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34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349A
KR20070064349A KR1020077009325A KR20077009325A KR20070064349A KR 20070064349 A KR20070064349 A KR 20070064349A KR 1020077009325 A KR1020077009325 A KR 1020077009325A KR 20077009325 A KR20077009325 A KR 20077009325A KR 20070064349 A KR20070064349 A KR 2007006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main rope
counterweight
pulley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079B1 (ko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0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가 접속되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를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상부에 구동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양측의 하부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의 구동 쉬브(sheave)에 감겨진 메인 로프 그룹은, 제 1 로프 접속부에 접속된 제 1 메인 로프와, 제 2 로프 접속부에 접속된 제 2 로프를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WO03/074409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 내에서 메인 로프의 교환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 틀에 설치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틀에는 압축 하중이 작용하고, 엘리베이터 칸 틀의 하부 틀과 세로 틀과의 사이에 경사 부재 등의 보강재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로프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를 가지고,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균형추 매닮부를 가지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균형추 매닮부에 접속된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리턴 풀리, 및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를 균형추 매닮부에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 장치와 리턴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 장치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동 장치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반전(反轉) 풀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6)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前面)(6a), 전면(6a)에 대향하는 배면(6b),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6c, 6d)을 가지고 있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2 측면(6d)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제 1 측면(6c)에 대향하고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제 2 측면(6d)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오프셋 되어 있다. 즉,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의 중심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의 중심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 C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은, 그것들의 수평 단면의 중심선이 엘리베이터 칸(6)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은, 그것들의 수평면의 중심선이 엘리베이터 칸(6)의 깊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4, 5)의 상부에는, 지지틀(도시하지 않음)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틀에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13)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구동 장치 본체(14)와, 구동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5)를 가지고 있다. 구동 장치(13)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卷上機)가 이용되고 있다.
또, 구동 장치(13)는, 구동 쉬브(15)의 회전축이 연직(대략 연직도 포함한다)이 되도록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13)는, 구동 쉬브(15)가 구동 장치 본체(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또한, 구동 쉬브(15)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장치(13) 전체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는, 복수 개의 제 1 메인 로프(16)와, 복수 개의 제 2 메인 로프(17)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6)가 접속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와, 제 2 메인 로프(17)가 접속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엘리베이 터 칸(6)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가 접속되는 균형추 매닮부(7a)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 매닮부(7a)는, 균형추(7)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프(16)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에 접속된 제 1 엘리베이터 칸 단부(端部)와, 균형추 매닮부(7a)에 접속된 제 1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 2 메인 로프(17)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에 접속된 제 2 엘리베이터 칸 단부와, 균형추 매닮부(7a)에 접속된 제 2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제 1 메인 로프(16)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로 유도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제 2 메인 로프(17)를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f)로 유도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6, 17)를 균형추 매닮부(7a)로 유도하는 제 1 및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20, 21), 및 구동 쉬브(15)로부터의 제 1 메인 로프(16)를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로 유도하는 반전(反轉) 풀리(2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균형추 리턴 풀리(20, 21)는, 그것들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반전 풀리(22)는, 그 회전축이 연직 또는 대략 연직이 되도록 지지틀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와 반전 풀리(22)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와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과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는,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e, 6f)가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16, 17)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15),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19), 및 반전 풀리(22)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1:1 로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을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구동 장치(13)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 내에 구동 장치(13)를 배치하여도, 저진동·저소음으로 정숙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엘리베이터 칸(6)을 그 무게 중심에서 안정하게 매달 수 있고, 편하중에 의한 반력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3)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구동 장치(13)와 리턴 풀리(18 ~ 21)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최상층 바닥면으로부터 승강로(1)의 꼭대기부까지의 치수인 오버헤드 치수 H0(도 2)를 최소로 하려면, 구동 장치(13)의 두께 치수나 리턴 풀리(18 ~ 21)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은 물론, 구동 장치(13)와 리턴 풀리(18 ~ 21)와의 위치 관계도 중요하게 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5)를 구동 장치 본체(14)의 상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구동 쉬브(15)의 상단면과 리턴 풀리(18 ~ 21)의 상단을 같은 높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오버헤드 치수 H0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구동 장치(13)와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4의 구동 장치(13)와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 및 반전 풀리(22)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의 피치 지름(리턴 풀리(19)에 감겨진 메인 로프(17)의 지름)의 정점 T0와, 구동 쉬브(15)의 홈 중 제 2 메인 로프(17)가 감겨지는 모든 홈의 중심 C1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13)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5)에 대한 제 2 메인 로프(17)의 플릿 앵글(fleet angle)(구동 쉬브(15)의 홈을 포함한 면에 대한 메인 로프(17)의 진입 각도)를 최 소로 할 수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17)를 2개 이용하는 경우, 플릿 앵글을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8)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19)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 풀리(22)로부터 구동 쉬브(15)로 진입하는 제 1 메인 로프(16)의 플릿 앵글을 최소로 하도록, 반전 풀리(22)의 회전축이 연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플릿 앵글을 최소화함으로써, 메인 로프(16, 17)나 구동 쉬브(15)의 마모를 억제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 하는 경우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균형추(7)를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구동 쉬브(1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3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31)가 접속되는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무게 중심과 대략 겹쳐져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31)를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32)와, 메인 로프(31)를 균형추 매닮부(7a)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33)가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13)는, 배면(6b) 및 제 1 측면(6c)에 의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칸(6)의 코너부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로프(31)를 2개의 경로로 나누지 않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6g)가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31)의 교환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15)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32)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6)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1:1 로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을 매달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구동 장치(13)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로(1) 내에 구동 장치(13)를 배치하여도, 저진동·저소음으로 정숙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6)과 같은 높이에 위치 하는 경우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3)는, 전면(6a) 및 제 1 측면(6c)에 의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칸(6)의 코너부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균형추(7)를 엘리베이터 칸(6)의 뒤쪽에 배치하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4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3개소 이상으로도 좋다. 즉, 제 3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나 제 4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메인 로프는, 통상의 원형 단면의 로프로도, 벨트 모양의 로프로도 좋다.
또한, 균형추를 복수로 분할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한,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모든 구동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를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하고,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로 내의 상부에 구동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도록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장치,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균형추 매닮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균형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단부(端部)와, 상기 균형추 매닮부에 접속된 균형추 단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를 상기 균형추 매닮부로 유도하는 균형추 리턴 풀리
    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쉬브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무게 중심에 대해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제 1의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제 1 메인 로프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에 접속된 제 2 메인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와, 상기 제 2 메인 로프를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매닮부로 유도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를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로 유도하는 반전(反轉) 풀리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는,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의 피치 지름의 정점(頂点)과 상기 제 2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의 모든 홈의 중심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풀리로부터 상기 구동 쉬브에 진입하는 상기 제 1 메인 로프의 플릿 앵글(fleet angle)을 작게 하도록, 상기 반전 풀리의 회전축이 연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의 상단면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리턴 풀리 및 상기 균형추 리턴 풀리의 상단이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09325A 2007-04-24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1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ko) 2007-04-24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ko) 2007-04-24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349A true KR20070064349A (ko) 2007-06-20
KR100911079B1 KR100911079B1 (ko) 2009-08-06

Family

ID=3836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25A KR100911079B1 (ko) 2007-04-24 2005-09-3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67A1 (ko) 2008-12-26 2010-07-01 Shin Hyun Woo 무단변속장치
WO2018097383A1 (ko) 2016-11-23 2018-05-31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무단변속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4791A1 (de) * 1983-07-09 1985-01-17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metallischen substraten
JP4110096B2 (ja) 2002-03-01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67A1 (ko) 2008-12-26 2010-07-01 Shin Hyun Woo 무단변속장치
WO2018097383A1 (ko) 2016-11-23 2018-05-31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무단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079B1 (ko)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2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JP2008156116A (ja) 昇降路内で相互に上下に配置された2台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
EP1961688A1 (en) Elevator device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395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20882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42921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110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318022B2 (ja) エレベーター
WO200512100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18712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7578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7184B1 (en) Elevator
JPWO2019116467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56765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70399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5162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6527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630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70105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