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995A -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분리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분리 회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2995A KR20080012995A KR1020077030188A KR20077030188A KR20080012995A KR 20080012995 A KR20080012995 A KR 20080012995A KR 1020077030188 A KR1020077030188 A KR 1020077030188A KR 20077030188 A KR20077030188 A KR 20077030188A KR 20080012995 A KR20080012995 A KR 200800129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recovery
- waste
- sealed contain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0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6 medic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0 blood supp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9 process resid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6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comprising liquid feeding, e.g. spraying means
- B01F27/6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comprising liquid feeding, e.g. spraying means the liquid being fed through the shaft of the stirr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helices with opposite pitch on the same shaft; with two helices on the same axis, driven in opposite directions or at different spee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2—Feed or outlet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steam or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C10B49/04—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while moving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distil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80—Additives
- C10G2300/805—Water
- C10G2300/807—Stea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1대의 장치만으로,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처리에 연속하여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내부에 유기계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쇄 공간 S1을 갖는 밀폐 용기(12)와, 밀폐 용기(12) 내에 상기 폐기물을 탄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 분출 수단(14)과, 밀폐 용기(12)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개폐 기구(26)를 갖는 배출구(16)와, 배출구(16)로부터의 직접 배출 조작만으로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1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계 폐기물, 가정 폐기물, 산업 폐기물 등에 포함되는 유기계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처리 후에는 처리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한 상태로 취출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분리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밀폐된 용기 내에서 폐기물에 고온 고압의 수증기 중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폐기물을 증기로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소각 처리하는 경우와 같이 유해한 질소 산화물, 유황 산화물 등의 발생이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고, 환경 오염의 문제가 없고 안전한 폐기물 처리를 기대할 수 있었다.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355호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폐기물을 증기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용기 중에 존재하는 대량의 증기의 일부가 액화되거나 혹은 폐기물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수분 등이 존재함으로써, 용기 내에는 처리된 고체물과 액체가 섞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액체가 혼재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처리가 완료된 폐기물을 취출한 후의 운반이나 보관 등이 불편하여 취급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처리 방법으로는 고온 고압 수증기로 처리하는 반응기(140)와는 별도로 기액고 분리기(90)를 구비하고 있고, 처리한 후에 재(120)나 처리수(110) 등을 분리할 필요가 있었다. 즉, 특허 문헌 1의 처리 방법으로는 (1) 분리기 등의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처리 비용이 비싸고, 또한 (2) 처리 공정이 번잡해져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3) 처리에 장시간이 걸리고, (4) 반응기와 분리기를 따로따로 설치하기 위한 용지를 넓게 확보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하나의 목적은 1대의 장치만으로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처리에 연속하여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처리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액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유기계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쇄 공간(S1)을 갖는 밀폐 용기(12)와, 밀폐 용기(12) 내에 상기 폐기물을 탄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 분출 수단(14)과, 밀폐 용기(12)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개폐 기구(26)를 갖는 배출구(16)과, 배출구(16)로부터의 직접 배출 조작만으로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10)로 구성된다. 밀폐 용기(12)의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박스형, 입체 다각통형, 원통형, 통형, 드럼형 등 그 밖의 임의 형상으로 좋지만,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16)로부터 중력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밀폐 용기의 하면이 배출구를 향하여 내리막 경사로 설치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또한, 분리 회수 수단(18)은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는 상이한 다른 폐쇄 공간 S2을 갖고, 배출구(16)를 통해 상기 밀폐 용기(12) 내부에 연통하는 액체의 회수부(50)와, 밀폐 용기(12) 내의 액체만을 배출구(16)를 통해 자연 유하(流下)에 의해 회수부(50)로 회수시키는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배출구(16) 부근에서 처리된 폐기물은 밀폐 용기(12) 내에 그대로 남고, 액체만이 중력을 이용하여 회수부(50)로 자연 유하함으로써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 회수할 수 있다. 회수부(50)의 구성은, 예를 들어 금속제 탱크나 입체 다각형상의 박스체, 관형상체 등, 액체를 회수하는 폐쇄 공간 S2를 갖는 것이면 임의의 것이라도 좋다. 수용부를 복수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는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 회수부(50)의 폐쇄 공간 S1을 동압(同壓)으로 하는 동압 형성 수단(62)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밀폐 용기(12)와 회수부(50)를 항상 동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면, 처리 후에 액체의 회수 작업을 곧바로 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압 형성 수단(62)은 배출구(16)를 통한 액체의 회수 경로와 상이한 다른 경로로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 회수부(50)의 폐쇄 공간 S2를 연통시키는 동압 연통관(64)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동압 연통관은 항상 연통시켜 밀폐 용기(12) 내와 회수부(50) 내를 항상 동압 상태로 해 두어도 좋다. 또한, 동압 연통관(64)은 적어도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12)와 회수부(50)를 연통시켜 동압으로 하면 좋고, 상기 동압 연통관을 연통·차단하기 위한 개폐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경로를 형성하는 동압 연통관(64)과 밀폐 용기(50)의 연통은 밀폐 용기(12)의 상단측에 설정된 연통 접속부(68)를 통해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는 밀폐 용기(12)의 배출구(16)와 회수부(50)를 연통 접속하는 액체 회수 유로(54)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회수 유로(54)는 배출구(16)와의 연통측으로부터 회수부(50)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내리막 경사형상으로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처리된 폐기물의 배출구(16)로부터의 배출 경로 R1 도중에 개폐 기구(26)가 설치되고, 개폐 기구(26)보다도 배출 상류측에 액체 회수 유로(54)의 액체 도입구(58)가 연통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액체 회수 유로(54)에는 밀폐 용기(12) 내에서의 폐기물의 처리 중에는 유로를 차단함과 함께, 처리 후에 액체만을 회수할 때에는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연통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changeover)하는 개폐 기구(60)가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회수부(50)의 폐쇄 공간 S2의 바닥면이 밀폐 용기(12)의 배출구(16)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회수부(50)는 그 폐쇄 공간 S2 내에 회수한 액체의 액면이 항상 배출구(16)보다 낮아지도록 설치된 것으로 해도 좋다.
밀폐 용기(12) 내에는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30)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밀폐 용기(12)는 좌우 중앙부의 바닥측에 배출구(16)가 설치되면서, 직경이 좌우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된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교반 수단(30)은 밀폐 용기(12) 내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회전축(49)과, 회전축(49)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49)의 둘레방향으로 퍼지는 부위를 갖는 교반 날개(48)를 갖고, 교반 날개(48)의 회전축(49)으로부터 날개 선단까지의 길이는 밀폐 용기(12)의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축(49)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길고, 양단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증기 분출 수단(14)은 회전축(49)을 중공관으로 하고, 상기 중공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증기 분출 구멍(44)을 형성하여 구성된 회전축 겸 증기 분출관(28)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자유로운 배출구(16)를 갖는 제1 폐쇄 용기(12) 내에서 유기계의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면서 처리한 후에,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 회수함에 있어서, 제1 폐쇄 용기(12)의 배출구(16)와 연통 접속됨과 함께 배출구(16)와는 상이한 연통부(64)를 통해 상기 제1 폐쇄 용기(12)와 동압이 되는 제2 폐쇄 용기(50)를 준비하고, 그러한 폐쇄 용기(12, 50)를 동압으로 한 상태로 배출구(16)를 통해 액체를 자연 유하시킴으로써 제2 폐쇄 용기(50)에 액체만을 분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에서의 액체 분리 회수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유기계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쇄 공간을 갖는 밀폐 용기와, 밀폐 용기 내에 상기 폐기물을 탄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 분출 수단과, 밀폐 용기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개폐 기구를 갖는 배출구와 배출구로부터의 직접 배출 조작만으로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1대의 장치만으로 폐기물을 안전 처리하여 상기 처리에 연속하여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특히, 액체와 섞인 상태의 취급하기 어려운 폐기물을 외부로 꺼낼 필요가 없고, 처리한 밀폐 용기로부터 직접 분리 회수할 수 있어 작업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지 않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체와 분리하여 회수한 폐기물은 수분이 적은 상태이며, 취급이나 반송, 관리 등에 편리하고, 예를 들어, 탄화된 폐기물을 단기간으로 연료나 토양 개량재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회수 수단은 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는 상이한 다른 폐쇄 공간을 갖고,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밀폐 용기 내부에 연통하는 액체의 회수부와 밀폐 용기 내의 액체만을 배출구를 통해 자연 유하에 의해 회수부로 회수시키는 자연 유하 회수 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동력 등을 이용하지 않는 심플한 구성인 것과 함께, 간단하고 저비용 구조로,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양호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유하 회수 기구는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 회수부의 폐쇄 공간을 동압으로 하는 동압 형성 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체를 회수부로 회수할 때에 액체와 폐기물이 함께 회수부측으로 압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하게 액체만을 처리된 폐기물과 분리하여 자연 유하시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을 처리한 밀폐 용기 내를 고압 상태인 채로 액체의 분리 회수를 행할 수 있어 작업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압 형성 수단은 배출구를 통한 액체의 회수 경로와 상이한 다른 경로로 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 회수부의 폐쇄 공간을 연통시키는 동압 연통관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비용 구조로 효율좋은 동압 형성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로를 형성하는 동압 연통관과 밀폐 용기의 연통은, 밀폐 용기의 상단측에 설정된 연통 접속부를 통해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폐기물이 동압 연통관 내에 들어가기 어려운 구성을 실현하여 폐기물이 상기 연통관 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과, 동압 연통관에 의한 연통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확실히 밀폐 용기 내와 회수부 내를 동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유하 회수 기구는 밀폐 용기의 배출구와 회수부를 연통 접속하는 액체 회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회수 유로는 배출구와의 연통측으로부터 회수부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내리막 경사형상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체를 회수할 때에 액체의 역류나 자연 유하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를 부드럽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폐기물의 배출구로부터의 배출 경로 도중에 개폐 기구가 설치되고, 개폐 기구보다도 배출 상류측에 액체 회수 유로의 액체 도입구가 연통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액체 도입구에 폐기물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액체만을 액체 회수로에 자연 유하시켜 액체의 분리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회수 유로에는 밀폐 용기 내에서의 폐기물의 처리 중에는 유로를 차단함과 함께, 처리 후에 액체만을 회수할 때에는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연통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개폐 기구가 설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폐기물과 동시에 폐기물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증기가 악취 성분 등을 포함하여 액화한 액체 등도 고온 고압의 증기로 처리시켜, 액체를 살균, 악취·유해 성분의 분해 등이 된 상태로 회수할 수 있는 결과, 회수한 액체의 2차 처리 등이 불필요하고, 수고나 노력,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회수부의 폐쇄 공간의 바닥면이 밀폐 용기의 배출구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체의 회수 시에 자연 유하가 막히지 않고 부드럽게 액체를 회수부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회수부는 그 폐쇄 공간 내에 회수한 액체의 액면이 항상 배출구보다 낮아지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특히, 회수부 내에 어느 정도 액체를 회수한 후에도 액체의 자연 유하를 부드럽게 하여 회수부에 확실히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밀폐 용기 내에는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폐기물을 균일하게 조기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밀폐 용기는 좌우 중앙부의 바닥측에 배출구가 설치되면서, 직경이 좌우 중앙부에서 좌우 양단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된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교반 수단은 밀폐 용기 내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둘레방향으로 퍼지는 부위를 갖는 교반 날개를 갖고, 교반 날개의 회전축으로부터 날개 선단까지의 길이는 밀폐 용기의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축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길고, 양단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 내의 폐기물을 취출할 때에 중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동시에, 밀폐 용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폐기물을 균일하게 확실히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분출 수단은 회전축을 중공관으로 하고, 상기 중공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증기 분출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 회전축 겸 증기 분출관을 포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폐기물에 직접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여 효율적인 폐기물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밀폐 용기 내에서의 증기 분출 수단 및 교반 수단의 효율이 좋은 배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에서의 액체 분리 회수 방법에 의하면, 개폐 자유로운 배출구를 갖는 제1 폐쇄 용기 내에서 유기계의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면서 처리한 후에,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 회수함에 있어, 제1 폐쇄 용기의 배출구와 연통 접속됨과 함께, 배출구와는 상이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제1 폐쇄 용기와 동압이 되는 제2 폐쇄 용기를 준비하고, 그들의 폐쇄 용기를 동압으로 한 상태로 배출구를 통해 액체를 자연 유하시킴으로써, 제2 폐쇄 용기에 액체만을 분리 회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력 등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 간단한 조작으로 액체만을 처리된 폐기물과 분리시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의 일부 파단한 상태에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처리 장치의 배출구 주변의 확대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처리 장치에서 액체 회수 유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12 : 밀폐 용기
14 : 증기 분출 수단
16 : 배출구
18 : 분리 회수 수단
26 : 개폐 기구
30 : 교반 수단
50 : 회수부
52 : 자연 유하 회수 기구
54 : 액체 회수 유로
58 : 액체 도입구
60 : 개폐 기구
62 : 동압 형성 수단
64 : 동압 연통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주사기, 혈액이 묻은 가제, 종이 기저귀, 수술한 내장 등의 의료 관계 기관 등으로부터 폐기된 의료계 폐기물, 젖은 쓰레기,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제 용기 등의 일반 가정으로부터 폐기된 가정계 폐기물, 식품 가공 폐기물, 농수산 폐기물, 각종 공업 제품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의 산업 폐기물 등에 포함되는 유기계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통해 처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처리한 폐기물과 액체를 간단한 조작으로 유효하게 분리하여 상기 폐기물과 액체를 따로 따로 회수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도 2에는,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이하, 단순히「처리 장치」라고도 함)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10)는 내부에 유기계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밀폐 용 기(12)와, 밀폐 용기 내에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 분출 수단(14)과, 밀폐 용기(12)의 바닥측에 설치된 배출구(16)와,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2)는 내부에 처리하는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쇄 공간 S1을 갖는 폐쇄 용기로서, 상기 폐쇄 공간 S1 내에 있어서 고온 고압 하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제1 폐쇄 용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 용기(12)는 지지 다리(13)로 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로 배치되도록 지지되고 있다. 밀폐 용기(12)는 그 직경이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측의 단벽(12a)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된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 용기(12)는, 예를 들어, 내열 내압성을 가지도록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고, 폐기물을 약 2㎥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치되어 있다. 밀폐 용기(12)에는 중앙부의 위쪽에 투입부(20)가, 중앙부의 바닥측에 배출부(2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각 개폐 기구(24, 26)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 내에는 증기 분출 수단(14)을 구성하고 있는 증기 분출관(28)과,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폐 용기(12)에는, 내부 압력이 설정값보다도 높아지면 내부 증기를 개방시키는, 예를 들어 설정압을 조정 가능한 안전 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 밸브(32)에 접속된 배기용관의 도중에는 소음·소취 장치(34)가 설치되어 있고, 안전 밸브(32)를 통해 배기되는 증기는 소음 소취되어 외기측에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16)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2)의 좌우 중앙부의 저면측에 개구되어 있고, 폐기물의 배출 방향을 아래쪽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16)의 직경은, 예를 들어 300㎜ 정도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16)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된 배출통(36)이 접속되어 처리된 폐기물의 배출 경로 R1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배출 경로 R1의 도중에 설치되어 배출구(16)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부(22)는 배출구(16)와 배출통(36)과 개폐 기구(26)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 기구(26)는, 예를 들어, 중심에 배출 경로 R1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37)이 설치된 볼형상의 밸브체(38)를 배출 경로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40)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출 경로 R1을 개폐하는 볼 밸브 등의 개폐 밸브로 이루어진다. 밀폐 용기(12)가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내부의 폐기물은 배출구(16)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를 향해서 모이기 쉽고, 개폐 기구(26)를 여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폐기물을 배출구(16)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투입부(2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 용기(12)의 상측에 투입구(42)가 개구되어 있고, 투입구(42)에는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투입통(44)이 부착되며, 투입통(44) 내를 개폐하도록 예를 들어 볼 밸브 등의 개폐 기구(24)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기구(24)를 통해, 투입구를 열어 폐기물을 밀폐 용기 내에 투입할 수 있고, 처리 시에는 폐쇄하여 밀폐 용기(12) 내의 폐쇄 공간 S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기 분출 수단(14)은 밀폐 용기(12) 내에 고온 고 압의 증기를 분출함과 함께 상기 밀폐 용기(12) 내를 고온 고압 상태로 하고, 폐기물을 증기를 통해 처리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분출 수단(14)은 밀폐 용기(12) 내에 배치되어 둘레면측에 다수의 증기 분출 구멍(44)이 형성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증기 분출관(28)과, 보일러 등의 증기 발생 장치(46)와, 증기 발생 장치(46)로부터 증기 분출관(28)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송관(47)을 포함한다. 증기 분출 수단(14)으로부터 밀폐 용기(12) 내에 분출되는 증기는 폐기물(주로 고형상의 성분)을 탄화시킬 정도의 고온 고압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증기 분출관(28)으로부터 분출되는 증기는, 온도가 180~250℃, 압력이 15~35at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 용기(12) 내를 온도 180~250℃, 압력 15~35atm 정도로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분출관(28)은 밀폐 용기(12)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밀폐 용기의 양단벽(12a)에 설치된 베어링(45)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즉, 증기 분출관(28)은 횡축 둘레로 회전하면서 방사형상으로 증기를 분출하면서 증기를 폐기물에 직접 닿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증기 분출관(28)은 모터 등의 회전 구동 장치(51)로부터 체인 등을 통해 회전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분출관(28)에는 교반 날개(48)가 부착되어 있고, 증기 분출관(28)이 교반 수단의 회전축(49)을 겸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증기 분출 수단(14)은, 교반 수단의 회전축(49)을 중공관으로 하고, 상기 중공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증기 분출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 회전축 겸 증기 분출관(28)을 포함한다. 또한, 증기 분출 수단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밀폐 용기 내에 삽입한 관의 선단으로부터 증기를 분출하는 구성, 복수의 증기 분출관을 배치시킨 구성 등, 그 외 임의의 구성이라도 좋다.
교반 수단(30)은 밀폐 용기 내에서 처리되는 폐기물을 교반하는 수단이며, 폐기물을 균일하게 조기에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반 수단(30)은 상기의 증기 분출관(28)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49)과, 상기 회전축(49)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으로 퍼지는 부위를 갖는 교반 날개(48)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반 날개(48)는, 회전축(49)의 축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서 서로 반대로 감겨 설치된, 오른쪽으로 감긴 나선 날개(48a)와 왼쪽으로 감긴 나선 날개(48b)로 형성되어 있다. 교반 날개(48)는 회전축으로부터 날개 선단까지의 길이가 좌우 중앙부로부터 양단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밀폐 용기(12)의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에 대응하여 폐기물을 확실히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날개 선단과 밀폐 용기(12)의 내벽 사이에 어느 정도의 틈새 H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선 날개(48a, 48b)는 폐기물을 중앙부로부터 양단벽측을 향하여 반송하면서 고형상의 폐기물을 파쇄하면서 폐기물을 교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반 수단에 의해 폐기물은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0.3~0.8㎜ 정도로 파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교반 날개(48)에 의해 양단벽(12a)측에 반송된 폐기물은, 상기 단벽(12a)측에서 뒤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폐기물에 의해서 압송되고, 밀폐 용기(12)의 내벽을 따르면서 틈새 H를 통하고 나서 중앙에 돌아오도록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반 수단(30) 은 본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회전축에 부착된 복수의 판형상이나 날개형상의 교반 날개체나 로드체로 교반하는 구성, 증기 등의 압력 유체로 교반하는 구성 등 그 외 임의의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파쇄된 폐기물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밀폐 용기 내에서 고온 고압 하에서 교반하면서 소요 시간, 예를 들어 30~60분 정도 처리함으로써 폐기물이 탄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PCB의 분해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유가 섞인 폐기물 등을 처리한 경우, PCB 농도가 처리 전에는 80ppm 이었던 것이 처리 후에는 0.005ppm 정도로 감소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밀폐 용기(12) 내에는 증기의 일부가 액화하거나 폐기물에 포함되는 수분 등에 의해 액체가 모이고, 처리되어 탄화된 폐기물과 액체가 혼재한 상태가 된다.
분리 회수 수단(18)은 배출구로부터의 직접 조작만으로 증기 처리 후의 밀폐 용기(12) 내의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회수 수단(18)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16)를 통해 밀폐 용기(12) 내부에 연통하는 액체의 회수부(50)와 배출구(16)를 통해 액체를 자연 유하(流下)에 의해 회수부(50)에 회수시키는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를 가진다.
회수부(50)는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는 상이한 다른 폐쇄 공간 S2를 내부에 가진 제2 폐쇄 용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수부(50)는 예를 들어, 내열 내압성을 가진 금속제의 원통 형상의 밀폐 탱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수부(50)는, 예를 들어 금속제 관부재 등으로 형성되는 액체 회수 유로(54)를 통해 밀폐 용기(12)의 배출구(16)와 연통 접속되고 있다. 회수부(50)는, 그 폐쇄 공간 S2의 바닥면이 밀폐 용기(12)의 배출구(16)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고 있음과 함께, 폐쇄 공간 S2 내에 회수한 액체의 액면 WL이 항상 배출구(16)보다 낮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측의 액체가 회수부측으로 부드럽게 자연 유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회수부(50)에는 회수한 액체의 취출 드레인(56)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 밸브에 의해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는 밀폐 용기(12) 내에 모이는 액체의 중력에 의한 자연 유하에 의해, 액체만을 배출구로부터 회수부(50)로 유하시키는 자연 유하 회수 수단이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연 유하 회수 기구(52)는 액체 회수 유로(54)를 포함한 구성이며, 액체 회수 유로(54)는 그 액체 도입구(58)를 배출구(16)에 연통 접속시켜, 처리된 폐기물의 배출 경로 R1로부터 분기한 액체의 회수 경로 R2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54)는, 예를 들어, 그 내경이 6㎜ 정도의 금속제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회수 유로(54)에는 유로의 연통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개폐 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기구(60)는, 밀폐 용기 내에서의 폐기물의 처리 중에는 유로를 차단함과 함께 처리 후에 액체만을 분리 회수할 때에는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폐기물과 동시에 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증기가 액화하여 폐기물 중의 세균이나 악취 성분 등을 포함한 상태의 액체는, 고온 고압의 증 기로 처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처리 후에 분리 회수되는 액체는 살균이나, 악취·유해 성분의 분해 등이 된 상태로 회수할 수 있고, 분리 회수한 액체를 2차 처리할 필요가 없어, 노력이 들지 않고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54)는 액체 도입구(58)가 개폐 기구(26)보다도 배출 상류측의 위치에 연통 접속되고 있다. 따라서, 배출구(16)의 개폐 기구(26)를 닫은 상태로, 액체 회수 유로(54)의 개폐 기구(60)를 열어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함으로써, 배출구로부터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54)는 배출통(36)과 직교 방향으로 접속되고 있고, 액체의 회수 경로 R2가 폐기물의 배출 경로 R1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개폐 기구(26)의 폐쇄 상태에서는 밀폐 용기 내의 폐기물의 퇴적압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서 교차 방향으로 액체가 흐르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액체 도입구(58)에 폐기물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액체만을 액체 회수로(54)에 자연 유하시켜 액체의 분리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밀폐 용기(12) 내의 액체가 액체 도입구(56)로 흐르는 기세가 너무 강하면, 액체의 흐름의 힘에 의해서 폐기물이 함께 흐를 우려가 있으므로, 적합하게는 처리된 폐기물을 흘려 운반하지 않을 정도의 완만한 흐름이 되도록 액체 회수로나 액체 도입구 등의 접속 구성이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로(54)가 액체 도입구(58)로부터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액체 도입구로의 자연 유하의 유속이 비교적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54)는 배출구(16)와의 연통측(액체 도입구측)으로부터 회수부측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으 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회수 유로에서의 액체의 흐름은 부드럽게 행해지고 배출구로부터 회수부로 자연 유하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회수 유로(54)를 회수부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형상으로 설치하여 액체 회수로(54) 내에서 액체의 흐름이 보다 부드럽게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도 3 상, 일점 쇄선 X는 수평을 나타낸 선이다. 이 때, 예를 들어, 액체 도입구(58)측을 어느 정도의 길이까지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후 내리막 경사로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액체 도입구(58)에는 필요에 따라서 필터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연 유하 기구(52)는,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 회수부(50)의 폐쇄 공간 S2를 동압(同壓)으로 형성시키는 동압 형성 수단(62)을 포함한다. 통상으로는, 처리 후의 밀폐 용기(12) 내는 고압이기 때문에, 액체 회수 유로에서는 밀폐 용기 내에 비해 저압인 회수부의 폐쇄 공간 S2를 향해서 압력차에 의한 압송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압송력이 작용하면 액체와 폐기물이 함께 액체 회수 유로(54)에 흘러들게 되고, 액체와 폐기물의 분리 회수가 곤란해짐과 함께 폐기물이 액체 회수 유로 내에 막힐 우려가 높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동압 형성 수단(62)에 의해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12)와 회수부(50)의 2개의 폐쇄 공간 S1, S2를 동압으로 해 둠으로써, 상기 2개의 폐쇄 공간 S1, S2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폐기물이 압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체의 자연 유하 작용을 이용하여 폐기물과 분리하면서 양호하게 회수부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후의 밀폐 용기 내의 고압 상태에서도 분리 회수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압 형성 수단(62)은 배출구(16)를 통한 액체의 회수 경로 R2(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54))와는 상이한 다른 경로 R3로 밀폐 용기(12)의 폐쇄 공간 S1과 회수부(50)의 폐쇄 공간 S2를 연통시키는 동압 연통관(64)을 포함한다. 동압 연통관(64)은, 예를 들어, 금속제관으로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조로 더구나 효율적으로 2개의 폐쇄 공간 S1, S2를 동압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동압 연통관(64)은 일단측이 밀폐 용기(12)의 좌우 중앙부의 상단측에 연통 접속되고, 타단측을 회수부(50)의 상단측에 연통 접속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경로 R3을 형성하는 동압 연통관(64)과 밀폐 용기(12)의 연통은, 밀폐 용기(12)의 상단측에 설정된 연통 접속부(68)를 통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접속부(68)의 밀폐 용기와의 접속구가 아래쪽을 향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동압 연통관(64) 내에 밀폐 용기(12) 내에서 퇴적하고 있는 폐기물이 관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있고, 폐기물이 관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동압 연통관의 연통 상태를 유지하고, 밀폐 용기(12)와 회수부(50)를 확실히 동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압 연통관(64)은 항상 연통 상태가 되고 있고, 액체 회수 유로(54)의 개폐 기구(60)를 닫은 상태에서는, 밀폐 용기(12) 내, 회수부(50), 액체 회수 유로(54) 내가 동일한 압력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회수 유로(54)의 개폐 기구(60)를 연 직후에도 배출구(16)의 액체 도입구(58)측에서 압력차에 의한 폐기물의 압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기 구(60)를 열어 액체를 회수할 때에도, 밀폐 용기(12) 내와 회수부(50) 내는 항상 동압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회수 전부터 회수 종료 후까지 동압 상태가 되고, 양호하게 액체만을 배출구(16)로부터 자연 유하시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동압 형성 수단(62)은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구성으로 좋다. 예를 들어, 동압 형성 수단(62)은 회수부 내를 고압으로 하는 다른 고압 형성 장치를 설치하여 밀폐 용기 내의 압력을 센서로 감시하면서 회수부 내의 압력을 조정하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과 동압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밀폐 용기 내를 감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체 회수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처리 대상의 폐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병원, 대학, 그 외의 연구소 등의 의료 관계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혈액, 수술 후의 내장, 탈지면, 종이 기저귀, 혈액 공급용 튜브, 링겔 용기, 수지제 주사기 등의 의료계 폐기물로 한다. 또한, 주사 바늘 등의 금속류나 유리제인 것은 미리 분별하여 제거된다. 배출구(16)의 개폐 기구(26), 액체 회수 유로(54)의 개폐 기구(60)를 닫은 상태로 밀폐 용기(12)의 투입구의 개폐 기구(24)를 열고, 예를 들어, 2㎥ 정도의 폐기물을 투입한다. 투입구의 개폐 기구(24)를 닫아 밀폐 용기(12)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밀폐 용기 내에 증기 분출 수단(14)의 증기 분출관(28)으로부터, 예를 들어 250℃, 25atm 정도로 설정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한다. 분출된 증기에 의해, 밀폐 용기(12) 내는 예를 들어, 250℃, 25atm 정도의 고온 고압 상태가 된다. 동시에, 동압 연통관(64)을 통해 회 수부(50)의 폐쇄 공간 S2는, 밀폐 용기 내와 동압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250℃, 25atm 정도의 고온 고압 상태가 된다. 밀폐 용기 내에서 고온 고압의 조건 하에서, 회전하는 교반 날개(48)에 의해 폐기물을 교반, 파쇄시키면서 폐기물을 처리한다. 폐기물에 포함되는(혹은 부착되어 있는) 병원체 등은 충분히 멸균됨과 함께 악취 성분 등을 분해하면서 처리된다. 또한, 처리 중에서는 액체 회수 유로의 개폐 기구(60)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고 있으므로, 폐기물과 동시에 폐기물에 포함되는 수분도 고온 고압의 증기로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를 소요 시간, 예를 들어, 약 40분간 행하면, 폐기물은 예를 들어, 0.3~0.8㎜ 정도의 입자형상으로 파쇄된 숯 상태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폐기물을 처리한 후에는, 밀폐 용기(12) 내에는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가 혼재한 상태가 되고 있으므로, 분리 회수 수단을 통해 먼저 액체만을 분리 회수시킨다. 액체 회수 유로(54)의 개폐 기구(60)를 열면, 배출구로부터 액체 회수 유로 내로 액체가 자연 유하하여 회수부에 회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액체 회수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 용기를 제1 폐쇄 용기로 하고, 밀폐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연통 접속됨과 함께 배출구와는 상이한 동압 연통관을 통해 밀폐 용기(12)와 동압이 되는 회수부(50)를 제2 폐쇄 용기로 하고, 밀폐 용기와 회수부를 동압으로 한 상태로, 배출구를 통해 액체를 자연 유하시킴으로써 회수부에 액체만을 분리 회수한다. 밀폐 용기(12) 내와 회수부(50) 내가 동압이기 때문에 액체와 폐기물이 함께 되어 압송되는 일이 없고, 밀폐 용기(12) 내에 모인 액체의 중력에 의한 자연 유하에 의해 액체만이 액체 도입구(50)로부터 액체 회수 유로(54) 내로 흐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 용기와 회수부는 동압 연통관을 통해 항상 동압 상태이기 때문에, 폐기물을 처리한 후, 곧바로 액체의 분리 회수를 행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20분 정도 방치하고, 액체를 자연 유하시켜 분리 회수한 후에, 밀폐 용기(12)의 배출구(16)의 개폐 기구(26)를 열어 처리된 폐기물을 배출한다. 처리된 폐기물은, 예를 들어, 함수율이 30% 정도인 상태로 액체와 거의 분리된 숯이 되어 있고, 운반, 관리 등에도 취급하기 쉬운 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대의 장치만으로 폐기물의 처리와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 액체와 섞인 상태의 취급하기 어려운 폐기물을 외부로 꺼낼 필요가 없고, 처리에 연속하여 밀폐 용기로부터 직접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회수의 구성도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개폐 기구는 수동 조작으로 개폐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혹은 전기 등을 이용한 기계적인 조작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회수 방법은, 상기한 실시 형태만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본질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개변을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회수 방법은, 예를 들어, 일반 가정, 의료 관계 기관, 공장, 처리장 등으로부터 폐기되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폐기물, 생활쓰레기, 하수 슬러지 등, 그 외 여러 가지의 유기계 폐기물을 처 리할 때에 이용된다.
Claims (14)
- 내부에 유기계의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쇄 공간을 갖는 밀폐 용기와,밀폐 용기 내에 상기 폐기물을 탄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 분출 수단과,밀폐 용기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개폐 기구를 갖는 배출구와배출구로부터의 직접 배출 조작만으로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분리 회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회수 수단은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는 상이한 다른 폐쇄 공간을 갖고,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밀폐 용기 내부에 연통하는 액체의 회수부와,밀폐 용기 내의 액체만을 배출구를 통해 자연 유하(流下)에 의해 회수부로 회수시키는 자연 유하 회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자연 유하 회수 기구는 액체의 회수 조작 전에 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 회수부의 폐쇄 공간을 동압(同壓)으로 하는 동압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동압 형성 수단은 배출구를 통한 액체의 회수 경로와 상이한 다른 경로로 밀폐 용기의 폐쇄 공간과 회수부의 폐쇄 공간을 연통시키는 동압 연통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다른 경로를 형성하는 동압 연통관과 밀폐 용기의 연통은, 밀폐 용기의 상단측에 설정된 연통 접속부를 통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연 유하 회수 기구는 밀폐 용기의 배출구와 회수부를 연통 접속하는 액체 회수 유로를 포함하고,상기 액체 회수 유로는 배출구와의 연통측으로부터 회수부측을 향하여 수평 또는 내리막 경사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처리된 폐기물의 배출구로부터의 배출 경로 도중에 개폐 기구가 설치되고, 개폐 기구보다도 배출 경로 상류측에 액체 회수 유로의 액체 도입구가 연통 접속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액체 회수 유로에는 밀폐 용기 내에서의 폐기물의 처리 중에는 유로를 차단함과 함께, 처리 후에 액체만을 회수할 때에는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연통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changeover)하는 개폐 기구가 설치된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수부의 폐쇄 공간의 바닥면이 밀폐 용기의 배출구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수부는 그 폐쇄 공간 내에 회수한 액체의 액면이 항상 배출구보다 낮아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용기 내에는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갖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밀폐 용기는 좌우 중앙부의 바닥측에 배출구가 설치되면서 직경이 좌우 중앙부에서 좌우 양단측을 향하여 점차 직경 축소된 옆으로 쓰러진 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교반 수단은 밀폐 용기 내에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둘레방향으로 퍼지는 부위를 갖는 교반 날개를 갖고,교반 날개의 회전축으로부터 날개 선단까지의 길이는 밀폐 용기의 옆으로 쓰 러진 통형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축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길고, 양단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증기 분출 수단은, 회전축을 중공관으로 하고, 상기 중공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증기 분출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 회전축 겸 증기 분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 개폐 자유로운 배출구를 갖는 제1 폐쇄 용기 내에서 유기계의 폐기물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하면서 처리한 후에, 처리된 폐기물과 액체를 분리 회수함에 있어서,제1 폐쇄 용기의 배출구와 연통 접속됨과 함께 배출구와는 상이한 연통부를 통해 상기 제1 폐쇄 용기와 동압이 되는 제2 폐쇄 용기를 준비하고,그러한 폐쇄 용기를 동압으로 한 상태에서 배출구를 통해 액체를 자연 유하시킴으로써 제2 폐쇄 용기에 액체만을 분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에서의 액체 분리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5/009728 WO2006126273A1 (ja) | 2005-05-27 | 2005-05-27 | 有機系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液体分離回収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2995A true KR20080012995A (ko) | 2008-02-12 |
KR101313438B1 KR101313438B1 (ko) | 2013-10-01 |
Family
ID=3745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30188A KR101313438B1 (ko) | 2005-05-27 | 2005-05-27 |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분리 회수 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8512573B2 (ko) |
EP (3) | EP3195944B1 (ko) |
JP (1) | JP4864884B2 (ko) |
KR (1) | KR101313438B1 (ko) |
CN (1) | CN101184560B (ko) |
DK (1) | DK3210680T3 (ko) |
ES (2) | ES2720649T3 (ko) |
HK (1) | HK1115836A1 (ko) |
PL (1) | PL1894640T3 (ko) |
WO (1) | WO200612627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44792A2 (ko) * | 2011-04-18 | 2012-10-26 | 주식회사 에코그린텍 | 유기물의 분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 방법 |
WO2024071917A1 (ko) * | 2022-09-26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전단 믹싱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08364A (en) * | 1995-08-31 | 2000-08-22 | Qualcomm Incorporated | Time division duplex repeater for use in a CDMA system |
JP3130553U (ja) * | 2007-01-18 | 2007-03-29 | 株式会社クラフトマン | 減容分解装置 |
GB0801787D0 (en) * | 2008-01-31 | 2008-03-05 | Reclaim Resource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
CN101711956B (zh) * | 2008-10-08 | 2013-04-17 | 董建平 | 物料膨化机装置 |
GB0915557D0 (en) * | 2009-09-07 | 2009-10-07 | Chalabi Rifat A | Apparatus for processeng waste material |
CN102115672B (zh) * | 2010-01-04 | 2013-08-14 | 江宏 | 利用高温蒸汽与热源分解处理物的反应炉装置 |
JP5537244B2 (ja) | 2010-04-28 | 2014-07-02 | フジムラインベント株式会社 | 水蒸気の水成分と熱を利用した被処理物の水熱処理方法と酸化型亜臨界処理装置 |
EP2410035B1 (de) * | 2010-07-21 | 2020-05-06 | Revatec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arbonisierung von Biomasse mit Dampfsteuerung |
CN102397867A (zh) * | 2010-09-15 | 2012-04-04 | 林中选 | 一种医疗废弃物处理方法和装置 |
CN102125926B (zh) * | 2011-04-02 | 2012-12-12 | 江苏亿尔等离子体科技有限公司 | 高温高压医疗固体废物就地处置装置 |
RU2507236C2 (ru) * | 2012-02-27 | 2014-02-20 | Лесков 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органических и минеральных отходов |
WO2013149359A1 (zh) * | 2012-04-01 | 2013-10-10 | Chou Chukwang | 带有三维搅拌机构的废弃物处理装置 |
JP6872101B2 (ja) * | 2012-04-04 | 2021-05-19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重金属類を含む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重金属類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 |
CN102699010A (zh) * | 2012-06-15 | 2012-10-03 | 栖霞中泰环保设备有限公司 | 医疗废弃物现场实时无害化处理再利用的方法及设备 |
KR101339718B1 (ko) * | 2013-07-02 | 2013-12-10 | 주식회사 부강테크 | 다점 증기 분사방식의 반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CN103420690B (zh) * | 2013-08-27 | 2015-10-07 | 天紫环保投资控股有限公司 | 利用生活垃圾快速制肥系统 |
CN104117531B (zh) * | 2014-06-06 | 2016-02-03 | 浙江省环境保护科学设计研究院 | 一种利用亚临界水萃取修复石油烃污染土壤的方法 |
CN105038829B (zh) * | 2015-07-10 | 2018-07-27 | 宜宾市永骅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处理医疗废弃物的系统、方法及其用途 |
CN106268418B (zh) * | 2016-08-09 | 2018-12-21 | 绍兴顶多纺织有限公司 | 洗衣片浆液涡旋流道搅拌混合装置 |
CN106422954A (zh) * | 2016-12-01 | 2017-02-22 | 苏州金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 管道式切片搅拌装置 |
MX2019012269A (es) * | 2017-04-14 | 2020-02-10 | Tria Pte Ltd | Aparato para tratamiento de residuos mixtos y metodo asociado. |
JP7030256B2 (ja) * | 2017-10-31 | 2022-03-07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フルボ酸溶液の製造方法 |
JP6285605B1 (ja) * | 2017-08-31 | 2018-02-28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フルボ酸溶液の製造方法 |
KR102535050B1 (ko) * | 2017-08-31 | 2023-05-19 | 지-8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 풀브산 용액의 제조방법 및 풀브산 용액 |
JP7177539B2 (ja) * | 2017-10-31 | 2022-11-24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フルボ酸およびフミン酸の混合溶液の製造方法およびフミン酸の製造方法 |
CN107760325B (zh) * | 2017-12-01 | 2019-08-23 |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干馏炉排焦装置的蒸汽冷却结构及方法 |
CN108939977A (zh) * | 2018-06-22 | 2018-12-07 | 郭庆平 | 一种节能环保的家用污水消毒装置 |
CN109012311A (zh) * | 2018-08-08 | 2018-12-18 | 王义云 | 一种工业废水环保处理装置 |
JP7381001B2 (ja) * | 2019-03-22 | 2023-11-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水熱処理装置 |
JP7442782B2 (ja) * | 2019-11-06 | 2024-03-05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有機系処理物の亜臨界水処理装置 |
CN111014264B (zh) * | 2019-11-28 | 2022-02-25 | 于瑞祚 | 一种农业土壤修复装置 |
CN110903877A (zh) * | 2019-12-09 | 2020-03-24 | 中车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利用有机废弃物制备颗粒燃料的方法 |
CN111185473B (zh) * | 2020-01-13 | 2021-08-17 | 鼎信阳光环境技术有限公司 | 一种污染土壤化学修复方法 |
CN111394111A (zh) * | 2020-04-22 | 2020-07-10 | 广东创欣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医疗废弃物高温湿式处理装置 |
CN112167006A (zh) * | 2020-09-23 | 2021-01-05 |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 一种利用过热蒸汽将设施农业有机废弃物变为栽培基质的方法 |
WO2022081451A1 (en) | 2020-10-16 | 2022-04-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hygiene product comprising superabsorbent polymer partly derived from a recycled resource and methods of producing said product |
JP7076163B2 (ja) * | 2021-01-26 | 2022-05-27 | G-8 International Trading 株式会社 | 汚染土壌の処理方法 |
US11993684B2 (en) | 2021-02-23 | 2024-05-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cycling of superabsorbent polymer with a hybrid oxidative degradation and high shear mixing |
KR102651349B1 (ko) * | 2022-02-07 | 2024-03-2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축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CN114515527B (zh) * | 2022-03-09 | 2022-12-13 | 河南省明创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异性曲率顶触式农田重金属修复散射治理设备 |
US12060462B2 (en) | 2022-04-13 | 2024-08-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cycling a used absorbent hygiene product or its components using hydrothermal treatment |
CN117279867A (zh) | 2022-04-20 | 2023-12-22 | 日世贸易股份公司 | 有机性废弃物处理装置 |
CN114871263A (zh) * | 2022-04-29 | 2022-08-09 | 北京建工环境工程咨询有限责任公司 | 一种污染土壤修复装置及土壤修复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9406A (en) * | 1971-02-10 | 1972-06-13 | Pacific Valves Inc | Ball valve |
US4050899A (en) * | 1974-01-02 | 1977-09-27 | Grube Kenneth E | Method and apparatus for fragmenting certain solid wastes |
US4235707A (en) * | 1979-04-09 | 1980-11-25 | Burke, Davoud & Associates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olid municipal refuse and other cellulose containing material |
US4983296A (en) * | 1989-08-03 | 1991-01-08 | Texaco Inc. | Partial oxidation of sewage sludge |
US5089228A (en) * | 1990-04-19 | 1992-02-18 | Winfield Corporation | Method for sterilizing and disposing of infectious waste |
US5582793A (en) * | 1991-10-03 | 1996-12-10 | Antaeus Group, Inc. | Process for treating waste material |
US5424033A (en) * | 1993-05-07 | 1995-06-13 | Teb Holding S.A. | Process and autoclave system for size reducing and disinfecting contaminated hospital refuse |
US5570845A (en) * | 1995-08-03 | 1996-11-05 | Sterile Technology Industries, Inc. |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DE19642849A1 (de) * | 1996-10-17 | 1998-04-23 | Infan Ingenieurgesellschaft Fu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iomüllsuspensio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JP3440835B2 (ja) | 1998-07-21 | 2003-08-25 |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 高温高圧水蒸気を用いた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 |
JP2001192670A (ja) * | 1999-10-29 | 2001-07-17 | Ryoichi Okamoto | 炭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廃棄物の熱分解装置 |
JP2002194361A (ja) * | 2000-12-25 | 2002-07-10 | Masui:Kk | 炭化装置 |
EP1402942B8 (en) * | 2001-05-15 | 2010-04-14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und |
JP3898918B2 (ja) * | 2001-08-07 | 2007-03-28 | 俊正 板倉 | 肥料製造方法 |
JP2003074985A (ja) * | 2001-08-30 | 2003-03-12 | Masayoshi Onohara | 木酢液抽出機能を備えた温風暖房機 |
US20030147771A1 (en) * | 2002-02-07 | 2003-08-07 | Gerard Hodgins | Waste material sterilizing and size reduction apparatus |
JP4084716B2 (ja) * | 2002-12-03 | 2008-04-30 | 協全商事株式会社 | 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 |
JP2004261682A (ja) * | 2003-02-28 | 2004-09-24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有機系固形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
JP3832587B2 (ja) * | 2003-04-21 | 2006-10-11 | エコマテリアル株式会社 | 材料変換処理システム、材料変換処理方法およびこれらによる処理済み材料から成型される発熱成型体 |
-
2005
- 2005-05-27 EP EP17151035.7A patent/EP3195944B1/en active Active
- 2005-05-27 PL PL05743794T patent/PL1894640T3/pl unknown
- 2005-05-27 EP EP05743794.9A patent/EP1894640B1/en active Active
- 2005-05-27 KR KR1020077030188A patent/KR1013134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5-27 DK DK17150824.5T patent/DK3210680T3/en active
- 2005-05-27 US US11/921,147 patent/US8512573B2/en active Active
- 2005-05-27 EP EP17150824.5A patent/EP3210680B1/en active Active
- 2005-05-27 ES ES17150824T patent/ES2720649T3/es active Active
- 2005-05-27 JP JP2007517701A patent/JP4864884B2/ja active Active
- 2005-05-27 CN CN2005800499292A patent/CN101184560B/zh active Active
- 2005-05-27 WO PCT/JP2005/009728 patent/WO20061262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5-27 ES ES05743794.9T patent/ES2626108T3/es active Active
-
2008
- 2008-10-22 HK HK08111624.3A patent/HK1115836A1/xx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44792A2 (ko) * | 2011-04-18 | 2012-10-26 | 주식회사 에코그린텍 | 유기물의 분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 방법 |
WO2012144792A3 (ko) * | 2011-04-18 | 2013-01-10 | 주식회사 에코그린텍 | 유기물의 분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유기물의 분해 방법 |
WO2024071917A1 (ko) * | 2022-09-26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전단 믹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720649T3 (es) | 2019-07-23 |
KR101313438B1 (ko) | 2013-10-01 |
EP3195944B1 (en) | 2020-03-11 |
US20090314700A1 (en) | 2009-12-24 |
DK3210680T3 (en) | 2019-04-23 |
CN101184560B (zh) | 2010-05-12 |
PL1894640T3 (pl) | 2017-09-29 |
EP3210680B1 (en) | 2019-01-23 |
WO2006126273A1 (ja) | 2006-11-30 |
EP1894640A1 (en) | 2008-03-05 |
ES2626108T3 (es) | 2017-07-24 |
US8512573B2 (en) | 2013-08-20 |
HK1115836A1 (en) | 2008-12-12 |
EP3195944A1 (en) | 2017-07-26 |
JPWO2006126273A1 (ja) | 2008-12-25 |
EP3210680A1 (en) | 2017-08-30 |
EP1894640A4 (en) | 2011-08-31 |
EP1894640B1 (en) | 2017-03-08 |
JP4864884B2 (ja) | 2012-02-01 |
CN101184560A (zh) | 200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3438B1 (ko) | 유기계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액체 분리 회수 방법 | |
US8927266B2 (en) |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12517599B (zh) | 一种医疗废物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
CN110342692B (zh) | 用于环境保护的污水处理装置 | |
CN206512811U (zh) | 用于移动厕所的卫生装置 | |
CN104843395A (zh) | 环保垃圾桶 | |
CN209098437U (zh) | 一种垃圾渗滤液除臭设备 | |
KR101176889B1 (ko) | 고액 분리장치 | |
KR100877588B1 (ko) | 고온액상발효장치의 악취제거장치 | |
KR100298509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213160170U (zh) | 小型除臭装置 | |
CN219785981U (zh) | 一种废弃物处理设备 | |
WO2024174444A1 (zh) | 一种医疗废弃物杀菌处理设备 | |
CN212894253U (zh) | 对垃圾渗滤液进行除臭的装置 | |
JP4444687B2 (ja) | 蒸気処理装置 | |
CN213374129U (zh) | 垃圾处理装置 | |
JP2000334433A (ja) | 厨芥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 |
CN217549492U (zh) | 一种污水处理站恶臭气体高效生物除臭装置 | |
JP7442782B2 (ja) | 有機系処理物の亜臨界水処理装置 | |
JPH1128485A (ja) | 汲み取り及び下水不要の便尿の無臭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KR20010054665A (ko) | 음식물 발효기의 악취제거 장치 | |
KR200213073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331632Y1 (ko) |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악취제거 장치 | |
KR20240108986A (ko) | 오존발생장치 | |
KR100514906B1 (ko) | 악취성 가스의 처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