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25A - 유치침 장치 - Google Patents

유치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25A
KR20070110125A KR1020077022698A KR20077022698A KR20070110125A KR 20070110125 A KR20070110125 A KR 20070110125A KR 1020077022698 A KR1020077022698 A KR 1020077022698A KR 20077022698 A KR20077022698 A KR 20077022698A KR 20070110125 A KR20070110125 A KR 2007011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needle
lumen
rear end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085B1 (ko
Inventor
료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7011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실드통(4a)과, 그 선단에 고정된 연질의 외부 침(8)과, 실드통의 내강을 이동 가능하게 수액 튜브(3)가 접속되는 허브(2)와, 허브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외부 침의 내강에 삽입 가능한 경질의 내부 침(1)을 구비한다. 허브에는 그 내강에 관통하는 가로 관통로(2e)가 형성되고, 허브의 외주면과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14)이 관통 통로를 통해 허브의 내강(10)과 연결되어 통하여, 가로 관통로보다 후단측의 허브 외주면에 허브와 실드통 사이의 액밀성을 유지하는 밀봉부(2c)가 설치되고, 가로 관통로의 양측의 측벽의 허브 외주면에 걸림 오목부(2b)가 설치되고, 실드통의 내주면에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가 설치된다.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내부 침이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하다. 허브의 내강에 연결되어 통하는 개구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고, 개구가 있는 허브 측벽과 허브 선단부의 결합이 강고하며, 허브를 소형으로 구성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치침 장치{INDWELLING NEEDLE DEVICE}
본 발명은, 연질의 외부 침과 경질의 내부 침을 구비하고, 외부 침으로부터 돌출시킨 내부 침에 의해 천자(穿刺)한 후에, 내부 침을 외부 침으로부터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오천자 방지 기능을 갖는 유치침(留置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치침 장치는, 수액이나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시에 널리 사용되고, 여러 가지의 구성예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날개가 부착된의 유치침은, 침관(針管)이 날개부를 갖는 허브의 선단부에 유지되고, 허브의 후단부에 수액용 튜브가 접속된다. 수액을 행할 때에는, 날개부를 환자의 팔 등에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하고, 침관의 천자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의료 시설에 있어서, 주사바늘이나 천자침 등의 오천자에 의한 오염·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오천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날개부를 갖는 원통형의 실드를 침관을 갖는 허브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요컨대, 원통형 실드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침관이 노출된 상태와, 실드 내에 수납된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사바늘이나 천자침을 사용 후에 폐기할 때에는, 침관을 실드 내로 슬라이드시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금속성의 침관을 혈관 내에 유치시킴으로써, 혈관이 손상을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연질의 외부 침과 경질의 내부 침을 구비하고, 외부 침으로부터 돌출시킨 내부 침에 의해 천자한 후에, 내부 침을 외부 침으로부터 인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유치침의 구조도 알려져 있다. 또, 그 경우에도 오천자를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원통형 실드와 조합하여, 외부 침을 유치시킨 상태에서는, 내부 침을 원통형 실드 내에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구조도 알려져 있다.
그러한 오천자 방지용의 원통형 실드를 갖는 이중 바늘 구조의 유치침에서는, 수액 튜브는 내부 침을 유지하는 허브에 접속되고, 내부 침을 원통형 실드 내로 끌어당긴 상태에서는, 수액 튜브에서 외부 침의 내강(內腔)에 이르는 유로는, 내부 침의 내강을 경유하게 된다. 그러나, 내부 침의 내강은 직경이 작으므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침을 유지하는 허브의 외주면과 원통형 실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내부 침의 내강이 형성하는 유로에 추가되는 유로로서 이용하는 것이 생각되었다. 즉, 허브의 외주면과 원통형 실드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 침과 내부 침 사이를 통해 외부 침의 내강에 연결되어 통하고, 또한, 그 공간과 허브의 내강을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개구부를 허브에 형성한 구조가 채용된다. 허브의 내강은 내부 침의 내강보다 굵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내부 침의 내강만인 유로에 비해 큰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4598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예의 유치침 장치는, 허브에 1개의 개구부를 형성하기만 한것으로, 유량의 확보에는 충분하지 않다. 한편, 개구부를 너무 크게 하면, 개구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내부 침을 유지하기 위한 허브 선단부와, 그 후단부의 결합이 구조적으로 약해져,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어진다. 또, 내부 침을 원통형 실드 내에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개구부와는 완전히 별개로 설치되면, 허브가 축 방향으로 길어져, 장치 전체가 커진다.
본 발명은, 허브의 내강에 연결되어 통하는 개구부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개구부가 형성된 허브의 측벽과 내부 침을 유지하는 허브 선단부의 결합을 안정하게 강고한 구조로 하고, 또한 허브를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유치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는, 대략 원통형의 실드통과, 상기 실드통의 선단부에 고정된 연질의 외부 침과,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그 후단에 수액 튜브가 접속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침의 내강에 삽입 가능한 경질의 내부 침을 구비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선단부에 위치할 때, 상기 내부 침은 상기 외부 침의 내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허브를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후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침을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구성의 유치침 장치는, 상기 허브에는 그 외주에서 내강으로 관통하는 가로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로 관통로를 통해 상기 허브의 내강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의 사이의 액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의 양측의 측벽의 외주면에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실드통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후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구성의 유치침 장치는, 상기 허브에는 그 외주에서 내강으로 관통하는 가로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로 관통로를 통해 상기 허브의 내강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의 액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의 양측의 측벽의 외주면에 선단측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의 상기 밀봉부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후단측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실드통의 선단측의 내주면에 선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외부 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허브의 선단측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하고, 상기 실드통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후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단측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단측 걸림 오목부와 가로 관통로를 축 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걸림 오목부를 한 쌍으로 함으로써, 가로 관통로에 의해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걸림 오목부가 형성된 측벽과, 내부 침을 유지하는 허브의 선단부의 결합 부분을 충분히 강고히 안정한 구조로 하며, 또한 허브를 대단히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유치침 장치의 유치 및 폐기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유치침 장치의 내부 허브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의 내부 허브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유치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유치침 장치의 유치 및 폐기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의 내부 침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내부 침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상기 내부 침에 의한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내부 침 1a…측면 구멍
2…허브 2a…전부(前部)
2b…걸림 오목부(선단측 걸림 오목부) 2c…밀봉용 고리형상 오목부
2d…후부 2e…가로 관통로
3…튜브 4…날개가 부착된 실드
4a…실드통 5, 6…날개부
7…외부 허브 8…외부 침
9…코킹 부재 10…내강
11…O링 12a…선단측 걸림 볼록부
12b…후단측 걸림 볼록부 13…스토퍼
14, 15…공간 16…축 방향 홈
본 발명의 제1 구성의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드통의 선단측의 내주면에 선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선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외부 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허브의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구성의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선단측의 외경은, 후단측의 외경보다 작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선단측 걸림 볼록부 및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실드통의 내주 방향으로 신장된 고리형상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밀봉부를,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과, 상기 고리형상 홈에 장착된 O링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허브의 내강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부위보다 후단측의 직경은, 상기 내부 침의 내강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액 튜브의 내경과 동등 이하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선단부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가로 관통로를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축 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내부 침은 선단부에 측면 구멍을 갖고, 상기 측면 구멍은, 상기 외부 침의 선단에서 상기 내부 침이 돌출하는 양이 가장 큰 상태에서, 상기 외부 침의 선단부가 상기 내부 침에 대해 접촉하는 위치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유치침 장치의 내부 침을 원통형 실드 내로 끌어당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은 금속제의 내부 침이고, 수지제의 내부 허브(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내부 허브(2)의 후단부에는 튜브(3)가 접속되어 있다. 4는 날개가 부착된 실드이고, 수지제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실드통(4a)과, 좌우의 날개부(5, 6)로 이루어진다. 실드통(4a)의 내강에 내부 침(1) 및 내부 허브(2)가 삽입되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좌우의 날개부(5, 6)는, 실드통(4a)의 선단부, 즉 내부 침(1)이 돌출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날개부(5, 6)는, 각각 실드통(4a)의 외주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실드통(4a)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실드통(4a)의 재질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염화비닐수지, 그 밖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고, 내부 허브(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실드통(4a)의 선단부에는 외부 허브(7)가 고정되고, 외부 허브(7)의 내강에 외부 침(8)이 장착되어 코킹 부재(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외부 침(8)의 내강에는 내부 침(1)이 삽입되고, 그 선단이 외부 침(8)에서 돌출되어 있다. 외부 침(8)은,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내부 허브(2)는, 전부(2a), 후부(2d), 및 그들 사이의 중간부로 이루어진다. 후부(2d) 및 중간부는, 실드통(4a)의 내강에 정확히 끼워 맞출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전부(2a)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드통(4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전부(2a)의 내강에는, 내부 침(1)이 장착되어 있다. 후부(2d)의 내강에는 튜브(3)가 장착되어 있다. 중간부에 있어서의 내강(10)의 직경은, 내부 침(1)의 내강의 직경보다 크고, 튜브(3)의 내경과 동등하거 나, 그것보다 작게 설정된다.
내부 허브(2)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외주면에는, 걸림 오목부(2b)와, 밀봉용 고리형상 오목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 오목부(2b)와 축 방향 동일 위치에 가로 관통로(2e)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용 고리형상 오목부(2c)는, 걸림 오목부(2b) 및 가로 관통로(2e)보다 후단측에 배치되고, O링(11)이 장착되어 밀봉부를 형성한다. 그것에 의해, 내부 허브(2)의 외주면과 실드통(4a)의 내주면의 사이의 액밀성이 유지된다. 실드통(4a)의 내주면에는, 걸림 오목부(2b)에 대응시켜, 고리형상의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 및 고리형상의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실드통(4a)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고리형상의 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허브(2)의 구조를 확대한 사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전부(2a)의 외주면과 실드통(4a)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가로 관통로(2e)를 통해 내부 허브(2)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내강(10)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는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가로 관통로(2e)의 양측에 측벽이 한 쌍 형성된 상태가 되고, 각각의 측벽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파인 한 쌍의 걸림 오목부(2b)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인 것도 알 수 있다. 걸림 오목부(2b)의 선단측에는, 내부 허브(2)의 중간부의 외경을 갖는 직경이 큰 부분(2f)이 형성되어 있다. 직경이 큰 부분(2f)에는, 전부(2a)에서 걸림 오목부(2b)에 이르는 축 방향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는, 내부 침(1)이 외부 침(8)으로부터 돌출하여 천자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가 걸 어 맞춰지고, 이 위치에서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또, 내부 허브(2)의 전부(2a)는 직경이 작으므로, 외부 허브(7)의 후부 내강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것에 의해,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허브(2)의 외면과 실드통(4a)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극소화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천자한 후, 유치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침(1)을 외부 침(8)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상태로 끌어당긴 상태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내부 허브(2)의 전부(2a)가 외부 허브(7)으로부터 이탈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작은 전부(2a)의 외주면과 실드통(4a)의 내주면의 사이에 공간(14)이 형성된다. 이 공간(14)은, 내부 침(1)의 외주면과 실드통(4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15)을 통해 외부 침(8)의 내강에 연결되어 통하고 있다. 또, 공간(14)은, 축 방향 홈(16) 및 가로 관통로(2e)를 통해 내부 허브(2)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내강(10)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허브(2)와 실드통(4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이, 내부 침(1)의 내강이 형성하는 유로에 추가되는 유로로서 기능하므로, 보다 큰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허브(2)의 내강(10)은, 내부 침(1)의 내강보다 굵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내부 침(1)의 내강만인 유로에 비해 큰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의 상태에서는, 걸림 오목부(2b)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내부 침(1)은 실드통(4a) 내에 거의 수납되어 있으므로, 오천자의 우려는 충분히 경감된다. 걸림 오목부(2b)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의 걸어 맞춤은, 내부 침(1)의 재돌출을 방 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 상태에서는 또, 내부 허브(2)의 후단이 스토퍼(13)에 접촉하여,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이 충분히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걸림 오목부(2b)와 가로 관통로(2e)를 축 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걸림 오목부(2b)를 한 쌍으로 함으로써, 가로 관통로(2e)에 의해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걸림 오목부(2b)가 형성된 측벽과 전부(2a)의 결합 부분을 충분히 강고히 안정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가로 관통로(2e)를 충분히 크게 해도, 걸림 오목부(2b)가 형성된 측벽이 한 쌍이므로, 강도적으로 대칭이고, 사용시의 안정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 걸림 오목부(2b)와 가로 관통로(2e)가 축 방향의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허브(2)를 대단히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통상, 유치침 장치는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에 이용된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력은, 내부 침(1)이 간단히는 후퇴하지 않을 정도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이다. 천자 조작은, 날개부(5, 6)를 실드통(4a)의 외부 표면을 따라 위쪽으로 들어 올려 겹쳐 움켜쥠으로써 행한다. 날개부(5, 6)를 움켜쥠으로써, 파지력(把持力)이 실드통(4a)으로 전달되고, 실드통(4a)이 가압되어 변형된다. 그것에 의해, 실드통(4a)의 내주면과 내부 허브(2)의 마찰 접촉을 통해, 내부 침(1)이 충분한 힘으로 유지된다. 또한,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의 걸어 맞춤에 의한 유지력이 증대하므로, 내부 침(1)이 충분한 힘으로 유지되어, 천자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자 후에 유치하기 위해서는, 튜브(3)를 통해 내부 허브(2)를 실드통(4a)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해,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한다. 즉,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걸림 오목부(2b)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를 걸어 맞추게 한다. 그것에 의해, 내부 침(1)이 혈관에서 뽑아내어져, 외부 침(8)만이 천자된 상태로 유치된다.
또, 천자 후에 유치침 장치를 폐기할 때에는, 도 2의 상태이면, 오천자를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내부 침(1)이 실드통(4a) 내에 수납되고, 걸림 오목부(2b)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의 걸어 맞춤에 의해, 내부 침(1)이 재돌출하는 것이 저지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에 대해,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허브(2)의 후부(2d)를 따라 밀봉용 고리형상 오목부(2c)보다 후단측의 내부 허브(2)의 외주면에, 후단측 걸림 오목부(2g)가 설치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구별의 명확성을 고려하여, 걸림 오목부(2b)를 선단측 걸림 오목부(2b)라고 칭한다. 후단측 걸림 오목부(2g)는, 내부 허브(2)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 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통(4a)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설치된 후단측 걸림 볼록부(12c)는, 후단측 걸림 오목부(2g)에 대응하고,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에 비해, 후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유치침 장치 상태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의 도 1에 나타낸 사용(초기) 상태와 동일하다. 즉, 내부 침(1)이 외부 침(8)으로부터 돌출하여 천자 가능하고, 선단측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가 걸어 맞춰지고, 이 위치에서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 대해 유지된다.
도 6에 나타낸 상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2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고, 내부 침(1)이 실드통(4a) 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 실시 형태 1과 달리, 후단측 걸림 오목부(2g)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c)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에 대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의 유지를 위해 후단측 걸림 오목부(2g)를 설치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걸림 오목부(2b)의 위치가, 밀봉용 고리형상 오목부(2c)보다 선단측(내부 침(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양태의 경우, 내부 허브(2)를 후퇴시켜, 내부 침(1)을 수납하는 조작시에, O링(11)이 실드통(4a)의 내강면에 설치된 후단측 걸림 볼록부(12b)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O링(11)이 비틀리거나, 젖혀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고, 이것이 원인으로 공간(15)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 수납 조작시에 물리적인 접촉의 촉감에 의 해, 오조작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 내부의 선단측에 위치할 때(내부 침(1) 돌출시), 선단측 걸림 오목부(2b)와 선단측 걸림 볼록부(12a)가 걸어 맞춰지고,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 내부의 후단측에 위치할 때(내부 침(1) 수납시)에는, 후단측 걸림 오목부(2g)와 후단측 걸림 볼록부(12c)가 걸어 맞춰지는 구조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O링(11)과 후단측 걸림 볼록부(12c)의 접촉이 회피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유치침 장치에 대해, 도 7a∼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내부 침(1)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7a,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침(1)은, 선단부에 측면 구멍(1a)을 갖는다. 측면 구멍(1a)의 위치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침(8)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외부 침(8)의 선단으로부터 내부 침(1)이 돌출하는 양이 가장 큰 상태에 있어서, 외부 침(8)의 선단부가 내부 침(1)에 대해 접촉하는 위치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도록 측면 구멍(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 구멍(1a)을 설치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유치침 장치 내부를 생리 식염수 등으로 충전하는 「프라이밍 조작」을 실시할 때, 내부 허브(2)가 실드통(4a) 내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초기 상태에서 행한다. 그런나, 측면 구멍(1a)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침(8)의 내면과 내부 침(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가로 관통로(2e)보다 선단측의 실드 통(4a)의 내면과 내부 허브(2)의 외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은, 프라이밍이 곤란하고, 공기가 잔류하기 쉽다. 왜냐하면, 외부 침(8) 선단 내면과 내부 침(1) 외면은 밀착되어 있어, 공기가 빠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결과, 내부 침(1) 수납시에 장치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여, 이 공기가 환자의 혈관 내에 혼입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측면 구멍(1a)을 통해, 외부 침(8)의 내면과 내부 침(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및 가로 관통로(2e)보다 선단측의 실드통(4a)의 내면과 내부 허브(2)의 외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에도, 프라이밍용의 액체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고, 유치침 장치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를 보다 충분히 얻기 위해 측면 구멍(1a)을 복수개 설치해도 된다. 단, 그 경우는 강도적인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측면 구멍(1a)을 내부 침(1)과 외부 침(8)의 선단부의 접촉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 양태여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 침(1) 수납시에 측면 구멍(1a)의 가장자리부에서 외부 침(8)의 선단부가 젖혀져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치침 장치는, 내부 침과 외부 침의 이중 구조에 있어서의, 외부 침에서 수액용 튜브로의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개구부가 형성된 허브의 측벽과 내부 침을 유지하는 허브 선단부의 결합을 안정하게 한 강고한 구조이고, 또한 허브를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하므로, 수액이나 수혈, 체외 혈액 순환 등의 처치에 이용하기 위해 적합하다.

Claims (9)

  1. 대략 원통형의 실드통과,
    상기 실드통의 선단부에 고정된 연질의 외부 침과,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그 후단에 수액 튜브가 접속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침의 내강에 삽입 가능한 경질의 내부 침을 구비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선단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내부 침은 상기 외부 침의 내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를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후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침을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 가능한 유치침(留置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는 그 외주으로부터 내강으로 관통하는 가로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로 관통로를 통해 상기 허브의 내강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의 액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로 관통로의 양측 측벽의 외주면에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실드통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후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드통의 선단측의 내주면에 선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선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외부 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허브의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유치침 장치.
  3. 대략 원통형의 실드통과,
    상기 실드통의 선단부에 고정된 연질의 외부 침과,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그 후단에 수액 튜브가 접속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침의 내강에 삽입 가능한 경질의 내부 침을 구비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선단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내부 침은 상기 외부 침의 내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를 상기 실드통의 내강의 후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침을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 가능한 유치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는 그 외주로부터 내강으로 관통하는 가로 관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가로 관통로를 통해 상기 허브의 내강과 연결되어 통하고 있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의 내주면 사이의 액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관통로의 양측의 측벽의 외주면에 선단측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의 상기 밀봉부보다 후단측의 외주면에 후단측 걸림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실드통의 선단측의 내주면에 선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외부 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허브의 선단측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하고,
    상기 실드통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후단측 걸림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내부 침이 상기 실드통의 내강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단측 걸림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침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있어서 상기 가로 관통로보다 선단측의 외경은, 후단측의 외경보다 작은, 유치침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걸림 볼록부 및 상기 후단측 걸림 볼록부는, 상기 실드통의 내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고리형상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유치침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과, 상기 고리형상 홈에 장착된 O링에 의해 구성된, 유치침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강에 있어서 상기 가로 관통로와 연결되어 통하는 부위보다 후단측의 직경은, 상기 내부 침의 내강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액 튜브의 내경과 동등 이하인, 유치침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상기 허브의 선단부 외주면과 상기 실드통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가로 관통로를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축 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치침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침은 선단부에 측면 구멍을 갖고, 상기 측면 구멍은, 상기 외부 침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부 침이 돌출하는 양이 가장 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침의 선단부가 상기 내부 침에 대해 접촉하는 위치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유치침 장치.
KR1020077022698A 2005-03-24 2006-02-14 유치침 장치 KR100934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6545 2005-03-24
JP2005086545 2005-03-24
JP2006031500A JP4622876B2 (ja) 2005-03-24 2006-02-08 留置針装置
JPJP-P-2006-00031500 2006-02-08
PCT/JP2006/302511 WO2006100847A1 (ja) 2005-03-24 2006-02-14 留置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25A true KR20070110125A (ko) 2007-11-15
KR100934085B1 KR100934085B1 (ko) 2009-12-24

Family

ID=3702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698A KR100934085B1 (ko) 2005-03-24 2006-02-14 유치침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82339B2 (ko)
EP (1) EP1862193B1 (ko)
JP (1) JP4622876B2 (ko)
KR (1) KR100934085B1 (ko)
CN (1) CN101146568B (ko)
CA (1) CA2602904C (ko)
WO (1) WO2006100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26B1 (ko) * 2008-01-22 2008-10-17 송경진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1779B2 (ja) * 2005-11-28 2012-04-25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留置針
EP2380617B1 (en) * 2006-03-01 2020-01-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of optimizing the fluid flow parameters of an extravascular system.
JP4994775B2 (ja) 2006-10-12 2012-08-0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針先保護具
US9011382B2 (en) 2006-11-22 2015-04-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scular access device blood sealing and exposure prevention
US7922696B2 (en) * 2007-01-24 2011-04-12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AU2008242650A1 (en) 2007-04-18 2008-10-30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JP2009142492A (ja) * 2007-12-14 2009-07-02 Jms Co Ltd 留置針装置
JP5108580B2 (ja) * 2008-03-26 2012-12-26 テルモ株式会社 留置針
JP5262262B2 (ja) * 2008-04-16 2013-08-1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JP5532892B2 (ja) * 2009-12-14 2014-06-2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針装置
US8911405B2 (en) * 2009-12-14 2014-12-16 Jms Co., Ltd. Needle device
JP5637350B2 (ja) * 2009-12-14 2014-12-1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針装置
WO2011097639A2 (en) 2010-02-08 2011-08-1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WO2011146772A1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WO2011146769A2 (en) 2010-05-19 2011-11-24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JP5594520B2 (ja) 2010-06-04 2014-09-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ES2662356T3 (es) 2011-04-27 2018-04-06 Kpr U.S., Llc Conjuntos de catéter IV de seguridad
US8715250B2 (en) 2011-09-26 2014-05-06 Covidien Lp Safety catheter and needle assembly
WO2013048975A1 (en) 2011-09-26 2013-04-04 Covidien Lp Safety catheter
US8834422B2 (en) 2011-10-14 2014-09-16 Covidien Lp Vascular access assembly and safety device
EP2857059A4 (en) * 2012-05-31 2016-01-20 Jms Co Ltd PENETRATION NEEDLE DEVICE
JP2013248160A (ja) * 2012-05-31 2013-12-12 Jms Co Ltd 留置針装置
JP2013248158A (ja) * 2012-05-31 2013-12-12 Jms Co Ltd 留置針装置
JP5999415B2 (ja) * 2012-06-01 2016-09-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留置針装置
SE1350137A1 (sv) * 2013-02-05 2014-08-06 Vigmed Ab Nålanordning
US9566087B2 (en) 2013-03-15 2017-02-14 Access Scientific, Llc Vascular access device
WO2015119940A1 (en) 2014-02-04 2015-08-13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WO2016176065A1 (en) 2015-04-30 2016-11-03 Access Scientific, Llc Vascular access device
USD828653S1 (en) * 2016-12-14 2018-09-11 Brandon Penland Treatment applicator
CN109890449B (zh) 2017-03-23 2022-04-15 泰尔茂株式会社 导管组装体
CN108042881A (zh) * 2017-12-25 2018-05-18 朱郎平 一种临床输液留置针
CN108310536B (zh) * 2018-01-04 2023-11-21 福建省百仕韦医用高分子股份有限公司 环形卡圈式防止针管裸露的留置针
US10569059B2 (en) 2018-03-01 2020-02-25 Asspv, Llc Guidewire retention device
CN108926752A (zh) * 2018-06-29 2018-12-04 广东先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软管安全输液针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118A (en) * 1968-11-04 1971-08-10 Joseph E Warren Method of introducing an intravenous catheter into the vascular system
JPS5875563A (ja) * 1981-10-30 1983-05-07 テルモ株式会社 留置カテ−テル用接続具
US4846805A (en) * 1987-12-04 1989-07-11 Icu Medical, Inc. Catheter insert device
US5088982A (en) * 1988-03-01 1992-02-18 Ryan Medical, Inc. Safety winged needle medical devices
US5007901A (en) * 1989-11-24 1991-04-16 Shields Jack W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GB9010985D0 (en) * 1990-05-16 1990-07-04 Srivatsa Kadiyali M Catheter introducing device
US5051109A (en) * 1990-07-16 1991-09-24 Simon Alexander Z Protector for catheter needle
US5120320A (en) * 1991-02-13 1992-06-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infusion or blood collection assembly with automatic safety feature
US5607405A (en) * 1992-05-19 1997-03-04 Decker; Rand A. Surgical insertion device and method
US5267971A (en) * 1993-03-17 1993-12-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introducer with notched needle
US5590696A (en) * 1994-07-14 1997-01-07 Reebok International Ltd. Inflation system utilizing a pressurized gas inflation device and adaptor therefor
US5674201A (en) * 1995-03-16 1997-10-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otatable catheter housed within a flexible wing assembly
CA2169220A1 (en) * 1995-03-16 1996-09-17 Greg L. Brimhall Control forward introducer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JP3073713B2 (ja) * 1997-01-17 2000-08-07 ミサワ医科工業株式会社 留置針セット
US5893844A (en) 1997-01-17 1999-04-13 Misawa Medical Industry Co., Ltd. Indwelling needle set
CA2284558A1 (en) * 1997-03-26 1998-10-01 Gregory F. Biancardi Parenteral fluid transfer apparatus
CN2341658Y (zh) * 1998-10-07 1999-10-06 陈永国 静脉留置针
JP4404511B2 (ja) * 1999-08-12 2010-01-27 ローレンス・エイ・リン ルアー受領血管アクセスシステム
US6368303B1 (en) * 1999-10-15 2002-04-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ing needle syringe
JP2001245980A (ja) * 2000-03-08 2001-09-11 Mitsubishi Pencil Co Ltd 安全留置針
ITBO20010497A1 (it) * 2001-07-31 2003-01-31 Delta Med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ago-cannula
US6730062B2 (en) * 2001-10-11 2004-05-04 Medex, Inc. Safety catheter with non-removable retractable needle
JP4151311B2 (ja) * 2002-05-24 2008-09-17 ニプロ株式会社 留置針
BR0311910A (pt) * 2002-06-21 2005-04-26 Becton Dickinson Co Processo e aparelho para controle de retorno em um conjunto de cateter e agulha introdutora
JP3808806B2 (ja) * 2002-06-26 2006-08-16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留置針
US20060047247A1 (en) * 2004-08-24 2006-03-02 3Fi Products Llc Cathete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2008513063A (ja) * 2004-09-16 2008-05-01 インビロ メディカル デバイシーズ リミテッド 針突刺し損傷を防止する使い捨て安全注射器及びその再使用
US20070250011A1 (en) * 2006-03-31 2007-10-25 David Lee Winged venous catheter
US8257313B2 (en) * 2006-08-11 2012-09-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septum and needle tip shield for a catheter assembly
US8764710B2 (en) * 2007-03-29 2014-07-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exposure prevention in vascular access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26B1 (ko) * 2008-01-22 2008-10-17 송경진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2193B1 (en) 2012-10-17
CA2602904A1 (en) 2006-09-28
WO2006100847A1 (ja) 2006-09-28
CA2602904C (en) 2011-04-12
EP1862193A4 (en) 2009-04-22
US20090082733A1 (en) 2009-03-26
CN101146568B (zh) 2010-11-10
JP4622876B2 (ja) 2011-02-02
EP1862193A1 (en) 2007-12-05
US7682339B2 (en) 2010-03-23
KR100934085B1 (ko) 2009-12-24
CN101146568A (zh) 2008-03-19
JP2006297062A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085B1 (ko) 유치침 장치
US6077244A (en)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KR100998126B1 (ko) 의료용 바늘 장치
EP1568393B1 (en) Safety indwelling needle
US4731059A (en) Combination needle shield/needle guard device positively locked onto detachable needle assemblies for an evacuated blood collection system and a hypodermic syringe
JP4834757B2 (ja) ルアー受領血管アクセスシステム
EP1790373B1 (en) Safety indwelling needle
EP1457229B1 (en)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US20040122373A1 (en)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20070088278A1 (en)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with a flashback member
EP0827759A2 (en) Catheter and placement needle assembly with retractable needle
KR100567437B1 (ko) 오류 천자 방지용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장치
KR100586364B1 (ko)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JP2019198552A (ja) 留置針装置
JP7123359B2 (ja) 針組立体
JP2010000300A (ja) 安全針組立体
JP3576765B2 (ja) 留置針組立体
JP5262262B2 (ja) 留置針装置
JP2009142492A (ja) 留置針装置
JP2001245980A (ja) 安全留置針
JP4683285B2 (ja) 留置針装置
JP2001218852A (ja) 留置針組立体
JP7097019B2 (ja) 留置針装置
JP7097018B2 (ja) 留置針装置
JP2007167242A (ja) 留置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