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538A -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538A
KR20070120538A KR1020077023827A KR20077023827A KR20070120538A KR 20070120538 A KR20070120538 A KR 20070120538A KR 1020077023827 A KR1020077023827 A KR 1020077023827A KR 20077023827 A KR20077023827 A KR 20077023827A KR 20070120538 A KR20070120538 A KR 2007012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carbon atoms
unsubstitu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114B1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와무라
노부히로 야부노우치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20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 C07C15/27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15/28Anthrac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8Naphthylamines; N-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6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with at least one of the condensed ring systems formed by three or more 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5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including organic TFTs [O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4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 C07C2603/4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rings
    • C07C2603/44Naphthacenes; Hydrogenated naphthac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적어도 1개의 터페닐 구조를 갖는 특정 구조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음극과 양극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박막층이 협지되어 있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상기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이고, 고발광 효율이고 장수명인 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이것을 실현하는 신규한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AROMATIC TRIAMI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공 주입성이 우수하고 고발광 효율이며, 장수명인 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그것을 실현하는 신규한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기발광(EL) 소자는,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의 재결합 에너지에 의해 형광성 물질이 발광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발광 소자이다. 이스트만 코닥사의 탕(C.W. Tang) 등에 의해 적층형 소자에 의한 저전압 구동 유기 EL 소자의 보고(C.W. Tang, S.A. Vanslyke, Applied Physics Letters, 51권, 913페이지, 1987년 등)가 되어진 이래, 유기 재료를 구성 재료로 하는 유기 EL 소자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탕 등은,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올알루미늄)을 발광층에 이용하고, 트라이페닐다이아민 유도체를 정공 수송층에 이용하고 있다. 적층 구조의 이점으로서는, 발광층으로의 정공의 주입 효율을 높이는 것,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블로킹하여 재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여기자의 생성 효율을 높이는 것, 발광층내에서 생성된 여기자를 가두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조로서는 정공 수송(주입)층 및 전자 수송 발광층의 2층형, 또는 정공 수송(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주입)층의 3층형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적층형 구조 소자에서는 주입된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자 구조, 형성 방법, 구성 성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유기 EL 소자에 사용되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향족 다이아민 유도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향족 축합환 다이아민 유도체가 알려져 있고, 이들을 개량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3에는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트라이아민 화합물, 특허문헌 4에는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특허문헌 5에는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터페닐렌다이아민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1
(화학식(A)에 있어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 또는 비치 환된 바이페닐렌기를 Ar1, Ar2, Ar3, Ar4, A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화학식(B)에 있어서, 식 중 Ar1, Ar2, Ar3, Ar4 및 A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바이페닐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젠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C)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 또는 2, R3은 수소원자, 메톡시기, p 위치가 메틸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페닐기이다.)
그러나, 이들의 화합물을 정공 주입·수송층에 이용한 소자는, 수명, 구동 전압, 발광 효율이 충분하지 않아, 한층 더 저전압 구동, 고발광 효율, 장수명인 유기 EL 소자가 요구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4,720,432호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제5,061,569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565870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제3220867호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제3398548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정공 주입성이 우수하고 고발광 효율이며, 장수명인 유기 EL 소자 및 그것을 실현하는 신규한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적어도 1개의 터페닐 구조를 갖는 특정 구조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2
(식 중, Ar1 내지 A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벤젠환을 1개 이상 갖는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연결기 이며, L1 및 L2의 적어도 한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터페닐렌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극과 양극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박막층이 협지되어 있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상기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정공 주입성이 우수하고 고발광 효율이며, 장수명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3
화학식 1에 있어서, Ar1 내지 A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바람직하게는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상기 Ar1 내지 Ar5의 아릴기로서는, 예컨대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 기, 1-안트라센일기, 2-안트라센일기, 9-안트라센일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플루오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나프틸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난트릴기, 피렌일기, 크라이센일기, 플루오렌일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나프틸기이다.
또한, 상기 아릴기의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8이며, 예컨대 메틸, 에틸, iso-프로필, tert-뷰틸, n-옥틸, n-데실, n-헥사데실,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바람직하게는 핵탄소수 6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핵탄소수 6 내지 20이며, 예컨대 페닐기, 나프틸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난트릴기, 피렌일기, 크라이센일기, 플루오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켄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이며, 예컨대 바이닐, 알릴, 2-뷰텐일, 3-펜텐일 등을 들 수 있다.), 알킨일기(바람직하게는 탄 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이며, 예컨대 프로파질, 3-펜틴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6이며, 예컨대 아미노, 메틸아미노, 다이메틸아미노, 다이에틸아미노, 다이페닐아미노, 다이벤질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8이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뷰톡시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이며, 예컨대 페닐옥시, 2-나프틸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아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아세틸, 벤조일, 폼일, 피발로일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이며, 예컨대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0이며, 예컨대 페닐옥시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이며, 예컨대 아세톡시, 벤조일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이며, 예컨대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이며, 예컨대 메톡시카보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2이며, 예컨대 페닐옥시카보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일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메테인설폰일아미노, 벤젠설폰일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설팜오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 내지 12이며, 예컨대 설팜오일, 메틸설팜오일, 다이메틸설팜오일, 페닐설팜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카밤오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카밤오일, 메틸카밤오일, 다이에틸카밤오일, 페닐카밤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싸이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메틸싸이오, 에틸싸이오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싸이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이며, 예컨대 페닐싸이오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메실, 토실 등을 들 수 있다.), 설핀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 며, 예컨대 메테인설핀일, 벤젠설핀일 등을 들 수 있다.), 유레이도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유레이도, 메틸유레이도, 페닐유레이도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아마이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예컨대 다이에틸인산아마이드, 페닐인산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기, 머캅토기, 할로젠원자(예컨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사이아노기, 설포기, 카복실기, 나이트로기, 하이드록삼산기, 설피노기, 하이드라지노기, 이미노기, 헤테로환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이며, 헤테로원자로서는,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를 포함하는 것이고, 예컨대 이미다졸릴, 피리딜, 퀴놀릴, 퓨릴, 싸이엔일, 피페리딜, 모폴리노, 벤조옥사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조싸이아졸릴, 카바졸릴 등을 들 수 있다.), 실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24이며, 예컨대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등을 들 수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벤젠환을 1개 이상 갖는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연결기이고, L1 및 L2의 적어도 한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터페닐렌기이다.
L1 및 L2의 연결기의 예로서는, 상기 Ar1 내지 Ar5의 아릴기와 마찬가지의 예를 2가의 기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고,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4
화학식 2에 있어서, L3은 헤테로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5 내지 30의 헤테로아릴렌기이다.
상기 L3의 헤테로원자로서는, 예컨대 산소원자, 황원자, 질소원자, 규소원자 등을 들 수 있고, 산소원자, 황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L3의 알킬렌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메틸렌기, 다이메틸메틸렌기, 다이페닐메틸렌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L3의 사이클로알킬렌기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렌기, 사이클로뷰틸렌기,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고, 1,1-사이클로헥실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L3의 아릴렌기로서는, 예컨대 페닐렌기, 바이페닐렌기, 터페닐렌기, 쿼 터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안트라세닐렌기, 페난트릴렌기, 크리세닐렌기, 피레닐렌기, 플루오렌일렌기, 2,6-다이페닐나프탈렌-4',4"-엔기, 2-페닐나프탈렌-2,4'-엔기 등을 들 수 있고, 페닐렌기, 바이페닐렌기, 터페닐렌기, 플루오렌일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L3의 헤테로아릴렌기로서는, 예컨대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피롤, 퓨란, 싸이오펜, 벤조싸이오펜, 옥사다이아졸린, 인돌린, 카바졸, 피리딘, 퀴놀린, 아이소퀴놀린, 벤조퀴논, 피랄로딘, 이미다졸리딘, 피페리딘 등의 2가의 잔기를 들 수 있고, 피리딜렌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2에 있어서,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상기 R31 및 R32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s-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뷰틸기, n-펜틸기, n-헥실기, 하이드록시메틸기, 1-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아이소뷰틸기, 1,2-다이하이드록시에틸기, 1,3-다이하이드록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하이드록시-t-뷰틸기, 1,2,3-트라이하이드록시프로필기, 클로로메틸기, 1-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클로로에틸기, 1,3-다이클로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클로로-t-뷰틸기, 1,2,3-트라이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1-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아이소뷰틸기, 1,2-다이브로모 에틸기, 1,3-다이브로모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브로모-t-뷰틸기, 1,2,3-트라이브로모프로필기, 아이오도메틸기, 1-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이오도에틸기, 1,3-다이아이오도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이오도-t-뷰틸기, 1,2,3-트라이아이오도프로필기, 아미노메틸기, 1-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미노에틸기, 1,3-다이아미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미노-t-뷰틸기, 1,2,3-트라이아미노프로필기, 사이아노메틸기, 1-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사이아노에틸기, 1,3-다이사이아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사이아노-t-뷰틸기, 1,2,3-트라이사이아노프로필기, 나이트로메틸기, 1-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나이트로에틸기, 1,3-다이나이트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나이트로-t-뷰틸기, 1,2,3-트라이나이트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31 및 R32의 사이클로알킬기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렌기, 사이클로뷰틸렌기,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31 및 R32의 아릴기의 예로서는, 상기 화학식 1의 Ar1 내지 Ar5의 아릴기와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R31 및 R32는 각각 복수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 복수의 R31끼리, R32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환의 예로서는, 사이클로뷰테인, 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헥세인, 아다 만테인, 노보네인 등의 탄소수 4 내지 12의 사이클로알케인, 사이클로뷰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탄소수 4 내지 12의 사이클로알켄, 사이클로헥사다이엔, 사이클로헵타다이엔, 사이클로옥타다이엔 등의 탄소수 6 내지 12의 사이클로알카다이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피렌, 크라이센, 아세나프틸렌 등의 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환, 이미다졸, 피롤, 퓨란, 싸이오펜, 피리딘 등의 탄소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L3, R31 및 R32가 나타내는 각 기의 치환기로서는, 상기 화학식 1의 Ar1 내지 Ar5의 아릴기의 치환기와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L1 및/또는 L2의 연결기는, 더욱이 하기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터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5
(식 중, R1 내지 R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R1 내지 R30은 각각 복수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 복수의 R1 내지 R30끼리가 각각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1 내지 R30 중 인접하는 것이,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R1 내지 R30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화학식 2의 상기 R31 및 R32에서 든 것과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고, 치환기도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내지 R30이 형성할 수도 있는 환의 예도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터페닐렌기 중에서도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터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내지 R3은 상기와 같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6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7
Figure 112007074268301-PCT00008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0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1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2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3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4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용 재료이면 바람직하고, 특히 유기 EL 소자용 정공 수송 재료, 유기 EL 소자용 정공 주입 재료에 적합하다. 또한, 전자 사진 감광체나 유기 반도체의 전하 수송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음극과 양극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박막층이 협지되어 있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은, 특히 청색계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에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유기 EL 소자의 구성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대표적인 소자 구성으로서는,
(1) 양극/발광층/음극
(2)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음극
(3) 양극/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4)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5) 양극/유기 반도체층/발광층/음극
(6) 양극/유기 반도체층/전자 장벽층/발광층/음극
(7) 양극/유기 반도체층/발광층/부착 개선층/음극
(8)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9) 양극/절연층/발광층/절연층/음극
(10) 양극/무기 반도체층/절연층/발광층/절연층/음극
(11) 양극/유기 반도체층/절연층/발광층/절연층/음극
(12) 양극/절연층/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절연층/음극
(13) 양극/절연층/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통상 (4), (8)의 구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 등의 유기 박막층에 사용하여도 좋으나, 정공 수송 대역 및/또는 정공 주입 대역에 함유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정공 수송층 및/또는 정공 주입층에 함유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고, 함유량은 통상 30 내지 100몰%로부터 선택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2) 투광성 기판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투광성의 기판 상에 제작한다. 여기서 말하는 투광성 기판은 유기 EL 소자를 지지하는 기판이며, 400 내지 700㎚의 가시 영역의 광의 투과율이 50% 이상인 평활한 기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유리판, 폴리머판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으로서는, 특히 소다석회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납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 붕규산 유리, 석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머판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터설파이드, 폴리설폰 등을 들 수 있다.
(3) 양극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양극은, 정공을 정공 수송층 또는 발광층에 주입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4.5eV 이상의 일함수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극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산화인듐주석 합금(ITO), 산화인듐아연합금(IZO), 산화주석(NESA), 금, 은, 백금, 구리, 란타노이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합금과 적층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양극은, 이들 전극 물질을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의 방법으로 박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을 양극으로부터 취출하는 경우, 양극의 발광에 대한 투과율이 1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의 시트 저항은, 수백 Ω/□ 이하가 바람직하다. 양극의 막 두께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0㎚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4) 발광층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은 이하 (1) 내지 (3)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1) 주입 기능; 전계 인가시에 양극 또는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을 주입할 수 있고, 음극 또는 전자 주입층으로부터 전자를 주입할 수 있는 기능,
(2) 수송 기능; 주입한 전하(전자와 정공)를 전계의 힘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3) 발광 기능;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의 장소를 제공하여, 이것을 발광으로 이끄는 기능.
단, 정공의 주입 용이성 및 전자의 주입 용이성이 다를 수도 있고, 또한 정공과 전자의 이동도로 표시되는 수송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어느 한쪽의 전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광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증착법, 스핀 코팅법, LB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발광층은, 특히 분자 퇴적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자 퇴적막이란 기상 상태의 재료 화합물로부터 침착되어 형성된 박막이나, 용액 상태 또는 액상 상태의 재료 화합물로부터 고체화되어 형성된 막인 것이며, 통상 이 분자 퇴적막은 LB법에 의해 형성된 박막(분자 누적막)과는 응집 구조, 고차 구조의 차이나, 이에 기인하는 기능적인 차이에 의해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82-517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결착제와 재료 화합물을 용제에 녹여 용액으로 한 후, 이것을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도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유도체를 발광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다른 공지된 발광 재료를 함유시킬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로 이루어진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에 다른 공지된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과 함께 발광층에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 재료 또는 도핑 재료로서는, 예컨대 안트라센, 나프탈렌, 페난트렌, 피렌, 테트라센, 코로넨, 크라이센, 플루오레세인, 페릴렌, 프탈로페릴렌, 나프탈로페릴렌, 페리논, 프탈로페리논, 나프탈로페리논, 다이페닐뷰타다이엔, 테트라페닐뷰타다이엔, 쿠마린, 옥사다이아졸, 알드아진, 비스벤족사졸린, 비스스타이릴, 피라진, 사이클로펜타다이엔, 퀴놀린 금속 착체, 아미노퀴놀린 금속 착체, 벤조퀴놀린 금속 착체, 이민, 다이페닐에틸렌, 바이닐안트라센, 다이아미노카바졸, 피란, 싸이오피 란, 폴리메틴, 멜로사이아닌, 이미다졸 킬레이트화 옥시노이드 화합물, 퀴나크리돈, 루브렌 및 형광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과 함께 발광층에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 재료로서는, 하기 (i) 내지 (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비대칭 안트라센 화합물.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5
(식 중,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50의 축합 방향족기이다.
A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기이다.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방향족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하이드록실기이다.
a, b 및 c는 각각 0 내지 4의 정수이다.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n이 2 이상인 경우는, [ ]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비대칭 모노안트라센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6
(식 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환기이며, m 및 n은 각각 1 내지 4의 정수이다. 단, m=n=1이고 또한 Ar1과 Ar2의 벤젠환에 대한 결합 위치가 좌우 대칭형인 경우에는, Ar1과 Ar2는 동일하지 않고, m 또는 n이 2 내지 4의 정수인 경우에는 m과 n은 상이한 정수이다.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방향족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하이드록실기이다.)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비대칭 피렌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7
[식 중, Ar 및 A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기이다.
L 및 L'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렌일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이벤조실롤릴렌기이다.
m은 0 내지 2의 정수, n은 1 내지 4의 정수, s는 0 내지 2의 정수, t는 0 내지 4의 정수이다.
또한, L 또는 Ar은 피렌의 1 내지 5 위치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L' 또는 Ar'는 피렌의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한다.
단, n+t가 짝수일 때, Ar, Ar', L, L'는 하기 (1) 또는 (2)를 만족한다.
(1) Ar≠Ar' 및/또는 L≠L'(여기서, ≠는 다른 구조의 기임을 나타낸다)
(2) Ar=Ar' 또한 L=L'일 때
(2-1) m≠s 및/또는 n≠t, 또는
(2-2) m=s 또한 n=t일 때,
(2-2-1) L 및 L', 또는 피렌이 각각 Ar 및 Ar' 상의 다른 결합 위치에 결합하고 있으나, (2-2-2) L 및 L', 또는 피렌이 Ar 및 Ar' 상의 같은 결합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경우, L 및 L' 또는 Ar 및 Ar'의 피렌에서의 치환 위치가 1 위치와 6 위치, 또는 2 위치와 7 위치인 경우는 없다.]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비대칭 안트라센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8
(식 중,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방향족환기이다.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환기이다.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방향족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방향족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또는 하이드록실기이다.
Ar1, Ar2, R9 및 R10은 각각 복수이어도 좋고, 인접하는 것끼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식 구조를 형성하여도 좋다.
단, 화학식 1에서, 중심의 안트라센의 9 위치 및 10 위치에, 당해 안트라센 상에 표시되는 X-Y 축에 대하여 대칭형으로 되는 기가 결합하는 경우는 없다.)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19
(v)
(식 중,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 알콕실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알켄일기, 아릴아미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환식 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그들이 2 이상인 경우, R1끼리 또는 R2끼리는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또한 R1끼리 또는 R2끼리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3과 R4, R5와 R6, R7과 R8, R9와 R10이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L1은 단일 결합, -O-, -S-, -N(R)-(R은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이다),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vi)으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0
(식 중, R11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실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환식 기를 나타내고, c, d, e 및 f는 각각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그들이 2 이상인 경우, R11끼리, R12끼리, R16끼리 또는 R17끼리는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또한 R11끼리, R12끼리, R16끼리 또는 R17끼리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13과 R14, R18과 R19가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L2는 단일 결합, -O-, -S-, -N(R)-(R은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이다),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하기 화학식 (vii)로 표시되는 스피로플루오렌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1
(식 중, A5 내지 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이다.)
하기 화학식 (viii)로 표시되는 축합환 함유 화합물.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2
(식 중, A9 내지 A14는 상기와 같고, R21 내지 R2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실기, 탄소수 5 내지 18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옥시기, 탄소수 5 내지 16의 아릴아미노기, 나이트로기, 사이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에스터기 또는 할로젠원자를 나타내고, A9 내지 A14 중 적어도 하나는 3환 이상의 축합 방향족환을 갖는 기이다.)
하기 화학식 (ix)로 표시되는 플루오렌 화합물.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3
(식 중, R1 및 R2는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 치환 아미노기, 사이아노기 또는 할로젠원자를 나타낸다. 다른 플루오렌기에 결합하는 R1끼리, R2끼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같은 플루오렌기에 결합하는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R3 및 R4는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다른 플루오렌기에 결합하는 R3끼리, R4끼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같은 플루오렌기에 결합하는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Ar1 및 Ar2는 벤젠환의 합계가 3개 이상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 방향족기 또는 벤젠환과 헤테로환의 합계가 3개 이상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로 플루오렌기에 결합하는 축합 다환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Ar1 및 A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n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상의 호스트 재료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안트라센 유도체, 더욱 바람직 하게는 모노안트라센 유도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안트라센이다.
또한, 도펀트의 발광 재료로서는, 인광 발광성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광 발광성의 화합물로서는, 호스트 재료에 카바졸환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도펀트로서는 3중항 여기자로부터 발광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3중항 여기자로부터 발광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Ir, Ru, Pd, Pt, Os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르피린 금속 착체 또는 오쏘메탈화 금속 착체가 바람직하다.
카바졸환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발광에 바람직한 호스트는, 그의 여기 상태로부터 인광 발광성 화합물로의 에너지 이동이 일어나는 결과, 인광 발광성 화합물을 발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다.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여기자 에너지를 인광 발광성 화합물에 에너지 이동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카바졸환 이외에 임의의 헤테로환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카바졸 유도체, 트라이아졸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옥사다이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폴리아릴알케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다이아민 유도체, 아릴아민 유도체, 아미노 치환 칼콘 유도체, 스타이릴안트라센 유도체, 플루오렌온 유도체, 하이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실라잔 유도체, 방향족 3급 아민 화합물, 스타이릴아민 화합물, 방향족 다이메틸리덴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안트라퀴노다이메테인 유도체, 안트론 유도체, 다이페닐퀴논유도체, 싸이오피란다이옥사이드 유도체, 카 보다이이미드 유도체, 플루오렌일리덴메테인 유도체, 다이스타이릴피라진 유도체, 나프탈렌페릴렌 등의 헤테로환 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 프탈로사이아닌 유도체, 8-퀴놀린올 유도체의 금속 착체나 메탈프탈로사이아닌, 벤조옥사졸이나 벤조싸이아졸을 리간드로 하는 금속 착체로 대표되는 각종 금속 착체 폴리실레인계 화합물, 폴리(N-바이닐카바졸) 유도체, 아닐렌계 공중합체, 싸이오펜 올리고머, 폴리싸이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 올리고머, 폴리싸이오펜 유도체, 폴리페닐렌 유도체, 폴리페닐렌바이닐렌 유도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등의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호스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4
인광 발광성의 도펀트는 3중항 여기자로부터 발광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3중항 여기자로부터 발광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Ir, Ru, Pd, Pt, Os 및 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르피린 금속 착체 또는 오쏘메탈화 금속 착체가 바람직하다. 포르피린 금속 착체로서는, 포르피린 백금 착체가 바람직하다. 인광 발광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오쏘메탈화 금속 착체를 형성하는 리간드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바람직한 리간드로서는 2-페닐피리딘 유도체, 7,8-벤조퀴놀린 유도체, 2-(2-티엔일)피리딘 유도체, 2-(1-나프틸)피리딘 유도체, 2-페닐퀴놀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도체는 필요에 따라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불소화물,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를 도입한 것이 청색계 도펀트로서는 바람직하다. 추가로, 보조 리간드로서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피크르산 등의 상기 리간드 이외의 리간드를 가질 수도 있다.
인광 발광성의 도펀트의 발광층에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0.1 내지 70질량%이며, 1 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다. 인광 발광성 화합물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발광이 미약하여 그 함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70질량%를 넘는 경우는 농도 소광이라고 하는 현상이 현저해져 소자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발광층은 필요에 따라 정공 수송재, 전자 수송재, 폴리머 바인더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층의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5㎚ 미만이면 발광층 형성이 곤란해져 색도의 조정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50㎚를 초과하면 구동 전압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5) 정공 주입·수송층
정공 주입·수송층은 발광층으로의 정공 주입을 도와 발광 영역까지 수송하는 층으로서, 정공 이동도가 크고, 이온화 에너지가 통상 5.5eV 이하로 작다. 이러한 정공 주입·수송층으로서는 보다 낮은 전계 강도로 정공을 발광층에 수송하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또한 정공 이동도가, 예컨대 104 내지 106V/cm의 전계 인가시에 적어도 10-4cm2/V·초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정공 주입·수송 대역에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단독으로 정공 주입, 수송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재료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과 혼합하여 정공 주입·수송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상기 바람직한 성질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광도전 재료에 있어서 정공의 전하 수송 재료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이나,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수송층에 사용되는 공지된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예컨대 트라이아졸 유도체(미국 특허 제3,112,197호 명세서 등 참조), 옥사다이아졸 유도체(미국 특허 제3,189,447호 명세서 등 참조), 이미다졸 유도체(일본 특허공고 제1962-16096호 공보 등 참조), 폴리아릴알케인 유도체(미국 특허 제3,615,402호 명세서, 동 제3,820,989호 명세서, 동 제3,542,544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고 제1970-555호 공보, 동 제1976-1098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76-93224호 공보, 동 제1980-17105호 공보, 동 제1981-4148호 공보, 동 제1980-108667호 공보, 동 제1980-156953호 공보, 동 제1981-36656호 공보 등 참조), 피라졸린 유도체 및 피라졸론 유도체(미국 특허 제3,180,729호 명세서, 동 제4,278,746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제1980-88064호 공보, 동 제1980-88065호 공보, 동 제1974-105537호 공보, 동 제1980-51086호 공보, 동 제1981-80051호 공보, 동 제1981-88141호 공보, 동 제1982-45545호 공보, 동 제1979-112637호 공보, 동 제1980-74546호 공보 등 참조), 페닐렌다이아민 유도체(미국 특허 제3,615,404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고 제1976-10105호 공보, 동 제1971-3712호 공보, 동 제1972-253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79-53435호 공보, 동 제1979-110536호 공보, 동 제1979-119925호 공보 등 참조), 아릴아민 유도체(미국 특허 제3,567,450호 명세서, 동 제3,180,703호 명세서, 동 제3,240,597호 명세서, 동 제3,658,520호 명세서, 동 제4,232,103호 명세서, 동 제4,175,961호 명세서, 동 제4,012,376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고 제1974-35702호 공보, 동 제1964-2757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80-144250호 공보, 동 1981-119132호 공보, 동 제1981-22437호 공보, 서독 특허 제1,110,518호 명세서 등 참조), 아미노 치환 칼콘 유도체(미국 특허 제3,526,501호 명세서 등 참조), 옥사졸 유도체(미국 특허 제3,257,203호 명세서 등에 개시된 것), 스타이릴안트라센 유도체(일본 특허공개 제1981-46234호 공보 등 참조),플루오레논 유도체(일본 특허공개 제1979-110837호 공보 등 참조), 하이드라존 유도체(미국 특허 제3,717,462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제1979-59143호 공보, 동 제1980-52063호 공보, 동 제1980-52064호 공보, 동 제1980-46760호 공보, 동 제1980-85495호 공보, 동 제1982-11350호 공보, 동 제1982-1487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90-311591호 공보 등 참조), 스틸벤 유도체(일본 특허공개 제1986-210363호 공보, 동 제1986-228451호 공보, 동 제1986-14642호 공보, 동 1986-72255호 공보, 동 제1987-47646호 공보, 동 제1987-36674호 공보, 동 제1987-10652호 공보, 동 제1987-30255호 공보, 동 제1985-93455호 공보, 동 제1985-94462호 공보, 동 제1985-174749호 공보, 동 제1985-175052호 공보 등 참조), 실라잔 유도체(미국 특허 제4,950,950호 명세서), 폴리실레인계(일본 특허공개 제1990-204996호 공보), 아닐린계 공중합체(일본 특허공개 제1990-28226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89-21139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도전성 고분자 올리고머(특히 싸이오페논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정공 주입·수송층의 재료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포르피린 화합물(일본 특허공개 제1988-2956965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타이릴아민 화합물(미국 특허 제4,127,412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제1978-27033호 공보, 동 제1979-58445호 공보, 동 제1979-149634호 공보, 동 제1979-64299호 공보, 동 제1980-79450호 공보, 동 제1980-144250호 공보, 동 제1981-119132호 공보, 동 제1986-295558호 공보, 동 제1986-98353호 공보, 동 제1988-295695호 공보 등 참조), 특히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국 특허 제5,061,569호에 기재되어 있는 2개의 축합 방향족환을 분 자내에 갖는, 예컨대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이하 'NPD'로 약기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92-3086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트라이페닐아민 유닛이 3개의 스타 버스트형으로 연결된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라이페닐아민(이하 'MTDATA'로 약기한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광층 재료로서 제시한 상술한 화합물 외에, p형 Si, p형 SiC 등의 무기 화합물도 정공 주입·수송층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수송층은, 예컨대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LB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주입·수송층으로서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5㎚ 내지 5㎛이다. 이 정공 주입·수송층은,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이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과 상술한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1층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정공 주입·수송층과는 별종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수송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발광층으로의 정공 주입 또는 전자 주입을 돕는 층으로서 유기 반도체층을 마련하여도 좋고, 10-10S/cm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유기 반도체층 재료로서는 싸이오펜 함유 올리고머나 일본 특허공개 제1996-1931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아릴아민 함유 올리고머 등의 도전성 올리고머, 아릴아민 함유 덴드리머 등의 도전성 덴드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6) 전자 주입·수송층
다음으로, 전자 주입층·수송층은, 발광층으로의 전자의 주입을 도와 발광 영역까지 수송하는 층으로서, 전자 이동도가 크고, 또한 부착 개선층은 이 전자 주입층 중에서 특히 음극과의 부착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발광한 광이 전극(이 경우는 음극)에 의해 반사하기 때문에, 직접 양극으로부터 취출되는 발광과, 전극에 의한 반사를 경유하여 취출되는 발광이 간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간섭 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자 수송층은 수 ㎚ 내지 수 ㎛의 막 두께로 적절히 선택되지만, 특히 막 두께가 두꺼울 때, 전압 상승을 피하기 위해서, 104 내지 106V/cm의 전계 인가시에 전자 이동도가 적어도 10-5cm2/V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8-하이드록시퀴놀린 또는 그 유도체의 금속 착체나 옥사다이아졸 유도체가 적합하다. 상기 8-하이드록시퀴놀린 또는 그 유도체의 금속 착체의 구체예로서는, 옥신(일반적으로 8-퀴놀린올 또는 8-하이드록시퀴놀린)의 킬레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킬레이트 옥시노이드 화합물, 예컨대 트리스(8-퀴놀린올)알루미늄을 전자 주입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옥사다이아졸 유도체로서는, 이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전자 전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5
(식 중, Ar1, Ar2, Ar3, Ar5, Ar6, Ar9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를 나타내고,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Ar4, Ar7,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릴렌일기, 피렌일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릴렌기로서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바이페닐렌기, 안트라닐렌기, 페릴렌일렌기, 피렌일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사이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전자 전달 화합물은 박막 형성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전달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6
또한,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에 이용되는 재료로서, 하기 화학식 (A) 내지 (F)로 표시되는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A) 또는 (B)로 표시되는 질소함유 헤테로환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7
(화학식 (A) 및 (B) 중, A1 내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이다.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며, Ar2는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2가의 기이다. 단, Ar1 및 Ar2의 어느 한 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60의 축합환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60의 모노헤테로 축합환기이다.
L1, L2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렌기이다.
R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n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R기끼리 결합하여, 탄소환식 지방족환 또는 탄소환식 방향족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기 화학식 (C)로 표시되는 질소함유 헤테로환 유도체.
HAr-L-Ar1-Ar2 (C)
(식 중, HAr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3 내지 40의 질소함유 헤테로환이고, L은 단일 결합,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렌기,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플루오렌일렌기이고, Ar1은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60의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Ar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수 3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하기 화학식 (D)로 표시되는 실라사이클로펜타다이엔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8
(식 중,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알켄일옥시기, 알킨일옥시기, 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 또는 X와 Y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한 구조이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퍼플루오로알콕시기, 아미노기, 알킬카보닐기, 아릴카보닐기, 알콕시카보닐기, 아릴옥시카보닐기, 아조기, 알킬카보닐옥시기, 아릴카보닐옥시기, 알콕시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보닐옥시기, 설핀일기, 설폰일기, 설판일기, 실릴기, 카바모일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나이트로기, 폼일기, 나이트로소기, 폼일옥 시기, 아이소사이아노기, 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또는 사이아노기 또는 인접한 경우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이 축합된 구조이다.)
하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보레인 유도체.
Figure 112007074268301-PCT00029
(식 중, R1 내지 R8 및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방향족기, 헤테로환기, 치환 아미노기, 치환 보릴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X, Y 및 Z1은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방향족기, 헤테로환기, 치환 아미노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Z1과 Z2의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인 경우, Z1은 상이할 수 있다. 단, n이 1, X, Y 및 R2가 메틸기이고, R8이 수소원자 또는 치환 보릴기인 경우, 및 n이 3이고 Z1이 메틸기인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F)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0
[식 중,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G)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나타내고, L은 할로젠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 -OR1(R1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이다.) 또는 -O-Ga-Q3(Q4)(Q3 및 Q4는 Q1 및 Q2와 동일)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1
[식 중, 환 A1 및 A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서로 축합된 6원 아릴환 구조이다.]
이 금속 착체는, n형 반도체로서의 성질이 강하고, 전자 주입 능력이 크다. 또한, 착체 형성시의 생성 에너지도 낮기 때문에, 형성된 금속 착체의 금속과 리간드와의 결합성도 강고해져, 발광 재료로서의 형광 양자 효율도 커지고 있다.
화학식 (G)의 리간드를 형성하는 환 A1 및 A2의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염소, 브롬, 요오드, 불소의 할로젠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스테아릴기, 트라이클로로메틸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3-메틸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3-플루오로페닐기, 3-트라이클로로메틸페닐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기, 3-나이트로페닐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메톡시기, n-뷰톡시기, tert-뷰톡시기, 트라이클로로메톡시기, 트라이플루오로에톡시기, 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기,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기,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기, 6-(퍼플루오로에틸)헥실옥시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페녹시기, p-나이트로페녹시기, p-tert-뷰틸페녹시기, 3-플루오로페녹시기, 펜타플루오로페닐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기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메틸싸이오기, 에틸싸이오기, tert-뷰틸싸이오기, 헥실싸이오기, 옥틸싸이오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싸이오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싸이오기; 페닐싸이오기, p-나이트로페닐싸이오기, p-tert-뷰틸페닐싸이오기, 3-플루오로페닐싸이오기, 펜타플루오로페닐싸이오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싸이오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싸이오기;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다이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다이에틸아미노기, 다이프로필아미노기, 다이뷰틸아미노기, 다이페닐아미노기 등의 모노 또는 다이치환 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메틸)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에틸)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프로필)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뷰틸)아 미노기 등의 아실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실록시기; 아실기; 메틸카바모일기, 다이메틸카바모일기, 에틸카바모일기, 다이에틸카바모일기, 프로필카바모일기, 뷰틸카바모일기, 페닐카바모일기 등의 카바모일기; 카복실산기, 설폰산기, 이미드기, 사이클로펜테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난트릴기, 플루오렌일기, 피렌일기 등의 아릴기; 피리딘일기, 피라진일기, 피리미딘일기, 피리다진일기, 트라이아진일기, 인돌린일기, 퀴놀린일기, 아크리딘일기, 피롤리딘일기, 다이옥산일기, 피페리딘일기, 모폴리딘일기, 피페라진일기, 트라이아틴일기, 카바졸릴기, 퓨란일기, 싸이오페닐기, 옥사졸릴기, 옥사다이아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싸이아졸릴기, 싸이아다이아졸릴기, 벤조싸이아졸릴기, 트라이아졸릴기, 이미다졸릴기, 벤조이미다졸릴기, 퓨란일기 등의 헤테로환기 등이 있다. 또한, 이상의 치환기끼리 결합하여 추가로 6원 아릴환 또는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바람직한 형태에는, 전자를 수송하는 영역 또는 음극과 유기층의 계면 영역에 환원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소자가 있다. 여기서, 환원성 도펀트란 전자 수송성 화합물을 환원할 수 있는 물질로 정의된다. 따라서, 일정한 환원성을 갖는 것이면,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 또는 희토류 금속의 할로젠화물, 알칼리 금속의 유기 착체, 알칼리 토금속의 유기 착체 및 희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환원성 도펀트로서는 Na(일함수: 2.36eV), K(일함수: 2.28eV), Rb(일함수: 2.16eV) 및 Cs(일함수: 1.95eV)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나, Ca(일함수: 2.9eV), Sr(일함수: 2.0 내지 2.5eV) 및 Ba(일함수: 2.52eV)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 토금속을 들 수 있고, 일함수가 2.9eV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중, 더욱 바람직한 환원성 도펀트는, K, Rb 및 C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b 또는 Cs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s이다. 이들 알칼리 금속은 특히 환원 능력이 높고, 전자 주입 영역으로의 비교적 소량의 첨가에 의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일함수가 2.9eV 이하인 환원성 도펀트로서, 이들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의 조합도 바람직하고, 특히 Cs를 포함한 조합, 예컨대 Cs와 Na, Cs와 K, Cs와 Rb 또는 Cs와 Na와 K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Cs를 조합시켜 포함함으로써, 환원 능력을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고, 전자 주입 영역으로의 첨가에 의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수명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극과 유기층 사이에 절연체나 반도체로 구성되는 전자 주입층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전류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자 주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로서는 알칼리 금속 칼코게나이드, 알칼리 토금속 칼코게나이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이 이들 알칼리 금속 칼코게나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전자 주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칼코게나이드로서는, 예컨대 Li2O, LiO, Na2S, Na2Se 및 NaO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한 알칼리 토금속 칼코게나이드로서는, 예컨대 CaO, BaO, SrO, BeO, BaS 및 CaSe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로서는, 예컨대 LiF, NaF, KF, LiCl, KCl 및 NaC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로서는, 예컨대 CaF2, BaF2, SrF2, MgF2 및 BeF2 등의 불화물이나, 불화물 이외의 할로젠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을 구성하는 반도체로서는, Ba, Ca, Sr, Yb, Al, Ga, In, Li, Na, Cd, Mg, Si, Ta, Sb 및 Zn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등의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을 구성하는 무기 화합물은 미세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절연성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이 이들 절연성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보다 균질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크 스폿 등의 화소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기 화합물로서는 상술한 알칼리 금속 칼코게나이드, 알칼리 토금속 칼코게나이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 등을 들 수 있다.
(7) 음극
음극으로서는, 전자 주입·수송층 또는 발광층에 전자를 주입하기 때문에, 일함수가 작은(4eV 이하)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나트륨, 나트륨·칼륨 합금, 마그네슘, 리튬, 마그네슘·은 합금,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리튬 합금, 인듐, 희토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 음극은 이들의 전극 물질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박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을 음극으로부터 취출하는 경우, 음극의 발광에 대한 투과율은 1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 Ω/□ 이하가 바람직하며, 막 두께는 통상 10㎚ 내지 1㎛,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이다.
(8) 절연층
유기 EL 소자는 초박막에 전계를 인가하기 때문에, 누출이나 쇼트에 의한 화소 결함이 생기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절연성 박막층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불화리튬, 산화리튬, 불화세슘, 산화세슘, 산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불화칼슘, 질화알루미늄, 산화타이타늄, 산화규소, 산화게르마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몰리브덴, 산화루테늄, 산화바나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이나 적층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9)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
이상 예시한 재료 및 형성 방법에 의해 양극, 발광층, 필요에 따라 정공 주입·수송층, 및 필요에 따라 전자 주입·수송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음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EL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음극으로부터 양극으로,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투광성 기판 상에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성의 유기 EL 소자의 제작예를 기재한다.
우선, 적당한 투광성 기판 상에 양극 재료로 이루어진 박막을 1㎛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의 범위의 막 두께가 되도록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여 양극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이 양극 상에 정공 주입층을 설치한다. 정공 주입층의 형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LB법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균질한 막이 얻어지기 쉽고, 또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정공 주입층의 재료), 목적으로 하는 정공 주입층의 결정 구조나 재결합 구조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증착원 온도 50 내지 450℃, 진공도 10-7 내지 10-3Torr, 증착 속도 0.01 내지 50㎚/초, 기판 온도 -50 내지 300℃, 막 두께 5㎚ 내지 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정공 주입층 상에 발광층을 설치하는 발광층의 형성도, 원하는 유기 발광 재료를 이용하여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등의 방 법에 의해 유기 발광 재료를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지만, 균질한 막이 얻어지기 쉽고, 또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 주입층과 같은 조건 범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광층 상에 전자 주입층을 설치한다. 정공 주입층, 발광층과 마찬가지로 균질한 막을 얻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 조건은 정공 주입층, 발광층과 같은 조건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은, 발광 대역이나 정공 수송 대역의 어느 한 층에 함유시키는가에 따라 다르지만,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다른 재료와의 공증착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다른 재료와 혼합함으로써 함유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극을 적층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음극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증착법, 스퍼터링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유기물층을 제막시의 손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는 진공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이 유기 EL 소자의 제작은 1회의 진공 흡인으로 일괄적으로 양극에서 음극까지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각 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 공지된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한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이용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박막층은, 진공 증착법, 분자선 증착법(MBE법) 또는 용매에 녹인 용액의 디핑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등의 도포법에 의한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각 유기층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막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핀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쉽고, 반대로 지나치게 두꺼우면 높은 인가 전압이 필요해져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통상은 수 ㎚에서 1㎛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양극을 +, 음극을 -의 극성으로 하여, 5 내지 40V의 전압을 인가하면 발광이 관측될 수 있다. 또한, 역의 극성으로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전류는 흐르지 않고, 발광은 전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교류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는 양극이 +, 음극이 -의 극성이 되었을 때만 균일한 발광이 관측된다. 인가하는 교류의 파형은 임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합성실시예 1(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2
(1) 4,4''-다이브로모-p-터페닐의 합성
아르곤 분위기하, 1,4-다이아이오도벤젠 33.0g, 4-브로모페닐보론산 48.2g,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4.62g에 톨루엔 600mL,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300mL를 가하여, 10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즉시 여과한 후, 수층을 제거했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했다. 수득된 개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4,4"-다이브로모-p-터페닐의 백색 결정 32.6g을 수득했다(수율 84%).
(2) 4-브로모-4"-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의 합성
아르곤 기류하, N,N-다이페닐아민 10.6g, 4,4"-다이브로모-p-터페닐 24.3g, 탄산칼륨 13.0g, 구리가루 0.400g, 데카린 40mL를 투입하여, 200℃에서 6일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열시 여과하고, 불용분은 톨루엔으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함께 농축했다. 잔사에 톨루엔 30mL를 가하여 석출 결정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했다. 이어서 잔사에 메탄올 100mL를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고, 또한 30mL의 메탄올을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여 컬럼 정제한 바, 황색 분말을 수득했다. 이것을 15 mL의 톨루엔에 가열 용해하고, 헥세인 15mL를 가하여 냉각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한 바, 4-브로모-4"-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을 13.4g 수득했다.
(3) 4-다이페닐아미노-4"-N-페닐아미노-p-터페닐의 합성
Ar 분위기하, 4-브로모-4"-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 10.0g, 아닐린 2.35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192mg, t-뷰톡시나트륨 2.82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100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8.02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4) 화합물1의 합성
Ar 분위기하, 4-다이페닐아미노-4"-N-페닐아미노-p-터페닐 8.00g, 아닐린 0.710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350mg, t-뷰톡시나트륨 2.05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190μL를 가하여, 5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에 냉각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6.21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883.39에 대하여, m/e=883이었다.
합성실시예 2(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2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2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3
합성실시예 1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N-페닐-1-나프틸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83.42에 대하여, m/e=983이었다.
합성실시예 3(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3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3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4
합성실시예 2에 있어서, 1,4-다이아이오도벤젠 대신에 1,3-다이아이오도벤젠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83.42에 대하여, m/e=983이었다.
합성실시예 4(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4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4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5
합성실시예 1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비스(4-바이페닐)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1187.52에 대하여, m/e=1187이었다.
합성실시예 5(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5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5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6
(1)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세토아마이드의 합성
4-브로모-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 105g, 아세토아마이드 5.90g, 요오드화구리 0.95g, 탄산칼륨 276g,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 0.88g, 데카린 1L를 투입하고, 아르곤 분위기하, 6일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불용분을 여과했다. 불용분은 열 톨루엔,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세정하여, 여액을 합쳐 농축했다. 수득된 개체를 메탄올로 세정한 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세토아마이드의 백색 결정 82.0g을 수득했다.
(2)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민의 합성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세토아마이드 82.0g, 50% 수산화칼륨 수용액 39g, 다이에틸벤젠 100mL를 투입하고, 3일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방냉하고, 물 100mL, 헥세인 500mL를 가했다. 석출한 갈색 고체를 여별하고, 감압 건조시켜,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민 67g을 수득했다.
(3) 화합물5의 합성
N,N-비스[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4-일]아민 9.08g, 1-브로모나프탈렌 2.48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183mg, t-뷰톡시나트륨 1.35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100μL를 가하여, 5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으로 냉각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5.20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1033.44에 대하여, m/e=1033이었다.
합성실시예 6(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6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6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7
합성실시예 5에 있어서, 4-브로모-4"-(N-페닐-1-나프틸아미노)-p-터페닐 대신에 4-브로모-4"-(N,N-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33.41에 대하여, m/e=933이었다.
합성실시예 7(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7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7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8
합성실시예 6에 있어서, 1-브로모나프탈렌 대신에 4-브로모바이페닐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 이며, 분자량 959.42에 대하여, m/e=959였다.
합성실시예 8(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8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8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39
(1) 4-브로모-4'-(N,N-다이페닐아미노)바이페닐의 합성
아르곤 기류하, N,N-다이페닐아민 10.6g, 4,4'-다이브로모바이페닐 19.5g, 탄산칼륨 13.0g, 구리가루 0.400g, 데카린 40mL를 투입하여, 200℃에서 6일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열시 여과하고, 불용분은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여과액을 함께 농축했다. 잔사에 톨루엔 30mL를 가하여 석출 결정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했다. 이어서 잔사에 메탄올 100mL를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고, 또한 30mL의 메탄올을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여 컬럼 정제한 바, 황색 분말을 수득했다. 이것을 15mL의 톨루엔에 가열 용해하고, 헥세인 15mL를 가하여 냉각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한 바, 4-브로모-4'-(N,N-다이페닐아미노)바이페닐을 13.4g 수득했다.
(8-2) N,N,N'-트라이페닐벤디진의 합성
4-브로모-4'-(N,N-다이페닐아미노)바이페닐 4.00g, 아닐린 1.11g, 트리스(벤 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183mg, t-뷰톡시나트륨 1.35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100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N,N,N'-트라이페닐벤디진의 3.20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8-3) 화합물8의 합성
4-브로모-4"-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 2.38g, N,N,N'-트라이페닐벤디진 2.48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92mg, t-뷰톡시나트륨 0.67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50μL를 가하여, 5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으로 냉각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3.20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807.36에 대하여, m/e=807이었다.
합성실시예 9(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9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9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0
합성실시예 8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N-페닐-1-나프틸아민을 이 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07.39에 대하여, m/e=907이었다.
합성실시예 10(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0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0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1
(1)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의 합성
아르곤 기류하, N,N-다이페닐아민 10.6g, p-브로모아이오도벤젠 14.8g, 탄산칼륨 14.4g, 구리가루 0.500g, 데카린 40mL를 투입하여, 200℃에서 6일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열시 여과하고, 불용분은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여과액을 함께 농축했다. 잔사에 톨루엔 30mL를 가하여 석출 결정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했다. 이어서 잔사에 메탄올 100mL를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고, 또한 30mL의 메탄올을 가하여, 교반후 상등액을 폐기하여 컬럼 정제한 바, 황색 분말을 수득했다. 이것을 15mL의 톨루엔에 가열 용해하고, 헥세인 15mL를 가하여 냉각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한 바,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을 10.8g 수득했다.
(2) 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의 합성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 5.00g, 아닐린 1.72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 팔라듐(0) 282mg, t-뷰톡시나트륨 2.07g의 톨루엔 5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150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고,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의 4.20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3) 화합물10의 합성
4-브로모-4"-다이페닐아미노-p-터페닐 2.38g, 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 2.01g,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O) 92mg, t-뷰톡시나트륨 0.67g의 톨루엔 100mL 용액에 트라이 t-뷰틸포스핀의 0.66중량% 톨루엔 용액 50μL를 가하여, 5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으로 냉각후, 혼합물을 세라이트 여과하여, 여과액을 톨루엔으로 추출했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컬럼 정제하여, 2.50g의 담황색 분말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731.33에 대하여, m/e=731이었다.
합성실시예 11(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1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1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2
합성실시예 10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N-페닐-1-나프틸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831.36에 대하여, m/e=831이었다.
합성실시예 12(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2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2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3
합성실시예 8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4-바이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59.42에 대하여, m/e=959였다.
합성실시예 13(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3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3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4
합성실시예 1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4-바이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 물이며, 분자량 1035.46에 대하여, m/e=1035였다.
합성실시예 14(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4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4를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5
합성실시예 5에 있어서, 1-브로모나프탈렌 대신에 4-브로모바이페닐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1059.46에 대하여, m/e=1059였다.
합성실시예 15(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5의 합성)
합성실시예 1에 있어서, N,N-다이페닐아민 대신에 N-페닐-2-나프틸아민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15를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83.42에 대하여, m/e=983이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6
15
합성실시예 16(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6의 합성)
합성실시예 6에 있어서, 1-브로모나프탈렌 대신에 2-브로모나프탈렌을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16을 합성했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33.41에 대하여, m/e=933이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7
16
합성실시예 17(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7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7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8
(1) 2-브로모-7-아이오도플루오렌의 합성
2-브로모플루오렌 25.0g, 아이오드 11.5g, 오쏘과아이오드산 4.88g, 아세트산 150mL, 진한 황산 3mL, 물 10mL를 투입하여, 60℃에서 30분 과열 교반했다. 더욱이 90℃까지 승온시켜, 3시간 과열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방냉하여, 물 500mL에 부었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물, 에탄올로 세정했다. 수득된 개 체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브로모-7-아이오도플루오렌의 황색 결정 26.5g을 수득했다.
(2) 2-브로모-7-아이오도-9,9-다이메틸플루오렌의 합성
Ar 분위기하, 2-브로모-7-아이오도플루오렌 26.5g,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100ml, 벤질트라이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0.500g 및 50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g을 넣었다.
이 반응 용기를 수욕 중에 넣어, 교반하면서 요오드화메틸 22.3g을 가했다.
5시간 반응후 500ml의 물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을 여과했다. 수득된 개체를 물, 메탄올로 세정하고, 2-브로모-7-아이오도-9,9-다이메틸플루오렌의 황색 고체 20.0g을 수득했다.
(3) 2-(N,N-다이페닐아미노)-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의 합성
Ar 분위기하, 2-브로모-7-아이오도-9,9-다이메틸플루오렌 20.0g, 다이페닐아민 8.46g, 요오드화구리 10.476g,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 0.441g, 나트륨 t-뷰톡시드 7.21g, 자일렌 50mL를 투입하여, 24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후, 톨루엔으로 추출하여, 불용물을 여과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2-(N,N-다이페닐아미노)-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의 담황색 고체 15.4g을 수득했다.
(4) 4,4'-다이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의 합성
Ar 분위기하, 브로모아이오도벤젠 62.2g, 아닐린 9.31g, 요오드화구리 1.90g,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 1.76g, 나트륨 t-뷰톡시드 28.8g, 자일렌 200mL를 투입하여, 24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후, 톨루엔으로 추출하여, 불용물을 여과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4,4'-다이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의 백색 고체 20.1g을 수득했다.
(5) 트라이페닐아민-4,4'-비스보론산의 합성
아르곤 분위기하, 4,4'-다이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 20.0g의 건조 에틸에터 200mL, 건조 톨루엔 200mL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1.6M 노말뷰틸리튬의 헥세인 용액 66mL를 적하했다. 반응 용액을 0℃까지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다시 -78℃까지 냉각하고, 붕산트라이아이소프로필 47.0g의 건조 에터 100mL 용액을 적하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1N 염산 200mL를 가하여, 1시간 교반후, 수층을 제거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했다. 수득된 개체를 헥세인,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트라이페닐아민-4,4'-비스보론산의 백색 분말 8.32g을 수득했다.
(6) 화합물17의 합성
Ar 분위기하, 2-(N,N-다이페닐아미노)-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 9.68g, 트라이페닐아민-4,4'-비스보론산 3.33g,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231mg, 톨루엔 60mL,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30mL를 투입하여, 8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여과했다. 수득된 개체를 물, 메탄올로 세정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고, 5.02g의 담황색 결정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63.46에 대하여, m/e=963이었다.
합성실시예 18(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18의 합성)
이하의 반응 공정에서, 하기 화합물18을 합성했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49
(1)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의 합성
다이페닐아민 16.9g, 4-브로모아이오도벤젠 28.2g, t-뷰톡시나트륨 14.4g, 구리가루 3.81g, 자일렌 100mL 용액 중에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 17.6g을 가하여, 아르곤 분위기하 24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으로 냉각후, 여과하고, 불용물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농축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의 백색 결정 22.7g을 수득했다.
(2) 트라이페닐아민-4-보론산의 합성
아르곤 분위기하, 4-브로모트라이페닐아민 16.2g의 건조 에틸에터 100mL, 건조 톨루엔 100mL 용액을 -78℃로 냉각하고, 1.6M 노말뷰틸리튬의 헥세인 용액 32.8mL를 적하했다. 반응 용액을 0℃까지 가열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다시 -78℃까지 냉각하고, 붕산트라이아이소프로필 23.5g의 건조 에터 50mL 용액을 적하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1N 염산 100mL를 가하여, 1시간 교반후, 수층을 제거했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했다. 수득된 개체를 헥세인, 톨루엔으로 세정하고, 트라이페닐아민- 4-보론산 10.2g을 수득했다.
(3) N,N-비스(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아닐린의 합성
Ar 분위기하, 브로모아이오도벤젠 80.0g, 아닐린 9.31g, 요오드화구리 1.90g,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 1.76g, 나트륨 t-뷰톡사이드 28.8g, 자일렌 200mL를 투입하여, 24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후, 톨루엔으로 추출하여, 불용물을 여과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N-비스(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아닐린의 담황색 고체 20.1g을 수득했다.
(4) 화합물15의 합성
Ar 분위기하, N,N-비스(7-브로모-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아닐린 6.35g, 트라이페닐아민-4-보론산 6.36g,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462mg, 톨루엔 80mL, 2M 탄산나트륨 수용액 40mL를 투입하여, 8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여과했다. 수득된 개체를 물, 메탄올로 세정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5.12g의 담황색 결정이 얻어졌다. 이것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목적물이며, 분자량 963.46에 대하여, m/e=963이었다.
실시예 1(유기 EL 소자의 제조)
25mm×75mm×1.1mm 두께의 ITO 투명 전극 부착 유리 기판(지오마틱사 제품)을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초음파 세정을 5분간 행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분간 행했다. 세정후의 투명 전극 라인 부착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고, 우선 투명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 상에, 상기 투명 전 극을 덮도록 하여 막 두께 80nm의 화합물1 막을 저항 가열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 화합물1 막은 정공 주입 수송층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이 화합물1 막 상에 막 두께 40nm에서 9-(2-나프틸)-10-[4-(1-나프틸)페닐]안트라센(이하 「AN-1」이라고 약기한다.) 막을 저항 가열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어서, 발광 분자로서, 하기의 스타이릴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D-1을 AN-1에 대하여 중량비 2:40으로 동시에 증착했다. 이 막은 발광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막 상에 막 두께 10nm의 Alq 막을 성막했다. 이 Alq 막은 전자 주입층으로서 기능한다. 그 후, 환원성 도펀트인 Li(Li원: 사에스게터사 제품)와 Alq를 2원 증착시켜, 전자 주입층(음극)으로서 Alq:Li 막(막 두께 10nm)을 형성했다. 이 Alq:Li 막 상에 금속 Al을 증착시켜 금속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 수송층에 이용한 화합물1의 유리전이온도(Tg)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0
실시예 2 내지 12
실시예 1에 있어서, 정공 주입 수송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화합물1 대신에,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용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 수송층에 이용한 각 화합물의 Tg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5
실시예 1에 있어서, 정공 주입 수송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화합물1 대신에, 표 1에 기재된 하기 화합물(A) 내지 (E)를 이용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 수송층에 이용한 각 화합물의 Tg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1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공 주입 수송층에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장수명이고 또한, 정공 주입성이 높기 때문에 고발광 효율이다.
실시예 13(유기 EL 소자의 제조)
25mm×75mm×1.1mm 두께의 ITO 투명 전극 부착 유리 기판(지오마틱사 제품)을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초음파 세정을 5분간 행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분간 행했다. 세정후의 투명 전극 라인 부착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고, 우선 투명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 상에, 상기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여 막 두께 60nm의 화합물1 막을 저항 가열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 화합물1 막은 정공 주입층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이 화합물1 막 상에 막 두께 20nm의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막(이하 「NPD 막」이라고 약기한다.)을 정공 수송 재료로서 저항 가열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 NPD 막은 정공 수송층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NPD 막 상에 막 두께 40nm에서 AN-1막을 저항 가열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어서, 발광 분자로서, 아민 화합물 D-1을 AN-1에 대하여 중량비 2:40으로 동시에 증착했다. 이 막은 발광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막 상에 막 두께 10nm의 Alq 막을 성막했다. 이 Alq 막은 전자 주입층으로서 기능한다. 그 후, 환원성 도펀트인 Li(Li원: 사에스게터사제)와 Alq를 2원 증착시켜, 전자 주입층(음극)으로서 Alq:Li 막(막 두께 10nm)을 형성했다. 이 Alq:Li 막 상에 금속 Al을 증착시켜 금속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층에 이용한 화합물1의 Tg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내지 27
실시예 13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화합물1 대신에, 표 2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용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층에 이용한 각 화합물의 Tg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내지 10
실시예 13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화합물1 대신에, 표 2에 기재된 상기 화합물(A) 내지 (E)를 이용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수득된 소자에 전압 5(V)로 통전했을 때의 전류 밀도, 휘도 100cd/m2에서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및 발광색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이 소자를 초기 휘도 1000cd/m2로써 정전류 구동시켰을 때의 반감 수명(시간)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정공 주입층에 이용한 각 화합물의 Tg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공 주입층에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장수명이고, 또한 정공 주입성이 높기 때문에 고발광 효율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정공 주입성이 우수하고 고발광 효율이며, 장수명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실용성이 높고, 벽걸이 텔레비젼의 평면 발광체나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4
    (식 중, Ar1 내지 A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벤젠환을 1개 이상 갖는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연결기이며, L1 및 L2의 적어도 한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터페닐렌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1 및/또는 L2의 연결기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인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5
    (식 중, L3은 헤테로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5 내지 30의 헤테로아릴렌기이며,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R31 및 R32는 각각 복수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 복수의 R31끼리, R32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1 및/또는 L2의 연결기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인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112007074268301-PCT00056
    (식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다. R1, R2, R3은 각각 복수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 복수의 R1끼리, R2끼리, R3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1과 R2,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재료인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정공 수송 재료 또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정공 주입 재료인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6. 음극과 양극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 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박막층이 협지되어 있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층이, 제 1 항에 따른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이 정공 수송 대역 및/또는 정공 주입 대역을 갖고, 상기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이 상기 정공 수송 대역 및/또는 정공 주입 대역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이 정공 수송층 및/또는 정공 주입층을 갖고, 상기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이 상기 정공 수송층 및/또는 정공 주입층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9. 제 6 항에 있어서,
    청색계 발광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20077023827A 2005-04-18 2006-01-23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KR101267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9910 2005-04-18
JP2005119910 2005-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538A true KR20070120538A (ko) 2007-12-24
KR101267114B1 KR101267114B1 (ko) 2013-05-23

Family

ID=3710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827A KR101267114B1 (ko) 2005-04-18 2006-01-23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25654B2 (ko)
EP (1) EP1873138A4 (ko)
JP (1) JP4934026B2 (ko)
KR (1) KR101267114B1 (ko)
CN (1) CN101180262B (ko)
TW (1) TW200639231A (ko)
WO (1) WO20061149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030A (ko) * 2013-07-12 2021-05-12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441A1 (ja) * 2004-10-29 2006-05-04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アミ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162891B2 (ja) * 2005-12-08 2013-03-13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化合物、電荷輸送材料、電荷輸送材料組成物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US8273467B2 (en) * 2006-02-28 2012-09-25 Fujifilm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623522B2 (en) 2006-04-26 2014-01-07 Idemitsu Kosan Co., Ltd.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JP2008007424A (ja) * 2006-06-27 2008-01-17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8001551A1 (fr) * 2006-06-27 2008-01-03 Idemitsu Kosan Co., Ltd. Dérivé d'amine aromatique et dispositif a électroluminescence organique utilisant celui-ci
US20080049413A1 (en) * 2006-08-22 2008-02-28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08285460A (ja) * 2007-05-21 2008-11-27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トリアミン化合物の製造方法
EP2221897A4 (en) * 2007-11-22 2012-08-08 Idemitsu Kosan Co ORGANIC EL ELEMENT AND ORGANIC EL-MATERIAL SOLUTION
KR101428840B1 (ko) 2007-12-21 2014-08-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4617229B (zh) * 2008-05-16 2017-09-08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DE102008050841B4 (de) * 2008-10-08 2019-08-0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4715905B2 (ja) * 2008-11-06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並びに有機電界発光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CN102224150B (zh) 2008-11-25 2015-08-12 出光兴产株式会社 芳香族胺衍生物以及有机电致发光元件
WO2010095621A1 (ja) 2009-02-18 2010-08-26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773585B2 (ja) * 2009-06-29 2015-09-02 日東電工株式会社 発光性トリアリール
KR101551526B1 (ko) 2009-08-19 2015-09-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1446401B1 (ko) 2009-10-02 2014-10-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1843589B1 (ko) * 2009-10-23 2018-03-29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DE202012013753U1 (de) 2011-02-16 2021-03-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emittierendes Element
US9394231B2 (en) * 2011-12-05 2016-07-19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forming antistatic film and oligomer compound
WO2013118812A1 (ja) * 2012-02-10 2013-08-1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102012007795B3 (de) * 2012-04-20 2013-02-21 Novaled Ag Aromatische Amin-Terphenyl-Verbindungen und Verwendung derselben in organischen halbleitenden Bauelementen
KR101730275B1 (ko) 2012-08-31 2017-04-2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이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9966539B2 (en) 2012-08-31 2018-05-08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9831437B2 (en) * 2013-08-20 2017-11-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516112B2 (en) 2014-07-11 2019-12-24 Idemitsu Kosan Co., Ltd. Compou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JP6671283B2 (ja) * 2014-07-29 2020-03-2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9929361B2 (en) 2015-02-16 2018-03-2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056657B2 (en) 2015-02-27 2021-07-06 University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9859510B2 (en) 2015-05-15 2018-01-0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418568B2 (en) 2015-06-01 2019-09-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127905B2 (en) 2015-07-29 2021-09-2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361381B2 (en) 2015-09-03 2019-07-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70229663A1 (en) 2016-02-09 2017-08-1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236456B2 (en) 2016-04-11 2019-03-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862054B2 (en) 2016-06-20 2020-12-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482683B2 (en) 2016-06-20 2022-10-2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72997B2 (en) 2016-06-20 2020-06-0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08186B2 (en) 2016-09-14 2020-03-3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80187B2 (en) 2016-09-23 2020-06-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196010B2 (en) 2016-10-03 2021-12-0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011709B2 (en) 2016-10-07 2021-05-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80130956A1 (en) 2016-11-09 2018-05-1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80188B2 (en) 2016-11-11 2020-06-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780865B2 (en) 2017-01-09 2023-10-1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844085B2 (en) 2017-03-29 2020-11-2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944060B2 (en) 2017-05-11 2021-03-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80370999A1 (en) 2017-06-23 2018-12-2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228010B2 (en) 2017-07-26 2022-01-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744142B2 (en) 2017-08-10 2023-08-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90161504A1 (en) 2017-11-28 2019-05-30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rbene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3492480B1 (en) 2017-11-29 2021-10-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937503B2 (en) 2017-11-30 2024-03-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542289B2 (en) 2018-01-26 2023-01-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10066611A1 (en) 2018-01-29 2021-03-04 Idemitsu Kosan Co,. Lt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same
US20200075870A1 (en) 2018-08-22 2020-03-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737349B2 (en) 2018-12-12 2023-08-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043639B2 (en) 2018-12-28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 transport material, composition including the charge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ion
JP7359545B2 (ja) * 2018-12-28 2023-10-11 三星電子株式会社 化合物、それを含む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む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11780829B2 (en) 2019-01-30 2023-10-10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00251664A1 (en) 2019-02-01 2020-08-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JP2020158491A (ja) 2019-03-26 2020-10-01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デバイス
US20210032278A1 (en) 2019-07-30 2021-02-0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10047354A1 (en) 2019-08-16 2021-02-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10135130A1 (en) 2019-11-04 2021-05-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10217969A1 (en) 2020-01-06 2021-07-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336759A1 (en) 2020-01-28 2022-10-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3937268A1 (en) 2020-07-10 2022-01-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lasmonic oleds and vertical dipole emitters
CN114068824B (zh) * 2020-07-29 2024-04-26 江苏三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多空穴传输通道材料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20220158096A1 (en) 2020-11-16 2022-05-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162243A1 (en) 2020-11-24 2022-05-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165967A1 (en) 2020-11-24 2022-05-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271241A1 (en) 2021-02-03 2022-08-2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060758A3 (en) 2021-02-26 2023-03-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059915A3 (en) 2021-02-26 2022-12-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298192A1 (en) 2021-03-05 2022-09-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298190A1 (en) 2021-03-12 2022-09-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298193A1 (en) 2021-03-15 2022-09-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340607A1 (en) 2021-04-05 2022-10-2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075531A1 (en) 2021-04-13 2022-10-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lasmonic oleds and vertical dipole emitters
US20220352478A1 (en) 2021-04-14 2022-11-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30006149A1 (en) 2021-04-23 2023-01-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20407020A1 (en) 2021-04-23 2022-12-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30133787A1 (en) 2021-06-08 2023-05-0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olecular Alignment of Homoleptic Iridium Phosphors
EP4151699A1 (en) 2021-09-17 2023-03-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17343078A (zh) 2021-11-25 2024-01-05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材料和器件
EP4212539A1 (en) 2021-12-16 2023-07-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231804A3 (en) 2022-02-16 2023-09-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30292592A1 (en) 2022-03-09 2023-09-1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30337516A1 (en) 2022-04-18 2023-10-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30389421A1 (en) 2022-05-24 2023-11-3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293001A1 (en) 2022-06-08 2023-12-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40016051A1 (en) 2022-06-28 2024-01-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40107880A1 (en) 2022-08-17 2024-03-2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362645A3 (en) 2022-10-27 2024-05-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369898A1 (en) 2022-10-27 2024-05-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376583A2 (en) 2022-10-27 2024-05-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4362631A3 (en) 2022-10-27 2024-05-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240180025A1 (en) 2022-10-27 2024-05-3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0218B2 (ja) * 1996-05-10 2005-05-18 ケミプロ化成株式会社 高分子量芳香族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ホール輸送性材料
JP3654909B2 (ja) * 1996-12-28 2005-06-02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H10265773A (ja) * 1997-03-24 1998-10-06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正孔注入材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877419B2 (ja) * 1998-02-03 2007-02-07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542646B2 (ja) * 1998-09-09 2010-09-1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フェニレンジアミン誘導体
KR100841842B1 (ko) * 1998-09-09 2008-06-2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자발광 소자 및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JP4487587B2 (ja) * 2003-05-27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47311B (en) * 2003-12-26 2011-08-21 Hodogaya Chemical Co Ltd Tetramine compound and organic el device
JP4631386B2 (ja) * 2004-02-25 2011-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
JP4848152B2 (ja) * 2005-08-08 2011-12-2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319287B2 (ja) * 2006-09-22 2013-10-16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030A (ko) * 2013-07-12 2021-05-12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2198A1 (en) 2006-10-19
KR101267114B1 (ko) 2013-05-23
EP1873138A8 (en) 2008-03-19
EP1873138A1 (en) 2008-01-02
US20090115320A1 (en) 2009-05-07
JPWO2006114921A1 (ja) 2008-12-11
JP4934026B2 (ja) 2012-05-16
US7425654B2 (en) 2008-09-16
CN101180262B (zh) 2012-06-13
WO2006114921A1 (ja) 2006-11-02
EP1873138A4 (en) 2009-05-13
TW200639231A (en) 2006-11-16
CN101180262A (zh) 2008-05-14
TWI374177B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14B1 (ko) 방향족 트라이아민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KR101331354B1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9112167B2 (en) Aromatic amine derivativ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EP2011790B1 (en)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ing the same
KR101353635B1 (ko) 벤조크리센 유도체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00097180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들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20070287029A1 (en) Aromatic Ami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US8268459B2 (en) Benzanthrace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KR101269728B1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080068860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070033947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080114784A (ko) 비스안트라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100116180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20070132372A1 (en) Amine 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67344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20070243416A1 (en) Ami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