기한이 충분히 긴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a]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가열 조리한 식품을 용기 본체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 도 1b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식품이 수용된 용기 본체를 제1 필름재로 밀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 도 1c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상기 필름재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 도 1d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 도 1e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용기 내에 가열 증기를 공급하여 용기 내의 식품을 살균하는 증기 살균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f] 도 1f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용기 내의 증기를 배출하고, 또한, 이 용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냉각시키는 진공 냉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g] 도 1g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용기 내에 제균된 가스를 충전하는 가스 치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h] 도 1h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상기 통기공을 제2 필름재로 막는 밀봉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밀봉한 제1 필름재에 형성된 통기공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공이 형성된 제1 필름재에 제2 필름재가 부착되어 통기공이 막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밀봉한 제1 필름재에 형성된 통기공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도 1h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각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식품(F)을 용기 본체(1)에 탑재한다. 식품(F)으로서는, 식품공장 등에서 조리, 가공된 식품이나 칠드(chilled) 가공 식품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F)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일반 사단법인 일본 총채 협회가 작성한 「총채의 고도화 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가열 후 포장하는 총채」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를 제1 필름재(2)로 밀봉한다. 제1 필름재(2)는 예를 들면, 히트 실링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1)의 주위 에지와 열용착된다. 상기 제1 필름재(2)로서는, 다음의 천공 공정에 있어서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기공을 형성하기 쉽고, 게다가 균열이 생기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2축 연신된 플라스틱제의 필름재가 특히 바람직하다.
계속되는 천공 공정에 있어서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필름재(2)에 통기공(3)을 형성한다. 이 통기공(3)은 하나의 용기에 대하여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용기의 네 코너에 각각 1개소씩, 합계 4개소에 통기공(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통기공(3)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로부터의 탈기나 용기 내부로의 증기의 공급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기공(3)의 크기로서는, 직경 0.5∼10㎜, 바람직하게는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1a)의 면적에 대한 통기공(3)의 합계 면적, 즉 개구율은 0.0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12)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천공 침(11)을 구비한 천공용 지그(10)를 사용하고, 이 천공용 지그(10)를 상기 제1 필름재(2)에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동시에 복수의 통기공(3)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천공 침(11)의 선단은, 단면 형상이 원, 삼각, 다각형 등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재의 일부를 구멍을 뚫어 통기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에 식품(F)이 수용되고, 이 용기 본체(1)가 제1 필름재(2)로 밀봉되고, 이 제1 필름재(2)에 통기공(3)이 형성된다. 즉, 이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는, 복수의 통기공(3)을 개구시킨 상태이다. 그리고,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임시밀봉 상태의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는, 계속되는 탈기 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탈기 공정, 및 이 탈기 공정에 이어지는 증기 살균 공정, 감압 공정, 냉각 공정 및 가스 치환 공정을,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제조의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이하, 단지 RIC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도시하지 않음)란, 처리 대상이 되는 식품을 수용 가능한 처리조(處理槽)와, 이 처리조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 장치와, 상기 처리조 내를 탈기하여 진공 상태로 하는 감압 장치와, 상기 처리조 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탈기 공정은, 트레이 상에 상기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복수 개 배열하고, 상기 트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 겹쳐 쌓은 상태에서 RIC를 구성하는 처리조 내에 수용한다. 처리조의 커버를 닫아서 처리조를 밀봉한 후, 상기 처리조 내를 진공 상태까지 탈기한다. 이 진공 상태에서의 처리조 내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5∼70Torr,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Torr로 한다. 처리조 내가 진공 상태까지 탈기되면,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3)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측의 공기도 탈기되고, 용기 내도 처리조 내와 동일한 진공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탈기 공정으로서는, 탈기에 의한 감압과 증기 공급에 의한 일부 복압(復壓)을 반복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상태(30Torr)로의 탈기, 증기에 의한 복압(180Torr), 진공 상태(30Torr)로의 탈기, 증기에 의한 복압(180Torr), 그리고 최종적인 진공 상태로의 탈기라는 순서로 탈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계속되는 증기 살균 공정에서는, 상기 처리조 내에 증기를 공급하고, 또한 처리조 내의 온도를 100∼145℃, 바람직하게는 115∼135℃로 한다. 처리조 내에 공급되고, 가열된 증기(S)는,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3)을 통하여 용기 내에도 퍼진다. 이에 의해,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F)은 상기 가열된 증기(S)에 의해 살균된다. 이 증기 살균 공정에서는, 상기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상태를, 바람직하게는 1초∼5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초∼1분간 유지한다.
계속되는 냉각 공정에서는, 상기 처리조 내를 감압하여 증기를 배출하고, 또한 상기 처리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식품을 냉각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조 내의 압력을, 바람직하게는 5∼30Torr, 보다 바람직하게는 5∼9Torr로 한다. 이와 같은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로부터도 증기 등이 배출되고, 상기 용기 내부도 진공 상태로 된다. 전단계의 증기 살균 공정에 있어서 공급된 증기(S)에 의하여, 식품 표면에는 수분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수분이 증발하여 식품으로부터 잠열을 빼앗아, 이 식품(F)이 효과적으로 냉각되게 된다. 이 냉각 공정에 의하여, 식품의 온도는, 1∼40℃까지, 바람직하게는 1∼10℃까지 냉각된다.
상기 냉각 공정 후, 바람직하게는 가스 치환 공정을 실시한다. 이 가스 치환 공정에서는, 상기 처리조 내에 제균된 가스를 공급한다. 제균 방법으로서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등의 제균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로서는, 질소 가스나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바람직하지만, 공기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균된 가스로서 질소 가스를 공급하였다. 이에 의해,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3)을 통하여 용기 내부에도 질소 가스(G)가 충전된다.
가스 치환 공정을 종료하면, 상기 처리조의 커버를 열어서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트레이와 함께 꺼낸다. 꺼내어진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는, 이어서 밀봉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 밀봉 공정은, 예를 들면 레이블러나 실링기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밀봉 공정에 의하여, 도 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필름재(2)에 형성된 상기 통기공(3)은 제2 필름재(4)로 밀봉되고, 식품(F)은 완전히 밀봉된 상태로 된다.
제2 필름재(4)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3)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필름재(2)보다 면적이 작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재(4)로서는, 한쪽 면에 점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기 제2 필름재(4)는 상기 점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제1 필름재(2)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자외선 조사(照射) 등에 의해 살균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필름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살균한 후, 박리 필름으로 상기 점착제층을 피복하여 놓고, 사용 시에 상기 박리 필름을 벗겨 점착제층을 노출시켜 제1 필름재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필름재(4)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통기공(3)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재(4)는, 용기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각각 1장씩 부착된다.
상기 점착제층으로서는, 상기 포장 식품(20)이, 식품공장 등에서 제조되고 나서 소비자가 이 포장 식품(20)을 개봉할 때까지의 사이에, 제2 필름재(4)가 제1 필름재(2)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조된 포장 식품을 전자렌지 등으로 데우는 것에 의해 용기 내의 기압이 상승했을 때, 상기 제1 필름재(2)로부터 상기 제2 필름재(4)가 벗겨지고, 그에 따라 노출된 통기공(3)을 통하여 용기 내의 압력을 개방할 수 있는 점착 강도로 할 수도 있고, 이로써, 전자렌지를 사용한 가열에 적합한 포장 식품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증기 살균 공정에 있어서 식품(F)이 살균 처리되고 나서 용기가 완전히 밀봉될 때까지의 사이에, 용기 본체(1)에 수용된 식품(F)은 제1 필름재(2)에 의해 덮어진 상태로 되고, 용기 내에 세균이나 먼지가 침입할 수 있는 경로는 상기 통기공(3)만으로 된다. 따라서, 살균 처리 공정부터 밀봉 공정까지의 사이에 식품이 오염되는 정도가 대폭으로 저감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개구율이 0.2%로 되는 통기공을 형성한 경우, 일반적인 식품공장에서의 청정도가 대략 100만이라고 가정하면, 용기의 내부는 이 100만에 0.2%를 곱한 2000이 되고, 낙하균의 혼입 빈도가 종래의 클린 룸과 동등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클린 룸을 설치하지 않고, 클린 룸과 동등한 청정도로 제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름재(2)에 형성된 통기공(3)은, 전술한 바와 같은 증기 살균 공정이나 진공 냉각 공정, 혹은 가스 치환 공정에 있어서 처리된 경우라도, 그 형상이 변화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개구 면적을 유지할 수 있고, 각 처리 공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통기공을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상면 개구부의 전체 주위에 밀봉되어야 할 커버체의 일부를 밀봉하지 않고 간극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그와 같은 경우, 증기 살균 공정이나 진공 냉각 공정, 가스 치환 공정에 있어서 처리될 때에 용기 내외의 압력차나 그에 따른 가스의 흐름, 혹은 온도에 의해 커버체가 변형되므로, 밀봉하지 않고 형성한 간극의 개구 면적이 일정하지 않고, 각 처리 공정에 있어서 처리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살균 공정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진공 냉각 공정을 실시한 것에 의하여, 식품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고, 증기 살균 공정부터 밀봉 공정까지의 사이의 냉각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냉각 공정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스 치환 공정을 실시한 것에 의하여, 식품을 수용한 용기 내에 질소 가스가 충전되고, 용기 내가 저산소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밀봉함으로써,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산소 상태로 함으로써, 수용된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고, 식품의 품질을 보다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살균 공정에 있어서 용기가 가열되고, 혹은 진공 냉각 공정에 있어서 용기가 냉각됨으로써 용기 본체(1) 또는 제1 필름재(2)가 신축하려고 해도, 제1 필름재(2)의 주위 전체가 용기 본체(1)의 개구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히트 실링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1)와 제1 필름재(2)의 접착 상태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필름재(2)를 용기 본체(1)에 히트 실링함으로써 용기를 밀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본체(1)와 동등한 경도를 가지는 커버체를 채용할 수도 있고, 이 커버체에 통기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1)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트레이 형용뿐만 아니라, 컵 형상, 보틀 형상, 혹은 자루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용기 본체(1)의 재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의 임의의 재질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통기공의 위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의 커버가 되는 제1 필름재에 통기공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통기공의 위치는 커버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본체에 형성해도 된다. 용기 본체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공정 후에 천공 공정을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제1 필름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놓고, 상기 제1 필름재를 식품이 수용된 용기 본체에 열용착하여 용기를 피복 상태(임시밀봉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기공(3)을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의 용기의 네 코너에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통기공의 수 및 위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대향하는 변을 따라 각각 3개소 또는 그 이상 형성해도 된다. 혹은, 용기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용기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통기공을 막는 제2 필름재(4)는, 2개 이상의 통기공(3)을 1장의 필름재(4)로 덮는 것 같은 임의의 크기 및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재(4)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필름재(2)보다 면적이 작은 것을, 하나의 용기에 대하여 2장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필름재(4)을 제1 필름재(2)와 동일한 치수 및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제1 필름재(2)의 전체면을 덮도록 접합해도 된다. 혹은, 상기 제2 필름재(4)을 하나의 용기에 대하여 3장 이상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재(4)는, 천공 공정 전에 상기 제2 필름재의 일부를 상기 제1 필름재(2)에 부착해 놓고, 천공 공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1 필름재(2)에 부착하고, 이로써 통기공(3)을 막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공정에 있어서, 피복 공정을 행한 후에, 천공 공정을 행하였으나, 천공 공정을 행한 후에, 피복 공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용 공정에 있어서, 미리 통기공(3)을 형성한 제1 필름재(2)로, 식품을 수용한 용기 본체(1)를 덮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치환 공정에서 질소 가스를 채용하였으나, 불활성 가스로서는, 이외에도 이산화탄소 등의 반응성이 낮은 기체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처리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식품을 냉각한 후, 처리조 내에 제균된 가스(질소 가스나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를 공급하고, 그 후, 처리조로부터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꺼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처리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식품을 냉각한 후, 일단, 제균된 가스를 처리조 내에 공급함으로써 처리조 내를 대기압으로 한 후, 처리조 내에서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를 꺼내고, 또한, 용기 내에 통기공(3)으로부터 제균된 가스(질소 가스나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를 공급해도 된다.
1 : 용기 본체
2 : 제1 필름재
3 : 통기공
4 : 제2 필름재
10 : 천공용 지그
20 : 포장 식품
F : 식품
S : 가열 증기
G : 질소 가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 내에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하는 수용 공정;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살균하는 살균 공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막아서 상기 식품을 밀봉하는 밀봉 공정
    을 포함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 본체와,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정은,
    상기 식품을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커버체로 피복하는 피복 공정과,
    상기 용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뚫는 천공(穿孔) 공정을 포함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공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탈기(脫氣)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 내에 가열된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식품을 상기 가열된 증기로 살균하는 증기 살균 공정을 포함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살균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용기 내를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냉각시키는 진공 냉각 공정을 더 포함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냉각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사이에, 상기 용기 내에 제균(除菌)된 가스를 충전하는 가스 치환 공정을 포함하는,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31872A 2017-09-22 2018-09-19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586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2802A JP6715222B2 (ja) 2017-09-22 2017-09-22 包装食品の製造方法
JPJP-P-2017-182802 2017-09-22
PCT/JP2018/034560 WO2019059206A1 (ja) 2017-09-22 2018-09-19 包装食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24A true KR20200058324A (ko) 2020-05-27
KR102586672B1 KR102586672B1 (ko) 2023-10-06

Family

ID=6581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872A KR102586672B1 (ko) 2017-09-22 2018-09-19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80192A4 (ko)
JP (1) JP6715222B2 (ko)
KR (1) KR102586672B1 (ko)
CN (1) CN111032530B (ko)
WO (1) WO2019059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1284A1 (de) 2020-02-03 2021-08-0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Tiefziehverpackungsmaschine mit Vakuumkühlstation und Verfahren zum Vakuumkühlen heißverpackter Produk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925A (ja) * 1994-01-10 1995-08-08 Toppan Printing Co Ltd 食品の滅菌保存方法
KR20080031043A (ko) * 2005-07-25 2008-04-07 에치고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JP2013079093A (ja) 2011-10-03 2013-05-02 Hisaka Works Ltd 食品の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1929A3 (en) * 1986-09-23 1989-03-22 Keyes (U.K.)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CN1130589A (zh) * 1994-12-27 1996-09-11 井村觉 包装食品的制造方法和包装食品制造器具及包装食品
JP2683227B2 (ja) * 1995-06-26 1997-11-26 株式会社日阪製作所 食材の殺菌方法
JPH10181779A (ja) * 1996-12-20 1998-07-07 Kenji Tani 加熱調理食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32965A (ja) * 1998-07-18 2000-02-02 Echigo Seika Co Ltd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US20040060458A1 (en) * 2002-02-15 2004-04-01 Vanda Janka Method for heat treatment and preservation under controlled gas pressure
EP1359097B1 (de) * 2002-04-17 2007-03-21 Wipf AG Ventilverpackung und Verfahren für die Pasteurisation von Lebensmitteln
DK1845807T3 (da) * 2005-02-10 2011-11-14 Micropast Gmbh Fremgangsmåde til konservering af fødevarer
JP2008271891A (ja) * 2007-05-01 2008-11-13 Yayoi Shokuhin Kk 容器入り冷凍食品及び冷凍食品用の容器
JP2008289533A (ja) * 2007-05-22 2008-12-04 Toppan Printing Co Ltd 加温用容器
JP5077556B2 (ja) * 2008-01-10 2012-11-21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詰め食品の殺菌方法および充填システム
WO2010093834A2 (en) * 2009-02-12 2010-08-19 Incube Labs, Llc Skin penet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ubcutaneous solid drug delivery
CH700481A1 (de) * 2009-02-26 2010-08-31 Micropast Gmbh Verfahren zum Haltbarmachen von Lebensmitteln.
CN102069947B (zh) * 2010-12-09 2012-06-20 南昌大学 一种食品包装盒的高温杀菌方法
JP6365716B2 (ja) 2016-03-24 2018-08-0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925A (ja) * 1994-01-10 1995-08-08 Toppan Printing Co Ltd 食品の滅菌保存方法
KR20080031043A (ko) * 2005-07-25 2008-04-07 에치고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봉입식품의 제조방법
JP2013079093A (ja) 2011-10-03 2013-05-02 Hisaka Works Ltd 食品の包装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평9-9937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55810A (ja) 2019-04-11
EP3680192A1 (en) 2020-07-15
CN111032530B (zh) 2022-04-15
WO2019059206A1 (ja) 2019-03-28
CN111032530A (zh) 2020-04-17
JP6715222B2 (ja) 2020-07-01
KR102586672B1 (ko) 2023-10-06
EP3680192A4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336B1 (ko) 멸균 용기, 멸균 방법 및 멸균 장치
US6622864B1 (en) Moisture resistant package for storing sterile items
US6021625A (en) Process for microbial barrier vent to a foil package
US7296678B2 (en) Packaging for the transport of sterile objects or objects to be sterilised
JP2014525807A (ja) インライン滅菌器
KR20200058324A (ko)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CN111392138A (zh) 一种塑封包装食品的灭菌包装方法
JP2002321715A (ja) 無菌充填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031260B2 (ja) 固形物の殺菌方法及び殺菌装置
JP2683227B2 (ja) 食材の殺菌方法
JP7357530B2 (ja) 殺菌処理方法
JP2016153315A (ja) 無菌充填方法及び装置
JP2012100721A (ja) 物品の殺菌・消毒・保存装置及び方法
JP6583467B1 (ja) 無菌充填機用紙容器の殺菌方法
JP3549498B2 (ja) 容器入り食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2017318A (ja) 固体食品の加熱殺菌方法及びその包装容器
JP2019214403A (ja) 包装食品用容器
JP2022161313A (ja) 殺菌処理製品の製造方法
JP5332938B2 (ja) 電子線照射型無菌真空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3002652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ngineered tissue construct transport and containment
EP4357258A1 (en) Packaging food
JP2781367B2 (ja) 調理、殺菌用容器のリフト式収納カセット
JP2001352956A (ja) 食品の鮮度保持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食品の包装装置
JP4029733B2 (ja) 無菌化食品製造設備
JP2018108836A (ja) 果菜用容器および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