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364B1 -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 Google Patents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364B1
KR100586364B1 KR1020047005247A KR20047005247A KR100586364B1 KR 100586364 B1 KR100586364 B1 KR 100586364B1 KR 1020047005247 A KR1020047005247 A KR 1020047005247A KR 20047005247 A KR20047005247 A KR 20047005247A KR 100586364 B1 KR100586364 B1 KR 10058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hield
wing
tip
shiel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900A (ko
Inventor
구니토미준
도이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4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원통 형상 실드 통(4a) 및 그 선단측에 결합한 날개부(5, 6)를 갖는 날개 부착 실드(4)와, 실드 통 내에 삽입된 침기(2) 및 바늘관(1)을 구비한다. 날개부는 날개 돌기(7, 8)를 가지며, 실드 통은 그 원통벽에 관통 구멍(9, 10)이 형성된다. 양 날개부를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서 각 날개 돌기를 실드 통 내강(內腔)에 삽입 가능하다. 이에 의해, 천자 조작시에 있어서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날개 돌기가 침기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침기를 실드 통에 확실히 유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MEDICAL NEEDLE UNIT HAVING WING SHIELD FOR PREVENTING ERRONEOUS PUNCTURING}
본 발명은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 특히, 사용후에 바늘관(針管)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시설에서 주사 바늘이나 천자 바늘 등의 오천자(誤穿刺)에 의한 오염 및 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B형 간염, C형 간염이나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등이 사회적으로 널리 문제되어 왔기 때문에, 오천자 등의 우발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천자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후에 주사 바늘이나 천자 바늘을 수용할 때, 바늘관을 커버로 덮도록 한 주사 바늘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오천자 방지 수단의 대부분은 사용후의 오천자를 방지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보호 커버(이하 실드(shield)로 칭함)를 가지며, 그 실드가 주사 바늘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실드의 슬라이드에 의해, 주사 바늘이 노출한 상태와, 실드에 커버된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액이나 수혈, 체외혈액순환 등의 처치시에, 날개 부착 주사 바늘 장 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날개 부착 주사 바늘 장치는 선단(先端)에 주사 바늘이 고정되고 후단(後端)이 수액 튜브와 접속된 침기(針其)에 날개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날개 부착 주사 바늘 장치의 오천자 방지 수단은 특유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요컨대, 실드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날개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지 않으면 안 된다. 종래의 기술을 분류하면, 날개가 주사 바늘 또는 침기에 부착된 구조와, 날개가 실드에 부착된 구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구조의 예로서, 일본국 특공평 6-7861호 공보, 국제공개 WO 91/04761호 공보, 또는 미국특허 제5,088,982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 종래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가능한 원통 형상의 실드의 외주면에 날개가 부착되고, 날개는 실드와 함께 주사 바늘의 외측을 슬라이드 한다. 주사 바늘의 사용후는, 오천자 방지를 위해, 실드를 슬라이드 시켜 주사 바늘의 선단을 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드에 날개를 부착시킨 주사 바늘 장치는 사용시에, 주사 바늘을 실드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하여, 양자를 일체화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천자 조작시에는, 주사 바늘이 확실히 실드에 유지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천자 조작중에 주사 바늘이 실드 내에서 이동하여 천자 조작에 심각한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요컨대, 천자시의 가압에 의해서 주사 바늘이 기단(基端)측에 되밀려, 실드로부터 노출되어 있던 바늘관이 박혀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천자 조작후도 바늘을 환자에게 유치하는 사이, 주사 바늘을 실드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천자 조작시와, 오천자 방지 를 위해 주사 바늘을 실드에 수납하는 조작을 행하는 수납조작시에는, 바늘을 실드에 대하여 유지하는 작용이 아래와 같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천자 조작시에는 실드를 파지하여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바늘이 실드에 확실히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수납조작시에는, 바늘을 실드에 대하여 유지하는 힘은 약한 편이 좋다. 유지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바늘을 실드 내에서 슬라이드 시킬 때의 조작이 곤란해져, 예기치 못한 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바늘을 환자에게 유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실드는 환자의 천자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로 바늘이 실드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하면, 바늘이 환자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치시는 유지력이 지나치게 약해도 문제가 된다. 결국, 천자 조작후에는, 천자 조작시에 비해 약한 적절한 유지력이 주사 바늘 또는 침기에 작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주사 바늘 장치는 천자 조작시에 있어서의 주사 바늘의 실드로의 유지는, 반드시 확실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요컨대, 기구적으로 유지가 해제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주사 바늘의 유지는 천자 조작시도 천자 조작후(유치(留置)시 및 발거(拔去)시)도 동일한 기구에 의해 행해지며, 천자 조작시 및 수납조작의 쌍방에 관해서, 알맞은 유지력이 얻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천자 조작시에, 주사 바늘이 확실히 유지되는 의료용 바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자 조작시 및 천자 조작후에 있어서, 의료용 바늘을 날개 부착 실드에 대하여 각각 알맞은 유지력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후에 의료용 바늘을 실드 내에 수납하는 조작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구성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실드 통 및 상기 실드 통의 선단측에 결합한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 날개 부착 실드와,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침기와, 상기 침기의 선단부에 장착된 바늘관을 구비하며,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그 선단을 피복하여 수납 가능하다. 상기 각 날개부는 그 기단측 영역의 날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날개 돌기를 가지며, 상기 실드 통은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삽입 가능하도록 측부의 원통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날개 돌기가 상기 침기의 상기 실드 통 내에서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자 조작을 행할 때에, 날개부 돌기의 부분을 끼워 가압하도록 날개부를 파지함으로써, 날개부 돌기에 의한 침기의 유지가 강고하고 또한 확실하게 되어, 천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자시에, 통상의 날개 부착 바늘과 같은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침기 를 유지하는 힘이 높아지기 때문에, 취급이 간편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침기에 접촉하고, 그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날개 돌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실드 통의 양측벽에 별개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실드 통의 양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1개의 홈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날개부는 기단측의 영역의 두께가 선단측보다도 얇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의 밑바닥부 외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본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기는 주관부 및 주관부의 선단 근방에 위치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주관부보다도 직경이 큰 부분을 가지며, 그 대직경부의 후부 외표면에 단차(段差)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 내를 기단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침기의 유지가 보다 확실하고 강고해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은 그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단 걸림부를 더 가지며, 상기 후단 걸림부는 상기 침기의 유지부에서의 대직경부보다도 내경이 작고, 그 축방향 중간부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된다.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의 후단 걸림부에 있어서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침기의 유지부에서의 대직경부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기의 유지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후부에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의 사이의 외표면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된다. 상기 각 날개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은 그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단 걸림부를 더 갖는다. 상기 후단 걸림부는 안쪽 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에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안쪽 고리 형상 돌기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은 상기 관통 구멍과 대략 일치하는 축방향 위치의 내주면에 형성된 선단부 돌기를 더 갖는다. 상기 실드 통의 선단부 돌기는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그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상기 선단부 돌기 또는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 내를 기단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자 조작시 및 천자 조작후에 있어서, 의료용 바늘을 날개 부착 실드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이 각각 최적으로 설정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기의 유지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후부에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의 사이의 외표면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된다.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실드 통의 선단부 돌기 또는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켜, 상기 단차부에 근거하는 유지기능과 같은 기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개어, 상기 침기의 단차부와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각 날개 돌기의 위치에서 끼워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침기에 대한 유지력을 상기 침기의 단차부와 상기 선단부 돌기의 걸어맞춤에 의해 얻어지는 유지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본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의 상면에 유지 테두리가 형성된다. 시술자가 유지 테두리에 손가락을 접촉시킴으로써, 조작중인 실드 통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드 통의 기단부에 설치된 보조유지기구와, 상기 침기의 후부에 형성된 보조유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유지기구는 상기 실드 통의 기단부 외표면에 부착된 회동편, 그 회동편에 설치된 보조 돌기, 및 상기 회동편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보조 돌기가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실드 통벽에 설치된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유지부는 상기 침기의 외표면에 형성된 보조 고리 형상 홈 또는 보조 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보조 돌기를 상기 침기의 보조 고리 형상 홈 또는 보조 고리 형상 돌기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만큼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유지하는 보조유지력이 부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천자 방지구(具)를 구비한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날개 부착 실드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2a의 B-B에서의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침기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침기의 축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날개 부착 실드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날개 부착 실드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D-D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침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의 평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의 평면도이다. 1은 바늘관이고, 수지제의 침기(針基)(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침기(2)의 후단부에는 튜브(3)가 접속되어 있다. 4는 날개 부착 실드이고, 수지제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실드 통(4a)과, 좌우의 날개부(5, 6)로 이루어진다. 실드 통(4a)의 내강(內腔)에 바늘관(1) 및 침기(2)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좌우의 날개부(5, 6)는 실드 통(4a)의 선단부, 즉 바늘관(1)이 돌출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날개부(5, 6)는 각각 실드 통(4a)의 외주면의 양측부에 결합하여, 실드 통(4a)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침기(2)의 선단부에는 바늘 캡(18)이 장착되어, 바늘관(1)을 덮고 있다.
날개부(5, 6)는 선단측 영역(5a, 6a)과, 기단측 영역(실드 통(4a)과의 결합측의 영역)(5b, 6b)으로 나뉘어져 있다. 기단측 영역(5b, 6b)에는 각각 날개 돌기(7, 8)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 돌기(7, 8)에 대응하는 실드 통(4a)의 좌우의 측부벽에는 관통 구멍(9, 10)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영역(5a, 6a)에는 볼록홈(11, 12) 및 오목홈(13, 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날개 부착 실드(4)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날개부(5, 6)의 기단측 영역(5b, 6b)의 두께는 선단측 영역(5a, 6a)의 두께보다도 얇다. 따라서, 날개부(5, 6)는 기단측 영역(5b, 6b)에서 굴곡이 용이하다.
도 2a의 B-B에서의 실드 통(4a)의 축방향 단면을 도 3에 도시한다. 실드 통(4a)에서의 선단측 내주면의 상하에는 선단부 돌기(15, 16)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돌기(15, 16)의 축방향의 위치는 관통 구멍(9, 10)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실드 통(4a)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후단 걸림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걸림부(17)는 소직경부(17a) 및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를 포함한다.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는 소직경부(17a)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 고 배치되고, 이에 의해 고리 형상 홈(17c)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는 침기(2)의 외관 형상이 도시된다. 도 4b는 그 축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침기(2)는 축방향 중앙부의 주관부(2a)와, 그 선단부에 형성된 유지부(2b)와, 후단부에 형성된 규제부(2c)를 갖는다. 주관부(2a)의 외경은 실드 통(4a)의 소직경부(17a) 및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의 내경보다도 작다. 따라서, 주관부(2a)가 소직경부(17a) 및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에 대향하는 범위에 있어서는, 실드 통(4a)을 침기(2)에 대하여 축방향에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유지부(2b)의 더욱 선단측, 및 규제부(2c)의 더욱 후단측의 부분은 주관부(2a)와 동일 직경이다.
침기(2)의 규제부(2c)의 외경은 실드 통(4a)의 소직경부(17a)의 내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규제부(2c)와 주관부(2a)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부가 소직경부(17a) 즉, 실드 통(4a)의 후단에 접촉하면, 침기(2)를 실드 통(4a)의 선단의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바늘관(1)이 소정 길이 이상 실드 통(4a)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침기(2)의 유지부(2b)는 대직경부(2d), 고리 형상 홈(2e), 및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로 이루어진다. 대직경부(2d), 및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의 외경은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15, 16)의 직경 방향 간격보다도 약간 크다.
침기(2)에 날개 부착 실드(4)를 장착할 때는, 침기(2)를 실드 통(4a)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하여 기단측으로 이동시킨다. 우선 규제부(2c)가 후단 걸림부(17)에 접촉한다. 규제부(2c)의 후단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taper)가 설치되어 있 기 때문에, 수지의 유연성에 의해, 후단 걸림부(17)를 용이하게 통과한다. 거의 동시에, 침기(2)의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가 선단부 돌기(15, 16)에 접촉한다. 또한, 침기(2)를 강제적으로 기단측에 이동시킴으로써, 선단부 돌기(15, 16)가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를 넘어서, 선단부 돌기(15, 16)는 고리 형상 홈(2e)에 걸어맞춤한다.
이상의 결과,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도 1에서의 침기(2)는 사용위치에 있어, 바늘관(1)이 실드 통(4a)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가 얻어지고 있다. 선단부 돌기(15, 16)와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에 의해, 실드 통(4a) 내에서의 침기(2)의 축방향 이동이 저지되어, 침기(2)가 실드 통(4a) 내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대로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바늘관(1)이 더 축방향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규제부(2c)와 소직경부(17a)의 걸어맞춤에 의해 저지되고 있다. 따라서, 선단부 돌기(15, 16)와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은 침기(2)가 실드 통(4a)의 기단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주요한 역할이다.
이 침기(2)의 사용위치로의 유지는 바늘관(1)이 환자에게 천자된 후 유치될 때에, 바늘관(1)이 날개 부착 실드(4) 내에서 기단측에 이동하여 환자로부터 빠지는 등의 뜻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한편, 사용후에 의료용 바늘 장치를 폐기할 때에는, 오천자 방지를 위해 바늘관(1)을 실드 통(4a) 내에 수납한다. 그 때에는, 침기(2)를 실드 통(4a)의 후단측에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위치에서의 상기 유지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조작하기 어렵다. 따라 서, 사용위치에서의 유지력은 너무 간단히 침기(2)의 유지가 풀어지는 일없이, 또한 바늘관(1)의 수납시의 조작이 곤란해지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에 걸어맞춤하는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15, 16)는 내주의 상하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걸어맞춤에 의한 유지력이 비교적 약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단지, 이와 같이 선단부 돌기(15, 16)의 형성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선단부 돌기(15, 16)의 돌출량을 바꾸는 것, 등의 다른 구성에 의해 유지력을 조정하여도 된다.
대직경부(2d) 및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의 외경은 실드 통(4a)의 소직경부(17a) 및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의 내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도 1의 상태로부터 침기(2)를 실드 통(4a)의 후단 방향에 이동시켜, 선단부 돌기(15, 16)와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침기(2)를 후단 방향에 이동시키면, 우선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가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에 접촉한다.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에 테이퍼를 가지며, 또한 그 외경은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의 내경보다 약간 크기만 할뿐이기 때문에, 다시 침기(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를 통과할 수가 있다.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가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를 통과하면,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가 고리 형상 홈(17c)에 걸어맞춤한다. 또한,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가 고리 형상 홈(2e)에 걸어맞춤한다. 그것들의 걸어맞춤에 의해, 실드 통(4a) 내에서의 침기(2)의 축방향 이동이 저지되어, 침기(2) 가 실드 통(4a) 내의 수납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 수납 위치에서는, 바늘관(1)이 실드 통(4a) 내에 수납되어, 오천자를 방지한 상태가 얻어진다.
이 수납 위치에서 침기(2)를 유지하는 힘은 충분히 강한 것을 요한다. 통상, 오천자를 방지하는 수납 상태로부터, 재차 바늘관(1)이 돌출하는 방향에 침기(2)를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수납 위치에서 침기(2)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수납 위치에서의 침기(2)의 유지력은 사용 위치에서의 유지력보다도 충분히 크다. 왜냐하면, 선단부 돌기(15, 16)와 달리, 침기(2)의 유지부(2b)와 실드 통(4a)의 후단 걸림부(17)의 걸어맞춤은 전체 내주에 걸쳐 형성된 고리 형상 돌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후단 걸림부(17)는 소직경부(17a)를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로 치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드 통(4a)의 후단에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만이 형성되고, 고리 형상 홈(17c)은 형성되지 않은 구성이다. 그 경우, 침기(2)의 유지부(2b)와 실드 통(4a)의 후단 걸림부(17)의 걸어맞춤에는 안쪽 고리 형상 돌기(17b)와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만에 의해 행해진다.
도 5a 내지 도 5c는 날개부(5, 6)에 형성한 날개 돌기(7, 8)의 작용을 도시한다. 동일 도면은 도 1의 C-C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단지, 도면을 보기 쉽도록 고려하여, 침기(2) 이외의 해칭(hatching)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부(5, 6)를 이용하는 조작은 천자시에 행하여진다. 이 경우, 침기(2)는 도 1에 도시하는 사용 위치에 위치하여,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이 관통 구멍(9, 10)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요한다. 통상, 의료용 바늘 장치는 도 1의 상태로 사용에 제공되어, 바늘관(1)이 날개 부착 실드(4)에 대하여 천자시의 적절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위치 결정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의 상태는 고리 형상 홈(2e)과 선단부 돌기(15, 16)의 걸어맞춤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천자 조작전에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5, 6)를 실드 통(4a)의 외표면을 따라 윗쪽으로 들어올리면, 날개 돌기(7, 8)가 관통 구멍(9, 10)과 대향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5, 6)를 더욱 들어올리면, 날개 돌기(7, 8)가 관통 구멍(9, 10)에 삽입되어, 실드 통(4a)의 벽을 관통하여 내강에 돌출한다. 그 결과,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에 날개 돌기(7, 8)의 선단부가 걸어맞춤한다. 그것에 의하여, 침기(2), 즉, 바늘관(1)이 날개 부착 실드(4)에 유지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날개부(5, 6)를 포개면, 볼록홈(11, 12)이 오목홈(13, 14)에 각각 끼워맞춤한다. 이에 의해, 양 날개부(5, 6)는 상호의 위치가 소정의 관계로 되도록 포개진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하는 단계에서 날개 돌기(7, 8)가 관통 구멍(9, 10)에 적절히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호의 위치 관계가 수정되어, 상기의 걸어맞춤이 확실히 행해진다.
또, 천자시의 유지력을, 고리 형상 홈(2e)과 날개 돌기(7, 8)의 걸어맞춤을 이용하는 일없이, 마찰력에 의해 얻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침기(2)의 외표면에 날개 돌기(7, 8)의 선단이 가압되어, 그 가압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침기(2)의 이동이 저지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날개 돌기(7, 8)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날개 돌기(7, 8) 와 관통 구멍(9, 10)의 상호의 위치관계가 높은 정밀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상기한 대로, 기단측 영역(5b, 6b)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날개부(5, 6)를 윗쪽으로 들어 올렸을 때에, 실드 통(4a)의 외면을 따르기 쉽게 된다.
상기한 조작은 천자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날개 돌기(7, 8)와 침기(2)의 걸어맞춤에 의한 침기(2)의 유지력은 충분히 강고할 필요가 있다. 즉, 상술한 선단부 돌기(15, 16)와 고리 형상 홈(2e)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유지에 비해, 보다 강한 유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요한다. 천자의 조작은 양 날개부(5, 6)를 손가락으로 끼워서 가압하여 행하기 때문에, 충분한 유지력을 얻는 것은 용이하다. 그렇지만, 날개 돌기(7, 8)의 형상이나 치수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설정하도록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리 형상 홈(2e)과의 걸어맞춤이 아니라, 침기(2)와 날개 돌기(7, 8)의 마찰걸어맞춤만을 이용하는 경우는, 날개 돌기(7, 8)의 길이가 충분히 크지 않으면 안 된다. 예컨대, 도 5(c)에 도시하는 날개 돌기(7, 8)의 길이(L1)는 관통 구멍(9, 10)의 깊이(L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 < L1 / L2 ≤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 돌기(7, 8)는 관통 구멍(9, 10)에 삽입하기 쉬운 형상,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을 해제한 때에는, 즉시 날개 돌기(7, 8)가 관통 구멍(9, 10)으로부터 뽑혀지도록 관통 구멍(9, 10)의 직경에 대하여, 돌기(7, 8)의 직경이 조금 작은 쪽이 사용하기 쉽다.
상기의 예에서는, 날개부(5)에 볼록홈(11)과 오목홈(13)이 형성되고, 날개 부(6)에 볼록홈(12)과 오목홈(14)이 형성되어, 볼록홈(11)과 오목홈(14), 및 볼록홈(12)과 오목홈(13)이 각각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조합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한 쪽의 날개부에 1개의 볼록홈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날개부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형성하여도 되고, 한 쪽의 날개부에 2개의 볼록홈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날개부에 대응하는 2개의 오목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실드 통(4a)의 내강 형상은 침기(2)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침기(2)의 축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이면, 실드 통(4a)의 내강 형상도 동일한 원형 형상이지만, 적어도 내강의 일부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 통(4a)의 내강은 원형이지만, 내강의 위쪽은 침기(2)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강면(內腔面)의 밑바닥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드 통(4a)의 외표면의 밑바닥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실드 통(4a)의 외표면 밑바닥부는 환자의 피부 상에 안정하게 배치되도록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 통의 치수는 바늘관 선단을 완전히 수납할 수 있는 길이가 필요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 외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침기의 최대 외경보다 실드 통 내강 직경을 약간 크게 한다. 예컨대, 침기의 최대 외경부가 실드 통 내강면에 닿거나, 닿지 않을 정도의 관계로 하여, 슬라이딩에 의해서, 침기 및 바늘관이 실드 통 내강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의료용 바늘 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관(1)을 부착시킨 침기(2)에 날개 부 착 실드(4)가 장착되고, 바늘관(1)에는 바늘 캡(18)이 결합된 상태로, 의료용 바늘 장치가 제공된다.
시술자는 한 쪽 손으로 양 날개부(5, 6)를 포개어 파지하고, 다른 쪽의 손으로 바늘관(1)으로부터 바늘 캡(18)을 뽑는다. 다음에, 도 5b 또는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날개부를 윗쪽으로 들어 올려, 날개부(5, 6)를 날개 돌기(7, 8)의 부분으로 파지한다. 그 상태로, 날개 돌기(7, 8)는 관통 구멍(9, 10)을 관통하여,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에 걸어맞춤한다. 따라서, 바늘관(1) 및 침기(2)는 실드 통(4a)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 환자 체내(體內)에 바늘관(1)이 천자된다.
바늘관(1)이 환자에게 천자되면, 포개어진 양 날개부(5, 6)를 개방하여, 점착 테이프에 의해서 날개부(5, 6)를 환자피부 상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날개 돌기(7, 8)가 침기(2)에 걸어맞춤하지 않고 있지만,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15, 16)가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에 걸어맞춤하여, 날개부(5, 6)를 이용한 경우보다도 약한 유지력이기는 하지만, 침기(2)가 실드 통(4a) 내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 통(4a) 내에서 바늘관(1)이 축방향 기단측에 이동하여, 환자 체내로부터 바늘관(1)이 뽑히는 것이 방지된다.
환자 체내로의 약액(藥液) 주입이 끝나면, 날개부(5, 6)를 고정한 채로, 또는 날개부(5, 6)를 손으로 누르면서, 튜브(3)를 실드 통(4a)의 기단측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유지력이 약한 선단부 돌기(15, 16)와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이 풀어져, 침기(2)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튜브(3)를 기단측으로 잡아 당기면, 바늘관(2)의 선단부까지 실드 통(4a) 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오천자가 방지된 상태가 얻어진다. 동시에, 침기(2)의 유지부(2b)와 실드 통(4a)의 후단 걸림부(17)가 걸어맞춤하여, 침기(2)가 실드 통(4a) 내의 수납 위치에 강고하게 유지된 상태로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날개 부착 실드를 도시한다. 이 날개 부착 실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 부가하여, 실드 통(4a)의 상면에 유지 막대(保持桿)(20)를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용 바늘 장치를 사용한 후에는, 침기로 접속된 튜브를 실드 통(4a)의 기단측으로 잡아당겨, 오천자 방지상태로 침기를 실드 통(4a) 내에 유지한다. 유지 막대(20)는 그 때에, 실드 통(4a)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즉, 유지 막대(20)에 손가락을 대어, 튜브를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함으로써, 침기를 실드 통(4a)의 기단측으로 잡아당기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3 실시형태)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를 구성하는 날개 부착 실드를 도시한다. 이 날개 부착 실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 부가하여, 실드 통(4a)의 기단부에, 회동편(21)을 포함하는 보조유지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도 7a는 그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D-D에서의 단면도이다. 회동편(21)은 그 길이 방향 한 쪽에서 실드 통(4a)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측은 실드 통(4a)의 축주위에 회동 가능하고, 돌기(22)를 갖는다. 고정된 부분에는,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실드 통(4a)의 원통벽에는 관통 구멍(23)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실드 통(4a)과 조합되어 이용되는 침기(2)를 도 8에 도시한다. 이 침기(2)의 후부에는 고리 형상 돌기(24)와 고리 형상 홈(25)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침기(2)를 도 7의 날개 부착 실드에 삽입하여, 규제부(2c)를 실드 통(4a)의 기단에 접촉시킨 상태, 즉 상술한 사용상태에 있어서, 보조유지부의 고리 형상 홈(25)의 위치가 회동편(21)의 관통 구멍(23)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 상태로, 회동편(21)을 회동시켜 돌기(22)를 관통 구멍(23)에 삽입함으로써, 돌기(22)의 선단이 고리 형상 홈(25)에 걸어맞춤한다. 이에 의해, 침기(2)를 실드 통(4a)에 대하여 유지하는 유지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 유지력은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15, 16)와 침기(2)의 고리 형상 홈(2e)의 걸어맞춤에 의해 얻어지는 유지력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부가된다. 보조의 유지력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 또는 사용후에 침기(2)를 실드 통(4a) 내에 수납할 때는, 회동편(21)의 돌기(22)를 관통 구멍(23)으로부터 뽑아 둔다.
돌기(22)와 관통 구멍(23)의 직경을 적절히 설정하여, 관통 구멍(23)에 돌기(22)가 압입되도록 하면, 그 상태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리 형상 돌기(24)와 고리 형상 홈(25) 중, 어느 한 쪽만에 의해 동일한 유지작용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해, 천자 조작후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약한 유 지력을 보강하고, 바늘유치시와 바늘수납시의 유지력을 다르게 하여, 2단계의 유지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침기(2)의 유지부가 대직경부(2d)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드 통(4a)의 후단부에는, 소직경부(17a)만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침기(2)의 대직경부(2d)와 그 후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부(26)에 의해, 사용시의 유지작용이 얻어진다. 즉, 날개 돌기(7, 8) 또는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단차부(26)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침기(2)가 도면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실드 통(4a)의 후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날개 돌기(7, 8)에 의해 천자 조작시에 있어서의 침기(2)의 유지를, 그리고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에 의해 천자 조작후에 있어서의 침기(2)의 유지를 행할 수 있다.
도 9에는, 침기(2)를 수납한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지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그와 같은 유지의 작용을 얻으면 된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용 바늘 장치를 도 10에 도시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침기(2)의 유지부가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는 도 1에 있어서의 대직경부(2d)를 치환한 것과 같이 배치된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침기(2)의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와 그 후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부(27)에 의해, 유지작용이 얻어진다. 즉, 날개 돌기(7, 8) 또는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단차부(27)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침기(2)가 도면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실드 통(4a)의 후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날개 돌기(7, 8)에 의해 천자 조작시에 있어서의 침기(2)의 유지를, 그리고 실드 통(4a)의 선단부 돌기에 의해 천자 조작후에 있어서의 침기(2)의 유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침기(2)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2f)가 실드 통(4a)의 후단 걸림부(17)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17c)에 걸어맞춤한다. 이에 의해, 침기(2)를 수납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자 조작을 행할 때의 침기의 유지가 강고하고 또한 확실하게 되어, 천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자시에, 통상의 날개 부착 바늘과 같은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침기를 유지하는 힘이 높아지기 때문에, 취급이 간편하다.

Claims (15)

  1. 원통 형상의 실드(shield) 통 및 상기 실드 통의 선단측에 결합한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 날개 부착 실드와, 상기 실드 통의 내강(內腔)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침기(針其)와, 상기 침기의 선단부에 장착된 바늘관(針管)을 구비하며,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그 선단을 피복하여 수납 가능한 오천자(誤穿刺)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그 기단측 영역의 날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날개 돌기를 갖고, 상기 실드 통은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삽입 가능하도록 측부의 원통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 가능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각 날개 돌기가 상기 침기의 상기 실드 통 내에서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침기에 접촉하고, 그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 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돌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실드 통의 양측벽에 별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실드 통의 양측면에 연속하여 형성된 1개의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기단측의 영역의 두께가 선단측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의 밑바닥부 외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는 주관부(主管部) 및 상기 주관부의 선단 근방에 위치하는 유지부 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주관부보다도 대직경인 부분을 가지며, 그 대직경부의 후부 외표면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고,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 내를 기단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은 그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단 걸림부를 더 가지며, 상기 후단 걸림부는 상기 침기의 유지부에서의 대직경부보다도 내경이 작고, 그 축방향 중간부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의 후단 걸림부에 있어서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침기의 유지부에서의 대직경부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의 유지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후부에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의 사이의 외표면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실드 통 내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걸어맞춤 가능하고,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은 그 후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단 걸림부를 더 가지며, 상기 후단 걸림부는 안쪽 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안쪽 고리 형상 돌기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상기 바늘관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은 상기 관통 구멍과 일치하는 축방향 위치의 내주면에 형성된 선단부 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실드 통의 선단부 돌기는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고, 그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갬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각 날개 돌기를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걸어맞춤 가능하고,
    상기 침기의 단차부에 상기 선단부 돌기 또는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가 상기 실드 통 내를 기단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침기의 유지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후부에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바깥쪽 고리 형상 돌기의 사이의 외표면에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침기의 고리 형상 홈에 상기 실드 통의 선단부 돌기 또는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켜, 상기 단차부에 근거하는 유지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실드 통 측면을 따라 포개어, 상기 침기의 단차부와 상기 각 날개 돌기를 걸어맞춤시킨 상태로, 상기 양 날개부를 상기 각 날개 돌기의 위치에 있어서 끼워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침기에 대한 유지력을 상기 침기의 단차부와 상기 선단부 돌기의 걸어맞춤에 의해 얻어지는 유지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의 상면에 유지 테두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통의 기단부에 형성된 보조유지기구와, 상기 침기의 후부에 형성된 보조유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유지기구는 상기 실드 통의 기단부 외표면에 부착된 회동편, 그 회동편에 형성된 보조 돌기, 및 상기 회동편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보조 돌기가 상기 실드 통의 내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실드 통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유지부는 상기 침기의 외표면에 형성된 보조 고리 형상 홈 또는 보조 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보조 돌기를 상기 침기의 보조 고리 형상 홈 또는 보조 고리 형상 돌기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만큼 상기 실드 통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관이 돌출한 상태로, 상기 침기를 상기 실드 통에 유지하는 보조유지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늘 장치.
KR1020047005247A 2001-10-11 2001-10-11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KR100586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8959 WO2003033055A1 (fr) 2001-10-11 2001-10-11 Ensemble aiguille medicale comportant un bouclier en forme d'aile destine a eviter des ponctures erro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900A KR20040047900A (ko) 2004-06-05
KR100586364B1 true KR100586364B1 (ko) 2006-06-08

Family

ID=1173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247A KR100586364B1 (ko) 2001-10-11 2001-10-11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249346A1 (ko)
EP (1) EP1440702A4 (ko)
KR (1) KR100586364B1 (ko)
CN (1) CN1315543C (ko)
AU (1) AU2001294233B2 (ko)
BR (1) BR0117148A (ko)
CA (1) CA2463410C (ko)
HK (1) HK1079132A1 (ko)
WO (1) WO2003033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847B2 (ja) * 2002-07-09 2004-06-1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誤穿刺防止用シールド付き医療用針装置
US7367962B2 (en) * 2004-09-09 2008-05-06 Jms Co., Ltd.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JP4998165B2 (ja) * 2006-09-19 2012-08-1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針装置
US8323251B2 (en) 2008-01-14 2012-12-04 Fenwal, Inc. Phlebotomy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CN102783953B (zh) * 2012-08-17 2015-07-29 张亚平 一种新型笔式安全采血针
US10632252B2 (en) * 2014-03-28 2020-04-28 Baxalta Incorporated Subcutaneous infusion device for injecting medicinal substances
ITUB20152185A1 (it) * 2015-07-15 2017-01-15 Pikdare S R L Ago di tipo microperfusore o fistola con elemento protettore.
WO2017115756A1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トップ プロテクタ付き医療用針
JP6664270B2 (ja) * 2016-04-26 2020-03-13 株式会社トップ プロテクタ付き医療用針
CN106730143B (zh) * 2016-12-25 2023-01-31 美昕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折叠式安全输液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8915A (en) * 1968-09-12 1970-11-10 Deseret Pharma Infustion device and method
US3640275A (en) * 1970-05-05 1972-02-08 Burron Medical Prod Inc Intravenous needle assembly
US4192304A (en) * 1978-03-14 1980-03-11 Johnson & Johnson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fluid flow restriction capability
US4194504A (en) * 1978-10-12 1980-03-25 Abbott Laboratories Winged catheter placement assembly
DE3701585A1 (de) * 1986-05-26 1987-12-03 Saueressig Ulrich Kanuele
US5088982A (en) * 1988-03-01 1992-02-18 Ryan Medical, Inc. Safety winged needle medical devices
US5085639A (en) * 1988-03-01 1992-02-04 Ryan Medical, Inc. Safety winged needle medical devices
US5108376A (en) * 1990-11-14 1992-04-28 Safetyject Retractable intravenous needle assembly
ATE146362T1 (de) * 1991-01-14 1997-01-15 Precision Dynamics Corp Kanülenschutz
IT227968Y1 (it) * 1992-11-17 1998-01-21 Moris Baroni Ago per endovene e prelievi di forma estensibile, autoinglobante per evitare punture e contagi a persone e ambienti dopo l'uso
US5674201A (en) * 1995-03-16 1997-10-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otatable catheter housed within a flexible wing assembly
AU729720B2 (en) * 1996-02-27 2001-02-08 B. Braun Melsungen Ag Needle tip guard for hypodermic needles
JP3134920B2 (ja) * 1996-09-20 2001-02-13 株式会社ニッショー 翼付留置針
US5779679A (en) * 1997-04-18 1998-07-14 Shaw; Thomas J. Winged IV set with retractable needle
JP2003116991A (ja) * 2001-10-10 2003-04-22 Jms Co Ltd 誤穿刺防止用の翼付きシールドを有する医療用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3055A1 (fr) 2003-04-24
AU2001294233B2 (en) 2005-05-26
CA2463410C (en) 2007-07-31
EP1440702A1 (en) 2004-07-28
KR20040047900A (ko) 2004-06-05
US20040249346A1 (en) 2004-12-09
BR0117148A (pt) 2004-11-23
CN1649637A (zh) 2005-08-03
HK1079132A1 (en) 2006-03-31
CA2463410A1 (en) 2003-04-24
EP1440702A4 (en) 2006-12-27
CN1315543C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437B1 (ko) 오류 천자 방지용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장치
EP1110571B1 (en) Needle safety device
EP1980284B1 (en) Medical needle device
KR100934085B1 (ko) 유치침 장치
JP2962268B2 (ja) 単一動作によるカテーテル進入及び針自動後退装置を備えたカテーテル及び針導入器アセンブリ
WO2015022787A1 (ja) 注射器
US20030105431A1 (en)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compact needle shield
KR20110116237A (ko) 의료용 바늘 장치
KR100586364B1 (ko) 오천자 방지용의 날개 부착 실드를 갖는 의료용 바늘 장치
KR100581037B1 (ko) 오천자 방지용 실드부착 의료용 바늘 장치
JP4648615B2 (ja) 翼付きシールドを有する医療用針装置
AU2001229706A1 (en)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compact needle shield
EP1255581A1 (en) Catheter and introducer needle assembly with compact needle shield
CA2097659A1 (en) Catheter with needle guard and extended flash chamber
JP2001252356A (ja) 翼付き注射針装置
CN110177590B (zh) 保护套和医用针组件
JP4683285B2 (ja) 留置針装置
JP2001293087A (ja) 注射針の誤穿刺防止具
JPH11128346A (ja) 誤穿刺防止機能を有する2重針
JP2001245981A (ja) 安全留置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