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274A - 차량용 유리 안테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274A
KR20070113274A KR1020077022617A KR20077022617A KR20070113274A KR 20070113274 A KR20070113274 A KR 20070113274A KR 1020077022617 A KR1020077022617 A KR 1020077022617A KR 20077022617 A KR20077022617 A KR 20077022617A KR 20070113274 A KR20070113274 A KR 2007011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wave
antenna
line
horizontal
receiving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지 나가야마
야스오 다카키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01Q1/1278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in association with heating wires o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후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적어도 상부 여백부에 설치된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는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수평선조와, 각 수평선조의 중점 근방에서 2개의 수평선조를 접속하는 수직선조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수직선조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선을 플랜지의 종변(縱邊)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1급전점에 접속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상기 제1급전점 근방에 설치한 제2급전점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를 갖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가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 중 어느 하나의 수평선조의 일단(一端)에 근접하여 용량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이다.
차량용 유리 안테나, 수평선조,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Description

차량용 유리 안테나{GLASS ANTENNA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등 차량의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AM 라디오 방송파와 FM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는 유리 안테나, 특히 FM 라디오 방송파의 전파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유리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 AM 라디오 방송파와 FM 라디오 방송파 수신용 유리 안테나에 있어서는 양호한 수신 이득을 얻기 위해 비교적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여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에는 그 중앙부영역에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加熱線條)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유리 안테나를 후부 창유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상부나 하부 여백부에 설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을 위해서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상부 여백부에 하나의 안테나를 설치하여 수신하고, 이들 AM대/FM대의 안테나로서는 급전점(給電点)을 하나로 한 접지형 안테나 패턴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AM 라디오 방송파의 전파 및 FM 라디오 방송파의 전파를 유리 안테나로 수신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안테나 급전점과 튜너 사이에 안 테나 앰프를 설치하고, 튜너에 입력하기에 불충분했던 기전력(起電力)을 증폭시켜서, 튜너에 입력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또는, 안테나 급전점과 튜너 사이의 피더(feeder) 선에 의한 수신 이득의 절감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설치하고, 튜너에 입력하기에 충분한 기전력을 유지하여 튜너에 입력시켜 왔다.
또한, AM 방송파와 FM 방송파의 안테나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앰프에 있어서 AM 방송파용 앰프 및 FM 방송파용 앰프를 따로 설치하고, 수신전력을 증폭시킨 후 튜너에 입력시키는 경우가 많다. 또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있어서도 AM 방송파용 임피던스 매칭 회로 및 FM 방송파용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의해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를 튜너에 전송하는 경로로 수신 감도의 손실에 의한 저감을 억제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의 후방 창유리의 상부 여백부에 유리 안테나를 설치하고, 앰프에 의해 증폭되도록 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 창유리 판의 소정 위치에 안테나 도체가 설치된 유리 안테나 및, 상기 유리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증폭시키기 위한 앰프를 가지며, 상기 앰프는 상기 유리 안테나의 급전단자 부분에 연납땜(soldering), 경납땜(brazing), 또는 도전성 접착제 부착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함으로써 유리 안테나와 앰프 사이의 급전선부분에서의 용량 손실에 의한 이득 손실을 저감시킨 자동차용 유리 안테나의 앰프 부착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유리 안테나로부터 튜너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임피던스 매칭 회로로서의 4단자회로 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제(소)63-89982호(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제(평)2-13311호)의 마이크로 필름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313513호 공보
발명의 개요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의 여백부에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1계통으로 한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급전단자에 유리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증폭시키기 위한 앰프가 부착된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AM 안테나 및 FM 안테나를 동일한 안테나로 하는 경우에는 AM대 및 FM대의 양 주파수대를 만족하도록 튜닝해야 한다. 따라서 튜닝작업이 복잡해져 작업 공수(工數)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수신 주파수대, 즉 AM 방송파대 및 FM 방송파대에서 상이한 앰프 회로가 제공되어, AM 방송파용 앰프 및 FM 방송파용 앰프를 별도의 회로로 할 필요가 있다. 안테나 급전점과 앰프 사이에 설치한 분파(分波) 회로에 의해 AM 방송파대 및 FM 방송파대의 양 주파수대로 일단 분파하고, 각각 AM 방송파용 앰프 및 FM 방송파용 앰프로 증폭한 후에 합성한다. 이로써 안테나 앰프의 외형 크기가 커져 급전점 또는 그 근방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외관도 좋지 않았다. 또한, 후부 창의 측부 필러부(pillar portion)의 내장재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방해가 될 뿐 아니라 그 제조 비용도 결코 저렴한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여백부에 설치하는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FM 라디오 방송파의 수신 이득을 고이득으로 하면서 FM 라디오 방송파용 앰프 또는 매칭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후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적어도 상부 여백부에 설치된 안테나로서,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수평선조 및, 각 수평선조의 중점 근방에서 2개의 수평선조를 접속하는 수직선조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수직선조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선(引出線)을 플랜지(flange)의 종변(縱邊)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1급전점에 접속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상기 제1급전점 근방에 설치된 제2급전점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를 갖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가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 중 어느 하나의 수평선조의 일단(一端)에 근접하여 용량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6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부 창유리에 설치한 실시예 7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AM 안테나/FM 안테나로부터 튜너로의 계통 접속도이다.
도 9는 종래의 AM/FM 일체형 안테나로부터 앰프를 경유하여 튜너에 접속한 계통 접속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AM/FM 일체형 안테나로부터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경유하여 튜너에 접속한 계통 접속도이다.
차량의 후부 창유리의 여백부에 설치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의 선단 중 일부를,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에 근접시키거나,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2개의 수평선조 사이에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용량결합을 이룬다. 이로써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이에 의해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2급전점과 튜너 사이에 앰프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접속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AM 방송파 수신용 및 FM 방송파 수신용의 2개의 안테나로 나누었고, 이로써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튜닝할 필요성만 있게 되었고, 따라서 튜닝 작업이 용이해졌으며, 적은 작업 공수에 의해서도 튜닝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방법에서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와 FM 방송파대용 앰프는 하나의 수납 케이스에 넣어져 후부 창유리의 필러 근방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상기 수납 케이스의 용적 태반을 점유하고 있던 FM 방송파대용 앰프가 불필요해졌다. 이로써 수납 케이스의 크기가 수분의 1 정도까지 대폭 컴팩트해졌을 뿐 아니라, AM 방송파용 앰프만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AM 방송파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4) 및, FM 방송파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를 근접한 위치 및 별도의 계통을 갖도록 차량용 후부 창유리(1)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상부 여백부에 설치한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기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는, 차량용 후부 창유리(1)의 중앙영역에 평행하게 배설되어, 대략 수평인 복수개의 가열선조(2a)로 설치되어 그 양단이 도전성 버스 바(bus bar)(3,3')에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는 차량의 후부 창유리(1)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상부 여백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수평선조(4a, 4b), 및 상기 2개의 각 수평선조(4a, 4b)의 중점 근방에서 2개의 수평선조(4a, 4b)끼리를 접속하는 수직선조(4c)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수직선조(4c)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선(4e)을 상기 창유리의 플랜지 종변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1급전점(7)에 접속한 것이다.
2개의 수평선조(4a, 4b)에 함께 연결된 수직선조(4c)는 2개의 각 수평선조(4a, 4b)의 중점 근방에 위치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2개의 각 수평선조(4a, 4b)의 중점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편차가 있으며, 반드시 중점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중점의 근방을 각 수평선조(4a, 4b)의 중점에서 ±100mm되는 곳으로 지시하더라도 각 중점에서 ±200mm되는 곳에 있을 수 있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는 제1급전점(7)의 근방에 설치된 제2급전점(8)으로부터 연장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평선조(5a, 5b)로 설치되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가 2개 이상의 수평선조(5a, 5b)로 설치되는 경우, 소정의 길이 및 간격으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2개 이상의 수평선조(4a, 4b) 중 어느 하나의 한쪽 선단에 수직으로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이들을 근접시킴으로써 용량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급전점(8)에서 연장된 1개의 수평선조(5b 또는 5a)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가 설치되는 경우, 소정의 길이 및 간격으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2개 이상의 수평선조(4a, 4b) 중 어느 하나의 한쪽 선단에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이를 근접시킴으로써 용량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직선조(4c) 중점 근방에서부터 제1급전점(7) 및 인출선(4e)과는 반대방향으로 수평보조선조(4d)를 연장해도 된다.
혹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1급전점(7)으로부터 AM 방송파대용 앰프(10)를 경유하여 튜너(14)에 접속시켰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2급전점(8)으로부터 FM 방송파대용 앰프(11)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12)를 경유하지 않고 튜너에 바로 접속시켰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제1급전점(7)으로부터 연장된 2개의 각각의 수평선조(5a, 5b)의 급전점으로부터의 길이를, 76~90MHz대역의 주파수인 일본 내에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200~400mm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8~108MHz대역의 주파수인 북미에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150~300mm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결합을 이루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 및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가 서로 인접한 부분의 선조 길이가 50~300mm로 조절되고, 용량결합을 이루고 인접한 부분의 선조 사이의 간격이 5~30mm, 바람직하게는 5~15mm로 조절되는 것이 좋다.
차량의 후부 유리창(1)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하부 여백부 위에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sub)안테나(6)를 설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FM용 서브안테나(6)가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하부 여백부 위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서브안테나(6)의 급전점인 제3급전점(9)은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버스 바(3, 3')의 어느 한 쪽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6)에 있어서, 서브안테나(6)의 수평선조는,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최하부 선조 측면에 위치한 가열선조(2a), 또는 최하부 가열선조(2a)로부터 분파된(branched) 수평선조, 또는 버스 바로부터 연장된 선조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만들어지며, 이로써 용량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에 의해 수신된 FM 방송파용 전파는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6)에 의해 픽업(picked up)되고, 이로써 수신 이득은 개선된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 의해서만 수신되고 후에 튜너(14)로 입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향성 패턴(directional pattern)이 개선되기 때문에, FM 방송파 수신용 주(主) 안테나(5)를 구비한 이러한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6)에 의해 다이버서티 수신이 이루어지고 튜너(14)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는 후부 창유리(1)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대략 수평인 가열선조(2a)는 복수개로써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들의 양 선단은 도전성 버스 바(3, 3')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직류 동력원(power source)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가열된다.
대략 수평인 복수개의 선조(2a)로 구성되는 각각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대략적인 중점에 접속되는 수직선조(2b)는 중성선(neutral line)이다. 이는 가열 및 김서림 방지용 전도성 선조가 아니며, 이는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를 안테나로서 기능하게끔 설치하여 수신 이득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이는 필수적으로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AM 방송파용 전파는 과거와 유사하게 AM 방송파대용 앰프(10)에 의해 증폭되고 튜너(14)로 입력된다. 그러나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튜닝 중에, FM 방송파의 수신은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각 선조는 AM 방송파대역의 전파만을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보조수평선조(4d)는 필수적으로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보조수평선조(4d)를 설치함에 의해서 AM 방송파 대역의 수신 감도를 개선시키는 것뿐 아니라 FM 방송파 수신 대역을 위한 안테나의 임피던스 조절 또한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는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 및 수신 감도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기저선(2a)과 서브안테나(6)의 수평선조 사이의 간격을 5~10mm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내 대역을 위해 본 발명의 서브안테나(6) 길이를 350~500mm의 범위로 조절하고 북미 대역을 위해서는 250~400mm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안테나(6)의 수평선조의 선단으로부터 급전점(9)의 끝 부근까지 C의 형태를 갖도록 접혀있는 접선조(folded strip)를 설치함에 의해서 일본내 대역(76~90MHz)부터 북미 대역(88~108MHz)까지의 FM 대역에 이르기까지,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이루는 데 작용을 한다.
또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2개의 수평 선조(4a, 4b)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수평 선조(4a, 4b) 사이에 1개 또는 2개의 수평 선조를 설치하여 수직 선조(4c)를 직각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2급전점과 튜너 사이에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연결함이 없이 양호한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와 별개인 독립된 안테나가 설치돼있다. 그래서 각각의 수신된 주파수에 대하여 적절한 선조 길이를 갖도록 조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과거와 유사하게 AM 방송파용 전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10)에 의해 증폭되고 튜너(14)로 입력된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와 함께 용량결합을 이루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를 통하여 AM 방송파 수신신호(signal)가 튜너(14)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M 라디오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 차단(shielding)용 콘덴서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급전점(8)의 출력측 근처로 직렬로 연결되었다.
반면에, FM 방송파 안테나(5)는, 용량결합을 이루기 위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를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 선단에 근접하게 함으로써, 또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2개의 수평선조(4a, 4b) 사이에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양측으로부터 용량결합을 이루기 위해 이들을 근접하게 함으로써 AM 방송파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FM 방송파대의 전파를 픽업할 수 있다. 이로써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신 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제2급전점(8)과 튜너(14) 사이에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FM 방송파대용 앰프(11) 또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임피던스 매칭 회로(12)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의 수가 1개일 수 있으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 선단부에 근접되게 하여 용량결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2개의 수평선조(5a, 5b) 사이에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의 선단을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근접되게 하여 용량결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더 안정된 용량결합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호작용이 작용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전도성 선조(2)의 기저선(2a); 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바(3, 3') 또는 버스 바 근처로부터 연장된 수평선조(2c); 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기저 가열선조(2a)로부터 분파되어 설치된 수평선조(2c)에 FM 서브안테나를 근접되게 함으로써 서브안테나(6)의 수신 이득을 개선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안테나(6)의 수평선조의 선단부로부터 급전점(9)의 끝 부근까지 C의 형태를 갖도록 접혀있는 접선조를 설치함에 의해서 일본내 대역(76~90MHz)부터 북미 대역(88~108MHz)까지의 FM 대역에 이르기까지,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이루는 데 작용을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및 주파수 76~90MHz 대역을 갖는 일본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가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상부 여백부에 설치되었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에서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수평선조(4a, 4b)는 각각의 중점 근방에서 수직선조(4c)와 접속하며, 수직선조(4c)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차량 밖에서 보았을 때 좌측 수평방향으로 플랜지 좌측변 근방까지 연장되는 인출선(4e)이 제공되고 이 인출선(4e)은 제1급전점(7)에 접속되었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서는, 제1급전점 하부 근처에서 설치되어 제2급전점(8)으로부터 연장된 2개의 수평선조(5a, 5b)가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수평선조(5a, 5b) 사이에,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중 가열선조(2a)에 가까운 수평선조 4b의 좌측 선단부를 개재시키는 방식으로 수직으로 근접하게 하여 용량결합을 이루었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1급전점(7)으로부터 AM 라디오 방송파대용 앰프(10)를 경유하여 튜너(14)에 접속하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제2급전점으로부터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경유하지 않고 튜너(14)에 직접 접속하였다.
유리판(1)은 대개 사다리꼴의 형태이며, 이는 윗변이 1,100mm, 밑변이 1,300mm 그리고 높이는 800mm의 크기이다.
본 발명의 각 안테나(4, 5)의 선조 길이는 하기와 같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 4a의 길이는 1000mm, 수평선조 4b의 길이는 750mm, 수직선조(4c)의 길이는 155mm, 인출선(4e)의 길이는 550mm이다.
수직선조(4c)의 위치는 수평선조 4a의 중점 및 수평선조 4b의 우선단으로부터 300mm 지점에 접속한 곳이다. 인출선(4e)의 위치는 수평선조 4a로부터 85mm 떨어지고 수평선조 4b로부터 70mm 떨어진 위치이다.
반면에,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300mm이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b)의 좌선단으로부터 100mm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해 있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와 수평선조 4b 사이의 거리는 각각 7mm이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 4a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플랜지 안쪽의 상변으로부터 20mm 떨어지게 되어있다. 수평선조 4b는 가장 상부에 있는 가열선조 2a로부터 30mm 떨어지게 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FM 서브안테나(6)는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하부 여백부에 설치되어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2)의 버스 바(3)로부터 연장된 수평선조 2c에 근접하여,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로 다이버시티 수신을 하였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 가열 전도성 선조(2), 각 급전점 및 버스 바는, 은 페이스트 등의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 유리판 표면 위에 인쇄되고 소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수득한 창 유리판은 차량 후면 창에 설치되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1급전점과 AM 방송파대용 앰프를 피더 선(feeder line)으로 연결하였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서는, 제2급전점(8)으로부터 AM 대역 차단 콘덴서(shielding capacitor, 13)를 경유하여 AM 방송파대용 앰프(1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었고, AM 방송전파대용 전파 및 FM 방송파대용 전파가 합성된 조건하에서 피더 선에 의해 튜너(14)까지 연결되었다.
제1급전점(7)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에서 AM 방송파대용 앰프(10)를 통하여 튜너(14)에 연결되고, AM 대역 차단 콘덴서(13)가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서 제2급전점에 연결되고, FM 대역에서 앰프없이 튜너(14)에 연결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급전점(8)에 연결된 FM 안테나(5)와 급전점(9)에 연결된 FM 서브안테나(6) 사이의 2계통 안테나로 다이버시티 수신한 결과로서, 76MHz 내지 90MHz인 FM 방송파 대역의 평균 수신 이득이 -15.8dB(다이폴 비)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근접하도록 하여 용량결합을 이루었다. 이로써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필요치 않게 되었으며, 각각의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A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AM 대역 차단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만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경우, 상기의 앰프는 AM 전용이며, 따라서 AM 및 FM에 대해서 2개의 앰프가 필요한 경우와 비교하면 앰프에 의해 점유된 전체 공간은 수분의 1로 축소되었고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2
도 2에서 도시한 실시예 2에서, 차량의 후부 창유리(1)를 차량 외부에서 봤을 때,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1급전점(7)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2급전점(8)이 플랜지의 수직측변의 우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는 실시예 1에 관하여 대략 대칭되는 위치이다.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선조의 길이와 간격뿐이다.
FM 서브안테나는 가열 전도성 선조의 하부 여백부에 설치되었다. 제3급전점은 우측 버스 바의 하부에 설치되었고,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선조는 가열선조의 기저선의 근처에 설치되었다.
본 발명의 각 안테나(4, 5)의 선조 길이는 하기와 같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 4a의 길이는 1000mm, 수평선조 4b의 길이는 900mm, 수직선조(4c)의 길이는 150mm, 인출선(4e)의 길이는 600mm이다.
수직선조(4c)의 위치는 수평선조 4a의 중점과 수평선조 4b의 우선단으로부터 500mm 지점에 접속한 곳이다. 인출선(4e)의 위치는 수평선조 4a로부터 80mm 떨어지고 수평선조 4b로부터 70mm 떨어진 위치이다.
반면에,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300mm이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b)의 우선단으로부터 길이 200mm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해 있다.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와 수평선조 4b 사이의 거리는 각각 10mm이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해, 실시예 1과 유사하게 76MHz 내지 90MHz의 주파수에 대한 일본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신 이득이 -15.6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3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 3에서는 88~108MHz 대역의 주파수에 대한 북미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로서 제공되는 안테나가 있으며, 실시예 1과는 각각의 선조 길이만 다른 변형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각 안테나(4, 5)의 선조 길이는 하기와 같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 4a의 길이는 900mm, 수평선조 4b의 길이는 800mm, 수직선조(4c)의 길이는 155mm, 인출선(4e)의 길이는 560mm이다.
수직선조(4c)의 위치는 수평선조 4a의 중점과 수평선조 4b의 우선단으로부터 300mm 지점에 접속한 곳이다. 인출선(4e)의 위치는 수평선조 4a로부터 85mm 떨어지고 수평선조 4b로부터 70mm 떨어진 위치이다.
반면에,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180mm이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b)의 좌선단으로부터 길이 120mm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해 있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같은 패턴을 갖으며, 88~108MHz의 주파수에 대한 북미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신 이득이 -16.7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4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인출선을 수직선조로부터 제1급전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보조 수평선조를 설치한 실시예 3의 변형된 패턴을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각 안테나(4, 5)의 선조 길이는 하기와 같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 4a의 길이는 900mm, 수평선조 4b의 길이는 800mm, 수직선조(4c)의 길이는 155mm, 인출선(4e)의 길이는 580mm, 수평보조선조(4d)의 길이는 250mm이다.
반면에,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190mm이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b)의 우선단으로부터 길이 110mm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해 있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3에서와 같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3과 같은 패턴을 갖으며, 88~108MHz 대역의 주파수에 대한 북미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신 이득이 -16.1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5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 5에서는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는 실시예 1의 제2급전점(8)으로 연결된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로부터 1개의 수평선조 5b만 선택된 것이고, 수평선조 5b의 선단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중 가열선조 2a에 가까운 측의 수평선조 4b의 좌선단에 근접되도록 하여 용량결합을 이루게 하였다.
본 발명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 5b는 300mm의 길이이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수평선조 4b의 좌선단으로부터 길이 100mm의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해 있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실시예 1과 유사한 본 실시예에 의해 76~90MHz의 주파수에 대한 일본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신 이득이 -16.4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6
도 6에서 도시한 실시예 6의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는 도 1의 실시예 1과는 수평선조 4a의 길이가 880mm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게다가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는 도 1의 실시예 1에서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도 1의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6) 대신에,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상부 창 프레임측의 수평선조 4a의 좌선단을 2개의 수평선조(5a', 5b')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시키고 이들을 근접하게 함으로써 용량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5')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300mm이다. 각각은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의 좌선단으로부터 길이 100mm 차이로 수평선조(4b)에 근접한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실시예 1과 비교시 실시예 6에서는 2개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가 제공된다. 상기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에의해 76~90MHz 대역의 주파수에 대한 일본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신 이득이 각각 -16.8dB 및 -17.2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 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1급전점으로부터 AM 방송파대용 앰프까지 피더 선에 의해 연결되었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 대하여 제2급전점(8)으로부터 AM 대역 차단 콘덴서(13)를 경유하여 AM 방송파대용 앰프(10)의 출력단자까지 연결되었으며, AM 방송전파대용 전파 및 FM 방송파대용 전파가 합성된 상태로 피더 선에 의하여 튜너(14)로 연결되었다.
더욱이,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5')에 관하여, 서브 제2급전점(8')으로부터 AM 대역 차단 콘덴서(13')를 경유하여 튜너(14)까지 연결되었고, 2개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에 의한 다이버시티 수신이 제공되었다. 따라서, 더 높은 수신특성 및 방향특성이 얻어진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실시예 7
도 7에서 도시한 실시예 7에서는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는 완전히 도 1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차이점은, 도 1의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6) 대신에, 가열선조(2a)에 가까운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 나(4) 측면의 수평선조 4b의 우측선단을 2개의 수평선조(5a', 5b')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시키고 이들을 근접하게 함으로써 용량결합을 이루게 하는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5')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평선조(5a, 5b)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의 수평선조(5a', 5b')의 길이는 각각 300mm이다. 각각은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수평선조(4a, 4b)의 양 선단으로부터 길이 100mm 차이로 수평선조 4b에 근접한다. 다른 선조 및 간격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2개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가 제공된다.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에 의해, 76~90MHz 대역인 주파수의 일본내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의 수신 이득이 각각 -16.6dB 및 -16.8dB가 되었다. FM 방송파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 10에서 도시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설치된 경우 평균 수신 이득(-17dB)과 비교시 손색이 없었으며 실용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하였다.
AM 방송파는 AM 방송파대용 앰프에 의해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4)의 제1급전점으로부터 AM 방송파대용 앰프까지 피더 선에 의해 연결되었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에 대하여 제2급전점(8)으로부터 AM 대역 차단 콘덴서(13)를 경유하여 AM 방송파대용 앰프(10)의 출력단자까지 연결되었으며, AM 방송전파대용 전파 및 FM 방송파대용 전파가 합성된 상태로 피더 선에 의하여 튜너(14)로 연결되었다.
더욱이,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5')에 관하여, 서브 제2급전점(8')으로부터 AM 대역 차단 콘덴서(13')를 경유하여 튜너(14)까지 연결되고, 2개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5, 5')에 의한 다이버시티 수신이 제공된다. 따라서, 더 높은 수신특성 및 방향특성이 얻어진다.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각 AM 방송파 및 FM 방송파의 수신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FM 방송파 수신 앰프 및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Claims (7)

  1. 차량의 후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加熱線條)의 적어도 상부 여백부에 설치된 안테나로서,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수평선조 및, 각 수평선조의 중점 근방에서 2개의 수평선조를 접속하는 수직선조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수직선조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선(引出線)을 플랜지의 종변(縱邊)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1급전점에 접속한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 및 상기 제1급전점 근방에 설치한 제2급전점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를 갖는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적어도 1개의 수평선조가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 중 어느 하나의 수평선조의 일단(一端)에 근접하여 용량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의 선단부 중 2개소 이상의 각각에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설치하여 용량결합을 이루고, 상기 2개 이상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다이버시티 수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수직선조의 중점 근방으로부터 상기 제1급전점과는 반대방향으로 수평보조선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1급전점으로부터 AM 라디오 방송파용 앰프를 경유하여 튜너에 접속하고,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2급전점으로부터 앰프 또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경유하지 않고 튜너에 직접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제2급전점으로부터의 각 선조 길이는, 주파수가 76~90MHz대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로서 사용할 때에는 200~400mm로 하고, 주파수가 88~108MHz대의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로서 사용할 때에는 150~300mm로 하며,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수평선조와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수평선조를 서로 근접시켜 용량결합을 이루는 부분의 선조 길이를 50~300mm로 하고, 상기 근접하여 용량결합을 이루는 부분의 선조 간격을 5~30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김서림 방지용 가열선조의 하부 여백부에 FM 방송파 수신용 서브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F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로 다이버시티 수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M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의 2개의 수평선조에 추가적으로, 상기 수평선조 사이에 수직선조와 직교하는 1~2개의 수평선조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안테나.
KR1020077022617A 2005-03-29 2006-03-17 차량용 유리 안테나 KR20070113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6361 2005-03-29
JP2005096361 2005-03-29
JPJP-P-2006-00032946 2006-02-09
JP2006032946A JP4370303B2 (ja) 2005-03-29 2006-02-09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274A true KR20070113274A (ko) 2007-11-28

Family

ID=3705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617A KR20070113274A (ko) 2005-03-29 2006-03-17 차량용 유리 안테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56796B2 (ko)
EP (1) EP1841007A4 (ko)
JP (1) JP4370303B2 (ko)
KR (1) KR20070113274A (ko)
CN (1) CN101091286B (ko)
TW (1) TW200703771A (ko)
WO (1) WO20061039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1B1 (ko) * 2008-12-01 2011-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라스 안테나
KR101066120B1 (ko) * 2008-12-17 2011-09-20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급전 포인트가 그 내부에 배치된 am/fm 창유리 안테나 패턴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5865B2 (en) * 2006-12-27 2010-11-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JP5023815B2 (ja) * 2007-05-31 2012-09-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5023956B2 (ja) * 2007-10-15 2012-09-12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5339710B2 (ja) * 2007-10-23 2013-11-1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DE102007057714A1 (de) * 2007-11-30 2009-06-04 Robert Bosch Gmbh Antennenanordnung sowie Verfahren
KR100994042B1 (ko) 2008-06-27 2010-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 안테나
US8362783B2 (en) * 2008-08-27 2013-01-29 Agc Automotive Americas Co. Method for verifying a completeness of an antenna
WO2010032285A1 (ja) * 2008-09-16 2010-03-2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5262537B2 (ja) * 2008-10-02 2013-08-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EP2343773B1 (en) * 2008-10-02 2018-03-07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Vehicular glass antenna
JP5470866B2 (ja) * 2008-10-02 2014-04-1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5119495B2 (ja) * 2008-12-04 2013-01-16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KR101066407B1 (ko) * 2009-03-19 2011-09-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안테나
EP2426784A4 (en) * 2009-04-28 2012-12-26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ANTENNA
US8564489B2 (en) * 2009-06-16 2013-10-2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ntenna and window glass for vehicle
DE102009030344A1 (de) * 2009-06-25 2010-12-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eibe mit mindestens einem Heizleiter und mindestens einer Antenne
JP5493750B2 (ja) * 2009-11-17 2014-05-14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車両用窓ガラス
JP5428847B2 (ja) * 2009-12-25 2014-02-2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5514568B2 (ja) * 2010-02-04 2014-06-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アンテナ
EP2649682A1 (en) * 2010-12-09 2013-10-16 AGC Automotive Americas R & D, Inc. Window assembly having a transparent layer with an antenna extension defining a slot therein
US20120223810A1 (en) * 2011-03-04 2012-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remote vehicle control functions
KR20140027253A (ko) * 2011-05-12 2014-03-0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안테나 및 창 유리
JP6137191B2 (ja) * 2012-10-25 2017-05-31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取付構造
US9653792B2 (en) 2014-02-03 2017-05-16 Pittsburgh Glass Works, Llc Window antenna loaded with a coupled transmission line filter
USD760205S1 (en) * 2014-03-28 2016-06-28 Lorom Industrial Co., Ltd. Antenna for glass
CN105826663A (zh) * 2015-01-04 2016-08-03 莱尔德无线技术(上海)有限公司 车辆用天线及天线系统
JP6863697B2 (ja) * 2015-10-29 2021-04-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
JP6390666B2 (ja) * 2016-06-03 2018-09-19 マツダ株式会社 ガラスアンテナ
US10330773B2 (en) * 2016-06-16 2019-06-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dar hardware accelerator
EP3480888A4 (en) * 2016-07-01 2020-04-15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VEHICLE WINDOW GLASS
JP6812824B2 (ja) * 2017-02-14 2021-01-13 Agc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
CN108448224B (zh) * 2017-02-14 2020-12-01 Agc株式会社 玻璃天线及车辆用窗玻璃
DE102019101826A1 (de) * 2018-02-09 2019-08-14 AGC Inc. Glasscheibe für ein Fahrzeug und Antenne
CN112437927B (zh) * 2019-06-24 2024-04-30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应答器的可加热交通工具玻璃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797A (en) * 1987-09-29 1990-09-04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Vehicle window glass antenna coupled with defogging heater
JPH0213311U (ko) 1988-07-08 1990-01-26
EP0629018A3 (en) * 1988-07-14 1995-06-14 Asahi Glass Co Ltd Motor vehicle antenna.
JPH0758850B2 (ja) * 1989-07-24 1995-06-2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H0486102A (ja) * 1990-07-30 1992-03-18 Central Glass Co Ltd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H06224613A (ja) 1993-01-22 1994-08-12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3053716B2 (ja) 1993-06-30 2000-06-1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3500695B2 (ja) 1994-03-04 2004-02-23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放送受信用リアガラスアンテナ
US5933119A (en) * 1997-02-20 1999-08-03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ntenna system for vehicles
JP3786756B2 (ja) 1997-02-28 2006-06-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DE19833803B4 (de) * 1998-07-28 2005-06-30 Robert Bosch Gmbh Antennenweiche
DE60018917T2 (de) * 1999-05-13 2006-03-30 Nippon Sheet Glass Co., Ltd. Scheibenantennenanordnung für fahrzeug und funkempfänger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JP4374784B2 (ja) 2000-02-24 2009-12-02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アンテナ用端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1B1 (ko) * 2008-12-01 2011-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라스 안테나
KR101066120B1 (ko) * 2008-12-17 2011-09-20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급전 포인트가 그 내부에 배치된 am/fm 창유리 안테나 패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1286B (zh) 2013-04-03
WO2006103956A1 (ja) 2006-10-05
EP1841007A1 (en) 2007-10-03
EP1841007A4 (en) 2014-01-29
TWI309093B (ko) 2009-04-21
CN101091286A (zh) 2007-12-19
US20080106480A1 (en) 2008-05-08
JP2006311499A (ja) 2006-11-09
JP4370303B2 (ja) 2009-11-25
US7456796B2 (en) 2008-11-25
TW200703771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274A (ko) 차량용 유리 안테나
US8330663B2 (en) Glass antenna for vehicle
US5138330A (en) Pane antenna having an amplifier
EP1939978B1 (en) Glass antenna for an automobile
EP2343773B1 (en) Vehicular glass antenna
EP3101733B1 (en) Glass antenna
JP3974087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US5231410A (en) Window glass antenna for a motor vehicle
EP0783774B1 (en) Antenna
JP4941158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EP0411963B1 (en) Window antenna
JP5023815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H0113643B2 (ko)
JP2003101318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S63292702A (ja) 除曇ヒ−タ線付き自動車用窓ガラス
JP3829523B2 (ja) 自動車用サイド窓ガラスアンテナ
JPH0363842B2 (ko)
JPH0242802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H04404B2 (ko)
JP2001177324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2003133830A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H08330833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2000216614A (ja) 自動車用サイド窓ガラスアンテナ
JP2002094312A (ja) 自動車用サイド窓ガラスアンテナ
JPH11191713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3

Effective date: 201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