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626A -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626A
KR20080004626A KR1020077027210A KR20077027210A KR20080004626A KR 20080004626 A KR20080004626 A KR 20080004626A KR 1020077027210 A KR1020077027210 A KR 1020077027210A KR 20077027210 A KR20077027210 A KR 20077027210A KR 20080004626 A KR20080004626 A KR 2008000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engine
cover body
air clean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353B1 (ko
Inventor
요시히코 구보
신고 요네다
가즈히로 사카모토
야스노리 마츠바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3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20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3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4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3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0586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7Small engines, e.g. for handheld tools, or model engines; Single cylinder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container and flui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엔진의 에어클리너(AC)에 있어서, 상부 커버체(11)의 흡입구(50)에 가까운 스커트 벽(11a)이 흡입구(50)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클리너 커버체(11)의 외면을 흘러내리는 빗방울이 흡입구(50)를 통해 에어클리너 안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클리너 커버체(10) 안의 흡기 통로(17)의 외주에 시일 패키지(68)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겹쳐 끼워 맞추는 것에 있어서, 시일 패키지(68)에는 흡기 통로(17)에 밀착 결합하는 이탈 방지 돌기(75)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c)의 교환시 등에 시일 패킹(68)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에어클리너(AC)는 엔진(E)의 일측에 병렬하여 배치되고, 그 클리너 커버체(10)의 하부가 엔진(E)에 기화기(4)와 함께 한 쌍의 연결 볼트(22, 23)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고, 엔진(E)과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클리너 커버체(10)의 보강 세로 벽부(37)가 다른 하나의 연결 볼트(24)에 의해 엔진(E)에 일체로 결합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E)에의 에어클리너의 지지 강성을 높인다.

Description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AIR CLEANER OF ENGINE AND AIR CLEANER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IR CLEANER ON ENGINE}
본 발명은, 엔진, 특히 범용 엔진에 설치된 클리너 커버체의 외면을 흘러내리는 빗방울의 흡입을 방지하고, 흡입한 외기(外氣)가 정화되지 않고 엔진측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며, 엔진, 특히 범용 엔진에 외기를 정화하여 유도하기 위한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구동식 작업기에서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고, 엔진 흡기계에 접속되는 에어클리너는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클리너 커버체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방울이 엔진의 흡기 부압을 받아 에어클리너 안으로 흡입되는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 에어클리너에 우천캡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빗물이 에어클리너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은 공지이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 범용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의 하면 개구를 막는 바닥판에 접합통(흡기통)을 설치하고, 이 접합통에 에어클리너 엘리멘트를 끼워 맞추며, 이 에어클리너 엘리멘트와 바닥판 사이에 패킹을 끼워 먼지를 포함한 외기가 에어클리너 엘리멘트를 통하지 않고서, 직접 엔진측에 누출되지 않도록 한 엔진의 에어클리너는 공지이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종래, 범용 엔진에 있어서, 외기를 흡입하여 청정화한 후, 엔진에 유도하기 위한 에어클리너는 이 엔진 실린더부의 일측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갖고 일체로 지지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공고 소화 제63-1132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1-78258호의 마이크로 필름
[특허 문헌 3] 일본 실용 공고 소화 제59-62263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것에서는 에어클리너에 설치한 우천캡에 원추 사면부를 설치하고, 그곳에 특수 형상의 다수의 흡입구를 형성하고 이들의 흡입구에 주벽을 설치하는 등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흡기의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빗물의 흡입 방지책으로서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것에서는 에어클리너 엘리멘트의 교환, 청소 등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이것을 접합통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패킹이 에어클리너 엘리멘트와 밀착한 상태로 함께 제거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패킹의 재부착을 잊거나, 분실하거나 하는 등의 다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범용 엔진에서는 에어클리너로 청정화된 외기는 엔진에 지지되는 기화기로서 연료와 혼합 조정한 후, 이들의 혼합기를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클리너는 기화기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오버행 상태로 이 엔진에 지지되게 되고, 에어클리너의 지지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에어클리너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클리너 챔버 용적을 크게 하면, 클리너 커버가 커져 상기 문제가 한층 현저해지며, 나아가서는 에어클리너를 엔진에 체결하는 데, 클리너 커버를 제거하고 나서 에어클리너를 엔진에 체결하는 경우도 있으며, 에어클리너의 엔진에의 체결 작업 능률이 저하한다는 또 다른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신규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그 에어클리너를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커버체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와 엔진의 흡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근방에 있어서 이 흡입구를 둘러싸는 클리너 커버체의 스커트 벽은 흡입구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에 덧붙여, 상기 흡입구와 스커트 벽 사이에는 차폐벽이 설치되고, 상기 스커트 벽과 차폐벽에서 흡입구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공극을 두고 대면하는 이중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2의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차폐벽은 상기 스커트 벽과 병렬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외측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흡입구를 양측으로부터 덮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2 또는 3의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흡입구는 그 중심에 대하여 클리너 커버체의 중심측을 향하여 확대되는 확대부를 갖고, 클리너 커버체 안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흡기통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으며, 이 흡기통은 흡입구측의 입구로부터 그 상단의 출구를 향하여 서서히 좁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커버체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와 엔진의 흡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클리너 커버체 내에 그곳에 설치한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통하는 흡기 통로를 설치하고, 이 흡기 통로의 외주에 시일 패킹 및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겹쳐 끼워 맞추며, 상기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취입된 외기를 청정화한 후, 배출구에 배출시키고, 상기 시일 패킹에 의해, 외기가 직접 배출구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시일 패킹에는 클리너 커버체에 밀착 결합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설치하고, 시일 패킹이 흡기 통로로부터 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커버체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와 엔진의 흡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클리너 커버체를 상부 커버체와 그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체로 구성하고, 하부 커버체에 설치한 칸막이 벽에, 상부 커버체에 설치한 흡입구와 하부 커버체가 설치한 배출구를 연통하는 흡기 통로를 설치하고, 이 통기 통로의 외주에 시일 패킹 및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겹쳐 끼워 맞추며, 상기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청정화한 후 배출구에 배출시키고, 상기 시일 패킹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과 칸막이 벽 사이에 협착되어 외기가 직접 배출구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시일 패킹에는 하부 커버체에 빈틈 없이 결합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설치하고, 시일 패킹이 흡기 통로로부터 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5 또는 6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시일 패킹의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흡기 통로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6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시일 패킹의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칸막이 벽에 형성한 오목한 홈에 밀착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5, 6, 7 또는 제8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시일 패킹의 시일면 이외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커버체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와 엔진의 흡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의 엔진에의 부착 장치로서, 에어클리너는 엔진의 일측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피(外殼)를 구성하는 클리너 커버체의 하부가 엔진에 기화기와 함께 한 쌍의 체결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고 엔진과 간극을 두고 대면하는 클리너 커버체의 보강 세로 벽부가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에 의해 엔진에 일체로 결합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커버체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와 엔진의 흡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로서, 에어클리너는 엔진의 일측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클리너의 외피를 형성하는 클리너 커버체를 도입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을 배치한 상부 커버와, 청정화한 외기를 엔진으로 유도하는 흡기 덕트를 형성한 하부 커버체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 커버체는 그 상면에 상부 커버체와 하부 커버체를 구획하고 하부 커버체의 상부를 보강하는 칸막이 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버체는 그 하부가 엔진에 기화기와 함께 한 쌍의 체결 부재에 의해 보다 일체로 결합 지지되며, 하부 커버체 상부의, 상기 칸막이 벽에 근접한 보강 세로 벽부가 엔진에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의 부착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1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하부 커버체의 보강 세로 벽부에는 엔진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 원통 구멍을 갖는 보스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엔진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는 하부 커버체의 중공 원통 구멍을 관통하며, 그곳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0, 11 또는 제12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부재 및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는 모두 연결 볼트이며, 이들의 중심 축선은 대략 평행으로서, 이들 연결 볼트는 모두 클리너 커버체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가 제안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제4 특징에 의하면, 종래의 에어클리너에 약간의 개량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클리너 커버체의 외면을 흘러내리는 빗방울 등의 물방울이 흡입구를 통해 에어클리너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3 특징에 의하면, 빗방울 등의 물방울을 차폐벽에 충돌, 낙하시킴으로써, 그 물방울이 에어클리너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4 특징에 의하면, 흡입구 부근에서의 흡기 유속을 느리게 하여 빗방울 등의 물방울을 흡입구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기 어렵게 하여, 물방울의 에어클리너 안으로의 침입 방지 작용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제9 특징에 의하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의 교환, 청소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이것을 흡기 통로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시일 패킹은 현 위치에 남겨진 상태가 되어 제거되지 않고, 이 시일 패킹을 부착하는 것을 잊지 않으며, 이 시일 패킹을 분실하는 일이 없다.
특히, 제9 특징에 의하면, 시일 패킹의 시일면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고, 이탈 방지 부재를 이 시일 패킹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제13 특징에 의하면,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3점에서 체결 지지할 수 있고, 특히, 클리너 커버체의 고강성 보강 세로벽을 이용하여, 클리너 커버체를 엔진에 체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엔진에의 에어클리너의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2 특징에 의하면, 엔진과 간극을 두고 대면하는 클리너 커버체의 보강 세로 벽부를 엔진에 접근시켜 이 엔진에 체결할 수 있고, 엔진에의 에어클리너의 지지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3 특징에 의하면, 3개의 연결 볼트의 체결 방향이 동일하며, 이들을 클리너 커버체의 외측으로부터 체결 조작할 수 있고, 에어클리너의 엔진에의 체결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클리너를 구비한 범용 엔진 유닛의 정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르는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르는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6은 도 3의 선 6-6을 따르는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7은 도 5의 선 7-7을 따르는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8은 에어클리너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9는 도 8의 선 9-9를 따르는 시일 패킹의 확대 평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선 10-10을 따르는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11은 도 3의 가상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제1 실시예).
도 12는 시일 패킹의 평면도이다(제2 실시예).
도 13은 도 12의 선 13-13을 따르는 단면도이다(제2 실시예).
도 14는 도 11(실시예 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제2 실시예).
도 15는 시일 패킹의 평면도이다(제3 실시예).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을 따르는 단면도이다(제3 실시예).
도 17은 도 11(실시예 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제3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기화기 10 : 클리너 커버체
11 : 상부 커버체 11a : 스커트 벽
12 : 하부 커버체 13 : 흡기 덕트
14 : 칸막이 벽 16 : 배출구
17 : 흡기 통로 22 : 체결 부재(연결 볼트)
23 : 체결 부재(연결 볼트) 24 : 체결 부재(연결 볼트)
37 : 세로 벽부 38 : 보스부
39 : 중공 원통 구멍 50 : 흡입구
50a : 확대부 50c : 흡입구의 중심
51 : 흡기통 53 : 차폐벽
54 : 공극 68 : 시일 패킹
71, 73 : 시일면 75 : 이탈 방지 부재(이탈 방지 돌기)
221 : 중심 축선 231 : 중심 축선
241 : 중심 축선 268 : 시일 패킹
271, 273 : 시일면 275, 276 : 이탈 방지 부재(이탈 방지 돌기)
368 : 시일 패킹 371, 373 : 시일면
378 : 이탈 방지 부재(이탈 방지 돌기)
379 : 오목한 홈 E : 엔진
Ep : 흡기 포트 Ue :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2에 있어서, 범용 엔진 유닛의 각종 작업기의 동력원이 되는 범용 엔진(E)은 4 사이클 엔진으로서, 수평 방향에 배치되는 크랭크축(1)을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2)와, 이 크랭크 케이스(2)로부터 비스듬히 상측으로 돌출된 실린더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크랭크 케이스(2)의 바로 위에는 그것에 지지되는 연료 탱크(T)가 배치되고, 실린더부(3)의 일측에는 기화기(4)가 부착되며, 이 기화기(4)에 접속되는 에어클리너(AC)와, 실린더부(3)의 타측에 접속되는 배기 머플러(M)가 연료 탱크(T)의 측방에 배열되도록 하여 실린더부(3)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1∼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에어클리너(AC)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AC)의 외피인 클리너 커버체(10)는 합성 수지제로서, 상부 커버체(11)와 하부 커버체(12)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11)는 하면이 개방된 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체(12)는 상하 방향으로 긴 엘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기 덕트(13)와, 그 개구 상면을 폐쇄하는 칸막이 벽(14)을 구비하여 밀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커버체(11)의 개구 하면에 하부 커버체(12)의 상면이 착탈 가능하게 기밀하게 끼워 맞춤 접속된다.
도 3,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 벽(14)의 중간부에는 각이진 통 형상의 통기 통로(17)가 상부 커버체(11) 안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흡기 통로(17)를 통해 상부 커버체(11) 안과 하부 커버체(12) 안이 상호 연통된다. 하부 커버체(12)의 흡기 덕트(13)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볼트(1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볼트(18)는 상기 흡기 통로(17)를 통해 상부 커버체(11) 안을 세로로 통과하고, 그 상단의 나사부가 이 상부 커버체의 상벽에 형성한 부착 구멍(19)을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여기에 너트(20)를 나사식 체결함으로써, 상부 커버체(11)는 하부 커버체(12)의 칸막이 벽(14)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부 커버체(12)의 하단, 즉 흡기 덕트(13)의 하단에는 에어클리너(AC)의 배출구(16)가 개구되고, 이 배출구(16)는 기화기(4)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다(도 6참조).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클리너(AC)는 그 하부 커버체(12)가 상기 엔진(E)의 실린더부(3)에 고강성을 갖고 고정 지지된다.
이어서, 도 2∼7을 참조하여 이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어클리너(AC)는 그 하부 커버체(12)가 엔진(E)의 실린더부(3)에 3점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체(12)의 하단 부분이 2개의 연결 볼트(22, 23)에 의해 엔진(E)의 실린더부(3)에 기화기(4)를 통해 2점에서 지지되고, 도 3, 5,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체(12)의 상단 부분, 즉 상기 칸막이 벽(14)에 가까운 부분이 1개의 연결 볼트(24)에 의해 엔진(E)의 실린더부(3)에 직접 1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의 실린더부(3)의 실린더 헤드 부분(3H)에는 기화기(4)의 하류측이 가스켓(25)을 통해 접속되고, 이 기화기(4)의 상류측에는 패킹(26)을 끼워 상기 하부 커버체(12)의 하단 부분이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커버(12)의 하단 부분은 하부 커버체(12) 및 기화기(4)에 형성한 볼트 구멍(27, 28)을 관통하여 실린더부(3)의 실린더 헤드 부분(3H)에 나사식 부착한 2개의 통과 연결 볼트(22, 23)에 의해 고착된다. 하부 커버(12)의 볼트 구멍(27)에는 금속제 슬리브(29)가 끼워 맞춰져 있고 연결 볼트(22, 23)의 체결에 의해서도 하부 커버체(12)가 변형되지 않 도록 되어 있다. 에어클리너(AC)의 하부 커버체(12)에 형성되는 흡기 덕트(13)는 기화기(4)의 흡기도(30)를 통해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되고, 통상과 같이 에어클리너(AC) 안의 흡기는 기화기(4)에서 연료와 혼합된 후 흡기 포트(Ep)에 유도된다.
또한, 도 6 중 부호 32 및 부호 33은 기화기(4)의 흡기도(3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쵸크 밸브 및 스로틀 밸브이다.
도 3,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AC)의 하부 커버체(12)의 상기 칸막이 벽(14)에 가까운 상단 부분의 높은 강성을 보유하는 세로벽 부분(37)에는 통 형상의 보스부(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38)에는 하부 커버체(12)의 내측, 즉 엔진(E)의 실린더부(3)를 향하여 연장되는 긴 바닥이 있는 중공 원통 구멍(3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 원통 구멍(39)의 안쪽 벽에는 볼트 구멍(40)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트 구멍(40)에 대향하는 실린더부(3)의 실린더 헤드 부분(3H)의 벽면에는 볼트 나사 구멍(41)이 형성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 구멍(40)과 볼트 나사 구멍(41)은 동일 축선 상에 있다. 상기 볼트 나사 구멍(41)에는 연결 볼트로서의 스터드 볼트(24)가 나사식 체결된다. 이 스터드 볼트(24)는 하부 커버체(12)의 나사 구멍(40)을 관통한 후, 그 나사부가 중공 원통 구멍(39) 안에 돌출되고, 그 나사부에 너트(42)를 나사식 체결함으로써, 하부 커버체(12)의 상부는 이 1개의 연결 볼트(24)를 갖고 실린더부(3)의 실린더 헤드 부분(3H)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커버체(12)의 상부는 그 강성이 높은 세로벽 부분(37)[칸막이 벽(14) 가까이에 있으며, 보스부(38)에 의해 보강되어 있음]이 연결 볼트(24)에 의해 엔진(E)의 실린더부(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연결 볼트(22, 23)의 축선(221, 231)과, 스터드 볼트(24)의 축선(241)은 상호 대략 평행하고, 체결 방향이 동일하며, 이들 3개의 연결 볼트(22, 23, 24)는 모두 에어클리너(AC)의 외측으로부터 체결·이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어클리너(AC)의 엔진(E)의 실린더부(3)에의 조작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에어클리너(AC)는 그 하부 커버체(12)가 3개의 연결 볼트(22, 23, 24)에 의해 엔진(E)의 실린더부(3)에 3점에 의해 지지 고정되기 때문에, 그 지지강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부(38)는 실린더부(3)를 향하여 깊은 중공 원통 구멍(39)을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 볼트(24)에 의한 체결 거리를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클리너(AC)를 엔진측의 부착부인 실린더부(3)에 가까이 하여, 그곳에 고정 지지할 수 있고, 그 지지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3,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AC)의 상부 커버체(11) 안에는 후술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다.
하부 커버체(12)의 칸막이 벽(14), 즉 하부 커버체(12)의 상벽의 일측(도 3, 4 우측)에는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흡입구(50)가 개구되어 있다. 이 흡입구(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50c)과 지지 볼트(18)의 중심(18c)을 지나는 중심선 c-c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50c)에 대하여 하부 커버체(12)의 중앙 0측을 향하여 확대되는 확대부(50a)를 갖고 있으며, 전체로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50)에는 상부 커버체(11) 안을 향하여 연장되는 각이진 통 형상의 흡기통(51)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 흡기통(51)은 흡기구(50)측의 입구에서 그 상단의 출구를 향하여 서서히 좁혀지는 굴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0)의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외측 개구 가장자리에는 그곳을 따라 차폐벽(53)이 일체로 수직 하강되어 있다. 이 차폐벽(5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구(50)를 덮도록 그 흡입구(5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흡입구(50)의 길이 방향 양단을 덮도록 만곡되어 상부 커버체(11)의 내면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벽(53)은 흡입구(50)의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대략 절반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체(11)의 흡입구(50) 근방의 스커트 벽(11a)의 하단은 흡입구(50)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연장부는 차폐벽(53)과 대면하여 이 차폐벽(53)과 병렬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은 상기 차폐벽(53)의 하단과 대략 동일한 레벨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벽(53)과, 상부 커버체(11)의 스커트 벽(11a)은, 흡입구(50)의 외측 개구 가장자리의 하측에서 상호 대면하는 이중벽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아래쪽으로 개방된 공극(54)을 형성한다.
그런데, 범용 엔진 작업기는 일반적으로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우천 사용시에는 당연히, 에어클리너(AC)의 상부 커버(11) 상에 떨어진 빗방울은 이 상부 커버체(11)의 상면으로부터 그 스커트 벽(11a)을 따라 그 하단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흡입구(50)를 통해 에어클리너(AC) 안에 흡입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실시예에 의하면, 빗방울이 에어클리너(AC)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즉
(1) 흡입구(50)에 가까운 스커트 벽(11a)의 하단은 흡입구(50)의 레벨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있음으로써,
흡기 부압에 의해 빗방울이 흡입구(50)에 끌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 흡입구(50)를 덮고, 이 흡입구(50)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차폐벽(53) 및 상부 커버체(11)의 스커트 벽(11a)으로 이중벽을 형성한 것에 의해,
상기(1)에 의해서도 흡입구(50)에 끌어 당겨진 빗방울은 스커트 벽(11a)의 하부 가장자리를 우회하여 공극(54)으로 유입되지만, 여기서, 그 빗방울을 차폐벽(53)에 충돌시켜 낙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흡입구(50)에의 빗방울의 흡입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흡입구(50)는 그 중심(50c)에 대하여 지지 볼트(18)의 중심(18c)측, 즉 커버체(10)의 중앙측을 향하여 확대되는 확대부(50a)를 구비하고 있으며, 흡입구(50)에 연접되는 흡기통(51)은 그 입구에서 부터 출구로 서서히 좁혀짐으로써,
흡기 부압은 흡입구(50)의 근방에서 약해지며, 여기에서 흡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상기 (1), (2)에 의한 빗방울의 에어클리너(AC) 안으로의 흡입 방지 작용이 조성된다.
상기 클리너 커버체(10)의 상부 커버체(11) 안에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이 수용 지지되어 있다. 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은 도 3,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타원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페이퍼 클리너(62)와 우레탄 클리너(61)를 적층하여 상하면을 개방한 타원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클리너 엘리멘트(60)와, 이 클리너 엘리멘트(60)의 개방 상하면에 그곳을 폐쇄하도록 부착된 금속판제의 상부판(63) 및 하부판(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판(63)에 중앙부에는 고무 부시(65)가 끼워 부착된 부착 구멍(66)이 형성되고, 하부판(64)의 중 앙부에는 상기 칸막이 벽(14)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각이진 통 형상의 통기 통로(17)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부착되는 끼워 맞춤 구멍(67)이 개구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은 그 하부판(64)의 끼워 맞춤 구멍(67)이 통기 통로(17)의 외주면에 끼워 맞춰져 칸막이 벽(14) 상에 시일 패킹(68)을 끼워 안착된다. 그리고, 통기 통로(17)를 통과하고, 클리너 엘리멘트 안을 세로로 통과한 지지 볼트(18)는 그 상단의 나사부가 부착 구멍(66)의 고무 부시(65)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그 돌출단에 너트(69)를 나사식 체결함으로써,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은 하부 커버체(12)의 칸막이 벽(14) 상에 시일 패킹(68)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은 상부 커버체(11) 안을 그 외측의 미청정실(未淸淨室)(Cd)과, 그 내측 청정실(Cc)로 구획되어 있으며, 엔진(E)의 운전에 의하면, 외기는 흡입구(50)로부터 미청정실(Cd)에 들어가고, 클리너 엘리멘트(60)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청정실(Cc)에 들어가며, 통기 통로(17)로부터 흡기 덕트(13)를 지나 기화기(4)에 유도된다.
칸막이 벽(14)의 상면과,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 하면 사이에는 고무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패킹(68)이 협착된다. 이 시일 패킹(68)은 미청정실(Cd)과, 청정실(Cc)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여 미청정의 외기가 직접 청정실(Cc)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9,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일 패킹(68)은 사각인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이진 통형상의 흡기 통로(17)의 근원 부분의 외주면에 끼워 부착된다. 상기 시일 패킹(68)의 상부 시 일면(71) 및 하부 시일면(73)의 폭 방향의 중간부에는 단면 삼각형의 상부, 하부 립편(72, 74)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립편(72)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의 하면에 밀접되고, 하부 립편(74)은 칸막이 벽(14)의 상면에 밀접된다. 또한, 시일 패킹(68)의 내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이탈 방지 부재로서의 이탈 방지 돌기(75)가 내측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돌기(75)는 흡기 통로(17)의 외주면의 근원 부분에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하고 있으며, 예컨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교환이나 청소 등의 유지 보수를 행하기 위해, 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흡기 통로(17)로부터 빼내었을 때, 이 시일 패킹(68)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에 달라붙은 상태로 함부로 흡기 통로(17)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 패킹(68)을 흡기 통로(17)에 부착하는 것을 잊거나, 그것을 분실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 2
이어서, 도 12∼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 2는 칸막이 벽(14)의 상면과,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의 하면 사이에 협착되는 고무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패킹(268) 및 그 부착부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와 약간 상위하고 있다. 시일 패킹(268)은 사각의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이진 통형상의 흡기 통로(17)의 근원 부분의 외주면에 끼워 부착된다. 상기 시일 패킹(268)의 상부 시일면(271) 및 하부 시일면(273)의 폭 방향의 중간부에는 단면 삼각형의 상하부 립편(272, 274)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립편(272)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의 하면에 밀접되고, 하부 립편(274)은 칸막이 벽(14)의 상면에 밀접된다. 또한, 시일 패킹(268)의 내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이탈 방지 부재로서의, 복수의 내측 이탈 방지 돌기(275)가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시일 패킹(268)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탈 방지 부재로서의, 복수의 외측 이탈 방지 돌기(276)가 외측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체(12)의 칸막이 벽(14)의 상면에는 흡기 통로(17)의 근원을 둘러싸도록 환형의 오목한 홈(2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한 홈(277)에는 상기 시일 패킹(268)이 끼워 부착된다. 그리고, 그 위, 하부 시일면(271, 273)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 및 칸막이 벽(14)의 오목한 홈(277)의 저면에 밀착하여 미청정실(Cd)측의 외기가 직접 청정실(Cc)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 등이 엔진(E)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내측의 이탈 방지 돌기(277)는 흡기 통로(17)의 외주면 근원 부분에 긴밀하게 결합되고, 외측 이탈 방지 돌기(276)는 상기 오목한 홈(277)의 측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예컨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교환이나 청소 등 유지 보수를 행하도록 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흡기 통로(17)로부터 빼내었을 때, 이 시일 패킹(268)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에 달라붙은 상태로 흡기 통로(17)로부터 함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 패킹(268)을 흡기 통로(17)에 부착하는 것을 잊거나, 그것을 분실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오목한 홈(277)을 단면 비둘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오목한 홈에 끼워 부착되는 시일 패킹(268)도 동일하게 비둘기 형상으로 형성하면, 시일 패킹(268)의 오목한 홈(277)으로부터의 이탈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도 15∼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 3은 칸막이 벽(14)의 상면과,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의 하면 사이에 협착되는 고무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패킹(368) 및 그 부착부의 구조가 상기 제1 실시예와 약간 상위하고 있다. 시일 패킹(368)은 사각의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이진 통 형상의 흡기 통로(17)의 근원 부분의 외주면에 끼워 부착된다. 상기 시일 패킹(368)의 상부 시일면(371) 및 하부 시일면(373)의 폭 방향의 중간부에는 단면 삼각형의 상, 하부 립편(372, 374)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립편(372)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하부판(64)의 하면에 밀접되고, 하부 립편(374)은 칸막이 벽(14)의 상면에 밀접된다. 또한, 시일 패킹(368)의 하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탈 방지 부재로서의 복수의 이탈 방지 돌기(378)가 아래쪽을 향해서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체(12)의 칸막이 벽(14)의 상면에는 흡기 통로(17)의 근원을 둘러싸도록 환형의 오목한 홈(37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한 홈(379)에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378)가 끼워 부착된다. 상부, 하부 시일면(371, 373)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 및 칸막이 벽(14)에 밀착하여 미청정실(Cd)측의 외기가 직접 청정실(Cc)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 등이 엔진(E)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탈 방지 돌기(378)는 오목한 홈(379)에 긴밀하게 결합되고,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의 교환이나 청소 등 유지 보수를 행하도록 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흡기 통로(17)로부터 빼내었을 때, 이 시일 패킹(368)이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에 달라붙은 상태로 흡기 통로(17)로부터 함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 패킹(368)을 흡기 통로(17)에 부착하는 것을 잊거나, 그것을 분실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어클리너의 클리너 커버체를 상부 커버체와 하부 커버체에 의해 분리 구성되지만, 이들을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클리너 커버체를 상부 커버체만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그 경우 그 개방 하면은 바닥벽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서는 체결 부재로서 연결 볼트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연결 볼트 대신에 다른 동일한 효과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Claims (13)

  1. 클리너 커버체(10)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50)와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하는 배출구(1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50)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50)의 근방에 있고, 상기 흡입구(50)를 둘러싸는 클리너 커버체(10)의 스커트 벽(11a)은 흡입구(50)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50)와 스커트 벽(11a) 사이에는 차폐벽(53)이 설치되고, 상기 스커트 벽(11a)과 차폐벽(53)에 의해 흡입구(50)보다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공극(54)을 두고 대면하는 이중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53)은 상기 스커트 벽(11a)과 병렬로 상기 흡입구(50)의 외측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5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구(50)를 양측에서 덮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50)는 그 중심(50c)에 대하여 클리너 커버체(10)의 중앙측을 향하여 확대되는 확대부(50a)를 갖고, 클리너 커버체(10) 안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흡기통(51)이 일체로 연접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통(51)은 흡입구(50)측의 입구로부터 그 상단의 출구를 향하여 서서히 좁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5. 클리너 커버체(10)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50)와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하는 배출구(1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50)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클리너 커버체(10) 안에, 그곳에 설치한 흡입구(50)와 배출구(16)를 연통시키는 흡기 통로(17)를 설치하고, 이 흡기 통로(17)의 외주에 시일 패킹(68;268;368) 및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겹쳐 끼워 맞추며, 상기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에 의해 흡입구(50)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청정화한 후, 배출구(16)에 배출시키고, 상기 시일 패킹(68;268;368)에 의해 외기가 직접 배출구(16)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시일 패킹(68;268;368)에는 클리너 커버체(10)에 밀착 결합하는 이탈 방지 부재(75;275, 276;378)를 설치하여, 시일 패킹(68;268;368)이 흡기 통로(17)로부터 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6. 클리너 커버체(10)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50)와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하는 배출구(1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50)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클리너 커버체(10)를 상부 커버체(11)와 그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체(12)로 구성하고, 하부 커버체(12)에 설치한 칸막이 벽(14)에, 상부 커버체(11)에 설치한 흡입구(50)와 하부 커버체(12)에 설치한 배출구(16)를 연통시키는 흡기 통로(17)를 설치하며, 이 통기 통로(17)의 외주에 시일 패킹(68;268;368) 및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겹쳐 끼워 맞추며, 상기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에 의해 흡입구(50)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청정화한 후 배출구(16)에 배출시키고, 상기 시일 패킹(68;268;368)은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과 칸막이 벽(14) 사이에 협착되어 외기가 직접 배출구(16)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시일 패킹(68;268;368)에는 하부 커버체(12)에 밀착 결합하는 이탈 방지 부재(75;275, 276;378)를 설치하여 시일 패킹(68;268;368)이 흡기 통로(17)로부터 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패킹(68;268)의 이탈 방지 부재(75;275)는 상기 흡기 통로(17)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패킹(368)의 이탈 방지 부재(378)는 상기 칸막이 벽(14)에 형성한 오목한 홈(379)에 밀착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75;275, 276)는 상기 시일 패킹(Ue)의 시일면(71, 73;271, 273) 이외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에어클리너.
  10. 클리너 커버체(10)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50)와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하는 배출구(1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50)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찰하기 위한 부착 장치로서,
    에어클리너(AC)는 엔진(E)의 일측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피를 구성하는 클리너 커버체(10)의 하부가 엔진(E)에 기화기(4)와 함께 한 쌍의 체결 부재(22, 23)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고 엔진(E)과 간극을 두고 대면하는 클리너 커버체(10)의 보강 세로 벽부(37)가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24)에 의해 엔진(E)에 일체로 결합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11. 클리너 커버체(10)에 외기에 연통하는 흡입구(50)와 엔진(E)의 흡기 포트(Ep)에 연통하는 배출구(16)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구(50)로부터 흡입한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로서,
    에어클리너(AC)는 엔진(E)의 일측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클리너(AC)의 외피를 형성하는 클리너 커버체(10)를 도입 외기를 청정화하는 클리너 엘리멘트 유닛(Ue)을 배치한 상부 커버(11)와, 청정화한 외기를 엔진(E)에 유도하는 흡기 덕트(13)를 형성한 하부 커버체(12)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부 커버체(12)는 그 상면에 상부 커버체(11)와 하부 커버체(12)를 구획하고 하부 커버체(12)의 상부를 보강하는 칸막이 벽(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버체(12)는 그 하부가 엔진(E)에 기화기(4)와 함께 한 쌍의 체결 부재에 의해(22, 23)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고, 하부 커버체(12)의 상부의 상기 칸막이 벽(14)에 가까운 보강 세로 벽부(37)가 엔진(E)에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24)에 의해 일체로 결합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체(12)의 보강 세로 벽부(37)에는 엔진(E)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 원통 구멍(39)을 갖는 보스부(38)가 일체로 형성되고, 엔진(E)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24)는 하부 커버체(12)의 중공 원통 구멍(39)을 관통하며, 그곳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 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 부재(22, 23) 및 다른 하나의 체결 부재(24)는 모두 연결 볼트로서, 이들의 중심 축선(221, 231, 241)은 대략 평행하며, 이들 연결 볼트(22, 23, 24)는 모두 클리너 커버체(10)의 외측으로부터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
KR1020077027210A 2005-06-23 2006-06-23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부착 장치 KR100941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3600A JP4372054B2 (ja) 2005-06-23 2005-06-23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におけるシール装置
JP2005183594A JP4364842B2 (ja) 2005-06-23 2005-06-23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取付装置
JPJP-P-2005-00183599 2005-06-23
JP2005183599A JP4430586B2 (ja) 2005-06-23 2005-06-23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JPJP-P-2005-00183600 2005-06-23
JPJP-P-2005-00183594 200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26A true KR20080004626A (ko) 2008-01-09
KR100941353B1 KR100941353B1 (ko) 2010-02-11

Family

ID=375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210A KR100941353B1 (ko) 2005-06-23 2006-06-23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002863B2 (ko)
EP (3) EP1895146B1 (ko)
KR (1) KR100941353B1 (ko)
AR (3) AR054492A1 (ko)
AU (3) AU2006260105B2 (ko)
BR (1) BRPI0611572A2 (ko)
CA (5) CA2769785C (ko)
ES (2) ES2379312T3 (ko)
MY (3) MY145955A (ko)
PA (1) PA8677901A1 (ko)
PE (3) PE20070306A1 (ko)
TW (1) TWI356873B (ko)
WO (1) WO2006137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593B2 (ja) * 2007-05-24 2013-06-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US8177872B2 (en) * 2008-02-14 2012-05-15 Donaldson Company, Inc. Raincap precleaner, motor vehicle having a raincap precleaner, and method for precleaning air
JP4996521B2 (ja) * 2008-03-28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ラジエータリザーブタンク配置構造
JP5267934B2 (ja) * 2008-12-19 2013-08-21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クリーナ取付構造
JP5664218B2 (ja) * 2010-12-24 2015-02-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DE102013010848B4 (de) * 2013-06-28 2023-09-28 Andreas Stihl Ag & Co. Kg Rundfilteranordnung mit einem Vergaser
DE102015005563A1 (de) * 2014-05-05 2015-11-05 Mann + 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JP1564255S (ko) * 2016-01-15 2016-11-28
DE102016005335A1 (de) 2016-04-30 2017-11-02 Audi Ag Armatur
USD833481S1 (en) 2016-12-19 2018-11-13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Engine
USD829769S1 (en) * 2017-09-29 2018-10-02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Engine
CN109893931A (zh) * 2017-12-08 2019-06-18 南京天成环境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空气过滤箱
EP3779140B1 (en) * 2018-03-30 2022-05-11 Honda Motor Co., Ltd. General-purpose engine
US11352989B2 (en) 2018-05-22 2022-06-07 Briggs & Stratton, Llc Engine with low mounted cyclonic air filter assembly
WO2020044498A1 (ja) * 2018-08-30 2020-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汎用エンジン
US11958340B2 (en) * 2018-12-14 2024-04-16 AEM Induction System Vehicle air filt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111A (ko)
US2417130A (en) * 1944-04-10 1947-03-11 Herman H Garner Air cleaning apparatus
US2589111A (en) 1949-06-21 1952-03-11 Glynn Trolz Oil bath air cleaner construction
JPS5466012U (ko) * 1977-10-19 1979-05-10
JPS5466012A (en) 1977-11-07 1979-05-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Frame phase synchronizer
IT1091641B (it) * 1977-12-30 1985-07-06 Fiat Veicoli Ind Dispositivo di presa d aria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JPS55102061U (ko) * 1979-01-09 1980-07-16
JPS6010664B2 (ja) 1979-01-29 1985-03-19 富士通株式会社 ワンチツプ・プロセツサ
JPS5962263U (ja) 1982-10-20 1984-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汎用内燃機関のエアクリ−ナ取付装置
JPS59103857U (ja) 1982-12-28 1984-07-12 株式会社土屋製作所 雨天キャップ
JPS60170056A (ja) 1984-02-14 1985-09-03 Toshiba Corp 回転ヘツド方式の情報信号記録再生装置
JPH0675896B2 (ja) 1986-07-02 1994-09-28 宇部興産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運転方法
JPS6311322U (ko) 1986-07-09 1988-01-25
JPH0178258U (ko) 1987-11-17 1989-05-25
US5064458A (en) * 1990-03-07 1991-11-12 Allied-Signal Inc. Heavy duty air filter with multipurpose end seal
JPH04137252A (ja) * 1990-09-28 1992-05-12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4137252U (ja) 1991-06-17 1992-1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バス式エアクリーナ
US5233967A (en) * 1992-05-05 1993-08-10 Harley-Davidson, Inc. Crankcase breather
SE470567B (sv) 1993-01-21 1994-08-29 Electrolux Ab Anordning vid kapmaskin, cirkelsågmaskin eller motsvarande
DE4327834C2 (de) * 1993-08-19 1998-05-28 Mann & Hummel Filter Luftfilter für den Innenraum von Kraftfahrzeugen
US5487767A (en) * 1993-09-30 1996-01-30 Dana Corporation Radially sealed air filters
JP2806229B2 (ja) 1993-10-26 1998-09-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3468436B2 (ja) * 1994-09-22 2003-11-17 豊田紡織株式会社 樹脂製エアクリーナ
US5640937A (en) * 1994-12-19 1997-06-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induction assembly
JPH0976973A (ja) * 1995-09-11 1997-03-25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US5937816A (en) * 1998-07-27 1999-08-17 Wincewicz; John Garfield Combination carburetor backing plate and crankcase breather
US6402798B1 (en) * 2000-09-19 2002-06-11 Nelson Industries, Inc. Twist and lock filter housing with nontorsional anti-rotation stop
FR2827642B1 (fr) * 2001-07-19 2004-01-30 Mark Iv Systemes Moteurs Sa Ensemble de filtre a air pour vehicule a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2003214269A (ja) 2002-01-23 2003-07-30 Eiken Industries Co Ltd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092170B2 (ja) 2002-10-18 2008-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4180999B2 (ja) 2003-09-09 2008-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船のエンジン吸気構造
JP4340504B2 (ja) 2003-09-19 2009-10-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背負式作業機
JP4563768B2 (ja) * 2004-10-15 2010-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DE102005031058A1 (de) * 2005-07-02 2007-01-04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lement und ein zu dessen Aufnahme geeignetes Filtergehäuse
DE102007021756A1 (de) * 2007-05-09 2008-11-13 Ktm-Sportmotorcycle Ag Luftansaugvorrichtung
JP5215593B2 (ja) * 2007-05-24 2013-06-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89643A1 (en) 2006-12-28
CA2606759A1 (en) 2006-12-28
EP2058505A3 (en) 2009-07-15
AU2010202286A1 (en) 2010-06-24
AU2006260105B2 (en) 2010-07-22
CA2689648C (en) 2013-01-08
MY159528A (en) 2017-01-13
AR078068A2 (es) 2011-10-12
CA2769785A1 (en) 2006-12-28
CA2769714A1 (en) 2006-12-28
AU2010202287A1 (en) 2010-06-24
EP1895146B1 (en) 2015-07-01
PE20110078A1 (es) 2011-03-03
EP1895146A1 (en) 2008-03-05
PE20070306A1 (es) 2007-04-09
CA2769785C (en) 2013-08-06
WO2006137518A1 (ja) 2006-12-28
EP2058506A2 (en) 2009-05-13
MY150894A (en) 2014-03-14
EP2058505A2 (en) 2009-05-13
EP2058506A3 (en) 2009-06-03
US20090183709A1 (en) 2009-07-23
EP2058506B1 (en) 2012-02-08
AU2006260105A1 (en) 2006-12-28
BRPI0611572A2 (pt) 2010-09-21
MY145955A (en) 2012-05-31
PE20110077A1 (es) 2011-03-03
ES2396578T3 (es) 2013-02-22
CA2689643C (en) 2013-05-21
ES2379312T3 (es) 2012-04-24
PA8677901A1 (es) 2007-01-17
US8002863B2 (en) 2011-08-23
CA2606759C (en) 2011-03-08
EP1895146A4 (en) 2008-08-13
AR054492A1 (es) 2007-06-27
TWI356873B (en) 2012-01-21
AU2010202287B2 (en) 2012-06-28
CA2769714C (en) 2014-01-21
CA2689648A1 (en) 2006-12-28
AU2010202286B2 (en) 2012-06-28
EP2058505B1 (en) 2012-12-05
KR100941353B1 (ko) 2010-02-11
TW200702553A (en) 2007-01-16
AR078069A2 (es)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353B1 (ko) 엔진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에 에어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부착 장치
US7993424B2 (en) Air cleaner
JP3727249B2 (ja) バッフル筒体を具備する空気フイルターケーシング
JP4372054B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におけるシール装置
JP4364842B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取付装置
JP4430586B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KR200424252Y1 (ko)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JP3177800B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KR0129307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여과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공기흡입파이프
JPH0741159U (ja) エンジンの燃料タンクのブリーザ機構
KR19980033976U (ko) 공기청정기의 기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