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548A -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548A
KR20080022548A KR1020077028955A KR20077028955A KR20080022548A KR 20080022548 A KR20080022548 A KR 20080022548A KR 1020077028955 A KR1020077028955 A KR 1020077028955A KR 20077028955 A KR20077028955 A KR 20077028955A KR 20080022548 A KR20080022548 A KR 2008002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hair
massage
displacement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후미 후쿠야마
토모키 나가미츠
아키히코 곤다이
케이스케 타카츠카
토모하루 후쿠다
미츠노리 카토
Original Assignee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791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04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0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94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38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12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38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292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25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377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22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8284B2/ja
Application filed by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패밀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1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between the skin and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는, 피시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3)에 설치되고, 대략 전후방향으로 가동하여 상기 등부분에 자극을 주는 시료자(10)와, 피시료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중립위치로부터 시료자(10)의 가동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전후방향으로 경도(傾倒)동작 가능한 그립(grip)부(72)를 가지고, 해당 그립부(72)의 위치변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7)와, 해당 조작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그립부(72)의 동작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시료자(10)를 이동시키도록 해당 시료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P1020077028955
의자형 마사지기, 등받이부, 풋 레스트, 시료자, 그립부, 조작장치, 제어부

Description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CHAIR TYPE MASSAGING MACHINE, MASSAGING MACHINE, OPERATION DEVICE OF CHAIR TYPE MASSAGING MACHINE, REMOTE CONTROLLER FOR CHAIR TYPE MASSAGING MACHINE}
본 발명은 피시료자(被施療者)의 신체를 시료(施療)하는 의자형 마사지기(chair type massaging machine), 마사지기 및 이것들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한 피시료자가 조작장치를 직감적으로 또는 위화감 없이 조작하여 신체를 시료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및 이것들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시료자의 신체를 시료하는 것이 가능한 종래의 마사지기에는, 피시료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는 시료자(施療子)와, 이 시료자의 위치를 변경시키는데 피시료자가 조작하는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일 예로서, 일본 특허 제2566275호 공보(특허문헌1)에 개시된 의자형 마사지기가 있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는, 등받이부에 상하동(上下動) 가능한 시료자를 구비하고, 팔걸이부의 상부에 설치된 봉 형 상의 조작자(操作子)를 가지는 조이스틱(joy stick)형 조작기(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시료자가 해당 조작기의 조작자를 전후방향으로 경도(傾倒) 조작함으로써 이것에 대응하여 시료자의 상하위치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 제2566275호 공보에 개시된 마사지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전후방향으로 경도(傾倒) 조작하면, 시료자는 상하방향으로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고, 피시료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방향과 시료자의 이동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피시료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과 시료자의 이동에 있어서 방향성의 불일치가 생긴다면, 피시료자로서는, 이것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소망하는 위치로 시료자를 이동시킬 때에 조작장치를 조작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제2566275호 공보에 개시된 의자형 마사지기의 경우, 조작장치의 경도(傾倒) 조작에 따라 출력신호가 단순한 온/오프ㅇ 스위치(on/off switch)로부터 출력되는 것이고, 경도(傾倒) 방향에 관한 신호밖에 출력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조작장치의 조작성에 관하여 피시료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즉, 시료자의 동작과 조작장치의 조작동작은, 그 변위량이 비례관계에 있으면, 피시료자에게는 시료자의 목표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조작장치의 변위량과 시료자의 변위량이 비례하도록 의자형 마사지기를 구성하면, 일반적으로 모터(motor) 및 기어(gear)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시료자는, 조작장치의 변위에 대하여 지연하여 동작한다. 이와 같은 시료부 의 동작지연은, 피시료자에 대하여 새로운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해소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종래부터 피시료자의 신체에 주무름, 두드림, 지압, 롤링(rolling) 등의 자극을 주는 의자형 마사지기가 알려져 있다. 이런 의자형 마사지기의 대부분은, 주로 피시료자의 허리, 등 및 어깨에 대하여 시료자로 상기 자극을 주는 구성이나, 공기주머니로 장딴지부나 넓적다리부, 엉덩이부 등에 자극을 주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료자는, 피시료자의 허리, 등 및 어깨에 대하여 자극을 주도록 피시료자의 등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시료자는 마사지 기구에 구비되어 있고, 해당 마사지 기구는, 일반적으로 시료자를 피시료자의 허리, 등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아암(arm)에 주무름 동작이나 두드림 동작을 줌으로써 피시료자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시료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마사지 기구는, 일반적으로 피시료자의 신체 중심의 좌우 양측에, 시료자를 구비한 아암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 시료자를 피시료자의 허리로부터 등, 어께에 걸쳐 신장(身長)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시료자의 신체에 주무름, 두드림, 지압, 롤링 등의 자극을 주어서 여러 가지 마사지를 행하고 있다.
또 상기 공기주머니는, 피시료자의 장딴지부나 넓적다리부, 엉덩이부 등을 압박하여서 자극을 주도록 피시료자의 장딴지부나 넓적다리부, 엉덩이부에서 팽창ㅇ수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기주머니를 팽창ㅇ수축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에어(air)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함으로 써 행하여진다.
이 공기주머니나 상기 시료자는, 마사지기에 구비된 조작장치를 피시료자가 조작함으로써 동작내용을 결정할 수가 있다. 이 조작장치로서는, 이들 시료자나 공기주머니의 동작 및 등받이부나 풋 레스트(foot rest)의 경도(傾倒) 각도 등을 피시료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 장치가 일반적이지만, 예를 들면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도 있다.
이런 종류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구비한 마사지장치로서, 예를 들면 조이스틱 기구에 의해 복수개의 동작 모드(mode) 중에서 시프트 레버(shift lever) 감각으로 소망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4-16428호 공보(특허문헌2: 제3쪽, 도1) 참조.).
또한 다른 조작장치를 구비한 마사지기로서, 한 손으로 조작하여 시료자의 위치를 미량 조절 가능하게 한 그립(grip)을 구비한 조작장치를 설치하고, 그립부의 두부(頭部)에 설치한 조작부를, 엄지손가락으로 그립의 축방향으로 압박하는 조작과, 그립의 축을 중심으로 요동(搖動)시키는 조작으로 시료자의 위치를 미량 조절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5-6735호 공보(특허문헌3: 제5쪽, 도 1~도 4) 참조.).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4-16428호 공보에 기재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의 경우, 피시료자가 조이스틱을 잡고, 그 상태에서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부터 소망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에서는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동작 모드로부터 소망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한정된 선택의 여지밖에 없다.
한편 피시료자가 그 날의 몸 상태나 기분에 따라 개별 시료(시료동작)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어깨가 피로한 경우에는 어깨만을 집중적으로 시료하고, 허리가 피로한 경우에는 허리나 등을 집중적으로 시료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본 특허공개 2004-16428호 공보에 개시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의 경우에는 선택할 수 있는 동작 모드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개별 시료동작을 선택할 수가 없다. 가령, 조이스틱의 경도(傾倒) 위치나 경도(傾倒) 각도마다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증가하게 하면, 조작이 매우 번잡해짐과 아울러 미소한 조작으로 다른 동작이 되는 경우도 있고, 안정한 조작이 곤란해진다. 또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5-673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은, 의자형 마사지기로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행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여러 가지 시료동작을 단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요망되고 있다.
또 상기한 일본 특허공개 2004-16428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2005-6735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 외에 이러한 종류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구비한 마사지기의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특허문헌4: 제8,9쪽, 도 9~도 12)에 조이스틱 기구에 의해 복수개의 동작 모드 중에서 시프트 레버 감각으로 선택적으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이 마사지기에서는 복수개의 동작 모드로부터 소망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조이스틱 기구로 행하 고 있다. 이 조이스틱은 팔걸이부의 상면부분에서 접고, 팔걸이부의 상면으로 개구하는 수납 홈부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는, 팔걸이부에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조이스틱을 조작함으로써 시료동작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조이스틱은, 팔걸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이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시료동작을 행하게 하는 경우나 마사지기의 미사용 때 등에는 이 돌출한 조이스틱이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가령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조이스틱을 접어서 수납하는 구조로 한 경우, 조이스틱의 축부에 굴곡부를 마련하지 않으면 아니 되므로 그 굴곡부에 덜거덕거림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덜거덕거림은, 조이스틱의 조작감을 악화시키고, 스무스한(smooth) 조이스틱 조작을 방해한다. 게다가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작 모드로부터 소망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대략적인 조작에서는 조작감을 악화시키지 않는 작은 덜거덕거림이라도 조이스틱에 의해 시료자의 위치나 동작을 미세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작감을 크게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조작장치를 적절하게 팔걸이부 내에 수용 가능한 구성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로 조작할 수 있는 시료자와 공기주머니의 동작은, 종래에 있어서는 조이스틱형 조작장치에서는 없고 일반적으로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종류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서, 인체형상을 모방한 표시부에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배치한 스위치 군을 시료자의 이동범위 입력용으로서 구비함과 아울러 입력한 이동범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한 조작기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5-168666호 공보(특허문헌5: 제2, 3쪽, 도 1)참조.).
또 다른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서, 인체 두부를 지정하는 돌출부를 콘트롤러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一端)에 설치하고, 그 콘트롤러 본체의 전면(前面)에 복수개의 조작자를 인체의 시료부위 배치와 대응하는 순서로 길이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손끝의 촉각에 의해 인체의 각 부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조작 버턴(button)을 식별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310680호 공보(특허문헌6: 제4, 5쪽, 도 3) 참조.).
더욱이 다른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서, 등받이부에 상당하는 제1면과, 좌부(座部)에 상당하는 제2면을 갖고, 이들 제1면 및 제2면에, 손끝의 촉각으로 인체의 각 부위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작 버턴을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310681호 공보(제3~5쪽, 도 3 및 도 4) 참조).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5-168666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경우, 시료자의 이동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것임과 아울러 시료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은 복수개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조작은 복잡하고, 간단한 조작은 곤란하다.
또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3-310680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경우, 촉각에 의해 복수개의 조작자를 조작하려고 하고 있지만, 두부(頭部)로부터의 배치를 차례로 접촉하지 않으면 조작위치의 판단을 할 수 없음과 아울러 복수개의 조작자의 기능도 기억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은 곤란하다.
게다가 상기 특허공개 2003-310681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경우, 복수개의 조작 버턴이 2개의 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촉각으로 대략적인 조작위치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각각의 조작 버턴의 대응하는 조작은 기억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고, 이 경우도 간단한 조작은 곤란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마사지기의 각 동작을 실행시키는 때에 즈음하여 시각으로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마사지기가 요망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조작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와 같이, 시프트 레버 감각으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이스틱 기구에 의한 조작장치 외에 팔걸이부에 주 조작기를 탑재하도록 한 것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4-236709호 공보(특허문헌7: 제5, 6쪽, 도 1 및 도 7) 참조). 이 마사지기에는 한 손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원통 형상의 센서(sensor)부가 설치되고, 이 센서부로 피시료자의 맥박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마사지기에 구비할 수 있는 다른 조작장치로서, 피시료자의 맥박이나 피부전기저항, 피부온도 등 생체정보의 변화를 계측하는 생체정보계측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233506호 공보(특허문헌8: 제3~5쪽, 도 1 및 도 9) 참조).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이스틱 기구의 조작장치는 일반적으로 좌우 한 쪽의 팔걸이부의 상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피시료자의 우측의 팔걸이부에 조이스틱 기구가 설치되고, 피시료자가 오른팔로 조이스틱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동작 모드 선택 등의 조작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좌우 중 한 쪽의 팔걸이부에 설치된 조이스틱 기구로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행하는 경우, 피시료자에 따라서는 잘 쓰는 팔이 아닌 쪽의 팔에 의해 조작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경우가 있고, 위화감 없이 스무드한 조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피시료자에 따라서는 잘 쓰는 팔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위화감이 없는 조작하기 쉬운 팔 쪽에 조작장치를 위치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런 것은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4-23670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33506호 공보와 같은 계측장치도 피시료자에 따라서는 측정하기 쉬운 팔 쪽에 위치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좌우의 어느 쪽이더라도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쪽의 팔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2566275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4-16428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2005-6735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 2004-57465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공개 평5-168666호 공보
특허문헌6: 일본 특허공개 2003-310680호 공보
특허문헌7: 일본 특허공개 2004-236709호 공보
특허문헌8: 일본 특허공개 2002-23350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친화적인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제1목적은, 피시료자의 시점(視點)을 기준으로 하여 조작장치를 전후방향으로 경도(傾倒)조작한 경우에, 그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피시료자가 직감적으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조작장치의 변위량에 따라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시료부를 이동시키는 마사지기에 있어서, 주로 시료부의 동작 지연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조작 상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는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 시료동작 스위치의 선택에 의한 시료동작의 선택과, 조작구에 의한 시료위치의 변경이나 시료강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여 여러 가지 시료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는 조작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팔걸이부에 설치한 조작장치를 안정한 형태로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조작장치와, 그 조작장치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마사지기의 각 동작을 시각으로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조작장치를 구비한 팔걸이부를 좌우 교환 가능하게 하고,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팔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는, 피시료자의 등부(背部)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가동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자극을 주는 시료부와, 피시료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중립위치로부터 변위 가능한 그립(grip)부를 가지고, 해당 그립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부의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시료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시료자가 조작장치의 그립부를 소정의 중립위치로부터 변위시키면, 시료부는 그립부의 조작방향(변위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피시료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조작장치의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그립부의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의 시료부의 이동」이란, 방향의 엄밀한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즉, 의자형 마사지기를 사용하는 피시료자가 그립부를 조작했을 때에, 감각적으로 그 조작방향에 일치한다고 인식하는 범위 내의 방향으로의 시료부의 이동을 말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그립부의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전후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시료부의 이동」이란, 의자형 마사지기를 사용하는 피시료자가 그립부를 조작했을 때에, 감각적으로 그 조작방향에 일치한다고 인식하는 범위 내의 전후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의 시료부의 이동을 말한다. 그리고 이런 것은 이하의 설명중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립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조작 때에, 해당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립부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시료부도 동일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피시료자는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조작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립부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 그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시료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고도 직감적인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시료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조작된 변위량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장치의 그립부의 변위와 시료부의 변위가 그 방향(전후) 및 거리(변위량)의 관계에 있어서 더욱 일치하게 되고 피시료자는 더 한층 직감적으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립부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작 때에 해당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립부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시료부도 동일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피시료자는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조작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립부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 그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시료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고도 직감적인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시료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조작된 변위량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장치의 그립부의 변위와 시료부의 변위가 그 방향(상하) 및 거리(변위량)의 관계에 있어서 더욱 일치하게 되고 피시료자는 더 한층 직감적으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략 직선이동 가능하고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조작구)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 및 최대 변위위치 중 어느 것이든지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장치의 소정 변위범위에 상기 시료부가 동작하지 않은 불감대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쪽에서 조작장치의 중립위치에 있어서 시료부가 동작하지 않는 불감대를 설정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조작장치가 중립위치로 향하여 조작되었던 때에 발생하는 시료부의 동작 지연을, 조작장치가 상기 불감대에서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쪽에서, 조작장치의 최대 변위위치에 있어서 불감대를 설정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조작장치가 중립위치로부터 최대 변위위치까지 조작되었던 때에 발생하는 시료부의 동작 지연을, 조작장치가 불감대에서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해소할 수 있다. 이 결과, 동작 지연에 기인하여 피시료자에게 발생하는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 중에 있어서 해당 조작장치의 최대 변위속도에 따른 속도에 의해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조작장치가 중립위치로부터 변위한 후에 변위속도를 감소시켜 정지에 도달한 경우, 변위속도의 감소 중에 있더라도 시료부의 변위속도는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지연의 해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스텝(step) 형상으로 속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에 대응하는 상기 시료부의 목표위치와 해당 시료부의 현재위치의 차이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시료부의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료부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의 차이인 지연거리가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이 지연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증가 전에 있어서 해당 조작장치 또는 상기 시료부의 변위속도를 게인(gain)으로서, 증가 후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까지의 가속도를 결정하기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변경된 경우에 피시료자에 과도한 자극을 체감시키지 않고, 증가 전에 있어서 해당 조작장치 또는 상기 시료부의 변위속도에 기초하여 시료부의 변위속도를 순조롭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증가 전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의 차이값 또는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의 차이값을 게인(gain)으로서, 증가 후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까지의 가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변경된 경우에, 증가 전후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의 차이값 또는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시료부의 변위속도를 순조롭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방향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시료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료부의 동작 지연에 기초하여 조작장치의 변위방향이 변경된 후에도 변경전의 조작구의 변위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시료부가 변위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조작상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위해, 해당 시료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해당 모터에는 적어도 해당 모터를 기동 가능한 듀티비(duty ratio)의 펄스(pulse)신호로 이루어지는 PWM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소정의 저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펄스신호의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펄스열신호가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장치가 소정 이하의 저속도로 변위하고 있는 때에, 시료부를 구동하는 모터에 해당 모터의 기동 토크(torque) 발생에 최소한 필요한 PWM 신호를 연속 출력하면, 조작장치가 변위 중임에도 상관없이 시료부가 목표변위에 도달해버리기 때문에, 제어장치는 모터를 일단 정지시켜버린다. 더욱이 아직 조작장치가 변위 중이기 때문에 잠깐만 하면 시료부의 정지위치와 목표위치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다시 시료부가 이동을 개시하고 결과로서 시료부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피시료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적어도 모터의 기동 토크 발생에 최소한 필요한 PWM 신호를 소정 듀티비로 출력함으로써 조작장치의 변위 중에 있어서 모터의 정지를 억제하고, 시료부의 간헐적인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시료부는 피시료자의 등부(背部)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해당 시료부 및 상기 조작장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구의 변위방향과 상기 시료부의 변위방향이 일치하도록 해당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장치의 변위방향과 시료부의 변위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피시료자에 의한 조작장치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또 상기 조작장치는, 비조작상태에서 중립위치로부터 변위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시료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조작장치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킨 후 이 정지위치에 따른 목표위치에 시료부가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피시료자는 조작장치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는, 피시료자의 등부(背部)를 시료하는 시료자를 설치한 마사지 기구를 등받이부에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로서, 상기 마사지 기구의 이동을 조작 가능한 조작구와, 상기 시료자에 의한 시료동작을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시료동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해당 시료동작 스위치로 선택한 시료동작에 더하여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마사지 기구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 피시료자는 시료동작 스위치의 선택과 조작구 조작의 조합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구는 상기 피시료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구비하고, 해당 파지부에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리클라이닝(reclining)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면, 리클라이닝 동작도 상기 조작구만으로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구와 시료동작 스위치에 의한 조작이력을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면, 나중에 피시료자의 기호에 따른 시료동작을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조작장치를 팔걸이부에 구비하고, 해당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료동작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에 의하면, 상기 시료동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피시료자의 기호에 따른 시료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는, 시료자의 등부(背部)를 시료하는 시료자를 설치한 마사지 기구를 가지는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되고 동시에 해당 팔걸이부에 설치된 수납부에 수납 가능하고, 수납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장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고, 배치조작에 따라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조작장치를 조작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팔걸이부에 설치된 조작장치를, 미사용 때에는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하고 사용 때에는 조작장치에 배치하여 안정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팔걸이부의 조작장치를 설치한 위치에, 해당 조작장치를 수납부에 수납한 때에 해당 조작장치의 상부를 덮고 팔걸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부재를 설치하면, 조작장치를 팔걸이부에 수납한 때의 팔걸이부 상면을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팔걸이부의 상부에 상기 조작장치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해당 개구부에, 상기 조작장치의 출입에 따라 개폐하는 셔터(shutter)를 설치하면 개구부를 통하여 팔걸이부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한 덮개부재의 열림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장치의 배치동작을 개시하는 개방기구를 설치하면, 덮개부재의 열림 조작만으로써 조작장치를 조작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한 덮개부재의 닫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장치의 수납동작을 개시하는 수납기구를 설치하면, 덮개부재의 닫힘 조작만으로써 조작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또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한 조작장치를 조작위치에 배치하는 구동수단을 팔걸이부의 내부에 설치하고, 해당 구동수단을 에어(air) 구동수단으로 구성하면, 조작장치의 수납과 조작위치로의 배치를 에어로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는, 이것들 어느 하나의 조작장치를 팔걸이부에 구비하고, 해당 조작장치의 수납상태 및 배치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에 의하면, 팔걸이부에 설치한 조작장치의 수납상태 및 배치상태를 검출하고, 조작장치에 의한 조작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제5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는, 등받이부에 설치한 시료자에 의한 시료위치와, 풋 레스트(foot rest)와 좌부에 설치한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위치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 버튼을 설치하고, 해당하는 각각의 선택 버튼을 의자형 마사지기에 앉은 피시료자의 측면시(側面視) 형태로 배치한 시료위치조작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시각에 의한 직감으로 시료 개소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그 개소의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임의의 개소를 집중하여 시료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각각의 선택 버튼의 배치가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촉각에 의한 조작위치 확인도 가능하고, 시각과 촉각으로 목적하는 개소의 시료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와, 풋 레스트의 각도와 위치를 각각 조작하는 조작 버튼을 설치하고, 해당하는 각각의 조작 버튼을 의자형 마사지기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한 위치조작부를 설치하면, 등받이부의 각도나 풋 레스트의 각도 및 위치도 시각에 의한 직감으로 조절 개소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그 개소의 조작 버튼을 눌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등받이부의 시료자에 의한 시료위치와, 상기 풋 레스트와 좌부의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위치를 선택하는 각각의 선택 버튼의 조합조작에 의해 해당 시료자에 의한 시료와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를 조합한 시료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피시료자의 기호에 따른 시료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조작도 시각에 의한 직감으로 등받이부의 시료 개소, 풋 레스트와 좌부의 시료 개소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등받이부와 좌부와 풋 레스트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에 구비시키고, 해당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한 시료자와, 상기 풋 레스트와 좌부에 설치한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에 의하면, 시각적으로 시료위치나 시료감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의자형 마사지기의 시료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목적하는 개소의 시료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6목적을 달생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대(基台)의 좌우에 팔걸이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로서,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조작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작장치를 설치한 팔걸이부와 다른 쪽의 팔걸이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좌우로 교환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해당 팔걸이부와 상기 기대 사이에, 상기 조작장치와 기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착탈 가능한 전달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조작장치가 설치된 팔걸이부를, 다른 쪽의 팔걸이부와 용이하게 교환하여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팔 측에 조작장치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설치하는 조작장치를, 마사지기에 설치한 마사지 기구의 시료동작을 조작하는 시료조작장치로 하면, 피시료자가 마사지 기구의 시료동작을 조작하기 쉬운 팔 측에 시료조작장치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료조작장치를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하고, 해당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한 시료조작장치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동수단을 상기 팔걸이부 내에 설치하고, 해당 팔걸이부와 상기 기대 사이에,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기대로부터 팔걸이부에 공급하는 착탈 가능한 접속수단을 설치하면, 팔걸이부 내에 수납 가능한 시료조작장치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동수단도 팔걸이부와 동시에 기대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설치되는 조작장치를, 마사지기로 시료하는 피시료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조작장치로 하면, 피시료자의 맥파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쉬운 팔 측에 측정조작장치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달수단의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기능을 구비한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검지기능으로 검지한 접속상태를 의자형 마사지기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해당 제어장치에 구비시키면, 조작장치를 설치한 팔걸이부와 기대의 접속상태를 피시료자가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친화적인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작장치의 변위량에 따라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시료부를 이동시키는 마사지기에 있어서, 주로 시료부의 동작 지연에 기인하여 생기는 조작상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는 마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의자형 마사지기에 있어서 시료동작 스위치의 선택에 의한 시료동작의 선택과, 조작구에 의한 시료위치의 변경이나 시료강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여 여러 가지 시료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는 조작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마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팔걸이부에 설치한 조작장치를 안정한 형태로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조작장치와, 그 조작장치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마사지기의 각종 동작을 시각으로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마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장치를 구비한 팔걸이부를 좌우로 교환 가능하게 하고,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팔로 조작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마사지 기구 및 이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마사지 기구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마사지 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조작장치의 베이스(base)부와 로드(rod)부의 조인트(joint) 기구의 구성을, 일부분을 생략하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우경사 후방으로부터의 시선에 기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조인트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좌경사 후방으로부터의 시선에 기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조작장치의 그립부와, 해당 그립부 내의 로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조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전후방향으로 경도(傾倒) 조작된 때의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마시지 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10은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전후방향으로 경도 조작된 때의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마사지 기구의 다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하방향으로 경도 조작된 때의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마사지 기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프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조작장치의 조인트 기구의 다른 구성을, 일부분을 생략하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우경사 후방으로부터의 시선에 기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5~도 8에 도시한 조작장치와는 더욱 다른 구성을 이루는 조작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도 13에 도시한 조작장치가 가지는 그립부의 XIV 방향 단면도로서, 파지(把持) 핸들(handle)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는 파지 핸들이 열려져 있는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4b는 파지 핸들이 닫혀져 있는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2에 도시한 마사지 기구의 전후방향으로의 요동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시지기의 실시형태2에 따른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가 구비하는 레버 및 마사지 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마사지 기구의 전후 동작 제어의 실시예1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a 및 19b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 동작 제어의 실시예2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19a는 변화하는 레버의 위치, 19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0a 및 20b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 동작 제어의 실시예3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20a는 레버의 위치에 대한 마사지 기구의 전후방향의 목표위치의 시간변화의 일 예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더하여 마사지 기구의 위치의 실제 시간변화의 일 예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 있고, 20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의 변위속도의 시간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a 및 21b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 동작 제어의 실시예4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21a는 레버의 위치, 21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2a 및 22b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 동작 제어의 실시예5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22a는 레버의 위치, 22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3a 및 23b는 레버의 변위속도와, 마사지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에 입력하는 PWM신호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23a는 레버의 저속변위 때, 23b는 레버의 극저속변위 때의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마사지 기구의 이동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a 및 26b는 도 24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의 조작구의 일 예인 조이스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6a는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고, 26b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조이스틱의 내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조작장치의 제어회로와, 의자형 마사지기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한 의자형 마시지기의 조작장치에 의한 조작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각각 도 28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에 의한 다른 조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조이스틱의 내부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조작 위치에 배치한 상태의 팔걸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2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수납한 상태의 팔걸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2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의 상부에 설치한 덮개부재를 개방시키는 개방기구를 나타내는 팔걸이부의 투시사시도이다.
도 37a 내지 도 37d는 각각 도 36에 도시한 덮개부재의 개방기구에 의해 개방시키는 덮개부재와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조작 위치에 배치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9a 및 39b는 도 38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도면으로서, 도 39a는 측면도, 도 39b는 B-B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평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에 도시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설치한 팔걸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0에 도시한 맥파측정장치를 설치한 팔걸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도시한 팔걸이부의 맥파측정장치를 설치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수납한 상태의 팔걸이부 내의 다른 구성을 투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a 내지 46c는 조이스틱을 팔걸이부 내에 수납할 때의 수납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46a는 덮개부재가 최대로 개방되고 조이스틱이 조작위치에 있는 때의 상태, 46b는 덮개부재가 약간 닫힌 때의 상태, 그리고 46c는 덮개부재가 완전히 닫히고 조이스틱이 팔걸이부 내에 수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7은 팔걸이부에 있어서의 조이스틱의 출입구에 적용할 수 있는 셔텨(shutter)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해당 셔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한 셔텨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 의자형 마사지기
3: 등받이부
5: 아암 레스트(arm rest)
200: 마사지 기구
200a: 이동장치
7, 7a, 300: 조작장치
8: 콘트롤러(controller)
10: 시료자(시료부)
11, 12, 214, 226: 모터(motor)
40: 제어부
28: 승강대
29a: 가이드 레일(guide rail)
70: 베이스(base)부
71: 로드(rod)부
72: 그립(grip)부
73, 73b: 조인트(joint) 기구
77a, 77b: 스프링 훅(spring hook)
77c: 스프링
81: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감쇠부)
81a: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유지부)
83: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
200a: 이동장치
200b: 승강기구
200c: 요동기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의자형 마사지기(1)는, 좌부(2), 등받이부(3), 풋 레스트(4) 및 아암 레스트(팔걸이부)(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좌부(2)는 도시하지 않은 기대(基台)의 상부에, 상면이 좌면(座面)으로서 사용되도록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쿠션(cushion)부(2c)가 배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대(基台)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다리부(脚部)(2a)(도 1에서는 좌측의 다리부(2a)만을 나타냄)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부(2c)는 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스폰지(sponge) 또는 발포 스티롤(polystyrene)제의 내장재(도시 안함)가 상기 기대(基台)의 상면에 얹혀 있고, 아울러 이것을 폴리에스테르(polyester)제의 기모(起毛) 트리코트(tricot), 합성피혁 또는 천연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재(커버)(cover)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부(2)의 상부 앞쪽에는 피시료자의 발목 및 장딴지를 공기주머니(도시 안 함)로의 급배기에 따라 마사지하기 위한 풋 레스트(4)의 상단부가 피벗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풋 레스트(4)는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푠 본 실시형태1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의 개념은 본 설명 중에서 특별히 설명을 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의자형 마사지기(1)의 좌부(2)에 착석한 피시료자(도시 안함)로부터 바라본 때의 방향의 개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풋 레스트(4)는 좌부(2)의 전단(前端)으로부터 도 1에 있어서는 하방(下方)으로 연장한 평면 형상의 종아리 지지면(4a)과, 해당 종아리 지지면(4a)의 양측으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한 측벽(4b),(4c)과, 종아리 지지면(4a)의 하단(下端), 즉 종아리 지지면(4a)에 있어서 좌부(2)로부터 가장 이격한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발바닥 지지벽(4d)으로 구성되어 있다(한편 본 설명에서는 전후로 요동 가능한 풋 레스트(4)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측벽(4b),(4c)의 내부에는 공기주머니(47)(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공기주머니(47)는, 좌부(2) 또는 등받이부(3)에 내장된 펌프(pump) 및 밸브(valve)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배기장치(46)에 에어호스(air hose)(48)(도 4 참조)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해당 급배기장치(46)로부터의 급배기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시료자가 착석한 때에 공기주머니(47)가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피시료자의 종아리의 외측부분과 발의 측부 및 상부에 대하여 압박자극을 줄 수가 있다.
또 종아리 지지면(4a)은, 피시료자가 의자형 마사지기(1)에 착석한 때에 피 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고 이것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아리 지지면(4a)의 복수 개소(個所)에도 공기주머니(47)(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도 급배기장치(46)에 에어호스(4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공기주머니(47)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피시료자의 장딴지 및 아킬레스건의 주변에 대하여 압박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발바닥 지지벽(4d)은, 피시료자가 의자형 마사지기(1)에 착석한 때에, 피시료자의 발바닥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발바닥 지지벽(4d)의 내부에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공기주머니(47)(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공기주머니(47)는 상기 급배기장치(46)에 에어호스(4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예를 들어 DC모터의 출력축에 편심질량이 설치된 것과 같은 구성의 것으로서, 구동됨으로써 미진동(微振動)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공기주머니(47)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피시료자의 발바닥에 대하여 압박자극을 줄 수 있고, 또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함으로써 피시료자의 발바닥에 진동자극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복수개의 공기주머니(47)가 좌부(2)의 좌면 후측(안쪽)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공기주머니(47)도 또한 에어호스(48)를 통하여 급배기장치(46)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 급배기장치(46)로부터의 급배기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좌부(2)의 좌면 중앙의 후측(안쪽)에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구성의 바이브레이터(도시 안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시료자가 좌부(2)에 착석한 상태에서 공기주머니(47)의 팽창ㅇ수축을 반복함으로써 피시료자의 둔부(臀部)에 압박자극을 줄 수 있고, 동일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함으로써 피시료자의 항문부에 진동자극을 줄 수 있다.
좌부(2)의 후부(後部)에는 등받이부(3)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3)는 피시료자의 상반신을 지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체격의 성인이 의자형 마사지기(1)의 좌부(2)에 착석한 때에 이 성인의 신체 일부가 그 외부로 삐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등받이부(3)의 하단부는 좌부(2)의 후부에 좌우방향의 피벗축(도시 안함)에 의해 피벗 지지되어 있고, 이 피벗축을 중심으로 등받이부(3)는 회동하여 전후로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등받이부(3)의 양측부에는 좌부(2)의 기대(基台)에 고정지지된 아암 레스트(arm rest)(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 레스트(5)는 등받이부(3)의 양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있고, 의자형 마사지기(1)가 내장하는 제어부(40)(도 4도 참조)에 접속된 후술하는 조작장치(7)가 우측의 아암 레스트(5)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의자형 마사지기(1)에는 상기 조작장치(7)와는 별개로, 상기 제어부(40)와의 사이에서 접속된 콘트롤러(8)가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부(3)의 내부에는 착석한 피시료자의 등부(背部)에 자극을 주는 마사지 기구(200)가 이 마사지 기구(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200a)에 탑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 마사지 기구(200)는 이동장치(200a)에 의해, 등받이부(3) 내에 배치된 승강 프레임(frame)(29)을 따라 승강 동작이 가능함과 아울러 등받이부(3)의 등받이면(전면)(前面)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후 동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이 마사지 기구(200) 및 이동장치(200a)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마사지 기구(200)에 의한 주무름 및 두드림 동작에 관하여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마사지 기구(200a)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원리에 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 기구(200)는 피시료자의 신체에 기계적 자극을 주기 위한 2개의 롤러(roller) 형상의 시료자(10),(10)를 좌우에 갖고 있다. 이들 시료자(10)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좌우의 아암(11),(11)의 선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11)은 그 기부(基部)가 주무름 연결로드(connecting rod)(12)의 일단부에서 지지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아암(11)과 주무름 연결로드(12) 사이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1a),(12a)에 걸리어 스프링(14)이 현가(懸架)되어 있고, 이 스프링(14)의 작용에 의해 아암(11)은 지지축(13)을 중심으로서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주무름 연결로드(12)의 타단부는 연결부재(15)를 통하여 두드림 연결로드(1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무름 연결로드(12)는 시료자(10)에 주무름 동작을 시키기 위해 상하ㅇ좌우ㅇ전후의 3차원적인 동작을 하고, 두드림 연결로드(16)는 시료자(10)에 두드림 동작을 시키기 위해 상하ㅇ좌우의 2차원적인 동작을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5)는 동작이 다른 주무름 연결로드(12) 및 두드림 연결로드(16)를, 각각의 동작을 허용하면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유연한 연결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사지 기구(200)에서는 이러한 연결구조로서 볼 조인트(ball joint)를 채용하고 있다.
좌우에 설치된 주무름 연결로드(12),(12)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무름 축(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무름 축(20)의 좌우 단부에는 주무름 축(20)의 축심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 축부(2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주무름 연결로드(12)와 연결부재(15)의 연결부분에는 좌우방향의 중심측으로 개방되는 결합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무름 축(20)의 경사 축부(21)는 이 결합 구멍(12b)에 도시하지 않은 축받침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주무름 축(20)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분에는 헬리컬기어(helical gear)(22a)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헬리컬기어(22a)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심을 가지는 워엄(worm)(22b)과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헬리컬기어(22a)와 워엄(22b)으로 워엄기어(worm gear)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워엄(22b)의 하단부에 풀리(pulley)(24)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해당 풀리(24)는 벨트(belt)(25)를 통하여 서보모터(servo motor) 등의 주무름용 모터(26)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2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6)의 출력축의 회전운동은 벨트(25)를 통하여 워엄(22b)으로 전달되고, 워엄(22b)의 회전에 의해서도 주무름 축(20)이 회전한다. 그리고 주무름 축(20)의 회전에 따라 경사축(21)이 원추형 궤적을 그리도록 변위하고, 이에 따라 주무름 연결로드(12)가 규칙적으로 동작하고, 좌우의 시료자(10),(10)가 상하ㅇ좌우ㅇ전후로 3차원적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 동작이 시료자(10)의 주무름 동작이 된다.
또 주무름 축(20)의 상방으로 좌우에 설치된 두드림 연결로드(16),(16)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두드림 축(30)이 배치되어 있다. 해당 두드림 축(30)의 좌우 양단에는 편심축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축부(31)는 두드림 축(30)의 축심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있고, 좌우의 편심축부(31),(31)는 서로 위상이 180°차이 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두드림 연결로드(16)의 타단부, 즉 두드림 연결로드(16)에서 연결부재(15)가 접속되지 않은 측의 단부에는 좌우방향의 중심측으로 개구하는 결합 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드림 축(30)의 양단에 설치된 편심축부(31)는 이 결합 구멍(16b)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통과하고 있다. 두드림 축(30)의 우측의 부분에는 풀리(32)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해당 풀리(32)는 벨트(33)를 통하여 서보모터 등의 두드림용 모터(34)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3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운동은 벨트(33)를 통하여 두드림 축(30)에 전달되고, 두드림 축(30)의 양단의 편심축부(31)의 공전(公轉)에 따라 두드림 연결로드(16)는 상하ㅇ전후로 2차원적으로 동작한다. 이 동작은 연결부재(15)를 통하여 아암(11)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시료자(10)가 이동한다. 이때의 시료자의 동작이 두드림 동작으로 된다.
이와 같은 마사지 기구(200)는 이동장치(200a)에 탑재되어 있고, 해당 이동장치(200a)는 승강기구(200b)와 요동기구(200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마사지 기구(200)는 승강기구(200b)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부(3)(도 1 참조)의 내부에서 해당 등받이부(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또 요동기 구(200c)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부(3)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마사지기(1)의 이동장치(200a)가 구비하는 승강기구(200b) 및 요동기구(200c)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구(200b)는 플레이트(plate)재로 이루어지는 좌우의 측부 프레임(frame)(251),(251), 해당 프레임(251)의 상부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이것들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252) 및 측부 프레임(251)의 하부 사이에 가설되어 이것들을 지지하는 환봉 형상의 폴(pole)로 이루어지는 하부 프레임(요동축)(253)으로 구성된 승강 프레임체(250)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 프레임(251)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254)가 통과되는 관통공(2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환봉 형상의 폴(pole)로 이루어지는 하부 프레임(253)의 양단에는 나사(254)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253a)이 좌우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53)은 측부 프레임(251)의 관통공(255)에 좌우방향의 내측으로부터 나사공(25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공(255)에 끼워 외측으로부터 나사(254)를 나사공(253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측부 프레임(251)에 고정된다. 반대로, 좌우의 나사(254)를 빼냄으로써 측부 프레임(251)으로부터 하부 프레임(253)을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좌우의 측부 프레임(251)에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257),(258)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롤러(257),(258)는 마사지기(1)의 등받이부(3) 내에 배치된 승강 프레임(29)을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29a)을 따라 구름이동(轉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등받이부(3) 내에 설치된 승강 프레임(29a)은 정면에서 볼 때 세로가 긴 장방 형상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며 서로 평행을 이루는 좌우의 가이드 레일(29a),(29a)를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29a)은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단면이 채널(channel) 형상으로 되어 있고, 좌우방향의 중심측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257)는 좌우방향을 따라 회전축심을 갖고, 측부 프레임(251)의 상부, 중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9a)의 내벽면 상을 구름이동하고, 승강 프레임체(25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가이드 롤러(258)는 전후방향을 따른 회전축심을 가지고, 상하로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롤러(257)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9a)의 내벽멱 상을 구름이동하여, 승강 프레임체(25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좌우의 측부 프레임(251)의 하부 사이에는 승강 구동축(260)이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해당 승강 구동축(260) 양단의 측부 프레임(251)의 외측에는 승강용 피니언(pinion)(207)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체(250)의 좌측 하부에는 감속기(262) 및 승강용 모터(214)가 구비되어 있고, 승강 구동축(260)은 감속기(262)를 통하여 승강용 모터(21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가이드 레일(29a)의 후부에는 해당 가이드 레일(29a)을 따라 복수개의 이(齒)가 배열된 승강용 랙(rack)(264)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용 피니언(207)은 이 승강용 랙(264)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승강용 모터(214)가 구동하면 승강 구동축(260)의 회전에 의해 승강 용 피니언(207)이 승강용 랙(26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구름이동한다. 이 때, 가이드 레일(29a)의 내벽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가이드 롤러(257),(258)에 의해 승강 프레임체(250)의 전후 및 좌우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승강 프레임체(250)는 안정적으로 승강동작을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53)에는 요동기구(200c)가 지지되어 있다. 즉, 요동기구(200c)는 좌우에 대면(對面) 배치된 판상부재로 이루어지는 요동 프레임(270),(270)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설부(延設部)(27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설부(270a)의 선단부(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축받침부(270b)가 형성되어 있고, 승강 프레임체(250)의 환봉 형상의 하부 프레임(253)은 이 구멍에 삽입하여 통과되고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53)은 요동 프레임(270)의 요동축을 이루고 있고, 해당 요동 프레임(270)은 축받침부(270b)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2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해당 하부 프레임(253)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의 요동 프레임(270) 사이에는 사각형의 지지 플레이트(271)가 배치되고, 해당 지지 플레이트(271)의 4모서리가 좌우의 요동 프레임(270)에 볼트(bolt)(271a)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한 마사지 기구(200)는 지지 플레이트(271)의 후방에 배치되고, 해당 지지 플레이트(27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71)에는 좌우에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마사지 기구(200)가 구비하는 아암(11)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지지 플레이트(271)보다 전방 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252)의 좌우 하부에는, 요동 프레임(270)에 지지된 마사지 기구(200)를 요동시키기 위한 중간 아이들(idle) 감속 유닛(unit)(273),(27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의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274)은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의 형상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은 케이스(case)(275)와, 해당 케이스(275) 내에 지지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아이들 기어(276) 및 랙 구동 기어(기어)(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은 승강 프레임체(250)의 상부 프레임(252)의 하부에 나사(286)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체(250)가 가지는 좌측의 측부 프레임(251)의 상부에는 진퇴용 모터(226) 및 워엄 감속기(291)가 설치되어 있다. 워엄 감속기(291)는 진퇴용 모터(226)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고, 해당 출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고, 이 출력은 전달축(회전축)(292)으로 전달된다. 전달축(292)은 좌우방향으로 축심을 향하여 마사지 기구(200)의 상방으로 설치되고, 좌측 단부가 워엄 감속기(291)에 연결되고, 우측 단부가 승강 프레임체(250)의 우측의 측부 프레임(25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전달축(292)은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의 케이스(27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축(292)에 동축 형상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전달 기어가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의 아이들 기어(idle gear)(276)에 맞물려 있다. 또 마사지 기구(200)를 지지하는 좌우의 요동 프레임(270)의 상부에는 대략 원호상(圓弧狀)의 진퇴용 랙(2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진퇴용 랙(241)은 요동 프레임(27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5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D)의 원주 상에 복수개의 이(齒)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73)이 가지는 랙 구동 기어(240)가 이 진퇴용 랙(241)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려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퇴용 랙(241)의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 각각에는 스토퍼(stopper)(241a)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241a)는 진퇴용 랙(241)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랙 구동 기어(240)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요동기구(200c)는 진퇴용 모터(226)의 회전이 워엄 감속기(291), 전달축(292), 중간 아이들 감속 유닛(293)을 통하여 진퇴용 랙(241)으로 전달된다. 이 때, 워엄 감속기(291), 아이들 기어(276) 및 전달 기어를 개재시킴으로써 진퇴용 모터(226)의 회전수는 적당하게 감속되어 랙 구동 기어(240)로 전달된다. 그리고 랙 구동 기어(240)가 회전하면 이것에 맞물리는 진퇴용 랙(241)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마사지 기구(200)를 지지하는 요동 프레임(270)은 하부 프레임(253)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한다(도 15 내의 화살표 참조). 이 때, 도 15에 표시한 해칭(hatching)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마사지 기구(200), 요동 프레임(270) 및 진퇴용 랙(241)이 전후방향으로 요동한다.
도 4는 의자형 마사지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형 마시지기(1)는 제어부(40)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40)는 등 받이부(3)의 하부 등에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부(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제어부(40)는 시피유(CPU)(41), 롬(ROM)(42), 램(RAM)(4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44)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는 제어부(40)의 외부에 설치되고 아암 레스트(5)(도 1 참조) 상에 설치된 조작장치(7)가 접속되어 있다.
시피유(CPU)(41)는 롬(ROM)(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램(RAM)(43)에 로드(load)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롬(ROM)(42)은, 마스크롬(mask ROM), 피롬(P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피유(CPU)(41)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시피유(CPU)(41)는 롬(ROM)(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의자형 마사지기(1)에 상기한 바와 같은 주무름 동작, 두드림 동작, 지압 동작 등의 마사지 동작 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마사지 기구(200)의 승강동작 및 전후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램(RAM)(43)은 에스램(SRAM) 또는 디램(DRA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램(RAM)(43)은 롬(ROM)(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시피유(CPU)(41)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는 예를 들면, 유에스비(USB), IEEE1394, RS-232C 등의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 SCSI, IDE, IEEE1284 등의 패러럴 인터페이스(parallel interface), D/A 변환기, A/D 변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아나로그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는 조작장치(7) 및 콘트롤러(8)가 접속되어 있고, 이 조작장치(7) 및 콘트롤러(8)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가 있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는 급배기장치(4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45)가 접속되어 있다. 급배기장치(46)는 전자 밸브 등의 절환 밸브 및 에어 펌프(air pump)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풋 레스트(4) 및 좌부(2) 등의 각 부분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주머니(47)와 에어 호스(48)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공기주머니(47)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급배기를 행한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는 모터(26),(34),(214),(226)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50a~50d)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구동회로(50a~50d)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4)로부터 출력된 회전지시신호에 따른 전력을 모터(26),(34),(214),(226)에 각각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장치(7) 또는 콘트롤러(8)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피유(CPU)(41)가 모터(26),(34),(214),(226)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 또는 이것들에 더하여 회전수(회전각도)를 결정하고, 결정내용에 따른 회전지시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 발생시킨다. 구동회로(50a~50d)는 각각 펄스(pulse) 발생기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펄스 발생기가 입출력 인터페이스(44)로부터 받은 회전지시신호에 따른 펄스폭의 전압(펄스신호)을 각각 발생하고, 해당 전압이 각각 모터(26),(34),(214),(226)의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이와 같은 피더블유엠(PWM) 제어에 의해 모터(26),(34),(214),(226)에 전력이 공급되고, 필요한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수(회전각도)를 충족시켜서 구동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26),(34),(214),(226)는 DC 서보모터로 되어 있지만 AC 서보모터이어도 좋다. 또 이와 같은 구동대상인 모터의 종류 변경에 따라 구동회로(50a~50d)의 구성도 변경되는 것은 당연하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는 인코더(encoder)(53) 및 자기(磁氣) 센서(54)가 더 접속되어 있다. 인코더(53)는 마사지 기구(200)를 승강시키는 모터(214)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시피유(CPU)(41)가 이 펄스 신호의 펄스 수를 계수함으로써 마사지 기구(200)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자기 센서(54)는 주무름 축(20)의 축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 위치에 배치된 자석(도시 안함)과 대향하도록 주무름 축(20)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주위의 자기 세기에 따른 출력전압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주무름 축(20)이 회전한 경우에는 자기 센서(54)의 근처를 자석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시피유(CPU)(41)가 자기 센서(54)로부터의 출력전압의 피크(peak)를 계수함으로써 주무름 축(20)의 회전각도, 즉 시료자(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자형 마사지기(1)에 설치된 조작장치(7)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형 마사지기(1)가 가지는 아암 레스트(5)는 좌부(2)의 양측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 기부(5b)와, 이 아암 레스트 기부(5b)의 상부에 피복된 상부 커버(5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장치(7)는 우측의 아암 레스트(5)의 상부 커버(5a)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장치(7)는 소위 조이스틱(joy stick)형 구조로 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5)의 상부 커버(5a)에 고정되는 베이스(base)부(70)와, 해당 베이스부(70)에 설치된 로드부(71)와, 해당 로드부(71)의 상부에 씌워져 피시료자에게 파지되는 통(筒) 형상의 그립(grip)부(72)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조작장치(7)의 베이스부(70)와 로드부(71)의 조인트(joint) 기구(73)의 구성을 일부분을 생략하고 나타낸 사시도로서, 우측경사 후방으로부터의 시선에 기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조인트 기구(7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좌측경사 후방으로부터의 시선에 기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조작장치(7)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조인트 기구(73)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73a)(도 1 참조)는 생략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70)에는 복수개의 나사구멍(70a)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70)는 나사구멍(70a)에 끼워 통과된 복수개의 설치 나사(미도시)가 아암 레스트(5)의 상부 커버(5a)를 관통하여 그 아래의 아암 레스트 기부(5b)(도 1 참조)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상부 커버(5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기구(73)는 베이스부(70)의 좌우 상면에 각각 설치된 로드 지지대(75a),(75b)(좌측의 로드 지지대(75a)는 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를 갖고 있다. 로드부(71)의 하단부의 좌우 측부로부터는 좌우의 각각으로 지지축(76)이 돌출 형성되고, 해당 지지축(76)은 로드 지지대(75a),(75b)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공(75c)에 끼워져 통과된다. 그 결과, 로드부(71)는 지지축(76)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70) 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부(71)와 우측의 로드 지지대(75b) 사이에는 2개의 스프링 훅(spring hook)(77a),(77b)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훅(77a),(77b)은 상부가 지지축(76)에 관통되고, 일측의 스프링 훅(77a)은 지지축(76)으로부터 경사 전하방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타측의 스프링 훅(77b)은 지지축(76)으로부터 경사 후하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의 하단부 사이에 스프링(77c)이 놓여지고, 양 하단부는 스프링(77c)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경사 전하방으로 늘어나는 스프링 훅(77a)은 로드부(71)가 뒤쪽으로 기울어진(이하 "후경사") 때에 해당 로드부(71)와 동시에 지지축(76) 주위로 요동하여 하단부가 전방을 향하고, 로드부(71)가 앞쪽으로 기울어진(이하 "전경사") 때에는 로드 지지대(75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도시하지 않은 돌기에 걸려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경사 후하방으로 늘어나는 스프링 훅(77b)은 로드부(71)가 전경사한 때에 해당 로드부(71)와 동시에 지지축(76) 방향으로 요동하여 하단부가 후방으로 향하고, 로드부(71)가 후경사한 때에는 로드 지지대(75b)의 상기 돌기에 걸려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부(71)가 전경사 및 후경사한 때의 어느 경우에도 스프링 훅(77a),(77b)의 하단부 사이의 스프링(77c)이 신장되고, 로드부(71)는 직립상태(중립위치)로 복귀하도록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로드부(71)의 중립위치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드부(71)의 경도(傾倒)상태에 기인하여 마사지 기구(200)가 전후 동작하지 않는 것과 같은 로드부(71)의 자세를 말한다. 또 로드부(71)의 중립위치는 직립상태일 필요는 없고 피시료자의 조작성을 고려해서 보다 바람직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약간만 전 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한 상태를 중립위치로 하여도 좋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부(71)와 좌측의 로드 지지대(75a) 사이에는 스퍼기어(spur gear)의 소정의 중심각도 부분에 상당하는 기어편(78)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어편(78)은 그 피치(pitch) 원의 중심부분이 지지축(76)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로드부(71)의 전경사 및 후경사 시에 해당 로드부(71)와 동시에 지지축(76) 주위로 요동한다. 기어편(78)은 다른 평기어인 제1 기어(79)와 맞물려있고, 이 제1 기어(79)는 베이스부(70) 상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에 추지된 지지축(80)에, 동축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79)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감쇠부)(81)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 지차(82)가 맞물려있다. 더욱이 제1 기어(79)가 설치된 지지축(80)의 단부에는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8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터리 스위치(83)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을 통하여 도 4에 도시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작장치(7)에 있어서, 피시료자가 로드부(71)를 경도시킨 경우, 기어편(78)의 회전이 제1 기어(79)를 통하여 로터리 댐퍼(81)의 제2 기어(82)에 전달된다. 이때, 로터리 댐퍼(81)가 발휘하는 제2 기어(82)의 회전방향의 점성저항에 의해 로드부(71)의 변위속도가 감쇠(완화)된다. 또 로드부(71)의 경도각도 및 경도방향에 관한 신호가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 출력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4)로부터 제어부(40)로 입력된다.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진퇴용 모터(226)(도 2 또는 도 4 참조)를 회전 구동시키고, 마사지 기구(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드부(71)를 전경사 조작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진퇴용 모터(226)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마사지 기구(200)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드부(71)를 후경사 조작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진퇴용 모터(226)를 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마사지 기구(2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조작장치(7)의 그립부(72)와, 해당 그립부(72) 내의 로드부(7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72)는 우측의 그립부재(72a)(실선으로 나타냄)와, 좌측의 그립부재(72b)(이점쇄선으로 나타냄)로 좌우 나뉘어 구성되고, 그립부재(72a),(72b)가 좌우로부터 맞추어져 이루어지는 그립부(72)는 하단부가 개방된 대략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부(72)의 내부공간에 로드부(71)의 상부가 끼워져 통과된 것과 같이 되어 있고,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드부(71)에 대하여 그립부(72)는 상대적으로 상하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드부(71)는 그 하부에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각주부(角柱部)(71a)를 가지고, 또 각주부(71a)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그립부(72) 내에 삽입되는 단차가 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주부(71b)를 갖고 있다. 더욱이 원주부(71b)는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소경부(91), 이 제1 소경부(91)보다 직경이 큰 제1 대경부(92), 이 제1 대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소경부(93) 및 이 제2 소경부(93)보다 직경이 큰 제2 대경부(9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대경부(92)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의 관통구멍(9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대경부(92)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제2 소경부(91)의 상단부와 제2 소경 부(93)의 하단부에는 그립부(72)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 사각형의 그립 지지판(95),(9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의 그립 지지판(95)은, 각각의 중앙부분에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그립 지지판(95)의 구멍에는 로드부(71)의 제1 소경부(91)가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측의 그립 지지판(95)의 구멍에는 제2 소경부(93)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 제2 소경부(93)의 상단부에는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형이고 중앙부분에 구멍(미도시)을 가지는 스프링 지지판(96)이 상기 구멍에 제2 소경부(93)가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의 그립 지지판(95)의 하면과 각주부(71a)의 상단면 사이에는 제1 소경부(91)에 씌워지도록 코일(coil) 스프링(97)이 설치되고, 상측의 그립 지지판(95)의 상면과 그 상방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판(96)의 하면 사이에는 제2 소경부(93)에 씌워지도록 다른 코일 스프링(98)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코일 스프링(97),(98)은 동시에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고, 하측의 그립 지지판(95)을 상방으로, 상측의 그립 지지판(95)을 하방으로 각각 탄력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립부(72)의 그립 부재(72a),(72b)의 내측 벽부에는 상하의 그립 지지판(95)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에,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절결홈(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절결홈(100)은 깊이 치수에 비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고(즉 도 7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약간 긴 치수로 되어 있고), 이 제1 절결홈(100)에는 상기한 그립 지지판(95)의 둘레부(周部)가 걸려 지지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우측의 그립 부재(72a)에 관해서만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좌측의 그립 부재(72b)는 우측의 그립 부재(72a)와 좌우 대칭의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여기서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조작장치(7)는 예를 들면 그립부(72)를 중립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조작한 경우, 해당 그립부(72)는 하측의 제1 절결홈(100)이 가지는 폭 치수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여, 즉 그립부(72)는 하측의 제1 절결홈(100)의 하부 내면에 하측의 그립 지지판(95)이 접촉하는 위치(최상방 위치)까지 상방으로 조작 가능하다. 또 상측의 그립 지지판(95)은 상측의 제1 절결홈(100)에 걸린 상태에서 그립부(72)와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98)이 압축되어 그립부(72)는 하방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방으로의 조작을 중지한 경우, 압축된 코일 스프링(98)의 신장력에 의해 그립부(72)는 하방으로 되돌아와, 그립부(72)는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그립부(72)의 중립위치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립부(72)의 상하방향의 변위에 기인하여 마사지 기구(200)가 전후 동작하지 않는 것과 같은 그립부(72)의 위치를 말하고, 상기한 조작장치(7)에서는 피시료자가 전혀 조작하지 않은 경우(비조작 때)의 그립부(72)의 위치를 중립위치로 하고 있다.
한편, 그립부(72)를 중립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해당 그립부(72)는 상측의 제1 절결홈(100)이 가지는 폭 치수의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여, 즉 그립부(72)는 상측의 제1 절결홈(100)의 상부 내면에 상측의 그립부 지지판(95)이 접촉하는 위치(최하방 위치)까지 하방으로 조작 가능하다. 또 하측의 그립 지지판(95)은 하측의 제1 절결홈(100)에 계합한 상태에서 그립부(72)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97)이 압축되어 그립부(72)는 상방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하방으로의 조작을 중지한 경우, 압축된 코일 스프링(97)의 신장력에 의해 그립부(72)는 상방으로 되돌아오고, 그립부(72)는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또 좌우의 그립 부재(72a),(72b)의 내측부의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에 있어서, 상측의 제1 절결홈(100)의 하방 근처와, 하측의 제1 절결홈(100)의 상방 근처의 각각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절결홈(101)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전후에 형성된 제2 절결홈(101)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치수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스위치 지지판(102u)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이 끼워 넣어져 지지되고 있다. 이 스위치 지지판(102u)은 로드부(71)의 제1 대경부(92)에 형성된 관통구멍(92a) 내의 상부를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고, 하면에는 누름 버튼식의 제1 스위치(103u)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스위치(103u)는 그립부(72)가 상하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해당 그립부(72)와 일체로 상하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그립 부재(72a),(72b)의 내측부에 있어서의 하측의 전후에 형성된 제2 절결홈(101)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치수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스위치 지지판(102d)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이 끼워 넣어져 지지되고 있다. 이 스위치 지지판(102d)은 로드부(71)의 제1 대경부(92)에 형성된 관통구멍(92a) 내의 하부를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누름 버튼식의 제2 스위치(103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스위치(103d)도 그립부(72)가 상하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해당 그립부(72)와 일체적으로 상하 동작한다.
로드부(71)의 제1 대경부(92)에 형성된 관통구멍(92a)에서의 상하방향의 중앙 위치에는 제1 대경부(92)의 좌우 측벽공간에 놓이도록 하여 리브(rib)(105)가 설치되어, 제1 대경부(92)의 강성(剛性)이 강화되어 있다. 또 이 리브(105)의 상하 에는 각각 판스프링(106u),(106d)이 설치되어 있고, 상측의 판스프링(106u)은 탄력적으로 하방으로 만곡 가능하고, 하측의 판스프링(106d)은 탄력적으로 상방으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측의 제1 스위치(103u)는 리브(105)의 상측에 배치된 판스프링(106u)의 상방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즉 여유를 가지고) 대향하여 설치되고, 하측의 제2 스위치(103d)는 리브(105)의 하측에 배치된 판스프링(106d)의 하방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즉, 여유를 두고)대향하여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피시료자가 그립부(72)를 상방으로 조작한 경우, 하측의 제2 스위치(103d)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하측의 판스프링(106d)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근한다. 그리고 이 판 스프링(106d)에 접촉함으로써 제2 스위치(103d)는 오프(off)로부터 온(on)으로 절환되고, 판스프링(106d)으로부터 이격될 때까지의 동안에 제2 스위치(103d)는 온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에 의해 제2 스위치(103d)와 접속된 제어부(40)(도 4 참조)로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입력된다.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14)(도 2 또는 도 4 참조)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이동장치(200a)와 동시에 마사지 기구(200)를 상승 동작시킨다.
마찬가지로, 피시료자가 그립부(72)를 하방으로 조작한 경우, 상측의 제1 스위치(103u)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측의 판스프링(106u)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근한다. 그리고 이 판 스프링(106u)에 접촉함으로써 제1 스위치(103u)는 오프로부터 온(ON)으로 절환되고, 이 판 스프링(106u)으로부터 이격될 때까지의 동안에 제1 스위치(103u)는 온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신 호선에 의해 제1 스위치(103u)와 접속된 제어부(40)(도 4 참조)로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입력된다.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14)를 타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이동장치(200a)와 동시에 마사지 기구(200)를 하강 동작시킨다.
또 판스프링(106u),(106d)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스위치(103u), 제2 스위치(103d)가 이 판 스프링(106u),(106d)에 접촉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 제1 스위치(103u), 제2 스위치(103d)가 판스프링(106u),(106d)에 접촉한 후, 그립부(72)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더 조작된 경우이더라도 판스프링(106u),(106d)이 만곡하기 때문에 이 판 스프링(106u),(106d)과의 접촉에 의해 제1 스위치(103u), 제2 스위치(103d)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72)의 상부에 있어서, 로드부(71)의 상방으로 롤러(roller) 수용실(107)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롤러 수용실(107)에는 좌우방향을 향한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108)가 수용되어 있다. 또 그립부(72)의 상부 후면에는 상기한 롤러 수용실(107)로 통하는 사각형의 창(109)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 수용실(107) 내에 수용된 롤러(108)의 둘레부(周部)의 일부분이 이 창(109)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롤러 수용실(107) 내에는 볼륨 스위치(volume switch)(110)(도 8 참조)가 수용되어 있고, 이 볼륨 스위치(110)의 회전축은 롤러(108)의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롤러(108)는, 마사지 기구(200)가 가지는 모터(26),(34)(도 3 참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피시료자가 엄지손가락 등으로 롤러(108)를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조작하면, 회전각도에 따른 신호가 볼륨 스위치(110)로 부터 도시되지 않은 신호선을 통하여 제어부(40)(도 4 참조)로 입력되고, 시료자(10)의 마사지 동작이 빨라진다. 또 롤러(108)를 타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회전각도에 따른 신호가 볼륨 스위치(110)로부터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제어부(40)에 입력되고, 시료자(10)의 마사지 동작이 느려진다.
상기한 의자형 마사지기(10)가 구비하는 마사지 기구(200)는, 조작장치(7)를 전후 및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동일하게 전후 및 상하로 동작한다. 이하, 조작장치(7)의 조작과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작장치(7)의 로드부(71)가 전후방향으로 경도 조작된 때의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에 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프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마사지 기구(200)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주무름 동작, 두드림 동작, 지압동작 등의 여러 가지 마사지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마사지 동작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장치(7)와는 별개의 콘트롤러(8)를 사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또 콘트롤러(8)를 조작하여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관해서는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고,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를 전경사 조작하면(S21), 조인트 기구(73)에 설치된 로터리 스위치(83)(도 6, 도 8 참조)가 로드부(71)의 경도방향(즉 전방)을 검출하고(S22), 검출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된다(S23).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진퇴용 모터(226)를 회전 구동하고(S24), 그 결과 마사지 기구(200)는 전방으로 요동된다(S25).
그 후, 제어부(40)는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 로드부(71)가 전경사하고 있 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26).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를 계속 전경사 조작의 상태로 유지하고,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 상기 신호가 제어부(40)에 계속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는(S26: 예) 단계 S24로부터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피시료자가 그립(72)을 직립상태의 중립위치로 되돌리도록 조작하는지 또는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서 스프링 스프링(77c)(도 5 참조)의 작용에 의해 로드부(71)가 직립하는 중립위치로 복귀한 경우는,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의 입력신호가 끊어지므로 로드부(71)가 전경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한다(S26: 아니오). 그리고 제어부(40)는 진퇴용 모터(226)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S27), 마사지 기구(200)의 전방으로 의 요동을 정지시킨다(S28).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를 전방으로 경도조작하고 있는 기간(시간)만 마사지 기구(200)가 전방으로 요동하고, 피시료자가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등을 하여 조작장치(7)의 조작을 멈추면, 마사지 기구(200)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를 후방으로 경도 조작한 경우도 동일한 동작을 하고,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를 후방으로 경도조작하고 있는 기간만 마사지 기구(200)가 후방으로 요동하고,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등을 하여 조작을 멈추면, 마사지 기구(200)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 피시료자가 그립부(72)의 조작을 멈추고 조작장치(7)가 비조작상태가 된 경우(즉 조인트 기구(73)의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의 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되지 않게 되었던 경우)에는 마사지 기구(200)가 소정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부(40)를 구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작장치(7)의 경도조작과, 마사지 기구(200)의 전후방향으로의 요동동작을 대응시킴으로써 의자형 마사지기(1)의 좌부(2)에 착석한 피시료자의 시점(視點)을 기준으로 하여 조작장치(7)의 경도조작방향(즉 전후방향)과 마사지 기구(200)의 요동동작방향(즉 전후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피시료자는 직감적으로 조작장치(7)를 전후방향으로 경도 조작하여 마사지 기구(200)를 소망하는 전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장치(7)의 조작에 위화감을 느끼는 것이 없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한 조작장치(7)의 설명에서는 로드부(71)의 경도조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경도방향을 검출하는 로터리 스위치(83)를 구비한 구성에 관하여 언급하였지만, 다른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에 있어서 로터리 스위치(83) 대신 볼륨 스위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로드부(71)를 경도조작하면, 경도방향에 더하여 경도방향의 변위량(또는 회동각도)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륨 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작장치(7)를 조작한 때의,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에 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프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료자에 의해 조작장치(7)의 그립부(72)가 전방으로 조작되면(S11), 볼륨 스위치가 그립부(72)의 조작방향(즉 전방) 및 로드부(71)가 직립상태에 있는 중립위치로부터의 경도변위량(조작거리)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S12), 이 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된다(S13).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그립부(72)의 조작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로드부(71)의 경도변위량에 따른 정도만큼 모터(226)(도 2 또는 도 4 참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4). 그 결과 마사지 기구(200)가 가지는 진퇴용 피니언(pinion)(240)이 이동장치(200a)의 진퇴용 랙(241) 상을 구름이동하고, 마사지 기구(200)는 그립부(72)의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로드부(71)의 경도변위량(조작거리)에 따른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된다(S15).
따라서 볼륨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장치(7)를 이용함으로써 피시료자에 의한 조작장치(7)의 조작과,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을 선형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좌부(2)에 착석한 피시료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립부(72)의 조작방향(전후방향)과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방향(전후방향)을 일치시키고 또한 로드부(71)의 경도변위량에 따른(예를 들면 비례한) 거리만큼 마사지 기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등을 하여 조작을 멈춘 경우는 스프링 스프링(77c)의 작용에 의해 로드부(71)는 직립상태에 있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마사지 기구(200)도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단계 S15에 있어서 마사지 기구(200)의 이동거리(즉 단계 S14에서 의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각도))는 경도하는 로드부(71)의 변위량에 비례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로드부(71)의 변위량의 2차, 또는 그 이상의 고차원 함수로 근사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로드부(71)의 변위량의 지수함수로 근사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이들 함수의 조합에 의해 마사지 기구(200)의 이동거리가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고, 불연속한 함수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비례함수, 2차 또는 그 이상의 고차원 함수, 지수함수에 관하여 입력값과 이것 에 대한 출력값이 연관된 테이블 데이터(table data) 등을 미리 제어부(40)의 롬(ROM)(42)에 기억하여 놓는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조작장치(7)가 가지는 볼륨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롬(ROM)(42) 내의 테이블 데이터를 참조하고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취득하고, 이것에 따라 모터(226)를 구동하면 좋다. 또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 바꾸고 연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도 좋고, 나아가서는 플립플롭(flip flop) 등에 의해 연산회로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장치(7)의 그립부(72)가 상하방향으로 조작된 때의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에 관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프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료자에 의해 조작장치(7)의 그립부(72)가 중립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조작되면(S1), 제1 스위치(103u)와 상측의 판스프링(106u) 사이의 여유분만큼 하강한 후, 제1 스위치(103u)가 판스프링(106u)에 접촉하고, 제1 스위치(103u)는 오프상태에서부터 온 상태로 절환된다(S2). 그러면, 제1 스위치(103u)로부터 제어부(40)로 신호가 출력되고(S3), 제어부(40)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14)를 회전구동하고(S4), 승강용 피니언(207)이 가이드 레일(29a)을 따라 구름이동하고, 마사지 기구(200)는 이동장치(200a)와 동시에 가이드 레일(29a)을 따라 하강 동작한다(S5).
그후, 제어부(40)는 제1 스위치(103u)로부터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이 계속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의 그립부(72)를 계속 하방위치에 유지하고, 제1 스위치(013u)로부터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30)로 계속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는(S6: 예), 단계 S4로부터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피시료자가 그립부(72)를 중립위치로 되돌리도록 조작하는지 또는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서 하측의 코일 스프링(97)의 작용에 의해 그립부(72)가 중립위치로 복귀한 경우는, 제1 스위치(103u)가 판스프링(106u)으로부터 이격되어, 제어부(40)는 단계6으로 제1 스위치(103u)로부터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한다(S6: 아니오). 그리고 제어부(40)는 모터(214)의 회전구동을 정지시키고(S7), 마사지 기구(20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킨다(S8).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는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의 그립부(72)를 하방으로 조작하고 있는 기간만, 마사지 기구(200)가 하강동작하고, 피시료자가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등을 하여 조작장치(7)의 조작을 멈추면, 마사지 기구(200)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의 그립부(72)를 상방으로 조작한 경우도 동일한 동작을 하고, 피시료자가 그립부(72)를 상방으로 조작하고 있는 기간만 마사지 기구(200)가 상승동작하고,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어내는 등을 하여 조작을 멈추면, 마사지 기구(200)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또 피시료자가 그립부(72)의 조작을 멈추고 조작장치(7)가 비조작상태가 된 경우(즉 제1 스위치(103u) 및 제2 스위치(103d)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마사지 기구(200)가 소정 위치(예를 들면 최상방위치 또는 최하방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부(4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는 좌부(2)에 착석한 피시료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면, 조작장치(7)의 그립부(72)의 상기한 조작방향(즉 상하방향) 과 마사지 기구(200)의 동작방향(즉 상하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피시료자는 직감적으로 조작장치(7)의 그립부(72)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여 마사지 기구(200)를 소정 위치(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장치(7)의 조작에 위화감을 느끼는 것이 없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사지 기구(200)의 승강동작에 있어도, 조작장치(7)의 그립부(72)의 조작방향에 더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조작거리에 따른 정도만큼 마사지 기구(2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치(103u), 제2 스위치(103d) 및 판스프링(106u),(106d) 대신, 조작장치(7)의 로드부(71)에 랙을 설치하고, 그립부(72)에는 상기 랙에 맞물려서 상하방향으로 전동 가능하도록 피니언을 설치한다. 아울러 피니언과 연동 회전하는 볼륨 스위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볼륨 스위치가 검출한, 그립부(72)의 조작방향 및 조작거리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40)에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40)로 승강용 모터(214)를 회전 구동시키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장치(7)의 일부를 상이한 구성으로 변경한 다른 조작장치(7a)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조작장치(7a)는 로드부(71)가 경도상태에 있을 때에 비조작상태가 된 경우이더라도 직립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현상태 자세(경도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조작장치(7a)의 조인트 기구(73b)의 구성을 일부분을 생략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작장치(7a)는 이미 설명한 조작장치(7)에 있어서 스프링 훅(77a),(77b) 및 스프링(77c)과, 일측의 로드 지지대(75b) 대신 로터리 댐퍼(유지부)(81a)가 구비되어 있다. 이 로터리 댐퍼(81a)는 조인트 기구(73b)를 덮는 커버(73a)(도 1 참조)의 내벽부에 본체부가 나사 고정되고, 그 회전축(미도시)은 지지축(76)에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로드부(71)에 접속되어 있다. 또 로터리 댐퍼(81a)는 또 하나의 로터리 댐퍼(81)와 함께 로드부(71)의 전후방향으로의 요동에 대하여 점성 마찰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그 마찰력은 로드부(71)가 더욱 경도하려고 하는 힘을 상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조작장치(7a)의 경우, 피시료자의 조작에 의해 로드부(71)가 경도상태에 있을 때에, 피시료자가 조작을 멈추고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면, 조작장치(7a)는 현상태 자세를 유지한다(즉 경도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a)를 경도 조작한 상태에서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조작장치(7a)의 로터리 스위치(83)로부터는 계속적으로 경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40)로 출력되고, 마사지 기구(200)는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또 로터리 스위치(83) 대신 볼륨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는, 피시료자가 조작장치(7a)를 경도 조작하다 상태에서 그립부(72)로부터 손을 떼면, 손을 뗀 때의 조작장치(7a)의 로드부(71)의 경도방향 및 경도변위량에 따라, 마사지 기구(200)는 전후방향의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로터리 댐퍼(81)만으로 필요 충분한 점성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우는, 로터리 댐퍼(81a)는 생략하여도 좋고, 또 그 반대로 로터리 댐퍼(81a)만으로 필요 충분한 점성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로터리 댐퍼(81)는 생략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한 조작장치(7) 및 조작장치(7a)와는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조작장치에 대하여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 한다. 이 도 13에 도시한 조작장치(300)는 상기 조작장치(7) 및 조작장치(7a)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1)에 채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의자형 마사지기(1)의 우측의 아암 레스트(5)의 상부 커버(5a)에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300)는 베이스부(301), 해당 베이스부(301)에 설치된 로드부(302), 해당 로드부(302)의 상부에 설치된 그립부(30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은 그립부(303)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13에서는 이것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부(301)는 엎어 놓은 공기(椀)와 같은 형상이고, 등받이부(3)의 리클라이닝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조정 버튼(305), 마사지 기구(200)가 가지는 시료자(10)에 의한 두드림 동작의 속도를 조절하는 두드림 속도조정 스위치(306) 등 여러 가지의 버튼, 스위치류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1)에 설치된 로드부(302)는 그 하단부에 베이스부(301)와 볼 조인트(ball joint)되어 있고, 전후 및 좌우 등 모든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301)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스위치가 구비되어, 로드부(302)의 경도방향을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신호를 제어부(40)(도 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301)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스프링 및 로터리 댐퍼가 설치되고, 로드부(302)의 경도 때 또는 직립상태로의 복귀 때에 변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점성 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조작장치(7)의 조인트 구성(73)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대신 볼륨 스위치를 배치하고, 복귀용 스프링을 생략함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조작장치(7a)의 조인트 기구(73b)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부(302)의 상부에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로드 수용부(307)가 씌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들 로드부(302) 및 로드 수용부(307)는 도 7에 나타내는 조작장치(7)의 로드부(71) 및 그립부(72)와 마찬가지로 접속되어 있다. 즉 로드 수용부(307)의 내부공간에는 해당 로드 수용부(30)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작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도 7에 나타내는 제1 스위치(103u), 제2 스위치(103d)에 상당하는 것)나, 로드 수용부(307)를 상하방향의 중심위치(중립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도 7에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97),(98)에 상당하는 것)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부(302)에 대하여 로드 수용부(307)는 상방 및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조작 가능하고, 또한 상방 및 하방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중립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방향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40)(도 4 참조)에 출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조작장치(300)의 경우에도 상기한 조작장치(7),(7a)의 조작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시료자에 의한 직감적인 조작에 따라 마사지 기구(200)를 전후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즉 조작장치(300)가 가지는 그립부(303)를 전후방향으로 경도 조작한 경우에, 이 조작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전후방향으로 마시지 기구(2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립부(303)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한 경우는, 마사지 기구(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시료자가 직감적으로 조작장치(300)를 조 작 가능하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303)를 조작한 때의 마사지 기구(200)의 전후방향의 동작 및 상하방향의 동작은 도 9 내지 도 11의 프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동작과 대략 같으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드 수용부(307)는 그 상방에 배치된 그립부(303)와 접속부재(30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부재(309)는 좌우로 나뉘는 2갈래 형상을 이루고 있고, 로드 수용부(307)를 좌우로부터 협지하도록 하여 해당 로드 수용부(307)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부(303)는 접속부재(30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립부(303)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그립부(303), 접속부재(309) 및 로드 수용부(307)는 일체적으로 상하동하고, 로드 수용부(307)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조작방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0)(도 4 참조)에 출력한다.
그립부(303)는 상하로 배치되고 전후로 긴 치수의 플레이트(320),(320)와, 이 플레이트(320),(3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1)와, 플레이트(320),(320) 사이에 설치되고 피시료자에 의해 파지 조작되는 파지 핸들(32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파지 핸들(322)은 좌우의 파지부재(323),(324)을 가지고, 피시료자는 이 파지부재(323),(324)을 협지하여 양자를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즉 파지 핸들(322)이 개폐하도록 파지 조작한다.
도 14a, b는 도 13에 도시한 조작장치(300)가 가지는 그립부(3030)의 XIV 방향 단면도로서, 파지 핸들(322)의 구성과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14a는 파지 핸들(322)이 열려 있는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4b는 파지 핸들(322)이 닫혀 있는 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성물의 시인성과 동작원 리의 이해를 위하여 도 14에서는 모두 실선으로 각 구성물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각 구성물의 주로 상하의 위치관계에 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례차례 언급한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파지부재(323),(324)은 횡단면이 대략 채널(channel)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개방부분을 서로 대향시켜 설치되고 각각의 앞부분이 회전축(3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회전축(325)에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326)이 설치되어, 좌우의 파지부재(323),(324)가 소정 개방도 이하로 닫힌 경우에 이들 파지부재(323),(324)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좌측의 파지부재(323)에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의 랙 지지판(330)이 축 지지되어 있고, 이 랙 지지판(330)의 상면에는 대략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랙(3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랙 지지판(330)에는 랙(331)의 후측에 있어서, 해당 랙(331)을 따라 대략 좌우로 연장하는 안내공(332)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파지부재(324)에는 내측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의 피니언 지지판(335)이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bracket)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피니언 지지판(335)은 랙 지지판(330)에 대하여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해당 피니언 지지판(335)의 하면에는 로터리 댐퍼(336)가 하방으로 출력축(336a)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출력축(336a)에는 피니언(337)이 동축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해당 피니언(337)은 랙(331)과 맞물려 있다. 또 로터리 댐퍼(336)의 출력축(336a)의 하단부는 랙 지지판(330)에 형성된 안내공(322)에 끼워져 통과하고 있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그립부(303)를 피시료 자가 파지조작하면, 좌우의 파지부재(323),(324)는 스프링(32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전축(325) 주위로 회동한다. 그리고 좌우의 파지부재(323),(324)가 접근할 때, 로터리 댐퍼(336)의 출력축(336a)은 안내공(332)으로 안내되고 있고, 출력축(336a)의 단부의 피니언(337)은 랙(331)에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어 구름이동한다. 한편 피시료자가 파지 핸들(322)로부터 손을 떼는 등을 하여 조작장치(300)가 비조작상태가 되면, 스프링(326)의 작용에 의해 좌우의 파지부재(323),(324)는 이격되고, 파지 핸들(322)은 다시 초기상태(도 14a의 상태)까지 열린다.
또, 예를 들면 피니언(337) 또는 회전축(325)에는 도시하지 않은 볼륨 스위치가 동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좌우의 파지부재(323),(324)의 접근한 거리(또는 파지 핸들(322)의 개방도)에 따른 신호가 상기 볼륨 스위치로부터 제어부(40)(도 4 참조)에 출력된다. 제어부(40)는 이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좌우의 파지부재(323),(324) 사이의 거리에 따라 마사지 기구(200)(도 2 참조)가 가지는 좌우의 시료자(10),(10) 사이의 거리를 이동시키고, 주무름 동작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조작장치(300)의 파지 핸들(322)을 파지 조작함으로써 마사지 기구(200)에 주무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고, 실제의 손 주무름 감각에 가까운 마사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의자형 마사지기(1)의 등받이부(3)에 마련된 시료자(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언급하였지만, 조작장치(7) 등의 조작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시료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장치(7) 등의 전후방향으로의 경도조작에 따라 풋 레스트(4)의 종아리 지지면(4a)(도 1 참 조)에 마련된 공기주머니(47)(도 4 참조)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고, 피시료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는 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조작장치(7) 등은 의자형 마사지기(1)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2)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1)의 실시형태2에 따른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6에서는 상기한 마사지 기구(200), 제어부(40), 콘트롤러(8) 및 조작장치(7)(또는 조작장치(300))의 각각에 상당하는 마사지 기구(406), 제어부(411), 콘트롤러(412) 및 조작장치(413)에 관하여 주로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공기주머니를 가지는 풋 레스트(4) 등 다른 기능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 마사지기 기구(406), 콘트롤러(412) 및 조작장치(413)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실시형태1에 있어서 설명한 마사지 기구(200), 콘트롤러(8), 조작장치(7)(또는 조작장치(300))의 각각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형 마사지기(1)가 구비하는 제어부(411)는 시피유(CPU)(420), 램(RAM)(421), 롬(ROM)(42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42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시피유(CPU)(420)는 롬(ROM)(4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또는 램(RAM)(421)에 로드(load)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램(RAM)(421)은 롬(ROM)(4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시피유(CPU)(420)의 작업영역으로서 이용된다. 또 롬(ROM)(422)은 시피유(CPU)(420)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이것에 이용되는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시피유(CPU)(420)는 롬(ROM)(4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의자형 마사지기(1)에 여러 가지의 마사지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411)가 구비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23)에는 구동회로(430~432)를 통하여 마사지 기구(406)가 구비하는 각 모터(435~43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구동회로(430~43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23)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각 모터(435~437)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회로(430)는 실시형태1에 따른 승강용 모터(214)(도 4 참조)에 상당하는 모터(435)를 구동하여 마사지 기구(406)를 승강동시키고, 마사지 위치의 상하방향의 변경이나 롤링 마사지를 실행시킨다. 구동회로(431)는 실시형태1에 따른 진퇴용 모터(226)에 상당하는 모터(436)를 구동하여 마사지 기구(406)를 전후동시키고, 피시료자의 등부(背部)의 압박 마사지를 실행시킨다. 또 구동회로(432)는 실시형태1에 따른 주무름용 모터(26) 또는 두드림용 모터(34)에 상당하는 모터(437)를 구동하여 마사지 기구(406)가 가지는 시료자(10),(10)(도 1 참조)를 동작시키고, 주무름 마사지나 두드림 마사지를 실행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시료자(10),(10)를 주무름 동작 또는 두드림 동작시키는 모터를 1개의 모터(436)로 대표시키고 있지만, 실시형태1과 동일하게 각각의 동작에 대응하는 2개의 모터를 구비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구동회로(430~432)에 의한 모터(435~437)의 구동은 PWM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즉 구동회로(430~432)는 각각 펄스발생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펄스발생기가 입출력 인터페이스(423)로부터 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펄스폭의 전압(펄스신호)을 각각 발생하고, 해당 전압이 각각 모터(435~437)의 단자 사이에 인가된다. 이와 같은 PWM 제어에 의해 각 모터(435~437)에 전력이 공급되고, 필요한 회전방향, 회전속도 및 회전수(회전각도)를 만족시키면서 구동된다. 또한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에 따라 적절히 필요한 만큼 구동회로 및 모터를 추가해서 구비하여도 좋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23)에는, A/D 변환기(440~442)를 통하여 마사지 기구(406)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된 변위 센서(445~44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변위 센서(445~447)는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량에 따른 아나로그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각 A/D 변환기(440~442)는 이들 검출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제어부(411)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변위 센서(445)는 마사지 기구(406)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고, 변위 센서(446)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고, 변위 센서(447)는 마사지 기구(406)가 가지는 시료자(10),(10)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변위 센서 및 A/D 변환기에 관해서도 적절히 필요한 만큼 추가해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A/D 변환기(440~442) 및 변위 센서(445~447)를 대신하여 펄스 카운터(pulse counter) 및 인코더(encoder)를 채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 인코더는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량에 따른 디지털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423)에는 콘트롤러(412) 및 조작장치(4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트롤러(412)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버튼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마사지 기구(406)를 승강동작시키고, 또 시료자(10),(10)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장치(413)는 A/D 변환기(443) 및 변위 센서(448)를 구비하고, 해당 변위 센서(448)는 A/D 변환기(443)를 통하여 제어부(411)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변위 센서(448)는 조작장치(413)가 구비하고 로드부(71) 및 그립부(72)로 이루어지는 레버(lever)(413b)(도 1 참조)의 변위량(경도각도)을 검출하고, A/D 변환기(443)는 이 변위량에 관한 아나로그의 검출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제어부(411)에 출력한다. 그리고 변위 센서(44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411)는 마사지 기구(406)를 전후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2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는 원칙적으로, 상기한 조작장치(413)의 레버(413b)의 변위방향과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방향이 일치함과 동시에 레버(413b)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마사지 기구(406)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7의 레버(413b) 및 마사지 기구(406)의 위치관계에 관한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13b)를 전방으로 경도시키면 마사지 기구(406)도 전방으로 요동하고, 레버(413b)를 후방으로 경도시키면 마사지 기구(406)도 후방으로 요동한다. 또 레버(413b)의 변위량(경도각도)에 비례하는 변위량(요동거리)만큼 마사지 기구(406)는 요동한다. 또한 도 17에서는 레버(413b)의 중립위치를 L0, 레버(413b)의 그 외의 경도위치를 L1~L4로 나타내고, 이들 레버(413b)의 위치(L0~L4)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위치를 M0~M4로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2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가 구비하는 조작장치(413)는 대좌(台座)(413a)(도 1 참조)에 대하여 레버(413b)가, 경도한 상태에서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작장치(413)의 구성은 예를 들면 대좌(413a)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레버(413b)의 회전축심과 일치시켜 해당 레버(413b)와 일체 회전하는 기어를 마련하고, 한편 해당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회전축에 가지는 로터리 댐퍼를 대좌(413a)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로터리 댐퍼의 점성에 의해, 경도된 레버(413b)는 그 경도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장치(413)의 더 구체적인 구성 예로서는 본 실시형태1에 있어서 도 5~도 7(또는 도 13, 도 14)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의자형 마사지기(1)의 경우, 마사지 기구(406)가 복수의 기어를 통하여 모터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장치(413)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411)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된 후, 실제로 마사지 기구(406)가 이것에 기초하여 구동할 때까지의 사이에 지연이 발생한다. 이 지연은 조작장치(413)를 조작하는 피시료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되지만, 본 실시형태2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1)에서는 이와 같은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작 제어에 있어서 여러 가지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이하, 마사지 기구(406)의 각 전후동작 제어에 관하여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마사지 기구(406)의 각 전후동 제어는 제어부(411)의 롬(ROM)(42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시피유(CPU)(420)가 실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각 실시예에 열거하는 제어 태양은 복수개를 조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실시예1)
도 18은,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작 제어의 실시예1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레버(413b)의 위치(경도각도)(L)와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목표위치(요동각도)(M)의 관계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13b)의 중립위치(L0) 및 최대변위위치(LMAX)의 근처에는 이것들을 각각 포함하는 조작장치(413b)의 소정의 변위범위에, 마사지 기구(406)가 동작하지 않는 불감대(A0),(AMAX)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413b)의 최대변위위치로서는 레버(413b)의 전방향으로의 최대변위위치와 후방향으로의 최대변위위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레버(413b)의 최대변위위치(LMAX)를 포함하는 불감대(AMAX)를 설정한 경우에는 레버(413b)와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로 생기는 차이를 당해 불감대(AMAX)에서 해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레버(413b)의 변위와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 변위의 관계 예를, 도 18 내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8 내의 실선과 일점쇄선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중의 레버(413b)의 위치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실선)와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위치(일점쇄선) 사이에 차이(D1)가 발생한 경우에도 레버(413b)가 최대변위위치(LMAX)를 포함하는 불 감대(AMAX)로 변위하고 있는 동안에 이 차이(D1)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413b)를 정지시킨 후에도 오랫동안 마사지 기구(406)가 계속 동작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피시료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또 레버(413b)의 중립위치(L0)를 포함하는 불감대(A0)를 설정한 경우에는 레버(413b)의 중립위치의 설정을 엄밀하게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레버(413b)로의 작은 접촉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19a, b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작 제어의 실시예2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9a는 변위하는 레버(413b)의 위치(경도각도)(L), 도 19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요동속도)(VM)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t1)에서 레버(413b)가 일정 속도(VL1)로 변위하기 시작하고, 그 후 시간(t2)에서 가속되어 일정 속도(VL2)(>VL1)로 시간(t3)까지 변위한다. 게다가 시간(t3)에서는 감속되어 일정 속도(VL3)(<VL2)로 변위하기 시작하고, 시간(t4)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 기구(406)는 시간(t1~t2)에서는 일정 속도(VM1)로 변위하고, 레버(413b)의 변위가 가속된 시간(t2) 이후는 시간(t3)까지 마사지 기구(406)도 가속되어 일정 속도(VM2)(>VM1)로 변위한다. 그 후 레버(413b)의 변위가 가속되는 시간(t3),(t4)에서는 마사지 기구(406)는 감속되지 않고 속도(VM2)를 유지한다. 그리고 레버(413b)가 시간(t4)에 정지한 후 이 레버(413b)의 정지위치에 대응하는 목표위치에 마사지 기구(406)가 도달한 시간(t5)에 마사지 기구(406)는 정지한다. 이 동안에 마사지 기구(406)는 스텝(step) 형상으로 그 속도(VM)(VM1,VM2)가 변화한다.
이와 같이 마사지 기구(406)는 레버(413b)의 변위가 가속된 경우(시간(t1,t2))에만 자신의 속도가 변화하여 가속되지만, 레버(413b)의 변위가 감속된 경우(시간(t3,t4))에는 이것에 추종하여 자신의 변위를 감속시키는 것은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위하고 있었던 레버(413b)가 정지한 후에도 그때까지의 최고속도로 마사지 기구(406)는 변위하고, 비교적 단시간(시간(t4,t5)) 내에 마사지 기구(406)는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413b)의 변위에 대한 마사지 기구(406)의 추종성이 향상하고, 피시료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3)
도 20a, b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제어의 실시예3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20a는 레버(413b)의 위치(경도각도)에 대한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목표위치(요동각도)(M)의 시간변화의 일 예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더하여 마사지 기구(406)의 위치의 실제 시간변화의 일 예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도 20b는 도 20a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속도의 시간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에 마사지 기구(406)는 속도(VM4)로 변위하고 있지만,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의 시간변화(실선)와, 마사지 기구(406)의 위치의 실제 시간변화에는 차이(차이값)(D2)가 발생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차이(D2)가 소정의 역치(D3)에 도달하면(시간(t7)), 마사지 기구(406)가 가속되고,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때까지의 속도(VM4)에서부터 속도(VM5)로 스텝 형상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레버(413b)의 변위에 따라,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와 실제 위치의 차이(차이값)가 소정의 역치(D3)가 된 경우에 마사지 기구(406)의 속도를 강제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차이 양을 역치 이하로 억제할 수 있고, 레버(413b)의 변위에 대한 마사지 기구(406)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4)
도 21a, b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작 제어의 실시예4에 따른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21a는 레버(413b)의 위치(경도각도)(L), 도 21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요동속도)(VM)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t10)에 서 레버(413b)가 일정 속도(VL10)로 변위하기 시작하고, 그 후 시간(t12)에서 가속되어 일정 속도(VL12)(>VL10)로 시간(t3)까지 변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 기구(406)는 시간(t10) 직후에 있어서는 레버(413b)의 변위속도(VL10)에 대응하는 변위속도(VM10)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시간(t10~t11)에 이르는 단시간에 서서히 속도 업(up) 하고, 시간(t11)에 목표로 하는 변위속도(VM10)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레버(413b)의 속도가 올라가는 시간(t12) 직후에는 레버(413b)의 변위속도(VL12)에 대응하는 변위속도(VM12)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시간(t12~t13)에 이르는 단시간에 변위속도(VM10)로부터 서서히 속도 증가하여, 시간(t13)에 목표로 하는 변위속도(VM12)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도록 함으로써 레버(413b)가 속도 변화한 때에 마사지 기구(406)는 서서히 그 변위속도가 상승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피시료자의 등부(背部)에 과도한 충격을 주는 것이 없어지고, 피시료자에게 일어나는 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또 마사지 기구(406)의 속도증가 비율, 즉 가속도(d(VM)/dt)는 속도증가 전에 있어서 레버(413b)의 변위속도(VL) 또는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속도(VM)를 게 인(gain)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계수를 C1로 하고, 아래 수학식1에 의해 결정하여도 좋고,
d(VM)/dt = C1ㆍVL 2
또는 아래 수학식2에 의해 결정하여도 좋고,
d(VM)/dt = C1ㆍVM 2
아울러, 수학식1과 수학식2를 합성하여 아래 수학식3에 의해 결정하여도 좋다.
d(VM)/dt = C1ㆍVLㆍVM
또 가속도(d(VM)/dt)는 속도증가 전후에 있어서 레버(413b)의 변위속도의 차이값(ΔVL), 또는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변위속도의 차이값(ΔVM)을 게인으로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계수를 C2로 하여, 예를 들면 아래 수학식4에 의해 결정할 수 있고,
d(VM)/dt = C2ㆍΔVL
또는 아래 수학식5에 의해 결정할 수 있고,
d(VM)/dt = C2ㆍΔVM
아울러, 수학식4와 수학식5를 합성하여 아래 수학식6에 의해 결정하여도 좋다.
d(VM)/dt = C2ㆍΔVLㆍΔVM
(실시예5)
상기한 실시예1~실시예4에서는 주로 레버(413b)가 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의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실시예1~실시예4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레버(413b)가 일 방향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절환 조작된 경우의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제어에 관하여 도 22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a, b는 실시예5에 따른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동제어의 일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22a는 레버(413b)의 위치(경도각도)(L), 도 22b는 이것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전후방향의 목표변위속도(요동속도)(VM)를 각각 시간축과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t15)에서 레버(413b)는 일정 속도(VL15)로 일 방향(예를 들면, 전방)으로 변위하기 시작하고, 그 후 시간(t16)에서 변위방 향이 역전하여, 타 방향(예를 들면, 후방)으로 일정 속도(VL16)로 변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사지 기구(406)는 레버(413b)의 변위에 따라 시간(t15)에서 변위하기 시작하여, 일정 속도(VM15)로 일 방향(예를 들면, 전방)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레버(413b)의 변위방향이 역전하는 시간(t16)에서 정지된다. 이 시간(t16)에 있어서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 위치는 레버(413b)의 시간(t16)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목표위치보다도 시간적으로 약간 지연하여 존재하고 있다.
다음으로, 레버(413b)가 타 방향으로 변위하기 시작한 후 레버(413b)의 위치에 대응하는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에,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 위치가 일치하는 순간이 온다(시간(t17)). 이 시간(t17)이 되면, 마사지 기구(406)는 다시 레버(413b)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기 시작하고, 일정 속도(VM16)로 타 방향(예를 들면,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413b)의 변위방향을 절환한 경우에 생기는 피시료자의 위화감이 감소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반복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변위하는 레버(413b)의 위치에 대한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 위치에는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에 대하여 약간 지연이 생기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은 동작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버(413b)의 변위방향이 절환된 후에도 지연 정도만큼 마사지 기구(406)는 절환 전의 방향으로 동작하려고 한다. 그러면, 레버(413b)의 변위방향 과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방향이 반대로 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피시료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켜버린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한 경우는 레버(413b)의 변위방향이 절환된 때에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은 정지하기 때문에 레버(413b) 및 마사지 기구(406)의 변위방향 불일치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환된 후에는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위치와 실제 위치가 일치(시간(t17))한 때에 마사지 기구(406)가 레버(413b)의 변위에 따른 추종동작을 재개하기 때문에 마사지 기구(406)의 동작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6)
다음으로, 레버(413b)를 극히 저속도로 변위시킨 경우의, 마사지 기구(406)를 전후동시키는 모터(436)(도 16 참조)의 구동제어의 태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3a, b는 레버(413b)의 변위속도와 모터(436)에 입력하는 PWM신호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23a는 레버(413b)의 저속변위 때, 도 23b는 레버(413b)의 극저속변위 때의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13b)가 통상의 저속도(VL20)로 변위하고 있는 때에 있어서는, 소정의 듀티비(duty ratio)를 가지는 펄스신호로 이루어지는 PWM신호가 연속적으로 모터(436)에 입력되고, 마사지 기구(406)는 이것에 대응하는 일정 속도로 변위한다. 한편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13b)가 극히 저속도(VL21)로 변위하고 있는 때에 있어서는 상기 펄스신호의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이 루어지는 펄스열신호가 주기적(간헐적)으로 모터(436)에 입력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펄스신호의 듀티비를 모터(436)를 기동 가능한 최저한의 값으로 설정한 경우이더라도 상기 듀티비의 펄스신호로 이루어지는 PWM신호를 연속적으로 모터(436)에 입력하면, 마사지 기구(406)의 실제 변위속도가 목표변위속도를 초과해버리는 적이 있다. 이 현상은, 모터(436)의 기동 토크(torque)가 정상 때에 있어서의 구동 토크를 상회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그리고 이 경우, 마사지 기구(406)는 실제 위치가 목표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일단 정지하지만, 레버(413b)가 변위중이기 때문에 시간간격을 두고 다시 기동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마사지 기구(406)가 간헐적인 동작을 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레버(413b)의 극저속 때에 있어서 마사지 기구(406)의 간헐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즉 모터(436)에 입력되는 펄스신호는 적어도 해당 모터(436)의 기동에 필요한 최저한의 토크를 확보할 수 있는 듀티비(a/b)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특징적인 모터(436)의 구동제어는 해당 모터(436)의 기동 토크보다도 마사지 기구(406)의 목표변위속도를 유지하는 모터(436)의 구동 토크가 작은 경우에 행하여지고, 상기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의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펄스열신호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간헐적으로 구동회로(431)(도 16 참조)로부터 발생된다(도 23 참조). 여기서, 소정의 시간간격이란, 한 개의 펄스열신호에 의해 동작한 마사지 기구(406)가 정지하기 전에 다음의 한 개의 펄스열신호가 모터(436)에 입력되는 것과 같은 시간간격이고 또한 각각의 펄스신호 사이의 시간간격보다도 긴 시간간격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마사지 기구(406)를 구동하는 모터(436)의 기동 토크를 확보하면서 마사지 기구(406)가 변위하는 속도를 극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레버(413b)가 극저속도로 변위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마사지 기구(406)의 간헐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피시료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실시형태3)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동(同) 의자형 마사지기의 마사지 기구의 이동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가 가지는 조작구의 일 예로서 조이스틱을 예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가 이용된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3에서는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착석한 피시료자로부터 바라본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좌우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전측은 착석한 피시료자의 전방, 좌측은 동 피시료자의 좌방, 우측은 동(同) 피시료자의 우방을 말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501)는 좌부(502), 등받이부(503), 풋 레스트(504)(다리 재치대) 및 팔걸이부(50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좌부(502)는 기대(51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기대(518)는 양측에 설치된 다리부(518a)에 의해 바닥 위에 지지되어 있다. 또 팔걸이부(505)의 근처에 리모트 콘트롤장치(콘트롤러)(5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모트 콘트롤장치(506)에는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 되어 있다. 또한 519는 기대(518)에 설치된 제어장치이다.
상기 좌부(502)의 후부(後部)에 설치된 등받이부(503)는 그 전면에서 볼 때 세로가 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좌부(502)의 후부 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510)에 의해 상기 기대(518)에 지지되어 있다. 등받이부(503)는 이 지지축(510)을 중심으로 회동(回動)하고, 전후로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등받이부(503)의 내부에, 착석한 피시료자의 등(背部) 측에 자극을 주는 시료자(508)를 구비한 마사지 기구(5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사지 기구(507)는 피시료자의 신체에 기계적 자극을 주는 복수개(도 24에서는 좌우 각 1개이고 합계 2개)의 롤러 형상의 시료자(508)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시료자(508)는 마사지 기구(507)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좌우의 아암(arm)(509)의 선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509)은 마사지 기구(507)에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 시료자(508)에 주무름 동작 및 두드림 동작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아암(509)에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5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바이브레이터(511)로 시료자(508)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마사지 기구(507)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503)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레일(rail)(512) 상을 가이드 롤러(guide roller)(513a)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승강대(513)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시료자(508)를 구비한 마사지 기구(507)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5와 같이, 마사지 기구(507)는 승강대(513)의 지지점(513b)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시료자(508)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풋 레스트(504)는, 상단이 좌부(502)의 전단 하부에 설치된 지지축(514)에 지지되어, 하단이 기대(518) 측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풋 레스트(504)의 하단을 전방으로 기울여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풋 레스트(504)의 하단은 지지축(514)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예를 들면 슬라이드(slide)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풋 레스트(504)는 지지축(514)으로부터 풋 레스트(504)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풋 레스트(504)의 하단부에는 피시료자의 발바닥부에 시료효과를 줄 수 있는 시료수단, 예를 들면 진동을 주고 시료하는 도시하지 않은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좌부(502)에는 넓적다리부나 엉덩이부를 압박하도록 팽창/수축이 가능한 공기주머니(515)가 설치되고, 풋 레스트(504)에는 장딴지부를 압박하도록 팽창/수축이 가능한 공기주머니(516)와, 발 부위를 압박하도록 팽창/수축 가능한 공기주머니(5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공기주머니(515),(516),(517)를 설치하는 구성은 일 예이고, 개수나 배치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도 26a, b는 도 24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의 조작구의 일 예인 조이스틱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6a는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6b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동(同) 조이스틱의 내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520)에는 팔걸이부(505)에 설치된 지지축(5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522)와, 이 가이드 부재(522)에 가이 드 롤러(523a)로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조이스틱 본체(5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이스틱 본체(523)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522)의 상부에 설치된 높이가 다른 접촉판(522a),(522b)에 접촉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524),(5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는 조이스틱 본체(523)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이고, 리미트 스위치(524)가 접촉판(522a)에 접촉하고 있다. 도 27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는 조이스틱 본체(523)가 상단에 위치한 상태로서, 리미트 스위치(525)가 접촉판(522b)에 접촉하고 있다. 도 27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는 조이스틱 본체(523)의 중립위치이다. 이들 리미트 스위치(524),(525)에 의해 조이스틱 본체(523)의 승강동작의 상단과 하단이 검출되고 있다. 또한 이들 리미트 스위치(524),(525)를 대신하여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로 승강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는 조이스틱(520)을 최대로 전방 경사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부재(522)의 하단에는 이 가이드 부재(52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반원 형상의 기어(5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526)는 팔걸이부(505)에 설치된 포텐시오미터(527)의 피니언 기어(527a)와 맞물려있다. 이 포텐시오미터(527)에 의해 조이스틱(520)의 회동각이 검출되고 있다.
아울러 조이스틱 본체(523)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원형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5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3에서는 도 26a에 나타내는 우측에 주무름 스피드 콘트롤(speed control) 부재(528)가, 좌측에 두드림 스피드 콘트롤 부재(52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529)의 회 동량은 포텐시오미터(528a),(529a)에 의해 각각 검출되고 있다. 또한 이들 포텐시오미터(528a),(529a)를 대신하여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로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3에서는 조이스틱 본체(523)의 전면(前面)에 조이스틱 본체(523)를 쥐는 손으로 리클라이닝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0),(5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0),(531)는 예를 들면 집게손가락과 중지(中指)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경우, 도시하는 상측의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0)를 집게손가락으로 조작하면 등받이부(503)(도 24)가 일어섬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가 하강하고, 하측의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1)를 중지로 조작하면 등받이부(503)(도 24)가 넘어짐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가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측의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0)의 조작에 의한 리클라이닝 동작과, 하측의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1)의 조작에 의한 리클라이닝 동작은 반대로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이 조이스틱 본체(523)의 피시료자측(후측) 상부에는 엘이디(LED)(5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엘이디(LED)(532)는 조이스틱(520)이 예를 들면 전원을 온(ON) 조작한 때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중립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점멸하고, 마사지기를 동작시키기 전에 피시료자에 대하여 조이스틱(520)을 중립위치로 되돌리도록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것이다. 조이스틱(520)을 중립위치로 되돌리면 LED(532)가 평상시 점등상태로 변화하고, 피시료자에게 조이스틱(52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알린다. 이 조이스틱(520)의 중립위치의 검출은 상기 포텐시오미터(527) 등으로부 터의 신호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조이스틱(520)을 중립위치로 되돌리도록 재촉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원을 온(ON) 조작한 때에 조이스틱(520)이 중립위치에 없는 경우는 그것을 검지하고「조이스틱을 중립위치까지 되돌려주십시오」등의 음성 안내가 흘러나오도록 하여도 좋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조작장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지만, 피시료자의 조작하기 쉬움을 고려하면 좌우 어느 쪽의 팔걸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28은 도 24에 나타내는 우측의 팔걸이부에 설치한 예이고, 지면(紙面) 상부가 마사지기에 대하여 전측, 지면 하부가 후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조작장치의 제어회로와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505)에 설치된 조작장치(533)의 조작 패널(panel)(534)(서브 리모트 콘트롤러)(sub remote controller)에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535~5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개의 스위치(535~546) 의 각 기능을 이하 설명한다. 또한 스위치(537~541)는 시료동작을 선택하는 시료동작 스위치이고, 스위치(542~546)는 조작 이력을 기록하는 기록수단의 구성 요소인 위치이다.
우선 도 28에 있어서, 스위치(535)는 조이스틱(520)과 각 시료동작 스위치(537~541)의 조합 조작에 따라 피시료자에 의한 임의의 시료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 선택 코스(course) 스위치(535)이다. 이 자유 선택 코스 위치(535)를 조작함으 로써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의한 조작 모드(mode)로부터 조작장치(533)(조이스틱(520) 및 조작 패널(534))에 의한 조작도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조작 패널(534)에는 리클라이닝 스위치(5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클라이닝 스위치(536)는 후측을 누르면 등받이부(503)가 뒤로 넘어짐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가 상승하고, 전측을 누르면 등받이부(503)가 앞으로 일어섬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가 하강한다.
그리고 이 리클라이닝 스위치(536)와 상기 조이스틱(520)의 후측에는 상기한 복수개의 스위치(537~546)가 횡방향으로 병설되고 전후 2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단의 시료동작 스위치(537~541) 중 도시하는 우단에 설치된 부분 롤러 스위치(537)는 이것을 누름으로써 피시료자의 등부(背部), 예를 들면 등(背)의 일부분에서 시료자(508)(도 25)가 상하방향으로 롤링(rolling)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부분 롤러 스위치(537)의 왼쪽 옆의 배근(背筋) 롤러 스위치(538)는 이것을 누름으로써 피시료자의 등부(背部) 전체, 예를 들면 등(背)의 전체에서 시료자(508)(도 25)가 상하방향으로 롤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배근 롤러 스위치(538)의 왼쪽 옆에는 이것을 누름으로써 시료자(508)에 의한 주무름 동작 방향을 역전시키는 주무름 역전 스위치(53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8의 좌단의 기(技) 주무름-1 스위치(540)는 이것을 누름으로써 시료자(508)(도 25)에 의한「주무름」동작을 소정의 패턴(pattern)으로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주무름」동작을 3회 빠르게 행한 후 1회 느리게 행하는 것과 같은 패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기 주무름-1 스위치(540)의 오른쪽 옆의 기 주무름-2 스위치(541)는 이것을 누름으로써 시료자(508)가 실행하는「주무름」동작의 다른 패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후단의 기록수단의 구성 요소인 스위치(542~546)는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메모리-1 스위치(542), 메모리-2 스위치(543), 메모리-3 스위치(544)가 설치되고, 좌측에는 기록 스위치(545)와 재생/정지 스위치(5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8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534)(즉 스위치(537~546))과 조이스틱(520)은 조이스틱 제어부(547)에 접속되어 있고, 조이스틱(520)으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조이스틱 제어부(547)에 입력되고, 조작 패널(534)(도 28)로부터의 조작신호도 마찬가지로 조이스틱 제어부(547)에 입력된다. 이 조이스틱 제어부(547)의 신호는, 제어장치(519)의 주 제어부(549)에 입력되고, 여기서 의자형 마사지기(50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설치된 메인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도 24)를 조작함으로써 리모트 콘트롤러 제어부(548)에 입력된 신호도 제어장치(519)(도 24)의 주 제어부(549)에 입력되고, 여기서 의자형 마사지기(50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또 주 제어부(549)로부터는 조이스틱 제어부(547) 및 리모트 콘트롤러 제어부(548)에 대하여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이 경우, 조작장치(533)(조이스틱(520) 및 조작 패널(534))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조이스틱 제어부(547) 및 주 제어부(549)를 통하여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도 24)에 송신됨으로써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설치된 표시부에 조작장치(533)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른 표시를 시킬 수도 있다.
이들 제어부(547~549)는 일반적으로는 시피유(CPU), 롬(ROM), 램(RA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주 제어부(549)는 많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플래시(flash) 메모리,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조작장치(533)에 의한 조작동작의 예를 이하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조합은 일 예이고, 다른 조합이라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적절히 이용하는 도 24~도 27에 나타내는 구성에는 도 24~도 27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8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534)의 전단의 시료동작 스위치(부분 롤러 스위치(537), 배근 롤러 스위치(538), 주무름 역전 스위치(539), 기 주무름-1 스위치(540), 기 주무름-2 스위치(541))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여기서는 부분 롤러 스위치(537)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부분 롤러 스위치(537)를 선택하여 시료자(508)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조이스틱(520)을 상방으로 조작하면, 상기 범위의 중심점이 위로 이동하고, 시료하고 싶은 부분을 포함하도록 시료자(508)의 이동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시료동작 때에 조이스틱(520)을 하방으로 조작하면 시료자(508)가 이동하고 있는 범위의 중심점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을 조이스틱(520)으로 행하므로 피시료자의 직감에 의해 스무스(smooth)하게 시료자(508) 의 중심점을 바꾸어「주무름」위치를 바꿀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으로, 배근 롤러 스위치(538)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근 롤러 스위치(538)를 선택하여 시료자(508)가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조이스틱(520)을 상방으로 조작하면, 시료자(508)의 이동방향이 반전하고, 시료자(508)가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된다. 반대로, 시료자(508)가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조이스틱(520)을 하방으로 조작하면, 시료자(508)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변경된다.
또 시료자(508)가 상방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조이스틱(520)을 앞으로 경사시키면 상기 마사지 기구(513)가 피시료자측으로 전진하고, 시료자(508)가 피시료자측으로 밀어내어져 시료자(508)에 의한 누름을 강화함으로써 주무름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조이스틱(520)을 뒤로 경사시키면 마사지 기구(513)와 동시에 시료자(508)가 피시료자측으로부터 후퇴하고 시료자(508)에 의한 누름을 약화함으로써 주무름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을 조이스틱(520)으로 행하므로 피시료자의 직감에 의해 스무스하게 시료자(508)의 방향 및 누름 강도를 바꿈으로써「주무름」방향 및 강도를 바꿀 수 있다.
(실시예3)
다음으로, 스피드 콘트롤(speed control) 부재(528),(529)(도 26, 도 27)에 의한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이스틱 본체(523)의 상면에 설치된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52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무름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의 조작에 따라 시료자(508)에 의한 주무름 스피드를 콘트롤하고, 두드림 스피드 콘트롤 부재(529)의 조작에 따라 시료자(508)에 의한 두드림 스피드를 콘트롤한다. 스피드 콘트롤 부재는 조이스틱 본체(523)를 중립위치에 유지한 채이라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이스틱 본체(523)를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라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 시료자(508)의 동작속도를 콘트롤할 수 있다. 이 조작도 피시료자의 직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스무스하게「주무름」「두드림」의 스피드를 바꿀 수 있다.
(실시예4)
다음으로, 기 주무름 스위치(540),(541)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 주무름-1 스위치(540) 및 기 주무름-2 스위치(541)는 상기 배근 롤러 스위치(538)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 또는 부분 롤러 스위치(537)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과 마찬가지로, 기 주무름-1 또는 기 주무름-2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료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조이스틱 본체(523)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시료자(508)가 상승하고, 조이스틱 본체(523)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시료자(508)가 전방으로 나와서 강하게 시료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조이스틱(520)을 사용하여 피시료자의 직감에 따라 스무스하게「주무름」위치를 바꿀 수 있다.
(실시예5)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에 의한 조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기초하여 도 28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534) 후단의 스위치(메모리-1 스위치(542), 메모리-2 스위치(543), 메모리-3 스위치(544), 기록 스위치(545), 재생/정지 스위치(546))와 조이스틱(520)의 조합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1 스위치(542), 메모리-2 스위치(543), 메모리-3 스위치(544)를 조작(누름)함으로써 상기 제어부(547) 또는 주 제어부(549)의 기록부(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이고 기록수단의 구성요소이다)의 소정 영역에 조작이력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이들 메모리-1 스위치(542), 메모리-2 스위치(543), 메모리-3 스위치(544)는 어느 것이나 동일한 기능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메모리-1 스위치(542)를 예로 설명한다.
도 30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선택으로서 메모리-1 스위치(542)를 선택한 후 기록 스위치(545)를 선택하여 기록을 개시한다. 그 후 피시료자가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행하도록 조이스틱(520) 등이 조작된다. 그리고 재생/정지 스위치(546)를 조작하여 기록을 정지하는지 메모리의 최대기록시간(예를 들면 5분)에 도달할 때까지 시료동작의 이력이 기록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1 스위치(542)~메모리-3 스위치(544)에의 시료동작 이력의 기록은 서로 독립하여 행할 수 있다. 또 이것들의 기록부에의 시료동작이력 데이터의 덮어쓰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메모리-1 스위치(542)에 의해 기록한 시료동작의 이력은 도 30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 스위치(542)를 조작한 후(누름으로써 선택한 후) 재생/정지 스위치(546)를 조작하여 재생함으로써 실행된다. 메모리-1 스 위치(542)~메모리-3 스위치(544)에 의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시료동작이력은 예를 들면 최장 5분간이고, 기록한 시료동작은 예를 들면 최장 15분만 재생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5분간의 시료조작이력이 기록된 메모리-1 스위치(542)의 조작 후, 재생/정지 스위치(546)를 조작한 경우, 메모리-1 스위치(542)에 기록된 시료동작이력에 대응하는 시료동작이 3회 반복 실행된다(5분X3회=15분). 또한 이 시간 배분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예를 들면 3분의 시료조작이력의 경우는 최대 5회 반복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3분X5회=15분).
(실시예6)
도 31a 및 도 31b는 도 28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에 의한 다른 조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조작 예는 상기 기록부에 기록한 시료동작이력의 재설정을 행하는 일 예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메모리-1 스위치(542)에 의해 기록된 시료동작이력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1 스위치(542)에 기록된 시료동작이력을 최장 5분으로 하고, 이 5분의 시료동작이력이 예를 들면 A(배근 누름), B(허리부분 주무름), C(배근 상하), D(허리 누름), E(어깨부분 주무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시료동작이력을 재설정하는 일 예로서는 A(배근 누름), B(배근 상하), C(배근 상하), D(허리 누름), E(어개부분 주무름)의 순서로 시료동작을 행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이 시료동작의 재설정작업은 예를 들면 시료동작이력을 재생하면서 그때마다 불필요한 구성을 삭제하는 조작 또는 반복조작을 행하거나 도 24에 나타내는 메모리 콘트롤 장 치(506)의 표시부에 예를 들면 도 31과 같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상태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료동작 스위치(537~541)와 조이스틱(520)에 의한 조작 예는 일 예이고, 또 시료동작 스위치(537~541)의 기능도 일 예이고, 이것들의 조합이나 시료동작 스위치(537~541)의 기능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또 상기 조작 패널(534)에 설치된 각 스위치의 조작 때에 음성안내를 흘러나오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메모리-1 스위치(542)~메모리-3 스위치(544)의 조작 때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면「이미 등록되어 있습니다. 덮어쓰겠습니까」 등의 안내가 흘러나오고, 상기 기록 스위치(545), 재생/정지 스위치(546)의 조작 때에는 다음에 어느 스위치를 조작하면 좋은지에 관하여 음성안내가 흘러나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음성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의 표시부에 표시하여도 좋다. 이것들의 기능은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제어장치(519)에 기능을 부가하면 좋다.
(실시형태4)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의 일 예로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예로 하여 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를 우측의 팔걸이부에 설치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4에서의 방향 개념은 상기한 실시형태3에서 이용한 방향 개념과 일하는 것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형 마사지기(601)는 좌부(502), 등받이부(503), 풋 레스트(504)(다리 재치대)를 구비하고, 이것들은 상기한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501)가 구비하는 같은 부호의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4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4에 따른 도 32에 나타낸 구성 중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부호가 부여된 부분의 구성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4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601)는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것과는 다른 구성의 팔걸이부(605)를 좌우에 구비하고, 더욱이 우측에 배치된 팔걸이부(605)에는 실시형태3에 따른 조작장치(533)와는 구성이 다른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4에 있어서는 기대(518)를 바닥 위에 지지하는 다리부(518a)는 기대(518)에 포함되는 구성물인 것으로 한다.
도 33은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에 설치된 조이스틱(620)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 조이스틱(620)에 관해서도 그 많은 구성은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7에 나타낸 조이스틱(520)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는 공통하는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주로 서로 다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이스틱(620)은 측면에서 볼 때 상면이 원호상(圓弧狀)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635)의 지지축(621)에 회동 가 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622)와, 이 가이드 부재(622)에 가이드 롤러(523a)로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조이스틱 본체(62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22)의 하부에는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부채꼴 기어(6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채꼴 기어(626)는 베이스 부재(635) 측에 설치된 포텐시오미터(627)의 피니언 기어(627a)와 맞물려 있다. 이 포텐시오미터(627)에 의해 조이스틱(620)의 회동각이 검출되고 있다.
조이스틱 본체(623)는 그 하부가 베이스 부재(635)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원호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7에 나타낸 조이스틱 본체(523)와 동일한 구성이고, 또 서로의 내부 구성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4에 따른 조이스틱(620)의 외관 구성은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6에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4에 따른 조이스틱(620)에도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529), 리클라이닝 조작 스위치(530),(531) 및 엘이디(LED)(532)가 구비되어 있다(도 26 참조).
도 34는 도 32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601)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를 조작위치에 배치한 상태의 팔걸이부(605)의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35는 동(同) 의자형 마사지기(601)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를 수납한 상태의 팔걸이부(605)의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상기 조이스틱(620)을, 조작 때의 형태로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하고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는 팔걸이부(605)의 전 측(前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에는 조이스틱(6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이스틱(620)은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설치된 요동 아암(636)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아암(636)은, 후부가 팔걸이부(605)에 지지축(637)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 아암(636)은 지지위치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전단측이 상하방향으로 요동하고, 조이스틱(620)을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605)의 조작위치에 배치한 상태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620)을 조작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요동 아암(636)에 설치된 지지 핀(pin)(638)이 팔걸이부(605)에 유지축(639a)으로 축 지지된 스토퍼(stopper)(639)의 계지부(639b)에 의해 걸림 지지되어, 조이스틱(620)을 조작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4에서는 메카(mecha)식 스토퍼(639)로 요동 아암(636)의 위치 유지를 도모하고 있다. 이 스토퍼(639)는 후술하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축(639a)의 위치에서 레버 일부(639c)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버 일부(639c)는 그 단부가 팔걸이부(605)의 외부에 설치된 록(lock) 해제 레버(654)와 연결되고, 이 록 해제 레버(654)를 피시료자가 외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스토퍼(639)가 레버 일부(639c)와 동시에 유지축(639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도 34의 이점쇄선 참조), 계지부(639b)에 의한 지지 핀(638)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조이스틱(620)을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시키거나 상기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 본체(623)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스피드 콘트롤 부재(528),(529)(도 26도 참조)를 회동 조작시킬 수 있다. 참조부호 634는 조이스틱(620)의 근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이다.
또 도 34에 도시한 상태는 팔걸이부(605)에 설치된 지지판(605a)(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에 지지된 공기주머니(640)에 의해 요동 아암(636)을 상향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이스틱(620)을 후술하는 도 35의 상태에서부터 팔걸이부(605)의 조작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요동 아암(636)의 하부와 팔걸이부(605)의 지지판(605a) 사이에 에어(air) 구동수단인 공기주머니(640)를 설치하고 있다. 이 공기주머니(640)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요동 아암(636)의 선단이 상승하여 조이스틱(620)을 조작위치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요동 아암(636)을 에어 구동수단으로 구동함으로써 구동 중에 조이스틱(620)에 불의(不意)로 외력이 더해지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그 충격을 압축성 유체가 들어있는 공기주머니(640)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요동 아암(636)의 선단측을 상향 요동시킬 때에 요동 아암(636)의 지지축(637) 근처에 형성한 가이드부(636a)가 지지판(605a)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요동 아암(636)의 요동 때에 폭방향(지면(紙面) 직각방향)으로의 덜거덕거림이 없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참조부호 641은 공기주머니(6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배관이다.
아울러 상기 요동 아암(636)의 지지축(637)보다도 후단측(도시하는 우측)의 부분에는 요동 아암(636)의 요동각을 검출하기 위한 부채꼴 기어(642)가 요동 아암(636)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해당 부채꼴 기어(642)의 후방 근처에는 포텐시오 미터(643)가 설치되어 있다. 부채꼴 기어(642)는 요동 아암(636)의 요동 때에 지지축(637)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아암(636)과 상하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팔걸이부(605)에 설치된 포텐시오미터(643)의 피니언 기어(643a)와 맞물려있다. 포텐시오미터(643)는 검출수단이고, 이 포텐시오미터(643)에 의해 요동 아암(636)의 요동각이 검출되고 있다. 이 요동 아암(636)의 각도로부터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의 수납 및 배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가 설치된 팔걸이부(605)의 하부에는 조이스틱(620)을 수납하는 스페이스(space)를 형성하는 수납부(650)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650)의 하단에는 개구(65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650a)에서 수납부(650)와 다리부(518a)(도 32 참조)가 연통하고 있다. 이 수납부(650)의 하단에 설치된 개구(650a)를 통하여 팔걸이부(605)에 설치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와, 기대(518)에 설치된 제어장치(519)(도 32 참조) 사이에서 신호전달이나 상기 공기주머니(640)로의 에어 공급이 행해진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이스틱(620)은 도 34에 나타내는 조작장치에 배치된 조작 때의 형태(자세) 그대로 상기 수납부(650)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상태가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이고, 이 실시형태4에서는 조이스틱(620)을 설치한 요동 아암(636)의 전단측을 하향 요동시킴으로써 조이스틱(620)을 수납부(650)에 수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조이스틱(620)을 수납부(650)에 수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조이스틱(620)의 자중(自重)에 의한 하향의 힘과, 상기 공기주머니(640)의 댐퍼(damper) 효과에 의해 느리게 수납부(650)에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4에 있어서 조이스틱(620)의 구체적인 수납조작으로서는 피시료자가 팔걸이부(605)의 외부에 설치된 록 해제 레버(654)를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작뿐이고, 이 조작을 행하면, 팔걸이부(605)에 유지축(639a)으로 축지된 스토퍼(639)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스토퍼(639)에 의한 지지 핀(638)의 걸림이 해제되고, 조이스틱(620)의 자중에 의해 요동 아암(636)의 선단부가 하향 요동하고, 조이스틱(620)이 수납부(65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때, 요동 아암(636)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주머니(640) 내의 에어가 배출되어서 댐퍼 효과를 발휘한다. 이로써 조이스틱(620)을 수납부(650)의 내부에 느리게 수납할 수 있다. 이들 요동 아암(636)과 공기주머니(640)를 주 구성으로 하여 조이스틱(620)을 수납부(650)에 수납하기 위한 구성이 수납기구이다.
이 조이스틱(620)의 수납 때에도 요동 아암(636)의 가이드부(636a)가 지지판(605a)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요동한다. 또 상기 부채꼴 기어(642)에 설치된 안내 핀(642a)이 브래킷(649)의 가이드 홈(649a)에 가이드 되면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636a) 및 핀(642a)에 의해 요동 아암(636)은 적절하게 요동할 수 있다.
한편 수납 때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의 상방에는 덮개부재(644)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재(644)는 조작장치(633)의 상부를 덮고 평탄한 팔걸이부(605)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부재(644)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기구(645)가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기구(645)의 일부 구성이고 덮개부재(644)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와이어(wire)(646)와, 이 와이어(646)의 연장 설치 방향 전환용으로 팔걸이부(605)에 설치된 2개의 도르래(647)가 요동 아암(636)보다도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와이어(646)의 반(反)덮개측 단부(도 34 및 도 35에서는 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 권취부재(648)가 상기 부채꼴 기어(642)의 측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와이어 권취부재(648)는 상기 지지축(637)에 지지된 브래킷(649)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649)에는 상기 부채꼴 기어(642)에 설치된 안내 핀(642a)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649a)이 지지축(63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36은 도 32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601)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의 수용 때에 상방으로 설치된 덮개부재를 개방시키는 개방기구를 나타내는 팔걸이부(605)의 투시사시도이다. 도 37a~도 37d는 도 36에 나타내는 개방기구에 의해 덮개부재(644)가 개방되는 흐름과 조이스틱이 조작위치에 배치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과 상기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의 상부에는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한 때에 조작장치(633)의 상방을 덮는 덮개부재(6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부재(644)는 팔걸이부(605)에 설치된 조작장치(633)의 상방을 덮은 상태의 때에 팔걸이부(605)의 상면이 거의 평판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재(644)는 팔걸이부(605)의 좌우방향 내측(좌부(502) 측)으로부터 좌 우방향 외측을 향하여 회동시킴으로써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덮개부재(644)의 외측단부가 팔걸이부(605)에 회동축(651)으로 축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축(651)은 팔걸이부(605)의 외측에 설치된 축 유지부(651a)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이 축 유지부(651a)의 내부에는 각각 회동축(651)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6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부재(64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부재(644)를 소정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후에는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개방기구(645)가 조립되어 있다. 이 개방기구(645)는 상기 회동축(651)에 설치된 스프링(652)과, 회동축(651)이 회동함으로써 권취되는 와이어(646)와, 도르래(647)를 통하여 이 와이어(646)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고 있는 와이어 권취부재(648)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재(644)를 지지하고 있는 회동축(651)에는 스프링(652)이 삽입되어 있고, 이 스프링(652)의 단부가, 일측은 팔걸이부(605) 측에 일측은 덮개부재(644) 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 스프링(652)의 탄성력은 항상 덮개부재(644)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고 있다. 한편 회동축(651)에는 상기 와이어(646)에 의해 덮개부재(644)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덮개부재(644)는 피시료자가 덮개부재(644)의 개방 조작을 행하면, 스프링(652)에 의해 덮개부재(644)가 개방되지만, 와이어(646)에 의한 소정의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느린 개방 동작으로 된다. 그 개방동작의 흐름으로서는 도 3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644)가 닫힌 상태에서는 팔걸이부(605)의 상면은 평탄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7b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덮개부재(644)를 개방시키면 소정 각도까지 덮개부재(644)가 개방된 것을 센서(sensor)(653)(도 34 및 도 35에 도시함)가 감지하여,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머니(640)에 에어가 공급되고 요동 아암(636)의 선단측이 상향 요동된다. 이로써 조이스틱(620)이 수납부(6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요동 아암(636)의 회동각은 포텐시오미터(643)로 검출되고 있다. 그 후, 도 3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재(644)가 더 개방됨과 동시에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636)의 상향 회동에 의해 조이스틱(620)이 팔걸이부(605)의 내부로부터 조작위치로 향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도 3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재(644)가 팔걸이부(605)의 외측까지 회동되고,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도 34에 나타내는 공기주머니(640)에 에어가 공급된다. 이 공기주머니(640)에 공급된 에어로 상향 요동되는 요동 아암(636)의 각도는 포텐시오미터(643)에 의해 검출되어 있고, 그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주머니(640)에의 에어 공급이 정지된다. 도 37d의 상태가 조이스틱(620)의 조작위치에의 배치가 완료한 상태이다.
또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605)의 상부이고, 닫힌 상태의 덮개부재(644)의 하방위치에는 사각형의 개구(60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605b)는 수용부(650)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있고, 이 개구(605b)를 통하여 조이스틱(620)은 외부로 돌출하고 또는 수용부(650)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644)의 개방조작에 연동하여 덮개부재(644)가 느리게 완전 개방 위치까지 개방됨과 동시에 요동 아암(636)의 요동에 의해 팔걸이부(605)의 수납부(650)로부터 조이스틱(620)이 돌출하여 조작위치로 배치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폐쇄상태의 덮개부재(644)를 소정 각도까지 수동으로 개방하는 조작이, 조작장치(633)를 조작위치에 배치하는 배치조작이고, 이로써 덮개부재(644)는 와이어(646)와 스프링(652)의 힘 관계에 의해 느리게 개방됨과 동시에 덮개부재(644)의 개방동작을 센서(653)가 검출하고, 공기주머니(640)에 에어가 공급되고 요동 아암(636)이 상향 요동되고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배치될 때가지 상승되는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센서(653)로서는 근접 스위치나 광(光)센서 등이 이용되고, 덮개부재(644)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의자형 마사지기(601)의 조작장치(633)에 의하면, 조이스틱(620)의 조작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이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조작 때의 형태로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팔걸이부(605)의 상부를 덮개부재(644)로 평탄하게 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시료를 행할 수 있다. 또 조이스틱(620)이 필요한 때에는 피시료자가 덮개부재(644)를 개방시키는 초동 조작을 행함으로써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덮개부재(644)가 개방됨과 동시에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의 내부로부터 조작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이와 같이 피시료자가 조이스틱(620)(조작장치(633))을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면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피시료자가 조이스틱(620)에 의한 시료동작을 원할 때에는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의 내부로부터 조작위치에 배치하고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이스틱(620)을 조작 때의 형태로 수납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조 이스틱(620)의 구성에 큰 덜거덕거림 등을 발생시킴 없이 항상 안정한 조작감으로 조이스틱(620)을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조이스틱(620)을 조작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이 조이스틱(620)의 조작이 우선되고, 조이스틱(620)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의한 조작이 우선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조이스틱(620)의 조작을 우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거나 조이스틱(620)의 조작을 우선시키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조이스틱(620)의 조작이 우선되도록 바꿀 수 있다.
또 상기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이와 같은 조이스틱(620)의 조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하여 표시하거나, 이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조이스틱(620)의 수납 및 배치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를 배치 및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의 다른 구성에 관하여 도 34에 나타낸 기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5~도 4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5 및 도 46 내의 부호 중 이미 이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것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이루든지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것들의 구성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45는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를 수납한 상태의 팔걸이부(605)(도 32 참조) 내의 수납기구(680)의 구성을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가 가지는 조이스틱(620)은 도 34 및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대략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요동 아암(636)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해당 요동 아암(636)은 후단부가 지지축(637)에 의해 팔걸이부(60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요동 아암(636)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지지 핀(638)이 측방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5에 나타내는 수납기구(680)에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스토퍼(639) 대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엘(L)자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6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토퍼(660)는 요동축(660a)에 의해 팔걸이부(605)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굴곡부(660b)와, 해당 굴곡부(660b)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연장하는 봉(棒) 형상의 후방 연설부(660c)와, 굴곡부(660b)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배면에 상기 지지 핀(638)이 접촉하는 봉 형상의 하방 연설부(660d)를 가지고 있다. 하방 연설부(660d)의 부착부분의 후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절결된 계지부(66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660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동 아암(636)이 지지축(637)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요동하고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있을 때에 요동 아암(636)의 지지 핀(638)을 걸림 지지하는 것이고, 이로써 조이스틱(620)의 조작위치가 유지된다.
스토퍼(660)의 후방 연설부(660c)의 외측방으로는 전후방향을 따른 축심을 가지는 요동축(663a)에 의해 팔걸이부(60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6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663)는 요동축(663a)으로부터 대략 내측방으로 연장하는 봉 형상의 측방 연설부(663b)와, 요동축(663a)으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하는 봉 형상의 상방 연설부(663c)를 가지고 있다. 또 측방 연설부(663b)의 선단에는 구(球) 형상을 이루고 스토퍼(660)의 후방 연설부(660c)의 후단부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구(663d)가 설치되어 있다.
팔걸이부(605)의 상부에는 조이스틱(620)이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된 상태로 해당 조이스틱(620)의 상방을 덮는 덮개부재(644)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덮개부재(64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동축(651)에 의해 지지되고, 해당 회동축(651)은 팔걸이부(60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4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덮개부재(644)에는 도 3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개방기구(645)가 조립되어 있어, 덮개부재(644)를 소정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그 후에는 느린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회동축(651)의 후부에는 해당 회동축(651)과 일체적으로 캠(cam)(6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665)은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축심이 회동축(651)의 축심과 일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외주부의 일부분이 절삭되어 평탄부(66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665)에 있어서, 평탄부(665a)와 동일한 둘레 상에 있는 곡면 형상의 곡면부(665b)에는 상기한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가 접촉되어 있다. 또 캠(665)의 외측 둘레는 통 형상의 커버(668)로 덮여져 있고, 해당 커버(668)의 외주부에는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돌설부(668a)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이스틱형 조작장치(633)의 수납기구(680)에서는 덮개부재(644)의 개폐에 따라 캠(665)도 회동축(651)과 동시에 회동하고, 이것과 동시에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는 캠(665)의 평탄부(665a) 및 곡면부(665b)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덮개부재(644)가 닫힌 상태로부터 소정의 회동각도 (예를 들면 230°)까지 열리면,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의 접촉 부위는 캠(665)의 곡면부(665b)로부터 평탄부(665a)로 이동하여, 레버(663)는 요동축(663a)을 중심으로 하고 정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도 45 내의 요동축(663a) 주위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레버(663)의 측방 연설부(663b)의 선단에 설치된 접촉구(663d)는 상승하게 된다.
한편 덮개부재(644)를 지지하는 회동축(651)이 회동하면 센서(653)(도 34 참조)에 의해 그 회전각도가 검지된다. 회동축(651)의 회전각도가 소정 값에 도달하면 공기주머니(640)(도 46 참조)에 에어가 공급되어, 최하위 위치에 있었던 요동 아암(636)이 지지축(637)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조이스틱(620)이 상승한다. 여기서 요동 아암(636)이 최하방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요동 아암(636)으로부터 돌설된 지지 핀(638)은 스토퍼(660)의 하방 연설부(660d)의 하부 배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고, 요동 아암(636)의 상방으로의 회동에 따라 지지 핀(638)은 스토퍼(638)의 하방 연설부(660d)를 따라 그 배면 상을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도달하면 지지 핀(638)은 스토퍼(660)의 계지부(660e)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로써 조이스틱(620)은 조작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걸림 지지될 때에 스토퍼(660)는 요동축(660a) 주위로 회동하고 그 후에 걸림 상태가 되면 후방 연설부(660c)는 상방에 위치되고 레버(663)의 접촉구(663d)가 후방 연설부(660c)의 후단부 상면에 접촉한다(도 46a 참조).
다음으로,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할 때의 수납기구(680)의 동작에 관하여 도 46a 내지 도 46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45에 도시한 조이스틱(620)은 피시료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덮개부재(644)를 닫도록 조작하는 것만으로써 조이스틱(620)은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된다. 도 46a는 덮개부재(644)가 최대로 개방되고 조이스틱(620)이 조작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 도 46b는 덮개부재(644)가 약간 닫힌 때의 상태, 그리고 도 46c는 덮개부재(644)가 완전히 닫히고 조이스틱(620)이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각 도 46a~도 46c에 있어서, 우측은 수납기구(680)의 측면도를, 좌측은 수납기구(680)가 가지는 덮개부재(644), 스토퍼(660), 레버(663) 및 캠(665)의 일부 단면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6 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이스틱(620)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주로 동작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4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주머니(640)가 최대로 팽창하고, 덮개부재(644)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본 실시형태에서는 닫힘 상태로부터 260° 회동된 상태)에서는 요동 아암(636)의 지지 핀(638)이 최상방 위치에 있고 스토퍼(660)의 계지부(660e)에 후방으로부터 끼워져 걸림 지지되고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660)의 후방 연설부(660c)의 선단부 상면은 레버(663)의 측방 연설부(663b)의 선단에 설치된 접촉구(663d)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한편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는 커버(668)의 돌설부(668a) 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덮개부재(644)의 회동축(65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캠(665)의 평탄부(665a)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부터 예를 들면 피시료자가 덮개부재(644)를 닫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30°)만큼 회동시키면 레버(663)의 상방 연설부(663c)의 선단부의 접촉 부위가 캠(665)의 평탄부(665a)로부터 곡면부(665b)로 이동하고, 레버(663)는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도 46b 참조). 레버(663)가 회동하면 그 측방 연설부(663b)의 선단의 접촉구(663d)가 스토퍼(660)의 후방 연설부(660c)의 선단부 상면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스토퍼(660)는 요동축(660a) 주위로 회동된다. 그러면 스토퍼(660)의 계지부(660e)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요동 아암(636)의 지지 핀(638)이 계지부(660e)로부터 이탈하여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아울러 덮개부재(644)가 닫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닫힘 동작 때에 지지 핀(638)이 걸림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한 후 약 10초를 경과한 시점에서 공기주머니(640)로부터 에어가 배출된다. 또한 닫힘 동작 때에 덮개부재(644)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에 도달했다고 센서(653)(도 34 참조)에 의해 검지되면 공기주머니(640)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이 배기는 요동 아암(636)으로부터 받는 중력에 의한 자연 배기로 하고 있지만 수납 때에 조이스틱(620)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느린 배기속도로 한다면 펌프에 의한 강제 배기로 하여도 좋다.
공기주머니(640)로부터의 배기가 시작되면, 요동 아암(636)은 지지축(637) 주위로 요동하고 조이스틱(6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여기서, 하강속도를 완화(감소)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요동축(637)에는 적절한 댐퍼(damper)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댐퍼는 도 33에 있어서 나타낸 포텐시오미터(643)의 입력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고, 포텐시오미터(643)를 댐퍼 기능이 부가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또한 도 33에 나타내는 요동 아암(636)에 대해서도 포텐시오미터(643)의 입력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댐퍼를 설치, 혹은 포텐시오미터(643)를 댐퍼 기능이 부가된 구성으로 하고, 요동 아암(636)의 동작속도를 완화(감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공기주머니(640)의 배기구 치수를 작게 하는 등에 의해 배기속도를 감소시켜 조이스틱(520)의 하강속도를 완화(감소)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조이스틱(620)의 하강과 동시에 요동 아암(636)의 지지 핀(638)은 스토퍼(660)의 하방 연설부(660d)의 배면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공기주머니(640)로부터 대략 전체의 에어가 배출되면, 요동 아암(636)은 팔걸이부(605) 내에 설치된 지지판(605a)(도 34 참조)에 접촉하여 정지되고, 지지 핀(638)은 스토퍼(660)의 하방 연설부(660d)의 하단부의 배면에 접촉한 상태(도 45도 참조)로 되고, 조이스틱(620)은 전체가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도 46c 참조).
이와 같이, 상기한 수납기구(680)에 의하면, 피시료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덮개부재(644)를 닫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써 조이스틱(620)을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60)는 지지 핀(638)으로 압박됨으로써 요동축(660a) 주위로 회동하고, 후방 연설부(660c)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레버(663)는 상방 연설부(663c)가 커버(668)의 돌설부(668a) 내에서 회동범위가 제한되고, 그 측방 연설부(663b)는 소정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조이스틱(620)이 수납되면 스토퍼(660)의 후방 연설부(660c)는 레버(663)의 접촉구(663d)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된다(도 46c 참조).
도 47은 상기한 바와 같은 팔걸이부(605)에 있어서 조이스틱(620)의 출입구에 적용할 수 있는 셔터(67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해당 셔터(67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8은 상기 셔터(67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605)의 상면에는 조이스틱(620)의 출입구를 이루는 사각형 개구부(60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이스틱(620)이 팔걸이부(605) 내에 수납되면, 그 정상부는 개구부(605b)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개구부(605b)에 셔터(670)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셔터(670)는 좌우 개방식이고, 전후방향으로 치수가 긴 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는 좌우의 문짝(671),(671)을 가지고 있다. 각 문짝(671)의 전단 및 후단의 외측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축심이 따르는 회전축(6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672)은 팔걸이부(60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문짝(671)의 전단에 설치된 회전축(672)에는 크랭크(crank) 형상으로 연장한 돌출부(672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672a)의 사이에는 코일(coil) 형상의 스프링(67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673)에 의해 상기 회동축(672)은 각 문짝(671)을 닫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각 문짝(671)의 후단에 설치된 회동축(672)의 사이에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작용을 하는 스프링을 설치해도 좋다. 또 좌측 문짝(671)의 상면 우측부와, 우측 문짝(671)의 상면 좌측부에는 각각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파지부(67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파지부(671a)를 잡고 상방으로 조작함으로써 사람 손에 의해 셔터(670)를 개방할 수 있 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셔터(670)는 요동 아암(636)이 상방으로 요동하고 조이스틱(620)이 상승하면, 해당 조이스틱(620)의 정상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각 문짝(671)이 밀어 올리어져 좌우로 개방된다(도 48 참조). 반대로 조이스틱(620)이 하강하면, 스프링(673)의 작용에 의해 좌우 문짝(671)이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조이스틱(620)이 개구부(605b)로부터 하방으로 수납되면 셔터(670)는 완전히 닫힌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개구부(605b)로부터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팔걸이부(605)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7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셔터(670)에 더하여 더스트 슈트(dust chute)(6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스트 슈트(675)는 팔걸이부(605) 내에 있어서 개구부(605b)의 좌우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더스트 슈트(675)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더스트 슈트(675)를 설치함으로써 가령 개구부(605b)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이더라도 팔걸이부(605) 내의 넓은 영역에 흩어지지 않고 소망하는 장소로 이물질을 모을 수 있고, 정비 시 등에 이물질을 회수하기 쉽다.
또한 상기 셔터(670) 대신 조작위치에 있는 조이스틱(620)과 개구부(605b)의 틈을 채우도록 하여 우레탄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조이스틱(620)의 출입구로서, 조작위치에 있는 조이스틱(620)을 개구부(605b)의 개구면에서 절단한 때의 단면 형상보다 작은 개구를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두고, 또한 조이스틱(620)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기 쉽도록 적절히 틈이나 슬릿(slit)을 마련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울러 셔터(670)나 우레탄 대신 개구부(605b)에 스트레치(stretch) 소재를 붙여도 좋다. 이 경우는 개구부(605b)를 덮는 스트레치 소재의 중앙부분에 예를 들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조이스틱(620)이 이 슬릿을 통하여 출입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우레탄이나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한 경우이더라도 개구부(605b)를 통하여 이물질이 팔걸이부(605)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조작장치(633)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고, 다른 기구에 의해 조작장치(633)를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또 상기 조작장치(633)를 팔걸이부(605)의 내부로부터 조작장치에 배치하는 구성도 일 예이고, 팔걸이부(605)의 내부에 수납한 조작장치(633)를 조작 때에 조작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이것들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조이스틱(620)을 수납부(650)에 수납하는 수납조작이나 수납부(650)에 수납한 조이스틱(620)을 조작위치에 배치하는 배치조작도 일 예이고, 다른 방법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은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실시형태5)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본 실시형 태5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9a, b는 동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의 도면으로, 도 39a는 측면도, 도 39b는 그 B-B선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내부 구조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5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는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4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대하여 그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로 바꾸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도 38 및 도 39a, b에 더하여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4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5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있어서, 조작장치(533)를 반드시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5에서의 방향 개념은 상기한 실시형태3에서 사용한 방향 개념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38 및 도 39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5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는 세로가 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치 본체(720)의 배면측의 양측부에 홈(702a)을 마련하고, 피시료자가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의 장치 본체(720)에는 상측에, 의자형 마사지기의 등받이부(503)의 각도와 풋 레스트(504)의 각도와 위치를 각각 조작하는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1),(722),(723)이 설치된 위치 조작부(724)가 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등받이부(503)에 설치된 시료자(508)에 의한 시료동작과 상기 풋 레스트(504)와 좌부(502)에 설치된 공기주머니(515),(516),(517)에 의한 시료동작을 선택하는 선택 버튼(725),(726),(727),(728),(729),(730)이 설치된 시료 위치 조작부(731)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측에 배치된 위치 조작부(724)에는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측면시의 형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등받이부(503)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이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시키는 화살표 형상의 리클라이닝 조작 버튼(721)이 설치되고, 풋 레스트(504)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이 풋 레스트(504)의 각도를 변경하는 화살표 형상의 풋 레스트 조작 버튼(722)과, 이 풋 레스트(504)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살표 형상의 풋 슬라이드(foot slide) 조작 버튼(72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조작 버튼(721),(722),(723)을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리클라이닝 조작 버튼(721)은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1a)을 누르면 등받이부(503)가 일어섬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내려가고,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1b)을 누르면 등받이부(503)가 넘어짐과 동시에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전방을 향하여 올라간다. 풋 레스트 조작 버튼(722)은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2a)을 누르면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전방을 향하여 올라가고,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2b)을 누르면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내려간다. 풋 슬라이드 조작 버튼(723)은,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3a)을 누르면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좌부(502)에 다가오고, 화살표 형상 조작 버튼(723b)을 누르면 풋 레스트(504)의 하단이 좌부(50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들 조작 버튼(721),(722),(723)은 각각 화살표 방향을 누름으로써 등받이부(503), 풋 레스트(504)의 각각의 구성이 누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위치 조작부(724)에는 어깨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어깨 위치 조절 버 튼(7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어깨 위치 조절 버튼(732)은 상하로 2개의 버튼이 설치되고, 상측의 어깨 위치 조절 버튼(732)을 누르면 시료자(508)가 위로 이동하고, 하측의 어깨 위치 조절 버튼(732)을 누르면 시료자(508)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어깨 위치 조절 버튼(732)의 사이에는 조절 가능한 때를 나타내는 엘이디 램프(LED lamp)(7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엘이디 램프(733)는 조절 가능한 때에 오렌지(orange) 색 등으로 점등하여 조절 가능한 때를 피시료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에 설치된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는 상기 선택 버튼(725~730)이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좌부(502)에 앉은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료자의 머리를 좌측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 피시료자의 어깨로부터 허리, 엉덩이, 피시료자의 넓적다리가 엘(L)자 형상으로 굴곡한 상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어깨 위치에 어깨 선택 버튼(725)이, 허리 위치에 허리 선택 버튼(726)이, 엉덩이 위치에 엉덩이 선택 버튼(727)이,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이 어깨 선택 버튼(725)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어깨 선택 코스(course)를, 허리 선택 버튼(726)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허리 선택 코스를, 엉덩이 선택 버튼(727)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엉덩이 코스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각 코스는 자동 코스로서, 미리 설정된 시료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또 상기 피시료자의 넓적다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연결되도록 피 시료자의 장딴지가 역 엘(L)자 형상으로 굴곡한 상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이 장딴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연결되도록 피시료자의 다리가 L자 형상으로 굴곡한 상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넓적다리 위치에는 넓적다리부 선택 버튼(728)이, 장딴지 위치에는 장딴지부 선택 버튼(729)이, 발(足) 위치에는 족부(足部) 선택 버튼(730)이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넓적다리 위치에 설치된 넓적다리부 선택 버튼(728)과, 장딴지 위치에 설치된 장딴지부 선택 버튼(729)과, 발 위치에 설치된 족부 선택 버튼(730)은 각각 「강」「중」「약」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강」「중」「약」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LED 램프(728a),(729a),(73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강」「중」「약」은 공기주머니(515),(516),(517)의 압박력을 조절하여 시료부의 조르는 힘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들 공기주머니(515),(516),(517)에 의한 압박력의 「강」「중」「약」 조절은 선택 버튼(728, 729,730)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고, 피시료자의 기호에 따른 시료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강도의 조절로서는 예를 들면 선택 버튼(728, 729,730)을 누르면 「중」으로 기동하고, 그 후 동일한 선택 버튼(728, 729,730)을 누를 때마다 「강」「정지」「약」「중」「강」.....로 순환하도록 순차적으로 절환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 채용된다. 이「강」「중」「약」의 선택 상태는 상기 LED 램프(728a),(729a),(730a)의 점등에 따라 나타난다. 또 이들 공기주머니(515),(516),(517)에 의한 시료는 선택 버튼(728),(729),(730)을 동시에 복수개 누름으로써 복수 개소의 시료를 동시에 행하 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선택 버튼(728),(729),(730)의 조작에 따라 이들 공기주머니(515),(516),(517)에 의한 시료를 소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교호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장치 본체(72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된 위치 조작부(724)에 마사지기(501)의 각 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작 버튼(721~723)이 측면시의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모식적인 형태로 배치되고, 하측에 설치된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 각각의 시료 위치의 선택 버튼(725~730)이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피시료자의 어깨, 허리 엉덩이 위치에 설치된 어깨 선택 버튼(725)과, 허리 선택 버튼(726)과 엉덩이 선택 버튼(727)에 근접하는 배면측(도면의 좌측)에는 이것들의 위치에서 시료하는 시료자(508)에 바이브레이터(511)(도 24 참조)로 진동을 주는 바이브레이터 버튼(7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피시료자의 발 위치에 설치된 족부 선택 버튼(730)에 근접하는 하측에는 발바닥부에 진동을 주는 바이브레이터 버튼(73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바이브레이터(734),(735)는 그 표면에 요철 모양이 처리되어 있고, 촉감이 다른 선택 버튼(725~730)과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바이브레이터(734),(735)는 「강」「약」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강」「약」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LED 램프(734a),(735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강」「약」은 바이브레이터(511)의 진동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들 바이브레이터(734),(735)는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고, 그 강약 조절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어, 피시료자의 기호에 따른 시료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강약조절로서는 예를 들면 바이브레이터 버튼(734, 735)을 누르면 「약」으로 기동하고, 그 후 동일한 버튼(734, 735)을 누를 때마다 「강」「정지」「강」「약」....으로 순환하도록 순차적으로 절환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 채용된다. 이 「강」「약」의 선택 상태는 상기 LED 램프(734a),(735a)의 점등에 의해 나타난다.
아울러 이 시료 위치 조작부(731)의 하부에는 특정한 시료 위치가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료 프로그램에 따라 전신(全身)을 시료하는 전신 코스 선택 버튼(736)과, 지압 코스 선택 버튼(737)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도 자동 코스이고, 미리 설정된 시료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또 이 실시형태5에서는 이들 선택 버튼(725~730),(736),(737)에 의한 시료의 강약을 선택하는 강도 조절 버튼(738)도 설치되어 있다. 이 강도 조절 버튼(738)에 의한 강약 선택은 상측의 「강」 강도 조절 버튼(738)을 누르면 강해지고, 하측의 「약」강도 조절 버튼(738)을 누르면 약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강도 조절 버튼(738)은 시료 중에 있어서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 버튼(728),(729),(730)의 조작에 의한 「강」「중」「약」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LED 램프(728a),(729a),(730a)의 점등 상태와, 상기 바이브레이터 버튼(734),(735)의 조작에 의한 「강」「약」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LED 램프(734a),(735a)의 점등 상태를 상기 각 자동 코스를 선택하고 있는 때에는 오렌지색으로 점등시키는 한편 각 선택 버튼(728),(729),(730),(734),(735)을 개별 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수동 코스 때에는 녹색(green)으로 점등시킴으로서 시료하고 있는 코스의 구별을 LED 램프의 점등색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720)의 상단에는 표시부(750)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 전원 버튼(739)과 급정지 버튼(7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부(750)에는 전원 버튼(739)을 넣은 운전상태에서 각종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전원을 넣은 때에는 상품명「....메디컬 체어(medical chair)(등록상표)」이나 기종명, 그 외에 「지금 준비중입니다.」 등이 흐름 표시된다. 또 상기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서 선택한 시료동작이 표시되고, 자동 코스이면 선택된 시료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 코스명「어깨」, 코멘트(comment)「이 코스는 목에서부터 어깨에 걸친 부분의 결림을 풉니다」 등이 표시된다. 더욱이 본체 제어 등에 통신 에러가 발생한 때에는 초기 설정을 다시 하기 위하여「전원을 다시 넣어주십시오.」라고 흐름표시된다. 이 표시부(750)는 형광표시관이나 액정 패널(panel) 등이 사용된다.
또한 741은 히터(heater) 버튼이다. 또 이들 버튼(721~723),(725~730),(732),(734~741)의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위치나 개수를 결정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에 의하면, 의자형 마사지기(501)의 측면시 형태로 조작 버튼(721~723)이 각각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앉은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로 선택 버튼(725~730)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시료자가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앉아서 리모트 콘트롤 장 치(706)를 보면,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직감적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마사지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목적하는 시료동작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등받이부(503)의 각도와 풋 레스트(504)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작 버튼(721~723)과, 시료하는 동작을 선택하는 선택 버튼(725~730)을 장치 본체(720)의 상하로 나누어 배치하고 있으므로 피시료자는 의자형 마사지기(501)에 앉은 상태에서의 자세 조절을 위치 조작부(724)에 설치된 조작 버튼(721~723)으로 행한 후 시료 위치 조작부(731)에 설치된 선택 버튼(725~730) 또는 선택 버튼(736),(737)에 의해 소망하는 시료를 선택하는 조작에 전념하면 좋고, 이 점에서도 마사지 동작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조작 버튼(721~723) 및 선택 버튼(725~730),(736),(737)의 조작 때에, 각각의 시료 개소에 따라 달라지는 조작음을 발생하도록 하면 예를 들면 공기주머니(515),(516),(517)의 조작 때에는 「슈」같은 에어 소리, 바이브레이터(511)(예를 들면 풋 레스트(504)에 설치되어 피시료자의 발바닥부를 시료하는 것)의 조작 때에는 「부르부르」같은 진동 소리를 발생함으로써 피시료자가 조작한 시료동작을 소리로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에 의하면, 피시료자가 리모트 콘트롤 장치(706)를 보면 직감적으로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마사지기의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리모트 콘트롤 장치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소망하는 시료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5에 있어서 선택 버튼의 분할 예는 일 예로서, 시료 위치의 분할 수나 공기주머니의 배치 등은 적용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사양에 맞추어 결정하면 좋고,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실시형태6)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본 실시형태6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1은 동 의자형 마사지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801)의 구성 요소 중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3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50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6에서의 방향 개념은 상기한 실시형태3에서 사용한 방향 개념과 일하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6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기(801)는 좌부(502), 등받이부(503), 풋 레스트(504)(다리 재치대), 및 좌우 팔걸이부(80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팔걸이부(805)에는 실시형태3에 따른 도 26 및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팔걸이부(805),(805)는 떼어내어 서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팔걸이부(805)는 그 외형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도 동일한 설치 형태로 된다. 이 실시형태의 팔걸이 부(805)는 그 전부(前部)가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805a)을 통하여 전부 지지핀(834)으로 상기 다리부(518a)에 지지되고, 그 후부가 후부 지지핀(835)으로 상기 등받이부(503)에 지지되어 있다. 이 후부 지지핀(835)은 등받이부(503)를 리클라이닝시킨 때에 좌부(502)로부터 멀어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전부 지지핀(834)은 후부 지지핀(835)의 이동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전부 지지핀(834)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는 후술하는 도 42에 나타내는 슬링(sling)(836)이나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등으로 전부 지지핀(834)을 지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걸이부(805)를 지지하고 있는 전부 지지핀(834)과 후부 지지핀(835)은 다리부(518a)와 등받이부(50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부 지지핀(834)은 다리부(518a)의 상부 외측에 설치된 지지 핀 삽입구(818b)로부터 좌부(502) 측을 향하여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팔걸이부(805)의 전부(前部)를 다리부(518a)로 지지하고 있다. 후부 지지 핀(835)은 등받이부(503)의 측방으로부터 등받이부(503)를 향하여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팔걸이부(805)의 후부를 등받이부(503)에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지 핀(834),(835)을 떼어냄으로써 팔걸이부(805)를 다리부(518a)와 등받이부(503)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팔걸이부(805)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2는 도 40에 나타내는 의자형 마사지기(801)의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를 설치한 팔걸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의 조이스틱(520)을 팔걸이부(805)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42에 기초하여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를 설치한 우측 팔걸이부(805)를 설명한다. 또 이 도면에 나타내는 조이스틱(520)은 조작 가능한 소정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팔걸이부(805) 내에 수납한 상태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팔걸이부(805)의 전부(前部)에는 전부 지지 핀(834)으로 지지되는 브래킷(805a)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805a)은 다리부(518a)에 설치된 프레임(frame)(818c)에 핀(818d)으로 지지된 링(ring)(836)과 전부 지지 핀(83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팔걸이부(805)의 전부(前部)는 다리부(518a)(기대(518))에 지지되어 있다. 팔걸이부(805)의 후부는 후부 지지 핀(835)으로 등받이부(503)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팔걸이부(805)는 등받이부(503)를 후방으로 넘어뜨린 때에 후부 지지 핀(835)이 좌부(502)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하지만, 이에 따라 링(836)의 상부(전부 지지 핀(834) 측)가 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전부 지지 핀(834)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팔걸이부(805)의 하부에는 조이스틱(520)을 수납하는 수납부(805b)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수납부(805b)가 위치하는 부분의 다리부(518a)에는 수납부(805b)가 수납되는 수납부 구멍(818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이스틱(502)은 지지축(521)(도 27 참조)이 요동 아암(837)의 전단에 지지되고, 이 요동 아암(837)은 후단이 팔걸이부(805)의 수납부(805b)의 후부에 지지축(838)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요동 아암(837)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조이스틱(520)을 팔걸이부(805)의 내부에 수납 또는 팔걸이부(805)의 내부로부 터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805c는 조이스틱(520)을 수납한 때에 수납부(805b)의 상부 개구를 막는 덮개부재이다. 요동 아암(837)의 하부와 수납부(805b)의 벽면 사이에 설치된 공기주머니(839)는 내부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팽창하여 요동 아암(837)을 밀어 올리고, 수납한 조이스틱(520)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조이스틱(520)을 팔걸이부(805)에 수납하는 경우, 피시료자가 조이스틱(520)을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요동 아암(837)이 지지축(83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납부(805b) 내에 수납된다. 또 조이스틱(520)을 팔걸이부(805)의 수납부(805b) 내에서부터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요동 아암(837)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주머니(839)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요동 아암(837)의 전단측이 상승하여, 조이스틱(520)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도 42에서는 팽창한 공기주머니(839)의 상단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이스틱(520)의 수납은 피시료자의 힘으로 조이스틱(520)의 소정 위치로의 배치는 공기주머니(839)의 팽창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조이스틱(520)을 수납 또는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그리고 조이스틱(520)을 수납 또는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서, 실시형태4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도 34~도 37, 도 45~도 48도 참조)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805b)와 수납부 구멍(818e) 사이에는 팔걸이부(805)에 설치된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와, 기대(518)에 설치된 제어장치(519)의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고,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재(8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 달부재(840)는 전달수단의 일 예로서, 도 42에서는 수납부(805b) 측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수납부 구멍(818e) 측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배선 조인트(joint)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6에서는 상기 조이스틱(520)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팽창ㅇ수축이 자유로운 공기주머니(839)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공기주머니(839)를 팽창시키기 위한 동력이 되는 압축공기를 기대(518) 측으로부터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주머니(839)와, 기대(518) 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펌프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부재(841)가 상기 수납부(805b)와 수납부 구멍(818e)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재(841)는 접속수단의 일 예로서, 도 42에서는 수납부(805b) 측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수납부 구멍(818e) 측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예를 들면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유체 조인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6에서는 전달부재(840)에 배선 조인트를, 접속부재(841)에 유체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를 설치한 팔걸이부(805)를 좌우로 교환할 때에 팔걸이부(805)와 기대(518) 사이에서 신호전달이나 동력전달을 행하는 수단의 연결/떼어냄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전달부재(840)와 접속부재(841)의 구성은 일 예이고, 다른 구성에 의해 조작신호 전달이나 동력 공급을 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아울러 상기 전달부재(840) 및 접속부재(841)의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기능을 상기 제어장치(519)에 구비시키고 있다. 이로써 전달부재(840) 및 접속부재(841)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장치(519)가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의 기능을 무효로 하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그 상태를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표시 하는 기능을 제어장치(519)에 구비시킴으로써 피시료자가 전달부재(840) 및 접속부재(841)의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어느 쪽의 팔걸이부(805)에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전달부재(840) 및 접속부재(841)의 접속상태를 각각 검지하고 각각의 상태를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팔걸이부(805)의 전후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팔걸이부(805)의 설치부에 설치하고, 이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 팔걸이부(805)의 설치상태를 리모트 콘트롤 장치(506)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3은 도 40에 나타내는 맥파측정장치를 설치한 좌측 팔걸이부의 측면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나타내는 팔걸이부의 맥파측정장치를 설치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도 42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팔걸이부(805)의 전부(前部)는 외곽의 팔받침(805d)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팔받침(805d)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닫힌 상태의 선단부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팔받침(805d)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팔걸이부(805)의 내부에 설치된 측정조작장치인 맥파측정장치(842)가 나타난다. 이때, 팔받침(805d)의 후단측의 팔걸이부(805) 상부 즉, 팔받침(805d)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때에 맥파측정장치(842)의 후방 근처의 위치에, 오목 형상의 손을 놓아두는 부분(805e)도 나타난다. 또 이 팔받침(805d)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조작에 따라 맥파측정장치(842)의 전원이 들어오고, 팔받침(805d)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닫음으로써 맥파측정장치(842)의 전원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맥파측정장치(842)는 지첨맥파(指尖脈波),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채용되어 있다. 구체적인 맥파측정장치(842)로서는 예를 들면 손가락 끝에서 맥박에 의한 동맥혈(動脈血)의 맥동을 광학적으로 포착하고, 적색광과 적외광에 대한 투과광량의 변동을 개별적으로 관측하여 측정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6의 맥파측정장치(842)는 일 예이고,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맥파측정장치(842)에는 센서부(843)와 표시부(842a)와 조작 스위치(842b),(842c)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부(843)에는 손을 놓아두는 융기부(843a)와 그 중앙부에 손가락(844)을 넣는 측정부(84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측정부(843b)는 사용 때에 손가락(844)이 얹어짐과 동시에 미사용 때에는 덮개로도 되는 손가락 받침판(843c)을 가지고, 이 손가락 받침판(843c)은 손가락(844)으로 누름으로써 그 전부(前部)가 하향 요동하여 손가락(844)을 측정부(843b) 내에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3 참조). 표시부(842a)에는 선택하는 측정동작 등의 메뉴(menu)가 표시되고, 예를 들면 중앙부의 틀 내에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된다. 이 표시부(842a)는 LCD 표시방식 등이 채용된다. 조작 스위치(842b),(842c)는 이 실시형태6에서는 표시부(842a)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좌측에, 표시부(842a)에 표시되는 메뉴를 스크롤(scroll)하는 리스트(list)용 조작 스위치(842b)가 설치되고, 우측에, 표시부(842a)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거나 캔 슬(cancel)하는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에 설치된 리스트용 조작 스위치(842b)는 표시부(842a)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좌우로 스크롤시키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도 이 맥파측정장치(842)에는 측정결과를 기억하여 두는 메모리(memory)부(842d)가 설치되어 있다(도 43 참조). 이 예에서는 메모리부(842d)가 배선(842e)으로 전달부재(840)와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이 예에서는 좌측의 리스트용 조작 스위치(842b)로 표시부(842a)에 소망하는 항목을 표시시키고, 우측의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6에서는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를 표시부(842a)와는 다른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표시부(842a)를 터치 패널(touch panel)식으로 구성하고, 표시부(842a)가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를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다른 구성에 의해 소망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맥파측정장치(842)에 의한 구체적인 조작 순서로서는 조작 전에 이용자, 성별, 나이 등의 여러 조건을 입력하고, 손가락(844)을 센서부(843)의 측정부(843b)에 넣는다. 그리고 리스트용 조작 스위치(842b)로 「측정개시」의 항목을 표시부(842a)에 표시시키고,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의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로써 소정 시간에 측정이 완료되고, 결과가 표시부(842a)에 표시된다. 그 후, 마사지를 행한 후에 다시 맥파를 측정한다. 이 조작도 손가락(844)을 측정부(843b)에 넣고, 리스트용 조작 스위치(842b)로 「측정개시」의 항목을 표시부(842a)에 표시시키고,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의 결정 버튼을 누른다. 이로써 소정 시간에 측정이 완료되고, 결과가 표시부(842a)에 표시된다. 이 결과는 마사지 전후의 비교결과로서 표시된다.
또 이 맥파측정장치(842)의 메모리부(842d)에는 측정이력을 기록해둘 수가 있고, 표시부(842a)에 「표시 바꿈」의 항목을 표시시키고 결정함으로써 현재의 측정결과화면과 과거의 이력표시화면을 바꾸어 표시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표시부(842a)에 맥파 파형을 표시시키고, 선택용 조작 스위치(842c)에 의해 좌우로 스크롤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측정한 결과를 기록해두고, 현재의 측정결과화면과 이력표시화면을 바꿀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의자형 마사지기(801)에 의하면,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 및 맥파측정장치(842)를 설치한 팔걸이부(805)를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좌우 어느 한 쪽에 위치시키도록 교환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피시료자의 잘 쓰는 팔 측에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를 위치시키고 다른 쪽의 팔 측에서 맥파를 측정하면서 안정하게 시료동작 선택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와 맥파측정장치(842)의 전원은 착탈 가능한 전달부재(840)를 각각 접속함으로써 기대(518) 측으로부터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6에서는 좌우 팔걸이부(805)에 조이스틱형 조작장치(533)와 맥파측정장치(842)를 각각 설치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장치(533),(842)은 한 쪽만을 설치한 구성이더라도 좋고, 이 경우도 장치(533),(842)를 설치한 팔걸이부(805)를 피시료자가 조작하기 쉬운 좌우 어느 한 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 상기 팔걸이부(805)를 떼어냄 위치는 일 예이고, 다른 위치에서 각각의 장치(533),(842)를 포함하는 팔걸이부(805)를 떼어내어 좌우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본 실시형태6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게다가 팔걸이부(805)를 지지하는 구성도 일 예이고, 팔걸이부(805)는 다리부(518a)와 등받이부(503)에 지지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다리부(518a)에 전후가 지지된 구성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1~실시형태6은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은 가능하고,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본 발명은 피시료자의 신체를 시료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및 이것들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장치에 있어서 유용하다. 특히 착석한 피시료자가 조작장치를 직감적 또는 위화감 없이 조작하여 신체를 시료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및 이것들에 구비되는 각종 조작장치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37)

  1. 피시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가동하여 상기 등부분에 자극을 주는 시료자와,
    피시료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중립위치로부터 변위 가능한 그립(grip)부를 가지고, 상기 그립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부의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시료자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자 및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는 함께 전후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립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조작 시에 해당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조작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조작된 변위량에 따라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자 및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립부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작 시에 해당 조작방향에 일치하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조작된 시간에 따라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그립부가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조작된 변위량에 따라 상기 시료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8.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와 최대 변위위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장치의 소정 변위범위에 상기 시료부가 동작하지 않은 불감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9.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 중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의 최대 변위속도에 따른 속도에 의해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에 따라 상기 시료부를 스텝(step) 형상으로 속도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1.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에 대응하는 상기 시료부의 목표위치와 상기 시료부의 현재위치의 차이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시료부의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2.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해당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증가 전에서의 상기 조작장치 또는 상기 시료부의 변위속도를 게인(gain)으로서, 증가 후에서의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까지의 가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3.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증가한 경우에, 증가 전후에서의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의 차이값 또는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의 차이값을 게인(gain)으로서, 증가 후에서의 상기 시료부의 목표변위속도까지의 가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4.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방향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시료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5. 피시료자에게 자극을 주는 이동 가능한 시료부와,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마사지기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량에 비례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시료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시료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료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에는 적어도 해당 모터를 기동 가능한 듀티비(duty ratio)의 펄스(pulse)신호로 이루어지는 PWM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속도가 소정의 저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펄스신호의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펄스열신호가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피시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시료부 및 상기 조작장치는 함께 전후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조작장치의 변위방향과 상기 시료부의 변위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시료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비조작상태에서 중립위치로부터 변위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
  18. 피시료자의 등부분을 시료하는 시료자를 설치한 마사지 기구를 등받이부에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로서,
    상기 마사지 기구의 이동을 조작 가능한 조작구와, 상기 시료자에 의한 시료동작을 선택 가능한 복수개의 시료동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시료동작 스위치로 선택한 시료동작에 더하여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마사지 기구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시지기의 조작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상기 피시료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리크라이닝(reclining)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와 시료동작 스위치에 의한 조작이력을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1. 제18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장치를 팔걸이부에 구비하고,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료동작을 행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2. 피시료자의 등부분을 시료하는 시료자를 설치한 마사지 기구를 가지는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된 수납부에 수납 가능하고,
    수납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장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고, 배치조작에 따라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조작장치를 조작위치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의 조작장치를 설치한 위치에, 상기 조작장치를 수납부에 수납한 때에 상기 조작장치의 상부를 덮어 팔걸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의 상부에 상기 조작장치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조작장치의 출입에 따라 개폐하는 셔터(shutt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한 덮개부재의 열림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장치의 배치동작을 개시하는 개방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에 설치한 덮개부재의 닫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장치의 수납동작을 개시하는 수납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한 조작장치를 조작위치에 배치하는 구동수단을 팔걸이부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을 에어(air) 구동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장치를 팔걸이부에 구비하고, 해당 조작장치의 수납상태 및 배치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29. 등받이부에 설치한 시료자에 의한 시료위치와, 풋 레스트(foot rest)와 좌부에 설치한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위치를 각각 선택하는 선택 버튼을 설치하고, 해당하는 각각의 선택 버튼을 의자형 마사지기에 앉은 피시료자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한 시료위치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시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와, 풋 레스트의 각도와 위치를 각각 조작하는 조작 버튼을 설치하고, 해당하는 각각의 조작 버튼을 의자형 마사지기의 측면시 형태로 배치한 위치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시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시료자에 의한 시료위치와, 상기 풋 레스트와 좌부의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위치를 선택하는 각각의 선택 버튼의 조합조작에 의해 상기 시료자에 의한 시료와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를 조합한 시료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시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등받이부와 좌부와 풋 레스트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에 구비시키고, 상기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로,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한 시료자와, 상기 풋 레스트와 좌부에 설치한 공기주머니에 의한 시료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3. 기대(基台)의 좌우에 팔걸이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로서,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조작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장치를 설치한 팔걸이부와 다른 쪽의 팔걸이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좌우로 교환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기대 사이에, 상기 조작장치와 기대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착탈 가능한 전달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설치하는 조작장치를, 마사지기에 설치한 마사지 기구의 시료동작을 조작하는 시료조작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조작장치를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에 수납한 시료조작장치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동수단을 상기 팔걸이부 내에 설치하고,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기대 사이에,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기대로부터 팔걸이부에 공급하는 착탈 가능한 접속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의 한 쪽에 설치하는 조작장치를, 마사지기로 시료하는 피시료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조작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의 접속상태를 검지하는 검지기능을 구비한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검지기능으로 검지한 접속상태를 의자형 마사지기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해당 제어장치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마사지기.
KR1020077028955A 2005-06-20 2006-05-23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KR20080022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9133 2005-06-20
JP2005179133A JP4420410B2 (ja) 2005-06-20 2005-06-20 マッサージ機
JP2005180134A JP4439438B2 (ja) 2005-06-21 2005-06-21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5-00180134 2005-06-21
JP2005214693 2005-07-25
JP2005213806A JP4481221B2 (ja) 2005-07-25 2005-07-25 椅子型マッサージ機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とそれ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5-00214693 2005-07-25
JP2005213804A JP2007029225A (ja) 2005-07-25 2005-07-25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の操作装置とそれ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5-00213806 2005-07-25
JPJP-P-2005-00213804 2005-07-25
JPJP-P-2005-00225091 2005-08-03
JP2005225091A JP2007037762A (ja) 2005-08-03 2005-08-03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6022893A JP4498284B2 (ja) 2005-07-25 2006-01-31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の操作装置とそれ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JP-P-2006-00022893 2006-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548A true KR20080022548A (ko) 2008-03-11

Family

ID=3757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955A KR20080022548A (ko) 2005-06-20 2006-05-23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77128A1 (ko)
EP (1) EP1894554A1 (ko)
KR (1) KR20080022548A (ko)
AU (1) AU2006260424A1 (ko)
CA (1) CA2607370A1 (ko)
TW (1) TW200701974A (ko)
WO (1) WO20061372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2B1 (ko) * 2018-02-19 2019-08-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6840B2 (en) * 2006-11-28 2010-10-05 Ko-Po Chen Massage device for rubbing, beating and kneading
CN101778612B (zh) * 2007-07-24 2013-10-09 发美利株式会社 椅式按摩器
CN101377983B (zh) * 2007-08-29 2012-03-1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操作装置和指示单元操作方法
WO2009047979A1 (ja) * 2007-10-11 2009-04-16 Family Co., Ltd.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機
US20090306558A1 (en) * 2008-06-06 2009-12-10 Ko-Po Chen Massage device for a massage chair
CN101732154B (zh) * 2008-11-12 2012-08-29 株式会社大庆产业 按摩器具和具有该按摩器具的按摩椅
WO2011031241A1 (en) * 2009-09-11 2011-03-17 Osim International Ltd Massaging device
US8308667B2 (en) * 2010-03-12 2012-11-13 Wing Pow International Corp. Interactive massaging device
US9567065B2 (en) * 2010-10-07 2017-02-14 Bae Systems Plc Vehicle armrest
KR101181918B1 (ko) * 2010-11-09 2012-09-1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CN102499851B (zh) * 2011-10-19 2013-07-31 山东康泰实业有限公司 一种按摩椅的腿脚按摩装置
CN202776940U (zh) * 2012-08-13 2013-03-13 林丹鹏 一种带有按摩力度感适驱动机构的按摩装置
US20140207333A1 (en) * 2013-01-24 2014-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massage system and method
US20140235925A1 (en) * 2013-02-20 2014-08-21 HIRAM Abi PAZ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tive magneto therapy
MY178719A (en) * 2014-02-27 2020-10-20 Osim Int Ltd Massage chai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603425B1 (ko) * 2014-07-25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풋레스트 장치
CN107072868B (zh) * 2014-10-24 2020-11-06 发美利稻田株式会社 按摩机
DE102014115641A1 (de) * 2014-10-28 2016-04-28 Rom Ag Polstermöbelsystem umfassend ein Polstermöbel und ein Steuerungssystem
CN104799989B (zh) * 2015-04-10 2016-09-07 范爱苏 一种移动式腿部矫治用医疗器械
JP2017042282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エアマッサージ装置
JP6677261B2 (ja) * 2015-12-24 2020-04-08 富士通株式会社 ベッド
CN105536149B (zh) * 2016-02-03 2019-03-08 浙江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高能旋磁器及旋磁座椅结构
JP2017140275A (ja) * 2016-02-12 2017-08-17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に備えられたリモコン装置
CN105853136B (zh) * 2016-04-21 2018-05-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目标按摩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JP2017221490A (ja) * 2016-06-16 2017-12-21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マッサージユニットおよびマッサージ機
KR102474142B1 (ko) * 2016-06-20 2022-12-06 패밀리 이나다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 유닛 및 그 마사지 유닛을 가지는 마사지기
US10065072B2 (en) * 2016-09-06 2018-09-04 Tao Xu Lower back exercise apparatus
US11224554B2 (en) * 2017-01-06 2022-01-18 Coway Co., Ltd. Heating assembly for massage chair including separate heating element and massage chair comprising the same
US20180207056A1 (en) * 2017-01-24 2018-07-26 Betty Howard Configurable Massaging Apparatus
US10842708B2 (en) * 2017-01-25 2020-11-24 Luraco, Inc. Massage apparatus for legs and feet and massage chair having the massage apparatus
US11730662B2 (en) * 2017-01-25 2023-08-22 Kevin Le Massage chairs having massage apparatuses for legs and feet and for hands and arms
US10724549B2 (en) 2017-05-11 2020-07-28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noise-reducing, enclosure device
US11179290B2 (en) 2017-05-11 2021-11-23 Luraco, Inc. Massage chair having a wireless charger, armrest sliding, hammering devices, and oxygen generation
USD824342S1 (en) 2017-07-31 2018-07-31 CellNorth Electronics Corp. Remote control
CN108433417B (zh) * 2018-06-22 2023-09-15 杨丹 一种电动摇椅
US10932576B2 (en) 2018-08-07 2021-03-02 FlUS DISTRIBUTORS, LLC Massage chairs with locking mechanisms
CA3176693A1 (en) * 2018-10-01 2020-04-01 Melissa Fietz Chair for supporting a person who is feeding a baby
WO2020237202A1 (en) * 2019-05-23 2020-11-26 Videokal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edical chair for remote testing and diagnosis
JP7381230B2 (ja) 2019-06-28 2023-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の操作装置
JP7200853B2 (ja) * 2019-06-28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の車速制御装置
CN110787042B (zh) * 2019-09-30 2022-03-11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按摩设备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873795A (zh) * 2020-07-24 2020-11-03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商用车传动轴用气囊式中间支承装置、装配方法及使用方法
CN112425948B (zh) * 2020-11-23 2022-04-12 深圳市格调家私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调节的家居沙发
CN112336576B (zh) * 2020-12-04 2022-12-2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治疗神经内科病患的康复装置
CN112618307A (zh) * 2021-01-05 2021-04-09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心血管内科护理穿刺装置
CN112957189B (zh) * 2021-02-01 2022-03-08 吉林大学 一种带有臀部按摩机构的康复轮椅
KR102564548B1 (ko) * 2022-12-08 2023-08-07 이창재 비표준 기어가 제어하는 고기능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044A (ja) * 1982-11-24 1984-05-31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2566275B2 (ja) * 1988-03-15 1996-12-25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3072170B2 (ja) * 1991-12-24 2000-07-31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の操作器
JP2000069803A (ja) * 1998-08-31 2000-03-07 Iseki & Co Ltd 自走式作業機
JP4249872B2 (ja) * 1999-09-09 2009-04-08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3831563B2 (ja) * 1999-12-20 2006-10-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マッサージ装置およ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用いた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169309B2 (ja) * 2000-08-02 2008-10-22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2002233506A (ja) * 2001-02-09 2002-08-20 Sanyo Electric Co Ltd 生体情報計測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2253630A (ja) * 2001-03-01 2002-09-10 Family Kk マッサージ機
JP3872663B2 (ja) * 2001-06-20 2007-01-2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携帯用腰掛け型便器の肘掛け
JP3714208B2 (ja) * 2001-07-31 2005-11-0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の制御方法
JP3991194B2 (ja) * 2001-11-26 2007-10-17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2003184132A (ja) * 2001-12-25 2003-07-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2003250895A (ja) * 2002-03-05 2003-09-09 Marutaka Co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112890B2 (ja) * 2002-04-19 2008-07-02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マッサージ機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4057465A (ja) * 2002-07-29 2004-02-26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装置
JP3974025B2 (ja) * 2002-11-27 2007-09-12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2004236710A (ja) * 2003-02-03 2004-08-26 Sanyo Electric Co Ltd マッサージ機
JP3988881B2 (ja) * 2003-03-10 2007-10-1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2005006735A (ja) * 2003-06-17 2005-01-13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2B1 (ko) * 2018-02-19 2019-08-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WO2019160207A1 (ko) * 2018-02-19 2019-08-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US12005019B2 (en) 2018-02-19 2024-06-11 Bodyfriend Co., Ltd. Massage module and massage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7236A1 (ja) 2006-12-28
EP1894554A1 (en) 2008-03-05
US20090177128A1 (en) 2009-07-09
AU2006260424A1 (en) 2006-12-28
TW200701974A (en) 2007-01-16
CA2607370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2548A (ko) 의자형 마사지기, 마사지기, 의자형 마사지기의 조작장치 및 의자형 마사지기용 리모트 콘트롤 장치
KR101995707B1 (ko) 재활 훈련 장치
US201900219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US817773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CN101222897A (zh) 椅子型按摩机、按摩机、椅子型按摩机的操作装置、以及椅子型按摩机用的遥控装置
KR100620616B1 (ko) 마사지기
EP2147700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EP2201922A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EP1850824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JPH10243982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とその運転制御方法
US20180207047A1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KR101144812B1 (ko) 안마의자 및 이에 대한 제어방법
KR20080019553A (ko) 의자형 마사지기
JP2007006944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用の操作装置
JP200700016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533760A (zh) 可程式数位系统化按摩机
JP2007007205A (ja) マッサージ機
KR20180078534A (ko)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JP4747723B2 (ja) 運動補助装置
CN114099271A (zh) 按摩机、按摩系统以及记录有按摩机控制用程序的记录介质
CN112773674A (zh) 按摩系统
JP2007319551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