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886A -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 Google Patents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886A
KR20070109886A KR1020070044966A KR20070044966A KR20070109886A KR 20070109886 A KR20070109886 A KR 20070109886A KR 1020070044966 A KR1020070044966 A KR 1020070044966A KR 20070044966 A KR20070044966 A KR 20070044966A KR 20070109886 A KR20070109886 A KR 2007010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aya
fermented
skin
cosmetic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노 살라
Original Assignee
스테파노 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파노 살라 filed Critical 스테파노 살라
Publication of KR2007010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분 가운데 파파야를 포함하며, 상기 파파야가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에 관한 것이다.
파파야, 발효, 외용 화장품, 외용 약품

Description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COSMETIC OR PHARMACEUTICAL PRODUCT FOR EXTERNAL USE BASED ON PAPAYA}
본 발명은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에 관한 것이다.
파파야의 특성은 수년간 알려져 있다.
파파야의 대부분의 특성은, 단백질을 펩티드로 분해할 수 있고 특정 항염증 및 배농(draining) 작용을 가지는 단백분해성 효소인 파파인의 존재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파파야는 소화 장애 (단백질 과다 식이), 위염 및 위십이지장염의 치료, 및 광범위 통증성 연조직염(cellulitis)을 앓는 사람의 체중 감량 요법을 위한 전통적인 보조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파파야는 소아 화상 및 성인의 만성 피부궤양의 국소적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파파야에 포함된 효소는 각질용해 작용을 가질 뿐 아니라, 실제로 피부의 박피 및 항균 특성을 가져, 괴사 조직의 제거, 과립 조직의 형성 및 병변에서 세균 중복감염의 예방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피 및 연화 특성을 가지고, 적용된 조직에서 세포 분해를 유도하는 산화 과정을 감소시키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분 중 파파야를 포함하고,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이하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성분 중에 발효된 파파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에 의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발효된 파파야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발효 후에 얻어진 파파야를 기재로 한, 식품 보조제의 생리적, 건강-관련 특성은 사실상 몇 년간 연구되어 왔다.
발효된 파파야는, 본 명세서의 초반부에 기재된, 발효 이전의 파파야의 전형적인 특성 이외에도, 우수한 항산화 특성을 추가로 가진다; 따라서, 발효된 파파야를 기재로 한 식품 보조제는 인체의 많은 부분에 생리적 유용성을 제공하여, 개체의 일반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파파야의 외용 및 화장용으로의 사용은, 피부에서 박피, 연화 및 진정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 비-발효 형태(non-fermented form)로 제한되었다.
이러한 편견 때문에, 발효된 파파야를 외용하는 경우(피부, 머리카락 등에)에도, (박피 및 연화 작용뿐 아니라) 유익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이 집중되지 않았었다.
이러한 편견은, 성분 가운데 발효된 파파야를 포함하는 단일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이 현재 문헌 및 상업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후술하는 시험(testing) 및 실험(experimentation)에 의해 뒷받침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발효된 파파야는 피부와 접촉시 향상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피부 노화에 이르는 산화 과정을 늦춘다고 추정된다.
단지 일예로서, 화장품의 일성분으로서 사용될, 발효된 파파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 그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은 파파야 과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되며, 이때, 파파야 과일은 다양한 성숙 단계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전히 푸른색이거나 이미 익어서 붉은색인 과육을 가짐.
과일 전체 (껍질, 씨앗, 과육), 씨앗을 가진 과육, 껍질을 가진 과육, 또는 과육 단독을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과일은 퓨레(puree) 형태로 가공되어야 하고, 약 10°브릭스(Brix)의 당 함량을 가져야 한다.
파파야 과일 퓨레를, 혼합에 충분한 제조액을 만들기에 필요한 양의 물과 함께, 적절한 용적의 발효 장치에 부은 후;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Saccharomyces boulardii)과 같은 효모균, 또는 락토바실리균(Lactobacilli)과 같은 다른 효모균을 첨가하고; CO2 생성이 끝날 때까지 발효를 가변적으로 지속시킴으로써, 발효가 이루어진다.
발효의 마지막에, 발효된 제품을 배출시키고 멸균용 원통형 용기에 포장한다; 이 때, 그 자체로 또는 탈수시켜 사용할 수 있다.
탈수는 예를 들어, 분말화 또는 냉동건조(cryodesiccation)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탈수된 제품은 30 % 이상의 탄수화물, 다양한 비율의 비타민 C 및 잔류 카로테노이드, 상당한 활성의 단백분해성 효소, 및 냉동건조되거나 분말화시 실질적으로 멸균된 생효모균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피부 박피 및 연화 작용을 가져 피부에서 사멸 세포를 제거하고 점차적으로 사멸 세포를 파괴하는 단백분해성 효소가, 발효된 파파야에 실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발효된 파파야는 효소 작용을 가진다.
발효된 파파야는, 상기 효소 작용뿐 아니라, 항노화 작용을 증진시켜 피부 세포 및 조직의 퇴화 (노화)를 일으키는 모든 산화 공정을 감소시키는 항산화 작용을 가진다.
상기 항산화 작용은 또한, 대응되는 진정 효과와 함께, 조직을 강화시킨다.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에서, 발효된 파파야는 전체 제품 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의 범위로 포함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발효된 파파야는, 예를 들어, 크림, 페이스트, 겔, 로션, 무스, 스프레이 등 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국소적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외용 목적으로, 발효된 파파야를 사용하는 화장품 또는 약품의 적용 분야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다음에서 발효된 파파야를 사용할 수 있다:
- 박피, 연화, 진정, 보호, 항-주름, 영양, 항노화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안면 제품;
- 박피, 연화, 영양, 진정, 보호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바디 제품;
- 강화, 영양 및 손실-방지 작용을 가지는 헤어 제품;
- 박피, 연화, 영양, 진정 및 보호 작용을 가지는 발 제품;
- 박피, 연화, 영양, 진정, 보호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손 제품;
- 진정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개인 위생 제품;
- 진정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구강 제품;
- 기타 외용 제품.
실제로,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은 의도하는 목표와 목적을 달성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은, 박피, 연화, 진정 특성을 가지고, 동시에, 적용된 조직의 세포 분해를 유도하는 산화 작용을 감소시키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공한다.
이는 외용 제품에서, 발효된 형태의 파파야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실험
본 실험은 파비아(Pavia)의 Dermatologic Cosmetic Centre for Wellness Farcoderm s.r.l.에 의해, 하기 기재된 연구 계획(Research Protocol) 번호에 따라, 이탈리아 파비아 대학의 분자세포 약물학 및 생리학과의 감독하에, 실시되었으며, 그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a) TV.010_2006/414;
b) FU.001S_FU.005S; 및
c) FU.022S_2006/414.
요약하면, 연구 계획 a)는, 시험된 원료 (발효된 파파야)가 다양한 비율에서, 시험관내(in vitro) 콜라겐 신생합성(neosynthesis)에 대해 자극 활성을 가지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10% FCS (우태혈청)를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 중에, 24시간 동안, 2500 cells/well의 양으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단지 5% FCS와 시험 물질의 단계적 희석물이 보충된 새로운 배지를 추가하였다. 시료를 배지 중에서 용해시켰다. 비처리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희석에 대해, 2회 반복시험이 2회 반복해서 행해졌다. 24시간 후, 각 플레이트마다 평가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비처리 세포가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콜라겐 합성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키트(SircolTM, biodye science)를 사 용하여 평가되었다.
콜라겐 중에 존재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측쇄기와 상호작용하는 Sirius Red 염료를 기초로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 하에서, 콜라겐에 대해 염료가 특이적 친화도를 가지는 것은, 긴 염료 분자가 삼중나선(triple helix) 구조를 가지는 천연 콜라겐의 길고 단단한 구조에 수평으로 정렬되기 때문이다.
키트 지시를 따르는 시험 물질-재료로 처리한 후, 배양 배지 중에서, 콜라겐 신생합성이 평가되었다. 키트에서 제공되는 콜라겐 표준 용액으로, 검량선 (calibration curve)을 얻었다.
콜라겐 합성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효된 파파야는,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콜라 겐 합성을 자극하는데 명백히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배양한 지 24시간 후, 다음 결과들을 얻었다:
- 파파야 농도가 15 mg/ml인 경우, 배양 배지에서 유리된 콜라겐 농도가 5.4% 증가
- 파파야 농도가 30 mg/ml인 경우, 배양 배지에서 유리된 콜라겐 농도가 7.0% 증가
- 파파야 농도가 50 mg/ml인 경우, 배양 배지에서 유리된 콜라겐 농도가 8.1% 증가
연구 계획 b)로서, 본 발명에 따라, 화장용 파파야 성분의 진정, 연화 및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3가지 다른 농도로 실험이 행해졌다. 특히, 실험 계획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SLS, 강 자극제)로 포화된 디스크 페이퍼로 채워진 피내(epicutaneous) 패치를 적용시켜 자극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험적으로 유도된 자극 반응을 경감시키는 시험 물질의 효능이 평가되었다. 특히, 3가지 다른 농도의 발효된 파파야 유제(emulsion)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유제(emulsion)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의학 연구용 Helsinky declaration principle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험이 동의한 인간 지원자에게 행해졌다.
피부 자극 반응은 피내 패치를 적용하여 유도되었다. 패치의 4개의 "핀 챔버(Finn chamber)"를 20% SLS 수용액으로 포화된 디스크 페이퍼로 채웠다. 적용 4 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기 기기의 파라미터(instrumental parameter)를 측정하였다:
1. Tewameter® 방법에 따른 피부표면의 수분 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2. Mexamer® 방법에 따른 홍반 지수(Erythema index)
3. Corneometer에 의한 보습 지수(Moisturization index)
4. Visioscan® 방법에 따른 피부 표면 구조(skin profilometry)의 측정. 거칠기(roughness) 및 피부 유연성(softness)의 파라미터가 고려된다.
기기의 기록은 하기 시점에서 얻어졌다:
ㆍT15: 물질 적용 시부터 15분 후
ㆍT30: 물질 적용 시부터 30분 후
ㆍT60: 물질 적용 시부터 60분 후
또한, 임상 시험에 참가한 모든 지원자들의 코입술주름에 젖산 용액을 처리하였다. 작열통(burning)/자통(stinging)을 느낀 시점부터 10분 후에 (T0), 얼굴의 오른쪽면은 진정치료(soothing treatment)를 하였으나, 반대면에는 몇 방울의 물만을 떨어뜨렸다. 1분-3분-5분-10분 및 20분 후에, 표 1에 요약된 점수에 따라 징후적, 임상적(발적, 박리, 부종,..) 차이점을 기록하였다. 1 내지 10번의 지원자들에게 3%의 발효된 파파야 크림을 적용한 반면, 11 내지 20번의 지원자들에게는 5%의 발효된 파파야 크림을 적용하였다.
표 1
자통 시험 (소양증, 자통, 통증)
무통 (No pain) 0
경증 통증 (Light pain) 1
중등증 통증 (Moderate pain) 2
중증 통증 (Strong pain) 3
본 연구는 다음 2상에서 행해졌다:
1상 - 본 상에서, 자극 반응이 유도됨;
2상 - 본 상에서, 자극 반응이 기계적으로 뒤따름.
3% 파파야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2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3
5% 파파야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4
위약(placebo)인 유제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5
발효된 파파야 크림의 조성물에 대해, TEWL의 평균값(medium value)을 수득하고,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6
평균 부종 지수(medium Erithema index) 값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7
평균 보습값 (medium Moisturization value)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8
평균 피부 거칠기값 (medium skin roughness value)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09
평균 피부 각화값 (medium skin scaliness value)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10
상기 모든 시험에서, 발효된 파파야 크림의 적용시부터 15-30분 후에, 중량당 농도로, 피부 측정 파라미터의 유의성 있는 종합적인 개선이 확인되었다.
연구 계획 c) 하에서, 화장품용의 발효된 파파야 물질의 각질용해(Keratolytic) 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행해졌다.
본 연구는 적용 부위를 무작위화시킨 이중맹검 연구 계획에 따라 실시되었다.
본 제품 및 양성 대조군의 적용 부위의 무작위 방식은 연구 감독자에 의해 지켜졌다.
본 시험에서, 공지된 양 (20μl)의 제품으로 습윤된 흡수지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폐쇄 챔버(Finn chamber, ø7.0mm)에 의해, 자극성 제품이 지원자들의 피부에 적용되었다.
자극성 제품(1.5, 3.0 및 5.0% (w/v)의 살리실산)에 대한 노출 시간은 3 및 6시간이었다.
각 실험 시점에서, 다음 파라미터를 평가하였다:
- 박리(desquamation) 지수
- 피부 부작용의 임상적 분석.
얻어진 데이터는 절대값과 변동률(variation percentage)로 보고되었다.
실험 물질에 대해 얻어진 데이터를 양성 대조군에 대해 얻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자극성 제품은 용액 상태로 제공되었다.
살리실산 용액이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1.5% 용액: 1.5g의 살리실산을 가능한 가장 적은 부피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100ml에 필요한 양으로).
3.0% 용액: 3.0g의 살리실산을 가능한 가장 적은 부피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100ml에 필요한 양으로).
5.0% 용액: 5.0g의 살리실산을 가능한 가장 적은 부피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100ml에 필요한 양으로).
또한, 100% 순도의 발효된 파파야 분말을 수득한 후, 활성 제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5% 용액: 100ml 증류수 중의 1.5g의 발효된 파파야
3.0% 용액: 100ml 증류수 중의 3.0g의 발효된 파파야
5.0% 용액: 100ml 증류수 중의 5.0g의 발효된 파파야
연구 목적으로 선택된 자극성 제품의 적용 부위는 팔뚝의 바닥면이었다.
제품을 3 및 6시간 동안 지원자의 피부에 적용하였다.
각 패치의 제거 시점부터 15분 후에, 다음 파라미터를 평가하였다:
a) 피부 발적 - 피부 반응을 표 1에 기록된 임상 점수에 따라 분류하였다.
표 1 - 평가 등급
무반응 0
약한 양성 반응 (통상, 치료 부위를 넘어서 확산될 수 있는 경미한 부종 및/또는 건조를 특징으로 함) 1
중증도의 양성 반응 (통상, 치료 부위를 넘어서 확산될 수 있는 경미한 부종 및/또는 건조를 특징으로 함) 2
강한 양성 반응 (강한 부종, 종종 부종 및/또는 가피 형성의 확산) 3
b) Corneofix® 테이프 및 Visioscan®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로 획득한 이미지에서의 박리 지수(desquamation index)
박리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DI = [2A + (T1ㆍ(1 - 1) + T2ㆍ(2 - 1) + ... + Tnㆍ(n - 1)]/(n + 1)
상기 식에서,
A: 각질세포의 면적비(percentage area);
Tn: 두께와 관련된 각질세포의 %;
n: 두께층(thickness level)의 수.
자극성 파파야 제품, 및 발효된 파파야 제품 간의, 박리 시험에 관한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된 파파야는 적용 3.0 및 6.0시간 후에, 박리 지수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3시간 후, 3.0% 농도에서, 최대 각질용해 작용에 도달했다는 것이 통계적 분석에 의해 입증되었다.
살리실산은 적용 3.0 및 6.0시간 후에, 박리 지수의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3시간 후, 3.0% 농도에서, 최대 각질용해 작용에 도달했다는 것이 통계적 분석에 의해 입증되었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11
*변화량(variation)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34415772-PAT00012
상기 식에서,
I.D. [X]O: 기초 박리 지수;
I.D. [X]X: 발효된 파파야 또는 살리실산의 x 농도 (1.5, 3.0, 5.0%)에서의 박리 지수.
상기 2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1. 최대 각질용해 효능은 적용 3시간 후에 나타났다;
2. 최대 각질용해 효능은 3.0% 농도에서 나타났다.
추가로, 2개 제품 (자극 및 파파야 제품) 간, 적용 6시간 후의 평균 피부 자극 지수를 비교하였다.
유리하게도, 발효된 파파야 제품은 부작용이나 위험 작용 없이, 매우 양호한 피부 내성을 가진다는 것이 대체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발효된 파파야의 농도가 0.01 중량% 정도로 낮은 제품이 현저하게 유익할 것이다.
또한, 발효된 파파야의 농도가 30 중량% (w/w)로 높은 제품은, 피부 위험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개선된 피부의 보습작용과 보다 낮은 피부 거칠기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농도에서,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해로운 피부 박리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고안된 본 발명은 다수의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화은 모두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이고; 모든 요소는 추가로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발효된 파파야와 함께 사용되는 성분뿐 아니라 그 함량은, 특정 용도와 부합할 수 있는 한, 그 필요에 따라, 당해 분야의 기술에 따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피, 연화, 진정 특성을 가지고, 동시에, 적용된 조직에서 세포 분해를 유도하는 산화 작용을 감소시키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공한다.

Claims (3)

  1. 성분 가운데 파파야를 포함하며, 상기 파파야가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파파야는 전체 제품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3.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을 제공하는, 발효된 파파야의 용도.
KR1020070044966A 2006-05-10 2007-05-09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KR20070109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PD2006A000182 2006-05-10
IT000182A ITPD20060182A1 (it) 2006-05-10 2006-05-10 Prodotto cosmetico o farmaceutico ad uso esterno, a base di papa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86A true KR20070109886A (ko) 2007-11-15

Family

ID=3832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966A KR20070109886A (ko) 2006-05-10 2007-05-09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64372A1 (ko)
EP (1) EP1857100A1 (ko)
JP (1) JP2007302664A (ko)
KR (1) KR20070109886A (ko)
CA (1) CA2588319A1 (ko)
IT (1) ITPD20060182A1 (ko)
MX (1) MX2007005707A (ko)
RU (1) RU20071172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5145A1 (it) * 2018-05-08 2019-11-08 Composizione per la prevenzione e il trattamento dell’invecchiamento cutaneo
CN108685821B (zh) * 2018-08-10 2021-04-02 广东卓明仕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增强肌肤耐受力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0506A (ja) * 1983-11-04 1985-06-04 Toshiro Ishii 酵素入り化粧水の製造法
JP3370302B2 (ja) * 1999-10-29 2003-01-27 堯 近藤 パパイヤを用いた健康食品の製造方法
JP2001247896A (ja) * 2000-03-02 2001-09-14 Saido:Kk ドライクリーニング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ドライクリーニング洗剤
FR2834718B1 (fr) * 2002-01-15 2004-12-24 Cognis France Sa Substances active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JP2004123585A (ja) * 2002-10-01 2004-04-22 Saido:Kk 発酵パパイア石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35612A (ja) * 2002-10-18 2004-05-13 Nanto Shuhan Kk もろみ酢の抗酸化力増強方法
JP2004307361A (ja) * 2003-04-03 2004-11-04 Kazuo Onda 発毛剤
FR2871061B1 (fr) * 2004-06-04 2007-08-10 Coletica Sa Principe actif capable d'induire la transformation du tgbf- latent inactif en tgfb actif
JP4387903B2 (ja) * 2004-09-09 2009-12-24 株式会社東洋新薬 パパイ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8319A1 (en) 2007-11-10
JP2007302664A (ja) 2007-11-22
RU2007117299A (ru) 2008-11-27
ITPD20060182A1 (it) 2007-11-11
MX2007005707A (es) 2009-02-16
EP1857100A1 (en) 2007-11-21
US20070264372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575B1 (ko)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JP5628797B2 (ja) 人参の花または人参の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JP6670166B2 (ja) 化粧料
KR102239121B1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053716B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CN110840812A (zh) 胎体来源的外泌体在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JP6969067B2 (ja) 抗炎症剤、抗老化剤および美白剤
KR20090130801A (ko)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60760B1 (ko) 전복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JP2022125278A (ja) プロフィラグリンmRNA発現促進剤、セリンパルミトイ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mRNA発現促進剤、ヒアルロン酸合成酵素3mRNA発現促進剤及び抗老化剤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7179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감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1449A (ko) 불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U2014253131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lanine-glutamine, hyaluronic acid and an oat extract and the use thereof in a composition intended for healing wounds and repairing skin lesions
KR20070109886A (ko) 파파야를 기재로 한 외용 화장품 또는 약품
KR101863053B1 (ko) 로스팅된 오미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300233B2 (ja) 皮膚化粧料
JP7253283B2 (ja) 化粧料および飲食品組成物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