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094A - 안내렌즈 - Google Patents

안내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094A
KR20080009094A KR1020077025302A KR20077025302A KR20080009094A KR 20080009094 A KR20080009094 A KR 20080009094A KR 1020077025302 A KR1020077025302 A KR 1020077025302A KR 20077025302 A KR20077025302 A KR 20077025302A KR 20080009094 A KR20080009094 A KR 2008000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dge
intraocular lens
outer periphe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264B1 (ko
Inventor
카즈하루 니와
유타카 쿠마자와
아츠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 상태하에 있어서, 광학부의 외주부분을 후낭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가압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후발 백내장의 발증을 한층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안내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광학부(12)를 광축 동각 방향 일방향에서 끼우도록 한 쌍의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14, 14)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가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고, 연결부(14, 14)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편, 광학부(12)와 연결부(14, 14)의 각 후면(20, 24)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매끈하게 연장되는 각가장자리부(3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학 특성, 렌즈 영역, 광학부, 안내렌즈, 외주가장자리부, 연결부분

Description

안내렌즈{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형의 안내(眼內)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발 백내장(secondary cataracts)의 억제에 효과를 발휘하는 안내렌즈(intraocular lens)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눈 질환의 일종인 백내장 치료에 있어서, 수정체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수정체의 대체품으로서 안내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는 수정체를 제외한 낭(囊)(capsule)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수정체의 기능을 대신하는 광학부와 이러한 광학부를 낭 내에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백내장 치료에 있어서는 수술에 의한 환자의 부담이나 후유증을 회피하기 위한 안내렌즈의 구조나 수술 방법에 관하여,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도, 후유증이 발증할 확률은 결코 낮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백내장 치료 후의 후유증으로서, 후발 백내장의 발증률이 큰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후발 백내장은 수정체를 제거한 낭 내에 있어서 상피세포(epithelial cells)가 증식하여, 안내렌즈의 광학 영역에 대응하는 후낭 부분까지 혼탁시킴으로써 생기는 후유증이다.
이러한 후발 백내장을 막는 수단은 여러 가지로 연구되고, 그 하나의 성과로서, 안내렌즈의 형상에 따라서도 후발 백내장의 발증률이 다른 것이 분명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렌즈의 외주가장자리부를, 후낭에 대하여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피세포의 광학 영역으로의 침출(浸出)(infiltration)을 차단하여, 후발 백내장의 발증을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광학부와 지지부를 동일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원피스(one-piece) 타입의 안내렌즈가 제안되고 있다. 이 원피스 타입의 안내렌즈는 광학부와 별도로 한 쌍의 지지부를 형성한 후에 각 지지부를 광학부에 대하여 후고착하는 종래의 스리피스(three-peace) 타입의 안내렌즈에 비하여, 제조가 용이한 것 등을 이유로, 큰 주목을 모으고 있다.
그런데, 원피스 타입의 안내렌즈에서는 그 구조상, 종래 구조의 스리피스 타입의 안내렌즈에 비하여, 착용 상태하에서 외주가장자리부를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후낭에 대하여 강고하게 가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후발 백내장의 억제가 종래의 스리피스 타입의 안내렌즈에 비하여 달성되기 어렵다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즉, 스리피스 타입의 안내렌즈에서는 광학부의 후면과 외주면의 교선(交線)이 되는 각(角)가장자리부에서, 명확한 에지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에지부를 후낭으로 가압함으로써,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를 후낭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강고하고 또한 안정하게 당접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원피스 타입의 안내렌즈는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 부로부터 대략 같은 두께 치수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의 형성 부위에 있어서는,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각가장자리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지지부의 형성 부위에서는, 광학부를 후낭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이 극히 곤란해지고, 그 결과, 이러한 부위를 통하여 상피세포가 들어가기 쉬워, 후발 백내장의 억제 효과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원피스 타입의 안내렌즈가, 특허문헌 1(WO 2004/096099 A1)과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04115호)에 제안되어 있다.
전자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안내렌즈는 광학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의 두께 치수를, 상기 광학부의 외주면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게 하여 광학부의 전면측으로 치우치게 위치시킴으로써, 광학부의 외주면의 후면측 각부(角部)에 에지형의 각가장자리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의 안내렌즈에서는 광학부의 외주면의 두께 치수보다도 지지부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해야 한다. 그 때문에, 지지부의 강도를 충분하게 얻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지지부의 강도 부족에 의해서 착용 상태하에서의 형상 안정성이나 위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지지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의 작용에 기초하는 각가장자리부의 후낭에 대한 가압력도 부족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지지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학부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광학부를 두껍게 하면, 수술 시의 낭에 대한 절개창(切開創)이 커져 버리는 등의 환자 부담의 증대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후자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안내렌즈는 광학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에서, 그 기단부만을 두껍게 함으로써, 지지부의 광학부에 가까운 위치의 후면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를 이용하여, 지지부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각가장자리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에 따르면, 지지부를 앞쪽으로 경사시켜서 돌출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의 중간 부분의 이면에 단차부를 형성하면서도, 지지부의 박육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지부의 돌출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의 이면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단차부는 지지부의 폭 방향 양단 가장자리부에서 지지부의 폭 방향 양단면에 대략 직교상태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지지부의 후면을 이용하여 형성된 각가장자리부가, 대략 직각인 꺾인 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꺾인 점이 존재하면, 각가장자리부가 후낭에 대하여 가압되었을 때, 꺾인 점을 중심으로 하여 주름형상의 불규칙한 변형이 후낭에 발생하기 쉽다. 이 불규칙한 변형에 의해서 후낭 표면이, 광학부나 지지부의 후면 외주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각가장자리부를 따르지 않게 되어 틈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더욱이, 후낭은 가요성일 뿐만 아니라, 구면(球面) 형상을 갖고, 이러한 꺾인 점이 가장 외주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 꺾인 점이 후낭에 걸리게 되어, 꺾인 점의 가압 위치보다도 중심측에서는, 후낭과 각가장자리부 사이에 틈이 발생할 우려도 부정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WO 2004/096099 A1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04115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로 하는 것은 착용 상태하에 있어서 광학부의 외주부분을 후낭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가압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후발 백내장의 발증을 한층 더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안내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형태를 기재한다. 또, 이하에 기재된 각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는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임의의 조합으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 내지는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전체 및 도면에 기재된 것, 또는 그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파악할 수 있는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된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눈 내로의 삽입 상태하에서 낭의 외주부분의 내면에 대하여 당접시킴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낭의 망막측의 내면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위치 결정 유지시키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광학부의 광축 방향의 후면측에서 상기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낭의 망막측의 내면으로 가압되는 에지형상의 각가장자리부가 설치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대향 위치하는 외주부분으로부터 각각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어지는 한 쌍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보다도 큰 둘레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의 연결부분에서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기 연결부가 후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는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상기 광학부 및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각 후면측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의해서 협동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매끈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광학부와 연결부의 협동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가장자리부가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하는 동시에,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매끈하게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피세포가 광학부의 광학 영역으로 침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후발 백내장의 발증률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04115호에 기재된 종래 구조와 같이, 둘레 방향에서 꺾인 점을 포함하는 각가장자리부가 안내렌즈의 낭 내로의 매식(埋植) 상태에서 낭 내면으로 가압되면, 낭 내면에 있어서 이러한 꺾인 점부분이 가압되는 부위에 응력 집중이 생기고, 가요성을 갖는 낭 내면에 있어서 주름 등의 부정한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밀착이 충분히 유지될 수 없어, 상피세포의 광학 영역으로의 침출을 유효하게 막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런데,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가장자리부가, 특히,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매끈하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가장자리부가 꺾인 점을 포함하지 않고 전체로서 완만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낭 내면으로 가압된 경우에 각가장자리부의 특정 개소에서의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착용 시에도, 각가장자리부의 당접에 의해서 가요성이고 또한 구형 만곡면을 나타내는 후낭 내면에 불규칙한 변형을 발생하지 않고, 낭 내면에 각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가압되어, 유리하게 밀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증식한 상피세포가 광학부의 광학 영역에 대응하는 후낭 부분에까지 침출하는 것을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당접에 의해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후발 백내장 억제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가 한 쌍의 연결부를 통하여 광학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연결부를 벗어난 위치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지지부를 직접적으로 광학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보다도, 지지부의 두께를 커다란 자유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의 기단부분에 있어서의 박육화를 회피하는 것도 가능해져, 지지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낭 내로 안내렌즈를 안정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가압력을 한층 더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직선 또는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외주 볼록형 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구형 만곡면으로 구성된 후낭 내면에 대하여, 각가장자리부가 보다 안정하게 밀착되고, 후발 백내장의 발증률 저감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즉, 각가장자리부가 그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직선 또는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구형 만곡면으로 구성된 낭 내면에 대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서 각가장자리부가 당접된다. 그 때문에, 안내렌즈의 낭 내면으로의 당접에 의한 응력이나 일그러짐을, 낭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응력이나 일그러짐의 특정 개소로의 집중을 회피하는 것에 의한 밀착 상태의 안정된 유지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넓어지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각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구형 만곡면으로 된 낭 내면에 대하여, 각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이 작용되어, 각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동일한 당접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가압력의 특정 개소로의 집중에 의한 낭의 부정한 변형을 회피할 수 있어,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밀착 상태를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후면이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넓어지는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의 전면(前面)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연결부의 후면이 광학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평탄면으로 되는 것에 의해, 각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광학부의 중심축과 직교하여 넓어지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일정한 안정된 당접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낭의 불규칙한 변형을 막을 수 있고, 각가장자리부의 낭에 대한 당접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연결부의 전면이 광학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이격함에 따라 점차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됨으로써, 연결부가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어 있고,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의 두께 치수를 커다란 자유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후면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전면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부의 후면보다도 상기 연결부의 전면 쪽이 경사각도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연결부의 후면이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됨으로써,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가압력을 크게 얻을 수 있고, 각가장자리부가 낭 내면에 대하여 유리하게 밀착된다. 특히, 후면이 이러한 경사면으로 됨으로써, 각가장자리부를 용이하게 예각(銳角)의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력을 집중적으로 작용시켜서 보다 유리하게 밀착 상태를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부의 후면의 경사각도가 전면의 경사각도보다도 작아짐으로써, 후면측으로의 연결부 외주가장자리부의 돌출 높이를 현저하게 크게 하지 않고, 지지부의 두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가장자리부를 예각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낭으로의 밀착 상태를 유리하게 얻으면서, 각가장자리부를 광학부 후면의 위치에 대하여 후면측으로 크게 돌출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서, 광학부 후면의 후낭에 대한 밀착을 유효하게 실현할 수 있고, 안내렌즈의 후면측에서의 후낭으로의 밀착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하는 기단부분의 두께 치수가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형성부분을 벗어난 위치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착용 시에 응력 집중에 기인하는 좌굴(座屈) 등의 불규칙한 변형이 연결부와 지지부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 생기는 것을 한층 더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낭에 대한 지지부의 당접에 의한 당접 반력이 각가장자리부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충분한 가압력을 안정하게 작용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연결부의 형성되어 있는 부위와 상기 연결부의 형성 부위를 벗어난 부위를 포함하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광학부의 광학적인 일그러짐 등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연결부의 존재에 의해, 지지부의 기단부분의 두께 치수를,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에 구속되지 않고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7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로부터 상승되는 외주면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각가장자리부로부터 상승되는 외주면이 광학부의 중심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면으로 됨으로써, 광학부 및 한 쌍의 연결부의 각 후면측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의해서 협동하여 형성되는 각가장자리부의 에지 형상을 유리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적어도 일부가 예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낭에 대한 당접력의 집중화가 도모되어,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한층 더 안정된 당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9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의 외주가장자리부가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과 동심적인 원호형의 외주면 형상으로 된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양단부분을 각각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매끈하게 접속하는 양측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폭 치수가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도 작게 되고,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보다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안내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절삭 가공(레이스 커팅법)에서는, 광학부와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형상을 어느 것이라도 동심적인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절삭 작동 제어가 용이하고 고정밀도로 절삭 가능해진다. 한편, 몰딩법에서는 중합시의 수축에 의한 내부 응력이나 잔류 일그러짐의 저감 내지는 회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10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각각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점이 상기 광학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광학부의 전면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지지부를 경사시키지 않고,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면서,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에 대한 가압력을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지지부를 돌출하여 선단측이 점차 전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경사에 의해서 지지부를 통하여 광학부에 전달되는 낭에 대한 당접 반력의 분력이 광학부를 후면측으로 변위시키도록 작용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본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지지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이 광학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면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에 의해, 지지부가 광학부의 중심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더라도, 지지부를 통하여 광학부에 전달되는 후낭에 대한 당접 반력이, 광학부의 두께의 중심점보다도 축방향 전방으로 치우쳐서 전달된다. 그 때문에, 전달되는 당접 반력에 의한 일그러짐 나아가서는 그 분력이, 광학부를 후면측의 낭 내면으로 가압하도록 변위시키고, 각가장자리부에서 유효한 가압력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지지부를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진 지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안내렌즈의 제조가 대단히 용이한 동시에, 절삭 가공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렌즈 블랭크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렌즈 재료의 수율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형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11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안내렌즈에 있어서, 접음 또는 감아올림 가능한 연질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특히 지지부의 강도가 문제되기 쉬운 연질재료로 형성된 안내렌즈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지지부의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지지부에 의한 광학부의 안정된 위치 결정이나 각가장자리부의 낭 내면으로의 밀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질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가 구형 만곡면을 나타내는 낭 내면형상에 따라서 변형하기 쉽고, 광학부의 후면측의 외주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가장자리부보다도 광학부 축 직각방향 외방에 위치되어 있는 연결부의 후면측의 외주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가장자리부가 보다 안정하게 낭 내면에 당접되어, 각가장자리부의 낭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 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에 있어서는, 안내렌즈의 눈 내로의 삽입 상태하에 있어서, 광학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각가장자리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후낭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써, 상피세포의 광학 영역으로의 유주(遊走)를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피세포가 광학부 영역내에 침입하여 혼탁됨으로써 발증하는 후발 백내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종단면도로서, 도 1에 있어서의 IV-IV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배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종단면도로서, 도 10에 있어 서의 XI-XI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배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배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측면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단면도로서, 도 19에 있어서의 XXI-XXI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로서의 원피스형의 안내렌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의 단면도로서, 도 22에 있어서의 XXIII-XXIII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내렌즈 12: 광학부
14: 연결부 16: 지지부
26: 원호형 외주면 30: 외주벽면
32: 에지부 40: 단차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폴더블(foldable) 타입의 안내렌즈(intraocular lens)(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안내렌즈(10)는 광학부(12)와 한 쌍의 연결부(14, 14)와 한 쌍의 지지부(16, 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광학부(12)와 연결부(14, 14)와 지지부(16, 16)를 갖는 안내렌즈(10)는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우수한 연질성과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각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전이 온도가 30℃ 이하이고, 또한, 굴절률이 1.51 이상인 연질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질재료에서는 상온하에서 안내렌즈(10)를 용이하게 접거나 감아 올려, 한층 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매식(implantation) 시에 있어서의 낭(capsule) 내로의 삽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409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56998호 등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내렌즈(10)의 성형재료로서 적합 하게 채용된다. 그 중에서도, 형상 회복성이 우수한 안내렌즈를 얻기 위해서, 하기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meth)acrylic acid esters}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monomers)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임의 단량체가 적당하게 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써, 하기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첨가물이 필요에 따라서 더해진다.
(i)함유 단량체
이하와 같은, 직쇄형(linear), 분기쇄형(branched) 또는 환형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cyclic alkyl (meth) acrylates)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이하와 같은, 실리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실록시디메틸실릴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록시디메틸실릴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
또, 「(메타)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s}」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2개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그 밖의 (메타)아크릴 유도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ii)임의 단량체
이하와 같은,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
이하와 같은, N-비닐란탐류;
N-비닐피롤리돈 등.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
이하와 같은, 가교성 단량체;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iii)첨가물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광증감제 등.
색소 등.
자외선 흡수제 등.
또한, 이러한 단량체 재료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안내렌즈(10)를 일체로 성형할 때에는, 종래부터 공지의 각종 수법이 어느 것이나 채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절삭 가공 성형법이나 몰드 성형법에 의해서 목적으로 하는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절삭 가공 성형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량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중합성분을 중합하여 막대형이나 블록형, 판형 등 의 적당한 형상의 렌즈 블랭크를 성형한 후, 선반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렌즈 블랭크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소망 형상의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몰드 성형법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안내렌즈(10)의 형상에 대응한 성형 캐버티를 갖는 성형 형(型)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단량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중합성분을, 그 성형 캐버티 내에 도입하고, 거기서 적당한 중합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소망 형상의 안내렌즈(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량체 재료의 중합방법으로서는 단량체 재료에 따라서, 종래부터 공지의 열중합 방법이나 광중합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중합방법 등이 적당하게 채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일체로 성형된 안내렌즈(10)에서, 광학부(12)는 정면에서 보아 원형을 나타내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광학부(12)의 중앙부분 또는 그 전체 영역이, 사람 눈의 수정체의 대체 기능을 하는 광학 특성을 구비한 렌즈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학부(12)의 렌즈면(광학부 전면(18) 및 광학부 후면(20))은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서 각종 형상으로 될 수 있고, 그 양면(18, 20)의 형상이 오목면이나 볼록면, 평면 등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 전면(18)과 광학부 후면(20)이 모두 구형 볼록면으로 된 볼록 렌즈 형상의 광학부(12)가 채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광학부(12)의 외부 직경 치수: D는 4.5 내지 7.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5.0 내지 7.0mm가 된다. 확실하게, 광학부(12)는 사람의 수정체로서의 기능을 유효하게 할 수 있는 데 필요한 사이즈가 요구된다. 그것에 더하여, 안내렌즈(10)가 수용상태에서 삽입되는 사람의 낭 사이즈가 대략 일 정하기 때문에, 광학부(12)의 외부 직경 치수가 7.5mm보다 크면 지지부(16, 16)가 지나차게 짧아져서 후술하는 외력의 완충 작용이나 광학부(12)의 후방 변위량 등이 충분하게 얻어지기 어렵게 되거나, 삽입 시에 접거나 감아 올렸을 때의 사이즈를 충분히 콤팩트화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부(12)의 광축 방향(도 2중의 상하방향)의 두께 치수(두께): d는 최대치로 0.10 내지 2.00m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최대치로 0.20 내지 1.50mm가 된다. 확실하게, 광학부(12)의 두께 치수의 최대치가 0.1mm에 만족되지 않으면 매식 상태 하에서의 광학부(12)의 형상 유지 성능이 안정하게 발휘될 수 없을 우려가 있는 한편, 광학부(12)의 두께 치수의 최대치가 2.0mm를 넘으면 낭 내 삽입 시에 광학부(12)를 충분히 작게 접거나 감아 올리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볼록형의 광학부(12)로 되어 있고, 기하 중심인 광축상에서 최대 두께 치수를 갖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최대 두께 치수: d의 구체적인 값은 채용하는 재료의 특성(연질성이나 굴절률 등)이나, 광학부(12)의 형상,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된다.
또한, 광학부(1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둘레 방향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14, 14)가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대향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는 전체로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되어 있고, 그 돌출 선단측이 둘레 방향에서 점차 협폭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는 광축 방향에서의 한쪽(광학부 전면(18)측) 면인 연결부 전면(22)이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광축 방향 전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구 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 면인 연결부 후면(24)이 광축 직각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부(14)가 전체로서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 내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두께)가 광학부(12)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광축 방향의 두께 치수(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의 전체 둘레에 걸쳐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고,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의 광학부(12) 최외주 가장자리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두께)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4)의 외주면이, 각각 광학부(12)의 외주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 원호형 선단 외주가장자리부로서의 원호형 외주면(26)으로 되어 있고,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어 있는 한편, 연결부(14)의 둘레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양측 둘레가장자리부로서의 둘레 방향 측벽면(28, 28)은 대략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측단부가 연결부(14)의 원호형 외주면(26)에 대하여 매끈하게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주측단부가 광학부(12)의 외주면에 대하여 꺾인 점이나 꺾긴 선을 포함하지 않도록 매끈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호형 외주면(26)과 둘레 방향 측벽면(28, 28)에 의해 구성되는 연결부(14, 14)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광학부(12)의 외주면과 연결부(14, 14)의 외주면이 둘레 방향으로 매끈하게 접합되어 있고, 그 광학부(12)외주면의 일부와 연결부(14, 14)의 외주면에 의해서 전체로서 외주벽면(30)이 구성되어 있다. 외주벽면(30)은 광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넓어지고, 전체로서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복수의 면이 매끈하게 접합된다는 것은 접합부분에 있어서 꺾인 점이나 꺾긴 선을 포함하지 않고, 공통 접선을 갖도록 접합된다는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외주벽면(30)이 전체로서, 공통 접선을 갖고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통형 만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주벽면(30)은 그 하단부가 광학부 후면(20) 및 연결부 후면(24)의 각 외주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주벽면(30)과 광학부 후면(20)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 광학부 후면(20)의 볼록 형상에 따른 둔각의 에지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주벽면(30)과 연결부 후면(24)의 접속부 상에 있어서, 대략 직각의 에지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벽면(30)과 양 후면(20, 24)의 접속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에지형상을 이루는 에지부(3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에지부(32)는 광학부(12)를 둘러싸도록 하여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하는 매끈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써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면(30)이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만곡면 또는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외주벽면(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에지부(32)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곡선 또는 직선에 의해서 구성된 외주 볼록형 곡선 상을 연장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 후면(24)이 광학부 후면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광축 직각 방향에서 넓어지도 록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지부(32)는 전체 둘레에 걸쳐, 광축 직각 방향으로 넓어지는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지부(32)가 매끈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함수곡선, 또는 복수의 곡선 또는 직선(이들의 적당한 편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함)의 접속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꺾인 점이나 꺾긴 선을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지부(32)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 가장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인 원호형 외주면(26)과 둘레 방향 측벽면(28, 28)의 접속부분의 곡률 반경이 0.3mm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상기 접속부분의 곡률 반경이 0.5mm 이상, 더욱 적합하게는, 상기 접속부분의 곡률 반경이 1.0mm 이상으로 된다.
한편, 한 쌍의 연결부(14, 14)의 각 원호형 외주면(26)에는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지지부(16, 16)는 가늘고 긴 로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원호형 외주면(26, 26)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부분으로부터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만곡된 부분의 외주측면이 당접면(34, 34)으로 되어 있고, 안내렌즈(10)의 낭 내로의 삽입 상태에 있어서, 눈 내에서 낭 내면에 당접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부(12)가 한 쌍의 지지부(16, 16)에 의해서 낭 내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들 대향 위치된 한 쌍의 지지부(16, 16)에 있어서의 각 당접면(34, 34)의 이격거리: L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mm가 되도록, 보다 적합하게는 10.5 내지 14.5mm가 되도록, 광학부(12)의 외부 직경 치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인 사람의 낭 사이즈에 적합하게 되고, 광학부(12)를 포함하는 안내렌즈(10)를 낭 내에 유리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지지부(16, 16)의 두께 치수(두께)가 연결부(14, 14)의 외주측단부의 두께 치수보다도 얇게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부(16, 16)는 연결부(14, 14)의 외주측 단면에서의 연결부 전면(22)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지지부(16, 16)의 광축 방향 한쪽 면인 한 쌍의 지지부 전면(36, 36)이 한 쌍의 연결부 전면(22, 22)의 외주측 가장자리와 광축 직각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16, 16)의 광학 축방향 다른쪽 면인 한 쌍의 지지부 후면(38, 38)이 한 쌍의 연결부 후면(24, 24)보다도 광축 방향에서 전면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 후면(38)과 연결부 후면(24)과의 사이에 단차(40)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40)의 광축 방향에서의 하단 가장자리부에서, 에지부(32)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6, 16)의 두께 방향(광축 방향)에서의 중심점이 광학부(12)의 두께 방향(광축 방향)에서의 중심점보다도 전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축 직각 방향에서 연장되는 지지부(16, 16)가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보다도 광축 방향에서 전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안내렌즈(10)는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를 포함하는 전체가 적당한 방향으로 접히고, 또는 감아 올려짐으로써,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사람 눈의 일부를 절개하여, 거기로부터 수정체를 흡인 등으로 제거시킨 후, 이러한 절개창을 통하여, 소 사이즈화한 안내렌즈(10)를 낭 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 조작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삽입구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대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안내렌즈(10)의 접음 또는 감아 올림(둥글게 뭉침이나 롤 등을 포함함)을 행하여, 전체로서 지지부(16, 16)의 돌출 방향으로 긴 장형으로 함으로써, 안내렌즈(10)의 소사이즈화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 방향에서, 한 쌍의 연결부(14, 14)가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상술한 접음 내지 감아올림의 방향에서는, 광학부(12)의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사이즈가 작게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14, 14)를 설치하여도, 접음 또는 감아올림에 의해서, 눈 내 삽입 방향이 되는 한 쌍의 지지부(16, 16)의 돌출 방향으로의 투영 면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어, 낭 내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절개창을 작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낭 내부에 전체를 수용하도록 하여 매식된 안내렌즈(10)는 낭 내에서, 자신의 탄성에 기초하여 초기 형상으로 복원하도록 넓어진다.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낭 내에 있어서, 안내렌즈(10)를 위치 조절함으로써, 안광학의 중심축에 대하여 광학부(12)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안내렌즈(10)를 낭 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이러한 안내렌즈(10)의 매식 상태하에서는 안내렌즈(10)에 있어서의 양 지지부(16, 16)의 당접면(34, 34)간의 거리: L이 낭 내부직경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지지부(16, 16)의 당접면(34, 34)은 낭의 외주 내면에 대하여 밀착하여 당접함으로써, 광학부(12)가 눈 내에서 위치 결정 고정된다.
여기에서, 안내렌즈(10)의 광학부(12)와 연결부(14)는 각 후면(20, 24)이 낭 내면에 당접되어 있는 동시에, 각 후면(20, 24)의 외주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에지부(32)가 낭 내면에 대하여 가압되어 밀착되어 있고, 에지부(32)의 가압에 의해, 낭 내면에 있어서의 에지부(32)의 당접 개소에서, 낭 내면이 에지형상을 따라 굴곡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지부(32)가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매끄러운 곡선 또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꺾인 점을 포함하지 않는 매끄러운 곡선 상을 연장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낭 내면에 비교적 큰 힘으로 가압되는 에지부(32)에 있어서도, 특정한 개소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회피하고,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원피스형의 안내렌즈(10)에서는, 광학부(12)와 연결부(14, 14)의 외주면이 각부(角部)를 가지지 않는 매끄러운 외주벽면(3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외주벽면(30)과 각 후면(20, 24)에 의해서 에지부(32)가 형성됨으로써, 에지부(32)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매끈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각부(꺾인 점)를 갖는 에지부가 형성된 종래의 안내렌즈에 비하여, 낭 내면형상이 주름 등 의 발생에 의해 부정(不整)하게 되는 것을 유리하게 막을 수 있어, 광학부(12) 및 연결부(14, 14)의 각 후면(20, 24)이 낭 내면에 대하여 안정된 밀착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광학 영역으로의 상피세포의 유주를 막을 수 있어, 후발 백내장의 발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10)와 같이,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연결부(14, 14)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광학부(12)의 외주면과 연결부(14, 14)의 측 벽면을 매끈하게 접합함으로써, 에지부(32)의 낭 내면에 대한 밀착을 충분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4)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 T가 연결부(14)의 내주 가장자리부의 광축 방향에서의 두께 치수: t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얇게 된 한 쌍의 지지부(16, 16)를 광학부(1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직접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지지부(16, 16)와 단차(40, 40)의 광축 방향에서의 치수를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6, 16)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단차(40, 40)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에지부(32)를 낭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한 밀착 효과를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에 있어서의 광학적인 일그러짐 등을 회피하기 위해서,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특별히 두껍게 되지 않고, 연결부(14, 14)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두께 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광학부(12)가 이러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부(14, 14)를 외주측이 두껍게 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연결부(14, 14)를 통하여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를 연결함으로써, 요구되는 광학 특성 등에 따라서 설정되는 광학부(12)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지지부(16, 16)의 두께 치수를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전면(22, 22)이 광축 직각 방향 외방측을 향하여 점차 광축 방향 전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16, 16)가 연결부(14, 14)의 외주면에서 연결부 전면(22, 22)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낭으로의 안내렌즈(10)의 매식 상태에서 지지부(16, 16)에 대하여 작용하는 당접 반력에 의해서, 광학부(12) 및 연결부(14, 14)가 광축 방향에서 후면측으로 변위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부(12) 및 연결부(14, 14)가 광축 방향에서 후면측으로 변위하도록 유도됨으로써, 에지부(32)가 낭 내면에 유리하게 가압되고, 낭 내면에 대한 밀착 상태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4)의 외주면이 광축 직각 방향 외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지부(32)가 전체 둘레에 걸쳐, 구형 만곡면 형상으로 된 낭 내면에 대하여 보다 안정하게 당접되고, 당접에 의한 응력이나 일그러짐이 낭 내면의 넓은 범위로 분산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에지부(32) 와 낭 내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밀착 상태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지부(32)가 대략 광축 직각 방향으로 넓어지는 동일 평면인 연결부 후면(24)상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형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낭 내면에 대하여, 에지부(32)를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균일한 당접 상태에서 밀착시킬 수 있고, 집중적인 응력의 작용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16, 16)가 대략 동일하거나 또한 일정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16, 16)의 두께 치수가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내렌즈(10)의 낭 내부로의 삽입 상태에서, 지지부(16, 16)의 당접면(34, 34)이 낭 내면에 당접되고, 지지부(16, 16)에 낭으로의 당접에 의한 당접 반력이 작용되더라도,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크게 변화하는 부분인 연결부(14, 14)와 지지부(16, 16)의 접속 부위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렵고, 지지부(16, 16)의 기단부분에 있어서의 좌굴 등의 불규칙한 변형을 유리하게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안내렌즈(10)의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동시에, 당접 반력이 지지부(16, 16)를 통하여 에지부(32)에 효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충분한 가압력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와 지지부(16, 16)가 지지부(16, 16)에 비하여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된 연결부(14, 14)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지지부(16, 16)에 의해서 전달되는 당접 반력이 연결부(14, 14)에 의해서 분산 내지는 완충되고, 광학부(12)의 특정 개소에 집중적으로 당접 반력이 작용하는 것을 유리하게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당접 반력의 작용에 의해서 광학부(12)에 일그러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하고, 이러한 일그러짐에 따른 난시 등의 광학 특성의 흐트러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2)와 연결부(14, 14)의 외주면이 모두 광축 방향으로 넓어지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이들 광학부(12)와 연결부(14)의 외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외주벽면(30)이 광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주벽면(30)과 광학부 후면(20) 및 연결부 후면(24)에 의해서 형성되는 에지부(32)의 각(角)을 유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4, 14)의 원호형 외주면(26, 26)이 광학부(12)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하는 대략 동심원형으로 됨으로써, 안내렌즈(10)가 절삭 가공(레이스 커팅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삭시의 작동 제어가 용이 해지고, 고정밀도의 절삭 가공이 가능해지는 한편, 몰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응력과 잔류 일그러짐의 저감 내지는 회피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도 6,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폴더블 타입의 안내렌즈(42)가 도시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재 내지는 부위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4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바와 같은 각종 연질재료로써 일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44, 44)의 내주 가장자리가 정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을 나타내는 한편, 그 외주 가장자리가 정면에서 보아 대략 반타원형을 나타내고, 그 내주 가장자리과 외주 가장자리의 둘레 방향 양 단부가 각각 겹치도록 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초생달형을 나타내는 한 쌍의 연결부(44, 44)가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 방향에서 광학부(12)를 끼운 양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부(12)의 외주면과 연결부(44, 44)의 외주면은 둘레 방향에서 매끈하게 접합되어 있고, 이들의 외주면에 의해서 전체로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외주벽면(46)이 구성되어 있다. 외주벽면(46)은 정면에서 보아 한 쌍의 연결부(44, 44)의 외주형상에 따른 대략 타원 형상을 갖는 대략 통형이고, 이러한 외주벽면(46)의 하단부와 광학부(12) 및 연결부(44, 44)의 각 후면(20, 24)의 외주가장자리부가 접속되는 부분에 있어서, 에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지부(48)는 배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을 구성하도록 둘레 방향에서 연속하여 연장되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꺾인 점을 포함하지 않은 매끄러운 곡선 상을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지부(48)가 배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을 나타내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분명한 것처럼, 에지부(48)가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된 외주 볼록형 곡선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42)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와 대략 같은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42)와 같이, 연결부(44, 44)를 정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형 만곡면을 이루는 낭 내면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안정하게 당접되고, 낭에 미치는 응력이나 일그러짐의 분산화를 한층 더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고,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의 형상은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50)에서는, 연결부(52)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52)의 외주면의 일부에, 외주측을 향하여 대략 오목형상으로 된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50)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10, 42)와 대략 동일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렌즈(50)에서는, 오목부(54)가 한 쌍의 연결부(52, 52)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오목부(54, 54)의 대향 방향에서의 연결부(52, 52)의 두께 치수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광학부(12)의 외주가장자리부보다도 두껍게 된 연결부(52, 5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오목부(54, 54)의 대향 방향을 축으로 하여 안내렌즈(50)를 용이하게 굴곡할 수 있고, 낭 내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음이나 감아 올림에 의한 안내렌즈(50)의 콤팩트화를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삽입구에 세트된 안내렌즈(50)를 플런저로 가압하여 눈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오목면형의 오목부(54, 54)가 연결부(52, 52)에 형성됨으로써, 플런저의 선단을 연결부(52, 52)의 오목부(54, 54)에 당접시켜서 가압하는 경우에 광축 직각 방향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플런저로 안내렌즈(50)를 눈 내로 밀어내는 경우에, 광축 직각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위해 요하는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오목부(54, 54)가 형성됨으로써, 안내렌즈(50)의 낭 내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센터 등의 위치 맞춤 작업을 고정밀도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결부(14, 14(44, 44))의 돌출 방향에서의 연결부(14, 44)의 돌출 길이도 적당하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5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56)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10)에 비하여, 연결부(58)의 광학부(12) 외주 가장자리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길게 설정되어 있고, 연결부(58)의 광축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렌즈(56)에 있어서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 에지부(32)의 낭 내면에 대한 당접을 실현할 수 있어, 응력이나 일그러짐의 분산화를 한층 더 유리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지부(32)의 각도가 대략 90도로 설정되어 있는 예를 제시하였지만, 에지부의 각도는 적당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0,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60)에서는 외주벽면(30) 이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형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 후면(62)이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감에 따라 후면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됨으로써, 에지부(64)의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지부(64)를 예각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결부(66)의 외주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 치수를 보다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안내렌즈(60)의 낭으로의 매식 상태에 있어서, 에지부(64)에 있어서의 낭 내면에 대한 밀착을 보다 강고하게 실현할 수 있고, 광학 영역으로의 상피세포의 침출을 유리하게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후면(62)의 경사각도를 연결부 전면(22)의 경사각도에 비하여 작게 설정함으로써, 에지부(64)의 광축 방향에서의 형성 위치를 광학부 후면(18)에 비하여 현저하게 후면측으로 치우치게 하지 않고, 지지부(16, 16)의 두께 및 단차(40, 40)의 높이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각으로 된 에지부(64)에 의한 상피세포의 유주 방지 효과를 발휘시키면서, 광학부 후면(20)을 후낭에 대하여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어, 후발 백내장의 발증 억제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6)의 형상은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각종 형상의 지지부가 채용될 수 있다.
즉,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6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68)에서는 지지부(70)가 그 중간의 일부에서 두 갈래로 분기하고 있고, 상기 중간의 일부보다도 돌출 선단측의 부분이 각각 광학 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70)를 갖는 안내렌즈(68)에 의하면, 낭 내로의 삽입 상태에 있어서 한층 더 안정하게 광학부(12)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7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72)에서는 지지부(74)에 있어서 연결부(14)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는 측인 기단부분(76)이 돌출 선단부분(78)에 비하여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돌출 선단부분(78)이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74)를 갖는 안내렌즈(72)에 의하면, 비교적 폭이 넓게 된 기단부분(76)에 의해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광학부(12)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돌출 선단부분(78)이 비교적 가늘게 형성됨으로써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고, 낭 내면에 대한 지지부(74)의 당접에 의해서 낭이 손상되거나, 안내렌즈(72)가 당접 반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8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80)에서는 지지부(82)가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로드형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간의 일부에서 광축 직각 방향에서 굴곡되어 있는 한편, 상기 중간의 일부보다도 연결부(14)측인 기단부분(84)이 돌출 선단부분(86)에 비하여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82)를 갖는 안내렌즈(80)에 의하면, 상기 제 7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82)의 돌출 선단을 낭 내면에 대하여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 다.
또한,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8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88)에서는 지지부(90)의 전체가 대략 갈고리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지지부(90, 90)는 광학부(12)의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대향 위치되는 동시에,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중간의 일부에서 굴곡 내지는 만곡되고, 광학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중간 부분(92, 92)이 서로 같은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부분(92, 92)의 일부에서, 재차 굴곡 내지는 만곡되어 있고, 중간 부분(92, 92)은 둘레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부분(94, 9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부분(92)과 선단부분(94)은 대략 동심원형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부분(94)이 중간 부분(92)보다도 큰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90)를 갖는 안내렌즈(88)에 의하면, 꾸불꾸불한 모양으로 굴곡된 갈고리형상으로 됨으로써, 낭 내부에 매식되는 경우에 당접에 의해서 낭에 작용되는 응력을 유리하게 완충할 수 있어, 낭 손상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렌즈(9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96)에서는 지지부(98)가 전체로서 대략 일정한 폭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로드형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돌출 선단부의 지지부 후면(38)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돌기(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98)에 의하면, 지지부 후면(38)에 형성된 돌기(100)에 의해서, 안내렌즈(96)의 낭 내로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음 상태에서 지지부(98)의 선단이 겹쳐진 다른 부위에 점착하는 것을 유리하게 막을 수 있고, 삽입 후에 지지부(98)가 안정하게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광학부(12)가 초기에 정해진 위치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2)에 있어서의 광학적인 일그러짐 등을 유리하게 회피하기 위해서, 광학부(12)는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학부는 반드시 정면에서 보아 원형일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제 11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렌즈(102)에 있어서의 광학부(104)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 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11 실시형태에 나타난 각 부위 내지는 부재는 이들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안내렌즈를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10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106)에서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시되어 있는 예각으로 된 에지부(6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108)의 돌출 선단에는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 제시되어 있는 돌기(1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2, 도 23에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로서의 안내렌즈(1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렌즈(110)에서는 외주벽면(30)이 광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형으로 되어 있는 한편, 연결부 후면(62, 62)이 직 경 방향 외방으로 감에 따라 후면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광학부(112)의 광학부 후면(114)이 오목형으로 됨으로써, 에지부(116)가 전체 둘레에 걸쳐 예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로 된 안내렌즈(110)에서는 에지부(116)의 후낭으로의 당접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고, 광학 영역으로의 상피세포의 침출을 막을 수 있다. 또,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부(112)의 광학부 전면(18)이 광학부 후면(114)에 비하여 큰 곡률을 갖는 볼록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부(74, 82)와 같이, 지지부의 폭 치수가 기단측과 선단측에서 변화하여도 좋으며, 지지부의 광축 방향에서의 치수인 두께 치수도, 지지부에 요구되는 강도 등의 특성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지부가, 그 돌출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얇게 되어 있어도 좋고 이러한 지지부를 채용함으로써, 돌출 선단부분의 강도를 낮추어, 당접 시의 반력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기단부분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지지부에 의한 안내렌즈의 위치 결정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13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면(30, 46)이 대략 광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서, 외주벽면(30, 46)을 구성하는 광학부(12)의 외주면 및 연결부(14, 44, 52, 58)의 외주면이 모두 광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넓어지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외주벽면(30, 46), 나아가서는, 광학부(12)와 연결부(14, 44, 52, 58)의 각 외주면은 반드시 대략 광축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외벽 곡 면을 광축 방향에서 전면측이 점차 광축 직각 방향으로 외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지지부의 연결부에 대한 접속 부위에 있어서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주벽면을 광축 방향에서 전면측이 점차 광축 직각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에지부의 단면이 이루는 에지각을 용이하게 예각으로 할 수 있고, 낭 내면에 대한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가장자리부(32, 48, 64)는 둘레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매끈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180도에 가까운 둔각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지지부(16, 70, 74, 82, 90, 98, 108)와 연결부(14, 44, 52, 58, 66)의 접속 부위로의 응력 집중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13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6, 70, 74, 82, 90, 98, 108)의 기단측 단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R형의 폭 확대부를 설치하고, 연결부(14, 44, 52, 58, 66)와의 접속부분을 향하여 점차 확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R형의 폭 확대부를 지지부(16, 70, 74, 82, 90, 98, 108)의 기단측 단부에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 외,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수정, 개량 등을 더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2)

  1.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된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눈 내로의 삽입 상태하에서 낭(囊)(capsule)의 외주부분의 내면에 대하여 당접시킴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낭의 망막측의 내면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위치 결정 유지시키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광학부의 광축 방향의 후면측에서 상기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낭의 망막측의 내면으로 가압되는 에지형의 각(角)가장자리부가 설치된 원피스형(one-piece type)의 안내(眼內)렌즈(intraocular lens)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직경 방향 일방향에서 대향 위치하는 외주부분으로부터 각각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어지는 한 쌍의 연결부가 상기 지지부보다도 큰 둘레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각각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의 연결부분에서는 상기 지지부보다도 상기 연결부가 후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광학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는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상기 광학부 및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각 후면측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의해서 협동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매끈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선 또는 외주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외주 볼록형 곡선으로 되어 있는 안내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넓어지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안내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후면이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넓어지는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의 전면(前面)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안내렌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후면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후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전면이 상기 광학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 전면 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부의 후면보다도 상기 연결부의 전면쪽이 경사각도가 크게 되어 있는 안내렌즈.
  6. 제 1 항 내지 제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하는 기단부분의 두께 치수가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형성부분을 벗어난 위치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되어 있는 안내렌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연결부의 형성되어 있는 부위와 상기 연결부의 형성 부위를 벗어난 부위를 포함하는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는 안내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로부터 상승되는 외주면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면으로 되어 있는 안내렌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가장자리부가 그 적어도 일부가 예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안내렌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의 외주가장자리부가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과 동심적인 원호형의 외주면 형상으로 된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와,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양단부분을 각각 상기 광학부의 외주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매끈하게 접속하는 양측 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폭 치수가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도 작게 되고, 상기 원호형 선단 둘레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각각,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점이 상기 광학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광학부의 전면측으로 치우쳐 있는 안내렌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렌즈는 접음 또는 감아올림 가능한 연질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렌즈.
KR1020077025302A 2005-05-20 2005-05-20 안내렌즈 KR101153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9278 WO2006123427A1 (ja) 2005-05-20 2005-05-20 眼内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094A true KR20080009094A (ko) 2008-01-24
KR101153264B1 KR101153264B1 (ko) 2012-06-07

Family

ID=3743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302A KR101153264B1 (ko) 2005-05-20 2005-05-20 안내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67996B2 (ko)
EP (1) EP1882461B1 (ko)
JP (1) JP4689668B2 (ko)
KR (1) KR101153264B1 (ko)
CN (1) CN101180009B (ko)
ES (1) ES2551677T3 (ko)
WO (1) WO2006123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58B1 (ko) * 2010-10-11 2013-03-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굴절 친수성 안내 렌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0435B1 (en) * 2005-05-20 2017-09-13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JP4916351B2 (ja) * 2007-03-15 2012-04-11 Hoya株式会社 軟性眼内レンズ
FR2922096B1 (fr) * 2007-10-16 2010-01-08 Ioltechnologie Production Lentille intraoculaire pour sac capsulaire
WO2009153873A1 (ja) * 2008-06-19 2009-12-23 Hoya株式会社 軟性眼内レンズ
US8685087B2 (en) 2008-12-11 2014-04-01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an intraocular lens
JP5420913B2 (ja) * 2009-01-06 2014-02-1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
WO2011109039A1 (en) * 2010-03-04 2011-09-09 Aaren Scientific Inc. System for forming and modifying lenses and lenses formed thereby
US9220590B2 (en) 2010-06-10 2015-12-29 Z Lens, Ll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roving accommodation
US8940045B2 (en) * 2010-11-24 2015-01-2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traocular lens
USD688800S1 (en) * 2011-09-06 2013-08-2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traocular lens
US9364318B2 (en) 2012-05-10 2016-06-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JP5936461B2 (ja) * 2012-06-26 2016-06-22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
ES2457840B1 (es) * 2012-09-28 2015-02-16 Universidad De Murcia Lente intraocular acomodativa de potencia variable y conjunto de lente intraocular acomodativa de potencia variable y anillo capsular
CN106956082A (zh) * 2016-01-11 2017-07-18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人工晶体制备方法
KR20190042492A (ko) 2016-04-22 2019-04-24 벤투라 홀딩스 리미티드 안구-내 렌즈들을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들 내에서의 접이식 공동들
CN109890325B (zh) 2016-08-24 2021-10-26 Z晶状体有限责任公司 双模式调节-去调节型人工晶状体
CN106667623A (zh) * 2016-11-16 2017-05-17 无锡蕾明视康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多焦点人工晶状体
BR112019011538B1 (pt) 2016-12-07 2023-12-19 Kowa Company, Ltd Lente intraocular tórica biconvexa
JP6934789B2 (ja) * 2017-09-22 2021-09-15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
CN108670500A (zh) * 2018-06-06 2018-10-19 姚涛 一种前囊口辅助固定型人工晶体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060A (en) * 1978-12-01 1981-01-13 Hoffer Kenneth J Intraocular lens
US4343050A (en) * 1980-07-14 1982-08-10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es
US4588405A (en) * 1983-06-10 1986-05-13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assembly
GB2171912A (en) 1985-03-05 1986-09-10 Charles William Simcoe Hinged intraocular lens
US4661109A (en) * 1985-08-16 1987-04-28 White Thomas C Intraocular lens
US4961746A (en) * 1985-08-23 1990-10-09 American Cyanamid Company Intraocular lens with colored legs and method of making
US4718905A (en) * 1986-08-13 1988-01-12 Freeman Jerre M Haptic element using ion beam implantation for an intraocular lens
US4808181A (en) * 1987-08-07 1989-02-28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having roughened surface area
FR2631228B1 (fr) 1988-05-11 1990-08-10 Domilens Laboratoires Implant intra-oculaire de chambre anterieure
CA2000287A1 (en) 1988-10-07 1990-04-07 David C. Buboltz Intraocular lens insertion instrument
US5074942A (en) * 1990-05-15 1991-12-24 Texceed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intraocular lens with integral colored haptics
US5476513A (en) * 1992-02-28 1995-12-19 Allergan, Inc. Intraocular lens
US6322589B1 (en) 1995-10-06 2001-11-27 J.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es with fixated haptics
US5425734A (en) 1993-07-02 1995-06-20 Iovisi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5716403A (en) * 1995-12-06 1998-02-10 Alcon Laboratories, Inc. Single piece foldable intraocular lens
FR2744908B1 (fr) * 1996-02-20 1998-06-12 W K Et Associes Implant intraoculaire myopique
JP3529222B2 (ja) 1996-07-11 2004-05-24 株式会社メニコン 軟質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法
JP3641110B2 (ja) * 1997-08-20 2005-04-20 株式会社メニコン 軟質眼内レンズ用材料
US6488707B1 (en) * 1997-08-20 2002-12-03 Thinoptx, Inc. Method of implanting a deformable intraocular corrective lens
JP3805496B2 (ja) 1997-08-29 2006-08-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
US6129759A (en) 1997-12-10 2000-10-10 Staar Surgical Company, Inc. Frosted haptic intraocular lens
FR2782912B1 (fr) * 1998-09-07 2001-01-12 Georges Baikoff Implant intra-oculaire de chambre anterieure
US6152959A (en) * 1999-05-14 2000-11-28 Portney; Valdemar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
FR2795944B1 (fr) * 1999-07-08 2001-11-02 Corneal Ind Implant intraoculaire
US6193750B1 (en) 1999-10-15 2001-02-27 Medevec Licensing, B.V. Collars for lens loops
ATE339933T1 (de) * 1999-12-14 2006-10-15 Hans-Georg Dr Rer Nat Boehm Fokussierfähige intraokularlinse
FR2804860B1 (fr) 2000-02-16 2002-04-12 Humanoptics Ag Implant cristallinien accomodatif
JP3494946B2 (ja) 2000-03-09 2004-02-09 株式会社メニコン 粘着性が低減された軟質眼内レンズ及びその製法
JP4038319B2 (ja) 2000-03-27 2008-01-2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の粘着性を減少させる方法
US20030120342A1 (en) 2001-12-21 2003-06-26 Green George F. Intraocular lens
JP2003190193A (ja) 2001-12-26 2003-07-08 Canon Star Kk 眼内レンズ
US20030208267A1 (en) 2002-05-04 2003-11-06 Kurt Buzard Anterior chamber phakic len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GB0217606D0 (en) * 2002-07-30 2002-09-11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Intraocular lens
WO2004096099A1 (ja) 2003-04-28 2004-11-11 Hoya Healthcare Corporation 一体型眼内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7621A1 (en) * 2004-02-24 2005-08-25 Brady Daniel G. Foldable unitary intraocular lens
EP3000435B1 (en) * 2005-05-20 2017-09-13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58B1 (ko) * 2010-10-11 2013-03-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굴절 친수성 안내 렌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2461A4 (en) 2009-12-30
ES2551677T3 (es) 2015-11-23
JPWO2006123427A1 (ja) 2008-12-25
CN101180009B (zh) 2010-08-18
CN101180009A (zh) 2008-05-14
US20090030514A1 (en) 2009-01-29
EP1882461B1 (en) 2015-08-12
JP4689668B2 (ja) 2011-05-25
KR101153264B1 (ko) 2012-06-07
US8267996B2 (en) 2012-09-18
EP1882461A1 (en) 2008-01-30
WO2006123427A1 (ja)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264B1 (ko) 안내렌즈
EP3000435B1 (en) Intraocular lens
JP5858346B2 (ja) 眼内レンズ
JP2014502863A5 (ko)
CN113331993A (zh) 具有变形正弦相移结构的眼科透镜
CA2986917A1 (en) Controlled axial displacement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JP2022550471A (ja) トーリック面を有する調節式眼内レンズ
JP2023160931A (ja) 改善された支持部力分布を有する眼内レンズ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4130062A (ja) 有水晶体眼内レンズ及び有水晶体眼内レンズの移植方法
US20030018386A1 (en) Anterior chamber angle-supported intraocular lenses with flexible optic and rigid fixation members
US9681943B2 (en) Intraocular lens
JP2006006484A (ja) 眼内レンズ
CN116407339A (zh) 人工晶状体
JP6934789B2 (ja) 眼内レンズ
EP4389070A2 (en)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sertion instrument
CN211067209U (zh) 一种拼接式导入头和预装植入系统
JP2015051069A (ja) 眼内レンズおよび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2055394A (ja) 眼内レンズ、及び眼内レンズ挿入システム
JP2004523301A (ja) 柔軟な眼内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