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163A -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 Google Patents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163A
KR20070112163A KR1020077020782A KR20077020782A KR20070112163A KR 20070112163 A KR20070112163 A KR 20070112163A KR 1020077020782 A KR1020077020782 A KR 1020077020782A KR 20077020782 A KR20077020782 A KR 20077020782A KR 20070112163 A KR20070112163 A KR 2007011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tter
receiving member
receiv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니시무라
도시유키 마지마
Original Assignee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도오고교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26D7/02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acting upon planar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22With receptacle or support for cut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48With work immobilizer
    • Y10T83/7487Means to clamp work
    • Y10T83/7573Including clamping face of specific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7With inclined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7Parallel draw-cut [e.g., translat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309Anv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상에 복수매 적층시켜 탑재한 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용지 재단 장치로서, 가이드를 따라 위쪽으로부터 하강하는 용지 가압 부재(2)를 가지고, 또 아래쪽으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하는 커터(3)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압 프레임(20)의 하면에 받이부재(18)를 장착하고, 상기 받이부재(18)는 금속 등의 탄성 계수가 큰 기판(36)과 수지제 받이판(37)을 서로 접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기판(36)과 받이판(37)의 접합면에 미끄러짐 방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용지 가압 부재의 받이부재의 신축(伸縮)을 억제하여 상기 날받이면 근방의 용지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용지 재단 장치, 용지 가압 부재, 받이부재, 받이판, 미끄러짐 방지 수단

Description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PAPER CUTTING DEVICE HAVING RECEIVING PART}
본 발명은 적층된 복수매의 용지 등을 절단하는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용지 가압 프레임에 날(刃)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등의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 등을 절단하는 재단 장치에 있어서, 절단에는 커터가 날끝 모서리와 직각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가압 절단」과, 커터가 날끝 모서리와 평행한 이동을 따르면서 밀어넣어지는 「당김 절단」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88084 등에 있어서는, 커터날의 날끝은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약간 파고들고, 동시에 예리함을 좋게 하기 위해 날받이면과 평행한 이동을 따라 용지가 절단되는 후자의 「당김 절단」을 중시한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당김 절단」에 의해 용지를 절단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43)의 날끝(44)이 받이부재(40)의 날받이면(41)에 파고들도록, 날받이면(41)의 재질로 되어 있다. 이것은, 날끝(44)이 파고들지 않도록 한 하드한 날받이면(41)으로 한 경우에는, 급속히, 커터(43)의 날끝(44)이 끊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날받이면(41)에는 커터(43)의 날끝(44)에 의해 약간의 근소한 파고드는 홈 즉 식입(食入)홈(4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날끝(44)의 「기복(起伏)」이나 날받이면(41)의 요철 등을 고려하여, 0.3mm~0.7mm 정도로 파고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날끝이 파고들게 하기 위해서,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의 재질로서는, 탄성 계수가 큰 금속 등은 사용할 수 없고,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가 사용된다.
그러나, 날끝이 파고든 상태에서 커터를 날받이면에 평행으로 이동시키면,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은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커터의 이동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 6a 및 도 6b는 받이부재(40)의 날받이면(41)에 날끝이 파고든 상태에서 커터(43)를 평행 이동하는 경우의 상기 받이부재(40)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받이부재(40)는 그 양단이 고정되어 있지만, 날끝(44)이 파고든 상태에서 커터(43)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한쪽의 A영역은 신장 변형되고, 반대쪽의 B영역은 압축 변형된다. 수지제의 받이부재(40)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PP)인 경우, 그 탄성 계수가 철의 1/10O정도인 103~104kg/cm2이며, 그러므로, 받이부재(40)의 길이를 300mm로 하면, 중앙부에서는 0.4mm~0.8mm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
따라서, 받이부재(40) 근방의 1~2매의 용지에는 상기 변형에 의해 주름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재단 장치를 복사기에 내장하도록 한 경우, 복사 직후에 용지를 절단할 때, 상기 용지에 주름이 발생하면, 복사면이 마찰되어 문자나 도형이 흐려지거나, 다른 지면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당김 절단하는데 있어서 용지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터의 날끝의 평행이동에 의해 용지 가압 부재의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이 변형되지 않고 절단을 행할 수 있는 용지 재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에 관한 용지 재단 장치는, 커터를 용지 가압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하여, 위쪽으로부터 용지를 가압하는 용지 가압 부재는 커터날을 수용하는 받이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승하는 커터에 의해 용지를 절단하는 것이다. 또, 이 용지 재단 장치는, 적층된 복수매 용지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커터를 경사 위쪽으로 상승시켜 용지를 절단하는 것이며, 용지는 아래쪽으로부터 1매씩 절단되고, 부스러기는 자연스럽게 낙하하므로, 부스러기가 받이부재 주변에 남아 날끝에 부착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 재단 장치에서는, 적층된 복수매의 용지를 절단하는 커터는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이동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매의 용지를 절단한다. 용지 가압 부재는, 용지 가압 프레임과 그 용지 가압 프레임에 장착된 받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최후의 용지를 절단할 때는 커터의 날끝은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파고들고, 날끝이 파고든 상태에서 커터를 날받이면과 평행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날받이면을 변형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용지 재단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용지를 위쪽으로부터 가압하기 위한 용지 가압 부재와, 경사지게 상하 이동하고 아래쪽으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하여 용지를 절단하는 커터를 가지고, 상기 용지 가압 부재가, 최상위의 용지에 접하는 동시에 상기 커터의 날을 수용하기 위한 받이부재와, 하면에 장착된 상기 받이부재를 담지(擔持)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에 걸어맞추어지는 용지 가압 프레임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에 복수매 적층시켜 탑재한 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용지 재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를 금속 등의 탄성 계수가 큰 기판과 수지제 받이판을 서로 접합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판과 받이판의 접합면 상호 간의 미끄러짐이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미끄러짐 방지 수단으로서는, 상기 기판과 받이판의 한쪽의 접합면에 어긋남 방지 철부(凸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접합면에 어긋남 방지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상기 어긋남 방지 요부에 상기 어긋남 방지 철부를 끼워맞춘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미끄러짐 방지 수단으로서는, 기판의 접합면에 미세한 스파이크형 돌기를 무수히 형성하고, 상기 스파이크형 돌기를 수지제 받이판의 접합면에 파고들게 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는, 상기 용지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너트와, 상기 너트와 상기 용지 가압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각각 가지고, 상기 가이드홈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커터날을 협지하는 한쌍의 가이드와, 상기 커터날로부터 커터날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더와, 커터의 스트로크수가 소정 회수에 달한 곳에서 상기 받이부재를 일정 피치분만큼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지는 용지 재단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재단 장치에서는, 적층된 복수매의 용지를 절단하는 커터는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이동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매의 용지를 절단한다. 용지 가압 부재에는 받이부재가 장착되어 최후의 용지를 절단할 때는 커터의 날끝은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파고들게 되고, 이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받이부재는 그 양단이 고정되고, 또한 그 외의 부위에서는 상기 받이부재의 신장 변형을 억제하도록 탄성 계수가 큰 기판과의 조합(組合) 구조로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에서는, 용지 가압 부재의 받이부재는 그 양단이 고정되어 용지 가압 부재 본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받이부재는 탄성 계수가 큰 금속 등의 기판과 수지제의 받이판이 서로 접합된 조합 구조로 하고, 또 접합면은 미끄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절단 마찰에 의한 받이부재의 신장 변형은 억제된다. 따라서, 날끝이 날받이면에 파고든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해도, 받이부재의 신축 변형이 억제되므로 날받이면 근방의 용지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재단 장치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재단 장치의 상기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받이부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받이부재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1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1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c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1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커터날끝과, 그에 따라 형성되는 식입홈을 가지는 받이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커터날끝이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파고든 상태에서 슬라이드할 때의 받이부재의 신장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b는 커터날끝이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파고든 상태에서 슬라이드하는 상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2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를 나타낸 평면 도이다.
도 7b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2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의, 기판과 받이판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c는 미끄러짐 방지 수단의 제1 구체예를 구비한 받이부재의, 기판과 받이판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지 재단 장치는, 용지 가압 부재에 의해 적층된 용지를 클램프하고, 아래쪽으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상승하는 커터에 의해 절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커터는 경사 위쪽으로 밀어올릴 수 있으므로, 아래쪽으로부터 용지를 1매씩 절단할 수 있어, 절단한 부스러기는 자연스럽게 낙하하고, 커터의 날끝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수개를 중첩한 피절단재(시트 다발, 적층 용지, 금속박(金屬箔), 박(薄)금속판층)를 절단하는 재단 장치의 절단 저항은, 날붙이(刃物)에 의한 피절단재의 변형량인 압축 탄성의 변동이나, 마찰력의 변동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동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재단 장치를 구동 모터 등으로 구동하는 데는, 그 구동 모터 등의 구동력은, 최대 절단 저항에 따라 설정하는 동시에, 재단 장치 자체의 강성도 최대 절단 저항에 따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용지 재단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적층된 복수매의 용지(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가압하는 용지 가압 부재(2)와, 용지(1)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3)를 가지고 있다. 적층된 용지(1)는 평탄한 테이 블(4) 상에 탑재되고, 용지 가압 부재(2)는 위쪽으로부터 하강하고, 용지(1)가 절단될 때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용지 가압 부재(2)에 의해 견고하게 클램프된다.
용지 가압 부재(2)는, 받이부재(18)와 ㄷ자형 단면의 용지 가압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고, 용지의 전폭에 걸쳐서 들어맞고, 상기 용지 가압 프레임(20)은 중립축에 대하여 등거리로 설치되어 있는 링크(5, 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5, 5)는 스크류(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너트(7, 7)에 축(8, 8)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6)가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너트(7, 7)의 간격은 증감하고, 그 결과, 용지 가압 프레임(20)과 축(8, 8, 9, 9)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링크(5, 5)의 경사가 변화한다.
도 1에 있어서, 너트(7, 7)의 간격이 축소되면, 용지 가압 부재(2)는 하강하여 적층되어 있는 용지(1)를 가압한다. 그리고, 용지 가압 부재(2)는 그 양 측부가 한쌍의 세로빔(19, 19)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으므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크류(6)의 회전에 따른 너트(7, 7)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용지 가압 부재(2)는 승강이동한다. 상기 스크류(6)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사이에 복수개의 기어를 개재시킴으로써 회전 속도를 떨어뜨려 천천히 회전한다. 그리고, 용지 가압 부재(2)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리누르는 스프링력이 가압되고, 링크(5, 5)가 기립(起立)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은 당겨져 신장되어 용지 가압 부재(2)가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어 기구와 링크 기구를 조합한 용지 가압 부재이므로, 예를 들면, DC 24V의 전원으로 25W 상당의 모터를 사용해도 용지(1)를 강력하게 클램 프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7, 7)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링크(5, 5)의 경사를 알 수 있고, 그 결과, 용지 가압 부재(2)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용지(1)의 두께를 알 수가 있으므로, 커터(3)의 이동량을 무리없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커터(3)는 커터 테이블(10)에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용지 가압 부재(2)의 아래쪽에 장착되고, 양 가이드(11, 11)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드한다. 또한, 커터(3)의 슬라이드 방향은 경사 상하 방향으로서, 가이드(11, 11)에는 2개의 가이드홈(12, 12)이 소정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홈(12, 12)은 경사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커터(3) 및 커터 테이블(10)을 관통하는 축핀에는 슬라이더(13, 13)가 장착되고, 이 슬라이더(13, 13)는 가이드홈(12, 12)에 끼워져 있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더(113, 13)가 가이드홈(12, 12)을 따라 이동하면, 커터(3)는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단, 커터(3)는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양 가이드홈(12, 12)에 슬라이더(13, 13)가 끼워져 이동함으로써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어 이동한다. 경사진 가이드홈(12, 12)의 좌측단에 슬라이더(13, 13)가 있을 때 커터(3)는 하강하고 있지만, 슬라이더(13, 13)가 슬라이드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터(3)는 상승한다.
한편, 커터날(3)이 면접촉하고 있는 커터 테이블(10)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4, 14)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14, 14)에 축핀(15, 15)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3, 13)가 가이드홈(12, 12)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터(3)는 가이드홈(12, 12)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커터 테 이블(1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동한다.
그런데, 커터(3) 및 커터 테이블(10)을 승강이동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터(3)의 아래쪽에는 스크류를 수평으로 장착하고, 상기 스크류는 모터에 의해 복수개의 기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고,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너트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과 함께 이동한다.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너트의 움직임을 슬라이더(13, 13)에 전동(傳動)한다.
따라서, 커터(3)는 가이드홈(12, 12)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밀어올려지고, 용지 가압 부재(2)에 의해 클램프되어 있는 용지(1)를 아래쪽으로부터 1매씩 절단한다. 그리고, 용지(1)가 1매씩 절단되므로, 용지(1)의 절단 부스러기는 날끝면과 마찰되지 않고 낙하하고, 따라서 용지(1)의 절단 부스러기가 날끝에 부착되지 않는다. 여기서, 용지(1)를 절단하는 데는 상기 커터(3)가 상승하는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하므로, 클램프되어 있는 용지(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링크(5, 5)를 통하여 용지 가압 부재(2)에 의해 강력하게 클램프되어 있다.
그런데, 커터의 예리함은 상기 커터와 용지의 절단 저항이 적을 수록 양호하다. 절단에는 커터가 날끝 모서리와 직각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가압 절단」과, 커터가 날끝 모서리와 평행한 이동을 하면서 밀어넣어지는 「당김 절단」이 있다. 본 발명은 후자의 「당김 절단」을 중시한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여기서 커터의 선단각(쐐기각) γ, 날끝 모서리에 직각인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속도(압입(押入) 속도) V와, 커터가 날끝 모서리와 평행한 이동을 하는 속도(수평 속도) v에 의해, 외관의 커터 선단각(유효 쐐기각) β는 다음의 식에 의해 표현된다.
tanβ= V/(V2+v2)/2)1/2ㆍtanγ
이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단 저항은 용지의 질과 커터의 외관의 선단각(유효 쐐기각) β에 의해 변화되고, 용지의 질에 따른 최적 쐐기각 β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용지 재단 장치는 상기의 식을 고려하여, 사무기 등에 장비되는 것에 의한 실용상의 치수, 절단 시간 등의 제약 조건에 따라 최적의 압입 속도 V 및 수평 속도 v를 제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지 재단 장치에서는 상기 커터(3)가 상승함으로써 클램프되어 있는 용지(1)를 절단하지만, 커터(3)의 날끝은 용지 가압 부재(2)의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약간 파고들게 된다. 또한, 날받이면까지 닿지 않으므로 용지(1)의 절단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또 역으로 커터(3)의 날끝이 날받이면에 너무 파고들지 않도록 스토퍼(16, 16)가 용지 가압 부재(2)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16, 16)는 나사 기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 위치는 조정 가능하다. 커터(3)가 면접촉하고 있는 커터 테이블(10)에는 스토퍼 받침대(17, 17)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터(3)가 상승하면, 스토퍼 받침대(17, 17)는 용지 가압 부재(2)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16, 16)에 맞닿고, 상기 커터(3)의 상승이 저지된다. 커터(3)는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지만, 커터 테이블(10)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스토퍼 받침대(17, 17)는 스토퍼(16, 16)에 맞닿는다.
커터(3)가 상승하여 스토퍼 받침대(17, 17)가 스토퍼(16, 16)에 맞닿음으로 써, 상기 모터(3)를 상승시키기 위한 모터에는 규정 이상의 부하가 작용한다. 이 부하가 규정값 이상으로 달한 곳에서 모터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제어되고, 용지(1)의 부스러기를 발생하지 않고, 또 커터(3)의 날끝이 용지 가압 부재의 받이부재에 너무 파고드는 일 없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용지(1)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커터(3)의 날끝은 받이부재의 날받이면에 파고들게 되고,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날받이면의 파고드는 홈이 커지면, 용지(1)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받이부재(18)를 이동식으로 하고 있다. 즉, 커터(3)가 소정의 스트로크수(예를 들면 500~600)에 달한 곳에서 일정 피치만큼 슬라이드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지 가압 프레임(20)은 위쪽이 개구된 단면 ㄷ자형을 이루고,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은 세로빔(19, 19)에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고, 상기 용지 가압 프레임(20)의 하면에는 받이부재(18)가 장착되어 있다. 하면의 양측에는 받이부(21, 21)가 나사 고정되고, 이 받이부(21, 21)에 이동식 받이부재(18)의 양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a~도 4c는 이동식 받이부재(18)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이동식 받이부재(18)의 상면에는 받이부재 랙(22, 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 가이드홈(23, 23)이 받이부재 랙(22, 2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용지 가압 프레임(20)의 하면에 장착된 가이드편(24, 24)은 상기 가이드홈(23, 23)에 끼워지고, 받이부재 랙(22, 22)에는 피니언 기어(26, 26)가 맞물려, 상기 피니언 기어(26, 26)가 회전함으로써 이동식 받이부재(18)는 가이드편(24, 24)을 따라 슬라 이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기어(26)가 솔레노이드(25)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솔레노이드(25)의 가동(可動) 철심인 로드(27)에는 랙(28)이 연결되고, 이 랙(28)은 원웨이 클러치 기어(29)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5)가 동작하여 랙(28)이 하강할 때는, 원웨이 클러치 기어(29)는 회전하지만, 랙(28)이 상승할 때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 기어(29)가 회전하지 않는다.
원웨이 클러치 기어(29)는 축(30)에 장착되고, 축(30)의 양단은 용지 가압 프레임(20)에 장착된 지지 프레임(35)의 베어링에 축지지되고, 상기 축(30)의 양 단부에는 기어(31, 3l)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31, 31)는 기어(32, 32)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기어(32, 32)는 상기 피니언 기어(26, 26)와 맞물려 있다. 그런데, 기어(31, 32), 및 피니언 기어(26)는 브래킷(33)에 장착되고, 상기 브래킷(33)은 상기 기어(31, 31)와 동축(同軸)을 이루어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25)가 동작함으로써, 랙(28), 원웨이 클러치 기어(29), 기어(31), 기어(32)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26)가 회전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26)가 회전함으로써 받이부재 랙(22)이 이동하고, 이동식 받이부재(18)는 일정 피치분만큼 슬라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33)은 기어(31, 31)와 동축을 이루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34)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브래킷(33)은 내리눌러진다. 즉, 피니언 기어(26)가 이동식 받이부재(18)의 받이부재 랙(22)에 정확하게 맞물려, 구동시에 톱니가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력이 가압된다. 그래서, 상기 코일 스프링(34)은 브래킷(33)의 선단과 용지 가압 프레임(20)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식 받이부재(18)를 교환할 때는, 코일 스프링(34)을 당겨 신장시켜 브래킷(33)을 들어 올린다. 즉, 기어(31)의 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킴으로써 브래킷(33)을 들어 올리고, 이 상태에서 이동식 받이부재(18)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식 받이부재(18)는 피니언 기어(26)의 회전에 의해 조금씩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용지(1)의 절단시에는 용지 가압 프레임(2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용지 가압 프레임(20)의 하면에 이동식 받이부재(18)가 받이부(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받이부재(18)는 피니언 기어(2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러므로 이동식 받이부재(18)의 지지 구조는, 이동식 받이부재(18)를 상기 받이부(21)에 의해 항상 완전하게 클램프하는 구조는 아니다.
그런데, 상기 이동식 받이부재(18)는,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기판(36)과 수지제의 받이판(37)으로 이루어지고, 기판(36)에는 그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23, 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36)에는 직사각형의 어긋남 방지 요부(38, 38, 38)가 양 측부와 중앙의 3개소에 형성되고, 한쪽의 받이판(37)에는 직사각형의 어긋남 방지 철부(39, 39, 39)를 양 측부와 중앙부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받이판(37)은 기판(36)에 중첩되는 동시에 어긋남 방지 철 부(39, 39, 39)는 어긋남 방지 요부(38, 38, 38)와 결합되고, 그리고 양측 단이 비스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받이부재(18)는 탄성 계수가 큰 금속제의 기판(36)에 수지제의 받이판(37)을 접합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어긋남 방지 철부(39, 39, 39)가 어긋남 방지 요부(38, 38, 38)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판(37)은 어긋남 방지 철부(39, 39, 39)가 끼워맞추어지는 3개소에 의해 기판(36)과 고정되고, 어긋남 방지 철부 사이에 있어서는 받이판(37)의 신축 변형이 행해진다. 양 어긋남 방지 철부(39, 39, 39) 사이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압축 변형과 신장 변형이 행해지기 때문에 중앙부에서의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지만, 그 위치 편차량은 어긋남 방지 철부 사이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그러나, 상기 기판(36)의 3개소에 어긋남 방지 요부(38, 38, 38)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받이판(37)에는 3개소에 어긋남 방지 철부(39, 39, 39)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치 편차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어긋남 방지 요부(38, 38…)의 수와 어긋남 방지 철부(39, 39…)의 수를 보다 많게 하면 어긋남 방지 철부 사이 거리가 작아지기 때문에, 그 중앙부에서의 위치 편차량은 더욱 작아진다. 또, 어긋남 방지 철부(39)가 아니고, 도 7a~도 7c, 특히, 기판(36)과 받이판(37)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 7a 및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접합면에 미세한 스파이크형 돌기(45)를 무수히 형성하고, 이 스파이크형 돌기(45)를 수지제의 받이판(37)의 접합면에 파고들게 함으로써, 기판(36)과 받이판(37)을 전체 접합면에 있어서 고착(固着)시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해지 고, 받이판(37)만의 단독 변형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받이판(37)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pp)인 경우, 그 탄성 계수는 103~ 104kg/cm2이며, 인장(引張)에 대하여 신장되기 용이하다. 이에 대하여, 스틸제의 기판(36)의 탄성 계수는 약 2.1×106kg/cm2이며, 인장에 대하여 쉽게 신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4a~도 4c에 나타낸 조합 구조, 또는 도 7a~도 7c에 나타낸 조합 구조로 함으로써, 쉽게 신장되지 않는 받이부재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단 장치는, 커터를 용지 가압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하여, 위쪽으로부터 용지를 가압하는 용지 가압 부재에 커터날을 수용하는 받이부재가 구비되어, 상승하는 커터에 의해 용지를 절단하는 용지 재단 장치에 특히 유용하지만, 커터의 날끝 모서리와 받이부재의 날받이면과 평행한 이동을 따라 절단하는 것이면, 시트 다발, 적층 용지, 금속박, 박 금속판층 등의 재단 장치에도 적합하다.

Claims (4)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용지를 위쪽으로부터 밀어올리기 위한 용지 가압 부재와; 경사지게 상하 이동하고, 아래쪽으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하여 용지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가압 부재는, 최상위의 용지에 접하는 동시에 상기 커터의 날을 수용하기 위한 받이부재와, 하면에 장착된 상기 받이부재를 담지(擔持)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에 걸어맞추어지는 용지 가압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에 복수매 적층시켜 탑재한 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용지 재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를 금속 등의 탄성 계수가 큰 기판과 수지제 받이판을 서로 접합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판과 받이판의 접합면 상호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너트와; 상기 너트와 상기 용지 가압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커터날을 협지하는 한쌍의 가이드와; 상기 커터날로부터 커터날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슬 라이더와; 커터의 스트로크수가 소정 회수에 달한 곳에서 상기 받이부재를 일정 피치분만큼 이동시키는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방지 수단으로서, 상기 기판과 받이판의 한쪽의 접합면에 어긋남 방지 철부(凸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접합면에 어긋남 방지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상기 어긋남 방지 요부에 어긋남 방지 철부를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방지 수단으로서, 기판의 접합면에 미세한 스파이크형 돌기를 무수히 형성하고, 상기 스파이크형 돌기를 수지제 받이판의 접합면에 파고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KR1020077020782A 2005-03-25 2006-03-06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KR20070112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7450 2005-03-25
JPJP-P-2005-00087450 2005-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163A true KR20070112163A (ko) 2007-11-22

Family

ID=3705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782A KR20070112163A (ko) 2005-03-25 2006-03-06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46472B2 (ko)
EP (1) EP1862272A4 (ko)
JP (1) JP4937113B2 (ko)
KR (1) KR20070112163A (ko)
CN (1) CN100577374C (ko)
TW (1) TWI337575B (ko)
WO (1) WO2006103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7180B2 (ja) * 2007-01-11 2011-09-0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穴開け装置
US8561272B2 (en) * 2009-03-12 2013-10-22 Formtek, Inc. Apparatus for assembling insulated duct sections
US8156593B2 (en) * 2009-06-01 2012-04-17 Golden Chang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making goodyear shoe
JP5804701B2 (ja) * 2010-12-28 2015-11-04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切断装置
US10245803B2 (en) 2013-03-13 2019-04-02 Xerox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and creasing media
CN103552109B (zh) * 2013-11-13 2016-05-11 常德金鹏印务有限公司 一种纸张的加工装置及其加工工艺
CN106625818A (zh) * 2017-02-19 2017-05-10 盐城市隆祥机械制造厂 一种带有移动头的裁断装置
CN106863405B (zh) * 2017-03-06 2018-09-21 黄海滨 一种切纸精准度高的切纸装置
CN109910367B (zh) * 2019-04-23 2023-11-24 涿州皓原箔业有限公司 一种铝箔袋生产加工装置
CN112722913A (zh) * 2020-12-18 2021-04-30 安徽本色印刷有限公司 一种印刷纸张用分切装置
CN113199520A (zh) * 2021-04-07 2021-08-03 李平 一种山芋粉家用快捷刮粉设备
CN113186707B (zh) * 2021-06-02 2022-11-25 伊瓦特机器人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石材背网裁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262A (en) * 1912-02-17 1912-10-08 Hamilton Mfg Co Paper-cutting machine.
US1236508A (en) * 1913-07-28 1917-08-14 Niel Gray Jr Paper-cutting machine.
US2120926A (en) * 1937-01-26 1938-06-14 Wilmington Fibre Specialty Com Cutting stick
US2281877A (en) * 1940-10-21 1942-05-05 Frank A Green Cutting stick
DE873436C (de) * 1951-05-18 1953-04-13 Emil Wolf Unterlagplatte fuer Stanz- und Schneidarbei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3837250A (en) * 1972-10-19 1974-09-24 Globe Machine Mfg Co Ltd Super speed veneer clippers
DE2502542B2 (de) * 1975-01-23 1981-02-12 Stanztechnik Gmbh R + S,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Ausstanzen
CA1078296A (en) * 1975-02-19 1980-05-27 Robert C. Geschwender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honeycomb material
US3975976A (en) * 1975-11-03 1976-08-24 Prentice Thomas H Cutting apparatus with rotatable anvil
JPS5417987U (ko) * 1977-07-08 1979-02-05
DE2730897A1 (de) * 1977-07-08 1979-02-01 Basf Ag Photopolymerisierbare bindemittel
US4207667A (en) * 1977-09-12 1980-06-17 Flexible Design Packag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heet cutting and stacking
US5042340A (en) * 1985-03-26 1991-08-27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Slice thickness control for an automatic slicing machine
JPH0673837B2 (ja) * 1988-07-14 1994-09-21 サクラ精機株式会社 穿孔装置
JPH0588896U (ja) * 1992-05-21 1993-12-03 ワタナベフーマック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サの刃物受け装置
US6068170A (en) * 1996-08-29 2000-05-30 Seiko Epson Corporation Continuous paper cutting unit
TW418412B (en) * 1998-01-19 2001-01-11 Hosiden Corp Keyboard switch
JP2001088084A (ja) 1999-09-20 2001-04-03 Horizon International Kk 断裁装置
JP3080911U (ja) * 2001-04-06 2001-10-19 船井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板取付装置
JP2002326184A (ja) * 2001-05-01 2002-11-12 Kyodo Seiki:Kk 断裁機
JP3823267B2 (ja) * 2001-05-29 2006-09-20 信一 佐々木 ゴム切断機の刃物受け保持装置
JP4106483B2 (ja) 2001-10-26 2008-06-25 大同工業株式会社 紙の断裁装置
JP2003191196A (ja) * 2001-12-25 2003-07-08 Daido Kogyo Co Ltd 紙の断裁装置
JP2004213850A (ja) * 2002-05-13 2004-07-29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853549B2 (en) * 2003-03-14 2005-02-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s
CN2663103Y (zh) * 2003-12-10 2004-12-15 上海坚明办公用品有限公司 裁纸机压纸传动机构
US7469622B2 (en) * 2004-03-18 2008-12-30 Daido Kogyo Co., Ltd. Paper cutting machine having movable rest
JP4507809B2 (ja) * 2004-10-06 2010-07-2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用紙断裁装置及び用紙後処理装置
US7033190B1 (en) * 2004-10-26 2006-04-25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7471A (zh) 2008-03-05
EP1862272A1 (en) 2007-12-05
WO2006103877A1 (ja) 2006-10-05
CN100577374C (zh) 2010-01-06
US8146472B2 (en) 2012-04-03
JPWO2006103877A1 (ja) 2008-09-04
JP4937113B2 (ja) 2012-05-23
TWI337575B (en) 2011-02-21
US20100175527A1 (en) 2010-07-15
EP1862272A4 (en) 2011-03-23
TW200702130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2163A (ko) 받이부재를 구비한 용지 재단 장치
KR101115363B1 (ko) 이동식 레스트를 구비한 용지 절단 장치
EP2404718A1 (en) Sheet cutter and belt working apparatus
JP4106483B2 (ja) 紙の断裁装置
JP4711725B2 (ja) 紙断裁装置
EP1619003B1 (en) Vibration-type paper-cutting device
JP4476663B2 (ja) 紙屑落としカバーを備えた紙断裁装置
JP2003191196A (ja) 紙の断裁装置
CN104977815B (zh) 直写式曝光系统中的扫描台
JP3844983B2 (ja) 用紙切断装置
JP4697850B2 (ja) ストッパー機能を備えた紙断裁装置
JP5645532B2 (ja) 紙断裁装置及び断裁方法
WO2011148942A1 (ja) 製袋機
KR101024057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JPH11254227A (ja) 裁断装置
KR101048166B1 (ko) 타일 절단기
JPH09323837A (ja) 薄い合板を積み重ねた状態で送る方法及び装置
JP2008168454A (ja) スクリーン印刷機用スキージ
JP2020104217A (ja) ステープル取り外し装置
JPH02282141A (ja) 給紙装置
JPH07108413B2 (ja) ナイフの曲げ加工装置
JPH0812086A (ja) 積層物の定量分離装置
JPH0651230B2 (ja) フラツシユ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