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34A -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34A
KR20180078534A KR1020160183350A KR20160183350A KR20180078534A KR 20180078534 A KR20180078534 A KR 20180078534A KR 1020160183350 A KR1020160183350 A KR 1020160183350A KR 20160183350 A KR20160183350 A KR 20160183350A KR 20180078534 A KR20180078534 A KR 2018007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de
rehabilitation
thumb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정
송주원
김창민
조현솔
조미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534A/ko
Publication of KR2018007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63F2009/0007Games with therapeut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63F2009/2447Motion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손가락 재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기어와 연결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체인기어와 연결된 체인이 설치되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의 운동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의 핑거레일; 상기 핑거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 및 손가락 끝에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 거치대와 결합되고.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거치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손가락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 Rehabilitation Device For Finger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핑거레일 및 엄지레일에 연결된 체인을 따라 손가락의 신전 및 굴전 운동을 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을 제공한다.
매년 뇌졸증과 같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손가락 마비가 발생하는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의 경우, 병세에 따라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특히, 손이 마비되고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이 동반된다. 이러한 손의 마비와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을 계속적으로 방치하면, 근육이나 관절이 점차 굳어져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게 되고 신경이 회복되어도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마비가 오거나 오그라드는 손이나 발 등을 계속 마사지하거나 움직여 혈액순환과 신경소통을 촉진하여 운동능력을 최대한 유지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운동치료를 통해 환자의 운동능력이 유지되거나 경우에 따라 향상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마비가 오거나 장애를 가지게 된 손을 계속적으로 움직이게 재활 치료를 함으로써, 혈액순환과 신경소통을 촉진하여 운동 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게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손가락 재활 운동장치는, 그 구성 부품이 많아 조립이 까다로우며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 중 고장 발생율이 생각 외로 높으며, 단순히 굴전 및 신전운동을 반복하기만 하여 쉽게 지루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6384990000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7516호
본 발명은 손가락 장애가 있는 환자 또는 손가락 재활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의 손가락 재활 운동을 보조하며,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게임모드를 포함한 복수 개의 동작모드를 가져 운동을 하는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지루함을 게임을 통해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손가락 재활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기어와 연결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체인기어와 연결된 체인이 설치되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의 운동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의 핑거레일; 핑거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 및 손가락 끝에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 거치대와 결합되고. 손가락이 손가락 거치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손가락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모드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모드가 게임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손가락 거치대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입력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고, 접촉센서를 이용하여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제1 재활모드 및 제2 재활모드를 포함하고, 제1 재활모드로 설정되면,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제1 동작신호에 의해 동시에 동작되며, 제2 재활모드로 설정되면,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엄지모드를 포함하고, 엄지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는 핑거레일과 독립적으로 설치된 엄지레일에 동작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엄지레일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엄지레일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엄지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과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엄지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가락이 레일에 설치된 체인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굴전 및 신전 운동을 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고장 발생율이 적고, 재활모드, 핑거모드, 엄지모드, 게임모드 등 여러가지 재활에 관련된 모드를 제공하여 지루함 없이 손가락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핑거레일 및 체인에 연결된 제어장치 내부의 모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핑거레일, 손가락 거치대 및 손가락 접촉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핑거레일을 사용하여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들의 재활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엄지레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재활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핑거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엄지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게임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써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써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손가락 재활 장치(100)는 레일과 체인을 사용하여 손가락의 신전 및 굴전 운동을 돕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기어와 연결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 체인기어와 연결된 체인이 설치되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의 운동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의 핑거레일(20), 핑거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30), 및 손가락 끝에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 거치대와 결합되고. 손가락이 손가락 거치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손가락 접촉부(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어장치(10), 핑거레일(20), 손가락 거치대(30), 손가락 접촉부(40), 엄지레일(50), 손목 거치대(6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0)는 케이스에 씌워지고 체인에 의해 핑거레일(20)과 연결되어 있으며, 핑거레일(20)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손가락 거치대(30)를 포함하고, 손가락 거치대는 접촉센서가 부착된 손가락 접촉부(40)를 수용할 수 있다.
제어장치(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의 동작은 방향과 관계없이 회전 동작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터의 종류는 일정각도로만 동작 가능한 서보 모터(Servo Motor) 또는 다이나믹셀 모터(Dynamixel Motor) 이거나, 360도 연속 회전이 가능한 DC모터 또는 이와 다른 종류의 모터일 수 있다.
모터는 체인기어와 연결되며, 체인기어는 돌출된 날이 체인과 맞물려 돌아가도록 연결되어 제어장치(10)에 의해 모터가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 체인은 모터와 연결된 체인기어의 회전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터는 후술할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 각각을 4개의 레일로 이루어진 핑거레일(2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4개의 모터로 구성 될 수 있으며, 핑거레일(20)과 독립적으로 설치된 엄지레일(50)의 제어를 위해 1개의 모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엄지레일(50)과 핑거레일은 별개로 작동되나 제어장치(1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장치(10)에 대한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에 의해 체인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제어되며, 제어신호 및 동작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 하기로 한다. 제어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제어신호 생성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핑거레일(20)과 체인으로 연결된 모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의 모터가 개별적으로 체인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손가락 거치대(30)가 개별 동작을 한다. 핑거레일은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재활운동을 위한 것으로 손가락의 궤적에 맞게 운동하기 위해 각 손가락의 길이에 맞춰 레일의 궤적이 형성된다. 중지의 운동을 위한 제2 레일의 경우 다른 레일보다 좀 더 큰 궤적을 그리고, 소지의 운동을 위한 제4 레일의 경우 다른 레일보다 좀 더 작은 궤적을 그린다.
도 3을 참조하면, 핑거레일(20)은 분리되어 각각이 독립된 4개의 레일로 구성되며, 저항감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 재활 운동을 위해 핑거레일(20)은 손가락의 굴전 방향으로 굽어져 있을 수 있고, 핑거레일 끝단은 아크릴 판에 기둥으로 고정되어 4개의 레일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레일 안쪽에는 제어장치의 모터와 연결된 체인이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체인이 이동되며, 각각의 레일마다 체인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고 레일을 감싸는 복수 개의 손가락 거치대(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손가락 거치대(30)는 체인에 연결된 막대로 고정되어 체인이동에 의해 흔들림 없이 손가락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고, 손가락 거치대(30) 내측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접촉센서가 설치되고, 손가락 접촉부(40)가 손가락 거치대에 삽입되는 경우 이를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손가락 접촉부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손가락 접촉부(40)는 손가락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손가락 거치대에 삽입되며,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손가락 거치대에 삽입 시 고정되어 재활 운동 도중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손가락 접촉부는 손가락 각각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상이할 수 있고,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위해 손가락 접촉부 옆면에 형성된 천으로 손가락 둘레를 감아 끝을 부직포 등으로 부착 시킬 수 있다. 손가락에 착용시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내측에 부드러운 재질을 덧댈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동작모드가 게임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복수 개의 손가락 거치대(30)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각각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입력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엄지레일(50)은 엄지 손가락만의 재활 운동을 위해 사용되며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과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거치대(30)를 포함하고, 핑거레일(20)과는 달리 원형으로 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 원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엄지레일(50)은 핑거레일(20)과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핑거레일과 개별 작동되며 엄지 손가락만 또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들 중 하나를 택하여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엄지 손가락의 운동은 나머지 네 손가락과 필요한 재활 운동의 궤적이 다르기 때문에 상하로 움직이는 손목 거치대(60)를 이용하여 엄지 손가락의 재활 운동을 도울 수 있다.
핑거레일(20)과 엄지레일(50)은 각 손가락의 이동 궤적을 본따 제작이 쉽게 3D 프린팅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제작방법 및 레일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 및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으로 생성되어 제어장치(10)로 전송되고, 제어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가 결정되어 체인의 이동속도, 이동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재활모드 (제 1재활모드), 핑거모드 (제 2재활모드), 엄지모드, 게임모드 등을 포함하고, 도 6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으로써, 사용자가 A와 같이 단말에 표시된 복수 개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C 내지 E와 같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창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A에서 게임모드를 입력하는 경우 F 내지 H와 같이 게임화면으로 넘어가 핑거레일(20)의 손가락 거치대에 포함된 접촉센서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에 접촉되는 핑거레일(20)의 제 1레일에 포함된 접촉센서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를 때마다 검지 손가락이 움직이며 게임화면상에서 캐릭터를 좌측으로 이동하고, 중지에 접촉되는 핑거레일(20)의 제 2레일에 포함된 접촉센서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를 때마다 중지 손가락이 움직이며 게임화면상에서 캐릭터를 위로 이동하고, 약지에 접촉되는 핑거레일(20)의 제 3레일에 포함된 접촉센서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를 때마다 약지 손가락이 움직이며 게임화면상에서 캐릭터를 우측으로 이동하고, 소지에 접촉되는 핑거레일(20)의 제 4레일에 포함된 접촉센서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를 때마다 소지 손가락이 움직이며 게임화면상에서 캐릭터를 아래로 이동하도록 설정,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결과에 따라 스코어를 계산하여 점수에 따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재활모드 (제 1재활모드) 및 핑거모드 (제 2재활모드)를 포함하고, 제어장치(10)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 1재활모드에 대응되는 제 1동작신호 또는 제 2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제 1재활모드로 설정되면,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30)는 제 1동작신호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고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동작되며, 제 2재활모드로 설정되면,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재활모드(제 1재활모드)에 대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재활모드를 선택 시 단계를 선택할 수 있는 제 1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제 1동작신호에 의해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 전부가 동시에 동작한다. 또한,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뉘어 손가락의 굽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손가락의 마비 증상 정도, 굴전 운동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1/5 T 굴곡인 1단계부터 5/5 T 굴곡인 5단계까지 단계별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설정된 굴곡만큼 체인이 이동하여 손가락의 굴전 운동을 진행하고, 1초 정지 후 다시 원점으로 체인이 이동하여 손가락의 신전 운동을 진행한다.
도 8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핑거모드(제 2재활모드)에 대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핑거모드 선택 시 제 2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제 2동작신호에 의해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순서대로 손가락의 굴곡운동 하고, 정지 후 상기 순서대로 손가락의 신전운동을 한다. 제 1동작신호와는 달리 제 2동작신호는 모든 손가락들이 동시에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검지부터 소지까지 순서에 따라 굴전 및 신전운동을 한다.
도 9는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엄지모드에 대한 순서도로써, 동작 모드가 엄지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손가락 거치대(30)에 삽입된 엄지 손가락이 엄지레일(5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원운동을 하고, 1초 정지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원운동하여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도 10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인 게임모드에 대한 순서도로써, 동작모드가 게임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손가락 거치대(30)는 손가락 거치대에 포함된 접촉센서를 통해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장치(10)는 생성된 입력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가 전송되며 검지는 좌로 이동, 중지는 위로 이동, 약지는 우로 이동, 소지는 아래로 이동하여 각각 손가락에 대해 카운트를 1씩 더하여 카운트된 만큼 굴전 운동을 진행하고, 반복된 굴전 운동에 의해 게임화면상 캐릭터가 벽에 부딪히게 되면 검지부터 신전 운동을 진행하여 검지 카운트가 0이 되면 중지 신전 운동을 진행하고 중지 카운트가 0이 되면 약지의 신전 운동을 진행하고 약지 카운트가 0이 되면 마지막으로 소지의 신전 운동을 진행하고 소지 카운트가 0이 되면 원점 조정된다. 게임모드는 상술한 규칙에만 한정되지 않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센서 선택에 따른 이동방향과 거리의 변화를 설정할 수 잇다.
이상에서는, 손가락 재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손가락 재활 장치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손가락 재활 장치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은, 손가락 재활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손가락 재활 장치가 동작모드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모터와 연결된 체인기어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고, 핑거레일(20)에 설치된 손가락 거치대(30)가 체인기어에 의해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손가락 재활 장치가 동작모드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동작모드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드를 포함하고,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어장치
20 : 핑거레일
30 : 손가락 거치대
40 : 손가락 접촉부
50 : 엄지레일
60 : 손목 거치대
100 : 손가락 재활 장치

Claims (12)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체인기어와 연결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체인기어와 연결된 체인이 설치되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의 운동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의 핑거레일;
    상기 핑거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 및
    손가락 끝에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 거치대와 결합되고.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거치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손가락 접촉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체인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게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게임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손가락 거치대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손가락 거치대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손가락 거치대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것인 손가락 재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제1 재활모드 및 제2 재활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제1 재활모드에 대응되는 제1 동작신호 또는 제2 재활모드에 대응되는 제2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활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상기 제1 동작신호에 의해 동시에 동작되며,
    상기 제2 재활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손가락 거치대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손가락 재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동작모드는 엄지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핑거레일과 독립적으로 설치된 엄지레일에 동작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엄지레일이 동작되는 손가락 재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레일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엄지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체인과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엄지 거치대를 포함하는 손가락 재활 장치.
  10. 제1항에 기재된 손가락 재활 장치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재활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재활 장치가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모터와 연결된 체인기어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고, 핑거레일에 설치된 손가락 거치대가 상기 체인기어에 의해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가락 재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재활 장치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체인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손가락 재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재활 장치는 상기 손가락 거치대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손가락 재활 방법.
KR1020160183350A 2016-12-30 2016-12-30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KR20180078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0A KR20180078534A (ko) 2016-12-30 2016-12-30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0A KR20180078534A (ko) 2016-12-30 2016-12-30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34A true KR20180078534A (ko) 2018-07-10

Family

ID=6291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50A KR20180078534A (ko) 2016-12-30 2016-12-30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09A (zh) * 2020-01-06 2020-05-19 河南牛帕力学工程研究院 一种手指关节康复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09A (zh) * 2020-01-06 2020-05-19 河南牛帕力学工程研究院 一种手指关节康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19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US817773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EP1850824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CN109907940B (zh) 一种基于手腕关节和康复手套的上肢康复系统及方法
KR20170124978A (ko)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장치
Dukes et al. Punching ducks for post-stroke neurorehabilitation: System design and initial exploratory feasibility study
WO2010085476A1 (en) Multi-user smartglove for virtual environment-based rehabilitation
KR101782341B1 (ko) 수지 재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재활 시스템
Pfeiffer et al. Haptic feedback for wearables and textiles based o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KR101958949B1 (ko)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133321A (ko) 손가락 재활 운동 장치 및 재활 운동 보조 방법
WO2020245762A1 (en) A self driven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Jie et al. An interactive upper limb rehab device for elderly stroke patients
WO202022295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feedback
KR20180078534A (ko) 손가락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재활 방법
JP6604567B2 (ja) 上肢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
JP2018505409A (ja) 力測定メカニズム
Lin et al. A portable and cost-effectiv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for individuals with upper limb motor deficits
JP2016073502A (ja) 上肢運動機能回復訓練器具
KR102331549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US201901845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habilitation
Guo et al. A novel motor function training assisted system for upper limbs rehabilitation
Li et al. Bimanual haptic-desktop platform for upper-limb post-stroke rehabilitation: Practical trials
Hamawy et al. Development of an assistive rehabilitation device for upper limb extremity
Caminero et al. Telekin-tele-rehabilitation system for musculoskeletal and cognitive disorders using natural movement interfac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