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378A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378A
KR20080017378A KR1020077029840A KR20077029840A KR20080017378A KR 20080017378 A KR20080017378 A KR 20080017378A KR 1020077029840 A KR1020077029840 A KR 1020077029840A KR 20077029840 A KR20077029840 A KR 20077029840A KR 20080017378 A KR20080017378 A KR 2008001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veying tube
conveying
valve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하우스만
우베 헤게만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1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1091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being first hold in a loaded state by locking means or the like, then relea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Nozzl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유체(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튜브(9)를 갖는 유체(2)용 분무기(1) 및 후벽 모세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운반튜브(9) 또는 모세관은 다중 부분 및/또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특히 내관(23) 및 외관(24)과 같은 다수의 부분들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특히 내부 직경이 매우 작은 경우 장치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분무기, 운반튜브, 모세관, 흡입기

Description

분무기{Nebulis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분무기 및 후벽 모세관(thick-walled capillary)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명 "Respimat"로 시판되는 흡입기 형태의 분무기는 그의 기본 원리가 국제 공개 WO 91/14468 A1에 설명되고 특정한 구성이 국제 공개 WO 97/12687 A1(도 6a, 6b)과 첨부 도면의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이 분무기는 유체를 운반하여 분무하기 위한 운반튜브를 갖는 운반 장치를 포함한다. 운반튜브는 특히 국제 공개 WO 97/12687 A1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벽(thick-walled)의 큰 모세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반튜브는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작은 내부 직경과 얇은 벽을 갖는 모세관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두꺼운 벽과 작은 제조 공차를 갖는 모세관은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바람직하지 못한 거친 내벽을 갖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후벽의 큰 모세관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성형 단계(이들은 최종 분석에서 작은 내부 직경으로 인해 코어 없이 수행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세관"의 용어는 구체적으로 수력 직경이 100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미만인 미세유체, 바람직하게는 신장성 구조물을 가리킨다. 내부 단면적은 적어도 본질적으로는 원형이 바람직하나 필수는 아니다. 외부 윤곽도 마찬가지여서 관형 또는 원통형 모세관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세관은 다른 비원형의 내부 및/또는 외부 단면적 또는 윤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벽"의 용어는 구체적으로 평균 내부 직경이 외부 직경의 50% 미만, 특히 30% 미만이고 및/또는 벽 두께가 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인 모세관을 일컫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튜브를 갖는 분무기와, 높은 안정성을 가지면서 후벽의 구조 및 특히 평활한 내벽을 갖고 제조가 간단하면서 비용이 저렴한 모세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분무기 또는 청구항 35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의 유리한 특징들은 종속항에 열거되어 있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이중벽의 구조를 갖는 분무기의 후벽 모세관 또는 운반튜브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것은 낮은 제조 공차로 종래 기술에 비해 제품을 더욱 쉽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보다 평활한 내부 표면을 달성할 수 있다. 실제로 이중벽 구조는 표준의 상업적 박벽 모세관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에 요구되던 다수의 성형 단계를 생략하거나 줄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내관(inner tube)은 외관(outer tube) 안에 동심적으로(concentrically) 설치되어 운반튜브 또는 후벽 모세관을 형성한다. 이들 관은 그 다음 고품질로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박벽 모세관으로서 제작된다.
제안된 후벽 모세관은 제안된 분무기 내의 운반튜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하기 논의는 주로 분무기로 분무되는 유체를 위한 운반 부재 또는 운반튜브로서의 모세관의 용도에 관련될 것이다. 그러나 후벽 모세관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운반튜브 또는 후벽 모세관의 제조를 위해 설명된 방법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 특징, 특성 및 양상들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청구의 범위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의 공지된 분무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대해 90°회전된, 인장된 상태의 공지된 분무기의 개략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를 갖는 제안된 분무기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 9는 도 8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다른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또 다른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 13은 도 12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도 12의 다른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 16은 도 15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7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 18은 도 17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
도 19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의 개략도(치수에 비례하지 않음).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분무기 2 ; 유체
3 ; 용기 4 ; 유체 챔버
5 ; 압력 발생기 6 ; 홀더
7 ; 구동 스프링 8 ; 차단 부재
9 ; 운반튜브 10 ; 역류 방지 밸브
11 ; 압력 챔버 12 ; 방출 노즐
13 ; 마우스피스 14 ; 에어로졸
15 ; 공기 유입 개구부 16 ; 상부 하우징 부분
17 ; 내부 부분 17a ; 내부 부분의 상부 부분
17b ; 내부 부분의 하부 부분 18 ; 하우징 부분(하부 부분)
19 ; 유지 요소 20 ; 스프링(하부 하우징 부분)
21 ; 천공 부재 22 ; (운반튜브의) 말단
23 ; 내관 24 ; 외관
25 ; 운반 채널 26 ; 환형 공간
27 ; 유지 영역 28 ; 침지관
29 ; 유지 부분 30 ; 마개
31 ; 밸브 영역 32 ; 밸브 부재
33 ; 밸브 시트 34 ; 비드
35 ; 연결 부분 36 ; 돌출부
37 ; 리세스 38 ; 원통형 부분
39 ; 스페이서 소자 40 ; 연결 부재
41 ; 연결 영역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관련된 설명을 반복하지 않더라도 상응하거나 거의 동등한 특성과 이점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유체(2), 특히 고농축의 약제학적 조성물 등을 분무하기 위한 공지된 분무기(1)의 도면으로, 인장되지 않은 상태(도 1)와 인장된 상태(도 2)를 보여준다. 분무기(1)는 구체적으로 휴대형 흡입기로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추진체 가스 없이 작동한다.
유체(2), 바람직하게는 액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분무될 때 에어로졸이 형성되고 이것은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은 환자가 앓고 있는 질환에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1일 1회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1일 수 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공지의 분무기(1)는 유체(2)를 보유한 삽입형 및 바람직하게는 교체형 용기(3)를 갖는다. 따라서 이 용기는 분무하고자 하는 유체(2)를 위한 저장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용기(3)는 200 용량 단위, 예를 들면 200회의 분무 또는 투여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유체(2) 또는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용기(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카트리지 형태이며, 일단 분무기(1)가 열리면 용기는 아래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용기는 단단한 구조이며, 유체(2)는 바람직하게는 용기(3) 내의 수축식 봉지 형태를 갖는 유체 챔버(4) 안에 유지된다.
분무기(1)는 유체(2)를 구체적으로 예정된 및 임의로 조절가능한 투여량으로 운반하고 분무하기 위한 운반 장치, 특히 압력 발생기(5)도 갖는다.
분무기(1) 또는 압력 발생기(5)는 용기(3)를 위한 홀더(6), 수동으로 조작해서 풀 수 있는 로킹 요소(8)를 갖는 연합된 구동 스프링(7)(부분적으로 도시함), 임의의 밸브, 특히 역류 방지 밸브(10)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후벽 모세관 형태인 운반튜브(9), 압력 챔버(11) 및/또는 마우스피스(13) 영역 내의 방출 노즐(12)을 갖는다. 용기(3)는 운반튜브(9)가 용기(3) 안에 통과되도록 홀더(6)를 통해 맞물림으로써 분무기(1) 안에 고정된다. 홀더(6)는 용기(3)를 탈착하여 교체할 수 있 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동 스프링(7)이 축방향으로 인장될 때 홀더(6)가 용기(3) 및 운반튜브(9)와 함께 도면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유체(2)가 용기(3)로부터 역류 방지 밸브(10)를 통해 압력 발생기(5)의 압력 챔버(11) 안으로 흡수된다.
후속의 이완 단계에서 로킹 요소(8)의 작동 후 운반튜브(9)(이제 운반튜브의 역류 방지 밸브(10)는 닫힌 상태이다)가 구동 스프링(7)의 이완에 의해 다시 위쪽으로 이동하여 가압 램으로서 작용할 때 압력 챔버(11) 내의 유체(2)는 압력을 받는다. 이 압력이 방출 노즐(12)을 통해 유체(2)를 밀어내고, 이 때 유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14)로 분무된다.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 개구부(15)를 통해 마우스피스(13) 안에 공기 공급원을 투입하는 동안 사용자 또는 환자(도시하지 않음)는 에어로졸(14)을 흡입할 수 있다.
분무기(1)는 상부 하우징 부분(16)과 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상부 부분(17a) 및 하부 부분(17b)(도 1)을 갖는 내부 부분(17)(도 2)을 포함하고, 특히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하우징 부분(18)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19)에 의해서 내부 부분(17) 위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용기(3)를 삽입 및/또는 교체하기 위해서 하우징 부분(18)을 분무기(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하우징 부분(18)은 도면 아래쪽에 있는 내부 부분(17)의 하부 부분(17b)을 운반하면서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스프링(7)이 홀더(6) 위에서 작동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된 다. 인장되는 동안 용기(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3)가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축의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스프링(7)은 인장하에 놓인다. 인장이 처음 가해질 때, 하우징 부분(18) 안에 배치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0)이 용기의 바닥에 인접하게 되고 천공 부재(21)에 의해 용기(3) 또는 시일(seal)의 바닥이 처음 그와 인접시 배기를 위해 천공된다. 분무 공정 중에 용기(3)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7)에 의해서 다시 그의 원래 위치로 이동하고, 운반튜브(9)는 그의 배출구 말단(22)이 압력 챔버(11) 안으로 진입하도록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인장 공정 또는 유체의 상승 및 분무 공정 중에 용기(3)와 운반 부재 또는 운반튜브(9)는 상승 이동을 달성한다.
제안된 분무기(1)의 여러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 및 방법을 다른 도면들(치수에 비례하지 않음)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도 1 및 도 2에 따른 분무기(1)와의 본질적인 차이점만을 강조할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관련한 설명이 상응하게 적용되거나 보충 설명으로 이해되나, 도 1 및 도 2에 따른 분무기(1)와 후술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분무기(1)의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분무기(1)의 용기(3)와 관련 부품의 개략도이다. 운반튜브(9)는 내관(23)과 외관(24)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중심이 같도록 배열되고 및/또는 박벽, 특히 표준의 상업적 모세관으로 형성된다.
운반튜브(9)는 따라서 이중벽이며 바람직하게는 다중 부분 구조를 갖고 특히 후벽의 형태이면서도 바람직하게 큰 모세관은 아니다. 이중벽과 특히 다중 부분 구조는 운반튜브(9)를 특히 저렴하고 및/또는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활하고 및/또는 둥근 내벽 또는 윤곽을 갖게 해준다.
내관(23)은 안쪽 측면에 운반 채널(25)을 형성한다. 내관(23)과 외관(24) 사이의 환형 공간(26)은 바람직하게 제 1 실시예에서 배기 채널을 형성한다. 달리, 환형 챔버(26)는 바람직하게는 기밀 밀봉될 수도 있다.
두 개의 관(23 및 24)은 예를 들어 이들의 말단 영역에서 용접에 의해 단단히 함께 접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 개의 관(23 및 24)은 예를 들어 접착 결합, 납땜, 변형 등과 같은 일부의 다른 방법에 의해서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운반튜브(9)의 다중 부분 구조- 상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관(23 및 24) 또는 그보다 더 많은 부분으로 이루어진 구조- 는 필요에 따라서는 특히 앞서 설명된 형태의 분무기(1) 또는 일부의 다른 분무기(1)에서 배기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운반튜브(9) 내의 배기 채널은 생략되거나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밀봉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홀더(6)에 접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물결 모양 등의 외부 윤곽을 갖는 유지 영역(27)이 운반튜브(9) 또는 그의 외관(24)에 제공된다.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영역(27)에서 홀더(6)와 함께 사출 성형된다. 홀더(6)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영역(27)의 안 또는 위에서 서로 맞물림(interlocking engagement)으로써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운반튜브(9)는 홀더(6) 내에서 서로 맞물림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은 전체 길이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유지 영역(27)에 의해서만 임의로 차단된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활하거나 원통형인 외벽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특히 침지관(28)이 운반튜브(9)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용기(3) 내부의 기저부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침지관(28)은 특히 깔대기 모양으로 넓어지는 유지 부분(29)을 통해 용기(3)의 마개(30)에 연결됨으로써, 운반튜브(9)가 용기(3)에 삽입되거나 마개(30)가 뚫릴 때 침지관(28)의 유지 부분(29) 안에 보이는 위치로 삽입될 수 있고 운반 채널(25)과 침지관(28) 사이에서 유체의 교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침지관(28)은 임의적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것은 생략될 수도 있다.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용기(3) 또는 유체 챔버(4)의 바닥 영역까지 연장된다.
운반튜브(9)는 특히 분무기(1) 또는 운반 장치 또는 압력 챔버(5) 내의 유체(2)를 펌핑하기 위한 피스톤으로서 사용된다. 운반튜브(9)는 비교적 넓은 외부 직경을 가져야 한다. 반면, 운반튜브(9)의 내부 직경- 즉, 내관(23)의 내부 직경 또는 이렇게 형성된 운반 채널(25)의 직경- 은 작은 불감 부피(dead volume)를 달성하기 위해 비교적 작아야 한다. 따라서, 운반튜브(9)는 앞서 설명된 의미에서 꽤 두꺼운 벽을 가질 필요가 있거나 적어도 그러함이 바람직하고, 제 1 실시예에서는 내관(23)을 외관(24) 안에 중심이 같도록 배열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목적하 는 펌프 작용을 달성하고 및/또는 한정된 부피를 보장하거나 불감 공간을 없애기 위해서 내관(23)과 외관(24) 사이의 환형 공간(26)은 적어도 전달 말단에서 유체가 새지 않도록,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밀식으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특히 역류 방지 밸브(10)를 포함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밸브는 운반튜브(9)의 하부 말단 또는 압력 챔버(11) 내에 연장된 말단에 배치된다.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 강, 가장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크롬 니켈 강(austinitic chrome nickel steel)으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내관(23)과 외관(24)이 동일한 재료,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은 바람직하게는 (외관(24)의) 외부 직경이 1 내지 2㎜이고 및/또는 (내관(23)의) 내부 직경이 0.1 내지 0.6㎜이다. 바람직하게 외부 직경은 내부 직경보다 2배 또는 3배가 크다. 관(23, 24)의 벽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이하이다.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은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상의 벽 두께(외관(24)의 외벽으로부터 내관(23)의 내벽의 방사상 공간)를 갖는다.
제안된 후벽 또는 이중벽 구조의 운반튜브(9)는 피스톤으로서 사용되는 동안 바람직하게 높은 배출량을 갖고, 그와 무관하게 예를 들면 용기(3)의 안전하고 명 확한 천공 또는 다른 형태의 개방을 위해 필요한 운반튜브(9)의 특히 높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성은 다른 용도에 있어서도 유리할 수 있다.
분무기(1) 또는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의 추가의 실시예 및 운반튜브(9) 또는 후벽 모세관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다른 도면들을 참조로 후술하겠으나, 제 1 실시예와의 본질적인 차이점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이전의 실시예가 상응하게 적용되거나 보충 설명으로서 이해된다.
도 4는 운반튜브(9)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분, 즉 내관(23)과 외관(24)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두 관(23, 24)은 함께 용접된다. 관(23, 24) 사이의 환형 공간(26)은 양 말단에서 기밀 밀봉됨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5는 운반튜브(9)의 밸브 또는 배출 말단(22)을 보여준다. 밸브, 특히 역류 방지 밸브(10)는 운반튜브(9)의 위 또는 옆에 형성되거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에 통합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외관(24)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내관(23)의 말단을 넘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 영역(31)을 형성하며 특히 여기에는 밸브(10)의 밸브 부재(32)가 제공된다. 밸브 부재(32)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외관(24)의 안쪽에 크림핑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변형된 말단(22) 또는 일부 다른 유지 수단은 외관(24) 또는 밸브 영역(31) 내의 밸브 부재(32)를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서 밸브 부재(32)의 축방향 이동을 한정한다.
운반튜브(9)는 밸브(10)의 밸브 몸체(32)를 위한 밸브 시트(33)도 형성한다. 밸브 몸체(32)는 바람직하게는 밸브(10)가 닫혀있을 때, 즉 분무 공정 중에 밸브 시트(44) 위에 축방향으로 놓인다.
제 2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33)는 바람직하게는 외관(24)의 동심 영역 또는 부분, 구체적으로는 둘레를 에워싸는 축소부 또는 비드(34)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법도 사용가능하다.
내관(23)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넓어지고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인 연결 부분(35)을 갖는데, 이 경우 연결 부분은 내관(23)의 말단에서 형성되어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외관(24)의 내부 직경으로 연장된다. 두 관(23, 24)은 연결 부분(35)에 의해서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함께 결합된다. 예컨대 외관(24)의 외벽을 통해 실질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내관(23)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밸브 시트(33) 또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축소부 또는 비드(34)까지 연장됨으로써, 유체(2)가 운반튜브(9) 또는 운반 채널(25)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체적을 극소화한다.
도 4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6은 운반튜브(9)의 다른 쪽 말단을 보여준다. 여기서 다시, 내관(23)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연결 부분(35)을 통해서 외관(24)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관(23) 또는 그의 연결 부분(35)은 바람직하게는 외관(24)의 축방향 말단과 수평하게 종결되거나 이 영역에서 외관(24)에 축방향으로 용접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내관(23)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두 말단에서 특히 용접에 의해서 외관(24)에 접합된다. 그러나 내관(23)은 그의 두 말단 사이에서 스페이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외관(24)에 방사상으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방사상으로 지지 또는 유도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환형 공간(26)- 내관(23)과 외관(24) 사이의 축방향 간격- 은 바람직하게는 유체와 기체가 새지 않도록 용접 밀봉된다.
제 2 실시예에서 환형 공간(26)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구조, 즉 매질로 채워지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예컨대 간격(26)은 접착제, 절연재 또는 일부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운반튜브(9) 또는 외관(24)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밸브 영역(10)의 외부 직경은 감소될 수도 있다. 유지 영역(27)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외부 직경에 대해 임의로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7은 운반튜브(9)의 유지 영역(27)을 보여준다. 제 2 실시예에서 유지 영역(27)은 특히 플랜지형의 크림핑된 에지(crimped edge) 형태를 갖는 외부 방사상 돌출부(36)에 의해 형성된다. 돌출부(36) 또는 크림핑된 에지는 운반튜브(9) 또는 외관(24)의 외부 직경에 대해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유지 영역(27)은 바람직하게는 운반튜브(9)를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홀더(6)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3 참조).
도 8은 운반튜브(9)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따라며 주요한 차이점만을 후술하겠다.
운반튜브(9)는 마찬가지로 단 두 개의 부분, 즉 내관(23)과 외관(24)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8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9는 운반튜브(9)의 유입부 말단을 보여준다. 내관(23)은 연결 부분(35)과 함께 외관(24)의 말단에 대해 셋백(setback)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운반튜브(9)의 길이 공차를 보다 용이하게 지킬 수 있게 해준다.
도 8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10은 운반튜브(9)의 밸브 말단(22)을 보여준다(말단 크림핑 및 밸브 부재(32)를 갖지 않는다). 이 말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관(23)의 연결 부분(35)에 의해 밸브 시트(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외관(24)은 바람직하게는 이 면적 내에 어떠한 축소부 또는 비드(34)도 갖지 않는다.
도 8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11은 운반튜브(9)의 유지 영역(27)을 보여준다. 이러한 제 4 실시예에서 유지 영역(27)은 돌출부 대신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톱니 또는 리세스(37), 특히 환형 홈, 계단, 비드 등(이들 중 여러 가지가 겹겹이 제공될 수 있다)을 갖고, 특히 유지 영역(27)에 의해 물결 모양의 외부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유지 영역(27)에서 외관(24)은 내관(23)을 지탱하도록 축방향 내향으로 변형된다.
필요에 따라 이 접촉 영역에서 외관(24)은 예를 들면 용접 또는 접착 결합에 의해서 내관(23)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이것은 운반튜브(9)의 전체적 안정성 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유지 영역(27)에서 외관(24)과 내관(23) 사이에 방사상의 공간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운반튜브(9)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특히, 제 4 실시예에 따른 운반튜브(9)는 역시 단지 두 개의 부분, 바람직하게는 내관(23)과 외관(24)으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도 12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로, 운반튜브(9)의 유입부 말단을 보여준다. 제 4 실시예에서 내관(23) 또는 그의 연결 부분(35)은, 연결 부분(35)의 원뿔형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결합하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외관(24)의 내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분(38)을 갖는다. 내관(23)은 예를 들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서 원통형 부분(38)을 통해 유체가 새지 않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체가 새지 않도록 외관(2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에서도 원통형 부분(38) 또는 내관(23)은 외관(24)의 결합된 말단에 대해 내향으로 리세스되거나, 셋백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도 12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로, 운반튜브(9)의 유출부 또는 밸브 말단(22)을 보여준다(말단 크림핑 및 밸브 부재(32)를 갖지 않는다). 제 4 실시예에서 내관(23)은 바람직하게는 밸브(10)의 밸브 영역(3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공인 원통형 밸브 영역(31)이 밸브 시트(33)를 형성하는 내관(23)의 원뿔형 연결 부분(35)에 직접 인접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수용 영역(31)은 외관(24)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 이 경우 외관(24)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관(23)의 연결 부분(35)에서 종결되고 운반튜브(9)의 밸브 말단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외관(24)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내관(23)에 보다 쉽게 결합하도록 그의 말단 영역에서 원뿔 모양으로 점점 가늘어질 수 있다.
도 15는 운반튜브(9)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거의 일치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도 18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관(23)이 바람직하게는 유입부 말단에서 분리된 스페이서 소자(39)를 통해 외관(24)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스페이서 소자(39)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또는 슬리브형 또는 환형 구조를 갖고 환형 공간(26)을 축방향 또는 그의 말단 표면에서 밀폐시킴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입부 말단에서 내관(23)의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연결 부분(35)은 생략될 수 있다. 두 관(23 및 24)은 말단 평면 또는 축 평면에서 스페이서 소자(39)와 함께 종결되고 그 곳에서 축방향으로 용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페이서 소자(39)는 압착, 접착 또는 다른 일부의 방법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 소자(39)는 바람직하게는 외관(24)의 내부 직경과 내관(23)의 외부 직경의 차의 적어도 거의 50%인 벽 두께를 갖는다. 스페이서 소자(39)는 특히 꼭 맞게 고정(snug fit)되거나 압입 끼워맞춤(press fit)으로 고정된다.
스페이서 소자(39)는 바람직하게는 운반튜브(9)의 전체 길이의 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의 길이를 갖는다.
달리, 스페이서 소자(39)는 특히 운반튜브(9)의 뒤틀림에 대한 내성을 높이 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더 긴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소자(39)는 유지 영역(28) 또는 톱니 또는 비드(34)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운반튜브(9)가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부분의 수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개개의 성분들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며 매우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더 간단하다.
도 17은 운반튜브(9)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운반튜브(9)는 두 개의 부분 대신에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유지 영역(27)은 둘레를 에워싸는 환형 홈 또는 함몰부의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도 17의 세부적 부분의 확대도인 도 18은 운반튜브(9)의 밸브 말단(22)을 보여준다. 제 6 실시예에서 운반튜브(9)는, 내관(23) 및 외관(24)과 별도로 만들어지고 밸브(10)의 수용 영역(31)을 형성하고 및/또는 두 관(23, 24)을 연결하는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는 두 관(23, 24)을 연결하고 및/또는 밸브 시트(33)를 형성하는 원뿔형 연결 부분(35)을 가짐이 특히 바람직하다.
외관(24)과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의 수용 영역(31)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외관(24)은 바람직하게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의 연결 부분(35)에서 종결되고, 외관(24)은 특히 용접에 의해서 연결 부재(27)에 단 단히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외관(24)의 말단 부분은 원뿔형으로 점점 가늘어질 수 있다.
상응하게 감소하는 직경과 함께,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공인 원통형 또는 슬리브형 연결 영역(41)이 연결 부분(35)에 인접하고 내관(23) 위로 밀리거나 눌려서 고정되며 특히 용접에 의해서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는 비교적 제조가 용이한 딥-드로잉된(deep-drawn) 부품으로서 제작된다.
도 19는 운반튜브(9)의 특히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운반튜브(9)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네 개의 부분, 즉 내관(23), 외관(24), 스페이서 소자(39) 및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로 이루어진다.
유입부 말단에서 두 개의 관(23 및 24)은 바람직하게는 제 6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페이서 소자(39)에 의해 연결된다.
배출부 또는 밸브 말단(22)에서 두 개의 관(23 및 24)은 바람직하게는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제 7 실시예는 여러 부분들, 즉 적어도 네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특히 낮은 제조 공차를 갖고 필요에 따라 매우 평활하고 균일한 내벽을 갖는다.
초기에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와 내관(23)을 특히 용접에 의해서 함께 결합한다. 용접은 연결 영역(41) 내에서 외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제 1 조립체가 형성된다.
추가로, 외관(24)과 스페이서 소자(39)를 특히 용접에 의해서 함께 결합하여 제 2 조립체를 형성한다. 용접은 바람직하게는 말단 표면 또는 유입구 말단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두 개의 조립체를 합쳐서 함께 단단히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외관(24)을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에 용접시킨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스페이서 소자(39)를 내관(23)에 축방향으로 용접하여 고정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운반튜브(9)에 임의의 밸브(10)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밸브 부재(32)(도시하지 않음)를 밸브 영역(10)에 삽입하고 바람직하게는 운반튜브(9)의 말단(22) 또는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의 최종 변형에 의해 고정시켜서(구체적으로는 안쪽으로 크림핑한다) 밸브 부재(32)를 위한 축방향 접합부를 형성한다.
완성된 운반튜브(9)에서 환형 공간(26)은 바람직하게는 기체가 새지 않도록 배기 및/또는 밀봉된다. 필요에 따라 환형 공간(26)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충전 재료(도시하지 않음)로 채워질 수도 있다.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 또는 연결 부분(35)은 바람직하게는 운반튜브(9)의 전체 길이의 20% 미만, 특히 10% 미만의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제조가 더욱 용이해진다. 운반튜브(9) 또는 외관(2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내부 직경보다 50배가 크다.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운반튜브(9)의 바람직한 다중 부분 구조는 필요에 따라 운반튜브(9)의 바람직한 이중벽 구조에 대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밸브(10)는, 운반튜브(9)와는 별도로 제조되나 운반튜브에 고정 연결되고 특히 밸브(10)의 밸브 부재(32)를 위한 수용 또는 밸브 영역(31)을 형성하는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에 의해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안된 분무기(1)에서 용기(3)는 분무기(1) 안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기(3)는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용기(3) 또는 유체 챔버(4)는 이론적으로는 분무기(1) 또는 분무기(1)의 부품에 의해 직접 형성되거나 달리 분무기(1)에 통합 또는 접착될 수도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들의 개별적 특징, 양상 및/또는 원리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될 수도 있으며 특히 도 1 및 도 2에 따른 공지의 분무기 및 그와 유사하거나 상이한 분무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독립형 장비 등과 달리, 제안된 분무기(1)는 휴대형, 특히 이동형 수동 장치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안된 해법은 본 명세서에 특별히 설명된 분무기(1) 뿐 아니라 다른 분무기 또는 흡입기, 예를 들면 분말 흡입기 또는 이른바 정량식 흡입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분무기(1)는 흡입기, 특히 의료용 흡입제 치료를 위한 흡입기로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분무기(1)는 다른 목적, 바람직하게는 화장액을 분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특히 향수 분무기로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용 기(3)는 예를 들면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향수 등과 같은 화장액을 함유한다. 또한, 제안된 모세관은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유체(2)를 위한 임의의 분산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무기"의 용어는 광범위한 의미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유체(2)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액체, 특히 수성 또는 에탄올성의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그러나 다른 일부의 약제학적 조성물, 현탁액 등, 또는 입자 또는 분말일 수도 있다.
의료용 유체(2)의 바람직한 성분 및/또는 조성물은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은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 혼합물, 에탄올 함유 조성물 또는 무용매 조성물 등일 수 있다. 유체(2)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약제학적 활성 물질, 조성물 또는 혼합물로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제 1 003 4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귀중한 거대 분자 등의 모든 값진 화합물들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호흡기계 질환의 치료를 위해 흡입 투여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혼합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콜린제, 베타미메틱(betamimetics), 스테로이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V 억제제, LTD4 길항제 및 EGFR 키나제 억제제, 항알레르기 약물, 맥각 알칼로이드의 유도체, 트립탄, CGRP 길항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V 억제제, 및 이들 활성 물질의 배합물, 예를 들면 베타미메틱과 항콜린제 또는 베타미메틱과 항알레르기 약물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다. 배합물의 경우 바람직하게 적어도 1종의 활성 물질은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항콜린제 함유 활성 물질은 단일 제제 또는 복합 제제 형태로 사용된다.
특별히 언급되는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염의 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가능한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브로마이드, 옥시트로퓸 브로마이드, 플루트로퓸 브로마이드, 이프라트로퓸 브로마이드, 글리코피로늄 염, 트로스퓸 클로라이드, 톨테로딘, 트로페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 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에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및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선택적으로 그 라셈산염(racemate), 거울상체(enantiomer)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 형태 및 선택적으로 그 용매화합물(solvate)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베타미메틱은 바람직하게는 알부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르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인다카테롤, 이소에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멜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르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토드린, 살메테롤, 살메파몰, 소테레노트, 설폰테롤, 티아라마이드, 테르부탈린, 톨루부테롤, CHF-1035, HOKU-81 , KUL-1248,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졸설폰아미드,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2(3H)-벤조티아졸론,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지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족사진-3-(4H)-온,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및 1-(4-에톡시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임의로 이들의 라셈산염, 거울상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 및 약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 화합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사용가능한 스테로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부틱소코트프로피오네이트, RPR-106541, 플루니솔라이드, 베클로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부데소나이드, 플루티카손, 모메타손, 시클레소나이드, 로플레포나이드, ST-126, 덱사메타손, (S)-플루오로메틸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보닐)옥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보티오네이트, (S)- (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3S-일) 6α,9α-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보티오네이트 및 에티프레드놀-디클로로아세테이트(BNP-166), 임의로 이들의 라셈산염, 거울상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염 및 유도체, 이들의 용매 화합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사용가능한 PDE IV-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엔프로필린, 테오필린, 로플루밀라스트, 아리플로(실로밀라스트), CP-325,366, BY343, D-4396(Sch-351591), AWD-12-281(GW-842470),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자미드, NCS-613, 푸마펜틴,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자미드,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롤리돈,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롤리돈,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복실산], 2-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온,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CDP840, Bay-198004, D-4418, PD-168787, T-440, T-2585, 아로필린, 아티조람, V-11294A, Cl-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및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3급-부틸)-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임의로 이들의 라셈산염, 거울상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 및 임의로 약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산 부가염, 용매 화합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사용가능한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몬텔루카스트,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리닐)에테닐)페닐)-3-(2-(2-하이드록시-2-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테닐)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프란루카스트, 자피르루카스트, [2-[[2-(4-3급-부틸-2-티아졸릴)-5-벤조푸라닐]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MCC-847(ZD-3523), MN-OO1, MEN-91507(LM-1507), VUF-5078, VUF-K-8707 및 L-733321, 임의로 이들의 라셈산염, 거울상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 및 임의로 이들의 염 및 유도체, 용매 화합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사용가능한 EGFR-키나제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 트라스투주맙, ABX-EGF, Mab ICR-62,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 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7-비스-(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 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tm-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 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 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 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및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임의로 이들의 라셈산염, 거울상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 임의로 이들의 약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이들의 용매 화합물 및/또는 수화물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산 부가염이란,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약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산과의 염, 예를 들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및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염을 의미한다.
항알레르기 약물의 예는 디소듐 크로모글리케이트, 네도크로밀이다.
맥각 알칼로이드의 유도체의 예는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에르고타민이다.
흡입을 위해서, 상기 언급된 활성 물질은 물론 염, 에스테르 및 이들 활성 물질, 염 및 에스테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약제학적 제제 및 혼 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7)

  1. 특히 후벽 모세관으로서 구성되며 유체(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튜브(9)를 갖는 유체(2)를 위한 분무기(1)로서,
    상기 운반튜브(9)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가 내관(23) 및/또는 외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3)과 외관(24)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기밀식으로 밀봉된 중공 환형 공간(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3)과 외관(24)은 서로에 대해 동심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3)은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연결 부분(35), 스페이서 소자(39) 및 /또는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에 의해서 상기 외관(24)에 연결, 특히 용접 및/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35)은 상기 내관(23)의 하나의 말단에 형성되는, 바람직하게는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35)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외관(24)의 내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35)은 상기 외관(24)의 말단과 수평하게 종결되거나, 또는 셋백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35)은 특히 밸브 시트(33)를 형성하는 원뿔형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35)의 길이는 상기 운반튜브(9)의 전체 길이의 20% 미만, 특히 1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소자(39) 및/또는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는 상기 내관(23) 및 외관(24)과 별도로 제조되는 구성 요소로서, 특히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 또는 상기 연결 부재(40)는 운반튜브(9)의 말단 또는 내관(23)의 말단 및/또는 외관(24)의 말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외관(24) 또는 운반튜브(9)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 밸브 영역(31)을 포함 또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는 특히 밸브 시트(33)를 형성하는 원뿔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의 길이는 상기 운반튜브(9)의 전체 길이의 20% 미만, 특히 1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소자(39)는 슬리브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7.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소자(39)의 길이는 상기 운반튜브(9)의 전체 길이의 20% 미만, 특히 1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8. 제 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소자(39)의 벽 두께는 상기 외관(24)의 내부 직경과 상기 내관(23)의 외부 직경의 차이의 대략 5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여러 부분들이 특히 용접 및/또는 접착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 또는 상기 운반튜브(9)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들은 본질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 특히 오스테나이트 크롬 니켈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특히 하나의 말단(22)에 밸브(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2. 제 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는 상기 외관(24) 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는 운반튜브(9) 또는 밸브에 연결된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에 의해 형성된 밸브 시트(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상기 운반튜브(9)에 단단히 연결된 별도 제조된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40)를 포함하고, 이 밸브 부재 또는 연결 부재는 특히 밸브(10) 의 밸브 부재(32)를 위한 수용 챔버 또는 밸브 챔버(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활하거나 원통형인 외벽(24)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외측에 방사상 돌출부(36), 특히 플랜지형의 크림프 에지((crimp edge)), 및/또는 방사상 톱니 또는 리세스(34, 37), 특히 환형 홈, 함몰부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1 내지 2㎜의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의 길이는 50㎜ 이상이거나 및/또는 상기 운반튜브(9)의 내부 직경보다 50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0.1 내지 0.6㎜의 내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내부 직경보다 2배 또는 3배가 큰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튜브(9)는 0.3㎜ 이상, 특히 실질적으로 0.5㎜ 이상의 벽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운반튜브(9)가 유체의 제거, 유체 압력 발생 및/또는 분무의 운반 동안 바람직하게는 스트로크 형태의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유체(2)를 함유한 유체 챔버(4)를 구비하는 바람직하게는 삽입형 용기(3)를 갖고, 특히 이 용기는 상기 용기(3)로부터 유체(2)를 취하기 위한 운반튜브(9)의 부착 또는 삽입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의료용 에어로졸 치료를 위한 흡입기 또는, 특히 미용 목적을 위한 향수 분무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무기(1)를 위한 특히 운반튜브(9)로서의 후벽 모세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모세관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를 갖고 및/또는 내관(23)은 상기 모세관을 형성하기 위해 외관(24) 내에 설치되는 후벽 모세관의 제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3)과 외관(24) 사이의 환형 공간(26)은 기밀식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부분들은 방사상 및/또는 축방향으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29840A 2005-06-24 2006-06-23 분무기 KR20080017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9746.3A DE102005029746B4 (de) 2005-06-24 2005-06-24 Zerstäuber
DE102005029746.3 2005-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378A true KR20080017378A (ko) 2008-02-26

Family

ID=3693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840A KR20080017378A (ko) 2005-06-24 2006-06-23 분무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8479725B2 (ko)
EP (2) EP1893343B1 (ko)
JP (2) JP2008543466A (ko)
KR (1) KR20080017378A (ko)
CN (1) CN101189071A (ko)
AR (2) AR055977A1 (ko)
AU (1) AU2006261107A1 (ko)
BR (1) BRPI0613138A2 (ko)
CA (2) CA2610740A1 (ko)
DE (1) DE102005029746B4 (ko)
EC (1) ECSP078028A (ko)
IL (1) IL186594A0 (ko)
MX (1) MX2007015403A (ko)
RU (1) RU2008101804A (ko)
TW (2) TW200714365A (ko)
WO (2) WO2006136427A1 (ko)
ZA (1) ZA2007085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4470B2 (en) * 2001-01-12 2011-03-29 Celleration, Inc.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wound treatment
US8235919B2 (en) * 2001-01-12 2012-08-07 Celleration, Inc.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wound treatment
CA2544678C (en) 2003-11-05 2013-12-31 Sunesis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cellular adhesion
US8491521B2 (en) * 2007-01-04 2013-07-23 Celleration, Inc. Removable multi-channel applicator nozzle
MX2010004281A (es) * 2007-10-19 2010-09-10 Sarcode Corp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el tratamiento de la retinopatia diabetica.
US20090177123A1 (en) * 2007-12-28 2009-07-09 Celleration, Inc.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EP2244837B1 (en) * 2008-02-19 2016-10-1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artridge system
EP2265124A4 (en) * 2008-04-15 2011-12-28 Sarcode Bioscience Inc AEROSOLISED LFA-1 ANTAGONISTS FOR THE USE IN THE LOCAL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US20100022919A1 (en) * 2008-07-22 2010-01-28 Celleration, Inc. Methods of Skin Grafting Using Ultrasound
CA2739995C (en) * 2008-10-09 2016-06-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ylindrical deformation of an al sleeve to the core dimension of the internal plastic closure, as preparation for a diffusion-proof press connection within the two components
ES2657238T3 (es) * 2009-02-18 2018-03-0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Dispositivo, cartucho y método para distribuir un líquido
EP2236224B1 (de) * 2009-03-30 2013-03-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Umformwerkzeug mit einem rotierbaren Grundkörper zum Formen einer Inhalatorkartusche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Umformwerkzeugs
JP5670421B2 (ja) 2009-03-31 2015-02-18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コンポーネント表面のコーティング方法
EP2432531B1 (de) 2009-05-18 2019-03-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seinrichtung und zerstäuber
DE102009054038A1 (de) * 2009-11-20 2011-05-26 Neoperl Gmbh Wasserführender Leitungsabschnitt mit einem Belüftungskanal
EP2504051B1 (en) 2009-11-25 2019-09-04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1064160A1 (en) *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JP5715640B2 (ja) 2009-11-25 2015-05-13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S9943654B2 (en) 2010-06-24 2018-04-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JP5900494B2 (ja) 2010-07-16 2016-04-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医療器具用フィルタシステム
CN102370426B (zh) * 2010-08-17 2016-02-03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葡萄酒醒酒器皿
EP2447694B1 (de) 2010-10-28 2014-05-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rüfleck zur Überprüfung von Leckagemesssystemen
EP2694220B1 (de)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3049806A1 (en) * 2011-09-30 2013-04-04 Ge Healthcare Limited Container connector
USD717664S1 (en) * 2012-03-13 2014-11-18 S.C. Johnson & Son, Inc. Pump dispenser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CN103960781A (zh) * 2013-09-29 2014-08-06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WO2014107508A1 (en) * 2013-01-04 2014-07-10 Hewy Wine Chillers, LLC Apparatus for regulating a temperature of a fluid in a container, and aerating and dispensing the fluid
US9802806B2 (en) 2013-01-04 2017-10-31 Hewy Wine Chillers, LLC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and regulating a temperature thereof
USD782654S1 (en) 2013-01-31 2017-03-28 Intersurgical Ag Respiratory equipment
FR3008901B1 (fr) * 2013-07-26 2017-07-07 Techniplast Systeme de distribution de liquide tel que du parfum et reservoir associe
USD739523S1 (en) * 2013-07-31 2015-09-22 Intersurgical Ag Respiratory equipment
EP3030298B1 (en) 2013-08-09 2017-10-1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S2836977T3 (es) 2013-08-09 2021-06-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AU2014355072A1 (en) 2013-11-26 2016-06-02 Alliqua Bio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ultrasonic therapies for wound treatment and healing
ES2778679T3 (es) 2014-03-05 2020-08-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una cantidad constante de aerosol y sistema de control
CN106232166B (zh) 2014-05-07 2020-04-14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喷雾器
CN106255554B (zh) 2014-05-07 2021-05-04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容器、喷雾器及用途
PL3139984T3 (pl) 2014-05-07 2021-11-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ator
EP3359234B1 (de) 2015-10-09 2021-04-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beschichtung mikrostrukturierter bauteile
EP3202709B1 (de) 2016-02-04 2019-04-10 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Abformwerkzeug mit magnethalterung
CA2985043C (en) 2016-11-09 2023-03-14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Cylinder assembly for gas spring fastener driver
US11883580B2 (en) * 2016-12-21 2024-01-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cartridge
EP3501582B1 (en) 2017-12-21 2022-04-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cartridge
EP3672463B1 (en) * 2017-12-29 2022-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er system
CN108904960B (zh) * 2018-07-20 2020-12-01 江苏泰德医药有限公司 一种呼吸科用高效给药装置
WO2020186018A1 (en) * 2019-03-12 2020-09-17 Scentair Technologies, Llc Fragrance diffusion collector assembly, exchangeable fragrance cartridge, and fragrance diffusion system and method
AT522486B1 (de) 2019-03-13 2020-12-15 Georg Hagleitner Hans Spenderset mit einer Ausgabevorrichtung und mindestens einem ein pumpfähiges Medium enthaltenden Behälter
CN113038982A (zh) * 2019-07-29 2021-06-25 上海谷森医药有限公司 用于雾化吸入的、具有单层容器和喷嘴形帽的盒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8318A (en) * 1937-05-27 1939-05-16 Bernhardt Rudolph Sprayer
US2213846A (en) * 1938-08-27 1940-09-03 Meyer Stanley Spray device
US2272943A (en) * 1940-06-19 1942-02-10 Evans Case Co Atomizer
US2550840A (en) * 1946-09-24 1951-05-01 Universal Properties Inc Valve control for pressure fluid containers
US3248022A (en) * 1963-06-21 1966-04-26 Valve Corp Of America Atomizer pump
US3272402A (en) * 1963-12-24 1966-09-13 Revion Inc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US3655096A (en) * 1969-10-22 1972-04-11 Pillsbury Co Container for diluting and dispensing material
JPS5425245B1 (ko) * 1971-05-08 1979-08-27
GB1408497A (en) * 1972-04-15 1975-10-01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spraying devic3
CA1077001A (en) * 1976-10-21 1980-05-06 Winfried J. Werding Appliance for discharging gaseous liquid or pasty product, and process of its manufacture
US4195730A (en) * 1978-06-20 1980-04-01 General Foods Corporatio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facilities for two materials
US4264018A (en) * 1978-12-18 1981-04-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llapsing bladder positive expulsion device
JPS58501474A (ja) 1981-08-13 1983-09-01 コモンウエルス サイエンテイフイツ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リサ−チ オ−ガニゼイシヨン 往復動ピストン−シリンダ装置
DE3346692A1 (de) 1983-01-07 1984-07-19 Gelman Sciences, Inc., Ann Arbor, Mich. Von hand gehaltene filter- und abgabevorrichtung fuer fluessigkeiten
DE3446697A1 (de) 1984-12-21 1986-06-26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Gebrauchsfertiges klebstoffgebinde
US4817830A (en) * 1986-10-31 1989-04-04 Ecodyne Corporation Pressure vessel with a bladder
GB8706287D0 (en) 1987-03-17 1987-04-23 Testemp Electronics Ltd Dispensing container
US5322057A (en) * 1987-07-08 1994-06-21 Vortran Medical Technology, Inc. Intermittent signal actuated nebulizer synchronized to operate in the exhalation phase, and its method of use
US4885017A (en) * 1987-09-03 1989-12-05 Dale Fleischmann Heat transfer unit
US4997429A (en) 1988-12-28 1991-03-05 Sherwood Medical Company Enteral bottle cap with vent valve
EP0377067A1 (de) 1989-01-05 1990-07-11 W.L. Gore &amp; Associates GmbH Sperrvorrichtung für abgedichtete Gehäuse
US4951845A (en) 1989-01-17 1990-08-28 Abbott Laboratories Closure with filter
US4934545A (en) 1989-01-19 1990-06-19 Abbott Laboratories Closure with microbial filter
DE8903605U1 (ko) 1989-03-22 1989-06-29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De
IT1240860B (it) 1990-01-23 1993-12-17 Taplast Snc Di Evans Santagiuliana & C. Nebulizzatore
SG45171A1 (en) * 1990-03-21 1998-01-16 Boehringer Ingelheim Int Atomising devices and methods
CH681075A5 (ko) 1990-06-08 1993-01-15 Sigg Aluminium & Metallwaren
US5295603A (en) * 1990-12-01 1994-03-22 Effem Gmbh Pressure lid container
US5242085A (en) * 1990-12-17 1993-09-07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5238153A (en) 1991-02-19 1993-08-24 Pilkington Visioncare Inc. Dispenser for dispersing sterile solutions
US5176178A (en) * 1991-02-20 1993-01-05 Aos Holding Company Accumulator with randomly uniplanar bladder collapse
US5203825A (en) 1991-06-07 1993-04-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pillary tube assembly including a vented cap
JPH05192078A (ja) 1991-06-18 1993-08-03 Wl Gore & Assoc Uk Ltd 貯蔵容器
EP0525842B1 (en) 1991-06-18 1998-02-04 W.L. GORE &amp; ASSOCIATES (UK) LTD Storage vessel
US5727715A (en) 1992-11-11 1998-03-17 Tee Enterprises Limited Pump typ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filter
GB9226394D0 (en) 1992-12-18 1993-02-10 Gore W L & Ass Uk Dryer
DE4303936C1 (de) 1993-02-10 1994-08-18 Gore W L & Ass Gmbh Vorrichtung zur Entfernung von gasförmigen Stoffen aus einem Gasstrom
US5334178A (en) * 1993-04-14 1994-08-02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Pierceable pharmaceutical container closure with check valve
EP0672430A3 (en) * 1994-03-15 1995-12-27 Fisher & Paykel Duct for a humidifier.
DE4427354C2 (de) 1994-08-02 1998-07-23 Gore W L & Ass Gmbh Membranmodul zur Entfernung von gasförmigen Stoffen aus einem Gasstrom (Flüssigkeitsstrom)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DE29511683U1 (de) 1995-07-19 1995-09-28 Gore W L & Ass Gmbh Verschlußkappe für Behälter, Gehäuse, Flaschen o.dgl
DE19536902A1 (de) 1995-10-04 1997-04-10 Boehringer Ingelheim Int Vorrichtung zur Hochdruckerzeugung in einem Fluid in Miniaturausführung
AU7493796A (en) 1995-10-27 1997-05-15 W.L. Gore & Associates Gmbh Biofilter cover
US5642838A (en) * 1995-12-28 1997-07-01 Stoody; William Robert Frangible sealing lid for spile access
US5657909A (en) * 1996-01-04 1997-08-19 Calmar Inc. Manual sprayer having multi-directional liquid pickup and container venting
GB2310149A (en) * 1996-02-15 1997-08-20 Nomix Chipman Ltd Spray gun
US5752629A (en) * 1996-04-12 1998-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ssive venting for pump dispensing device
DE19615422A1 (de) 1996-04-19 1997-11-20 Boehringer Ingelheim Kg Zweikammer-Kartusche für treibgasfreie Dosieraerosole
DE19642073A1 (de) * 1996-10-01 1998-04-02 Gore W L & Ass Gmbh Verschlußeinrichtung
TW565626B (en) * 1996-11-20 2003-12-11 Ebara Corp Liquid feed vaporization system and gas injection device
FR2759144B1 (fr) * 1997-02-06 1999-04-23 Olaer Ind Sa Reservoir de pression
DE19715893C2 (de) * 1997-04-16 1999-04-29 Boehringer Ingelheim Int Vorrichtung zum Entnehmen einer Flüssigkeit aus einem geschlossenen Behälter
FR2762589B1 (fr) * 1997-04-28 1999-07-16 Sofab Flacon de distribution pour liquide, creme ou gel comportant un dispositif filtrant de l'air entrant
US6209759B1 (en) * 1997-07-04 2001-04-03 Valois S.A. Hand-operated pump with a free floating sleeve piston
DE19729117A1 (de) 1997-07-08 1999-01-21 Erich Wunsch Spraymechanismus für Dosier-Sprayflaschen
DE19733651A1 (de) 1997-08-04 1999-02-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Wässrige Aerosolzubereitungen enthaltend biologisch aktive Markomolekü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ntsprechender Aerosole
US6095434A (en) * 1997-10-08 2000-08-01 Arizona Mist, Inc. Portable automatic misting device
CA2310090A1 (en) 1997-11-13 1999-05-27 Injectair Pty Ltd. Check valve for venting an enclosure using surface tension between different fluids
DE19851404A1 (de) 1998-11-07 2000-05-11 Boehringer Ingelheim Int Druckausgleichsvorrichtung für einen Doppelbehälter
WO2000029297A1 (en) 1998-11-16 2000-05-25 Simon Hannan Brewing carbonated beverages
GB9922633D0 (en) 1999-02-18 1999-11-24 Menelaou Xanthos Valved straw integrated multi-function valve
DE19940713A1 (de) * 1999-02-23 2001-03-01 Boehringer Ingelheim Int Kartusche für eine Flüssigkeit
RU2158699C1 (ru) * 1999-02-23 2000-1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ПО Энергомаш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В.П. Глушко Бак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теснения жидкости
EP1171316B1 (de) * 1999-04-17 2002-10-16 Faber- Castell AG Auftragsgerät
EP1225942B1 (en) 1999-11-02 2005-02-09 SHL Medical AB Inhalator with aerosolizing unit
US6250511B1 (en) 1999-11-05 2001-06-26 Albert R. Kelly Recharge insert for cleaning, sanitizing or disinfectant fluid spray system
DE10029228A1 (de) * 2000-06-14 2002-01-03 Thomas Gmbh Aerosoldose mit Druckreduzierventil
AUPQ855800A0 (en) * 2000-07-04 2000-07-27 Brennan, James William Dispenser head
DE10053681B4 (de) 2000-10-28 2004-08-26 W.L. Gore & Associates Gmbh Gehäuse mit mindestens einem EMI abschirmender Kunststoffkörper bzw. Be- und Entlüft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nststoffkörpers
DE20018518U1 (de) * 2000-10-28 2001-02-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Zerstäuber für Nasenspray
FR2820408B1 (fr) 2001-02-07 2003-08-15 Valois Sa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DE10113109A1 (de) 2001-03-15 2002-09-19 Bmf Gmbh Verschließbare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in einem Behälter enthaltenen flüssigen, viskosen oder pastösen Mediums
EP1266696A1 (en) * 2001-06-13 2002-12-18 Taplast S.p.A. Bellows pump for delivery gas-liquid mixtures
DE10131174A1 (de) * 2001-06-29 2003-01-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Vernebler zur Applikation von Flüssigkeiten auf die Augenoberfläche oder das Augenbindegewebe
US6708852B2 (en) * 2001-08-20 2004-03-23 Alternative Packaging Solutions, L.P. Non-chemical aerosol dispenser
JP2003231545A (ja) 2002-02-06 2003-08-19 Kiyota Engineering:Kk 容器の付け替えキャップ
DE50313589D1 (de) * 2002-09-05 2011-05-1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Apparat zum ausbringen von fluessigkeiten, hierzu geeignete behaelterpatrone, und system aus dem apparat zum ausbringen von fluessigkeiten und der behaelterpatrone
US20040069812A1 (en) * 2002-10-07 2004-04-15 Valois S.A.S. Fluid dispenser
AT413978B (de) 2003-01-20 2006-07-15 Bamed Ag Luftventil für einen deckel eines trinkbehälters
US7678089B2 (en) * 2003-11-14 2010-03-16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delivery
US20050133544A1 (en) 2003-12-23 2005-06-23 Tadlock Charles C. Functional dip tube for cosmetic dispen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CSP078028A (es) 2008-01-23
EP1893344A1 (en) 2008-03-05
DE102005029746B4 (de) 2017-10-26
US20070029475A1 (en) 2007-02-08
ZA200708563B (en) 2008-10-29
JP2008543684A (ja) 2008-12-04
EP1893343B1 (en) 2014-10-15
BRPI0613138A2 (pt) 2010-12-21
CN101189071A (zh) 2008-05-28
EP1893343A1 (en) 2008-03-05
MX2007015403A (es) 2008-03-04
IL186594A0 (en) 2008-01-20
DE102005029746A1 (de) 2007-09-13
TW200714365A (en) 2007-04-16
CA2608296C (en) 2014-08-12
US7950388B2 (en) 2011-05-31
JP2008543466A (ja) 2008-12-04
AU2006261107A1 (en) 2006-12-28
TW200711743A (en) 2007-04-01
CA2608296A1 (en) 2006-12-28
RU2008101804A (ru) 2009-07-27
US20070090205A1 (en) 2007-04-26
EP1893344B1 (en) 2013-08-21
WO2006136426A1 (en) 2006-12-28
WO2006136427A1 (en) 2006-12-28
CA2610740A1 (en) 2006-12-28
JP5249752B2 (ja) 2013-07-31
AR055977A1 (es) 2007-09-12
US8479725B2 (en) 2013-07-09
AR057400A1 (es)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3344B1 (en) Nebuliser
US9687617B2 (en) Nebulizer
JP5895841B2 (ja) 高圧チャンバ
KR20080042085A (ko) 분무기
DE102006025871A1 (de) Zerstäuber
DE102005057685A1 (de) Inhalator und Speicher für eine trockene Arzneimittelformulierung sowie diesbezügliche Verfahren und Verwendung
DE10200505289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Arzneimitteln
US8061350B2 (en) Process and device for dosing pharmaceutical agents
WO2010076012A1 (de) Bauteil und inhalato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DE102005063657B3 (de) Zerstäuber und Behä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