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52Y1 -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52Y1
KR200424252Y1 KR2020060013163U KR20060013163U KR200424252Y1 KR 200424252 Y1 KR200424252 Y1 KR 200424252Y1 KR 2020060013163 U KR2020060013163 U KR 2020060013163U KR 20060013163 U KR20060013163 U KR 20060013163U KR 200424252 Y1 KR200424252 Y1 KR 200424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nister
tube
filler
fill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필러넥 부위에 장착되어 에어필터, 에어튜브를 통해 캐니스터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를 통해 캐니스터로 에어를 직접 공급하는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필러넥 부위에 조립 또는 융착하는 구조에 의해 고정 설치하되, 상부에 협지의 에어입구와 하단에 에어 필터 또는 캐니스터에 직접 연결되는 에어출구가 형성된 본체에 내부 통로의 폭 방향으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돌출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걸러진 수분의 외부 방출을 위해 관통 형성된 수발공을 구성한 것으로 외부공기에서 이물질 및 수분이 걸러진 상태로 공급하여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의 성능저하를 줄여 그 사용수명을 장구히 함은 물론 그 사용효율을 극대화하고, 또한 필러넥 부위에 간편하게 조립 설치함에 의한 설치 작업성은 물론 설치 견고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자동차, 필러넥, 캐니스터, 에어, 에어필터, 성능

Description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Air drain device of canister for a vehicles}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자동차의 연료탱크 주변장치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필러튜브, 8: 연료캡 하우징,
10: 본체, 11: 에어입구,
12: 에어출구, 15: 격벽,
16: 수발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필러넥 부위에 장착되어 에어필터, 에어튜브를 통해 캐니스터로 공급되는 외부공기 또는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를 통해 캐니스터로 직접 공급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수분 등을 걸러주어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의 성능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설치 장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장치에서 발생되는 증발 가스의 주성분은 탄화수소 가스로서 산소와 화합하여 오존이 과다하게 발생되면 인체는 물론 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그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 연료장치에는 카본을 함유한 캐니스터를 장착하고 있고, 또한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탄화수소 가스를 흡착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캐니스터는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유기를 삽입하기 위한 필러넥의 필러튜브(5)에 연결된 필러파이프(4)가 연료탱크(1)와 일측으로 연결되며,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가스라인(2)을 통해 포집하기 위한 캐니스터(3)가 설치되어 엔진 정지시에 내부의 활성탄에 의해 증발 가스를 포집한 상태로 있다가 엔진 운전시에 퍼지 밸브의 작동과 함께 엔진의 흡기계로 퍼지되도록 작동한다.
이때 상기 캐니스터(3)의 퍼지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서 에어튜브(6)가 구비된 에어필터(7)를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고정 설치하고 캐니스터와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에어튜브(6)을 차체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하고 캐니스터와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에어필터(7)는 캐니스터(3)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외부공기가 에어필터(7)를 통해 직접 흡입 공급되거나 에어튜브(6)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이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로 유입되어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의 성능저하가 유발되어 그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이로인해 에어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상기 에어필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을 줄이도록 하였으나 이로서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에어필터(7)를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필러넥 부위에 직접 체결 고정하는 구조로 그 설치 작업성이 불편함은 물론 견고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필러넥 부위에 별도의 에어 드레인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외부공기에서 이물질 및 수분이 1차적으로 걸러진 상태로 에어필터에 의한 필터링을 행하기 때문에 에어 필터의 성능저하를 줄여 그 사용수명을 장구히 함은 물론 그 사용효율을 극대화하고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에 의한 캐니스터와 직접 연결시 외부공기에서 이물질 및 수분을 1차적으로 걸러짐으로서 캐니스터의 사용수명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에어 드레인 장치를 필러넥 부위에 조립, 융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은 물론 그 설치 견고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는, 자동차 필러넥의 필러튜브에 장착되어 외부공기를 에어필터,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하거나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함에 있어서,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된 에어입구와 하단에 에어 필터 또는 캐니스터에 연결되는 에어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필러넥의 필러튜브 상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본체에는 내부 통로의 폭방향으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적어도 한 곳 이상 돌출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걸러진 수분의 외부 방출을 위해 관통 형성된 수발공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와 하부 커버를 분할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상에서 조립공을 형성하는 플랜지의 상하부에서 연결 조립하되, 상기 상부 포트는 플랜지 상부에서 조립공에 삽입되면서 양측의 로크돌기가 로크홈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고, 하부 커버는 양측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발삽입부를 조립공을 갖는 조립부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와 하부 커버를 일체 형성하고, 그 저면에 밑판을 융착 결합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상에 조립공을 형성하는 플랜지의 하부에서 조립공으로 삽입 조립하되, 필러튜브상에 형성된 로크돌기와 링부재상에 형성된 로크돌기가 상기 밑판의 내측면에 상,하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와 하부 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한 분할몸체로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의 외주면에 상호 억지 조립하되, 상기 필러튜브의 하부 플렌지와 상부 걸림턱 사이로 이탈방지 되도록 억지끼움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 안쪽으로 설치되며 폭 방향을 따라 분할한 상하부 분할몸체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몸체는 필러넥의 필러튜브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융착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에어 드레인 장치는 자동차 필러넥의 필러튜브(5)에 장착되어 외부공기를 에어필터,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하거나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함에 있어서,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에어입구(11)와 하단에 에어 필터 또는 캐니스터에 연결되는 에어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를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본체(10)에는 내부 통로(13)의 폭 방향으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적어도 한 곳 이상 돌출 형성된 격벽(15)과, 상기 격벽에 의해 걸러진 수분의 외부 방출을 위해 관통 형성된 수발공(16)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는 상기 본체를 융착 또는 기타 조립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드레인 장치는 상기 본체(10)를 다양한 형태로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 도 3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21)와 하부 커버(22)를 분할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서 조립공(26)을 형성하는 플랜지(25)의 상하부에서 연결 조립하되, 상기 상부 포트(21)는 플랜지 상부에서 조 립공(26)에 삽입되면서 양측의 로크돌기(21')가 로크홈(26')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고, 하부 커버(22)는 양측의 걸림돌기(23')가 형성된 탄발삽입부(23)를 조립공(29)을 갖는 조립부(29)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상호 조립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커버(22)는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본체를 이루는 상부 포트(21)와 하부 커버(22)를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로크돌기(21')와 로크홈(26'), 탄발삽입부(23)와 조립부(29)에 의한 조립방식으로 필러넥의 필터튜브(5)상에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31)와 하부 커버(32)를 일체 형성하고, 그 저면에 밑판(33)을 융착 결합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조립공(36)을 형성하는 플랜지(35)의 하부에서 조립공으로 삽입 조립하되, 필러튜브(5)상에 형성된 로크돌기(5a)와 링부재(38)상에 형성된 로크돌기(38a)가 상기 밑판(33)의 내측면에 상,하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33b)와 하부 지지홈(33c)에 삽입되어지지 설치하는 구조로 조립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부재(38)는 밑판(33)내측을 지지하여 일정 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본체를 이루는 상부 포트(31)와 하부 커버(32)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이를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형성된 조립공으로 삽입함과 함께 로크돌기(5a)와 지지홈(33b), 로크돌기(38a)와 지지홈(33c)에 의한 조립식으로 구 성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한 분할몸체(41)(42)로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의 외주면에 상호 조립하되, 상기 필러튜브(5)의 하부 플렌지(45)와 상부 걸림턱(46) 사이로 이탈방지 되도록 억지끼움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본체를 이루는 분할 구성된 분할몸체를 필러넥의 필러튜브상의 플렌지와 걸림턱 사이로 억지 끼움하면서 상호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되며 폭 방향을 따라 분할한 상하부 분할몸체(51)(52)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몸체(52)는 필러넥의 필러튜브(5)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서 상기 상부몸체(51)를 융착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본체를 이루는 분할 구성된 분할몸체에서 하부몸체를 필러튜브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서 상부몸체를 융착하여 상호 결합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필러넥 필러튜브(5)상에 조립 또는 융착하여 결합하는 본 고안의 에어 드레인장치는 외부 공기가 본체(10) 상부에, 그것도 필러튜브(5)에 밀착하여 형성된 협지의 에어입구(11)를 통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에어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그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을 본체(10) 내부 통로(13)의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15)에 의해 이송이 차단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의 에어출구(12)를 통해 에어필터, 에어튜브, 캐니스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품질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필터에서 필터링하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량이 최소화될 뿐만아니라 에어필터가 없는 경우 캐니스터로 들어가는 외부공기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량이 최소화됨으로서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의 성능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그 사용수명을 장구히 하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 내부의 격벽에 의해 걸러진 수분은 본체(10)상에 형성된 수발공(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 드레인장치는 자동차의 필러넥 부위에 설치하여서 외부공기의 이물질 및 수분이 본체내부의 격벽에 의해 걸러진 상태로 공급하기 때문에 에어필터 또는 캐니스터의 성능저하를 줄여 그 사용수명을 장구히 함은 물론 그 사용효율을 극대화하고, 또한 상기 본체를 필러넥 부위에 조립, 융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설치 작업성은 물론 그 설치 견고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자동차 필러넥의 필러튜브(5)에 장착되어 외부공기를 에어필터,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하거나 에어필터 없이 에어튜브를 거쳐 캐니스터로 공급함에 있어서,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에어입구(11)와 하단에 에어 필터 또는 캐니스터에 연결되는 에어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를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본체(10)에는 내부 통로(13)의 폭방향으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적어도 한 곳 이상 돌출 형성된 격벽(15)과, 상기 격벽에 의해 걸러진 수분의 외부 방출을 위해 관통 형성된 수발공(16)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21)와 하부 커버(22)를 분할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서 조립공(26)을 형성하는 플랜지(25)의 상하부에서 연결 조립하되, 상기 상부 포트(21)는 플랜지 상부에서 조립공(26)에 삽입되면서 양측의 로크돌기(21')가 로크홈(26')에 탄발 삽입하여 지지하고, 하부 커버(22)는 양측의 걸림돌기(23')가 형성된 탄발삽입부(23)를 조립공(29)을 갖는 조립부(29)에 탄발 삽입 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된 상부 포트(31)와 하부 커버(32)를 일체 형성하고, 그 저면에 밑판(33)을 융착 결합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상에 조립공(36)을 형성하는 플랜지(35)의 하부에서 조립공으로 삽입 조립하되, 필러튜브(5)상에 형성된 로크돌기(5a)와 링부재(38)상에 형성된 로크돌기(38a)가 상기 밑판(33)의 내측면에 상,하부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33b)와 하부 지지홈(33c)에 삽입되어 지지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한 분할몸체(41)(42)로 형성하여 필러넥의 필러튜브(5)의 외주면에 상호 억지 조립하되, 상기 필러튜브(5)의 하부 플렌지(45)와 상부 걸림턱(46) 사이로 이탈방지 되도록 억지끼움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려운 연료캡 하우징(8) 안쪽으로 설치되며 폭 방향을 따라 분할한 상하부 분할몸체(51)(52)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몸체(52)는 필러넥의 필러튜브(5)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서 상기 상부몸체(51)를 융착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KR2020060013163U 2006-05-17 2006-05-17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KR200424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63U KR200424252Y1 (ko) 2006-05-17 2006-05-17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63U KR200424252Y1 (ko) 2006-05-17 2006-05-17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225A Division KR100736410B1 (ko) 2006-05-17 2006-05-17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52Y1 true KR200424252Y1 (ko) 2006-08-17

Family

ID=4177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163U KR200424252Y1 (ko) 2006-05-17 2006-05-17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2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223A (zh) * 2015-09-04 2017-03-15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KR101737624B1 (ko) 2017-04-10 2017-05-2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83599A (ja) * 2016-11-25 2018-05-31 コリア、フューエル−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Korea Fuel−Tech Corporation フィラーネ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223A (zh) * 2015-09-04 2017-03-15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CN106494223B (zh) * 2015-09-04 2019-06-28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JP2018083599A (ja) * 2016-11-25 2018-05-31 コリア、フューエル−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Korea Fuel−Tech Corporation フィラーネ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37624B1 (ko) 2017-04-10 2017-05-2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842B2 (en) Vehicular canister attachment structure
US7473292B2 (en) Air cleaner
US8328916B2 (en) Filter device for hydrocarbon adsorption
JPH1047184A (ja) 燃料漏れ防止弁
WO2006137518A1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およびエンジンへのエアクリーナ取付装置
CN210317533U (zh) 全地形车
JP4935456B2 (ja) キャニスタの吸排気装置およびキャニスタの吸排気用ドレイン容器
KR100736410B1 (ko)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KR200424252Y1 (ko)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US6551509B2 (en) Feed unit and fuel filter for feeding fuel
US7906022B2 (en) Diesel filter
JP4602386B2 (ja) 大気導入部の構造
US6306190B1 (en) Secondary air supply device
KR101336468B1 (ko) 연료 증기 회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필터 장치
JP3537817B2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構造
US8246729B2 (en) Fuel vapour adsorbing device
JP5545731B2 (ja) ダストフィルタ
KR100942090B1 (ko)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US11648499B2 (en) Dust filter
US11697085B2 (en) Dust filter
US20080017643A1 (en) Ventil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luid-Storing Reservoirs Such as Tanks
JP5026382B2 (ja) エアクリーナ
JP2022013107A (ja) ダストフィルタ
KR20100020589A (ko) 자동차 연료 필러 넥 캐니스터 에어벤트의 수분 배출 구조
KR19990025280U (ko) 케니스터의 에어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