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8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87A
KR20080003787A KR1020077020893A KR20077020893A KR20080003787A KR 20080003787 A KR20080003787 A KR 20080003787A KR 1020077020893 A KR1020077020893 A KR 1020077020893A KR 20077020893 A KR20077020893 A KR 20077020893A KR 20080003787 A KR20080003787 A KR 2008000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suspension
pulley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038B1 (ko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제2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은 제2 및 제3 현가체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된다. 제2 현가체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1 측면 측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3 현가체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측면 측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를 가지고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2 구동 쉬브에 대한 상기 제2 현가체의 루핑각을 증대시키는 루핑각 조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공통의 승강로 내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독립하여 승강되는 타입, 이른바 원-샤프트 멀티-카 타입(one-shaft multi-car type)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샤프트 멀티-카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부 엘리베이터 칸도 하부 엘리베이터 칸도 1:1 로핑 방식으로 공통의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또, 하부 엘리베이터 칸용의 메인 로프는 반씩 나뉘어, 상부 엘리베이터 칸의 양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부 엘리베이터 칸용 권상기, 상부 엘리베이터 칸용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 하부 엘리베이터 칸용 권상기, 제1 하부 엘리베이터 칸용 디플렉터 풀리 및 제2 하부 엘리베이터 칸용 디플렉터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35155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구동 쉬브에 대한 메인 로프의 루핑각(looping angle)을 확보하기 위해서, 권상기와 디플렉터 풀리의 상하 방향의 배치 위치의 차이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 및 디플렉터 풀리의 상하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가 크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권상기나 풀리 군(群)을 승강로의 상부에 효율 좋게 배치하고, 설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권상기, 제1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1 균형추에 접속된 제1 균형추 단부를 가지며,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현가체(懸架體), 제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권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균형추,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1 측면 측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2 현가체,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측면 측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3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3 현가체,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현가체가 감겨져 있는 제1 디플렉터 풀리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현가체가 감겨져 있는 제2 디플렉터 풀리를 구비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2 구동 쉬브와 제2 디플렉터 풀리 사이에 제2 현가체가 감겨져 있고, 제2 구동 쉬브에 대한 제2 현가체의 루핑각을 증대시키는 루핑각 조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권상기, 제1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1 균형추에 접속된 제1 균형추 단부를 가지며,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현가체, 제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권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제2 권상기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균형추,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1 측면 측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2 현가체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측면 측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3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3 현가체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권상기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균형추의 상부에는 제1 균형추 단부가 접속된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와,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균형추의 상부에는 제2 및 제3 균형추 단부가 접속된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1 현가체를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제1 현가체를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1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제2 현가체를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제3 현가체를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3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제2 및 제3 현가체를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2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및 제2 구동 쉬브로부터 인출된 제2 현가체의 방향을 반전시켜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로 유도하는 전향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엘리베이터 칸 및 제2 균형추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2 엘리베이터 칸 및 제2 균형추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3), 한 쌍의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4,5) 및 한 쌍의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 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2 ~ 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상부 엘리베이터 칸)(8) 및 제2 엘리베이터 칸(하부 엘리베이터 칸)(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2, 3으로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1 균형추(10)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4, 5로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2 균형추(11)는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 6, 7로 안내되어 승강 로(1) 내를 승강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8)은 제2 엘리베이터 칸(9)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9)은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9)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前面)(8a, 9a), 전면(8a, 9a)에 대향하는 배면(8b, 9b), 제1 측면(8c, 9c) 및 제1 측면(8c, 9c)에 대향하는 제2 측면(8d, 9d)을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8e)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8e)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중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9)의 제1 측면(9c)의 하단부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9)의 제2 측면(9d)의 하단부에는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f)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및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 9f)는 수직 투영면에서 그것들을 잇는 직선이 제2 엘리베이터 칸(9)의 중심의 근방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10)의 상부에는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균형추(11)의 상부에는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10a, 11a)는 제1 및 제2 균형추(10, 11)의 폭 방향의 중심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10)는 엘리베이터 칸(8, 9)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1 측면(8c, 9c)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8, 9)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균형 추(11)는 엘리베이터 칸(8, 9)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2 측면(8d, 9d)에 대향하도록, 제1 균형추(10)와는 반대 측의 엘리베이터 칸(8, 9)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균형추(10)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2 균형추(11)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해 제1 균형추(10)와는 반대 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균형추(10, 11)는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8, 9)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8) 및 제1 균형추(10)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권상기(12)에 의해 승강된다. 제1 권상기(1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1 권상기 본체(13)와, 제1 권상기 본체(13)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14)를 가지고 있다. 제1 권상기(12)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 제1 권상기(12)는 제1 구동 쉬브(14)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권상기(12)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1 균형추(10)와 부분적과 겹쳐지도록, 제1 균형추(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14)에는 제1 현가체군(15)이 감겨져 있다. 제1 현가체군(15)은 복수 개의 제1 현가체(16)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제1 현가체(16)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8e)에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16a)와,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10a)에 접속된 제1 균형추 단부(16b)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엘리베이터 칸(8) 및 제1 균형추(10)는 제1 현가체군(15)에 의해, 1:1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제1 현가체(16)를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8e)로 유도하는 제1 디플렉터 풀리(17)와, 제1 구동 쉬브(14)에 대한 제1 현가체(16)의 루핑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1 루핑각 조정 풀리(1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루핑각 조정 풀리(18)는 제1 구동 쉬브(14)와 제1 디플렉터 풀리(1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디플렉터 풀리(17) 및 제1 루핑각 조정 풀리(18)는 그러한 회전축이 제1 구동 쉬브(14)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9) 및 제2 균형추(11)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권상기(19)에 의해 승강된다. 제2 권상기(19)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2 권상기 본체(20)와, 제2 권상기 본체(20)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21)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19)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 제2 권상기(19)는 제2 구동 쉬브(21)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고 또한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권상기(19)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2 균형추(11)와 부분적과 겹쳐지도록, 제2 균형추(1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 쉬브(21)에는 제2 현가체군(22)이 감겨져 있다. 제2 현가체군(22)은 적어도 1개의 제2 현가체(23)와, 적어도 1개의 제3 현가체(24)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현가체(23)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23a)와,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11a)에 접속된 제2 균형추 단부(23b)를 가지고 있다.
제3 현가체(24)는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f)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24a)와,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11a)에 접속된 제3 균형추 단부(24b)를 가지고 있다. 즉, 제2 엘리베이터 칸(9) 및 제2 균형추(11)는 제2 현가체군(22)에 의해,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제2 현가체(23)를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로 유도하는 제2 디플렉터 풀리(25)와, 제2 구동 쉬브(21)에 대한 제2 현가체(23)의 루핑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2 루핑각 조정 풀리(2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루핑각 조정 풀리(26)는 제2 구동 쉬브(21)와 제2 디플렉터 풀리(2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디플렉터 풀리(25) 및 제2 루핑각 조정 풀리(26)는 그러한 회전축이 제2 구동 쉬브(21)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현가체(24)는 제2 구동 쉬브(21)에만 감겨져 있다.
제1, 제2 및 제3 현가체(16, 23, 24)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로프 또는 벨트 모양 로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철 제품의 스트랜드만으로부터 되는 강철 제품 로프, 또는 강철 제품 스트랜드(strand)의 외주에 수지가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제1 현가체군(15)에 관한 기기(제1 균형추(10), 제1 권상기(12), 제1 디플렉터 풀리(17) 및 제1 루핑각 조정 풀리(18) 등)와, 제2 현가체군(22)에 관한 기기 (제2 균형추(11), 제2 권상기(19), 제2 디플렉터 풀리(25) 및 제2 루핑각 조정 풀리(26) 등)은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으로 조금 이동시켜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12, 19), 디플렉터 풀리(17, 25) 및 루핑각 조정 풀리(18, 26)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유니트화되어 있다. 지지틀은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2 ~ 7)이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틀은 건축물에 설치된 지지보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권상기(12, 19), 디플렉터 풀리(17, 25) 및 루핑각 조정 풀리(18, 26)는 동일 수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권상기(12, 19), 디플렉터 풀리(17, 25) 및 루핑각 조정 풀리(18, 26)는 적어도 일부가 같은 높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구동 쉬브(14)와 제1 디플렉터 풀리(17) 사이에 제1 루핑각 조정 풀리(18)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 구동 쉬브(21)와 제2 디플렉터 풀리(25) 사이에 제2 루핑각 조정 풀리(2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권상기(12, 19)와 디플렉터 풀리(17, 25)의 상하 방향의 배치 위치의 차이를 크게 하지 않아도, 구동 쉬브(14, 21)에 대한 현가체(16, 23)의 루핑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권상기(12, 19) 및 디플렉터 풀리(17, 25)의 상하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12, 19)나 풀리군을 승강로(1)의 상부에 효율 좋게 배치하여, 설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12, 19)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였으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 권상기(12, 19)는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8, 9)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대칭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 제1 권상기(12) 및 제1 디플렉터 풀리(17)의 위치를 바꿔 넣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권상기(19) 및 제2 디플렉터 풀리(25)의 위치를 바꿔 넣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구동 쉬브(14, 21), 디플렉터 풀리(17, 25) 및 루핑각 조정 풀리(18, 26)는 그러한 회전축이 수평이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8, 9)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비해, 엘리베이터 칸(8, 9)을 보다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매달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8, 9)을 보다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제1 엘리베이터 칸(8) 및 제1 균형추(10)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제2 엘리베이터 칸(9) 및 제2 균형추(11)이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균형추(10, 11)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9)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2 측면(8d, 9d)에 대향하도록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9)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균형추(10, 11)는 그러한 폭 방향으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권상기(12, 19),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27), 제1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28),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29), 제3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30), 제2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31) 및 전향 풀리(3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권상기(12, 19)는 수직 투영면에서 엘리베이터 칸(8, 9)의 영역 내에 전체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 칸(8, 9)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27)는 엘리베이터 칸(8, 9)의 위쪽에 배치되어, 제1 현가체(16)를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8e)로 유도한다. 제1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28)는 제1 균형추(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제1 현가체(16)를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10a)로 유도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29)는 엘리베이터 칸(8, 9)의 위쪽에 배치되어, 제2 현가체(23)를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로 유도한다. 제3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30)는 엘리베이터 칸(8, 9)의 위쪽에 배치되어, 제3 현가체(24)를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f)로 유도한다.
제2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31)는 제2 균형추(11)의 위쪽에 배치되어, 제2 및 제3 현가체(23, 24)를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11a)로 유도한다. 전향 풀리(32)는 제2 구동 쉬브(21)로부터 인출된 제2 현가체(23)의 방향을 반전시켜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29)로 유도한다. 디플렉터 풀리(27 ~ 31) 및 전향 풀리(32)는 그러한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12, 19), 디플렉터 풀리(27 ~ 31) 및 전향 풀리(32)는 동일 수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권상기(12, 19), 디플렉터 풀리(27 ~ 31) 및 전향 풀리(32)는 적어도 일부가 같은 높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권상기(12, 19)나 풀리군을 승강로(1)의 상부에 효율 좋게 배치하여, 설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및 제2 권상기(12, 19)로서 박형 권상기를 나타냈으나,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큰 권상기를 이용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제1 엘리베이터 칸(8) 및 제1 균형추(10)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제2 엘리베이터 칸(9) 및 제2 균형추(11)가 매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제1 및 제2 권상기(12, 19)는 구동 쉬브(14, 21)의 회전축이 연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전향 풀리(32)는 그 회전축이 거의 연직이 되도록, 즉 연직 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 권상기(12, 19)나 풀리군을 승강로(1)의 상부에 효율 좋게 배치하여, 설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공통의 승강로 내에 2대의 엘리베이터 칸을 설치하였으나, 3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2 엘리베이터 칸(9)의 제1 및 제2 측면(9c, 9d)의 하단부에 제2 및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9e, 9f)를 설치하였으나, 상단부나 중간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의 승강로 내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독립하여 승강되는 타입, 이른바 원-샤프트 멀티-카 타입(one-shaft multi-car type)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제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1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권상기,
    상기 제1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1 균형추에 접속된 제1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현가체,
    제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권상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상기 제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균형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제1 측면 측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2 현가체,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제2 측면 측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3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3 현가체,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현가체가 감겨져 있는 제1 디플렉터 풀리,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현가체가 감겨져 있는 제2 디플렉터 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제2 구동 쉬브와 상기 제2 디플렉터 풀리 사이에서 상기 제2 현가체가 감겨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대한 상기 제2 현가체의 루핑각을 증대시키는 루핑각 조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구동 쉬브와 상기 제1 디플렉터 풀리 사이에서 상기 제1 현가체가 감겨져 있는 제1 루핑각 조정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현가체가 감겨진 상기 루핑각 조정 풀리는 제2 루핑각 조정 풀리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추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균형추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상기 제1 균형추 와는 반대 측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추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있고,
    상기 제2 균형추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해 상기 제1 균형추와는 반대 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상기는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1 균형추와 겹치도록 상기 제1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권상기는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2 균형추와 겹치도록 상기 제2 균형추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 상기 제1 및 제2 디플렉터 풀리 및 상기 루핑각 조 정 풀리는 동일 수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권상기,
    상기 제1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균형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1 균형추에 접속된 제1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l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현가체,
    제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권상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제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균형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제1 측면 측에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2 현가체 및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상기 제2 측면 측에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상기 제2 균형추에 접속된 제3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3 현가체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균형추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균형추 단부가 접속된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와, 상기 제3 엘리베이터 칸 단부가 접속된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균형추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및 제3 균형추 단부가 접속된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현가체를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1 현가체를 상기 제1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1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2 현가체를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3 현가체를 상기 제3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3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2 및 제3 현가체를 상기 제2 균형추 서스펜딩부로 유도하는 제2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및 상기 제2 구동 쉬브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현가체의 방향을 반전시켜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로 유도하는 전향 풀리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향 풀리는 그 회전축이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향 풀리는 그 회전축이 거의 연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균형추는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상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1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3 엘리베이터 칸 측 디플렉터 풀리, 상기 제2 균형추 측 디플렉터 풀리 및 상기 전향 풀리는 동일 수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20893A 2006-05-01 2006-05-01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9090 WO2007129385A1 (ja) 2006-05-01 2006-05-01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87A true KR20080003787A (ko) 2008-01-08
KR100961038B1 KR100961038B1 (ko) 2010-06-01

Family

ID=3866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93A KR100961038B1 (ko) 2006-05-01 2006-05-0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18319B2 (ko)
EP (1) EP2014597A1 (ko)
JP (1) JPWO2007129385A1 (ko)
KR (1) KR100961038B1 (ko)
CN (1) CN101166686B (ko)
WO (1) WO20071293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29385A1 (ja) * 2006-05-01 2009-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2264626B (zh) * 2008-12-26 2014-02-19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中的对重
EP2424806A4 (en) * 2009-04-29 2015-07-22 Otis Elevator Co LIFTING SYSTEM WITH SEVERAL CARS IN A SINGLE TRAVEL CHAIR
ES2543885T3 (es) * 2009-12-15 2015-08-25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de doble cabina
EP2444352A1 (de) * 2010-10-25 2012-04-25 Inventio AG Aufzuganlage
CN102815588B (zh) * 2011-06-10 2015-05-13 铃木电梯(中国)有限公司 多功能电梯中的滑轮组及由此获得的多功能电梯
ES2549795T3 (es) * 2013-07-04 2015-11-02 Kone Corporation Un sistema de ascensor
CN105793184B (zh) * 2013-12-09 2017-12-15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
EP3114067B1 (de) * 2014-03-05 2018-04-04 Inventio AG Antrieb mit mehrfach-umschlingung für eine aufzusanlage
CN105800423A (zh) * 2016-05-09 2016-07-27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
JP7341094B2 (ja) * 2020-03-25 2023-09-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昇降路内作業装置及びその姿勢安定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5552A (ja) * 1974-11-08 1976-05-15 Hitachi Ltd Erebeeta
JPS5722875A (en) 1980-07-11 198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rc welding apparatus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311590B2 (ja) * 1999-06-14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DE60043310D1 (de) * 2000-08-21 200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Aufzugseinrichtung
JPWO2002022487A1 (ja) * 2000-09-14 2004-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1329412B1 (en) * 2000-10-10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4771586B2 (ja) * 2000-12-08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3527216B2 (ja) 2001-05-29 2004-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直流安定化電源回路
JP3458848B2 (ja) 2001-07-27 2003-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04657A (ja) * 2001-09-28 2003-04-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EP1481935A4 (en) * 2002-03-01 2010-09-0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JP4229633B2 (ja) * 2002-04-26 2009-02-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2004001919A (ja) * 2002-05-30 2004-01-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46561A (ja) * 2002-09-18 2003-05-21 Toshiba Elevator Co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113760B2 (ja) * 2002-11-01 200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4046009A1 (ja) * 2002-11-18 2004-06-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401069B2 (ja) * 2002-12-06 2010-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KR100728419B1 (ko) * 2003-01-23 2007-06-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0389056C (zh) * 2003-03-06 2008-05-21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
FI116617B (fi) * 2003-08-12 2006-01-13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JPWO2005056455A1 (ja) * 2003-12-09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331424B2 (en) * 2004-06-07 2008-02-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WO2006006228A1 (ja) * 2004-07-12 2006-0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036487A (ja) * 2004-07-28 2006-02-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4833225B2 (ja) * 2004-12-29 2011-12-0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1つの昇降路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補償
EP2019072A1 (en) * 2006-04-19 2009-0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JPWO2007129385A1 (ja) * 2006-05-01 2009-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661513B2 (en) * 2006-12-14 2010-02-16 Inventio Ag Dual-car elevator system with common counterwe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55B1 (ko) * 2017-08-09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29385A1 (ja) 2009-09-17
US7918319B2 (en) 2011-04-05
US20110108366A1 (en) 2011-05-12
EP2014597A1 (en) 2009-01-14
US20090301818A1 (en) 2009-12-10
CN101166686A (zh) 2008-04-23
KR100961038B1 (ko) 2010-06-01
CN101166686B (zh) 2010-09-08
WO2007129385A1 (ja) 2007-11-15
EP2014597A8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0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052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071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562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38964B2 (ja) エレベーター
JP42921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675548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578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7184B1 (en) Elevator
KR20080095841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07666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6434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889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060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52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6873713A (zh) 无机房复合型曳引机座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65322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36044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70105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