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555A -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555A
KR20080019555A KR1020070085872A KR20070085872A KR20080019555A KR 20080019555 A KR20080019555 A KR 20080019555A KR 1020070085872 A KR1020070085872 A KR 1020070085872A KR 20070085872 A KR20070085872 A KR 20070085872A KR 20080019555 A KR20080019555 A KR 2008001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ok
battery device
width dir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538B1 (ko
Inventor
미에꼬 하라
도시오 다께시따
요오이찌 미야지마
히로아끼 사또오
도모노리 와따나베
나오끼 가마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새로운 배터리 장치가 개발되었을 때에는,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의 단을 늘리는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돌기를 전자 기기의 장착부에도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 및 장착부의 돌기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배터리 하우징(2)과, 배터리 하우징(2)의 적어도 제1 면(5b)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출력 단자(3)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하우징(2)은 제1 면(5b)과 대략 수직인 제2 면(5a)과, 제2 면(5a)의 폭 방향(X)의 일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제1 단차면(6b)과, 제2 면(5a)의 폭 방향(X)의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제2 단차면(6b)과, 제2 면(5a)으로부터 폭 방향(X)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1 결합부(7)와, 제2 면(5a)으로부터 폭 방향(X)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2 결합부(8)와, 제1 단차면(6a)과 제1 결합부(7)에 의해 형성된 제1 홈부와, 제2 단차면(6b)과 제2 결합부(8)에 의해 형성된 제2 홈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9, 13)를 마련하였다.
배터리 장치, 배터리 하우징, 외장 케이스, 출력 단자, 판별용 오목부

Description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BATTER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전원인 배터리 장치와, 그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되는 전자 기기와, 그 전자 기기와 배터리 장치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배터리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이용하는 충전형의 배터리 셀이 수납된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등이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 장치, 및 배터리 팩 등이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팩은,「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의 제1 면에 연속 설치하고 상기 제1 면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케이스의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2 면의 대략 중앙부에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터리 팩에 따르면「부적합해지는 배터리 장착 장치에 오장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명세서의 단락 [0161])」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배터리 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도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배터리 장치 및 그 배터리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는,「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부에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용실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측 단자가 상기 배터리 수용실의 수용실측 단자에 접촉되는 배터리 장치이며, 상기 폭 방향의 양측의 상기 케이스 부위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실에 마련된 돌기에 결합하여 배터리 수용실 내에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터리 장치에 따르면,「배터리 장치의 폭 방향의 양측 케이스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터리 수용실에 마련된 돌기에 결합하여 배터리 수용실 내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케이스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의 두께가 다른, 즉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배터리 장치를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할 수 있다(명세서의 단락 [0005]).」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336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092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케이스 배면의 대략 중앙부에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마련하고, 배터리 장치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의 장착부에는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한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장치의 종류 판별을 행하고 있었다. 그 결과, 새로운 배터리 장치가 개발되었을 때에는,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의 단을 늘리는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돌기를 전자 기기의 장착부에도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 및 장착부의 돌기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어느 것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도, 배터리 장치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의 장착부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특정한 구성을 갖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한 전용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하나의 배터리 장치는 그 배터리 장치에 대응한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에만 장착할 수 있어, 장착 구조의 구성이 다른 장착부를 갖는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그 전자 기기에 대응한 배터리 장치를 별개로 준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배터리 장치에서는, 새로운 배터리 장치가 개발되었을 때에는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의 단을 늘리는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돌기를 전자 기기의 장착부에도 마련할 필요가 있으므로, 배터리 장치의 오목부 및 장착부의 돌기의 형상이 복잡해진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배터리가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의 적어도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출력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터리 하우징은,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2 면과, 제2 면의 폭 방향의 일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1 단차면과, 제2 면의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2 단차면과, 제2 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1 결합부와, 제2 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2 결합부와, 제1 단차면과 제1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홈부와, 제2 단차면과 제2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홈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단차면 및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배터리 셀이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을 갖는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적어도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자 기기의 장착부는,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2 면과,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배터리 하우 징에 설치된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훅부와,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2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훅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훅부 및 상기 제2 훅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 장치와,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장치는, 배터리가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과, 배터리 하우징의 적어도 배터리측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출력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터리 장치의 배터리 하우징은, 배터리측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배터리측 제2 면과, 배터리측 제2 면의 폭 방향의 일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1 단차면과, 배터리측 제2 면의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2 단차면과, 배터리측 제2 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1 결합부와, 배터리측 제2 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2 결합부와, 제1 단차면과 제1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홈부와, 제2 단차면과 제2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홈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단차면 및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있다.
전자 기기는, 장착부의 적어도 전자 기기측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의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자 기기의 장착부는, 전자 기기측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전자 기기측 제2 면과, 전자 기기측 제2 면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훅부와, 전자 기기측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2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훅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훅부 및 제2 훅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출원의 배터리 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새로운 배터리 장치의 종류 판별부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장착 방법을 갖는 복수 종류의 전자 기기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전자 기기는, 간단한 구조의 새로운 배터리 장치의 종류 판별부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전력이 공급되는 배터리 장치가 다른 장착 방법을 갖는 복수 종류의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배터리 장치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배터리 시스템은, 전술한 배터리 장치와 전자 기기와의 조합에 의해 양자의 이점을 갖는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종류 판별을 행할 수 있고, 다른 장착부의 구조를 갖는 전자 기기마다 배터리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배터리 장치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배터리 장치, 그 배터리 장치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전자 기기 및 그 배터리 장치와 전자 기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시스템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현하였다.
도1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1은 사시도, 도2의 (a)는 바닥면도, 도2의 (b)는 좌측면도, 도3의 (a)는 정면도, 도3의 (b)는 배면도, 도3의 (c)는 도2의 (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4는 촬상 장치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촬상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6은 촬상 장치의 배면도, 도7은 외장 케이스의 후방 패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후방 패널과 슬라이드 부재와 지지 플레이트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9의 (a) 내지 도9의 (c)는 촬상 장치의 장착부에 배터리 장치를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9의 (a)는 후방 패널의 정면도, 도9의 (b)는 배터리 장치의 장착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9의 (c)는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후방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의 (a) 내지 도11의 (c)는 촬상 장치의 장착부에 배터리 장치를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11의 (a)는 후방 패널의 정면도, 도11의 (b)는 배터리 장치의 장착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의 (c)는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12는 사시도, 도13은 정면도이다. 도14는 후방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5는 배터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14의 U-U선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관한 장착부의 제4 실시예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17은 배터리 장치보다도 높이 방향(Z2)의 치수가 충분히 긴 장착부에 배터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터리 장치(1)는 중공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하우징(2)과, 그 배터리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배터리 셀 및 제어 회로 기판과, 배터리 하우징(2)에 설치한 배터리측의 출력 단자(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배터리 하우징(2)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Y)의 치수가 L,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X)의 치수가 W,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Z)의 치수가 H인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블록 형상의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배터리 하우징(2)의 치수[길이(L), 폭(W) 및 높이(H)]는, 이 실시예에서는 길이(L) > 폭(W) > 높이(H)라는 관계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형상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높이(H)를 충분히 높게 하거나[예를 들어, 폭(W) > 높이(H)], 폭(W)을 길이(L)보다도 길게 하거나[길이(L) < 폭(W)], 그 밖의 각종 치 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배터리 하우징(2)은,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상부 케이스(4)와, 이 상부 케이스(4)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는 덮개 형상 하부 케이스(5)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4)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상면부(4a)와, 이 상면부(4a)의 길이 방향(Y)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정면부(4b)와, 상면부(4a)의 길이 방향(Y)의 다른 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배면부(4c)와, 상면부(4a)의 폭 방향(X)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좌측면부(4d)와, 상면부(4a)의 폭 방향(X)의 다른 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우측면부(4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면부(4a)와 좌측면부(4d)가 교차하는 코너부 및 상면부(4a)와 우측면부(4e)가 교차하는 코너부에는, 각각 곡률 반경이 큰 원호 형상의 모따기부(4f, 4f)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는 배터리 하우징(2)의 제2 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면부(5a)와, 이 하면부(5a)의 길이 방향(Y)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제1 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정면부(5b)와, 하면부(5a)의 길이 방향(Y)의 다른 측으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제3 단차면(6c)을 갖는 배면부(5c)와, 하면부(5a)의 폭 방향(X)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제1 단차면(6a)을 갖는 좌측 단차부(5d)와, 하면부(5a)의 폭 방향(X)의 다른 측으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제2 단차면(6b)을 갖는 우측 단차부(5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5)의 정면부(5b)와 상부 케이스(4)의 정면부(4b)에 의해 배터리 하우징(2)의 제1 면인 정면부가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의 하면부(5a)에는 라벨 부착용의 부착부(5f)가 적당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차면(6a)과 제2 단차면(6b)은, 하면부(5a)로부터의 높이 방향(Z)의 길이(높이)가 대략 같은 높이(S)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차면(6a)과 제2 단차면(6b)의 폭 방향(X)의 길이(폭)도 마찬가지로 대략 같은 폭(M)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차면(6a)과 제2 단차면(6b)은, 하면부(5a)에 대해 각각이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5)에는, 도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면인 하면부(5a)로부터 폭 방향(X)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N)과 두께(T)를 갖고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7)와, 마찬가지로 하면부(5a)로부터 폭 방향(X)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N)과 두께(T)를 갖고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결합부(7) 및 제2 결합부(8)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결합부(7) 및 제2 결합부(8)의 폭(돌출량)(N)은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의 폭(M)의 대략 1/2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결합부(7) 및 제2 결합부(8)의 두께(T)는,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의 높이(S)의 1/2 혹은 그 이하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제1 결합부(7)는 길이 방향(Y)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3개의 제1 결합편(7a), 제2 결합편(7b) 및 제3 결합편(7c)을 갖고 있다. 제1 결합편(7a)은 정면부(5b)측에 배치되고, 제3 결합편(7c)은 배면부(5c)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중도부에 제2 결합편(7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결합편(7a)과 제2 결합편(7b) 사이에 제1 개구부(10a)가 마련되고, 제2 결합편(7b)과 제3 결합편(7c) 사이에 제2 개구부(10b)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8)는 길이 방향(Y)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3개의 제1 결합편(8a), 제2 결합편(8b) 및 제3 결합편(8c)을 갖고 있다. 제1 결합편(8a)은 정면부(5b)측에 배치되고, 제3 결합편(8c)은 배면부(5c)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중도부에 제2 결합편(8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결합편(8a)과 제2 결합편(8b) 사이에 제3 개구부(10c)가 마련되고, 제2 결합편(8b)과 제3 결합편(8c) 사이에 제4 개구부(10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2 및 도2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의 배면부(5c)측에는 제1 리브(11a)가 설치되고, 제2 결합편(7b)의 배면부(5c)측에는 제2 리브(11b)가 설치되고, 제3 결합편(7c)의 배면부(5c)측에는 제3 리브(11c)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8)의 제1 결합편(8a)의 배면부(5c)측에는 제1 리브(12a)가 설치되고, 제2 결합편(8b)의 배면부(5c)측에는 제2 리브(12b)가 설치되고, 제3 결합편(8c)의 배면부(5c)측에는 제3 리브(12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리브(11a, 12a) 및 제2 리브(11b, 12b)의 돌출량(폭)(P)은, 제1 결합편(7a, 8a) 및 제2 결합편(7b, 8b)의 돌출량(폭)(N)의 대략 1/2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3 리브(11c, 12c)의 돌출량(폭)은, 제3 결합편(7c, 8c)의 돌출량(폭)(N)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5)의 정면부(5b)측에는, 출력 단자(3)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출력 단자용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는 정면부(5b)로부터 하면부(5a)에 이르는 연속된 절결로서 형성되어 있고, 정면부(5b)에서는 폭 방향(X)의 대략 중앙부 전체를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5)의 개구부(14)의 폭 방향(X)의 양측부에는, 배터리 장치(1)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2개의 제1 판별용 오목부(15a, 15b)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1 판별용 오목부(15a, 15b)는 배터리 장치(1)의 형상이나 전력의 용량 등의 종류별로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의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차면(6a)에는 길이 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터리 장치(1)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2개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차면(6b)에는 길이 방향(Y)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터리 장치(1)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2개의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의 제1 단차면(6a)으로부터의 깊이(높이)(K)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의 제2 단차면(6b)으로부터의 깊이(높이)(J)는, 배터리 장치(1)의 형상이나 전력의 용량 등의 종류별로 특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의 깊이(K)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의 깊이를 대략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의 깊이(K)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의 깊이(J)는, 이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의 깊이(K)와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의 깊이(J)를 바꾸어 비대칭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판별용 오목부(9)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의 수를 2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제2 판별용 오목부(9)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의 수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판별용 오목 부(9)의 수를 1개로 하거나, 제3 판별용 오목부(13)를 3개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의 각각에 제2 판별용 오목부(9)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를 형성하였지만,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 중 어느 한쪽에 제2 판별용 오목부(9) 또는 제3 판별용 오목부(13)를 형성해도 좋다. 이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는 본 출원의 오목부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 케이스(5)의 개구부(14)에 장착되는 출력 단자(3)는, 도1 및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5)의 정면부(5b)와 동일 평면이 되는 정면부(16a)와, 이 정면부(16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5)의 하면부(5a)와 동일 평면이 되는 하면부(16b)를 적어도 갖는 블록 형상의 단자 홀더(16)를 갖고 있다. 이 단자 홀더(16)에는, 내부에 전극이 배치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극용 슬릿(17a, 17a)과, 이들 복수의 전극용 슬릿(17a)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위치 결정용 슬릿(17b, 17b)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극용 슬릿(17a) 및 위치 결정용 슬릿(17b)은 단자 홀더(16)의 코너부에 있어서 정면부로부터 바닥면에 걸쳐서 연속되는 홈 형상의 절입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자 홀더(16)의 2개의 위치 결정용 슬릿(17b)에는, 후술하는 전자 기기의 장착부에 마련된 접속 단자(56)의 위치 결정용 돌기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4개의 전극용 슬릿(17a)에는, 동일하게 접속 단자(56)의 전극이 각각 결합된다. 이 4개의 전극용 슬릿(17a)의 내측에 출력 단자(3)의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측 전극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출력 단자(3)의 각 배터리측 전극에 배터리 하우징(2)에 내 장된 배터리 셀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부 케이스(5)로 상부 케이스(4)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서로 중첩하고, 그와 같이 서로 중첩된 부분을 접합한다. 이 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열용착하여 접합해도 좋고, 또한 그 밖의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스(4)와 하부 케이스(5)가 일체화된 배터리 하우징(2)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 배터리 하우징(2)의 내부에 1 또는 2 이상의 전지 셀을 갖는 배터리 셀과, CPU나 RAM 및 ROM,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는 제어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다. 배터리 셀과 제어 회로 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출력 단자(3)와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단자(3)는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배터리 용량이나 특성 등의 정보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터리 장치(1)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배터리 장치(1)를 휴대용 전원으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촬상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하는 장치는, 촬상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 적용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이다.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는 자기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를 정보 기억 미디어로서 사용하고, 광학적인 화상을, 촬상 기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전하 결합 소자), CMOS 이미지 센서 등}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그 화상 정보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액 정 디스플레이 등의 평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23)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정보 기억 매체로서는, 이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자기 테이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DVD-R, DVD-RW, DVD-RAM, MO, FD 그 밖의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 기록 매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광 디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 디스크식 비디오 카메라로서 적용할 수 있고, 광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 자기 디스크식 스틸 카메라로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기 디스크식 전자 수첩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는 외관 형태를 구성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외장 케이스(21)와, 이 외장 케이스(21)의 내부에 수납되는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를 주행 구동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기입) 및 재생(판독)을 행하는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와, 이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의 구동 제어 등을 행하는 제어 회로와, 피사체의 상을 광으로서 취입하여 촬상 소자로 유도하는 렌즈 장치(22)와, 외장 케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표시 장치(2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21)는 중공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에 대향시켜 배치된 구동 장치측 패널(21A) 및 표시 장치측 패 널(21B)과, 양 패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하우징의 전방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방 패널(21C)과, 그 하우징의 후방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후방 패널(21D)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장 케이스(21)는 길이 방향(Y)을 전후 방향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폭 방향(X)으로 세워 올린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장 케이스(21)의 상부에 렌즈계의 촬상 렌즈인 대물 렌즈(24)를 정면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렌즈 장치(22)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장치(22)는 그 렌즈계의 광축을 수평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외장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장 케이스(21)의 내부에 있어서 렌즈 장치(22)의 후방부에 촬상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장치(22)의 후방에, 그 렌즈 장치(22)로부터 입력된 피사체의 화상을 나타내는 뷰 파인더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21)의 상부에는, 비디오 라이트나 외부 부착 마이크로 폰 등의 악세사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악세사리 슈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악세사리 슈는 뷰 파인더 장치(25)의 바로 앞에 배치되어 있고, 통상은 개구부를 개폐하는 슈 캡(2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덮여져 있다. 또한, 전방 패널(21C)에는 플래시 장치의 발광부(28)와, 스테레오 방식의 내장된 마이크로 폰(29)이 배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측 패널(21B)에는 표시 장치(23)가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3)는 도시하지 않은 평판 형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패널과, 이 평면 패널이 수납된 패널 케이스(31)와, 이 패널 케이스(31)를 표시 장치측 패널(21B)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 게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32)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 지지부(32)는 수직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패널 케이스(31)를 수평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 가능하게 한 수평 회전부와,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패널 케이스(31)를 전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회전 가능하게 한 전후 회전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23)는 표시 장치측 패널(21B)의 측면에 수납한 수납 상태와, 패널 케이스(31)를 90도 회전시켜 평면 패널을 후방으로 대향시킨 상태와, 그 상태로부터 패널 케이스(31)를 180도 회전시켜 평면 패널을 전방으로 대향시킨 상태와, 그들 중간 위치의 상태를 임의로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23)의 상방의 표시 장치측 패널(21B)의 측면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조작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측 패널(21A)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데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데크 커버(3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데크는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를 소정 위치로 반송하는 동시에,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의 회전 드럼 등에 로딩한 후, 그 자기 테이프를 소정의 속도로 주행시켜 정보 신호의 기록(기입) 및/또는 재생(판독)을 행하는 장치이다. 이 테이프 데크를 덮는 데크 커버(34)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를 겸하는 전원 스위치(35)와, 정지 화상의 촬영을 행하는 셔터 버튼(36)과, 소정의 범위 내에서 화상을 연속적으로 확대(원격) 또는 축소(와이드)시키는 줌 버튼(37)과, 데크 커버(34)의 로크와 그 로크 해제를 행하는 개폐 스위치(38)와, 동화상 촬영을 행하는 녹화 버튼(3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35)는 회전 조작에 의해 전원을 온ㆍ오프 절환하는 기능과, 전원을 온한 상태에서 회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기능 모드를 반복하도록 절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데크 커버(34)에는 핸드 벨트(5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드 벨트(51)에는 핸드 패드(42)가 장착되어 있다. 핸드 벨트(51) 및 핸드 패드(42)는 외장 케이스(21)를 잡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의 떨어뜨림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21)의 배면에는 휴대용 전원인 배터리 장치(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수납부인 장착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44)는 외장 케이스(21)의 배면의 대략 중앙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외장 케이스(21)의 배면을 구성하는 후방 패널(21D)에 있어서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방 패널(21D)의 우측에는 구동 장치측 패널(21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장치측 패널(21A)에는 녹화 버튼(3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패널(21D)의 좌측에는 표시 장치측 패널(21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 장치측 패널(21B)에는 플래시 장치의 발광 버튼(46)과 나이트 샷의 절환 스위치(47)가 배치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패널(21D)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 면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장착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44)는 배터리 장치(1)와 대략 동일한 크기[정확하게는, 폭 방향(X1)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지만, 길이 방향(Y1)의 길이는 배터리 장치(1)의 길이에, 그 길이 방향 일단부의 한 변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배터리 장치(1)를 회전시켜 개구 부(45) 내에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을 더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개구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45)는, 장착부(44)의 제2 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바닥면부(45a)와, 이 바닥면부(45a)의 길이 방향(Y1)의 일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4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1 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하면부(45b)와, 바닥면부(45a)의 길이 방향(Y1)의 다른 측으로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4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상면부(45c)와, 바닥면부(45a)의 길이 방향(Y1)과 직교하는 폭 방향(X1)의 일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4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좌측면부(45d)와, 바닥면부(45a)의 폭 방향(X1)의 다른 측으로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4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우측면부(45e)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45)는 길이 방향(Y1)을 상하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45c)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화장면부(48)가 형성되고, 그 상부 화장면부(48)에는 조작용 볼록부(66)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48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부(45e)의 하부로부터 하면부(45b)에 걸쳐지는 부분에는, 측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영역에 있어서 연속해서 돌출하도록 전개된 하부 화장면부(4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부(45b)의 대략 중앙에, 후술하는 접속 단자(56)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50)이 마련되어 있다. 끼워 맞춤 구멍(50)은 하면부(45b)로부터 시작되어 바닥면부(45a)의 중도부까지 연장된 연속되는 절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5)의 바닥면부(45a)에는, 후술하는 제1 훅부(61)가 관통되는 2개의 제1 관통 구멍(51a, 51b)과, 제2 훅부(62)가 관통되는 2개의 제2 관통 구멍(52a, 52b)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1 관통 구멍(51a, 51b)은 개구부(45)의 좌측면부(45d)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하면부(45b)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하측 관통 구멍(51a)이 배치되고, 그 제1 하측 관통 구멍(51a)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상측 관통 구멍(51b)이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관통 구멍(52a, 52b)은 개구부(45)의 좌측면부(45d)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하면부(45b)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2 하측 관통 구멍(52a)이 배치되고, 그 제2 하측 관통 구멍(52a)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2 상측 관통 구멍(52b)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51a, 51b)과 제2 관통 구멍(52a, 51b)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관통 구멍(51a, 51b)과 제2 관통 구멍(52a, 51b)은 제1 훅부(61) 및 제2 훅부(62)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45)의 길이 방향(Y1)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측 관통 구멍(51a)은, 도9의 (a) 내지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4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과 제2 결합편(7b) 사이에 마련된 제1 개구부(10a)에 대향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하측 관통 구멍(52a)은,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부(8)의 제1 결합편(8a)과 제2 결합편(8b) 사이에 설정된 제3 개구부(10c)에 대향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상측 관통 구멍(51b)은,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의 제2 결합편(7b)과 제3 결합편(7c) 사이에 설정된 제2 개구부(10b)에 대향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상측 관통 구멍(52b)은,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부(8)의 제2 결합편(8b)과 제3 결합편(8c) 사이에 설정된 제4 개구부(10d)에 대향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5)의 하단부의 양 코너부에는, 배터리 장치(1)를 위치 결정하여 결합 지지하는 2개의 돌기편(55a, 55b)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돌기편(55a, 55b)은, 바닥면부(45a)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하면부(45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장치(1)의 장착시, 제1 돌기편(55a)에는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이 결합되고, 제2 돌기편(55b)에는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부(8)의 제1 결합편(8a)이 결합된다. 이 제1 돌기편(55a)과 제2 돌기편(55b)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터리 장치(1)의 장착시, 그 출력 단자(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56)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56)는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의 출력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접속 단자(56)는 출력 단자(3)의 전극의 수에 대응한 수의 전극이며, 4개의 전극용 슬릿(17a)에 각각 삽입 가능하게 된 4개의 본체측 전극(57)과, 2개의 위치 결정용 슬릿(17b, 17b)에 각각 삽입 가능하게 된 2개의 가이드편(58)을 갖고 있다. 4개의 본체측 전극(57)은 장착부(44)의 폭 방향(X1)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편(58)이 설치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44)를 갖는 후방 패널(21D)의 배면에는 슬라이드 부재(60)가 배치되고, 그 배면에는 지지 플레이트 부재(64)가 배치되어 있 다. 슬라이드 부재(60)는, 후방 패널(21D)에 대해 장착부(44)의 길이 방향(Y1)인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는 후방 패널(21D)에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 부재(64)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0)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0)와 후방 패널(21D)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60)를 접속 단자(5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65)이 개재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60)는 개구부(45)의 바닥면부(45a)보다도 작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60a)와, 이 베이스부(60a)의 윗변에 연속해서 상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조작부(60b)로 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60a)의 일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훅부(61)와 제2 훅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훅부(61)는, 베이스부(60a)의 폭 방향(X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훅부(62)는 베이스부(60a)의 폭 방향(X1)의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훅부(61)는 조작부(60b)로부터 이격된 측에 위치하는 제1 훅편(61a)과, 조작부(60b)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2 훅편(6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제2 훅부(62)는 조작부(60b)로부터 이격된 측에 위치하는 제1 훅편(62a)과, 조작부(60b)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2 훅편(6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훅부(61)의 2개의 훅편(61a, 61b)은 베이스부(60a)의 길이 방향(Y1)으로 직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2 훅부(62)의 2개의 훅편(62a, 62b)은 베이스부(60a)의 길이 방향(Y1)으로 직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훅편(61a, 61b, 62a, 62b)은 베이스부(60a)의 길이 방향(Y1)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의 각 선단부에는, 조작부(60b)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갈고리부는 베이스부(60a)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적당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이 배면측으로부터 후방 패널(21D)의 4개의 관통 구멍(51a, 51b, 52a, 52b)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의 각 갈고리부의 선단부의 내면 및 외면에는,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 및 제2 결합부(8)와의 결합ㆍ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당한 크기를 갖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의 각 갈고리부에는, 배터리 장치(1)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에 각각 삽입되는 제1 판별용 볼록부(53a, 53b)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 54b)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판별용 볼록부(53a 내지 54b)는 각 갈고리부의 외면에 베이스부(60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4개의 판별용 볼록부(53a 내지 54b)는 장착부(44)에 장착 가능한 제1 배터리 장치(1)와 그렇지 않은 제2 배터리 장치를 판별하는 역할을 갖고 있고, 제1 배터리 장치(1)는 장착 가능하지만, 외형이 대략 동일하며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를 갖고 있지 않은 제2 배터리 장치는 장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제1 판별용 볼록부(53a)를 갖는 제1 훅부(61)의 제1 훅편(61a)은 도9의 (a) 내지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4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의 제2 결합편(7b)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제2 판별용 오목부(9a)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판별용 볼록부(53b)를 갖는 제1 훅부(61)의 제2 훅편(61b)은, 배터리 장치(1)의 제1 결합부(7)의 제3 결합편(7c)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제2 판별용 오목부(9b)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판별용 볼록부(54a)를 갖는 제2 훅부(62)의 제1 훅편(62a)은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부(8)의 제2 결합편(8b)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a)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판별용 볼록부(54b)를 갖는 제2 훅부(62)의 제2 훅편(62b),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부(8)의 제3 결합편(8c)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b)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판별용 볼록부(53a 내지 54b)는 본 출원의 볼록부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이 4개의 관통 구멍(51a, 51b, 52a, 52b)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상태를 도7에 도시하고 있다. 이 삽입 관통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60)의 조작부(60b)에 마련한 조작용 볼록부(66)가 후방 패널(21D)의 상부 화장면부(48)에 마련한 삽입 관통 구멍(48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이에 의해 조작용 볼록부(66)의 선단부가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용 볼록부(66)는 4개의 훅편(61a 내지 62b)과 동일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0)의 베이스부(60a)에는, 코일 스프링(65)을 수용하기 위한 긴 구멍(67)과,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창(68)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60a)의 긴 구멍(67)의 길이 방향(Y1)의 일측에는, 코일 스프링(65)의 일단부가 착좌되는 슬라이드측의 스프링 받이편(6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긴 구멍(67)의 길이 방향(Y1)의 다른 측에는, 스프링 받이편(69)과 대향하도록 설치한 후방 패널(21D)측의 스프링 받이부(71)가 삽입된다. 스프링 받이부(71)는 후방 패널(21D)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받이부(71)와 스프링 받이편(69) 사이에 코일 스프링(65)이 압축된 상태에서 개재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0)는 접속 단자(5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항상 압박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는 후방 패널(21D)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부재(6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코일 스프링(65)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는 후방 패널(21D)보다는 작지만, 슬라이드 부재(60)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 나사에 의해 후방 패널(21D)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 부재(64)에는 복수의 설치 브래킷(64a)과 고정부(64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착부(44)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우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패널(21D)의 배면에 슬라이드 부재(60)를 면하게 하는 동시에, 이 슬라이드 부재(60)를 끼우도록 그 배면에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를 배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0)의 베이스부(60a)의 일면에 돌출시킨 4개의 훅편(61a, 61b, 62a, 62b)을 후방 패널(21D)의 개구부(45) 내에 마련한 4개의 관통 구멍(51a, 51b, 52a, 52b)에 배면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관 통시킨다. 이에 의해, 4개의 훅편(61a 내지 62b)의 끝부가 각각 개구부(45) 내에 돌출되고, 각 갈고리부의 내면과 개구부(45)의 바닥면부(45a)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60)의 조작부(60b)의 끝부에 마련한 조작용 볼록부(66)를 후방 패널(21D)의 개구부(45)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화장면부(48)에 마련한 삽입 관통 구멍(48a)에 삽입 관통하여 관통시킨다. 다음에, 후방 패널(21D)의 스프링 받이부(71)와 슬라이드 부재(60)의 스프링 받이편(69) 사이에 코일 스프링(65)을 개재시킨다. 그 후,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를 슬라이드 부재(60)에 서로 중첩하여, 고정 나사로 지지 플레이트 부재(64)를 후방 패널(21D)에 체결 고정한다. 이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 부재(64)와 후방 패널(21D) 사이에 슬라이드 부재(6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0)는,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접속 단자(5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장착부(44)의 조립이 완료되고, 후방 패널(21D)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장착부(44)에 대한 배터리 장치(1)의 착탈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도9의 (a)는 장착부(44)를 정면으로부터 본 후방 패널(21D)의 설명도이며, 도9의 (b)는 배터리 장치(1)의 삽입 개시시의 상태, 도9의 (c)는 배터리 장치(1)의 삽입 완료시의 로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9의 (b) 및 도9의 (c)에 있어서, 제2 결합부(8)의 3개의 결합편(8a, 8b, 8c)과 제2 훅부(62)의 2개의 훅편(62a, 62b) 및 제2 돌기편(55b)과의 결합 관계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 결합부(7)의 3개의 결합편(7a, 7b, 7c)과 제1 훅부(61)의 2개의 훅편(61a, 61b) 및 제1 돌기편(55a)과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 결합부(7)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쪽의 세트[제1 결합부(7) 등]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쪽 세트[제2 결합부(8) 등]의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배터리 장치(1)를 장착부(44)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44)의 개구부(45)의 밑변에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측의 정면부를 면하게 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의 제1 면의 폭 방향(X)의 양측에 설치한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 및 제2 결합부(8)의 제1 결합편(8a)을, 개구부(45)의 밑변의 양 모서리부에 마련한 제1 돌기편(55a) 및 제2 돌기편(55b)에 각각 걸도록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 있어서, 2개의 돌기편(55a, 55b)과의 접촉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배터리 장치(1)를 장착부(44)에 근접시키도록 회전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의 제2 결합편(7b)이 제1 훅편(61a)에 근접하고, 제3 결합편(7c)이 제2 훅편(61b)에 접근하고, 제2 결합편(7b)이 제1 훅편(61a)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더욱 배터리 장치(1)를 회전시켜 개구부(45) 내에 압입하도록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2 결합편(7b)이 제1 훅편(61a)을 접속 단자(56)측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결합편(7b)이 제1 훅편(61a)을 타고 넘으면, 다음에 제3 결합편(7c)이 제2 훅편(61b)에 접촉한다. 그리고, 제3 결합편(7c)이 제2 훅편(61b)을 타고 넘으면, 배터리 장치(1)가 개구부(45)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배터리 장치(1)의 제2 면인 하면부(5a)가 장착부(44)의 제2 면인 바닥면부(45a)에 접촉된다.
그 결과,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가 장착부(44)의 접속 단자(56)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터리 장치(1)의 전력이 출력 단자(3)로부터 접속 단자(56)를 경유하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의 조작이 가능해지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 매체를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정보를 표시 장치(23)로 보거나 하는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치(1)의 제1 단차면(6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오목부(9a)에는, 제1 훅부(61)의 제1 훅편(61a)에 마련한 제1 판별용 볼록부(53a)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2 단차면(6b)에 마련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a)에는, 제2 훅부(62)의 제1 훅편(62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볼록부(54a)가 삽입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의 제1 단차면(6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오목부(9b)에는, 제1 훅부(61)의 제2 훅편(61b)에 마련한 제1 판별용 볼록부(53b)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2 단차면(6b)에 마련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b)에는, 제2 훅부(62)의 제2 훅편(62b)에 마련한 제2 판별용 볼록부(54b)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훅편(61a)과 제2 훅편(61b)이 프리한 상태가 되므로,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0)가 접속 단자(5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 결과,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훅편(61a)이 제2 결합편(7b)에 결합되고, 제2 훅편(61b)이 제3 결합편(7c)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훅부(62)에서는 제1 훅편(62a)이 제2 결합편(8b)에 결합되고, 제2 훅편(62b)이 제3 결합편(8c)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4개의 결합편(7b, 7c, 8b, 8c)에 결합하는 4개의 훅편(61a, 61b, 62a, 62b)에 의해 배터리 장치(1)가 로크되어 장착부(44)에 고정된다.
이에 대해, 장착부(44)에 장착하고자 하는 배터리 장치가,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에, 장착부(44)의 제1 판별용 볼록부(53a, 53b)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 54b)에 대응한,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배터리 장치를 장착부(44)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리하여, 배터리 장치(1)에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를 마련하고, 또한 장착부(44)에 이들에 대응하는 제1 판별용 볼록부(53a, 53b)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 54b)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종류가 더 증가해도, 배터리 장치(1)의 제1 판별용 오목부(15a, 15b)의 형상을 더욱 복잡하게 형성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장착부(4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도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용 볼록부(66)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개방측으로 조작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조작용 볼록부(66)를 압박 조작하 여,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60)를 접속 단자(56)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4개의 훅편(61a, 61b, 62a, 62b)이 4개의 결합편(7b, 7c, 8b, 8c)으로부터 이탈되는 곳까지 슬라이드 부재(60)를 이동시킴으로써 배터리 장치(1)의 취출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와 반대측 단부를 일으켜 세워, 2개의 돌기편(55a, 55b)에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제1 결합편(7a, 8a)을 중심으로 배터리 장치(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터리 장치(1)를 장착부(44)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의 (a)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관한 장착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장착부(74)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장착부(44)와 다른 점은, 제1 훅부(81) 및 제2 훅부(82)를 후방 패널(73)의 개구부(75)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장착부(74)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77)를 설치한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후방 패널(73)의 개구부(75)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장착부(74)의 제2 면인 바닥면부(75a)와, 이 바닥면부(75a)의 길이 방향(Y1)의 일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4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1 면인 하면부(75b)와, 바닥면부(75a)의 길이 방향(Y1)과 직교하는 폭 방향(X1)의 일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7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좌측면부(75d)와, 바닥면부(75a)의 폭 방향(X1)의 다른 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7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우측면부(75e) 를 갖고 있다. 이 바닥면부(75a)와 하면부(75b)와 좌측면부(75d) 및 우측면부(75e)에 의해 장착부(74)를 위한 개구부(75)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75)는, 길이 방향(Y1)을 상하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후방 패널(73)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훅부(81)는 접속 단자(56)측에 위치하는 제1 훅편(81a)과, 이 제1 훅편(81a)과의 사이에 길이 방향(Y1)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훅편(81b)을 갖고 있다. 제1 훅편(81a)은 후방 패널(73)의 좌측면부(75d)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훅편(81a)의 접속 단자(56)측에 제1 돌기편(55a)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훅부(82)는 접속 단자(56)측에 위치하는 제1 훅편(82a)과, 이 제1 훅편(82a)과의 사이에 길이 방향(Y1)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훅편(82b)을 갖고 있다. 제1 훅편(82a)은 후방 패널(73)의 우측면부(75e)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훅편(82a)의 접속 단자(56)측에 제2 돌기편(55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훅부(81)의 제2 훅편(81b)은 개구부(75)의 바닥면부(75a)로부터 좌측면부(75d)로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훅부(82)의 제2 훅편(82b)은 개구부(75)의 바닥면부(75a)로부터 우측면부(75e)로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훅편(81a, 81b, 82a, 82b)과 좌우의 돌기편(55a, 55b)에 관련하여 바닥면부(75a)에는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기 위한 주물 구멍(cast hole)(7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돌기편(55b)과 접속 단자(56)용 끼워 맞춤 구멍(50) 사이에는, 배터리 장치(1)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용 돌기 부(7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훅편(81a 내지 82b)의 각 갈고리부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에 각각 삽입되는 판별용 볼록부(53a, 53b, 54a, 54b)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판별용 볼록부(53a 내지 54b)는 각 갈고리부의 외면에 바닥면부(75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77)는 장착부(74)의 하면부(75b)와 반대측에서 우측면부(75e)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77)는, 장착부(7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장치(1)의 길이 방향(Y1)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77a)와, 이 스토퍼부(77a)에 연속되는 동시에 개구부(75)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77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77)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압박되어 있고, 이 때 스토퍼부(77a)가 배터리 장치(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 장치(1)의 이동을 저지하여 장착부(74)로부터의 발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조작부(77b)를 압박하여 스토퍼부(77a)를 후퇴시킴으로써, 스토퍼부(77a)의 표면이 바닥면부(75a)와 동일면으로 압하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의 길이 방향(Y1)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착부(74)에 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의 착탈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도11의 (a)는, 장착부(44)를 정면으로부터 본 후방 패널(73)의 설명도이며, 도11의 (b)는 배터리 장치(1)의 삽입 개시시의 상태, 도11의 (c)는 배터리 장치(1)의 삽입 완료시의 로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11의 (b) 및 도11의 (c)에 있어서, 제2 결합부(8)의 3개의 결합편(8a, 8b, 8c)과 제2 훅부(82)의 2개의 훅편(82a, 82b) 및 제2 돌기편(55b)과의 결합 관계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 결합부(7)의 3개의 결합편(7a, 7b, 7c)과 제1 훅부(81)의 2개의 훅편(81a, 81b) 및 제1 돌기편(55a)과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 결합부(7)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쪽 세트[제1 결합부(7) 등]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쪽 세트[제2 결합부(8) 등]의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배터리 장치(1)를 장착부(74)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74)의 개구부(75)의 상측[접속 단자(56)의 반대측]에 있어서, 바닥면부(75a)에 배터리 장치(1)의 하면부(5a)를 대략 평행하게 하여 면하게 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를 스토퍼 부재(7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압입하고,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과 제2 결합편(7b) 사이의 제1 개구부(10a)에 제1 훅부(81)의 제1 훅편(81a)을 삽입한다. 동시에, 제1 결합부(7)의 제2 결합편(7b)과 제3 결합편(7c) 사이의 제2 개구부(10b)에 제1 훅부(81)의 제2 훅편(81b)을 삽입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의 제2 면인 하면부(5a)가 장착부(74)의 제2 면인 바닥면부(75a)에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1 단차면(6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오목부(9a)에는, 제1 훅부(81)의 제1 훅편(81a)에 마련한 제1 판별용 볼록부(53a)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2 단차면(6b)에 마련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a)에는, 제2 훅부(82)의 제1 훅편(82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볼록부(54a)가 삽입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의 제1 단차면(6a)에 마련한 제2 판별용 오목부(9b)에는, 제1 훅부(81)의 제2 훅편(81b)에 마련한 제1 판별용 볼록부(53b)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의 제2 단차면(6b)에 마련한 제3 판별용 오목부(13b)에는, 제2 훅부(82)의 제2 훅편(82b)에 마련한 제2 판별용 볼록부(54b)가 삽입된다.
계속해서, 배터리 장치(1)를 접속 단자(561)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도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훅부(81)에서는 제2 결합편(7b)이 제1 훅편(81a)에 결합되고, 제3 결합편(7c)이 제2 훅편(81b)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훅부(82)에서는 제2 결합편(8b)이 제1 훅편(82a)에 결합되고, 제3 결합편(8c)이 제2 훅편(82b)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4개의 결합편(7b, 7c, 8b, 8c)에 결합하는 4개의 훅편(81a, 81b, 82a, 82b)에 의해 배터리 장치(1)가 로크된다. 이와 동시에, 스토퍼 부재(77)가 외측으로 압박됨으로써 스토퍼부(77a)가 배터리 장치(1)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스토퍼부(77a)가 배터리 장치(1)의 제3 단차면(6c)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의 길이 방향(Y1)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배터리 장치(1)의 장착부(74)로부터의 발출이 방지된다.
이 때,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가 장착부(74)의 접속 단자(56)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터리 장치(1)의 전력이 출력 단자(3)로부터 접속 단자(56)를 경유하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의 조작이 가능해지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 매체를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촬영 정보를 표시 장치(23)로 보는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74)에 장착하고자 하는 배터리 장치가, 제1 단차면(6a) 및 제2 단차면(6b)에, 장착부(74)의 제1 판별용 볼록부(53a, 53b)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 54b)에 대응한, 제2 판별용 오목부(9a, 9b)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 13b)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배터리 장치를 장착부(74)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리하여, 이 실시예의 장착부(74)는, 종래의 판별용 돌기부(79)에 부가하여, 제1 판별용 볼록부(53a, 53b)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 54b)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의 종류가 더 증가해도, 판별용 돌기부(79)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1)는 제1 실시예의 장착부(44)뿐만 아니라, 장착 구조가 다른 제2 실시예의 장착부(74)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장착부(7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도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77b)를 사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개방측으로 조작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조작부(77b)를 압박 조작하여,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토퍼 부재(77)의 스토퍼부(77a)의 표면을 바닥면부(75a)와 동일면까지 압하한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 장치(1)를 4개의 결합편(7b, 7c, 8b, 8c)이 4개의 훅편(81a, 81b, 82a, 82b)으로부터 이탈되는 부분까지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4개의 결합편(7b, 7c, 8b, 8c)과 4개의 훅편(81a, 81b, 82a, 82b)에 의한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배터리 장치(1)의 취출이 가능해진다. 이 때, 배터리 장치(1)의 출력 단자(3)가 접속 단자(56)로부터 제거되어, 배터리 장치(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0)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를 개구부(75)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인발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를 취출할 수 있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A)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가 다른 점은, 제2 판별용 오목부(9A)를, 제1 단차면(6aA)의 코너부를 출력 단자(3)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을 따라 소정 길이(R)를 갖고 모따기하여 마련하고, 마찬가지로 제3 판별용 오목부(13A)를, 제2 단차면(6bA)의 코너부를 출력 단자(3)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을 따라 소정 길이(R)를 갖고 모따기하여 마련한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와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판별용 오목부(9A)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의 길이 방향(Y)의 길이(R)는, 출력 단자(3)측의 일단부로부터 제3 리브(11c, 12c)가 위치하는 곳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 혹은 그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의 길이(R)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2 판별용 오목부(9A)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R)를 바꾸어 비대칭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1 단차면(6aA) 및 제2 단차면(6bA) 중 어느 한쪽에 제2 판별용 오목부(9A) 또는 제3 판별용 오목부(13A)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1 단차면(6aA) 및 제2 단차면(6bA)의 코너부의 모따기의 깊이를 다양하게 변경해도 좋다.
도14 및 도15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A)에 대응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관한 장착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장착부(74A)와 상기 제2 실시예에 관한 장착부(74)와 다른 점은, 제1 훅부(81A) 및 제2 훅부(82A)의 각 갈고리부에 마련한 제1 판별용 볼록부(53aA, 53bA) 및 제2 판별용 볼록부(54aA, 54bA)의 형상을, 배터리 장치(1A)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 및 제3 판별용 오목부(13A)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한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에 관한 장착부(74)와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훅부(81A)의 제1 훅편(81aA) 및 제2 훅편(81bA)의 측면에는 배터리 장치(1A)의 제2 판별용 오목부(9A)의 경사 각도에 대응한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판별용 볼록부(53aA, 53bA)의 측면에는, 제1 훅부(81A)의 측면의 경사면에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훅부(82A)의 제1 훅편(82aA) 및 제2 훅편(82bA)의 측면에는, 배터리 장치(1A)의 제3 판별용 오목부(13A)의 경사 각도에 대응한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판별용 볼록부(54aA, 54bA)의 측면에는, 제2 훅부(82A)의 측면의 경사면에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16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A)에 대응한 본 발명 의 전자 기기에 관한 장착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관한 장착부(104)는 중공의 배터리 홀더(103)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104)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장착부(104)의 제2 면인 바닥면부(105a)와, 이 바닥면부(105a)의 길이 방향(Y2)의 일측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10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1 면을 갖는 하면부(105b)와, 하면부(105b)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 하면부(105b)와 동일 형상으로 개방된 개구면(105c)과, 바닥면부(105a)의 길이 방향(Y2)과 직교하는 폭 방향(X2)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좌측 단차면(107a)을 갖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10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좌측면부(105d)와, 바닥면부(105a)의 폭 방향(X2)이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된 우측 단차면(107b)을 갖고 또한 상기 바닥면부(105a)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우측면부(105e)와, 바닥면부(105a)와 대향하고 또한 하면부(105b)와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연속된 정면부(105f)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정면부(105f)의 좌측면부(105d)가 교차하는 코너부 및 정면부(105f)의 우측면부(105e)가 교차하는 코너부는 각각 곡률 반경이 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바닥면부(105a), 하면부(105b), 개구면(105c), 좌측면부(105d), 우측면부(105e) 및 정면부(105f)에 의해 장착부(104)가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104)는 길이 방향(Y2)을 상하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배터리 홀더(10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단차면(107a)과 우측 단차면(107b)은 바닥면부(105a)로부터의 높이 방향(Z2)의 길이(높이)가 배터리 장치(1A)의 제1 단차면(6aA) 및 제2 단차면(6bA)과 대략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 단차면(107a)과 우측 단차면(107b) 은 바닥면부(105a)에 대해 각각이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104)는 바닥면부(105a)의 폭 방향(X2)의 일측과 좌측 단차면(107a)의 폭 방향(X2)의 일측을 접속하고 또한 바닥면부(105a)와 좌측 단차면(107a)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좌측 접속면(106a)과, 바닥면부(105a)의 폭 방향(X2)의 다른 측과 우측 단차면(107b)의 폭 방향(X2)의 일측을 접속하고 또한 바닥면부(105a)와 우측 단차면(107b)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우측 접속면(106b)을 마련하고 있다.
좌측 접속면(106a)은 하면부(105b)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2)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속해서 형성된 제1 훅부(111)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훅부(111)는 좌측 접속면(106a)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접속면(106b)은 하면부(105b)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2)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속해서 형성된 제2 훅부(11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훅부(112)는 우측 접속면(106b)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단차면(107a)과 좌측면부(105d)가 교차하는 코너부에는, 하면부(105b)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2)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 제1 판별용 볼록부(113)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제1 판별용 볼록부(113)는 좌측 단차면(107a)과 좌측면부(105d)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단차면(107b)과 우측면부(105e)가 교차하는 코너부에는, 하면부(105b)측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Y2)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속해서 일 체로 형성된 제2 판별용 볼록부(114)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제2 판별용 볼록부(114)는 우측 단차면(107b)과 우측면부(105e)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착부(104)에 대한 배터리 장치(1A)의 착탈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우선, 배터리 장치(1A)를 장착부(104)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장착부(104)의 상측에 있어서, 배터리 장치(1A)의 제1 면인 정면부(5b)를 장착부(104)의 개구면(105c)을 향해 면하게 한다. 그리고, 배터리 장치(1A)의 제1 결합부(7)를 제1 훅부(111)에 결합시키고,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치(1A)의 제2 결합부(8)를 제2 훅부(112)에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제1 훅부(111) 및 제2 훅부(112)를 따라 배터리 장치(1A)를 출력 단자(3)와 접속 단자(56)가 결합될 때까지 장착부(104)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1 훅부(111)와, 배터리 장치(1A)의 제1 결합부(7)의 제1 결합편(7a), 제2 결합편(7b), 제3 결합편(7c)이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훅부(112)와, 배터리 장치(1A)의 제2 결합부(8)의 제1 결합편(8a), 제2 결합편(8b), 제3 결합편(7c)이 결합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A)의 높이 방향(Z2)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방향(Z2)의 치수가 배터리 장치(1A)보다도 긴 장착부(104A)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1A)의 출력 단자(3)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제3 리브(11c, 12c)의 돌출량(폭)은, 제3 결합편(7c, 8c)의 돌출량(폭)(N)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1A)를 배면부로부터 장착부(104)에 삽 입한 경우, 제3 리브(11c, 12c)가 제1 훅부(111) 및 제2 훅부(112)에 접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장치(1A)의 삽입 배향이 잘못된 것을 순시에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장착부(104)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1A)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착부(104)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배터리 장치(1A)의 일부를 잡고 상방으로 인발함으로써, 배터리 장치(1A)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장치 취출부에 의해 배터리 장치(1A)를 장착부(104)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취출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터리 장치(1A)에 의해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장치(1)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배터리 장치의 종류가 더 증가해도, 배터리 장치(1)의 제1 판별용 오목부(15a, 15b)의 형상을 더욱 복잡하게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치(1A)는 장착 구조가 다른 장착부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어, 배터리 장치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에 따르면,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가 상이한 장착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배터리 장치의 종류의 판별을 행할 수 있어, 1개의 배터리 장치를 복수의 전자 기기에 이용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1개의 배터리 장치를 1개의 전자 기기에 전용 부품으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장치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소정의 배터리 장치를 소정의 전자 기기에 이용하여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 다. 또한, 볼록부의 길이, 폭, 위치를 바꿈으로써, 복수 단계의 종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의 구체예로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아날로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자 스틸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전자 사전, DVD 플레이어, 차량 네비게이션 그 밖의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터리 장치에는 6개의 결합편을 설치하고, 장착부에는 4개의 훅편 또는 2개의 훅부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결합편, 훅편 및 훅부의 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닥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2의 (a)는 바닥면도, 도2의 (b)는 좌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3의 (a)는 정면도, 도3의 (b)는 배면도, 도3의 (c)는 도2의 (b)의 D-D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일 구체예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일 구체예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일 구체예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배면도.
도7은 도4에 도시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장착부를 갖는 후방 패널의 사시도.
도8은 도4에 도시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장착부를 갖는 후방 패널, 슬라이드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도7에 도시한 후방 패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9의 (a)는 후방 패널의 정면도, 도9의 (b)는 배터리 장치의 장착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9의 (c)는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촬상 장치에 관한 장착부를 갖는 후방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한 후방 패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11의 (a)는 후방 패널의 정면도, 도11의 (b)는 배터리 장치의 장착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의 (c)는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촬상 장치에 관한 장착부를 갖는 후방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도14에 도시한 후방 패널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터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14의 U-U선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관한 장착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7은 배터리 장치보다도 높이 방향(Z2)의 치수가 충분히 긴 제4 실시예에 관한 장착부에 배터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배터리 장치
2 : 배터리 하우징
3 : 출력 단자
4 : 상부 케이스
5 : 하부 케이스
5a : 하면부(제2 면)
5b : 정면부(제1 면)
6a, 6aA, 6b, 6bA, 6c : 단차면
7 : 제1 결합부
8 : 제2 결합부
7a, 8a : 제1 결합편
7b, 8b : 제2 결합편
7c, 8c : 제3 결합편
9, 9A : 제2 판별용 오목부(오목부)
13, 13A : 제3 판별용 오목부(오목부)
20 :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전자 기기)
21 : 외장 케이스(케이스 본체)
21D, 73 : 후방 패널
44, 74, 74A, 104, 104A : 장착부
53a, 53aA, 53bA, 53bA, 113 : 제1 판별용 볼록부(볼록부)
54a, 54aA, 54b, 54ba, 114 : 제2 판별용 볼록부(볼록부)
55a, 55b : 돌기편
56 : 접속 단자
60 : 슬라이드 부재
61, 81, 81A, 111 : 제1 훅부
62, 82, 82A, 112 : 제2 훅부
61a, 62a, 81a, 81aA, 82a, 82aA : 제1 훅편
61b, 62b, 81b, 81bA, 82b, 82bA : 제2 훅편
X, X1, X2 : 폭 방향
Y, Y1, Y2 : 길이 방향
Z, Z1, Z2 : 높이 방향

Claims (8)

  1. 배터리가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적어도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출력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2 면과,
    상기 제2 면의 상기 폭 방향의 일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1 단차면과,
    상기 제2 면의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홈부와,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의 각 면에 각각 대략 대칭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모따기하도록 소정 길이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5. 배터리 셀이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을 갖는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의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2 면과,
    상기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 우징에 설치된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훅부와,
    상기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2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훅부를 갖고,
    상기 제1 훅부 및 상기 제2 훅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훅부 및 상기 제2 훅부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훅부 및 상기 제2 훅부는 상기 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 장치와,
    상기 배터리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전자 기기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시스템이며,
    상기 배터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내장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적어도 배터리측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출력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측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배터리측 제2 면과,
    상기 배터리측 제2 면의 상기 폭 방향의 일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1 단차면과,
    상기 배터리측 제2 면의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소정의 단차를 갖고 연속되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제2 단차면과,
    상기 배터리측 제2 면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1 결합부와,
    상기 배터리측 제2 면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측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로 돌출된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1 홈부와,
    상기 제2 단차면과 상기 제2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2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전자 기기측 제1 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의 상기 배터리 셀의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자 기기측 제1 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전자 기기측 제2 면과,
    상기 전자 기기측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1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훅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 제2 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설치된 제2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훅부를 갖고,
    상기 제1 훅부 및 상기 제2 훅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0070085872A 2006-08-28 2007-08-27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KR101318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0797A JP4245017B2 (ja) 2006-08-28 2006-08-28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JP-P-2006-00230797 2006-08-28
JP2008259984A JP4992877B2 (ja) 2006-08-28 2008-10-06 バッテリー装置
JP2012043217A JP5425248B2 (ja) 2006-08-28 2012-02-29 バッテリー装置
JP2012158432A JP5482834B2 (ja) 2006-08-28 2012-07-17 バッテリ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555A true KR20080019555A (ko) 2008-03-04
KR101318538B1 KR101318538B1 (ko) 2013-10-16

Family

ID=4989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872A KR101318538B1 (ko) 2006-08-28 2007-08-27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8) US7989101B2 (ko)
JP (4) JP4245017B2 (ko)
KR (1) KR101318538B1 (ko)
CN (2) CN101136463B (ko)
TW (1) TW2008327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515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7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245017B2 (ja) *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US11196121B2 (en) 2006-08-28 2021-12-07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JP5373440B2 (ja) * 2008-04-10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装着機構
JP3160044U (ja) 2010-03-29 2010-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CN102376915A (zh) * 2010-08-24 2012-03-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池锁定装置
CN201867701U (zh) * 2010-11-26 2011-06-1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JP5966591B2 (ja) 2012-05-15 2016-08-10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USD772804S1 (en) * 2013-09-05 2016-11-29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DE102014217669A1 (de) * 2014-09-04 2016-03-10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Drahtlos-Kameraempfänger und Akkumulator für einen Drahtlos-Kameraempfänger
EP3745496A1 (en) * 2014-12-12 2020-12-02 Black & Decker Inc. Transport system for battery pack
JP6332009B2 (ja) * 2014-12-18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AU2015370680A1 (en) * 2014-12-23 2017-08-03 Pz Cussons (International) Ltd A cap for a container for a post-foaming gel cleansing composition
CN106369160B (zh) * 2016-01-28 2018-11-02 广东鸿宝科技有限公司 锂电池注液生产用压力容器
CN107799681B (zh) * 2016-09-01 2022-07-12 康塔有限公司 可再充电电池组
JP6418257B2 (ja) * 2017-01-25 2018-11-07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6191795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US10615384B2 (en) * 2017-02-10 2020-04-07 Sony Corporation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JP6191796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USD938903S1 (en) * 2017-04-18 2021-12-21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JP6555305B2 (ja) * 2017-08-08 2019-08-07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CN107452915A (zh) * 2017-09-18 2017-12-0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安装结构及电源装置
KR102184368B1 (ko) * 2017-12-11 2020-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7035802B2 (ja) * 2018-05-23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保持構造
JP1643514S (ja) * 2018-09-18 2019-10-15 電子タバコ用カートリッジ
JP1643249S (ja) * 2018-09-18 2019-10-15 電子タバコ用カートリッジ
JP1650676S (ko) * 2019-02-15 2020-01-20
JP7263687B2 (ja) * 2019-07-09 2023-04-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TWI743756B (zh) * 2020-04-24 2021-10-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池組件及包含其之電子裝置
AT525516B1 (de) * 2021-10-06 2023-08-15 Smartiq Innovation Tech Gmbh Batteriestapel mit wenigstens zwei Batteriemodulen und 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61A (en) * 1889-12-24 Arthur w
US425479A (en) * 1890-04-15 Flue-stop
US362424A (en) * 1887-05-03 William bureows
JPS5857071U (ja) 1981-10-13 1983-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電池の収納装置
JPS62140669A (ja) 1985-12-13 1987-06-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部品の封止用樹脂塗布装置
JPS63118162U (ko) * 1987-01-27 1988-07-30
JPS6456874A (en) * 1987-03-27 1989-03-03 Canon Kk Microwave plasma cvd device
JPH01155654A (ja) 1987-12-11 1989-06-19 Nec Corp 相補型集積回路
GB8820230D0 (en) 1988-08-25 1988-09-28 Steeper Hugh Ltd Battery & battery receptacle arrangement
JP2669110B2 (ja) 1990-06-06 1997-10-27 凸版印刷株式会社 露光装置
US5436088A (en) 1994-05-02 1995-07-25 Motorola, Inc. Battery cradle
US5506322A (en) 1991-01-28 1996-04-09 Toyoda Gosei Co., Ltd. Acrylic rubber composition and rubber hose obtained using the same
JP3398389B2 (ja) * 1991-05-17 2003-04-21 ソニー株式会社 電極装置
JP3427900B2 (ja) 1992-01-28 2003-07-2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US5180644A (en) 1992-03-09 1993-01-19 Motorola, Inc. Weldless battery pack
JP3089830B2 (ja) * 1992-05-29 2000-09-1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A2408978C (en) * 1992-05-29 2004-12-28 Sony Corporation Battery cartridge having hollow electrodes and a recess for detecting misuse and/or recessed terminals
US5227262A (en) * 1992-07-08 1993-07-13 Yaacov Ozer Universal camcorder battery pack
AU116519S (en) * 1992-08-07 1993-03-16 Sony Corp A rechargeable battery
JP3416962B2 (ja) 1992-09-18 2003-06-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TW243558B (ko) 1993-03-23 1995-03-21 Whitaker Corp
US5338970A (en) 1993-03-24 1994-08-16 Intergraph Corporation Multi-layered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improved high frequency performance
KR0110012Y1 (en) * 1993-07-27 1997-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connector for a camcorder
GB2317062B (en) 1993-08-10 1998-04-22 Whitaker Corp Extended height connector for a battery
JPH07113855A (ja) 1993-10-14 1995-05-02 Oki Electric Ind Co Ltd 電池種別検出装置
JP3637625B2 (ja) 1994-04-08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が装着される電子機器
US5626979A (en) * 1994-04-08 1997-05-06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JPH07312212A (ja) 1994-05-18 1995-11-28 Toshiba Battery Co Ltd 充・放電型電池
JP2711223B2 (ja) 1994-07-29 1998-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接続構造
JPH08139979A (ja) * 1994-11-14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テリー着脱装置
JP3644722B2 (ja) 1995-05-26 2005-05-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液体ガスケットシール構造
JP3652410B2 (ja) 1995-07-12 2005-05-25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3376569B2 (ja) 1995-08-31 2003-02-1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電子機器のバッテリー着脱機構
JP3575646B2 (ja) * 1995-12-06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ツテリーパツク
JP3405633B2 (ja) * 1996-03-19 2003-05-12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用装置及びバッテリロック機構
JPH09330741A (ja) 1996-06-07 1997-12-22 Oki Electric Ind Co Ltd 接続機器識別構造
US5883787A (en) 1997-04-10 1999-03-16 Ericsson, Inc.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JP3576767B2 (ja) * 1997-09-18 2004-10-13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レイケム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に内蔵されるptc素子
US6127063A (en) 1998-01-26 2000-10-03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oration Intelligent battery and well interface
US6261715B1 (en) 1998-03-12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attery attach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s
JP3667982B2 (ja) * 1998-03-19 2005-07-06 Smk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JP3947949B2 (ja) * 1998-04-06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を使用する電子機器
KR100413026B1 (ko) 1998-04-30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어셈블리
US6157545A (en) 1998-05-14 2000-12-05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with end projections
USD417861S (en) * 1998-05-29 1999-12-21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USD535253S1 (en) 1998-06-17 2007-01-16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terminal and housing
US6068946A (en) 1998-08-02 2000-05-30 Motorola, Inc. Dual cover battery casing
US6057608A (en) 1998-08-13 2000-05-02 Black & Decker Inc. Cordless power tool system
TW395568U (en) 1998-12-28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JP4110656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10657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52496B2 (ja) 1999-03-12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充電装置
JP3110728B1 (ja) 1999-05-06 2000-11-20 同和鉱業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正極
USD425479S (en) * 1999-09-15 2000-05-23 Enity Technology Limited Battery pack
JP2001351592A (ja) 2000-06-06 2001-12-21 Makita Corp 充電式電動工具
US6524370B2 (en) * 2000-07-28 2003-02-25 The Boc Group, Inc. Oxygen production
WO2003010839A1 (en) * 2001-07-24 2003-02-06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mounting of mounting part on main body device, mounting part and battery pack used for this
JP3925120B2 (ja) 2001-07-24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JP3888105B2 (ja) 2001-08-31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US7001209B2 (en) 2001-07-25 2006-02-21 Sony Corporation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JP3705168B2 (ja) 2001-07-25 2005-10-1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着用端子構造
US6729413B2 (en)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JP3678188B2 (ja) * 2001-10-09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充電装置
USD473186S1 (en) * 2002-07-09 2003-04-15 Symbol Technologies, Inc. Battery for a mobile terminal
JP2004298456A (ja) 2003-03-31 2004-10-28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5100689A (ja) * 2003-09-22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4123517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6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123515B2 (ja) *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2005222896A (ja) * 2004-02-09 2005-08-18 Canon Inc 電子機器
JP3901161B2 (ja) * 2004-02-10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記録媒体の装着装置
USD512018S1 (en) * 2004-06-23 2005-11-29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Battery for camcoder
JP2006115629A (ja) 2004-10-15 2006-04-27 Canon Inc 携帯機器
JP4725317B2 (ja) * 2005-12-26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5053588B2 (ja) 2006-07-31 2012-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45017B2 (ja) *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8053154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70465B2 (en) 2013-06-25
US20080050650A1 (en) 2008-02-28
JP2012134168A (ja) 2012-07-12
US20130209855A1 (en) 2013-08-15
JP4245017B2 (ja) 2009-03-25
JP2008053155A (ja) 2008-03-06
CN101136463A (zh) 2008-03-05
JP5425248B2 (ja) 2014-02-26
US8945745B2 (en) 2015-02-03
US10326116B2 (en) 2019-06-18
US8241774B2 (en) 2012-08-14
CN101136463B (zh) 2011-05-18
US20160190524A1 (en) 2016-06-30
US9455426B2 (en) 2016-09-27
US20140178733A1 (en) 2014-06-26
CN101976732A (zh) 2011-02-16
CN101976732B (zh) 2013-03-06
KR101318538B1 (ko) 2013-10-16
JP2009004393A (ja) 2009-01-08
TW200832785A (en) 2008-08-01
JP5482834B2 (ja) 2014-05-07
US8790807B2 (en) 2014-07-29
JP2012227158A (ja) 2012-11-15
US8883334B2 (en) 2014-11-11
US20150030914A1 (en) 2015-01-29
TWI351124B (ko) 2011-10-21
US20140199576A1 (en) 2014-07-17
US7989101B2 (en) 2011-08-02
JP4992877B2 (ja) 2012-08-08
US20120214052A1 (en) 2012-08-23
US20110223473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538B1 (ko)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KR20080019556A (ko) 배터리 장치, 전자 기기 및 배터리 시스템
JP6107846B2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7173179A (ja) 電子機器
US20070165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JP6249032B2 (ja) バッテリー
US11196121B2 (en) Batter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system
JP6515951B2 (ja) バッテリー
JP5786928B2 (ja) バッテリー及び電子機器
KR20070066905A (ko) 전자 기기
JP2010002514A (ja) 電子機器
JP5153355B2 (ja) 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