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91A -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91A
KR20080001791A KR1020060060139A KR20060060139A KR20080001791A KR 20080001791 A KR20080001791 A KR 20080001791A KR 1020060060139 A KR1020060060139 A KR 1020060060139A KR 20060060139 A KR20060060139 A KR 20060060139A KR 20080001791 A KR20080001791 A KR 2008000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450B1 (ko
Inventor
윤경섭
김자영
정택규
김미진
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06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연교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타이레시놀, 악티게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과 관련된 항산화, 피부세포증식, 콜라겐합성 및 콜라게나아제 발현저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에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적용시 부작용이 없어 매우 안전하다.
연교추출물, 마타이레시놀, 악티게닌, 주름개선

Description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Skin anti-wrinkle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Forsythiae Fruit extract}
본 발명은 피부 적용시 안전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과 접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태양광선, 건조 외기 및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그렇지 않은 피부보다 주름 등의 노화현상이 조기에 발생한다.
피부조직의 노화에 따른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피부기질(matrix)의 변화로서, 진피층에 있는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줄어들게 된다. 기질의 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며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이 형성된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탄력성의 저하, 혈액순환의 장애, 피부 장벽의 약화 등이 심해지게 된다.
이와 함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세포 손상의 주원인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이들 은 DNA의 손상을 유발하고, 세포막구조를 공격하여 노화반점을 발생시키며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유연하게 탄력을 유지시키는 교원질과 섬유질을 공격하여 주름생성을 가속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환경 또는 내부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화장품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개발에 있어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화학적 합성에 의한 화장품이 피부에 미치는 독성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고, 피부의 각종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까지 갖춘 순수 한방 처방을 이용한 한방 화장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피부 주름개선을 검정하는 항산화, 세포증식, 콜라겐합성 및 콜라게나아제 발현저해의 효과가 있어 피부 주름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교(Forsythia Fruit)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악티게닌(arctigen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마타이레시놀, 악티 게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총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교추출물을 산 또는 효소로 처리하여 피부 주름개선 활성성분의 함량이 증가한 연교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교추출물, 특히 연교에 함유되어 있는 마타이레시놀 및/또는 악티게닌이 안전하면서도 피부 주름개선에 유용하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연교(連翹, Forsythia Fruit)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의 열매이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 때는 2조각으로 갈라진다. 통상적으로 열매가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이러한 연교는 한방에서 소염, 배농 피부질환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제로서 멜라닌합성을 저해하는 효과 및 α-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생성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어 미백화장품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암 치료용 의약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연교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신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교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및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 교추출물이 가지는 피부 주름개선과 관련된 항산화, 피부세포증식, 콜라겐합성 및 콜라게나아제 발현저해 효과를 평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여러 가지 평가 실험결과 연교에서 추출 및 분리된 물질들 중에서 마타이레시놀, 악티게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피부 주름개선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마타이레시놀의 효과가 콜라겐합성 등에 있어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러한 마타이레시놀 및/또는 악티게닌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을 통하여 연교로부터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화학적 합성법을 통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교추출물을 산 또는 효소 글리코시다제로 처리하여 피부 주름개선 활성성분이 다량 함유된 연교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연교추출물에 포함된 배당체들을 산 또는 효소로 처리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한 비배당체인 마타이레시놀 및/또는 악티게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마타이레시놀 및/또는 악티게닌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성분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류, 에센스류, 스킨류, 로션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연교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이 기초제품 화장료 또는 색조제품 화장료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추출 실시예 1 내지 4>
경북 의성에서 재배되고 있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를 영천 약재시장에서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연교로부터 4가지 리그난 화합물의 추출, 분리 및 정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조분쇄한 건조 연교(300 g)에 80% 에탄올수용액(2 L)을 가한 후 열수추출하여 에탄올 조추출물(31.2 g)을 얻었다. 이것을 80% 에탄올수용액(1 L)로 다시 재용해한 후 동량의 n-헥산, 에테르 및 n-부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분획 농축하여 에테르추출물(1.4 g)과 n-부탄올추출물(6.2 g)을 각각 얻었다.
다음, 에테르 분획물은 silica gel 60 (70~230 mesh, Merck, 독일)을 이용하 여 클로르포름-에탄올(5:1, v/v) 혼합용매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4개의 분획(Fr.1, Fr.2, Fr.3, Fr.4)으로 나누었다. 다음, Fr.2를 에탄올에 녹인 후 100% 에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Sephadex LH-20 (Pharmacia, 스웨덴)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200개 분획으로 나누어 용출하였다. 다음, 분리된 모든 분획을 photo-diode array UV-VIS spectrophotometer (S1100, Scinco, Co., 한국)를 사용하여 자외선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흡수스펙트럼이 동일한 분획 중 유용성분이 검출된 분획(분획 51~65, 분획 80~95)에서 미황색의 무정형 악티게닌(17 mg; 추출 실시예 1))과 마타이레시놀(14 mg; 추출 실시예 2)을 각각 얻었다.
다음, n-부탄올 분획물을 클로르포름-에탄올(3:1, v/v) 혼합용매에 녹이고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7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Fr.1, Fr.2, Fr.3, Fr.4, Fr.5, Fr.6, Fr.7). 다음, Fr.2 및 Fr.4를 에탄올로 녹이고 100% 에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Fr.2 및 Fr.4로부터 악틴(actiin, 450 mg; 추출 실시예 3) 및 마타이레시노사이드(matairesinoside, 150 mg; 추출 실시예 4)를 각각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연교추출물의 수득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실시예 리그난화합물 수득량
1 악티게닌 17 mg
2 마타이레시놀 14 mg
3 악틴 450 mg
4 마타이레시노사이드 150 mg
<추출 실시예 5 내지 6>
연교로부터 리그난화합물(악티게닌, 마타이레시놀)의 효소처리에 의한 분리 및 정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건조한 연교 100 g에 80% 에탄올수용액 1 L을 가하여 70~80℃에서 12시간 가열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여 연교 에탄올추출액(300 g)을 얻었다. 이것을 80% 에탄올수용액으로 다시 용해한 후 n-헥산 300 mL을 가하고 분획하여 상층액의 지방과 색소를 제거하고 하층을 농축하여 연교 탈지 에탄올추출액(18 g)을 얻었다. 이것을 다시 90% 에탄올수용액 100 mL로 용해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연교추출물(15 g)을 얻고, 이 중 5 g을 10% 에탄올수용액 100 mL로 용해시켰다. 여기에 효소로서 펙티넥스(Pectinex, Novozymes, 덴마크)를 가하여 50~60℃에서 1시간 교반하면서 가수분해처리 후, 방냉하고 미리 40% 에탄올수용액으로 평형화시켜 놓은 Diaion HP-20 이온수지(Mistubishi Chem. Co., Japan) 칼럼에 충진시킨 후 순차적으로 40%, 60%, 80% 에탄올수용액 및 100% 에탄올로 각각 용출하였다. 이때, 80% 에탄올수용액으로 용출되는 부분을 두 분획으로 나누어 감압농축시켜 정제분말I(0.13 g)과 정제분말II(0.12 g)을 각각 얻었다. 다음 이들 분말을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로 분리하여 마타이레시놀 106.83 mg과 악티게닌 120.2 mg을 각각 얻었다. 다음, 나머지 탈지 연교에탄올추출물 10 g을 위의 과정과 동일하게 2회 반복하여 최종 마타이레시놀(320.5 mg; 추출 실시예 5)과 악티게닌(360.6 mg; 추출 실시예 6)을 각각 얻었다. 각 실시예에 따른 연교추출물의 수득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추출 실시예 리그난화합물 수득량
5 악티게닌 320.5 mg
6 마타이레시놀 360.6 mg
상기 표 1 및 2의 결과로부터, 리그난화합물의 추출과정에 있어 효소 처리를 함으로써 활성형 피토에스트로겐인 비배당체가 매우 높은 농도로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항산화효과시험>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연교 추출물 시료들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 검정시험으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소거시험과 활성산소소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소거시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을 이용하였다. 0.2 mM DPPH 용액 1 mL에 상기 추출 실시예 3 내지 6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추출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IC50은 자유라디칼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활성산소소거실험은 Noro 등(Chen. Pharm. Bull., 31, 3984~3987, 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BT, nitroblue tetrazolim)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mL, 잔틴 0.1 mL,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0.1 mL, BSA (bovine serum albumin)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잔틴옥시다제 0.1 mL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광파장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옥시다제 용액 대신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 시료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IC50은 활성산소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하기 표 3은 상기 실시예 3 내지 6의 연교 추출 시료와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인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과 비타민인 아스코빅산(L-ascorbic acid)과 토코페롤(dl-α-tocopherol)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1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2
시료 자유라디칼소거능, IC50 (ug/ml) 활성산소소거능, IC50 (mg/ml)
악틴 60.06 4362
마타이레시노사이드 40.25 2956
악티게닌 5.75 1634
마타이레시놀 4.50 542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 134.15 > 5000
아스코빅애씨드 2.90 -
토코페롤 18.30 (0.018 IU) 223 (0.22 IU)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 실시예 3 내지 6은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에 비해 2-200배 정도의 월등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활성형 피토에스트로겐 비배당체인 마타이레시놀과 악티게닌은 배당체인 악틴과 마타이레시노사이드에 비하여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주름생성을 가속화할 수 있는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능을 가졌으므로 연교추출물들은 피부의 주름증가를 지연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항산화 효과만으로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후술하는 평가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2. 섬유아세포 증식효과시험>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연교 추출 시료들에 대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에 대한 증식 정도를 시험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Detroit 551, KCLB 10110)는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104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시료를 농도별로 혈청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일간 배양 후 세포용 염료(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염색결정체를 DMSO(dimethy sulfoxide)로 녹여내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3
추출실시예 세포증식효과
1 ug/mL 10 ug/mL 100 ug/mL
악틴 100.1~102.9 102.1~102.9 102.8~105.4
마타이레시노사이드 100.1~103.1 101.5~103.4 103.2~104.7
악티게닌 101.1~103.6 101.6~104.3 122.1~132.0
마타이레시놀 102.0~107.1 98.9~101.9 114.3~131.1
올레아놀릭애씨드 97.5~114.4 100.4~120.1 93.7~101.7
레티닐팔미테이트 99.1~105.1 97.3~101.4 100.2~107.6
상기 표 4에 나타낸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교 추출 시료들은 화장품에서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올레아놀릭애씨드(oleanolic acid) 또는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배당체인 추출 실시예 5 및 6의 악티게닌과 마타이레시놀이 가진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효과가 배당체인 실시예 3 및 4의 악틴과 마타이레시노사이드에 비해 양호하였다. 또한 악티게닌과 마타이레시놀의 세포증식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섬유아세포의 우수한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종 화장료에 적용시 연교추출에서의 비배당체 농도가 어느 정도 기준 이상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실험예 3. 콜라겐합성효과 시험>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연교 추출 시료들에 대하여 피부 주름개선의 효과를 검정하는 콜라겐합성능을 섬유아세포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예 2와 동일한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24-well micro plate)에 1×105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추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수득한 연교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 Jeil Biotechservices)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합성량은 효소면역측정법(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배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용액(5% skin milk)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 항체(rabbit anti-collagen type I)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씩 가하여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rabbit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씩 첨가하여 37℃에서 90분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 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을 100 ul씩 넣고 실온에서 발색시킨 후, ELISA reader (EL800, Bio-Tek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콜라겐합성효과로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때 연교추출물의 콜라겐합성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아스코빅애씨드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기 표 5에 상기 추출 실시예 3 내지 6으로 수득된 연교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사용한 실험 결과 및 상기 비교군에 대해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4
실험물질(ug/ml) 콜라겐 합성효과(%)
악틴 0 1 10 50 100 100.0 102.1 102.6 104.7 104.9
마타이레시노사이드 0 1 10 50 100 100.0 102.3 104.1 105.6 106.4
악티게닌 0 1 10 50 100 100.0 109.0 106.6 114.4 113.6
마타이레시놀 0 1 10 50 100 100.0 98.5 103.6 115.1 133.8
아스코빅애씨드 0 1 10 50 100 100.0 99.2 102.7 107.2 113.5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배당체인 악티게닌은 콜라겐합성효과가 우수한 물질로 알려진 아스코빅애씨드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마타이레시놀 다른 연교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며, 비교군에 비해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콜라게나아제(MMP-1) 발현 저해효과 시험>
본 발명의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라 수득된 연교추출물의 UV-A 조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콜라게나아제(MMP-1)의 발현 저해효과를 실험예 3에서 사용한 ELISA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2와 동일한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1×105세포/웰)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자외선 챔버를 이용하여 배양한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UV-A를 조사한 후 시료가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여 48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회수하여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코팅하였다. 블로킹용액을 1시간 동안 처리하여 콜라게나아제가 결합되지 않은 부위를 블로킹하였다. 이차 항체를 다시 9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일차 항체를 처리하여 37℃에서 90분 반응시킨 다음, 기질용액을 100 ul 첨가하여 발색시켰다. 추출 실시예 6에서 수득한 연교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때 연교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올레아놀릭애씨드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5
실험물질(ug/mL)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효과(%)
마타이레시놀 0 1 10 100 83.8 64.2
올레아놀릭애씨드 0 1 10 100 76.1 69.3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 실시예 6은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물질로 잘 알려진 올레아놀릭애씨드와 유사한 정도로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 실시예 1 및 그 비교예 1>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포함한 영양스킨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05 0.05
3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05 0.05
4 부틸렌글라이콜 3.0 3.0
5 글리세린 2.0 2.0
6 피이지-1500 0.5 0.5
7 에탄올 4.0 4.0
8 폴리소르베이트 80 0.2 0.2
9 트리에탄올아민 0.05 0.05
10 방부제 미량 미량
11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 0.2
상기 표 7의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분취된 성분 4에 용해시킨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1에 대한 그 비교예 1은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제형 실시예 2 및 그 비교예 2>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영양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2 제형 비교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7 0.7
3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4.0 4.0
7 마카데이나넛오일 3.0 3.0
8 부틸렌글라이콜 4.0 4.0
9 글리세린 4.0 4.0
10 카보머 0.15 0.15
11 산탄검 0.03 0.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14 아르기닌 0.15 0.15
15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 0.5
상기 표 8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4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분취된 성분 8에 용해시킨 성분 15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2에 대한 그 비교예 2는 성분 15인 추출 실시예 5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제형 실시예 3 및 그 비교예 3>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영양에센스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9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3 제형 비교예 3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2 0.2
3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 0.1
4 부틸렌글라이콜 8.0 8.0
5 글리세린 6.0 6.0
6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50 15.0
7 에탄올 4.0 4.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1 0.1
9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0 방부제 미량 미량
11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 5.0 -
상기 표 9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5 및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분취된 성분 4에 용해시킨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3에 대한 그 비교예 3은 성분 11인 추출 실시예5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제형 실시예 4 및 그 비교예 4>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10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4 제형 비교예 4
1 세테아릴알코올 1.5 1.5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8.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1.0 1.0
9 부틸렌글라이콜 5.0 5.0
10 그릴세린 4.0 4.0
1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2 0.2
12 산탄검 0.05 0.05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15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 1.0
한편, 상기 표10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8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3을 성분 14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분취된 성분 9에 용해시킨 성분 15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4에 대한 그 비교예 4는 성분 15인 추출 실시예 5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제형 실시예 5 및 그 비교예 5>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팩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11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5 제형 비교예 5
1 정제수 잔량 잔량
2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 글리세린 2.0 2.0
4 폴리비닐알코올 2.0 2.0
5 폴리비닐피롤리돈 10.0 10.0
6 셀룰로오스검 0.3 0.3
7 마이카 2.0 2.0
8 카올린 2.0 2.0
9 에탄올 5.0 5.0
1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3 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 2.0 -
상기 표 11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첨가한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여 교반 분산시키면서 70℃로 가열한다. 다음 성분 7 내지 8을 가하여 충분히 분산시키고 56℃의 온도로 냉각한다. 성분 10 내지 11을 성분 9에 용해시킨 물질과 분취된 성분 2에 용해시킨 성분 12를 차례로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5에 대한 그 비교예 5는 성분 12인 추출 실시예5에 따른 연교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실험예 5. 피부의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 관능시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 실시예 4와 제형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형 실시예 4와 제형 비교예 4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각각 도포했을 때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세 이상의 여성 20명에게 안면 왼쪽 부분에는 제형 실시예 4의 영양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제형 비교예 4의 영양크림(대조군)을 1일 1회 12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관능시험에서 피부의 주름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제형 비교예 4의 영양크림을 기준으로 제형 실시예 4의 영양크림이 나타내는 주름개선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2에서 피부자극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번호 피부자극 주름개선효과
제형 실시예 4 제형 비교예 4
1 4 5 5
2 5 5 5
3 5 4 5
4 3 4 4
5 4 4 5
6 5 5 5
7 4 4 4
8 4 4 4
9 5 5 5
10 4 4 4
11 5 5 5
12 5 5 5
13 3 4 4
14 4 4 4
15 5 4 4
16 4 4 4
17 5 5 5
18 5 5 5
19 5 5 5
20 4 4 4
평균 4.40 4.45 4.55
하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40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제형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형 비교예 4 대비 제형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인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는 평가점수 4.55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피부의 안전성 실험>
상기 추출 실시예 6에 따른 연교추출물과 제형 실시예 4에 대한 피부 안전성, 즉 피부반응의 관찰을 통해서 자극 혹은 알레르기성 반응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로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선정하였고, 첩포시험은 대상자 상박 내측에 첩포를 부착하였으며 48시간이 지난 후 첩포를 제거하였다. 약 60분간 안정을 취하도록 한 후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첩포 부착 후 96시간이 경과한 후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판정기준은 하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반응 가중치 판정의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수포
첩포 부착 후 48시간과 96시간에 판독한 결과를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시료에 대한 피부 반응도를 산출하였다.
Figure 112006046970983-PAT00006
첩포시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계산된 양성 반응을 보인 시료의 피부 자극도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시료 48시간 96시간 반응도(%)
+ ++ + ++ 48시간 96시간 평균
추출 실시예 6 (2% in 1,3-부틸렌글리콜) - - 1 - 0.00 0.56 0.28
제형 실시예 4 - - 2 - 0.00 1.11 0.56
상기 표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 실시예 6과 제형 실시예 4는 인체첩포시험에서 하기 표 15에 따른 피부 반응도 판정 기준에 의하면 무자극으로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추출 실시예들에 따른 연교추출물은 천연물로서 피부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성분으로 나타났다.
피부의 평균 반응도 판정 기준
0.0 ~ 0.9 무자극
1.0 ~ 2.9 경자극
3.0 ~ 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타이레시놀 및/또는 악티게닌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로서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의 주름개선과 관련한 항산화효과, 세포증식효과, 콜라겐합성효과 및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연교(Forsythia Fruit)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악티게닌(arctigen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타이레시놀, 악티게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에센스류, 스킨류, 로션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60139A 2006-06-30 2006-06-30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39A KR100825450B1 (ko) 2006-06-30 2006-06-30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39A KR100825450B1 (ko) 2006-06-30 2006-06-30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91A true KR20080001791A (ko) 2008-01-04
KR100825450B1 KR100825450B1 (ko) 2008-04-28

Family

ID=3921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139A KR100825450B1 (ko) 2006-06-30 2006-06-30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61B1 (ko) * 2007-07-13 2009-06-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0520233A (ja) * 2007-02-28 2010-06-10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1283753B1 (ko) * 2011-06-28 2013-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415222B1 (ko) * 2012-12-13 2014-07-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4034B1 (ko) * 2012-09-28 2014-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홀시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902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79338A (ko) * 2017-12-27 2019-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995724A (zh) * 2020-07-28 2022-02-01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连翘苷元固体分散体的片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73B1 (ko) * 2008-06-24 2011-04-0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642660B1 (ko) 2015-06-11 2016-07-25 (주)셀트리온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285B1 (ko)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 2018-11-15 2019-04-16 주식회사 엠디글로벌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573A (ko) * 1998-12-30 2000-07-25 유상옥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100658002B1 (ko) * 2005-03-25 2006-12-14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0233A (ja) * 2007-02-28 2010-06-10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0901661B1 (ko) * 2007-07-13 2009-06-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83753B1 (ko) * 2011-06-28 2013-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434034B1 (ko) * 2012-09-28 2014-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홀시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5222B1 (ko) * 2012-12-13 2014-07-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57902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79338A (ko) * 2017-12-27 2019-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995724A (zh) * 2020-07-28 2022-02-01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连翘苷元固体分散体的片剂
CN113995724B (zh) * 2020-07-28 2024-05-28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连翘苷元固体分散体的片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450B1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521768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081138A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12118B1 (ko)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9471B1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670237B1 (ko) 홍화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58496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81289A (ko) 아이소리퀴리티게닌 함량이 증가된 감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10825B1 (ko) 굴거리나무 잎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